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513B1 -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513B1
KR102036513B1 KR1020147025552A KR20147025552A KR102036513B1 KR 102036513 B1 KR102036513 B1 KR 102036513B1 KR 1020147025552 A KR1020147025552 A KR 1020147025552A KR 20147025552 A KR20147025552 A KR 20147025552A KR 102036513 B1 KR102036513 B1 KR 102036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llection
collection tube
stocker
tube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494A (ko
Inventor
미츠루 사토
Original Assignee
테크노 메디카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노 메디카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테크노 메디카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3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65C3/08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 B65C3/10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2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6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 B65C9/30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0Controls; Safety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732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 G01N2035/00861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printing and sticking of ident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01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 G01N2035/0406Individual bottles or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6General conveyor features
    • G01N2035/0465Loading or unloading the convey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과제] 콤팩트하고 포터블성에도 우수하며, 카트나 탁상 등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재해시 등의 긴급 대응성에도 우수하며, 또한 의사로부터의 채혈 지시에 따라 종류가 다른 채혈관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인자·첩부 장치의 상방에 겹치게 해서 채혈관 스토커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가로폭을 매우 짧게 할 수 있어 매우 콤팩트해서 포터블성에도 우수하며, 중소 병원이나 입원 병동, 또한 채혈을 전문으로 하는 시설 등에도 적용할 수 있고, 병상 옆이나 탁상, 이동성을 구비한 카트 등에 실어 두는 것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재해시 등의 긴급 대응성에도 우수하며, 의사로부터의 채혈 지시에 따라 종류가 다른 채혈관을 확실히 1개씩 절출해서 준비할 수 있는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DOUBLE-DECKER TUBE DISPENSER}
본 발명은 채혈 검사의 전(前)공정에 있어서의 채혈 공정에서의 채혈관의 사전 준비 작업을 행하는 것이며, 인자·첩부 장치의 상방에 채혈관 스토커 장치가 배치되는 더블 데크형의 매우 콤팩트한 탁상 타입의 튜브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병원, 진료소 그 외의 의료 기관에 있어서의 혈액 검사 부문에서는 채혈 작업자(간호사 등)에 의해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혈관에 채취 수용해서 검사 부문으로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혈액 검사에서는 그 혈액 검사 항목에 따라 많은 종류의 채혈관이 준비되어 있고, 통상 한사람의 환자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검사가 동시에 행해진다. 이 때문에, 채혈관의 준비도 한사람의 환자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것이 채혈관 준비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준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채혈실에서는 다수의 환자를 다루는 것이 당연하므로 상기 채혈관 준비 장치에 준비된 각 채혈관에는 환자 정보, 채혈 검사 정보 등의 바코드가 인쇄된 라벨이 첩부되어 있다.
또한 환자에게는 채혈 접수시에 접수 번호 등의 바코드가 인쇄된 채혈 접수표가 발행되고 있다. 채혈 작업시에는 이들 라벨이나 접수표의 내용을 바코드 리더 등의 광학적 기기에 의해 판독해서 환자 및 채혈관의 취급 실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채혈 업무의 자동화를 도모하여 채혈 업무를 지원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기술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세로 방향(수직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엔드리스 형상의 벨트 구동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벨트 구동 장치에서는 벨트 폭이 채혈관의 길이 치수 이상으로 설정되고, 벨트면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캐터필러 형상의 구획판을 갖고, 벨트면 전후방의 구획판끼리의 사이를 1개의 채혈관 수용부[저장(stock)부]로 해서 1개의 벨트면 상에 다수의 채혈관 수용부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1개의 벨트 구동 장치는 동일 종류의 채혈관을 수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캐터필러 방식으로 채혈관을 수용하는 벨트 구동 장치를 이용한 스토커 기구를 복수단 상하 방향으로 겹치게 해서 배치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채혈관을 취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의사로부터의 채혈 오더 정보에 의거하여 환자의 채혈에 필요한 채혈관을 대응하는 채혈관 스토커 기구부로부터 인출하고, 라벨 인자·첩부 수단을 이용해서 환자의 채혈에 관한 정보를 라벨에 인자하고, 인자 후의 라벨을 인출한 채혈관에 첩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라벨 첩부 후의 채혈관을 배출 수단으로 채혈관 회수부까지 이송하고 채혈관 회수부에서 환자마다 트레이에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채혈관 준비 장치이면 스토커 기구부가 상하로 겹쳐서 배치되는 관계상, 높이 방향의 치수가 상당하게 되어 장치 자체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복수 종류의 채혈관을 취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각 대응하는 캐터필러를 가로 방향으로 전개할 수 밖에 없어 장치 전체의 가로폭이 매우 길어져 공간적으로 제한되는 의료 기관에서는 채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채혈관 준비 장치의 기술이 있다. 이 특허문헌 2의 기술은 본 발명자가 앞서 출원한 것이며, 하나의 반송 벨트의 왕복하는 벨트끼리의 중간에 시험관 유지 부재를 벨트를 따라 배치하고, 시험관 캡의 하단면을 시험관 유지 부재와 왕로측 이송 벨트의 상단면으로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왕로측 벨트에 의해 캡을 통해 시험관에 이송력(피드)을 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토커이면, 시험관을 반송하는 장치를 한 종류의 시험관에 대해서 하나로 구성할 수 있어 반송 장치의 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토커의 폭은 불과 수센티미터이며, 많은 종류의 시험관에 대응하기 위해 복수 종류의 스토커를 병설했을 경우에도 전체적인 폭치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해서 현격히 작아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5-67660 호 공보 일본 특허 제 4356096 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기술에서는 반송 벨트의 구동력은 왕로측 반송 벨트의 상단면을 통해 상기 상단면에 적재된 채혈관의 캡 하단면에 전달되고, 한편, 채혈관 캡의 하단면에 있어서의 타방측은 지지 레일상을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지 레일과 캡 하단면의 양자간에 있어서 마찰 저항이 크면 왕로측 반송 벨트의 상단면으로부터 채혈관 캡의 하단면에 전달되는 채혈관 반송을 위한 구동력보다 상기 마찰 저항쪽이 커진다. 그 결과, 채혈관 캡의 하단면과 반송 벨트의 상단면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채혈관의 반송을 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는 마찰 계수가 큰 고무 캡 채혈관에 있어서는 현저해서 전혀 반송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상기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기술에서는 채혈관 캡 하단면의 지지를 한쪽은 지지 레일로 지지하고 다른쪽은 반송 벨트의 상단면으로 지지하여 반송 벨트의 이송을 캡 하단면과의 접촉에 의해 직접 전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캡 하단면과 반송 벨트의 단면의 접촉에 의한 마모에 기인하는 내구성의 문제가 있고, 또한 반송 벨트가 뒤틀려서 채혈관 캡이 벨트 내로 끌려 들어가 채혈관이 낙하된다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채혈관 외경 치수보다 조금 큰 외경 치수를 갖는 시일(seal) 형상의 캡도 있지만, 이 경우는 캡 하단면에 반송 벨트의 끝면 상에 적재하기 위해 필요한 폭치수의 여유가 없어 실시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채혈관 캡 하단면을 지지하는 스토커 방식에서는 캡의 크기가 충분하지 않은 채혈관에 대하여는 반송 자체가 불가능하고 특히 외국의 채혈관에서 많이 보여져 사용할 수 있는 채혈관의 종류가 대폭 제한된다는 중요한 문제로 되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캡이 없는 채혈관에 대해서는 전혀 이용할 수 없다는 중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기술에서는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기술과 비교해서 장치 전체의 가로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지만, 그래도 스토커 장치의 폭치수와 인자·첩부 장치의 폭치수 분량을 더한 분량의 가로폭 치수가 필요해서 탁상형으로 하기에는 더욱 개선할 여지가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종래의 상기 과제를 개량 제거한 장치로서, 인자·첩부 장치의 상방에 겹치게 해서 채혈관 스토커 장치를 배치하는 2층 구조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가로폭을 매우 짧게 할 수 있어 상당히 콤팩트하고 포터블성에도 우수하며, 중소 병원이나 입원 병동, 또한 채혈을 전문으로 하는 시설 등에도 적용할 수 있고, 병상 옆이나 탁상, 이동성을 구비한 카트 등에 실어두는 것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재해시 등의 긴급 대응성에도 우수하며, 의사로부터의 채혈 지시에 따라 종류가 다른 채혈관을 확실히 1개씩 절출해서 준비할 수 있는 더블 데크형의 튜브 디스펜서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1의 수단은 종류별 채혈관을 가로 적재 자세로 수용하는 채혈관 스토커 단체(單體)를 세로열과 가로열로 각각 복수열 배치한 채혈관 스토커 장치와, 각 세로열 스토커군의 하방에 배치되고 각 채혈관 스토커로부터 절출된 채혈관을 바로 앞측으로 반송하는 절출 채혈관의 제 1 반송 수단과, 상기 제 1 반송 수단의 종단측에 있어서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어 온 채혈관을 수취하여 수취한 채혈관을 그 이송 경로 중에 설치된 채혈관 이송 적재 수단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송하는 제 2 반송 수단과, 상기 제 2 반송 수단 상의 채혈관을 이송 수단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출하는 상기 채혈관 이송 적재 수단과, 상기 채혈관 이송 적재 수단에 근접해서 배치된 라벨의 인자·첩부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벨 인자·첩부 장치는 채혈관 공급 수단에 대응하는 세로열 채혈관 스토커군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2의 수단은 상기 제 2 반송 수단의 일단측에는 채혈관의 방향 검지 수단이 배치되어 있고, 타단측에는 상기 채혈관 이송 적재 수단 및 도착 검지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3의 수단은 상기 제 2 반송 수단의 하방에 이것과 평행한 채혈관 배출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4의 수단은 일방측 세로열 스토커군의 하방에 수동 첩부용 라벨을 인쇄하는 인자 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타방측 세로열 스토커군의 하방에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라벨 인자·첩부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5의 수단은 세로열 스토커군의 하방에 배치된 절출 채혈관의 제 1 반송 수단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2 반송 수단 사이에 중간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된 채혈관은 상기 중간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제 2 반송 수단에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6의 수단은 세로열 채혈관 스토커군이 가로열로 2열 배치되고, 장치 전체의 폭치수가 가로열 채혈관 스토커 전체의 폭치수보다 케이스의 치수 분량만큼 크게 설정되어 있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7의 수단은 종류별 채혈관을 수용하는 채혈관 스토커 단체를 세로열로 복수열 배치한 채혈관 스토커 장치와, 세로열 스토커군의 하방에 배치되고 각 채혈관 스토커로부터 절출된 채혈관을 바로 앞측으로 반송하는 절출 채혈관의 제 1 반송 수단과, 상기 제 1 반송 수단의 종단측 하방에 배치된 채혈관 이송 적재 수단과, 상기 채혈관 이송 적재 수단에 근접해서 배치된 라벨 인자·첩부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벨 인자·첩부 장치는 세로열 채혈관 스토커군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세로열 스토커군이 가로열로 복수열 배치 된 채혈관 스토커 장치의 하방에 라벨 인자·첩부 장치를 배치할 수 있고, 이층 구조(더블 데크)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튜브 디스펜서 중 특히 가로폭 치수를 종래의 경우(특허문헌 2)와 비교해서 인자·첩부 치수의 가로폭 치수 분량만큼 더 작게 할 수 있어 콤팩트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각 채혈관 스토커로부터 절출된 채혈관을 제 1 반송 수단으로 바로 앞측으로 이송한 후는 하나의 제 2 반송 수단으로 인자·첩부 장치의 바로 앞까지 이송할 수 있으므로 채혈관을 이송하는 수단의 구성이 심플해진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채혈관을 가로 적재[도복된 자세]로 수용하는 스토커이며, 캡 지지 방식의 종래 기술(특허문헌 2)과 비교하여 채혈관의 낙하나 미끄러짐에 의한 채혈관 반송 불능의 문제는 없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는 방향 검지 수단으로 채혈관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고, 그 방향에 의해 라벨로의 인자 방향을 정방향 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인쇄하여 채혈관에 정상인 방향으로 라벨을 첩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채혈관 스토커로의 채혈관의 투입을 그 방향을 걱정하지 않고 랜덤하게 행할 수 있어 채혈관의 스토커로의 보급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도착 검지 수단에 채혈관이 도착한 것을 검지할 수 있으므로 그 신호에 의해 채혈관 이송 적재 수단을 구동시켜 도착한 채혈관을 인자·첩부 장치쪽으로 이송 적재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는 라벨 첩부 후의 채혈관을 인자·첩부 장치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반송해서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는 일방측 세로열 스토커군의 하방에 수동 첩부용 라벨 인자 장치가 배치되고, 타방측 세로열 스토커군의 하방에 라벨 인자·첩부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상은 인자·첩부 장치로 라벨에 환자 정보 등을 인자한 후 채혈관에 첩부해서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스토커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특정 채혈관에 대해서는 수동 첩부용 인자 장치로 라벨에 환자 정보만을 인자하고, 병원측 스탭이 준비한 특정 채혈관에 병원측 스탭이 수동으로 첩부하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는 절출 채혈관의 제 1 반송 수단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2 반송 수단 사이에 중간 컨베이어가 배치되어 있다. 각 채혈관 스토커로부터 절출된 채혈관은 제 1 반송 수단에 의해 바로 앞측으로 반송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좌측 채혈관 스토커군으로부터 절출된 채혈관은 직접 제 2 반송 수단 상에 낙하된다. 이것에 대하여, 우측 채혈관 스토커군으로부터 절출된 채혈관은 일단 중간 컨베이어 상에 이송 적재된다. 그리고, 중간 컨베이어에 의해 도 2 및 도 5의 좌측에 반송되고 종단측으로부터 하방의 제 2 반송 수단 상에 낙하 공급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채혈관 스토커를 가로열로 2열로 하고 있다. 이 2열에서는 장치 전체의 가로폭 치수를 350㎜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발명의 세로열 스토커군을 가로로 일렬만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는 청구항 1 발명의 채혈관 공급 수단을 생략할 수 있어 매우 단순한 구성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튜브 디스펜서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튜브 디스펜서 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튜브 디스펜서의 각 기구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튜브 디스펜서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튜브 디스펜서 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튜브 디스펜서의 각 기구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튜브 디스펜서의 각 기구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튜브 디스펜서의 각 기구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튜브 디스펜서의 각 기구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나타내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기기 및 기구 등의 레이아웃에 대해서 도 1~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의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튜브 디스펜서(A)는 채혈관 스토커(1)를 세로 4열, 가로 2열로 배치하여 합계 8개를 병렬 배치하고 있다. 이들 스토커 장치는 8개의 스토커(1) 전체가 가장 안측의 가로 2열 스토커의 하단면측을 지점으로 해서 가장 앞측부터 상방으로 회동시켜 스토커군 전체를 오픈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스토커(1)를 구성하는 스토커 본체(2)와, 절출 롤(3)과, 절출 동작을 보조해서 확실하게 하는 보조 롤(4)과 이들 롤의 구동용 모터(5)의 교환 수리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각 세로열의 각 스토커(1)의 하방에는 각 스토커(1)로부터 절출된 채혈관(6)을 이송하기 위한 구획판이 부착된 컨베이어식 절출 채혈관의 제 1 반송 수단(이하 「컨베이어식 제 1 반송 수단」 또는 간단히 「제 1 반송 수단」이라 한다)(7)이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식 제 1 반송 수단(7)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토커(1)가 가로 2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2의 정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대가 설치되어 있어 세로열의 각 채혈관 스토커(1)로부터 절출된 채혈관(6)을 2대의 컨베이어(7)가 각각 수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2대의 컨베이어식 제 1 반송 수단(7) 중 도 2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 1 반송 수단(7)의 종단측(도 3의 좌측)에는 상기 제 1 반송 수단(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우측 채혈관 스토커군의 우단측으로부터 좌단측에 이르는 중간 컨베이어(8)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2의 좌측에 위치하는 컨베이어식 제 1 반송 수단(7)의 종단측에는 아무것도 설치되고 있지 않고, 채혈관(6)이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되는 공간 스페이스로 되어 있다.
또한, 중간 컨베이어(8)의 하방에는 이것과 병행해서 채혈관의 제 2 반송 수단(9)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반송 수단(9)은 상기 2대의 제 1 반송 수단(7)의 좌단측으로부터 우단측까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있고, 상기 제 2 반송 수단(9)의 종단측(도 2의 우측)에는 도착한 채혈관(6)을 인자·첩부 수단(10)으로 압출해서 공급하기 위한 슬라이더(채혈관 이송 적재 수단)(1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 컨베이어(8)의 바로 아래에는 채혈관의 제 2 반송 수단(9)의 종단측 슬라이더(11) 및 도착 센서 등의 센서류가 배치되어 있어 우측의 스토커군으로부터 직접 슬라이더(11) 부분으로 채혈관(6)을 낙하 공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우측의 스토커군으로부터 절출된 채혈관(6)은 상기 중간 컨베이어(8)로 일단 좌측으로 이동시켜 하방의 공급 컨베이어(9) 상에 낙하 공급하고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11)측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정면도 및 도 3의 우측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자·첩부 수단(10)의 바로 앞측에는 트레이(12) 적재부가 설치되어 있고, 환자 정보나 채혈 검사 정보 등이 인자된 라벨 첩부 후의 채혈관을 환자마다 여기에 준비된 트레이(12) 내에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트레이 적재부에는 트레이(12)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광학적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센서는 투광 센서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 센서로 검지하는 타입의 것이나 반사형 투수광(投受光) 센서이어도 좋다.
또한 장치 본체 바로 앞측 전면 도어(13)의 상면에는 스위치 및 각 기구의 상태를 표시하는 설정 상태 표시부 등의 모니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의 배면측에는 자재(自在) 관절을 구비한 암을 통해 터치패널 모니터(도시하지 않음)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터치패널 모니터는 좌측 스토커군 하방의 전자 기기실에 내장된 컴퓨터(CPU)의 입력부 및 모니터를 겸용하는 것이며, 19인치 정도 크기의 것이다. 이 터치패널 모니터에는 예를 들면 초기 동작 화면, 메인 화면, 상세 스테이터스 화면, 메인터넌스 메뉴 화면 등이 표시된다. 또한 CPU에 인스톨된 중계 소프트웨어를 통해 병원 등의 의료 기관의 병원 정보 시스템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나 검사 정보 시스템LIS(Laboratory Information System)와 통신을 행했을 경우의 통신 상태나 HIS 및 LIS 등의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한 환자 정보, 채혈 지시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2)의 배면측에는 내장되는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로서, 무선 보드나 외부 접속 기기용 보드 등의 플러그인 스로틀, R232C 단자, 음성 입출력 단자, FAX 등과의 접속이나 그 외의 외부 기기와의 접속에 이용되는 USB 포트, LAN 접속 포트, 외국 등의 각종 전원에 대응할 수 있는 복수의 전원 단자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튜브 디스펜서(A)에 의하면, 인자·첩부 수단(10)의 상방에 우측 채혈관 스토커군이 위치하고 있다. 한편, 좌측 채혈관 스토커군의 하방에는 전원 유닛이나 CPU, 전자 기판 등을 설치하기 위한 전자 기기실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튜브 디스펜서(A) 전체의 가로폭 치수는 도 1의 평면도에 가장 잘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가로 2열의 채혈관 스토커(1, 1)의 가로폭 치수에 추가하여 케이스의 치수를 더한만큼의 매우 작은 치수가 된다. 이와 같은 작은 치수의 가로폭이면 공간적으로 제한이 있는 중소 병원이나 입원 병동, 또한 채혈을 전문으로 하는 시설 등에도 적용할 수 있고 병상 옆이나 탁상, 이동성을 구비한 카트 등에 실어 두는 것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재해시 등의 긴급 대응성에도 우수하며, 의사로부터의 채혈 지시에 따라 종류가 다른 채혈관을 확실하게 1개씩 절출해서 준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어서, 튜브 디스펜서(A)를 구성하는 각 기기 및 기구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채혈관 스토커(1)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의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채혈관 스토커(1)는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합금, 강판 등의 얇은 금속판을 절곡함으로써 직사각 형상의 케이스[스토커 본체(2)]를 형성하고 있다. 스토커 본체(2)는 상하면을 개구면으로 하고 있고, 상부측의 개구면은 채혈관(6)의 투입구이며 또한 하부측의 개구면에는 절출 롤(3)이 배치되어 있다. 절출 롤(3)의 외주면 상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채혈관(6)을 떨어뜨려 넣어 수용하기 위한 오목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출 롤(3)과 한쪽 케이스 내면 사이에는 상하로 동작하는 경사 저판(15)이 배치되어 있고 채혈관(6)이 절출 롤(3)의 오목홈(14)으로 들어가기 쉽도록 연구가 되어 있다.
또한, 절출 롤(3)의 상부에는 소경의 보조 롤(4)이 배치되어 있다. 보조 롤(4)은 절출 롤(3)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고, 고무캡 채혈관 등과 같이 채혈관끼리가 달라 붙어있어 절출시키려 할 경우에 오목홈(14)의 채혈관에 달라 붙어있는 채혈관을 반대측으로 되밀어서 분리시켜 확실하게 오목홈(14)에 들어간 채혈관만을 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이루고 있다. 상기 경사 저판(15)의 하방 공간에는 절출 롤(3) 및 보조 롤(4)을 구동시키고 또한 경사 저판(15)을 상하로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 롤의 상방에, 스토커 본체 내에 투입된 채혈관이 절출 롤(3)에 가까워짐에 따라 오목홈(14)으로 들어가기 쉽도록 이것을 안내하는 만곡된 안내판(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절출 롤(3)의 근방에는 오목홈(14)으로 들어간 채혈관(6)이 바로 위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이 채혈관(6)에 의해 밀어 올려지는 어태치먼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어태치먼트는 광센서의 적외선 신호 등을 차단하고 바로 위의 위치에 절출 롤(3)을 대기 준비시켜 두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각 세로열 스토커군의 하방에 배치된 구획판이 부착된 컨베이어식 제 1 반송 수단(7)은 컨베이어로부터 직립되어 설치된 구획판(17)이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고, 각 스토커(1)의 절출 롤(3)로부터 절출된 채혈관(6)은 이들 구획판(17)끼리의 사이에 수용된 상태에서 중간 컨베이어(8) 및 채혈관 공급 컨베이어(9)의 위치까지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컨베이어식 제 1 반송 수단(7)의 종단측에는 채혈관(6)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18)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인자·첩부 작업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의 새로운 채혈관(6)이 인자·첩부 수단(10)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중간 컨베이어(8) 및 제 2 반송 수단(9)에 가까운 각 세로열에 있어서의 가장 앞측 채혈관 스토커(1)의 절출 롤(3)은 절출한 채혈관(6)을 중간 컨베이어(8) 및 상기 제 2 반송 수단(9)에 직접 낙하 공급하도록 스토커(1)의 전체 위치를 장치 본체의 정면측에 가까워지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스토커(1)의 안쪽 길이 치수의 1/2정도, 바로 앞의 최초 채혈관 스토커를 장치 본체 정면측으로 끌어 당길 수 있어 장치 전체의 안쪽 길이 치수의 단축화가 가능하다. 또한 가장 바로 앞측의 채혈관 스토커(1)는 인자·첩부 장치로부터 라벨 첩부 완료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한 절출 롤(3)은 절출 동작을 개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 2 반송 수단(9)의 종단측에는 채혈관(6)의 도착 검지판(19)이 설치되어 있다. 도착 검지판(19)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듬히 경사진 자세로 대기하고 있고, 채혈관(6)이 보내지면 이것에 압박되어 수직 하향의 상태가 되고 동시에 채혈관(6)의 정지 위치를 결정하도록 된다. 도착 검지판(19)은 경사진 대기 상태에서는 적외선 센서나 포토 센서 등의 투수광기로 이루어지는 검지 센서(도시하지 않음)의 조사광이 차단되고 채혈관(6)이 도착한 수직 하향의 상태에서는 투광기로부터 조사된 광이 수광기에 수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채혈관(6)의 정지 위치의 측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혈관 공급 컨베이어(9)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동작하는 채혈관(6)의 절출용 슬라이더(채혈관 이송 적재 수단)(11)가 설치되어 있고, 채혈관(6)을 컨베이어(9)로부터 압출해서 라벨 첩부 장치의 첩부 위치에 낙하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착 검지판(19)의 바로 앞에는 채혈관(6)의 방향을 검지하기 위한 방향 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것은 잘못하여 채혈관의 캡이 선두로 되어 도착 검지판(19)에 접촉해서 정지했을 때에 캡에 의해 투광기로부터의 조사광이 차단되어 채혈관(6)의 방향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채혈관(6)의 방향을 검지한 신호는 라벨의 인자 장치(20)에 출력되어 채혈관(6)의 방향에 따라 라벨의 인자 방향을 정방향 역방향 중 어느 하나로 하도록 하고 있다.
라벨 첩부 장치(2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된 박리지 상에 첩부된 라벨 공급롤(22)과, 박리지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롤(23)을 갖고 있다. 공급롤(22)로부터 풀려나오는 라벨과 박리지는 예각적으로 리턴해서 이동시킴으로써 탄력이 강한(박리지보다 탄력이 있어서 접히기 어려움) 라벨만이 박리지로부터 박리된다. 라벨은 그대로 직진해서 첩부 장치(21)측에 공급되고 그 후 남은 박리지만이 권취롤(23)에 권취된다. 이 박리부의 상류측에는 라벨에 환자 정보 등을 인자하기 위한 인자 장치(20)가 배치되어 있다. 인자하는 정보는 상기 튜브 디스펜서의 제어부에 내장된 컴퓨터(CPU)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 의사 시스템 등의 컴퓨터 또는 의사의 컴퓨터 단말 등에 접속해서 이들 데이터베이스 또는 하드디스크 등으로부터 취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박리지로부터 박리된 라벨의 진행 방향에는 구동 롤러(24), 지지 롤러(25) 및 진퇴 가능한 가압 롤러(26)로 이루어지는 첩부 장치(2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첩부 장치(21)의 경사 하방에는 트레이(12) 적재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튜브 디스펜서(A)의 동작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장치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각 스토커(1)의 개구부를 통해 스토커 내에 각각 다른 종류의 채혈관(6)을 투입한다. 채혈관(6)의 방향은 자유롭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장치 본체의 전원 스위치를 ON으로 하여 내장된 컴퓨터 CPU를 동작시켜 제어 소프트웨어를 기능시키고 상위 HIS나 LIS 등의 컴퓨터 또는 의사의 컴퓨터 단말 등으로부터 채혈하는 환자의 채혈 정보를 입수한다. 상위로부터 입수한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터치패널 모니터에 표시된다.
제어부는 상기 입수한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할 채혈관의 종류를 결정하고 해당하는 종류의 채혈관(6)이 저장되어 있는 채혈관 스토커(1)의 구동 모터(5)를 구동시켜 절출 롤(3)을 도 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보조 롤(4)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들 롤(3, 4)의 구동에 의해 절출 롤(3)의 오목홈(14)으로 채혈관(6)이 들어가 수용된다. 그리고, 만약 오목홈(14)으로 들어간 채혈관(6)에 캡끼리가 달라붙어 있는 채혈관(6)이 있었다고 해도 상기 채혈관(6)은 보조 롤(4)에 의해 되밀어져 오목홈(14)의 채혈관(6)과는 완전히 분리된다. 그리고, 절출 롤(3)이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결국 오목홈(14)은 하향으로 되어 이것에 수용된 채혈관(6)은 하방의 이송 컨베이어(7)의 구획판(17)끼리의 사이에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 공급된다. 그리고, 이송 컨베이어(7)에 의해 도 3의 좌측으로 반송되고 스토퍼에 접촉해서 정지함과 아울러 종단측의 센서(18)에 의해 채혈관(6)이 공급되어 온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컨베이어식 제 1 반송 수단(7)은 슬라이더(11) 부분에 대기하는 채혈관이 없을 경우 종단측 센서(18)에서 검지된 채혈관(6)을 제 2 반송 수단(9) 또는 중간 컨베이어(8)로 떨어뜨려 넣어 공급한다. 슬라이더(11) 부분에 대기하는 채혈관이 있으면 이 위치에 채혈관(6)을 유지하여 대기시키도록 하고 있다. 중간 컨베이어(8)에 낙하 공급된 채혈관(6)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컨베이어(8)에 의해 동 도면의 좌방향으로 반송되고 그 종단측으로부터 하방의 제 2 반송 수단(9) 상으로 낙하되어 이송 적재된다. 이때, 중간 컨베이어(8)와 하방의 제 2 반송 수단(9) 사이의 고저차에 따라서는 짧은 사이즈(대략 75㎜ 등)의 채혈관은 선두가 캡이면 캡으로부터 제 2 반송 수단(9) 상으로 낙하되고, 제 2 반송 수단(9)의 이동에 의해 밑부분(足元)이 들어 올려지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반회전해서 제 2 반송 수단(9) 상에 이송 적재된다. 또한 긴 사이즈(대략 105㎜ 등)의 채혈관은 중간 컨베이어(8)로부터 낙하될 때 채혈관의 전체 길이의 대부분이 중간 컨베이어(8)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하방의 제 2 반송 수단(9) 상으로 낙하되므로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의 자세로 제 2 반송 수단(9)에 이송 적재되도록 된다.
이때, 긴 채혈관(6)에 있어서는 제 2 반송 수단(9)을 일단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긴 채혈관(6)의 선두측이 제 2 반송 수단(9)에 접촉한 후 이 제 2 반송 수단(9)의 이동에 의해 채혈관(6)이 그대로 안정된 자세로 중간 컨베이어(8)로부터 제 2 반송 수단(9)에 이송 적재되도록 하고, 그리고 나서 제 2 반송 수단(9)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더(11)측에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공급 컨베이어(9)의 스위치백 방식의 작동은 중간 컨베이어(8)와 제 2 반송 수단(9) 사이의 고저차 치수와, 채혈관(6)의 길이와, 컨베이어(8) 등의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해서 결정하면 좋다.
한편, 좌측에 위치하는 세로열의 스토커군 하방에 배치된 컨베이어식 제 1 반송 수단(7)으로부터 공급되는 채혈관(6)은 직접 제 2 반송 수단(9) 상으로 낙하되고 이것에 이송 적재된다.
또한 가장 앞측 채혈관 스토커(1)의 경우는 구획판이 부착된 컨베이어식 제 1 반송 수단(7)에 의해 반송되는 것은 아니고, 직접 중간 컨베이어(8) 또는 제 2 반송 수단(9) 상에 절출한 채혈관(6)을 낙하 공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11) 부분에 대기하는 채혈관이 있을 경우는 절출을 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 2 반송 수단(9)은 낙하 공급된 채혈관(6)을 도 2의 우측 방향으로 반송한다. 채혈관(6)은 컨베이어의 종단측에서 그 선단이 도착 검지판(19)에 접촉하고 이것을 압박하여 도착 검지판(19)을 경사진 자세로부터 수직 하향의 자세로 요동시켜 정지하도록 된다. 또한, 이 정지 위치에는 도시하지 않은 채혈관(6)의 방향 검지 센서가 채혈관(6)의 캡을 검지하도록 하고 있다. 캡이 검출되었을 경우는 캡이 선두로 되어 반송되었다는 것이며, 역방향이므로 인자 장치(20)에 그 방향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착 검지판(19)이 수직 하향의 자세로 압박 바이어싱됨으로써 투수광 센서 등의 도착 검지 수단이 작용하여 채혈관(6)이 공급되어 온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이 도착 검지 신호에 의해 제 2 반송 수단(9)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동작하는 슬라이더(11)가 동작을 개시하여 도착한 채혈관(6)을 가로 방향으로 압출해서 라벨 첩부 장치(21)의 수납부측으로 낙하시켜 공급한다. 첩부 장치(21)에는 가압 롤러(26)가 후퇴 위치에 있고, 채혈관(6)을 수취하면 전진하여 채혈관(6)을 구동 롤러(24)와 지지 롤러(25)측으로 압박 바이어싱하여 구동 롤러(24)의 구동력을 채혈관(6)에 전달하여 채혈관(6)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라벨의 인자 장치(20)에서는 라벨롤(22)로부터 풀려나오는 라벨에 상위 컴퓨터 및 의사의 컴퓨터 단말 등으로부터 취득한 환자 ID, 검사 항목, 채혈관 종류, 채혈량 등의 채혈 정보의 필요 항목을 인자한다. 인자하는 내용은 터치패널 모니터에 표시되어 작업자는 확인할 수 있다. 인자 후의 라벨은 박리지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각적으로 리턴되어 이동함으로써 탄력이 강한 라벨만이 그대로 직진해서 상기 박리지로부터 자연적으로 박리된다. 그리고, 박리된 라벨은 구동 롤러(24)와 채혈관(6)의 외주면 사이로 진입하고 권취되어 채혈관(6)의 외주면에 첩부된다. 라벨 첩부 후의 채혈관(6)은 가압 롤러(24)가 경사 하방(도 3의 좌측 하방)으로 후퇴 복귀함으로써 첩부부로부터 해방되고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되어 트레이(12) 내에 수용된다.
이상에 의해, 하나의 관 종류의 하나의 채혈관의 준비가 완료된다. 이후는 그 외에도 요구되고 있는 채혈관이 있으면 그 관 종류의 스토커(1)를 구동시켜 순차적으로 상술한 동작을 반복해서 채혈관(6)을 트레이(12) 내에 수용한다. 이와 같이 해서 상위 컴퓨터 및 의사의 컴퓨터 단말 등으로부터의 정보에서 요구되고 있는 모든 관 종류의 채혈관의 준비가 완료되면 한사람의 환자 분량에 대한 채혈용 채혈관의 준비가 완료되게 된다. 이후는 마찬가지로 해서 다른 환자의 채혈관을 준비하면 좋다.
이어서, 도 4의 평면도, 도 5의 정면도 및 도 6의 좌우 측면도를 참조해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B)에서는 세로열의 각 스토커(1)로부터 절출된 채혈관(6)을 중간 컨베이어(8) 또는 제 2 반송 수단(9)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으로서 버킷식 제 1 반송 수단(27)을 채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각 세로열 스토커군의 하방에 배치된 버킷식 반송 수단(27)은 도 5 및 도 6에 가장 잘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일체의 궤도(28)에 걸쳐진 이동체(29)를 갖고, 이동체(29)에 측면으로부터 보아서 L자 형상의 지지체가 요동 가능하게 피벗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의 상면에는 단면 역ハ자 형상의 버킷(30)이 항상 상방향을 향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싱되어 장착되어 있다. 이 스프링은 이동체(29)와 지지체 사이에 현가되어 있다. 궤도(28)의 종단측에는 상기 지지체에 접촉해서 그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가 배치되어 있다. 버킷(30)은 평상시는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상방향을 향하고 있고, 지지체가 스토퍼에 접촉했을 때는 상기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경사지고, 버킷(30)에 수용된 채혈관(6)을 중간 컨베이어(8) 또는 제 2 반송 수단(9)에 낙하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버킷식 제 1 반송 수단(27)의 종단측에는 채혈관(6)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슬라이더(11) 부분에 대기하는 채혈관이 있을 때는 채혈관(6)을 슬라이더(11)측에 공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동체(29)의 이동은 래크·피니언 방식이어도 좋고, 벨트 권취 방식이어도 좋고, 체인 구동 방식이어도 좋고, 또한 볼 스크루 방식이어도 좋다.
제어부는 상기 입수한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할 채혈관의 종류를 결정하고, 해당하는 종류의 채혈관(6)이 저장되어 있는 채혈관 스토커(1)의 구동 모터(5)를 구동시켜 절출 롤(3)을 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보조 롤(4)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동시에 해당하는 채혈관 스토커(1)의 절출 롤(3)의 하방에 버킷(30)이 위치하도록 제 1 반송 수단(27)의 이동체(29)를 이동시켜 대기시킨다. 상기 절출 롤(3)과 보조 롤(4)의 구동에 의해 절출 롤(3)의 오목홈(14)에 채혈관(6)이 들어가 수용된다. 그리고, 만약 오목홈(14)에 들어간 채혈관(6)에 캡끼리가 달라붙어 있는 채혈관(6)이 있었다고 해도 상기 채혈관(6)은 보조 롤(4)에 의해 되밀어져 오목홈(14)의 채혈관(6)과는 완전히 분리된다. 그리고, 절출 롤(3)이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결국 오목홈(14)은 하향으로 되어 이것에 수용된 채혈관(6)은 하방에서 대기하는 제 1 반송 수단(27)의 상향 상태의 버킷(30)에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 공급된다. 그리고, 제 1 반송 수단(27)의 이동체(29)의 이동에 의해 도 3의 우측으로 반송되어 L자 형상의 지지체가 스토퍼에 접촉하기 직전에 일단 정지하고 대기한다. 이 대기 상태는 반송 수단(27)의 종단측 센서에 의해 채혈관(6)이 공급되어 온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제 2 반송 수단(9)의 종단측에 설치된 슬라이더(11) 부분에 채혈관(6)이 대기 상태에 있지 않으면, 버킷식 제 1 반송 수단(27)은 그 종단측에서 검지된 채혈관(6)을 중간 컨베이어(8) 또는 제 2 반송 수단(9)에 떨어뜨려 넣어 공급한다.
중간 컨베이어(8)에 공급된 채혈관(6)은 상기 컨베이어(8)에 의해 도 5의 좌측 방향으로 반송되고 그 종단측에 있어서 하방의 제 2 반송 수단(9) 상에 낙하 공급된다.
슬라이더(11) 부분에 대기 상태의 채혈관(6)이 있으면 이 위치에 채혈관(6)을 유지하여 대기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가장 바로 앞측 채혈관 스토커(1)의 경우는 직접, 중간 컨베이어(8) 또는 제 2 반송 수단(9) 상에 절출한 채혈관(6)을 낙하 공급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더(11) 부분에 대기 상태의 채혈관(6)이 있을 경우는 절출을 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 2 반송 수단(9)은 낙하 공급된 채혈관(6)을 도 5의 우측 방향으로 반송한다. 채혈관(6)은 컨베이어의 종단측에서 그 선단이 도착 검지판(19)에 접촉하고 이것을 압박하여 도착 검지판(19)을 경사진 자세로부터 수직 하향의 자세로 요동시켜 정지하도록 된다.
이후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채혈관(6)을 인자·첩부 장치(10)측으로 이송하여 인자 후의 라벨을 채혈관(6)에 첩부해서 트레이(12)로 배출한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해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튜브 디스펜서(C)는 채혈관 스토커(1)를 세로 3열, 가로 2열로 배치하여 합계 6개를 병렬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각 세로열의 각 스토커(1)의 하방에는 각 스토커(1)로부터 절출된 채혈관(6)을 이송하기 위한 버킷식 제 1 반송 수단(27)이 배치되어 있다. 버킷식 제 1 반송 수단(2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이다. 단,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스토커(1)의 절출 롤(3)이 도 7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채혈관(6)을 장치 본체의 안측(후부측)으로 절출하도록 하고 있는 점이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경우와 상위하다.
또한, 버킷식 제 1 반송 수단(27)의 종단측 하방에는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채혈관을 인자·첩부 장치(10)측으로 이송하는 수단으로서의 제 2 반송 수단(3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반송 수단(31)은 상기 2대의 버킷식 제 1 반송 수단(27)의 좌단측으로부터 우단측까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반송 수단(31)의 종단측(도 8의 우측)에는 도착한 채혈관(6)을 인자·첩부 수단(10)에 압출해서 공급하기 위한 채혈관 이송 적재 수단으로서의 슬라이더(32)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32)는 평면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コ자 형상을 나타내고, 대향하는 전후의 측면에 제 2 반송 수단(31) 상에 도복된 자세로 적재된 채혈관(6)의 외경 치수보다 큰 높이 치수의 유지판(33)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들 유지판(33)을 연결하는 중간부의 하방측은 채혈관(6)이 통과할 수 있도록 공간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반송 수단(31)의 전후방 측면에는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킷식 반송 수단(27)으로부터 공급 컨베이어(31) 상에 낙하 공급된 채혈관(6)이 넘쳐흘러 떨어지지 않도록 가이드판(34, 34)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판(34, 34)의 상기 슬라이더(32)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슬라이더(32)가 동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반송 수단(31)의 시단측에는 채혈관(6)의 방향을 검지하는 방향 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종단측에는 채혈관(6)이 도착한 것을 검지하는 도착 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시단측의 방향 검지 수단은 채혈관(6)의 저부측이 다가왔을 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를 통과해서 L자 형상의 저부 검지판(35)을 요동시켜 투광 센서로부터 조사된 광이 수광되므로 저부인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채혈관(6)의 머리부(캡)측이 다가왔을 때에는 캡이 게이트에 걸려 통과할 수 없으므로 머리부인 것을 검지할 수 있다.
한편, 제 2 반송 수단(31)의 종단측의 도착 검지 수단은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L자 형상의 도착 검지판(19)을 갖고 있다. 도착 검지판(19)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듬히 경사진 자세로 대기하고 있고, 채혈관(6)이 보내지면 이것에 압박되어 수직 하향의 상태가 되고 동시에 채혈관(6)의 정지 위치를 결정하도록 된다. 도착 검지판(19)은 경사진 대기 상태에서는 적외선 센서나 포토 센서 등의 투수광기로 이루어지는 검지 센서(도시하지 않음)의 조사광이 차단되고, 채혈관(6)이 도착한 수직 하향의 상태에서는 투광기로부터 조사된 광이 수광기에 수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2 반송 수단(31)의 하방이고 인자·첩부 장치(10)의 전방측에는 라벨 첩부 후의 채혈관(6)을 배출하는 수단으로서의 컨베이어(36)가 제 2 반송 수단(31)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 컨베이어(36)의 종단측에는 트레이(12) 적재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트레이 적재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트레이(12)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광학적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센서는 투광 센서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 센서로 검지하는 타입의 것이나 반사형 투수광 센서이어도 좋다.
또한, 트레이 적재부의 안측에는 수동 첩부용 라벨(37)의 인자 장치(38)가 장착되어 있다. 수동 첩부용 라벨(37)의 롤(39)로부터 풀려나오는 라벨에 대하여 환자 정보 등을 인자하고 하나의 라벨(37)마다 커팅해서 트레이(12)에 낙하 공급하는 것이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 3 실시형태의 튜브 디스펜서(C)의 동작 형태를 설명한다. 어느 하나의 스토커(1)로부터 절출된 채혈관(6)은 버킷식 제 1 반송 수단(27)에 의해 도 7의 좌단측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버킷이 스토퍼에 접촉함으로써 버킷이 경도(傾倒)하고 채혈관(6)을 제 2 반송 수단(31) 상에 낙하 공급한다. 채혈관(6)이 공급되면 제 2 반송 수단(31)은 도 7의 좌방향으로 채혈관(6)을 반송한다. 채혈관(6)의 저부측이 선단으로 되어 반송되어 왔을 때는 게이트를 통과해서 방향 검지판(35)을 요동시키므로 수광 센서가 ON 동작해서 저부가 다가온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채혈관(6)의 캡측이 선단으로 되어 반송되어 왔을 때는 캡이 게이트에 걸려 방향 검지판(35)이 요동하지 않으므로 캡측이 다가온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이들 검지 신호는 제어부를 통해 인자 장치(20)로 전달되어 라벨로의 인자 방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채혈관 스토커(1)로의 채혈관(6)의 투입은 그 방향을 걱정하지 않고 랜덤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원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해서 채혈관(6)의 방향이 검지된 후는 제 2 반송 수단(31)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채혈관(6)을 도 7의 우측 끝방향으로 반송한다. 채혈관(6)은 コ자 형상의 슬라이더(32)의 중간으로 침입한다. 그리고, 채혈관(6)의 선단은 도착 검지판(19)에 접촉하고 이것을 요동시켜 제 2 반송 수단(3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것과 동시에 슬라이더(32)가 채혈관(6)을 유지한 상태로 도 7의 우방향으로 이동하여 라벨 첩부 장치(21)에 채혈관(6)을 낙하 공급한다. 이어서, 라벨 첩부 장치(21)의 가압 롤러(26)가 도 7의 우경사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채혈관(6)을 구동 롤러(24), 지지 롤러(25) 3개의 롤러로 가압 협지해서 채혈관(6)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된다. 이때, 환자 정보 등이 인자된 라벨이 구동 롤러(24)와 채혈관(6) 사이에 공급되고 라벨이 채혈관(6)에 첩부된다.
라벨 첩부가 완료되면 가압 롤러(26)는 개방 위치로 복귀 동작한다. 이 때문에, 라벨이 첩부된 채혈관(6)은 자체 중량에 의해 가이드판(40)(도 7 참조)에 안내되고 배출 컨베이어(36) 상에 낙하 공급된다. 그리고, 배출 컨베이어(36)의 구동에 의해 채혈관(6)은 도 7의 좌방향으로 이송되어 트레이(12) 내에 투입된다. 이와 같이 해서, 한 환자 분량의 검사 항목에 따른 복수 종류의 채혈관(6)을 준비한다. 또한 6대의 스토커(1)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특정한 채혈관에 대해서는 수동 첩부용 인자 장치(38)로 라벨에 환자 정보만을 인자하고 파셜 커팅(partial cut)해서 트레이(12)에 투입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채혈관(6) 및 수동 첩부 라벨의 준비가 완료된 후는 트레이(12)가 인출되어 채혈이 행해진다. 또한, 채혈할 때에는 병원측 스탭이 준비한 특정한 채혈관에 병원측 스탭이 수동 첩부 라벨을 수작업으로 첩부하도록 하고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그런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튜브 디스펜서를 세로열의 스토커군을 가로로 일렬만 배치한 것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세로 일렬만의 스토커군의 하방에 각 채혈관 스토커로부터 절출된 채혈관을 바로 앞측으로 반송하는 컨베이어식 또는 버킷식 등의 절출 채혈관의 제 1 반송 수단을 배치하고, 이 절출 채혈관의 제 1 반송 수단의 종단측의 하방에 채혈관 이송 적재 수단으로서의 슬라이더를 배치하면 좋다. 그리고, 슬라이더에 근접하게 라벨의 인자·첩부 장치를 배치하면 좋다. 즉, 세로 일렬만의 스토커군으로 이루어지는 튜브 디스펜서를 구성할 수 있어 소규모 병원이나 채혈 자동차 등에도 도입이 용이한 매우 심플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
1 : 채혈관 스토커 2 : 스토커 본체
3 : 절출 롤 4 : 보조 롤
5 : 구동 롤 6 : 채혈관
7 : 컨베이어식 절출 채혈관의 제 1 반송 수단
8 : 중간 컨베이어 9 : 채혈관의 제 2 반송 수단
10 : 인자·첩부 수단 11 : 슬라이더
27 : 버킷식 절출 채혈관의 제 1 반송 수단
28 : 궤도 29 : 이동체
30 : 버킷 31 : 채혈관의 제 2 반송 수단
32 : 슬라이더 36 : 배출 컨베이어
38 : 수동 첩부 라벨의 인자 장치
A : 컨베이어식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
B : 버킷식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
C :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

Claims (7)

  1. 종류별 채혈관을 가로 적재 자세로 수용하는 채혈관 스토커 단체를 수평면 내에서 세로열과 가로열로 각각 복수열 배치한 채혈관 스토커 장치와,
    각 세로열 스토커군의 하방에 배치되고 각 채혈관 스토커로부터 절출된 채혈관을 바로 앞측으로 반송하는 절출 채혈관의 제 1 반송 수단과,
    상기 제 1 반송 수단의 종단측에 있어서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어 온 채혈관을 수취하여 수취한 채혈관을 그 이송 경로 중에 설치된 채혈관 이송 적재 수단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송하는 제 2 반송 수단과,
    상기 제 2 반송 수단 상의 채혈관을 제 2 반송 수단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출하는 상기 채혈관 이송 적재 수단과,
    상기 채혈관 이송 적재 수단에 근접해서 배치됨과 아울러 일방측의 상기 세로열의 채혈관 스토커군의 하방측이고 평면 시에서 상기 채혈관 스토커가 배치된 영역 내에 배치된 라벨의 인자·첩부 장치와, 타방측의 상기 세로열의 채혈관 스토커군의 하방측에 배치된 수동 첩부용 라벨을 인쇄하는 인자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송 수단의 하방에 이것과 평행한 채혈관 배출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세로열 스토커군의 하방에 배치된 절출 채혈관의 제 1 반송 수단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2 반송 수단 사이에 중간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된 채혈관은 상기 중간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제 2 반송 수단에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세로열 채혈관 스토커군이 가로열로 2열 배치되고, 장치 전체의 폭치수가 가로열 채혈관 스토커 전체의 폭치수보다 케이스의 치수 분량만큼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7025552A 2012-07-10 2013-07-09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 KR102036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54575 2012-07-10
JP2012154575 2012-07-10
PCT/JP2013/068787 WO2014010608A1 (ja) 2012-07-10 2013-07-09 ダブルデッキ型チューブディスペンサ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494A KR20150035494A (ko) 2015-04-06
KR102036513B1 true KR102036513B1 (ko) 2019-10-25

Family

ID=4991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552A KR102036513B1 (ko) 2012-07-10 2013-07-09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98197B2 (ko)
EP (1) EP2873977B1 (ko)
JP (1) JP5905095B2 (ko)
KR (1) KR102036513B1 (ko)
CN (1) CN104272115B (ko)
DK (1) DK2873977T3 (ko)
ES (1) ES2802848T3 (ko)
WO (1) WO20140106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2863B2 (ja) 2013-07-17 2017-08-02 株式会社テクノメデイカ 採血管自動準備装置
JP6169010B2 (ja) * 2014-01-31 2017-07-26 株式会社サニー・シーリング 検体情報管理システム
US9315286B2 (en) * 2014-05-22 2016-04-19 Milad A. Hanna Test tube labeling assembly
JP2016075566A (ja) * 2014-10-06 2016-05-12 株式会社テクノメデイカ 採血後採血管仕分け装置
KR101634327B1 (ko) * 2014-12-17 2016-06-29 (주)중앙에프에이 채혈관 자동 준비장치
CN108027379B (zh) 2015-06-26 2021-07-23 雅培实验室 用于诊断分析设备的反应容器交换装置
KR101746071B1 (ko) * 2015-10-21 2017-06-21 에너지움 주식회사 시험관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 부착 시스템
CN105383951B (zh) * 2015-12-08 2018-01-16 苏州金艾特科技有限公司 一种试管预备装置与方法
CN105539971A (zh) * 2016-03-10 2016-05-04 上海鼎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试管贴标机
CN105923380B (zh) * 2016-06-08 2018-04-06 苏州鼎实医疗科技有限公司 用于自动试管喷码装置中的试管转移装置
CN106586158A (zh) * 2017-02-20 2017-04-26 济南乐众智能医疗科技有限公司 采血管自动落管、输送管装置
CN106995082A (zh) * 2017-04-14 2017-08-01 苏州金艾特科技有限公司 采血管准备装置
KR101796898B1 (ko) * 2017-06-21 2017-11-13 주식회사 크레도웨이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BE1025543B1 (nl) 2017-09-01 2019-04-08 Anheuser-Busch Inbev Nv Openingshulpmiddel voor drankblikken
BE1024967B1 (nl) 2017-09-01 2018-08-29 Anheuser-Busch Inbev Nv Automatisch verkoopautomaat voor drankblikken
US20210053066A1 (en) 2018-01-23 2021-02-25 Roche Molecular Systems, Inc. Tube tray for secondary tubes, secondary tube handling module, and method of handling secondary tubes in an automated processing system
BR112020020025A2 (pt) * 2018-03-30 2021-01-05 Techno Medica Co., Ltd Dispositivo automático de preparação de tubos de amostragem de sangue
KR102124348B1 (ko) * 2018-06-20 2020-06-22 에너지움 주식회사 시험관 자동정렬 라벨 부착 장치
CN108790420A (zh) * 2018-08-08 2018-11-13 甘肃驰奈生物能源系统有限公司 一种取样管条码信息高效打印机构
CN109319245B (zh) * 2018-08-24 2020-12-01 南方医科大学南方医院 一种自动黏贴试管标签的装置
KR102232525B1 (ko) * 2019-06-10 2021-03-29 에너지움 주식회사 순차적 라벨링이 가능한 시험관 라벨링 장치 및 그의 동작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2141468A (zh) * 2019-06-27 2020-12-29 武汉大学 一种自动取试管和贴标签装置
CN110254968A (zh) * 2019-07-15 2019-09-20 陈巧佩 一种医用采血管智能发放装置
CN110550333B (zh) * 2019-07-16 2021-03-23 苏州翌恒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螺杆式采血管移动装置及采血管移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210A (ja) 2000-10-03 2002-04-09 Astec Corp:Kk 採血管準備装置
JP2002340910A (ja) 2001-05-15 2002-11-27 Techno Medica Co Ltd 採血管準備装置
JP2008120404A (ja) 2006-11-09 2008-05-29 Astec Corp:Kk チューブディスペンサー
US20110145006A1 (en) * 2007-05-08 2011-06-16 Inpeco Ip Ltd. Apparatus and procedure for identifying patients and marking containers for biological samples of said patien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527A (ja) * 1995-06-05 1996-12-10 Olympus Optical Co Ltd 試験管用ラベル貼付装置
JP4321789B2 (ja) * 1999-02-25 2009-08-26 株式会社新盛インダストリーズ ラベルを貼着するための試験管の堆積状態からの搬送装置
WO2002092437A1 (fr) * 2001-05-15 2002-11-21 Techno Medica Co., Ltd. Dispositif pour préparer des tubes de collecte de sang
JP4484472B2 (ja) 2003-08-25 2010-06-16 株式会社テクノメデイカ 採血管自動準備システム
JP4453733B2 (ja) * 2007-09-14 2010-04-21 満 佐藤 トレイユニット一体型の試験管準備装置
JP5055074B2 (ja) * 2007-09-25 2012-10-24 株式会社テクノメデイカ 採血管自動準備装置
IT1398841B1 (it) * 2008-07-10 2013-03-21 Dachi S R L Apparato di marcatura automatica di contenitori di campioni biologici
JP4356096B1 (ja) 2008-08-29 2009-11-04 満 佐藤 ハンガータイプの試験管ストッカー及び試験管準備装置
KR101550247B1 (ko) * 2009-06-24 2015-09-04 가부시키가이샤 에이에프씨 채혈관 스토커 및 채혈관 준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210A (ja) 2000-10-03 2002-04-09 Astec Corp:Kk 採血管準備装置
JP2002340910A (ja) 2001-05-15 2002-11-27 Techno Medica Co Ltd 採血管準備装置
JP2008120404A (ja) 2006-11-09 2008-05-29 Astec Corp:Kk チューブディスペンサー
US20110145006A1 (en) * 2007-05-08 2011-06-16 Inpeco Ip Ltd. Apparatus and procedure for identifying patients and marking containers for biological samples of said pati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73977B1 (en) 2020-04-01
JPWO2014010608A1 (ja) 2016-06-23
US9598197B2 (en) 2017-03-21
ES2802848T3 (es) 2021-01-21
WO2014010608A1 (ja) 2014-01-16
JP5905095B2 (ja) 2016-04-20
KR20150035494A (ko) 2015-04-06
CN104272115A (zh) 2015-01-07
DK2873977T3 (da) 2020-06-08
EP2873977A4 (en) 2016-04-06
US20150197362A1 (en) 2015-07-16
CN104272115B (zh) 2016-11-09
EP2873977A1 (en)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513B1 (ko) 더블 데크형 튜브 디스펜서
KR101897320B1 (ko) 채혈관 자동 준비 장비
TWI480212B (zh) Collection of blood vessels and blood collection device
JP5838526B2 (ja) 採血管自動準備システム
JP4356096B1 (ja) ハンガータイプの試験管ストッカー及び試験管準備装置
CN105109779A (zh) 一种试管准备装置及方法
JP2008268033A (ja) ラックへの試験管準備装置
CN109515896B (zh) 试管自动贴标设备及其方法
JP5399797B2 (ja) 採血管ストッカー及び採血管準備装置
JP2009069074A (ja) トレイユニット一体型の試験管準備装置
JP3434460B2 (ja) 採血作業用装置
JP5448230B2 (ja) 採血管ストッカー及び採血管準備装置
JP3724917B2 (ja) 採血管搬送システム
JP2013140060A (ja) バケット式チューブディスペンサー
JP2008120404A5 (ko)
CN205256820U (zh) 一种试管准备装置
JP2013139314A (ja) 採血管ストッカー装置及び縦型チューブディスペンサー
JP2009036642A (ja) 試験管用ラックの制御装置
JPH08266521A (ja) 採血管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