KR20170068569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569A
KR20170068569A KR1020177013055A KR20177013055A KR20170068569A KR 20170068569 A KR20170068569 A KR 20170068569A KR 1020177013055 A KR1020177013055 A KR 1020177013055A KR 20177013055 A KR20177013055 A KR 20177013055A KR 20170068569 A KR20170068569 A KR 20170068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setting
display
tractor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0162B1 (ko
Inventor
타쿠미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79643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67986A1/ja
Publication of KR20170068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 E02F3/3417Buckets emptying by ti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33Multidirectional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60K2360/135Joy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1Explanation of functions, e.g. i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6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coustic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B62D49/0614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equipped with visual aids for positioning implements or to control working cond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버킷의 높이나 각도를 오퍼레이터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버킷(83)을 구비한 프론트 로더(80)가 장착되고, 버킷(83)을 승강 및 회동 가능하게 조작할 수 있는 트랙터(1)에 있어서, 운전 좌석(161)의 근방에 디스플레이(2)를 구비하고, 디스플레이(2)는 로더 화면(S5)을 표시한다. 로더 화면(S5)은 버킷(83)의 높이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프(G1·G2) 및 각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프(G3·G4)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대표적인 작업 차량인 트랙터가 알려져 있다. 트랙터는 버킷을 구비한 작업기를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버킷의 승강과 회동에 의해 토사의 운반 작업이 실시된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런데, 오퍼레이터는 버킷의 동작을 확인하면서 조작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오퍼레이터가 작업기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버킷의 높이나 각도를 확인하면서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버킷의 높이나 각도를 오퍼레이터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6-77473호 공보
본 발명은, 버킷의 높이나 각도를 오퍼레이터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버킷을 구비한 작업기가 장착되고,
상기 버킷을 승강 및 회동 가능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운전 좌석의 근방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버킷의 높이 정보 및 각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제1 형태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버킷이 승강하는 동작에 동기(同期)하는 높이 정보를 표시 가능함과 함께, 상기 버킷이 회동하는 동작에 동기하는 각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제2 형태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버킷이 승강하는 동작의 지표가 되는 높이 설정 정보를 표시 가능함과 함께, 상기 버킷이 회동하는 동작의 지표가 되는 각도 설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제3 형태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높이 설정 정보와 상기 각도 설정 정보의 설정에 대해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제1 형태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장착된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또한, 연동 중의 작업기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작업기와 당해 작업 차량이 연동하는 설정에 대해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고,
원하는 작업기와 당해 작업 차량이 연동하는 설정에 대해 상기 조작부가 조작된 경우에, 연동 중의 작업기를 비연동으로 하고, 연동하는 설정이 결정된 작업기를 연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는 버킷의 높이 정보 및 각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버킷의 높이나 각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는 버킷이 승강하는 동작에 동기하는 높이 정보를 표시 가능함과 함께, 버킷이 회동하는 동작에 동기하는 각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화면을 보면서 작업기의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는 버킷이 승강하는 동작의 지표가 되는 높이 설정 정보를 표시 가능함과 함께, 버킷이 회동하는 동작의 지표가 되는 각도 설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지표를 확인하면서 버킷의 높이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기의 조작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는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높이 설정 정보와 각도 설정 정보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하면, 작업 차량에 작업기와의 연동의 설정을 조작 및 표시하는 수단이 마련되므로, 오퍼레이터는 작업 차량에서 작업기와의 연동의 설정에 대해 조작 및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차량에 승차하는 오퍼레이터는, 작업기까지 이동하지 않고 승차한 채로, 어느 작업기가 당해 작업 차량에 연동하는지에 대해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어느 작업기를 당해 작업 차량에 연동시킬지에 대해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트랙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X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Y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Z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작업기가 장착된 트랙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조이스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트랙터의 운전 좌석과 그 주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오퍼레이터의 시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트랙터의 정보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에 관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트랙터의 정보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서로 정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트랙터와 작업기의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트랙터의 정보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로더(loader)용 조작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든 작업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표적인 작업 차량인 트랙터를 이용해 설명한다.
우선, 트랙터(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트랙터(1)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X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화살표 Y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화살표 Z로부터 본 도면이다. 한편, 도면에는 트랙터(1)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트랙터(1)는, 주로, 프레임(11), 엔진(12), 트랜스미션(13), 전방 차축(14) 및 후방 차축(1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랙터(1)는 캐빈(16)을 구비한다. 캐빈(16)은 그 내측이 조종실로 되어 있고, 운전 좌석(161) 외에 액셀러레이터 페달(162)이나 시프트 레버(163) 등이 배치된다(도 7 참조).
프레임(11)은 트랙터(1) 앞 부분의 골격을 이룬다. 프레임(11)은 트랜스미션(13)이나 후방 차축(15)과 함께 트랙터(1)의 섀시를 구성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엔진(12)은 프레임(11)에 의해 지지된다.
엔진(12)은 연료를 연소시켜 얻은 열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한다. 즉, 엔진(12)은 연료를 태움으로써 회전 동력을 만들어낸다. 한편, 엔진(12)에는 엔진 제어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미도시). 엔진 제어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액셀러레이터 페달(162)(도 7 참조)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엔진(12)의 운전 상태를 변경한다. 또한, 엔진(12)에는 배기 정화 장치(12E)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12E)는 배기에 포함되는 미립자나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등을 산화시킨다.
트랜스미션(13)은 엔진(12)의 회전 동력을 전방 차축(14)이나 후방 차축(15)에 전달한다. 트랜스미션(13)에는 연결 기구를 통해 엔진(1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트랜스미션(13)에는 무단 변속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미도시). 무단 변속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시프트 레버(163)(도 7 참조)를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트랜스미션(13)의 작동 상태를 변경한다.
전방 차축(14)은 엔진(12)의 회전 동력을 전방 타이어(141)에 전달한다. 전방 차축(14)에는 트랜스미션(13)을 통해 엔진(1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전방 차축(14)에는 조타 장치가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미도시). 조타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핸들(164)(도 7 참조)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전방 타이어(141)의 타각을 변경한다.
후방 차축(15)은 엔진(12)의 회전 동력을 후방 타이어(151)에 전달한다. 후방 차축(15)에는 트랜스미션(13)을 통해 엔진(1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후방 차축(15)에는 PTO 출력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미도시). PTO 출력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PTO 스위치(165)(도 7 참조)를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견인하는 작업기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본 트랙터(1)는 앞 부분에 작업기를 장착할 수 있다. 이하, 작업기인 프론트 로더(front loader, 8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프론트 로더(80)가 장착된 트랙터(1)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조이스틱(8)을 나타내고 있다.
프론트 로더(80)는 토사 등의 운반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프론트 로더(80)는 프레임(81), 아암(82) 및 버킷(83)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81)은 프레임(11)의 측면에 핀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다. 프레임(81)은 프레임(1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브래킷(81a)이 장착되어 있다.
아암(82)은 그 일단부가 브래킷(81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82)은 신축하는 승강 실린더(84)에 의해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도면 중의 화살표 L 참조).
버킷(83)은 아암(8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버킷(83)은 신축하는 회동 실린더(85)에 의해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도면 중의 화살표 R 참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버킷(83)의 승강과 회동을 실현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조이스틱(8)을 이용해 버킷(83)을 승강 및 회동 가능하게 조작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가 조이스틱(8)을 전후로 기울이면, 승강 실린더(84)가 신축해 아암(82)이 회동한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조이스틱(8)을 좌우로 기울이면, 회동 실린더(85)가 신축해 버킷(83)이 회동한다. 여기에서, 버킷(83)의 선단이 위를 향한 자세를 '스쿱(scoop) 자세'라고 정의한다. 또한, 버킷(83)의 선단이 아래를 향한 자세를 '덤프(dump) 자세'라고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덤프 자세로부터 스쿱 자세가 되는 회동 방향을 회동 각도가 증대하는 방향으로 한다. 반대로, 스쿱 자세로부터 덤프 자세가 되는 방향을 회동 각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한다.
또한, 조이스틱(8)에는 오토 스탠바이 스위치(74), 엔진 회전 속도 업 버튼(70), 최고 주행 속도 업 버튼(71) 및 최고 주행 속도 다운 버튼(72)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트랙터(1)의 조종실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운전 좌석(161)과 그 주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은 오퍼레이터의 시야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빈(16)은 그 내측이 조종실로 되어 있고, 운전 좌석(161) 외에 액셀러레이터 페달(162)이나 시프트 레버(163)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 좌석(161)의 주위에는 브레이크 페달(166)이나 클러치 페달(167), 리버서 레버(168), 스피드 다이얼(169),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170), 컨트롤 패널(171) 등이 배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운전 좌석(161)에 앉은 상태로 액셀러레이터 페달(162)이나 시프트 레버(163) 등을 조작해 트랙터(1)를 조종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좌석(161)의 우측에 조이스틱(8)이 배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운전 좌석(161)에 앉은 상태로 조이스틱(8)을 조작해, 프론트 로더(80)를 조종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시프트 레버(163)를 틸딩(tilting) 조작함으로써, 트랙터(1)의 주행 속도를 무단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주행 속도 등, 트랙터(1)의 각종 상태를 표시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70)은 운전 좌석(161)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170)의 근방에는 변속 레버(172)와 스피드 다이얼(169)이 배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변속 레버(172)를 틸딩 조작함으로써, 엔진(12)의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스피드 다이얼(169)은 엔진(12)의 최대 회전 속도를 오퍼레이터가 설정하기 위한 회전 속도 상한 설정 다이얼의 기능을 갖는다. 스피드 다이얼(169)의 조작에 의해 최대 회전 속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변속 레버(172)를 최대까지 조작했을 때, 엔진(12) 회전 속도의 상승이 설정된 회전 속도에서 자동으로 멈춘다. 즉, 스피드 다이얼(169)의 조작에 의해, 원하는 엔진 회전 속도를 간단하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정한 최대 회전 속도보다 엔진 회전 속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트랙터(1)에서는, 운전 좌석(161)의 근방에 디스플레이(2)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2)는, 오퍼레이터가 오른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 좌석(161)의 오른쪽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2)는 사이드 콘솔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트랙터(1)의 정보 네트워크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함과 함께, 디스플레이(2) 및 그 디스플레이(2)에 관한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트랙터(1)의 정보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은 디스플레이(2)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1은 디스플레이(2)에 관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본 트랙터(1)는, 최대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각처에 정보 네트워크가 펼쳐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엔진(12) 외에 트랜스미션(13), 인스트루먼트 패널(170), 컨트롤 패널(171), 디스플레이(2)가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컨트롤러·에어리어·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CAN)를 구성하고 있다.
본 트랙터(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2)는 사이드 콘솔 위에 배치되어 있다(도 7, 도 8 참조). 디스플레이(2)는 액정 패널(21), 인코더 다이얼(22) 및 엔터 버튼(23)을 갖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는 5개의 커맨드 버튼(24·25·26·27·28)을 갖고 있다. 각 버튼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광원으로 하는 백 라이트(29)가 내장되어 있다.
액정 패널(21)은 디스플레이(2)의 전면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액정 패널(21)은 제어 장치(3)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해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패널(21)은 제어 장치(3)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해 오프닝 화면(S1)을 표시할 수 있다(도 12 참조). 또한, 액정 패널(21)은 제어 장치(3)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해 그 외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도 13 내지 도 16 참조). 한편, 액정 패널(21)은 이른바 터치 패널이라도 무방하다.
인코더 다이얼(22)은 디스플레이(2)의 상면 우측에 마련되어 있다. 인코더 다이얼(22)은 액정 패널(21)에 표시된 요소를 선택할 때, 탭을 스크롤시키거나 혹은 하이라이트를 횡단시킨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코더 다이얼(22)은 표시된 숫자나 영문자를 선택할 때, 탭을 스크롤 시킨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도 13 참조). 또한, 인코더 다이얼(22)은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할 때, 하이라이트를 횡단시킨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도 14, 도 15 참조).
엔터 버튼(23)은 인코더 다이얼(22)과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엔터 버튼(23)은 액정 패널(21)에 표시된 요소 가운데, 하나의 요소를 결정했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터 버튼(23)은 표시된 숫자나 영문자 중 하나의 숫자 혹은 영문자를 결정했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도 13 참조). 또한, 엔터 버튼(23)은 표시된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결정했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도 14, 도 15 참조). 한편, 본 디스플레이(2)에 있어서, 엔터 버튼(23)은 인코더 다이얼(22) 자체가 눌러지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인코더 다이얼(22)의 상단면에 푸시 버튼을 마련한 구조라도 된다.
커맨드 버튼(24·25·26)은 디스플레이(2)의 전면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커맨드 버튼(24·25·26)은 액정 패널(21)에 소정의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다른 화면으로 절환한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맨드 버튼(24·25)은 액정 패널(21)에 홈 화면(S3)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쇼트 컷 화면(오퍼레이터가 임의로 설정한 화면)으로 절환한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도 14 참조). 또한, 커맨드 버튼(26)은 액정 패널(21)에 다른 홈 화면(S4)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홈 화면(S3)으로 절환한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도 15 참조).
커맨드 버튼(27)도 디스플레이(2)의 전면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맨드 버튼(26)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커맨드 버튼(27)은, 엔터 버튼(23)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요소를 결정했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맨드 버튼(27)은 표시된 숫자나 영문자 중 하나의 숫자 혹은 영문자를 결정했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도 13 참조). 또한, 커맨드 버튼(27)은 표시된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결정했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도 14, 도 15 참조). 또한, 커맨드 버튼(27)은 설정 사항을 기억하라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도 16 참조).
커맨드 버튼(28)도 디스플레이(2)의 전면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맨드 버튼(27)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커맨드 버튼(28)은 액정 패널(21)에 소정의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하나 앞의 화면으로 돌아간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맨드 버튼(28)은 액정 패널(21)에 홈 화면(S4)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홈 화면(S3)으로 돌아간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도 15 참조). 또한, 커맨드 버튼(28)은 액정 패널(21)에 로더 화면(S5)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홈 화면(S4)으로 돌아간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도 16 참조).
제어 장치(3)에는 높이 위치 센서(61)와 각도 센서(62)가 접속된다. 높이 위치 센서(61)는 버킷(83)의 높이 위치를 검출한다. 각도 센서(62)는 버킷(83)의 회동 각도를 검출한다. 이들 센서의 검출에 의한 신호는 제어 장치(3)로 송신된다.
트랙터(1)에서는, 조이스틱(8)의 조작에 기초해, 승강 실린더(84)와 회동 실린더(85)가 작동한다. 승강 실린더(84)의 작동에 의해 버킷(83)의 높이 위치가 변화하고, 회동 실린더(85)의 작동에 의해 버킷(83)의 회동 각도가 변화한다. 승강 실린더(84)와 회동 실린더(85)는 제어 장치(3)에 의한 제어에 기초해 작동한다. 승강 실린더(84)와 회동 실린더(85)는 유로 절환 밸브를 포함하는 유압 회로에 접속된다(미도시). 유압 회로에는 엔진(12)의 회전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펌프가 접속된다(미도시).
기억부(31)는 ROM(Random Access Read Only Memory) 등 정보를 고쳐쓸 수 없는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및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과 맵 등의 정보는 기억부(31)에 저장되어 있다. 처리부(30)는 ROM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등을 RAM 상으로 읽어낸 다음 이것을 실행할 수 있다.
처리부(30)는 검출된 높이 위치와 회동 각도를 인식한다. 처리부(30)는 이들 정보와 기억부(31)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해, 요구되는 승강 실린더(84)의 작동량과 회동 실린더(85)의 작동량을 산출한다.
제어 장치(3)는 산출 결과에 기초해 승강 실린더(84)와 회동 실린더(85)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는 조이스틱(8)의 조작량에 따라 유로 절환 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미도시). 그러면, 유로 절환 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승강 실린더(84)의 작동량과 회동 실린더(85)의 작동량이 조정된다.
계속해서, 버킷(83)이 승강하는 동작의 지표가 되는 높이 설정 정보, 및, 버킷(83)이 회동하는 동작의 지표가 되는 각도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6은 디스플레이(2)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단, 각 도면은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부분만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
우선, 디스플레이(2)에는 오프닝 화면(S1)이 표시된다(도 12 참조). 오프닝 화면(S1)에서는 중앙 부근에 심볼 마크(Sm)가 표시된다. 심볼 마크(Sm)는 제조업자를 상징하는 의장이다. 심볼 마크(Sm)는 흑색의 배경 화상에 떠올라, 오퍼레이터에게 강한 인상을 준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2)에는 락 해제 화면(S2)이 표시된다(도 13 참조). 락 해제 화면(S2)에서는 가로 1열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스크롤 박스(Sb1·Sb2·Sb3·Sb4)가 표시된다. 스크롤 박스(Sb1·Sb2·Sb3·Sb4)는 선택되고 있는 어느 하나가 하이라이트 된다(도면 중의 H부 참조). 스크롤 박스(Sb1·Sb2·Sb3·Sb4)는 0에서 9까지의 숫자 혹은 A에서 F까지의 영문자를 스크롤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숫자 혹은 영문자를 선택하고, 엔터 버튼(23)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락 해제 화면(S2)에서는, 커맨드 버튼(25·26)을 누르는 것에 의해 숫자 혹은 영문자를 선택하고, 커맨드 버튼(27)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커맨드 버튼(28)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을 취소할 수도 있다. 더해, 비밀번호를 틀렸을 때에는 그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락 해제 화면(S2)에서는, 오퍼레이터의 이름이 기재된 다이얼로그 박스(Db1)와, 작업 예정이 기록된 다이얼로그 박스(Db2)가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이와 같은 다이얼로그 박스(Db1·Db2)로부터 자신의 작업 예정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2)에는 홈 화면(S3)이 표시된다(도 14 참조). 홈 화면(S3)에서는, 상하 2열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Ia1·Ia2·Ia3·Ia4…Ia8)이 표시된다. 아이콘(Ia1·Ia2·Ia3·Ia4…Ia8)은 선택되고 있는 어느 하나가 하이라이트 된다(도면 중의 H부 참조). 그리고, 하이라이트는 인코더 다이얼(22)의 회전에 따라 횡단된다.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아이콘(Ia1·Ia2·Ia3·Ia4…Ia8 중 어느 하나)을 선택하고, 엔터 버튼(23)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홈 화면(S3)에서는, 커맨드 버튼(24·25·26·27·28 중 어느 하나)을 누르는 것에 의해 아이콘(Ia1·Ia2·Ia3·Ia4…Ia8 중 어느 하나)을 선택할 수는 없지만, 커맨드 버튼(27)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는 있다. 또한, 커맨드 버튼(28)을 누르면, 락 해제 화면(S2)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이전 페이지'라고 기재된 버튼(Ba1) 혹은 '다음 페이지'라고 기재된 버튼(Ba2)을 선택해 결정했을 때에는, 다른 홈 화면(S4)으로 절환된다. 선택할 수 없는 아이콘에 대해서는 그레이 아웃(gray out) 된다(도면 중의 G부 참조).
여기에서는, '다음 페이지'라고 기재된 버튼(Ba2)을 선택해 결정한다.
디스플레이(2)에는 다른 홈 화면(S4)이 표시된다(도 15 참조). 홈 화면(S4)에서는, 좌우 2열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Ib1·Ib2·Ib3·Ib4…Ib8)이 표시된다. 아이콘(Ib1·Ib2·Ib3·Ib4…Ib8)은 선택되고 있는 어느 하나가 하이라이트 된다(도면 중의 H부 참조). 그리고, 하이라이트는 인코더 다이얼(22)의 회전에 따라 횡단된다.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아이콘(Ib1·Ib2·Ib3·Ib4…Ib8 중 어느 하나)을 선택하고, 엔터 버튼(23)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홈 화면(S4)에서는, 커맨드 버튼(24·25·26·27·28 중 어느 하나)을 누르는 것에 의해 아이콘(Ib1·Ib2·Ib3·Ib4…Ib8 중 어느 하나)을 선택할 수는 없지만, 커맨드 버튼(27)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는 있다. 또한, 커맨드 버튼(28)을 누르면, 홈 화면(S3)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 또한, '이전 페이지'라고 기재된 버튼(Bb1) 혹은 '다음 페이지'라고 기재된 버튼(Bb2)을 선택해 결정했을 때에는, 홈 화면(S3)으로 절환된다. 선택할 수 없는 아이콘에 대해서는 그레이 아웃 된다(미도시).
여기에서는, '로더'라고 기재된 아이콘(Ib3)을 선택해 결정한다.
디스플레이(2)에는 로더 화면(S5)이 표시된다(도 16 참조). 로더 화면(S5)은 버킷의 높이 정보와 각도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로더 화면(S5)에는 눈금자(Sh)와 눈금자(Sa)가 표시된다. 또한, 로더 화면(S5)에는 그래프(G1·G2·G3·G4)와 아이콘(Ic1·Ic2·Ic3·Ic4·Ic5)이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아이콘(Ic1~Ic5)을 선택하고, 엔터 버튼(23) 또는 커맨드 버튼(27)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눈금자(Sh)와 그래프(G1·G2)는 버킷(83)의 높이 정보를 나타낸다. 눈금자(Sh)와 그래프(G1·G2)는 로더 화면(S5)에서 상하 방향으로 표시된다. 눈금자(Sh)는 그래프(G1)와 그래프(G2) 사이에 끼워져 있다.
눈금자(Sa)와 그래프(G3·G4)는 버킷(83)의 각도 정보를 나타낸다. 눈금자(Sa)와 그래프(G3·G4)는 로더 화면(S5)에서 좌우 방향으로 표시된다. 눈금자(Sa)는 그래프(G3)와 그래프(G4) 사이에 끼워져 있다.
그래프(G1·G2·G3·G4)는, 이른바 바 그래프이다. 그래프(G1)와 그래프(G3)는 백색으로 표시된다. 그래프(G2)와 그래프(G4)는 흑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각 그래프(G1·G2·G3·G4)에는 인디케이터(indicator)(I1·I2·I3·I4)가 표시되어 있다. 인디케이터(I1·I2·I3·I4)는 각각 그래프(G1·G2·G3·G4)를 따라 이동한다. 한편, 인디케이터(I1·I2)는 적색으로 표시된다. 인디케이터(I3·I4)는 청색으로 표시된다.
눈금자(Sh)는 버킷(83)이 승강하는 높이의 범위를 나타낸다. 눈금자(Sh)에서 표시되는 범위는 버킷(83)의 승강이 기계적으로 제한되는 범위이다. 즉, 눈금자(Sh)는 승강하는 버킷(83)의 가동역을 나타낸다. 그래프(G1·G2)의 상단은 가동역의 상한이고, 그래프(G1·G2)의 하단은 가동역의 하한이다. 한편, 눈금자(Sh)에서 표시되는 범위는 제어적으로 제한되는 범위라도 된다.
눈금자(Sa)는 버킷(83)이 회동하는 각도의 범위를 나타낸다. 눈금자(Sa)에서 표시되는 범위는 버킷(83)의 회동이 기계적으로 제한되는 범위이다. 즉, 눈금자(Sa)는 회동하는 버킷(83)의 가동역을 나타낸다. 그래프(G3·G4)의 우단은 가동역의 상한이고, 그래프(G3·G4)의 좌단은 가동역의 하한이다. 한편, 눈금자(Sa)에서 표시되는 범위는 제어적으로 제한되는 범위라도 된다.
그래프(G1)는 작동하는 버킷(83)의 실제 높이 위치를 나타낸다. 그래프(G1)의 전체 길이는 버킷(83)의 승강 가동역에 대해 10 등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인디케이터(I1)는 버킷(83)이 승강하는 동작에 동기해 그래프(G1)를 따라 이동한다. 버킷(83)의 높이 위치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인디케이터(I1)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버킷(83)의 높이 위치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인디케이터(I1)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그래프(G3)는 회동하는 버킷(83)의 실제 각도를 나타낸다. 그래프(G3)의 전체 길이는 버킷(83)의 회동 가동역에 대해 10 등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인디케이터(I3)는 버킷(83)이 회동하는 동작에 동기해 그래프(G3)를 따라 좌우로 이동한다. 버킷(83)의 회동 각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인디케이터(I3)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버킷(83)의 회동 각도가 감소하는 경우에는 인디케이터(I3)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2)는 버킷(83)이 승강하는 동작에 동기하는 높이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버킷(83)이 회동하는 동작에 동기하는 각도 정보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화면을 보면서 프론트 로더(80)의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래프(G2)는 높이 설정 정보를 나타낸다. 그래프(G2)의 인디케이터(I2)는 버킷(83)이 승강하는 동작의 지표가 되는 높이 위치를 나타낸다. 그래프(G4)는 각도 설정 정보를 나타낸다. 그래프(G4)의 인디케이터(I4)는 버킷(83)이 회동하는 동작의 지표가 되는 회동 각도를 나타낸다.
오퍼레이터는 버킷(83)의 높이 위치의 지표로서 그래프(G2)의 인디케이터(I2)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버킷(83)은 높이 위치 지표의 범위 내에서 작동하도록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 지표를 넘어 작동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버킷(83)의 회동 각도의 지표로서 그래프(G4)의 인디케이터(I4)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버킷(83)은 회동 각도 지표의 범위 내에서 작동하도록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 지표를 넘어 작동할 수 있다.
아이콘(Ic5)은 버킷(83)의 높이 위치의 지표 및 회동 각도의 지표를 설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프론트 로더(80)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에 아이콘(Ic5)이 선택 및 결정되는 경우, 버킷(83)의 실제 높이 위치로서 검출된 위치가 높이 위치의 지표로서 설정된다. 동시에, 버킷(83)의 실제 회동 각도로서 검출된 각도가 회동 각도의 지표로서 설정된다. 이때, 인디케이터(I1)와 인디케이터(I2)가 좌우 방향을 따라 늘어서고, 인디케이터(I3)와 인디케이터(I4)가 상하 방향을 따라 늘어선다.
버킷(83)의 실제 높이 위치는 그래프(G1)의 인디케이터(I1)에 의해 표시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그래프(G1)의 인디케이터(I1)와 그래프(G2)의 인디케이터(I2)를 비교함으로써, 버킷(83)의 높이가 타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버킷(83)의 실제 회동 각도는 그래프(G3)의 인디케이터(I3)에 의해 표시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그래프(G3)의 인디케이터(I3)와 그래프(G4)의 인디케이터(I4)를 비교함으로써, 버킷(83)의 각도가 타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실제로 프론트 로더(80)를 작동시킨 다음에, 예를 들면 운전 좌석(161)으로부터의 시야에 기초해 이들 지표를 설정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이들을 설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2)를 통해 버킷(83)의 높이 위치 및 회동 각도가 적절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 로더(80)를 이용한 작업에 대해 효율성과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로더 화면(S5)에서는 커맨드 버튼(24·25·26·27·28 중 어느 하나)을 누르는 것에 의해 아이콘(Ic1·Ic2·Ic3·Ic4 중 어느 하나)을 선택할 수는 없지만, 커맨드 버튼(27)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는 있다. 또한, 커맨드 버튼(28)을 누르면, 홈 화면(S4)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
한편, 아이콘(Ic1~Ic4)은 프론트 로더(80)의 제어 상태를 절환하기 위한 것이다. 아이콘(Ic1)이 선택 및 결정되는 경우에는, 엔진 회전 속도의 변화 또는 비변화를 설정할 수 있다. 아이콘(Ic2)이 선택 및 결정되는 경우에는, 작동 범위의 제한에 대해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소정 높이 위치의 범위와 소정 회동 각도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아이콘(Ic3)이 선택 및 결정되는 경우에는, 수용되는 버킷(83)의 높이 위치 및 회동 각도에 대해 설정할 수 있다. 아이콘(Ic4)이 선택 및 결정되는 경우에는, 프론트 로더(80) 또는 다른 작업기와 트랙터(1)의 연동을 설정할 수 있다.
작업기에는 트랙터(1)와 연동 가능한 것이 있다. 트랙터(1)에 연동 가능한 작업기로는, 전술한 프론트 로더(80) 외에, 트랙터(1)의 후부에 장착되는 로터리(rotary), 분무기(sprayer) 또는 산파기(散播機, broadcaster) 등이 있다. 연동 가능한 작업기가 트랙터(1)에 장착된 경우에는, 트랙터(1)와 그 작업기를 연동시킬 수 있다. 연동이란, 작업기의 동작에 맞추어 트랙터(1)가 최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연동이란, 트랙터(1)의 상태에 맞추어 작업기가 최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 시스템을, Eco Tra Link(이하, 작업기 연동 시스템이라고 한다)라고 칭한다.
또한, 아이콘(Ic1·Ic2·Ic3·Ic4)에는 각각 램프(L1·L2·L3·L4)가 부착되어 있다. 각 램프는 프론트 로더(80)의 제어 상태에 관한 각 설정의 ON과 OFF를 구별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킷(83)의 작동시에 엔진 회전 속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키는 제어가 유효한 경우에는, 램프(L1)이 녹색으로 하이라이트 된다.
또한, 각 지표로서 설정된 높이 위치 또는 회동 각도를 넘는 위치로 버킷(83)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경고가 이루어져도 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에 음성 출력 기능이 포함되어, 디스플레이(2)로부터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설정된 높이 위치 또는 회동 각도를 넘는 위치로 버킷(83)이 이동하는 경우에, 평소와는 다른 색으로 그래프(G1·G3)가 표시되어도 된다.
그런데, 작업기 연동 시스템이란, 트랙터(1)와 작업기가 쌍방향으로 송신함으로써, 조작성 및 작업 효율 등에서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도 9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12), 인스트루먼트 패널(미터류)(170), 트랜스미션(13), UFO(미도시) 및 디스플레이(2) 등의 트랙터(1) 내의 각 ECU가, CAN에 의해 접속되어 통합 제어되고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기에 프론트 로더(80) 등의 작업기를 연결하고, 트랙터(1)와 작업기 사이에서 여러 가지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더욱 고도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상호의 정보는 CAN을 통해 교환되고, 트랙터(1)와 작업기는 일농공규격(日農工規格, AG-PORT)에 준하는 통신용 접속 커넥터(6)에 의해 접속된다. 그리고, 차량측 콘트롤러(CAN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및 ECU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유니트)와 작업기측 콘트롤러(CAN에 접속되는 다른 인터페이스 및 ECU를 포함한다)는 AG-PORT나 ISOBUS에 의해 연동될 수 있다.
트랙터(1)에 마련된 조작구(전술한 조이스틱(8), 변속 레버(172), 시프트 레버(163) 등)를 조작함으로써, 트랙터(1)의 상태에 따라 작업기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작업기의 조작을 트랙터(1)(본기)측의 조작구에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랙터(1)와 작업기 사이에서 일체감이 있는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엔진 회전, PTO 회전, 주행 속도 및 포지션(작업기의 높이 위치 및 기울기) 등을, 작업기에서의 작업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랙터(1)와 작업기가 쌍방향으로 통신함으로써, 보다 일체감이 있는 작업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오퍼레이터는 트랙터(1)의 컨트롤 패널(171)(도 7 참조)을 조작함으로써, 트랙터(1)에 연결된 작업기에 관한 각종 설정을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71)은 변속 레버(17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운전 좌석(161) 근방에서의 다른 위치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트랙터(1)의 CAN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터(1)에는 CAN에 의한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이 네트워크에는 엔진(12), 트랜스미션(13), 디스플레이(2), 인스트루먼트 패널(170), 시프트 레버(163), 변속 레버(172), 스피드 다이얼(169) 등과 같은 트랙터(1)가 갖는 각 구성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랙터(1)의 CAN에는 네트워크에서 통신 제어를 실시하는 통신 제어 유니트(73)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제어 장치(3)(도 11 참조)에 포함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트랙터(1)의 각 구성(엔진(12), 트랜스미션(13) 등)과 통신함으로써, 엔진 회전 속도, 트랜스미션(13)의 변속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변속 레버(172)의 조작량을 취득함과 함께, 엔진(12)과 통신함으로써, 엔진 회전 속도를 변속 레버(172)의 조작량에 부합하는 회전 속도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변속 레버(172)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엔진 회전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이때,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스피드 다이얼(169)로 설정된 회전 속도를 넘지 않도록 엔진 회전 속도를 변경한다.
또한,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시프트 레버(163)의 조작량을 취득함과 함께, 트랜스미션(13)과 통신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트랜스미션(13)과의 통신에 의해, 트랜스미션(13)의 무단 변속 장치에서의 유압 펌프의 가동 경사판의 경사각을 시프트 레버(163)의 조작량에 따라 변경시킨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시프트 레버(163)를 조작함으로써 트랜스미션(13)의 변속 출력축(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무단계로 변경한다. 그 결과, 트랙터(1)의 주행 속도가 무단계로 변경된다.
또한, 트랙터(1)의 CAN에는 프론트 로더(80)이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론트 로더(80)의 조이스틱(8)이 CAN에 의해 트랙터(1)의 각 구성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조이스틱(8)의 조작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트랙터(1)의 각 구성에는 CAN에 의해 디스플레이(2)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디스플레이(2)에 의한 프론트 로더(80)에 관한 설정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제어 유니트(73)에는 프론트 로더(80) 외에도, 작업기(A, B, …)와 다른 작업기를 접속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트랙터(1)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 속도 등, 트랙터(1)에 관한 정보를 프론트 로더(80) 및 다른 작업기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로더(80) 등의 작업기와 트랙터(1) 사이에서는, CAN을 개재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프론트 로더(80)의 작동에 연동하도록, 엔진(12) 및 트랜스미션(13) 등의 트랙터(1)의 각 구성과 통신할 수 있다. 즉,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엔진 회전 속도 및 트랜스미션(13)의 변속비 등이 프론트 로더(80)의 작동량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엔진(12) 및 트랜스미션(13)과 통신한다.
트랙터(1)에서,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아암(82)의 승강 또는 버킷(83)의 회동 등의 프론트 로더(80)의 작동 가운데, 프론트 로더(80)의 부하가 높아질 때, 엔진 회전 속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론트 로더(80)의 부하가 높아질 때, 승강 실린더(84)와 회동 실린더(85)(모두 도 11 참조)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양을 자동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프론트 로더(80)에 의한 작업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프론트 로더(80)의 부하가 높아지는 작동으로는, 아암(82)의 높이 위치가 상승하는 경우와 버킷(83)이 스쿱 자세로 작동하는 경우가 포함된다.
프론트 로더(80)의 조이스틱(8)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면, 그 조작량의 정보가 통신 제어 유니트(73)로 송신된다.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취득한 조이스틱(8)의 조작량 정보에 기초해, 프론트 로더(80)의 작동 부하가 증대되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엔진(12)과 통신함으로써 엔진 회전 속도를 상승시킨다.
또한,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프론트 로더(80)의 조이스틱(8)이 중립 위치로 되돌려진 것을 검출하면, 엔진(12)과 통신함으로써 회전 속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키기 직전의 회전 속도까지 엔진 회전 속도를 되돌리게 한다. 이에 따라, 프론트 로더(80)의 작동 부하가 해소된 후에는 엔진 회전 속도가 자동으로 원래의 회전 속도까지 돌아오므로, 엔진(12)의 부하가 계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랙터(1)에서, 엔진 회전 속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트랜스미션(13)과 통신함으로써 트랜스미션(13)의 변속비를 자동으로 변경시킨다(구체적으로는, 가동 경사판의 경사 각도를 자동으로 변경시킨다). 이와 같은 정보의 교환에 의해,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 출력축의 회전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트랜스미션(13)을 제어한다. 즉,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트랜스미션(13)의 변속비를 자동으로 변경시키도록, 트랜스미션(13)과 통신한다.
이와 같이, 통신 제어 유니트(73)가 엔진(12) 및 트랜스미션(13)과 통신함으로써 엔진 회전 속도를 자동으로 상승시켰을 때에도, 오퍼레이터의 의도에 반해 주행 속도가 변화하는 등의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CAN에 의한 네트워크의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가 의도하지 않는 주행 속도의 변화를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건, 즉, 오퍼레이터에 의한 시프트 레버(163)의 중립으로의 조작 및 클러치 페달(167)(모두 도 7 참조)의 조작은 필요하게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트랙터(1)에서는, 아암(82)이 상승하도록 또는 버킷(83)이 스쿱 자세를 취하도록 조이스틱(8)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시프트 레버(163)의 중립 및 클러치의 절단 등의 조건과 관계없이, 엔진 회전 속도가 상승된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트랙터(1)가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도, 엔진 회전 속도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런데, 조이스틱(8)의 조작에 따라 엔진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제어에 대해서는, 오퍼레이터가 의도하는 모든 타이밍에서 엔진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조이스틱(8)이 중립 위치일 때에는, 통신 제어 유니트(73)가 엔진 회전 속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키지 않는다.
물론, 변속 레버(172)를 조작하면 임의의 타이밍에서 엔진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오퍼레이터는, 예를 들면 한 손으로 조향 핸들(164)을 조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변속 레버(172)를 조작하려고 하면, 조이스틱(8)으로부터 손을 떼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변속 레버(172)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 엔진 회전 속도가 변경되면, 주행 속도도 변화해 버린다.
그러나, 트랙터(1)는 조이스틱(8)에 마련된 엔진 회전 속도 업 버튼(70)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주행 속도를 유지한 채로 회전 속도가 최고 회전 속도까지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 회전 속도 업 버튼(70)이 조작되면, 조이스틱(8)으로부터 그 취지의 정보가 통신 제어 유니트(73)로 송신된다.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엔진 회전 속도 업 버튼(70)이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 엔진(12) 및 트랜스미션(13)과 통신함으로써,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 출력축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주행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트랜스미션(13)의 변속비를 변경시키면서 엔진 회전 속도를 최고 회전 속도까지 상승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는 임의의 타이밍에 주행 속도를 유지한 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물론, 엔진 회전 속도 업 버튼(70)의 조작에 의해 엔진 회전 속도를 상승시킬 때에도, 시프트 레버(163)의 중립 및 클러치 페달(167)의 밟는 조작 등이 조건이 되지 않는다.
한편,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엔진 회전 속도를 스피드 다이얼(169)에서 설정된 회전 속도까지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하면, 엔진 회전 속도 업 버튼(70)을 조작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오퍼레이터의 원하는 회전 속도까지 엔진 회전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또한, 이와 같이 엔진 회전 속도의 상한이 마련되고 있는 것에 의해, 엔진(12)이 불필요하게 고회전까지 상승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이스틱(8)에는 최고 주행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최고 주행 속도 업 버튼(71) 및 최고 주행 속도 다운 버튼(72)이 마련되어 있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조이스틱(8)의 조작에 의해 최고 주행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최고 주행 속도 업 버튼(71) 또는 최고 주행 속도 다운 버튼(72)이 조작되면, 조이스틱(8)으로부터 그 취지의 정보가 통신 제어 유니트(73)로 송신된다.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최고 주행 속도 업 버튼(71)이 조작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최고 주행 속도가 상승하도록 설정치를 변경한다. 한편, 최고 주행 속도 다운 버튼(72)이 조작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최고 주행 속도가 저하되도록 설정치를 변경한다.
여기에서, '최고 주행 속도'란, 변속 레버(172)가 최대까지 조작되었을 때의 주행 속도를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최고 주행 속도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변속 레버(172)의 조작량에 대한 주행 속도의 변화가 작아진다. 한편, 최고 주행 속도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변속 레버(172)의 조작량에 대한 주행 속도의 변화가 커진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설정에 의하면, 노상 주행시 등, 트랙터(1)를 비교적 고속으로 주행시키는 경우에 유효하다.
그런데, 최고 주행 속도의 설정을 변경하면, 변속 레버(172)의 조작량과 주행 속도의 대응 관계가 변화해, 그 결과 현재의 변속 레버(172) 조작량에 대응하는 주행 속도가 변화한다. 따라서, 최고 주행 속도의 설정을 변경하면, 변속 레버(172)를 조작하지 않아도 현재의 주행 속도가 변화한다. 이와 같이, 최고 주행 속도의 설정 변경은, 변속 레버(172)를 조작하지 않고 현재의 주행 속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오퍼레이터는, 프론트 로더(80)에 의한 작업 중에 조이스틱(8)을 조작하고 있으므로, 주행 속도를 변경하기 위해 변속 레버(172)를 조작하는 것이 반드시 용이하지는 않다. 그러나, 조이스틱(8)에 최고 주행 속도 업 버튼(71) 및 최고 주행 속도 다운 버튼(72)이 마련된 구성에 의하면, 조이스틱(8)을 잡은 채로(변속 레버(172)를 조작하지 않아도) 주행 속도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프론트 로더(80)의 조작에 집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피드 다이얼(169)을 대신하는 설정으로서, 엔진 회전 속도의 상승폭의 디스플레이(2)를 이용한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로더 화면(S5)(도 16 참조)에서 아이콘(Ic1)을 선택해 결정하면, 디스플레이(2)에는 엔진 회전 속도 설정 화면(S6)이 표시된다(도 20 참조). 엔진 회전 속도 설정 화면(S6)은, 트랙터(1)와 프론트 로더(80)의 연동 설정 중에, 엔진 회전 속도의 상승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엔진 회전 속도 설정 화면(S6)에서는 각각 상하로 나란히 박스(B1·B2)가 표시된다. 박스(B1)에서 표시 중인 'ON'과 'ON' 대신에 비표시인 'OFF'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각각 선택 가능하다.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ON 및 OFF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엔터 버튼(23)을 누르는 것에 의해 ON 및 OFF의 절환이 가능하다.
ON은 설정이 유효해, 조이스틱(8)의 엔진 회전 속도 업 버튼(70)(도 6 참조)의 조작에 의해 엔진 회전 속도가 자동으로 상승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OFF는 설정이 비유효해, 엔진 회전 속도 업 버튼(70)의 조작에 의해서도 엔진 회전 속도가 자동으로 상승 불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설정이 유효로 절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램프(L1)가 녹색으로 하이라이트 된다.
설정이 유효하다는 것이 선택 및 결정되면, 박스(B2)의 배경색이 변경되어, 박스(B2)의 표시를 참고로 한 설정이 가능해진다. 박스(B2)에는 바 그래프인 그래프(G5)와 설정되는 상승폭의 값이 표시된다. 그래프(G5)의 좌단은 상승폭의 하한치(즉, 제로(0))이고, 그래프(G5)의 우단은 상승폭의 상한치이다. 그래프(G5)는 흑색으로 표시된다. 그래프(G5)는 엔진 회전 속도의 상승폭을 나타낸다. 또한, 그래프(G5)에는 인디케이터(Id1)가 백색으로 표시된다. 인디케이터(Id1)는, 엔진 회전 속도의 상승폭을 설정할 때, 그 값에 따라 신축된다. 그리고, 원하는 값이 결정되면, 상승폭의 값이 설정된다.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인디케이터(Id1)를 신장 또는 단축시키고, 엔터 버튼(23)을 누르는 것에 의해 상승폭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래프(G5)의 우측에는 상승폭의 값(단위는 r/min)이 기록된다. 본 도면에서는, 현재의 설정치인 '300 r/min'가 기록되어 있다. 한편, 엔진 회전 속도의 상승폭의 설정이 비유효인 상태에서도, 상승폭의 값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엔진 회전 속도 설정 화면(S6)에서, '이전 페이지'라고 기재된 버튼(Bc1) 혹은 '복귀'라고 기재된 아이콘을 선택해 결정했을 때에는, 로더 화면(S5)으로 돌아온다. 한편, '다음 페이지'라고 기재된 버튼(Bc2)을 선택해 결정했을 때에는, 주행 속도 설정 화면(S7)(도 21 참조)으로 절환된다.
주행 속도 설정 화면(S7)은, 트랙터(1)와 프론트 로더(80)의 연동 설정 중에, 트랙터(1)의 주행 속도의 상승폭과 저하폭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주행 속도 설정 화면(S7)에서는, 각각 위에서 아래를 향해 나란히 박스(B4·B5·B6)가 표시된다. 박스(B4)에서 표시 중인 'ON'과 'ON' 대신에 비표시인 'OFF'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각각 선택 가능하다.
ON은 설정이 유효해, 조이스틱(8)의 최고 주행 속도 업 버튼(71)(도 6 참조)의 조작에 의해 주행 속도가 자동으로 상승 가능하고, 또한 최고 주행 속도 다운 버튼(72)(도 6 참조)의 조작에 의해 주행 속도가 자동으로 저하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OFF는 설정이 비유효해, 최고 주행 속도 업 버튼(71) 또는 최고 주행 속도 다운 버튼(72)의 조작에 의해서도 주행 속도가 자동으로 변화 불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설정이 유효하다는 것이 선택 및 결정되면, 먼저 박스(B5)의 배경색이 변경되어 박스(B5)의 표시를 참고로 한 설정이 가능해진다. 박스(B5)에는 바 그래프인 그래프(G6)와, 설정되는 상승폭의 값이 표시된다. 그래프(G6)의 좌단은 상승폭의 하한치(즉, 제로(0))이고, 그래프(G6)의 우단은 상승폭의 상한치이다. 그래프(G6)는 흑색으로 표시된다. 그래프(G6)는 주행 속도의 상승폭을 나타낸다. 또한, 그래프(G6)에는 인디케이터(Id2)가 백색으로 표시된다. 인디케이터(Id2)는, 주행 속도의 상승폭을 설정할 때, 그 값에 따라 신축된다. 그리고, 원하는 값이 결정되면, 상승폭의 값이 설정된다.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인디케이터(Id2)를 신장 또는 단축시키고, 엔터 버튼(23)을 누르는 것에 의해 상승폭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승폭의 값이 설정되면, 다음으로 박스(B6)의 배경색이 변경되어 박스(B6)의 표시를 참고로 한 설정이 가능해진다. 박스(B6)에는 바 그래프인 그래프(G7)와, 설정되는 저하폭의 값이 표시된다. 그래프(G6)의 우단은 저하폭의 상한치(즉, 제로(0))이고, 그래프(G7)의 좌단은 저하폭의 하한치이다. 그래프(G7)는 흑색으로 표시된다. 그래프(G7)는 주행 속도의 저하폭을 나타낸다. 또한, 그래프(G7)에는 인디케이터(Id3)가 백색으로 표시된다. 인디케이터(Id3)는, 주행 속도의 저하폭을 설정할 때, 그 값에 따라 신축된다. 그리고, 원하는 값이 결정되면, 저하폭의 값이 설정된다.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인디케이터(Id3)를 신장 또는 단축시키고, 엔터 버튼(23)을 누르는 것에 의해 저하폭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래프(G6·G7)의 우측에는, 각각, 상승폭의 값과 저하폭의 값(각 단위는 ㎞/h)이 기록된다. 본 도면에서는, 현재의 설정치인 '+2.0 ㎞/h'·'-3.0 ㎞/h'가 기록되어 있다. 한편, 주행 속도 변화의 설정이 비유효한 상태에서도, 상승폭의 값 및 저하폭의 값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주행 속도 설정 화면(S7)에서, '이전 페이지'라고 기재된 버튼(Bd1) 혹은 '복귀'라고 기재된 아이콘을 선택해 결정했을 때에는, 엔진 회전 속도 설정 화면(S6)(도 20 참조)으로 돌아온다. '다음 페이지'라고 기재된 버튼(Bd2)을 선택해 결정했을 때에는, 로더 화면(S5)(도 16 참조)으로 돌아온다.
다음으로, 트랙터(1)와 프론트 로더(80)의 연동 설정 중, 프론트 로더(80)의 오토 스탠바이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오토 스탠바이란, 설정한 버킷(83)의 각도 및 아암(82)의 높이 위치로 각각 자동으로 세팅되는 것을 말한다. 설정 위치까지 아암(82) 및 버킷(83)이 자동으로 움직인 후에 정지하므로, 오퍼레이터의 조이스틱(8)의 조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로더 화면(S5)(도 16 참조)에서 아이콘(Ic3)을 선택해 결정하면, 디스플레이(2)에는 오토 스탠바이 설정 화면(S8)이 표시된다(도 22 참조). 오토 스탠바이 설정 화면(S8)은 오토 스탠바이 기능의 유효 또는 비유효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또한, 오토 스탠바이 설정 화면(S8)에서는, 오토 스탠바이시의 버킷(83)의 각도 및 아암(82)의 높이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오토 스탠바이 설정 화면(S8)에서는 박스(B7)가 표시된다. 박스(B7)에서 표시 중인 'ON'과 'ON' 대신에 비표시인 'OFF'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각각 선택 가능하다.
ON은 설정이 유효해, 조이스틱(8)의 오토 스탠바이 스위치(74)(도 6 참조)의 조작에 의해 프론트 로더(80)가 설정 위치까지 자동으로 저장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OFF는 설정이 비유효해, 오토 스탠바이 스위치(74)의 조작에 의해서도 프론트 로더(80)가 설정 위치까지 자동으로 저장 불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설정이 유효로 절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램프(L3)가 녹색으로 하이라이트 된다.
한편, 프론트 로더(80)가 장착되는 트랙터(1)는 플로팅의 기능을 갖고 있다. 작업장의 요철에 자동으로 추종(플로팅)하는 기능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버킷(83)의 각도 및 아암(82)의 높이 위치 조정을 위해 번잡하게 조이스틱(8)을 조작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플로팅의 설정이 유효로 절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에서 소정의 램프가 예를 들면 녹색으로 하이라이트 된다.
또한, 오토 스탠바이 설정 화면(S8)에서는, 눈금자(Sh2), 눈금자(Sa2) 및 그래프(G21·G22·G23·G24)가 표시된다.
눈금자(Sh2)와 그래프(G21·G22)는 버킷(83)의 높이 정보를 나타낸다. 눈금자(Sh2)와 그래프(G21·G22)는 오토 스탠바이 설정 화면(S8)에서 상하 방향으로 표시된다. 눈금자(Sh2)는 그래프(G21)와 그래프(G22) 사이에 끼워져 있다.
눈금자(Sa2)와 그래프(G23·G24)는 버킷(83)의 각도 정보를 나타낸다. 눈금자(Sa2)와 그래프(G23·G24)는 오토 스탠바이 설정 화면(S8)에서 좌우 방향으로 표시된다. 눈금자(Sa2)는 그래프(G23)와 그래프(G24) 사이에 끼워져 있다.
그래프(G21·G22·G23·G24)는 이른바 바 그래프이다. 그래프(G21)와 그래프(G23)는 백색으로 표시된다. 그래프(G22)와 그래프(G24)는 흑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각 그래프(G21·G22·G23·G24)에는 인디케이터(I21·I22·I23·I24)가 표시되어 있다. 인디케이터(I21·I22·I23·I24)는 각각 그래프(G21·G22·G23·G24)를 따라 이동한다. 한편, 인디케이터(I21)와 인디케이터(I23)는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인디케이터(I22)와 인디케이터(I24)는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그래프(G21)는 저장되는 아암(82)의 높이 위치를 나타내며, 설정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인디케이터(I21)는 저장되는 아암(82)의 높이 위치를 설정할 때, 그 설정 위치에 따라 그래프(G21)를 따라 이동한다.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인디케이터(I21)를 이동시키고, 엔터 버튼(23)을 누르는 것에 의해 설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래프(G22)에 표시되는 인디케이터(I22)는 저장되는 아암(82)의 현재 설정 위치를 나타낸다. 아암(82)의 설정 위치가 결정되면, 그래프(G22)에서의 인디케이터(I22)가 결정된 그래프(G21)의 인디케이터(I21)에 일치하는 위치로 치환된다(도면에 나타내는 파선의 인디케이터(I22) 참조).
한편, 그래프(G23)는 저장되는 버킷(83)의 각도를 나타내며, 설정 각도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인디케이터(I23)는 저장되는 버킷(83)의 각도를 설정할 때, 그 설정 각도에 따라 그래프(G23)를 따라 이동한다.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인디케이터(I23)를 이동시키고, 엔터 버튼(23)을 누르는 것에 의해 설정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래프(G24)에 표시되는 인디케이터(I24)는 저장되는 버킷(83)의 현재 설정 각도를 나타낸다. 버킷(83)의 설정 각도가 결정되면, 그래프(G24)에서의 인디케이터(I24)가 결정된 그래프(G23)의 인디케이터(I23)에 일치하는 위치로 치환된다(도면에 나타내는 파선의 인디케이터(I24) 참조).
한편, 오토 스탠바이 설정 화면(S8)에서, '복귀'라고 기재된 아이콘을 선택해 결정했을 때에는, 로더 화면(S5)(도 16 참조)으로 돌아온다.
한편, 로더 화면(S5)(도 16 참조)에서, 아이콘(Ic4)을 선택해 결정하면, 디스플레이(2)에는 작업기 연동 화면(S9)이 표시된다(도 23 참조). 작업기 연동 화면(S9)에서는 작업기명과 ON 또는 OFF가 기록된 3개의 아이콘(Ie1·Ie2·Ie3)이 표시된다.
아이콘(Ie1·Ie2·Ie3)은 연동 가능한 작업기의 일람이 되어 있다. 아이콘(Ie1) 및 아이콘(Ie2)은 장착된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나타내며,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고 있다. 또한, 아이콘(Ie1)에서의 초록 램프(LG)가 점등하고 있다. 한편, 아이콘(Ie3)은 장착되어 있지 않으나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나타내며, 선택 불가능하게 표시되고 있다. 아이콘(Ie3)은 선택 불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회색으로 표시되고 있다. 그리고, 선택 불가능한 아이콘(Ie3)은 인코더 다이얼(22)의 회전으로 선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기 연동 화면(S9)에서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아이콘(Ie1) 또는 아이콘(Ie2)을 선택하고, 엔터 버튼(23)을 누르는 것에 의해 ON 및 OFF를 절환시킬 수 있다. ON은 연동 중인 것을 나타내고, OFF는 비연동 중인 것을 나타낸다.
도 23에서는 아이콘(Ie3)이 선택 불가능하므로, 아이콘(Ie1) 또는 아이콘(Ie2)이 결정 조작되었을 경우, 연동 중의 작업기가 있으면, 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Ie1) 또는 아이콘(Ie2)이 ON에서 OFF로 바뀜으로써 비연동 중인 것을 나타내고, 결정 조작된 작업기에 대응하는 아이콘(Ie1) 또는 아이콘(Ie2)이 OFF에서 ON으로 바뀜으로써 연동 중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동시에 하나의 작업기만이 연동하게 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로더(80)가 본기인 트랙터(1)에 연동될 수 있도록, 아이콘(Ie1)에서 그 설정이 유효로 절환된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램프(L4)가 녹색으로 하이라이트 된다. 또한, 본기인 트랙터(1)에 어느 하나의 작업기의 연동 가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70)(도 9 참조)에도 작업기의 연동 가능을 나타내는 램프가 점등된다. 한편, 이 램프의 표시에는 아이콘(Ic4)(도 16 참조)에 포함되는 도안과 같은 것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엔진 회전 속도의 상승폭, 주행 속도의 상승폭 및 저하폭, 오토 스탠바이, 플로팅, 그리고 작업기 연동으로서 프론트 로더(80)를 트랙터(1)에 연동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로더용 조작 패널(50)을 이용해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더용 조작 패널(50)은 CAN에 의해 트랙터(1)의 각 구성에 접속되어 있다. 로더용 조작 패널(50)은 운전 좌석(161)의 주위에 장착할 수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의 근방에 위치하는 로더용 조작 패널(50)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는 디스플레이(2)의 표시를 확인하면서 각 설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로더용 조작 패널(50)은 연동 버튼(75)을 갖고 있다. 연동 버튼(75)의 조작에 의해, 프론트 로더(80)와 트랙터(1)를 연동시키는 기능의 유효 및 비유효를 일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에 의해 연동 버튼(75)이 조작되면,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트랙터(1)와 프론트 로더(80)를 연동시키는 복수의 기능을 일괄적으로 유효로 하고, 트랙터(1)와 다른 작업기를 연동시키는 복수의 기능을 일괄적으로 비유효로 한다. 또한, 연동 버튼(75)이 다시 조작되면,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트랙터(1)와 프론트 로더(80)를 연동시키는 복수의 기능을 일괄적으로 비유효로 한다.
이와 같이, 연동 버튼(75)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프론트 로더(80)와 트랙터(1)가 연동하는 복수의 기능의 유효 및 비유효를 일괄적으로 절환할 수 있다. 한편, 연동 버튼(75)의 왼쪽 옆에는 램프(L5)가 배치되어 있다. 램프(L5)는 트랙터(1)와의 연동이 비유효한 경우에 소등하고, 트랙터(1)와의 연동이 유효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점등한다. 오퍼레이터는 램프(L5)의 점등 상태에 따라, 프론트 로더(80)와 트랙터(1)의 연동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로더용 조작 패널(50)은 기능별 설정 버튼(76·77·78·79)을 갖고 있다. 설정 버튼(76)은 엔진 회전 속도의 자동 상승의 유효 및 비유효 중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설정 버튼(77)은 플로팅 기능의 유효 및 비유효 중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설정 버튼(78)은 오토 스탠바이 기능의 유효 및 비유효 중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설정 버튼(79)은 그 외의 기능의 유효 및 비유효 중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그 외의 기능에는, 프론트 로더(80)의 높이 설정 정보 및 각도 설정 정보의 설정이 포함된다.
각 설정 버튼(76·77·78·79)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면, 통신 제어 유니트(73)는 트랙터(1)와 프론트 로더(80)가 연동하는 기능 중 각 설정 버튼(76·77·78·79)에 대응하는 기능에 대해서만 유효 및 비유효 중 하나를 절환한다.
한편, 각 설정 버튼(76·77·78·79)의 왼쪽 옆에는 램프(L6·L7·L8·L9)가 배치되어 있다. 각 램프(L6·L7·L8·L9)는 각 설정 버튼(76·77·78·79)에 대응하는 기능이 비유효한 경우에 소등하고, 유효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점등한다. 램프(L9)는 프론트 로더(80)의 높이 설정 정보 및 각도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이 비유효한 경우에 소등하고, 이 기능이 유효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점등한다. 또한, 프론트 로더(80)의 높이 설정 정보 및 각도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이 유효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의 램프(L2)(도 16 참조)도 소등에서 점등으로 절환된다. 마찬가지로 각 설정 버튼(76·78)에 대응하는 기능이 비유효한 경우에는 각 램프(L1·L3)가 소등하고, 유효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점등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작업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1: 트랙터(작업 차량)
2: 디스플레이
3: 제어 장치(제어부)
80: 프론트 로더(작업기)
83: 버킷
G1, G2: 그래프(높이 정보)
G3, G4: 그래프(각도 정보)
I1: 인디케이터(동기하는 높이 정보)
I2: 인디케이터(높이 설정 정보)
I3: 인디케이터(동기하는 각도 정보)
I4: 인디케이터(각도 설정 정보)
S5: 로더 화면
S6: 엔진 회전 속도 설정 화면
S7: 주행 속도 설정 화면
S8: 오토 스탠바이 설정 화면
S9: 작업기 연동 화면

Claims (5)

  1. 버킷을 구비한 작업기가 장착되고,
    상기 버킷을 승강 및 회동 가능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운전 좌석의 근방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버킷의 높이 정보 및 각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버킷이 승강하는 동작에 동기하는 높이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버킷이 회동하는 동작에 동기하는 각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버킷이 승강하는 동작의 지표가 되는 높이 설정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상기 버킷이 회동하는 동작의 지표가 되는 각도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높이 설정 정보와 상기 각도 설정 정보의 설정에 대해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장착된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또한, 연동 중의 작업기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작업기와 상기 작업 차량이 연동하는 설정에 대해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고,
    원하는 작업기와 상기 작업 차량이 연동하는 설정에 대해 상기 조작부가 조작된 경우에, 연동 중의 작업기를 비연동으로 하고, 연동하는 설정이 결정된 작업기를 연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177013055A 2014-10-27 2015-10-21 작업 차량 KR102010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8763 2014-10-27
JP2014218763 2014-10-27
JP2015106874A JP6883813B2 (ja) 2014-10-27 2015-05-26 トラクタ
JPJP-P-2015-106874 2015-05-26
PCT/JP2015/079643 WO2016067986A1 (ja) 2014-10-27 2015-10-21 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569A true KR20170068569A (ko) 2017-06-19
KR102010162B1 KR102010162B1 (ko) 2019-08-12

Family

ID=5597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055A KR102010162B1 (ko) 2014-10-27 2015-10-21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590630B2 (ko)
EP (2) EP3882065A1 (ko)
JP (4) JP6883813B2 (ko)
KR (1) KR102010162B1 (ko)
CN (2) CN1113792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04695B1 (en) * 2017-03-31 2021-07-28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with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in shovel
US20180346301A1 (en) * 2017-06-05 2018-12-06 Deere &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or calibrated implement position display
WO2019070664A1 (en) * 2017-10-02 2019-04-11 Walbro Llc MULTIFUNCTION ENGINE CONTROL AND INPUT SYSTEM
EP3581719B1 (en) * 2018-06-12 2024-07-17 Kubota Corporation Working machine
EP3581720A3 (en) * 2018-06-12 2020-01-01 Kubota Corporation Working machine and display device for the same
JP7278718B2 (ja) * 2018-06-12 2023-05-2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及び作業機の表示装置
JP7034844B2 (ja) * 2018-06-12 2022-03-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及び作業機の表示装置
JP7106360B2 (ja) * 2018-06-12 2022-07-2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WO2020040156A1 (ja) * 2018-08-23 2020-02-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操作具及び作業機操作システム
JP7048449B2 (ja) * 2018-08-23 2022-04-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操作システム
JP7048450B2 (ja) * 2018-08-23 2022-04-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操作システム
EP3904140A4 (en) 2018-12-28 2022-09-07 Kubota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WORKING MACHINE, PROGRAM AND RECORDING MEDIA
JP7092714B2 (ja) * 2019-08-01 2022-06-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制御装置及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US11932231B2 (en) 2021-02-22 2024-03-19 Cnh Industrial America Llc System and method for purging agricultural sprayer nozzles based on air pressure
JP2023005733A (ja) * 2021-06-29 2023-01-1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N113733909B (zh) * 2021-08-27 2023-06-23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车辆和车辆的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925A (ja) * 1996-06-05 1998-04-24 Topukon:Kk 掘削機の制御方法
KR20020065623A (ko) * 2000-11-17 2002-08-13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및 표시제어장치
JP2006077473A (ja) 2004-09-09 2006-03-23 Kubota Corp フロントローダの取付体及び作業車
KR20090131085A (ko) * 2008-06-17 2009-12-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
JP2012188862A (ja) * 2011-03-10 2012-10-04 Yanmar Co Ltd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9223B2 (ja) 1998-03-03 2006-06-2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フロントローダの高さ検出構成
JP3973803B2 (ja) * 1999-09-17 2007-09-12 日立建機株式会社 自動運転システム
CN1133782C (zh) 1999-10-01 2004-01-07 日立建机株式会社 挖掘机械的目标挖掘面设定装置
JP3949330B2 (ja) * 1999-12-02 2007-07-25 日立建機株式会社 掘削機械の作業状態監視システム、作業状態表示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2275949A (ja) 2001-03-14 2002-09-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情報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
JP3537094B2 (ja) 2001-10-09 2004-06-14 株式会社フクザワコーポレーション 掘削装置、この駆動方法、及び傾斜角計測装置
JP4025140B2 (ja) * 2002-08-07 2007-12-19 日立建機株式会社 掘削機械の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932885B2 (ja) 2009-09-30 2012-05-1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情報管理システム
US8340873B2 (en) * 2010-01-20 2012-12-25 Caterpillar Trimble Control Technologies, Llc Machine control and guidance system incorporating a portable digital media device
JP5562285B2 (ja) * 2011-04-15 2014-07-30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表示装置
US20140293051A1 (en) * 2011-05-13 2014-10-02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Device for displaying rearward field of view of hydraulic shovel
JP5941663B2 (ja) 2011-11-30 2016-06-29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モニタシステム
JP5707313B2 (ja) * 2011-12-19 2015-04-30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
US8965642B2 (en) * 2012-10-05 2015-02-24 Komatsu Ltd. Display system of excavating machine and excavating machine
JP6147037B2 (ja) * 2013-03-14 2017-06-14 株式会社トプコン 建設機械制御システム
JP2020037767A (ja) * 2018-08-31 2020-03-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バケット高さ通知装置およびバケット高さ通知方法
KR20220121612A (ko) * 2021-02-25 2022-09-01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머신 가이던스 프로그램 및 이를 이용하는 굴삭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925A (ja) * 1996-06-05 1998-04-24 Topukon:Kk 掘削機の制御方法
KR20020065623A (ko) * 2000-11-17 2002-08-13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및 표시제어장치
JP2006077473A (ja) 2004-09-09 2006-03-23 Kubota Corp フロントローダの取付体及び作業車
KR20090131085A (ko) * 2008-06-17 2009-12-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
JP2012188862A (ja) * 2011-03-10 2012-10-04 Yanmar Co Ltd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90630B2 (en) 2020-03-17
US20200173147A1 (en) 2020-06-04
JP6991645B2 (ja) 2022-01-12
CN111379289A (zh) 2020-07-07
EP3882065A1 (en) 2021-09-22
EP3214229B1 (en) 2020-12-02
JP2022019987A (ja) 2022-01-27
EP3214229A1 (en) 2017-09-06
CN107148505B (zh) 2020-04-24
CN107148505A (zh) 2017-09-08
JP6883813B2 (ja) 2021-06-09
EP3214229A4 (en) 2017-11-22
JP2020169553A (ja) 2020-10-15
KR102010162B1 (ko) 2019-08-12
JP2023108041A (ja) 2023-08-03
US20180282976A1 (en) 2018-10-04
JP2016084694A (ja) 2016-05-19
US11572677B2 (en)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1645B2 (ja) トラクタ
KR102128236B1 (ko) 작업 차량
JP6247173B2 (ja) 対地作業装置のための昇降制御装置
KR102397803B1 (ko) 작업 차량
WO2016067986A1 (ja) 作業車両
JP6243317B2 (ja) トラクタ
JP2010019401A (ja) 作業車両の変速装置
JP5138526B2 (ja) 作業車両
JP6393924B2 (ja) 作業車両
JP2010076614A (ja) 作業車両
JP6276162B2 (ja) 作業車両
JP2005306107A (ja) Pto制御装置
KR102394965B1 (ko) 작업 차량
JP2011109924A (ja) 対地作業部付き作業車両
JP6417611B2 (ja) トラクタ
JP4129640B2 (ja) 作業車両の制御設定装置
JP6184359B2 (ja) トラクタ
JP2018023402A (ja) 対地作業装置のための昇降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