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324B1 -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제조 방법 및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 - Google Patents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제조 방법 및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324B1
KR102510324B1 KR1020197021228A KR20197021228A KR102510324B1 KR 102510324 B1 KR102510324 B1 KR 102510324B1 KR 1020197021228 A KR1020197021228 A KR 1020197021228A KR 20197021228 A KR20197021228 A KR 20197021228A KR 102510324 B1 KR102510324 B1 KR 10251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ener
container
carbonic acid
aqueous solu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224A (ko
Inventor
히로시 바토리
히로시 엔도
요시나리 스가누마
다카시 아이자와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31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38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eds, e.g. locust bean gum or guar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69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microbial origin, e.g. xanthan or dextr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04A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0~35℃의 온도를 가지는 제1 증점제의 수용액과, 0~35℃의 물에 용해하지 않지만 60℃ 이상의 물에 가용인 제2 증점제를 혼합하여, 상기 제2 증점제가 상기 수용액 중에 분산된 원액을 얻는 것, 상기 원액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켜 탄산 수용액을 얻는 것, 상기 탄산 수용액을 용기에 충전하고, 상기 용기를 밀봉하여,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얻는 것, 및 상기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상기 탄산 수용액이 60℃ 이상이 되도록 가열하여, 상기 제2 증점제를 상기 탄산 수용액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제조 방법 및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
본 발명은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제조 방법 및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이나 파킨슨병 등의 뇌장애나 가령(加齡)에 의한 근력의 저하에 따라 연하장애(嚥下障碍)를 발증한다. 연하장애자는 음식물이나 음료를 삼킬 때, 음식물이나 음료가 기도에 들어가는 오연(誤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 오연에 의해 폐에 도달한 음식물은 폐렴의 원인이 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음료에 증점제를 첨가하여 걸쭉함을 부여하고, 삼키기 쉽게 하여 오연을 막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일본 특개 2001-299297호 공보).
연하장애자가 삼키기 쉽도록 걸쭉함이 부여된 탄산음료에 대해서도 요망되고 있다. 하지만, 탄산음료는 통상의 음료보다 취급이 어렵다.
본 발명자들이 걸쭉한 탄산음료를 제조했더니, 탄산음료에 증점제를 녹이기 위해서는 탄산음료를 교반할 필요가 있고, 이것에 의해 탄산 가스가 빠져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미리 걸쭉함을 부여한 음료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켜 걸쭉한 탄산음료를 제조했더니, 점성이 있는 음료에 탄산 가스는 용해되기 어려워, 충분한 양의 탄산 가스를 용해시킬 수 없었다. 또, 얻어진 걸쭉한 탄산음료를 용기에 충전했더니, 음료가 용기로부터 넘쳐흘러, 용기 내의 액량에 불균일이 생긴다는 문제가 생겼다.
그래서 본 발명은 충분한 양의 탄산 가스를 포함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0~35℃의 온도를 가지는 제1 증점제의 수용액과, 0~35℃의 물에 용해하지 않지만 60℃ 이상의 물에 가용인 제2 증점제를 혼합하여, 상기 제2 증점제가 상기 수용액 중에 분산된 원액을 얻는 것,
상기 원액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켜 탄산 수용액을 얻는 것,
상기 탄산 수용액을 용기에 충전하고, 상기 용기를 밀봉하여,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얻는 것, 및
상기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상기 탄산 수용액이 60℃ 이상이 되도록 가열하여, 상기 제2 증점제를 상기 탄산 수용액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하면,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로서,
상기 걸쭉한 탄산음료를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A[mPa·s]로 하고, 상기 걸쭉한 탄산음료를 20℃의 온도 및 10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B[mPa·s]로 했을 때, 점도 A와 B가 이하의 관계식:
i) 100≤A≤300, 및
ii) B≤(0.75×A)
을 만족하는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탄산 가스를 포함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걸쭉한 탄산음료는 탄산음료의 제조 후에 증점제를 용해시켜 제조해도, 미리 증점제를 용해시켜 걸쭉함을 부여한 음료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켜 제조해도, 그 제조가 곤란하다.
본 발명자들은 2종류의 증점제를 이용하여, 제1 증점제를 음료 중에 용해시키고, 제2 증점제를 음료 중에 용해시키지 않고 제1 증점제의 작용에 의해 분산시킴으로써, 충분한 걸쭉함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음료를 미리 조제하고, 그 후, 이러한 음료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고, 마지막으로 가열에 의해 제2 증점제를 용해시켜 충분한 걸쭉함을 가지고 있는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하면, 제조상의 문제가 해소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제조 방법은
0~35℃의 온도를 가지는 제1 증점제의 수용액과, 0~35℃의 물에 용해하지 않지만 60℃ 이상의 물에 가용인 제2 증점제를 혼합하여, 상기 제2 증점제가 상기 수용액 중에 분산된 원액을 얻는 것,
상기 원액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켜 탄산 수용액을 얻는 것,
상기 탄산 수용액을 용기에 충전하고, 상기 용기를 밀봉하여,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얻는 것, 및
상기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상기 탄산 수용액이 60℃ 이상이 되도록 가열하여, 상기 제2 증점제를 상기 탄산 수용액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탄산음료」는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음료를 말한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음료」는 음용에 제공되는 임의의 액체를 가리키고, 예를 들면 청량음료수, 과실음료, 유음료 또는 주류 등을 포함한다. 음료 중에 용해하고 있는 탄산 가스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탄산음료가 포함하는 탄산 가스의 양과 같으면 된다. 탄산 가스의 가스 볼륨은 일반적인 탄산음료에서는 1 내지 2정도이며, 콜라 등의 다량의 탄산 가스를 포함하는 탄산음료에서는 3정도이다. 여기에 있어서 가스 볼륨은 20℃에 있어서의 음료의 양(체적)에 대한 함유되는 가스의 양(체적)의 값이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걸쭉한 탄산음료」는 용기 내에 수용된 탄산음료가 용기를 기울이면 용기로부터 흘러나오는 것 같은 점성을 가지고 있는 탄산음료를 말한다. 「걸쭉한 탄산음료」는 예를 들면 50~300[mPa·s]의 점도를 가지는 탄산음료를 말한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점도는 JIS Z8803:2011에 준거하여, E형 점도계에 의해, 특별한 측정 조건의 기재가 없는 경우에는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측정된 값을 가리킨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을 공정순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원액의 조제>
원액은 우선 제1 증점제를 0~35℃의 물에 용해시켜 제1 증점제의 수용액을 조제하고, 이어서 제1 증점제의 수용액과, 0~35℃의 물에 용해하지 않지만 60℃ 이상의 물에 가용인 제2 증점제를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제1 증점제는 0~35℃의 어느 하나의 온도의 물에 가용인 증점제이면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웰란검, 구아검, 냉수 용해 타입의 이오타카라기난, 람다카라기난, 크산탄검, 냉수 용해 타입의 타마린드씨드검, 타라검, 사일리움씨드검 등을 들 수 있다.
제1 증점제는 바람직하게는 0~35℃의 어느 하나의 온도의 물에 가용이며, 또한 물에 용해했을 때 슈도플라스틱성을 나타내는 증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웰란검, 구아검, 냉수 용해 타입의 이오타카라기난, 람다카라기난, 크산탄검, 타라검, 사일리움씨드검 등을 들 수 있다. 제1 증점제는 1종류로 사용되어도 되고, 복수 종류를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슈도플라스틱성은 증점제의 수용액이 낮은 전단력이 가해졌을 때 고점도를 나타내고, 높은 전단력이 가해졌을 때 점도가 저하되는(즉 유동하기 쉬워지는) 성질을 의미한다. 즉, 슈도플라스틱성은 연하장애자에게 삼키기 쉬운 유체의 성질을 가리킨다.
제1 증점제는 제1 증점제의 수용액이 소망하는 점도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0~35℃의 물에 첨가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증점제는 제1 증점제의 수용액이 예를 들면 20~150[mPa·s], 바람직하게는 20~100[mPa·s],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5[mPa·s]의 점도를 가지도록 하는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증점제로서 웰란검을 사용한 경우, 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질량부의 웰란검을 첨가할 수 있다.
제1 증점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물의 온도는 0~35℃이며, 또한 제1 증점제가 용해 가능한 온도 이상의 온도이다. 제1 증점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물의 온도는 제1 증점제의 용해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35℃이다.
제1 증점제를 상기한 점도를 가지는 수용액이 얻어지도록 하는 양으로 0~35℃의 물에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교반함으로써, 제1 증점제의 수용액을 조제할 수 있다.
조제된 제1 증점제의 수용액은 예를 들면 20~150[mPa·s], 바람직하게는 20~100[mPa·s],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5[mPa·s]의 점도를 가진다. 제1 증점제의 수용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그 후의 공정에서 제2 증점제를 제1 증점제의 수용액에 분산시켜 분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제1 증점제의 수용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그 후의 공정에서 충분한 양의 탄산 가스를 원액에 용해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 제1 증점제의 수용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그 후의 용기로의 충전 공정에 있어서 탄산 수용액이 용기로부터 넘쳐흐르기 쉽다.
이어서, 얻어진 제1 증점제의 수용액과, 0~35℃의 물에 용해하지 않지만 60℃ 이상의 물에 가용인 제2 증점제를 혼합하여 원액을 조제한다.
제2 증점제는 0~35℃의 전범위의 온도의 물에 용해하지 않지만 60℃ 이상의 어느 하나의 온도의 물에 가용인 증점제이면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로커스트빈검, 가열 용해 타입의 이오타카라기난, 네이티브젤란검, 저메톡실펙틴, 가열 용해 타입의 타마린드씨드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증점제는 0~35℃의 전범위의 온도의 물에 용해하지 않지만 60℃ 이상의 어느 하나의 온도의 물에 가용이며, 또한 물에 용해했을 때 뉴턴 점성을 나타내는 증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로커스트빈검, 가열 용해 타입의 이오타카라기난, 네이티브젤란검, 저메톡실펙틴, 가열 용해 타입의 타마린드씨드검 등을 들 수 있다. 뉴턴 점성은 증점제의 수용액에 부여하는 전단력을 변화시켜도 증점제의 수용액에 점도의 변화가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제2 증점제는 1종류로 사용되어도 되고, 복수 종류를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제1 증점제 및 제2 증점제로서 예시되는 이오타카라기난은 그 구성 성분이나 제법의 차이에 따라 냉수 용해 타입과 가열 용해 타입이 알려져 있다. 냉수 용해 타입은 문자 그대로 냉수(예를 들면 0~35℃)에 용해 가능한 이오타카라기난이며, 가열 용해 타입은 용해시키기 위해서 60℃ 이상의 가열이 필요한 이오타카라기난이며, 모두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증점제 및 제2 증점제로서 예시되는 타마린드씨드검은 그 구성 성분이나 제법의 차이에 따라 냉수 용해 타입과 가열 용해 타입이 알려져 있다. 냉수 용해 타입은 문자 그대로 냉수(예를 들면 0~35℃)에 용해 가능한 타마린드씨드검이며, 가열 용해 타입은 용해시키기 위해서 60℃ 이상의 가열이 필요한 타마린드씨드검이며, 모두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증점제로서 예시되는 네이티브젤란검은 미생물이 산생하는 젤란검이다. 젤란검은 네이티브젤란검과 탈아실화젤란검이 알려져 있고, 네이티브젤란검은 그 제조 공정에 탈아실화 공정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아실기를 함유한다. 네이티브젤란검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제2 증점제로서 예시되는 저메톡실펙틴은 에스테르화도가 50% 미만인 펙틴을 가리키고,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증점제는 최종 제품인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가 예를 들면 50~300[mPa·s], 바람직하게는 100~150[mPa·s]의 점도를 가지도록 하는 양으로 제1 증점제의 수용액에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증점제로서 웰란검, 제2 증점제로서 로커스트빈검을 사용한 경우, 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웰란검을 0.1~1.0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을 0.2~0.8질량부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웰란검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 내에서 적으면, 최종 제품인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가 예를 들면 50~300[mPa·s], 바람직하게는 100~150[mPa·s]의 점도를 가지도록 로커스트빈검이 첨가되기 때문에, 로커스트빈검의 첨가량은 상기 범위 내에서 많아진다. 한편, 웰란검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 내에서 많으면, 최종 제품인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가 예를 들면 50~300[mPa·s], 바람직하게는 100~150[mPa·s]의 점도를 가지도록 로커스트빈검이 첨가되기 때문에, 로커스트빈검의 첨가량은 상기 범위 내에서 적어진다.
제2 증점제를 제1 증점제의 수용액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원액을 조제할 수 있다. 얻어진 원액에 있어서 제2 증점제는 제1 증점제의 수용액 중에 용해되지 않고 분산되어 있다. 원액은 제1 증점제의 작용에 의해 점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2 증점제는 침전하지 않고, 분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증점제는 이 단계에서는 분산되어 있어 원액의 점성에 기여하고 있지 않지만, 최종적으로 가열에 의해 용해하여, 이것에 의해 제1 증점제와 함께 탄산음료에 소망하는 점도를 부여한다.
최종 제품인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에 소망하는 맛이나 풍미를 부여하기 위해서, 원액은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물은 예를 들면 감미료, 산미료, 과즙, 야채즙, 향료, 색소, pH 조정제, 설탕류, 당알코올, 식물섬유, 차 혹은 커피 등의 추출액, 알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첨가물은 「제1 증점제의 수용액 중에 제2 증점제가 분산되어 있는 분산액」에 직접 첨가해도 되고, 미리 다른 탱크에서 물에 용해하여 첨가물 수용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상기 서술한 분산액에 첨가해도 된다.
조제된 원액은 예를 들면 3.5~4.6의 pH,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4.6 미만의 pH,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4.6 미만의 pH를 가진다. 원액이 3.5~4.6의 pH를 가지면, 최종 제품인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장치(藏置) 후의 점도 안정성이 양호하다.
원액의 점도는 예를 들면 20~150[mPa·s], 바람직하게는 20~100[mPa·s],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5[mPa·s]이다. 원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제2 증점제가 원액 중에서 침전할 가능성이 있다. 원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탄산 가스를 원액에 용해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생기기 쉽다. 또 원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그 후의 용기로의 충전 공정에 있어서 탄산 수용액이 용기로부터 넘쳐흐르기 쉽다.
원액의 조제 공정의 전기간에 걸쳐, 제2 증점제를 포함한 액체(즉, 제2 증점제를 첨가하고 있는 도중의 제1 증점제의 수용액 및 원액)는 제2 증점제가 용해하지 않는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고, 예를 들면 6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이상 6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5℃의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탄산 수용액의 조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원액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켜 탄산 수용액을 조제한다.
예를 들면, 탄산음료의 제조 장치인 카보네이터를 사용하여 탄산 가스를 용해시킬 수 있다.
원액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는 공정의 전기간에 걸쳐, 액체(즉, 원액,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고 있는 도중의 원액 및 탄산 수용액)는 제2 증점제가 용해하지 않는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고, 예를 들면 6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이상 6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의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 공정의 전기간에 걸쳐 액체를 저온으로 유지하면, 용해한 탄산 가스가 액체로부터 빠져나가기 어렵다.
원액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고 있는 기간에 걸쳐, 탄산 가스의 용해 효율의 관점에서 원액을 5℃ 이하, 바람직하게는 0~5℃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액 중에 용해시키는 탄산 가스의 양은 일반적인 탄산음료가 포함하는 탄산 가스의 양과 같은 양으로 할 수 있다. 원액 중에 용해시키는 탄산 가스의 양은 탄산 수용액의 가스 볼륨이 예를 들면 1~3, 바람직하게는 1.2~2.0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할 수 있다.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의 조제>
얻어진 탄산 수용액을 용기에 충전하고, 용기를 밀봉하여,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조제한다. 예를 들면, 음료용 충전기(필러)에 의해 탄산 수용액을 용기에 충전하고, 용기를 밀봉할 수 있다.
용기는 내열성과 밀봉성을 가지고 또한 탄산음료의 내압에 견딜 수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탄산음료용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틸캔, 알루미늄캔, 또는 페트병을 사용할 수 있다.
용기의 밀봉은 음료용 용기를 밀봉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가 캔인 경우, 캔 덮개와 캔 동체의 접촉 부분을 권체하여 밀봉할 수 있다. 용기가 페트병인 경우, 용기 본체의 주입구에 캡을 부착함으로써 밀봉할 수 있다.
탄산 수용액을 용기에 충전하고 용기를 밀봉하는 공정의 전기간에 걸쳐, 액체(즉, 탄산 수용액)는 제2 증점제가 용해하지 않는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고, 예를 들면 6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이상 6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의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 공정의 전기간에 걸쳐 액체를 저온으로 유지하면, 용해한 탄산 가스가 액체로부터 빠져나가기 어렵다.
얻어진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은 제2 증점제가 용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점성이 낮다.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밀봉 후의 이 단계에서 탄산 수용액의 가스 볼륨(즉, 탄산 가스 함유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스 볼륨의 측정은 공지의 가스 볼륨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가스 볼륨의 측정은 탄산음료의 품질 관리에 있어서 중요하다. 하지만, 최종 제품인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는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에 비해 점성이 높기 때문에 정확한 가스 볼륨의 측정이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는 밀봉 후의 이 단계에서 가스 볼륨을 측정함으로써, 정확한 가스 볼륨을 측정할 수 있다.
<가열>
가열 공정에서는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탄산 수용액이 60℃ 이상이 되도록 가열하여, 제2 증점제를 탄산 수용액에 용해시킨다.
가열은 식품의 가열 살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 예를 들면 레토르트 가마, 샤워식 살균 장치 등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가열시의 온도, 압력, 시간 등의 조건은 음료의 성분이나 용기의 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60~120℃의 온도에서 0.5~40분간 가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80~110℃의 온도에서 1~40분간 가열할 수 있다. 또 가열시의 압력은 용기가 내압에 의해 변형하지 않도록 시간경과에 따라 조정해도 된다.
가열에 의해, 탄산 수용액 중에 분산되어 있는 제2 증점제는 용해된다. 이것에 의해, 제2 증점제는 탄산 수용액에 점성을 부여하고, 최종적으로 제1 증점제와 함께 걸쭉한 탄산음료의 점성에 기여한다. 제2 증점제는 탄산 수용액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존재하기 때문에, 용해에 의해 균일한 걸쭉함을 탄산 수용액에 부여할 수 있다. 제2 증점제의 용해에 의해, 충분한 점성을 가지는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가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가열 공정보다 앞의 전체 공정에 있어서(즉 원액을 조제하는 공정으로부터 용기를 밀봉하는 공정까지의 전기간에 걸쳐), 제2 증점제를 포함한 액체(즉, 제2 증점제를 첨가하고 있는 도중의 제1 증점제의 수용액, 원액,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고 있는 도중의 원액 및 탄산 수용액)를 제2 증점제가 용해하지 않는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고, 예를 들면 6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이상 6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의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액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는 공정보다 앞(즉, 원액을 조제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제2 증점제를 포함한 액체를 15~35℃의 온도로 유지하고, 또한 원액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는 공정으로부터 용기를 밀봉하는 공정까지의 기간은 제2 증점제를 포함한 액체를 0~10℃의 온도로 유지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얻어진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는 예를 들면 50~300[mPa·s], 바람직하게는 100~150[mPa·s]의 점도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얻어진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는 예를 들면 3.5~4.6의 pH,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4.6 미만의 pH,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4.6 미만의 pH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pH는 원액의 pH로부터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얻어진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는 음료로서의 품질을 유지하고, 점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제조로부터 유통 및 판매의 과정까지 0~10℃의 냉장 상태로 보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 효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2종류의 증점제를 사용하고, 2종류의 증점제는 이하의 작용 효과를 가진다.
제1 증점제는 0~35℃의 물에 가용이기 때문에, 원액 중에 용해하여 원액의 점성에 기여한다. 또 제1 증점제는 원액 중에 용해하여, 제2 증점제를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 조제로서 기능한다. 제2 증점제는 0~35℃의 물에 용해하지 않지만 60℃ 이상의 물에 가용이기 때문에, 원액 중에 용해하지 않고, 원액의 점성에 기여하지 않는다. 제2 증점제는 제1 증점제의 분산 조제로서의 작용 덕분에 원액 중에서 침전하지 않고 분산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해도 분산 상태는 유지된다. 따라서, 원액은 제1 증점제만에 의해 점성이 부여되어 있어, 낮은 점성을 가진다. 원액이 낮은 점성을 가지기 때문에, 그 후의 탄산 가스의 용해 공정에 있어서 탄산 가스를 충분한 양으로 용해시킬 수 있다. 얻어진 탄산 수용액도 마찬가지로 낮은 점성을 가지기 때문에, 그 후의 용기로의 충전 공정에 있어서 탄산 수용액이 용기로부터 넘쳐흐른다는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 후, 용기에 충전된 탄산 수용액을 가열하면, 제2 증점제가 탄산 수용액 중에 용해하여, 탄산 수용액의 점성에 기여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충분한 양의 탄산 가스를 포함하고 또한 충분한 점성을 가지는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증점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2 증점제만을 사용하여 원액을 조제한 경우, 제2 증점제는 침전되어버려, 최종적인 가열 공정에 의해 용해시켰을 때, 제2 증점제가 탄산 수용액 중에 불균일하게 분포되고, 걸쭉함에 불균일이 생겨버린다. 또 제2 증점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1 증점제만을 사용하여 원액을 조제한 경우, 그 후의 탄산 가스의 용해 공정이나 용기로의 충전 공정을 생각하면, 원액의 점성을 낮게 억제할 필요가 있어, 탄산 수용액에 충분한 점성을 부여할 수 없다.
또 본 발명의 방법은 이하의 이점도 가진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최종 제품인 걸쭉한 탄산음료는 정확한 가스 볼륨의 측정이 곤란한 것에 대해,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용기에 충전 후 가열 전에 탄산 수용액의 가스 볼륨을 측정하면, 탄산 수용액의 점성은 낮기 때문에 정확한 가스 볼륨을 측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은 종래의 탄산음료 제조 설비를 이용할 수 있어, 특별한 제조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점도 가진다.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는
(I) 상기 서술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II) 걸쭉한 탄산음료를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A[mPa·s]로 하고, 20℃의 온도 및 10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B[mPa·s]로 했을 때, 점도 A와 B가 이하의 관계식:
i) 100≤A≤300
ii) B≤(0.75×A)
을 만족한다.
보다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는
(I) 상기 서술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II) 걸쭉한 탄산음료를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A[mPa·s]로 하고, 20℃의 온도 및 10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B[mPa·s]로 했을 때, 점도 A와 B가 이하의 관계식:
i) 100≤A≤300
ii) B≤(0.73×A)
을 만족한다.
보다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는
(I) 상기 서술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II) 걸쭉한 탄산음료를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A[mPa·s]로 하고, 20℃의 온도 및 10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B[mPa·s]로 했을 때, 점도 A와 B가 이하의 관계식:
i) 100≤A≤300
ii) (0.25×A)≤B≤(0.75×A)
을 만족한다.
보다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는
(I) 상기 서술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II) 걸쭉한 탄산음료를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A[mPa·s]로 하고, 20℃의 온도 및 10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B[mPa·s]로 했을 때, 점도 A와 B가 이하의 관계식:
i) 100≤A≤300
ii) (0.27×A)≤B≤(0.73×A)
을 만족한다.
50/s의 전단 속도는 연하곤란자용 식품의 점도를 측정할 때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측정 조건이다. 또 100/s의 전단 속도는 연하시의 인후부에 있어서의 유체의 흐름의 전단 속도에 상당하는 측정 조건이다.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는 관계식 i) 100≤A≤300에 규정되는 점도를 가지면, 음료를 입에 물고 있을 때 잘 뭉쳐져 오연하기 어렵다.
또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가 관계식 ii) B≤(0.75×A), 바람직하게는 관계식 ii) B≤(0.73×A)을 만족한다는 것은 입에 물고 있을 때의 점도에 비해 삼켰을 때의 점도가 낮고, 또한 이들의 점도의 차가 어느 정도 이상인 것(즉, 높은 슈도플라스틱성을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이 물성을 가지면, 삼키기 쉽고, 또한 삼켰을 때의 끈적임이 저감된다. 관계식 ii)는 바람직하게는 (0.25×A)≤B≤(0.75×A)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7×A)≤B≤(0.73×A)이다.
걸쭉한 탄산음료의 점도 A 및 B는 예를 들면 물에 용해했을 때 슈도플라스틱성을 가지는 제1 증점제, 및 물에 용해했을 때 뉴턴 점성을 가지는 제2 증점제를 사용하여, 이들 증점제의 배합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걸쭉한 탄산음료의 점도 A 및 B를 관계식 i) 및 ii)를 만족하도록 조절함으로써, 걸쭉한 탄산음료에 슈도플라스틱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슈도플라스틱성을 가지는 제1 증점제 및 뉴턴 점성을 가지는 제2 증점제를 사용한 경우, 제1 증점제의 제2 증점제에 대한 배합비를 증대시킴으로써, 발현하는 슈도플라스틱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제1 증점제의 제2 증점제에 대한 배합비를 증대시키면, 점도 A와 점도 B의 차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3.5~4.6의 pH,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4.6 미만의 pH,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4.6 미만의 pH를 가진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서술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는 탄산음료로서의 상쾌감을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i) 및 ii)의 관계식을 만족함으로써, 연하장애자에게 있어서 마시기 쉬운 탄산음료가 된다. 즉, 연하곤란자가 음료를 마시기 시작하여 입에 물고 있을 때는 비교적 높은 점도로 잘 뭉쳐져 삼킬 수 있고, 목이 메거나 하지 않아, 오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연하곤란자가 삼킬 때는 전단 응력이 작용함으로써 점도가 저하되어, 음료가 목을 통과하기 쉽다.
<바람직한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정리하여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0~35℃의 온도를 가지는 제1 증점제의 수용액과, 0~35℃의 물에 용해하지 않지만 60℃ 이상의 물에 가용인 제2 증점제를 혼합하여, 상기 제2 증점제가 상기 수용액 중에 분산된 원액을 얻는 것,
상기 원액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켜 탄산 수용액을 얻는 것,
상기 탄산 수용액을 용기에 충전하고, 상기 용기를 밀봉하여,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얻는 것, 및
상기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상기 탄산 수용액이 60℃ 이상이 되도록 가열하여, 상기 제2 증점제를 상기 탄산 수용액에 용해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증점제는 웰란검, 구아검, 냉수 용해 타입의 이오타카라기난, 람다카라기난, 크산탄검, 냉수 용해 타입의 타마린드씨드검, 타라검 및 사일리움씨드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며, 상기 제2 증점제는 로커스트빈검, 가열 용해 타입의 이오타카라기난, 네이티브젤란검, 저메톡실펙틴 및 가열 용해 타입의 타마린드씨드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증점제는 웰란검, 구아검, 냉수 용해 타입의 이오타카라기난, 람다카라기난, 크산탄검, 타라검 및 사일리움씨드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며, 상기 제2 증점제는 로커스트빈검, 가열 용해 타입의 이오타카라기난, 네이티브젤란검, 저메톡실펙틴 및 가열 용해 타입의 타마린드씨드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증점제는 웰란검이며, 상기 제2 증점제는 로커스트빈검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증점제의 수용액은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되었을 때, 20~150[mPa·s], 바람직하게는 20~100[mPa·s],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5[mPa·s]의 점도를 가진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증점제의 수용액은 15~35℃의 온도를 가진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증점제는 50~300[mPa·s], 바람직하게는 100~150[mPa·s]의 점도를 가지는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가 얻어지도록 하는 양으로 상기 제1 증점제의 수용액과 혼합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액은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액은 3.5~4.6의 pH,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4.6 미만의 pH,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4.6 미만의 pH를 가진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액은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되었을 때, 20~150[mPa·s], 바람직하게는 20~100[mPa·s],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5[mPa·s]의 점도를 가진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원액을 조제하는 상기 공정의 전기간에 걸쳐, 상기 제2 증점제를 포함한 액체(즉, 제2 증점제를 첨가하고 있는 도중의 제1 증점제의 수용액 및 원액)는 상기 제2 증점제가 용해하지 않는 온도, 예를 들면 6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이상 6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5℃의 온도로 유지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액에 상기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는 것은 상기 원액을 5℃ 이하, 바람직하게는 0~5℃의 온도로 냉각하여 행해진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산 가스는 1.0~3.0, 바람직하게는 1.2~2.0의 가스 볼륨을 가지는 탄산 수용액이 얻어지도록 하는 양으로 상기 원액 중에 용해시킨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원액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는 상기 공정의 전기간에 걸쳐, 액체(즉, 원액,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고 있는 도중의 원액 및 탄산 수용액)는 상기 제2 증점제가 용해하지 않는 온도, 예를 들면 6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이상 6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의 온도로 유지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스틸캔, 알루미늄캔 또는 페트병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탄산 수용액을 용기에 충전하고 용기를 밀봉하는 상기 공정의 전기간에 걸쳐, 액체(즉, 탄산 수용액)는 상기 제2 증점제가 용해하지 않는 온도, 예를 들면 6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이상 6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의 온도로 유지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상기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상기 탄산 수용액이 60~120℃가 되도록 0.5~40분간 가열함으로써 행해진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상기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상기 탄산 수용액이 80~110℃가 되도록 1~40분간 가열함으로써 행해진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열보다 앞의 모든 공정에 있어서(즉, 원액을 조제하는 공정으로부터 용기를 밀봉하는 공정까지의 전기간에 걸쳐), 상기 제2 증점제를 포함한 모든 액체(즉, 제2 증점제를 첨가하고 있는 도중의 제1 증점제의 수용액, 원액,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고 있는 도중의 원액 및 탄산 수용액)는 상기 제2 증점제가 용해하지 않는 온도, 예를 들면 6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이상 6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의 온도로 유지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원액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는 상기 공정보다 앞(즉, 원액을 조제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증점제를 포함한 액체는 15~35℃의 온도로 유지되고, 또한 원액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는 상기 공정으로부터 용기를 밀봉하는 상기 공정까지의 기간은 상기 제2 증점제를 포함한 액체는 0~10℃의 온도로 유지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는 50~300[mPa·s], 바람직하게는 100~150[mPa·s]의 점도를 가진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는 3.5~4.6의 pH,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4.6 미만의 pH,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4.6 미만의 pH를 가진다.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로서,
상기 걸쭉한 탄산음료를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A[mPa·s]로 하고, 상기 걸쭉한 탄산음료를 20℃의 온도 및 10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B[mPa·s]로 했을 때, 점도 A와 점도 B가 이하의 관계식:
i) 100≤A≤300, 및
ii) B≤(0.75×A)
을 만족하는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점도 A와 상기 점도 B가 이하의 관계식:
i) 100≤A≤300, 및
ii) B≤(0.73×A)
을 만족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점도 A와 상기 점도 B가 이하의 관계식:
i) 100≤A≤300, 및
ii) (0.25×A)≤B≤(0.75×A)
을 만족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점도 A와 상기 점도 B가 이하의 관계식:
i) 100≤A≤300, 및
ii) (0.27×A)≤B≤(0.73×A)
을 만족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는 3.5~4.6의 pH,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4.6 미만의 pH,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4.6 미만의 pH를 가진다.
(실시예)
[실시예 1]
1-1.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조제
제1 증점제로서 웰란검, 제2 증점제로서 로커스트빈검을 사용하여, 하기 표 1에 표시되는 점도를 가지는 음료 1~10을 조제했다. 웰란검의 수용액은 매우 높은 슈도플라스틱성을 나타내고, 로커스트빈검의 수용액은 뉴턴 점성을 나타낸다.
또 증점제로서 타마린드씨드검만을 사용하여, 하기 표 1에 표시되는 점도를 가지는 대조 음료 1을 조제했다. 타마린드씨드검의 수용액은 뉴턴 점성을 나타낸다.
점도 삼키기 쉽다고 회답한 사람의 비율[%] 삼키기 쉬움 끈적임이 있다고 회답한 사람의 비율 [%] 끈적임
A[mPa·s]
(전단 속도 50/s의 경우)
B[mPa·s]
(전단 속도 100/s의 경우)
음료 1 150 130 30 100
음료 2 150 120 40 80
음료 3 150 110 70 60
음료 4 150 100 80 50
음료 5 150 90 90 40
음료 6 150 80 90 40
음료 7 150 70 100 30
음료 8 150 60 100 30
음료 9 150 50 100 0
음료 10 150 40 100 0
대조 음료 1 150 150 10 100
표 1에서는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도키산교사제 Viscometer TV-25 type L)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A[mPa·s]로서 나타내고, 20℃의 온도 및 10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B[mPa·s]로서 나타낸다.
음료 1~10의 점도 A 및 B는 제1 증점제와 제2 증점제의 배합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했다.
[음료 1]
[조성]
물 100질량부
웰란검(산에이겐에프·에프·아이사 비스탑W) 0.15질량부
로커스트빈검(산쇼사 GENU GUM type RL-200-J) 0.55질량부
pH 조정제(구연산) 원액의 pH가 4.0이 되도록 첨가
[순서]
우선, 웰란검을 20℃의 물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웰란검 수용액을 조제했다. 웰란검 수용액은 40[mPa·s]의 점도를 가지고 있었다. 웰란검 수용액에 로커스트빈검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로커스트빈검 분산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로커스트빈검 분산액에 pH 조정제를 첨가하여 pH를 4.0으로 조정했다. 이것에 의해 원액을 조제했다. 원액은 80[mPa·s]의 점도를 가지고 있었다.
원액을 냉각 플레이트에 보내어 0℃로 냉각했다. 냉각된 원액에 카보네이터를 사용하여 탄산 가스를 용해시켜 탄산 수용액을 조제했다. 탄산 가스는 탄산 수용액의 가스 볼륨이 2.0이 되도록 용해시켰다.
얻어진 탄산 수용액을 필러에 의해 용기(다이와세이칸사 NBC300)에 충전하고, 용기를 밀봉하여,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샤워식 살균 장치에 의해 95℃에서 30분간 가열하여 가열 살균을 행했다. 가열에 의해 용기 내에 함유되는 탄산 수용액도 95℃가 되었다. 이것에 의해 로커스트빈검을 탄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켜, 걸쭉함이 부여된 탄산 수용액을 용기 내에서 조제했다. 이것을 실온(20℃)까지 식혀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음료 1)를 완성시켰다.
[음료 2]
웰란검의 배합량을 0.20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5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3]
웰란검의 배합량을 0.25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45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4]
웰란검의 배합량을 0.30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4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5]
웰란검의 배합량을 0.35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35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6]
웰란검의 배합량을 0.40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3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7]
웰란검의 배합량을 0.45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25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8]
웰란검의 배합량을 0.50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2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9]
웰란검의 배합량을 0.55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15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10]
웰란검의 배합량을 0.60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1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1~10 모두에 있어서 원액의 점도가 충분히 낮았기 때문에, 그 후의 탄산 가스 용해 공정에 있어서 충분한 양의 탄산 가스를 원액에 용해시킬 수 있고, 그 후의 용기로의 충전 공정에 있어서 탄산 수용액은 용기로부터 넘쳐흐르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충분한 탄산 가스를 포함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조 음료 1]
[조성]
물 100질량부
냉수 용해성의 타마린드씨드검(DSP고쿄푸드&케미컬사 글리로이드3S) 0.7질량부
pH 조정제(구연산) 원액의 pH가 4.0이 되도록 첨가
[순서]
우선, 타마린드씨드검을 20℃의 물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타마린드씨드검 수용액을 조제했다. 타마린드씨드검 수용액에 pH 조정제를 첨가하여 pH를 4.0으로 조정했다. 이것에 의해 원액을 조제했다. 원액은 150[mPa·s]의 점도를 가지고 있었다.
원액을 냉각 플레이트에 보내어 0℃로 냉각했다. 냉각된 원액에 카보네이터를 사용하여 탄산 가스를 용해시켜 탄산 수용액을 조제했다. 탄산 가스는 탄산 수용액의 가스 볼륨이 2.0이 되도록 용해시켰다.
얻어진 탄산 수용액을 필러에 의해 용기(다이와세이칸사 NBC300)에 충전하고, 용기를 밀봉하여,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샤워식 살균 장치에 의해 95℃에서 30분간 가열하여 가열 살균을 행했다. 그 후,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실온(20℃)까지 식혀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대조 음료 1)를 완성시켰다.
냉수에 가용인 증점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탄산 가스 용해 전에 점도가 올라가버려, 나중의 충전 공정에서 탄산 수용액이 용기로부터 넘쳐흘렀다.
1-2. 관능 평가
음료 1~10 및 대조 음료 1을 관능 평가에 의해 평가했다. 관능 평가는 건강한 패널 10명에 의해 행했다. 관능 평가에서는 삼키기 쉬움 및 끈적임을 평가했다. 평가 방법 및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삼키기 쉬움>
각 패널은 삼키기 쉬운지 여부를 판정했다.
○: 삼키기 쉽다고 느끼는 사람이 50% 이상
△: 삼키기 쉽다고 느끼는 사람이 50% 미만
<끈적임>
각 패널은 삼켰을 때 「끈적인다」인지 「끈적이지 않는다」인지를 판정하고, 「끈적인다」라고 느끼는 사람의 비율을 산출했다.
○: 「끈적인다」라고 느끼는 사람의 비율이 50% 이하
△: 「끈적인다」라고 느끼는 사람의 비율이 50%를 넘음
삼키기 쉬움의 평가 결과가 ○이며, 끈적임의 평가 결과가 ○인 경우에 연하성이 매우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1-3. 평가 결과
관능 평가의 결과를 상기 표 1에 나타낸다.
음료 3~10은 점도 B÷점도 A의 값이 ≤약0.73이며, 양호하게 삼키기 쉬웠다. 한편 대조 음료 1은 전단 속도의 조건을 바꾸어도 점도 A 및 B는 동일하며, 삼키기 쉽다고 느껴지지는 않았다.
음료 3~10은 음료 1~2에 비해 전단 속도 100/s의 조건으로 측정한 점도 B와, 전단 속도 50/s의 조건으로 측정한 점도 A와의 차가 크고, 삼키기 쉽고 또한 삼켰을 때 끈적임이 없어, 연하성이 매우 양호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전단 속도 50/s의 조건으로 측정한 점도 A가 150[mPa·s]인 음료를 예로서 나타냈지만, 실시예 2에서는 전단 속도 50/s의 조건으로 측정한 점도 A가 100[mPa·s]인 음료를 예로서 나타낸다.
2-1.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조제
제1 증점제로서 웰란검, 제2 증점제로서 로커스트빈검을 사용하여, 하기 표 2에 표시되는 점도를 가지는 음료 11~16을 조제했다. 또 증점제로서 냉수 용해성의 타마린드씨드검만을 사용하여, 하기 표 2에 표시되는 점도를 가지는 대조 음료 2를 조제했다.
점도 삼키기 쉽다고 회답한 사람의 비율[%] 삼키기 쉬움 끈적임이 있다고 회답한 사람의 비율 [%] 끈적임
A[mPa·s]
(전단 속도 50/s의 경우)
B[mPa·s]
(전단 속도 100/s의 경우)
음료 11 100 80 40 70
음료 12 100 70 80 40
음료 13 100 60 90 30
음료 14 100 50 100 10
음료 15 100 40 100 10
음료 16 100 30 100 10
대조 음료 2 100 100 30 100
표 2에서는 표 1과 마찬가지로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도키산교사제 Viscometer TV-25 type L)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A[mPa·s]로서 나타내고, 20℃의 온도 및 10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B[mPa·s]로서 나타낸다.
음료 11~16의 점도 A 및 B는 제1 증점제와 제2 증점제의 배합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했다.
[음료 11]
웰란검의 배합량을 0.13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33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12]
웰란검의 배합량을 0.17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3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13]
웰란검의 배합량을 0.23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23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14]
웰란검의 배합량을 0.27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2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15]
웰란검의 배합량을 0.33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13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16]
웰란검의 배합량을 0.37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1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음료 11~16 모두에 있어서 원액의 점도가 충분히 낮았기 때문에, 그 후의 탄산 가스 용해 공정에 있어서 충분한 양의 탄산 가스를 원액에 용해시킬 수 있고, 그 후의 용기로의 충전 공정에 있어서 탄산 수용액은 용기로부터 넘쳐흐르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충분한 탄산 가스를 포함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조 음료 2]
타마린드씨드검의 배합량을 0.47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대조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2-2. 관능 평가
음료 11~16 및 대조 음료 2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관능 평가에 의해 평가했다.
2-3. 평가 결과
관능 평가의 결과를 상기 표 2에 나타낸다.
음료 12~16은 점도 B÷점도 A의 값이 ≤0.70이며, 양호하게 삼키기 쉬웠다. 한편, 대조 음료 2는 전단 속도의 조건을 바꾸어도 점도 A 및 B는 동일하며, 삼키기 쉽다고 느껴지지는 않았다.
음료 12~16은 음료 11에 비해 전단 속도 100/s의 조건으로 측정한 점도 B와, 전단 속도 50/s의 조건으로 측정한 점도 A와의 차가 크고, 삼키기 쉽고 또한 삼켰을 때 끈적임이 없어, 연하성이 매우 양호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전단 속도 50/s의 조건으로 측정한 점도 A가 300[mPa·s]인 음료를 예로서 나타낸다.
3-1.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조제
제1 증점제로서 웰란검, 제2 증점제로서 로커스트빈검을 사용하여, 하기 표 3에 표시되는 점도를 가지는 음료 17~20을 조제했다. 또 증점제로서 냉수 용해성의 타마린드씨드검만을 사용하여, 하기 표 3에 표시되는 점도를 가지는 대조 음료 3을 조제했다.
점도 삼키기 쉽다고 회답한 사람의 비율[%] 삼키기 쉬움 끈적임이 있다고 회답한 사람의 비율 [%] 끈적임
A[mPa·s]
(전단 속도 50/s의 경우)
B[mPa·s]
(전단 속도 100/s의 경우)
음료 17 300 260 40 70
음료 18 300 220 60 40
음료 19 300 180 70 30
음료 20 300 140 70 30
대조 음료 3 300 300 30 100
표 3에서는 표 1과 마찬가지로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도키산교사제 Viscometer TV-25 type L)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A[mPa·s]로서 나타내고, 20℃의 온도 및 10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한 경우의 점도를 B[mPa·s]로서 나타낸다.
음료 17~20의 점도 A 및 B는 제1 증점제와 제2 증점제의 배합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했다.
[음료 17]
웰란검의 배합량을 0.3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1.1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18]
웰란검의 배합량을 0.50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9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19]
웰란검의 배합량을 0.70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7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음료 20]
웰란검의 배합량을 0.90질량부, 로커스트빈검의 배합량을 0.50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음료 17~20 모두에 있어서 원액의 점도가 충분히 낮았기 때문에, 그 후의 탄산 가스 용해 공정에 있어서 충분한 양의 탄산 가스를 원액에 용해시킬 수 있고, 그 후의 용기로의 충전 공정에 있어서 탄산 수용액은 용기로부터 넘쳐흐르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충분한 탄산 가스를 포함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조 음료 3]
타마린드씨드검의 배합량을 1.40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대조 음료 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조제했다.
3-2. 관능 평가
음료 17~20 및 대조 음료 3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관능 평가에 의해 평가했다.
3-3. 평가 결과
관능 평가의 결과를 상기 표 3에 나타낸다.
음료 18~20은 점도 B÷점도 A의 값이 ≤약0.73이며, 양호하게 삼키기 쉬웠다. 한편, 대조 음료 3은 전단 속도의 조건을 바꾸어도 점도 A 및 B는 동일하며, 삼키기 쉽다고 느껴지지는 않았다.
음료 18~20은 음료 17에 비해 전단 속도 100/s의 조건으로 측정한 점도 B와, 전단 속도 50/s의 조건으로 측정한 점도 A와의 차가 크고, 삼키기 쉽고 또한 삼켰을 때 끈적임이 없어, 연하성이 매우 양호했다.
실시예 1~3의 결과로부터, 음료 3~10 및 음료 12~16 및 음료 18~20과 같이, 연하성이 매우 양호한 걸쭉한 탄산음료는 점도 A와 B가 이하의 관계식:
i) 100≤A≤300, 및
ii) B≤(0.75×A), 바람직하게는 B≤(0.73×A), 바람직하게는 (0.25×A)≤B≤(0.75×A), 보다 바람직하게는 (0.27×A)≤B≤(0.73×A)
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점도 안정성에 대한 pH의 영향을 조사했다.
4-1. 원액의 조제
하기 표 4에 나타내는 pH를 가지도록 시료 21~시료 24의 원액을 조제했다.
원액의
pH
조제 직후의
탄산음료의 점도
[mPa·s]
장치(藏置) 후의 탄산음료의 점도
[mPa·s]
탄산음료의 점도 안정성
시료 21 3.0 150 50 낮음
시료 22 3.5 150 135 높음
시료 23 4.0 150 140 높음
시료 24 4.6 150 145 높음
[시료 21]
[조성]
물 100질량부
웰란검 0.35질량부
로커스트빈검 0.35질량부
pH 조정제(구연산) 원액의 pH가 소망하는 pH가 되도록 첨가
[순서]
우선, 웰란검을 20℃의 물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웰란검 수용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웰란검 수용액에 로커스트빈검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로커스트빈검 분산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로커스트빈검 분산액에 pH 조정제를 첨가하여 pH를 3.0으로 조정했다. 이것에 의해 원액을 조제했다.
4-2.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조제
원액을 냉각 플레이트에 보내어 0℃로 냉각했다. 냉각된 원액에 카보네이터를 사용하여 탄산 가스를 용해시켜 탄산 수용액을 조제했다. 탄산 가스는 탄산 수용액의 가스 볼륨이 2.0이 되도록 용해시켰다. 얻어진 탄산 수용액을 필러에 의해 용기에 충전하고, 용기를 밀봉하여,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샤워식 살균 장치에 의해 95℃에서 30분간 가열하여 가열 살균을 행했다. 그 후,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실온(20℃)까지 식혀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완성시켰다.
완성된 탄산음료는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도키산교사제 Viscometer TV-25 type L)에 의해 측정하면 150[mPa·s]의 점도를 가지고 있었다.
[시료 22]
원액의 pH를 3.5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시료 2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원액을 조제했다. 그 후, 시료 21과 동일한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완성시켰다. 완성된 탄산음료는 시료 21의 탄산음료와 동일한 점도를 가지고 있었다.
[시료 23]
원액의 pH를 4.0으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시료 2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원액을 조제했다. 그 후, 시료 21과 동일한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완성시켰다. 완성된 탄산음료는 시료 21의 탄산음료와 동일한 점도를 가지고 있었다.
[시료 24]
원액의 pH를 4.6으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시료 21과 동일한 조성 및 순서로 원액을 조제했다. 그 후, 시료 21과 동일한 순서로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를 완성시켰다. 완성된 탄산음료는 시료 21의 탄산음료와 동일한 점도를 가지고 있었다.
4-3. 점도의 측정
시료 21~시료 24의 완성된 탄산음료를 20℃에서 1개월간 장치(藏置)했다. 장치 후의 각 탄산음료의 점도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상기 표 4에 나타낸다.
4-4. 결과
시료 22~24의 탄산음료는 시료 21과 비교하여 1개월 후의 점도의 저하가 적었다. 따라서 탄산음료의 점도 안정성의 관점에서 원액의 pH는 3.5~4.6인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1)

  1. 0~35℃의 온도의 물에 가용인 제1 증점제를, 상기 제1 증점제가 용해 가능한 온도 이상의 온도로서 0~35℃의 온도를 가진 물에 용해시켜, 0~35℃의 온도를 갖는 상기 제1 증점제의 수용액을 얻고, 여기서, 상기 제1 증점제의 수용액은 JIS Z8803:2011에 따라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되었을 때, 20~150[mPa·s]의 점도를 가지는 것,
    0~35℃의 온도를 가지는 상기 제1 증점제의 수용액과, 0~35℃의 물에 용해하지 않지만 60℃ 이상의 물에 가용인 제2 증점제를 혼합하여, 상기 제2 증점제가 상기 수용액 중에 분산된 원액을 얻고, 여기서, 상기 원액은 JIS Z8803:2011에 따라 20℃의 온도 및 50/s의 전단 속도의 조건하에서 E형 점도계에 의해 측정되었을 때, 20~150[mPa·s]의 점도를 가지는 것,
    상기 원액에 탄산 가스를 용해시켜 탄산 수용액을 얻는 것,
    상기 탄산 수용액을 용기에 충전하고, 상기 용기를 밀봉하여,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얻는 것, 및
    상기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상기 탄산 수용액이 60℃ 이상이 되도록 가열하여, 상기 제2 증점제를 상기 탄산 수용액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점제는 웰란검, 구아검, 냉수 용해 타입의 이오타카라기난, 람다카라기난, 크산탄검, 냉수 용해 타입의 타마린드씨드검, 타라검 및 사일리움씨드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며, 상기 제2 증점제는 로커스트빈검, 가열 용해 타입의 이오타카라기난, 네이티브젤란검, 저메톡실펙틴 및 가열 용해 타입의 타마린드씨드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액은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액은 3.5 이상 4.6 미만의 pH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액에 상기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는 것은 상기 원액을 5℃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상기 용기에 채워넣은 탄산 수용액을 상기 탄산 수용액이 80~110℃가 되도록 1~40분간 가열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보다 앞의 모든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2 증점제를 포함한 모든 액체가 60℃ 미만의 온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보다 앞의 모든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2 증점제를 포함한 모든 액체가 0℃ 이상 60℃ 미만의 온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보다 앞의 모든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2 증점제를 포함한 모든 액체가 0~35℃의 온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97021228A 2016-12-20 2017-12-15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제조 방법 및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 KR102510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6992 2016-12-20
JP2016246992 2016-12-20
PCT/JP2017/045180 WO2018116993A1 (ja) 2016-12-20 2017-12-15 容器詰めとろみ付き炭酸飲料の製造方法および容器詰めとろみ付き炭酸飲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224A KR20190097224A (ko) 2019-08-20
KR102510324B1 true KR102510324B1 (ko) 2023-03-17

Family

ID=6262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228A KR102510324B1 (ko) 2016-12-20 2017-12-15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제조 방법 및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533938B2 (ko)
EP (1) EP3560347B1 (ko)
JP (1) JP7000344B2 (ko)
KR (1) KR102510324B1 (ko)
CN (1) CN110099575A (ko)
CA (1) CA3045979A1 (ko)
TW (1) TWI748023B (ko)
WO (1) WO2018116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6333A (ja) * 2017-05-23 2018-12-13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ゲル状食品の製造方法
JP7105148B2 (ja) * 2018-09-10 2022-07-22 アサヒ飲料株式会社 容器詰め炭酸飲料、及び容器詰め炭酸飲料用の増粘剤
EP4181691A1 (en) * 2020-07-15 2023-05-24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ompositions to promote swallowing safety and efficienc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2236A (ja) * 2007-11-06 2009-05-28 Coca Cola Co:The 密閉容器入り炭酸ガス含有ソフトゼリー状飲料の配合および製造方法
JP2010041955A (ja) 2008-08-12 2010-02-25 Nippon Sangaria Beverage Company:Kk ゼリー状クリームソーダ飲料および冷凍クリームソーダ飲料
JP2010068747A (ja) 2008-09-18 2010-04-02 Nippon Sangaria Beverage Company:Kk ゼリー状炭酸飲料用組成物、容器詰炭酸ゼリー飲料および凍結炭酸ゼリー飲料
WO2016063698A1 (ja) * 2014-10-20 2016-04-28 大和製罐株式会社 容器詰め嚥下困難者用飲料
JP2016208991A (ja) 2006-05-24 2016-12-15 株式会社明治 液状食品増粘化剤及びそ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297A (ja) 2000-04-28 2001-10-30 Itoham Foods Inc ゼリー飲料
JP4396769B2 (ja) 2007-11-06 2010-0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型画像表示装置
JP6114017B2 (ja) * 2011-12-02 2017-04-12 キリンビバレッジ株式会社 容器入り2層ゼリー飲料
JP5314207B1 (ja) * 2013-03-14 2013-10-16 株式会社 伊藤園 ミネラル含有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ミネラル含有飲料の塩味抑制方法
JP6365921B2 (ja) * 2014-03-14 2018-08-01 ハウスウェルネスフーズ株式会社 スターアニス抽出物を含む容器詰炭酸飲料
JP6535672B2 (ja) * 2014-08-13 2019-07-03 大和製罐株式会社 容器詰めとろみ付き炭酸飲料の製造方法
JP6397792B2 (ja) * 2015-04-10 2018-09-26 ポッカサッポロフード&ビバレッジ株式会社 飲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8991A (ja) 2006-05-24 2016-12-15 株式会社明治 液状食品増粘化剤及びその製造法
JP2009112236A (ja) * 2007-11-06 2009-05-28 Coca Cola Co:The 密閉容器入り炭酸ガス含有ソフトゼリー状飲料の配合および製造方法
JP2010041955A (ja) 2008-08-12 2010-02-25 Nippon Sangaria Beverage Company:Kk ゼリー状クリームソーダ飲料および冷凍クリームソーダ飲料
JP2010068747A (ja) 2008-09-18 2010-04-02 Nippon Sangaria Beverage Company:Kk ゼリー状炭酸飲料用組成物、容器詰炭酸ゼリー飲料および凍結炭酸ゼリー飲料
WO2016063698A1 (ja) * 2014-10-20 2016-04-28 大和製罐株式会社 容器詰め嚥下困難者用飲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0347B1 (en) 2024-02-28
EP3560347A4 (en) 2020-10-21
WO2018116993A1 (ja) 2018-06-28
KR20190097224A (ko) 2019-08-20
TWI748023B (zh) 2021-12-01
TW201834565A (zh) 2018-10-01
US11533938B2 (en) 2022-12-27
CA3045979A1 (en) 2018-06-28
US20190297933A1 (en) 2019-10-03
JP7000344B2 (ja) 2022-01-19
EP3560347A1 (en) 2019-10-30
JPWO2018116993A1 (ja) 2019-10-24
CN110099575A (zh)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9892B (zh) 一种常温饮用型酸奶及其制备方法
KR102510324B1 (ko)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의 제조 방법 및 용기에 채워넣은 걸쭉한 탄산음료
JP3607240B2 (ja) ドリンクゼリー
JP4684055B2 (ja) ゼリー飲料
CN101507449B (zh) 酸性含乳饮料及其生产方法
TW200934397A (en) Composition of carbonic acid gas-containing soft jelly beverage in an airtight contain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9022251A (ja) ゼリー入りアルコール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551000A (zh) 一种咖啡专用稀奶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418091A (zh) 一种活菌型乳清蛋白饮品及其制备方法
JP7217083B2 (ja) ゼリー飲料、及び、ゼリー飲料の製造方法
US20210145016A1 (en) Beverage containing vinegar and dairy
CN1911114B (zh) 一种含三氯蔗糖的饮料
WO2019065187A1 (ja) ゼリー飲料、ゼリー飲料の製造方法、及び、ゼリー飲料の分離性向上方法
CN109984195A (zh) 一种清爽型复原乳酸奶饮品的制作方法
JP2005176749A (ja) ドリンクゼリー用ゲル化剤及びドリンクゼリー
JP6762110B2 (ja) レモン風味ゼリー飲料
CN108850751A (zh) 风味果冻粉及风味果冻饮料的制作方法
CN110477322A (zh) 一种拐枣果酱及其研制方法
WO2019181824A1 (ja) 飲料、容器詰め飲料、および飲料中の不溶性固形分の分散方法
JP2017189140A (ja) アルコール感が増強されたアルコール含有容器詰め炭酸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12579B2 (ja) 乳風味酸性飲料及びこれを得るための素材
CN106135423A (zh) 乳酸奶果汁饮料及其制造方法
JP2005087031A (ja) 果汁飲料
JP3910597B2 (ja) 液状発酵乳製品の製造方法
TW202315531A (zh) 用於膠凝食品的組成物以及具有多層且包含該組成物的膠凝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