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465B1 -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465B1
KR102005465B1 KR1020157001856A KR20157001856A KR102005465B1 KR 102005465 B1 KR102005465 B1 KR 102005465B1 KR 1020157001856 A KR1020157001856 A KR 1020157001856A KR 20157001856 A KR20157001856 A KR 20157001856A KR 102005465 B1 KR102005465 B1 KR 10200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lkylene oxide
group
modified product
oxide modified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6175A (ko
Inventor
히토시 오자와
즈요시 마스다
유스케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6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3Compounds containing ether groups, e.g. oxyalkylated mono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08G18/4837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 C08G18/4841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containing oxyethylene end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two or more cycloaliph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being toluene diisocyanate including isome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8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two or more non-condensed aromatic rings directly linked to each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폴리알킬렌옥시드 화합물(A),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B)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로서, (A)가 식(Ⅱ): HO-(CH2CH2O)n-H(Ⅱ)(식 중, n은 130~680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나타나는 폴리에틸렌옥시드이고, (B)가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의 랜덤 공중합체의, 일단이 OH기이고, 다른 일단이 탄소수 15~24인 직쇄의 알킬기인 구조를 갖고, 또한 해당 에틸렌옥시드의 부가 몰수를 a, 프로필렌옥시드의 부가 몰수를 b로 할 때, (a/b)가 1~2인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이고, (C)가 식(Ⅳ): O=C=N-R2-N=C=O(Ⅳ)(식 중, R2는 메틸디페닐렌기, 헥사메틸렌기, 메틸디시클로헥실렌기, 3-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렌기, 디메틸페닐렌기 또는 톨릴렌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Description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MODIFIED POLYALKYLENE OXIDE}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특히 화장품 등의 증점제로서, 종래의 폴리아크릴산계의 증점제에 대신하여, 비이온성이고 소수성 기의 응집에 의하여 증점하는 타입의 폴리우레탄계 증점제가 주목을 모으고 있다.
이들의 폴리우레탄계 증점제는, 그 말단에 갖는 소수성 기의 회합에 의해 증점한다. 또, 비이온성이기 때문에 내염성이나 이온성 계면 활성제와의 병용에도 뛰어난 외에, 새로운 리올로지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 기술로서는, 말단의 소수기의 사슬 길이가 길어질수록 증점성이 높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비특허 문헌 1).
폴리우레탄계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적어도 1, 500의 분자량을 갖는 친수성 폴리에스테르기로 연결된 3개의 소수성 기를 갖고, 또한 그들의 소수성 기의 적어도 2개가 말단기에 있는 것(특허 문헌 1)이나,
(a) 적어도 1종의 수용성 폴리에테르폴리올,
(b) 적어도 1종의 수불용성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c)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의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1관능성의 소수성 유기 화합물 및,
(d) 적어도 1종의 다가 알코올 또는 다가 에테르알코올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3).
또, 적어도 1개의 다른 극성 기를 갖는 1가 알코올, 다가 알코올로서 3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폴리우레탄계 증점제(특허 문헌 4)나 소수성 기로서 분기쇄 또는 2급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을 이용한 점성 조정제도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5).
이들 종래 기술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증점제에 대해서는, 상기 비특허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말단의 알코올의 탄소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 소수기의 회합력이 강해져서 증점 효과가 커진다. 그러나 말단 알코올의 탄소수가 증가함에 따라, 물과의 친화성이 나빠져서 수용액의 끈적거리는 느낌이 발생하기 쉽고, 예를 들면, 화장료에 증점제로서 첨가한 경우에 사용감이 무거워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분자쇄 말단이 소수기로 변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과의 친화성이 낮아서 수용액이 백탁하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또, 해당 백탁을 피하기 위해, 소수기의 비율을 적게 하는 등으로 하여 수용액의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특히, 헤어 케어 제품에 자주 이용되는)를 첨가했을 때에 점도가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폴리우레탄계 증점제는 비이온성이기 때문에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와 병용해도 폴리아크릴산계 증점제의 경우와 달리, 카티온과 어니온의 상호 작용에 의한 응집물의 석출은 통상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와 병용하면, 증점액의 투명성이 뒤떨어져서 외관이 악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특개소54-80349호 공보 미국 특허 제 4, 155, 892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 4,079,028호 명세서 일본국 특표평7-501094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9-71766호 명세서
J. Coating Technology Vol. 64, No. 804, pp. 87-94(1992)
본 발명의 목적은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와 병용했을 때에도 투명성이 우수하고, 고점도의 수용액이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한 폴리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의 말단에 특정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의하여 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의 랜덤 공중합체와 모노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특정한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을 결합한 구조의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이면, 증점제로서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와의 병용 시에 있어서도 투명성이 우수한 것, 또, 소량이고 고점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고, 더욱 개량을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하의 항에 기재된 주제를 포함한다.
항 1.
폴리알킬렌옥시드 화합물(A),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B)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
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로서,
(A)가 식(Ⅱ):
HO-(CH2CH2O)n-H (Ⅱ)
(식 중, n은 130~680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나타나는 폴리에틸렌옥시드이고,
(B)가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의 랜덤 공중합체의, 일단이 OH기이고, 다른 일단이 탄소수 15~24인 직쇄의 알킬기인 구조를 갖고, 또한 해당 에틸렌옥시드의 부가 몰수를 a, 프로필렌옥시드의 부가 몰수를 b로 할 때, (a/b)가 1~2인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이고,
(C)가 식(Ⅳ):
O=C=N-R2-N=C=O (Ⅳ)
(식 중, R2는 메틸디페닐렌기, 헥사메틸렌기, 메틸디시클로헥실렌기, 3-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렌기, 디메틸페닐렌기 또는 톨릴렌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항 2.
(A)가 수평균 분자량 6,000~30,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인 항 1에 기재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항 3.
(B)가,
a가 5~10의 정수이고, b가 5~8의 정수인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인 항 1 또는 2에 기재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항 4.
(B)가 수평균 분자량 800~3,000의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인 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항 5.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가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항 6.
(A) 1몰에 대하여 (B)를 1~2몰의 비율로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항 7.
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바람직하게는 0.01~5질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항 8.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를(바람직하게는 0.1~2질량%) 더 함유하는 항 7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항 9.
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이용하여 조제한 성형품.
항 10.
성형품이 시트 또는 필름인 항 9에 기재된 성형품.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은 특히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와 병용해도 투명성이 우수하고, 또한 점도가 저하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투명하고 고점도의 수용액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2질량% 수용액)의 전단 속도와 수용액 점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는 비교예 3에서 얻어진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2질량% 수용액)의 전단 속도와 수용액 점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은 특정한 폴리알킬렌옥시드 화합물(A), 특정한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B) 및 특정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를 반응시켜서 얻어진다. 또한, 이하 이들의 성분을 단순히 (A), (B), 또는 (C)로 표기하는 일이 있다.
(A)는 식(Ⅱ):
HO-(CH2CH2O)n-H (Ⅱ)
(식 중, n은 130~680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나타나는 폴리에틸렌옥시드이다.
해당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수평균 분자량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6,000~30,000 정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0~20,000 정도이다.
(A)의 수평균 분자량이 6,000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투명성이 나빠질 염려가 적다. 또, 수평균 분자량이 30,000 이하이면,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수용액 점도가 저하할 염려가 작다.
여기에서의 (A)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수평균 분자량은 JIS K 1557-1:2007(플라스틱-폴리우레탄 원료 폴리올 시험 방법-제 1부: 수산기가를 구하는 방식) A법에 의해 구해지는 수산기가(O1)로부터 이하의 식으로 구해진다. 즉,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양 말단을 수산기로 하여, 그 수평균 분자량은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해진다.
수평균 분자량=(56,100×2)/O1
(B)는 에틸렌옥시드(EO) 및 프로필렌옥시드(PO)의 랜덤 공중합체의, 일단이 OH기이고, 다른 일단이 탄소수 15~24의 직쇄인 알킬기(이하, 해당 알킬기를 R1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인 구조를 갖는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이다. 그리고 해당 에틸렌옥시드의 부가 몰수를 a, 프로필렌옥시드의 부가 몰수를 b로 했을 때, 그 비(a/b)는 1~2의 범위에 있다.
해당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은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가, 부가 몰수의 비(a/b)가 1~2(바람직하게는 1.1~1.5)로 랜덤하게 공중합해 있으며, 탄소수 15~24의 직쇄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알킬에테르"라고 할 수도 있다.
(B)는 탄소수 15~24의 직쇄의 알킬기를 R1으로 하여, 이하의 식(Ⅲ)
R1-[(OCH2CH2)a-ran-(OCH2CH(CH3))b]-OH (Ⅲ)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OCH2CH2)a-ran-(OCH2CH(CH3))b]는 구성 단위인 (OCH2CH2)와 (OCH2CH(CH3))가 랜덤 공중합해 있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각각의 구성 단위의 중합도가 a 및 b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an"은 [αi-ran-βi]이라는 표기에 의해 구성 단위(α 및 β)가 각각 중합도 i 및 j로 랜덤 공중합해 있는 것을 나타낸다.
(B)에 있어서의 (a/b)는 상기와 같이 1~2이고, 바람직하게는 1.1~1.5이다. 해당 비가 1 미만인 경우,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물로의 용해성이 저하하여, 해당 수용액의 투명성도 악화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2를 넘으면, 해당 수용액 점도가 저하하고, 또한 특히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와 병용한 경우에 투명성이 악화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a는 5~10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b는 5~8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a는 5~10의 정수이고, b가 5~8의 정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가 5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수용액 점도가 보다 높아질 수 있다. a가 10 이하이면,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수용액의 투명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b가 5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수용액의 투명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b가 8 이하이면,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수용액 점도가 보다 높아질 수 있다.
R1은 상기와 같이 탄소수 15~24의 직쇄의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22의 직쇄의 알킬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20의 직쇄의 알킬기이다. 탄소수가 15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수용액 점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탄소수가 24 이하이면,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수용액의 투명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B)는 직쇄의 1가 포화 알코올에 프로필렌옥시드 및 에틸렌옥시드의 랜덤 공중합체(폴리알킬렌옥시드)가 부가된 구조를 갖는다.
만일, 여기에서의 프로필렌옥시드 및 에틸렌옥시드의 랜덤 공중합체가 예를 들면, 프로필렌옥시드 및 에틸렌옥시드의 블록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물로의 용해성이 저하하여 수용액의 투명성이 악화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B)는 예를 들면, 직쇄의 1가 포화 알코올에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를 부가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해당 직쇄의 1가 포화 알코올은 탄소수 15~24(바람직하게는 16~22, 보다 바람직하게는 16~20)의 직쇄상의 포화 알코올이다.
직쇄의 1가 포화 알코올에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를 부가 중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산화물이나 아조기를 포함하는 폴리머 개시제를 이용하는 래디컬 중합이나 연쇄 이동 반응을 일으키기 쉬운 티올기 등을 도입한 폴리머 연쇄 이동제를 이용함으로써 부가 중합시킬 수 있다.
(B)의 수평균 분자량은 800~3,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2,5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이 800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수용액의 점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수평균 분자량이 3,000 이하이면,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수용액이 카티온의 존재 하에 있어서도 점도의 저하가 보다 일어나기 어렵다.
여기에서의 (B)의 수평균 분자량은 JIS K 1557-1:2007(플라스틱-폴리우레탄 원료 폴리올 시험 방법-제 1부: 수산기가를 구하는 방식) A법에 의해 구해지는 수산기가(O1)로부터 이하의 식으로 구해진다. 즉, 폴리에틸렌옥시드의 편(片)말단을 수산기로 하여, 그 수평균 분자량은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해진다.
수평균 분자량=(56,100)/O1
(B)의 사용량은 (A) 1몰에 대하여 1~2몰의 비율이 바람직하고, 1.1~2몰이 보다 바람직하고, 1.5~2몰이 더욱 바람직하다. (B)의 사용량이 (A) 1몰에 대하여 1몰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수용액 점도가 보다 저하하기 어렵다.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의 사용량이 (A) 1몰에 대하여 2몰 이하이면,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물에 용해한 경우, 수용액의 투명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C)는 식(Ⅳ):
O=C=N-R2-N=C=O (Ⅳ)
로 나타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다. R2는 메틸디페닐렌기, 헥사메틸렌기, 메틸디시클로헥실렌기, 3-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렌기, 디메틸페닐렌기 또는 톨릴렌기를 나타낸다.
(C)로서는 구체적으로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HMDI), 3-이소시아네이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IPDI), 1,8-디메틸벤졸-2,4-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에서도,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내후성, 투명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HMDI),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 비율은 (A)와 (B)의 말단 수산기의 합계 몰수([-OH]의 몰수)를 1로 한 경우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수([-NCO]의 몰수)가 0.8~1.2인 것이 바람직하고,0.9~1.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A)와 (B)의 합계 말단 수산기 1몰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0.8~1.2몰인 것이 바람직하고,0.9~1.1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해당 사용 비율이 0.8몰 이상이면, 미반응의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의 잔존량이 많아지기 어려워서,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수용액의 점도가 보다 저하하기 어렵다. 사용 비율이 1.2몰 이하이면, 물로의 용해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은 상기와 같이, (A), (B) 및 (C)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이고 이하의 식(Ⅰ)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그 주성분이라고 생각된다.
Figure 112015007211629-pct00001
식 (Ⅰ) 중, R1, R2, a, b 및 [(OCH2CH2)a-ran-(OCH2CH(CH3))b] 및 n은 상기와 같다. 또, m은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폴리알킬렌옥시드 화합물(A)과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B)과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을 반응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반응 용매에 용해나 분산시켜서 반응시키는 방법; 고체를 분말상으로 분쇄(분말상) 또는 액상으로 용융하여 양자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사전에 결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반응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공업적 실시의 견지에서는, 각 원료를 가열 용융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다축 압출기 중에서 혼합, 반응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의 온도로서는, 바람직하게는 70~210℃,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8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60℃이다. 반응 시간은 반응 온도나 이용하는 폴리알킬렌옥시드 화합물,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종류 등에 따라서 반응이 완결되도록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반응 시간은 다축 압출기 중에서의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평균 체류 시간을 말한다. 평균 체류 시간은 미량의 착색제(예를 들면, 분쇄한 적색 쵸크, 청색 5호)를 폴리알킬렌옥시드 화합물,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동시에 다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토출물의 색의 변화를 관찰하여 가장 색이 짙은 부분이 토출된 시간으로 측정한다. 평균 체류 시간은 0.5~5.0분의 사이, 바람직하게는 1.0~3.5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분이 되도록 공급량과 회전수, 스크류의 형상에 의해 조정된다.
또,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제조할 때, 반응을 촉진시키는 관점에서, 반응계 중에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부틸주석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스태너스옥토에이트, 트리에틸렌디아민 등의 반응 촉진제를 소량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반응 촉진제의 사용량은 폴리알킬렌옥시드 화합물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0~2,000질량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1,000질량ppm이다.
이렇게 하여 폴리알킬렌옥시드 화합물과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압출기 등의 적당한 반응기 중에서 혼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진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은 주로 일반식(Ⅰ)에 있어서, 폴리알킬렌옥시드 화합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반복 중합한 m=1~4 정도의 혼합물로서 얻어진다. 그리고 그들은 분리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그 비율은 GPC 등에 의해 분리되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m=1~2인 것이 주생성물로 된다.
얻어진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은 특히 화장료의 제조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화장료의 제조 공정 내에 첨가하여 용해할 수도 있다. 그 첨가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0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3질량%의 범위이다. 즉,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도 포함하고, 그 중에서도, 상기 비율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함유 비율이 0.01질량% 이상이면, 증점 효과가 보다 바람직하게 발휘될 수 있다. 5질량% 이하이면, 겔화의 염려가 보다 저감된다. 또, 미리 물; 염화나트륨 등의 염이나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용액;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수용액;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등으로 희석하고나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5~50질량%로 되도록 희석하고나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용해 시간의 단축을 꾀하기 위해 분쇄하고나서 이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중위 입자 직경이 약 100㎛ 정도로 되도록 분쇄하면 좋다. 분쇄 방법은 한정되지 않지만, 액체 질소를 이용한 냉동 분쇄법이 최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여기에서의 중위 입자 직경은 건식 체 분리법(JIS Z8815)에 의해 구해지는 중위 직경을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수지(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50g을 칭량하고, 이것을 JIS표준 체(JIS Z8801)를 사용하여 체 분리한 후에 체마다 칭량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적산 질량이 50%가 되는 점의 입자 직경을 말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은 이온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노니온계, 어니온계,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나 염류와의 병용 시에도 그 점도 변화가 거의 없다. 특히, 종래 병용이 곤란했던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와의 병용이 우수하고,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와의 병용 시이어도, 그 투명성은 높은 채 유지된다.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염화베헤닌산아미드프로필디메틸히드록시프로필암모늄, 스테아린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린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0~45000,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15000~40000이다. 또한, 여기에서의 수평균 분자량은 하기 실시예의 "GPC 측정"에 있어서 기재하는 조건으로 GPC 측정을 실시하여 산출되는 값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에 추가하여, 상기와 같은 계면 활성제나 염류(특히,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도 포함하는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해당 조성물에 있어서의 계면 활성제나 염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0.1~2질량%, 나아가서는 0.2~1.5질량%를 들 수 있다. 또, 해당 조성물은 특히 화장료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헤어 케어용 조성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장료 조성물이나 헤어 케어용 조성물로 하는 경우에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고, 그 밖의 성분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화장품에 이용되는 예를 들면, 글리콜 등의 보습제나 폴리리신 등의 항균제 성분, 착색제, 그 외 향료,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식물 추출 엑스 등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2질량% 수용액의 점도는 콘 플레이트형 리오미터(티ㆍ에이ㆍ인스트루먼트사제 AR2000)에 의해 콘(60㎜, 콘 각도 1도)을 이용하여 온도 25℃에 있어서의 전단 속도가 0.001~1,000[1/s]의 범위의 점도를 측정함으로써 구해진다.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2질량% 수용액의 점도는 상기 방법으로 구한, 전단 속도 1[1/s]의 경우의 점도가 100~300[Paㆍs]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 플레이트형 리오미터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B형 점도계를 이용한 측정에 비하여 보다 상세하게 그 점성 거동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투명성은 자외-가시 분광 광도계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1질량% 수용액을 광로 길이 1㎝의 석영 유리 셀에 충전했을 때의 425㎚에서의 광선 투과율에 의하여 평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방법으로 구한 투과율이 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70% 이상이면, 화장료로서 이용한 경우의 투명성이 보다 향상된다. 한편, 종래의 폴리아크릴산계의 증점제를 이용한 경우에는, 90% 이상의 투명성을 갖는 수용액이 얻어지지만, 헤어 케어 제품 등에 유용한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와 병용하면, 폴리머가 석출되어 불균일해져서 감점(減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은 니더, 롤, 압출기, 핫 프레스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성형품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특히, 유연성을 갖는 시트, 필름 등의 성형품으로 바람직하게 가공할 수 있다. 성형 시에 향료나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은 물에 녹기 쉽다는 성질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시트나 필름은 수용성이고, 소량의 수분에도 용이하게 용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트나 필름은 물, 화장수, 유액 등에 의해 피부 상에서 재빨리 용해하고 밀착성도 좋기 때문에 예를 들면, 팩제 등의 화장용 재료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는, 하수에 흘린 경우에도 재빨리 용해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청소용의 화장품류 제품 등에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열가소성 수지와 성형 시에 용융 혼합하는 것에 의한 성형도 가능하고, 수지 표면의 친수성, 평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에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방법
(1) 수용액 점도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6.0g을 294g의 이온 교환수 또는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인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을 1질량% 함유하는 수용액에 투입하고, 30℃, 300rpm의 조건으로 3시간 교반하여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2질량%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용액을 콘 플레이트형 리오미터(티ㆍ에이ㆍ인스트루먼트사제 AR2000)에 의해 콘(60㎜, 콘 각도 1도)을 이용하여 온도 25℃에 있어서, 전단 속도 0.001~1,000[1/s]의 범위의 수용액 점도를 측정했다.
(2) 투명성
상기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2질량% 함유하는 수용액 및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2질량% 및 1.0질량%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각 4.5㎖을 원심 분리기(1,800rpm)에 의해 기포를 제거하고, 자외-가시 분광 광도계(UV-3150: 시마즈 제작소)에 의해 425㎚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고, 투명성의 평가로 했다.
(3) GPC 측정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0.5g을 DMF 49.5g에 가열 용해시키고, 이하의 GPC로 그 분자량(PEO 환산)과 분포를 구했다. 또한, PEO는 폴리에틸렌옥시드의 약자이고, PEO 환산이란, GPC의 분자량 마커로서 각 기지(旣知) 분자량의 PEO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해당 검량선을 이용하여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의 분자량을 산출한 것을 의미한다.
캐리어: DMF(LiBr 0.1m㏖/L)
컬럼 : TOSHO TSKgel MultiporeHxL-M ×3개
(배제 한계 2000000: 폴리스티렌)
펌프 유량: 0.6mL/min
(4) 중위 입자 직경 측정
건식 체 분리법(JIS Z8815)에 의해 중위 입자 직경을 구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50g을 칭량하고, 이것을 JIS표준 체(JIS Z8801)를 사용하여 체 분리한 후에 체마다 칭량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적산 질량이 50%가 되는 점의 입자 직경을 구했다.
실시예 1
80℃로 보온된 교반기가 부착된 저장 탱크(A)에 충분히 탈수한 수평균 분자량 20,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 100질량부와 폴리에테르스테아릴알코올 CH3(CH2)17O-[(CH2CH2O)8-ran-(CH2CH(CH3)O)6]-H(아오키 유지 주식회사제 블라우논(blaunon) SA50/50 수평균 분자량 1,000) 7.4질량부 및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0.2질량부의 비율로 투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30℃로 보온된 저장 탱크(B)에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투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저장했다.
정량 펌프를 이용하여 저장 탱크(A)의 혼합물을 200[g/분]의 속도로, 저장 탱크(B)의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4.24[g/분]의 속도로 110~140℃로 설정한 스크류 외경 26㎜의 2축 압출기(L/D=4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압출기 중에서 혼합, 반응을 실시하고, 압출기 출구로부터 스트랜드(strands)를 밀어내고, 펠리타이저에 의해 펠릿화하여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은 GPC 측정에 따르면, 대략 식(Ⅰ)에 있어서의 m=1이 55%, m=2가 25%, m=3이 15%, m=4가 5%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고, 그 수평균 분자량은 36,700이었다. 얻어진 펠릿을 액체 질소에 침지한 후에 중위 입자 직경 100㎛로 되도록 분쇄하여 평가에 제공했다.
사용한 원료 및 평가 결과를 각각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80℃로 보온된 교반기가 부착된 저장 탱크(A)에 충분히 탈수한 수평균 분자량 11,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 100질량부와 폴리에테르스테아릴알코올 CH3(CH2)17O-[(CH2CH2O)8-ran-(CH2CH(CH3)O)6]-H(아오키 유지 주식회사제 블라우논 SA50/50 수평균 분자량 1,000) 14.0질량부 및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0.2질량부의 비율로 투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30℃로 보온된 저장 탱크(B)에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투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저장했다.
정량 펌프를 이용하여 저장 탱크(A)의 혼합물을 250[g/분]의 속도로, 저장 탱크(B)의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5.93[g/분]의 속도로 110~140℃로 설정한 스크류 외경 26㎜의 2축 압출기(L/D=4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압출기 중에서 혼합, 반응을 실시하고, 압출기 출구로부터 스트랜드를 밀어내고, 펠리타이저에 의해 펠릿화하여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은 GPC 측정에 따르면, 대략 식(Ⅰ)에 있어서의 m=1이 60%, m=2가 25%, m=3이 10%, m=4가 5%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고, 그 수평균 분자량은 20,000이었다. 얻어진 펠릿을 액체 질소에 침지한 후에 중위 입자 직경 100㎛로 되도록 분쇄하여 평가에 제공했다.
사용한 원료 및 평가 결과를 각각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80℃로 보온된 교반기가 부착된 저장 탱크(A)에 충분히 탈수한 수평균 분자량 20,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 100질량부와 폴리에테르세틸알코올 CH3(CH2)15O-[(CH2CH2O)10-ran-(CH2CH(CH3)O)8]-H(니치유 주식회사제 유니세이프10P-8 수평균 분자량 1, 150) 8. 3질량부 및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0.2질량부의 비율로 투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30℃로 보온된 저장 탱크(B)에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투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저장했다.
정량 펌프를 이용하여 저장 탱크(A)의 혼합물을 220[g/분]의 속도로, 저장 탱크(B)의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4.59[g/분]의 속도로 110~140℃로 설정한 스크류 외경 26㎜의 2축 압출기(L/D=4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압출기 중에서 혼합, 반응을 실시하고, 압출기 출구로부터 스트랜드를 밀어내고, 펠리타이저에 의해 펠릿화하여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은 GPC 측정에 따르면, 대략 식(Ⅰ)에 있어서의 m=1이 55%, m=2가 20%, m=3이 15%, m=4가 10%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고, 그 수평균 분자량은 39,000이었다. 얻어진 펠릿을 액체 질소에 침지한 후에 중위 입자 직경 100㎛로 되도록 분쇄하여 평가에 제공했다.
사용한 원료 및 평가 결과를 각각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80℃로 보온된 교반기가 부착된 저장 탱크(A)에 충분히 탈수한 수평균 분자량 20,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 100질량부와 폴리에테르스테아릴알코올 CH3(CH2)17O-[(CH2CH2O)4-ran-(CH2CH(CH3)O)7]-H(아오키 유지 주식회사제 블라우논 SA30/70 수평균 분자량 900) 6.7질량부 및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0.2질량부의 비율로 투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30℃로 보온된 저장 탱크(B)에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투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저장했다.
정량 펌프를 이용하여 저장 탱크(A)의 혼합물을 200[g/분]의 속도로, 저장 탱크(B)의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4.29[g/분]의 속도로 110~140℃로 설정한 스크류 외경 26㎜의 2축 압출기(L/D=4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압출기 중에서 혼합, 반응을 실시하고, 압출기 출구로부터 스트랜드를 밀어내고, 펠리타이저에 의해 펠릿화하여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은 GPC 측정에 따르면, 대략 식(Ⅰ)에 있어서의 m=1이 55%, m=2가 30%, m=3이 10%, m=4가 5%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고, 그 수평균 분자량은 35, 500이었다. 얻어진 펠릿을 액체 질소에 침지한 후에 중위 입자 직경 100㎛로 되도록 분쇄하여 평가에 제공했다.
사용한 원료 및 평가 결과를 각각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80℃로 보온된 교반기가 부착된 저장 탱크(A)에 충분히 탈수한 수평균 분자량 11,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 100질량부와 폴리에테르베헤닐알코올 CH3(CH2)21O-[(CH2CH2O)15-ran-(CH2CH(CH3)O)1]-H(도호 화학 주식회사제 베폴 BEP-0115 수평균 분자량 1,040) 13.6질량부 및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0.2질량부의 비율로 투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30℃로 보온된 저장 탱크(B)에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투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저장했다.
정량 펌프를 이용하여 저장 탱크(A)의 혼합물을 250[g/분]의 속도, 저장 탱크(B)의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5.78[g/분]의 속도로 110~140℃로 설정한 스크류 외경 26㎜의 2축 압출기(L/D=4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압출기 중에서 혼합, 반응을 실시하고, 압출기 출구로부터 스트랜드를 밀어내고, 펠리타이저에 의해 펠릿화하여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은 GPC 측정에 따르면, 대략 식(Ⅰ)에 있어서의 m=1이 50%, m=2가 35%, m=3이 10%, m=4가 5%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고, 그 수평균 분자량은 21,200이었다. 얻어진 펠릿을 액체 질소에 침지한 후에 중위 입자 직경 100㎛로 되도록 분쇄하여 평가에 제공했다.
사용한 원료 및 평가 결과를 각각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80℃로 보온된 교반기가 부착된 저장 탱크(A)에 충분히 탈수한 수평균 분자량 20,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 100질량부와 폴리에테르스테아릴에테르 C18H37O-(CH2CH2O)20-H(니치유 주식회사제 노니온 S-220 분자량 1,150) 3.2질량부 및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0.2질량부의 비율로 투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30℃로 보온된 저장 탱크(B)에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투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저장했다.
정량 펌프를 이용하여 저장 탱크(A)의 혼합물을 250[g/분]의 속도, 저장 탱크(B)의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2.43[g/분]의 속도로 110~140℃로 설정한 스크류 외경 26㎜의 2축 압출기(L/D=4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압출기 중에서 혼합, 반응을 실시하고, 압출기 출구로부터 스트랜드를 밀어내고, 펠리타이저에 의해 펠릿화하여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은 GPC 측정에 따르면, 대략 식(Ⅰ)에 있어서의 m=1이 55%, m=2가 15%, m=3이 25%, m=4가 5%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고, 그 수평균 분자량은 31, 100이었다. 얻어진 펠릿을 액체 질소에 침지한 후에 중위 입자 직경 100㎛로 되도록 분쇄하여 평가에 제공했다.
사용한 원료 및 평가 결과를 각각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80℃로 보온된 교반기가 부착된 저장 탱크(A)에 충분히 탈수한 수평균 분자량 4,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 100질량부와 폴리에테르스테아릴알코올 CH3(CH2)17O-[(CH2CH2O)8-ran-(CH2CH(CH3)O)6]-H(아오키 유지 주식회사제 블라우논 SA50/50 수평균 분자량 1,000) 36.0질량부 및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0.2질량부의 비율로 투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30℃로 보온된 저장 탱크(B)에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투입하고,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저장했다.
정량 펌프를 이용하여 저장 탱크(A)의 혼합물을 200[g/분]의 속도, 저장 탱크(B)의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16.57[g/분]의 속도로 110~140℃로 설정한 스크류 외경 26㎜의 2축 압출기(L/D=4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압출기 중에서 혼합, 반응을 실시하고, 압출기 출구로부터 스트랜드를 밀어내고, 펠리타이저에 의해 펠릿화하여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은 GPC 측정에 따르면, 대략 식(Ⅰ)에 있어서의 m=1이 50%, m=2가 35%, m=3이 10%, m=4가 5%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고, 그 수평균 분자량은 9,500이었다. 얻어진 펠릿을 액체 질소에 침지한 후에 중위 입자 직경 100㎛로 되도록 분쇄하여 평가에 제공했다.
사용한 원료 및 평가 결과를 각각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점도 측정 결과에 대하여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 Mn은 수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표 1 중, n, m, a, b, R1 등의 기재는 상기의 식(Ⅰ)~(Ⅳ)의 것과 공통된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160℃로 설정한 핫 프레스(곤노 수압기 제작소제 40t프레스, 압력: 4.9MPaㆍG)를 이용하여 10㎝×10㎝×0.01㎝의 시트로 성형했다.
얻어진 시트를 중심으로 180도로 절반으로 접어 구부려도 파단되는 일은 없고, 충분한 유연성과 강도를 갖고 있었다.
또, 얻어진 시트를 5㎝×5㎝의 크기로 절단하고, 300㎖ 비커 중에 유지된 25℃의 이온 교환수 200㎖에 침지한 바, 10초 후에 완전히 용해하는 것을 확인했다.
Figure 112015007211629-pct00002
Figure 112015007211629-pct00003

Claims (10)

  1. 폴리알킬렌옥시드 화합물(A),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B)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
    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로서,
    (A)가 식(Ⅱ):
    HO-(CH2CH2O)n-H (Ⅱ)
    (식 중, n은 130~680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나타나는 폴리에틸렌옥시드이고,
    (B)가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의 랜덤 공중합체의, 일단이 OH기이고, 다른 일단이 탄소수 15~24인 직쇄의 알킬기인 구조를 갖고, 또한 해당 에틸렌옥시드의 부가 몰수를 a, 프로필렌옥시드의 부가 몰수를 b로 할 때, (a/b)가 1~2인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이고,
    (C)가 식(Ⅳ):
    O=C=N-R2-N=C=O (Ⅳ)
    (식 중, R2는 메틸디페닐렌기, 헥사메틸렌기, 메틸디시클로헥실렌기, 3-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렌기, 디메틸페닐렌기 또는 톨릴렌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가 수평균 분자량 6,000~30,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인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가,
    a가 5~10의 정수이고, b가 5~8의 정수인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인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가 수평균 분자량 800~3,000의 폴리에테르모노알코올인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C)가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 1몰에 대하여 (B)를 1~2몰의 비율로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를 더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을 이용하여 조제한
    성형품.
  10. 제9항에 있어서,
    성형품이 시트 또는 필름인
    성형품.
KR1020157001856A 2012-07-06 2013-07-05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KR102005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52948 2012-07-06
JP2012152948 2012-07-06
PCT/JP2013/068501 WO2014007366A1 (ja) 2012-07-06 2013-07-05 ポリアルキレンオキシド変性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175A KR20150036175A (ko) 2015-04-07
KR102005465B1 true KR102005465B1 (ko) 2019-07-31

Family

ID=4988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856A KR102005465B1 (ko) 2012-07-06 2013-07-05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05107B2 (ko)
EP (1) EP2871193B1 (ko)
JP (1) JP6214532B2 (ko)
KR (1) KR102005465B1 (ko)
CN (1) CN104428334B (ko)
CA (1) CA2878312C (ko)
WO (1) WO20140073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0305B2 (ja) * 2014-03-03 2018-10-03 住友精化株式会社 ポリアルキレンオキシド変性物の溶解方法
US20180256458A1 (en) * 2015-09-09 2018-09-13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Oil-in-water type cosmetic and sunscreen cosmetic
WO2019111839A1 (ja) * 2017-12-04 2019-06-13 住友精化株式会社 揮発性物質放散用組成物
WO2020009054A1 (ja) 2018-07-04 2020-01-09 住友精化株式会社 研磨用組成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046A (ja) 1999-02-26 2000-09-12 Sannopuko Kk 低感温性増粘剤
JP2000303056A (ja) 1999-04-21 2000-10-31 Sannopuko Kk 増粘剤組成物
JP2009001687A (ja) 2007-06-21 2009-01-08 San Nopco Ltd 粘性改良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5892A (en) 1975-10-03 1979-05-22 Rohm And Haas Company Polyurethane thickeners for aqueous compositions
US4079028A (en) 1975-10-03 1978-03-14 Rohm And Haas Company Polyurethane thickeners in latex compositions
JPS5480349A (en) 1977-12-06 1979-06-27 Rohm & Haas Polyurethane thickener for latex composition
DE4137247A1 (de) 1991-11-13 1993-05-19 Henkel Kgaa Verdickungsmittel auf polyurethanbasis
DE4327481A1 (de) 1993-08-16 1995-02-23 Bayer Ag Als Verdickungsmittel geeignete Polyurethane und ihre Verwendung zur Verdickung wäßriger Systeme
DE19503281A1 (de) 1995-02-02 1996-08-08 Bayer Ag Als Verdickungsmittel für wäßrige Systeme geeignete Polyurethane
JP3581452B2 (ja) 1995-09-06 2004-10-27 旭電化工業株式会社 粘性調整剤
KR100404774B1 (ko) 1995-09-06 2004-04-01 아사히 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성조정제
DE19941242A1 (de) * 1999-08-31 2001-03-08 Basf Ag Polyetheralkohole
JP4650967B2 (ja) * 2000-08-28 2011-03-16 株式会社Adeka 増粘、粘性調整剤を含有する水系メタリックベース塗料組成物
JP2003212950A (ja) * 2002-01-17 2003-07-30 Asahi Denka Kogyo Kk チキソトロピー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スプレー剤組成物
JP2008081701A (ja) * 2006-09-29 2008-04-10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用い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5124729B2 (ja) * 2007-06-21 2013-01-23 サンノプコ株式会社 粘性改良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046A (ja) 1999-02-26 2000-09-12 Sannopuko Kk 低感温性増粘剤
JP2000303056A (ja) 1999-04-21 2000-10-31 Sannopuko Kk 増粘剤組成物
JP2009001687A (ja) 2007-06-21 2009-01-08 San Nopco Ltd 粘性改良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71193A4 (en) 2016-03-09
WO2014007366A1 (ja) 2014-01-09
US9605107B2 (en) 2017-03-28
US20150183920A1 (en) 2015-07-02
EP2871193A1 (en) 2015-05-13
CN104428334A (zh) 2015-03-18
CA2878312C (en) 2019-04-30
JP6214532B2 (ja) 2017-10-18
JPWO2014007366A1 (ja) 2016-06-02
CN104428334B (zh) 2016-08-31
EP2871193B1 (en) 2018-06-27
CA2878312A1 (en) 2014-01-09
KR20150036175A (ko)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465B1 (ko) 폴리알킬렌옥시드 변성물
US7321019B2 (en) Dispersions containing organopolysiloxane/polyurea copolymers
KR101924770B1 (ko) 수지상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증점제
CN112805314A (zh) 聚氨酯或聚脲的连续制备
JP5698132B2 (ja) 湿潤時の潤滑性が維持された樹脂組成物
WO2012096124A1 (ja) 水溶性ポリアルキレンオキシド変性物
JP2015166418A (ja) 増粘組成物
US20070082976A1 (en) Hydrophobic, water-insoluble polyurethane thickeners in granule or powder form and their use for thickening aqueous systems
JP2015224212A (ja) 粘性組成物
WO2011132615A1 (ja) 湿潤時の潤滑性が維持された樹脂組成物
JP5819322B2 (ja) 水溶性ポリアルキレンオキシド変性物
CN112876640A (zh) 一种抗菌型阳离子水性聚氨酯树脂及其制备方法
CA2012827A1 (en) Crosslinked polyurethane-polyurea powders,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as fillers in two-component polyurethane coating compositions
JP6400305B2 (ja) ポリアルキレンオキシド変性物の溶解方法
JP5855437B2 (ja) 水溶性ポリアルキレンオキシド変性物
JP2015224213A (ja) 粘性組成物
EP3077439A1 (en) Storage Stable Polyol Composition for Polyurethane Elastomers
CN110982044B (zh) 基于mdi的异氰酸酯基封端预聚物及由其制备的聚氨酯泡沫塑料
JP2015189689A (ja) 粘性組成物
US3234182A (en) Polyols from poly(halomethyl)-diphenyl ethers
CN116217858A (zh) 一种用于免洗洗手液体系的流变改性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5189690A (ja) 粘性組成物
JP7185386B2 (ja) 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形成性組成物
JP2011068715A (ja) 湿潤時の潤滑性が維持された樹脂組成物
JP2011068714A (ja) 湿潤時の潤滑性が維持された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