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535B1 -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535B1
KR101342535B1 KR1020110118538A KR20110118538A KR101342535B1 KR 101342535 B1 KR101342535 B1 KR 101342535B1 KR 1020110118538 A KR1020110118538 A KR 1020110118538A KR 20110118538 A KR20110118538 A KR 20110118538A KR 101342535 B1 KR101342535 B1 KR 101342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ubstrate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056A (ko
Inventor
허만옥
이준규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에이스
허만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에이스, 허만옥 filed Critical (주)스마트에이스
Priority to KR1020110118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5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6Repairing, e.g. with redundant arrangement against defective pa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된 제2기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에 있어서, 냉각부재로 상기 접착제를 냉각하는 공정; 및 상기 접착제로부터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Method for rework of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들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글라스와 같은 윈도우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윈도우를 서로 고정해주는 접착제가 구비되어 있다. 접착제로 사용되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또는 UV 접착제(ultraviolet glue) 등은 접착강도가 매우 강하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윈도우를 떼어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공정상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과 윈도우를 분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repair)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윈도우의 재사용 및 재가공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된 제2기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에 있어서, 냉각부재로 상기 접착제를 냉각하는 공정; 및 상기 접착제로부터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된 접착제를 해동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부재로 액체 질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접착제의 열팽창률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접착제의 열팽창률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의 열팽창률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의 전면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제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제는 자외선 접착제(UV glue)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된 제1기판과 제2기판에 각각 접착된 접착제를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2기판 중 하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에 따르면, 접착제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냉각 및 해동하여 접착제와,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팽창율의 차이에 따라 접착제에 균열을 일으켜 접착제를 분리시킴으로써,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된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재사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구비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기판인 윈도우(10), 제2기판인 디스플레이 패널(30), 및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접착제(20)를 구비한다.
접착제(20)로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또는 UV 접착제(ultraviolet glue) 등 다양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에는 ITO(indium tin oxide)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전극이 패턴 된 터치 스크린 패널이 더 구비되어 터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에 터치 스크린 패널(미도시)이 더 구비될 경우에는 전술한 접착제(20)는 터치 스크린 패널(미도시)과 윈도우(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윈도우(10)는 디스플레이 패널(3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글라스(cover glass), 커버 렌즈(cover len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터치 기능은 디스플레이 패널(30) 대신에 윈도우(10) 측에 부가될 수 있다. 이 경우 ITO(indium tin oxide)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은 터치 스크린 패널로서 윈도우(10)에 부착될 수도 있고, 아니면 투명 도전성 물질로 윈도우(10)에 직접 패터닝 하여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조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0)과 윈도우(10)의 라미네이션(lamination)이 잘못되거나 기타 공정상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 전체를 버리기보다 디스플레이 장치(1)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30)과 윈도우(10)를 각각 분리하고 수선(repair)하여, 이들을 재사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패널(30)과 윈도우(10)를 접착하는 접착제(20)로 사용되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또는 자외선 접착제(UV glue)는 접착강도가 매우 강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30)로부터 윈도우(10)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먼저 냉각부재로 액체 질소(N2)를 이용하여 접착제(20)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1)를 냉각시킨다.
상기 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액체 질소(N2)를 직접 분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 일뿐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액체 질소(N2)가 담긴 저수조에 디핑(dipping)되어 냉각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질소에 한정되지 않으며, 액체 산소, 액체 수소 등과 같이 낮은 기화점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를 급속히 냉각 시킬 수 있는 것이면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사방에서 액체 질소(N2)를 분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일부 방향에서만 액체 질소(N2)를 분사할 수도 있다.
냉각 후, 냉각된 디스플레이 장치(1)를 대기 중에서 자연 해동하거나, 열을 가하여 인위적으로 해동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냉각 후 해동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접착제(20)와, 상기 접착제(20)에 부착된 윈도우(10)와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열팽창율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윈도우(10)와 접착제(20)의 경계면, 및 디스플레이 패널(30)과 접착제(20)의 경계면에서 접착제(20)의 균열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20)와, 윈도우(10) 및 디스플레이 패널(30) 사이의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접착제(20)의 열팽창률이 일반적으로 글라스로 형성된 윈도우(10)나 디스플레이 패널(30)보다 크기 때문에, 접착제(20)의 수축과 팽창으로 인해 접착제(20)들 사이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20)의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균열이 생긴 접착제(20a, 20b, 20c)가 분리됨으로써, 일부 접착제(20c)는 디스플레이 장치(1)로부터 박리되고, 일부 분리된 접착제(20a, 20b)에 각각 접착된 윈도우(10)와 디스플레이 패널(30)은 재합착되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분리된 윈도우(10)와 디스플레이 패널(30)에 각각 남아있는 접착제(20a, 20b)는 세정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세정 공정 후, 윈도우(10)와 디스플레이 패널(30)은 재사용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리페어 방법에 의하면, 접착제(20)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1)를 냉각 및 해동하여 접착제(20)와 윈도우(10) 및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열팽창율의 차이에 따라 접착제(20)에 균열을 일으켜 접착제(20)를 분리시킴으로써, 윈도우(10)와 디스플레이 패널(3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윈도우 20: 접착제
30: 디스플레이 패널 N2: 질소

Claims (11)

  1. 글라스재의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된 글라스재의 제2기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에 있어서,
    액체 질소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접 분사하여 상기 접착제를 냉각하는 공정;
    상기 접착제로부터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분리하는 공정; 및
    상기 냉각하는 공정 후 상기 냉각된 접착제를 가열하여 해동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접착제의 열팽창률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접착제의 열팽창률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의 열팽창률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의 전면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자외선 접착제(UV glue)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제1기판과 제2기판에 각각 접착된 접착제를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2기판 중 하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KR1020110118538A 2011-11-14 2011-11-14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KR101342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538A KR101342535B1 (ko) 2011-11-14 2011-11-14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538A KR101342535B1 (ko) 2011-11-14 2011-11-14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056A KR20130053056A (ko) 2013-05-23
KR101342535B1 true KR101342535B1 (ko) 2013-12-17

Family

ID=4866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538A KR101342535B1 (ko) 2011-11-14 2011-11-14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5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5604A (zh) * 2013-09-26 2013-12-25 无锡宇宁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屏快速拆解工艺
CN104742489A (zh) * 2013-12-30 2015-07-01 浙江金徕镀膜有限公司 一种面板装置处理方法
WO2016125952A1 (ko) * 2015-02-06 2016-08-11 (주)나노엘에스아이 디스플레이패널로부터의 터치패널 글라스 회수 방법
CN104960313A (zh) * 2015-07-17 2015-10-07 深圳晶华显示器材有限公司 一种tp全贴合后重工工艺方法
KR102650013B1 (ko) 2016-10-05 2024-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분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CN106707585B (zh) * 2016-12-30 2019-09-1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面板不良品重工的方法
CN108730921B (zh) * 2018-04-28 2020-04-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导光模组、全反射式显示装置和制造导光模组的方法
KR102080103B1 (ko) * 2019-11-29 2020-02-24 주식회사 그린자이언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7647A (ja) * 2004-02-16 2005-08-25 Sharp Corp 光学的フィルムの分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7647A (ja) * 2004-02-16 2005-08-25 Sharp Corp 光学的フィルムの分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056A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5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US20130069890A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741570B2 (ja) 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EP2273475A1 (en) Glass laminate, display panel with support, method for producing glass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with support
JP2015131754A (ja) ガラス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表示パネル
TWI627058B (zh) 玻璃結構以及製造與處理玻璃結構之方法
TWI616706B (zh) 顯示面板製造方法與系統
KR20160106725A (ko) 유리 기판의 에지를 강화하는 방법
TWI515620B (zh) 增加面板邊緣強度的方法
TW201419073A (zh) 觸控顯示裝置的製造方法
WO2016000418A1 (zh) 柔性显示面板母板及柔性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04919591A (zh) 挠性玻璃基材和包括挠性玻璃基材与载体基材的基材堆叠件的加工
KR20100039495A (ko) 2장의 유리기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보호커버유리기판의 제조방법 및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상기보호커버 유리기판의 사용방법
WO2019049274A1 (ja) 表示装置
US887219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226880A (ja) 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91291A5 (ko)
KR101845440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14350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JP2009300735A (ja) 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2010237354A (ja) 表示素子
KR20130134236A (ko) 표시 장치
TWI504977B (zh) 顯示面板的基板處理方法
KR20100022644A (ko)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형 박형화 방법
WO2017217386A1 (ja) 剥離方法及び剥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