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336B1 -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336B1
KR102367336B1 KR1020180120951A KR20180120951A KR102367336B1 KR 102367336 B1 KR102367336 B1 KR 102367336B1 KR 1020180120951 A KR1020180120951 A KR 1020180120951A KR 20180120951 A KR20180120951 A KR 20180120951A KR 102367336 B1 KR102367336 B1 KR 102367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ization
initiator
vinyl chloride
aqueou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036A (ko
Inventor
배흥권
육경석
이정래
이현민
임중철
강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20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336B1/ko
Priority to US17/056,973 priority patent/US11926682B2/en
Priority to CN201980034732.3A priority patent/CN112166130B/zh
Priority to EP19872169.8A priority patent/EP3865518B1/en
Priority to PCT/KR2019/013092 priority patent/WO2020076024A1/ko
Publication of KR20200041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14/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a) 물에 수용성 개시제를 혼합하여 1 내지 10 중량%의 농도를 갖는 개시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개시제 수용액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는 (b-1) 상기 개시제 수용액을 0.5 시간 내지 4.5 시간 동안 48 내지 62 ℃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및 (b-2) 상기 개시제 수용액을 pH가 1 내지 7이 되도록 처리하는 단계;가 순서 무관하게 수행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POLYMERIZATION INITIATOR COMPOSITION}
본 발명은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시 중합 초기 반응성을 향상시켜 반응 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염화비닐을 50% 이상 함유하는 수지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경도 조절이 용이하며 대부분의 가공기기에 적용 가능하여 응용분야가 다양하다. 게다가, 물리적, 화학적 성질, 예컨대 기계적 강도, 내후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어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용도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제조된다. 예컨대, 압출공정, 칼렌다 공정, 사출공정 등 스트레이트 가공용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현탁중합에 의하여 제조되고, 디핑, 스프레잉, 코팅 등의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유화중합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페이스트 가공은 일반적으로 유화중합에 의해 얻어진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계 중합체 라텍스를 분무 건조하는 방법으로 건조하여 최종 수지 입자를 형성하고, 상기 입자는 용매나 가소제에 분산시켜 코팅(reverse roll-coating, knife coating, screen coating, spray coating), 그라비아 및 스크린 프린팅(gravure and screen printing), 회전 캐스팅(rototion casting), 쉘 캐스팅 및 딥핑(shell casting and dipping)과 같은 공정을 통해 바닥재, 벽지, 타포린, 우의, 장갑, 자동차 언더 바디 코팅, 실란트, 카펫 타일 등의 제품에 적용된다. 이러한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단독으로는 가공성이 낮아 적용이 어렵고 통상 가소제와 함께 열안정제 등의 여러 가지 첨가제로 구성되는 플라스티졸 형태로 가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수상을 매질로 하는 유화중합, 미세현탁 중합과 시드유화 중합 등의 중합 공정에서는 수용성 개시제를 사용하는데, 통상적으로 수용성 개시제들은 반감기가 온도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나타난다.
한편, 종래기술에서 수상을 매질로 하는 중합 공정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수용성 개시제의 함량을 높여 사용하기도 하였는데, 상기와 같이 수용성 개시제의 중합 온도에 대한 민감성 문제로 인해, 중합 초기 활성화가 매우 느려 반응이 지연되는 반면 중합 후반 활성화는 매우 활발히 진행되어 반응 후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므로 반응 제열에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수상을 매질로 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중합 공정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JP 4130208 B2 (2008.05.30)
본 발명은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수상을 매질로 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중합 공정에 적용할 경우 반응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는 (a) 물에 수용성 개시제를 혼합하여 1 내지 10 중량%의 농도를 갖는 개시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개시제 수용액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는 (b-1) 상기 개시제 수용액을 0.5 시간 내지 4.5 시간 동안 48 내지 62 ℃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및 (b-2) 상기 개시제 수용액을 pH가 1 내지 7이 되도록 처리하는 단계;가 순서 무관하게 수행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는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개시제 조성물의 존재 하에,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는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25 ℃에서 점도가 90 내지 230 Pa·s이며, 180 내지 220 ℃에서 40 내지 70초 동안 가열 후 백색도가 48 내지 60인 플라스티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개시제 수용액을 전처리를 통해 활성화시킴으로써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중합 공정의 초기 반응성을 빠르게 하여 반응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조성물"은, 해당 조성물의 재료로부터 형성된 반응 생성물 및 분해 생성물뿐만 아니라 해당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료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생성된 화합물을 포괄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염화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사슬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플라스티졸(plastisol)"은 가열에 의해 성형, 주형 혹은 연속 필름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수지와 가소제를 섞은 혼합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컨대 염화비닐계 중합체와 가소제를 혼합한 페이스트상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소제(plasticizer)"는 열가소성 수지에 첨가하여 열가소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수지의 고온에서의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유기 첨가제 물질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균입경(D50)은 입자의 입경 분포 곡선에 있어서, 개수 누적량의 50%에 해당하는 입경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입경(D50)은 예를 들어, 레이저 회절법(laser diffraction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회절법은 일반적으로 서브미크론(submicron) 영역에서부터 수 mm 정도의 입경의 측정이 가능하며, 고 재현성 및 고 분해성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는 (a) 물에 수용성 개시제를 혼합하여 1 내지 10 중량%의 농도를 갖는 개시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개시제 수용액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는 (b-1) 상기 개시제 수용액을 0.5 시간 내지 4.5 시간 동안 48 내지 62 ℃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및 (b-2) 상기 개시제 수용액을 pH가 1 내지 7이 되도록 처리하는 단계;가 순서 무관하게 수행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수용성 개시제 수용액의 제조
본 발명에서 수용성 개시제 수용액의 제조 단계에서, 수용성 중합 개시제를 물에 용해시켜 1 내지 10 중량% 농도로 만든다.
상기 개시제 수용액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2 내지 8 중량% 농도, 또는 3 내지 6 중량% 농도일 수 있다. 상기 농도 범위 내인 경우, 이하 서술하는 개시제 수용액의 활성화 단계에서 적절히 활성화될 수 있는 수용성 중합 개시제 함량을 충족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중합 개시제는 과황산 칼륨, 과황산 나트륨 및 과황산 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과황산 칼륨일 수 있다.
2. 수용성 개시제 수용액의 활성화
본 발명의 수용성 개시제 수용액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b-1) 상기 개시제 수용액을 48 내지 62℃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및 (b-2) 상기 개시제 수용액을 pH 1 내지 7에서 처리하는 단계;가 순서 무관하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화는 0.5시간 내지 4.5시간 동안의 열처리와 pH 처리가 모두 수행되는 것을 의미하며,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는 열처리 및 pH 처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만일 활성화에 있어서 열처리 시간이 0.5시간도 되지 않는 경우 수용성 개시제가 정상적으로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로 중합에 투입된다는 점에서 중합시간의 지연으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4.5시간 보다 긴 시간 동안 활성화시키는 경우에는 반응이 폭발적으로 일어나 제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반응이 폭주하여 안정적인 중합 반응을 수행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화시 열처리 시간을 1 시간 이상, 1.5 시간 이상, 또는 2 시간 이상 수행할 수 있고, 4 시간 이하, 3.5 시간 이하, 또는 3 시간 이하로 수행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중합 생산성과 반응의 제어를 위해서는 상기한 범위 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활성화 시간은 수용성 개시제의 중합 온도에서의 반감기를 고려한 시간일 수 있으며 개시제 반감기의 1/15 내지 1/5의 수준의 시간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14 이상, 또는 1/13 이상, 또는 1/12 이상일 수 있고, 1/6 이하, 또는 1/7 이하, 또는 1/8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개시제 반감기는 개시제의 농도가 최초 값의 1/2이 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중합은 40 내지 65 ℃ 온도 범위에서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개시제 수용액의 열처리 시간은, 수용성 개시제의 반감기가 고려된 것일 수 있고, 이 점에서 온도가 증가할수록 수용성 중합 개시제 반감기는 점차 짧아지므로, 65 ℃의 중합 온도에서는 활성화 시간을 보다 짧게 하고, 40 ℃의 중합 온도에서는 활성화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온도는 48 내지 62℃의 범위 내에서 적용될 수 있고, 60℃ 이하, 59℃ 이하, 또는 58℃ 이하, 또는 56℃ 이하일 수 있으며, 50℃ 이상, 51℃ 이상, 또는 52℃ 이상, 또는 53℃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온도가 62℃ 초과인 경우 생성된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플리스티졸에 적용시 점도가 상승하고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거나, 개시제 수용액의 활성이 지나치게 이루어져 반응이 폭주하는 등 정상적인 중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온도가 48℃ 미만인 경우 개시제 수용액의 활성화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개시제 수용액의 열처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럿 스케일의 경우 핫플레이트(hot plate)를 이용하여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장 스케일의 경우 온도조절기, 온도계 및 유량계 등을 열처리하는 것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 후 압력 펌프를 이용하여 열처리된 개시제를 반응기로 투입할 수 있다.
수용성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중합 반응 초기의 버퍼 물질인 NaOH 등의 염기와 라디칼이 반응하여 카르복시화되고 이는 유화제로 역할하기도 하므로 개시제의 활성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중합 반응 전에 개시제 수용액에 산처리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와 같은 카르복시화 반응을 방지함으로써 수용성 개시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H 처리 시간은 예를 들어, 2 시간 이하, 또는 1.5시간 이하일 수 있으며, 10분 이상, 20분 이상, 30분 이상, 또는 1시간 이상일 수 있으나, 이와 같은 pH 처리는 적절한 pH를 만족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처리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pH 처리도 상기 열처리와 마찬가지로 중합 온도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고온의 중합 온도에서는 pH를 낮게 할 수 있고, 저온의 중합 온도에서는 pH를 높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적절하게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H 범위는 pH 6.5 이하, 또는 6 이하, 또는 5.5 이하일 수 있으며, pH 1.5 초과, 또는 3 초과, 또는 3.5 초과, 또는 4 초과, 또는 4.5 초과일 수 있다.
상기 pH 처리에 있어서 pH가 1 미만인 경우 입자 안정성이 낮아져 응집이 이루어지고 정상 중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핵이 개시된 다음 입자가 성장하는 단계에서 유화제가 입자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지나치게 낮은 pH에서는 유화제가 민감하여 입자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pH 처리에 있어서 pH가 7 초과인 경우 개시제 수용액의 활성화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중합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수용성 개시제 수용액의 pH 처리는 1 내지 10%, 또는 2 내지 8%, 또는 5 내지 7% 농도의 HCl 수용액 및/또는 NaOH 수용액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및 pH 처리는 순서에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성 개시제 수용액을 열처리한 이후 pH 처리를 수행하거나, pH 처리한 이후 열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열처리와 pH 처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열처리 및/또는 pH 처리를 이용한 수용성 개시제 수용액의 활성화는 후술할 염화비닐계 단량체의 중합 단계 전에 반응기 탱크 내에서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반응기 탱크 밖에서 수용성 개시제 수용액의 활성화가 이루어진 후 수용성 개시제 수용액을 반응기 탱크에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활성화 단계로서 열처리 및 pH 처리 중 어느 하나만 반응기 탱크 밖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응기 탱크 내에서 수용성 개시제 수용액의 열처리를 수행한 이후 pH 조정제를 투입하여 pH 처리 또한 반응기 탱크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반응기 탱크 밖에서 수용성 개시제 수용액의 열처리를 수행한 이후 pH 조정제와 함께 반응기 탱크 내에 투입하면서 pH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3. 염화비닐계 단량체의 중합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는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존재 하에,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의 중합은 40 내지 65 ℃, 또는 45 내지 55 ℃의 중합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중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개시제 수용액의 활성이 적절히 유지되고 중합 효율이 우수하다.
즉, 상기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중합이 수행될 경우에는 중합이 5시간 내지 9시간 내에 높은 전환율로 완료될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물성을 갖는 중합체가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중합 효율이 뛰어나 생산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중합은 수상을 매질로 하는 유화중합, 미세유화 중합, 미세현탁시드 중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화중합의 경우 수용성 개시제가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중합 개시제 조성물을 적용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중합 방법은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수행되는 유화중합, 미세유화 중합, 미세현탁시드 중합 등과 크게 다르지 않게 적용될 수 있다.
4. 염화비닐계 중합체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평균 입경이 0.1 내지 2 ㎛, 또는 0.5 내지 1.5 ㎛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5. 플라스티졸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는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점도가 25 ℃에서 90 내지 230 Pa·s, 또는 100 내지 120 Pa·s이고, 180 내지 220 ℃에서 40 내지 70초 동안 가열 후 백색도가 48 내지 60, 또는 50 내지 54인 플라스티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티졸이 상기 점도 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흐름성이 좋아져 가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플리스티졸이 상기 조건에서 가열 후 상기 백색도를 충족하는 경우 내열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라스티졸은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40 중량부 내지 1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 중량부 내지 160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40 중량부의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분산 희석제, 열안정제, 점도 조절제 및 발포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 및 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용성 개시제의 활성화
수용성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KPS) 10 g과 물 240 g을 반응기 탱크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4 중량%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반응기 탱크 내에서 교반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핫플레이트를 이용하여 50 ℃ 온도로 60 분 동안 상기 수용액을 열처리하였다.
상기 열처리 이후, HCl 1% 수용액, NaOH 5% 수용액을 각각 0.01~0.1 phm 첨가하여 pH 1 내지 4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수용액을 처리하였다.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
상기 활성화된 수용성 개시제 수용액이 투입된 반응기 탱크에서 하기 순서에 따라 유화중합 방식으로 페이스트 PVC를 중합하였다. 우선, 중합수 180kg (염화비닐 단량체 기준 100 phm), 제1 유화제 18g (염화비닐 단량체 기준 0.01 phm) 투입한 후 50℃까지 승온하였다. 이후 염화비닐 단량체 180kg을 투입하고 반응 중 입자를 안정화할 목적으로 제2 유화제 1800g (염화비닐 단량체 기준 1 phm)을 투입하여 전환율 90%까지 반응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9
상기 실시예 1에서 수용성 개시제의 활성화 조건을 하기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예 2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9에 따른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열처리 온도
(℃)
열처리 시간
(hr)
용매 pH
실시예 1 50 1 1이상 4이하
실시예 2 50 1 4초과 5이하
실시예 3 60 1 6초과 7이하
실시예 4 55 1 6초과 7이하
실시예 5 50 2 6초과 7이하
실시예 6 50 3 6초과 7이하
실시예 7 50 4 6초과 7이하
비교예 1 50 1 -
비교예 2 - 0 4초과 5이하
비교예 3 - - 6초과 7이하
비교예 4 50 1 7초과 8이하
비교예 5 50 1 1 미만
비교예 6 65 1 6초과 7이하
비교예 7 70 1 6초과 7이하
비교예 8 45 1 6초과 7이하
비교예 9 50 6 6초과 7이하
실험예 1: 중합 결과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중합 결과로서 중합 시간 및 정상중합 여부 또한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1) 중합 시간: 중합시간은 중합 부원료 투입 후 중합온도까지 승온후부터 반응 압력 3.5KG/cm2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2) 정상중합여부 판독: 정상 중합 여부는 라텍스가 응집되어 응집물이 확인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판단하여 응집물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O, 응집물이 확인되는 경우 X로 평가하였고, 반응 폭주 등으로 라텍스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X로 평가하였다.
시간(hr) 정상중합 여부
실시예 1 5hr 43min
실시예 2 6hr 57min
실시예 3 8hr 30min
실시예 4 8hr 53min
실시예 5 8hr 53min
실시예 6 8hr 30min
실시예 7 8hr 12min
비교예 1 14hr 27min
비교예 2 9hr 20min
비교예 3 15hr 0min
비교예 4 15hr 10min
비교예 5 - X(응집)
비교예 6 6hr 28min
비교예 7 - X(반응폭주)
비교예 8 17hr 40min
비교예 9 10hr 20min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7의 경우 중합 시간이 5시간 내지 9시간 내에서 정상적으로 중합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열처리만을 수행한 비교예 1, pH 처리만을 수행한 비교예 2, 활성화를 시키지 않은 비교예 3, 활성화시 pH 조건을 높게 한 비교예 4와 열처리 온도를 낮게 한 비교예 8의 경우 중합 시간이 상당히 길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pH 조건을 너무 낮게 한 비교예 5의 경우에는 제조된 중합체 라텍스 상태에서 응집이 발생하였고, 온도 조건을 너무 높게 한 비교예 7은 개시제의 과도한 활성화로 반응이 폭주하였음을 결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플라스티졸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에 따라 제조된 각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물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각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 g과 디옥틸프탈레이트(DOP) 120 g을 Werke mixer(EUROSTAR IKA)를 사용하여 800 rpm으로 10분 간 교반하여 각 플라스티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플라스티졸의 점도 및 내열성(백색도)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1) 점도: 상기 각 플라스티졸의 점도를 BrookField viscometer(BrookField사, LV-DV 1 Prime viscometer)를 이용하여 25℃에서 7번 Spindle로 20rpm으로 측정하였다.
2) 내열성: 각 플라스티졸을 이형지에 도포하고 0.5mm 봉으로 코팅한 후 Mathis oven을 사용하여 150℃에서 45초간 건조하여 예비겔화된 시트(pregelling sheet)를 제조하고, 200℃로 100초 동안 가열하였다. ASTM E313-73에 의거하여 SPECTRO PHOTO METER(CM-700d, KONICA MINOLTA)를 이용하여 백색도(White Index)를 측정하였다.
중합 시간 정상중합 여부 점도(Pa.s) 내열성(WI)
실시예 1 5hr 43min 110 53
실시예 2 6hr 57min 115 52.7
실시예 3 8hr 30min 112 52.4
실시예 4 8hr 53min 111 52.4
실시예 5 8hr 53min 114 52.9
실시예 6 8hr 30min 116 53.1
실시예 7 8hr 12min 114 50.9
비교예 1 14hr 27min 111 51.4
비교예 2 9hr 20min 111 52.1
비교예 3 15hr 0min 113 53.1
비교예 4 15hr 10min 119 52.3
비교예 5 - X(응집) - -
비교예 6 6hr 28min 350 45
비교예 7 - X(반응폭주) - -
비교예 8 17hr 40min 102 51.5
비교예 9 10hr 20min 105 51.7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65℃ 온도에서 수용성 개시제의 활성화를 수행한 비교예 6의 경우 비록 반응시간은 단축되었으나 점도가 크게 상승하였고, 내열성 시험에서 낮은 백색도를 나타내므로 내열성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4, 8 및 9의 경우 점도 및 내열성 결과는 비교적 양호하나 중합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7의 경우 정상적인 수준에서 중합이 완료되었고, 응집 발생이나 반응 폭주의 현상도 없었으며, 플라스티졸의 점도나 내열성 역시 우수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라 개시제를 활성화 하여 중합 반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중합 생산성이나, 안정성, 그리고 플라스티졸 가공의 가공성뿐만 아니라, 내열성까지 우수한 수준으로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a) 물에 수용성 개시제를 혼합하여 1 내지 10 중량%의 농도를 갖는 개시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개시제 수용액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는
    (b-1) 상기 개시제 수용액을 0.5 시간 내지 4.5 시간 동안 48 내지 62 ℃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및
    (b-2) 상기 개시제 수용액을 pH가 1 내지 7이 되도록 처리하는 단계;가 순서 무관하게 수행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개시제는 과황산 칼륨, 과황산 나트륨 및 과황산 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 수용액은 3 내지 6 중량%의 농도를 갖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의 열처리는 50 내지 60 ℃에서 수행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의 열처리는 1 내지 4 시간 동안 수행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의해 제조된 개시제 조성물의 존재 하에,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은 40 내지 65 ℃ 범위의 중합 온도에서 수행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은 유화중합인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80120951A 2018-10-11 2018-10-11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67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951A KR102367336B1 (ko) 2018-10-11 2018-10-11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US17/056,973 US11926682B2 (en) 2018-10-11 2019-10-07 Method for preparing polymerization initiator composition
CN201980034732.3A CN112166130B (zh) 2018-10-11 2019-10-07 聚合引发剂组合物的制备方法
EP19872169.8A EP3865518B1 (en) 2018-10-11 2019-10-07 Method for preparing polymerization initiator composition
PCT/KR2019/013092 WO2020076024A1 (ko) 2018-10-11 2019-10-07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951A KR102367336B1 (ko) 2018-10-11 2018-10-11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036A KR20200041036A (ko) 2020-04-21
KR102367336B1 true KR102367336B1 (ko) 2022-02-25

Family

ID=7016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951A KR102367336B1 (ko) 2018-10-11 2018-10-11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26682B2 (ko)
EP (1) EP3865518B1 (ko)
KR (1) KR102367336B1 (ko)
CN (1) CN112166130B (ko)
WO (1) WO202007602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907A (ja) * 2003-10-03 2005-04-28 Mitsubishi Rayon Co Ltd グラフト共重合体、耐衝撃改質剤、および熱可塑性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3581A (en) * 1976-11-11 1978-06-06 Stauffer Chemical Company Emulsion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using prehomogenized mixed emulsifier system
US5216065A (en) * 1990-11-29 1993-06-01 The Mead Corpor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with large particle size
JP3261246B2 (ja) * 1993-12-13 2002-02-2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H08269114A (ja) * 1995-04-04 1996-10-15 Sekisui Chem Co Ltd 塩化ビニル系樹脂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ATE195748T1 (de) * 1996-10-30 2000-09-15 Akzo Nobel N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initiatorzusammensetzung auf basis von polyvinylalkohol und emulgator
CA2529803C (en) 2003-06-20 2012-07-31 Akzo Nobel N.V. Polymerization process involving the dosing initiators
WO2005063823A1 (ja) 2003-12-26 2005-07-14 Shin-Etsu Chemical Co., Ltd.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KR101056958B1 (ko) 2007-08-23 2011-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용성 개시제 추가 투입에 의한 염화비닐계 중합체 제조방법
KR101338723B1 (ko) * 2010-10-26 2013-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현탁 중합에 의한 염화비닐 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120107201A (ko) 2011-03-21 2012-10-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1475985B1 (ko) 2011-05-23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 생산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550954B1 (ko) 2012-02-06 2015-09-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 수지의 제조방법
CN103665237B (zh) 2012-09-19 2015-10-14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聚氯乙烯树脂合成效率的方法
KR101626643B1 (ko) * 2013-03-20 2016-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수지
CN103265658A (zh) * 2013-05-07 2013-08-28 上海氯碱化工股份有限公司 耐热型氯乙烯共聚树脂的合成方法
KR101676084B1 (ko) 2013-09-13 2016-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와 제조방법, 및 플라스티졸
KR102159221B1 (ko) 2016-09-26 2020-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CN106496466B (zh) * 2016-10-22 2018-08-07 宁波大学 一种氯乙烯/丙烯酸丁酯共聚物的绿色化学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907A (ja) * 2003-10-03 2005-04-28 Mitsubishi Rayon Co Ltd グラフト共重合体、耐衝撃改質剤、および熱可塑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036A (ko) 2020-04-21
CN112166130B (zh) 2022-11-15
EP3865518A1 (en) 2021-08-18
EP3865518A4 (en) 2021-11-24
EP3865518B1 (en) 2023-12-20
US11926682B2 (en) 2024-03-12
CN112166130A (zh) 2021-01-01
US20210198388A1 (en) 2021-07-01
WO2020076024A1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336B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49974A (ko) 장갑용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EP1934268B1 (en) Method of preparing vinylchloride-based copolymer and vinylchloride plastisol composition including vinylchloride-based copolymer prepared using the method
KR101841356B1 (ko) 염화비닐-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7336B1 (ko) 중합 개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93068B1 (ko) 페이스트화될 수 있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293377B1 (ko) 발포 물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수지 페이스트 제조 방법
CA105699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vinyl chloride polymerizates
KR101596996B1 (ko) 가공성이 우수한 블렌드 수지,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3534132B2 (ja) プラスチゾル組成物
KR20070030669A (ko) 플라스티졸 가공용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 방법
KR101154457B1 (ko) 무광택성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 제조방법
KR20080051279A (ko)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CN107614547B (zh) 氯乙烯基聚合物、其制备方法和包含该聚合物的塑料溶胶
KR101411098B1 (ko) 부틸 아크릴레이트가 함유된 염화비닐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892703B1 (ko)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06063B1 (ko) 생산성이 향상된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0868458B1 (ko) 가소제 흡수율이 작은 플라스티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의제조방법
KR20110070016A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1711761B1 (ko)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및 그 제조방법
KR102658856B1 (ko) 염화 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 방법
KR102527752B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256929B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JP2855691B2 (ja) 塩化ビニル系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7105923B2 (ja) 塩化ビニル系重合体重合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