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780B1 - 적층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780B1
KR102470780B1 KR1020177008289A KR20177008289A KR102470780B1 KR 102470780 B1 KR102470780 B1 KR 102470780B1 KR 1020177008289 A KR1020177008289 A KR 1020177008289A KR 20177008289 A KR20177008289 A KR 20177008289A KR 102470780 B1 KR102470780 B1 KR 102470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minated film
laminated
layer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331A (ko
Inventor
와타루 고우다
소이치 후지모토
카즈모리 소노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8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두께방향으로 3층 이상 적층된 적층 필름이며, 면내방향 위상차(Re)가 0∼400㎚, 두께방향 위상차(Rth)가 0∼1500㎚, Re의 편차가 폭방향에 있어서 18% 이하이며, 상기 적층 필름의 필름 두께가 40㎛ 이하, 필름의 폭이 400㎜ 이상인 적층 필름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 대상 편광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대화면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실장했을 때에 색 불균일이 없이 고품위인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층 필름{LAMINATED FILM}
본 발명은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 적층 필름을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 그 중에서도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계적 성질, 전기적 성질, 치수안정성, 투명성, 내약품성 등에 우수한 성질을 갖기 때문에 자기기록 재료, 포장 재료 등의 많은 용도에 있어서 기재 필름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플랫패널 디스플레이나 터치패널 분야에 있어서 편광판 보호 필름이나 투명 도전 필름 등, 각종 광학용 필름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고, 그 중에서도 편광판 보호 필름 용도에서는 저투습, 기계 강도, 및 열치수 안정성의 뛰어난 물성의 적용과 저비용화를 목적으로 해서, 종래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의 치환이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4-1240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4265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3-210598호 공보
그러나, 종래 검토되고 있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는 연신시의 폴리머의 배향에 기인해서 TAC 필름과 비교해서 위상차(Retardation : 리타데이션)이 높아지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로서 조립했을 때에 리타데이션에 기인한 간섭색이 생기고, 화상을 표시했을 때의 품위가 저하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리타데이션의 제어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여전히 리타데이션의 정도나 편차를 양립하기에는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 적층 필름에서 위상차 400㎚ 이하가 제안되어 있지만, 두께 위상차가 크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의 편광판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편광자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어 있지만, 위상차가 크고, 간섭색이나 무지개 얼룩의 억제가 충분하지 않았다(특허문헌 2). UV 차단성능을 가지고, 위상차 400㎚ 이하의 편광자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어 있지만, 투과율이 낮은 것에 의한 시인성, 및 보잉(bowing)이 커지는 제막 조건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폭방향의 위상차가 편차는 큰 문제가 있었다(특허문헌 3). 즉, 2축 연신 필름을 제조할 때에 필름 폭방향에서 폴리머의 배향 상태에 차가 생기기 때문에, 가령 필름의 일부분에서 목표로 하는 저리타데이션화를 달성할 수 있었던 경우에도 대화면의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대면적의 필름에 있어서 균일하게 낮은 리타데이션의 필름이 얻어지지 않아 제품 수율이 저하하고, 고비용으로 된다고 하는 문제가 남겨져 있었다. 또한, 리타데이션은 필름 두께에 비례하기 때문에 필름 두께를 수㎛ 레벨로 얇게 함으로써 억제할 수도 있지만, 극도의 박막화에 의해 핸들링성이 저하해 버려 편광판 보호 필름의 용도에서는 실용적인 것은 아니었다. 또한 최외층에 사용되는 편광판 보호 필름은 높은 UV 차단성이 요구되고 있고, 자외선 흡수재를 다량으로 첨가하는 것에 의한 비용 상승이나 공정 오염, 색미 변화 등이 문제가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에 있다. 즉, 저비용, 또한 박막화가 가능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면서 저위상차성을 갖고, 또한 대화면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에 탑재했을 때에 색 불균일·무지개 얼룩·간섭색을 보이는 일이 없고, 후가공성에 뛰어난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과제는, 두께방향으로 3층 이상 적층된 적층 필름으로서, 면내방향 위상차(Re)가 0∼400㎚, 두께방향 위상차(Rth)가 0∼1500㎚, Re의 편차가 폭방향에 있어서 18% 이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영률이 2㎬ 이상,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파단신도가 50% 이상이며, 상기 적층 필름의 필름 두께가 40㎛ 이하, 필름의 폭이 400㎜ 이상인 적층 필름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대화면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표시장치에 탑재했을 경우, 색 불균일이 적어 돋보임이 양호하고 고품위로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높은 UV 차단에 의해 편광자 및 액정의 UV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TO 등의 투명도전의 기재 필름으로서 탑재되었을 경우, 색 불균일·무지개 얼룩·간섭색이 없고,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이 효과는, 또한 관측자가 편광 선글라스를 투과시켜 보았을 경우, 블랙아웃 현상이라고 불리는 흑색 표시로 되는 일은 없고, 밝고 선명하게 표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두께방향으로 3층 이상 적층된 적층 필름이다. 적층 필름의 적층수는 UV 차단성, 리타데이션, 필름 총두께의 관점으로부터 51∼1001층이면 바람직하고, 101∼501층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151∼351층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두께를 얇고, 또한 간섭 반사에 의한 자외선 반사를 이용하는 관점으로부터는 101∼301층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의 적층수가 3층 미만인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 B로서 비결정 수지를 사용했을 때에, 롤이나 클립 등의 제조설비에의 점착에 의한 제막 불량이나, 적층 필름 표면의 평면성 악화 등의 문제가 생길 경우가 있다. 적층 필름의 적층수가 1층, 즉 단막인 경우, 리타데이션을 제어하기 위해서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어 핸들링성이 악화할 경우가 있다. 또한, 적층 필름의 적층수가 51층 미만인 경우, UV 차단성이 불충분할 가능성이 있다. UV 차단성과 두께방향의 적층수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적층 필름의 적층수가 1001층을 초과할 경우, 필름 총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A층과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B를 주성분으로 하는 B층이 교대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성분」이란 특정의 성분이 전성분 중에 차지하는 비율이 50질량% 이상인 것을 의미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A층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A와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B란, A층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A와는 다른 열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가리키고, 구체적으로는 시차주사 열량측정(DSC)에 있어서 다른 융점이나 유리전이점 온도를 나타내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교대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다고 하는 것은, 다른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두께방향으로 규칙적인 배열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예를 들면 다른 굴절율을 갖는 2개의 열가소성 수지 A 및 B로 이루어질 경우, 각각의 층을 A층, B층이라 표현하면, A(BA)n(n은 자연수)의 규칙적인 배열로 적층된 것이다. 이와 같이 열특성이 다른 수지가 교대로 적층됨으로써 2축 연신 필름을 제조할 때에 각각의 층의 배향 상태를 고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리타데이션이나 UV 차단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A층이 최외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가 최외층으로 되기 때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과 같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마찬가지로 2축 연신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열가소성 수지 A가 예를 들면 비결정성의 수지로 이루어질 경우, 후술의 일반적인 축차 2축 연신 필름과 마찬가지로 2축 연신 필름을 얻을 경우, 롤이나 클립 등의 제조 설비에의 점착에 의한 제막 불량이나, 적층 필름 표면의 평면성 악화 등의 문제가 생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로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을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로부터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디프산, 수베르산, 세바스산, 다이머산, 도데칸디온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그것들의 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높은 굴절율을 발현하는 테레프탈산과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의 산 성분은 1종만 사용해도 좋지만, 2종 이상 병용해도 좋고, 또한 히드록시벤조산 등의 옥시산 등을 일부 공중합해도 좋다.
또한, 디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2,2-비스(4-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이소소르비드(1,4:3,6-디안히드로글루시톨, 1,4:3,6-디안히드로-D-소르비톨), 스피로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디올 성분은 1종만 사용해도 좋지만, 2종 이상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중에 첨가할 수 있는 수지나, 열가소성 수지 B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폴리아세탈 등의 쇄상 폴리올레핀, 노보넨류의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 부가중합, 다른 올레핀류와의 부가 공중합체인 지환족 폴리올레핀, 폴리락트산, 폴리부틸석시네이트 등의 생분해성 폴리머, 나일론6, 나일론11, 나일론12,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 아라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부티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코폴리머, 폴리아세탈, 폴리글리콜산, 폴리스티렌, 스티렌 공중합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4불화 에틸렌 수지, 3불화 에틸렌 수지, 3불화 염화에틸렌 수지, 4불화 에틸렌-6불화 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강도·내열성·투명성 및 범용성의 관점으로부터, 특히 또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B로서도 강도·내열성·투명성·범용성에 추가해,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의 밀착성·적층성이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은 공중합체이여도, 혼합물이여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B는, 예를 들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그 중합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또한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폴리헥사메틸렌나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B는 이소프탈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스피로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및 이소소르비드에서 선택된 공중합 성분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성분을 포함한 폴리에스테르는, 복굴절성을 발현하기 어렵고, 특히 연신되어도 그 효과를 발휘하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적층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경우 정면으로부터의 위상차뿐만 아니라, 두께방향의 위상차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색 불균일, 무지개 얼룩, 간섭색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스피로글리콜과 이소소르비드는 그 공중합량을 높임으로써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편광판이나 ITO 등의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뛰어난 가공 적성을 발현한다. 또한, 색 불균일이나 무지개 얼룩이란, 직선 편광의 광을 내는 디스플레이패널 상에 복굴절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두고, 배면을 백색 표시했을 때에 시야각 의존성을 조사했을 때에 보이는 광학현상이다. 간섭색이란 흡수축이 직교한 2매의 편광판의 사이에 복굴절체를 배치하고, 하방으로부터 백색광으로 비추었을 때에 보이는 위상차에 기인한 색이며, 일반적으로 Michel-Levy의 간섭 도표가 위상차와 색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사용하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B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각 열가소성 수지의 SP값의 차의 절대치가 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SP값의 차의 절대치가 1.0 이하이면 층간 박리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 열가소성 수지 B는 동일한 기본골격을 제공한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기본골격이란, 수지를 구성하는 반복단위이며, 예를들면, 한쪽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정밀도의 적층구조를 실현하기 쉬운 관점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동일한 기본골격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다른 한쪽의 열가소성 수지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 열가소성 수지 B가 동일한 기본골격을 포함하는 수지이면, 적층 정밀도가 높고, 또한 적층 계면에서의 층간 박리가 생기기 어려운 적층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사용하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B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 열가소성 수지 B의 유리전이온도 차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 차가 20℃보다 클 경우에는 적층 필름을 제조할 때의 두께 균일성이 불량으로 되고, 리타데이션에 편차가 생기는 원인이 된다. 또한, 적층 필름을 성형할 때에도 과연신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보이기 쉽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B층은 A층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B가 비결정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성 수지와 비교해서 비결정성 수지는 2축 연신 필름을 제조할 때에 배향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 B로 이루어지는 B층의 리타데이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적층 필름의 리타데이션의 불균일함을 억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2축 연신 필름을 제조할 때에 열처리 공정을 설치했을 경우에 이 효과는 현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필름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연신 공정에서 비결정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에 생긴 배향을 열처리 공정에서 완전하게 완화시킬 수 있고, 실질적으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A층에 기인하는 리타데이션만이 적층 필름으로서의 리타데이션에 영향을 주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비결정성 수지란, 시차주사 열량측정에 있어서 융점에 상당하는 피크를 거의 나타내지 않는 수지를 가리킨다.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수지 조합의 일례로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열가소성 수지 B가 스피로글리콜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로글리콜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란, 스피로글리콜을 공중합한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그것들을 블렌드한 폴리에스테르를 말한다. 스피로글리콜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의 유리전이온도 차가 작기 때문에, 성형시에 과연신으로 되기 어렵고, 또한 층간 박리도 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열가소성 수지 B가 스피로글리콜 및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로글리콜 및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이면, 결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리타데이션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의 유리전이온도 차가 작고, 접착성에도 뛰어나기 때문에 성형시에 과연신으로 되기 어렵고, 또한 층간 박리도 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B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인 것도 바람직하다.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공중합한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그것들을 블렌드한 폴리에스테르를 말한다.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는 결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리타데이션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의 유리전이온도 차가 작기 때문에 성형시에 과연신으로 되기 어렵고, 또한 층간 박리도 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 B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공중합량이 15㏖% 이상 60㏖% 이하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거의 비결정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리타데이션을 억제할 수 있는 것에 추가해서, 특히 가열이나 시간 경과에 의한 리타데이션의 변화가 작고, 층간에서의 박리도 생기기 어려워진다.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공중합량이 15㏖% 이상 60㏖% 이하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매우 강하게 접착한다. 또한, 그 시클로헥산디메탄올기는 기하 이성체로서 시스체 또는 트랜스체가 있고, 또한 배좌 이성체로서 의자형 또는 보트형도 있으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연신해도 배향 결정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조시의 찢어짐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B가 이소프탈산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소프탈산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란, 이소프탈산을 공중합한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그것들을 블렌드한 폴리에스테르를 말한다. 이소프탈산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는 결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리타데이션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의 유리전이온도 차가 작기 때문에 성형시에 과연신이 되기 어려우며, 또한 층간 박리도 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 B가 이소프탈산의 공중합량이 10㏖% 이상 25㏖% 이하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B가 이소소르비드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소소르비드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란, 이소소르비드를 공중합한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그것들을 블렌드한 폴리에스테르를 말한다. 이소소르비드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는, 결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리타데이션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 차가 작고, 상용성이 좋기 때문에 공연신성과 층간 밀착성이 우수하다. 바람직한 이소소르비드의 공중합량은 3㏖% 이상 50㏖% 이하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열가소성 수지 B가 이소소르비드 및 시클로헥산디탄올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소르비드 및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이면, 중합성과 결정성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임에 따라 용이하게 리타데이션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공중합량은 5∼60㏖%가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중에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유기계 이윤활제, 안료, 염료, 유기 또는 무기의 미립자, 충전제, 대전방지제, 핵제 등이 그 특성을 악화시키지 않을 정도로 첨가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첨가하는 자외선 흡수제(UVA)의 농도는 0.5∼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7∼1.8질량%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0.8∼1.5질량%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1.0∼1.5질량%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UVA의 농도가 0.5질량% 미만인 경우, UV 차단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UVA의 농도가 2질량%를 초과할 경우, 공정 오염이나 색미 변화, 기계 강도의 저하 등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한, UVA로서는 파장 300∼400㎚의 영역에서의 UV 흡수능의 관점에서,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4,6-트리스(2-히드록시-4-헥실옥시-3-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진-4-온), 2-(4,6-(4-비페닐)-1,3,5-트리아진-2-일)-5-(2-에틸헥실옥시)-페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2-(2-에틸헥사노일옥시)에톡시]페놀이나, 이것들의 혼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A층과 B층의 적층비(A층의 총두께/B층의 총두께)가 0.2∼1.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A층과 B층의 적층비는 0.5∼1.4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0.7∼1.3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0.8∼1.2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적층비가 0.2 미만인 경우, 특히 B층에 비결정성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에 있어서 내열성이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 적층비가 1.5를 초과할 경우, 특히 B층에 비결정성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에 있어서 위상차가 지나치게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무지개 얼룩이나 색 불균일과 관계되는 두께방향의 위상차를 낮추는 관점으로부터, 적층비는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면내방향 위상차(Re)가 0∼400㎚이다. Re는 0∼200㎚이면 바람직하고, 0∼150㎚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0∼100㎚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0∼50㎚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Re는 필름의 면내에 있어서의 직교하는 2방향의 굴절율 차의 최대치와 필름 두께의 곱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과 같은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용이하게 필름으로서의 굴절율을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간접적인 방법으로 산출된 값을 가지고서 리타데이션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오지 케이소쿠키키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위상차 측정장치 KOBRA 시리즈에서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있어서 계측된 값을 사용한다. Re가 400㎚를 초과할 경우,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에 실장했을 때에 간섭색이 생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두께방향 위상차(Rth)가 0∼1500㎚이다. Rth는 0∼1200㎚이면 바람직하고, 0∼1000㎚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0∼900㎚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0∼700㎚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Rth가 1500㎚를 초과할 경우,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에 실장했을 때에 각도를 붙여서 관찰하면 간섭색이 보이기 쉬워질 경우가 있다.
Re, 및 Rth를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후술하는 제막 조건에 의해 각 층의 복굴절을 제어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B를 필름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무배향화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B 로 이루어지는 B층에서의 굴절율의 이방성(복굴절)을 거의 제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Re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A층의 굴절율의 이방성과 A층의 총두께의 곱이 되고, 동일 두께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비교하면 Re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Re의 편차가 폭방향에 있어서 18% 이하이다. Re의 편차는 15%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12%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8% 이하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다. 이 때의 Re의 편차란 적층 필름의 필름 폭이 400㎜ 이상일 경우에 있어서, 필름의 폭방향 전체에 50㎜ 간격으로 샘플링한 후, 각각의 샘플의 중앙의 Re를 측정하고, Re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를 평균치로 나누어서 % 표시한 값을 가리킨다(Re의 편차(%)= (Re의 최대치-Re의 최소치)/(Re의 평균치)×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의 필름 폭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의 필름 폭에 있어서, Re의 편차가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롤 형상의 적층 필름이면, 롤의 권취 방향을 필름 길이방향으로 하고,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이 폭방향에 상당한다. 한편, 잘라진 시트 형상일 경우에는, 필름의 장변 방향과 장변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 말단(양단부로부터 각각 25㎜ 떨어진 개소)에 있어서 Re를 계측하고, 필름 중앙과의 차가 큰 방향을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적층 필름의 폭방향이라고 한다. Re의 편차가 폭방향에 있어서 18%를 초과할 경우,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특히 대형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실장했을 때에 색 불균일이 생기고, 품위가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Re의 폭방향의 편차를 상기와 같이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수지 및 후술하는 제막 조건을 취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영률이 2㎬ 이상이다.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영률은 2.2㎬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2.5㎬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2.8㎬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3㎬ 이상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어느 하나의 영률이 2㎬ 이하인 경우, 필름에 탄력이 없어 핸들링성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영률을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고, 후술하는 제막 조건을 취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파단신도가 50% 이상이다.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파단신도는 100%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110%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120%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130% 이상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어느 하나의 파단신도가 50% 이하일 경우, 필름이 물러져 버려 가공 공정 중에 장력이 걸렸을 때에 필름이 파단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파단신도를 상기와 같이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고, 후술하는 제막 조건을 선택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필름 두께가 40㎛ 이하이다. 필름 두께는 5∼35㎛이면 바람직하고, 10∼30㎛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12∼25㎛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13∼20㎛는 핸들링의 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필름 두께가 40㎛를 초과할 경우, 리타데이션이 높아지거나,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경우 편광판이 두꺼워지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에 실장할 때에 중량 증가, 대형화하거나 할 경우가 있다. 특히, 두께가 두꺼워지면, 횡연신시의 포와송비에 의한 반주행(세로) 방향으로의 인입량이 커지기 때문에, 보잉 현상이 강하게 발생한다. 즉, 폭방향의 위상차 분포에 있어서 중앙부와 횡연신기의 클립으로 파지된 단부간의 편차가 커진다. 보잉 현상이란, 횡연신기의 공정 전에서 매직잉크로 필름 폭방향으로 그은 직선이 횡연신, 이어서 열처리를 거쳐서 횡연신기로부터 나왔을 때에 궁형 형상으로 변형되어 있는 현상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필름의 폭이 400㎜ 이상이다. 필름의 폭은 600㎜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1000㎜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1300㎜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1500㎜ 이상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필름의 폭이 400㎜ 미만인 경우, 대형의 액정 디스플레이로서 실장할 수 없을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Re의 편차가 길이방향에 있어서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Re의 길이방향의 편차는 15%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10% 이하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때의 Re의 편차란, 적층 필름의 길이방향이 400㎜ 이상일 경우에 있어서 필름의 폭방향 중앙부를 50㎜ 간격으로 샘플링한 후, 각각의 샘플의 중앙의 Re를 측정하고, Re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를 평균치로 나누어서 % 표시한 값을 가리킨다(Re의 편차(%)=(Re의 최대치-Re의 최소치)/(Re의 평균치)×100). 적층 필름이 잘라진 시트 형상일 경우에는, 상기한 폭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 길이방향이다. Re의 길이방향의 편차를 상기와 같이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후술하는 제막 조건을 취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배향각의 편차가 폭방향에 있어서 2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의 배향각의 폭방향의 편차는 15°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10°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7°이하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배향각은, 필름 상의 굴절율이 가장 커지는 방향을 가리키고, 실제로는 리타데이션과 마찬가지로 광학적 방법으로 계측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향각이란, 상기한 폭방향에 있어서 양단부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중앙부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층 필름의 폭방향에 있어서 양단부에서 각각 25㎜ 떨어진 개소, 및 중앙부를 샘플링하고, 각각의 샘플의 중앙의 배향각을 측정하고, 양단부의 중 큰 쪽의 배향각의 값에서 중앙부의 배향각의 값을 뺀 값을 상기 적층 필름의 배향각의 편차로 한다(배향각의 폭방향 편차(°)=양단부 중, 큰 쪽의 배향각의 값-중앙부의 배향각의 값). 폭방향에 있어서 배향각의 편차가 20°를 초과할 경우, 관측자가 편광 선글라스를 썼을 때에 디스플레이에 보여지는 블랙아웃 현상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가치로 연결된다. 블랙아웃이란 디스플레이로부터 방출되고 있는 직선편광의 광이 편광 선글라스의 흡수축과 겹쳐서 광이 눈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암시야로 되고, 화상이 보이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직선편광의 방향과 배향각의 방위로 끼워진 각도가 10도 이상이면, 광은 복굴절하기 때문에 편광 선글라스에서도 광이 투과하고, 블랙아웃를 회피할 수 있다. 최근, 차량 탑재 용도에서는 중요시되고 있고, 특히 터치패널에 사용되는 ITO용 기재 필름에 대해서는 수요가 있다. 즉,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IPS나 VA 모드의 액정 디스플레이(직선편광이 화각에 대하여 직교관계)에 실장했을 때에, 배향각이 10°이상이면 광누설을 일으키고, 화상의 밝기를 저하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배향각의 폭방향의 편차를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종연신 배율 3.5 이상으로 크게 하거나, 후술하는 제막 조건을 취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비결정 수지를 주층측에 포함하고 있으면 배향각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비결정 수지란 시차주사 열량계(DSC)로 원료를 평가했을 때에 흡열 피크가 되는 융점 Tm이 거의 드러나지 않고, 존재해도 그 융해 엔타르피 ΔHm이 6J/g 이하를 나타내는 수지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결정부분 융해온도(Tmeta)는 1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meta가 190℃ 이하이면 필름 폭방향의 위상차의 균일성이 향상되고, 또한 저위상차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너무 지나치게 낮으면 편광판화 할 때에 열수축이 커서 품질 문제로 연결되기 때문에, 150℃ 이상이 바람직하다. Tmeta를 조정하는 방법은 필름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 온도의 최고 온도를 140℃ 이상 210℃ 이하로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의 동적 점탄성 측정(Dynamic Mechanical Analysis 측정(DMA 측정))에 있어서 tanδ 피크가 2개 이상 관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anδ 피크의 2개 이상의 피크 중, 가장 저온측의 피크는 적층 필름의 Tg에 기인하는 것이다. Tg를 제외한 피크는 적층 필름의 제막시에 받은 연신 이력에 의한 것이며, 이 피크가 존재하는 것은 적층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Re의 편차나 기계적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Tg 근방에 두번째 이상의 피크가 존재할 경우, 작은 쪽의 피크는 숄더로서 관측될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 숄더의 수도 피크수로서 카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의 DMA 측정에 있어서 가장 고온측에 존재하는 tanδ의 피크 온도가 100∼130℃, 또는 130∼160℃인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Re의 편차나 기계적 특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2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5∼12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120℃다.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의 DMA 측정에 있어서 가장 고온측에 존재하는 tanδ의 피크 온도가 100℃ 미만인 경우, 또는 130℃를 초과할 경우,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의 Re의 편차가 악화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의 DMA 측정에 있어서 tanδ 피크가 2개 이상 관측되고, 가장 고온측에 존재하는 tanδ의 피크 온도를 바람직한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 비결정 수지의 다층적층 구조를 취하고, 후술하는 제막 조건을 취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의 85℃에서의 저장탄성률 E'가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편광자가 되는 PVA(폴리비닐알콜)의 건조 온도가 100∼80℃ 정도이기 때문에, 그 온도 근방에서의 탄력의 강도가 요구된다. 2.5㎬ 이상이면 PVA의 수축에 대하여 편광판은 컬이나 휨이 일어나기 어렵고, 바람직하다. 또한, 내상처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하드코트 공정에서 필름 형상으로 함석 주름 등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2.8㎬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3.1㎬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이다. 달성 방법으로서는 85℃에서의 E'을 높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열가소성 수지 B에 사용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성분에 스피로글리콜 및/또는 이소소르비드를 포함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연신성과 밀착성의 관점으로부터 그 공중합량은 5㏖% 이상 40㏖ 이하가 바람직하다. 그 밖의 달성 방법으로서 UV 경화형의 하드 코트를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해도 좋다. 경화 후의 하드코트층의 두께는 85℃에서의 E'의 값을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0.5μ이상 6㎛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동마찰계수 0.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마찰계수가 0.45를 초과하면 미끄럼성이 나쁘고, 주름이 들어가기 쉬우며, 권취 특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편광판화 될 때에 영향을 미치게 할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동마찰계수는 0.42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이하이다. 여기에서의 동마찰계수는 적어도 한쪽의 면에서 만족하면 되고, 예를 들면 적층 필름의 표면과 이면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동마찰계수가 0.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ITO 기재 용도에서는 클리어 하드코트, 올리고머 블록킹용 하드코트, 저굴절율층(LR) 및 고굴절율층(HR)의 최대 4층 형성하는 후가공이 있기 때문에, 적층 필름 자체에 높은 미끄럼성이 요구되는 관점에서 같은 용도에서는 0.35 이하가 바람직하다. 그 달성 방법은 프라이머층에 불활성인 무기입자, 예를 들면 50∼300㎚의 입경의 콜로이달실리카를 첨가함으로써 동마찰계수 0.4 이하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그 이하는 적층 필름의 최표층에 있어서도 불활성 입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은 투명성과 이활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0.01중량%∼1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 입경 2.5㎛ 이하 1㎛ 이상의 탄산 칼슘이나 응집 실리카를 대입경 입자로서 첨가하고, 또한 평균 입경 0.5㎛ 이하의 규산 알루미나, 알루미나, 디비닐벤젠 등을 소입경 입자로서 첨가하는 조합이 이활 투명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적어도 한쪽의 면에 프라이머층 및/또는 하드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이 적어도 한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PVA와의 접착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은 수계 도포제로 필름 제조 공정 중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제는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변성 우레탄 등에서 선택된 범용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재는 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화합물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메티롤화 또는 알키롤화한 요소계, 멜라민계, 우레탄계, 아크릴아미드계, 폴리아미드계,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옥사졸린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각종 실란커플링제, 각종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의 상처 대책의 관점에서 하드코트층이 적어도 한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의 두께는 컬을 가능한 한 억제하는 관점에서 5㎛ 이하가 바람직하고, 한편, 경도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1㎛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UV 차단성의 관점에서 파장 380㎚에서의 투과율이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파장 380㎚에서의 투과율이 30%를 초과할 경우,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에 실장했을 때에 자외선에 의해 편광자나 액정이 열화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파장 380㎚에서의 투과율을 바람직한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UV 흡수제, 또는 다층막의 간섭 반사를 이용한다. 간섭 반사는 평균층 두께를 40∼55㎚로 하고, 광학특성이 다른 2종 이상의 수지의 면내 굴절율의 차를 크게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으므로, 2축 연신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결정성인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과, 연신시에 비결정성을 유지, 또는 열처리 공정에서 융해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 필름으로 하면 간섭 반사를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및 열가소성 수지 B를 소정의 적층수로 적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하는 바와 같이 UVA를 바람직한 범위에서 함유시키는 것은, 상승효과에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UV 차단성의 관점에서 파장 240∼360㎚에서의 평균 투과율이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다. 파장 240∼360㎚에서의 평균 투과율이 5%를 초과할 경우,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에 실장했을 때에 자외선에 의해 편광자나 액정이 열화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파장 240∼360㎚에서의 평균 투과율을 바람직한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광학특성이 다른 2종 이상의 수지의 면내 굴절율의 차를 크게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으므로, 2축 연신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결정성인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과, 연신시에 비결정성을 유지 또는 열처리 공정에서 융해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 필름으로 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및 열가소성 수지 B를 소정의 적층수로 적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관계되는 예에 한정해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적층 필름의 적층 구조는, 일본 특허공개 2007-307893호 공보의 〔0053〕∼ 〔0063〕단에 기재된 내용과 같은 방법에 의해 간편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를 펠릿 등의 형태로 준비한다. 펠릿은 필요에 따라서 열풍 중 또는 진공 하에서 건조된 후, 각각의 압출기에 공급된다. 압출기 내에 있어서, 융점 이상으로 가열 용융된 수지는, 기어펌프 등에서 수지의 압출량이 균일화되어, 필터 등을 통해서 이물이나 변성된 수지 등이 제거된다. 이들 수지는 다이에서 목적의 형상으로 성형된 후, 토출된다. 그리고, 다이로부터 토출된 적층 시트는 캐스팅 드럼 등의 냉각체 상에 압출되고, 냉각 고화되어, 캐스팅 필름이 얻어진다. 이 때, 와이어 형상, 테이프 형상, 침 형상 또는 나이프 형상 등의 전극을 이용하여, 정전기력에 의해 캐스팅 드럼 등의 냉각체에 밀착시켜 급랭 고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릿 형상, 스폿 형상, 면 형상의 장치로부터 에어를 분출해서 캐스팅 드럼 등의 냉각체에 밀착시켜 급랭 고화시키거나, 닙 롤로 냉각체에 밀착시켜 급랭 고화시키거나 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또한, A층의 주성분이 되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 그것과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B의 복수의 수지를 2대 이상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다른 유로로부터 송출하고, 다층 적층장치에 송입된다. 다층 적층장치로서는 멀티 매니폴드 다이나 피드 블록이나 스태틱믹서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본 발명의 구성을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의 미세 슬릿을 갖는 피드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드 블록을 사용하면, 장치가 극단적으로 대형화할 일이 없기 때문에 열열화에 의한 이물이 적고, 적층수가 극단적으로 많은 경우에도 고정밀도의 적층이 가능해 진다. 또한, 폭방향의 적층 정밀도도 종래 기술에 비교해서 격단적으로 향상한다. 또한, 이 장치에서는 각 층의 두께를 슬릿의 형상(길이, 폭)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임의의 층 두께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소망의 층 구성으로 형성한 용융 다층 적층체를 다이에 안내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캐스팅 필름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캐스팅 필름은 2축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2축 연신이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을 말한다. 연신은 축차로 2방향으로 연신해도 좋고, 동시에 2방향으로 연신해도 좋다. 또한, 2축 연신한 후, 또한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재연신을 행해도 된다. 특히, 2축 연신한 후, 길이방향으로 재연신한 후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주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A와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B로 구성되고, 층수가 3층 이상이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A로 이루어지는 A층과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B로 이루어지는 B층의 적층비(A/B)가 2∼0.2인 미연신 필름을, 연신 온도 70∼145℃의 범위에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2축 연신을 행하고, 그 후에 온도 120∼235℃의 범위에서 열고정을 행하고, 그 후에 적어도 길이방향으로 연신 온도 80∼150℃의 범위에서 1.02∼1.95배의 재연신을 행하고, 그 후에 90∼235℃의 범위에서 다시 열고정하여, 권취하는 제조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필름 폭방향의 위상차를 끝없이 균일화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축차 2축 연신의 경우에 대해서 우선 설명한다. 여기에서, 길이방향으로의 연신이란 필름에 길이방향의 분자 배향을 주기 위한 연신을 말하고, 통상은 롤의 주속차에 의해 실시되고, 이 주행방향의 연신은 1단계로 행해도 되고, 또한 복수 개의 롤쌍을 사용해서 다단계로 행해도 된다. 연신의 배율로서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15배가 바람직하고,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중 어느 하나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2∼7배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배, 더 바람직하게는 3∼4배,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Re의 편차나 배향각의 편차 억제의 관점에서 3∼3.5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온도로서는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유리전이온도+100℃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70∼120℃가 보다 바람직하고, 80∼110℃가 더욱 바람직하고,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Re의 편차나 배향각의 편차 억제의 관점에서 95∼110℃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경우에는, 유리전이온도가 높기 때문에 105℃ 이상 155℃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1축 연신된 필름에,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처리나 프레임 처리, 플라스마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한 후, 이활성, 이접착성, 대전방지성 등의 기능을 인라인 코팅에 의해 부여해도 좋다.
계속해서 폭방향의 연신이란 필름에 폭방향의 배향을 주기 위한 연신을 말하고, 통상은 텐터법을 이용하여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반송하여, 폭방향으로 연신한다. 연신의 배율로서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15배가 바람직하고,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중 어느 하나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2∼5배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배, 더 바람직하게는 3∼4.5배, Re나 Rth, 폭방향의 Re의 편차나 배향각의 편차 억제의 관점에서 3.5∼4배가 특히 바람직하고, 종연신 배율보다 높은 배율로 연신하는 것은 또한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연신 온도로서는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유리전이온도+120℃가 바람직하고, 폭방향의 Re의 편차나 배향각의 편차 억제의 관점에서 온도에 경사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류로부터 하류로 감에 따라서 온도가 높아져 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횡연신 구간을 2분할했을 경우, 상류의 온도와 하류의 온도의 차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1단째의 연신 온도는 80∼120℃가 보다 바람직하고, 90∼110℃가 더욱 바람직하고, 95∼105℃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경우에는, 유리전이온도가 높기 때문에 105℃ 이상 155℃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폭방향의 Re의 편차나 배향각의 편차 억제의 관점에서 횡연신 속도에 차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횡연신 구간을 2분할했을 경우, 횡연신 구간 중간점에 있어서의 필름의 연신량(계측 지점에서의 필름 폭-연신전 필름 폭)이 횡연신 구간 종료시의 연신량의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이렇게 해서 2축 연신된 필름은, 평면성, 치수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텐터 내에서 연신 온도 이상 융점 이하의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편광판 제조 공정의 일반적인 건조 온도의 상한은 약 120℃ 정도이기 때문에, 120∼235℃의 범위에서 열고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0℃ 미만이면 열치수 안정성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편광판의 컬이나 휨의 원인이 될 경우가 있다. 235℃ 이상이면 보잉 등이 커지고, 필름 폭방향의 위상차의 균일성이 나빠질 경우가 있다. Re나 Rth, 폭방향의 Re의 편차나 배향각의 편차 억제의 관점에서 190∼225℃가 특히 바람직하다. 폭방향의 Re의 편차를 작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열처리 전반(前半)에서 1∼10%의 열처리 추연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방향의 열수축율을 크게 하지 않는 관점으로부터 2∼8%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열처리된 후, 균일하게 서냉 후 실온까지 냉각해서 권취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열처리나 서냉시에 이완 처리 등을 병용해도 좋다. 열처리시의 이완율은 0.5∼5%가 바람직하고, 0.5∼3%가 보다 바람직하고, 0.8∼2.5%가 더욱 바람직하고, 폭방향의 Re의 편차나 배향각의 편차 억제의 관점에서 1∼2%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서냉시의 이완율은 0.5∼3%가 바람직하고, 0.5∼2%가 보다 바람직하고, 0.5∼1.5%가 더욱 바람직하고, 폭방향의 Re의 편차나 배향각의 편차 억제의 관점에서 0.5∼1%가 특히 바람직하다. 서냉시의 온도는 80∼150℃가 바람직하고, 90∼130℃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130℃가 더욱 바람직하고, 적층 필름의 평면성의 관점에서 100∼120℃가 특히 바람직하다.
동시 2축 연신의 경우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동시 2축 연신의 경우에는 얻어진 캐스팅 필름에,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처리나 프레임 처리, 플라스마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한 후, 이활성, 이접착성, 대전방지성 등의 기능을 인라인 코팅에 의해 부여해도 좋다.
이어서, 캐스팅 필름을 동시 2축 텐터에 안내하고,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반송하여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동시 및/또는 단계적으로 연신한다. 동시 2축 연신기로서는 팬터 그래프 방식, 스크류 방식, 구동 모터 방식, 리니어 모터 방식이 있지만, 임의로 연신 배율을 변경 가능하고, 임의의 장소에서 이완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구동 모터 방식 또는 리니어 모터 방식이 바람직하다. 연신의 배율로서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면적 배율로서 6∼50배가 바람직하고,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중 어느 하나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면적 배율로서 8∼30배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25배, 더 바람직하게는 9∼20배, Re나 Rth,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Re의 편차나 배향각의 편차 억제의 관점에서 10∼15배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동시 2축 연신의 경우에는 면내의 배향차를 억제하기 위해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연신 배율을 동일하게 함과 아울러 연신 속도도 거의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온도로서는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유리전이온도+120℃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80∼160℃가 보다 바람직하고, 90∼150℃가 더욱 바람직하고,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Re의 편차나 배향각의 편차 억제의 관점에서 100∼140℃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동시 2축 연신된 필름은 평면성, 치수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텐터 내의 열고정실에서 연신 온도 이상 융점 이하의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축차 2축 연신의 조건과 같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축차 2축 연신한 후, 열처리한 필름을, 또한 적어도 길이방향으로 연신 온도 80∼150℃의 범위에서 1.02∼1.95배의 재연신을 행하고, 그 후 90∼235℃의 범위에서 다시 열고정하고,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진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위상차가 낮고, 또한 편차를 작게 제어함으로써 색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판 보호 필름은 시판의 PVA 중에 요오드를 함유, 배향시켜서 작성된 PVA 시트와 접합되어서 편광판으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특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 평가를 행하였다.
(1) 적층수
적층 필름의 적층수는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단면을 잘라낸 샘플에 대해서, 투과형 전자현미경(TEM) 관찰에 의해 구했다. 즉, 투과형 전자현미경 H-7100FA형((주)히타치 세이사쿠쇼제)을 사용하고, 가속전압 75kV의 조건에서 필름의 단면을 관찰하여 단면 사진을 촬영, 적층수를 측정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콘트라스트를 높게 얻기 위해서, RuO4나 OsO4 등을 사용한 염색 기술을 사용했다. 또한, 1매의 화상에 도입되는 모든 층 중에서 가장 두께가 얇은 층(박막층)의 두께에 맞추어서 박막층 두께가 50㎚ 미만의 경우에는 10만배, 박막층 두께가 50㎚ 이상 500㎚ 미만인 경우에는 4만배, 500㎚ 이상인 경우에는 1만배의 확대 배율로 관찰을 실시했다.
(2) 면내방향 위상차(Re), 두께방향 위상차(Rth), 배향각
오우지 케이소쿠 키키(주)제 위상차 측정장치(KOBRA-21ADH)를 사용했다. 샘플을 필름 폭방향 중앙부에서 3.5㎝×3.5㎝로 잘라내고, 필름 폭방향이 본 측정장치에서 정의되어 있는 각도 0°가 되도록 장치에 설치하고, 파장 590㎚에 있어서의 Re, Rth, 및 그 배향각을 측정했다. 또한, Rth는 지상축을 경사시켜서 입사각 0∼50°(10°마다)시의 각 위상차 값의 2차 근사에 의해 산출했다. Re는 입사각 0°의 값이다.
(3) Re의 폭방향의 편차
필름 폭이 400㎜ 이상인 적층 필름에 있어서, 필름의 폭방향 전체에 50㎜ 간격으로 상기 (2)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샘플링한 후, 각각의 샘플의 중앙의 Re를 측정하고, Re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를 평균치로 나누어서 % 표시한 값을 본 적층 필름의 Re의 폭방향의 편차로 했다. 롤 형상의 적층 필름이면 롤의 권취방향을 필름 길이방향으로 하고,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이 폭방향에 상당한다. 한편, 잘라진 시트 형상일 경우에는 필름의 장변 방향과 장변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 말단(양 단부로부터 각각 25㎜ 떨어진 개소)에 있어서 Re를 계측하고, 필름 중앙과의 차가 큰 방향을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적층 필름의 폭방향이라고 한다.
(4) Re의 길이방향의 편차
길이방향이 400㎜인 적층 필름에 있어서, 필름의 폭방향 중앙부를 50㎜ 간격으로 상기 (2)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샘플링한 후, 각각의 샘플의 중앙의 Re를 측정하고, Re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를 평균치로 나누어서 % 표시한 값을 본 적층 필름의 Re의 길이방향의 편차라고 했다. 또한, 상기 적층 필름의 길이방향이란 상기 (3)항에 기재된 폭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다.
(5) 배향각의 폭방향의 편차
필름 폭이 400㎜ 이상인 적층 필름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중앙부, 및 양단부로부터 각각 25㎜ 떨어진 개소의 계 3개소에 대해서 상기 (2)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샘플링하고, 각각의 샘플의 중앙의 배향각을 측정하고, 양단부의 값으로부터 중앙부의 값의 차를 뺀 경우의 큰 쪽의 값을 본 적층 필름의 배향각의 폭방향의 편차라고 했다. 또한, 상기 적층 필름의 폭방향이란 상기 (3)항에 기재한 정의를 가리킨다.
(6) 영률, 파단신도
샘플은 필름의 폭방향의 중앙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15㎝, 폭방향으로 1.5㎝로 잘라내어 길이방향의 영률 측정용 샘플로 했다. 마찬가지로, 폭방향으로 15㎝, 길이방향으로 1.5㎝로 잘라내어 폭방향의 영률 측정용 샘플로 했다. 영률, 파단신도는 JIS-K7127-1999에 준거한 측정에 있어서, 로봇 텐시론 RTA(오리엔테크제)를 이용하여 온도 23℃, 습도 65%RH에 있어서 측정했다. 또한, 인장 속도는 300㎜/min으로 했다.
(7) 필름 두께
접촉식의 막두께 측정기 미쯔토요사제 라이트매칙 VL-50A(10.5㎜φ 초경 구면 측정자, 측정 하중 0.06N)로 측정했다. 측정은 장소를 바꾸어서 10회 행하고, 그 평균치를 적층 필름의 두께로 했다.
(8) 동적 점탄성(DMA) 측정(E' 및 tanδ)
샘플을 필름 폭방향 중앙부에서 7㎝×1㎝로 잘라내고, 측정길이 2㎝×필름 폭 1㎝의 샘플이 되도록 샘플 홀더에 설치했다. 세이코 인스루먼츠(주)제 DMS6100을 사용하고, 인장 모드에서 실온 20℃에서 240℃의 온도범위, 변위 10㎛, 진동 주파수 1Hz, 승온 속도 2℃/min의 조건에서 저장탄성률 E' 및 손실계수 tanδ를 측정했다. tanδ는 손실탄성률 E"와 저장탄성률 E'의 비로 구해진다. 또한, 필름의 길이방향을 측정길이로 했다.
(9) 시인성 테스트
PVA 중에 요오드를 흡착·배향시켜서 작성한 편광도 99.9%의 편광판의 한쪽의 면에 필름의 폭방향 중앙부분으로부터 폭방향으로 420㎜, 길이방향으로 310㎜의 사이즈로 잘라낸 샘플에 접합시켜서 테스트 피스로 했다. 작성한 테스트 피스와 필름을 부착하고 있지 않은 편광판을 직교 니콜(crossed Nicol)의 배치로 중합하여 백색 LED 광원(트라이데크제 A3-101) 상에 둔에 경우의 시인성을 확인했다.
SS : 광누설이 적고, 간섭색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S : 간섭색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A : 간섭색이 약간 보이지만 실용에 문제 없다.
B : 간섭색이 분명히 보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10) UV 차단성
샘플을 필름 폭방향 중앙부로부터 5㎝×5㎝로 잘라내고, 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사제 분광광도계(U-4100 spectrophotomater)를 이용하여 파장 240∼800㎚의 투과율을 측정했다. 적분구의 내벽은 황산 바륨이며, 표준판은 부속의 산화알루미늄이다. 측정 조건 : 슬릿은 2㎚(가시)/자동 제어(적외)로 하고, 게인은 2로 설정하고, 시사속도는 600㎚/분으로 측정하여, 입사각 0도에 있어서의 파장 380㎚의 투과율, 및 파장 240∼360㎚의 평균 투과율을 얻었다. UV 차단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S : 파장 240∼360㎚의 평균 투과율이 2% 이하
A : 파장 240∼360㎚의 평균 투과율이 3% 이상 5 이하
B : 파장 240∼360㎚의 평균 투과율이 6% 이상.
(11)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Co-PET)의 조성 분석
본 발명의 공중합 PET의 조성은 폴리머 중합시에 공중합 성분의 모노머량을 디올 성분과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배합량으로 조정하고 있지만, 1H-NMR 및 열분해 GC/MS 측정에 의해 모노머 동정과 조성비의 산출을 행할 수 있다. 공중합 PET 칩을 약 30mg 정도를 채취하고, 중수소화 클로로포름(CDCl3)과 중수소화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d2)의 혼합액에 용해한 후, 40℃의 온도에서 1H-NMR 측정을 실시했다. 또한, 혼합액의 비율은 CDCl3 : HFIP-d2=2:1로 했다. 동정시에는 스피로글리콜,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이소소르비드의 각종 모노머의 단독 스펙트럼의 기존 데이터에 기초하고, 또한 조성은 스펙트럼의 피크 면적비율로부터 공중합비율을 산출했다.
(12) 동마찰계수(μd)
ASTM-D-1894에 준거하여, 슬립 테스터로 미끄러짐 속도 150㎜/min, 하중 200g의 조건에서 미끄러지기 시작한 후에 전기저항 변형계로 검출된 응력(저항치)을 기초로 하기 식 (1)로 산출했다. 또한, 동마찰계수는 미끄러져 나온 후의 안정 영역에서의 저항치이다.
마찰계수=저항치(G)/하중(G) …식(1)
(13) 수지 조성물의 결정성, 비결정성, 및 결정부분 융해온도(Tmeta)
시차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25℃로부터 290℃까지 20℃/min으로 승온하고,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 JIS K7121, 7122에 따라서 융점 Tm, 결정융해 엔타르피 ΔH를 구하고, 결정성과 비결정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판단을 행하였다. Tm이 거의 드러나지 않고, ΔH가 6j/g 미만을 비결정으로 했다. 또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융점 Tm 이하로 나타나는 열처리 온도 근방의 흡열 피크를 결정부분 융해온도 Tmeta로서 구했다.
장치 : 세이코 인스루먼츠(주)제 : SII 로봇 DSC(모델 DSC6220)
데이터 해석 "standard Analysis"
샘플 질량 : 5mg.
(14) 전광선 투과율·헤이즈
헤이즈 미터 NDH5000(니폰 덴쇼쿠 고교제)을 이용하여 JIS K 7361-1, JIS K 7136, ASTM-D1003에 따라 측정을 실시했다.
(15) 하드코트 부여시의 후가공성
적층 필름에 보호막으로서 두께 1.5㎛의 하드코트층을 형성했다. 도포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도포제를 조정하고, #10의 바코터로 균일하게 필름에 도포하고, 90℃의 열풍 대류식 건조기에서 1분간 건조해서 용제를 제거한 후, 80W/㎝, 반송 속도 5m/분의 조건에서 자외선 조사를 행하였다. UA-122P(신나카무라 카가쿠 고교) 우레탄아크릴레이트 40부
타케네이트 B830(미츠이 카가쿠 폴리우레탄) 블록화 이소시아네이트 2.5부
일가큐어 184(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광개시제 1.5부
MEK 110부
단부의 미도공부를 슬릿하고, 롤 형상으로 권취했다. 그 때에, 필름 상태를 관찰하고, 후가공성을 평가했다.
S : 주름이 없고, 평면성 양호.
A : 주름이 일부 보이지만, 문제 없는 레벨
B : 함석 주름, 컬이 현저하게 보인다.
(실시예 1)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로서, 융점이 258℃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했다. 열가소성 수지 B로서 융점을 가지지 않는 비결정성 수지인 스피로글리콜 15㏖%,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25㏖%를 공중합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SPG·T/CHDC)를 사용했다. 상기 PE/SPG·T/CHDC 98질량%, UVA로서 2,4,6-트리스(2-히드록시-4-헥실옥시-3-메틸페닐)-1,3,5-트리아진 2질량%가 이 비율로 혼합되도록 계량 호퍼로부터 2축 압출기에 원료 공급하고, 280℃에서 용융 혼련을 행하고, 스트랜드 형상으로 다이로부터 토출하여, 25℃의 수조에서 냉각 고화하고, 칩 형상으로 잘라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1)을 얻었다.
준비한 PET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1)을, 각각 수분을 포함하지 않도록 충분히 진공 고온 하에서 건조한 후, 2대의 단축 압출기에 투입해 280℃에서 용융 혼련했다. 이어서, 각각 FSS 타입의 리프 디스크 필터를 50매 개재한 후, PET로 이루어지는 각 층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1)로 이루어지는 각 층의 적층비(PET로 이루어지는 층의 총두께/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1)로 이루어지는 층의 총두께)가 1.0이 되도록 기어펌프로 계량하면서, 슬릿수 251개의 적층장치에서 합류시켜서 두께방향으로 교대로 251층 적층된 적층체로서 T다이로부터 압출하여, 25℃로 표면온도를 제어한 캐스트 드럼 상에 캐스팅해서 캐스팅 필름을 얻었다. 적층체로 하는 방법은, 일본 특허공개 2007-307893호 공보 〔0053〕∼〔0056〕단의 기재에 따라서 행했다. 여기에서는, 슬릿 길이, 간격은 모두 일정하게 했다. 얻어진 적층체는 PET로 이루어지는 층이 126층,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1)로 이루어지는 층이 125층이며, 두께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된 적층구조를 갖고 있었다. 또한, 구금 내부에서의 확폭비인 구금 립의 필름 폭방향 길이를 구금의 유입구부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길이로 나눈 값을 2.5가 되도록 했다.
얻어진 캐스팅 필름을, 95℃로 설정한 롤군에서 가열한 후, 연신 구간길이 400㎜의 사이에서 필름 양면으로부터 라디에이션 히터에 의해 급속 가열하면서, 연신시의 필름 온도를 103℃로 하면서 필름 길이방향으로 3.3배 연신하고, 그 후 일단 냉각했다. 계속해서, 이 1축 연신 필름의 양면에 공기 중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고, 기재 필름의 젖음 장력을 55mN/m로 하고, 그 필름 양면의 처리면에(유리전이온도가 18℃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리전이온도가 82℃인 폴리에스테르 수지)/평균 입경 100㎚의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지는 적층형 성막 도포액을 도포하고, 투명·이활·이접착으로 되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이 1축 연신 필름을 텐터에 안내하고, 95℃의 열풍에서 예열 후, 1단째 105℃, 2단째 140℃의 온도에서 필름 폭방향으로 4.5배 연신했다. 여기에서, 횡연신 구간을 2분할했을 경우, 횡연신 구간 중간점에 있어서의 필름의 연신량(계측지점에서의 필름 폭-연신전 필름 폭)은, 횡연신 구간 종료시의 연신량의 80%로 되도록 2단계로 연신했다. 횡연신한 필름은 그대로 텐터 내에서 단계적으로 180℃로부터 열처리 온도 225℃의 열풍으로 열처리를 행하고, 계속해서 동 온도조건에서 폭방향으로 1%의 이완 처리를, 또한 100℃까지 급랭한 후에 폭방향으로 1%의 이완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에 권취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필름 폭방향으로의 연신시의 연신 배율을 3.6배, 열처리 온도를 2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 있어서, 열처리 온도를 23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슬릿수 51개의 적층장치를 사용하고, PET 26층,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1) 25층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슬릿수 3개의 적층장치를 사용하고, PET 2층,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1) 1층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 슬릿수 801개의 적층장치를 사용하고, PET 401층,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1) 400층으로 하고, 필름 폭방향으로의 연신시의 연신 배율을 3.6배, 열처리 온도를 2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열가소성 수지 B로서 융점을 가지지 않는 비결정성 수지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30㏖%를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G)를 사용했다. PETG 96질량%, UVA로서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4질량%가 이 비율로 혼합되도록 계량 호퍼로부터 2축 압출기에 원료 공급하고, 280℃에서 용융 혼련을 행하고, 스트랜드 형상으로 다이로부터 토출하여 25℃의 수조에서 냉각 고화하고, 칩 형상으로 잘라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2)을 얻었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1) 대신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열가소성 수지 B로서 융점을 가지지 않는 비결정성 수지인 이소프탈산 20㏖%를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I)를 사용했다. PET/I 96질량%, UVA로서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4질량%가 이 비율로 혼합되도록 계량 호퍼로부터 2축 압출기에 원료 공급하고, 280℃로 용융 혼련을 행하고, 스트랜드 형상으로 다이로부터 토출하여 25℃의 수조에서 냉각 고화하고, 칩 형상으로 잘라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3)을 얻었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1) 대신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3)인 PET/I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 있어서, 슬릿 길이 선형으로 변화시키고,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평균층 두께가 40∼55㎚가 되도록 슬릿 설계하여, 각 층두께가 서서히 변화되는 적층체로 했다. 이어서, 적층 필름의 두께가 13㎛가 되도록 종연신 온도를 105℃로 변경하고, 열처리 온도를 215℃로 하며, 열처리 전반부에서 약 3%의 열처리 추연신의 조건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전광선 투과율 91%, 헤이즈 0.7%의 투명한 필름이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실시예 9의 열처리 온도를 190℃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두께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같은 조건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을 또한 종연신에 안내하여 150℃에서 1.2배의 재연신을 행하고, 이어서 190℃로 이완 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열가소성 수지 B로서 융점을 가지지 않는 비결정성 수지인 스피로글리콜 21㏖%,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5㏖%를 공중합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SPG·T/CHDC)를 사용했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 저온측에 있었던 tanδ 피크가 고온측으로 이동해 왔기 때문에 tanδ 피크의 수는 겉보기상 1개가 되었다.
(실시예 13)
열가소성 수지 B로서 융점을 가지지 않는 비결정성 수지인 이소소르비드 5㏖%, 시클로헥산디메탄올 24㏖%를 공중합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ISB·CHDM)를 사용했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열가소성 수지 B로서 융점을 가지지 않는 비결정성 수지인 이소소르비드 5㏖%, 시클로헥산디메탄올 24㏖%를 공중합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ISB·CHDM)와 융점을 가지지 않는 비결정성 수지인 스피로글리콜 20㏖%,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30㏖%를 공중합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SPG·T/CHDC)를 1:1로 컴파운딩한 것을 사용했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열가소성 수지 A로서 융점을 가지지 않는 비결정성 수지인 이소소르비드 15㏖%, 시클로헥산디메탄올 24㏖%를 공중합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ISB·CHDM)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1:3의 비율로 컴파운딩한 합금 수지를 사용했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 B로서 같이 융점을 가지지 않는 비결정성 수지인 이소소르비드 15㏖%, 시클로헥산디메탄올 20㏖%를 공중합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ISB·CHDM)와 이소프탈산 성분 20mol%의 PET/I를 1:1의 비율로 컴파운딩한 합금 수지를 사용했다. 또한, 적층장치를 변경하고, 열가소성 수지 A를 401층, 열가소성 수지 B를 400층을 교대로 적층하고, A층/B층의 적층비를 0.33으로 변경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의 시인성은 매우 좋고, 가장 뛰어난 것이었다. 또한, 배향각의 변화가 크고, 직교 니콜 하에서의 광누설이 컸기 때문에 블랙아웃하기 어려운 특성이 갖추어져 있으므로, ITO 기재용 필름에 적합한 것이었다.
(실시예 16)
두께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같은 조건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을 또한 종연신에 안내하여 150℃에서 1.2배의 재연신을 행하고, 이어서 190℃로 이완 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실시예 9의 PET에 이소프탈산 성분 20mol%의 공중합 PET를 20질량% 첨가하고, 적층비를 0.6, 종연신 배율 3.4배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해서 두께 13㎛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편면에 하드코트층을 부여한 것은 85℃ 저장탄성률 E'는 2.8㎬이었다.
(실시예 18)
캐스트 속도, 종연신 온도 105℃, 열처리 온도 140℃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을 종연신에 더 안내하여 160℃에서 1.3배의 재연신을 행하고, 이어서 130∼190℃로 단계적으로 열처리를 실시하고, 100℃에서 길이 및 폭방향의 이완 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지는 적층 필름의 두께가 13㎛가 되도록 캐스트 속도는 조정했다. 배향각 및 위상차가 필름 폭방향에서 균일한 샘플을 채취하는 것에 성공했다. 또한, 분자의 배향 방향은 위상차 측정장치의 결과로부터 길이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예 19)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로서 융점이 265℃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를 사용했다. 열가소성 수지 B로서 융점을 가지지 않는 비결정성 수지인 이소소르비드 15㏖%, 시클로헥산디메탄올 20㏖%를 공중합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ISB·CHDM)를 사용했다.
준비한 PEN과 열가소성 수지 B를, 각각 수분을 포함하지 않도록 충분히 진공고온 하에서 건조한 후 2대의 단축 압출기에 투입해 300℃에서 용융 혼련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슬릿수 131개의 적층장치에서 합류시켜서 두께방향으로 교대로 131층 적층된 적층체로 해서 T다이로부터 압출하고, 25℃로 표면온도를 제어한 캐스트 드럼 상에 캐스팅해서 캐스팅 필름을 얻었다. 적층체로 하는 방법은, 일본 특허공개 2007-307893호 공보 〔0053〕∼〔0056〕단의 기재에 따라 행하였다. 여기에서는, 간극은 일정하게 하고 슬릿 길이를 서서히 변화시켜, 평균 층두께가 40∼55㎚로 되도록 슬릿 설계했다. 얻어진 적층체는 PEN으로 이루어지는 층이 66층, 열가소성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이 65층이며, 두께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된 적층구조를 갖고 있었다. 또한 구금 내부에서의 확폭비인 구금 립의 필름 폭방향 길이를 구금의 유입구부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길이로 나눈 값을 2.5가 되도록 했다.
얻어진 캐스팅 필름을 140℃로 설정한 롤군에서 가열한 후, 연신 구간 길이 400㎜의 사이에서 필름 양면으로부터 라디에이션 히터에 의해 급속 가열하면서, 연신시의 필름 온도를 143℃로 하면서 필름 길이방향으로 3.3배 연신하고, 그 후 일단 냉각했다. 계속해서, 이 1축 연신 필름의 양면에 공기 중서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 그 필름 양면의 처리면에(유리전이온도가 18℃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리전이온도가 82℃인 폴리에스테르 수지)/평균 입경 100㎚의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지는 적층 형성막 도포액을 도포하고, 투명·이활·이접착이 되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이 1축 연신 필름을 텐터에 안내하여 150℃의 열풍으로 예열 후, 1단째 145℃, 2단째 155℃의 온도에서 필름 폭방향으로 4.5배 연신했다. 여기에서, 횡연신 구간을 2분할했을 경우, 횡연신 구간 중간점에 있어서의 필름의 연신량(계측지점에서의 필름 폭-연신전 필름 폭)은 횡연신 구간 종료시의 연신량의 80%가 되도록 2단계로 연신했다. 횡연신한 필름은 그대로 텐터 내에서 205℃의 열풍으로 열처리를 행하고, 계속해서 동 온도조건에서 폭방향으로 1%의 이완 처리를, 또한 100℃까지 급냉한 후에 폭방향으로 1%의 이완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에 권취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20)
실시예 5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B를 실시예 14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또한 적층수 이외의 제막 조건은 실시예 14로 함으로써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21)
PET/폴리에테르이미드(PEI) 5질량%/평균 입경 1.1㎛의 탄산칼슘 0.025질량%/평균 입경 0.3㎛의 가교 폴리스티렌 0.1질량%를 2축 압출기에 원료공급하고, 280℃로 용융 혼련을 행하고, 스트랜드 형상으로 다이로부터 토출하여 25℃의 수조에서 냉각 고화하고, 칩 형상으로 잘라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1)을 얻었다.
실시예 17에 있어서, PET 대신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1)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은 90%, 헤이즈 1.5%이며, 시인성은 매우 좋고, 후가공성에는 적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배향각의 변화가 크고, 직교 니콜 하에서의 광누설이 컸기 때문에 블랙아웃하기 어려운 특성이 갖추어져 있으므로 ITO 기재용 필름에 적합한 것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PET 단막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연신 구간 중간점에 있어서의 필름의 연신량(계측지점에서의 필름 폭-연신전 필름 폭)은 횡연신 구간 종료시의 연신량의 50%가 되도록 변경하고, 또한 단계적인 승온도 없이 횡연신 종료 후에 열처리 온도를 24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종연신 공정에 있어서 필름 양면으로부터 라디에이션 히터에 의한 급속가열의 출력을 낮추고, 연신시의 필름 온도를 85℃로 하며, 필 서냉시의 이완율을 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캐스트 속도를 조정하고, 필름 두께를 4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두께방향의 위상차가 크고, 시인성 테스트에서는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때에 강하게 간섭색이 보여졌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필름 폭방향으로 5.3배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1) 대신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B-2)로 하고, 필름 폭방향으로 5.3배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29782325-pct00001
Figure 112017029782325-pct00002
Figure 112017029782325-pct00003
Figure 112017029782325-pct00004
Figure 112017029782325-pct00005
Figure 112017029782325-pct00006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위상차가 낮고, 또한 편차를 작게 제어함으로써 색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에 내장되는 편광판의 편광판 보호 필름이나 차재용 디스플레이 대상 ITO 등의 투명 도전 필름의 기재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두께방향으로 3층 이상 적층된 적층 필름으로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A를 A층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A층과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A와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B를 B층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B층이 교대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지고, 열가소성 수지 B가 이소프탈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스피로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및 이소소르비드로부터 선택된 공중합 성분을 1개 이상을 포함하고, 면내방향 위상차(Re)가 0∼400㎚, 두께방향 위상차(Rth)가 0∼1500㎚, Re의 편차가 폭방향에 있어서 18% 이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영률이 2㎬ 이상,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파단신도가 50% 이상이며, 상기 적층 필름의 필름 두께가 40㎛ 이하, 필름의 폭이 400㎜ 이상이고, 길이방향 및/또는 폭 방향의 DMA 측정에 있어서 가장 고온측에 존재하는 tanδ의 피크 온도가 100∼130℃인 적층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Re의 편차가 길이방향에 있어서 20% 이하인 적층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향각의 편차가 폭방향에 있어서 20°이하인 적층 필름.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정부분 융해온도 Tmeta가 190℃ 이하인 적층 필름.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 tanδ 피크가 2개 이상 관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의 85℃에서의 저장탄성률 E'가 2.5㎬ 이상인 적층 필름.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층수가 51∼1001층인 적층 필름.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동마찰계수 0.45 이하이며, 적어도 한쪽의 면에 프라이머층 및/또는 하드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적층 필름.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ITO 기재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
  13. 제 1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적층 필름이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A와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B를 포함하고, 층수가 3층 이상이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A를 A층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A층과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B를 B층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B층의 적층비(A/B)가 2∼0.2인 미연신 필름을, 연신 온도 70∼145℃의 범위에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2축 연신을 행하고, 그 후에 온도 120∼235℃의 범위에서 열고정을 행하고, 그 후에 적어도 길이방향으로 연신 온도 80∼150℃의 범위에서 1.02∼1.95배의 재연신을 행하고, 그 후에 90∼235℃의 범위에서 다시 열고정한 후,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77008289A 2014-11-19 2015-11-16 적층 필름 KR102470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34325 2014-11-19
JPJP-P-2014-234325 2014-11-19
JPJP-P-2014-261815 2014-12-25
JP2014261815 2014-12-25
PCT/JP2015/082107 WO2016080342A1 (ja) 2014-11-19 2015-11-16 積層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331A KR20170088331A (ko) 2017-08-01
KR102470780B1 true KR102470780B1 (ko) 2022-11-25

Family

ID=5601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289A KR102470780B1 (ko) 2014-11-19 2015-11-16 적층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862654B2 (ko)
KR (1) KR102470780B1 (ko)
CN (1) CN107003458B (ko)
TW (1) TWI670179B (ko)
WO (1) WO2016080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4997B2 (ja) * 2015-06-15 2021-06-09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保護フィルム
WO2018070523A1 (ja) * 2016-10-14 2018-04-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957885B2 (ja) * 2017-01-31 2021-11-02 東レ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フィルムおよび積層シート
JP6866665B2 (ja) * 2017-02-06 2021-04-2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共重合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911520B2 (ja) * 2017-05-19 2021-07-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配向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透明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WO2020045138A1 (ja) * 2018-08-30 2021-09-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20042080A (ja) * 2018-09-07 2020-03-19 東洋紡フイ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多層積層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輝度向上部材および偏光板
TW202112924A (zh) * 2019-07-31 2021-04-01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雙軸配向聚酯膜
KR102669506B1 (ko) 2020-03-31 2024-05-29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의 플라스틱 필름,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30151991A (ko) * 2021-02-24 2023-11-0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성형용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성형체
CN114074467B (zh) * 2021-11-18 2022-09-06 厦门长塑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炫彩金属质感的聚酰胺薄膜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0830A (ja) * 2008-01-08 2009-07-23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系積層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JP2009210850A (ja) * 2008-03-05 2009-09-17 Fujifilm Corp 偏光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023638B1 (ko) 2002-02-21 2011-03-22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WO2013137288A1 (ja) * 2012-03-16 2013-09-19 東レ株式会社 多層積層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26638T2 (de) * 1994-08-30 2002-12-12 Toray Industries Biaxial orientierter polyesterfilm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JP2001100006A (ja) * 1999-09-29 2001-04-13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724955B2 (ja) * 2001-06-12 2011-07-13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154616A (ja) * 2001-11-20 2003-05-2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積層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3227932A (ja) * 2002-02-04 2003-08-15 Fuji Photo Film Co Ltd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214878B2 (ja) * 2003-09-30 2009-01-2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5134510A (ja) * 2003-10-29 2005-05-26 Toray Ind Inc 位相差板および円偏光板
JP2005181549A (ja) * 2003-12-17 2005-07-07 Nippon Zeon Co Ltd 偏光板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TWI268372B (en) * 2004-03-26 2006-12-11 Nitto Denko Corp IP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to realize a high contrast ratio over a wide range by laminating a polarizing plate and a retardation film to form an optical film
TWI345117B (en) * 2006-11-28 2011-07-1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5160829B2 (ja) * 2007-07-27 2013-03-13 株式会社ダイセル 光学フィルム
JP2009042653A (ja) 2007-08-10 2009-02-26 Mitsubishi Plastics Inc 偏光膜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039239A (ja) * 2009-08-10 2011-02-24 Sumitomo Chemical Co Ltd 複合偏光板およびtnモード液晶パネル
JP2011141408A (ja) * 2010-01-07 2011-07-21 Toray Ind Inc 偏光反射体
WO2012173170A1 (ja) * 2011-06-17 2012-12-20 帝人株式会社 反射偏光フィルム、それからなる液晶表示装置用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3020130A (ja) * 2011-07-12 2013-01-31 Keiwa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JP2013210598A (ja) 2012-03-01 2013-10-10 Mitsubishi Plastics Inc 偏光板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225495B2 (ja) 2012-06-08 2017-11-08 東レ株式会社 多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ガラス窓部材
JP2014048453A (ja) * 2012-08-31 2014-03-17 Toagosei Co Ltd 加熱処理による低位相差光学フィルム又はシートの製造方法
JP5993328B2 (ja) * 2013-03-15 2016-09-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4209162A (ja) * 2013-03-28 2014-1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CN105008131B (zh) * 2013-03-29 2016-10-26 东丽株式会社 层合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638B1 (ko) 2002-02-21 2011-03-22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60830A (ja) * 2008-01-08 2009-07-23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系積層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JP2009210850A (ja) * 2008-03-05 2009-09-17 Fujifilm Corp 偏光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3137288A1 (ja) * 2012-03-16 2013-09-19 東レ株式会社 多層積層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0342A1 (ja) 2016-05-26
KR20170088331A (ko) 2017-08-01
CN107003458B (zh) 2020-01-21
JP2020192812A (ja) 2020-12-03
TWI670179B (zh) 2019-09-01
CN107003458A (zh) 2017-08-01
JP6862654B2 (ja) 2021-04-21
TW201627144A (zh) 2016-08-01
JPWO2016080342A1 (ja) 2017-08-31
JP6973584B2 (ja)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780B1 (ko) 적층 필름
JP6304028B2 (ja) 積層フィルム
JP6361400B2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液晶ディスプレイ
JP6884997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保護フィルム
JP6365300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JP2017206012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投影用合わせガラス
JP6225495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ガラス窓部材
JP6631509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72027B2 (ja)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ム
JP2023001907A (ja) フィルム
JP6992259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66079A (ja) 偏光子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291830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
CN110869826A (zh) 多层层叠薄膜
WO2022024494A1 (ja) 偏光子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を含む偏光板
WO2022024493A1 (ja) 偏光子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を含む偏光板
JP2017061145A (ja) 積層フィルム、フィルム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476795B2 (ja) 積層フィルム
JP2022025941A (ja) 偏光子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を含む偏光板
JP2018039263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ロール
JP2016159563A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