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541A -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 - Google Patents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541A
KR20180138541A KR1020180070393A KR20180070393A KR20180138541A KR 20180138541 A KR20180138541 A KR 20180138541A KR 1020180070393 A KR1020180070393 A KR 1020180070393A KR 20180070393 A KR20180070393 A KR 20180070393A KR 20180138541 A KR20180138541 A KR 20180138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vegetables
fruits
fruit
vege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키 와타나베
히로하루 이타야
히사오 고이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1649A external-priority patent/JP6993120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541A/ko
Priority to KR1020200033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65B25/04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 B65B25/041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과제) 청과물의 선도를 제어하면서, 보다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청과물을 수용하는 내장체와, 그 내장체를 수용하는 외장체를 갖고, 상기 내장체 및/또는 외장체의 적어도 일부에,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가 2 × 103 ∼ 7 × 105 cc/㎡·일·atm 이고,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4 × 103 ∼ 7 × 105 cc/㎡·일·atm 이며, 상기 산소 투과도에 대한 상기 이산화탄소 투과도의 비가 10 이하인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구비하는, 청과물의 포장체.

Description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PACKAGING, PRESERVATION APPARATUS AND PRESERVATION METHOD FOR FRUIT AND VEGETABLE}
본 발명은,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과물은 수확 후, 유통 과정을 거쳐, 식탁에 보내어진다. 일반적으로 청과물은 익은 것일수록 맛있고, 영양가도 높은 경향이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 에는, 종래부터 실시되고 있는 청과물의 유통 과정에 있어서의 추숙 (追熟) 처리를 생략하고, 수확 후의 신선한 청과물을 가능한 한 빨리 구입자·소비자의 수중에 도달시킴과 함께, 구입자·소비자가 스스로의 기호 등에 맞추어 간편하게 숙성을 실시하여, 적절한 제철의 청과물을 입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소정의 가스 분위기 하에서, 분위기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농산물을 숙성시키는 숙성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청과물은 숙기 (熟期) 가 짧은 것이 적지 않아, 보존 방법이 확립되어 있는 청과물이면, 1 년 내내 입수할 수 있지만, 상하기 쉬운 청과물은 보존 방법이 충분히 확립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특히 청과물은, 고기나 생선과 비교하여 수분율이 높고, 또, 세포막의 수투과 계수가 동물보다 낮기 때문에, 동결시키면 세포가 파괴되기 쉬워, 고기나 생선에 사용하는 것과 같은 동결 보존에 적합하지 않다. 또, 보냉고를 준비하였다고 해도, 그 선도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아, 수확에서부터 소비되기까지의 기간이 긴 경우에는, 선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포장 봉투에 의해 청과물 선도를 유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5951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037972호
청과물의 선도를 보다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청과물의 보존 방법이 확립되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일 간만 선도 유지할 수 있는 청과물을, 보존 기술에 의해 수십 일간 선도 유지할 수 있다고 하면, 청과물을 보다 신선한 상태로 소비자에게 보내는 것이 가능해지고, 선도 저하에 의해 폐기해야만 하는 청과물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도 상정된다. 또, 보존 기술이 확립되면, 수송에 일수 (日數) 가 걸리는 지역으로 청과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해져, 비교적 맛있다고 여겨지는 일본의 청과물의 수출량도 증대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종래 입수가 곤란한 시기에도 청과물을 입수할 수 있다고 하면, 새로운 수요 창출도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청과물은, 수확 후에도 호흡을 계속하고 있어, 그 호흡이 활발하게 실시되는 조건 하에 놓여짐으로써 열화되어, 선도가 저하되기 쉽다고 여겨진다. 청과물의 호흡은, 대기보다 적당한 저산소, 고이산화탄소 환경 하인 경우에 억제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와 같이, 관통공을 형성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청과물 선도 유지 포장 봉투에서는, 관통공을 통하여 산소 및 이산화탄소가 자유롭게 (비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산소 농도를 저하시키고, 또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증가시킨다는 제어가 충분히 실시된다고는 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청과물의 선도를 제어하면서, 보다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소정의 기체 투과성을 갖는 내장체와 외장체를 사용하여, 내장체 내의 청과물의 호흡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 및, 청과물의 선도를 검출, 기록하고, 기록된 청과물의 선도에 기초하여, 내장체 및 외장체 내의 환경을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청과물을 수용하는 내장체와,
그 내장체를 수용하는 외장체를 갖고,
상기 내장체 및/또는 외장체의 적어도 일부에,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가 2 × 103 ∼ 7 × 105 cc/㎡·일·atm 이고,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4 × 103 ∼ 7 × 105 cc/㎡·일·atm 이고, 상기 산소 투과도에 대한 상기 이산화탄소 투과도의 비가 10 이하인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구비하는, 청과물의 포장체.
〔2〕상기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의 23 ℃ 에 있어서의 수증기 투과도가 2 ∼ 200 g/일·㎡ 인,〔1〕에 기재된 청과물의 포장체.
〔3〕상기 내장체와 상기 외장체 사이의 공간에, 산소 흡수제를 구비하는,〔1〕또는〔2〕에 기재된 청과물의 포장체.
〔4〕상기 내장체와 상기 외장체 사이의 공간에, 이산화탄소 발생제를 구비하는,〔1〕∼〔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과물의 포장체.
〔5〕상기 산소 흡수제로서 청과물을 구비하는,〔3〕에 기재된 청과물의 포장체.
〔6〕상기 이산화탄소 발생제로서 청과물을 구비하는,〔4〕에 기재된 청과물의 포장체.
〔7〕청과물을 수용하는 내장체와, 그 내장체를 수용하는 외장체를 갖는, 청과물의 포장체와,
상기 내장체 내에 수용된 상기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기록부와,
그 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상기 청과물의 상기 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내장체 내의 온도 및/또는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을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청과물의 보존 장치.
〔8〕상기 외장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와,
상기 외장체로부터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부를 구비하는,〔7〕에 기재된 청과물의 보존 장치.
〔9〕상기 내장체 및/또는 상기 외장체의 적어도 일부에,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가 2 × 103 ∼ 7 × 105 cc/㎡·일·atm 이고,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4 × 103 ∼ 7 × 105 cc/㎡·일·atm 이며, 상기 산소 투과도에 대한 상기 이산화탄소 투과도의 비가 10 이하인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구비하고,
그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의 23 ℃ 에 있어서의 수증기 투과도가 2 ∼ 200 mg/일·㎡ 인,〔7〕또는〔8〕에 기재된 청과물의 보존 장치.
〔10〕상기 기록부가 상기 가스 공급부에 의해 공급한 공급 가스량과 상기 가스 배출부에 의해 배출한 배출 가스량에 기초하여 상기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량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상기 청과물의 상기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것인,〔8〕또는〔9〕에 기재된 청과물의 보존 장치.
〔11〕상기 기록부가 상기 내장체 및/또는 상기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청과물의 상기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것인,〔7〕∼〔10〕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과물의 보존 장치.
〔12〕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내장체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인,〔8〕∼〔11〕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과물의 보존 장치.
〔13〕상기 가스가 공기, 산소 가스, 이산화탄소 가스, 탄산 가스, 질소 가스, 에틸렌 가스, 에탄올 가스, 및 아세트산에틸 가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을 포함하는,〔8〕∼〔12〕중 어느 한 항에 기재에 기재된 청과물의 보존 장치.
〔14〕상기 기록부는, 상기 내장체 및/또는 상기 외장체 내의 온도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것인,〔8〕∼〔1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과물의 보존 장치.
〔15〕〔1〕∼〔6〕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과물의 포장체의 내장체 내의 공간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내장체 내에 수용된 상기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기록 공정과,
기록된 상기 청과물의 상기 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내장체 내의 온도 및/또는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을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공정을 구비하는, 청과물의 보존 방법.
〔16〕상기 기록 공정이, 상기 외장체에 공급한 공급 가스량과 상기 외장체로부터 배출한 배출 가스량에 기초하여 상기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량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상기 청과물의 상기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공정인,〔15〕에 기재된 청과물의 보존 방법.
〔17〕상기 기록 공정이, 상기 내장체 및/또는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청과물의 상기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공정인,〔15〕또는〔16〕에 기재된 청과물의 보존 방법.
〔18〕상기 제어 공정이, 기록된 상기 청과물의 상기 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공정이고,
상기 제어 공정이, 상기 외장체 내의 상기 기체 조성 및/또는 상기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내장체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인,〔15〕∼〔17〕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과물의 보존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청과물의 선도를 제어하면서, 보다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청과물의 포장체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보존 상태에 있어서의 내장체 내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청과물의 보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 는, 실시예 1 의 보존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비교예 1 의 보존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비교예 2 의 보존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실시형태」라고 한다)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 중,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하 좌우 등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하는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용어의 정의를 이하에 나타낸다.
「청과물」이란, 야채와 과일의 총칭이다.
「보존」이란, 청과물을 수확하고 나서 청과물이 소매점에서 고객에게 제공될 때까지, 또는 청과물을 수확하고 나서 청과물이 음식점에서 고객에게 제공될 때까지 동안, 청과물이 소정의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유통 과정도 보존에 포함된다.
「호흡」이란, 청과물이, 기공 (氣孔) 등으로부터 산소를 흡입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것을 말한다. 호흡시에는, 청과물이 유지하는 수분도 방출될 수 있다.
〔청과물의 포장체〕
본 실시형태의 청과물의 포장체는, 청과물을 수용하는 내장체와, 그 내장체를 수용하는 외장체를 갖고, 내장체 및/또는 외장체의 적어도 일부에,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가 2 × 103 ∼ 7 × 105 cc/㎡·일·atm 이고,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4 × 103 ∼ 7 × 105 cc/㎡·일·atm 이며, 산소 투과도에 대한 이산화탄소 투과도의 비가 10 이하인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구비한다.
청과물이 호흡을 함으로써 내장체 내의 산소 농도는 감소하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상승한다. 만일, 내장체가 완전한 밀봉계이면 시간 경과적으로 내장체 내는 산소 결핍 상태가 되어, 청과물의 호흡이 방해되고, 그 결과, 청과물은 가스 장해를 발생시켜, 성숙의 이상, 조직의 갈변, 조직 중의 아세트알데히드나 에탄올의 축적, 미각의 변질과 같은 폐해가 발생한다. 또, 한편, 내장체가 비교적 산소 및 이산화탄소가 자유롭게 통과 가능한 개방계이면, 청과물의 호흡은 방해되지 않지만, 포장을 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청과물의 대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선도를 유지한 상태보다 장기간 보존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는, 소정의 투과 특성을 갖는 내장체 내에 청과물을 수용함으로써, 내장체 내를 청과물의 호흡이 지나치게 저해되지 않을 정도의 저산소 및 고이산화탄소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내장체를 덮는 외장체를 갖는 것에 의해, 내장체 내의 기체와 내장체와 외장체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공간 (이하, 「버퍼 공간」이라고도 한다) 에 존재하는 기체가 교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내장체 내의 이산화탄소는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개재하여 버퍼 공간으로 이동하고, 버퍼 공간 내의 산소는 내장체 내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청과물을 산소 결핍 상태로 하지 않고, 또한 저호흡 상태 (동면 상태) 로 하기 위해서는,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 조정이 중요하지만, 이와 같이 내장체와 외장체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내장체만을 사용하여 홑겹 포장 상태에서 산소 및 이산화탄소가 일정하다고 간주할 수 있는 외기에 두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산화탄소를 보존하고자 하는 청과물마다의 적정한 농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에, 본 실시형태의 청과물의 포장체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청과물의 포장체 (100) 는, 청과물을 수용하는 내장체 (101) 와, 그 내장체를 수용하는 외장체 (102) 를 갖는다. 내장체의 기체 투과도에 따라, 내장체 (101) 내의 기체는, 버퍼 공간 (103) 내의 기체와 교환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장체 (101) 및/또는 외장체 (102) 는 이산화탄소의 투과도가 산소의 투과도의 비보다 10 이하 투과하기 쉬워지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도 2 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소비된 산소는 내장체의 산소 투과도의 값에 따라 일정한 평형치에 도달하고, 또, 시간의 경과와 함께 배출된 이산화탄소도 내장체의 이산화탄소 투과도의 값에 따라 일정한 평형치에 도달하며, 이로 인해 청과물을 산소 결핍 상태로 하지 않고, 또한 저호흡 상태 (동면 상태) 로 할 수 있다.
〔내장체〕
내장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청과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청과물은 내장체 중에서 선도가 유지된 상태로 보존된다.
내장체는, 외장체와의 조합에 의해 내장체 내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 조정이 도모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소정의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내장체는,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일부에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전체를 가스 투과 제어 필름으로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일부에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밖의 부분은 기체 투과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장체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온도계, 산소 농도계, 및/또는 이산화탄소 농도계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내장체 내에, 이들 계기 (計器) 가 설치되는 양태로 해도 된다.
가스 투과 제어 필름 이외의 내장체를 구성하는 재질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가스 투과 제어 필름 이외의 수지 필름이나 수지제의 상자 등의 수지재나, 목재, 판지 등의 종이재나 부직포 등의 섬유 구조체를 들 수 있다. 보존하는 청과물의 호흡 속도나 증산량 등의 성질, 그리고 당해 성질을 고려한 내장체와 외장체의 조합이라는 관점에서, 사용하는 내장체를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다. 이하, 가스 투과 제어 필름에 대해 설명한다.
(산소 투과도)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의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는, 2 × 103 ∼ 7 × 105 cc/㎡·일·atm 이고, 바람직하게는 2.5 × 103 ∼ 4 × 105 cc/㎡·일·atm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103 ∼ 2 × 105 cc/㎡·일·atm 이다.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가 2 × 103 cc/㎡·일·atm 이상인 것에 의해, 내장체 내의 산소 결핍 상태를 방지할 수 있고, 최저한의 산소를 버퍼 공간으로부터 내장체 내에 공급할 수 있다. 또,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가 7 × 105 cc/㎡·일·atm 이하인 것에 의해, 내장체 내의 산소 농도를, 호흡 억제가 가능해지는, 청과물마다 적절한 산소 농도로 할 수 있다.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는, 사용하는 수지의 종류 및 조성, 구조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는, JIS K 7126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부직포나 구멍을 갖는 필름은, 산소 투과도가 이미 알려진 기재 필름과 첩합 (貼合) 한 후에 측정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투과도)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의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4 × 103 ∼ 7 × 105 cc/㎡·일·atm 이고, 바람직하게는 5 × 103 ∼ 4 × 105 cc/㎡·일·atm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103 ∼ 2 × 105 cc/㎡·일·atm 이다.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4 × 103 cc/㎡·일·atm 이상인 것에 의해, 내장체로부터 이산화탄소가 버퍼 공간으로 투과되어, 이산화탄소 농도를 저감시켜, 가스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7 × 105 cc/㎡·일·atm 이하인 것에 의해, 내장체 내의 이산화탄소를 보다 고농도로 유지할 수 있어, 호흡을 억제하여, 청과물의 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사용하는 수지의 종류 및 조성, 구조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JIS K 7126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부직포나 구멍을 갖는 필름은,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이미 알려진 기재 필름과 첩합한 후에 측정할 수 있다.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의 산소 투과도에 대한 이산화탄소 투과도의 비는,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9.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5.0 이다. 산소 투과도에 대한 이산화탄소 투과도의 비가 10 이하인 것에 의해, 내장체 내를 저산소 농도로 유지하여, 적절하게,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다. 또, 산소 투과도에 대한 이산화탄소 투과도의 비가 1.0 이상인 것에 의해, 산소 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하여, 산소 결핍에 의한 가스 장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산소 투과도에 대한 이산화탄소 투과도의 비는, 내장체와 외장체의 조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하, 「산소 투과도에 대한 이산화탄소 투과도의 비」를 간단히 「비율」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내장체의 비율이 1.0 ∼ 4.0 인 경우, 외장체의 비율 4.0 ∼ 10 과 조합하여, 버퍼 공간의 산소 농도를 낮게 제어하고, 결과적으로, 내장체 내의 산소 농도를 저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내장체의 비율이 4.0 ∼ 10.0 인 경우, 외장체의 비율로 1.0 ∼ 4.0 을 사용함으로써, 내장체 내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여, 고농도 이산화에 의한 장해를 억제 그리고 적절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청과물의 최적 보존 가스 농도와 호흡 속도, 주입량, 용적의 관계로부터, 내장체가 1.0 ∼ 3.0, 외장체가 1.1 ∼ 5.0 인 조합이나, 그 반대의 조합을 이용할 수도 있다.
(수증기 투과도)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의 23 ℃ 에 있어서의 수증기 투과도는, 바람직하게는 2 ∼ 200 g/일·㎡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50 g/일·㎡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30 g/일·㎡ 이다. 23 ℃ 에 있어서의 수증기 투과도가 2 g/일·㎡ 이상인 것에 의해, 내장체 내에 결로수가 잘 고이지 않고, 결과적으로, 흐물거리거나 하는 청과물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또, 23 ℃ 에 있어서의 수증기 투과도가 200 g/일·㎡ 이하인 것에 의해, 청과물로부터의 과잉인 증산을 억제하고, 그 결과,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23 ℃ 에 있어서의 수증기 투과도는, 사용하는 수지의 종류 및 조성, 구조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 23 ℃ 에 있어서의 수증기 투과도는, JIS K 7129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부직포나 구멍을 갖는 필름은, 수증기 투과도가 이미 알려진 기재 필름과 첩합한 후에 측정할 수 있다.
(구성)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은, 단층 필름, 내측층과 외측층을 갖는 2 층 필름, 내측층과 중간층과 외측층을 갖는 3 층 필름 등의 적층 필름이어도 된다.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이 단층 필름인 경우에 당해 층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산소 투과성, 이산화탄소 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을 조정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로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은, 예를 들어, 산소 투과도 2 × 103 ∼ 7 × 103 cc/㎡·일·atm, 이산화탄소 투과도 7 × 103 ∼ 4 × 104 cc/㎡·일·atm 을 갖고, 폴리에틸렌계 필름은, 예를 들어, 산소 투과도 3 × 103 ∼ 3 × 104 cc/㎡·일·atm, 이산화탄소 투과도 1 × 104 ∼ 8 × 104 cc/㎡·일·atm 을 갖는다. 또, 폴리스티렌계 필름은, 예를 들어, 산소 투과도 2 × 104 ∼ 1 × 105 cc/㎡·일·atm, 이산화탄소 투과도 4 × 104 ∼ 5 × 105 cc/㎡·일·atm 을 갖는다. 상기는 일례이고, 각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산소 투과도 및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지의 분자량 혹은 모노머 비율, 또는 필름의 두께 층의 구성 등에 따라 산소 투과도 및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예를 들어, 수증기 투과도 20 ∼ 40 g/일·㎡ 를 갖고, 폴리아미드계 필름은, 예를 들어, 수증기 투과도 100 ∼ 200 g/일·㎡ 를 갖는다.
또, 레이저 가공이나 침공 가공 등에 의한 미세공이나 개공 (開孔) 가공에 의한 펀치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종합하여, 「구멍」이라고도 한다),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의 산소 투과도 및 이산화탄소 투과도를 제어해도 된다. 미세공의 구멍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5 ∼ 1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0 ㎛ 또는 15 ∼ 80 ㎛ 이다. 이 미세공의 구멍 직경은, 단독이어도 되고, 크고 작은 구멍 직경의 미세공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펀치공의 구멍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 ∼ 10 ㎜ 이다. 이와 같은 구멍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나 폴리아미드계 필름도 산소 투과도 2 × 103 cc/㎡·일·atm 이상, 이산화탄소 투과도 4 × 103 cc/㎡·일·atm 이상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은, 단층 필름 또는 적층 필름에 종이나 부직포 등의 섬유 구조체를 부분적으로 첩합한 것이어도 되고, 섬유 구조체를 가스 투과 제어 필름으로서 사용한 것이어도 된다.
섬유 구조체를 사용한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의 프라질 통기도는, 바람직하게는 0.1 ∼ 800 ㎤/㎠·sec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500 ㎤/㎠·sec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0 ㎤/㎠·sec 이다. 프라질 통기도가 0.1 ㎤/㎠·sec 이상인 것에 의해, 내장체 내와의 가스 투과를 촉진시켜, 가스 장해를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 프라질 통기도가 800 ㎤/㎠·sec 이하인 것에 의해, 내장체 내의 청과물의 건조 억제나 선도 유지가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프라질 통기도는, 섬유 직경이나 섬유의 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 프라질 통기도는, JIS L 1096 의 A 법에 준하여, 압력차 125 Pa 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섬유 구조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부직포로는, 단섬유 부직포와 장섬유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단섬유 부직포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케미컬 본드 부직포 (CB), 서멀 본드 부직포 (TB), 니들 펀치 부직포 (NP), 스판 레이스 부직포 (SL) 등을 들 수 있다. 또, 장섬유 부직포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스판 본드 부직포 (SB), 멜트 블로우 부직포 (MB) 등을 들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계 수지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원재료로 하는 섬유를 들 수 있다.
또,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이 적층 필름인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층이 상기 단층 필름인 경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단층 필름 또는 적층 필름의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종에 대해 설명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 호모 폴리프로필렌, 및 랜덤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 ;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필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외에, 쉬링크 필름 등에 사용되는 가교 및 또는 비가교 폴리에틸렌 필름을 들 수 있다.
또,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필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외에,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카프로아미드 (나일론 6), 폴리도데칸아미드 (나일론 12),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파미드 (나일론 46),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나일론 66), 폴리운데카메틸렌아디파미드 (나일론 116), 폴리메타자일릴렌아디파미드 (나일론 MXD6), 폴리파라자일릴렌아디파미드 (나일론 PXD6), 폴리테트라메틸렌세바카미드 (나일론 410), 폴리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 (나일론 610), 폴리데카메틸렌아디파미드 (나일론 106), 폴리데카메틸렌세바카미드 (나일론 1010), 폴리헥사메틸렌도데카미드 (나일론 612), 폴리데카메틸렌도데카미드 (나일론 1012), 폴리헥사메틸렌이소프탈아미드 (나일론 6I),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 (나일론 4T), 폴리펜타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 (나일론 5T), 폴리-2-메틸펜타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 (나일론 M-5T), 폴리헥사메틸렌헥사하이드로테레프탈아미드 (나일론 6T(H)) 폴리노나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 (나일론 9T), 폴리데카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 (나일론 10T), 폴리운데카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 (나일론 11T), 폴리도데카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 (나일론 12T), 폴리비스(3-메틸-4-아미노헥실)메탄테레프탈아미드 (나일론 PACMT), 폴리비스(3-메틸-4-아미노헥실)메탄이소프탈아미드 (나일론 PACMI), 폴리비스(3-메틸-4-아미노헥실)메탄도데카미드 (나일론 PACM12), 폴리비스(3-메틸-4-아미노헥실)메탄테트라데카미드 (나일론 PACM14)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단독 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 고무·스티렌 공중합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염소화 폴리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 고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결정성 폴리스티렌) 을 들 수 있다.
(인장 탄성률)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의 인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 GPa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5 GPa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4 GPa 이다. 인장 탄성률이 1 GPa 이상인 것에 의해, 청과물을 포장한 경우,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 적어지고, 특히, 부추나 시금치 등의 엽물 (葉物) 야채나 브로콜리나 아스파라거스 등의 호흡 속도가 빨라 증산량이 많은 청과물의 보존에 있어서, 결로수에 의한 흐물거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장 탄성률은, JIS K 7127 에 준거하여, 속도 200 ㎜/min 으로, 2 % 변형시의 값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장 탄성률을 갖는 필름으로는, 2 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2 축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의 단층 필름, 또는 이들 필름을 적어도 한층 포함하는 적층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밖의 첨가제)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구성하는 층은, 필요에 따라, 공지된 가소제, 열안정제, 착색제, 유기계 활제, 무기계 활제, 계면 활성제, 가공 보조제 등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 결로수 대응으로서, 방담제를 함유해도 된다.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는, 공지된 필름 성형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용융 혼련에 의해 압출하고, 단층 혹은 다층의 원환상 다이 또는 슬릿상의 토출구부를 갖는 T 다이 등을 사용하여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인플레이션법이나 캐스트법으로,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성형할 수 있다. 또, 이 후, 버블법, 롤 연신법, 텐터법에 의해 연신을 한 필름을 가스 투과 제어 필름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미연신 또는 연신 필름을 드라이라미네이트법이나 웨트라미네이트법 등 공지된 방법으로 다층화해도 되고, 이들 필름에 대해, 부분적으로 부직포나 종이 등의 섬유 구조체를 첩합하거나, 구멍을 형성한 것을 가스 투과 제어 필름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외장체〕
외장체로는, 산소 및 이산화탄소가 일정하다고 간주할 수 있는 외기와, 버퍼 공간의 기체의 교환이 용이하게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구성된 것으로, 적어도 포장체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외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보다 버퍼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기체 투과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외장체는 상기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일부에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가스 투과 제어 필름 이외의 외장체를 구성하는 재질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가스 투과 제어 필름 이외의 수지 필름이나 수지제의 상자 등의 수지재나, 목재, 판지 등의 종이재나 부직포 등의 섬유 구조체를 들 수 있다. 보존하는 청과물의 호흡 속도나 증산량 등의 성질, 그리고 당해 성질을 고려한 내장체와 외장체의 조합이라는 관점에서, 사용하는 외장체를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다.
외장체의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는, 바람직하게는 2 × 103 ∼ 7 × 105 cc/㎡·일·atm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장체와의 조합에 따라, 2 × 103 ∼ 1 × 104, 1 × 104 ∼ 1 × 105, 1 × 105 ∼ 7 × 105 cc/㎡·일·atm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03 ∼ 8 × 103, 2 × 104 ∼ 8 × 104, 2 × 105 ∼ 5 × 105 cc/㎡·일·atm 이다.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가 2 × 103 cc/㎡·일·atm 이상인 것에 의해, 버퍼 공간에 필요 최저한의 산소를 투과시켜, 내장체 내의 산소 결핍을 간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가 7 × 105 cc/㎡·일·atm 이하인 것에 의해, 청과물의 호흡 억제에 적합한 산소 농도로의 제어를 보다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는, 사용하는 재질, 두께, 구조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는, JIS K 7126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외장체의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바람직하게는 4 × 103 ∼ 7 × 105 cc/㎡·일·atm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장체와의 조합에 따라, 5 × 103 ∼ 2 × 104, 2 × 104 ∼ 1 × 105, 1 × 105 ∼ 5 × 105 cc/㎡·일·atm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103 ∼ 1 × 104, 4 × 104 ∼ 8 × 104, 2 × 105 ∼ 4 × 105 cc/㎡·일·atm 이다.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4 × 103 cc/㎡·일·atm 이상인 것에 의해, 버퍼 공간의 이산화탄소를 외기에 투과시켜, 내장체 내의 고농도 이산화탄소에 의한 가스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7 × 105 cc/㎡·일·atm 이하인 것에 의해, 버퍼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유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내장체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유지하여, 청과물의 호흡을 억제할 수 있다.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사용하는 재질, 구조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JIS K 7126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하, 외장체의 산소 투과도와 이산화탄소 투과도의 조합을 예시한다. 외장체의 산소 투과도와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상기 서술한 내장체에서 사용하는 수지의 특성에 따라 조정해도 되고, 또, 외장체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직포, 부직포, 종이재 등의 비교적 투과성이 양호한 소재를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에 의해 조정해도 된다.
Figure pat00001
전술한 내장체와 외장체를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청과물의 선도 유지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는 일반적으로 호흡 속도가 빠르다고 여겨지는, 줄기류 (아스파라거스, 죽순 등), 봉오리류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양하 등), 열매류 (각종 과실, 딸기, 스위트 콘, 토마토, 완두콩, 피망, 가지, 오이, 강낭콩, 오크라 등), 잎류 (부추, 시금치, 소송채, 청경채, 양상추, 파, 양파 등) 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보존 중의 습도의 영향에 의해 곰팡이가 생기기 쉬운, 근채류 (고구마류, 연근 등) 에 있어서도 곰팡이 방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버퍼 공간〕
버퍼 공간은, 내장체와 외장체 사이의 공간을 말한다. 버퍼 공간에는, 버퍼 공간 및 내장체 내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비율을 보다 자의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산소 흡수제 또는 이산화탄소 발생제를 구비해도 된다.
산소 흡수제로는, 산화 반응 또는 흡착 등에 의해 공기 중의 산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물질을 사용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물질로는, 예를 들어, 철분, 아연, 주석 분말 등의 환원성 금속 분말 ; 활성 산화철, 산화제1철, 사삼산화철, 산화세륨, 산화티탄 등의 금속 저위 산화물 ; 탄화철, 규소철, 철카르보닐, 수산화제1철 등의 환원성 금속 화합물 ;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아황산염, 탄산염 등의 무기계 화합물, 아스코르브산, 에리소르빈산, 에루크산, 및 이것들의 염류 ; 갈산 ; 토코페롤과 전자 공여 물질의 조합 ; 다가 페놀을 골격 내에 갖는 고분자 화합물, 예를 들어 다가 페놀 함유 페놀·알데히드 수지 ; 글루코오스, 프락토오스, 갈락토오스, 말토오스, 셀로비오스 등의 당류와 전자 공여 물질, 특히 염기성 물질 혹은 글루코오스옥시다아제 등의 당류 산화 효소와의 조합 등의 유기계 화합물로 예시되는 종래 공지된 임의의 산소 흡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산소 흡수제로서 청과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산소 흡수제로서 청과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포장체 내에는 내장체에 수용되는 청과물과, 버퍼 공간에 수용되는 청과물의 2 종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호흡 성능이 상이한 청과물을 산소 흡수제로서 사용함으로써, 동시에 2 종류의 청과물의 보존이 가능해진다. 이들 산소 흡수제를 작은 봉투 등의 형상으로 제대 (製袋) 한 통기성이 있는 봉투에 충전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내장체나 외장체의 제어 필름에 직접 혼련하거나 코팅할 수도 있다.
이산화탄소 발생제로는, 반응 등에 의해 공기 중에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물질을 사용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물질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혹은 알칼리 토금속의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외에, 탄산암모늄 및 중탄산암모늄을 들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산화탄소 발생제로서 청과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이산화탄소 발생제로서 청과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포장체 내에는 내장체에 수용되는 청과물과 버퍼 공간에 수용되는 청과물의 2 종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호흡 성능이 상이한 청과물을 이산화탄소 발생제로서 사용함으로써, 동시에 2 종류의 청과물의 보존이 가능해진다. 이들 이산화탄소 발생제를 작은 봉투 등의 형상으로 제대한 통기성이 있는 봉투에 충전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내장체나 외장체의 제어 필름에 직접 혼련하거나 코팅할 수도 있다. 또한, 청과물은, 산소 흡수제 및 이산화탄소 발생제의 양방을 겸함으로써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청과물의 저호흡 상태 (동면 상태) 에 관한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밸런스는, 청과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고, 이 범위에 있어서는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청과물의 보존 장치〕
본 실시형태의 청과물의 보존 장치는, 청과물을 수용하는 내장체 (201) 와, 그 내장체 (201) 를 수용하는 외장체 (202) 를 갖는 청과물의 포장체와, 내장체 (201) 내에 수용된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기록부 (205) 와, 그 기록부 (205) 에 의해 기록된, 청과물의 선도에 기초하여, 내장체 (201) 내의 온도 및/또는 외장체 (202) 내의 기체 조성을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206) 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외장체 (202)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203) 와, 외장체 (202) 로부터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부 (204)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하, 포장체라고 할 때에는, 청과물을 수용하는 내장체와, 그 내장체를 수용하는 외장체를 갖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3 에, 청과물의 보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청과물의 보존 장치 (200) 는, 청과물을 수용하는 내장체 (201) 와, 그 내장체 (201) 를 수용하는 외장체 (202) 를 갖는다. 외장체 (202) 에는, 외부의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203) 와, 외장체 (202) 로부터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부 (20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청과물의 보존 장치 (200) 는,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기록부 (205) 와, 기록부 (205) 에 의해 기록된 청과물의 선도에 기초하여, 내장체 내의 온도 및/또는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을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206) 를 구비한다.
내장체 및 외장체의 기체 투과 성능에 따라, 내장체 (201) 내의 기체는, 버퍼 공간 (207) 내의 기체와 교환 가능하다. 이로써, 목적으로 하는 청과물의 종류에 따라, 청과물의 호흡량을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과물의 호흡량이 낮은 상태로 보존함으로써, 선도의 상승이 늦어져, 청과물의 보존 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청과물의 호흡량은, 보존 분위기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하는 가스의 제어) 및/또는 보존 온도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스」란, 기체 일반을 가리킨다. 이하, 구체적인 장치 구성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포장체〕
포장체는, 청과물을 수용하는 내장체 (201) 와, 그 내장체 (201) 를 수용하는 외장체 (202) 를 갖는다. 여기서, 외장체 (202) 는, 하나 또는 복수의 내장체 (201) 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내장체 (201) 는 선도를 제어한 상태에서 청과물을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외장체 (202) 는, 내장체 (201) 를 수용하는 데에 적합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외장체 (202) 중에는, 내장체 (201) 와 함께 내장체 (201) 에 수용된 청과물을 보호할 목적에서 공지된 완충재가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또, 외장체 (202) 는, 내장체 (201) 를 내고 들이기 위한 덮개부나, 외장체 (202) 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 외장체 (202) 내의 기체를 냉각 가능한 쿨러 및/또는 가온 가능한 히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청과물의 보존 장치의 내장체 및 외장체에는,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필수로 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상기 청과물의 포장체에서 서술한 내장체 및 외장체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청과물의 보존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장치 구성을 갖는 것이면, 내장체 및/또는 외장체에 있어서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필수로 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의 청과물의 보존 장치를 구성하는 내장체 및/또는 외장체로서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내장체 및 외장체를 구성하는 부재로는, 상기 서술한, 가스 투과 제어 필름 이외의 내장체 및 외장체를 구성하는 재질을 예시할 수 있다.
외장체 (202) 에는, 외장체 (202)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203) 와, 외장체 (202) 로부터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부 (204) 가 접속되어 있고, 외장체 (202) 중의 분위기는, 가스 공급부 (203) 및 가스 배출부 (204) 에 의해 제어된다. 그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청과물은 소정의 기체를 흡수하거나 배출하거나 한다. 그 때문에, 청과물의 보존시에 외장체 (202) 내의 분위기를 조정하였다고 해도, 내장체 (201) 내 및 외장체 (202) 의 분위기는 시간 경과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여기에 있어서, 가스 공급부 (203) 및 가스 배출부 (204) 를 사용하여, 계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외장체 (202) 내의 분위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외장체 (202) 내의 분위기를 원하는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외장체 (202) 의 기체 조성은, 내장체 (201) 의 기체 투과 특성에 따라 간접적으로 내장체 (201) 내의 기체 조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외장체 (202) 에 있어서의 가스 공급부 (203) 및 가스 배출부 (204) 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외장체 (202) 내의 분위기를 제어한다는 관점에서는, 가스 공급부 (203) 및 가스 배출부 (204) 가 모두 근접하는 위치에 없는 편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직방체의 외장체 (202) 에 있어서는, 가스 공급부 (203) 및 가스 배출부 (204) 의 일방을 바닥면에 형성하고, 다른 일방을 정상면에 형성해도 되고, 가스 공급부 (203) 및 가스 배출부 (204) 의 일방을 측면에 형성하고, 다른 일방을 다른 측면에 형성해도 되며, 가스 공급부 (203) 및 가스 배출부 (204) 의 일방을 정상면 또는 바닥면에 형성하고, 다른 일방을 측면에 형성해도 되고, 가스 공급부 (203) 및 가스 배출부 (204) 의 양방을 정상면, 바닥면, 또는 측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버퍼 공간 (207) 에는, 버퍼 공간 (207) 및 내장체 내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비율을 보다 자의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산소 흡수제 또는 이산화탄소 발생제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산소 흡수제 또는 이산화탄소 발생제로는, 상기 서술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청과물의 저호흡 상태 (동면 상태) 에 관한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밸런스는, 청과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고, 이 범위에 있어서 내장체 및 외장체의 기체 투과 성능은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가스 공급부 및 가스 배출부〕
가스 공급부 (203) 및/또는 가스 배출부 (204) 에는, 공급 가스량 및 배출 가스량을 조정하기 위한 밸브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공급 가스량 및 배출 가스량의 조정은, 밸브와 같이 가스 공급부 (203) 및 가스 배출부 (204) 의 외기 공급로의 직경을 제어하여 실시해도 되고, 가스 공급부 (203) 의 상류에 형성되는 송풍기나, 가스 배출부 (204) 의 하류에 형성되는 배풍기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실시해도 된다. 또, 가스 공급부 (203) 및/또는 가스 배출부 (204) 는, 공급하는 외기 및/또는 배출하는 내기의 조성 (가스종 및 그 비율) 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가스 공급부 (203) 는, 가스 공급부 (203) 의 상류에 형성된, 공급 외기를 저류하는 탱크에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단지 외장체 (202) 밖의 기체를 외기로서 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가스 공급부 (203) 가 외장체 (202) 와 탱크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탱크는 공급하는 외기의 공급원이 된다. 또, 가스 배출부 (204) 는, 가스 배출부 (204) 의 하류에 형성된, 배출하는 내기를 저류하는 탱크에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배출 내기를 외기에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공급하는 외기를 저류하는 탱크 및/또는 배출 내기를 저류하는 탱크 내에는, 공급 외기 및/또는 배출 내기의 조성 (가스종 및 그 비율) 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가스 공급부 (203) 가 단지 외장체 (202) 밖의 기체를 외기로서 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 즉, 가스가 공기인 경우에는, 가스 공급부 (203) 는, 개폐 가능한 개구여도 된다. 예를 들어, 청과물의 호흡에 의해 외장체 (202) 내의 산소 농도가 지나치게 낮아진 경우에는, 가스 공급부 (203) 를 열어 외장체 (202) 외부의 공기를 도입함과 함께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개폐 가능한 개구는, 가스 공급부 (203) 및 가스 배출부 (204) 의 양방의 기능을 갖는 것이 된다.
또한, 가스 공급부 (203) 내에는, 외장체 (202) 에 공급되기 전의 공급 외기를 냉각 가능한 쿨러 및/또는 가온 가능한 히터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온도 조절 수단을 갖는 것에 의해, 외장체 (202) 에 공급되는 공급 외기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외장체 (202) 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스 공급부 (203) 의 상류측에, 예를 들어 가스 봄베와 같은 각종 가스의 공급원, 각 조성에 따른 유량 제어기, 가스 혼합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가스 혼합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류측을 부분적으로, 온도 조정을 할 수 있다.
가스 공급부 (203) 로부터 공급되는 외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공기, 산소 가스, 이산화탄소 가스, 탄산 가스, 질소 가스, 에틸렌 가스, 에탄올 가스, 및 아세트산에틸 가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가스는 1 종 단독의 가스여도 되고, 2 종 이상의 혼합 가스여도 된다. 가스 공급부 (203) 로부터 공급되는 외기는, 보존하는 청과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청과물을 보존하기 위해, 가스 공급부 (203) 로부터 수증기도 공급할 수 있다.
〔기록부〕
기록부 (205) 는,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청과물의 선도는, 내장체 및/또는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인 변화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방법 A ; 가스 공급부에 의해 공급한 공급 가스량과 가스 배출부에 의해 배출한 배출 가스량에 기초하여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량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방법 B ; 청과물이 방출하는 특정한 가스와 반응하는 지시약을 사용하여 청과물이 방출하는 가스종 및/또는 가스량을 검출하고, 그것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방법 C ; 적외광을 청과물에 조사하여, 적외광 흡수 스펙트럼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청과물의 당도 및/또는 호흡 효소를 검출하고, 그것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방법 D ; 청과물의 가시광 투과광량으로 선도를 검출하고, 그것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방법 E ; 청과물의 외관상의 색의 변화를 색차계나 카메라를 사용하여 검출하고, 그것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방법 F 등에 의해, 검출하고,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기록부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각종 검출기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각 방법에 적합하게 구성할 수 있다. 각종 검출기는, 각각 검출한 청과물의 선도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부에 기록할 수 있도록 기록부와 접속되어 있고, 또, 청과물의 선도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는, 외장체 내의 온도 등을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접속된다. 각종 검출기가 검출하는 데이터는, 청과물의 선도에 관한 데이터라는 점에서 공통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 종의 검출기 및 그것에 상응하는 기록부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검출기 및 그것에 상응하는 기록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방법 A 에 있어서는, 내장체 (201) 및/또는 외장체 (202) 내에 설치된 산소 농도계나 이산화탄소 농도계 등의 검출부와, 포장체 내의 기체 조성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기록부가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청과물이 놓여져 있는 상황을 직접적으로 기록하는 관점에서, 내장체 (201) 및/또는 외장체 (202) 의 공간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내장체 (201) 내에 수용된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방법 B 에 있어서는, 가스 공급부에 의해 공급한 공급 가스량과 가스 배출부에 의해 배출한 배출 가스량의 양방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가스 공급부에 의해 공급한 공급 가스량과 가스 배출부에 의해 배출한 배출 가스량에 기초하여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량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기록부가 사용된다. 방법 B 에 있어서는,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량을 가스의 종류마다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부 (205) 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의 시간 경과적인 양,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의 총량,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의 종류마다의 시간 경과적인 양,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의 종류마다의 총량이다.
또, 방법 C 에 있어서는, 지시약을 사용하여 청과물이 방출하는 가스종 및/또는 가스량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이것들을 기록하는 기록부가 사용된다.
또한, 방법 D 에 있어서는, 적외광을 청과물에 조사하여, 그 적외광 흡수 스펙트럼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적외광을 청과물에 조사하여 얻어지는 적외광 흡수 스펙트럼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청과물의 당도 및/또는 호흡 효소를 검출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기록부가 사용된다.
또, 방법 E 에 있어서는, 가시광을 청과물에 조사하고, 그 투과광량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가시광을 청과물에 조사하여 얻어지는 투과광량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기록부가 사용된다.
또한, 방법 F 에 있어서는, 청과물의 외관상의 색의 변화를 검출하는 색차계나 카메라 등의 검출부와, 그것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기록부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각 방법에 있어서, 기록부 (205) 가 기록하는 가스의 종류는, 공기, 산소 가스, 이산화탄소 가스, 탄산 가스, 질소 가스, 및 에틸렌 가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들 기체는, 청과물의 호흡, 대사, 증산에 따라 보존 기간 중에 변화할 수 있다. 그 변화량이나 소정의 기체 조성 하에 청과물이 놓여진 시간 (예를 들어, 저산소 농도, 고이산화탄소 농도 하에 놓여진 시간) 으로부터, 청과물의 선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동일한 저산소 농도, 고이산화탄소 농도에서도, 청과물의 선도의 저하 정도는 청과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그 때문에, 청과물의 선도의 추정은, 몇 가지의 조건 하에서 보존한 경우의 청과물의 선도의 변화 데이터를 미리 준비하고, 그 데이터와의 상대 비교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 기록부는, 청과물의 선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관점에서, 버퍼 공간 내의 공간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인 변화도 기록하고, 내장체 내에 수용된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부 (205) 는, 가스 공급부 (203) 및/또는 가스 배출부 (204) 에 형성된 검출기나, 가스 공급부 (203) 의 상류에 형성된 공급 외기를 저류하는 탱크 내에 형성된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공급 외기 및/또는 배출 내기의 조성 (가스종 및 그 비율) 및 가스량을 기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기록부 (205) 는, 청과물의 선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관점에서, 내장체 (201) 내 및/또는 외장체 (202) 내에 형성된 온도계에 의해, 내장체 (201) 내 및/또는 외장체 (202) 내의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할 수도 있다.
〔제어부〕
제어부 (206) 는, 기록부 (205) 에 의해 기록된 청과물의 선도에 기초하여, 내장체 (201) 내 및/또는 외장체 (202)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한다. 그 중에서도, 내장체 내의 온도 및/또는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을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가 실시하는 제어는, 청과물의 선도를 보다 유지한 상태로 보존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청과물의 호흡이 적어지는 것과 같은 상태, 즉 저산소 및 고이산화탄소의 분위기 하에서, 또한 저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 청과물의 선도 저하를 늦출 수 있다.
제어부가 내장체 내의 온도 및/또는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을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어부가 외장체 (202)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내장체 (201)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것이어도 된다. 외장체 (202) 에는, 외장체 (202) 에 대해 소정의 기체종을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203) 와, 외장체 (202) 로부터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부 (204) 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외장체 (202) 내의 분위기는, 가스 공급부 (203) 및 가스 배출부 (204) 에 의해 제어된다. 또, 외장체 (202) 는, 외장체 (202) 내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냉각 장치 및/또는 가열 장치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제어부는, 청과물의 선도를 보다 정확하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청과물의 선도에 기초하여, 버퍼 공간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어도 된다.
청과물의 선도는, 내장체 (201) 내 및/또는 외장체 (202) 내의 온도의 조정이나, 청과물이 보존되는 분위기, 청과물이 흡수·배출하는 가스량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온에서, 또한, 청과물이 저호흡 상태 (동면 상태) 가 되는 상태에서, 청과물을 보존함으로써, 청과물의 보존 기간을 장기화시킬 수 있다. 청과물의 선도에 관한 온도 및 분위기는, 청과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고,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청과물의 선도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의 예로서, 제어부 (206) 는, 소비자에게 보내어질 때까지 동안에, 청과물의 저호흡 상태 (동면 상태) 가 보다 장기가 되도록, 외장체 (202)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 소비자에게 보내어질 때까지 동안에,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량이 소정량이 되도록 (성숙이 지나치게 진행되는 것에 의한 선도 저하를 억제하도록), 외장체 (202)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청과물의 전처리 방법〕
본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보존하는 청과물은, 보존 처리를 실시하기 전에, 살균 등의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살균 방법으로는, 액체, 기체, 또는 광이나 열을 이용하여 살균할 수 있다.
전처리에 있어서는, 살균제, 곰팡이 방지제, 천연계 추출물, 합성 보존료 등을 사용해도 된다. 살균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차아염소산수, 차아염소산 Na, 차아염소산 Ca, 전해 차아수, 이산화염소, O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곰팡이 방지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족시스트로빈, 이마사잘, 오르토페닐페놀, 오르토페닐페놀나트륨, 디페닐, 티아벤다졸, 플루디옥소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천연계 추출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사철쑥 추출물 (카피린), 겨자 추출물 (이소티오시아누레이트), 히노키티올 추출물 (β-투야플리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합성 보존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류, 아황산 Na, 차아황산 Na, 이산화황, 피로아황산 K, 피로아황산 N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을 이용하는 살균 방법으로서,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이용하는 방법, 특히, UV-C 파장대라고 일컬어지는, 파장 200 ∼ 300 ㎚ 의 자외선, 바람직하게는, 250 ∼ 280 ㎚ 의 자외선에 의해, 살균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광원으로는 수은등이나 방전 광원, LED 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펄스 조사나 연속 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에 의한 살균보다, 조사에 의한 상기 살균 방법쪽이 바람직하고, 살균 효과 면에서 UV-C 파장대를 갖는 자외선에 의한 살균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청과물을 트레이에 올리고, 조사하면서 살균할 수 있다.
〔청과물의 보존 방법〕
본 실시형태의 청과물의 보존 방법은, 내장체 (201) 에 수용된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기록 공정과, 기록된 청과물의 선도에 기초하여, 내장체 (201) 내 및/또는 외장체 (202)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공정을 갖는다.
이 때, 상기, 살균, 곰팡이 방지제를 함께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청과물의 갈변을 억제하는, 항산화제나 수소 등의 기체를 공급할 수도 있다.
〔기록 공정〕
기록 공정은, 내장체 (201) 에 수용된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공정으로, 상기 방법 A ∼ F 를 이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내장체 내 및/또는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내장체 내에 수용된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 그 밖에도, 기록 공정에 있어서는, 청과물의 호흡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관점에서, 내장체 내의 온도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록 공정에서는, 적외광을 청과물에 조사하여, 적외광 흡수 스펙트럼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청과물의 당도 및/또는 호흡 효소를 검출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해도 되며, 과일의 가시광 투과광량으로 선도를 검출하여, 그것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해도 되고, 청과물의 외관상의 색의 변화를 색차계나 카메라를 사용하여 검출하여, 그것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해도 된다.
또, 기록 공정은, 외장체 (202) 에 공급한 공급 가스량과 외장체 (201) 로부터 배출한 배출 가스량에 기초하여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량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공정이어도 된다. 이 경우,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탄산 가스, 산소 가스, 질소 가스, 에틸렌 가스, 에탄올 가스, 아세트산에틸 가스, 수증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가스는 1 종 단독의 가스여도 되고, 2 종 이상의 혼합 가스여도 된다. 기록 공정에 있어서는, 가스의 종류마다,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량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해도 된다. 또, 기록 공정에 있어서, 외장체 (202) 내의 온도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해도 된다.
〔제어 공정〕
제어 공정은, 기록 공정에 의해 기록된 청과물의 선도에 기초하여, 내장체 (201) 내 및/또는 외장체 (202)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공정이다. 그 중에서도, 내장체 (201) 내의 온도 및/또는 외장체 (202) 내의 기체 조성을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가 내장체 내의 온도 및/또는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을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어부가 외장체 (202)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내장체 (201)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것이어도 된다. 제어 공정에 있어서 실시하는 제어는, 청과물의 선도를 보다 유지한 상태로 보존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청과물의 호흡이 적어지는 것과 같은 상태, 즉 저산소 및 고이산화탄소의 분위기 하에서, 또한 저온으로 함으로써, 청과물의 선도 저하를 늦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 및, 이미 서술한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상기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류의 측정 방법 :
아스파라거스의 착즙액을, 원심 분리, 여과하고, 여과액을 오우지 계측사 바이오 센서에 의해,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함량을 측정하여, 아스파라거스 단위 중량당의 당 함량을 구하였다. 또한, 아스파라거스의 당도는 수확부터 서서히 저하되기 때문에, 당도의 측정에 의해 아스파라거스의 보존성을 평가할 수 있다.
봉투 내 가스 농도의 측정 방법 :
댄센서 (모콘사 제조 체크 포인트) 를 사용하여, 바늘식으로 측정.
〔실시예 1〕
아스파라거스 1 ㎏ 을 내장체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두께 20 ㎛ 봉투 사이즈 28 ㎝ × 35 ㎝ 구멍 직경 5 ㎜ 구멍 수 2 산소 투과도 = 1.4 × 105 cc/㎡·일·atm 이산화탄소 투과도 = 1.5 × 105 cc/㎡·일·atm, 비율 = 1.1), 외장체 (선텍 C-E 필름 두께 14 ㎛, 봉투 사이즈 37 ㎝ × 41 ㎝, 구멍 없음 산소 투과도 = 2.3 × 104 cc/㎡·일·atm, 이산화탄소 투과도 = 1.2 × 105 cc/㎡·일·atm 비율 = 5.4) 로 포장하고, 15 ℃ × 7 일간 보존하였다. 도 4 에, 보존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보존 개시부터 7 일 후의 산소 농도는 4 % 가 되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9 % 가 되어, 대체로 정상 상태가 되었다. 또, 보존 개시부터 7 일 후의 당류의 잔존량은 78 % 였다.
〔실시예 2〕
PE 를 라미네트한 코트볼지 (겉보기 중량 160 g/㎡, 산소 투과도 = 7.6 × 103 cc/㎡·일·atm 이산화탄소 투과도 = 1.7 × 103 cc/㎡·일·atm, 비율 = 4.5) 로부터, 내측 치수 194 ㎜ × 60 ㎜ × 259 ㎜ 의 상자를 제조하고, 이 상자를 내장체로 하고, 실시예 1 의 외장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아스파라거스 1 ㎏ 을 15 ℃ × 7 일간 보존하였다. 보존 개시부터 7 일 후의 산소 농도는 7 %, 이산화탄소 농도는 11 % 가 되었다. 또, 보존 개시부터 7 일 후의 당류의 잔존량은 68 % 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의 내장체를 사용하고, 실시예 2 의 상자를 외장체로 하여,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아스파라거스 1 ㎏ 을 15 ℃ × 7 일간 보존하였다. 보존 개시부터 7 일 후의 산소 농도는 10 %, 이산화탄소 농도는 9 % 가 되었다. 또, 보존 개시부터 7 일 후의 당류의 잔존량은 59 % 였다.
〔비교예 1〕
아스파라거스 1 ㎏ 을 외장체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내장체만으로 포장하여, 15 ℃ × 7 일간 보존하였다. 도 5 에 보존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보존 개시부터 7 일 후의 산소 농도는 19 % 가 되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2 % 가 되었다. 또, 보존 개시부터 7 일 후의 당류의 잔존량은 11 % 였다.
〔비교예 2〕
구멍이 없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내장체를 준비하였다. 아스파라거스 1 ㎏ 을 외장체를 사용하지 않고, 준비한 내장체만으로 포장하고, 15 ℃ × 7 일간 보존하였다. 도 6 에 보존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보존 개시부터 4 일 후의 산소 농도는 0.3 % 가 되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22.5 % 가 되었다. 보존 개시부터 4 일에서 포장체 내는, 산소 결핍이 되어, 이취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그 때문에, 이 시점에서 시험을 중지하였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은, 청과물의 선도를 제어하면서, 보존하는 기술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갖는다.
100 : 포장체
101 : 내장체
102 : 외장체
103 : 버퍼 공간
200 : 청과물의 보존 장치
201 : 내장체
202 : 외장체
203 : 가스 공급부
204 : 가스 배출부
205 : 기록부
206 : 제어부
207 : 버퍼 공간

Claims (18)

  1. 청과물을 수용하는 내장체와,
    그 내장체를 수용하는 외장체를 갖고,
    상기 내장체 및/또는 외장체의 적어도 일부에,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가 2 × 103 ∼ 7 × 105 cc/㎡·일·atm 이고,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4 × 103 ∼ 7 × 105 cc/㎡·일·atm 이며, 상기 산소 투과도에 대한 상기 이산화탄소 투과도의 비가 10 이하인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구비하는, 청과물의 포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의 23 ℃ 에 있어서의 수증기 투과도가 2 ∼ 200 g/일·㎡ 인, 청과물의 포장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체와 상기 외장체 사이의 공간에, 산소 흡수제를 구비하는, 청과물의 포장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체와 상기 외장체 사이의 공간에, 이산화탄소 발생제를 구비하는, 청과물의 포장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흡수제로서 청과물을 구비하는, 청과물의 포장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발생제로서 청과물을 구비하는, 청과물의 포장체.
  7. 청과물을 수용하는 내장체와, 그 내장체를 수용하는 외장체를 갖는, 청과물의 포장체와,
    상기 내장체 내에 수용된 상기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기록부와,
    그 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상기 청과물의 상기 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내장체 내 및/또는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을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청과물의 보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와,
    상기 외장체로부터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부를 구비하는, 청과물의 보존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체 및/또는 상기 외장체의 적어도 일부에, 23 ℃ 에 있어서의 산소 투과도가 2 × 103 ∼ 7 × 105 cc/㎡·일·atm 이고, 23 ℃ 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4 × 103 ∼ 7 × 105 cc/㎡·일·atm 이며, 상기 산소 투과도에 대한 상기 이산화탄소 투과도의 비가 10 이하인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을 구비하고,
    그 가스 투과 제어 필름의 23 ℃ 에 있어서의 수증기 투과도가 2 ∼ 200 mg/일·㎡ 인, 청과물의 보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가 상기 가스 공급부에 의해 공급한 공급 가스량과 상기 가스 배출부에 의해 배출한 배출 가스량에 기초하여 상기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량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상기 청과물의 상기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것인, 청과물의 보존 장치.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가 상기 내장체 및/또는 상기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청과물의 상기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것인, 청과물의 보존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내장체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인, 청과물의 보존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가 공기, 산소 가스, 이산화탄소 가스, 탄산 가스, 질소 가스, 에틸렌 가스, 에탄올 가스, 및 아세트산에틸 가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청과물의 보존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는, 상기 내장체 및/또는 상기 외장체 내의 온도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것인, 청과물의 보존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과물의 포장체의 내장체 내의 공간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내장체 내에 수용된 상기 청과물의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기록 공정과,
    기록된 상기 청과물의 상기 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내장체 내의 온도 및/또는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을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공정을 구비하는, 청과물의 보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공정이, 상기 외장체에 공급한 공급 가스량과 상기 외장체로부터 배출한 배출 가스량에 기초하여 상기 청과물이 흡수 또는 방출한 가스량을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상기 청과물의 상기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공정인, 청과물의 보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공정이, 상기 내장체 및/또는 상기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의 시간 경과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청과물의 상기 선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기록하는 공정인, 청과물의 보존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공정이, 기록된 상기 청과물의 상기 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외장체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공정이고,
    상기 제어 공정이, 상기 외장체 내의 상기 기체 조성 및/또는 상기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내장체 내의 기체 조성 및/또는 온도를 시간 경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인, 청과물의 보존 방법.
KR1020180070393A 2017-06-21 2018-06-19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 KR20180138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732A KR102366347B1 (ko) 2017-06-21 2020-03-19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21666 2017-06-21
JP2017121649A JP6993120B2 (ja) 2017-06-21 2017-06-21 青果物の保存装置及び保存方法
JPJP-P-2017-121649 2017-06-21
JPJP-P-2017-121666 2017-06-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732A Division KR102366347B1 (ko) 2017-06-21 2020-03-19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541A true KR20180138541A (ko) 2018-12-31

Family

ID=647969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393A KR20180138541A (ko) 2017-06-21 2018-06-19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
KR1020200033732A KR102366347B1 (ko) 2017-06-21 2020-03-19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732A KR102366347B1 (ko) 2017-06-21 2020-03-19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80138541A (ko)
CN (1) CN109094858B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527B2 (ja) * 1992-10-06 2001-05-14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リフローはんだ付け装置
JP3824915B2 (ja) * 2001-12-03 2006-09-20 株式会社クレハ 鮮度保持包装材、青果物の包装体及び鮮度保持包装方法
JP2004159519A (ja) 2002-11-11 2004-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熟成方法および熟成室
JP2006288270A (ja) * 2005-04-11 2006-10-26 Tachibana Paper Wear Kk あんぽ柿の包装方法
JP2011098772A (ja) * 2009-11-04 2011-05-19 Katsuyoshi Fukuyama 選択的なガス透過性を調節した包装フィルム及び食品包装袋内での食味調整方法
JP3165527U (ja) * 2010-11-08 2011-01-27 中村 正一 保存用袋
JP2015037967A (ja) 2013-07-19 2015-02-2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エダマメまたはブロッコリー用青果物鮮度保持包装袋、これを用いたエダマメまたはブロッコリー入り包装体およびエダマメまたはブロッコリーの鮮度保持方法
KR101580634B1 (ko) * 2014-06-02 2015-12-28 한국식품연구원 오디의 선도 연장 방법 및 선도 연장용 포장용기
KR101660227B1 (ko) * 2014-11-13 2016-09-28 대한민국 농산물 저장 시스템 및 방법
CN104502555B (zh) * 2014-12-27 2016-04-20 山东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便携式智能型果蔬呼吸强度测定装置及测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687A (ko) 2020-03-31
CN109094858B (zh) 2021-08-27
CN109094858A (zh) 2018-12-28
KR102366347B1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109949A (ja) 青果物の包装体、保存装置及び保存方法
JP6993120B2 (ja) 青果物の保存装置及び保存方法
JP6636980B2 (ja) 青果物の鮮度保持に適し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2008173012A (ja) イチゴ入り包装体
KR102366347B1 (ko) 청과물의 포장체,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
JP2022132509A (ja) 青果物を収納し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6636981B2 (ja) 青果物の鮮度保持性能に優れ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6674407B2 (ja) 青果物の鮮度保持性能に優れ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2020048415A (ja) 菌増殖の抑制方法、青果物の鮮度保持用に好適な包装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並びに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2020048419A (ja) セレウス菌増殖の抑制方法、青果物の鮮度保持用に好適な包装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並びに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2019006425A (ja) 青果物の包装体、保存装置及び保存方法
JP5116944B2 (ja) リンゴの包装体及びリンゴの包装体の保存方法
JP3216401U (ja) 野菜の包装体
JP2018167894A (ja) 青果物の鮮度保持用の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6695822B2 (ja) 青果物の鮮度保持性能に優れ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6577506B2 (ja) 青果物の鮮度保持に適し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6674408B2 (ja) キャベツ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性能に優れた包装体、及びキャベツ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6636979B2 (ja) キャベツ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性能に優れ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6694846B2 (ja) レタス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性能に優れた包装体、及びレタス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6636988B2 (ja) ダイコンを含む青果物の鮮度保持に適した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2024040221A (ja) 柑橘類鮮度保持コンテナ用カバーおよび柑橘類鮮度保持方法
JP2022140512A (ja) 青果物包装体、及び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JP2019006426A (ja) 青果物の包装体、保存装置及び保存方法
Tripathi et al. Recent Trends in Films and Gases f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Fresh Produce
JP2020048443A (ja) セレウス菌増殖の抑制方法、青果物の鮮度保持用に好適な包装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並びに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8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319

Effective date: 2020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