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031B1 - 정전압 회로 및 아날로그 전자 시계 - Google Patents

정전압 회로 및 아날로그 전자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031B1
KR102182031B1 KR1020140012149A KR20140012149A KR102182031B1 KR 102182031 B1 KR102182031 B1 KR 102182031B1 KR 1020140012149 A KR1020140012149 A KR 1020140012149A KR 20140012149 A KR20140012149 A KR 20140012149A KR 102182031 B1 KR102182031 B1 KR 102182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onstant voltage
voltage
gate
outpu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426A (ko
Inventor
고타로 와타나베
마코토 미타니
Original Assignee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9/00Electric power supply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electronic time-pieces
    • G04G19/02Conversion or regulation of current or voltage
    • G04G19/06Regulati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0/00Arrangements of electric power supplies in time pie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61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parallel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6Arrangements for supplying an adequate voltage to the control circuit of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02M1/0035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using burst mod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Abstract

[과제] 안정된 정전압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전자 시계용의 정전압 회로를 제공한다. 저소비 전류로 전지 수명이 긴 아날로그 전자 시계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제1 전압 유지 회로와,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접지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제2 전압 유지 회로를 구비하고, 모터가 동작할 때에는 제2 전압 유지 회로가 유효하게 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한 정전압 회로.

Description

정전압 회로 및 아날로그 전자 시계{CONSTANT VOLTAGE CIRCUIT AND ANALOG ELECTRONIC CLOCK}
본 발명은, 안정된 정전압이 얻어지는 정전압 회로 및 그 정전압 회로를 구비한 아날로그 전자 시계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전자 시계의 블럭도를 도 2에 도시한다. 아날로그 전자 시계는, 반도체 장치(81)와, 수정(80)과, 전지(83)와, 모터(82)로 구성된다. 반도체 장치(81)는, 수정(80)이 접속되는 발진 회로(811)와, 분주 회로(812)와, 그들을 구동하는 정전압(VREG)을 출력하는 정전압 회로(810)와, 모터(82)를 구동하는 출력 회로(813)로 구성된다.
아날로그 전자 시계는, 전지 교환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81)는 소비 전류를 줄일 필요가 있다. 반도체 장치(81)의 소비 전류를 줄이는 방법으로서, 정전압 회로(810)의 동작 전류를 줄이는 것이나, 정전압 회로(810)가 간헐 동작하는 것 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도 6은, 종래의 정전압 회로의 블럭도이다. 종래의 정전압 회로는, 기준 전압(Vref)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압 회로(22)와, 차동 증폭 회로(23)와, 출력 트랜지스터(10)와, 귀환 회로(21)와, 콘덴서로 구성하는 유지 회로(40)와, 스위치 회로(50)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정전압 회로는, 출력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 전압을 유지하는 유지 회로(40)를 구비하고, 차동 증폭 회로(23) 등을 간헐 동작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이고 있다. 신호(φ1)에 의해, 차동 증폭 회로(23)나 귀환 회로(21)의 동작을 정지하고, 스위치 회로(50)를 오프한다. 이때, 출력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 전압은, 유지 회로(40)에 의해, 스위치 회로(50)가 오프하기 전의 전압을 유지한다. 부하 전류가 크게 변동하지 않는 한, 정전압 회로는, 정전압(VREG)을 출력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0-298523호 공보
그러나, 상기 서술과 같은 소비 전류를 삭감한 종래의 정전압 회로는, 차동 증폭 회로(23)의 과도 응답 특성이 나쁘므로, 부하 전류가 크게 변동한 경우, 출력 전압을 유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전자 시계의 모터가 구동되어, 전지 전압이 급격하게 강하한다. 그때, 차동 증폭 회로(23)의 과도 응답 특성이 나쁘므로, 출력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이 작아지고, 정전압(VREG)도 변동해 버린다. 그리고, 정전압(VREG)이 발진 회로(811)의 발진 정지 전압(VDOS)보다 낮아지면, 발진 회로(811)는, 안정성을 해쳐, 발진이 정지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저소비 전류이며, 전지 전압이 변동해도 안정된 정전압이 얻어지는 정전압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전압 회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했다.
차동 증폭 회로와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사이에 접속된 제1 스위치 회로와,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제2 스위치 회로를 개재하여 접속된 제1 유지 회로와,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원 단자의 사이에 제3 스위치 회로를 개재하여 접속된 제2 유지 회로를 구비하고,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차동 증폭 회로와 제1 스위치 회로가 간헐 동작하고,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제2 스위치 회로를 온하며 제3 스위치 회로를 오프하는 제1 동작 모드와,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차동 증폭 회로와 제1 스위치 회로를 온하고,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제2 스위치 회로를 오프하며 제3 스위치 회로를 온하는 제2 동작 모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회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소비 전류이고 또한 안정 동작하는 정전압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 수명이 긴 아날로그 전자 시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정전압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2는 아날로그 전자 시계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아날로그 전자 시계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4는 아날로그 전자 시계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정전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정전압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2는, 아날로그 전자 시계의 블럭도이다. 반도체 장치(81)와, 수정(80)과, 전지(83)와, 모터(82)로 구성된다. 반도체 장치(81)는, 수정(80)이 접속되는 발진 회로(811)와, 분주 회로(812)와, 그들을 구동하는 정전압(VREG)을 출력하는 정전압 회로(810)와, 모터(82)를 구동하는 출력 회로(8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아날로그 전자 시계는, 전원(Vdd)을 기준으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이하, 회로는 모두 전원(Vdd)을 기준으로서 설명한다.
발진 회로(811)는, 외장형의 수정(80)을 안정된 주파수로 발진시켜, 일정한 주파수의 클록 신호를 출력한다. 분주 회로(812)는, 발진 회로(811)의 클록 신호를 분주하여, 필요한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 회로(813)는, 분주 회로(812)의 신호에 의해 모터(82)를 구동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정전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정전압 회로(810)는, 기준 전압 회로(22)와, 차동 증폭 회로(23)와, 스위치 회로(50)와, 출력 트랜지스터(10)와, 귀환 회로(21)와, 유지 회로인 용량(40 및 60)과 스위치 회로(51~52)를 구비하고 있다.
기준 전압 회로(22)는, 기준 전압(Vref)을 발생시킨다. 귀환 회로(21)는, 출력 단자의 전압(VREG)을 분압하여 귀환 전압(VFB)을 출력한다. 차동 증폭 회로(23)는, 기준 전압(Vref)과 귀환 전압(VFB)이 같아지도록, 출력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에 전압(V1)을 출력한다. 또, 차동 증폭 회로(23)나 귀환 회로(21)는, 신호(φ1)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스위치 회로(50)는, 차동 증폭 회로(23)에 동기하여, 신호(φ1)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유지 회로는, 출력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와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용량(40)과, 출력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와 전원 단자(Vss)의 사이에 접속된 용량(60)과, 스위치 회로(51~52)로 구성된다. 유지 회로는, 스위치 회로(50)가 오프했을 때, 그 전의 출력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의 전압(V1)을 유지한다.
정전압 회로(810)는, 차동 증폭 회로(23)의 동작 전류를 저감하는, 차동 증폭 회로(23)나 귀환 회로(21)를 신호(φ1)에 의해 간헐 동작함으로써, 소비 전류의 저감을 실현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정전압 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을 한다.
신호(φ1)와 신호(φ2)가 모두 High 레벨일 때, 정전압 회로(810)는 통상의 전압 레귤레이터로서 동작한다. 신호(φ1)가 High 레벨이므로, 차동 증폭 회로(23)나 귀환 회로(21)는 동작하고, 스위치 회로(50)는 쇼트하며 차동 증폭 회로(23)의 출력 단자는 출력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신호(φ2)도 High 레벨이므로, 스위치 회로(51)가 오픈하고, 스위치 회로(52)가 쇼트하며, 유지 회로는 용량(60)이 유효하게 되어 있다.
신호(φ1)와 신호(φ2)가 모두 Low 레벨일 때 정전압 회로(810)는 전압 레귤레이터로서의 동작은 정지하고, 저소비 전류 상태에 있다. 신호(φ1)가 Low 레벨이므로, 차동 증폭 회로(23)나 귀환 회로(21)는 동작을 정지하고, 스위치 회로(50)가 오픈하며, 차동 증폭 회로(23)의 출력 단자는 출력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와 차단된다. 신호(φ2)도 Low 레벨이므로, 스위치 회로(51)는 쇼트하고, 스위치 회로(52)는 오픈하며, 유지 회로는 용량(40)이 유효하게 된다.
다음에, 아날로그 전자 시계에 본 실시 형태의 정전압 회로를 사용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아날로그 전자 시계의 동작의 타이밍 차트이다. 전압(VDD)은 접지 전압, 전압(VDOS)은 발진 회로(811)의 발진 정지 전압, 전압(VREG)은 정전압 회로(810)의 출력 전압, 전압(VSS)은 전원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아날로그 전자 시계는, 기간(t1~t2, t3~t4)과 같이 모터 펄스를 출력하는 기간(모터 동작 모드)과, 그 이외의 기간(노멀 동작 모드)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일정 간격으로 2개의 기간을 반복한다. 신호(φ1)는, 간헐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신호(φ1)는, 예를 들어, 모터 동작 모드는 정전압(VREG)의 안정화를 위해 High 레벨이 되고, 노멀 동작 모드에 연속적으로 High 레벨과 Low 레벨을 반복하며, 저소비 전류 동작을 행한다. 신호(φ2)는,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신호이다. 신호(φ2)는, 예를 들어, 모터 동작 모드에서는 High 레벨, 노멀 동작 모드에서는 Low 레벨이 되도록 제어한다.
노멀 동작 모드는, 신호(φ1)는 적당한 간격과 듀티로 High 레벨과 Low 레벨을 반복하고, 신호(φ2)는 Low 레벨이다. 따라서, 정전압 회로(810)는, 간헐 동작을 행한다. 또, 유지 회로는 용량(40)이 유효하게 되므로, 정전압 회로(810)는, 차동 증폭 회로(23)나 귀환 회로(21)는 동작을 정지해도, 정전압(VREG)을 출력할 수 있다.
모터 동작 모드는, 신호(φ1)와 신호(φ2)가 모두 High 레벨이며, 정전압 회로(810)는, 용량(60)이 유효한 상태로, 통상의 전압 레귤레이터로서 동작한다. 모터 동작 모드에서는, 모터(82)의 부하 전류와 전지(83)의 내부 저항의 곱으로 결정되는 전압만큼 전지 전압(VSS)이 저하하고, 출력 트랜지스터(10)의 소스 전압이 VDD측에 상승한다. 이때, 용량(60)의 커플링 동작에 의해, 출력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 전압도 VDD측에 상승하기 때문에, 출력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정전압 회로(810)는, 정전압(VREG)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도 3의 기간(t1~t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 동작 모드에 있어서도, 정전압 회로(810)는 안정적으로 정전압(VREG)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발진 회로(811)의 발진 출력의 안정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동작 모드의 전환에 있어서의 상세한 타이밍 차트이다.
유지 회로의 용량(40)과 용량(60)을 전환할 때에, 차동 증폭 회로(23)나 귀환 회로(21)가 동작하고 있는 것이 정전압 회로의 안정 동작을 보증하므로, 셋업 시간(tSU1, tSU4)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 모터 동작 모드에 들어가기 전에 확실하게 정전압 회로가 용량(40)으로부터 용량(60)으로 전환되어 있는 것이 정전압 회로의 안정 동작을 보증하므로, 셋업 시간(tSU2)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φ2)의 High 레벨로부터 Low 레벨로의 전환에 있어서도 셋업 시간(tSU3)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정전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정전압 회로와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정전압 회로는, 용량(60)을 프리차지하기 위한 프리차지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프리차지 회로는, 전압 팔로워 회로(70)와 스위치 회로(53)를 구비하고 있다. 전압 팔로워 회로(70)는, 출력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 전압(V1)을 입력하고, 용량(60)으로 출력한다. 스위치 회로(53)는, 신호(φ2)가 Low 레벨일 때에 쇼트하고, High 레벨일 때에 오픈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정전압 회로는, 노멀 동작 모드일 때에, 스위치 회로(53)를 쇼트하고, 전압 팔로워 회로(70)에 의해 용량(60)을 출력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 전압(V1)에 프리차지한다. 따라서, 신호(φ2)가 Low 레벨로부터 High 레벨이 될 때, 출력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 전압(V1)은 변동하지 않으므로, 정전압 회로는 정전압(VREG)을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정전압 회로는, 보다 안정된 정전압(VREG)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압 팔로워 회로(70)는, 저소비 전류화를 위해 새로운 신호(φ3)에 의해 간헐 동작을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정전압 회로는, 용량(40)에도 프리차지 회로를 설치해도 된다.
21 귀환 회로
23 차동 증폭 회로
81 반도체 장치
810 정전압 회로
811 발진 회로
812 분주 회로
813 출력 회로

Claims (4)

  1. 소정의 간격으로 간헐 동작함으로써 저소비의 전류로 동작하고, 또한 출력 단자에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정전압 회로로서,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된 출력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 단자의 전압이 일정한 전압이 되도록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차동 증폭 회로와,
    상기 차동 증폭 회로와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사이에 접속된 제1 스위치 회로와,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제2 스위치 회로를 개재하여 접속된 제1 유지 회로와,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원 단자의 사이에, 제3 스위치 회로를 개재하여 접속된 제2 유지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정전압 회로는,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차동 증폭 회로와 상기 제1 스위치 회로가 간헐 동작하고,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치 회로를 온하며 상기 제3 스위치 회로를 오프하는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차동 증폭 회로와 상기 제1 스위치 회로를 온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치 회로를 오프하며 상기 제3 스위치 회로를 온하는 제2 동작 모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치 회로가 오프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2 유지 회로를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압으로 설정하는 프리차지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회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 회로는, 입력 단자가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가 제4 스위치 회로를 개재하여 상기 제2 유지 회로에 접속된 전압 팔로워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회로.
  4. 청구항 1에 기재된 정전압 회로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발진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와,
    상기 반도체 장치의 출력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전자 시계.
KR1020140012149A 2013-02-05 2014-02-03 정전압 회로 및 아날로그 전자 시계 KR102182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0715A JP6163310B2 (ja) 2013-02-05 2013-02-05 定電圧回路及びアナログ電子時計
JPJP-P-2013-020715 2013-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426A KR20140100426A (ko) 2014-08-14
KR102182031B1 true KR102182031B1 (ko) 2020-11-23

Family

ID=5123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149A KR102182031B1 (ko) 2013-02-05 2014-02-03 정전압 회로 및 아날로그 전자 시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71185B2 (ko)
JP (1) JP6163310B2 (ko)
KR (1) KR102182031B1 (ko)
CN (1) CN103970172B (ko)
TW (1) TWI5840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4755B2 (ja) * 2013-01-23 2016-12-27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定電圧回路及びアナログ電子時計
US9395729B1 (en) * 2015-01-14 2016-07-19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Circuit driving method and device
US9471078B1 (en) * 2015-03-31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Ultra low power low drop-out regulators
CN106300929B (zh) * 2015-05-21 2019-03-15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开关电路
EP3373101A1 (en) * 2017-03-10 2018-09-12 EM Microelectronic-Marin SA Low power voltage regulator
FR3083397B1 (fr) * 2018-06-28 2020-08-21 Valeo Equip Electr Moteur Systeme de commande d'un interrupteur et bras de commutation
JP7151539B2 (ja) * 2019-02-21 2022-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リアルタイムクロックモジュール、電子機器、及び移動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8523A (ja) * 1999-04-14 2000-10-24 Seiko Instruments Inc 定電圧出力回路
JP2006117225A (ja) * 2004-09-21 2006-05-11 Aisin Seiki Co Ltd センサの信号処理システム、及び挟み込み検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5780A (en) * 1979-04-10 1980-10-22 Citizen Watch Co Ltd Electronic watch
JP2806530B2 (ja) * 1988-08-18 1998-09-30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基準電圧源
JP3460491B2 (ja) * 1997-01-22 2003-10-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振回路、半導体装置及びこれらを具備した携帯用電子機器および時計
US6864738B2 (en) * 2003-01-06 2005-03-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MOS voltage booster circuits
JP4558509B2 (ja) * 2003-04-25 2010-10-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331550B2 (ja) * 2003-08-27 2009-09-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位相補償回路
JP2005258644A (ja) * 2004-03-10 2005-09-22 Sony Corp 定電圧電源回路
JP2005322105A (ja) * 2004-05-11 2005-11-17 Seiko Instruments Inc 定電圧出力回路
US7205826B2 (en) * 2004-05-27 2007-04-17 Broadcom Corporation Precharged power-down biasing circuit
KR101056737B1 (ko) * 2004-09-20 2011-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장치
JP2007252113A (ja) * 2006-03-16 2007-09-27 Ricoh Co Ltd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TW200832868A (en) * 2007-01-26 2008-08-01 Univ Nat Chiao Tung Pre-charge sample-and-hold circuit
JP2009116684A (ja) * 2007-11-07 2009-05-28 Toshiba Corp 電圧発生回路
TWI371671B (en) * 2008-03-19 2012-09-01 Raydium Semiconductor Corp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method of frequency compensation thereof
JP2011090364A (ja) * 2009-10-20 2011-05-06 Seiko Epson Corp 定電圧発生回路及びそれを内蔵した半導体集積回路
CN102624232B (zh) * 2012-04-20 2014-06-25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用于dc-dc升压变换器的预充电电路及预充电方法
JP6054755B2 (ja) * 2013-01-23 2016-12-27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定電圧回路及びアナログ電子時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8523A (ja) * 1999-04-14 2000-10-24 Seiko Instruments Inc 定電圧出力回路
JP2006117225A (ja) * 2004-09-21 2006-05-11 Aisin Seiki Co Ltd センサの信号処理システム、及び挟み込み検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71185B2 (en) 2015-06-30
TWI584098B (zh) 2017-05-21
CN103970172B (zh) 2017-01-11
KR20140100426A (ko) 2014-08-14
US20140217950A1 (en) 2014-08-07
JP6163310B2 (ja) 2017-07-12
JP2014153772A (ja) 2014-08-25
CN103970172A (zh) 2014-08-06
TW201443604A (zh) 201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031B1 (ko) 정전압 회로 및 아날로그 전자 시계
US8923473B2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driver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4404624A (en) Power circuit for electronic timepiece
CN108733119B (zh) 低压降稳压器及其启动方法
CN101199105A (zh) 降压型开关调节器及其控制电路、使用了它的电子设备
KR102145166B1 (ko) 정전압 회로 및 아날로그 전자 시계
US10230357B1 (en) Gate control circuit
US20150188436A1 (en) Semiconductor Device
JP6926982B2 (ja) 電源制御回路および環境発電装置
KR20070032927A (ko) 차지 펌프식 승압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
US9703304B2 (en) Voltage booster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and voltage booster circuit control method
JP2008192083A (ja) 低飽和レギュレータ回路
KR102007820B1 (ko) 아날로그 전자 시계
TWI591459B (zh) Analog electronic clock
EP3010152B1 (en) Gate-driving circuit
JP2006209295A (ja) 電源装置
JP4477448B2 (ja) レベルシフト回路を具えたホールセンサ
KR0135967B1 (ko) 집적회로
JP2005057919A (ja) 電源装置
KR20050122085A (ko) 내부전원 생성장치
JPS5918726B2 (ja) 電子装置における電圧安定装置
JPS6314914B2 (ko)
JPH03237509A (ja) 電源電圧降圧回路
KR20100045849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지연제어회로
JPH054784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