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348B1 -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348B1
KR102062348B1 KR1020180061121A KR20180061121A KR102062348B1 KR 102062348 B1 KR102062348 B1 KR 102062348B1 KR 1020180061121 A KR1020180061121 A KR 1020180061121A KR 20180061121 A KR20180061121 A KR 20180061121A KR 102062348 B1 KR102062348 B1 KR 102062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indow
bonded
stick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738A (ko
Inventor
안희태
정현만
문린철
Original Assignee
(주)안마이크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안마이크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안마이크론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61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3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02W30/6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 Y02W30/82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용 투명접착(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이하, ‘OCA’이라 함)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 일정시간 가열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가열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패널이 상부로 향하도록 로딩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냉각 지그에 로딩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를 상부에서 일정시간 눌러 냉각 온도가 냉각 플레이트가 맞닿는 면에 골고루 반영되도록 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헤드로 충격을 가하여 초기 박리하는 제4 단계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 위치에서 압축공기를 불어넣는 제5 단계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에 스틱을 전진시켜 윈도우와 패널을 분리시키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수행하거나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 구성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상기 패널을 손상이 없는 상기 패널을 재활용하게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는 부품의 수율을 높일 수 있어 제조 원가 절감과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Method for separating Reusable Panel from Window and Panel bonded by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and Apparatus for that Method}
본 발명은 광학용 투명접착(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이하, ‘OCA’이라 함)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 80℃ 이상의 열로 일정시간 가열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가열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를 -50℃ 이하의 극저온의 냉각 플레이트가 설치된 냉각 지그에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패널이 상부로 향하도록 로딩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냉각 지그에 로딩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를 상부에서 일정시간 눌러 냉각 온도가 냉각 플레이트가 맞닿는 면에 골고루 반영되도록 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헤드로 충격을 가하여 초기 박리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초기 박리된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 위치에서 압축공기를 불어넣는 제5 단계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에 스틱을 전진시켜 윈도우와 패널을 분리시키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수행하거나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 구성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상기 패널을 손상이 없는 상기 패널을 재활용하게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는 부품의 수율을 높일 수 있어 제조 원가 절감과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부품들도 고기능화, 고급화되고 그에 따라 가격도 고가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자제품의 제조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경우, 그 제품을 그대로 폐기한다면 자원소모와 환경오염의 문제뿐만 아니라 경제적 손실도 크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고가의 전자기기 구성부품의 일례로서 터치 패널(touch panel)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펜 등의 물리적 접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상기 터치 패드에 보호용 윈도우를 부착하는 작업공정에서 먼지 등에 의한 오염이 발생하거나 또는 배치 위치 오차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긴다. 상기와 같이 불량이 생기더라도 손상이 없는 터치 패널 등은 재활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재활용의 필요성은 터치 패널뿐만 아니라 다른 부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윈도우와 매우 견고하게 접착하기 위하여 OCA 필름을 사용하고 있고, 상기 OCA 필름에 의하여 윈도우에 접착된 패널은 손상이 없는 부품, 즉 패널 또는 윈도우를 재활용 하기 위하여 분리 작업을 행하는데, 분리작업을 행하는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은 상기 패널 또는/및 윈도우가 손상될 수 있다. 만약, 터치 패널이 분리되지 않거나, 분리 과정에서 손상되게 되면 고가의 성능에 이상이 없었던 고가의 상기 패널 또는/및 윈도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손실을 입게 된다. 한편, 손상 없이 패널이 분리된다고 하더라도 분리된 상기 패널 또는/및 윈도우에 접착제의 잔존물이 존재하게 되면 분리된 상기 패널 또는/및 윈도우를 재활용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윈도우 또는 패널을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으로서,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OCA 필름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 과정에 잔여물이 남아있어 화학 약품을 이용하여 제거해야 하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거나 이로 인해 상기 윈도우 또는 패널이 OCA 필름과 함께 박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베젤부에 잉크가 도포된 경우 상기 OCA 필름 박리 시에 도포된 잉크가 OCA 필름과 함께 박리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재활용 성공률이 10~20%이내인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윈도로부터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 패널 등을 분리하는 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89990호 및 10-2017-0130286호 등으로 제안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 80℃ 이상의 열로 일정시간 가열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가열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를 -50℃ 이하의 극저온의 냉각 플레이트가 설치된 냉각 지그에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패널이 상부로 향하도록 로딩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냉각 지그에 로딩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를 상부에서 일정시간 눌러 냉각 온도가 냉각 플레이트가 맞닿는 면에 골고루 반영되도록 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헤드로 충격을 가하여 초기 박리하는 제4 단계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 위치에서 압축공기를 불어넣는 제5 단계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에 스틱을 전진시켜 윈도우와 패널을 분리시키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수행하여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상기 패널을 재활용하게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는 부품의 수율을 높일 수 있어 제조 원가 절감과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패널을 분리하여 상기 패널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있어서, 80℃ 이상의 열로 일정시간 가열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를 -50℃ 이하의 극저온의 냉각 플레이트가 설치된 냉각 지그에 상기 패널이 상부로 향하도록 로딩하는 윈도우 냉각부와, 상기 냉각 지그에 로딩된 상기 윈도우를 상부에서 일정시간 눌러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가 냉각 플레이트와 접촉되게 하여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의 접촉면에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냉각 온도가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는 윈도 가이드부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헤드로 충격을 가하여 초기 박리하는 프레스 헤드부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에 스틱을 전진시켜 상기 윈도와 패널을 분리시키는 스틱부등으로 구성하여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상기 패널을 재활용하게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는 부품의 수율을 높일 수 있어 제조 원가 절감과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은,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상기 패널을 분리하여 상기 패널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 상기 OCA 필름이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기 OCA 필름이 녹아버려 상기 OCA 필름이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80~150℃로 20-30초 가열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가열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를 -50℃ 이하의 극저온의 냉각 플레이트가 설치된 냉각 지그에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패널이 상부로 향하도록 로딩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냉각 지그에 로딩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를 상부에서 일정시간 눌러 냉각 온도가 냉각 플레이트가 맞닿는 면에 골고루 반영되도록 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헤드로 충격을 가하여 초기 박리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초기 박리된 상태에서 위치확인봉을 하강시켜 상기 패널의 표면과 맞닿게 하여 상기 위치확인봉의 단부 높이가 상기 프레스 헤드의 단부 높이보다 높은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로부터 초기 박리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위치확인봉에 의하여 초기 박리가 정상적으로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초기 박리된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스틱의 직상부에 설치된 압축공기 분사부가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 위치에 수평으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박리가 더욱 진행되도록 하는 제6 단계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에 상기 스틱을 상향 경사지게 전진시켜 윈도우와 패널을 분리시키는 제7 단계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장치는,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상기 패널을 분리하여 상기 패널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 상기 OCA 필름이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기 OCA 필름이 녹아버려 상기 OCA 필름이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80~150℃로 20-30초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를 -50℃ 이하의 극저온의 냉각 플레이트가 설치된 냉각 지그에 상기 패널이 상부로 향하도록 로딩하는 윈도우 냉각부와, 상기 냉각 지그에 로딩된 상기 윈도우를 상부에서 일정시간 눌러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가 냉각 플레이트와 접촉되게 하여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의 접촉면에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냉각 온도가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는 윈도우 가이드부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헤드로 충격을 가하여 초기 박리하는 프레스 헤드부와, 상기 초기 박리된 상태에서 위치확인봉을 하강시켜 상기 패널의 표면과 맞닿게 하여 상기 위치확인봉의 단부 높이가 상기 프레스 헤드의 단부 높이보다 높은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로부터 초기 박리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위치확인부와, 상기 위치확인봉에 의하여 초기 박리가 정상적으로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초기 박리된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 위치에 수평으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박리가 더욱 진행되도록 하는 스틱의 직상부에 설치된 압축공기 분사부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패널이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스틱의 앞부분의 높이보다 상기 스틱의 뒷부분의 낮게 조절하여 상기 스틱이 전진할 때 상향 경사지게 전진하게 하는 스틱부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틱부가 상기 스틱의 앞 부분의 높이를 초기 박리된 상태에서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에 위치하게 조절하는 스틱 앞부 조절부와, 상기 스틱의 뒷 부분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스틱의 최종 진입 후 상기 스틱의 진입 높이를 조절하는 스틱 뒷부 조절부가 포함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적정 온도가 -50~-150℃이며, 상기 냉각 유지 시간은 70~18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는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상기 윈도우를 분리하여 손상이 없는 상기 패널을 재활용하게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는 부품의 수율을 높일 수 있어 제조 원가 절감과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스 헤드부에 의하여 상기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헤드로 충격을 가한 후, 상기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상기 윈도우와 상기 패널의 경계면 위치에서 압축공기를 불어넣는 압축공기 분사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윈도우로부터 패널의 초기 박리시 윈도우와 패널의 사이에 박리를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장치의 초기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윈도우 냉각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하강된 상태의 윈도우 가이드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프레스 헤드부가 하강하여 초기 박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스틱부가 전진하여 패널을 완전히 박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에 따른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W)에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본체부(M)와 상기 본체부(M)의 양측에 기능 버튼 등이 인쇄되어 있는 베젤부(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윈도우(W)의 본체부(M)에는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P)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윈도우(W)의 베젤부(B)에는 상기 패널(P)이 접착되어 있지 않고 인쇄된 잉크(IN)가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도포된 잉크(IN)의 표면 일부에는 OCA 필름이 접착되어 있다. 즉, 상기 OCA 필름은 상기 윈도우(W)의 본체부(M) 전체와 상기 본체부(M)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젤부(B)의 일부까지 접착되어 있다[일예로 상기 본체부(M)와 상기 베젤부(B)의 경계선에서 1mm 정도 상기 베젤부(B)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로부터 재활용할 패널(P)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이하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라고 하고, 패널이 접착되지 않은 윈도우 자체는 ‘윈도우(W)’라 함]에서 패널(P)을 분리하여 손상이 없는 상기 패널(P)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0)에 다수개가 배치되고, 각 장치(100)에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를 각각 배치하여 동시에 다수개의 패널(P)을 분리하여 그 다수개의 패널(P)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패널(P)을 분리하여 손상이 없는 상기 패널(P)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100)는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를 80℃ 이상의 열로 일정시간 가열하는 전기 오븐 등과 같은 가열 장치(미도시)와, 상기 가열장치(미도시)에 의하여 80℃ 이상의 열로 일정시간 가열된 상기 윈도우(WP)에서 상기 OCA 필름의 접착력을 약화하기 위하여 -50℃ 이하의 극저온으로 냉각하는 냉각장치(미도시)와, 상기 냉각장치(미도시)로부터 냉각된 냉각에너지를 전달 받아 표면 온도가 -50℃ 이하로 되는 냉각 플레이트(11)가 설치된냉각지그(12)에 패널(P)가 상부로 향하도록 로딩하는 윈도우냉각부(10)와, 상기 냉각 지그(12)에 로딩된 상기 윈도우(WP)를 상부에서 일정시간 눌러 상기 윈도우(WP)가 냉각 플레이트(11)와 접촉되게 하여 상기 윈도우(WP)의 접촉면에 상기 냉각 플레이트(11)의 냉각 온도가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는 윈도우 가이드부(30)와,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헤드(41)로 충격을 가하여 초기 박리하는 프레스 헤드부(40)와,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윈도우(W)와 패널(P)의 경계면에 스틱(51)을 전진시켜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로부터 패널(P)을 분리시키는 스틱부(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스 헤드부(40)에 의하여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가장자리를 상기 프레스 헤드(41)로 충격을 가한 후,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윈도우(W)와 패널(P)의 경계면 위치에서 압축공기를 불어넣는 압축공기 분사부(47)를 더 구비한다. 그 외 작업자가 전공정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반(미도시) 구비한다.
상기 가열장치(미도시)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다수개의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를 넣은 후 80~150℃로 20-30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뒤 수작업으로 배출하여 다음 공정인 윈도우 냉각부(10)로 이송한다. 상기 가열 단계에서 온도가 80℃ 미만일 경우 OCA 필름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고, 또한 상기 온도가 150℃를 초과하여 가열할 경우 상기 OCA 필름이 녹아버려 OCA 필름의 분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열 온도가 80~150℃ 상태하에서 가열시간이 20초 미만일 경우 OCA 필름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고, 30초 이상일 경우 상기 OCA 필름이 녹아버려 OCA 필름의 분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작업자는 가열이 완료된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를 방열 장갑 등을 이용하여 상기 윈도우 냉각부(10)로 이송할 때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가 60℃ 이상으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윈도우 냉각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설치된 상기 냉각장치(미도시)로부터 냉각된 냉각 에너지를 전달 받아 표면 온도가 -50℃ 이하로 되어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패널(P)이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냉각플레이트(미도시)와,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를 양측에서 로딩하는 냉각 지그(12)와, 상기 냉각 지그(12)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상기 냉각 에너지가 손실이 없도록 단열하는 냉각 지그용 단열부(13)와,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폭에 따라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양측을 지지하는 냉각 지그 측면 가이드(14) 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11)의 표면과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윈도우(W)의 표면이 되고 상기 냉각 에너지는 상기 윈도우(W)의 표면에 전달된다. 상기 냉각 지그(12)에 성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 지그(12)의 상부에 진공 후드 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정기적 또는 수시로 성애 제거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지그(12)는 상기 윈도우(WP) 길이나 폭이 기존 사양과 다른 경우 상기 냉각 지그(12)를 상기 윈도우(WP)의 사양에 맞는 냉각 지그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냉각 플레이트(11)는 -50~-15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고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하부면, 즉 패널(P)을 70~180초 정도 급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 플레이트(11)의 온도가 -50보다 높을 경우 상기 OCA 필름이 잘 경화되지 않아 분리하기가 어렵고, -150℃보다 낮은 경우 상기 패널(P)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급냉시키는 시간도 70초보다 작을 경우 상기 OCA 필름이 잘 경화되지 않아 분리하기가 어렵고, 180초가 경과하는 경우 상기 패널(P)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상기 패널(P)를 분리하기 위한 초기 박리 공정에서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가장자리, 즉 도 1의 아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 부(B)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헤드(41)로 충격을 가해야 하는데,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사양에 따라 윈도우(WP)의 베젤부(B) 부분이 상기 냉각 지그(12)의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를 달리 해야 하고, 이를 위하여 후면 스토퍼부(20)를 구비한다. 상기 후면 스토퍼부(20)는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를 길이 방향으로 후면을 밀면서 전면의 노출 정도를 베젤부 경계선에서 윈도우 방향으로 통상 6mm (도 4에서의 L=6mm) 정도가 상기 냉각 지그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사양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후면 스토퍼부(20)는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를 길이 방향으로 후면을 밀면서 상기 스틱 공정에서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후면 스토퍼(21)과 상기 후면 스토퍼(21)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후면 스토퍼 실린더(22)로 구성된다. 상기 후면 스토퍼부(20)는 윈도우(WP)의 사양에 따라 윈도우(WP)의 길이가 상기 후면 스토퍼(21)가 커버할 수 없는 정도일 경우 상기 스토퍼 실린더(22)를 이동시켜 적용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윈도우 가이드부(30)는 하강된 상태의 정면도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 지그(12)에 로딩된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양측면을 상부에서 가볍게 접촉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31)와,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내부 표면을 6개의 패드(32a)를 사용하여 누르는 중앙 누름부(32)와, 상기 한 쌍의 측면 가이드(31)의 지지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33)과, 상기 측면 가이드(31)와 상기 중앙 누름부(32)를 상하로 조절하는 Z축 로봇(36)과, 상기 측면 가이드(31)와 상기 중앙 누름부(32)를 X축 및 Y축 변위를 조절하는 X축 조절부(35) 및 Y축 조절부(34)로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측면 가이드(31)는 상기 윈도우(WP)의 사양에 따라 적용 가능하도록간격을조절할수있고,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양측면을 상부에서 가볍게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윈도우(WP)의 하부면인 상기 패널(P)에 상기 냉각 플레이트(11)의 냉각 온도가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고 냉각으로 인한 상기 윈도우(WP)의 비틀림 변형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중앙 누름부(32)는 상기 스틱(51)에 의하여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패널(P)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가 상기 냉각 지그(12)의 외부로 이탈되어 상기 패널(P)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스 헤드부(40)는 하강된 상태의 측면도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헤드(41)로 충격을 가하여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패널(P)를 초기 박리하는 프레스 헤드(41)와, 초기 박리시 윈도우(W)의 박리가 정상적으로 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42)와, 상기 위치 확인부(42)의높이를조절하는위치확인부조절부(43)와, 상기 프레스 헤드(41)의 높이를 조절하는 Z축 로봇(46)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스 헤드(41)의 폭을 윈도우 사양에 맞게 조절한 상태에서 하강하여 도 1의 아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가장자리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상기 패널(P)를 초기 박리한다. 상기 프레스 헤드(41)는 폭 방향으로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윈도우(WP)의 사양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프레스 헤드(41)는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가장자리에 충격을 가하여 패널(P)를 초기 박리한다. 즉, 상기 프레스 헤드(41)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에 충격을 가하면서 일정 길이만큼 하강하면 윈도우(W)와 패널(P) 사이의 OCA 필름이 깨지게 되고 상기 윈도우(W)의 일부가 아래로 휘어지면서 하강되어 상기 패널(P)로부터 박리가 된다. 이 때 상기 프레스 헤드(41)의 하강 속도와 하강 길이는 상기 윈도우(WP)의 사양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일예로서 대략 800mm/sec 정도의 속도로 하강하여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가장자리에 충격을 가하고 상기 프레스 헤드(41)의 하단부가 상기 가장자리면에서 `3~5mm정도 아래로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스 헤드(41)에 의하여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상기 패널(P)이 초기 박리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47)에서 윈도우(W)와 패널(P)의 경계면 위치, 즉 윈도우(W)와 패널(P)이 박리된 위치에 수평으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박리가 더욱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47)는 Z축 및 Y축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각각 압축공기 분사부 조절부(44, 45)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스 헤드(41)에 의하여 상기 윈도우(W)의 일부가 아래로 휘어지면서 하강되어 상기 패널(P)로부터 박리가 되면, 위치확인부(42)의 위치확인봉(42a)이 하강하면서 .상기 패널(P)의 표면과 맞닿게 되고 이 때 상기 위치확인봉(42a)의 높이가 상기 프레스 헤드(41)의 높이보다 높은지 여부를 위치센서(42b)가 감지하여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로부터 초기 박리가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위치확인봉(42a)의 높이가 상기 프레스 헤드(41)의 높이보다 일정 범위 이상으로 높은 경우 상기 패널(P)은 휘어지지 않고 상기 윈도우(W)만 아래로 휘어진 것이므로 정상적인 박리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위치확인봉(42a)의 높이가 상기 프레스 헤드(41)의 높이보다 일정 범위 이하인 경우 상기 패널(P)이 상기 윈도우(W)만 아래로 휘어질 때 함께 휘어진 것이므로(OCA 필름이 깨지지 않음) 정상적인 박리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위치센서(42b)에 의하여 정상적인 박리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공정인 스틱(51)을 전진하는 공정을 진행하고, 만일 상기 위치센서(42b)에 의하여 정상적인 박리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공정인 스틱(51)을 전진하는 공정을 진행하지 않고 에러 신호를 발생하여 작업자가 그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를 재작업하게 하거나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 스틱부(50)는 상기 단부가 뾰족한 스틱(51)이 전진한 상태의 측면도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부 포스트(55)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고,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길이보다 긴 상기 스틱(51)과, 상기 스틱(51) 후단부와 결합된 스틱 이동 몸체(54)와, 상기 스틱 이동 몸체(54)를 전후진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모터(53a)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틱 전후진 이동용 로봇(53)과, 상기 스틱(51)의 앞 부분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틱 앞부 조절부(52)와, 상기 스틱(51)의 뒷 부분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틱 뒷부 조절부(56a, 56b) 등이 구성된다. 여기에서 스틱 뒷부 조절부(56a)는 상기 스틱(51)의 뒷부분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고, 상기 스틱 뒷부 조절부(56b)는 상기 스틱(51)의 뒷부분의 X축 방향[윈도우(WP)의 폭 방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틱(51)을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윈도우(W)와 패널(P)의 경계면에 위치하게 하여 상기 스틱 전후진 이동용 로봇(53)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길이 방향 끝에서 5mm 정도 못미치는 위치까지 전진시키면 상기 스틱(51)에 의하여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로부터 패널(P)을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상기 스틱(51)의 앞 부분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틱 앞부 조절부(52)는 상기 스틱(51)의 초기진입 높이를 조절 할 수있는것으로서, 상기 스틱(51)의 높이를 상기 프레스 헤드(41)에 의하여 초기 박리된 상태에서 윈도우(W)와 패널(P)의 경계면에 위치하게 조절한다. 상기 스틱(51)의 뒷 부분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틱 뒷부 조절부(56)는 상기 스틱(51)의 최종 진입후 진입 높이와 X축 방향[윈도우(WP)의 폭 방향]의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높이는 상기 스틱 앞부 조절부(52)에 의하여 조절된 스틱(51)의 높이보다 낮게 조절하여 상기 스틱(51)이 전진할 때 상향 경사지게 전진하여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패널(P)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기에 설명한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로부터 재활용할 패널(P)을 분리하는 장치(100)와 도 8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가열장치(미도시)에 다수개의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를 넣은 후 80℃ 이상의 열로 일정시간 가열한다(제1 단계, S11 단계), 이 경우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가열은 80~150℃로 20-30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뒤 상기 가열된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를 수작업으로 배출하여 다음 공정인 윈도우 냉각부(10)로 이송한 다음, -50℃ 이하의 극저온의 냉각 플레이트(11)가 설치된 냉각 지그(12)에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패널(P)이 상부로 향하도록 로딩한다(제2 단계, S12 단계). 이 경우 상기 냉각 플레이트(11)는 -50~-15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고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하부면, 즉 패널(P)을 70~180초 정도 급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 지그(12)에 로딩된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 대하여 상기 윈도우 가이드부(30)의 상기 측면 가이드(31)를 이용하여 상부에서 일정시간 눌러 냉각 온도가 상기 냉각 플레이트(11)가 맞닿는 면에 골고루 반영되도록 한다(제3 단계, S13 단계).
다음으로,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가장자리를 상기 프레스 헤드(41)로 충격을 가하여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상기 패널(P)를 초기 박리한다(제4 단계, S14 단계).
다음으로,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상기 패널(P)의 박리가 더욱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초기 박리된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윈도우(W)와 패널(P)의 경계면 위치에서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47)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불어넣는다(제5 단계, S15 단계).
다음으로,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윈도우(W)와 패널(P)의 경계면에 스틱(51)을 위치하게 하여 상기 스틱(51)을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의 길이 방향 끝에서 5mm 정도 못미치는 위치까지 전진시켜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패널(P)을 완전히 분리시킨다(제6 단계, S16 단계). 이 경우 상기 중앙 누름부(32)는 상기 스틱(51)에 의하여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패널(P)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가 상기 냉각 지그(12)의 외부로 이탈되어 상기 패널(P)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패널(P)이 접착된 윈도우(WP)에서 패널(P)을 배출하여 상기 패널(P)를 시험, 검사 등의 다음 공정으로 이송한다(제7 단계, S17 단계)..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 윈도우 P: 패널
WP: 패널이 부착된 윈도우 OCA: OCA 필름
B: 베젤부 100: 패널 분리 장치
10: 윈도우 냉각부 11: 냉각 플레이트
12: 윈도우 냉각지그 13: 냉각 지그용 단열부
14: 냉각지그 측면 가이드 20: 후면 스토퍼부
21: 후면 스토퍼 22: 후면 스토퍼 실린더
30: 윈도 가이드부 31: 측면 가이드
32: 중앙 누름부 32a: 패드
33: 연결부 34: Y축조절부
35: X축 조절부 36: Z축 로봇
40: 프레스 헤드부 41: 프레스 헤드
42: 위치확인부 42a: 위치확인봉
42b: 위치센서 43: 위치확인부 조절부
44, 45: 압축공기 분사부 조절부 46: Z축 로봇
47: 압축공기 분사부 50: 스틱부
51: 스틱 52: 스틱 앞부 조절부
53: 스틱 전후진 이동용 로봇 53a: 구동모터
54: 스틱 이동 몸체 55: 스틱부 포스트
56a, 56b: 스틱 뒷부 조절부 200: 베이스 프레임

Claims (8)

  1.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상기 패널을 분리하여 상기 패널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 상기 OCA 필름이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기 OCA 필름이 녹아버려 상기 OCA 필름이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80~150℃로 20-30초 가열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가열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를 -50℃ 이하의 극저온의 냉각 플레이트가 설치된 냉각 지그에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패널이 상부로 향하도록 로딩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냉각 지그에 로딩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를 상부에서 일정시간 눌러 냉각 온도가 냉각 플레이트가 맞닿는 면에 골고루 반영되도록 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헤드로 충격을 가하여 초기 박리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초기 박리된 상태에서 위치확인봉을 하강시켜 상기 패널의 표면과 맞닿게 하여 상기 위치확인봉의 단부 높이가 상기 프레스 헤드의 단부 높이보다 높은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로부터 초기 박리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위치확인봉에 의하여 초기 박리가 정상적으로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초기 박리된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스틱의 직상부에 설치된 압축공기 분사부가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 위치에 수평으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박리가 더욱 진행되도록 하는 제6 단계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에 상기 스틱을 상향 경사지게 전진시켜 윈도우와 패널을 분리시키는 제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냉각 플레이트의 적정 온도는 -50~-150℃이며, 제3 단계에서의 일정시간은 70~180초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3.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상기 패널을 분리하여 상기 패널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 상기 OCA 필름이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기 OCA 필름이 녹아버려 상기 OCA 필름이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80~150℃로 20-30초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된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를 -50℃ 이하의 극저온의 냉각 플레이트가 설치된 냉각 지그에 상기 패널이 상부로 향하도록 로딩하는 윈도우 냉각부와,
    상기 냉각 지그에 로딩된 상기 윈도우를 상부에서 일정시간 눌러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가 냉각 플레이트와 접촉되게 하여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의 접촉면에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냉각 온도가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는 윈도우 가이드부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프레스 헤드로 충격을 가하여 초기 박리하는 프레스 헤드부와,
    상기 초기 박리된 상태에서 위치확인봉을 하강시켜 상기 패널의 표면과 맞닿게 하여 상기 위치확인봉의 단부 높이가 상기 프레스 헤드의 단부 높이보다 높은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로부터 초기 박리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위치확인부와,
    상기 위치확인봉에 의하여 초기 박리가 정상적으로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초기 박리된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 위치에 수평으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박리가 더욱 진행되도록 하는 스틱의 직상부에 설치된 압축공기 분사부와,
    상기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패널이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스틱의 앞부분의 높이보다 상기 스틱의 뒷부분의 낮게 조절하여 상기 스틱이 전진할 때 상향 경사지게 전진하게 하는 스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의 적정 온도는 -50~-150℃이며, 상기 냉각 유지 시간은70~180초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부는,
    상기 스틱의 앞 부분의 높이를 초기 박리된 상태에서 윈도우와 패널의 경계면에 위치하게 조절하는 스틱 앞부 조절부와,
    상기 스틱의 뒷 부분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스틱의 최종 진입 후 상기 스틱의 진입 높이를 조절하는 스틱 뒷부 조절부가 포함되어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80061121A 2018-05-29 2018-05-29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 KR102062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121A KR102062348B1 (ko) 2018-05-29 2018-05-29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121A KR102062348B1 (ko) 2018-05-29 2018-05-29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738A KR20190135738A (ko) 2019-12-09
KR102062348B1 true KR102062348B1 (ko) 2020-01-03

Family

ID=6883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121A KR102062348B1 (ko) 2018-05-29 2018-05-29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211B1 (ko) 2021-04-02 2022-05-12 데코엑스지(주) 광학용 투명접착재질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3587B (zh) * 2021-05-08 2023-10-31 深圳星河像素电子有限公司 一种led模组贴膜去除用冷冻设备及贴膜去除方法
KR102499013B1 (ko) * 2021-05-25 2023-02-13 씨앤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345B1 (ko) * 2012-10-29 2014-09-17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772A (ko) * 2010-01-29 2011-08-04 (주) 에스티에스 터치스크린패널의 디스플레이 모듈 재생을 위한 광학투명접착제 분리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2650013B1 (ko) * 2016-10-05 2024-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345B1 (ko) * 2012-10-29 2014-09-17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211B1 (ko) 2021-04-02 2022-05-12 데코엑스지(주) 광학용 투명접착재질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738A (ko)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348B1 (ko)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
EP09913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ic component
KR101468217B1 (ko) 접합 유리판의 분리 방법 및 장치
JP5996405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解体装置
EP3800135B1 (en) Film adhering method and film adhering apparatus thereof
KR101843695B1 (ko) 자동화된 보호필름 박리장치
CZ237197A3 (cs) Způsob rozebírání elektronického přístroje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WO2005122237A1 (ja) 部品実装方法及び部品実装装置
US10272662B2 (en) System for disassembl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O2015037884A1 (ko) 진단 키트 제조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진단 키트
CN109622558A (zh) 一种ic剥离设备
JP6051409B2 (ja) 部品実装装置
JP2005520688A (ja) ブラウン管を含む電子工学製品の解体方法およびその材料の再生利用方法
KR102031692B1 (ko)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패널을 분리하는 장치
JP2000164535A (ja) レーザ加工装置
JP6051410B2 (ja) 部品実装装置
KR101404664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치
KR101187230B1 (ko) 터치패널 리페어 장치
JP2022121826A (ja) チップ部品除去方法およびチップ部品除去装置
CN106115025B (zh) 一种全自动撕膜机
JP3381565B2 (ja) バンプ付きワークのボンディング方法
KR100494714B1 (ko) 액정표시장치의 보호막 필름 부착장비
CN107452667B (zh) 片材粘附装置及粘附方法
RU2779396C1 (ru) Способ замены защитного стекла дисплейного модуля для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JPH07266383A (ja) 電子部品用リードフレームからロス合成樹脂を分離する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