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619B1 - 작업기의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기의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619B1
KR101090619B1 KR1020090017829A KR20090017829A KR101090619B1 KR 101090619 B1 KR101090619 B1 KR 101090619B1 KR 1020090017829 A KR1020090017829 A KR 1020090017829A KR 20090017829 A KR20090017829 A KR 20090017829A KR 101090619 B1 KR101090619 B1 KR 101090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variable display
switch
flow rate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638A (ko
Inventor
준따 구와에
게이스께 미우라
마사아끼 우에다
이꾸히로 우오따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815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7590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81561A external-priority patent/JP474097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90102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with lifting beams, e.g. slewable beams, carrying load-engaging elements, e.g. magnets,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표시 내용을 변경 가능한 가변 표시부(45)와, 상기 가변 표시 장치(45)에 인접하여 배치된 인쇄 표시부(46)를 구비한 작업기를 위한 표시 장치로서, 인쇄 표시부(46)가 가변 표시부(45)와 연속된 일체의 표시부로 보이도록 인쇄 표시부(46)가 가변 표시부(45)와 유사한 바탕색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변 표시부, 가변 표시 장치, 인쇄 표시부, 표시 내용, 작업기

Description

작업기의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FOR WORK MACHINE}
본 발명은, 백호 등의 작업기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백호(backhoe) 등의 작업기에는, 미터 표시 등을 위한 표시 패널을 운전석의 근방에 설치한 것이 있고,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작업기의 표시 장치에는 표시 패널에 미터 등을 가변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가변 표시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액정 표시부에 인접하여 고정한 표시를 하기 위한 인쇄 표시부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JP2006-256466A, JP2007-239303A, JP10-42671A).
그러나, 종래의 경우, 액정 표시부와 인쇄 표시부는 서로 바탕색이 다르게 되어 있어, 액정 표시부와 인쇄 표시부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소면적의 액정 표시부와 소면적의 인쇄 표시부가 미세하게 배열된 상태에 있어, 전체적으로 보아 표시 패널의 외관이 나빠 고급스러워 보이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가변 표시부와 이것에 인접하는 인쇄 표시부가 연속 일체로 된 큰 표시부로 보여 외관상 좋아 고급스러워 보이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구성은, 표시 내용을 변경 가능한 가변 표시부와, 상기 가변 표시 장치에 인접하여 배치된 인쇄 표시부를 구비한 작업기를 위한 표시 장치로서, 인쇄 표시부가 가변 표시부와 연속한 일체의 표시부로 보이도록 인쇄 표시부가 가변 표시부와 유사한 바탕색으로 형성된 점에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변 표시부가 하얀 바탕에 흑색으로 가변 표시가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인쇄 표시부가 가변 표시부의 바탕색과 유사한 하얀 바탕으로 형성되어, 흑색의 고정 표시가 실시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인쇄 표시부에 인접하여 차광 인쇄부가 설치되고, 상기 차광 인쇄부, 인쇄 표시부 및 가변 표시부에 걸쳐 투명판이 설치되고, 투명판에 상기 차광 인쇄부를 형성하도록 차광 인쇄가 실시되는 동시에, 인쇄 표시부 의 바탕색을 형성하는 하얀 바탕 인쇄가 실시되고, 상기 가변 표시부를 형성하기 위해 투명판의 내측에 액정 패널이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차광 인쇄부를 형성하는 차광 인쇄와, 인쇄 표시부의 바탕색을 형성하는 하얀 바탕 인쇄가 투명판의 표면과 이면으로 서로 나뉘어 실시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가변 표시부에 인접하여 복수의 버튼 스위치가 병렬하여 설치되고, 가변 표시부의 버튼 스위치측의 영역에 복수의 버튼 스위치의 기능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스위치 기능 표시를 표시하고, 복수의 스위치 기능 표시와 이것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 스위치가 병렬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복수의 각 버튼 스위치 사이에 구획선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구획선 사이에 각 버튼 스위치가 배치되고, 또한 이웃한 구획선의 가변 표시부측의 단부 사이의 연장 상에 버튼 스위치에 대응하는 스위치 기능 표시가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각 구획선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버튼 스위치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대응하는 버튼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 이웃하는 구획선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구획선은 서로 평행하고 또한 가변 표시부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져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가변 표시부의 인접하는 스위치 기능 표시 사이에 구획선이 형성되고, 각 구획선은 대응하는 구획선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 표시부가 액정 표시부와 연속한 일체의 표시부로 보이도록 인쇄 표시부가 가변 표시부와 유사한 바탕색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변 표시부가 인쇄 표시부와 일체가 되어 큰 표시부로 보이기 때문에 표시 패널 전체의 외관이 좋아져 고급스러워 보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스위치 기능 표시와 이것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 스위치가 병렬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복수의 각 버튼 스위치 사이에 구획선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구획선 사이에 각 버튼 스위치가 배치되며, 이웃하는 구획선의 가변 표시부측의 단부 사이의 연장 상에 버튼 스위치에 대응하는 스위치 기능 표시가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각 구획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변 표시부의 복수의 스위치 기능의 표시와 이것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 스위치가 병렬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어도, 가변 표시부의 복수의 스위치 기능의 표시와, 복수의 버튼 스위치의 대응 관계가 명확해져 복수의 버튼 스위치의 조작을 실수 없이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작업기(백호)(1)는 하부의 주행 장치(2)와, 상부의 선회체(3)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 장치(2)는, 고무제 크롤러 벨트를 갖는 좌우 한 쌍의 주행체(4)를 구비 하고, 양 주행체(4)를 주행 모터(M)로 구동하도록 한 크롤러식 주행 장치가 채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장치(2)의 전방부에는 도저(5)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체(3)는 주행 장치(2) 상에 선회 베어링(11)을 통하여 상하 방향의 선회 축 주위로 좌우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대(10)와, 상기 선회대(10)의 전방부에 구비된 작업 장치(13)(굴삭 장치)를 갖고, 선회대(10)를 선회 모터(12)에 의해 선회 중심(S) 주위로 선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회대(10) 상에는 엔진(7), 운전석(9), 연료 탱크, 작동유 탱크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회대(10) 상에는 운전석(9)을 둘러싸는 캐빈(8)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 장치(13)는, 선회대(10)의 전방부에 좌우 방향의 중앙부보다 약간 오른쪽으로 오프셋하여 설치된 지지 브래킷(14)에 상하 방향의 축심 주위로 좌우측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윙 브래킷(15)과, 상기 스윙 브래킷(15)에 기부측을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부착되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붐(16)과, 상기 붐(16)의 선단부측에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부착 되어 전후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17)과, 상기 아암(17)의 선단부측에 퍼올림·덤프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버킷(18)을 구비하고 있다.
스윙 브래킷(15)은 선회대(10) 내에 구비된 스윙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요동되고, 붐(16)은 상기 붐(16)과 스윙 브래킷(15) 사이에 개재 장착된 붐 실린더(19)의 신축에 의해 요동되고, 아암(17)은 상기 아암(17)과 붐(16) 사이에 개재 장착된 아암 실린더(20)의 신축에 의해 요동되고, 버킷(18)은 상기 버킷(18)과 아암(17) 사이에 개재 장착된 버킷 실린더(21)의 신축에 의해 퍼올림·덤프 동작된다.
아암(17)의 선단부에는 버킷(18) 대신에, 도 19에 도시하는, 틸트 버킷(A1), 브레이커(A2), 클램셸(A3), 오거(A4), 그래플(A5), 로터리 그래플(A6), 브러시 커터(A7) 등의 각종 어태치먼트(작업구)(A)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아암(17)의 선단부에는 버킷(18) 대신에 설치된 어태치먼트(A)를 동작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작동유를 공급하는 작동유 공급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A)에는 2개의 액추에이터(31, 32)를 갖는 것과, 액추에이터(31, 32) 중 어느 한 쪽만을 갖는 것이 있다.
상술한 스윙 실린더, 붐 실린더(19), 아암 실린더(20), 버킷 실린더(21) 등의 각 액추에이터는 작동유에 의해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즉, 작업기는 선회대(10) 상에 설치된 작동유 탱크 내의 작동유를 도 6에 도시하는 유압 펌프(35, 36)에 의해 복수의 제어 밸브(20A, 12A, 19A, 21A) 등으로 공급하여 각 제어 밸브(20A, 12A, 19A, 21A)를 통하여 각각의 액추에이터로 작동유를 보냄으로써 각 액추에이터가 작동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9)의 좌우 양측에는 좌우 한 쌍의 조종대(22)[좌측 조종대(22L), 우측 조종대(22R)]가 배치되어 있다. 각 조종대(22)에는, 좌우 한 쌍의 조작 부재(25)[좌측 조작 부재(25L), 우측 조작 부재(25R)]가 구비되고, 작업 장치(13)에 장착되는 각 어태치먼트(A)는 좌우 한 쌍의 조작 부재(25)[좌측 조작 부재(25L), 우측 조작 부재(25R)]에 의해 조작된다. 이 조작 부재(25)(25L, 25R)는 좌우 한 쌍의 조작 레버(26)[좌측 조작 레버(26L), 우측 조작 레버(26R)]와, 각 조작 레버(26L, 26R)의 그립부에 설치된 볼륨 스위치(손잡이 조 작부)(27)[좌측 볼륨 스위치(27L),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갖고 있다. 좌측 조작 레버(26L)는, 선회·아암용의 조작 레버이며, 우측 조작 레버(26R)는 붐·버킷용의 조작 레버이다.
각 조작 레버(26)(26L, 26R)는 중립 위치로부터 전후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각 볼륨 스위치(27)(27L, 27R)는 그립 상에서 중립 위치로부터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26)나 볼륨 스위치(27)를 조작했을 때, 이들 조작량(조작 각도)을 포지션 미터나 센서 등에 의해 검출하여 조작량을 전기적으로 조작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9)(도 7 참조)로 출력하게 되어 있다.
도 6은 아암 실린더(20) 등을 구동하기 위한 유압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참조 부호 20A는 아암 실린더용 제어 밸브, 참조 부호 12A는 선회 모터용 제어 밸브, 참조 부호 19A는 붐 실린더용 제어 밸브, 참조 부호 21A는 버킷 실린더용 제어 밸브, 참조 부호 31A는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유압 실린더)(31)가 접속되는 제1 SP(서비스 포트)용 제어 밸브, 참조 부호 32A는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유압 실린더)(32)가 접속되는 제2 SP(서비스 포트)용 제어 밸브이다. 참조 부호 20B는 아암 전방 요동용 전자 밸브, 참조 부호 20C는 아암 후방 요동용 전자 밸브, 참조 부호 12B는 좌측 선회용 전자 밸브, 참조 부호 12C는 우측 선회용 전자 밸브, 참조 부호 19B는 붐 인상용 전자 밸브, 참조 부호 19C는 붐 인하용 전자 밸브, 참조 부호 21B는 버킷 퍼올림용 전자 밸브, 참조 부호 21C는 버킷 덤프용 전자 밸브, 참조 부호 31B는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 참조 부호 31C 는 제1 SP용 제2 전자 밸브, 참조 부호 32B는 제2 SP용 제1 전자 밸브, 참조 부호 32C는 제2 SP용 제2 전자 밸브이며, 각각 솔레노이드(20b, 20c, 12b, 12c, 19b, 19c, 21b, 21c, 31b, 31c, 32b, 32c)를 갖고 있다. 참조 부호 35는 제1 펌프, 참조 부호 36은 제2 펌프이다.
각 전자 밸브(20B, 20C, 12B, 12C, 19B, 19C, 21B, 21C, 31B, 31C, 32B, 32C)에는 제1 유로(37)를 통하여 제1 펌프(35)로부터 파일럿 오일이 공급되게 되어 있으며, 각 전자 밸브(20B, 20C, 12B, 12C, 19B, 19C, 21B, 21C, 31B, 31C, 32B, 32C)의 개폐에 의해 각 제어 밸브(20A, 12A, 19A, 21A, 31A, 32A)에 가해지는 파일럿압이 변화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제어 밸브(20A, 12A, 19A, 21A, 31A, 32A)에는 제2 유로(38)를 통하여 제2 펌프(36)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게 되어 있고, 각 제어 밸브(20A, 12A, 19A, 21A, 31A, 32A)에 가해지는 파일럿압에 의해 당해 제어 밸브(20A, 12A, 19A, 21A, 31A, 32A)의 개방도가 결정되어 대응하는 각 실린더(20, 19, 21), 선회 모터(12)(액추에이터) 또는 장착된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유압 실린더)(31, 32)에 작동유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전기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참조 부호 39는 CPU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39)이며, 제어부(39)는 우측 조작 레버(26R), 좌측 조작 레버(26L)로부터의 조작 신호(S1)를 입력하고, 상기 전자 밸브(20B, 20C, 12B, 12C, 19B, 19C, 21B, 21C, 31B, 31C, 32B, 32C)의 솔레노이드(20b, 20c, 12b, 12c, 19b, 19c, 21b, 21c, 31b, 31c, 32b, 32c)에 제어 신호(S2)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우측 조작 레버(26R)는 중립 위치로부터 전후로 요동 조작했을 때, 이 조작량(조작 각도)을 포지션 미터나 센서 등에 의해 검출하여 전후로의 조작량에 비례한 크기의 전류 또는 전압을 조작 신호(S1)로 하여 제어부(39)로 출력하고, 제어부(39)는 우측 조작 레버(26R)로부터 입력한 조작 신호(S1)의 크기에 비례한 전류 또는 전압의 제어 신호(S2)를, 붐 인상용 전자 밸브(19B) 또는 붐 인하용 전자 밸브(19C)의 솔레노이드(19b, 19c)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제어부(39)는 붐 인상용 전자 밸브(19B), 붐 인하용 전자 밸브(19C)를 통하여 우측 조작 레버(26R)의 전후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붐(16)을 상하 요동시키도록 붐 실린더(19)를 제어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우측 조작 레버(26R)를 중립 위치로부터 전방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붐 인하용 전자 밸브(19B)의 솔레노이드(19b)의 조작량에 따른 크기의 제어 신호(S2)가 입력되고, 그렇게 하면 붐 인하용 전자 밸브(19B)가 우측 조작 레버(26R)의 전방측으로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개방되어, 그 결과 붐 실린더용 제어 밸브(19A)의 파일럿압이 제어되어, 붐(16)이 우측 조작 레버(26R)의 전방측으로의 조작량에 비례하는 속도로 인하 동작한다. 우측 조작 레버(26R)를 중립 위치로부터 후방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붐 인상용 전자 밸브(19C)의 솔레노이드(19c)로 조작량에 따른 크기의 제어 신호(S2)가 입력되고, 그렇게 하면 붐 인상용 전자 밸브(19C)가 우측 조작 레버(26R)의 후방측으로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개방되어, 그 결과 붐 실린더용 제어 밸브(19A)의 파일럿압이 제어되어, 붐(16)이 우측 조작 레버(26R)의 후방측으로의 조작량에 비례하는 속도로 인상 동작한다.
또한, 우측 조작 레버(26R)는 중립 위치로부터 좌우로 요동 조작했을 때, 이 조작량(조작 각도)을 포지션 미터나 센서 등에 의해 검출하여 좌우로의 조작량에 비례한 크기의 전류 또는 전압을 조작 신호(S1)로 하여 제어부(39)로 출력하고, 제어부(39)는 우측 조작 레버(26R)로부터 입력한 조작 신호(S1)의 크기에 비례한 전류 또는 전압의 제어 신호(S2)를 버킷 퍼올림용 전자 밸브(21B) 또는 버킷 덤프용 전자 밸브(21C)의 솔레노이드(21b, 21c)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제어부(39)는 버킷 퍼올림용 전자 밸브(21B), 버킷 덤프용 전자 밸브(21C)를 통하여 우측 조작 레버(26R)의 좌우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버킷(18)을 퍼올림·덤프 동작시키기 위해 버킷 실린더(21)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조작 레버(26R)를 중립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버킷 퍼올림용 전자 밸브(21B)의 솔레노이드(21b)로 조작량에 따른 크기의 제어 신호(S2)가 입력되고, 그렇게 하면 버킷 퍼올림용 전자 밸브(21B)가 우측 조작 레버(26R)의 좌측으로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개방되어, 그 결과 버킷 실린더용 제어 밸브(21A)의 파일럿압이 제어되어 버킷(18)이 우측 조작 레버(26R)의 좌측으로의 조작량에 비례하는 속도로 퍼올림 동작한다. 우측 조작 레버(26R)를, 중립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버킷 덤프용 전자 밸브(21C)의 솔레노이드(21c)로 조작량에 따른 크기의 제어 신호(S2)가 입력되고, 그렇게 하면 버킷 덤프용 전자 밸브(21C)가 우측 조작 레버(26R)의 우측으로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개방되어, 그 결과 버킷 실린더용 제어 밸브(29A)의 파일럿압이 제어되어 버킷(18)이 우측 조작 레버(26R)의 우측으로의 조작량에 비례하는 속도로 덤프 동작한다.
좌측 조작 레버(26L)은, 중립 위치로부터 전후로 요동 조작했을 때, 이 조작 량(조작 각도)을 포지션 미터나 센서 등에 의해 검출하여 전후로의 조작량에 비례한 크기의 전류 또는 전압을 조작 신호(S1)로 하여 제어부(39)로 출력하고, 제어부(39)는 좌측 조작 레버(26L)로부터 입력한 조작 신호(S1)의 크기에 비례한 전류 또는 전압의 제어 신호(S2)를, 아암 전방 요동용 전자 밸브(20B) 또는 아암 후방 요동용 전자 밸브(20C)의 솔레노이드(20b, 20c)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제어부(39)는 아암 전방 요동용 전자 밸브(20B), 아암 후방 요동용 전자 밸브(20C)를 통하여 좌측 조작 레버(26L)의 전후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아암(17)을 전후방 요동시키도록 아암 실린더(2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조작 레버(26L)를 중립 위치로부터 전방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아암 전방 요동용 전자 밸브(20B)의 솔레노이드(20b)로 조작량에 따른 크기의 제어 신호(S2)가 입력되어 아암(17)이 좌측 조작 레버(26L)의 전방측으로의 조작량에 비례하는 속도로 전방 요동하고, 좌측 조작 레버(26L)를, 중립 위치로부터 후방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아암 후방 요동용 전자 밸브(20C)의 솔레노이드(20c)로 조작량에 따른 크기의 제어 신호(S2)가 입력되어, 아암(17)이 좌측 조작 레버(26L)의 후방측으로의 조작량에 비례하는 속도로 후방 요동한다.
또한, 좌측 조작 레버(26L)는 중립 위치로부터 좌우로 요동 조작했을 때 이 조작량(조작 각도)을 포지션 미터나 센서 등에 의해 검출하여 좌우로의 조작량에 비례한 크기의 전류 또는 전압을 조작 신호(S1)로 하여 제어부(39)로 출력하고, 제어부(39)는 좌측 조작 레버(26L)로부터 입력한 조작 신호(S1)의 크기에 비례한 전류 또는 전압의 제어 신호(S2)를 좌측 선회용 전자 밸브(12B) 또는 우측 선회용 전 자 밸브(12C)의 솔레노이드(12b, 12c)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제어부(39)는 좌측 선회용 전자 밸브(12B), 우측 선회용 전자 밸브(12C)를 통하여 좌측 조작 레버(26L)의 좌우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선회대(10)를 좌우로 선회 동작시키기 위해 선회 모터(12)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조작 레버(26L)를 중립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좌측 선회용 전자 밸브(12B)의 솔레노이드(12b)로 조작량에 따른 크기의 제어 신호(S2)가 입력되어 선회대(10)가 좌측 조작 레버(26L)의 좌측으로의 조작량에 비례하는 속도로 좌측 선회하고, 좌측 조작 레버(26L)를 중립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우측 선회용 전자 밸브(12C)의 솔레노이드(12c)로 조작량에 따른 크기의 제어 신호(S2)가 입력되어 선회대(10)가 좌측 조작 레버(26L)의 우측으로의 조작량에 비례하는 속도로 우측 선회한다.
우측 볼륨 스위치(27R)는 중립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요동 조작(우측 단부를 누름 조작)했을 때, 이 조작량(조작 각도)을 포지션 미터나 센서 등에 의해 검출하여 우측으로의 조작량에 비례한 크기의 전류 또는 전압을 조작 신호(S1)로 하여 제어부(39)로 출력하고, 제어부(39)는 우측 볼륨 스위치(27R)로부터 입력한 조작 신호(S1)의 크기에 비례한 전류 또는 전압의 제어 신호(S2)를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31B) 또는 제1 SP용 제2 전자 밸브(31C)의 솔레노이드(31b, 31c)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제어부(39)는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31B), 제1 SP용 제2 전자 밸브(31C)를 통하여 우측 볼륨 스위치(27R)의 우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어태치먼트(A)를 동작시키기 위해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31)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중립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요동 조작하 면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31B)의 솔레노이드(31b)의 조작량에 따른 크기의 제어 신호(S2)가 입력되고, 그렇게 하면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31B)가 우측 볼륨 스위치(27R)의 우측으로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개방되어, 그 결과 제1 SP용 제어 밸브(31A)의 파일럿압이 제어되어 어태치먼트(A)가 우측 볼륨 스위치(27R)의 우측으로의 조작량에 비례하는 속도로 동작한다.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중립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요동 조작(좌측 단부를 누름 조작)하면 제1 SP용 제2 전자 밸브(31C)의 솔레노이드(31c)로 조작량에 따른 크기의 제어 신호(S2)가 입력되고, 그렇게 하면 제1 SP용 제2 전자 밸브(31C)가 우측 볼륨 스위치(27R)의 좌측으로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개방되어, 그 결과 제1 SP용 제어 밸브(31A)의 파일럿압이 제어되어 어태치먼트(A)가 우측 볼륨 스위치(27R)의 좌측으로의 조작량에 비례하는 속도로 동작한다.
좌측 볼륨 스위치(27L)는 중립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요동 조작(우측 단부를 누름 조작)했을 때, 이 조작량(조작 각도)을 포지션 미터나 센서 등에 의해 검출하여 우측으로의 조작량에 비례한 크기의 전류 또는 전압을 조작 신호(S1)로 하여 제어부(39)로 출력하고, 제어부(39)는 좌측 볼륨 스위치(27L)로부터 입력한 조작 신호(S1)의 크기에 비례한 전류 또는 전압의 제어 신호(S2)를 제2 SP용 제1 전자 밸브(32B) 또는 제2 SP용 제2 전자 밸브(32C)의 솔레노이드(32b, 32c)로 출력하고, 이에 의해 제어부(39)는 제2 SP용 제1 전자 밸브(31B), 제2 SP용 제2 전자 밸브(32C)를 통하여 좌측 볼륨 스위치(27L)의 우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어태치먼트(A)를 동작시키기 위해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32)를 제어한다. 보 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볼륨 스위치(27L)를 중립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제2 SP용 제1 전자 밸브(32B)의 솔레노이드(32b)의 조작량에 따른 크기의 제어 신호(S2)가 입력되고, 그렇게 하면 제2 SP용 제1 전자 밸브(32B)가 좌측 볼륨 스위치(27L)의 우측으로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개방되어, 그 결과 제2 SP용 제어 밸브(32A)의 파일럿압이 제어되어 어태치먼트(A)가 좌측 볼륨 스위치(27L)의 우측으로의 조작량에 비례하는 속도로 동작한다. 좌측 볼륨 스위치(27L)를, 중립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요동 조작(좌측 단부를 누름 조작)하면 제2 SP용 제2 전자 밸브(32C)의 솔레노이드(32c)로 조작량에 따른 크기의 제어 신호(S2)가 입력되고, 그렇게 하면 제2 SP용 제2 전자 밸브(32C)가 좌측 볼륨 스위치(27L)의 좌측으로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개방되어, 그 결과 제2 SP용 제어 밸브(32A)의 파일럿압이 제어되어 어태치먼트(A)가 우측 볼륨 스위치(27L)의 좌측으로의 조작량에 비례하는 속도로 동작한다.
볼륨 스위치(27)의 조작에 의해, 장착된 도 19에 도시하는 어태치먼트(A)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31, 32)는 작동유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급·배유함으로써 정역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작업기(1)에 장착된 어태치먼트(A)가 틸트 버킷(A1)이면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우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우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틸트 버킷(A1)이 우측으로 기우는 동작을 하고,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좌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좌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틸트 버킷(A1)이 좌측으로 기우는 동작을 한다. 단, 좌측 볼륨 스위치(27L)를 조작 해도 틸트 버킷(A1)은 동작하지 않는다.
작업기(1)에 장착된 어태치먼트(A)가 브레이커(A2)이면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좌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좌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브레이커(A2)의 해머가 진동한다. 단,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우측으로 요동 조작해도, 또한 좌측 볼륨 스위치(27L)를 조작해도 브레이커(A2)는 동작하지 않는다.
작업기(1)에 장착된 어태치먼트(A)가 클램셸(A3)이면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우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우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클램셸(A3)이 개방되는 동작을 하고,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좌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좌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클램셸(A3)이 폐쇄되는 동작을 한다. 단, 좌측 볼륨 스위치(27L)를 조작해도 클램셸(A3)은 동작하지 않는다.
작업기(1)에 장착된 어태치먼트(A)가 오거(A4)이면,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우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우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오거(A4)가 우회전의 동작을 하고,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좌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좌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오거(A4)가 좌회전의 동작을 한다. 단, 좌측 볼륨 스위치(27L)를 조작해도 오거(A4)는 동작하지 않는다.
작업기(1)에 장착된 어태치먼트(A)가 그래플(A5)이면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우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우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그래플(A5)이 개방되는 동작을 하고,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좌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좌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그래플(A5)이 폐쇄되는(사이에 끼우는) 동작을 한다. 단, 좌측 볼륨 스위치(27L)를 조작해도 그래플(A5)은 동작하지 않는다.
작업기(1)에 장착된 어태치먼트(A)가 로터리 그래플(A6)이면,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우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우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로터리 그래플(A6)이 개방되는 동작을 하고,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좌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좌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로터리 그래플(A6)이 폐쇄되는(사이에 끼우는) 동작을 한다. 또한, 좌측 볼륨 스위치(27L)를 우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우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로터리 그래플(A6)의 파지 부분이 우회전하는 동작을 하고, 좌측 볼륨 스위치(27L)를 좌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좌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로터리 그래플(A6)의 파지 부분이 좌회전하는 동작을 한다.
작업기(1)에 장착된 어태치먼트(A)가 브러시 커터(A7)이면,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좌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좌측 요동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브러시 커터(A7)의 풀베기 로터리가 회전 동작을 한다. 단,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우측으로 요동 조작해도, 또한 좌측 볼륨 스위치(27L)를 조작해도 브러시 커터(A7)는 동작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9)로 조작 부재(25)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을 가변 설정하는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이 설치되어 있다.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은, 도 20에 도시하는 제어 맵을 사용하여 조작 부재(25)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을 가변 설정한다. 도 20은 볼륨 스위치(27)를 중립 위치로부터 좌우 요동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제어부(39)의 제어 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0에 있어서, 횡축은 볼륨 스위치(27)의 조작량(조작 신호)이고 종축은 각각의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31B), 제1 SP용 제2 전자 밸브(31C), 제2 SP용 제1 전자 밸브(31B) 또는 제2 SP용 제2 전자 밸브(32C)로 출력하는 제어 신호(S2)의 전류값 또는 전압값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39)의 제어 맵은 볼륨 스위치(27)의 조작량을 전류값 또는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변환선(L1, L2)을 갖고 있으며, 제어부(39)는 변환선(L1, L2)에 기초하여 볼륨 스위치(27)의 조작량을 그 조작량에 대략 비례한 전류값 또는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그것을 제어 신호(S2)로 하여 각각의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31B), 제1 SP용 제2 전자 밸브(31C), 제2 SP용 제1 전자 밸브(32B) 또는 제2 SP용 제2 전자 밸브(32C)로 출력하게 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점으로부터 좌측의 변환선(L1)은 볼륨 스위치(27)를 좌측으로 요동(좌측 요동)했을 때에 조작량을 전류값 또는 전압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고, 원점(O)으로부터 우측의 변환선(L1)은 볼륨 스위치(27)를 우측으로 요동(우측 요동)했을 때에 볼륨 스위치(27)의 조작량을 전류값 또는 전압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인다.
따라서, 제어부(39)는 볼륨 스위치(27)의 좌측 요동과 우측 요동 각각에 대하여 독립한 변환선(L1, L2)을 갖고 있으며, 좌측 요동과 우측 요동 각각의 조작량은 요동의 방향에 대응한 변환선(L1, L2)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전류값 또는 전압값으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원점(O)을 중심으로 하여 볼륨 스위치(27)를 우측으로 조작했을 때의 조작량을 플러스측, 볼륨 스위치(27)을 좌측으로 조작했을 때의 조작량을 마이 너스측으로 하면 제어부(39)는 조작량이 플러스일 때는 플러스의 전류 또는 전압을 출력하고, 조작량이 마이너스일 때는 마이너스의 전류 또는 전압을 출력한다.
제어 맵에 의한 제어에 있어서, 기준 레벨(0 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우측 요동한 경우에는 그 전류값 또는 전압값이 클 수록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31B)의 개방도는 크고,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좌측 요동한 경우는 그 전류값 또는 전압값이 작을 수록 제1 SP용 제2 전자 밸브(31C)의 개방도는 커지도록 제어된다. 좌측 볼륨 스위치(27L)를 우측 요동한 경우는 그 전류값 또는 전압값이 클수록 제2 SP용 제1 전자 밸브(32B)의 개방도는 크고, 좌측 볼륨 스위치(27L)를 좌측 요동한 경우는 그 전류값 또는 전압값이 작을 수록 제2 SP용 제2 전자 밸브(32C)의 개방도는 커지도록 제어된다. 즉, 제어 맵에 의한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31B), 제1 SP용 제2 전자 밸브(31C), 제2 SP용 제1 전자 밸브(32B)또는 제2 SP용 제2 전자 밸브(32C)의 제어에서는 기준 레벨에 전류값 또는 전압값이 근접할수록 각각의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31B), 제1 SP용 제2 전자 밸브(31C), 제2 SP용 제1 전자 밸브(32B) 또는 제2 SP용 제2 전자 밸브(32C)의 개방도는 작고, 전류값 또는 전압값이 기준 레벨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31B), 제1 SP용 제2 전자 밸브(31C), 제2 SP용 제1 전자 밸브(32B) 또는 제2 SP용 제2 전자 밸브(32C)의 개방도는 커지도록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39)의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은, 볼륨 스위치(27)의 조작량에 대응한 전류값 또는 전압값을 다단으로 설정하는 작동 신호 가변 기능을 갖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39)의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은 볼륨 스위치(27)의 조작에 의해 결정된 1의 조작량에 대하여, 그 조작량을 전류값 또는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값을 몇개 갖고 있다.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맵에서는, 예를 들어 조작량이 A점일 때 이 조작량에 대응하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을 0%를 포함하여 0%, 12.5%, 25%, 37.5%, 50%, 62.5%, 75%, 87.5%, 100%의 복수개(9개)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9)의 제어 맵은, 좌측 요동과 우측 요동 각각에 있어서, 각각의 1의 조작량에 대하여 그 조작량을 전류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선(L1, L2)을 복수개(예를 들어 9개) 구비하고 있다.
각 변환선(L1, L2)은 각각 중간 부분의 기울기가 달라 조작량이 커짐에 따라 출력하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이 점차 크게 또는 작아지게 되어 있다.
우측 볼륨 스위치(27R)의 우측 요동에 있어서의 각 변환선(L2)을 예로 들면 그 제어 맵에서는 조작량이 A점일 때 100%의 변환선(L2)의 전류값 또는 전압값이 가장 크고, %(레벨)가 작아질수록 조작량의 A점에 대하여 변환되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 맵에 의한 제어를 행한 경우의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대해,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우측 요동시킨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제어 맵에 의한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변환선(L2) 중 하나가 선택된다.
100%의 변환선(L2)을 선택하고,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우측으로 요동시키면 조작량에 대응하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의 크기 및 그 변화량이 크므로 볼륨 스위치(27)를 조금만 요동시켜도 출력되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 및 그 변화량은 커 진다. 그 결과,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31B)의 개방도가 커지는 동시에 그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31B)가 개방되는 스피드가 빨라지므로, 아암(17)의 선단부에 장착한 어태치먼트(A)의 동작 속도는 빨라진다.
한편, 25%의 변환선(L2)을 선택하고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우측 요동시키면 조작량에 대응하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의 크기 및 그 변화량이 작아, 우측 볼륨 스위치(27R)를 우측 요동시켜도 그 조작량에 대하여 출력되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 및 그 변화량은 작아진다. 그 결과,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31B)의 개방도가 작아지는 동시에, 제1 SP용 제1 전자 밸브(31B)가 개방되는 스피드는 느려져 아암(17)의 선단부에 장착한 어태치먼트(A)의 동작 속도는 느려진다.
따라서, 변환선(L1, L2)의 경사가 큰 것으로 제어를 행하면 어태치먼트(A)의 동작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변환선(L1, L2)의 경사가 작은 것으로 제어를 행하면 어태치먼트(A)의 동작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또한, 0%의 변환선(L1, L2)에 의해 제어를 행하면 볼륨 스위치(27)의 조작량에 관계없이 어태치먼트(A)의 동작을 정지시켜 둘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39)의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조작 부재(25L, 25R)의 조작, 즉 볼륨 스위치(27L, 27R)의 요동 조작에 의해, 작업기(1)에 장착된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을 어태치먼트(A)마다 각 조작 부재(25)에 대응하여 별개로 가변 설정할 수 있어,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설정한 최대 유량 레벨(ML)의 범위 내에서 조작 부재(25)의 조작량에 따른 유량의 작동유를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 터(31, 32)에 급·배유하여 어태치먼트(A)(작업구)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조작 부재(25)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1 최대 유량 레벨(ML1)과, 조작 부재(25)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타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이 어태치먼트(A)마다 각 조작 부재(25)에 대응하여 별개로 가변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8) 내의 운전석(9)의 우측 전방에, 표시 패널(43)(미터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 패널(43)은 우측 조종대(22R)에 전방 돌출 설치한 지지 아암(42)을 통하여 우측 조종대(22R)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표시 패널(43)은 중앙부의 액정 표시부(가변 표시부)(45)와 액정 표시부(45)에 인접한 인쇄 표시부(고정 표시부)(46)와 인쇄 표시부(46)의 외주에 위치하는 차광 인쇄부(47)와 액정 표시부(45)의 후방에 위치하는 스위치 배치부(48)를 구비한다. 인쇄 표시부(46)는 액정 표시부(45)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차광 인쇄부(47)는 액정 표시부(45) 및 인쇄 표시부(46)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43)을 둘러싸도록 차양(49)이 설치되고, 차양(49)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운전석(9)으로부터 먼 측 전방 측단부(49a)가 높게 형성되고, 차양(49)의 전방 측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의 운전석(9)측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고, 또한 차양(49) 전방 측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서 서히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패널(43)이 운전석(9)의 우측 전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양(49)은 우측 전방 단부[운전석(9)으로부터 먼 측의 전방 측단부(49a)]측이 높게 형성되고, 차양(49)의 우측 전방부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고, 또한 우측 전방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액정 표시부(45)는 하얀 바탕에 흑색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쇄 표시부(46)가 액정 표시부(45)의 바탕색과 유사한 하얀 바탕으로 형성되고, 흑색 등의 인쇄에 의한 고정 표시(I1, I2)가 실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쇄 표시부(46)는 액정 표시부(45)와 유사한 바탕색으로 형성되어 있고, 인쇄 표시부(46)가 액정 표시부(45)와 연속한 일체의 표시부로 보여, 액정 표시부(45)가 인쇄 표시부(46)의 면적분만큼 넓게 확대되어 보이게 되어 있다. 또한, 액정 표시부(45)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인쇄 표시부(46)가 배치되어 있어, 액정 표시부(45)가 전체 둘레에 걸쳐 크게 보이게 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석(9)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전방의 비스듬히 하방을 향했을 때에 표시 패널(43)이 오퍼레이터의 시선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표시 패널(43)이 배치되고, 상기 차양(49)이 높게 형성된 전단부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양(49)의 우측 단부측]이 차양(49)의 다른 부분에 비해 가장 상방에 위치하도록 차양(49)이 배치되어 있다.
인쇄 표시부(46)의 고정 표시(I1)는 액정 표시부(45)의 바로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어부(39)의 특정한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액정 표시부(45)의 표시 상태 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부(45)의 좌측 단부의 표시(IND1)가 연료 탱크의 연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인쇄 표시부(46)의 고정 표시(I2)는 액정 표시부(45)의 바로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어부(39)의 특정한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액정 표시부(45)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부(45)의 우측 단부의 표시(IND2)가 수온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43)의 기판(44)의 상방에 차광 인쇄부(47), 인쇄 표시부(46) 및 액정 표시부(45)에 걸쳐 투명판(50)이 설치되어 있다. 투명판(50)의 표면의 외주부에 차광 인쇄부(47)를 형성하도록 흑색의 차광 인쇄(51)가 실시되고, 투명판(50)의 이면의 차광 인쇄(51)보다도 중앙측에 인쇄 표시부(46)의 바탕색을 형성하는 하얀 바탕 인쇄(52)가 실시되고 하얀 바탕 인쇄(52) 내에 상기 흑색 등의 고정 표시(I1, I2)가 실시되어 있다. 투명판(50)의 중앙부의 내측(하방)에, 액정 표시부(45)를 형성하기 위해 액정 패널(LCD)(53)이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43)의 좌측 단부의 차광 인쇄부(47)에 전후 방향으로 일렬 형상으로 복수의 고정 표시(IN1, IN2, IN3, IN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 표시(IN1, IN2, IN3, IN4)는 차광 인쇄부(47) 내에 적색, 황색 등의 착색 인쇄를 실시하여 형성한 것으로, 예를 들어 고정 표시(IN1)는 주의를 환기하기 위한 표시이며, 고정 표시(IN2)는 엔진 오일이 부족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이며, 고정 표시(IN3)는 발전기가 발전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기 위한 표 시이며, 고정 표시(IN4)는 주행이 고속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고정 표시(IN1, IN2, IN3, IN4)의 내측(하방)에, 고정 표시(IN1, IN2, IN3, IN4)에 각각 대응하여 LED 등의 표시등(55)이 설치되고, 표시등(55)과 투명판(50) 사이에 리플렉터(61)가 설치되어 있어 표시등(55)의 점등에 의해 엔진 오일이 부족한 것 등을 알리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18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투명판(50)의 표면에 차광 인쇄(51) 및 고정 표시(IN1, IN2, IN3, IN4)가 실시되고, 투명판(50)의 이면에 하얀 바탕 인쇄(52) 및 고정 표시(I1, I2)가 실시되어 있으나, 이것을 대신하여 투명판(50)의 이면에 차광 인쇄(51), 고정 표시(IN1, IN2, IN3, IN4), 하얀 바탕 인쇄(52) 및 고정 표시(I1, I2)를 실시하게 하여도 되고, 또한 투명판(50)의 표면에 차광 인쇄(51), 고정 표시(IN1, IN2, IN3, IN4), 하얀 바탕 인쇄(52) 및 고정 표시(I1, I2)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부(45)의 후방의 스위치 배치부(48)에 복수의 버튼 스위치(SW)(SW1, SW2, SW3, SW4, SW5)가 내장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버튼 스위치(SW)는 액정 표시부(45)에 인접하여 좌우로 병렬하여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각 버튼 스위치(SW)의 상방을 덮는 피복체(62)에, 각 버튼 스위치(SW)가 무엇을 하기 위한 스위치인가를 나타내는 고정 표시(N)(N1, N2, N3, N4, N5)가 실시되어 있다. 각 버튼 스위치(SW1)는 통상의 경우에 다음과 같은 조작을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버튼 스위치(SW1)는 고정 표시(N1)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어태치먼트(A)의 동작이나 기능 등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용이며, 버튼 스위치(SW2)는 고정 표시(N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모드를 현수의 작업 모드로 하기 위한 크레인용이며, 버튼 스위치(SW3)는 고정 표시(N3)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장치(13)의 아암(17)의 요동 범위를 제한 설정하기 위한 아암 제한용이며, 버튼 스위치(SW4)는 고정 표시(N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액정 표시부(45)에 의해 일정한 안내 등을 하기 위한 인포메이션용이며, 버튼 스위치(SW5)는 고정 표시(N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부(45)의 표시를 절환하기 위한 표시 절환용이다. 이들 버튼 스위치(SW)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9)에 접속되어 있어, 각 버튼 스위치(SW)의 조작 신호는 제어부(39)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액정 표시부(45)는 제어부(39)에 의해 제어되어 가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복수의 버튼 스위치(SW)는 제어부(39)의 제어 모드에 따라 의미나 기능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액정 표시부(45)의 복수의 버튼 스위치(SW)측인 후단부에 각 버튼 스위치(SW)에 대응하여 그 버튼 스위치(SW)의 의미나 기능을 나타내는 스위치 기능 표시(기능 마크)(F)가 가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제어부(39)가 SP 유량 제한 설정 모드 또는 어태치먼트(A)의 제어 모드가 되었을 때에는 액정 표시부(45)의 표시는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고, 액정 표시부(45)의 후단부에, 각 버튼 스위치(SW)의 의미나 기능을 나타내는 4개의 스위치 기능 표시(F)(F2, F3, F4, F5)가 표시된다. 스위치 기능 표시(F2 내지 F5)는 각각 버튼 스위치(SW2 내지 SW5)의 기능 등을 표시하는 것 이며, 버튼 스위치(SW1)는 사용자 설정용의 상태이나, 버튼 스위치(SW2)는 스위치 기능 표시(F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하 기능을 갖고, 버튼 스위치(SW3)는 스위치 기능 표시(F3)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상 기능을 갖고, 버튼 스위치(SW4)는 스위치 기능 표시(F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기능을 갖고, 버튼 스위치(SW5)는 스위치 기능 표시(F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정 기능을 갖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 기능 표시(F)(F2 내지 F5)와 이것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 스위치(SW)(SW2 내지 SW5)가 병렬 방향(좌우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버튼 스위치(SW)의 개수에 비교하여 액정 표시부(45)에 표시되는 스위치 기능 표시(F)의 개수가 적게 설정되어, 액정 표시부(45)의 스위치 기능 표시(F)에 대하여, 액정 표시부(45)의 바로 후방의 스위치 배치부(48)의 좌우 폭 내에 복수의 버튼 스위치(SW)를 좌우로 배열하여 최대한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좌우로 어긋나게 한 것이다. 이 때문에, 각 버튼 스위치(SW)와 스위치 기능 표시(F)의 대응 관계가 명확해지도록 스위치 배치부(48)에 구획선(57)을 형성하고 있다.
구획선(57)은 스위치 배치부(48)의 각 버튼 스위치(SW)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이 복수의 각 구획선(57)은 서로 평행한 원호 형상이고 또한 후방측이 서서히 우측으로 이행하도록 액정 표시부(45)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져 배치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구획선(57) 사이에 각 버튼 스위치(SW)가 배치되고, 또한 이웃하는 구획선(57)의 액정 표시부(45)측의 단부 사이의 연장 상에 버튼 스위치(SW)에 대응하는 스위치 기능 표시(F)가 위치하도록 복수의 각 구획선(5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배치부(48)에 복수의 버튼 스위치(SW)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디케이터(ID)(ID1, ID2, ID3, ID4, ID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인디케이터(ID)는 대응하는 버튼 스위치(SW)가 온 상태 등에 있는 것을 점등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 복수의 인디케이터(ID)는 각각 대응하는 버튼 스위치(SW)가 배치되어 있는 이웃하는 구획선(5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부(45)가 인접하는 스위치 기능 표시(F) 사이에 구획선(58)이 형성되고, 각 구획선(58)은 대응하는 스위치 배치부(48)의 구획선(57)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액정 표시부(45)에는 SP 유량 제한 설정용 또는 어태치먼트(A) 조작용의 화면으로서,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조작 부재 도형(D25)과 어태치먼트 도형(DA)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조작 부재 도형(D25)에는 좌측 조작 부재(25L)에 대응하는 좌측 조작 부재 도형(D25L)과, 우측 조작 부재(25R)에 대응하는 우측 조작 부재 도형(D25R)이 있으며, 어태치먼트 도형(DA)에는 틸트 버킷(A1)에 대응하는 어태치먼트 도형(DA1)과, 브레이커(A2)에 대응하는 어태치먼트 도형(DA2)과, 클램셸(A3)에 대응하는 어태치먼트 도형(DA3)과, 오거(A4)에 대응하는 어태치먼트 도형(DA4)과, 그래플(A5)에 대응하는 어태치먼트 도형(DA5)과, 로터리 그래플(A6)에 대응하는 어태치먼트 도형(DA6)과, 브러시 커터(1A7)에 대응하는 어태치먼트 도형(DA7)이 있다. 또한, 도 10은 후술하는 메모리(M)가 블랭크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도 11 내지 도 17에 있어서, 액정 표시부(45)에 좌우의 조작 부재(25L, 25R)를 도시하는 2개의 조작 부재 도형(D25L, D25R)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이 2개의 조작 부재 도형(D25L, D25R)은 좌우의 조작 부재(25L, 25R)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액정 표시부(45)에 좌우로 나뉘어 표시되어 있다.
각 조작 부재 도형(D25)은 좌우의 조작 레버(26)에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조작 레버 도형부(D26)와, 좌우 한 쌍의 볼륨 스위치(27)에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스위치 도형부(D27)를 각각 갖고 있다. 조작 레버 도형부(D26)에는 좌측 조작 레버(26L)에 대응하는 좌측 조작 레버 도형부(D26L)와, 우측 조작 레버(26R)에 대응하는 우측 조작 레버 도형부(D26R)가 있으며, 스위치 도형부(D27)에는 좌측 볼륨 스위치(27L)에 대응하는 좌측 스위치 도형부(D27L)와, 우측 볼륨 스위치(27R)에 대응하는 우측 스위치 도형부(D27R)가 있다.
액정 표시부(45)의 중앙부의 2개의 조작 부재 도형(D25) 사이에 작업기(1)에 장착한 어태치먼트(A)를 나타내는 어태치먼트 도형(DA)이 가변 표시되어 있다.
액정 표시부(45)의 조작 부재 도형(D25) 내에 액추에이터(31, 32)에 작동유를 일방향으로 급·배유하는 유량 레벨을 표시하는 최대 유량 레벨(ML)을 표시하는 제1 유량 표시 구획(SE1)과,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작동유를 타방향으로 급·배유하는 최대 유량 레벨(ML)을 표시하는 제2 유량 표시 구획(SE2)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유량 표시 구획(SE1)과 제2 유량 표시 구획(SE2)은 각 조작 부재 도형(D25) 내에 각각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 제1 유량 표시 구획(SE1)에 대응하는 조작 부재(25)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1 최대 유량 레벨(ML1)이 표시되고, 제2 유량 표시 구 획(SE2)에 대응하는 조작 부재(25)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타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조작 부재(25)[각 볼륨 스위치(27)]의 조작에 따라, 작업기(1)에 장착된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이 각 조작 부재(25)에 대응하는 조작 부재 도형(D25)에 대응하여 액정 표시부(45)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SP 유량 제한 설정 등의 제어 모드에서는, 액정 표시부(45)에 커서(56)가 표시되고, 커서(56)가 제1 유량 표시 구획(SE1), 제2 유량 표시 구획(SE2) 또는 어태치먼트 도형(DA)을 가리키기 위해 좌우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9)에 기억부(59)가 설치되고, 이 기억부(59)는 복수의 메모리(M)(M1, M2, M3, M4, M5, M6, M7, M8, M9)를 갖고 있어, 작업기(1)에 장착되는 각 어태치먼트(A)에 대응하여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1 최대 유량 레벨(ML1)과,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타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을, 각각 메모리(M)에 기억하게 되어 있으며, 버튼 스위치(SW)의 조작 등에 의해 그 어태치먼트(A)에 대응한 제1 최대 유량 레벨(ML1)과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을 기억한 메모리(M)로부터 취출하여 그 제1 최대 유량 레벨(ML1)과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을 조작 부재 도형(D25)에 대응하여 액정 표시 부(45)에 표시하는 동시에, 그 표시한 제1 최대 유량 레벨(ML1)과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에 기초하여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31, 32)로 조작 부재(25)의 조작으로 작동유를 급·배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부(39)의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작업기(1)에 장착되는 각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한 작동유의 유량 제한 설정의 수순을 도 21에 도시하는 액정 표시부(45)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버튼 스위치(SW)의 조작 등에 의해, 제어부(39)를 SP 유량 제한 설정 모드로 하고, 기억부(59)의 메모리(M1)를 선택하면 메모리(M1)에 기억한 내용이 호출되어,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부(45)에 메모리(M1)에 기억한 조작 부재 도형(D25)이나 어태치먼트 도형(DA) 등이 표시된다. 이 도 21의 (a)의 표시에서는 브레이커(A2)에 대응하는 어태치먼트 도형(DA2)이 표시되고, 커서(56)가 어태치먼트 도형(DA2)을 가리킨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1의 (a)의 상태로부터, 버튼 스위치(SW4)를 누름 조작하면 도 2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56)가 이동하여 커서(56)가 조작 부재 도형(D25L) 내의 제2 유량 표시 구획(SE2)을 가리킨 상태로 된다. 도 21의 (d)의 상태에서 버튼 스위치(SW3)를 누름 조작하면 조작 부재 도형(D25L) 내의 제2 유량 표시 구획(SE2)의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이 서서히 상승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제어부(39)의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조작 부재(25L)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에 대하여 타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이 서서히 커지도록 변경 설정된다. 또한, 도 21의 (d)의 상태에서 버튼 스위치(SW2) 를 누름 조작하면 조작 부재 도형(D25L) 내의 제2 유량 표시 구획(SE2)의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이 서서히 하강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제어부(39)의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조작 부재(25L)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에 대하여 타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변경 설정된다.
도 21의 (d)의 상태로부터, 버튼 스위치(SW4)를 누름 조작하면 도 21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56)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커서(56)가 조작 부재 도형(D25L) 내의 제1 유량 표시 구획(SE1)을 가리킨 상태로 된다. 도 21의 (f)의 상태에서, 버튼 스위치(SW3)를 누름 조작하면 조작 부재 도형(D25L) 내의 제1 유량 표시 구획(SE1)의 제1 최대 유량 레벨(ML1)이 서서히 상승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제어부(39)의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조작 부재(25L)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2)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1 최대 유량 레벨(ML1)이 서서히 커지도록 변경 설정된다. 또한, 도 21의 (f)의 상태에서, 버튼 스위치(SW2)를 누름 조작하면 조작 부재 도형(D25L) 내의 제1 유량 표시 구획(SE1)의 제1 최대 유량 레벨(ML1)이 서서히 하강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제어부(39)의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조작 부재(25L)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2)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1 최대 유량 레벨(ML1)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변경 설정된다.
도 21의 (f)의 상태로부터 버튼 스위치(SW4)를 누름 조작하면 도 21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56)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커서(56)가 조작 부재 도형(D25R) 내의 제2 유량 표시 구획(SE2)을 가리킨 상태로 된다. 도 21의 (h)의 상태에서, 버튼 스위치(SW3)를 누름 조작하면 조작 부재 도형(D25R) 내의 제2 유량 표시 구획(SE2)의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이 서서히 상승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제어부(39)의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조작 부재(25R)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에 대하여 타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이 서서히 커지도록 변경 설정된다. 또한, 도 21의 (h)의 상태에서, 버튼 스위치(SW2)를 누름 조작하면 조작 부재 도형(D25R) 내의 제2 유량 표시 구획(SE2)의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이 서서히 하강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제어부(39)의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조작 부재(25)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에 대하여 타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변경 설정된다.
도 21의 (h)의 상태로부터, 버튼 스위치(SW4)를 누름 조작하면 도 21의 (j)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56)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커서(56)가 조작 부재 도형(D25R) 내의 제1 유량 표시 구획(SE1)을 가리킨 상태로 된다. 도 21의 (j)의 상태에서 버튼 스위치(SW3)를 누름 조작하면 조작 부재 도형(D25R) 내의 제1 유량 표시 구획(SE1)의 제1 최대 유량 레벨(ML1)이 서서히 상승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제어부(39)의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조작 부재(25R)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1 최대 유량 레벨(ML1)이 서서히 커지도록 변경 설정된다. 또한, 도 21의 (j)의 상태에서 버튼 스위치(SW2)를 누름 조작하면 조작 부재 도형(D25R) 내의 제1 유량 표시 구획(SE1)의 제1 최대 유량 레벨(ML1)이 서서히 내려가, 이것에 대응하여 제어부(39)의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조작 부재(25R)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1 최대 유량 레벨(ML1)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변경 설정된다.
도 21의 (j)의 상태로부터 버튼 스위치(SW4)를 누름 조작하면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56)가 이동하여 커서(56)가 어태치먼트 도형(DA)을 가리킨 상태로 되고, 그 후 도 21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서(56)가 어태치먼트 도형(DA)을 가리킨 상태로 점멸한다. 이 상태에서, 버튼 스위치(SW2)를 누름 조작하면 어태치먼트 도형(DA)의 표시가, 도 22에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블랭크, 틸트 버킷(A1), 브레이커(A2), 클램셸(A3), 오거(A4), 로터리 그래플(A6), 브러시 커터(A7)로 버튼 스위치(SW2)의 누름 조작마다 차례대로 절환되어, 이에 의해 작동유의 유량 제한 설정하기 위한 어태치먼트(A)의 종류를 절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1의 (a)(b)의 상태에서, 버튼 스위치(SW3)를 누름 조작하면 어태치먼트 도형(DA)의 표시가, 도 22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브러시 커터(A7), 로터리 그래플(A6), 그래플(A5), 오거(A4), 클램셸(A3), 브레이커(A2), 틸트 버킷(A1), 블랭크로 버튼 스위치(SW3)의 누름 조작마다 차례대로 절환되어, 이에 의해 작동유의 유량 제한 설정하기 위한 어태치먼트(A)의 종류를 차례대로 절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1의 (a)의 상태로부터 버튼 스위치(SW5)를 누름 조작하면 제어부(39)의 메모리(M1)에 있어서의 유량 제한 설정되어야 할 어태치먼트(A)의 종류 및 이것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31, 32)에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이 도 21의 (a)에 표시되어 있는 대로의 내용으로 결정되어 이것이 메모리(M1)에 기억되는 동시에, 도 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억부(59)의 메모리(M2)를 호출하여 거기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이 액정 표시부(45)에 표시되고, 도 21의 (a)의 상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부(39)의 메모리(M2)에 있어서의 유량 제한 설정되어야 할 어태치먼트(A)의 종류 및 이것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31, 32)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 등이 설정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버튼 스위치(SW5)를 누름 조작할 때마다, 도 21의 (c)(e)(g)(i)의 상태로부터, 제어부(39)의 메모리(M2, M3, M4, M5)에 있어서의 유량 제한 설정되어야 할 어태치먼트(A)의 종류 및 이것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31, 32)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이 결정되어, 차례대로 메모리(M2, M3, M4, M5)에 기억되는 동시에, 도 21의 (e)(g)(i)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억부(59)의 메모리(M3, M4, M5)를 호출하여 액정 표시부(45)에 표시되어 제어부(39)의 메모리(M3, M4, M5)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유량 제한 설정되어야 할 어태치먼트(A)의 종류 및 이것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31, 32)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을 설정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을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9)의 기억부(59)의 각 메모리(M)에,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5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A)의 각 종류[블랭크, 틸트 버킷(A1), 브레이커(A2), 클램셸(A3), 오거(A4), 로터리 그래플(A6), 브러시 커터(A7)]에 대응하여 각각 설정한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31, 32)로 급·배 유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이 기억된다. 그리고, 제어부(39)의 기억부(59)의 각 메모리(M)에 기록한 액정 표시부(45)로의 표시 내용 및 유량 제한 설정한 내용을 버튼 스위치(SW)의 누름 조작에 의해 간단하게 호출하여 작업기(1)에 장착된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이, 각 조작 부재(25)에 대응하는 조작 부재 도형(D25)에 대응하여 액정 표시부(45)에 표시되므로 액정 표시부(45)를 보는 것에 의해 조작 부재(25)[각 볼륨 스위치(27)]의 조작에 따라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한 최대 유량 레벨(ML)을 간단하고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25)에 의한 어태치먼트(A)의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표시부(45)에 조작 부재(25)를 나타내는 조작 부재 도형(D25)이 표시되는 동시에, 이 조작 부재 도형(D25)에 대응하여 조작 부재(25)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설정한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이 어느 조작 부재(25)에 대응하는 것인지 액정 표시부(45)의 표시에 의해 간단하고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되어, 조작 부재(25)에 의한 어태치먼트(A)의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액정 표시부(45)의 조작 부재 도형(D25) 내에 조작 부재 도형(D25)에 대응하여 액추에이터(31, 32)에 작동유를 일방향으로 급·배유하는 유량 레벨을 표시하는 제1 유량 표시 구획(SE1)과, 액추에이터(A)에 작동유를 타방향으로 급·배유하는 유량 레벨을 표시하는 제2 유량 표시 구획(SE2)이 병렬로 설치되고, 제1 유량 표시 구획(SE1)에 조작 부재(25)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1 최대 유량 레벨(ML1)이 표시되고, 제2 유량 표시 구획(SE2)에 조작 부재(25)의 조작에 의해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타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작 부재(25)를 나타내는 조작 부재 도형(D25)에 대응하여 제1 최대 유량 레벨(ML1)과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을 명확하게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어 제1 최대 유량 레벨(ML1)과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이 별개로 가변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설정한 작동유의 제1 최대 유량 레벨(ML1)과 작동유의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이 어느 조작 부재(25)의 어느 조작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액정 표시부(45)의 표시에 의해, 간단하고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되어 조작 부재(25)에 의한 어태치먼트(A)의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액정 표시부(45)에, 복수의 조작 부재(25)를 나타내는 복수의 조작 부재 도형(D25)이 각각 표시되고, 각 조작 부재(25)의 조작에 따라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이 각 조작 부재(25)에 대응하는 조작 부재 도형(D25)에 대응하여 액정 표시부(45)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작업기(1)에 장착한 어태치먼트(A)를 조작하는 복수의 조작 부재(25)가 설치되어,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최대 유량 레벨(ML)이 각 조작 부재(25)에 대응하여 별개로 가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유량 제한 설정 수단(41)에 의해 설정한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이 어느 조작 부재(25)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액정 표시부(45)의 표시에 의해 간단하고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되어, 복수의 조작 부재(25) 에 의한 어태치먼트(A)의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액정 표시부(45)에 작업기(1)에 장착한 어태치먼트(A)를 나타내는 어태치먼트 도형(DA)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조작 부재(25)의 조작에 의해 어떤 어태치먼트(A)를 동작시킬지 액정 표시부(45)의 표시에 의해 명확하게 알 수 있어, 이 점에서도 조작 부재(25)에 의한 어태치먼트(A)의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기에 장착하는 복수의 어태치먼트(A)에 대응하여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1 최대 유량 레벨(ML1)과, 어태치먼트(A)의 액추에이터(31, 32)에 대하여 타방향으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이 각각 메모리(M)에 기록되어 있어, 작업기(1)에 장착하는 어태치먼트(A)에 대응한 제1 최대 유량 레벨(ML1)과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을 메모리(M)로부터 취출하여 그 제1 최대 유량 레벨(ML1)과 제2 최대 유량 레벨(ML2)을 조작 부재 도형(D25)에 대응하여 액정 표시부(45)에 표시되도록 했으므로, 작업기(1)에 장착하는 어태치먼트(A)에 따라 이들에 설정되어 있는 제1 최대 유량 레벨(ML1)과 제2 최대 유량 레벨(ML2)과 액정 표시부(45)에 의해 간단하게 알 수 있어 작업기(1)에 장착한 어태치먼트(A)에 따른 조작 부재(25)에 의한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스위치 기능 표시(F)와 이것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 스위치(SW)가 병렬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복수의 각 버튼 스위치(SW) 사이에 구획선(57)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구획선(57) 사이에 각 버 튼 스위치(SW)가 배치되고, 또한 이웃하는 구획선(57)의 액정 표시부(45)측의 단부 사이의 연장 상에 버튼 스위치(SW)에 대응하는 스위치 기능 표시(F)가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각 구획선(5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정 표시부(45)의 복수의 스위치 기능 표시(F)와 이것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 스위치(SW)가 병렬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어도 액정 표시부(45)의 복수의 스위치 기능 표시(F)와 복수의 버튼 스위치(SW)의 대응 관계가 명확해져 복수의 버튼 스위치(SW)의 조작을 실수 없이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버튼 스위치(SW)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디케이터(ID)가 각각 설치되고, 복수의 인디케이터(ID)는 각각 대응하는 버튼 스위치(SW)가 배치되어 있는 이웃하는 구획선(57) 사이에 배치되므로, 복수의 버튼 스위치(SW)와, 이것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디케이터(ID)의 대응 관계도 명확해져, 이 점에서도 복수의 버튼 스위치(SW)의 조작을 실수 없이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표시 패널(43)을 둘러싸도록 차양(49)이 설치되고, 상기 차양(49)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운전석(9)으로부터 먼 측의 전방 측단부가 높게 형성되고, 차양(49) 전방 측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의 운전석(9)측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고 또한 차양(49) 전방 측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비스듬히 비쳐 들어오는 외광에 의해 표시 패널(43)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표시 패널(43) 부분의 형상이 변화가 많은 디자인성이 우수한 것이 되어 표시 패널(43) 부분의 외관상의 체재가 좋아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인쇄 표시부(46)가 액정 표시부(45)와 연속한 일체의 표시부로 보이도록 인쇄 표시부(46)가 액정 표시부(45)와 유사한 바탕색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정 표시부(45)가 인쇄 표시부(46)와 일체가 되어 큰 표시부로 보이기 때문에 표시 패널(43) 전체의 외관이 좋아져 고급스러워 보이게 된다.
게다가, 액정 표시부(45)가 하얀 바탕에 흑색으로 표시되고 인쇄 표시부(46)가 액정 표시부(45)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인쇄 표시부(46)가 액정 표시부(45)의 바탕색와 유사한 하얀 바탕으로 형성되고, 흑색의 표시 인쇄가 실시되어 있으므로, 액정 표시부(45)가 전체 둘레에 걸쳐 커지도록 보이게 된다.
또한, 액정 표시부(45) 및 인쇄 표시부(46)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차광 인쇄부(47)가 형성되고, 차광 인쇄부(47), 인쇄 표시부(46) 및 액정 표시부(45)에 걸쳐 투명판(50)이 설치되고, 투명판(50)의 외주부에 상기 차광 인쇄부(47)을 형성하도록 차광 인쇄(51)가 실시되고, 투명판(50)의 차광 인쇄(51)의 내측에 인쇄 표시부(46)의 바탕색을 형성하는 하얀 바탕 인쇄(52)가 실시되고 투명판(50)의 중앙부내측에 액정 표시부(45)를 형성하기 위해 액정 패널(LCD)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공통의 투명판(50)에 의해 차광 인쇄부(47), 인쇄 표시부(46) 및 액정 표시부(45)에 일체감이 발생하여, 이 점에서도 표시 패널(43) 전체가 일체의 큰 표시 화면이 되어, 고급스러움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차광 인쇄부(47)를 형성하는 차광 인쇄(51)와 인쇄 표시부(46)의 바탕색을 형성하는 하얀 바탕 인쇄(52)가 투명판(50)의 표면과 이면으로 서로 나누어 실시되어 있으므로, 표시 패널(43)의 표시에 깊이감이 발생하여 입체감을 발생시켜 이 점에서도 표시 패널(43)에 고급스러움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기(1)에 장착한 어태치먼트(A)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25)를 좌우 1쌍 설치하고 있으나, 이것을 대신하여 작업기(1)에 장착한 어태치먼트(A)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25)를 1개만 설치하게 해도 되고, 또한 3개 이상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기(1)에 장착한 어태치먼트(A)의 조작을 조작 부재(25)가 갖는 볼륨 스위치(27)의 좌우 요동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이것을 대신하여 조작 부재(25)가 갖는 조작 레버(26)의 전후 요동 또는 좌우 요동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액정 표시부(45)에 표시되는 조작 부재(25)를 나타내는 조작 부재 도형(D25)으로부터 스위치 도형부(D27)를 생략하여 조작 부재 도형(D25)이 조작 레버 도형부(D26)만을 갖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기에 장착한 어태치먼트(A)를 작업 장치로 하여, 그 액추에이터(31, 32)에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을 표시부(45)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것을 대신하여 백호의 어태치먼트(A)에 한하지 않고, 백호, 프론트 로더 그 외의 작업기의 붐, 아암 등의 작업 장치를 조작 레버 등의 조작 부재에 의해 조작하여 그 붐, 아암 등의 작업 장치의 액추에이터로 급·배유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 레벨(ML)을 표시부(45)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최대 유량 레벨(ML) 등을 가변 표시하는 표시부 를 액정 표시부(45)에 의해 구성하고 있으나, 이것을 대신하여 최대 유량 레벨(ML) 등을 가변 표시하는 표시부를 유기 EL 패널 그 외의 가변 표시부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패널(43)이 운전석(9)의 우측 전방에 설치되어, 차양(49)은 우측 전방부측이 높게 형성되고 차양(49)의 우측 전방부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고, 또한 우측 전방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으나, 이것을 대신하여 표시 패널(43)을 운전석(9)의 좌측 전방에 설치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차양(49)의 좌측 전방부측을 높게 형성하고 차양(49)의 좌측 전방측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고, 또한 차양(49)의 좌측 전방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하도록 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백호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운전석 주위의 조작 부재의 배치를 도시하는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표시 패널 부분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표시 패널 부분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압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 제어계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표시 패널 부분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특정한 제어 모드의 액정 표시부 및 인쇄 표시부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 조작용 등의 액정 표시부 및 인쇄 표시부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 조작용 등의 액정 표시부 및 인쇄 표시부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 조작용 등의 액정 표시부 및 인쇄 표시부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 조작용 등의 액정 표시부 및 인쇄 표시부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 조작용 등의 액정 표시부 및 인쇄 표시부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 조작용 등의 액정 표시부 및 인쇄 표시부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 조작용 등의 액정 표시부 및 인쇄 표시부의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 조작용 등의 액정 표시부 및 인쇄 표시부의 평면도.
도 18은 도 8의 B-B선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조작 부재와 어태치먼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전자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맵도.
도 21은 본 발명의 표시부의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의 버튼 스위치 조작에 의한 동작의 설명도.
<부호의 설명>
1 : 백호
9 : 운전석
25 : 조작 부재
25L : 좌측 조작 부재
25R : 우측 조작 부재
31, 32 : 액추에이터
41 : 유량 제한 설정 수단
45 : 액정 표시부
46 : 인쇄 표시부
47 : 차광 인쇄부
49 : 차양
50 : 투명판
52 : 하얀 바탕 인쇄
53 : 액정 패널
57, 58 : 구획선
A : 어태치먼트
D25 : 조작 부재 도형
D25L : 좌측 조작 부재 도형
D25R : 우측 조작 부재 도형
ML : 최대 유량 레벨
ML1 : 제1 최대 유량 레벨
ML2 : 제2 최대 유량 레벨
SE1 : 제1 유량 표시 구획
SE2 : 제2 유량 표시 구획
DA : 어태치먼트 도형
SW : 버튼 스위치

Claims (8)

  1. 표시 내용을 변경 가능한 가변 표시부(45)와,
    상기 가변 표시 장치(45)에 인접하여 배치된 인쇄 표시부(46)를 구비한 작업기를 위한 표시 장치이며,
    인쇄 표시부(46)가 가변 표시부(45)와 연속한 일체의 표시부로 보이도록,
    상기 가변 표시부(45)가 하얀 바탕에 흑색으로 가변 표시가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인쇄 표시부(46)가 가변 표시부(45)의 바탕색과 유사한 하얀 바탕으로 형성되고, 흑색의 고정 표시(I1, I2)가 실시되고,
    상기 인쇄 표시부(46)에 인접하여 차광 인쇄부(47)가 설치되고, 상기 차광 인쇄부(47), 인쇄 표시부(46) 및 가변 표시부(45)에 걸쳐 투명판(50)이 설치되고, 투명판(50)에 상기 차광 인쇄부(47)를 형성하도록 차광 인쇄(51)가 실시되는 동시에, 인쇄 표시부(46)의 바탕색을 형성하는 하얀 바탕 인쇄(52)가 실시되고, 상기 가변 표시부(45)를 형성하기 위해 투명판(50)의 내측에 액정 패널(53)이 배치되고,
    상기 차광 인쇄부(47)를 형성하는 차광 인쇄(51)와, 인쇄 표시부(46)의 바탕색을 형성하는 하얀 바탕 인쇄(52)가 투명판(50)의 표면과 이면에 서로 나뉘어 실시되어 있는, 작업기를 위한 표시 장치.
  2. 표시 내용을 변경 가능한 가변 표시부(45)와,
    상기 가변 표시 장치(45)에 인접하여 배치된 인쇄 표시부(46)를 구비한 작업기를 위한 표시 장치이며,
    인쇄 표시부(46)가 가변 표시부(45)와 연속한 일체의 표시부로 보이도록 인쇄 표시부(46)가 가변 표시부(45)와 유사한 바탕색으로 형성되고,
    가변 표시부(45)에 인접하여 복수의 버튼 스위치(SW)가 병렬하여 설치되고, 가변 표시부(45)의 버튼 스위치(SW)측의 영역에 복수의 버튼 스위치(SW)의 기능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스위치 기능 표시(F)를 표시하고,
    복수의 스위치 기능 표시(F)와 이것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 스위치(SW)가 병렬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복수의 각 버튼 스위치(SW) 사이에 구획선(57)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구획선(57) 사이에 각 버튼 스위치(SW)가 배치되고, 또한 이웃하는 구획선(57)의 가변 표시부(45)측의 단부 사이의 연장 상에 버튼 스위치(SW)에 대응하는 스위치 기능 표시(F)가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각 구획선(57)이 형성되어 있는, 작업기를 위한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스위치(SW)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ID)가 설치되고, 상기 인디케이터(ID)는 대응하는 버튼 스위치(SW)가 배치되어 있는 이웃하는 구획선(57)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기를 위한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구획선(57)은 서로 평행하고 또한 가변 표시부(45)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져 배치되어 있는, 작업기를 위한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가변 표시부(45)의 인접하는 스위치 기능 표시(F) 사이에 구획선(58)이 형성되고, 각 구획선(58)은 대응하는 구획선(57)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작업기를 위한 표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17829A 2008-03-26 2009-03-03 작업기의 표시 장치 KR101090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81562A JP4759012B2 (ja) 2008-03-26 2008-03-26 作業機の表示装置
JP2008081561A JP4740973B2 (ja) 2008-03-26 2008-03-26 作業機の表示装置
JPJP-P-2008-081561 2008-03-26
JPJP-P-2008-081562 2008-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638A KR20090102638A (ko) 2009-09-30
KR101090619B1 true KR101090619B1 (ko) 2011-12-08

Family

ID=4071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829A KR101090619B1 (ko) 2008-03-26 2009-03-03 작업기의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10747B2 (ko)
EP (1) EP2105339B1 (ko)
KR (1) KR101090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2017A1 (en) * 2009-06-01 2010-12-02 Econtrols, Inc. Tactile Feedback for Joystick Position/Speed Controls
US9568939B2 (en) * 2009-06-01 2017-02-14 Enovation Controls, Llc Tactile feedback for joystick position/speed controls
KR101593281B1 (ko) * 2011-07-25 2016-02-1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기 및 작업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DE202012003790U1 (de) * 2012-04-13 2013-07-17 Joseph Vögele AG Straßenfertiger mit verstellbarem Bedienpult
JP5841008B2 (ja) * 2012-05-28 2016-01-06 ヤンマ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JP6284302B2 (ja) * 2013-04-02 2018-02-28 株式会社タダノ ブームの伸縮パターン選択装置
JP2015024696A (ja) * 2013-07-24 2015-02-05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KR101779525B1 (ko) 2015-12-09 2017-09-18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 차량 및 틸트 각도의 취득 방법
DE112017007331T5 (de) * 2017-03-29 2019-12-19 Komatsu Ltd. Arbeitsmaschinen-management-vorrichtung
JP6849623B2 (ja) * 2018-03-07 2021-03-24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KR20210032409A (ko) 2018-07-19 2021-03-24 클라크 이큅먼트 컴파니 천정 도어가 있는 운전실용 디스플레이 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692A (ja) * 1999-11-26 2001-06-08 Calsonic Kansei Corp 指示計器の表示板製造方法
JP2006138746A (ja) * 2004-11-12 2006-06-01 Nippon Seiki Co Ltd 指示計器装置
JP2007121728A (ja) * 2005-10-28 2007-05-17 Nippon Seiki Co Ltd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992Y2 (ko) 1986-11-07 1991-05-08
JPS6441914A (en) 1987-08-07 1989-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deo display device
JPH0745781Y2 (ja) 1988-09-20 1995-10-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3249722B2 (ja) 1995-08-28 2002-01-2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H1042671A (ja) 1996-08-05 1998-02-17 Kubota Corp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H10236138A (ja) 1997-02-28 1998-09-08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空調操作装置
EP0993995B2 (de) * 1998-10-15 2008-08-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ultifunktions-Bedienelement für den Einsatz in Kraftfahrzeugen
EP1299784B1 (en) * 2000-07-10 2004-05-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cd tile display
JP2002036911A (ja) * 2000-07-21 2002-02-06 Denso Corp 指針計器
JP2003013472A (ja) 2001-06-28 2003-01-15 Komatsu Ltd クレーン作業兼用油圧ショベルのモニタ装置
DE10211270B4 (de) 2002-03-13 2008-11-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zeigeeinrichtung
JP4250016B2 (ja) * 2003-05-09 2009-04-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ナログディジタル混載メータ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ディジタル表示装置
US20070132572A1 (en) * 2004-02-20 2007-06-14 Sharp Kabushiki Kaisha Instrument panel image display device, instrument panel image changing method, vehicle, server, instrument panel image changing system, instrument panel image display program,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ment panel image display program
JP5031978B2 (ja) 2004-07-05 2012-09-2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4488938B2 (ja) 2005-03-16 2010-06-23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機の表示装置
JP4535277B2 (ja) 2005-06-01 2010-09-0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4494318B2 (ja) 2005-09-26 2010-06-3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US7430954B2 (en) 2005-09-26 2008-10-07 Kubota Corporation Work machine
US20070069880A1 (en) * 2005-09-29 2007-03-29 Best Steven F Customizing the layout of the instrument panel of a motorized vehicle
DE102005059092A1 (de) * 2005-12-10 2007-06-1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nzeigeeinrichtung und Fahrzeug-Kombinationsanzeigeeinrichtung
JP4688700B2 (ja) 2006-03-08 2011-05-25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DE102006038175A1 (de) 2006-08-14 2008-02-21 Johnson Controls Gmbh 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692A (ja) * 1999-11-26 2001-06-08 Calsonic Kansei Corp 指示計器の表示板製造方法
JP2006138746A (ja) * 2004-11-12 2006-06-01 Nippon Seiki Co Ltd 指示計器装置
JP2007121728A (ja) * 2005-10-28 2007-05-17 Nippon Seiki Co Ltd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44106A1 (en) 2009-10-01
KR20090102638A (ko) 2009-09-30
EP2105339B1 (en) 2011-10-19
EP2105339A1 (en) 2009-09-30
US8610747B2 (en)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295B1 (ko) 작업기의 표시 장치
KR101090619B1 (ko) 작업기의 표시 장치
CN107148505A (zh) 作业车辆
JP4740973B2 (ja) 作業機の表示装置
US10934684B2 (en) Control system for power machine
JP2007092763A (ja) 作業機
JP4759012B2 (ja) 作業機の表示装置
JP7267996B2 (ja) 建設機械
JP2009234365A (ja) 作業機の表示装置
CN110268149A (zh) 作业机
US9429174B1 (en) Enabling valve having separate float and lift down positions
JP2012092500A (ja) 作業車両
JP7094679B2 (ja) 作業車両
JP4690352B2 (ja) 建設機械の走行制御装置
JP2013204299A (ja) 作業車両
JP2001107908A (ja) 建設機械の油圧システム
JP2019143294A (ja) 作業車両
JPH1037232A (ja) 2ピースブーム型作業機の操作駆動装置
JPH06264464A (ja) パワーショ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