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013B1 -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013B1
KR102499013B1 KR1020210066835A KR20210066835A KR102499013B1 KR 102499013 B1 KR102499013 B1 KR 102499013B1 KR 1020210066835 A KR1020210066835 A KR 1020210066835A KR 20210066835 A KR20210066835 A KR 20210066835A KR 102499013 B1 KR102499013 B1 KR 102499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craper
oca
cleaning fabric
d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035A (ko
Inventor
이봉기
Original Assignee
씨앤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앤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6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0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08B1/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 두명 접착제의 분리 장치는 베이스(11); 베이스(11)에 서로 분리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세정 원단(16)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감김 롤러(12a, 12b); 세정 원단(16)을 정해진 형상으로 유지하면서 기판에 부착된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긁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스크레이퍼(13); 및 스크레이퍼(13)를 향하여 또는 스크레이퍼(13)로부터 이동되는 세정 원단(16)의 방향 또는 장력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1a 내지 144b)를 포함하고, 스크레이퍼(13)에 의하여 기판으로부터 분리된 OCA는 세정 원단(16)으로 전이된다.

Description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An Apparatus for Removing an Optical Clear Adhesive}
본 발명은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 패널과 같은 기판으로부터 광학 투명 접착제를 제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또는 터치 센서 패널은 다수 개의 층 또는 판이 서로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가 다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서로 다른 층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에 의하여 서로 접착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이와 유사한 전자기기를 위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수리 또는 재사용을 위하여 재생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생을 위하여 패널로부터 OCA가 제거될 필요가 있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11-0049288은 PDP 패널 및 글라스필터의 재사용을 위한 광학필름 제거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10-2031692는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패널을 분리하여 손상이 없는 윈도우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패널의 재사용을 위하여 제거되어야 하는 OCA는 다양한 상태로 패널 또는 기판에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CA는 패널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다양한 이물질과 함께 부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OCA의 제거는 물리적 및 화학적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화학적 방법으로 접착 상태를 약화시킨 이후 물리적 방법으로 강제적으로 제거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제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특허공개번호 10-2011-0049288(씨엔피엔지니어링㈜, 2011.05.12. 공개) PDP 패널 및 글라스필터의 재사용을 위한 광학필름 제거장치 선행기술2: 특허등록번호 10-2031692(㈜인마이크론시스템, 2019.10.14. 공고)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패널을 분리하는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력이 약화된 OCA를 칼날 구조의 스크레이퍼(scraper)에 의하여 제거하면서 패널의 표면의 클리닝이 가능한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는 베이스; 베이스에 서로 분리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세정 원단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감김 롤러; 세정 원단을 정해진 형상으로 유지하면서 기판에 부착된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긁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스크레이퍼; 및 스크레이퍼를 향하여 또는 스크레이퍼로부터 이동되는 세정 원단의 방향 또는 장력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조절 롤러를 포함하고,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기판으로부터 분리된 OCA는 세정 원단으로 전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선형 커터는 세정 원단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접촉 부분; 및 선형 접촉 부분으로부터 한쪽 부분이 경사지도록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몸체로 이루어지고, 기판을 스크레이퍼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스테이지를 더 포함하고, 스테이지의 이동에 따라 스크레이퍼를 둘러싸는 세정 원단이 기판에 접촉되어 OCA가 제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세정 원단(16)의 잔량이 센서에 의하여 탐지되어 감김 롤러 또는 다수 개의 조절 롤러에 의하여 세정 원단의 장력이 제어되고, 이에 의하여 세정 원단의 진행 방향의 역방향으로 원단의 이송이 제어되어 세정 원단의 형상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판에 OCA의 접착을 약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디핑 스테이지가 배치된 디핑 장치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디핑 스테이지에 용제의 분사를 위한 다수 개의 분사 홀이 형성되고, 각각의 디핑 스테이지의 내부에 용제의 온도를 조절하는 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동 경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투명 접착제(OCA) 분리 장치는 OCA 제거용 용제에 의하여 패널과 OCA 사이의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OCA가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한다. 용제를 패널에 인가하는 과정에서 OCA 층의 두께 또는 이와 유사한 부착 상태에 따라 담금 시간(Dipping Time)을 조절하면서 담금 판 또는 스테이지의 온도를 조절하여 패널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접착력이 감소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는 스테이지의 위쪽으로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정량 펌프로 일정액의 세정 용액을 공급하는 구조를 가진다. 스테이지에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다수 개의 홀을 통하여 용제가 원단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이후 OCA의 제거가 요구되는 패널이 로딩이 되면서 용제가 침투되지 않아야 하는 부분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용제의 침투가 제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는 스크레이퍼(scraper)에 의하여 OCA를 제거하면서 스크레이퍼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여 패널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OCA가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는 패널 또는 기판(Glass)의 뒤쪽 면에 부착된 커넥터 또는 칩과 같은 부품을 적절한 방향으로 위치시켜 앞쪽 면이 안전하게 세정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는 서로 분리되어 회전되면서 무진천과 같은 세정 원단을 이동시키는 롤러의 토크 값을 각각의 롤러에 감긴 원단의 양에 따라 조절하여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가해지는 마찰력이 정해진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기기용 기판에 적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에서 스크레이퍼의 압력이 조절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에서 기판이 적재되는 스테이지가 이송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다양한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와 결합되어 작동되는 디핑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는 베이스(11); 베이스(11)에 서로 분리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세정 원단(16)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감김 롤러(12a, 12b); 세정 원단(16)을 정해진 형상으로 유지하면서 기판에 부착된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긁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스크레이퍼(13); 및 스크레이퍼(13)를 향하여 또는 스크레이퍼(13)로부터 이동되는 세정 원단(16)의 방향 또는 장력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1a 내지 144b)를 포함한다.
베이스(11)는 사각 판 형상이 되면서 다양한 작동 수단의 결합 또는 설치가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11)에 한 쌍의 감김 롤러(12a, 12b)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감김 롤러(12a, 12b)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어 베이스(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감김 롤러(12a)에 의하여 세정 원단(16)이 풀릴 수 있고, 제2 감김 롤러(12b)에 의하여 풀어진 세정 원단(12b)이 당겨져 감길 수 있다. 제1, 2 감김 롤러(12a, 12b)의 회전을 조절하는 기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이 조절 박스(17a, 17b)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절 박스(17a)에 구동 모터가 설치되어 제1 감김 롤러(12a)가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감김 롤러(12a)가 회전되면서 세정 원단(16)이 풀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구동 모터에 의하여 제1 감김 롤러(12a)의 토크가 제어 세정 원단(16)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2 감김 롤러(12a, 12b)는 다양한 방법으로 회전되면서 세정 원단을 풀거나 당길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두 개의 감김 롤러(12a, 12b)의 아래쪽에 스크레이퍼(13)가 설치될 수 있고, 스크레이퍼(13)에 의하여 기판 또는 패널에 부착된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기판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패널, 유리 기판(Glass) 또는 이와 유사한 판 형상의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OCA에 의하여 다른 부품에 접착되는 다양한 종류의 평면 부위를 가진 제품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판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터치스크린 패널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크레이퍼(13)는 기판에 점착된 OCA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에 이물질을 기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기판으로부터 분리된 OCA는 세정 원단(16)에 전이되어 제거될 수 있다. 세정 원단(16)은 예를 들어 무진천(Dust free Cloth)이 될 수 있고, 극세사 원단, 초극세 원단 또는 이와 유사한 원단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세정 원단(16)은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만들어진 부직포 또는 이와 유사한 원단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클리닝 공정에 적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무진천 형태의 원단이 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13)는 예를 들어 선형 커터(131); 선형 커터(131)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 커플러(132); 및 선형 커터(131)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 유닛(133)으로 이루질 수 있다. 그리고 선형 커터(131)는 세정 원단(16)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접촉 부분; 및 선형 접촉 부분으로부터 한쪽 부분이 경사지도록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우측에서 좌측으로 기판이 이동될 수 있고, 이와 함께 제1 감김 롤러(12a)에서 풀린 세정 원단(16)이 제2 감김 롤러(12b)에 의하여 당겨질 수 있다. 세정 원단(16)은 스크레이퍼(13)를 감싸는 형태로 이동될 수 있고, 스크레이퍼(13)에 의하여 OCA가 점착된 기판의 표면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스크레이퍼(13)에 의하여 OCA가 긁히는 형태로 제거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13)는 기판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선형 커터(131)의 끝 부분은 세정 원단(16)을 매개로 기판의 폭 방향을 따라 접촉될 수 있다. 선형 커터(131)는 수직 방향의 단면적이 전체적으로 삼각 형상이 될 수 있고, 수평 방향의 단면적의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 방향의 단면적은 앞쪽 부분이 경사진 형상의 되면서 뒤쪽 부분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안쪽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선형 커터(131)는 세정 원단(16)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접촉 부분; 및 선형 접촉 부분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앞쪽 부분과 선형 접촉 부분으로부터 경사지도록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뒤쪽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레이퍼(13)의 구조에 의하여 기판으로부터 OCA를 긁는 방식으로 분리시키면서 분리된 OCA가 세정 원단(16)에 전이될 수 있다. 선형 커터(131)는 세정 원단(16)을 기판에 접촉시켜 OCA의 제거가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형 커터(131)의 위쪽 면은 직사각형 평면이 될 수 있고, 선형 커터(131)와 일체로 직육면체 형상의 커터 몸체(134: 도 3 참조)가 형성될 수 있고, 커터 몸체(134)의 적어도 한쪽 측면에 위치 커플러(132)가 결합될 수 있다. 위치 커플러(132)에 의하여 선형 커터(131)가 기판의 표면에 접촉되는 압력 또는 세정 원단(16)가 기판의 표면에 접촉되는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13)의 상하 위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실린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조절 유닛(133)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13)의 수직 위치 또는 접촉 압력은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1a 내지 144b)가 한 쌍의 감김 롤러(12a, 12b)의 사이에 설치되고, 이에 의하여 세정 원단(16)의 이동 방향 또는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1a 내지 144b)는 스크레이퍼(13)의 앞쪽에 설치되는 한 쌍의 앞쪽 조절 롤러(141a, 141b), 제 1, 2 앞쪽 유도 롤러(142a, 142b); 스크레이퍼(13)의 뒤쪽에 설치되는 제1, 2 뒤쪽 유도 롤러(143a, 143b); 및 한 쌍의 뒤쪽 조절 롤러(144a, 144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앞쪽 조절 롤러(141a, 141b) 및 한 쌍의 뒤쪽 조절 롤러(144a, 144b)는 각각 작동 블록(15a, 15b)의 내부에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앞쪽 조절 롤러(141a, 141b) 및 한 쌍의 뒤쪽 조절 롤러(144a, 144b)에 의하여 세정 원단이 이송될 수 있고, 한 쌍의 뒤쪽 조절 롤러(144a, 144b)에 의하여 세정 원단(16)이 끌려 올 수 있다. 스크레이퍼(13)에 의하여 OCA가 분리되어 세정 원단(16)에 전이되면서 스크레이퍼(13)의 뒤쪽 부분에 위치하는 세정 원단(16)이 우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단이 울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앞쪽 조절 롤러(141a, 141b)에 의하여 세정 원단(16)이 앞쪽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롤러의 배치 구조에서 제1, 2 감김 롤러(12a, 12b) 및 제1, 2 조절 블록(15a, 15b)에 의하여 세정 원단(16)의 장력(tension)이 조절될 수 있다. 추가로 제1 감김 롤러(12a)는 토크 제어에 의하여 세정 원단(16)의 전체 장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김 롤러(12a)의 토크 조절은 세정 원단(16)과 스크레이퍼(13) 사이의 압력 변화 또는 제1, 2 감김 롤러(12a, 12b) 사이의 감김 양의 변화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2 감김 롤러(12a, 12b)에 세정 원단(16)의 잔량을 탐지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고, 센서에서 탐지된 양을 기초하여 장력이 제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세정 원단(16)의 진행 방향의 역 방향으로 이송이 제어되어 원단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토크 조절에 의하여 기판의 손상이 방지되면서 기판에 접착된 OCA가 안정적으로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토크 조절에 의하여 제거된 OCA가 세정 원단(16)에 부착되면서 발생되는 저항으로 인하여 부착 부위의 다른 부분에서 발생되는 원단이 울게 되는 현상 또는 성기게 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앞쪽 조절 롤러(141a, 141b)와 뒤쪽 조절 롤러(144a, 144b)는 서로 다른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앞쪽 조절 롤러(141a, 141b)와 뒤쪽 조절 롤러(144a, 144b)는 서로 다른 마찰 계수를 가진 소재로 둘러싸인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쪽 조절 롤러(141a, 141b)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상대적을 큰 마찰 계수를 가진 소재로 둘러싸이거나, 코팅이 될 수 있다. 또한 뒤쪽 토크 조절 롤러(144a, 144b)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상대적으로 작은 마찰 계수를 가진 소재로 둘러싸이거나 코팅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세정 원단(16)의 한쪽 방향에 대한 이동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앞쪽 또는 뒤쪽 조절 롤러(141a, 141b, 144a, 144)는 다양한 소재에 의하여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제1, 2 앞쪽 유도 롤러(142a, 142b)는 세정 원단(16)을 정해진 방향 및 장력을 가지면서 스크레이퍼(13)로 유도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제1, 2 뒤쪽 유도 롤러(143a, 143b)는 스크레이퍼(13)를 지나면서 OCA가 부착된 세정 원단(16)을 적절한 방향으로 유도하여 당기면서 장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1, 2 앞쪽 또는 뒤쪽 유도 롤러(142a, 142b, 143a, 143b)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세정 원단(16)을 스크레이퍼(13)로 유도하거나, 당길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감김 롤러(12a, 12b) 또는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1a 내지 144b)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세정 원단(16)이 안정적으로 이동되면서 OCA의 접착 상태, 두께 또는 이와 유사한 제거 조건에 따라 세정 원단(16) 또는 스크레이퍼(13)에 의하여 기판에 가해지는 압력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13)의 위치 또는 구조에 따라 감김 롤러(12a, 12b), 조절 롤러(141a, 141b, 144a, 144b) 또는 유도 롤러(142a 내지 143b)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에서 스크레이퍼의 압력이 조절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리 장치는 스크레이퍼(13)에 의하여 세정 원단(16)에 가해지는 압력을 탐지하는 탐지 수단(31)을 포함한다. 세정 원단(16)은 스크레이퍼(13)의 아래쪽 부분을 감싸면서 이동될 수 있고, 스크레이퍼(13)를 기준으로 유도 부분(16a), 접촉 부분(16b) 및 당김 부분(16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에 부착된 OCA의 부착 상태에 따라 스크레이퍼(13)에 가해지는 또는 스크레이퍼(13)에 의하여 인가되어야 하는 압력이 조절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압력 조절을 위하여 OCA에 의하여 스크레이퍼(13)에 가해지는 압력이 탐지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압력의 탐지를 위하여 스크레이퍼(13)에 압력 탐지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선형 커터(131)는 커터 몸체(13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커터 몸체(134)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 되면서 조절 유닛(133)에 의하여 상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커터 몸체(134)의 위쪽 면에 로드 셀과 같은 압력 탐지 수단이 배치될 수 있어 스크레이퍼(13)가 기판 표면에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압력이 탐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탐지된 압력에 기초하여 스크레이퍼(13)에 인가되는 압력, 스크레이퍼(13)와 기판 사이의 간격 또는 세정 원단(16)의 이동 조건이 결정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13)의 압력 탐지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에서 기판이 적재되는 스테이지가 이송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은 스테이지(41)에 위치할 수 있고, 스테이지(41)에 위치할 수 있고, 스테이지(41)는 위쪽 면이 평면 형상이 되면서 전체적으로 사각 판 형상이 되는 스테이지 몸체(411); 스테이지 몸체(411)의 앞쪽에 형성된 한 쌍의 유도 블록(412a, 412b); 및 스테이지 몸체(411)의 위쪽에 형성된 다수 개의 흡입 홀(41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지 몸체(411)에 기판을 위치시킬 수 있는 예를 들어 로딩 홈과 같은 로딩 위치 결정 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기판이 스테이지 몸체(411)의 정해진 위치에 적재되어 고정될 수 있다. 기판이 스테이지 몸체(411)에 로딩이 되면, 이동 유도 모듈에 의하여 스테이지(41)가 이동될 수 있다. 이동 유도 모듈은 한 쌍의 유도 블록(412a, 412b)의 사이에 형성된 체결 홈에 결합되는 결합 유닛(42); 결합 유닛(42)을 결합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 블록(42); 커넥터(42)를 결합 홈에 결합 및 분리 시키면서 유도 평면(46)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체결 브래킷(43); 체결 브래킷(43)을 가이드(45)를 따라 이동시키는 작동 실린더(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유도 모듈에 의하여 스테이지(41)가 스크레이퍼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판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이 스크레이퍼의 아래쪽으로 이동되면서 OCA가 긁히는 형태로 기판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스테이지(41)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동될 수 있고, 기판의 배면 또는 모서리가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세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기판이 분리 장치로 이송되기 전 미리 디핑이 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이송 경로를 따라 기판이 이송되면서 세정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아래에서 이와 같은 장치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다양한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박스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59)에 형성되는 평면 형상의 배치 평면에 세정 공정의 진행을 위한 다수 개의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세정이 되어야 하는 기판이 로더(loader)(51)에 위치할 수 있고, 로더(51)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기판이 차례대로 디핑 장치(52)로 이동될 수 있다. 디핑 장치(52)에 의하여 기판에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제가 기판에 부여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OCA의 접착력이 약화될 수 있다. 용제는 베이스 프레임(59)의 아래쪽에 형성된 용제 박스(58_1 내지 58_N)에 보관되어 정량 펌프와 같은 공급 장치에 의하여 디핑 장치(52)로 이송되어 노즐을 통하여 기판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인가될 수 있다. 디핑 장치(52)에서 용제에 디핑이 된 기판은 제1, 2, 3 및 4 분리 장치(54a 내지 54d)로 차례대로 이송될 수 있다. 제1, 2, 3 및 4 분리 장치(54a 내지 54d)에 의하여 기판의 뒷면, 모서리 또는 앞쪽 면과 같이 기판의 다양한 부분이 세정될 수 있다. 분리 장치(54a 내지 54d)의 수는 기판의 종류 또는 세정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로더(51)로부터 디핑 장치(52)로, 디핑 장치(52)로부터 분리 장치(54a 내지 54d)로 또는 서로 다른 장치 사이로 기판이 이송되어야 하고, 이와 같은 기판의 이송은 이송 로봇(53)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정렬 유닛(55)이 배치되어 디핑 장치(52)로 이송되는 기판이 미리 정렬될 수 있고, 언로더(56)에 의하여 세정이 완료되어 정렬된 다수 개의 기판이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전기 박스(57)가 설치되어 각각의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거나, 장치의 작동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의 세정 또는 OCA의 분리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서로 연관성을 가지는 다수 개의 장치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아래에서 이와 같은 세정 장치에서 기판에 용제를 부여하는 디핑 장치(6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와 결합되어 작동되는 디핑 장치(6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핑 장치(60)에 의하여 OCA가 접착된 기판에 접착력의 약화시키는 용제가 부여될 수 있다. 디핑 장치(60)는 사각 판 형상의 다수 개의 기판 스테이지(61a, 61b, 61c); 각각의 기판 스테이지(61a, 61b, 61c)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단열 블록(62a, 62b, 62c); 및 각각의 기판 스테이지(61a, 61b, 61c)의 위쪽에 배치되는 가압 유닛(63a, 63b, 63c)을 포함한다. 각각의 기판 스테이지(61a, 61b, 61c)에 터치 스크린 패널과 같은 기판이 위치할 수 있고, 각각의 기판 스테이지(61a, 61b, 61c)에 다수 개의 분배 홀(SH)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 스테이지(61a, 61b, 61c)의 위쪽으로 디핑 원단이 위치할 수 있고, 디핑 원단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된 제1, 2 원단 롤러(67a, 67b)에 의하여 풀려서 감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원단 롤러(67a)에 의하여 풀리는 디핑 원단은 위치 조절 롤러(65_1 내지 65_4)를 경유하여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이동 롤러로 이루어진 이동 모듈(68)에 의하여 당겨질 수 있다. 이후 디핑 원단은 각각의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에 위치하는 기판의 위쪽을 지나 제2 원단 롤러(67b)에 감길 수 있다.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에 의하여 디핑 원단은 각각의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를 감싸는 구조가 될 수 있다. 가압 유닛(63a, 63b, 63c)은 유도 유닛(64a, 64b, 64c)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에 디핑 용제의 분사를 위한 경로가 형성되어 분배 홀(SH)과 연결될 수 있고, 분사 경로는 각각의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에 형성된 분사 입구(CI)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의 내부에 예를 들어 증류수(DIW)와 같은 유체의 이동을 위한 유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에 점착된 OCA의 두께에 따라 디핑 시간 및 디핑 온도가 조절될 수 있고, 디핑 온도는 유동 경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유체는 유체 탱크에 미리 결정된 온도로 저장될 수 있고, 유동 입구(DI)를 통하여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의 내부로 유입되어 유동 경로를 따라 유동되면서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의 아래쪽에 PFA(perfluoroalkoxyl)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지는 단열 블록(62a, 62b, 62c)이 형성되어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와 다른 구성 사이의 열 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로 디핑 원단이 이동되면, 위치 조절 수단(66)에 의하여 각각의 위치 조절 롤러(65_1 내지 65_4)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디핑 원단의 디핑 스테이지에 접촉될 수 있고, 디핑 용제가 분배 홀(SH)을 통하여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가압 유닛(63a, 63b, 63c)에 의하여 디핑 원단을 가압할 수 있다. 기판에 대한 디핑이 이루어지면 가압 유닛(63a, 63b, 63c)가 위쪽으로 이동되고, 위치 조절 수단(66)의 작동에 의하여 위쪽 조절 롤러(65_1 내지 65_4)가 위쪽으로 이동되면서 디핑 원단이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와 분리되면서 디핑 원단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기판 전체에 균일하게 용제가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판 스테이지(61a, 61b, 61c)는 예를 들어 앞쪽으로 5 내지 20도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디핑 용제가 침투되지 않아야 하는 부분에 대한 디핑 용제의 인가가 제한될 수 있다. 디핑 장치(60)는 기판에 OCA의 접착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용제를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베이스 12a, 12b: 감김 롤러
13: 스크레이퍼 15a, 15b: 작동 블록
16: 세정 원단 31: 탐지 수단
41: 스테이지 60: 디핑 장치
61a, 61b, 61c: 디핑 스테이지 63a, 63b, 63c: 가압 유닛
131: 선형 커터 141a, 141b: 조절 롤러

Claims (4)

  1. 베이스(11);
    베이스(11)에 서로 분리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세정 원단(16)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감김 롤러(12a, 12b);
    세정 원단(16)을 정해진 형상으로 유지하면서 기판에 부착된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긁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스크레이퍼(13); 및
    스크레이퍼(13)를 향하여 또는 스크레이퍼(13)로부터 이동되는 세정 원단(16)의 방향 또는 장력을 조절하는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1a 내지 144b)를 포함하고, 스크레이퍼(13)에 의하여 기판으로부터 분리된 OCA는 세정 원단(16)으로 전이되고,
    기판에 OCA의 접착을 약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가 배치된 디핑 장치(60)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에 용제의 분사를 위한 다수 개의 분사 홀(DH)이 형성되고, 각각의 디핑 스테이지(61a, 61b, 61c)의 내부에 용제의 온도를 조절하는 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동 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크레이퍼(13)의 선형 커터(131)는 세정 원단(16)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접촉 부분; 및 선형 접촉 부분으로부터 한쪽 부분이 경사지도록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몸체로 이루어지고, 기판을 스크레이퍼(13)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스테이지(41)를 더 포함하고, 스테이지(41)의 이동에 따라 스크레이퍼(13)를 둘러싸는 세정 원단(16)이 기판에 접촉되어 OCA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정 원단(16)의 잔량이 센서에 의하여 탐지되어 감김 롤러(12a, 12b) 또는 다수 개의 조절 롤러(141a 내지 144b)에 의하여 세정 원단(16)의 장력이 제어되고, 이에 의하여 세정 원단(16)의 진행 방향의 역방향으로 원단의 이송이 제어되어 세정 원단(16)의 형상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
  4. 삭제
KR1020210066835A 2021-05-25 2021-05-25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 KR102499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835A KR102499013B1 (ko) 2021-05-25 2021-05-25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835A KR102499013B1 (ko) 2021-05-25 2021-05-25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035A KR20220159035A (ko) 2022-12-02
KR102499013B1 true KR102499013B1 (ko) 2023-02-13

Family

ID=8441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835A KR102499013B1 (ko) 2021-05-25 2021-05-25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0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610Y1 (ko) 2006-04-25 2006-07-04 문상호 액정화면 보호창 고온스팀 클리닝 장치
KR101515722B1 (ko) 2013-11-27 2015-04-27 세메스 주식회사 금형 클리닝 장치
KR101965353B1 (ko) * 2017-10-30 2019-04-03 씨앤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광 접착제 클리닝 및 제거 장치
KR102176239B1 (ko) 2019-07-03 2020-11-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스크레이퍼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9245A (ja) * 1989-12-08 1992-07-07 Mitsui Petrochem Ind Ltd アモルファス金属箔のスリット加工方法及び装置
JP5104174B2 (ja) * 2007-10-01 2012-12-19 富士通株式会社 洗浄乾燥装置及び洗浄乾燥方法
KR20110049288A (ko) 2009-11-05 2011-05-12 씨엔피엔지니어링(주) Pdp 패널 및 글라스필터의 재사용을 위한 광학필름 제거장치
KR101379660B1 (ko) * 2012-03-16 2014-03-28 이윤구 폐 접착 필름의 접착제 제거장치
KR102031692B1 (ko) 2018-05-04 2019-10-14 (주)안마이크론시스템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패널을 분리하는 장치
KR102062348B1 (ko) * 2018-05-29 2020-01-03 (주)안마이크론시스템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재활용할 패널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610Y1 (ko) 2006-04-25 2006-07-04 문상호 액정화면 보호창 고온스팀 클리닝 장치
KR101515722B1 (ko) 2013-11-27 2015-04-27 세메스 주식회사 금형 클리닝 장치
KR101965353B1 (ko) * 2017-10-30 2019-04-03 씨앤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광 접착제 클리닝 및 제거 장치
KR102176239B1 (ko) 2019-07-03 2020-11-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스크레이퍼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035A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538B1 (ko) 와이핑 패드 및 이 패드를 사용한 노즐 메인터넌스 장치와 도포 처리 장치
US10747105B2 (en) Cleaning modul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cleaning photomask
CN101910035B (zh) 光学显示单元的制造系统及输送机构
US20050235910A1 (en) Coating apparatus with substrate cleaner
KR102499013B1 (ko) 광학 투명 접착제 분리 장치
JP4650058B2 (ja) 異物除去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CN101236322B (zh) 电光装置的制造方法、电光装置的制造装置
KR101688114B1 (ko) 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
KR102359464B1 (ko) Fpcb용 세정 장치
CN110774726A (zh) 剥离装置
US201602508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splay laminate
KR101025907B1 (ko) 보호필름 자동 부착장치 및 방법
KR20070085666A (ko) 기판의 청소 장치 및 청소 방법
KR102166933B1 (ko) 필름 세정 장치
KR102089247B1 (ko)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972342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JP2006293047A (ja) 表示装置の保持方法、搬送方法および洗浄方法並びに洗浄装置
KR101467185B1 (ko) 터치패널 라미네이팅 시스템
KR101382472B1 (ko) 패널 세정장치
KR102019389B1 (ko) 고투과율 tsp모듈 라미네이트 장비
JP2011167621A (ja) 基板洗浄装置、および、基板洗浄方法
KR101329765B1 (ko) 기판 세정장치
JP7257161B2 (ja) 端子清掃装置
WO2013118290A1 (ja) フィルム剥離装置及びフィルム剥離方法
JP2003140122A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