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085A -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085A
KR20090131085A KR1020080056870A KR20080056870A KR20090131085A KR 20090131085 A KR20090131085 A KR 20090131085A KR 1020080056870 A KR1020080056870 A KR 1020080056870A KR 20080056870 A KR20080056870 A KR 20080056870A KR 20090131085 A KR20090131085 A KR 20090131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work
wheel loader
equipment controller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진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6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1085A/ko
Publication of KR2009013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29Controlling the position of implements in function of its load, e.g. modifying the attitude of implements in accordance to vehicle sp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33Limiting the movement of frames or implements, e.g. to avoid collision between implements and the cab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0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로더의 붐 및 버켓으로 구성된 작업장치를 설정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정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휠로더 작업장치 위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휠로더에 조립된 작업레버 위치에 부응하여 붐의 각도를 검출하는 붐 각도센서와; 휠로더에 조립된 작업레버 위치에 부응하여 버켓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벨링크에 대한 각도를 검출하는 벨링크 각도센서와; 작업레버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붐의 위치, 붐 실린더의 길이, 버켓 실린더의 길이를 산출하고 버켓과 지면과의 각도를 계산한 후 이렇게 계산된 정보를 모니터로 전송함은 물론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상차 위치 및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 신호를 검출하는 장비제어기와;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상차 위치 변경을 위하여 상기 장비제어기로 상차 위치 변경 선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상차 위치 선택 스위치와;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굴삭 위치 변경을 위하여 상기 장비제어기로 굴삭 위치 변경 선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와; 상기 장비제어기에서 계산된 정보들을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운전실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니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휠로더의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 작업조건에 따라 상차 및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를 적절히 조작하여 작업레버의 상차 및 굴삭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작업조건 변경에 따른 상차 작업 위치 변경이 용이하고, 변경된 위치에 따라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장비 조작의 멈춤 시간 단축을 통한 작업효율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붐 각도 변화량을 계속 측정하여 작업장치의 이동 방향을 감지함은 물론 굴삭 위치 계산을 통해 작업레버를 제어할 수 있어 붐 하강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작업레버의 조작과 동시에 주행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 단축을 통한 작업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Figure P1020080056870
휠로더, 작업장치, 작업레버, 상차, 하차, 붐, 버켓

Description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ATTACHMENT POSITION CONTROL SYSTEM FOR WHEEL LOADER}
본 발명은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로더 사용자가 작업의 종류 및 적재함의 높이에 따라 붐 상승시 정지 위치와 작업물질 덤프 이후 작업물질을 채굴하기 위한 버켓 복귀위치 및 붐 하강 정지 위치 등을 운전자가 운전석에 구비된 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작업 조건에 따른 붐, 버켓의 정지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고 위치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작업 편이성 및 작업 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장비 중 적재기계는 바퀴의 형태에 따라 무한궤도식과 타이어식, 반무한궤도식 및 궤조식으로 구분된다.
상기에 있어서 무한궤도식은 일반적으로 트랙터셔블, 도저셔블, 크롤러 로더 등으로 불리고 있으며, 불도저를 모체(母體)로 하여 도저 대신에 버킷(bucket)을 장치한 적재기계이다.
또, 타이어식은 일반적으로 셔블로더, 트랙터셔블, 휠로더, 페이로더 등으로 불리고 있으며, 앞 부분에 버킷을 장치한 기계이다.
또한, 반무한궤도식의 경우는 앞바퀴는 무한궤도식이고, 뒷바퀴는 타이어식으로 하여 견인력을 보강한 적재기계이며, 궤조식(軌條式)은 광산 또는 탄광의 갱내에서 광석이나 석탄을 적재하는 데 사용하는 기계로서 궤도 위를 달리면서 작업을 한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된 적재기계 중 타이어식에 속하는 휠로더는 장비 앞쪽에 설치된 붐과 링키지에 버켓이 장착되어 버켓에 흙, 모래, 자갈, 암석, 광석 등 작업물질을 담아 상차, 수송, 적재, 하역 할 수 있는 장비로 덤프트럭에 적재하는 상차 작업이 주임무이다.
이러한 작업은 붐의 위치를 지면에 닿도록 한 다음 장비 버켓에 작업물질을 담는 굴삭 작업과, 적재된 작업물질을 이동함과 동시에 붐을 상승시켜 버켓이 적재함 높이까지 오도록 조작하는 상차 작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휠로더 주행과 작업레버 상승의 두 가지 조작을 동시에 이루기 위해서는 붐이 기 설정된 위치까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시스템 구성이 요구되어진다.
종래의 휠로더에는 도 1과 같이 운전자가 붐(7) 및 버켓(6)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업레버(1)와; 붐(7)의 위치를 전기적신호로 검출하는 붐 위치센서(2)와; 버켓(6)의 위치를 전기적신호로 검출하는 버켓 위치센서(3)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작업레버(1)의 위치 변화에 부응하여 도시 생략된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 응하여 붐(7)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붐 실린더(4)와; 사용자가 조작하는 작업레버(1)의 위치 변화에 부응하여 도시 생략된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부응하여 버킷(7)의 각도를 제어하는 버켓 실린더(5)와; 버켓(6)을 직접적으로 승,하강시켜 주는 붐(7)과; 붐(7)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흙, 모래, 자갈, 암석, 광석 등과 같은 작업물질을 담아 상차 및 하차시켜 주는 버켓(6)과; 경보음 발생용 부져(8)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휠로더에 있어서 붐 위치 정지 시스템은 운전자가 붐 상승 위치로 작업레버(1)를 조작하면, 작업레버(1)는 그 내부에 장착된 전자석(도시 생략됨)의 동작으로 붐 상승 위치에 고정된다.
이때, 붐(7)이 상승하여 휠로더 프레임에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설치된 스위치형 붐 위치센서(2)에 근접하면 붐 위치센서(2)에서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되어 운전석 작업레버(1)의 내부에 있는 전자석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작업레버(1)는 중립 위치로 복귀되고 붐의 상승이 자동으로 멈춰지게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휠로더 붐 위치 정지 시스템은 붐 위치센서와 휠로더 프레임에 장착된 플레이트 위치만으로 붐 정지 위치가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운전자가 붐의 위치 변경을 하고자 하는 경우 플레이트 위치를 수정 조립하여야 하는바, 작업 조건에 따른 위치 변경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위치 변경 폭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공지된 휠로더 붐 위치 정지 시스템에 장비 제어기와 붐 각도센서, 벨링크 각도센서, 모니터, 상차 위치 선택 스위치 및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를 부가 설치하고 휠로더를 조작하여 상차 및 굴삭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작업조건에 따라 상차 및 굴삭 위치 스위치 또는 모니터를 조작하여 작업레버의 상차 및 굴삭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조건 변경에 따른 상차 작업 위치 변경이 용이하고, 변경된 위치에 따라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장비 조작의 멈춤 시간 단축을 통한 작업효율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붐 각도 변화량을 측정하여 작업장치의 이동 방향 감지 및 굴삭 위치 계산을 통해 작업레버를 제어할 수 있어 붐 하강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작업레버의 조작과 동시에 주행이 가능하여 작업시간 단축을 통한 작업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스템은, 휠로더의 작업장치를 설정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정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휠로더 작업장치 위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휠로더에 조립된 작업레버 위치에 부응하여 붐의 각도를 검출하는 붐 각도센서와; 휠로더에 조립된 작업레버 위치에 부응하여 버켓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벨링크에 대한 각도를 검출하는 벨링크 각도센서와; 작업장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붐의 위치, 붐 실린더의 길이, 버켓 실린더의 길이를 산출하고 버켓과 지면과의 각도를 계산한 후 이렇게 계산된 정보를 모니터로 전송함은 물론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상차 위치 및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 신호를 검출하는 장비제어기와;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상차 위치 변경을 위하여 상기 장비제어기로 상차 위치 변경 선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상차 위치 선택 스위치와;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굴삭 위치 변경을 위하여 상기 장비제어기로 굴삭 위치 변경 선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와; 상기 장비제어기에서 계산된 정보들을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운전실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니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휠로더의 운전석에 앉아 작업조건에 따라 상차 및 굴삭 위치 스위치를 조작하여 작업장치의 상차 및 굴삭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조건 변경에 따른 상차 작업 위치 변경이 용이하고, 변경된 위치에 따라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장비 조작의 멈춤 시간 단축을 통한 작업효율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붐 각도 변화량을 계속 측정하여 작업장치의 이동 방향 감지 및 굴삭 위치 계산을 통해 작업레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붐 하강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작 업레버의 조작과 동시에 주행이 가능하여 작업시간 단축을 통한 작업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 작업레버 위치제어 및 작업조건에 따른 작업장치 정지 위치 변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차 작업을 위한 리프트 기능 수행을 위한 붐 위치 계산 및 붐 레버 제어를 위한 시스템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 작업을 위한 붐 다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붐 조작방향, 위치 계산 및 붐 레버 제어를 위한 시스템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 작업을 위한 버켓 위치 복귀를 위하여 버켓 레버 제어를 위한 시스템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시스템은, 휠로더의 작업장치를 설정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정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휠로더 작업장치 위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휠로더에 조립된 작업레버(1) 위치에 부응하여 붐(7)의 각도를 검출하는 붐 각도센서(12)와;
휠로더에 조립된 작업레버(1) 위치에 부응하여 버켓 실린더(5)에 의해 작동되는 벨링크에 대한 각도를 검출하는 벨링크 각도센서(13)와;
작업레버(1)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붐(7)의 위치, 붐 실린더(4)의 길이, 버켓 실린더(5)의 길이를 산출하고 버켓(6)과 지면과의 각도를 계산한 후 이렇게 계산된 정보를 모니터(14)로 전송함은 물론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상차 위치 및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15)(16) 신호를 검출하는 장비제어기(11)와;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상차 위치 변경을 위하여 상기 장비제어기(11)로 상차 위치 변경 선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상차 위치 선택 스위치(15)와;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굴삭 위치 변경을 위하여 상기 장비제어기(11)로 굴삭 위치 변경 선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16)와;
상기 장비제어기(11)에서 계산된 정보들을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운전실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니터(1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휠로더의 작업장치를 설정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정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휠로더 작업레버 위치 제어 시스템을 작업레버(1)와 붐 각도센서(12), 벨링크 각도센서(13), 붐(7), 붐 실린더(4), 버켓(6) 버켓 실린더(5), 부져(8), 장비제어기(11), 상차 위치 선택 스위치(15),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16) 및 모니터(14)로 구성한 것을 주요기술 요지로 한다.
이때, 상기 작업레버(1)는 운전자가 붐(7) 및 버켓(6)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붐 및 버켓 작업레버로 설치된 것이고, 상기 붐 각도센서(12)는 휠로더에 조립된 상기 작업레버(1) 위치에 부응하여 붐(7)의 각도를 검출하여 장비제어기(11)로 전달하고, 상기 벨링크 각도센서(13)는 휠로더에 조립된 작업레버(1) 위치에 부응하여 버켓 실린더(5)에 의해 작동되는 벨링크에 대한 각도를 검출하여 장비제어 기(11)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장비제어기(11)는 작업레버 상태 검출부(1a)를 통해 작업레버(1)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붐(7)의 위치, 붐 실린더(4)의 길이, 버켓 실린더(5)의 길이를 산출하고 버켓(6)과 지면과의 각도를 계산한 후 이렇게 계산된 정보를 모니터(14)로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줌은 물론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조작하는 상차 위치 및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15)(16)의 출력신호를 계속 검출하여 그에 따른 필요 조치를 수행하는 등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차 위치 선택 스위치(15)는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상차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된 상차 위치 변경 선택 신호는 상기 장비제어기(11)로 입력되어지고, 상기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16)는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굴삭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굴삭 위치 변경 선택신호는 상기 상차 위치 선택 스위치(15)와 마찬가지로 장비제어기(11)로 입력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14)는 운전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비제어기(11)에서 계산된 정보들이 표시되므로 운전자는 상기 모니터(14)에 표시되는 작업레버(1) 상태 정보, 붐(7)의 위치, 붐 실린더(4)의 길이, 버켓 실린더(5)의 길이 및 버켓(6)과 지면과의 각도 등을 육안을 통해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도 4 내지 도 5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작업레버(1)를 조작하여 붐(7)에 대한 상차 작업을 수행하면 붐 레버로 작동하는 상기 작업레버(1)는 장비제어기(1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는 전자석 구동부(1b)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붐(7)의 상승이 지속되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자체 내에 내장된 전자석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붐 각도센서(12)에서 검출되는 붐 각도 측정값은 상차 작업 작동 중인 붐의 각도 변화에 부응하여 변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변동되는 붐 각도 측정값을 입력받은 장비제어기(11)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붐 위치 정보와 붐 진행 방향 정보를 입력받아 연산함은 물론 붐 상승 동작 여부와 현재의 붐 각도 정보가 기 저장된 붐 상차 정지 위치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조건을 만족(즉, 붐 링크의 상승 동작 중 붐 링크 각도가 정지 위치 각도보다 크거나 같으면)하게 되면 장비제어기(11)는 붐 레버로 작동중인 작동레버(1)의 고정을 해제하여 작업장치의 조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한다.
또한, 운전자가 작업레버(1)를 버켓 레버로써 조작하여 작업물질을 덤프차 적재함에 적재하도록 조작한 다음, 굴삭 위치로 버켓(6)을 복귀하기 위하여 버켓 레버 즉, 작업레버(1)를 조작하면 상기 조작레버(1)는 장비제어기(1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는 전자석 구동부(1b)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버켓(6)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자체 내의 전자석을 통해 버켓 레버로 작동중인 작업레버(1)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벨링크 각도센서(13)에서 검출되는 벨링크에 대한 측정값이 변동되며, 이렇게 변동되는 벨링크에 대한 측정값은 상기 장비제어기(11)로 입력되어져 도 6에서와 같이 버켓 실린더(5) 길이로 연산된 후 현재의 버켓 실린더 위치 정보가 기 저장된 버켓 복귀를 위한 버켓 실린더 정지 위치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비교되어 조건을 만족(즉, 버켓 실린더 변위가 정지 위치보다 크거나 같은 상태)하게 되면 장비제어기(11)는 버켓 레버로 작동중인 작업레버(1)의 고정을 해제하여 작업장치의 조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한다.
또, 운전자가 굴삭 작업을 위해 작업레버(1)를 붐 레버로 조작하여 붐 하강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붐 레버로 작동하는 상기 작업레버(1)는 장비제어기(1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는 전자석 구동부(1b)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붐(7)의 하강이 지속되도록 자체 내의 전자석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붐 각도센서(12)에서 검출되는 붐 각도 측정값은 붐의 하강에 부응하여 변동되며, 이렇게 붐 각도센서(12)를 통해 검출되는 측정값은 상기 장비제어기(11)로 입력되어져 도 5와 같이 붐 위치 정보 및 붐 진행 방향 정보로 연산된 후 붐 하강 동작 여부와 현재의 붐 각도 정보가 기 저장된 붐 하강 정지 위치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비교되어 조건을 만족(즉, 붐 링크 각도가 정지 위치 각도보다 작거나 같으면서 붐 링크가 하강 동작하는 상태)하게 되면 상기 장비제어기(11)는 붐 레버로 작동중인 작업레버(1)의 고정을 해제하여 작업장치 조작이 정지되도록 제어를 한다.
한편,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상차 작업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작업레버(1)를 붐 레버로 조작하여 변경하기 위한 위치로 붐(7)을 조작한 이후에 상차 위치 선택 스위치(15)를 조작하면 상기 장비제어기(11)는 현재의 붐 각도센서(12) 정보를 입력받아 그 각도를 측정 및 계산하여 붐 상승 정지 위치로 저장하고, 부져(8)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킴은 물론 모니터(14)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상차 작업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굴삭 작업 위치 변경을 위해서 작업레버(1)를 조작하여 변경하기 위한 위치로 붐(7)과 버켓(6)을 조작한 이후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16)를 조작하면 상기 장비제어기(11)는 현재의 붐 각도센서(12) 및 벨링크 각도센서(13)의 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각도를 측정 및 계산하고, 그 결과값에 부응하는 붐 하강 정지 위치 및 버켓 레벨러 위치 정보로 저장하며, 부져(8)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킴은 물론 모니터(14)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굴삭 작업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휠로더의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 작업조건에 따라 상차 및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15)(16)를 적절히 조작하여 작업레버(1)의 상차 및 굴삭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작업조건 변경에 따른 상차 작업 위치 변경이 용이하고, 변경된 위치에 따라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 장비 조작의 멈춤 시간 단축을 통한 작업효율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붐 각도 변화량을 계속 측정하여 작업레버의 이동 방향을 감지함은 물론 굴삭 위치 계산을 통해 작업레버를 제어할 수 있어 붐 하강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작업레버의 조작과 동시에 주행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 단축을 통한 작업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붐 위치 정지 시스템이 적용된 종래의 흴로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 작업레버 위치제어 및 작업조건에 따른 작업장치 정지 위치 변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차 작업을 위한 리프트 기능 수행을 위한 붐 위치 계산 및 붐 레버 제어를 위한 시스템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 작업을 위한 붐 다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붐 조작방향, 위치 계산 및 붐 레버 제어를 위한 시스템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 작업을 위한 버켓 위치 복귀를 위하여 버켓 레버 제어를 위한 시스템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작업레버 1a : 작업레버 상태 검출부
1b : 전자석 구동부 4 : 붐 실린더
5: 버켓 실린더 6: 버켓
7: 붐 8 : 부져
11: 장비 제어기 12 : 붐 각도센서
13 : 벨링크 각도센서 14 : 모니터
15 : 상차 위치 선택 스위치 16 :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

Claims (1)

  1. 휠로더의 작업장치를 설정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정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휠로더 작업장치 위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휠로더에 조립된 작업레버 위치에 부응하여 붐의 각도를 검출하는 붐 각도센서와;
    휠로더에 조립된 작업레버 위치에 부응하여 버켓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벨링크에 대한 각도를 검출하는 벨링크 각도센서와;
    작업레버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붐의 위치, 붐 실린더의 길이, 버켓 실린더의 길이를 산출하고 버켓과 지면과의 각도를 계산한 후 이렇게 계산된 정보를 모니터로 전송함은 물론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상차 위치 및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 신호를 검출하는 장비제어기와;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상차 위치 변경을 위하여 상기 장비제어기로 상차 위치 변경 선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상차 위치 선택 스위치와;
    운전자가 작업조건에 따라 굴삭 위치 변경을 위하여 상기 장비제어기로 굴삭 위치 변경 선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굴삭 위치 선택 스위치와;
    상기 장비제어기에서 계산된 정보들을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운전실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니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
KR1020080056870A 2008-06-17 2008-06-17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 KR20090131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870A KR20090131085A (ko) 2008-06-17 2008-06-17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870A KR20090131085A (ko) 2008-06-17 2008-06-17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085A true KR20090131085A (ko) 2009-12-28

Family

ID=4169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870A KR20090131085A (ko) 2008-06-17 2008-06-17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10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97A3 (ko) * 2009-08-24 2011-07-0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훨로더 작업기의 자동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68569A (ko) * 2014-10-27 2017-06-19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97A3 (ko) * 2009-08-24 2011-07-0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훨로더 작업기의 자동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US9091044B2 (en) 2009-08-24 2015-07-28 Doosan Infracore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operation of working unit of wheel loader
KR20170068569A (ko) * 2014-10-27 2017-06-19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US10590630B2 (en) 2014-10-27 2020-03-17 Yanmar Co., Ltd. Work vehicle
US11572677B2 (en) 2014-10-27 2023-02-07 Yanmar Power Technology Co., Ltd. Work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2919B2 (ja) 作業車両
CN107794967B (zh) 机器的控制系统
US20150002303A1 (en) System to display remaining payload weight for a truck
EP0604402B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ttitude of bucket carried by loading/unloading vehicle
WO2014192474A1 (ja) 作業車両
JP6618072B2 (ja) 作業機械
US8548692B2 (en) Travel vibration suppressing device of work vehicle
KR20110069942A (ko) 건설기계의 작업기 위치제어장치 및 작업기 위치제어방법
KR20190112084A (ko) 작업 기계 및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KR20090131085A (ko) 휠로더 작업장치의 위치 제어 시스템
KR102623760B1 (ko) 동력기계 및 도구 캐리어에 대한 도구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KR101696292B1 (ko) 휠로더의 버켓 지면접촉 방지장치 및 제어방법
CN114174598A (zh) 建筑机械
CN111655940B (zh) 作业机械及包括作业机械的系统
US10669697B2 (en) Performance monitor for a machine
CN111655941A (zh) 作业机械及包括作业机械的系统
KR20180094686A (ko) 건설 기계
KR102506386B1 (ko)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KR102439750B1 (ko) 안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건설 장비
KR20110073639A (ko) 건설기계의 주행 감지 장치 및 방법
US202400845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machine impacts to remote operator workstation
EP3719216B1 (en) A control method of actuating a movement of at least one of a boom and an implement connected to the boom in a work vehicle, a corresponding control system and a work vehicle comprising such control system
WO2022113602A1 (ja) 積込機械の制御システム、方法、および積込機械
KR20140061019A (ko) 백호 로더의 제어 방법
EP4026953A1 (en)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n operating mode of a work vehicle, corresponding control system and work vehicle comprising th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