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013B1 -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013B1
KR102650013B1 KR1020160128445A KR20160128445A KR102650013B1 KR 102650013 B1 KR102650013 B1 KR 102650013B1 KR 1020160128445 A KR1020160128445 A KR 1020160128445A KR 20160128445 A KR20160128445 A KR 20160128445A KR 102650013 B1 KR102650013 B1 KR 102650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area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107A (ko
Inventor
박창모
김희창
문은중
박세훈
이민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8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013B1/ko
Priority to US15/689,787 priority patent/US10272662B2/en
Priority to CN201710888055.4A priority patent/CN107914235B/zh
Publication of KR20180038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61Repai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26Using direct fluid current against work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32Using vacuum directly against work during delami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53Temperature change for delamination [e.g., heating during delaminat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79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with poking during delaminating [e.g., jabb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11Heating or cooling delaminating means [e.g., melting means, freezing means,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61Severing delaminating means [e.g., chisel,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78Delaminating bend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78Delaminating bending means
    • Y10T156/1983Poking dela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을 분리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로서, 상기 윈도우와 마주보며, 상기 윈도우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위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윈도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윈도우 고정부, 상기 지지부 위에 배치되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표시 패널 스토퍼,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 영역과 교차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 영역을 가압하는 윈도우 가압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며 상기 윈도우의 제2 영역과 나란한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삽입 가능한 분리 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DISASSEMBLING SYSTEM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USING THI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져 있는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OLED device),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self-luminance)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점착 필름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하여 제조한다.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는 점착 필름이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점착 필름이 잘못 부착되는 경우,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이물질이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다시 분리해야 하는데,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을 분리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로서, 상기 윈도우와 마주보며, 상기 윈도우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위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윈도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윈도우 고정부, 상기 지지부 위에 배치되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표시 패널 스토퍼,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 영역과 교차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 영역을 가압하는 윈도우 가압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며 상기 윈도우의 제2 영역과 나란한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삽입 가능한 분리 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윈도우의 형상과 대응되며 상기 윈도우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고정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 영역의 양측 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위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접촉바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상기 표시 패널 스토퍼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스토퍼는, 상기 표시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스토퍼는, 상기 표시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접촉판 및 상기 접촉판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판은 상기 표시 패널을 흡착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가압부는, 상기 제2 영역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상기 제2 영역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바형 부재 및 상기 바형 부재에 결합되며, 연성 물질을 포함하는 가압 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2 영역에 8 kgf ∼ 12 kgf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가압부에 의해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범위는, 3 mm ∼ 8 mm 일 수 있다.
상기 분리 스틱은, 일측 단부에 제1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분리 스틱의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지지부를 -70 ℃ ∼ -100 ℃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Cu 및 Al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냉각시키는 단계, 윈도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윈도우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상기 윈도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 윈도우 가압부에 의해,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 영역과 교차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 영역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며 상기 윈도우의 제2 영역과 나란한 제2 방향을 따라, 분리 스틱을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를 냉각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지부 위에 상기 표시 장치를 배치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를 냉각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지부 위에 상기 표시 장치를 배치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고정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 영역의 양측 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위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가압부는, 상기 제2 영역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상기 제2 영역을 누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에 의하면,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 또는 윈도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지지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윈도우 고정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윈도우 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윈도우 가압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윈도우 가압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표시 패널 스토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표시 패널 스토퍼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표시 패널 스토퍼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분리 스틱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표시 패널 스토퍼, 윈도우 고정부 및 지지부가 결합된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표시 장치를 분해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21은 표시 장치를 분해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지지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지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10)은, 지지부(100), 윈도우 고정부(300), 표시 패널 스토퍼(700), 윈도우 가압부(500) 및 분리 스틱(9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P)과 윈도우(W)를 서로 부착하여 표시 장치(DE)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P)과 윈도우(W) 사이에 기포 또는 이물질이 발생하거나, 표시 패널(P)과 윈도우(W)의 정렬이 맞지 않는 경우에,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10)은 이러한 표시 패널(P)과 윈도우(W)를 서로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고정부(300)가 지지부(100)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DE)의 윈도우(W)의 제1 영역(DA, 도 12 참조)의 일부를 고정시키고, 윈도우 가압부(500)가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을 순간 가압하여, 윈도우(W)와 표시 패널(P) 사이를 일부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다시 윈도우 가압부(500)가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을 제1 방향(Z축)을 따라 하측으로 누른 상태에서, 분리 스틱(900)이 윈도우(W)와 표시 패널(P) 사이에 삽입되어 윈도우(W)와 표시 패널(P)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10)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지지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윈도우 고정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윈도우 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윈도우 가압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윈도우 가압부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표시 패널 스토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표시 패널 스토퍼의 저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표시 패널 스토퍼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1의 분리 스틱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100)는 윈도우(W)와 표시 패널(P)을 분리하는 동안 표시 장치(DE, 도 1 참조)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부(100)는 윈도우(W, 도 1 참조)와 서로 마주보면서 윈도우(W, 도 1 참조)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표시 장치(DE, 도 1 참조)의 윈도우(W, 도 1 참조)가 지지부(100) 위에 위치하고, 윈도우(W, 도 1 참조) 위에 표시 패널(P, 도 1 참조)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00)는, 윈도우(W, 도 1 참조)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수용홈(130)을 가질 수 있다. 수용홈(130)은 윈도우(W, 도 1 참조)의 형성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윈도우(W, 도 1 참조)와 표시 패널(P, 도 1 참조)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윈도우(W, 도 1 참조)가 움직이지 않도록 윈도우(W)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W, 도 1 참조)는 양측 단부가 제1 방향(Z축)을 따라 위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윈도우(W, 도 1 참조)의 형상에 대응되어, 지지부(100)의 수용홈(130)의 양측 내측면은 제1 방향(Z축)을 따라 위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용홈(130)은 윈도우(W, 도 1 참조)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 도 1 참조)가 편평한 평판 형상을 가진 경우에는, 지지부(100)의 수용홈(130)의 내부도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지지부(100)의 수용홈(130)의 양측 단부,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00)의 제2 방향(X축)에 위치한 수용홈(130)의 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30)은 윈도우(W, 도 1 참조)의 일부만 지지하고, 윈도우(W, 도 1 참조)의 나머지는 지지부(100)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제2 방향(X축)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DE, 도 12 참조)의 홈 버튼(Home Button) 등이 위치하는 윈도우(W, 도 12 참조)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이 지지부(1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100)는 윈도우(W, 도 1 참조)를 지지하는 동안, 윈도우(W, 도 1 참조)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부(100)는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윈도우 고정부(300)는 제1 접촉바(320) 및 제2 접촉바(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바(320) 및 제2 접촉바(340)는 윈도우(W, 도 1 참조)의 양측 단부를 제1 방향(Z축)을 따라 하측으로 눌러, 윈도우(W, 도 1 참조)를 지지부(100)의 수용홈(130)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윈도우(W, 도 1 참조)의 양측 단부는 제3 방향(Y축)을 따라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윈도우(W, 도 1 참조)의 가장자리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고정부(300)의 제1 접촉바(320) 및 제2 접촉바(340)는 표시 장치의 윈도우(W, 도 1 참조)하고만 접촉하고, 제1 접촉바(320) 및 제2 접촉바(340)는 표시 패널(P, 도 1 참조)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제1 접촉바(320) 및 제2 접촉바(340)는 제2 방향(X축)을 따라 길게 연장된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DE, 도 1 참조)의 윈도우(W, 도 1 참조)가 제2 방향(X축)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므로, 윈도우(W, 도 1 참조)의 형상에 대응되어 제1 접촉바(320) 및 제2 접촉바(340)도 제2 방향(X축)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윈도우(W, 도 1 참조)의 상기 단부와 접촉하는 제1 접촉바(320)의 하측 단면은 편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W, 도 1 참조)의 단부와 균일하게 접촉하기 위해, 제1 접촉바(320)의 하측 단면은 편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바(320)와 마찬가지로, 제2 접촉바(340)의 하측 단면도 편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접촉바(320) 및 제2 접촉바(340)는 접촉하는 윈도우(W, 도 1 참조)의 단부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비교적 무른(soft)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촉바(320) 및 제2 접촉바(340)는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접촉바(320) 및 제2 접촉바(34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접촉바(320) 및 제2 접촉바(340)는 각각 제1 고정판(310) 및 제2 고정판(3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접촉바(320)는 제1 고정판(310)에 결합되고, 제2 접촉바(340)는 제2 고정판(3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판(310)은 제1 방향(Z축) 및 제3 방향(Y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고정판(310)은 제1 방향(Z축)인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고정판(310)은 제3 방향(Y축)인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판(330)도 제1 방향(Z축)인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3 방향(Y축)인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고정판(310) 및 제2 고정판(330)에는 제1 고정판(310) 및 제2 고정판(330)을 상기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구동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동부(미도시)는 구동모터, 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DE, 도 1 참조)가 지지부(100) 위에 놓여지기 전에는, 제1 고정판(310) 및 제2 고정판(330)은 제3 방향(Y축)을 따라 이동하여 서로 멀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표시 장치(DE, 도 1 참조)가 지지부(100) 위에 위치하면, 제1 고정판(310) 및 제2 고정판(330)은 제3 방향(Y축)을 따라 이동하여 제1 고정판(310) 및 제2 고정판(330)의 간격이 윈도우(W)의 폭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고정판(310) 및 제2 고정판(330)이 제1 방향(Z축)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 고정판(310) 및 제2 고정판(330)에 각각 결합된 제1 접촉바(320) 및 제2 접촉바(340)가 윈도우(W, 도 1 참조)의 양측 단부를 제1 방향(Z축)을 따라 하측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윈도우(W, 도 1 참조)가 지지부(100)의 수용홈(13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접촉바(320)는 두 개의 접촉바(321, 3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접촉바(321, 323)는 제2 방향(X축)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접촉바(340)도 두 개의 접촉바(341,3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접촉바(341,343)는 제2 방향(X축)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접촉바(320)는 하나의 접촉바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3개 이상의 분할된 접촉바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접촉바(340)도 제1 접촉바(32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윈도우 가압부(500)는 제1 방향(Z축)을 따라 하측으로 윈도우(W, 도 12 참조)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을 가압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가압부(500)는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윈도우 가압부(500)는 윈도우(W, 도 12 참조)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에 순간적인 충격을 가하거나, 윈도우 가압부(500)가 윈도우(W, 도 12 참조)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을 하측 방향으로 계속 눌러,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이 제1 방향(Z축)을 따라 하측으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가압부(500)는 제1 가압 부재(510), 제2 가압 부재(530) 및 감지 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는 윈도우(W, 도 12 참조)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과 접촉하여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는 제3 방향(Y축)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510)는 제1 바형 부재(511) 및 제1 가압 팁(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형 부재(511)는 제1 방향(Z축)을 따라 연장된 바(bar) 형상의 부재로서, 제1 가압 팁(513)을 통해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을 가압할 수 있다. 제1 바형 부재(511)는 제1 가압 팁(513)에 일정한 힘을 전달하기 위해, 비교적 강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형 부재(511)는 스틸, 알루미늄, SU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바형 부재(531)도 제1 방향(Z축)을 따라 연장된 바(bar)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제2 바형 부재(531)의 단부에는 제2 가압 팁(533)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압 팁(513) 및 제2 가압 팁(533)은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윈도우(W)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압 팁(513) 및 제2 가압 팁(533)은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가압부(500)는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에 의해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에 전달되는 힘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가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에 전달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가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에 힘을 전달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에 일정한 힘을 가하는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가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과 접촉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가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에 10kgf의 힘을 가할 때,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가 0.5 초 동안 힘을 가할지, 1초 동안 힘을 가할지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는 가압판(55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판(550)은 판형 부재로서, 가압판(550) 하부에 부착된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를 동시에 제1 방향(Z축)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감지 센서(540)는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감지 센서(540)는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가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2 참조)에 정확하게 접촉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 센서(540)는 제1 가압 팁(513) 및 제2 가압 팁(533)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전달 받은 제어부(미도시)는 제1 가압 팁(513) 및 제2 가압 팁(533)이 정확한 위치에 도달한 지를 판단하게 된다. 제1 가압 팁(513) 및 제2 가압 팁(533)의 위치가 잘못된 경우, 제1 가압 팁(513) 및 제2 가압 팁(533)을 이동시켜 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감지 센서(540)는 제1 가압 팁(513) 및 제2 가압 팁(533)과 윈도우(W) 사이에 예상하지 않는 물체가 나타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손을 제1 가압 팁(513) 및 제2 가압 팁(533)과 윈도우(W) 사이에 넣은 경우, 감지 센서(540)가 작업자의 손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 센서(540)는 이러한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여,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의 동작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가압부(500)는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구동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구동부(미도시)는 구동모터, 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부(100) 위에 위치한 윈도우(W) 위에는 표시 패널 스토퍼(700)가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 스토퍼(700)는 윈도우(W) 위에 위치한 표시 패널(P)로부터 제1 방향(Z축)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 스토퍼(700)는 표시 패널(P) 위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 스토퍼(700)는 표시 패널(P)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 스토퍼(700)는 표시 장치(DE)의 윈도우(W)와 표시 패널(P)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P)이 윈도우(W)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순간, 표시 패널(P)이 지지부(100)를 벗어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 스토퍼(700)가 표시 패널(P) 위에 위치하여, 표시 패널(P)이 윈도우(W)로부터 분리된 후, 표시 패널(P)이 윈도우(W) 위에 놓이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윈도우(W)의 양측 단부가 제1 방향(Z축)을 따라 위로 휘어진 형상을 갖는 경우, 윈도우(W)에 부착된 표시 패널(P)도 양측 단부가 제1 방향(Z축)을 따라 위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윈도우(W)로부터 표시 패널(P)이 분리되는 순간, 표시 패널(P)이 편평한 상태로 펼쳐지려는 복원력에 의해 표시 패널(P)이 윈도우(W)로부터 튕겨져 나갈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 스토퍼(700)가 표시 패널(P) 상부에 위치하여 표시 패널(P)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 스토퍼(700)는 제1 플레이트(710) 및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710)는 판형 부재로서, 제1 플레이트(710)에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부(730)가 배치될 수 있다.
충격 흡수부(730)는 윈도우(W)로부터 분리된 표시 패널(P)과 직접 충돌하여, 표시 패널(P)이 지지부(100)로부터 벗어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충격 흡수부(730)는 표시 패널(P)로부터 발생한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P)과 충격 흡수부(730)가 접촉할 때 표시 패널(P)에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충격 흡수부(730)는 접촉판(731), 몸통(735), 탄성 부재(739) 및 체결 부재(737)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판(731)은 충격 흡수부(730)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여 표시 패널(P)과 직접 접촉하는 부재일 수 있다. 접촉판(731)은 접촉하는 표시 패널(P)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판(731)은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739)는 제1 플레이트(710)를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739)는 체결 부재(737)에 의해 제1 플레이트(7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739) 내에는 탄성체인 스프링이 위치할 수 있다.
몸통(735)은 탄성 부재(739)를 관통하는 부재로서, 몸통(735)의 일측 단부에는 접촉판(731)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촉판(731)이 표시 패널(P)과 충격된 경우, 접촉판(731)에 결합된 몸통(735)이 제1 방향(Z축)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몸통(735)과 결합된 탄성 부재(739)에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 흡수부(730)는 복수개로 제1 플레이트(71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격 흡수부(730)가 6개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충격 흡수부(730)는 6개 미만 또는 6개를 초과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충격 흡수부(730)는 접촉판(731)을 통해 표시 패널(P)을 흡착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판(731)에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표시 패널(P)을 진공 흡착하여, 표시 패널(P)을 표시 패널 스토퍼(7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P)이 윈도우(W)로부터 분리된 후, 다시 표시 패널(P)이 윈도우(W) 위에 놓여지게 되는데, 충격 흡수부(730)가 표시 패널(P)을 흡착 고정시켜 표시 패널(P)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분리 스틱(900)은 표시 패널(P)과 윈도우(W) 사이에 삽입되어 표시 패널(P)과 윈도우(W)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분리 스틱(900)은, 스틱 몸체(930)의 일측 단부에 제1 경사면(910)을 가질 수 있다. 스틱 몸체(930)는 제2 방향(X축)을 따라 연장된 바(bar) 형 부재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틱 몸체(930)는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분리 스틱(900)의 제1 경사면(910)에 의해, 분리 스틱(900)의 일측 단부가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분리 스틱(900)의 일측 단부가 표시 패널(P)과 윈도우(W)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면(910)은 제1 방향(Z축)을 따라 상측으로 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스틱(900)이 표시 패널(P)과 윈도우(W)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분리 스틱(900)의 제1 경사면(910)은 표시 패널(P) 측으로 향할 수 있다. 즉, 분리 스틱(900)의 제1 경사면(910)이 표시 패널(P)을 상측으로 밀면서, 분리 스틱(900)이 표시 패널(P)과 윈도우(W) 사이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분리 스틱(900)은 표시 패널(P)과 윈도우(W)를 서로 분리하기 위해, 분리 스틱(900)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 스틱(90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1 내지 도 21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분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표시 패널 스토퍼, 윈도우 고정부 및 지지부가 결합된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12 내지 도 15는 표시 장치를 분해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6 내지 도 21은 표시 장치를 분해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DE)를 지지부(100) 위에 위치시키기 전에, 점착 필름(AF, 도 16 참조)에 의해 윈도우(W)와 표시 패널(P)이 서로 결합된 표시 장치(DE)를 냉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DE)를 -70 ℃ ∼ -100 ℃로 냉각시킬 수 있다. 윈도우(W)와 표시 패널(P)을 서로 결합시키는 점착 필름(AF, 도 16 참조)은 상기 온도 범위에서 점착력이 감소될 수 있다. 즉, 미리 점착 필름(AF, 도 16 참조)을 상기 온도 범위로 냉각시켜, 윈도우(W)와 표시 패널(P)을 서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점착 필름(AF)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OCR(optical clear resin) 및 PSA(pressure sensitivity adhesive) 중 하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온도 범위로 냉각된 표시 장치(DE)를 지지부(100)에 위치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DE)의 윈도우(W)를 지지부(100)의 수용홈(130) 내에 위치시킨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윈도우(W)를 지지부(100)의 수용홈(130) 내에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윈도우 고정부(300)가 윈도우(W)의 양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윈도우 고정부(300)가 윈도우(W)의 제1 영역(DA)의 일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고정부(300)의 제1 접촉바(321) 및 제2 접촉바(341)가 윈도우(W)의 양측 단부를 제1 방향(Z축)을 따라 하측으로 눌러 윈도우(W)를 지지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가압부(500)의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가 윈도우(W)의 제2 영역(PA)을 가압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510) 및 제2 가압 부재(530)는 제1 방향(Z축)을 따라 하측으로 윈도우(W)의 제2 영역(PA)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제2 가압 부재(530)가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7 참조)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제2 가압 부재(530)는 제1 방향(Z축)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제2 영역(PA, 도 17 참조)에 순간적인 충격을 가할 수 있다. 제2 가압 부재(530)는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7 참조)에 8 kgf ∼ 12 kgf을 가할 수 있다. 제2 가압 부재(530)는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7 참조)에 약 1초 정도 상기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압 부재(530)는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7 참조)의 단부가 수평선(L)에 대해 하측으로 제1 깊이(D1)로 내려가도록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제1 깊이(D1)는 3 mm ∼ 8 m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70 ℃ ∼ -100 ℃로 냉각된 표시 장치(DE)의 윈도우(W)의 제2 영역(PA)에 순간적인 충격을 가하면, 제2 영역(PA)에 인접한 제1 영역(DA)에 위치한 표시 패널(P)과 윈도우(W) 사이에 박리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압 부재(530)가 윈도우(W)의 제2 영역(PA)에 순간적인 충격을 가한 후, 제2 가압 부재(530)는 다시 원위치로 상승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원위치로 상승된 제2 가압 부재(530)가 다시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7 참조)을 가압한다. 이때, 제2 가압 부재(530)는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7 참조)을 제1 방향(Z축)을 따라 하측으로 천천히 누른다. 이에 의해, 윈도우(W)의 제2 영역(PA)은 제1 방향(Z축)을 따라 하측으로 3 mm ∼ 8 mm 정도로 내려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압 부재(530)가 윈도우(W)의 제2 영역(PA, 도 17 참조)을 하측으로 누른 상태에서, 분리 스틱(900)이 제2 방향(X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분리 스틱(900)은 제2 방향(X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표시 패널(P)과 윈도우(W)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가압 부재(530)가 표시 패널(P)과 윈도우(W) 사이를 일부 박리시켜 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분리 스틱(900)은 박리된 표시 패널(P)과 윈도우(W)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P)과 윈도우(W) 사이에 위치한 점착 필름(AF) 중 일부 점착 필름(AF1)은 표시 패널(P) 측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스틱(900)이 제2 방향(X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면, 점착 필름(AF)과 표시 패널(P)이 서로 분리되면서, 표시 패널(P)이 윈도우(W)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P)과 윈도우(W) 사이에 위치한 점착 필름(AF)은, 제2 가압 부재(530)에 의한 순간적인 충격에 의해 점착 필름(AF1)은 윈도우(W)와 분리되고, 점착 필름(AF1)이 표시 패널(P)에 잔존할 수 있다(도 16 참조). 그리고 나라서, 제1 경사면(910)을 갖는 분리 스틱(900)을 제2 방향(X축)을 따라 이동시키면, 점착 필름(AF)은 표시 패널(P)과 분리되고 점착 필름(AF)은 윈도우(W)에 잔존하게 된다(도 21 참조).
하기에서는, 도 22 및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23은 도 22의 지지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4는 도 23의 지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은, 도 1의 지지부(100), 윈도우 고정부(300), 표시 패널 스토퍼(700), 윈도우 가압부(500) 및 분리 스틱(900) 이외에, 냉각부(200), 하우징(400) 및 팬-필터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400)은 외부로부터 밀폐된 공간을 갖는 구조물로서, 도 1의 지지부(100), 윈도우 고정부(300), 표시 패널 스토퍼(700), 윈도우 가압부(500) 및 분리 스틱(900)이 하우징(4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400)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 내에 도 1의 지지부(1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지지부(100), 윈도우 고정부(300), 표시 패널 스토퍼(700), 윈도우 가압부(500) 및 분리 스틱(900)이 하우징(400) 내에 배치됨으로써, 윈도우(W, 도 1 참조)와 표시 패널(P, 도 1 참조)을 서로 분리시키는 동안, 냉각된 윈도우(W, 도 1 참조)와 표시 패널(P, 도 1 참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윈도우(W, 도 1 참조)와 표시 패널(P, 도 1 참조)을 서로 부착시키는 점착 필름(AF, 도 16 참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0)은 윈도우(W, 도 1 참조)와 표시 패널(P, 도 1 참조)을 서로 분리시키는 동안, 윈도우(W, 도 1 참조) 또는 표시 패널(P, 도 1 참조)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400) 하부에는 표시 장치(DE)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냉각부(200)는 지지부(100)와 접촉하여 지지부(100)를 냉각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히트 파이프 등의 열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물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냉각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E)를 -70 ℃ ∼ -100 ℃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냉각부(200)의 상측면은 지지부(10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부(200)는 열전도에 의해 지지부(1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부(200)는 지지부(100)와 접촉되도록, 지지부(100)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수용홈(130)이 형성된 몸체(110)가 냉각부(20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몸체(110)는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여, 냉각부(200)에 의해 몸체(110), 즉 지지부(100)가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10)는 Cu 및 Al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부(200)가 지지부(100)와 직접 접촉한 채로 지지부(100)를 냉각시킴에 따라, 지지부(100)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DE)를 냉각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표시 장치(DE)를 냉각시킨 후, 표시 장치(DE)를 지지부(100) 위로 이동시키는 공정이 생략됨에 따라,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부(200)는 윈도우(W, 도 1 참조)와 표시 패널(P, 도 1 참조)을 서로 분리시키는 동안 점착 필름(AF, 도 16 참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점착 필름(AF, 도 16 참조)의 점착력이 감소되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팬-필터부(800)가 하우징(400) 상측에 배치되어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팬-필터부(800)는 하우징(400) 상측에서 바람을 발생시켜 하우징(400) 내의 기류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400) 내의 이물질 등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물질이 기류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물질이 윈도우(W, 도 1 참조)와 표시 패널(P, 도 1 참조)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팬-필터부(800)는 N2 또는 CDA(Clean Dry Air)를 하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부(200)에 의해 하우징(400) 내부에 성에가 형성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24를 참조하면, 몸체(110)에는 복수의 수용홈(131, 133, 1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부(100)에는 복수의 표시 장치(DE, 도 1 참조)가 배치되어, 동시에 복수의 표시 장치(DE, 도 1 참조)의 윈도우(W, 도 1 참조)와 표시 패널(P, 도 1 참조)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DE 표시 장치
W 윈도우
P 표시 패널
AF 점착 필름
100 지지부
130 수용홈
300 윈도우 고정부
320 제1 접촉바
340 제2 접촉바
500 윈도우 가압부
510 제1 가압 부재
530 제2 가압 부재
700 표시 패널 스토퍼
710 제1 플레이트
730 충격 흡수부
900 분리 스틱

Claims (25)

  1.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을 분리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로서,
    상기 윈도우와 마주보며, 상기 윈도우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위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윈도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윈도우 고정부;
    상기 지지부 위에 배치되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표시 패널 스토퍼;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 영역과 교차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 영역을 가압하는 윈도우 가압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며 상기 윈도우의 제2 영역과 나란한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삽입 가능한 분리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스토퍼는,
    상기 표시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접촉판 및 상기 접촉판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윈도우의 형상과 대응되며 상기 윈도우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을 갖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고정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 영역의 양측 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바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위로 휘어진,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바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스토퍼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스토퍼는, 상기 표시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은 상기 표시 패널을 흡착 고정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가압부는,
    상기 제2 영역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상기 제2 영역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바형 부재 및
    상기 바형 부재에 결합되며, 연성 물질을 포함하는 가압 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2 영역에 8 kgf ∼ 12 kgf을 가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가압부에 의해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범위는, 3 mm ∼ 8 mm 인,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스틱은, 일측 단부에 제1 경사면을 갖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스틱의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지지부를 -70 ℃ ∼ -100 ℃로 냉각시키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Cu 및 Al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20.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 영역 위에 배치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냉각시키는 단계;
    윈도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윈도우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상기 윈도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
    윈도우 가압부에 의해,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 영역과 교차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 영역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며 상기 윈도우의 제2 영역과 나란한 제2 방향을 따라, 분리 스틱을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를 냉각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지부 위에 상기 표시 장치를 배치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를 냉각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지부 위에 상기 표시 장치를 배치한 후에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고정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 영역의 양측 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바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위로 휘어진,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가압부는,
    상기 제2 영역과 접촉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상기 제2 영역을 누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KR1020160128445A 2016-10-05 2016-10-05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KR10265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445A KR102650013B1 (ko) 2016-10-05 2016-10-05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US15/689,787 US10272662B2 (en) 2016-10-05 2017-08-29 System for disassembl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201710888055.4A CN107914235B (zh) 2016-10-05 2017-09-27 用于拆卸显示装置的系统和使用其拆卸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445A KR102650013B1 (ko) 2016-10-05 2016-10-05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107A KR20180038107A (ko) 2018-04-16
KR102650013B1 true KR102650013B1 (ko) 2024-03-21

Family

ID=6175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445A KR102650013B1 (ko) 2016-10-05 2016-10-05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72662B2 (ko)
KR (1) KR102650013B1 (ko)
CN (1) CN1079142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963B1 (ko) * 2016-09-29 2024-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증착 방법
KR102062348B1 (ko) * 2018-05-29 2020-01-03 (주)안마이크론시스템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
KR102603296B1 (ko) * 2018-11-07 2023-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방법 및 재제조 방법
CN109596087B (zh) * 2018-12-29 2024-01-09 苏州松翔电通科技有限公司 用于光模块平面度检测的夹具
CN111515644B (zh) * 2020-04-28 2021-07-13 青岛科技大学 一种电池拆解设备及方法
CN111613555A (zh) * 2020-05-22 2020-09-0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分离装置和分离方法
KR20220003692A (ko) * 2020-07-01 2022-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재작업 방법 및 표시 장치의 분리 장치
CN113291042B (zh) * 2021-07-06 2023-02-03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分离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008B1 (ko) 1994-11-30 1998-12-15 엄길용 평판표시패널의 패널 절단방법
JP4884592B2 (ja) * 2000-03-15 2012-02-2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の作製方法及び表示装置の作製方法
JP2001293464A (ja) 2000-04-11 2001-10-23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複合接着体の分離方法及び分離装置
KR100793699B1 (ko) * 2007-09-17 2008-01-09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의 테스트용 지그
CN102202994B (zh) * 2009-08-31 2014-03-12 旭硝子株式会社 剥离装置
JP5902406B2 (ja) * 2010-06-25 2016-04-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分離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KR101342535B1 (ko) 2011-11-14 2013-12-17 (주)스마트에이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KR20140090880A (ko) * 2013-01-10 2014-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윈도우 분리 장치 및 디스플레이 윈도우 분리 방법
TWI585028B (zh) * 2013-01-30 2017-06-01 斯克林集團公司 剝離裝置及剝離方法
CN203356953U (zh) * 2013-06-27 2013-12-25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屏幕拆卸系统
KR102149419B1 (ko) 2013-07-19 2020-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의 리워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리워킹 방법
KR20150019144A (ko) * 2013-08-12 2015-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분리 장치
CN105493631B (zh) * 2013-08-30 2017-11-24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叠层体的加工装置及加工方法
KR102064405B1 (ko) * 2014-02-04 2020-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박리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기판 박리 방법
JP6145415B2 (ja) * 2014-02-27 2017-06-1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剥離方法、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剥離装置及び剥離システム
JP6548871B2 (ja) * 2014-05-03 2019-07-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積層体の基板剥離装置
KR20160073666A (ko) * 2014-12-17 2016-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조 기판의 박리 방법
CN104647284A (zh) * 2015-03-09 2015-05-27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拆解显示模组的装置
CN205043715U (zh) * 2015-08-05 2016-02-24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触碰显示面板拆解治具
KR102405122B1 (ko) * 2015-09-10 2022-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분리 방법
CN106710442B (zh) * 2015-10-21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源分离设备
CN105922187A (zh) * 2016-06-07 2016-09-07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平面粘胶物品拆除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72662B2 (en) 2019-04-30
KR20180038107A (ko) 2018-04-16
CN107914235A (zh) 2018-04-17
US20180093466A1 (en) 2018-04-05
CN107914235B (zh)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013B1 (ko)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KR101543819B1 (ko) 시일된 유리 조립체용 베젤 패키징 및 유리 조립체
US9616647B2 (en) Device for bonding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529080B1 (ko)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KR102162790B1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용 용접기
US20160324042A1 (en) Assembly Equipment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2532626B1 (ko) 필름 박리 장치 및 방법
KR20160102767A (ko) 플렉시블 패널 곡면 합착 방법
KR102154606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제조방법
KR102167268B1 (ko) 불량 led 제거 장치
KR20150116023A (ko) 라미네이트 장치
CN103325313A (zh) 显示面板以及具有该显示面板的显示装置
US8741089B2 (en) Method for fabricating display device
US20150201503A1 (en)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CN111857444A (zh) Gff式触控屏贴合工艺及触控屏
KR20140124619A (ko) 패턴 마스크 제작을 위한 금속 시트의 고정 장치
US10618263B2 (en) Method for bonding backsheet
US20060261737A1 (en) Double-sided adhesive element for 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20003692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재작업 방법 및 표시 장치의 분리 장치
KR20180003993A (ko) 기판 협지 장치,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
KR102108993B1 (ko) 연성 인쇄회로기판
CN107632429B (zh) 一种提高液晶显示面板的强度的液晶显示模组
JP2004047143A5 (ko)
CN217358939U (zh) 一种用于led电子屏检测的定位装置
JP2007127772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