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043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043B1
KR102235043B1 KR1020140069369A KR20140069369A KR102235043B1 KR 102235043 B1 KR102235043 B1 KR 102235043B1 KR 1020140069369 A KR1020140069369 A KR 1020140069369A KR 20140069369 A KR20140069369 A KR 20140069369A KR 102235043 B1 KR102235043 B1 KR 102235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evice
bit line
variable resistance
layer
resistanc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240A (ko
Inventor
서보영
이용규
전기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9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043B1/ko
Priority to US14/639,183 priority patent/US9401385B2/en
Publication of KR2015014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1/0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 H10B61/2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 H10B61/22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of the field-effect transistor [FET] ty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H10B53/3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details concerning the memory cell structure, e.g. the layers of the ferromagnetic memory cel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5Auxiliary circuits
    • G11C11/165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11C11/1655Bit-line or colum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5Auxiliary circuits
    • G11C11/1659Cell acce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5Auxiliary circuits
    • G11C11/1673Reading or sens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5Auxiliary circuits
    • G11C11/1675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H10B53/4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10Magnetoresistiv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ram Or Spin Memory Techniques (AREA)
  • Hall/Mr Elements (AREA)

Abstract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제공된다. 반도체 기판 상에서 제 1 높이에 배치된 제 1 비트 라인,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서 상기 제 1 높이와 다른 제 2 높이에 배치되는 제 2 비트 라인, 상기 제 1 비트 라인과 연결되는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2 비트 라인과 연결되는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은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형화, 다기능화 및/또는 낮은 제조 단가 등의 특성들로 인하여 반도체 소자는 전자 산업에서 중요한 요소로 각광 받고 있다. 반도체 소자들은 논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도체 기억 소자, 논리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는 반도체 논리 소자, 및 기억 요소와 논리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산업의 발전과 함께 반도체 소자가 더욱 고집적화 되고 있으나,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제조 공정의 마진이 감소되고, 반도체 기억 소자의 기억 셀의 저항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집적도 및 신뢰성이 보다 향상된 향상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반도체 기판 상에서 제 1 높이에 배치된 제 1 비트 라인,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서 상기 제 1 높이와 다른 제 2 높이에 배치되는 제 2 비트 라인, 상기 제 1 비트 라인과 연결되는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2 비트 라인과 연결되는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은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수직적 관점에서, 상기 제 1 비트 라인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은, 평면적 관점에서, 나란히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평면적 관점에서,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에 대해 사선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 각각은 고정 자성층, 자유 자성층,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자유 자성층은 상기 제 1 비트 라인과 인접하고,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고정 자성층은 상기 제 2 비트 라인과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선택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 기판에 활성부를 정의하는 소자 분리막, 상기 활성부를 가로지르는 워드 라인, 상기 워드 라인 양측의 상기 활성부들 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 상기 제 1 불순물 영역과 접속되는 소스 라인, 및 상기 제 2 비트 라인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불순물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도전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에 공통으로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비트 라인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전 패턴과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 각각은 고정 자성층, 자유 자성층,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고정 자성층은 상기 도전 패턴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고정 자성층은 상기 제 2 비트 라인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라인; 상기 소스 라인과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사이에 연결된 제 1 선택 트랜지스터; 및 상기 소스 라인과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사이에 연결된 제 2 선택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1 및 제 2 활성부들을 정의하는 소자 분리막, 상기 제 1 및 제 2 활성부들을 가로지르는 워드 라인, 상기 워드 라인 양측의 상기 제 1 및 제 2 활성부들 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 상기 제 1 및 제 2 활성부들의 상기 제 1 불순물 영역들과 공통으로 접속되는 소스 라인, 상기 제 2 비트 라인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활성부의 상기 제 2 불순물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 패턴, 및 상기 제 1 비트 라인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도전 패턴과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고정 자성층, 자유 자성층,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고정 자성층은 상기 제 2 비트 라인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상기 제 2 활성부의 상기 제 2 불순물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고정 자성층, 자유 자성층,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자유 자성층은 상기 제 1 비트라인의 하부면에 인접할 수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은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 상기 제 1 비트 라인과 연결되는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2 비트 라인과 연결되는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상기 고정 자성층, 상기 터널 배리어층, 및 상기 자유 자성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상기 자유 자성층, 상기 터널 배리어층, 및 상기 고정 자성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은, 평면적 관점에서, 나란히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소스 라인, 일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 1 비트 라인 및 제 2 비트 라인, 상기 소스 라인과 상기 제 1 비트 라인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상기 소스 라인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 각각은 고정 자성층, 자유 자성층,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자유 자성층은 상기 제 1 비트 라인과 인접하고,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고정 자성층은 상기 제 2 비트 라인과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비트 라인 및 상기 제 2 비트 라인은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비트 라인 및 상기 제 2 비트 라인은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따르면, 단위 메모리 셀은 제 1 및 제 2 메모리 소자들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메모리 소자들에 서로 상보적인 데이터를 동시에 기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 메모리 셀에서 데이터를 독출할 때 제 1 및 제 2 메모리 소자들 중 하나는 기준 저항으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센싱 마진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제 1 및 제 2 메모리 소자들을 포함하는 단위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위 메모리 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위 메모리 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회로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위 메모리 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위 메모리 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 전압을 간략히 보여주는 표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쓰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읽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5a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1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6a의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7a의 II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17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8a의 IV-IV'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18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9a 내도 도 19f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저장 패턴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카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장착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형성된 반도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어레이(1), 워드라인 디코더(2), 워드라인 드라이버(3), 비트라인 디코더(4), 읽기 및 쓰기 회로(5), 및 제어 로직(6)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1)는 복수개의 메모리 블록들(BLK0~BLKn)을 포함하며, 각각의 메모리 블록들(BLK0~BLKn)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메모리 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 비트 라인들 및 소스 라인들을 포함한다.
워드라인 디코더(2)는 외부에서 입력된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워드라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워드라인 디코더(2)에서 디코딩된 어드레스가 워드라인 드라이버(3)로 제공될 수 있다. 워드라인 드라이버(3)는 제어 로직(6)의 제어에 응답해서 전압 발생 회로(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워드라인 전압을 선택된 워드 라인 및 비선택된 워드 라인들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워드라인 디코더(2) 및 워드라인 드라이버(3)는 복수 개의 메모리 블록들(BLK0~BLKn)에 공통으로 연결되며, 블록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 블록(BLK0~BLKn 중 하나)의 워드라인들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비트라인 디코더(4)는 외부에서 입력된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비트라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비트라인 디코더(4)는 복수 개의 메모리 블록들(BLK0~BLKn)에 공통으로 연결되며, 블록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 블록(BLK0~BLKn)의 비트 라인들에 데이터 정보를 제공한다.
읽기 및 쓰기 회로(5)는 비트 라인들을 통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1)에 연결된다. 읽기 및 쓰기 회로(5)는 비트라인 디코더(4)로부터의 비트 라인 선택 신호(미도시)에 응답하여 비트 라인을 선택한다. 읽기 및 쓰기 회로(5)는 외부와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읽기 및 쓰기 회로(5)는 제어 로직(6)의 제어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읽기 및 쓰기 회로(5)는 제어 로직(6)으로부터 파워(예를 들어, 전압 또는 전류)를 수신하고 선택된 비트 라인에 이를 제공한다.
제어 로직(6)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로직(6)은 제어 신호들 및 외부 전압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제어 로직(6)은 외부 전압을 이용하여 내부 동작에 필요한 파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로직(6)은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읽기, 쓰기, 및/또는 소거 동작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셀 어레이(1)는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WL), 비트 라인들(BL1, BL2), 소스 라인들(SL), 및 단위 메모리 셀들(10)을 포함한다. 비트 라인들(BL1, BL2)은 워드 라인들(WL)을 가로질러 배열될 수 있으며, 소스 라인들(SL)은 비트 라인들(SL)과 평행하거나, 워드 라인들(WL)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 메모리 셀들(10)은 서로 교차하는 워드 라인들(WL) 과 한 쌍의 비트 라인들(BL1, BL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단위 메모리 셀들(10)은 제 1 및 제 2 메모리 소자들(ME1, ME2; memory elements) 및 제 1 및 제 2 선택 소자들(SE1, SE2; select element)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메모리 소자(ME1)는 제 1 선택 소자(SE1)와 제 1 비트 라인(BL1)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메모리 소자(ME2)는 제 2 선택 소자(SE2)와 제 2 비트 라인(BL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선택 소자(SE1)는 제 1 메모리 소자(ME1)와 소스 라인(SL)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선택 소자(SE2)는 제 2 메모리 소자(ME2)와 소스 라인(SL)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선택 소자들(SE1, SE2)은 하나의 소스 라인(SL)을 공유할 수 있으며, 동일한 워드 라인(WL)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방향 또는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단위 메모리 셀들(10)은 소스 라인(SL)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단위 메모리 셀(10)은 하나의 워드 라인(WL)과 한 쌍의 비트 라인들(BL1, BL2)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메모리 소자들(ME1, ME2)은 인가되는 전기적 펄스에 의해 두 가지 저항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는 가변 저항 소자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메모리 소자들(ME1, ME2)을 구성하는 물질들은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 및/ 또는 방향에 따라서 그 저항 값이 가변되며, 전류 또는 전압이 차단되어도 그 저항 값을 그대로 유지하는 불휘발성 특성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메모리 소자들(ME1, ME2)은 자기-저항(magnetoresistance) 특성을 보이도록 구성되는 박막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 물질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반강자성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메모리 소자들(ME1, ME2)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화합물들 또는 전이 금속 산화물들(transition metal oxid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선택 소자들(SE1, SE2)은 다이오드, 피엔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PNP bipolar transistor), 엔피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NPN bipolar transistor),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NMOS FET) 및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PMOS FET)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선택 소자들(SE1, SE2)은 워드 라인들(WL)의 전압에 따라 제 1 및 제 2 메모리 소자들(ME1, ME2)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선택 소자들(SE1, SE2)은 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위 메모리 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위 메모리 셀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위 메모리 셀(10)은 메모리 소자들로서 제 1 및 제 2 자기터널접합들(MTJ1, MTJ2; magnetic tunnel junction) 및 선택 소자들로서 제 1 및 제 2 선택 트랜지스터들(SE1, SE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자기 터널 접합들(MTJ1, MTJ2) 각각은 고정층(PL; pinned layer), 자유층(FL; free layer)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터널 배리어막(TBL; tunnel barrier layer)을 포함한다. 고정층(PL)은 일 방향으로 고정된 자화방향을 갖고, 자유층(FL)은 고정층(PL)의 자화방향에 평행 또는 반평행하도록 변경 가능한 자화방향을 갖는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자기터널접합들(MTJ1, MTJ2)의 전기적 저항은 자유층(FL)과 고정층(PL)의 자화방향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자기터널접합들(MTJ1, MTJ2)에서 고정층(PL)과 자유층(FL)의 자화 방향이 평행(parallel)한 경우, 이들이 반평행(antiparallel)한 경우보다 전기적 저항이 작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및 제 2 자기터널접합들(MTJ1, MTJ2)에서 고정층(PL)과 자유층(FL)의 자화 방향이 반평행한 경우, 이들이 평행한 경우보다 전기적 저항이 클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자기터널접합들(MTJ1, MTJ2)의 전기적 저항은 자유층(FL)의 자화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자기터널접합들(MTJ1, MTJ2)에 데이터 '0' 또는 데이터 '1'을 기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BL1, BL2)이 워드 라인(WL)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으며, 소스 라인(SL)이 제 1 및 제 2 선택 선택 트랜지스터들(SE1, SE2)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비트 라인(BL1)과 제 1 선택 트랜지스터(SE1) 사이에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과 소스 라인(SL) 사이에 제 1 선택 트랜지스터(SE1)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의 자유층(FL)이 제 1 비트 라인(BL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의 고정층(PL)이 제 1 선택 트랜지스터(SE1)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비트 라인(BL2)과 제 2 선택 트랜지스터(SE2) 사이에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과 소스 라인(SL) 사이에 제 2 선택 트랜지스터(SE2)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의 자유층(FL)이 제 2 선택 트랜지스터(SE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의 고정층(PL)이 제 2 비트 라인(BL2)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메모리 셀(10)에서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과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자기 터널 접합들(MTJ1, MTJ2)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자기 터널 접합들(MTJ1, MTJ2)은 고정층(PL), 터널 배리어막, 및 자유층(FL)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단위 메모리 셀(10)에서 제 1 비트 라인(BL1)과 제 2 비트 라인(BL2)은 서로 다른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은 제 1 선택 트랜지스터(SE1)와 연결된 제 1 도전 패턴(CP1) 상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비트 라인(BL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비트 라인(BL1)은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의 자유층(FL)과 인접할 수 있다.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비트 라인(BL2) 상에 적층될 수 있으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의 고정층(PL)이 제 2 비트 라인(BL2)과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비트 라인(BL2)은 제 1 도전 패턴(CP1)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 상에 연결 패턴(INC)이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 패턴(INC)은 콘택 플러그(PLG) 및 제 2 도전 패턴(CP2)을 통해 제 2 선택 트랜지스터(S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패턴(INC)은 제 1 비트 라인(BL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위 메모리 셀(10)에서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과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은 서로 다른 반대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과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은 서로 다른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은 자유층(FL), 터널 배리어막, 및 고정층(PL)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은 고정층(PL), 터널 배리어막, 및 자유층(FL)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단위 메모리 셀(10)에서 제 1 비트 라인(BL1)과 제 2 비트 라인(BL2)은 서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선택 트랜지스터(SE1)와 연결된 제 1 도전 패턴(CP1)과, 제 2 선택 트랜지스터(SE2)와 연결된 제 2 도전 패턴(CP1)이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도전 패턴들(CP1, CP2) 상에서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BL1, BL2)이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수직적 관점에서, 제 1 비트 라인(BL1)과 제 1 도전 패턴(CP1) 사이에 제 1 콘택 플러그(PLG1)와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콘택 플러그(PLG1)는 제 1 도전 패턴(CP1)과 직접 접촉될 수 있으며,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은 제 1 비트 라인(BL1)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의 고정층(PL)이 제 1 비트 라인(BL1)과 인접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적 관점에서, 제 2 비트 라인(BL2)과 제 2 도전 패턴(CP2) 사이에 제 2 콘택 플러그(PLG2)와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콘택 플러그(PLG2)는 제 2 비트 라인(BL2)과 직접 접촉될 수 있으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은 제 2 도전 패턴(CP2)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의 고정층(PL)이 제 2 도전 패턴(CP2)과 인접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회로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셀 어레이(1)는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WL), 비트 라인들(BL1, BL2), 소스 라인들(SL), 및 단위 메모리 셀들(10)을 포함한다. 비트 라인들(BL1, BL2)은 워드 라인들(WL)을 가로질러 배열될 수 있으며, 소스 라인들(SL)은 비트 라인들(BL1, BL2과 평행하거나, 워드 라인들(WL)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단위 메모리 셀들(10)이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며, 단위 메모리 셀들(10)은 서로 교차하는 워드 라인들(WL)과 한 쌍의 비트 라인들(BL1, BL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단위 메모리 셀들(10)은 제 1 및 제 2 메모리 소자들(ME1, ME2) 및 선택 소자(S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메모리 소자들(ME1, ME2)은 하나의 선택 소자(SE)를 공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메모리 소자(ME1)가 제 1 비트 라인(BL1)과 선택 소자(SE)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메모리 소자(ME2)가 제 2 비트 라인(BL2)과 선택 소자(SE)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방향 또는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단위 메모리 셀들(10)은 소스 라인(SL)을 공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7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단위 메모리 셀들(10)이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되, 제 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단위 메모리 셀들(10)이 하나의 선택 소자(SE)를 공유할 수 있다. 각각의 단위 메모리 셀들(10)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 1 비트 라인(BL1)과 연결된 제 1 메모리 소자(ME1) 및 제 2 비트 라인(BL2)과 연결된 제 2 메모리 소자(ME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제 1 및 제 2 메모리 소자들(ME1, ME2)은 하나의 선택 소자(SE)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위 메모리 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위 메모리 셀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위 메모리 셀(10)은 메모리 소자들로서 제 1 및 제 2 자기터널접합들(MTJ1, MTJ2; magnetic tunnel junction) 및 선택 소자로서 선택 트랜지스터(S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자기 터널 접합들(MTJ1, MTJ2) 각각은 고정층(PL), 자유층(FL),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터널 배리어막(TBL)을 포함한다. 고정층(PL)은 일 방향으로 고정된 자화방향을 갖고, 자유층(FL)은 고정층의 자화방향에 평행 또는 반평행하도록 변경 가능한 자화방향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BL1, BL2)이 워드 라인(WL)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으며, 선택 소자(SE)가 제 1 및 제 2 자기 터널 접합들(MTJ1, MTJ2)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비트 라인(BL1)과 선택 소자(SE) 사이에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비트 라인(BL2)과 선택 소자(SE) 사이에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의 자유층(FL)이 제 1 비트 라인(BL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의 고정층(PL)이 제 2 비트 라인(BL2)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의 고정층(PL)과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의 자유층(FL)이 선택 소자(SE)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위 메모리 셀(10)에서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과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자기 터널 접합들(MTJ1, MTJ2)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자기 터널 접합들(MTJ1, MTJ2)은 고정층(PL), 터널 배리어막, 및 자유층(FL)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단위 메모리 셀(10)에서 제 1 비트 라인(BL1)과 제 2 비트 라인(BL2)은 서로 다른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은 제 1 선택 소자(SE1)와 연결된 도전 패턴(CP) 상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비트 라인(BL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비트 라인(BL1)은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의 자유층(FL)과 인접할 수 있다.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비트 라인(BL2) 상에 적층될 수 있으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의 고정층(PL)이 제 2 비트 라인(BL2)과 인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비트 라인(BL2)은 도전 패턴(CP)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 상에 연결 패턴(INC)가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 패턴(INC)은 콘택 플러그(PLG)를 통해 도전 패턴(CP)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과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은 서로 다른 반대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단위 메모리 셀(10)에서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과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은 서로 다른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은 자유층(FL), 터널 배리어막(TBL), 및 고정층(PL)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은 고정층(PL), 터널 배리어막, 및 자유층(FL)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단위 메모리 셀(10)에서 제 1 비트 라인(BL1)과 제 2 비트 라인(BL2)은 서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선택 소자(SE)와 연결되는 도전 패턴(CP) 상에 제 1 콘택 플러그(PLG1) 및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이 배치될 수 있다. 도전 패턴(CP) 상에 일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BL1, BL2)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콘택 플러그(PLG1)와 제 1 비트 라인(BL1) 사이에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콘택 플러그(PLG2)와 제 2 비트 라인(BL2) 사이에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의 고정층(PL)이 제 1 비트 라인(BL1) 인접할 수 있으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의 고정층(PL)은 도전 패턴(CP)과 인접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 전압을 간략히 보여주는 표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쓰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읽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택된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독출할 때, 제 1 메모리 소자와 제 2 메모리 소자는 서로 상보적인 저항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모리 소자가 고저항 상태를 가질 경우, 제 2 메모리 소자는 저저항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선택된 메모리 셀에 데이터 '1'을 기입하기 위해, 선택된 워드 라인(WL)에 턴-온 전압(VON)이 인가될 수 있으며, 비선택된 워드 라인들에 턴-오프 전압(VOFF)이 인가될 수 있다. 선택된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BL1, BL2)에 제 1 비트라인 전압(VBL1)이 인가되고, 선택된 소스 라인(SL)에 제 1 비트라인(VBL1) 전압보다 작은 제 1 소스라인 전압(VS1)이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비선택된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과 비선택된 소스 라인들에 제 1 소스라인 전압(VS1)이 인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압 조건에서, 제 1 및 제 2 선택 트랜지스터들(SE1, SE2)이 턴온되어 제 1 및 제 2 자기 터널 접합들(MTJ1, MTJ2)이 선택된 소스 라인(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제 1 비트 라인(BL1)에서 소스 라인(SL)으로 흐르는 제 1 쓰기 전류(IW1)가 제 1 자기터널접합(MTJ1)에 제공될 수 있으며, 선택된 제 2 비트 라인(BL2)에서 소스 라인(SL)으로 흐르는 제 2 쓰기 전류(IW2)가 제 2 자기터널접합(MTJ2)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자기터널접합들(MTJ1, MTJ2)의 관점에서, 제 1 쓰기 전류(IW1)와 제 2 쓰기 전류(IW2)의 흐르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BL1, BL2)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 때,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과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에 서로 반대 방향의 쓰기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쓰기 전류(IW1)는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의 자유층(FL)에서 고정층(PL) 방향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고정층(PL)과 동일한 스핀 방향을 갖는 전자들이 터널 배리어막을 터널링하여 자유층(FL)에 토크(torque)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에서, 자유층(FL)의 자화 방향이 고정층(PL)의 자화 방향과 평행하도록 변경(AP → P)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2 쓰기 전류(IW2)는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의 고정층(PL)에서 자유층(FL)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고정층(PL)과 반대의 스핀을 갖는 전자들이 터널 배리어막을 터널링하지 못하고 자유층(FL)으로 반사되어 자유층(FL)에 토크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에서 자유층(FL)의 자화 방향이 고정층(PL)과 반평행하도록 변경(P→AP)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메모리 셀에 데이터 '1'을 기입할 때,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에서 자유층(FL)과 고정층(PL)의 자화 방향들이 반평행 상태에서 평행 상태로 변경(AP→P)될 수 있으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에서 자유층(FL)과 고정층(PL)의 자화 방향들이 평행 상태에서 반평행 상태로 변경(P→AP)될 수 있다. 즉,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은 저저항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 고저항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선택된 메모리 셀에 데이터 '0'을 기입할 때, 선택된 워드 라인(WL)에 턴-온 전압(VON)이 인가될 수 있으며, 비선택된 워드 라인들에 턴-오프 전압(VOFF)이 인가될 수 있다. 선택된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BL1, BL2)에 제 2 비트라인 전압(VBL2)이 인가되고, 선택된 소스 라인(SL)에 제 2 비트라인(VBL2) 전압보다 큰 제 2 소스라인 전압(VS2)이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비선택된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과 비선택된 소스 라인들에 제 1 소스라인 전압(VS1)이 인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압 조건에서, 제 1 및 제 2 선택 트랜지스터들(SE1, SE2)이 턴온되어 제 1 및 제 2 자기 터널 접합들(MTJ1, MTJ2)이 선택된 소스 라인(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에 소스 라인(SL)에서 제 1 비트 라인(BL1) 방향으로 흐르는 제 2 쓰기 전류(IW2)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에는 소스 라인(SL)에서 제 2 비트 라인(BL2) 방향으로 흐르는 제 1 쓰기 전류(IW1)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및 제 2 자기터널접합들(MTJ1, MTJ2)의 관점에서, 제 1 쓰기 전류(IW1)와 제 2 쓰기 전류(IW2)의 흐르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쓰기 전류(IW2)는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의 고정층(PL)에서 자유층(FL) 방향으로 제공된다. 고정층(PL)과 반대의 스핀을 갖는 전자들이 터널 배리어막을 터널링하지 못하고 자유층(FL)으로 반사되어 자유층(FL)에 토크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에서 자유층(FL)의 자화 방향이 고정층(PL)과 반평행하도록 변경(P→AP)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쓰기 전류(IW1)는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의 자유층(FL)에서 고정층(PL)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고정층(PL)과 동일한 스핀 방향을 갖는 전자들이 터널 배리어막(TBL)을 터널링하여 자유층(FL)에 토크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에서, 자유층(FL)의 자화 방향이 고정층(PL)의 자화 방향과 평행하도록 변경(AP→P)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메모리 셀에 데이터 '0'을 기입할 때,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에서 자유층(FL)과 고정층(PL)의 자화 방향들이 평행 상태에서 반평행 상태로 변경(P→AP)될 수 있으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에서 자유층(FL)과 고정층(PL)의 자화 방향들이 반평행 상태에서 평행 상태로 변경(AP→P)될 수 있다. 즉,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은 고저항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 저저항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선택된 메모리 셀에서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해 선택된 워드 라인(WL)에 턴-온 전압(VON)이 인가될 수 있으며, 비선택된 워드 라인들에 턴-오프 전압(VOFF)이 인가될 수 있다. 선택된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BL1, BL2)에 읽기 전압(VREAD)이 인가되고, 선택된 소스 라인(SL)에 제 1 소스라인 전압(VS1)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읽기 전압(VREAD)은 제 1 비트라인 전압보다 작고, 제 2 비트라인 전압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읽기 전압(VREAD)은 제 1 소스라인 전압(VS1)보다 크고, 제 2 소스라인 전압(VS2)보다 작을 수 있다. 나아가, 비선택된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과 비선택된 소스 라인들에 제 1 소스라인 전압(VS1)이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전압 조건에서, 선택된 메모리 셀의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에 제 1 읽기 전류(IR1)가 제공되며,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에 제 2 읽기 전류(IR2)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읽기 전류들(IR1 , IR2)은 제 1 및 제 2 쓰기 전류들(도 12, 도 13의 IW1, IW2)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읽기 전류들(IR1 , IR2)은 제 1 및 제 2 자기 터널 접합들(MTJ1, MTJ2)의 자유층들(FL)의 자화 방향을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제 1 및 제 2 자기 터널 접합들(MTJ1, MTJ2)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읽기 전류(IR1)는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의 저항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제 2 읽기 전류(IR2)는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의 저항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자기 터널 접합들(MTJ1, MTJ2)은 서로 상보적인 저항 상태를 가지므로, 제 1 읽기 전류(IR1)와 제 2 읽기 전류(IR2)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센스 앰프는 제 1 읽기 전류(IR1)와 제 2 읽기 전류(IR2)의 차이값을 감지(sensing) 및 증폭하여 선택된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자기 터널 접합(MTJ1)과 제 2 자기 터널 접합(MTJ2)은 서로 상보적인 저항 상태를 가지므로, 선택된 메모리 셀에서 데이터를 독출시 제 1 및 제 2 자기 터널 접합들(MTJ1, MTJ2) 중 하나는 레퍼런스(reference) 저항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센스 앰프는 제 1 읽기 전류(IR1)와 제 2 읽기 전류(IR2)의 차이에 해당하는 센싱 마진(sensing margin)을 가질 수 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4에서, 하나의 단위 메모리 셀이 두 개의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 메모리 셀이 하나의 선택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5a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1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a, 도 15b, 및 도 15c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에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을 정의하는 소자 분리막(102)이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0)은 실리콘 기판, 게르마늄 기판, 및/또는 실리콘-게르마늄 기판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은 제 1 방향(D1)에 평행한 장축을 갖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방향(D1)에 수직한 제 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은 복수의 행들 및 복수의 열들을 따라 2차원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은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을 가로질러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워드 라인들(WL)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워드 라인들(WL)은 반도체 기판(100) 상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106), 게이트 전극(106)과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 사이에 개재된 게이트 유전막(104), 및 게이트 전극(106) 상의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108)을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106)은 도펀트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ex, 도핑된 실리콘 등), 금속(ex, 텅스텐, 알루미늄, 티타늄 및/또는 탄탈륨), 도전성 금속 질화물(ex,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및/또는 텅스텐 질화물) 및 금속-반도체 화합물(ex, 금속 실리사이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유전막(104)은 산화물(ex, 실리콘 산화물), 질화물(ex, 실리콘 질화물), 산화질화물(ex, 실리콘 산화질화물), 및/또는 고유전물(ex, 하프늄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등과 같은 절연성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108)은 산화물(ex, 실리콘 산화물), 질화물(ex,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산화질화물(ex, 실리콘 산화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불순물 영역(110a)은 한 쌍의 워드 라인들(WL) 사이의 각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10b)이 한 쌍의 워드 라인들(WL)을 사이에 두고 각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의 양 가장자리 영역들 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10a, 110b)은 선택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전극들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제 1 활성부(ACT1)에 형성된 한 쌍의 선택 트랜지스터들이 제 1 불순물 영역(110a)을 공유할 수 있으며, 제 2 활성부(ACT2)에 형성된 한 쌍의 선택 트랜지스터들이 제 1 불순물 영역(110a)을 공유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10a, 110b)은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의 제 1 도전형과 다른 제 2 도전형의 도펀트들로 도핑될 수 있다. 제 1 도전형의 도펀트 및 제 2 도전형의 도펀트 중에 하나는 N형 도펀트이고, 다른 하나는 P형 도펀트일 수 있다.
계속해서, 제 1 층간 절연막(110)이 반도체 기판(100)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층간 절연막(110)은 질화물(ex,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산화질화물(ex, 실리콘 산화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소오스 플러그(111a)가 제 1 층간 절연막(110)을 관통하여 제 1 활성부(ACT1) 내의 제 1 불순물 영역(110a)과 접속될 수 있으며, 제 2 소오스 플러그(111b)가 제 1 층간 절연막(110)을 관통하여 제 2 활성부(ACT2) 내의 제 1 불순물 영역(110a)과 접속될 수 있다.
제 1 드레인 플러그들(113a)이 제 1 층간 절연막(110)을 관통하여 제 1 활성부(ACT1) 내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10b)에 각각 접속될 수 있으며, 제 2 드레인 플러그들(113b)이 제 1 층간 절연막(110)을 관통하여 제 2 활성부(ACT2) 내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10b)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소오스 플러그들(111a, 111b)과 제 1 및 제 2 드레인 플러그들(113a, 113b)은 도펀트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ex, 도핑된 실리콘 등), 금속(ex, 텅스텐, 알루미늄, 티타늄 및/또는 탄탈륨), 도전성 금속 질화물(ex,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및/또는 텅스텐 질화물) 및 금속-반도체 화합물(ex, 금속 실리사이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오믹 패턴들(미도시)이 콘택 플러그들과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10a, 110b)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오믹 패턴들은 금속-반도체 화합물(ex, 코발트 실리사이드 또는 티타늄 실리사이드와 같은 금속 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제 1 및 제 2 소오스 플러그들(111a, 111b)과 공통으로 연결되는 소스 라인(115)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라인(115)은 워드 라인들(WL)을 가로질러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소스 라인(115)의 일부분이 제 2 방향(D2)으로 돌출되어 제 1 및 제 2 소오스 플러그들(111a, 111b)의 상부면들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제 1 및 제 2 드레인 플러그들(113a, 113b)과 각각 접속되는 제 1 도전 패드들(117a, 117b)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 층간 절연막(120)이 소스 라인(115) 및 제 1 도전 패드들(117a, 117b)을 덮도록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층간 절연막(120)은 산화물(ex, 실리콘 산화물), 질화물(ex,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산화질화물(ex, 실리콘 산화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콘택 플러그들(121a, 121b)이 제 2 층간 절연막(120)을 관통하여 제 1 도전 패드들(117a, 117b)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제 2 층간 절연막(120) 상에 제 2 도전 패드들(123a, 123b)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도전 패드들은 제 1 콘택 플러그들(121a, 121b)을 통해 제 1 도전 패드들(117a, 117b)과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즉, 제 2 도전 패드들(123a, 123b)은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10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 2 층간 절연막(120) 상에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하부 비트 라인(125)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비트 라인(125)은 제 2 방향(D2)에서 인접하는 제 2 도전 패드들(123a, 123b)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평면적 관점에서, 소스 라인(115) 일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제 2 층간 절연막(120) 상에서 제 2 도전 패드들(123a, 123b)과 하부 비트 라인(125) 사이에 매립 절연막(130)이 채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립 절연막(130)은 제 2 도전 패드들(123a, 123b) 및 하부 비트 라인(125)의 상부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들(M1)이 하부 비트 라인(125) 상에 배치되어 하부 비트 라인(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2)이 제 2 활성부(ACT2)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1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 패드(123b)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은 수직적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은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들(M1)은 제 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2)은 제 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평면적 관점에서,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들(M1)에 대해 제 1 및 제 2 방향들(D1, D2)의 사선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은 전기적 펄스에 의해 두 가지 저항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는 가변 저항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은 자기-저항(magnetoresistance) 특성을 보이도록 구성되는 박막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 물질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반강자성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 각각은 하부 자성 패턴(LP), 상부 자성 패턴(UP),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 패턴(TBP)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 각각은 하부 전극(BE) 및 상부 전극(T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자성 패턴(LP), 터널 배리어 패턴(TBP), 및 상부 자성 패턴(UP)은 하부 전극(BE)과 상부 전극(T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의 적층 구조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의 하부 자성 패턴들(LP)은 고정된 자화 방향을 갖는 고정층일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의 상부 자성 패턴(UP)들은 고정층의 자화 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반평행하도록 변경 가능한 자화 방향을 갖는 자유층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하부 자성 패턴들(LP)이 자유층이고, 상부 자성 패턴(UP)들이 고정층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성 물질들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은 패터닝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평면적 관점에서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은 서로 제 1 및 제 2 방향들(D1, D2)의 사선 방향에 배치되므로, 패터닝 공정시 공정 마진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 각각은 하부 폭보다 작은 상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 각각은 실질적으로 사다리꼴의 수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 하기로 한다.
제 3 층간 절연막(140)이 제 2 층간 절연막(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층간 절연막(140)은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의 상부면들을 덮을 수 있다. 제 3 층간 절연막(140)은 산화물(ex, 실리콘 산화물), 질화물(ex,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산화질화물(ex, 실리콘 산화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콘택 플러그들(141a, 141b)이 제 3 층간 절연막(140)을 관통하여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 각각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플러그(143)가 제 3 층간 절연막(140)을 관통하여 제 1 활성부(ACT1)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1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 제 2 도전 패드들(123a)에 접속될 수 있다.
제 3 층간 절연막(140) 상에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상부 비트 라인(151)과, 연결 패턴들(153)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비트 라인(151)은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2)과 접속된 제 2 콘택 플러그들(141b)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상부 비트 라인(151)은 제 1 방향(D1)을 따라 배열된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패턴들(153) 각각은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과 접속된 제 2 콘택 플러그(141a)와 연결 플러그(143)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연결 패턴(153)은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의 상부면에서 이에 인접한 연결 플러그(143)의 상부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연결 패턴(153) 및 연결 플러그(143)는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과, 제 1 활성부(ACT1)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1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 패드들(123a)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비트 라인(151)은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제 1 높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 비트 라인(125)은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제 2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높이와 제 2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비트 라인(125)에 연결되는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과 상부 비트 라인(151)에 연결되는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M2)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시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소스 라인(115)은, 수직적 관점에서, 하부 비트 라인(125)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6a의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a, 도 16b, 및 도 16c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은 소자 분리막(102)에 의해 정의된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과,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을 연결하는 공통 소스부(CSR)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은 제 1 방향(D1)에 평행한 장축을 갖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방향(D1)에 수직한 제 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소스부(CSR)는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 및 공통 소스부(CSR)는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한 쌍의 워드 라인들(WL)이 반도체 기판(100) 상에서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을 가로질러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워드 라인들(WL) 사이에 공통 소스부(CSR)가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워드 라인들(WL)은 반도체 기판(100) 상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106), 게이트 전극(106)과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 사이에 개재된 게이트 유전막(104), 및 게이트 전극(106) 상의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108)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불순물 영역(110a)이 워드 라인들(WL) 사이의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과 공통 소스부(CSR)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10b)이 한 쌍의 워드 라인들(WL)을 사이에 두고 각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의 양 가장자리 영역들 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10a, 110b)은 선택 트랜지스터들의 소오스/드레인 전극들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제 1 활성부(ACT1)에 형성된 한 쌍의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제 2 활성부(ACT2)에 형성되는 한쌍의 선택 트랜지스터들이 제 1 불순물 영역(110a)을 공유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10a, 110b)은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의 제 1 도전형과 다른 제 2 도전형의 도펀트들로 도핑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1 층간 절연막(110)이 반도체 기판(100)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층간 절연막(110)은 질화물(ex,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산화질화물(ex, 실리콘 산화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소오스 플러그(111)가 제 1 층간 절연막(110)을 관통하여 공통 소스부(CSR)의 제 1 불순물 영역(110a)과 접속될 수 있다. 제 1 드레인 플러그들(113a)이 제 1 층간 절연막(110)을 관통하여 제 1 활성부(ACT1) 내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10b)에 각각 접속될 수 있으며, 제 2 드레인 플러그들(113b)이 제 1 층간 절연막(110)을 관통하여 제 2 활성부(ACT2) 내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10b)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소스 라인(115) 및 제 1 도전 패드들(117a, 117b)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라인(115)은 워드 라인들(WL)을 가로질러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공통 소오스 플러그(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도전 패드들(117a, 117b)은 제 1 및 제 2 드레인 플러그들(113a, 113b)과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제 2 층간 절연막(120)이 소스 라인(115) 및 제 1 도전 패드들(117a, 117b)을 덮도록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콘택 플러그들(121a, 121b)이 제 2 층간 절연막(120)을 관통하여 제 1 도전 패드들(117a, 117b)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제 2 층간 절연막(120) 상에 제 2 도전 패드들(123a, 123b)과 하부 비트 라인(125)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 도전 패드들(123a, 123b)은 제 1 콘택 플러그들(121a, 121b)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즉, 제 2 도전 패드들(123a, 123b)은 제 1 및 제 2 활성부들(ACT1, ACT2)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10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 비트 라인(125)은 제 2 층간 절연막(120) 상에서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며, 제 2 도전 패드들(123a, 12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비트 라인(125)은 평면적 관점에서 소스 라인(115)의 일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하부 비트 라인(125)은 제 2 방향(D2)으로 돌출되어 제 1 활성부(ACT1) 상으로 연장된 돌출부들을 가질 수 있다.
제 2 층간 절연막(120) 상에서 제 2 도전 패드들(123a, 123b)과 하부 비트 라인(125) 사이에 매립 절연막(130)이 채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립 절연막(130)은 제 2 도전 패드들(123a, 123b) 및 하부 비트 라인(125)의 상부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들(M1)이 하부 비트 라인(125)의 돌출부들 상에 각각 배치되어, 하부 비트 라인(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들(M1)은 제 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2)은 제 2 활성부(ACT2)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1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 패드들(123b)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2)은 평면적 관점에서, 제 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들(M1)에 대해 제 1 및 제 2 방향들(D1, D2)의 사선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은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 각각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자성 패턴(LP), 상부 자성 패턴(UP),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 패턴(TBP)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계속해서, 제 3 층간 절연막(140)이 매립 절연막(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층간 절연막(140)은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의 상부면들을 덮을 수 있다.
제 2 콘택 플러그들(141a, 141b)은 제 3 층간 절연막(140)을 관통하여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 각각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플러그(143)가 제 3 층간 절연막(140)을 관통하여 제 1 활성부(ACT1)의 제 2 불순물 영역(11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 제 2 도전 패드들(123a)에 접속될 수 있다.
제 3 층간 절연막(140) 상에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상부 비트 라인(151)과, 연결 패턴들(153)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비트 라인(151)은 제 2 콘택 플러그들(141a, 141b)을 통해 제 1 방향(D1)을 따라 배열된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패턴들(153) 각각은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과 접속된 제 2 콘택 플러그(141a)와 연결 플러그(143)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 패턴들(153)은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연결 패턴(153) 및 연결 플러그(143)는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과, 제 1 활성부(ACT1)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1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 패드(123a)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7a의 II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17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a, 도 17b, 및 도 17c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은 소자 분리막(102)에 의해 정의된 활성부(ACT)를 포함한다. 활성부(ACT)는 제 1 방향(D1)에 평행한 장축을 갖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활성부(ACT)는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워드 라인(WL)은 반도체 기판(100) 상에서 활성부(ACT)를 가로질러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워드 라인(WL)은 반도체 기판(100) 상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106), 게이트 전극(106)과 활성부(ACT) 사이에 개재된 게이트 유전막(104), 및 게이트 전극(106) 상의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108)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워드 라인(WL) 일측의 활성부(ACT) 내에 제 1 불순물 영역(11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워드 라인(WL) 타측의 활성부(ACT) 내에 제 2 불순물 영역(110b)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10a, 110b)은 활성부(ACT)의 제 1 도전형과 다른 제 2 도전형의 도펀트들로 도핑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1 층간 절연막(110)이 반도체 기판(100)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층간 절연막(110)은 질화물(ex,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산화질화물(ex, 실리콘 산화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소오스 플러그(111)가 제 1 층간 절연막(110)을 관통하여 제 1 불순물 영역(110a)과 접속될 수 있으며, 드레인 플러그(113)가 제 1 층간 절연막(110)을 관통하여 제 2 불순물 영역(110b)과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소오스 플러그(111)와 접속되는 소오스 패드(112) 및 드레인 플러그(113)와 접속되는 드레인 패드(114)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층간 절연막(120)은 소오스 및 드레인 패드들(112, 114)을 덮도록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층간 절연막(120) 상에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소스 라인(126)이 배치될 수 있으며, 소스 라인(126)은 제 1 콘택 플러그(122)를 통해 소오스 패드(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층간 절연막(120) 상에서 소스 라인(126)과 이격되어 제 1 도전 패드(128)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도전 패드(128)는 제 2 콘택 플러그(124)를 통해 드레인 패드(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3 층간 절연막(130)이 소스 라인(126) 및 제 1 도전 패드(128)를 덮도록 제 2 층간 절연막(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층간 절연막(130) 상에 하부 비트 라인(135) 및 제 2 도전 패드(133)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비트 라인(135)은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평면적 관점에서 소스 라인(126)의 일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제 2 도전 패드(133)는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 비트 라인(135)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2 도전 패드(133)는 제 2 콘택 플러그(131)를 통해 제 1 도전 패드(1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3 층간 절연막(130) 상에서 제 2 도전 패드(133)와 하부 비트 라인(135) 사이에 매립 절연막(140)이 채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립 절연막(140)은 제 2 도전 패드(133) 및 하부 비트 라인(135)의 상부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이 하부 비트 라인(135) 상에 배치되어 하부 비트 라인(1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M2)은 제 2 도전 패드(133) 상에 배치되며, 평면적 관점에서,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에 대해 제 1 및 제 2 방향들(D1, D2)의 사선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은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 각각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자성 패턴(LP), 상부 자성 패턴(UP),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 패턴(TBP)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4 층간 절연막(150)이 매립 절연막(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4 층간 절연막(150)은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의 상부면들을 덮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불순물 영역(11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 패드(133)는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M2)에 공통으로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도전 패드(133)는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M2)의 하부 자성 패턴(L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결 플러그(154) 및 연결 패턴(158)을 통해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의 상부 자성 패턴(UP)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플러그(154)는 제 4 층간 절연막(150)을 관통하여 제 2 도전 패드(133)에 접속될 수 있다. 연결 패턴(158)은 제 4 층간 절연막(15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3 콘택 플러그(152b)를 통해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에 접속될 수 있다. 나아가, 제 4 층간 절연막(150) 상에 연결 패턴(158)과 이격되어 제 3 도전 패드(156)가 배치될 수 있다. 제 3 도전 패드(156)는 제 3 콘택 플러그(152a)를 통해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M2)과 접속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4 층간 절연막(150) 상에 연결 패턴(158) 및 제 3 도전 패드(156)를 덮는 제 5 층간 절연막(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비트 라인(163)이 제 5 층간 절연막(160) 상에서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 4 콘택 플러그(161)를 통해 제 3 도전 패드(1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 상부 비트 라인(163)은 제 4 콘택 플러그(161) 및 제 3 도전 패드(156)를 통해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M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지며,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이 제 2 불순물 영역(110b)에 공통으로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및 상부 비트 라인들(135, 163)이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시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8a의 IV-IV'선을 따라 자른 단면이다. 도 18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a, 도 18b, 및 도 18c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은 소자 분리막(102)에 의해 정의된 활성부(ACT)를 포함한다. 활성부(ACT)는 제 1 방향(D1)에 평행한 장축을 갖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활성부(ACT)는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워드 라인(WL)은 반도체 기판(100) 상에서 활성부(ACT)를 가로질러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워드 라인(WL)은 반도체 기판(100) 상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106), 게이트 전극(106)과 활성부(ACT) 사이에 개재된 게이트 유전막(104), 및 게이트 전극(106) 상의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108)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워드 라인(WL) 일측의 활성부(ACT) 내에 제 1 불순물 영역(11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워드 라인(WL) 타측의 활성부(ACT) 내에 제 2 불순물 영역(110b)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10a, 110b)은 활성부(ACT)의 제 1 도전형과 다른 제 2 도전형의 도펀트들로 도핑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1 층간 절연막(110)이 반도체 기판(100)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소스 라인(115) 및 드레인 패드(117)가 배치될 수 있다. 소스 라인(115)은 제 1 층간 절연막(110)을 관통하는 소오스 플러그(111)를 통해 제 1 불순물 영역(11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패드(117)는 제 1 층간 절연막(110)을 관통하는 드레인 플러그(113)를 통해 제 2 불순물 영역(11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소스 라인(115) 및 드레인 패드(117)를 덮는 제 2 층간 절연막(1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층간 절연막(120) 상에 연결 패턴(123)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패턴(123)은 제 2 층간 절연막(120)을 관통하는 제 1 콘택 플러그(121)를 통해 드레인 패드(1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패턴(123)은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연결 패턴(123)은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과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M2)은 제 2 불순물 영역(110b)에 공통으로 전기적 연결되되,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은 연결 패턴(123)의 상부면과 직접 접촉될 수 있으며,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M2)은 제 2 콘택 플러그(132)를 통해 연결 패턴(123)과 접속될 수 있다.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은 하부 자성 패턴(LP), 상부 자성 패턴(UP),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 패턴(TBP)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은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자성 패턴(LP), 상부 자성 패턴(UP) 및 터널 배리어 패턴(TBP)은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의 하부 자성 패턴(LP)은 고정된 자화 방향을 갖는 고정층일 수 있으며,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의 상부 자성 패턴(UP)은 고정층의 자화 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반평행하도록 변경 가능한 자화 방향을 갖는 자유층일 수 있다.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M2)은 제 3 층간 절연막(130) 상에서 제 2 콘택 플러그(132)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M2)은 하부 자성 패턴(LP), 상부 자성 패턴(UP),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 패턴(TBP)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은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자성 패턴(LP), 상부 자성 패턴(UP) 및 터널 배리어막은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M2)의 하부 자성 패턴(LP)은 변경 가능한 자화 방향을 갖는 자유층일 수 있으며,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M2)의 상부 자성 패턴(UP)은 고정된 자화 방향을 갖는 고정층일 수 있다.
제 3 층간 절연막(130) 상에 제 4 층간 절연막(1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151a, 151b)이 제 4 층간 절연막(140) 상에서 제 1 방향(D1)으로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151a, 151b)은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비트 라인(151a)은 제 3 콘택 플러그(142)를 통해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과 접속될 수 있으며, 제 2 비트 라인(151b)은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M2)의 상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데이터 저장 패턴(M1)과 연결되는 제 1 비트 라인(151a)과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M2)과 연결되는 제 2 비트 라인(151b)은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되, 서로 다른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시 제 1 및 제 2 데이터 저장 패턴들(M1, M2)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9a 내도 도 19f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저장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9a 내지 도 19e를 참조하면, 데이터 저장 패턴(DSP)은 고정층, 자유층,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막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 패턴(DSP)은 하부 전극(BE) 및 상부 전극(T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층, 터널 배리어막, 및 자유층은 하부 전극(BE)과 상부 전극(T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전극(BE)과 터널 배리어막 사이에 고정층이 배치되고, 상부 전극(TE)과 터널 배리어막 사이에 자유층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전극(BE)과 터널 배리어막 사이에 자유층이 배치되고, 상부 전극(TE)과 터널 배리어막 사이에 고정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고정층 및 자유층의 자화 방향들은 터널 배리어막의 상부면과 평행할 수 있다.
고정층 및 자유층은 강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층은 고정층 내 강자성 물질의 자화방향을 고정시키는(pinning) 반강자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널 배리어막은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산화티타늄(titanium oxide),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 산화마그네슘아연(magnesium-zinc oxide) 또는 산화마그네슘붕소(magnesium-boron oxide)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BE) 및 상부 전극(TE)은 도전성 금속 질화물(ex,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및/또는 텅스텐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 패턴의 고정층은 차례로 적층된 제 1 고정층(pinned layer; PL1), 교환 결합층(exchange coupling layer; ECL), 제 2 고정층(PL2), 피고정층(pinning layer; P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층(PL1)은 터널 배리어막(TBL)과 직접 접촉할 수 있으며, 제 2 고정층 패턴(PL2)은 피고정층(PL3)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제 2 고정층(PL2)의 자화방향은 피고정층(PL3)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고정된 자화방향을 가질 수 있다. 제 1 고정층(PL1)의 자화방향은 교환 결합 패턴에 의하여 제 2 고정층(PL2)의 자화방향과 반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 1 고정층(PL1)은 강자성 물질(ferromagnetic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고정층(PL1)은 코발트철붕소(CoFeB), 코발트철(CoFe), 니켈철(NiFe), 코발트철백금(CoFePt), 코발트철팔라듐(CoFePd), 코발트철크롬(CoFeCr), 코발트철터븀(CoFeTb), 코발트철가돌리늄(CoFeGd) 또는 코발트철니켈(CoFeNi)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고정층(PL2)의 제 1 자성 물질은 철(F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고정층(PL2)의 제 1 자성 물질은 코발트철붕소(CoFeB), 코발트철(CoFe), 니켈철(NiFe), 코발트철백금(CoFePt), 코발트철팔라듐(CoFePd), 코발트철크롬(CoFeCr), 코발트철터븀(CoFeTb), 코발트철가돌리늄(CoFeGd) 또는 코발트철니켈(CoFeNi)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코발트철터븀(CoFeTb)는 자유층(FL)의 상부면과 수평한 자화방향을 가지기 위하여 터븀(Tb)의 함량비가 약 10%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코발트철가돌리늄(CoFeGd)도 자유층(FL)의 상부면과 수평한 자화방향을 가지기 위하여 가돌리늄(Gd)의 함량비가 약 10% 보다 작을 수 있다.
교환 결합층(ECL)은 희유 금속(rare meta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환 결합층(ECL)은 루테늄(Ru), 이리듐(Ir) 또는 로듐(Rh)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피고정층(PL3)은 반강자성 물질(anti-ferromagnetic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고정층(PL3)은 백금망간(PtMn), 이리듐망간(IrMn), 산화망간(MnO), 황화망간(MnS), 망간텔레륨(MnTe) 또는 불화망간(MnF)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d 및 도 19e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 패턴(DSP)은 고정 수직 자성층(PPL), 자유 수직 자성층(FPL),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막을 포함한다. 고정 수직 자성층(PPL)은 일 방향으로 고정된 자화방향을 갖고, 자유 수직 자성층(FPL)은 고정 수직 자성층(PPL)의 자화방향에 평행 또는 반 평행하도록 변경 가능한 자화방향을 갖는다. 고정 수직 자성층(RPL) 및 자유 수직 자성층(FPL)의 자화 방향들은 터널 배리어막의 상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고정 수직 자성층(PPL), 터널 배리어막, 및 자유 수직 자성층(FPL)이 하부 전극(BE)과 상부 전극(TE) 사이에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고정 수직 자성층(PPL)과 자유 수직 자성층(FPL)의 위치가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9d에 도시된 데이터 저장 패턴(DSP)에서 고정 수직 자성층(PPL) 및 자유 수직 자성층(FPL)은 수직 자성 물질(ex, CoFeTb, CoFeGd, CoFeDy), L10 구조를 갖는 수직 자성 물질, 또는 조밀육방격자(Hexagonal Close Packed Lattice) 구조의 CoP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10 구조를 갖는 수직 자성 물질은 L10 구조의 FePt, L10 구조의 FePd, L10 구조의 CoPd, 또는 L10 구조의 CoPt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수직 자성층(PPL)은 자유 수직 자성층(FPL)에 비해 두꺼울 수 있으며, 및/또는 고정 수직 자성층(PPL)의 보자력이 자유 수직 자성층(FPL)의 보자력보다 클 수 있다. 터널 배리어막은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아연 또는 산화마그네슘붕소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e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 패턴의 고정층은 번갈아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층들(ML)과 비자성층들(NML)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층들(ML)은 강자성 물질로 형성되고, 비자성층들(NML)은 금속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층들(ML)은 코발트철붕소(CoFeB), 코발트철(CoFe), 니켈철(NiFe), 코발트철백금(CoFePt), 코발트철팔라듐(CoFePd), 코발트철크롬(CoFeCr), 코발트철터븀(CoFeTb), 코발트철가돌리늄(CoFeGd) 또는 코발트철니켈(CoFeNi) 중의 적어도 한가지일 수 있다.
비자성층들(NML)은 자성층들(ML)과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직접적인 접촉은 자성층들(ML)의 자화 방향을 자성층들(ML)의 두께 방향(즉, 주표면의 법선 방향)에 평행하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비자성층들(NML)은 내재적 수평 자화 특성을 갖는 자성층들(ML)이 수직자화 특성을 갖도록 만드는 외부 요인(external factor)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자성층들(NML)은 마그네슘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마그네슘아연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또는 마그네슘붕소 산화물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비자성층들(NML)은 자성층들(ML)에 비해 높은 비저항을 가질 수 있다. 비자성층들(NML)은 자성층들(ML)보다 얇을 수 있다.
최상층에 배치된 비자성층들(NML)은 터널 배리어막(TBL)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최상층에 배치된 비자성층들(NML)과 터널 배리어막(TBL) 사이에 수직 자화 보존 패턴(미도시)이 개재될 수도 있다. 수직자화 보존 패턴(미도시)은 비자성층들(NML)보다 낮은 비저항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자화 보존 패턴(미도시)은 루테늄, 로듐, 팔라듐, 은, 오스뮴, 이리듐, 백금, 금 등의 귀금속들(noble metal) 또는 구리 중의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9f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 패턴(DSP)은 차례로 적층된 제 1 고정층(PL1), 제 1 터널 배리어막(TBL1), 자유층(FL), 제 2 터널 배리어막(TBL2) 및 제 2 고정층(PL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터널 배리어막(TBL1)과 제 2 터널 배리어막(TBL2)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 패턴(DSP)에서, 제 1 고정층(PL1), 제 1 터널 배리어막(TBL1), 및 자유층은 제 1 자기 터널 접합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자유층, 제 2 터널 배리어막(TBL2) 및 제 2 고정층(PL2)은 제 2 자기 터널 접합을 구성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층들(PL1, PL2)는 일 방향으로 고정된 자화 방향을 갖되, 제 1 고정층(PL1)의 자화방향은 제 2 고정층(PL2)의 자화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자유층(FL)은 제 1 및 제 2 고정층들(PL1, PL2)의 고정된 자화방향에 평행 또는 반-평행하게 변경 가능한 자화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층들(PL1, PL2)과 자유층(FL)의 자화 방향들은 제 1 및 제 2 터널 배리어막들(TBL1, TBL2)의 상부면들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수직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패턴(DSP)은 하부 전극(BE) 및 상부 전극(TE)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및 상부 전극들(BE, TE)은 도전성 금속 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전극(BE)과 상부 전극(TE) 사이에 제 1 고정층(PL1), 제 1 터널 배리어막(TBL1), 자유층(FL), 제 2 터널 배리어막(TBL2), 제 2 고정층(PL2)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반도체 메모리 소자들은 다양한 형태들의 반도체 패키지(semiconductor package)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들은 PoP(Package on Package), Ball grid arrays(BGAs), Chip scale packages(CSPs), Plastic Leaded Chip Carrier(PLCC), Plastic Dual In-Line Package(PDIP), Die in Waffle Pack, Die in Wafer Form, Chip On Board(COB), Ceramic Dual In-Line Package(CERDIP), Plastic Metric Quad Flat Pack(MQFP), Thin Quad Flatpack(TQFP), Small Outline(SOIC), Shrink Small Outline Package(SSOP), Thin Small Outline(TSOP), System In Package(SIP), Multi Chip Package(MCP), Wafer-level Fabricated Package(WFP), Wafer-Level Processed Stack Package(WSP) 등의 방식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개념에 의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100)은 컨트롤러(1110), 입출력 장치(1120, I/O), 기억 장치(1130, memory device), 인터페이스(1140) 및 버스(1150, bu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110), 입출력 장치(1120), 기억 장치(1130) 및/또는 인터페이스(1140)는 버스(1150)를 통하여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버스(1150)는 데이터들이 이동되는 통로(path)에 해당한다. 컨트롤러(1110), 입출력 장치(1120, I/O), 기억 장치(1130, memory device), 및/또는 인터페이스(114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1120)는 키패드(keypad),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 장치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억 장치(1130)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40)는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40)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140)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자 시스템(1100)은 컨트롤러(1110)의 동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작 기억 소자로서, 고속의 디램 소자 및/또는 에스램 소자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 시스템(1100)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컴퓨터(portable computer),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digital music player),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또는 정보를 무선환경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개념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구비하는 메모리 카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1200)는 기억 장치(1210)를 포함한다. 기억 장치(121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개시된원 반도체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억 장치(1210)는 다른 형태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ex, 디램 장치 및/또는 에스램 장치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1200)는 호스트(Host)와 기억 장치(1210) 간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122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억장치(1210) 및/또는 컨터롤러(122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메모리 카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12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1222)의 동작 메모리로써 사용되는 에스램(1221, S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1223), 메모리 인터페이스(1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1223)는 메모리 카드(1200)와 호스트(Host)간의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225)는 메모리 컨트롤러(1220)와 기억 장치(1210)를 접속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에러 정정 블록(1224, Ec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러 정정 블록(1224)은 기억 장치(121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 및 정정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모리 카드(1200)는 호스트(Host)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 장치(ROM device)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카드(1200)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 카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메모리 카드(1200)는 컴퓨터시스템의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는 고상 디스트(SSD, Solid State Disk)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개념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장착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메모리 시스템(1310) 내에 장착될 수 있고, 메모리 시스템(1310)은 모바일 기기나 데스크 톱 컴퓨터와 같은 정보 처리 시스템(1300)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의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300)은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1310)과 각각 시스템 버스(13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뎀(1320), 중앙처리장치(1330), 램(1340), 유저 인터페이스(1350)를 포함한다.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1310)은 앞서 언급된 도 48의 메모리 카드(1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것이다. 즉, 메모리 시스템(1310)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1311) 및 플래시 메모리 소자(131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131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1310)에는 중앙처리장치(1330)에 의해서 처리된 데이터 또는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술한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1310)이 반도체 디스크 장치(SS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1300)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1310)에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신뢰성의 증대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1310)은 에러 정정에 소요되는 자원을 절감할 수 있어 고속의 데이터 교환 기능을 정보 처리 시스템(1300)에 제공할 것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개념에 의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300)에는 응용 칩셋(Application Chipset), 카메라 이미지 프로세서(Camera Image Processor: CIS), 입출력 장치 등이 더 제공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반도체 기판 상에서 제 1 높이에 배치된 제 1 비트 라인;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서 상기 제 1 높이와 다른 제 2 높이에 배치되는 제 2 비트 라인;
    상기 제 1 비트 라인과 연결되는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2 비트 라인과 연결되는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은 상기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 각각은 고정 자성층, 자유 자성층,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고정 자성층과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고정 자성층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수직적 관점에서, 상기 제 1 비트 라인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 사이에 배치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은, 평면적 관점에서, 나란히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평면적 관점에서,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의 사선 방향에 배치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자유 자성층은 상기 제 1 비트 라인과 인접하고,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고정 자성층은 상기 제 2 비트 라인과 인접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은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
    상기 제 1 비트 라인과 제 1 도전 패턴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2 비트 라인과 제 2 도전 패턴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패턴들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제 1 고정 자성층, 제 1 터널 배리어층, 및 제 1 자유 자성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제 2 자유 자성층, 제 2 터널 배리어층, 및 제 2 고정 자성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삭제
  18. 소스 라인;
    일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 1 비트 라인 및 제 2 비트 라인;
    상기 소스 라인과 상기 제 1 비트 라인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상기 소스 라인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 각각은 고정 자성층, 자유 자성층,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자유 자성층은 상기 제 1 비트 라인과 인접하고,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고정 자성층은 상기 제 2 비트 라인과 인접하되,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고정 자성층과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의 상기 자유 자성층을 연결하는 도전 패턴 및 콘택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트 라인 및 상기 제 2 비트 라인은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들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트 라인 및 상기 제 2 비트 라인은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2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140069369A 2014-06-09 2014-06-09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235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369A KR102235043B1 (ko) 2014-06-09 2014-06-09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4/639,183 US9401385B2 (en) 2014-06-09 2015-03-05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369A KR102235043B1 (ko) 2014-06-09 2014-06-09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240A KR20150141240A (ko) 2015-12-18
KR102235043B1 true KR102235043B1 (ko) 2021-04-05

Family

ID=5477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369A KR102235043B1 (ko) 2014-06-09 2014-06-09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01385B2 (ko)
KR (1) KR102235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4867B2 (ja) 2012-06-27 2015-11-1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JP6121961B2 (ja) * 2014-09-17 2017-04-26 株式会社東芝 抵抗変化メモリ
US9548096B1 (en) * 2015-08-26 2017-01-17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complement magnetic tunnel junction (MTJ) bit cells employing shared source lines, and related methods
US9646667B2 (en) * 2015-08-27 2017-05-09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496314B1 (en) * 2015-09-14 2016-11-15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source line magnetic tunnel junction (MTJ) bit cells employing uniform MTJ connection patterns for reduced area
US10923533B2 (en) * 2015-10-02 2021-02-16 Sony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volatile element and a plurality of non-volatile elements
US9997564B2 (en) * 2015-10-09 2018-06-12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MTJ memory array subgrouping method and related drive circuitry
US10269401B2 (en) 2015-10-15 2019-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gnetic memory devices
CN107564930A (zh) * 2016-07-06 2018-01-09 中电海康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源极合金电阻的磁性随机存取存储器及源极合金电阻制造工艺
CN107591477B (zh) * 2016-07-06 2020-07-17 中电海康集团有限公司 一种改变源极金属连线方向的磁性随机存取存储器
CN107564931A (zh) * 2016-07-06 2018-01-09 中电海康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共源电阻技术的磁性随机存取存储器及其共源结构制造工艺
KR102651851B1 (ko) 2016-12-06 2024-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KR102345542B1 (ko) * 2017-06-02 2021-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JP2019057527A (ja) * 2017-09-19 2019-04-11 東芝メモリ株式会社 記憶装置
WO2019073333A1 (ja) * 2017-10-13 2019-04-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記憶装置、電子部品、及び電子機器
US10446213B1 (en) * 2018-05-16 2019-10-15 Everspin Technologies, Inc. Bitline control in differential magnetic memory
CN111584539B (zh) * 2019-02-18 2023-05-12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磁阻式存储器结构
WO2020172891A1 (zh) * 2019-02-28 2020-09-03 华为技术有限公司 存储器和存取方法
KR20200115949A (ko) 2019-03-29 202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056534B2 (en) * 2019-06-27 2021-07-06 Sandisk Technologies Llc One selector one resistor MRAM crosspoint memory array fabrication methods
CN112530488B (zh) * 2019-09-18 2023-12-19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嵌入磁阻式随机存取存储器的电路选择器
CN113497083B (zh) 2020-04-01 2023-09-22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共用源极线和位线的磁性存储器装置
US11476303B2 (en) * 2020-12-04 2022-10-18 Globalfoundries Singapore Pte. Ltd. Multi-level cell configurations for non-volatile memory elements in a bitcell
US20230267982A1 (en) * 2022-02-24 2023-08-24 Everspin Technologies, Inc. Low resistance mtj antifuse circuitry designs and methods of ope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7103A1 (en) 2004-09-30 2006-03-30 Richard Ferrant Resistive memory cell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sensing resistance values
US20110089509A1 (en) 2008-08-08 2011-04-21 Seagate Technology Llc Magnetic memory with separate read and write paths
WO2013095540A1 (en) * 2011-12-22 2013-06-27 Intel Corporation Memory with elements having two stacked magnetic tunneling junction (mtj) devices
US20140071741A1 (en) 2012-09-13 2014-03-13 Qualcomm Incorporated Otp cell with reversed mtj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4048B2 (en) * 2001-11-29 2005-09-13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KR100500443B1 (ko) 2002-12-13 2005-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세스된 게이트 전극을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JP3766380B2 (ja) * 2002-12-25 2006-04-12 株式会社東芝 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及びその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のデータ読み出し方法
JP3873055B2 (ja) 2002-12-27 2007-01-2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KR100923298B1 (ko) 2003-01-18 2009-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위 셀이 한 개의 트랜지스터와 두 개의 mtj로 구성된mram 및 그 제조방법
JP2005340468A (ja) 2004-05-26 2005-12-08 Fujitsu Ltd 半導体装置
US7577021B2 (en) 2007-11-21 2009-08-18 Magic Technologies, Inc. Spin transfer MRAM device with separated CPP assisted writing
US7995378B2 (en) 2007-12-19 2011-08-09 Qualcomm Incorporated MRAM device with shared source line
JP5141237B2 (ja) 2007-12-21 2013-02-1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その製造方法、書き込み方法及び読み出し方法
US20100302838A1 (en) 2009-05-26 2010-12-02 Magic Technologies, Inc. Read disturb-free SMT reference cell scheme
US8416600B2 (en) * 2009-11-25 2013-04-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Reverse connection MTJ cell for STT MRAM
JP2011192345A (ja) 2010-03-15 2011-09-29 Fujitsu Ltd スピン注入型mram、並びにその書き込み方法及び読み出し方法
US8625338B2 (en) 2010-04-07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Asymmetric write scheme for magnetic bit cell elements
US8547736B2 (en) 2010-08-03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Generating a non-reversible state at a bitcell having a first magnetic tunnel junction and a second magnetic tunnel junction
US20120134200A1 (en) 2010-11-29 2012-05-31 Seagate Technology Llc Magnetic Memory Cell With Multi-Level Cell (MLC) Data Storage Capability
KR20120114611A (ko) * 2011-04-07 2012-10-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자화성 저장 소자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102993A (ko) * 2013-02-15 2014-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가된 온/오프 비를 갖는 자기 메모리 소자와 그 제조 및 동작방법
US9236416B2 (en) * 2013-05-30 2016-01-12 Alexander Mikhailovich Shukh High density nonvolatile memo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7103A1 (en) 2004-09-30 2006-03-30 Richard Ferrant Resistive memory cell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sensing resistance values
US20110089509A1 (en) 2008-08-08 2011-04-21 Seagate Technology Llc Magnetic memory with separate read and write paths
WO2013095540A1 (en) * 2011-12-22 2013-06-27 Intel Corporation Memory with elements having two stacked magnetic tunneling junction (mtj) devices
US20140071741A1 (en) 2012-09-13 2014-03-13 Qualcomm Incorporated Otp cell with reversed mtj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240A (ko) 2015-12-18
US9401385B2 (en) 2016-07-26
US20150357376A1 (en)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04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0418548B2 (en) Magnetic memory device
US9893272B2 (en) Magnetic memory device comprising oxide patterns
US10431276B2 (en)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reversible and one-time programmable magnetic tunnel junctions
US10515678B2 (en) Magnetic memory devices
CN102629659B (zh) 半导体器件
KR10263858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8729648B2 (en) Magnetic bod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3794716A (zh) 磁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US20130056812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including vertical transistor structures
JP2012235025A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10212661A (ja) 磁気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KR101049651B1 (ko) 자기저항 메모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9196340B2 (e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increased on/off ratio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operating the same
US20120314469A1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JP5671972B2 (ja) 磁気抵抗素子および半導体メモリ
KR102398177B1 (ko) 자기 메모리 장치
US20230134533A1 (en) 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devices having efficient unit cell layouts
TWI833221B (zh) 磁性記憶體裝置
US10446230B2 (en) Memory device
CN107017275B (zh) 磁存储装置
US10109331B2 (en) Magnetic storage device with a wiring having a ferromagnetic layer
KR20160070244A (ko) 자기 기억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45834B1 (ko) 자기기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