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140B1 - 농산(農産) 용기 - Google Patents

농산(農産)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140B1
KR102469140B1 KR1020207018359A KR20207018359A KR102469140B1 KR 102469140 B1 KR102469140 B1 KR 102469140B1 KR 1020207018359 A KR1020207018359 A KR 1020207018359A KR 20207018359 A KR20207018359 A KR 20207018359A KR 102469140 B1 KR102469140 B1 KR 102469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gricultural
porous film
cellulose acylat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736A (ko
Inventor
유스케 후지하라
아키히로 이케야마
쇼고 가타노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9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7Grids for supporting sever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6Preserving with chemicals
    • A23B9/18Preserving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B9/20Preserving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2Boxes, cartons, c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10Esters of organic acids
    • C08J2301/12Cellulose ace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oxi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tan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호흡에 작용하는 가스의 농도를 조절하고, 또한 결로의 억제 효과를 보다 향상시킨 농산 용기를 제공한다.
농산 용기인 포장 봉투(10, 30)는, 청과물 등의 농산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외부 공간을 나누는 격벽이 필름이다. 포장 봉투(10, 30)는,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을 구비한다. CA 필름(11)은, 아실기 치환도가 2.00 이상 2.97 이하의 범위 내인 셀룰로스아실레이트를 함유한다. 다공 필름(12)은, 0.0050μm 이상 5.0μm 이하의 범위 내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갖는 복수의 구멍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농산(農産) 용기
본 발명은, 농산 용기에 관한 것이다.
농업에 의하여 생산을 행하는 경우에 생육(生育) 대상물을 수용하거나, 생산된 농산물을 수용하는 농산 용기로서, 예를 들면 생육시키는 모종을 수용하는 육묘(育苗) 용기, 및 청과물 등의 농산품을 포장하는 봉투 또는 상자 등의 포장 용기가 있다. 농산물의 포장으로서는 MA(Modified atmosphere) 포장이 알려져 있으며, 이 포장은 호흡의 제어를 위하여 산소(O2) 및 이산화 탄소(CO2)의 농도를 조절한다.
산소, 이산화 탄소, 및 수증기 등의 농도를 제어하는 포장 용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폴리머 필름으로 형성된 용기와, 이 용기의 구부(口部)에 기계적 결합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으며, 신선물의 호흡을 허용하는 통기 가능 밸브를 구비하는 포장재가 기재되어 있다. 용기를 형성하는 폴리머 필름의 소재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 폴리스타이렌 코폴리머, 셀로판, 폴리락트산, 셀룰로스아세테이트, 열가소성 녹말과 그 유도체가 기재되어 있다. 통기 가능 밸브는, 용기의 구부의 주위 및 외주면에 배치된 링과, 이 링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통기 가능 덮개를 구비한다. 통기 가능 덮개는, 복수의 천공(穿孔)을 갖고, 바나나를 포장한 실시예에서의 천공은 직경이 200μm, 또는 250~300μm의 마이크로 천공이다.
특허문헌 2에는, 합성 수지 필름 또는 반합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이용한 마늘의 포장체가 기재되어 있다. 필름은, 개공 면적 3.1×10-11~7.1×10-8m2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마늘 100g당 개구 면적이 1.96×10-9~5.59×10-8m2/100g이며, 마늘을 포장한 포장체 내의 산소 농도와 이산화 탄소 농도가 각각 소정 범위 내이고, 산소 투과 속도와 이산화 탄소 투과 속도와 이산화 탄소 투과 속도/산소 투과 속도가 소정 범위이다.
또, 특허문헌 3에는, 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폐쇄계의 식물 재배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이 식물 재배 시스템은, 무공성 친수성 필름에 의하여, 모종 등의 식물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무공성 친수성 필름의 외부 공간 측의 일부를, 외부 공간에 배치한 물 또는 용액과 접촉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4-534128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90125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072075호
그런데, 농산 용기에서의 보존에 있어서는, 호흡의 제어의 관점에 있어서 이산화 탄소 등의 가스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에 더하여, 결로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로의 억제는, 농산 용기의 내면의 흐림을 억제하거나 농산 용기 내에서의 곰팡이의 발생 및/또는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유효하기 때문이다.
이 점, 특허문헌 1에는, 수증기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만, 특허문헌 1에 피수용물로서 기재되어 있는 바나나보다 수분의 방출량이 많은 청과물을 포장한 경우, 및/또는 장기로 냉장될 경우에는, 결로가 여전히 발생한다. 특허문헌 2의 포장체의 포장 봉투도 마찬가지로, 수분의 방출량이 많은 청과물을 포장한 경우, 및/또는 장기로 냉장될 경우에는, 결로가 발생한다. 또, 특허문헌 3의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도, 무공성 친수성 필름의 내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호흡에 작용하는 가스의 농도를 조절하며, 또한 결로의 억제 효과를 보다 향상시킨 농산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농산 용기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과, 다공 필름을 구비하여,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외부 공간을 나누는 격벽 중 적어도 일부가 필름이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은, 아실기 치환도가 2.00 이상 2.97 이하의 범위 내인 셀룰로스아실레이트를 포함한다. 다공 필름은, 0.0050μm 이상 5.0μm 이하의 범위 내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갖는 복수의 구멍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는 아세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의 면적 비율이 적어도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 필름의 면적 비율이 0.1% 이상 20.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 필름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이 연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수용물이 모종판과 종묘이며, 다공 필름은, 모종판에 대하여 기립한 자세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 필름은, 서로 대향한 제1 측면과 제2 측면의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은, 천면(天面)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수용물을 넣는 개구가 형성된 봉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의 농도를 조절하며, 또한 결로가 보다 억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포장 봉투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다공 필름의 단면(斷面)에 있어서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면적 비율을 구하는 법의 설명도이며, (A)는 제1 시트, (B)는 제2 시트를 나타낸다.
도 4는 다른 실시형태인 포장 봉투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면적 비율을 구하는 법의 설명도이며, (A)는 제1 시트, (B)는 제2 시트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을 실시한 포장 상자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면적 비율을 구하는 법을 설명하는 전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실시한 육묘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농산 용기의 일례인 포장 봉투(10)는, 농산물, 예를 들면 청과물을 포장하는 봉투 형상의 포장 용기이며, 농산물은 포장 봉투(10)의 내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보존, 및/또는 유통된다. 농산물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청과물로 하고 있다. 또한, 포장 봉투(10)는, 농산물을 포장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농업에서의 생산을 하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육시키는 모종을 덮는(모종에 씌운) 상태로 포장 봉투(10)는 사용할 수 있다.
포장 봉투(10)는, 시트상의 필름인 직사각형의 2매의 시트의 각 3변끼리를 서로 접합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2매의 시트가 접합되어 있는 부분, 즉 접합부에는, 부호 10a를 붙인다. 접합되어 있지 않은 한 변에서 형성된 도 1에 있어서의 상부의 개구(10b)는, 피수용물인 청과물의 입구이며, 청과물의 보관 및/또는 유통의 동안은, 예를 들면 점착 테이프 등으로 밀봉된다. 이로써 수용 공간이 밀폐되어, 밀폐계 포장으로 된다.
포장 봉투(10)는, 밀폐계 포장과 개봉계 포장 중 어떤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밀폐계 포장에 의하여 포장하는 경우가,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곰팡이를 포함함) 및/또는 쓰레기 등에 의한 오염이 억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는 히트 시일에 의하여 2매의 시트를 접합하고 있지만, 접합 수법은 히트 시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점착 테이프로의 첩합 등이어도 된다. 또, 포장 봉투(10)는 2매의 시트의 접합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포장 봉투는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1매의 시트의 예를 들면 중앙에서 접어, 두 변을 접합시킴으로써, 접합부와 절곡부를 갖는 포장 봉투로 해도 된다.
포장 봉투(10)는 사용 전에 이미 봉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농산 용기이지만, 포장할 때, 즉 사용 개시 시에 봉투 형상으로 되는 농산 용기여도 된다. 이와 같은 예로서는, 예를 들면 적어도 일부가 필름으로 구성되고, 통상으로 형성된 농산 용기를 들 수 있으며, 중공부에 피수용물을 삽입한 후, 통의 단부의 개구를 접합하여, 봉투 형상으로 된다.
접합한 한 쪽의 시트(이하, 제1 시트라고 칭함)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이하, CA 필름이라고 칭함)(11)과 다공 필름(12)으로 구성되며, 다른 쪽의 시트(이하, 제2 시트라고 칭함)는 CA 필름(11)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는, 지면(紙面) 앞측을 제1 시트, 내측을 제2 시트로 하여 그려져 있다. 이와 같이, 포장 봉투(10)는,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을 구비하며, 전체가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접합부(10a)는 CA 필름(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시트와 제2 시트의 양쪽을,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으로 구성해도 된다.
제1 시트에 있어서 다공 필름(12)은, CA 필름(11)에 둘러싸인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단, 다공 필름(12)의 위치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접합부(10a)에 보다 가까운 단부, 개구(10b)에 보다 가까운 위치 등, 어느 위치여도 된다. 다공 필름(12)은, 도 1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을 장변으로 한 직사각형이다. 그러나, 다공 필름(12)의 형상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정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른 다각형, 진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원형, 부정형, 혹은 예를 들면 일 방향으로 뻗은 슬릿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CA 필름(11)에 다공 필름(12)의 외주가 중첩된 상태에, 이들을 히트 시일에 의하여 접합하고 있다. 그러나, 중첩된 영역은 적으므로, 도 1에 있어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의 각각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CA 필름(11)은 셀룰로스아실레이트로 형성되어 있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는, 셀룰로스의 하이드록시기가 카복실산으로 에스터화된 것이므로, 아실기를 갖는다. CA 필름(11)은 셀룰로스아실레이트를 포함하고(함유하고) 있으며, 포장 봉투(10)에 포함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아실기 치환도는, 2.00 이상 2.97 이하의 범위 내이다.
청과물이 수용된 경우에는 청과물로부터는 수분이 방출되고, 이 수분에 의하여 포장 봉투(10)의 내측의 공간인 수용 공간은 습도가 상승한다. 이 습도의 상승에 의하여, CA 필름(11)의 평형 함수율이 상승한다. 이 평형 함수율의 상승에 의하여, CA 필름(11)은 수분을 흡수한다. CA 필름(11)의 수분의 흡수에 의하여 포장 봉투(10) 내의 습도는 저하되고, 이로써 CA 필름(11)은 평형 함수율이 낮아져 수분을 방출한다. CA 필름(11)은, 아실기 치환도가 상기 범위 내인 셀룰로스아실레이트를 함유하기 때문에, 적절한 흡방습성을 갖는 평형 함수율을 갖는다. 이로써, 청과물을 밀폐한 상태로 포장해도, 포장 봉투(10)는, 청과물의 건조가 억제되는 정도가 적절히 높은 습도로 수용 공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포장 봉투(10)의 내측 표면인 내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외부 공간(외계)의 온도 및/또는 습도가 변화해도, 포장 봉투(10)의 내부의 습도의 변화를 외계의 변화에 비하여 작게 억제된다. 또한, 결로 발생의 억제 효과는, 냉장 보존 중에도 얻어지며, 또한, 예를 들면 14일간이라는 장기간동안 계속된다. 그 결과, 곰팡이 등의 발생 및 증식도 억제되고, 또, 청과물은 장기간, 신선한 상태로 보존된다. 또, 상기와 같이 적절히 높은 습도로 유지된 환경하에 있는 것과 결로의 억제에 의하여, 청과물의 변색도 억제된다. 포장 봉투(10)를 육묘 용도로 이용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이 CA 필름(11)에 의하여 결로가 억제되어, 그 결과, 모종이 양호하게 생육한다. 또한, CA 필름(11)은 고습도 환경하에서도 강도가 유지되므로, 포장 봉투(10)가 고습도하에 있었을 경우에서도 청과물은 지켜지며, 육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모종을 장기로 생육시킬 수 있다.
아실기 치환도가 작을수록, CA 필름(11)은 흡수하는 수분량이 높아지므로, 이 흡수에 따라 포장 봉투(10)는 변형되기 쉽다. 이 때문에, CA 필름을 구성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아실기 치환도는 2.00 이상으로 한다. 또, 아실기 치환도는 이론상으로는 3.00이 상한이 되지만, 아실기 치환도가 2.97을 초과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는 합성이 어렵다. 이 때문에, 포장 봉투(10)를 구성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아실기 치환도는 2.97 이하로 한다.
CA 필름(11)에 포함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아실기 치환도는, 2.40 이상 2.95 이하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며, 2.70 이상 2.95 이하의 범위 내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아실기 치환도는, 주지(周知)대로, 셀룰로스의 하이드록시기가 카복실산에 의하여 에스터화되어 있는 비율, 즉 아실기의 치환도이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아실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탄소수가 1인 아세틸기여도 되고, 탄소수가 2 이상인 것이어도 된다. 탄소수가 2 이상인 아실기로서는, 지방족기여도 되고 아릴기여도 되며, 예를 들면 셀룰로스의 알킬카보닐에스터, 알켄일카보닐에스터 혹은 방향족 카보닐에스터, 방향족 알킬카보닐에스터 등이 있고, 이들은, 각각 치환된 기를 더 갖고 있어도 된다. 프로피온일기, 뷰탄오일기, 펜탄오일기, 헥산오일기, 옥탄오일기, 데칸오일기, 도데칸오일기, 트라이데칸오일기, 테트라데칸오일기, 헥사데칸오일기, 옥타데칸오일기, iso-뷰탄오일기, t-뷰탄오일기, 사이클로헥세인카보닐기, 올레오일기, 벤조일기, 나프틸카보닐기, 신나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로서는, 시판 중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인 CAP-482-20(이스트맨케미컬 재팬(주)사제), 셀룰로스아세테이트뷰틸레이트인 CAB-381-20(이스트맨케미컬 재팬(주)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아실기는 1종류만이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이어도 되지만, 적어도 1종이 아세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세틸기를 갖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인 것으로써, 수분을 보다 흡수하기 쉽기 때문에, 결로의 억제 효과 등이 보다 향상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실기가 모두 아세틸기인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인 것, 즉, 셀룰로스아실레이트가 셀룰로스아세테이트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실기 치환도는, 관용의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세틸화도(아세틸기 치환도)는, ASTM International(미국 시험 재료 협회, 구칭은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의 규격인 ASTM: D-817-91(셀룰로스아세테이트 등의 시험 방법)에 있어서의 아세틸화도의 측정 및 계산에 따라 구할 수 있다. 또,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아실화도(아실기 치환도) 분포 측정에 의해서도 측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일례로서 셀룰로스아세테이트의 아세틸화도 측정은, 시료를 메틸렌 클로라이드(다이클로로메테인이라고도 불림)에 용해하고, 칼럼 Nova-Pak(등록상표) phenyl(WatersCorporation제)를 이용하여, 용리액인 메탄올과 물의 혼합액(메탄올:물의 질량비가 8:1)으로부터 다이클로로메테인과 메탄올의 혼합액(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의 질량비가 9:1)에 대한 리니어 경사에 의하여 아세틸화도 분포를 측정하고, 아세틸화도가 상이한 표준 샘플에 의한 검량선과의 비교로 구한다. 이들의 측정 방법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01301호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하여 구할 수 있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아세틸화도의 측정은, CA 필름(11)이 첨가제를 포함하고(함유하고) 있을 경우에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측정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CA 필름(11)을 주지의 용액 제막 방법에 의하여 만들고 있으며, 상기 범위의 아실기 치환도를 갖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는, CA 필름(11)을 만들기 위하여 가소제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가소제로서는 공지의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가소제를 이용해도 결로는 억제되며, 또한 청과물의 변색도 억제된다. 예를 들면, 트라이페닐아세테이트(TPP)와 바이페닐다이페닐포스페이트(BDP)를, 상기 범위의 아실기 치환도를 갖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와 함께 포함하는 CA 필름(11)을 형성하며, 이로써 만든 포장 봉투(10) 내에 청과물을 넣어 밀폐하고, 5℃로 유지한 상태로 14일간 냉장 보존해도, 포장 봉투의 내벽은 결로가 극히 조금밖에 확인되지 않고, 억제된 것이 확인되어 있다. 또, 이 보존에 있어서, 청과물은 거의 변색하지 않고, 신선한 상태가 유지된 것도 확인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로의 억제의 관점에서는 가소제는 다양한 것이 이용된다. 그리고, 보존 대상이 청과물인 것을 감안하여,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는 것이면 가소제는 다양한 공지의 것을 이용해도 된다.
CA 필름(11)은, 아실기 치환도가 상기 범위 내인 셀룰로스아실레이트에 더하여, 당의 에스터 유도체와, 에스터 올리고머와, 아크릴 폴리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당의 에스터 유도체와, 에스터 올리고머는, 아실기 치환도가 상기 범위 내인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가소제로서 기능한다.
당의 에스터 유도체는, 단당의 에스터 유도체와 다당의 에스터 유도체와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CA 필름(11)은 이들 양자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의 안전성의 관점도 고려하여, 당으로서는, 글루코스, 갈락토스, 마노스, 프룩토스, 자일로스, 아라비노스 등의 단당류, 락토스, 수크로스, 니스토스, 1F-프룩토실니스토스, 스타키오스, 멀티 사용료, 락티톨, 락튜로스, 셀로비오스, 말토스, 셀로트라이오스, 말토트라이오스, 라피노스 혹은 케스토스, 젠티오비오스, 젠티오트라이오스, 젠티오테트라오스, 자일로트라이오스, 갈락토실수크로스 등의 다당류를 들 수 있다. 글루코스, 프룩토스, 수크로스, 케스토스, 니스토스, 1F-프룩토실니스토스, 스타키오스 등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스, 글루코스이다. 또, 다당류로서 올리고당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올리고당으로서는, 전분, 자당 등에 아밀라아제 등의 효소를 작용시켜 제조되는 것이며, 올리고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말토 올리고당, 아이소말토 올리고당, 프룩토 올리고당, 갈락토 올리고당, 자일로 올리고당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당, 다당류 구조 중의 OH기의 모두 혹은 일부를 에스터화하는데에 이용되는 모노 카복실산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공지의 지방족 모노 카복실산, 지환족 모노 카복실산, 방향족 모노 카복실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용되는 카복실산은 1종류여도 되고, 2종 이상의 혼합이어도 된다.
바람직한 지방족 모노 카복실산으로서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뷰티르산, 아이소뷰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에난트산, 카프릴산, 페라르곤산, 카프린산, 2-에틸-헥세인카복실산, 운데실산, 라우르산, 트라이데실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실산, 팔미트산, 헵타데실산, 스테아르산, 노나데칸산, 아라킨산, 베헨산, 리그노세린산, 세로틴산, 헵타코산산, 몬탄산, 메리신산, 라크셀산 등의 포화 지방산, 운데실렌산, 올레산, 소르빈산,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옥텐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 사이클로펜테인카복실산, 사이클로헥세인카복실산, 사이클로옥테인카복실산, 등의 지환족 모노 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방향족 모노 카복실산의 예로서는, 벤조산, 톨루산 등의 벤조산의 벤젠환에 알킬기, 알콕시기를 도입한 방향족 모노 카복실산, 계피산, 벤질산, 바이페닐카복실산, 나프탈린카복실산, 테트랄린카복실산 등의 벤젠환을 2개 이상 갖는 방향족 모노 카복실산, 또는 그들 유도체를 들 수 있으며, 특히 벤조산, 나프탈렌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에스터 올리고머는, 다이카복실산과 다이올의 에스터 결합이 포함되는 반복 단위를 갖고, 반복 단위가 수 개~100개 정도의 비교적 분자량이 낮은 화합물이며, 지방족 에스터 올리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가소제로서의 작용이, 방향족 에스터 올리고머보다 확실하기 때문이다.
에스터 올리고머는, 분자량이 500 이상 1000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500 이상인 것으로, 500 미만인 것에 비교하여, CA 필름(11)의 가요성(플렉시블성) 및/또는 히트 시일성이 향상되고,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것으로, 10000보다 큰 경우에 비하여 셀룰로스아실레이트와의 상용성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에스터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700 이상 500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0 이상 300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에스터 올리고머의 상기 분자량은, 분자량 분포를 갖기 때문에,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젤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 및/또는 수평균 분자량, 말단 관능기량 측정 및/또는 침투압 측정에 의한 수평균 분자량 측정법, 점도 측정에 의한 점도 평균 분자량 등으로 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말단 관능기로서 에스터의 수산기 혹은 산기를 측정하는 것에 의한 수평균 분자량 측정법에 의하여 구하고 있다.
에스터 올리고머는, 다이카복실산으로서는 탄소수가 2 이상 10 이하의 범위 내인 다이카복실산, 다이올로서는, 탄소수가 2 이상 10 이하의 범위 내인다이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다이카복실산, 다이올 모두 지방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지방족 다이카복실산과 지방족 다이올을 이용함으로써, CA 필름(11)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함수율이 보다 바람직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함수율은, 측정 대상물을 25℃, 상대 습도 80% 또는 55%로 24시간 조습한 후에, 500mg을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샘플을 히라누마 산교제의 칼 피셔 수분계 AQ-2200으로 구하고 있다. 다이카복실산으로서 방향족 카복실산으로서, 프탈산, 테레프탈산, 아이소프탈산 등, 지방족 카복실산으로서는, 말론산, 석신산, 글루탈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제라인산, 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다이올로서는, 에테인다이올, 1,2-프로페인다이올, 1,3-프로페인다이올, 1,2-뷰테인다이올, 1,3-뷰테인다이올, 2-메틸-1,3-프로페인다이올, 1,4-뷰테인다이올, 1,5-펜테인다이올, 2,2-다이메틸-1,3-프로페인다이올(네오펜틸글라이콜), 1,4-헥세인다이올,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올,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터 올리고머의 말단 수산기 및/또는 산기를 모노카복실산 또는 모노알코올 등에 의하여 밀봉하는 경우도 바람직하다. 이들 중, 아디프산과 에틸렌글라이콜의 에스터를 반복 단위로 하는 올리고머, 석신산과 에틸렌글라이콜의 에스터를 반복 단위로 하는 올리고머,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라이콜의 에스터 및 프탈산과 에틸렌글라이콜과의 에스터를 반복 단위로 하는 올리고머 등이 바람직하다.
단당의 에스터 유도체의 질량을 M1로 하고, 다당의 에스터 유도체의 질량을 M2로 하며, 에스터 올리고머의 질량을 M3으로 하고, M1+M2+M3으로 구하는 질량의 화(이하, 질량화라고 칭함)를 MP로 한다. CA 필름(11)은, 단당의 에스터 유도체와 다당의 에스터 유도체와 에스터 올리고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질량을 100으로 할 경우에, 질량화 MP가 5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질량화 MP가 5 이상인 것으로, 5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CA 필름(11)의 가요성이 양호하거나, 및/또는 CA 필름(11)을 만들기 쉽다. 질량화 MP가 30 이하인 것으로, 30보다 큰 경우에 비하여, CA 필름(11)의 함수율이 보다 바람직해진다.
CA 필름(11)은, 첨가제로서 가소제 외에, 자외선 흡수제, CA 필름(11)끼리의 첩부를 방지하는 이른바 매트제로서의 미립자 등도, 상기의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는 것이라면 포함하고(함유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첨가제의 종류와 양을 조절함으로써 CA 필름(11)의 함수율을 조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포장 봉투(10) 내는, 청과물이 수용되어 있는 동안에 있어서의 습도가 조정되기 때문에, 결로에 더하여, 청과물의 건조도 억제된다.
아크릴 폴리머(아크릴 수지)는, CA 필름(11)의 함수율 및/또는 가요성의 조정제로서 기능한다. 아크릴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다. CA 필름(11)이 아크릴 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아크릴 폴리머의 질량은,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의 질량을 100으로 할 경우에, 10 이상 30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의 에스터와 에스터 올리고머와 아크릴 폴리머에 관하여, 이들의 각 안전성은, 하기의 문헌에 각각 기재되어 있다. 즉, 당의 에스터에 관해서는, 유기 합성 화학 협회지 Vol. 21(1963) No. 1, P-19-27과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주) 카탈로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37764호 등이다.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주) 카탈로그에는 당의 지방산 에스터와 벤조산 에스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에스터 올리고머에 관해서는, 염화 바이닐에 대한 첨가제로서 염화 바이닐에 대한 이행이 억제되는 것을 포함하고, 염 바이 공업·환경 협회의 홈페이지와, 가소제 공업회 자료 등에 기재되며, 셀룰로스트라이아세테이트와의 블렌드를 포함하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73740호에 기재되어 있다. 아크릴 폴리머에 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01285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54360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안전성은, 상기 물질 그 자체뿐만 아니라, 상기 물질의 분해 물건의 안전성도 포함한다.
CA 필름(11)의 두께는, 15μm 이상 300μ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CA 필름(11)의 함수율을 조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청과물을 수용하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의 포장 봉투(10) 내의 습도가 조정되기 때문에, 결로가 억제되고, 또 청과물의 건조도 억제된다. 또, 육묘 용도로 이용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결로가 억제된다. 또,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보다 큰 사이즈의 포장 봉투의 양태에서도, 사용에 견딜 수 있다. CA 필름(11)의 두께는, 20μm 이상 200μm 이하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며, 30μm 이상 120μm 이하의 범위 내가 더 바람직하다.
청과물은 수분 방출 및/또는 호흡 작용이라는 생리 작용을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청과물은, 포장 봉투(10)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결로의 억제가 현저히 보여지고, 또 피수용물의 건조의 억제 효과도 현저히 보여지기 쉽다. 이러한 청과물로서 브로콜리, 유채(油菜) 등의 화채(花菜)류, 시금치, 소송채(小松菜) 등의 엽채류, 마늘, 아스파라거스 등의 경채류, 피망, 가지, 토마토, 오이, 딸기, 청대콩 등의 과채류, 바나나, 포도, 사과, 배, 귤 등의 과실류, 참마, 우엉 등의 근채류, 표고버섯, 송이버섯과 같은 버섯류, 및 국화, 백합과 같은 절화(切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수분의 방출이 특히 많은, 냉장에서의 장기의 저장 및 유통 동안의 결로가 눈에 띄는 등의 이유에서, 화채류, 엽채류, 과채류, 버섯류, 절화 등으로 포장 봉투(10)를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청과물의 분류는, 일본 표준 상품 분류에 근거하고 있다.
CA 필름(11)에 의하여, 포장 봉투(10)는, 청과물의 상온 보존에서는 결로, 가일층의 변색이 억제되며, 냉장 시에 있어서도 결로, 가일층의 변색을 방지하고, 장기로 청과물을 보관할 수 있다. 결로가 억제되기 때문에 곰팡이 등도 억제된다. 상온 보존은 10℃보다 높고 30℃ 이하의 범위, 냉장 보존은 0℃ 이상 10℃ 이하의 범위에서의 보존을 말한다.
청과물의 선도 유지에는 냉장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 필름(11)의 평형 함수율에 의하여 CA 필름(11)은 수용 공간의 습도 변화에 따라 흡방습하기 때문에, 결로를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청과물의 건조를 억제하는 습도로 유지한다.
다공 필름(1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구멍(15a), (15b),…, (15g), (15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구멍(15a), (15b),…, (15g), (15h),…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단히 구멍(15)이라 칭한다.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구멍(15)의 평균 구멍 직경은, 0.0050μm 이상 5.0μm 이하의 범위 내이다. 평균 구멍 직경은, 0.0010μm 이상 4.5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020μm 이상 2.0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평균 구멍 직경은, POROUS MATERIALS사(미국)제의 팜 포로미터에 의한 평균 구멍 직경, 일본 공업 규격 JIS K3802 1029에 나타나는 공칭 구멍 직경(일례로서 입자경의 균일한 표준 라텍스를 이용한 95%입자 제거가 가능한 구멍 직경) 등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이들 중, 팜 포로미터에 의한 평균 구멍 직경으로 구한다. 또한, 다공 필름(12)으로서 시판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카탈로그값이어도 된다.
복수의 구멍(15a~15d)은, 다공 필름(1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연통하고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갖는 구멍(15)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산화 탄소 및 산소가 이들 구멍(15)을 통과하고, 가스 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하여, 포장 봉투(10)의 내부에서는, 예를 들면 이산화 탄소의 과도한 고농도화가 억제되는 등에 의하여, 청과물의 호흡이 제어되거나 변색이 억제된다. 육묘 용도로 이용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모종의 호흡에 작용하는 가스가 다공 필름(12)을 통하여 가스 교환되기 때문에, 모종이 양호하게 생육된다. 상기 범위 내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갖는 구멍(15)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다공 필름은, 예를 들면 상분리법에 의하여 만들 수 있다. 다공 필름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부직포를 열융착하는 방법, 필름 재료를 화학 처리 또는 에칭 등에 의하여 연통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만들 수 있다. 이들 형성 방법 중, 상분리법은 다공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구멍(15)의 체적 비율을 높일 수 있다. 상분리법은, 또한 두께 방향의 구멍(15)의 체적 비율을 높여도 다공 필름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다공 필름에 대하여 압력 등이 가해진 경우에 구멍(15)이 부서지기 어렵고, 그 결과, 이산화 탄소 및 산소의 구멍(15)을 통한 가스 교환 효율이 높아지므로, 청과물의 보관 및 육묘의 효과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구멍(15e)과 구멍(15f)은 다공 필름(12)의 대체로 필름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통하고 있지만, 이들 2개의 구멍(15e, 15f)을 포함하는 5개의 구멍(15a, 15b, 15e, 15f, 15g)에 주목한 경우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구멍(15)은, 연통하고 있음으로써 포장 봉투(10)의 외측의 한 쪽의 필름면(이하, 제1 다공면이라고 칭함)(12A)과 내측 외쪽의 필름면(이하, 제2 다공면이라고 칭함)(12B) 중 한 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향하여 관통하고 있으면 되고, 구멍(15)끼리의 모든 연통 방향이 두께 방향이 아니어도 된다. 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구멍(15) 중에는, 다른 구멍(15)과 연통하지 않는 상태, 즉 하나의 공극으로서 구획된 상태로 존재하고 있는 구멍이 있어도 된다.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15)의 평균 구멍 직경이 0.0050μm 이상이기 때문에, 0.0050μm 미만의 경우와 비교하여, 포장 봉투(10) 내의 각 가스의 농도의 과도한 변화가 확실히 억제된다. 또, 평균 구멍 직경이 5.0μm 이하이기 때문에, 5.0μm보다 큰 경우에 비하여, 각 가스의 농도가 청과물의 보존 또는 육묘하는 모종의 호흡에 적절한 범위로 이루어진다. 또, 평균 구멍 직경이 0.0050μm 이상 5.0μm 이하의 범위 내임으로써, 바이러스(크기는 대체로 0.03μm 이상 0.1μm 이하의 범위), 박테리아(크기는 대체로 0.2μm 이상 5μm 이하의 범위), 및/또는 진균류(곰팡이를 포함함)(크기는 대체로 5μm 이상 12μm의 범위) 등의 침입이 억제된다. 예를 들면, 평균 구멍 직경이 1.2μm인 경우에는 진균류의 침입이 억제되고, 0.20μm인 경우에는 박테리아의 침입이 억제되며, 0.030μm인 경우에는 바이러스의 침입이 억제된다. 그 결과, 수용되어 있는 청과물이 양호한 선도로 보존되고, 육묘 용도로 이용한 경우에는 모종의 병해를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범위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갖는 복수의 구멍(15)이 두께 방향으로 연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각 가스의 농도의 제어성을 확보하면서도,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또는 진균류의 침입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다공 필름(12)의 소재는 농산물이 방출하는 수분에 의하여 구멍(15)이 막히지 않을 정도의 소수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설폰, 폴리에터설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바이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셀룰로스아실레이트 등이며, 본 예에서는 폴리설폰으로 하고 있다.
다공 필름(12)으로서는,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유통품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후지필름(주)제 마이크로필터 아스트로포어(등록상표) PSS03의 카트리지에 도입되어 있는 평균 구멍 직경 0.030μm의 필터, PSE 카트리지에 도입되어 있는 평균 구멍 직경 0.20μm의 필터, PSE 카트리지에 도입되어 있는 평균 구멍 직경 1.2μm의 필터(이상의 필터의 소재는 폴리설폰), FL 카트리지에 도입되어 있는 평균 구멍 직경 0.45μm의 필터(소재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PE 카트리지 UXL에 도입되어 있는 평균 구멍 직경 4.5μm의 필터(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직포), 머크(주)제 VITIPORE(등록상표) II 카트리지에 도입되어 있는 평균 구멍 직경 0.65μm의 필터(소재는 폴리바이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주)제 스포어(등록상표) 카트리지에 도입되어 있는 평균 구멍 직경 0.20μm의 필터(소재는 폴리에터설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포장 봉투(10)는, CA 필름(11)의 면적 비율 SR11이 적어도 10.0%인 것이, 결로를 보다 확실히 억제하므로 바람직하다. 면적 비율 SR11은, 10.0% 이상 99.9%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0% 이상 99.5%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25.0% 이상 99.2%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포장 봉투(10)는, 다공 필름(12)의 면적 비율 SR12가 0.1% 이상 20.0% 이하인 범위 내인 것이, 수용 공간의 각 가스 농도의 제어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면적 비율 SR12는, 0.3%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5% 이상 10.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면적 비율 SR11과 면적 비율 SR12는, 각각 이하의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포장 봉투(10) 중, 청과물을 수용하는 내부의 수용 공간과 외부 공간을 나누는 격벽의 전체 표면적을 SA로 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 중 CA 필름(11)의 면적을 S11로 하며, 다공 필름(12)의 면적을 S12로 한다. 접합부(10a)(도 1 참조)는 수용 공간과 외부 공간을 나누는 격벽으로서는 기능하지 않기 때문에, 접합부(10a)의 면적은, 면적 S11과 면적 S12 중 어느 것에도 산입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도 3에 있어서는 2점 파선으로 나타내는 접합부(10a)의 영역에는, 부호 S11 및 부호 S12의 면적을 나타내는 해칭은 그리지 않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의 외주부가 중첩된 중첩 영역이 있다. 이와 같이 양자의 중첩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중첩 영역을 제외하고, 즉 무시하고, 면적 S11 및 면적 S12로 한다. 즉, CA 필름(11)만의 부분의 면적을 S11로 하고, 다공 필름(12)만의 부분을 S12로 한다. 또한, 도 3에서는 도 1과 동일하게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의 중첩 영역을 그리지 않았다. 또, 전체 표면적 SA, 면적 S11, 면적 S12는, 포장 봉투(10)의 내측(수용 공간 측)에서의 표면적, 즉 내표면의 면적이다. 면적 비율 SR11(단위는 %)는, (S11/SA)×100으로 구한다. 면적 비율 SR12(단위는 %)는, (S12/SA)×100으로 구한다. 또한, 이 예에서의 포장 봉투(10)의 격벽은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표면적 SA는 면적 S11과 면적 S12의 합(S11+S12)이다.
포장 봉투는, CA 필름(11) 및 다공 필름(12)에 더하여, 다른 필름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포장 봉투(30)는, 포장 봉투(10)와 동일하게 전체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과 폴리프로필렌 필름(이하, PP 필름이라고 칭함)(31)을 구비한다. PP 필름(31)은,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필름의 일례이며,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어 있다. PP 필름(31)에는, 다공 필름(12)과 같은 구멍(15)은 형성하고 있지 않다. 제1 시트는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과 PP 필름(31)으로 구성되며, 제2 시트는 PP 필름(31)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도 1과 동일하게, 지면 앞측을 제1 시트, 내측을 제2 시트로 하여 그려져 있다. 제1 시트와 제2 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이, PP 필름(31)과 다른 필름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시트는,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시트에 있어서 CA 필름(11)은, 도 3의 상측 영역을 구성하고, 다공 필름(12) 및 PP 필름(31)은 하측 영역을 구성하고 있지만,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 및 PP 필름(31)의 각각이 구성하는 영역 및 서로의 위치 관계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공 필름(12)은, PP 필름(31)에 둘러싸인 상태로 배치되어 있지만, 다공 필름(12)과 PP 필름(31)의 위치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PP 필름(31)과 다공 필름(12)이 도 3에 있어서의 좌우, 상하, 혹은 대각선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있어서 영역을 나누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다공 필름(12)은 PP 필름(31)에 둘러싸인 상태로 배치되어 있지만,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에 있어서의 상측의 CA 필름(11)에 둘러싸인 상태로 배치되어도 된다. 또, 이 예에서는, 다공 필름(12)은 2매 배치되어 있지만, 3매 이상이어도 되고, 포장 봉투(10)와 같이 1매여도 된다. 이와 같이 다공 필름(12)의 매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PP 필름(31)은, 농산물이 방출하는 수분에 의하여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소수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필름으로서 사용하고 있으며, 그와 같은 소수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면 다른 필름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시트에 있어서의 CA 필름(11)과 PP 필름(31), 및 다공 필름(12)과 PP 필름(31)은, 서로 중첩을 갖고 접합되어 있지만, 중첩 영역의 폭은 극히 약간이므로 도 4에 있어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CA 필름(11)과 PP 필름(31)의 접합, 및 다공 필름(12)과 PP 필름(31)의 접합은, 예를 들면 히트 시일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포장 봉투(30)에 있어서, CA 필름(11)의 면적 비율, 및 다공 필름(12)의 면적 비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포장 봉투(10)의 경우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과 외부 공간을 나누는 격벽 중, PP 필름(31)의 면적을 S31로 한다. 또한, 면적(S31)은 도 5에 있어서 크로스헤칭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면적(S31)도 전체 표면적 SA, 면적 S11, 및 면적 S12와 동일하게, 수용 공간 측의 표면적이다. 이 예에 있어서의 전체 표면적 SA는 S11+S12+S31이며, 이것을, 면적 비율 SR11 및 면적 비율 SR12 중 각각의 상술한 산출식에 이용한다. 이와 같이,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과 또 다른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는, 그 필름의 면적을 전체 표면적 SA에 산입하면 된다. 포장 봉투(30)도 포장 봉투(10)와 동일하게, 농산물을 포장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농업에서의 생산의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농산 용기는, 봉투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자 형상이어도 된다. 또, 농산 용기는, 필름 이외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농산 용기의 일례인 포장 상자(50)는, 포장 봉투(10, 30)와 동일하게 농산물을 수용한다. 본 예에서는 농산물로서 청과물을 수용하고 있지만, 도 6에 있어서는 청과물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재에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포장 상자(5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 부재(51)와, 천면에 배치된 CA 필름(11)과, 수용 부재(51)에 마련된 다공 필름(12)으로 구비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CA 필름(11)의 두께를, 수용 부재(51)의 두께에 대하여 과장하여 크게 그려져 있다. 수용 부재(51)는, 바닥면부로서의 바닥판(52)과, 바닥판(52)에 대하여 기립한 자세로 마련된 측면부로서의 4매의 측판(53a~53d)을 갖는다. 또한, 측판(53a~53d)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하, 측판(53)이라 칭한다. 수용 부재(51)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수용 부재(51)의 소재는 농산물이 방출하는 수분에 의하여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소수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프로필렌 이외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타이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바닥판(52)의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하고 있지만,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닥판(52)은, 직사각형 이외의 예를 들면 정사각형 등 외의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원형(진원형 또는 타원형)이어도 되며,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측판(53a~53d) 중 마주 향한 자세로 배치된 측판(53a)과 측판(53c)의 각각은 개구(56)가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다공 필름(12)은 이들 복수의 개구(56)를 덮는 상태로, 측판(53a)과 측판(53c)에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개구(56)에 있어서는 다공 필름(12)이, 청과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외부 공간을 나누는 격벽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포장 상자(50)는, 수용 공간과 외부 공간을 나누는 격벽의 일부가 필름으로 되어 있으며, 포장 봉투(10, 30)와 같이 격벽의 모든 것이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포장 용기 중 적어도 일부가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개구(56)는, 측판(53a)과 측판(53c)에 각각 형성되어 있지만, 어느 한 쪽 이어도 된다. 단, 포장 상자(50)의 수용 공간의 가스 교환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는 관점에서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측판(53a)과 측판(53c)의 양쪽에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56)는, 측판(53a)과 측판(53c)에 형성하는 대신에, 측판(53b)과 측판(53d)에 형성해도 되고, 모든 측판(53a~53d) 중 적어도 3매의 측판(53)에 형성해도 된다.
개구(56)의 위치는, 도 6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측에 가까운 측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6의 상하 방향에서의 하측에 가까운 측 혹은 중앙으로 해도 된다. 또, 이 예에서는 깊이 방향으로 나열한 양태로 복수의 개구(56)를 형성하고 있지만, 상하 방향으로 복수 나열한 양태로 형성해도 되고, 불규칙한 배치여도 된다.
이 예에서는, 다공 필름(12)은, 측판(53a)과 측판(53c)의 각 외부 공간 측의 표면(외표면)에 마련되어 있지만, 수용 공간 측의 표면에 마련해도 된다. 개구(56)는 직경이 예를 들면 8mm 등의 원형으로 하고 있지만, 형상은 다각형, 부정형, 슬릿상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공 필름(12)의 상술한 각 작용을 저해하지 않도록, 다공 필름(12)의 구멍(15)보다 크면 된다. 측판(53a)과 측판(53c)의 각각에 있어서의 개구(56)의 개수는, 도 6에 있어서는 4개로 하여 그리고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1~3개여도 되고 5개 이상이어도 된다.
CA 필름(11)은, 포장 상자(50)의 천면부로서 수용 부재(51)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지만, CA 필름(11)은 수용 부재(51)의 일부를 치환한 상태로 예를 들면 측면부로서 마련해도 된다. 예를 들면, CA 필름(11)을, 개구(56)를 덮는 상태로 측판(53)에 마련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다공 필름(12)을 천면부의 일부로서 마련해도 된다. 이와 같이,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은, 수용 공간과 외부 공간을 나누는 격벽으로서 기능한다면 포장 상자(50)의 어느 위치여도 된다. 따라서, 천면부의 CA 필름(11)의 일부를 다공 필름(12)으로 치환해도 된다.
포장 상자(50)에 있어서, CA 필름(11)의 면적 비율, 및 다공 필름(12)의 면적 비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포장 봉투(10)의 경우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과 외부 공간을 나누는 격벽 중, 수용 부재(51)의 면적을 S51로 한다. 또한, 면적 S51은 도 7에 있어서 크로스헤칭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면적 S51도 전체 표면적 SA, 면적 S11, 면적 S12, 및 면적(S31)과 동일하게, 수용 공간 측의 표면적이다. 이 예에 있어서의 전체 표면적 SA는 S11+S12+S51이며, 이것을 면적 비율 SR11 및 면적 비율 SR12의 각각의 상술한 산출식에 이용한다. 이와 같이, CA 필름(11)과 다공 필름(12)과 또 다른 필름 및/또는 부재를 이용한 경우에는, 그 필름 및/또는 부재의 면적을 전체 표면적 SA에 산입하면 된다. 또한, 전체 표면적 SA, 면적 S11, 면적 S12는, 이 예에 있어서도 수용 공간 측에서의 표면적, 즉 내표면의 면적이기 때문에, 도 7은 내표면 측을 전개한 도면으로 하고 있다.
포장 상자(50)는, 포장 봉투(10) 및 포장 봉투(30)과 동일하게, 농산물을 포장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농업에서의 생산하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종을 생육시키는 육묘 상자에 이용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생육 후의 모종을 수용할 수 있도록, 모종의 생육 후의 크기를 고려한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나타내는 육묘 장치(69)는, 농산 용기로서의 육묘 상자(70)와, 광원 유닛(71)을 구비한다.
육묘 상자(70)는, 포장 상자(50)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56)의 위치 및 수, 다공 필름(12)의 크기가, 포장 상자(50)와 다르지만, 그 외의 구성은 포장 상자(50)와 동일하다. 포장 상자(50)와 동일한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는, 지면 앞측의 측판(53d)(도 6 참조)에 대해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피수용물은, 모종판(74)과 생육 대상의 모종(75)이며, 모종(75)은 플러그 모종보다 작은 모종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높이가 1cm 이상 8cm 이하, 및/또는 엽수가 2매 이상 5매 이하이다. 모종(75)은 종묘의 일례이며, 따라서 모종(75) 대신에 씨(도시 생략)여도 되고, 씨의 경우에는, 육묘 장치(69)는 발아와 모종의 생육(육묘)을 행한다.
본 예의 모종(75)은, 소송채의 모종이지만, 모종은 소송채에 한정되지 않고, 소송채 이외의 엽채류의 모종, 또는 과채류의 모종이어도 된다. 과채류로서의 예는, 가지, 피망, 파프리카, 오이, 청대콩, 옥수수, 토마토, 딸기 등을 들 수 있다. 엽채류의 그 외의 모종으로서는, 예를 들면 양배추, 양상추, 브로콜리, 샐러리, 시금치, 차조기 등의 모종을 들 수 있다.
모종(75)의 수는, 이 예에서는 복수로 하고 있지만, 복수에 한정되지 않고, 1개여도 된다. 또, 복수의 모종(75)의 각각은, 서로 다른 모종판(74)에 심어져 있지만, 하나의 모종판(74)에 심어져 있는 모종(75)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모종판(74)은,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정방 배열되어 있으며, 열수(도 8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서의 수)는, 이 예에서는 5열이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1열 이상 4열 이하의 범위 내여도 되고, 혹은 6열 이상이어도 된다. 도면 중, 열방향에는 화살표선 X를 붙이고, 수평 방향에 있어서 열방향 X와 직교하는 행방향에는 화살표선 Y를 붙이며, 상하 방향에는 화살표선 Z를 붙인다. 모종판(74)의 행수(행방향 Y에서의 수)는, 본 실시양태에서는 예를 들면 1행, 2행, 또는 10행으로 하고 있다. 또한, 모종판(74)의 행수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3행 이상 9행 이하의 범위 내, 또는 11행 이상이어도 된다.
복수의 모종판(74)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양태는 정방 배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방 배열 이외의 규칙적인 배치 양태여도 되고, 불규칙(랜덤) 배치여도 된다. 또, 이 예에서는, 복수의 모종판(74)을 서로 약간의 간극을 갖고 떨어진 상태로 배치하고 있지만, 모종판(74)끼리는 접한 상태로 배치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추가로 용기(76)를 피수용물로서 수용하고 있다. 용기(76)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물(77) 및 모종판(74)을 넣을 수 있다. 이로써, 모종판(74) 중 적어도 하부가 물(77)에 침지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 침지에 의하여, 모종(75)에 물이 공급된다. 모종판(74)은, 공지의 재료이면 되고, 예를 들면 흙, 스펀지, 또는 섬유상물 등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울을 모종판(74)으로서 이용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로크 울사(Rockwool B. V. 네덜란드)제의 Grodan(등록상표) 로크 울 큐브이다. 또한, 육묘 장치(69)는 수경 재배에 의하여 모종(75)을 기르는 장치이지만, 모종 생산 장치에 의한 재배 방식은 수경 재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재배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토경 재배, 양액 재배, 또는 고설 재배를 들 수 있으며, 모종판(74)은 재배 방식에 따른 것으로 바꾸면 된다.
광원 유닛(71)은, 모종판(74) 및/또는 모종(75)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씨를 발아시키는 경우의 발아 전에 있어서는, 광원 유닛(71)은 모종판(74)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광원 유닛(71)은, 광을 사출하는 복수의 광원(81)과, 지지판(82)과, 컨트롤러(83)를 구비하고, 광원(81) 및 지지판(82)은 육묘 상자(7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판(82)은, 복수의 광원(8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일례이며, 이 예에서는, 육묘 상자(70)와 대향하는 대향면인 하면에 각 광원(81)이 마련되어 있다. 컨트롤러(83)는, 복수의 광원(81)의 각각으로부터 사출하는 광의 양을 조절하는 제1 기능과, 복수의 광원(81)의 각각의 온 오프 제어를 행하는 제2 기능을 갖는다. 제1 기능에 의하여, 모종(75) 또는 모종판(74)에 대한 광의 조사량이 조절된다. 제2 기능에 의하여, 모종(75)의 종류 및/또는 생육의 정도 등에 따라, 광의 조사의 타이밍 및 조사 시간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광원(81)은, 컨트롤러(83)에 의하여 제어된 광을 모종(75) 또는 모종판(74)에 조사한다. 이로써 모종(75)이 생육하고, 씨의 경우에는 발아한다. 광원(81)의 육묘 상자(70)로부터의 거리는, 본 예에서는 대체로 100mm로 하고 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육묘 상자(70)는, 온습도 조절기(86)를 갖는다. 온습도 조절기(86)는, 육묘 상자(70)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모종(75)의 생육 환경을 조절한다. 육묘 상자(70)의 내부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40.0℃ 이하의 범위 내이다. 본 예에서는 20.0℃로 설정하고, 이로써 17.5℃ 이상 22.5℃ 이하의 범위에서 변동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육묘 상자(70)의 내부의 습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80.0% 이하의 범위 내의 상대 습도이다. 본 예에서는, 40.5% 이상 91.0% 이하의 범위 내에 들어가게 하고 있다.
육묘 상자(70)의 천면에 배치되어 있는 CA 필름(11)은 셀룰로스아실레이트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하다. 그 때문에, 육묘 상자(70)의 상방에 배치한 광원(81)으로부터의 광은 모종(75) 및/또는 모종판(74)에 효과적으로 조사되고, 모종의 생육을 보다 재촉한다. 이와 같이, 광원(81)과 CA 필름(11)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양자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육묘 상자(70)는, 생육 후에 있어서의 모종(75)의 높이를 고려하여, 생육 후의 모종(75)을 수용할 수 있는 높이로 하고 있다. 개구(56)는, 측판(53a) 및 측판(53c)의 상하 방향 Z에 있어서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육묘 상자(70)의 측면을 이루는 측판(53)에 다공 필름(12)은 마련되어 있으므로, 다공 필름(12)은 모종판(74)에 대해서나 기립한 자세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된다. 이로써, 육묘 상자(70)의 수용 공간에 있어서 모종판(74) 상의 공간은, 다공 필름(12)에 의하여 가스 교환이 보다 확실히 행해져, 그 결과, 모종(75)의 호흡이 보다 확실히 제어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를 든다.
실시예
[실시예 1]~[실시예 9]
수용 부재(51)에 CA 필름(11)을 첩부함으로써 포장 상자(50)를 만들고, 실시예 1~실시예 9로 했다. 면적 S11과 바닥판(52)의 수용 공간 측의 면적은 8cm×17.5cm(=140cm2)이며, 포장 상자(50)의 수용 공간의 높이는 5.5cm였다. 측판(53a) 및 측판(53c)에는, 직경이 8mm의 개구(56)를 펀칭에 의하여 형성하고, 개구(56)를 덮는 상태로 다공 필름(12)을 측판(53a) 및 측판(53c)에 첩부했다. 또한, 면적 S12는, 형성하는 개구(56)의 개수로 조절했다.
또한, CA 필름(11)은, 용액 제막 방법에 의하여, 1.5m의 폭, 및 40μm의 두께로 제조하고, 2000m의 길이를 권취기(17)에 의하여 권취했다. 도프의 처방은 하기와 같다. 하기의 고형분이란, CA 필름(11)을 구성하는 고체 성분이다.
고형분의 제1 성분 100질량부
고형분의 제2 성분 15질량부
고형분의 제3 성분 1.3질량부
다이클로로메테인(용매의 제1 성분) 635질량부
메탄올(용매의 제2 성분) 125질량부
고형분의 제1 성분은, 셀룰로스아실레이트이며, 이 셀룰로스아실레이트는, 모든 아실기가 아세틸기이며, 점도 평균 중합도가 320이고, 아실기 치환도는 2.86이었다.
고형분의 제2 성분은 가소제이며, 이용한 가소제는, 아디프산과 에틸렌글라이콜의 에스터를 반복 단위로 하는 올리고머(말단 관능기 정량법에 의한 분자량은 1000)였다. 고형분의 제3 성분은, 실리카의 미립자이며, 닛폰 에어로질(주)제의 R972였다.
용액 제막 방법에 이용하는 도프는, 이하의 방법으로 만들었다. 먼저, 고형분의 제1 성분과, 제2 성분과, 다이클로로메테인과 메탄올의 혼합물인 용매를 각각 밀폐 용기에 투입하고, 밀폐 용기 내에서 40℃로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교반함으로써, 고형분의 제1 성분과 제2 성분을 용매에 용해시켰다. 고형분의 제3 성분을 다이클로로메테인과 메탄올의 혼합물에 분산하고, 얻어진 분산액을, 고형분의 제1 성분과 제2 성분이 용해되어 있는 용액이 들어 있는 상기 밀폐 용기에 넣어 분산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도프는, 정치한 후에, 30℃로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여과지에 의하여 여과하고, 그 후 탈포 처리를 하고 나서, 용액 제막 장치에서의 유연에 제공했다. 여과에 이용한 여과지는, 어드벤텍 도요(주)제의 생산용 여과지 No. 63이었다.
유연 다이로부터 30℃의 도프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척의 벨트에 유연하고, 유연막을 형성했다. 형성 직후의 유연막에, 송풍기에 의하여 100℃의 공기를 맞혀, 건조한 유연막을 박취(剝取) 롤러에 의하여 벨트로부터 박리했다. 박취 위치에 있어서의 벨트의 온도는 10℃였다. 유연막은 형성하고 나서 120초 후에 박리했다. 박취 위치에 있어서의 유연막의 용매 함유율은 100질량%였다. 박취는, 150N/m의 장력으로 행했다. 이 장력은, 유연막의 폭 1m당 힘이다. 형성된 CA 필름(11)을, 롤러 건조기로 안내하고, 복수의 롤러에 의하여 길이 방향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로 반송하면서, 건조했다. 길이 방향에 부여한 장력은 100N/m였다. 이 장력은, CA 필름(11)의 폭 1m당 힘이다. 롤러 건조기는, 상류 측의 제1 존과 하류 측의 제2 존을 갖고, 제1 존은 80℃, 제2 존은 120℃로 설정했다. CA 필름(11)을 제1 존에서 5분간 반송하고, 제2 존에서 10분간 반송했다. 권취기에 의하여 권취된 CA 필름(11)의 용매 함유율은 0.3질량%였다. 얻어지는 CA 필름의 투습도(40℃, 상대 습도 90%)는, 870g/m2·day였다. 투습도는, 일본 공업 규격 JIS Z-0208에 근거하여 평가했다.
전체 표면적 SA, 수용 공간의 체적 V, 이용한 CA 필름(11) 및 다공 필름(12)등의 모든 조건은, 표 1에 나타낸다. 표 1 및 후술하는 표 2, 표 3의 "다공 필름"의 "종류"란은, 이하를 의미한다. 또한, A~C의 각 다공 필름(12)은, 모두 폴리설폰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분리법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있다.
A; 후지필름(주)제 마이크로필터 아스트로포어(등록상표) PSS03의 카트리지에 도입되어 있는 평균 구멍 직경 0.030μm의 필터
B; 후지필름(주)제 마이크로필터 아스트로포어(등록상표) PSE 카트리지의 구멍 직경 2μm품에 도입되어 있는 평균 구멍 직경 0.20μm의 필터
C; 후지필름(주)제 마이크로필터 아스트로포어(등록상표) PSE 카트리지의 구멍 직경 1.2μm품에 도입되어 있는 평균 구멍 직경 1.2μm의 필터
D; 머크(주)제 VITIPORE(등록상표) II 카트리지에 도입되어 있는 평균 구멍 직경 0.65μm의 필터
E; 후지필름(주)제 아스트로포어(등록상표) PPE 카트리지 UXL에 도입되어 있는 평균 구멍 직경 4.5μm의 필터(폴리프로필렌 부직포),
F: 폴(주)제 스포어(등록상표) 카트리지에 도입되어 있는 평균 구멍 직경 0.20μm의 필터(폴리에터설폰)
[표 1]
Figure 112020065389355-pct00001
얻어진 포장 상자(50)를, 베이비 리프의 밀폐계 포장에 제공하고, 결로와, 가스의 농도로서의 이산화 탄소 농도와 세균을 평가했다. 20g의 베이비 리프를 넣은 상태로 밀폐한 포장 상자(50)를, 실온(21℃ 이상 24℃ 이하의 범위)에서 5일간 정치했다. 각 평가의 방법 및 기준은 이하와 같다. 각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1. 결로
상기 5일간의 정치 후, 포장 상자(50) 내의 결로의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평가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A, B는 합격, C는 불합격이다. 각 평가 결과는 표 1의 "결로"란에 나타낸다.
A: 결로가 확인되지 않는다.
B: 결로는 확인되지만, 얇게 흐려져 있는 정도이다.
C: 물방울이 확인된다.
2. 가스의 농도
포장 상자(50)의 내부의 측판(53d)에, (주)T&D제의 이산화 탄소, 온도, 습도 데이터 로거 온도계(등록상표) TR-76Ui를 마련하여, 이산화 탄소 농도를 측정했다. 이산화 탄소의 농도는 공기 전체에 대한 체적 비율이다. 이산화 탄소의 농도는, 일정해진 시점의 값을 표 1에 나타내고 있다.
3. 세균
상기 5일간의 정치 후, (주)쇼쿠힌 비세이부츠 센터에 있어서 세균 검사로서 일반 생균의 검사를 실시했다. 평가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A, B는 합격, C는 불합격이다. 각 평가 결과는 표 1의 "세균"란에 나타낸다.
A: 일반 생균으로서 1000 미만이었다.
B: 일반 생균으로서 1000 이상 10000 미만이었다.
C: 일반 생균 10000 이상이었다.
[비교예 1]~[비교예 3]
실시예 2의 다공 필름(12)을 이용하지 않고, 측판(53a) 및 측판(53c)의 개구(56)를 폴리프로필렌제의 판에 의하여 막은 상태로 베이비 리프를 보관하여, 비교예 1로 했다. 실시예 2의 CA 필름(11)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필름을 이용하며, 또한 다공 필름(12)을 이용하지 않고 개구(56)를 폴리프로필렌제의 판에 의하여 막은 상태로, 베이비 리프를 보관하여, 비교예 2로 했다. 비교예 2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필름은, 전체 면적에 있어서, 직경 300μm의 천공을, 면적 1cm2당 20개 정도로 형성한 필름이며, 두께는 100μm였다. 실시예 2의 CA 필름(11)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필름을 이용하여, 비교예 3으로 했다. 비교예 3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필름에는 상기의 천공은 형성하고 있지 않으며, 두께는 100μm였다. 이들 비교예의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또한, 이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필름의 두께는, 표 1의 "CA 필름"의 "두께"란에 기재하고 있다.
얻어진 포장 상자를, 실시예 1~실시예 9와 동일하게, 베이비 리프의 밀폐계 포장에 제공하고, 결로와, 가스의 농도로서의 이산화 탄소 농도와, 세균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0]~[실시예 21]
포장 상자(50)를 만들어, 실시예 10~실시예 18로 했다. 포장 봉투(10)를 만들어, 실시예 19로 했다. 포장 봉투(30)를 만들어, 실시예 20~실시예 21로 했다. 표 2의 "농산 용기"란에는, 포장 상자(50)의 경우에는 "상자"라고 기재하고, 포장 봉투(10)와 포장 봉투(30)의 각 경우에는 "봉투"라고 기재한다.
CA 필름(11)은, 실시예 1~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만들었다. 이용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는, 모든 아실기가 아세틸기이며, 아실기 치환도는 표 2에 나타낸다. 또, 만든 CA 필름(11)의 두께 등의 모든 조건, 및 다공 필름의 모든 조건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2의 CA 필름의 투습도(단위는g/mday)는, 40℃, 상대 습도 90%에서의 값이다.
얻어진 포장 상자(50), 포장 봉투(10), 및 포장 봉투(30)를, 각각 브로콜리의 밀폐계 포장에 제공하고, 결로와, 가스의 농도로서의 이산화 탄소 농도를, 실시예 1~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 및 기준으로 평가했다. 또, 브로콜리의 건조로서의 중량 감소와, 브로콜리의 변색과, 농산 용기의 변형 및 주름에 대해서도 평가했다. 어느 평가도 200g의 브로콜리를 밀폐계 포장으로 했다. 브로콜리를 넣은 상태로 밀폐한 농산 용기를, 5℃로 설정한 냉장고 내에 14일간 정치했다. 이 14일간, 냉장고 내는 온도가 5℃ 이상 7℃ 이하의 범위에서 추이하고, 상대 습도가 23%RH 이상 74%RH 이하의 범위에서 추이했다. 각 평가의 방법 및 기준은 이하와 같다. 각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4. 브로콜리의 중량 감소
상기 냉장하에서 정치한 후의 브로콜리의 질량을 측정했다. 그 측정값을 MB(단위는 g)로 한다. 농산 용기에 포장되기 전의 브로콜리의 질량(200g)을 기준으로 하고, 감소한 질량의 비율을 {(200-MB)/200}×100의 산출식에 의하여 백분율로 구했다. 구한 결과는, 표 2의 "중량 감소"란에 나타낸다.
5. 브로콜리의 변색
냉장 정치 후의 브로콜리의 꽃봉오리와 줄기의 단면을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변색의 정도를 평가했다. 평가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A, B는 합격, C는 불합격이다. 각 평가 결과는 표 1의 "변색"란에 나타낸다.
A: 포장 개시 시와 색이 변함없다.
B: 약간의 변색은 확인되지만, 꽃봉오리는 약간 노란 정도, 또한 줄기의 단면의 변색도 극히 약간의 정도이다.
C: 꽃봉오리가 노랗고, 줄기의 단면이 갈색이다.
6. 농산 용기의 변형 및 주름
상기 14일간의 냉장 정치 후, 냉장고로부터 농산 용기를 꺼내, 농산 용기에 있어서의 변형과 변형이 진행됨으로써 보이는 주름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변형에 대해서는 상자(50)에 대해서는 천면에 배치한 CA 필름(11)의 늘어남 및 전체적인 변형, 봉투(10, 30)에 대해서는 CA 필름(11) 자체 및 그 접합부(10a)의 변형을 평가했다. 주름은 상자(50), 봉투(10, 30)에 있어서 CA 필름(11)이 청과물과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서 일어나는 변형을 평가했다. 5, 4, 3은 합격, 2, 1은 불합격이다. 각 평가 결과는 표 1의 "변형 및 주름"란에 나타낸다.
5: 농산 용기에 변형이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4: 농산 용기의 일부에 변형 및/또는 주름이 약간 확인되는 정도이다.
3: 농산 용기의 일부에 변형과 주름이 확인되지만, 실용상 문제없다.
2: 농산 용기의 전체에 변형과 주름이 확인된다.
1: 농산 용기의 전체에 변형과 주름의 양쪽이 강하게 확인된다.
[표 2]
Figure 112020065452884-pct00012
[비교예 4]~[비교예 9]
다공 필름(12)을 이용하지 않으며, 측판(53a) 및 측판(53c)의 개구(56)를 개방한 상태의 포장 상자를 만들고,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18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비교예 4로 했다. 실시예 10의 CA 필름(11)을, 아실기 치환도가 1.00인 셀룰로스아실레이트로 형성한 CA 필름으로 치환하고, 비교예 5로 했다. 실시예 10의 CA 필름(11)을 후타무라 가가쿠(주)제의 보통 셀로판 PL#500으로 치환하고, 비교예 6으로 했다. 농산 용기로서 스미토모 베이크라이트(주)제의 P-플러스(등록상표)(지퍼 부착, 사이즈는 M, 295mm×220mm, 두께 40μm)를 이용한 경우를 비교예 7로 했다. 도요보(주)제의 F&G(등록상표) 방담(防曇) 필름 11호(사이즈 200mm×300mm, 두께 25μm)를 이용한 경우를 비교예 8로 했다. 비교예 8에 있어서는 브로콜리를 넣은 봉투의 한 변을 접착 테이프로 밀봉한 상태로, 냉장고에 정치했다. 농산 용기를 이용하지 않고, 브로콜리를 포장하지 않는 상태(비포장 상태)로 냉장 보존하여, 비교예 9로 했다.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10~실시예 21과 동일하다. 또한, 비교예 4~비교예 8에서 이용한 상기 소재의 두께는, 표 2의 CA 필름의 "두께"란에 나타낸다.
실시예 10~실시예 21과 동일하게, 14일간의 냉장 보존 후에, 결로와, 이산화 탄소 농도와, 브로콜리의 중량 감소와, 브로콜리의 변색과, 농산 용기의 변형 및 주름에 대하여 평가했다. 또한, 비교예 9에서는 농산 용기를 이용하지 않았으므로, 결로와, 농산 용기의 변형 및 주름에 대해서는 평가하지 않았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2]~[실시예 30]
육묘 장치(69)에 의하여, 소송채의 모종을 길렀다. 육묘 상자(70)의 수용 공간 측의 사이즈는, 20cm×20cm×20cm로 했다. 육묘 상자(70)의 그 외의 모든 조건, 및 기른 모종의 개수는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생육 후의 소송채의 1개당 질량은 대체로 10g이며, 1개당 잎의 면적은 30cm2였다. 또한, 표 3의 CA 필름의 투습도(단위는 g/mday)는, 40℃, 상대 습도 90%에서의 값이다.
결로와, 가스의 농도로서의 이산화 탄소 농도를 평가했다. 평가 방법 및 기준은 실시예 1~실시예 9와 동일하지만, 이산화 탄소 농도는, 포장 상자(50)의 내부의 측판(53b)에 (주)T&D제 이산화 탄소, 온도, 습도 데이터 로거 온도계(등록상표) TR-76Ui를 마련하여, 이것에 의하여 측정했다. 이산화 탄소 농도는 공기 전체에 대한 체적 비율이다. 이산화 탄소 농도는, 광원(81)에 의하여 광을 조사하고 있는 동안과 광조사를 오프(OFF)로 하고 있는 동안의 각각에 있어서 구하고, 결과는 표 3의 "광조사 유"란과 "광조사 무"란에 기재한다. 또, 모종의 생육에 대해서도 평가했다. 모종의 생육의 평가 방법 및 기준은 이하와 같다.
7. 모종의 생육
모종판(74)으로서, 수경 재배용 스펀지·유레테인 배지를 이용하여, 이것에 물을 포함시켰다. 소송채의 씨를 모종판(74)에 두고, 실온(21℃ 이상 24℃ 이하의 범위)에서 4일간 재배하여, 그 후 모종판(74)과 함께 육묘 상자(70)에 넣고, 2일 후의 모종(75)에 대하여 생육 평가를 행했다. 육묘 상자(70)에 넣기 전과의 모종(75)의 크기의 비교, 잎의 크기 및 잎 상태에 대하여 이하로 평가했다. A, B는 합격, C는 불합격이다.
A; 모종은 육묘 상자에 넣기 전과 동등한 크기. 잎은 넓고, 시들지 않았다.
B; 모종은 육묘 상자에 넣기 전과 동등한 크기. 잎은 넓고, 조금 시들었다.
C; 모종은 육묘 상자에 넣기 전보다 작다. 잎은 작고, 시들었다.
[표 3]
Figure 112020065389355-pct00003
[비교예 10]
다공 필름(12)을 이용하지 않으며, 측판(53a) 및 측판(53c)의 개구(56)를 폴리프로필렌제의 판으로 막은 상태의 포장 상자를 만들고,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22와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비교예 10으로 했다.
실시예 22~실시예 30과 동일하게, 결로와, 이산화 농도와, 모종의 생육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10, 30 포장 봉투
10a 접합부
10b 개구
11 CA 필름
12 다공 필름
15, 15a~15h 구멍
31 PP 필름
50 포장 상자
51 수용 부재
52 바닥판
53, 53a~53d 측판
56 개구
69 육묘 장치
70 육묘 상자
71 광원 유닛
74 모종판
75 묘
76 용기
77 물
81 광원
82 지지판
83 컨트롤러
86 온습도 조절기
S11 CA 필름의 면적
S12 다공 필름의 면적
S31 PP 필름의 면적
S51 수용 부재의 면적
SA 격벽의 전체 표면적
SR11 CA 필름의 면적 비율
SR12 다공 필름의 면적 비율

Claims (16)

  1.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외부 공간을 나누는 격벽 중 적어도 일부가 필름인 농산 용기에 있어서,
    아실기 치환도가 2.00 이상 2.97 이하의 범위 내인 셀룰로스아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과,
    상분리법에 의해 형성된, 0.030μm 이상 4.5μm 이하의 범위 내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갖는 복수의 구멍이 연통함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다공 필름을 구비하는 농산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스아실레이트는 아세틸기를 갖는 농산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의 면적 비율이 적어도 10.0%인 농산 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의 면적 비율이 적어도 10.0%인 농산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 필름의 면적 비율이 0.1% 이상 20.0% 이하의 범위 내인 농산 용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공 필름의 면적 비율이 0.1% 이상 20.0% 이하의 범위 내인 농산 용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공 필름의 면적 비율이 0.1% 이상 20.0% 이하의 범위 내인 농산 용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공 필름의 면적 비율이 0.1% 이상 20.0% 이하의 범위 내인 농산 용기.
  9. 삭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수용물은 모종판과 종묘이며,
    상기 다공 필름은, 상기 모종판에 대하여 기립한 자세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농산 용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공 필름은, 서로 대향한 제1 측면과 제2 측면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농산 용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은, 천면에 배치되어 있는 농산 용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은, 천면에 배치되어 있는 농산 용기.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수용물을 넣는 개구가 형성된 봉투인 농산 용기.
  15. 삭제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수용물은 생육 대상물 또는 농산물인 농산 용기.
KR1020207018359A 2017-12-27 2018-11-06 농산(農産) 용기 KR102469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1540 2017-12-27
JPJP-P-2017-251540 2017-12-27
PCT/JP2018/041125 WO2019130829A1 (ja) 2017-12-27 2018-11-06 農産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736A KR20200089736A (ko) 2020-07-27
KR102469140B1 true KR102469140B1 (ko) 2022-11-22

Family

ID=6706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359A KR102469140B1 (ko) 2017-12-27 2018-11-06 농산(農産)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57092B2 (ko)
EP (1) EP3733555B1 (ko)
JP (1) JP6945656B2 (ko)
KR (1) KR102469140B1 (ko)
CN (1) CN111527033B (ko)
WO (1) WO2019130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7136A1 (en) * 2019-11-12 2021-05-20 John Lample Storage systems for personal hygiene produc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954A (ja) * 2001-05-21 2002-11-27 Meiwa Pax Co Ltd 機能性容器および包装体
US20170280637A1 (en) * 2014-12-26 2017-10-05 Fujifilm Corporation Film for agricultural greenhouse and agricultural greenhous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30575T1 (de) * 1992-02-14 1995-12-15 Schmidt Heinz Dieter Aufbewahrungsbehältnis für schnittblumen.
JP4788072B2 (ja) 2001-06-29 2011-10-0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
JP4189160B2 (ja) 2001-11-05 2008-12-03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アセテートのアセチル置換度の調整方法
JP2003210049A (ja) * 2002-01-23 2003-07-29 Sumitomo Chem Co Ltd 農業用ハウス被覆材
JP4296817B2 (ja) 2003-03-28 2009-07-1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ニンニクの保存方法およびニンニクの包装体
JP5153991B2 (ja) * 2004-02-26 2013-02-27 日本ゴア株式会社 防水透湿性複合フィルムおよび防水透湿性複合生地
JP2007106884A (ja) * 2005-10-13 2007-04-26 Fujifilm Corp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補償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072075A (ja) 2007-09-19 2009-04-09 Mebiol Kk 植物栽培システムおよび植物栽培方法
JP2009173740A (ja) 2008-01-23 2009-08-06 Adeka Corp セルロース系樹脂組成物およびセルロース系樹脂フィルム
US8373826B2 (en) 2009-12-28 2013-02-12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525464B2 (ja) 2010-04-13 2014-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2873970B (zh) * 2011-07-15 2016-02-10 郭斌 保鲜膜的制备方法
KR101244778B1 (ko) * 2011-08-01 2013-03-19 김칠암 금속 수산화물 나노 입자가 담지되고, 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무기 담체를 이용한 무기 항균제,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무기 항균제를 포함하는 제품
CO6660073A1 (es) 2011-10-19 2013-04-30 C I Banacol S A Empaque con válvula respirable para productos perecederos
AU2012358929C1 (en) * 2011-12-21 2017-07-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lant artificial seeds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thereof
DE202013011932U1 (de) * 2013-06-27 2014-10-27 TropoTherm, S.L. Pflanzenbau-Bedachung mit temperaturabhängiger Strahlungstransparenz zur Kultivierung von Nutzpflanzen
WO2015146673A1 (ja) * 2014-03-26 2015-10-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太陽光耐久性高透明フィルム、太陽光制御フィルム、赤外線反射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ミラー
JP6316234B2 (ja) * 2015-03-27 2018-04-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農業ハウス
JP6316235B2 (ja) * 2015-03-27 2018-04-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農業ハウス用フィルムおよび農業ハウス
JP2017079700A (ja) * 2015-10-30 2017-05-18 住友林業株式会社 軟質の育苗ポットを用いた培地充填を効率的に行う方法
CN107418170B (zh) * 2017-08-16 2018-08-10 吴卓轩 一种全降解土壤保墒农用地膜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954A (ja) * 2001-05-21 2002-11-27 Meiwa Pax Co Ltd 機能性容器および包装体
US20170280637A1 (en) * 2014-12-26 2017-10-05 Fujifilm Corporation Film for agricultural greenhouse and agricultural greenh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736A (ko) 2020-07-27
EP3733555B1 (en) 2022-03-30
JP6945656B2 (ja) 2021-10-06
WO2019130829A1 (ja) 2019-07-04
JPWO2019130829A1 (ja) 2020-11-19
CN111527033A (zh) 2020-08-11
EP3733555A1 (en) 2020-11-04
US11957092B2 (en) 2024-04-16
US20200344958A1 (en) 2020-11-05
CN111527033B (zh) 2021-11-09
EP3733555A4 (en)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ikwad et al. Moisture absorbers for food packaging applications
KR0159084B1 (ko) 고분자 필름
JP5396962B2 (ja) 青果物鮮度保持包装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青果物鮮度保持方法
KR102469140B1 (ko) 농산(農産) 용기
US20190135533A1 (en) Packaging material for fruits and vegetables
PT2911942T (pt) Saco de plástico perfurado de modo não uniforme
JP3024326B2 (ja) 青果物鮮度保持用包装袋
JP3346002B2 (ja) 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H02175140A (ja) 青果物の鮮度保持フィルム
KR20130006343A (ko)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도록 하는 포장재
JP2007290759A (ja) 青果物用包装袋及び青果物包装体
JP2013035603A (ja) エダマメ鮮度保持包装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ダマメ鮮度保持方法
JPH03167261A (ja) 青果物鮮度保持用合成樹脂フィルム及び鮮度保持方法
JPH05153907A (ja) きのこ入り包装体
US20230062559A1 (en) Humidity control material for fruits and vegetables, storage container for fruits and vegetables, and methods of preserving fruits and vegetables
JP7411830B2 (ja) 青果物用冷蔵保存容器、および青果物冷蔵保存方法
Hosseinnia et al. Zeolite‐based polymer composite films for vegetables and fruits packaging: A review
JP2903663B2 (ja) 鮮度保持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4141606B2 (ja) 青果物鮮度保持用包装体
JPH08214848A (ja) ストレッチ包装食品の保存方法
JP3117546B2 (ja) マッシュルーム入り包装体
JP7251108B2 (ja) 青果物入り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KR101889393B1 (ko) Ma 포장 시스템
CA2154388A1 (en) Extended shelf-life package for fruits and vegetables and the like
KR20180138541A (ko)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