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247B1 - 채혈관 스토커 및 채혈관 준비 장치 - Google Patents

채혈관 스토커 및 채혈관 준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247B1
KR101550247B1 KR1020117030534A KR20117030534A KR101550247B1 KR 101550247 B1 KR101550247 B1 KR 101550247B1 KR 1020117030534 A KR1020117030534 A KR 1020117030534A KR 20117030534 A KR20117030534 A KR 20117030534A KR 101550247 B1 KR101550247 B1 KR 101550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blood collection
collection tube
stopper
blood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376A (ko
Inventor
타다이치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67245A external-priority patent/JP539979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0776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032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51674A external-priority patent/JP544823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이에프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이에프씨
Publication of KR2012002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65C3/08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 B65C3/14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2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belt, arranged to roll cylindrical articles over a supporting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178Special arrangements of analysers
    • G01N2035/00326Analysers with modular stru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732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 G01N2035/00861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printing and sticking of ident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2035/00891Display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 G01N2035/0091GUI [graphical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01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 G01N2035/0406Individual bottles or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74Details of actuating means for conveyors or pipettes
    • G01N2035/0482Transmission
    • G01N2035/0484Belt or cha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과제)
간이 소형이고 포터블이기도 하고, 탁상 등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재해시 등의 긴급 대응성에도 뛰어나고, 또한 의사로부터의 채혈 지시에 따라서 종류가 다른 채혈관을 준비할 수 있게 한다.
(해결 수단)
1개의 반송 벨트의 왕복하는 벨트들 사이에 채혈관 유지 부재를 벨트를 따라서 배치하고, 채혈관의 캡의 하단면을 채혈관 유지 부재와 왕로측 이송 벨트의 상단면으로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왕로측 벨트에 의해 캡을 통해서 채혈관에 이송(피드)해 주고 있다. 또한, 이들 스토커를 구성하는 부재를 하나의 모듈 내에 탑재하고, 장치 본체의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또한, 모듈 방식이므로 고장났을 경우나 메인터넌스시의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Description

채혈관 스토커 및 채혈관 준비 장치{BLOOD COLLECTION TUBE STOCKER AND DEVICE FOR PREPARING BLOOD COLLECTION TUBES}
본 발명은 채혈 검사의 전(前) 공정에 있어서의 채혈 공정에서의 채혈관의 사전 준비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서, 엔드리스 형상의 이송 벨트 내에 있어서 채혈관(시험관을 포함한다)을 매달기 방식으로 매달아 유지함과 아울러 이송 벨트로 채혈관에 이송해 주고,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모듈 방식으로 한 채혈관 스토커를 채용하고, 의사로부터의 채혈 지시에 따라서 종류가 다른 채혈관을 상기 모듈 방식의 스토커로부터 선택하여 환자 ID나 상기 채혈 지시 내용 등의 채혈 정보를 인자(印字)한 라벨을 부착하고, 라벨 부착 후의 채혈관을 환자별로 받침 접시에 수용할 수 있는 소형 또한 간단한 구조이고 이동성이 우수한 채혈관 준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 진료소 그 밖의 의료 기관에 있어서의 혈액 검사 부문에서는, 채혈 작업자(간호사 등)에 의해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혈관으로 채취 수용해서 검사 부문으로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혈액 검사에서는, 그 혈액 검사 항목에 따라서 다종류의 채혈관이 준비되어 있고, 통상 1명의 환자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검사가 동시에 행하여진다. 그 때문에, 채혈관의 준비도 1명의 환자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것이 채혈관 준비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준비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채혈실에서는 다수의 환자를 취급하는 것이 당연하고, 상기 채혈관 준비 장치에서 준비된 각 채혈관에는 환자 정보, 채혈 검사 정보 등의 바코드가 인쇄된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환자에게는 채혈 접수시에 접수 번호 등의 바코드가 인쇄된 채혈 접수표가 발행되고 있다. 채혈 작업시에는 이들 라벨이나 접수표의 내용을 바코드 리더 등의 광학적 기기에 의해 판독하여 환자 및 채혈관의 혼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채혈 업무의 자동화를 꾀하고, 채혈 업무를 지원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기술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종방향(수직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엔드리스 형상의 벨트 구동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벨트 구동 장치에서는 벨트 폭이 채혈관의 길이 치수 이상으로 설정되어, 벨트면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캐터필러 형상의 칸막이 판을 갖고, 벨트면의 전후 칸막이 판들 사이를 1개의 채혈관 수용부(저장부)로 해서 1개의 벨트면 상에 다수의 채혈관 수용부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1개의 벨트 구동 장치는 동일 종류의 채혈관을 수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캐터필러 방식으로 채혈관을 수용하는 벨트 구동 장치를 이용한 스토커 기구를 복수단 상하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채혈관을 취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의사로부터의 채혈 오더 정보에 의거하여 환자의 채혈에 필요한 채혈관을 대응하는 채혈관 스토커 기구부로부터 인출하고, 라벨 인자·부착 수단을 이용하여 환자의 채혈에 관한 정보를 라벨에 인자하고, 인자 후의 라벨을 인출한 채혈관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라벨 부착 후의 채혈관을 배출 수단에 의해 채혈관 회수부까지 이송하고, 채혈관 회수부에서 환자별로 받침 접시에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채혈관 준비 장치이면, 스토커 기구부가 상하로 겹쳐서 배치되는 관계상, 높이 방향의 치수가 상당한 것이 되어 장치 자체가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채혈관의 형상과 유사한 제품을 매달기 방식으로 반송하는 기술을 스토커로서 이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들 반송 기술은 수지 병 등의 구부 근방에 설치되는 환상의 플랜지부(링)를 이용하고, 좌우 2개의 반송 벨트들 사이에 있어서 반송 벨트에 상기 링을 맞물림 지지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를 부착하고, 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어태치먼트 사이에 수지 병 등의 링을 걸어서 매달린 상태에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5-676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6-2185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7-145493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 나타내는 기술에서는 좌우로 배치한 2개의 반송 벨트를 한 쌍으로 해서 하나의 반송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며, 하나의 반송 장치를 위해서 2개의 반송 벨트의 구동 기구가 필요했다.
또한, 2개의 반송 벨트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배치하면 좌우의 반송 벨트의 2개의 풀리의 직경을 더한 치수와 벨트의 두께 치수 및 어태치먼트의 치수와 반송하는 제품의 폭 치수가 필수가 된다. 따라서, 전체로서는 폭 방향의 치수가 상당한 것이 되어, 다종류의 채혈관을 자동적으로 준비하는 장치로서 구성했을 경우 장치 전체의 대형화는 피할 수 없고, 상기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의 기술을 그대로 채혈관 준비 장치에 적용할 수는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기술에서는 다종류의 채혈관의 수용부를 상하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하는 관계상, 상하 방향의 높이 치수가 커진다고 하는 대형화의 문제가 있고,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 나타내는 기술을 그대로 채혈관 준비 장치의 기술에 이용한 경우에는 수평 방향의 폭 치수가 커져서 역시 다종류의 채혈관을 취급하는 장치로서 구성했을 때에는 장치 자체가 대형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 나타내는 기술을 그대로 이용한 경우에는 취급하는 채혈관 종류의 수의 2배의 반송 기구를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채혈관 준비 장치의 대형화의 문제는 레이아웃 변경 등을 할 때에는 용이하게 채혈관 준비 장치를 이동시키거나 할 수 없고, 또한 특히 소규모의 병원에 적용하기에는 스페이스적으로 제한을 받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형화의 문제는 재해시 등에 있어서 간이로 설치할 필요가 있을 경우 등에도 대처할 수 없는 원인 중 하나가 되어 긴급 대응을 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의 상기 과제에 비추어 보아서 이것을 개량 제거하고, 간이 소형이고 포터블이기도 하고, 웨건에 싣고 병상으로 이동하거나, 탁상 등에도 적재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재해시 등의 긴급 대응성에도 뛰어나며, 의사로부터의 채혈 지시에 따라서 종류가 다른 채혈관을 준비할 수 있는 매달기 방식이며 또한 탈착 용이하게 한 모듈 방식의 채혈관 스토커 및 이것을 이용한 올인원 타입의 채혈관 준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1의 수단은, 양단측에 설치된 풀리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엔드리스 형상의 이송 벨트와, 상기 이송 벨트의 왕복하는 벨트들 사이에 있고 이송 벨트를 따라서 설치된 채혈관 유지 부재를 갖고, 왕로측 이송 벨트의 상단면과 상기 채혈관 유지 부재의 상단면 사이에 채혈관 캡의 대향하는 하단면을 적재함과 아울러 채혈관 유지 부재의 종단측을 통과한 위치에 있어서 채혈관이 자중에 의해 낙하 배출되는 배출부를 설치하고, 채혈관 유지 부재의 종단측에 선두의 채혈관의 캡 전면에 대하여 진입 퇴출 가능한 제 1 스토퍼와 선두로부터 첫 번째 채혈관과 두 번째 채혈관의 캡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진입 퇴출 가능한 두 갈래 형상의 제 2 스토퍼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를 동일한 축에 피봇 지지된 2개의 암의 선단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각 암의 후단측에는 솔레노이드를 연결해서 이루어지고, 이들 이송 벨트, 채혈관 유지 부재, 채혈관의 배출부,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 2개의 암 및 솔레노이드가 하나의 케이싱에 수납된 모듈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스토커이다.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2의 수단은, 양단측에 설치된 풀리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엔드리스 형상의 이송 벨트와, 상기 이송 벨트의 왕복하는 벨트들 사이에 있고 또한 이송 벨트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채혈관 캡의 대향하는 하단면을 지지해서 이것을 매달아 유지하는 2개의 채혈관 지지 레일을 설치하고, 왕로측 이송 벨트 내측의 평탄면을 상기 채혈관 지지 레일에 매달아 유지된 채혈관의 관 본체의 측면에 접촉시키고 채혈관 지지 레일의 종단측을 통과한 위치에 있어서 채혈관이 자중에 의해 낙하 배출되는 배출부를 설치하고, 채혈관 지지 레일의 종단측에 선두의 채혈관의 캡 전면에 대하여 진입 퇴출 가능한 제 1 스토퍼와 선두로부터 첫 번째 채혈관과 두 번째 채혈관의 캡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진입 퇴출 가능한 두 갈래 형상의 제 2 스토퍼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를 동일한 축에 피봇 지지된 2개의 암의 선단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각 암의 후단측에는 솔레노이드를 연결해서 이루어지고, 이들 이송 벨트, 채혈관 지지 레일, 채혈관의 배출부,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 2개의 암 및 솔레노이드가 하나의 케이싱에 수납된 모듈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스토커이다.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3의 수단은, 양단측에 설치된 풀리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엔드리스 형상의 이송 벨트와, 상기 이송 벨트가 왕복하는 벨트들 사이에 있고 이송 벨트를 따라서 설치된 채혈관 유지 부재를 갖고, 왕로측 이송 벨트의 상단면과 상기 채혈관 유지 부재의 상단면 사이에 채혈관 캡의 대향하는 하단면을 적재함과 아울러 채혈관 유지 부재의 종단측을 통과한 위치에 있어서 채혈관이 자중에 의해 낙하 배출되는 배출부를 설치하고, 채혈관 유지 부재의 종단측에 선두의 채혈관의 캡 전면에 대하여 진입 퇴출 가능한 제 1 스토퍼와 선두로부터 첫 번째 채혈관과 두 번째 채혈관의 캡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진입 퇴출 가능한 두 갈래 형상의 제 2 스토퍼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를 동일한 축에 피봇 지지된 2개의 암의 선단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각 암의 후단측에는 솔레노이드를 연결해서 이루어지고, 이들 이송 벨트, 채혈관 유지 부재, 채혈관의 배출부,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 2개의 암 및 솔레노이드가 하나의 케이싱인 모듈에 수납되어 있는 채혈관 스토커를 복수 개 준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혈관 스토커를 복수 개가 병행되어서 설치된 레인(lane)에 모듈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수납하고, 각 채혈관 스토커의 배출부의 영역에 미치는 배출부의 하방에 반송 벨트를 설치하고, 상기 반송 벨트의 종단측에 라벨의 인자·부착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인자·부착 수단의 배출부 근방에 채혈관 수납용 받침 접시 적재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준비 장치이다.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4의 수단은, 양단측에 설치된 풀리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엔드리스 형상의 이송 벨트와, 상기 이송 벨트의 왕복하는 벨트들 사이에 있고 또한 이송 벨트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채혈관 캡의 대향하는 하단면을 지지해서 이것을 매달아 지지하는 2개의 채혈관 지지 레일을 설치하고, 왕로측 이송 벨트의 내측의 평탄면을 상기 채혈관 지지 레일에 매달아 지지된 채혈관의 관 본체의 측면에 접촉시키고, 채혈관 지지 레일의 종단측에는 채혈관이 자중에 의해 낙하 배출되는 배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부의 하방에는 채혈관의 반송 벨트를 설치하고, 상기 반송 벨트의 종단측에 라벨의 인자·부착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인자·부착 수단의 배출부 근방에 채혈관 수납용 받침 접시 적재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준비 장치이다.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5의 수단은, 양단측에 설치된 풀리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엔드리스 형상의 이송 벨트와, 상기 이송 벨트의 왕복하는 벨트들 사이에 있고 또한 이송 벨트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채혈관 캡의 대향하는 하단면을 지지해서 이것을 매달아 지지하는 2개의 채혈관 지지 레일을 설치하고, 왕로측 이송 벨트의 내측의 평탄면을 상기 채혈관 지지 레일에 매달아 지지된 채혈관의 관 본체의 측면에 접촉시키고, 채혈관 지지 레일의 종단측을 통과한 위치에 있어서 채혈관이 자중에 의해 낙하 배출되는 배출부를 설치하고, 채혈관 지지 레일의 종단측에 선두의 채혈관의 캡 전면에 대하여 진입 퇴출 가능한 제 1 스토퍼와 선두로부터 첫 번째 채혈관과 두 번째 채혈관의 캡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진입 퇴출 가능한 두 갈래 형상의 제 2 스토퍼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를 동일한 축에 피봇 지지된 2개의 암의 선단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각 암의 후단측에는 솔레노이드를 연결해서 이루어지고, 이들 이송 벨트, 지지 레일, 채혈관의 배출부,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 2개의 암 및 솔레노이드가 하나의 케이싱인 모듈에 수납되어 있는 채혈관 스토커를 복수 개 준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혈관 스토커를 복수 개가 병행되어서 설치된 레인에 모듈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수납하고, 각 채혈관 스토커의 배출부의 영역에 미치는 배출부의 하방에 반송 벨트를 설치하고, 상기 반송 벨트의 종단측에 라벨의 인자·부착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인자·부착 수단의 배출부 근방에 채혈관 수납용 받침 접시 적재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준비 장치이다.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6의 수단은, 받침 접시 적재부에는 받침 접시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1명의 환자에 대하여 채혈관을 받침 접시에 수용한 후 다음 환자의 채혈관을 수용할 때에는 일단 받침 접시가 인출된 것을 감지한 후 별도의 받침 접시가 감지되었을 경우가 아니면 각 부의 동작이 기동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는 상기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에 기재된 채혈관 준비 장치이다.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7의 수단은, 반송 벨트의 가장 상류측에 위치하는 채혈관 스토커의 배출부의 근방에는 수작업으로 채혈관을 상기 반송 벨트 상에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채혈관 준비 장치이다.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8의 수단은, 인자·부착 수단의 근방이며 또한 받침 접시 적재부에 임하는 위치에는 타용도의 별도의 프린터가 내장되어 있는 상기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채혈관 준비 장치이다.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9의 수단은, 채혈관 준비 장치 본체에는 상위 컴퓨터와 통신 가능하고 각종 유저 인터페이스가 설치된 보드 컴퓨터가 내장되어 있는 상기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채혈관 준비 장치이다.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10의 수단은, 인자·부착 수단은 프린터 유닛으로서 채혈관 준비 장치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프린터 유닛을 채혈관 준비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해서 시판품으로 교환해서 탑재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상기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채혈관 준비 장치이다.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11의 수단은, 채혈관 준비 장치의 기동용 스위치가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ON, OFF 제어되도록 한 상기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채혈관 준비 장치이다.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12의 수단은, 장치 본체의 외표면에는 상기 채혈관 준비 장치의 설정 상태 표시 및 각 조작 스위치에 연동해서 설정 변경 안내 표시를 하기 위한 설정 상태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채혈관 준비 장치이다.
본 발명이 채용한 청구항 13의 수단은, 상기 채혈관 준비 장치는 내장 또는 외부 접속된 CPU를 갖고, 상기 CPU에는 채혈관 준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고, 장치 본체의 외표면에는 상기 CPU의 입력부 및 모니터를 겸용하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채혈관 준비 장치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1개의 엔드리스 형상의 이송 벨트의 왕복하는 벨트들 사이에 채혈관 유지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 채혈관 유지 부재는 레일 형상 또는 판 형상 부재 등의 평활면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으로서, 채혈관의 캡 하단면의 한쪽을 지지하는 것이다. 캡의 대향하는 다른 쪽 하단면은 이송 벨트의 왕로측 상단면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채혈관은 캡 하단면을 상기 채혈관 유지 부재와 왕로측 이송 벨트의 상단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들 부재 상을 미끄러져서 이동하게 된다. 채혈관에 이송해 주는 것은 상기 왕로측 이송 벨트의 상단면과 채혈관 캡의 하단면의 접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채혈관은 채혈관 유지 부재의 종단측에 있어서, 그 맞물림이 해제되어 왕로측 이송 벨트의 상단면에 캔틸레버 지지된 상태로 되고, 맞물림이 개방된 채혈관 유지 부재의 방향으로 캡(두부)측이 경사져서 그대로 낙하한다. 그리고 배출된다.
이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1개의 반송 벨트의 왕복하는 벨트들 사이에 채혈관의 캡 하단면을 지지하는 매달기 방식의 스토커를 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스토커에 있어서의 채혈관의 반송 장치를 1종류의 채혈관에 대해서 1개의 반송 장치로 구성할 수 있고, 반송 장치의 수를 필요 최소한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반송 벨트의 왕복하는 벨트들 사이에 채혈관의 스토커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1개의 스토커의 폭은 불과 수 센티미터이고, 다종류의 채혈관에 대응하기 위해 복수 종류의 스토커를 병설한 경우라도 전체로서의 폭 치수는 종래 기술에 비해서 현격하게 작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청구항 1의 발명은 선두의 채혈관을 1개씩 잘라내서 배출하도록 한 기구이고,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를 갖고 있다. 제 1 스토퍼는 선두의 채혈관의 캡 전면측에 접촉할 수 있도록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2 스토퍼는 선두와 두 번째 채혈관의 캡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스토퍼가 선두의 채혈관의 캡 전면측에 접촉하고, 제 2 스토퍼가 선두와 두 번째 채혈관의 캡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진입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제 1 스토퍼가 퇴출 동작을 해서 선두의 채혈관의 캡 전면측과의 맞물림을 해방하면 선두의 채혈관은 왕로측 이송 벨트의 상단면과 캡 하단면의 접합에 의한 이송에 의해 더욱 전진하고, 이윽고 채혈관 유지 부재의 종단측과의 맞물림이 해방된다. 그 때문에, 선두의 채혈관은 캡측이 채혈관 유지 부재가 없어진 쪽으로 경사진 자세로 되고, 결국에는 다른 쪽의 왕로측 이송 벨트의 상단면과의 맞물림도 분리되게 되어 자중에 의해 낙하 배출된다. 두 번째 이후의 채혈관은 제 2 스토퍼에 의해 정지한 상태이다. 선두의 채혈관이 배출된 후 제 1 스토퍼가 복귀 동작하고 제 2 스토퍼가 퇴출 동작을 했을 때에, 나머지 채혈관은 전부가 밀려서 채혈관 1개분만큼 전진하고, 제 1 스토퍼에 의해 이동이 정지된다. 그 후에, 제 2 스토퍼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 동작한다.
또한,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는 예를 들면 암의 일단측에 부착되어 있고, 암의 중간 부분을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고, 암의 타단측에 솔레노이드(솔레노이드의 로드 선단)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를 ON, OFF 제어함으로써 솔레노이드의 로드가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돌출 퇴입 동작을 하고, 암의 일단측에 부착된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가 각각 채혈관의 캡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동작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의 진퇴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선두의 채혈관을 1개씩 잘라내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채혈관 유지 부재의 종단측 하방에 채혈관을 눕힌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 벨트를 설치하고 있다. 반송 벨트는 청구항 2의 발명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채혈관 유지 부재의 종단측으로부터 경사지면서 낙하 공급되는 채혈관의 저부를 끌어내어 눕힌 상태로 반송하게 된다. 그 때문에, 채혈관의 방향이 항상 저부측이 선두가 되어 반송되게 되어, 다음의 라벨 부착 공정에 있어서 채혈관의 방향을 맞추는 등의 수고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이송 벨트, 채혈관 유지 부재, 채혈관의 배출부,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 2개의 암 및 솔레노이드의 각 구성 부재를 하나의 케이싱에 수납한 모듈 방식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모듈 방식으로 함으로써 채혈관의 종류에 대응한 모듈을 준비해 두면, 채혈관의 관종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도 모듈을 교환하기만 해도 되어 매우 간단하고 또한 신속한 대처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고장났을 경우에 모듈 단위로 센드 백 방식에 의한 수리를 행할 수 있어 원격지 대응도 용이하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는, 이송 벨트의 상방 위치에 있어서 2개의 채혈관 지지 레일로 채혈관의 캡 하단면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채혈관은 2개의 지지 레일 사이에 집어넣는 것만으로 이것에 다수의 것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채혈관 본체의 측면에 이송 벨트를 접합시켜서 채혈관에 이송해 주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채혈관의 저장 방식 및 반송 방식이면 이송 벨트와 채혈관의 캡이 접촉할 일이 없고, 이송 벨트의 뒤틀림에 의한 채혈관 탈락의 우려도 없어진다. 채혈관의 잘라내기는 선두의 채혈관의 캡 전면에 대하여 진입 퇴출 가능한 제 1 스토퍼와, 선두로부터 첫 번째 채혈관과 두 번째 채혈관의 캡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진입 퇴출 가능한 두 갈래 형상의 제 2 스토퍼를 교대로 동작시킴으로써 행하고 있다.
또한, 이 채혈관 스토커는 각 동작 기구부가 하나의 케이싱에 수납된 모듈 방식이고, 고장났을 때에는 모듈 단체(單體)를 분리하여 센드 백 방식 등의 수리 대응이 가능해서 원거리의 수요자에게 있어서는 대단히 편리하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채혈관 준비 장치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인 채혈관 스토커를 사용하고, 스토커로부터 1개씩 잘라내어져서 배출된 채혈관을 그 저부측이 선두가 되도록 눕혀서 라벨의 인자·부착 수단의 위치까지 반송한다. 라벨의 인자 부착 수단에서는, 예를 들면 상위 시스템 또는 의사의 PC 단말로부터 상기 채혈 환자의 채혈 정보를 입수하여 라벨에 인자하고, 인자 후의 라벨을 채혈관의 외주면에 부착한다. 부착 후는 동일 환자별로 받침 접시에 수용된다.
이러한 채혈관용 스토커를 사용한 채혈관 준비 장치이면, 다종류의 채혈관을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했을 경우라도 그 크기는 매우 작아 전체의 경량 소형화라고 하는 점에 관해서 뛰어난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청구항 3에 기재된 채혈관 준비 장치는 콤팩트하고 또한 포터블해서 이동도 용이하다. 그 때문에, 재해시 등에 있어서 현장의 구급 시설 등으로 반입 설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의사가 사용하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컴퓨터 단말에 접속해서 의사가 진찰한 환자의 채혈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채혈에 필요한 채혈관을 스토커로부터 선택적으로 인출하고, 이것에 환자의 채혈 정보를 인자한 라벨을 부착하여 환자별로 받침 접시에 수용하고, 채혈 준비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인 경영의 병원 등에 있어서도 채혈관 준비 장치의 도입이 가능해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입원 병동에 있어서는 이동할 수 있는 웨건에 상기 채혈관 준비 장치를 적재하고, 각 병실의 환자의 침상까지 가서 본 장치 채혈관을 자동적으로 준비하여 채혈을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채혈관 준비 장치의 발명은 채혈관 스토커가 모듈 방식이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모듈 방식에 의한 상승 효과가 얻어지고, 관종의 변경 등에 대한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메인터넌스도 모듈째로 센드 백 방식에 의한 수리 의뢰 등을 행할 수 있고, 그동안 별도의 동일한 관종의 모듈을 이용하여 채혈 준비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서 메인터넌스나 수리 때문에 채혈 준비 작업을 정지할 필요가 없다.
청구항 4의 발명의 채혈관 준비 장치에 있어서는, 2개의 레일에 의한 지지 방식의 채혈관 스토커를 이용하여 채혈관을 잘라낸 후 상기 채혈관을 라벨 인자·부착 수단의 개소까지 반송하고, 라벨에 환자 정보 및 검사 정보 등의 필요 사항을 인자한 후, 라벨을 채혈관의 외주 측면에 부착하여 받침 접시부로 투입하고 있다.
채혈관 스토커를 복수 열 설치하면, 복수 종류의 채혈관을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에서도 1개의 채혈관 스토커의 폭은 30∼40㎜ 정도이며, 전체로서의 최대 폭을 매우 작게 해서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5의 발명의 채혈관 준비 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2개의 지지 레일로 채혈관을 매달아 지지하면서 반송하는 모듈 방식의 채혈관 스토커를 이용하여 복수 종류의 채혈관을 선택하고, 이것에 환자 정보 및 검사 정보 등의 필요 사항을 인자한 라벨을 부착하여 1명의 환자분의 채혈관을 준비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작용 효과는 상기 청구항 3 및 청구항 4의 발명과 같다.
청구항 6의 발명은, 받침 접시 적재부에 받침 접시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1명의 환자에 대하여 채혈관을 받침 접시에 수용한 후에 다음 환자의 채혈관을 수용할 때에는 일단 받침 접시가 인출된 것을 감지한 후 별도의 받침 접시가 감지되었을 경우가 아니면 각 부의 동작이 기동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확실하게 환자별로 채혈관의 수용이 가능하고 다른 환자와의 채혈관의 혼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각 채혈관 스토커로부터 배출된 채혈관을 라벨의 인자·부착 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반송 벨트의 상류측에 수작업으로 채혈관을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은 빈도가 낮은 채혈 검사나 특수한 채혈 검사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각 채혈관 스토커에서는 빈번히 사용되는 관종의 채혈관을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사용 빈도가 낮은 채혈 검사나 특수한 채혈 검사의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 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는 사용 빈도가 낮은 채혈 검사나 특수한 채혈 검사에 사용하는 채혈관을 작업원이 수작업으로 공급할 수 있는 개구를 설치하고, 라벨의 인자·부착 수단 쪽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채혈관 준비 장치 본체 내에 타용도의 별도의 프린터가 내장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채혈 지시서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병동 등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채혈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인지의 여부가 불분명할 경우에, 채혈관에 라벨을 부착하지 않고 라벨에 환자 정보나 검사 정보 등의 필요 사항의 인자만을 이 별도용 프린터로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이라면 상기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환자의 침대에서 직접 채혈을 행하고, 채혈 후에 상기 수동 부착한 라벨을 채혈관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환자가 채혈할 수 없는 상태이면 수동 부착한 라벨은 받침 접시 안에 넣은 채로 해 두면 좋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상위의 메디컬 컴퓨터나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 LAN 접속하거나,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와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 보드를 내장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위의 컴퓨터로부터 환자 정보나 검사 정보 등을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올인원형의 채혈관 준비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인자·부착 수단이 프린터 유닛으로서 장치 본체로부터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프린터 유닛이 고장났을 때 등에 있어서는 이것을 대체품과 교환해서 장치의 기능을 유지하고, 고장난 프린터 유닛에 대해서는 센드 백 방식으로 수리 의뢰를 하는 것이 가능해서 메인터넌스 상도 편리하다. 이 프린터 유닛은 별도의 프린터가 설치될 때에는 이 별도의 프린터도 동일하게 교환 수리 및 센드 백 방식의 수리가 가능하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있어서는, 채혈관 준비 장치의 기동용 스위치가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ON, OFF 제어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병원 등에 있어서 채혈 검사의 작업의 개시 또는 종료시에 채혈 검사실의 기사장 또는 오퍼레이터는 채혈관 준비 장치의 기동용 스위치의 ON 또는 OFF 조작과, 상기 채혈관 준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CPU의 기동용 스위치의 ON 또는 OFF 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이 청구항 11의 발명과 같이 그 기동용 스위치의 ON, OFF를 리모트 컨트롤 가능하게 해 두면 CPU 및 채혈관 준비 장치의 기동 또는 차단을 상위의 조작자가 병원 내의 LAN 등을 통해서 리모트 컨트롤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CPU의 입력부로부터 채혈관 준비 장치의 기동용 스위치의 ON, OFF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CPU에 있어서 상기 CPU와 채혈관 준비 장치의 전원의 ON, OFF를 CPU측에서 동시에 행할 수 있어 편리하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는, 장치 본체의 외표면에 설정 상태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설정 상태 표시부는 상기 장치의 설정 상태를 표시함과 아울러 장치 본체의 각 부의 기능 조작용 스위치에 연동해서 설정 변경 안내 표시를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현재의 장치의 설정 상태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설정 변경하는 경우에는 변경 내용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아무런 외부 부가 장치를 접속하지 않고 설정 상태의 확인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있어서의 채혈관 준비 장치는, 내장 또는 외부 접속된 CPU를 갖고, 상기 CPU에는 채혈관 준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 본체의 외표면에는 상기 CPU의 입력부 및 모니터를 겸용하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채혈관 준비 장치의 상위 시스템인 병원 정보 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및 검사 정보 시스템(Laboratory Information System)으로부터 취득한 환자 정보나 검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환자 정보로서는 환자 ID, 환자가 신종 인플루엔자나 HIV 등의 감염증 환자라는 등의 정보, 신체 장애자라는 등의 정보이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환자가 누구인지를 인식하거나, 상기 환자용 받침 접시(트레이)에 특수 병원균의 감염자이라는 등의 식별용 마크를 실시하거나, 통상 환자의 트레이와 분리하여 채혈 현장으로 공급하는 등의 대책을 개별적으로 채용할 수 있고, 채혈 작업자에 있어서도 이들 정보에 의거하여 각각 대응한 대책을 채용할 수 있어 안전한 채혈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검사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생화학 검사, 면역학 검사, 혈당 검사, 혈액학 검사, 응고 검사 등의 검사의 종류, 환자 성명, 채혈관 용기의 명칭, 환자에 관한 임의의 ID인 바코드, 채혈 용량 등의 채혈 검사에 관한 항목을 표시함으로써 오퍼레이터에 상기 검사용 채혈관이 세팅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확인을 육안으로 행할 수 있고, 세팅되어 있지 않은 채혈관의 경우에는 수동 입력의 준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에는 CPU의 기능 조작을 행하기 위한 터치 키를 표시할 수 있게 이루어져 있고, CPU의 입력부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내장 CPU의 경우에는 이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터치 키로부터 채혈관 준비 장치를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외부 접속 방식의 CPU의 경우에는 외부 접속된 CPU의 키보드로부터 입력하거나 또는 이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터치 키로부터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터치 디스플레이를 이용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복수의 기기의 조작과 그것을 위한 이동을 하지 않고, 상기 채혈관 준비 장치로 모든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편리하고, 작업자의 부담도 경감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관 준비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관 준비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관 준비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관 준비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관 스토커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관 스토커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것이며,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것이며,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관 준비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것이며, 라벨 부착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관 준비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관 준비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관 스토커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관 스토커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것이며, 도 1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관 스토커의 채혈관 지지 기구 및 이송 기구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성을 도 1∼도 10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채혈관 준비 장치(A)를 구성하는 기기 및 기구 등의 레이아웃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채혈관 준비 장치(A)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은 평면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배면도, 도 4는 좌측면도이다. 도 1의 평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채혈관 준비 장치(A)는 복수 개의 채혈관 스토커(1)의 장착부(B)가 좌측 절반 정도의 영역을 차지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토커(1)는 모듈 방식으로 6개가 병행되어 설치되어 있고, 장치 본체(33)측의 장착부에 대하여 스토커(1)의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이 스토커 장착부(B)의 우측이며 장치 본체 내부에는 라벨의 인자·부착 수단의 설치부(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커 장착부(B)의 각 스토커(1)의 채혈관 배출부의 하방에는 각 스토커(1)와 직교하는 방향이며 장치 본체(33)의 좌단측으로부터 인자·부착 수단의 설치부(C)를 가로질러서 장치 본체(33)의 우단측에 이르는 반송 벨트(20)의 설치부(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33)의 앞쪽의 전면판(33b)에는 디스플레이 설치부(H)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설치부(H)는 작업자가 장치의 전면에 선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H)에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7)와 설정 상태 표시부(38)의 2종류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7)는 내장된 보드 컴퓨터(CPU)의 입력부 및 모니터를 겸용하는 것이며, 8인치 정도의 크기인 것이다. 이 디스플레이(37)에는, 예를 들면 초기 동작 화면, 메인 화면, 상세 스테이터스 화면, 메인터넌스 메뉴 화면이 있다. 초기 동작 화면에는 로고와 메뉴가 표시된다. 메뉴로서는 운용 개시, 메인터넌스, 셧다운, 재기동, 프로그램 종료 등이 있다. 메인 화면에는 펑션 키의 표시와, 각 스토커가 정상인지 이상인지의 상태 표시와, 메인 프린터 및 다용도의 별도의 프린터의 각 프린터 엔진이 정상인지 이상인지의 표시가 있다. 펑션 키는 예를 들면 F1∼F6까지의 6개의 키가 있고, F1 키는 스톱/재개 버튼, F2 키는 리셋 버튼, F3∼F6은 각 화면으로의 스위칭 버튼 등으로 기능 설정되어 있다.
상세 설정 화면에는 프린터 엔진의 설정과, 스토커의 설정과, 라벨의 포맷 설정과, 상위 인터페이스 설정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있다. 프린터 엔진 설정을 선택하면 메인의 프린터 엔진 및 내장하는 다목적 프린터의 각 프린터 엔진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프린터 엔진의 설정 항목으로서는 프린터 엔진 번호 설정, 엔진의 유효/무효의 선택, 바코드 스캐너의 유효/무효의 선택, 재관 체크 센서의 유효/무효의 선택, 라벨 부착 위치의 설정 등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토커의 설정 항목으로서는 스토커 번호 설정, 스토커 표시명의 설정, 상기 스토커의 유효/무효의 선택, 관 길이의 설정, 라벨 부착 위치의 설정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라벨 포맷의 설정은 라벨에 인자하는 항목의 배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라벨에 인자하는 항목으로서는 생화학 검사, 면역학 검사, 혈당 검사, 혈액학 검사, 응고 검사 등의 검사의 종류, 환자 성명, 채혈관 용기의 명칭, 바코드, 채혈 용량 등이 있다. 상위 인터페이스의 설정은 시리얼 접속인지 또는 소켓 접속인지의 설정, TCP/IP 통신 프로토콜의 설정 등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설정 상태 표시부(38)는 채혈관 준비 장치의 각 부의 설정 상태를 표시하거나 설정 변경 안내 표시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설정 상태 표시부(38)는, 예를 들면 채혈관 준비 장치 자체의 조작 버튼과 연동해서 설정 상태를 표시하고 설정을 변경하게 되어 있고, 조작 버튼의 예로서는 리스타트 버튼, 피드 버튼, F1∼F3의 펑션 키 버튼 등이 있다. 표시되는 설정 상태로서는 아이들링 중, 초기 통신 커맨드 대기, 인쇄 커맨드 수신 완료, 메인터넌스 모드 중, 커버 오픈, 라벨 떨어짐 검출, 헤드 오픈 검출, 대지(台紙) 압박 롤러 오픈 검출, 용지 이송 모터 에러, 압입 모터 에러, 위치 결정 모터 에러, 폭 정리 모터 에러, 재관 체크 에러, 스토커 빔, 스토퍼 에러, 컨베이어 반송 타임 아웃, 컨베이어 막힘 검출, 채혈관 낙하 에러 등이 있다.
또한, 도 2의 정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자·부착 수단의 설치부(C)의 앞쪽에는 받침 접시 적재부(E)가 설치되어 있고, 환자 정보나 채혈 검사 정보 등이 인자된 라벨 부착 후의 채혈관을 환자별로 여기에 준비된 받침 접시(트레이)(30) 내로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받침 접시 적재부(E)에는 받침 접시(30)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광학적 센서(36a, 36b)(도 1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센서는 투광기(36a)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기(36b)에서 검지하는 타입인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반사형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스토커 장착부(B)의 하방에는 보드 컴퓨터 설치부(F)가 설치되어 있다. 보드 컴퓨터(CPU)에는 상기 장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가 인스톨되어 있고, 채혈관 스토커(1)의 제어, 라벨 부착 장치(7) 및 인자 장치(25)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 보드 컴퓨터는 상위의 HIS 또는 LIS와의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고, 상위로부터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위 시스템측의 기기로부터 또는 LAN 접속된 의사나 검사 기사의 PC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채혈 작업의 종료시에 있어서 LIS에 있어서의 채혈 작업 관리자측의 PC로부터 보드 컴퓨터의 전원 및 채혈관 준비 장치의 전원을 셧오프할 수 있게 구성하거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7)의 화면에 표시되는 보드 컴퓨터의 입력 화면으로부터 보드 컴퓨터 자체의 전원과 채혈관 준비 장치의 전원을 동시에 셧오프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의 배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33)의 배면측에는 상기 보드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로서 무선 보드나 외부 접속 기기용 보드 등의 삽입 슬롯(S1∼S3), R232C 단자(R), 음성 입출력 단자(V1, V2), 예를 들면 FAX 등과의 접속이나 그 밖의 외부 기기와의 접속에 사용되는 USB 포트(U1∼U4), LAN 접속 포트(L1∼L3), 전원 단자(X)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33)의 좌측면판(33a)에는 상기 반송 벨트(20)의 설치부(D)에 임하는 개구부(G)가 설치되어 있고, 통상은 개폐문(34)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개구부(G)는 수작업으로 채혈관을 반송 벨트(20) 상으로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개구부(G)를 통해서 좀처럼 사용되지 않는 채혈관이나 특수 사이즈의 채혈관을 개별적으로 인자·부착 수단 쪽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채혈관 준비 장치(A)를 구성하는 각 기기 및 기구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채혈관 스토커(1)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스토커(1)의 평면도, 도 6은 동(同) 측면도, 도 7은 동 종단면도, 도 8은 스토퍼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의 종단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채혈관 스토커(1)는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합금, 강판 등의 얇은 금속판을 구부림으로써 단면 U자 형상의 채혈관 반송용 통로(홈)를 형성한 케이싱을 갖고 있다. 이 케이싱에 각 구성 부재를 연결 결합해서 채혈관 스토커(1)의 전체를 하나의 모듈(M)로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채혈관 스토커(1)의 교환 수리 등은 모듈(M)을 단위로 해서 원터치식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모듈(M)만을 센드 백함으로써 원격지의 보수·교환 수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모듈(M)의 대체품을 먼저 준비해 둠으로써 채혈 업무를 정지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통로(홈)의 폭 치수를 변경함으로써 채혈관의 크기(직경)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의 각 크기별로 모듈(M)을 준비해 둠으로써 다종류의 채혈관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의 평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채혈관 스토커(1)는 양단에 수평으로 배치한 종동 풀리(8A) 및 구동 풀리(8B) 사이에 걸쳐져서 엔드리스 형상의 이송 벨트(2)가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송 벨트(2)는 왕로측 이송 벨트(2A)와 복로측 이송 벨트(2B)가 대향하는 그 내면측에 돌기(9)가 다수 형성된 소위 타이밍 벨트이다. 타이밍 벨트로 함으로써 구동 풀리(8B)와의 사이의 미끄럼을 없애서 상기 구동 풀리(8B)의 구동력을 확실하게 이송 벨트(2)로 전달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이 이송 벨트(2)는 평벨트라도 좋은 것은 당연하다.
이 이송 벨트(2)의 왕로측 이송 벨트(2A)와 복로측 이송 벨트(2B) 사이의 공간 영역에는 벨트를 따라서 설치된 채혈관 유지 부재(3)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왕로측 이송 벨트(2A)와 채혈관 유지 부재(3) 사이에 채혈관(4)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홈)이 형성된다. 또한, 채혈관 유지 부재(3)는 레일 형상 또는 판 형상 부재 등의 상단면이 평활면으로 된 가이드 프레임이며, 상단면의 높이는 이송 벨트(2)의 상단면의 높이와 동일 높이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왕로측 이송 벨트(2A)의 돌기(9)의 선단면과 채혈관 유지 부재(3) 사이에 형성되는 홈 폭의 치수는 채혈관(4)의 외경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크게(최대로 1㎜ 정도) 설정되어 있다. 이 홈 폭의 간격은 저장하는 채혈관(4)의 외경 치수의 크기에 따라 가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크기의 변경은 하나의 방법으로서 채혈관 유지 부재(3)를 왕로측 이송 벨트(2A)에 대하여 평행 이동할 수 있게 채혈관 유지 부재(3)의 부착 스테이(도시하지 않음)를 장공과 비스 등의 방식에 의해 케이싱 본체에 고정하는 수단을 채용하면 좋고, 연속적으로 치수 조정을 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별도의 방법으로서 미리 홈 폭이 다른 모듈(M)을 준비해 두어도 좋다. 채혈관(4)의 사이즈는 일반적으로는 생화학 검사, 면역학 검사, 혈당 검사, 혈액학 검사, 응고 검사 등에 대해서는 직경 13㎜와 직경 16㎜인 것이 있고, 혈침 검사용으로서는 직경 8㎜인 것이 있다.
채혈관(4)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튜브 형상의 채혈관 본체(4A)와 캡(10)으로 이루어지고, 캡(10)의 하단면은 채혈관 본체(4A)의 외경 치수보다 큰 외경 치수(상기 홈 폭보다 큰 치수)를 갖고 있다. 이 채혈관(4)은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왕로측 이송 벨트(2A)의 상단면과 채혈관 유지 부재(3)의 상단면에 캡(10)의 대향하는 하단면이 적재되어서 이들의 부재에 매달아 유지되어 있다. 즉, 채혈관(4)을 매달기 방식으로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이송 벨트(2)의 구동력은 왕로측 이송 벨트(2A)에 적재된 캡(10)의 하단면의 접합 부분을 통해서 채혈관(4)에 전달된다. 반대측의 캡(10)의 하단면은 채혈관 유지 부재(3)의 상단면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딩할 뿐이다.
왕로측 이송 벨트(2A)의 배면측은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듈(M)의 케이싱을 구성하는 부재가 백업 부재를 겸용하고 있어 중간의 벨트가 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왕로측 이송 벨트(2A)의 백업 부재로서는 가이드 프레임으로서의 채혈관 유지 부재(3)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백업 부재를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왕로측 이송 벨트(2A)의 배면측을 백업함으로써 이 벨트(2A)의 상단면이 채혈관(4)의 캡 하단면과 확실하게 접촉 접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왕로측 이송 벨트(2A)가 캡(10)의 하단면으로부터 일탈할 일이 없어 왕로측 이송 벨트(2A)에 의해 매달아 유지된 채혈관(4)에 확실하게 이송(피드)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채혈관 유지 부재(3)의 종단측에는 채혈관(4)의 배출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부(12)는 채혈관 유지 부재(3)의 종단측과 풀리(8A) 사이의 공간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채혈관(4)이 채혈관 유지 부재(3)의 종단측에 이름으로써 캡(10)의 하단면이 채혈관 유지 부재(3)와의 맞물림이 해방되어서 자연적으로 자중에 의해 낙하함으로써 행하여진다.
그런데, 배출부(12)에 임하는 위치에는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5, 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5, 6)는 도 8의 평면도에 가장 잘 나타내어져 있는 것과 같이, 동일 축(13)에 중간 부분을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암(14, 15)의 일단측 하면에 두 갈래 형상의 막대 형상 돌기(5A, 5B 및 6A, 6B)가 직립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5, 6)에 있어서, 이들 막대 형상 돌기(5A, 5B 및 6A, 6B)가 설치되는 부분은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L형으로 절곡된 부분이 전후해서 교대로 들어가 간섭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 1 스토퍼(5)는 선두의 채혈관(4)의 캡 전면측에 접촉할 수 있도록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 2 스토퍼(6)는 선두와 두 번째 채혈관(4, 4)의 캡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암(14, 15)의 타단측 하면에는 솔레노이드(16, 17)의 로드(16A, 17A)가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의 솔레노이드(16, 17)는 소형화를 목적으로 해서 볼펜과 거의 같은 외경 치수를 갖는 것이 채용되고, 전원을 ON으로 하면 로드(16A, 17A)가 퇴입 동작을 하고, 암(14, 15)을 도 6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 위치로 요동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솔레노이드(16, 17)는 통상은 교대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각 암(14, 15)의 추축(13)과 막대 형상 돌기(5A, 5B 및 6A, 6B) 사이에는 각각 리턴 스프링(인장 스프링)(18, 19)이 부착되어 있다. 이것은 솔레노이드(16, 17)의 전원을 OFF로 했을 때에 리턴 스프링(18, 19)의 인장력에 의해 암(14, 15)이 수평의 자세로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리턴 스프링(18, 19)은 낙하하는 채혈관(4)이 전방측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매달기 방식의 채혈관 스토커(1)가 도 1 및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6열 병설되어 있다. 배출부(12)의 하방에는 이송 벨트(2)의 반송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1개의 반송 벨트(20)가 설치되어 있고, 6열의 각 스토커(1)로부터 낙하 공급되는 채혈관(4)을 이 반송 벨트(20)로 도 1 및 도 9의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을 향해서 반송한다. 이때, 채혈관(4)은 채혈관 유지 부재(3)의 종단측에서 캡(10)의 하단면과의 맞물림이 해방되므로 캡(10)측이 채혈관 유지 부재(3)로부터 해방된 측으로 경사진다. 이에 따라, 도 9의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채혈관(4)의 저부측은 반드시 반송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가지런히 정돈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반송 벨트(20) 상에 낙하 공급된다.
또한, 반송 벨트(20)는 도 9의 실시예에서는 1개의 연속된 것으로 구성했지만, 스토커(1)의 영역과 라벨의 인자 부착 수단(7)의 영역으로 분할해서 2개의 반송 벨트로 구성하고, 채혈관(4)이 자동적으로 2개의 반송 벨트 사이를 옮겨탈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했을 경우, 채혈관 준비 장치를 스토커 장치와 라벨의 인자 부착 장치로 분리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어 스토커 장치의 독립된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메인터넌스도 분리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반송 벨트(20)의 종단측에는 채혈관(4)의 도착 검지판(21)이 설치되어 있다. 도착 검지판(21)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도 9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듬히 경사진 자세로 대기하고 있고, 채혈관(4)이 이송되면 이것에 압박되어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립의 상태로 되고, 동시에 채혈관(4)의 정지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도착 검지판(21)은 コ자 형상으로 절곡된 부분을 갖고, 경사진 대기 상태에서는 적외선 센서나 포토 센서 등의 투수광기로 이루어지는 감지 센서(도시하지 않음)의 조사광이 차단되고, 채혈관(4)이 도착한 직립의 상태에서는 투광기로부터 조사된 광이 수광기에서 수광되게 되어 있다. 또한, 채혈관(4)의 정지 위치의 측면부에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반송 벨트(20)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동작하는 채혈관(4)의 절출용(切出用) 슬라이더(22)가 설치되어 있고, 채혈관(4)을 반송 벨트(20)로부터 밀어내서 라벨 부착 장치(7)의 부착 위치로 낙하 공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착 검지판(21)의 직전에는 채혈관(4)의 방향을 검지하기 위한 방향 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것은 잘못하여 캡(10)이 선두가 되어서 도착 검지판(21)에 접촉해서 정지했을 때에 캡(10)에 의해 투광기로부터의 조사광이 차단되어 채혈관(4)의 방향을 검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라벨 부착 장치(7)는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속된 박리지 상에 부착된 라벨의 공급 롤(23)과 박리지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 롤(24)을 갖고 있다. 공급 롤(23)로부터 공급되는 라벨과 박리지는 예각으로 접어서 이동시킴으로써 탄력이 강한(박리지보다 탄력이 있어서 접히기 어려운) 라벨만이 박리지로부터 박리된다. 라벨은 그대로 직진해서 부착 수단(29)측으로 공급되고, 그 후의 남은 박리지만이 권취 롤(24)에 의해 권취된다. 이 박리부의 상류측에는 라벨로의 환자 정보 등을 인자하기 위한 인자 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인자하는 정보는 상기 채혈관 준비 장치의 제어부를 내장된 보드 컴퓨터(CPU)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위의 메디컬 시스템 등의 컴퓨터 또는 의사의 컴퓨터 단말 등으로 접속해서 이들 데이터 베이스 또는 하드디스크 등으로부터 취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박리지로부터 박리된 라벨의 진행 방향에는 구동 롤러(26)와 지지 롤러(27) 및 진퇴 가능한 가압 롤러(28)로 이루어지는 부착 수단(2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착 수단(29)의 비스듬히 하방에는 받침 접시(30)의 적재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및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라벨 부착 장치(7) 및 인자 장치(25)의 옆이고 받침 접시(30)에 임하는 위치에는, 내장으로 다목적의 프린터(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다목적 프린터(31)는, 예를 들면 채혈 지시서를 출력해서 받침 접시(30)로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병동 등에 있어서 채혈하려고 하는 환자의 컨디션이 채혈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 불분명할 경우에, 채혈관에 라벨을 부착하지 않고 라벨에 환자 정보나 검사 정보 등의 필요 사항의 인자만을 이 별도용 프린터(31)로 행하고, 라벨을 받침 접시(30)로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이라면, 상기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환자의 침상에서 직접 채혈을 행하고, 채혈 후에 상기 수동 부착한 라벨을 채혈관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환자가 채혈할 수 없는 상태이면 수동 부착한 라벨은 받침 접시(30) 안으로 넣은 채로 해 두면 좋다.
또한, 라벨 부착 장치(7) 및 인자 장치(25)와 다목적 프린터(31)는 도 3 및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테이블(32) 상에 탑재되어서 유닛화되어 있고, 전기적 접속(커플러) 및 위치 결정 록 기구 등을 분리함으로써 장치 본체(33)의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이들 라벨 부착 장치(7) 및 인자 장치(25)와 별도의 프린터(31)가 고장났을 경우 등에 있어서는 고장난 기기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신속한 수리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들 라벨 부착 장치(7) 및 인자 장치(25)와 별도의 프린터(31)는 시판되고 있는 범용 제품을 사용할 수 있고,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이들 기기는 장치 본체(33)의 외부로 인출해서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도 용이하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채혈관 준비 장치(A)의 동작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장치 본체(33)의 상면에 설치된 스토커 설치부(B)의 6열의 장착부에 각각 다른 종류의 채혈관을 저장하기 위한 채혈관 스토커(1)의 모듈(M)을 세팅한다. 모듈(M)의 고정은 비스 고정식이라도 좋고, 원터치 클립 방식 등의 다른 고정 방법이라도 좋다. 그 후에는, 각 채혈관 스토커(1)의 채혈관 유지 부재(3)와 왕로측 이송 벨트(2A) 사이에 형성되는 각 홈[채혈관(4)의 저장부]에 수작업으로 각각 다른 종류의 채혈관(4)을 세팅한다. 채혈관(4)의 세팅은 채혈관(4)을 그 저부측으로부터 상기 홈으로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이에 따라, 각 채혈관(4)의 캡(10)의 대향하는 하단면이 채혈관 유지 부재(3)의 상단면과 왕로측 이송 벨트(2A)의 상단면에 걸쳐져서 적재되고, 이것에 매달아 유지된다. 동작 개시 전의 상태에 있어서 채혈관 준비 장치의 제 1 스토퍼(5)의 막대 형상 돌기(5A, 5B)는 선두의 채혈관(4)의 캡(10)의 전면측에 접촉해서 그 전진 이동을 구속하고 있다. 또한, 제 2 스토퍼(6)의 막대 형상 돌기(6A, 6B)는 선두와 두 번째에 위치하는 채혈관(4, 4)의 캡(10, 10)들 사이에 형성되는 좌우 양측면의 간극(31, 31)에 들어가서 두 번째 채혈관(4)의 전진 이동을 구속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장치 본체(33)의 전원 스위치를 ON으로 하고, 내장된 보드 컴퓨터의 CPU를 동작시켜서 제어 소프트웨어를 기능시키고, 상위의 컴퓨터 또는 의사의 컴퓨터 단말 등으로부터 채혈하는 환자의 채혈 정보를 입수한다. 또한, 채혈관 준비 장치(A)의 제어부(펌웨어)는 받침 접시 적재부(E)로부터 앞의 환자의 받침 접시(30)가 인출된 것을 검지한 후이며, 그리고 새롭게 해당 환자를 위한 다른 받침 접시(30)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기기를 동작시키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앞의 환자의 받침 접시(30)로 다음 환자의 채혈관이 투입되어서 혼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제어부는 상기 입수한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채혈관의 종류를 결정하고, 해당하는 종류의 채혈관(4)이 저장되어 있는 채혈관 스토커(1)의 구동 풀리(8B)를 회전 구동시킨다. 이들 설정 정보 및 상위로부터 입수한 정보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7)에 표시된다. 구동 풀리(8B)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스토커(1)의 모든 채혈관(4)은 왕로측 이송 벨트(2A)의 상단면과 접합되어 있는 캡(10)의 하단면이 상기 왕로측 이송 벨트(2A)의 피드를 받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5, 6)의 작용에 의해 선두와 두 번째의 채혈관(4)이 각각 이동을 구속당하고 있으므로 모든 채혈관(4)은 정지한 채로 있다.
이어서, 채혈관 준비 장치(A)의 제어부는 해당하는 스토커(1)의 제 1 스토퍼(5)의 솔레노이드(16)를 ON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16)는 그 로드가 퇴입 동작을 하고, 암(14)을 피봇축(13)을 지점으로 해서 도 10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 때문에, 암(14)의 일단측에 부착된 막대 형상 돌기(5A, 5B)가 선두의 채혈관(4)의 캡(10)의 전면측으로부터 분리되고, 선두의 채혈관(4)의 구속을 해방한다. 선두의 채혈관(4)은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왕로측 이송 벨트(2A)의 피드를 받아서 정지 위치로부터 전진을 시작한다. 이윽고 선두의 채혈관(4)은 채혈관 유지 부재(3)의 종단측의 배출부(12)에 이르고, 채혈관 유지 부재(3)와의 맞물림이 해방되므로 캡(10)이 채혈관 유지 부재(3)가 없어진 쪽으로 경사진 자세가 되어서 왕로측 이송 벨트(2A)에 캔틸레버 지지되고, 결국에는 왕로측 이송 벨트(2A)와의 맞물림도 해방되어서 도 9의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채혈관(4)의 저부측이 반송 벨트(20)의 전진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반송 벨트(20) 상에 낙하한다.
한편, 제 1 스토퍼(5)는 솔레노이드(16)가 OFF 동작하므로 암(14)은 리턴 스프링(18)에 의해 원래의 수평 상태로 복귀한다. 계속해서, 제 2 스토퍼(6)의 솔레노이드(17)가 ON 동작하고, 암(15)을 도 10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막대 형상 돌기(6A, 6B)가 두 번째 채혈관(4)의 캡(10)과의 접합을 해방한다. 그 때문에, 두 번째 이후 나머지의 모든 채혈관(4)은 왕로측 이송 벨트(2A)의 구동력을 받아서 전진하고, 새롭게 선두가 된 채혈관(4)이 제 1 스토퍼(5)의 막대 형상 돌기(5A, 5B)에 그 캡(10)의 전면측을 접촉해서 정지하게 된다. 최후에, 제 2 스토퍼(6)의 솔레노이드(17)가 OFF 동작하고, 리턴 스프링(19)에 의해 수평 상태로 복귀하고, 새롭게 선두가 된 채혈관(4)과 두 번째에 위치하는 채혈관(4)의 캡(10)들 간극에 진입하고, 다음 채혈관(4)의 공급 지령이 발생할 때까지 이 상태로 대기한다.
상기 반송 벨트(20)는 제 1 스토퍼(5)의 솔레노이드(16)가 ON 동작하는 것과 같은 타이밍으로 구동을 개시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자중에 의해 낙하 공급된 채혈관(4)은 반송 벨트(20)에 의해 도 9의 좌측 방향으로부터 우측 방향을 향해서 반송되어 도착 검지판(21)을 압박 어징(urging)하게 된다. 또한, 채혈관(4)은 반송 벨트(20)로 직립의 상태에서 낙하 공급되었다고 해도 반송 벨트(20)가 동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구동하고 있음으로써 균형을 잃게 되어 저부측이 선두가 되어서 반송되게 된다. 반송 벨트(20) 상의 채혈관(4)은 반송로의 종단측에서 그 저부가 도착 검지판(21)에 접촉해서 이것을 압박하고, 도착 검지판(21)을 경사진 자세로부터 직립의 자세로 요동시켜서 정지하게 된다.
또한, 이 정지 위치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채혈관(4)의 방향 검지 센서가 채혈관(4)의 캡(10)을 검지하도록 하고 있다. 캡이 검출된 경우에는 캡이 선두가 되어서 반송되었다고 하는 것이며, 반대 방향이므로 음성이나 발광 소자의 점멸 신호 등에 의해 경보를 발생시켜서 작업자에게 알리게 되어 있다. 또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7)에는 채혈관(4)의 방향이 반대인 것이 에러로서 표시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채혈관(4)을 인출하여 방향을 바꾸어서 작업을 속행시키도록 하면 좋다.
도착 검지판(21)이 직립의 자세로 압박 어징됨으로써 투수광 센서 등의 도착 검지 수단이 작동하여 채혈관(4)이 공급되어 온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이 도착 검지 신호에 의해, 반송 벨트(20)의 반송 방향에 직행하는 방향으로 왕복 동작하는 슬라이더(22)가 동작을 개시하고, 도착한 채혈관(4)을 횡방향으로 밀어내서 라벨 부착 장치(7)의 부착 수단(29)측으로 낙하시켜서 공급한다. 부착 수단(29)에서는 가압 롤러(28)가 후퇴 위치에 있고, 채혈관(4)을 받으면 전진하여 채혈관(4)을 구동 롤러(26)와 지지 롤러(27)측으로 압박 어징하고, 구동 롤러(26)의 구동력을 채혈관(4)에 전달하고, 채혈관(4)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라벨의 인자 장치(25)에서는 공급 롤러(23)로부터 공급되는 라벨에 상위 컴퓨터 및 의사의 컴퓨터 단말 등으로부터 취득한 환자 ID, 검사 항목, 채혈관종, 채혈량 등의 채혈 정보의 필요 항목을 인자한다. 인자하는 내용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7)에 표시되어 작업자는 확인할 수 있다. 인자 후의 라벨은 박리지가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각으로 접혀서 이동함으로써 탄력이 강한 라벨만이 그대로 직진하여 상기 박리지로부터 자연적으로 박리된다. 그리고, 박리된 라벨은 구동 롤러(26)와 채혈관(4)의 외주면 사이에 진입해서 권취되어서 채혈관(4)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라벨 부착 후의 채혈관(4)은 가압 롤러(28)가 비스듬히 하방(도 10의 좌측 하방)으로 후퇴 복귀함으로써 부착부로부터 해방되어서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받침 접시(30) 내로 수용된다.
이상에 의해, 하나의 관종의 1개의 채혈관의 준비가 완료된다. 이후는, 그 밖에도 요구되고 있는 채혈관이 있으면 그 관종의 스토커(1)를 구동시켜 순차적으로 상술한 동작을 반복해서 채혈관(4)을 받침 접시(30) 내로 수용한다. 또한, 수동 공급 채혈관이 있으면 장치 본체의 좌측면에 설치한 수동 공급 개구부로부터 개별적으로 반송 벨트(20) 상으로 공급하고, 라벨을 부착해서 받침 접시(30) 내로 수용하면 좋다. 이렇게 하여, 상위 컴퓨터 및 의사의 컴퓨터 단말 등으로부터의 정보에서 요구되고 있는 모든 관종의 채혈관의 준비가 완료되면, 1명의 환자분에 대한 채혈용 채혈관의 준비가 완료되게 된다. 이후는 같은 방법으로 해서 그 밖의 환자의 채혈관을 준비하면 좋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11∼도 1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채혈관 준비 장치(A)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은 평면도, 도 2는 정면도이다. 도 1의 평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채혈관 준비 장치(A)의 기본적인 레이아웃 및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채혈관 스토커 및 채혈관 준비 장치와 크게 다른 점은, 채혈관(4)을 2개의 지지 레일(3A, 3B)로 지지하는 것과 채혈관(4)에 대한 피드를 채혈관(4)의 외주 측면과 접합하는 이송 벨트의 면 접합 방식에 의해 주고 있는 것이다. 이하는,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채혈관 스토커(1)의 이송 벨트(2)의 상단의 상방에는 지지 레일(3A, 3B)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레일(3A, 3B)의 스타트측(도 13의 상측)은 이들 레일들이 연결되어 있고, 종점측에서는 지지 레일(3A) 쪽이 약간 길어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지지 레일(3A)은 왕로측 이송 벨트(2A)의 바로 위 또는 약간 외측에 위치하고, 지지 레일(3B)은 왕로측 이송 벨트(2A)와 복로측 벨트(2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지지 레일(3A)과 지지 레일(3B) 사이의 간격은 채혈관(4)의 외경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이고 또한 캡(10)의 하단면의 외경 치수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왕로측 이송 벨트(2A)의 풀리(8A, 8B) 부근에는 텐션 롤러(9A, 9B)가 설치되어 있다. 이 텐션 롤러(9A, 9B)는 왕로측 이송 벨트(2A)를 지지 레일(3A, 3B) 사이에 지지된 채혈관(4)의 외주 측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지 레일(3B)은 채혈관(4)의 왕로측 이송 벨트(2A)와는 반대측에 있어서 채혈관(4)에 접촉해서 이것을 백업하기 위한 연장된 부분(3C)을 갖고, 연장 부분(3C)은 이송 벨트(3)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텐션 롤러(9A, 9B)가 채혈관(4)의 측면에 접촉했을 때에 반대측에 있어서 채혈관(4)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 레일(3B)의 연장 부분(3C)이 이것을 백업하고, 채혈관(4)에 왕로측 이송 벨트(2A)의 구동력이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하고 있다.
채혈관(4)은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튜브 형상의 채혈관 본체(4A)와 캡(10)으로 이루어지고, 캡(10)의 하단면은 채혈관 본체(4A)의 외경 치수보다 큰 외경 치수(상기 홈 폭보다 큰 치수)를 갖고 있다. 이 채혈관(4)은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레일(3A, 3B) 상에 캡(10)의 대향하는 하단면이 적재되어서 이들의 부재에 매달아 유지되어 있다. 즉, 채혈관(4)을 매달기 방식으로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이송 벨트(2)의 구동력은 텐션 롤러(9A, 9B)에 의해 왕로측 이송 벨트(2A)가 채혈관(4)의 외주 측면에 압박 접촉되는 것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채혈관(4)으로 전달된다. 캡(10)의 하단면은 지지 레일(3A, 3B) 상에서 슬라이딩할 뿐이다.
지지 레일(3A, 3B)의 종단측에는 채혈관(4)의 배출부(12)가 설치되어 있다(도 15 참조). 이 배출부(12)는 지지 레일(3A, 3B)의 종단측과 풀리(8A) 사이의 공간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채혈관(4)의 배출은 채혈관(4)이 지지 레일(3A, 3B)의 종단측에 이름으로써 캡(10)의 하단면이 지지 레일(3A, 3B)과의 맞물림이 해방되어서 자연적으로 자중에 의해 낙하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배출부(12)의 하방에는 이송 벨트(2)의 반송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1개의 반송 벨트(20)가 설치되어 있고, 6열의 각 스토커(1)로부터 낙하 공급되는 채혈관(4)을 이 반송 벨트(20)로 도 11 및 도 12의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을 향해서 반송한다. 이때, 채혈관(4)은 지지 레일(3A, 3B)의 종단측에서 캡(10)의 하단면과의 맞물림이 해방된다. 캡(10)과 지지 레일(3A, 3B)간의 맞물림은 지지 레일(3B)이 지지 레일(3A)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캡(10)은 지지 레일(3B)과의 맞물림이 먼저 해방되고, 남은 지지 레일(3A)에 캔틸레버 지지되어 해방된 지지 레일(3B)측으로 경사진다. 이에 따라, 채혈관(4)의 저부측은 반드시 반송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가지런히 정돈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반송 벨트(20) 상에 낙하 공급된다.
또한, 반송 벨트(20)에 의해 반송된 채혈관(4)은 라벨의 인자·부착 장치로 공급되고, 라벨 부착 후의 채혈관(4)은 가압 롤러(28)가 비스듬히 하방(도 11의 좌측 하방)으로 후퇴 복귀함으로써 부착부로부터 해방되어서 자중에 의해 낙하하고, 받침 접시(30) 내로 수용된다. 이상에 의해, 하나의 관종의 1개의 채혈관의 준비가 완료된다. 이후는, 그 밖에도 요구되고 있는 채혈관이 있으면 그 관종의 스토커(1)를 구동시켜 순차적으로 상술한 동작을 반복해서 채혈관(4)을 받침 접시(30) 내로 수용한다. 또한, 수동 공급의 채혈관이 있으면 장치 본체의 좌측면에 설치한 수동 공급 개구부로부터 개별적으로 반송 벨트(20) 상으로 공급하고, 라벨을 부착해서 받침 접시(30) 내로 수용하면 좋다. 이렇게 하여, 상위 컴퓨터 및 의사의 컴퓨터 단말 등으로부터의 정보에서 요구되고 있는 모든 관종의 채혈관의 준비가 완료되면, 1명의 환자분에 대한 채혈용 채혈관의 준비가 완료되게 된다. 이후는 같은 방법으로 해서 다른 환자의 채혈관을 준비하면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그런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채혈관 스토커(1)에 사용하는 이송 벨트(2)는 타이밍 벨트의 경우를 설명했지만, 통상의 평벨트라도 좋다. 또한, 채혈관 스토커(1)는 6개를 병설했을 경우를 설명했지만, 1개, 2개, 3개 등의 6개 이하라도 좋고 6개 이상이라도 좋다. 목적에 따라서 그 수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채혈관 스토커(1)는 모듈 방식으로 장치 본체(33)에 대하여 세팅할 수 있으므로 출하 후라도 용이하게 채혈관의 사이즈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채혈관 스토커(1)의 모듈을 예를 들면 10개들이 모듈이나 15개들이 모듈, 20개들이 모듈 등과 같이 수용할 수 있는 채혈관의 개수에 변화를 갖게 해서 복수 종류의 것을 준비하고,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솔레노이드(16, 17)는 ON 동작시에 로드가 퇴입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돌출과 퇴입의 왕복 동작을 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리턴 스프링(18, 19)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반송 벨트(20)를 스토커(1)의 영역과 라벨 부착 장치(7)의 영역으로 분할해서 2개의 반송 벨트가 연속되도록 구성하고, 채혈관(4)이 자동적으로 옮겨탈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채혈관 준비 장치의 케이싱을 구성하는 외부 커버를 스토커(1)의 영역과 라벨 부착 장치(7)의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고, 각각의 영역에서 고유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채혈관 스토커 장치와 라벨 부착 장치(7)를 별도로 구성하여 채혈관 스토커 장치를 단독 판매하고, 라벨 부착 장치를 옵션 제품으로 해서 양자를 연결하여 채혈관 준비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목적 프린터(31)는 내장 타입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장치(A)와 통신 접속함으로써 별매의 다목적 프린터를 본 장치(A)의 옆에 적재해서 별도의 라벨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목적 프린터의 설치 위치는 메인 프린터(25)의 옆에 병설했지만, 장치 본체 내의 다른 기기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이면 임의의 장소에 내장하도록 해도 좋고, 그 경우에 수동 부착한 라벨 등의 인출구는 트레이 공급구에 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7)에 표시되는 정보 및 펑션 키의 할당이나 수, 버튼 표시의 예, 및 설정 상태 표시부(38)의 표시 내용이나 선택하는 버튼의 종류, 기능 등은 적당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이들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7) 및 설정 상태 표시부(38)의 설치 위치나 레이아웃 등도 적당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 레일(3A, 3B) 사이에 형성되는 홈 폭의 치수는 채혈관(4)의 외경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크게(최대로 1㎜ 정도) 설정되어 있지만, 이 홈 폭의 간격은 저장하는 채혈관(4)의 외경 치수의 크기에 따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크기의 변경은 하나의 방법으로서 지지 레일(3B) 및 연장 부분(3C)을 지지 레일(3A)에 대하여 평행 이동할 수 있게 지지 레일(3B)의 부착 스테이(도시하지 않음)를 장공과 비스 등의 방식에 의해 케이싱 본체에 고정하는 수단을 채용하면 좋고, 연속적으로 치수 조정을 할 수 있게 하면 좋다. 또한, 별도의 방법으로서 미리 홈 폭이 다른 모듈(M)을 준비해 두어도 좋다. 채혈관(4)의 사이즈는 일반적으로는 생화학 검사, 면역학 검사, 혈당 검사, 혈액학 검사, 응고 검사 등에 대해서는 직경 13㎜와 직경 16㎜인 것이 있고, 혈침 검사용으로서는 직경 8㎜인 것이 있다.
1 : 채혈관 스토커 2 : 이송 벨트
2A : 왕로측 이송 벨트 2B : 복로측 이송 벨트
3 : 채혈관 유지 부재 3A, 3B : 채혈관 지지 레일
3C : 채혈관 지지 레일(3B)의 연장 부분 4 : 채혈관
5 : 제 1 스토퍼 5A, 5B : 막대 형상 돌기
6 : 제 2 스토퍼 6A, 6B : 막대 형상 돌기
7 : 라벨 부착 장치 8A, 8B : 풀리
9 : 톱니 10 : 캡
37 :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38 : 설정 상태 표시부
A : 채혈관 준비 장치 B : 스토커 설치부
C : 인자·부착 수단의 설치부 D : 반송 벨트의 설치부
E : 받침 접시 적재부 F : PC의 보드 컴퓨터 설치부
G : 수동 입력 개구부 M : 채혈관 스토커의 모듈

Claims (13)

  1. 양단측에 설치된 풀리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엔드리스 형상의 이송 벨트와, 상기 이송 벨트의 왕복하는 벨트들 사이에 있고 이송 벨트를 따라서 설치된 채혈관 유지 부재를 갖고, 왕로측 이송 벨트의 상단면과 상기 채혈관 유지 부재의 상단면 사이에 채혈관 캡의 대향하는 하단면을 적재함과 아울러 채혈관 유지 부재의 종단측을 통과한 위치에 있어서 채혈관이 자중에 의해 낙하 배출되는 배출부를 설치하고, 채혈관 유지 부재의 종단측에 선두의 채혈관의 캡 전면에 대하여 진입 퇴출 가능한 제 1 스토퍼와 선두로부터 첫 번째 채혈관과 두 번째 채혈관의 캡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진입 퇴출 가능한 두 갈래 형상의 제 2 스토퍼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를 동일한 축에 피봇 지지된 2개의 암의 선단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각 암의 후단측에는 솔레노이드를 연결해서 이루어지고, 이들 이송 벨트, 채혈관 유지 부재, 채혈관의 배출부,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 2개의 암 및 솔레노이드가 하나의 케이싱에 수납된 모듈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스토커.
  2. 양단측에 설치된 풀리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엔드리스 형상의 이송 벨트와, 상기 이송 벨트의 왕복하는 벨트들 사이에 있고 또한 이송 벨트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채혈관 캡의 대향하는 하단면을 지지하고 이것을 매달아 지지하는 2개의 채혈관 지지 레일을 설치하고, 왕로측 이송 벨트의 내측의 평탄면을 상기 채혈관 지지 레일에 매달아 지지된 채혈관의 관 본체의 측면에 접촉시키고 채혈관 지지 레일의 종단측을 통과한 위치에 있어서 채혈관이 자중에 의해 낙하 배출되는 배출부를 설치하고, 채혈관 지지 레일의 종단측에 선두의 채혈관의 캡 전면에 대하여 진입 퇴출 가능한 제 1 스토퍼와 선두로부터 첫 번째 채혈관과 두 번째 채혈관의 캡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진입 퇴출 가능한 두 갈래 형상의 제 2 스토퍼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를 동일 축에 피봇 지지된 2개의 암의 선단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각 암의 후단측에는 솔레노이드를 연결해서 이루어지고, 이들 이송 벨트, 채혈관 지지 레일, 채혈관의 배출부,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 2개의 암 및 솔레노이드가 하나의 케이싱에 수납된 모듈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스토커.
  3. 양단측에 설치된 풀리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엔드리스 형상의 이송 벨트와, 상기 이송 벨트의 왕복하는 벨트들 사이에 있고 이송 벨트를 따라서 설치된 채혈관 유지 부재를 갖고, 왕로측 이송 벨트의 상단면과 상기 채혈관 유지 부재의 상단면 사이에 채혈관 캡의 대향하는 하단면을 적재함과 아울러 채혈관 유지 부재의 종단측을 통과한 위치에 있어서 채혈관이 자중에 의해 낙하 배출되는 배출부를 설치하고, 채혈관 유지 부재의 종단측에 선두의 채혈관의 캡 전면에 대하여 진입 퇴출 가능한 제 1 스토퍼와 선두로부터 첫 번째 채혈관과 두 번째 채혈관의 캡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진입 퇴출 가능한 두 갈래 형상의 제 2 스토퍼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를 동일 축에 피봇 지지된 2개의 암의 선단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각 암의 후단측에는 솔레노이드를 연결해서 이루어지고, 이들 이송 벨트, 채혈관 유지 부재, 채혈관의 배출부,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 2개의 암 및 솔레노이드가 하나의 케이싱인 모듈에 수납되어 있는 채혈관 스토커를 복수 개 준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혈관 스토커를 복수 개가 병행되어서 설치된 레인에 모듈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수납하고, 각 채혈관 스토커의 배출부의 영역에 미치는 배출부의 하방에 반송 벨트를 설치하고, 상기 반송 벨트의 종단측에 라벨의 인자·부착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인자·부착 수단의 배출부 근방에 채혈관 수납용 받침 접시 적재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준비 장치.
  4. 양단측에 설치된 풀리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엔드리스 형상의 이송 벨트와, 상기 이송 벨트의 왕복하는 벨트들 사이에 있고 또한 이송 벨트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채혈관 캡의 대향하는 하단면을 지지해서 이것을 매달아 지지하는 2개의 채혈관 지지 레일을 설치하고, 왕로측 이송 벨트의 내측의 평탄면을 상기 채혈관 지지 레일에 매달아 지지된 채혈관의 관 본체의 측면에 접촉시키고 채혈관 지지 레일의 종단측에는 채혈관이 자중에 의해 낙하 배출되는 배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부의 하방에는 채혈관의 반송 벨트를 설치하고, 상기 반송 벨트의 종단측에 라벨의 인자·부착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인자·부착 수단의 배출부 근방에 채혈관 수납용 받침 접시 적재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준비 장치.
  5. 양단측에 설치된 풀리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엔드리스 형상의 이송 벨트와, 상기 이송 벨트의 왕복하는 벨트들 사이에 있고 또한 이송 벨트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며 채혈관 캡의 대향하는 하단면을 지지해서 이것을 매달아 지지하는 2개의 채혈관 지지 레일을 설치하고, 왕로측 이송 벨트의 내측의 평탄면을 상기 채혈관 지지 레일에 매달아 지지된 채혈관의 관 본체의 측면에 접촉시키고 채혈관 지지 레일의 종단측을 통과한 위치에 있어서 채혈관이 자중에 의해 낙하 배출되는 배출부를 설치하고, 채혈관 지지 레일의 종단측에 선두의 채혈관의 캡 전면에 대하여 진입 퇴출 가능한 제 1 스토퍼와 선두로부터 첫 번째 채혈관과 두 번째 채혈관의 캡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진입 퇴출 가능한 두 갈래 형상의 제 2 스토퍼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를 동일 축에 피봇 지지된 2개의 암의 선단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각 암의 후단측에는 솔레노이드를 연결해서 이루어지고, 이들 이송 벨트, 지지 레일, 채혈관의 배출부,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 2개의 암 및 솔레노이드가 하나의 케이싱인 모듈에 수납되어 있는 채혈관 스토커를 복수 개 준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혈관 스토커를 복수 개가 병행되어서 설치된 레인에 모듈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수납하고, 각 채혈관 스토커의 배출부의 영역에 미치는 배출부의 하방에 반송 벨트를 설치하고, 상기 반송 벨트의 종단측에 라벨의 인자·부착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인자·부착 수단의 배출부 근방에 채혈관 수납용 받침 접시 적재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준비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접시 적재부에는 받침 접시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1명의 환자에 대하여 채혈관을 받침 접시에 수용한 후 다음 환자의 채혈관을 수용할 때에는 일단 받침 접시가 인출된 것을 검지한 후 별도의 받침 접시가 검지되었을 경우가 아니면 각 부의 동작이 기동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준비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벨트의 가장 상류측에 위치하는 채혈관 스토커의 배출부 근방에는 수작업으로 채혈관을 상기 반송 벨트 상에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준비 장치.
  8.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착 수단의 근방이며 또한 받침 접시 적재부에 임하는 위치에는 타용도의 별도의 프린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준비 장치.
  9.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혈관 준비 장치 본체에는 상위 컴퓨터와 통신 가능하고 각종 유저 인터페이스가 설치된 보드 컴퓨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준비 장치.
  10.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착 수단은 프린터 유닛으로서 채혈관 준비 장치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프린터 유닛을 채혈관 준비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해서 시판품으로 교환해서 탑재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준비 장치.
  11.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관 준비 장치의 기동용 스위치가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ON, OFF 제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준비 장치.
  12.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외표면에는 상기 채혈관 준비 장치의 설정 상태 표시 및 각 조작 스위치에 연동해서 설정 변경 안내 표시를 하기 위한 설정 상태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준비 장치.
  13.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관 준비 장치는 내장 또는 외부 접속된 CPU를 갖고, 상기 CPU에는 채혈관 준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고, 상기 장치 본체의 외표면에는 상기 CPU의 입력부 및 모니터를 겸용하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준비 장치.
KR1020117030534A 2009-06-24 2009-11-18 채혈관 스토커 및 채혈관 준비 장치 KR101550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67245 2009-06-24
JP2009167245A JP5399797B2 (ja) 2009-06-24 2009-06-24 採血管ストッカー及び採血管準備装置
JPJP-P-2009-207765 2009-09-09
JP2009207765A JP5503230B2 (ja) 2009-09-09 2009-09-09 採血管準備装置
JP2009251674A JP5448230B2 (ja) 2009-11-02 2009-11-02 採血管ストッカー及び採血管準備装置
JPJP-P-2009-251674 2009-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376A KR20120027376A (ko) 2012-03-21
KR101550247B1 true KR101550247B1 (ko) 2015-09-04

Family

ID=433861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534A KR101550247B1 (ko) 2009-06-24 2009-11-18 채혈관 스토커 및 채혈관 준비 장치
KR1020117030541A KR20120027377A (ko) 2009-06-24 2010-06-14 채혈관 스토커 및 채혈관 준비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541A KR20120027377A (ko) 2009-06-24 2010-06-14 채혈관 스토커 및 채혈관 준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10173927A1 (ko)
EP (2) EP2352034A4 (ko)
KR (2) KR101550247B1 (ko)
CN (2) CN102460179B (ko)
TW (1) TWI480212B (ko)
WO (2) WO20101503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0756A2 (en) * 2011-11-07 2013-05-16 Beckman Coul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amples
ITMI20120044A1 (it) * 2012-01-17 2013-07-18 Inpeco Ip Ltd Apparato di etichettatura tracciabile di contenitori di prodotti biologici.
AU2015255173B2 (en) * 2012-01-17 2017-06-29 Inpeco SA Traceable labeling apparatus for containers of biological products
DK2873977T3 (da) * 2012-07-10 2020-06-08 Techno Medica Co Ltd Dobbeltdækker-rørdispenser
CN103932717B (zh) * 2013-01-18 2018-02-13 湖南千山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多通道弹夹式全自动采血设备
US9764871B2 (en) * 2013-07-17 2017-09-19 Techno-Medica Co., Ltd. Automatic blood-sampling tube preparation device
CN104665843A (zh) * 2013-11-26 2015-06-03 湖南千山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采血管自动选管方法及设备
TWI468692B (zh) * 2013-12-10 2015-01-11 Metal Ind Res & Dev Ct 檢驗試管整備裝置
US9315286B2 (en) * 2014-05-22 2016-04-19 Milad A. Hanna Test tube labeling assembly
KR101634327B1 (ko) 2014-12-17 2016-06-29 (주)중앙에프에이 채혈관 자동 준비장치
CN104668015B (zh) * 2015-01-30 2017-03-29 上海创司杰医疗科技有限公司 采血管理系统所用的分体式试管架
EP3093071A1 (en) * 2015-05-11 2016-11-16 Roche Diagniostics GmbH Test tube carrier
CN105012019A (zh) * 2015-07-10 2015-11-04 朱建军 一种改良采血操作台
CN105235961A (zh) * 2015-09-16 2016-01-13 上海创司杰医疗科技有限公司 带缓冲的采血管存储抓取装置
KR101746071B1 (ko) * 2015-10-21 2017-06-21 에너지움 주식회사 시험관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 부착 시스템
CN105372094A (zh) * 2015-11-20 2016-03-02 秦学军 一种医学检验取样装置
JP6719901B2 (ja) 2015-12-28 2020-07-08 あおい精機株式会社 検体処理装置
CN106443034B (zh) * 2016-08-31 2019-06-18 武汉明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全自动免疫定量分析仪
CN106966006A (zh) * 2017-04-24 2017-07-21 珠海倍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采血管条码信息处理机的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796898B1 (ko) * 2017-06-21 2017-11-13 주식회사 크레도웨이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CN107555113A (zh) * 2017-09-21 2018-01-09 南京师范大学 一种医用采血管抓举装置
KR102092886B1 (ko) * 2017-11-29 2020-03-24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수직방향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KR102092887B1 (ko) * 2017-12-04 2020-03-24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채혈관 라벨지 정렬 및 처리장치
CN108248972B (zh) * 2018-01-10 2020-11-20 义乌市富顺箱包有限公司 一种反应管标签打印、传送及粘贴方法
EP3791789B1 (en) * 2018-03-30 2023-05-24 Techno Medica Co., Ltd. Blood-collecting tube automatic preparation device
CN108657779B (zh) * 2018-05-30 2023-08-04 合肥妙思智能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采血管信息标注及多点采血窗口到位传送系统
CN108792118A (zh) * 2018-08-01 2018-11-13 成都普什医药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输送机构和采血管贴标装置
CN110498254B (zh) * 2019-07-16 2020-11-17 苏州翌恒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转轮式采血管准备装置
CN110498252B (zh) * 2019-07-17 2020-11-03 苏州翌恒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采血管采血前自动准备装置
JP7157711B2 (ja) * 2019-07-19 2022-10-20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 採血装置
CN110403401B (zh) * 2019-08-16 2024-04-26 浙江工业大学之江学院 一种多规格堆积采血管单根有序出管装置
CN111115195A (zh) * 2019-12-30 2020-05-08 广州创惠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导直装置及分拣上架机
CN111281346B (zh) * 2020-03-04 2024-05-03 河北工业大学 基于计算机视觉的智能静脉采血定位装置
CN112705290A (zh) * 2020-12-30 2021-04-27 四川省肿瘤医院 一种盘绕型试管架
CN113173307A (zh) * 2021-04-29 2021-07-27 宿州市同科机械有限公司 一种基于dsp高性能全自动圆盘式输送贴管机
CN114572501A (zh) * 2022-04-18 2022-06-03 四川沃文特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医院采血检验过程中的备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76523B (it) * 1973-01-29 1974-09-10 Cioni E Attrezzatura di avanzamento per macchine di manipolazione delle fia le od altro
US5397025A (en) * 1994-02-22 1995-03-14 National Superior Vending, Inc. Product dispensing and storage device
US5838575A (en) * 1995-12-14 1998-11-17 Rx Excell Inc. System for dispensing drugs
US7168366B2 (en) * 1998-04-03 2007-01-30 Louviere Kent A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inting a vial
JP2000162215A (ja) * 1998-11-30 2000-06-16 Ids:Kk 検体処理管体およびその搬送システム
US6343690B1 (en) * 1999-10-18 2002-02-05 Coulter International Corp. Specimen carrier for automated transport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same
FI116487B (fi) * 1999-11-15 2005-11-30 Thermo Electron Oy Sovitelma ja menetelmä näyteputkien käsittelemiseksi laboratoriossa
US6293387B1 (en) * 2000-02-17 2001-09-25 Hugh H. Forster Carrier, carrier orientation and conveying structure, carrier line system assembly, and carrier process
JP3572543B2 (ja) * 2000-10-03 2004-10-06 株式会社アステ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採血管準備装置
US6597969B2 (en) * 2001-06-22 2003-07-22 Shlomo Greenwald Hospital drug distribution system
US6742246B2 (en) * 2002-01-23 2004-06-01 Safety Syringes, Inc. Systems for assembling injection devices
CA2489804C (en) * 2002-06-19 2008-03-25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Sterile filling machine having needle filling station within e-beam chamber
JP4484472B2 (ja) 2003-08-25 2010-06-16 株式会社テクノメデイカ 採血管自動準備システム
JP4484473B2 (ja) * 2003-08-25 2010-06-16 株式会社テクノメデイカ 採血管準備装置
NL1025141C2 (nl) * 2003-12-29 2005-07-04 Hendriks Van De Weem Engineeri Inrichting voor het afgeven van gimmicks aan een hoofdtransporteur van een transportlijn.
DE502005005769D1 (de) * 2004-01-28 2008-12-11 Ferag Ag Verfahren und Fördervorrichtung zur Förderung von mit einem Kragen versehenen Gegenständen
JP2006021854A (ja) 2004-07-06 2006-01-26 Nihon Yamamura Glass Co Ltd 樹脂ボトル類の搬送装置
FR2882736B1 (fr) * 2005-03-02 2008-11-07 Sidel Sas Dispositif de convoyage de recipients tels que des preformes
JP4209420B2 (ja) 2005-11-28 2009-01-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吊り下げ水平搬送装置
JP2008058202A (ja) * 2006-08-31 2008-03-13 Ids Co Ltd 検体搬送システム
ITMI20072254A1 (it) * 2007-11-30 2009-06-01 Dachi S R L "impianto di identificazione, trasporto ed indirizzamento automatico di campioni di materiale biologico"
JP4356096B1 (ja) * 2008-08-29 2009-11-04 満 佐藤 ハンガータイプの試験管ストッカー及び試験管準備装置
FR2940254B1 (fr) * 2008-12-22 2013-04-26 Joel Vazeille Convoyeur pour flac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74162A1 (en) 2012-03-29
US20110173927A1 (en) 2011-07-21
CN102460179A (zh) 2012-05-16
KR20120027377A (ko) 2012-03-21
CN102803105B (zh) 2014-10-01
EP2352034A4 (en) 2013-02-27
WO2010150328A1 (ja) 2010-12-29
TWI480212B (zh) 2015-04-11
TW201107212A (en) 2011-03-01
EP2352034A1 (en) 2011-08-03
WO2010150479A1 (ja) 2010-12-29
KR20120027376A (ko) 2012-03-21
EP2447195A4 (en) 2013-02-27
EP2447195A1 (en) 2012-05-02
CN102460179B (zh) 2014-07-16
CN102803105A (zh)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247B1 (ko) 채혈관 스토커 및 채혈관 준비 장치
JP5905095B2 (ja) ダブルデッキ型チューブディスペンサー
JP4356096B1 (ja) ハンガータイプの試験管ストッカー及び試験管準備装置
KR101897320B1 (ko) 채혈관 자동 준비 장비
JP5448230B2 (ja) 採血管ストッカー及び採血管準備装置
JP5399797B2 (ja) 採血管ストッカー及び採血管準備装置
JP5503230B2 (ja) 採血管準備装置
JP4662193B1 (ja) 採血管ストッカー及び採血管準備装置
JP2009069074A (ja) トレイユニット一体型の試験管準備装置
JP2008120404A5 (ko)
JP2008120404A (ja) チューブディスペンサー
JP2013140060A (ja) バケット式チューブディスペンサー
JP2013139314A (ja) 採血管ストッカー装置及び縦型チューブディスペンサー
JP3134557U (ja) 採血作業ユニット
JP2009155011A (ja) 調剤装置のシート取り出し機構
JPH08266521A (ja) 採血管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