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746B1 - 나선관의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 Google Patents

나선관의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746B1
KR101996746B1 KR1020177032440A KR20177032440A KR101996746B1 KR 101996746 B1 KR101996746 B1 KR 101996746B1 KR 1020177032440 A KR1020177032440 A KR 1020177032440A KR 20177032440 A KR20177032440 A KR 20177032440A KR 101996746 B1 KR101996746 B1 KR 101996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reaction force
propelling
ban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728A (ko
Inventor
히로시 스가하라
다츠로우 바바
요시로우 스기야마
마사히로 야마사키
준이치 나가츠카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0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32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winding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1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sheets or strips consisting principally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00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a pipe being formed inside the old pipe by winding strip-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제관 장치(3)에 의해 띠상 부재(90)를 나선상으로 권회하면서, 띠상 부재(90)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93, 94)끼리를 접합함으로써, 나선관(9)을 형성한다. 제관 장치(3)의 추진 반력 부여부(10)에 의해, 띠상 부재(90)에 있어서 선행하여 제관된 선행 나선관부(91)에 이어지는 후속 띠부(92) 또는 선행 나선관부(91)에 대하여, 띠상 부재(90)의 권회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한 추진 반력을 부여한다. 추진 시에 있어서의 저항력 부여부(30)와 띠상 부재(90) 사이의 마찰에 의해, 권회 방향을 따라 추진 반력과는 역방향의 저항력을 띠상 부재(90)에 부여한다. 이에 의해, 직경 규제 프레임을 생략하여, 제관 장치(3)를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선관의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본 발명은 띠상 부재를 나선상으로 권회함으로써 나선관을 제조하는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선관의 직경을 규제하는 환상 프레임이나 방사상 프레임 등이 불필요한 제관 장치 및 해당 제관 장치를 사용한 제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하수도 및 가스관 등의 기설관이 장기 사용에 의해 노후화되면, 누수, 가스 누설이 일어나, 지면이 함몰될 우려도 있다. 그 대책으로서, 기설관의 내벽에 갱생관을 라이닝하는 갱생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갱생 방법의 일례로서, SPR(Spiral Pipe Renewal) 공법 및 해당 공법용의 제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관 장치는, 합성 수지제의 띠상 부재를 기설관의 내벽을 따라 나선상으로 권회하면서, 선행하여 나선관상으로 형성된 선행 나선관부와 후속 띠부와의 서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요철 감합에 의해 접합시키고 있다. 제관 장치가 나선상으로 자주(自走)됨으로써, 제관이 진행된다.
이러한 종류의 제관 공법에 의한 나선관은, 제관이 진행됨에 따라 축경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상기 특허문헌 1의 제관 장치에는, 복수의 안내 롤러를 기설관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환상으로 연결한 환상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다. 환상 프레임에 의해, 나선관이 축경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축경 규제 수단으로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아암을 갖는 방사상 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각 지지 아암의 선단부의 안내 롤러가 나선관의 내주면에 눌린다.
일본 특허 제4866428호 공보 일본 특허 제4505142호 공보
종래의 제관 장치는, 환상 프레임(특허문헌 1)이나 방사상 프레임(특허문헌 2) 등의 축경 등을 규제하는 직경 규제 프레임이 있기 때문에, 대형화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직경 규제 프레임이 없어도, 나선관을 원하는 직경이 되도록 제관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장치는, 띠상 부재를 나선상의 권회 방향을 따라 권회하면서 상기 띠상 부재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접합함으로써 나선관을 형성하는 제관 장치이며,
상기 접합이 행하여지는 접합 공정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 선행하여 제관된 선행 나선관부에 이어지는 후속 띠부 또는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대하여, 상기 띠상 부재의 권회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한 추진 반력을 부여하는 추진 반력 부여부와,
상기 추진 반력 부여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추진 반력에 의한 추진 시에 있어서의 상기 띠상 부재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기 권회 방향을 따라 상기 추진 반력과는 역방향의 저항력을 상기 띠상 부재에 부여하는 저항력 부여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직경 규제 프레임을 생략할 수 있으며, 또한 나선관을 원하는 직경이 되도록 제관할 수 있다.
상기 저항력이, 상기 추진을 허용하며, 또한 상기 선행 나선관부를 직경 변화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나선관을 원하는 직경이 되도록 조절하면서, 확실하게 제관할 수 있다.
상기 저항력 부여부가, 상기 저항력을 단계적 또는 무단계로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나선관을 원하는 직경이 되도록, 확실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저항력을 크게 하면, 직경 변화 작용을 크게 할 수 있다. 저항력을 작게 하면, 직경 변화 작용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추진 반력 부여부가, 상기 접합 공정 위치보다도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후속 띠부를 상기 접합 공정 위치를 향하여 누르고, 상기 저항력 부여부가,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대하여 상기 권회 방향의 진행측을 향하여 상기 저항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에 확경 작용을 부여할 수 있다. 선행 나선관부 자체가 축경되는 경향이 있는 경우, 축경을 상쇄 또는 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추진 반력 부여부가,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대하여 상기 권회 방향의 복귀측을 향하여 상기 추진 반력을 부여하고, 상기 저항력 부여부가,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있어서의 상기 추진 반력 부여부로부터 상기 권회 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대하여 상기 권회 방향의 진행측을 향하여 상기 저항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추진 반력 부여부와 저항력 부여부를 모두 선행 나선관부 위에 배치할 수 있다. 저항력 부여부를 추진 반력 부여부보다도 상기 권회 방향의 복귀측(상류측)에 배치하면, 선행 나선관부에 확경 작용을 부여할 수 있다. 저항력 부여부를 추진 반력 부여부보다도 상기 권회 방향의 진행측(하류측)에 배치하면, 선행 나선관부에 축경 작용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추진 반력 부여부와 상기 저항력 부여부가, 상기 접합 공정 위치에 대하여 진행 방향의 서로 동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관 장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추진 반력 부여부와 상기 저항력 부여부가, 상기 접합 공정 위치에 대하여 상기 진행 방향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저항력 부여부가, 상기 띠상 부재와 미끄럼 마찰되는 미끄럼 마찰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띠상 부재에 저항력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저항력 부여부가, 상기 저항력을 발생 가능하게 회전되는 저항 롤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띠상 부재에 저항력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저항 롤러를 속도 조절 가능하게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저항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대하여 상기 권회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권회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거는 걸림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걸림 수단이, 상기 권회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관 장치를 선행 나선관부에 대하여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후속 띠부 등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제관 장치에 회전 모멘트가 작용했다고 해도, 제관 장치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은, 띠상 부재를 나선상의 권회 방향을 따라 권회하면서 상기 띠상 부재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접합함으로써 나선관을 형성하는 제관 방법이며,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 선행하여 제관된 선행 나선관부에 이어지는 후속 띠부와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상기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상기 접합이 행하여지는 접합 공정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후속 띠부 또는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대하여, 상기 띠상 부재의 권회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한 추진 반력을 부여하는 추진 공정과,
상기 추진 반력을 부여하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추진 반력에 의한 추진 시에 있어서의 상기 띠상 부재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기 권회 방향을 따라 상기 추진 반력과는 역방향의 저항력을 상기 띠상 부재에 부여하는 저항 공정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상 프레임이나 방사상 프레임 등의 축경 규제 프레임이 없어도, 나선관을 원하는 직경이 되도록 제관할 수 있고, 제관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에 의해 기설관을 갱생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의 (b)는 갱생 시공 완료의 기설관을, 동일 도면의 (a)보다도 축척을 작게 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공 도중의 갱생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상기 갱생관을 구성하는 띠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의 (b)는, 도 3의 IVb-IVb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 선을 따르는, 상기 제관 장치의 감합력 부여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I 선을 따르는, 상기 제관 장치의 저항력 부여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제관 장치의 저항력 부여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9의 Xa-Xa 선을 따르는,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의 접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b)는 도 9의 Xb-Xb 선을 따르는,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의 접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공 도중의 갱생관의 사시도이다.
도 13의 (a)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갱생관을 구성하는 띠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3의 (b)는 도 11의 XIIIb-XIIIb 선을 따르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의 저항력 부여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를 기둥의 외벽 구성에 응용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6의 (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의 저항력 부여부를, 저항력 해제 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6의 (b)는 상기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저항력 부여부를, 저항력 부여 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저항력 부여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의 (a)는 노후화된 기설관(1)을 갱생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기설관(1)으로서는, 하수도관, 상수도관, 농업용수관, 가스관 등을 들 수 있다. 기설관(1)의 내벽에 갱생관(9)(나선관)이 라이닝되어 있다.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갱생관(9)은, 발진 맨홀(4)부터 도달 맨홀(4B)까지의 사이의 기설관(1)의 전장에 걸쳐 설치된다. 갱생관(9)은, 긴 1개의 띠상 부재(90)에 의해 구성되고, 나선관상으로 되어 있다. 띠상 부재(90)가, 나선상으로 권회되며, 또한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 접합되어 있다. 띠상 부재(90)의 재질은,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이다.
도 1의 (a)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관 도중의 띠상 부재(90)는 선행 나선관부(91)와 후속 띠부(92)를 포함한다. 띠상 부재(90)가, 도 2에 있어서 예를 들어 시계 방향의 권회 방향으로 권회됨으로써, 나선관상의 선행 나선관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선행 나선관부(91)는, 기설관(1)에 있어서의 발진 맨홀(4)측(도 1의 (a)에 있어서 우측)의 단부로부터 기설관(1)의 내벽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권회 방향의 하류측의 단부(후속 띠 연속 부분)(91e)로부터 미제관의 후속 띠부(92)가 이어져 있다. 후속 띠부(92)는, 선행 나선관부(91)의 내부 및 발진 맨홀(4)의 내부에 통과되어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상 부재(90)는, 평탄한 띠 본체부(90a)와, 1쌍의 감합부(93, 94)와, 3개(복수)의 보강 리브(95)를 포함한다. 띠 본체부(90a)의 표측면은, 선행 나선관부(91) 나아가서는 갱생관(9)에 있어서 내주측(도 4의 (b)에 있어서 상측)을 향하고 있다. 띠 본체부(90a)의 이측면은, 선행 나선관부(91) 나아가서는 갱생관(9)에 있어서 외주측(도 4의 (b)에 있어서 하측)을 향하고 있다.
띠 본체부(90a)의 폭 방향의 일방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좌측)의 테두리부에, 제1 감합부(9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감합부(93)는, 띠 본체부(90a)의 표측면(동일 도면에 있어서 상면)으로부터 오목홈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띠 본체부(90a)의 폭 방향의 타방측(동일 도면에 있어서 우측)의 테두리부에, 제2 감합부(9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감합부(94)는, 띠 본체부(90a)의 이측면(동일 도면에 있어서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조를 이루고 있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나선관부(91) 나아가서는 갱생관(9)(도 1의 (b))에 있어서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감합부(93, 94)끼리 요철 감합되어 있다.
띠 본체부(90a)의 이측면에 있어서의, 제2 감합부(94)의 근처에는 밀봉제(9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띠 본체부(90a)의 이측면에는, 3개의 보강 리브(95)가 평행하게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보강 리브(95)에는, 강판 등의 보강 스트립(97)이 매설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a) 및 도 2에 있어서는, 띠상 부재(90)에 있어서의 감합부(93, 94) 및 보강 리브(95) 등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1의 (a)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나선관부(91)의 연신 방향의 선단부(도 1의 (a)에 있어서 좌단부)에 제관 장치(3)가 배치되어 있다. 제관 장치(3)는, 선행 나선관부(91)의 권회 방향(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을 따라 추진(자주)된다. 제관 장치(3)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이, 기설관(1)의 축선에 대하여 선행 나선관부(91)의 리드각만큼 기울어져 있다. 제관 장치(3)에 의해 띠상 부재(90)로부터 갱생관(9)이 제관된다. 제관 장치(3) 내에 접합 공정 위치(20p)가 설정되어 있다. 접합 공정 위치(20p)에 있어서 상기 요철 감합(접합) 조작이 행하여지고 있다.
도 1의 (a)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관 장치(3)는 본체 프레임(3a)과 추진 반력 부여부(10)와 감합력 부여부(20)(접합부)와 저항력 부여부(30)를 구비하고 있다. 3개의 힘 부여부(10, 20, 3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감합력 부여부(20)가 접합 공정 위치(20p)에 배치되고, 추진 반력 부여부(10) 및 저항력 부여부(30)가 접합 공정 위치(20p)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이점쇄선에 의해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본체 프레임(3a)에 의해, 힘 부여부(10, 20, 30)끼리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진 반력 부여부(10)는 접합 공정 위치(20p)에 대하여, 제관 장치(3)의 진행 방향의 전방(도 3에 있어서 좌측)이며, 또한 선행 나선관부(91) 및 기설관(1)의 직경 방향의 내측(도 3에 있어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추진 반력 부여부(10)는, 1쌍의 추진 롤러(13, 13)를 갖고 있다. 추진 롤러(13)의 축선은, 제관 장치(3)의 폭 방향(도 3에 있어서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1쌍의 추진 롤러(13, 13)에 의해 후속 띠부(92)가 내주측(표측)과 외주측(이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적어도 한쪽의 추진 롤러(13)에 모터 등의 회전 구동 기구(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회전 구동 기구에 의해, 추진 롤러(13)가, 후속 띠부(92)를 접합 공정 위치(20p)를 향하여 누르도록 자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합력 부여부(20)는 감합 롤러(23)와 감합 받이(25)를 포함한다. 감합 롤러(23)는,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측(도 3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감합 롤러(23)의 축선은, 추진 롤러(13)의 축선과 평행하게 제관 장치(3)의 폭 방향(도 3의 지면 직교 방향)을 향하고 있다. 감합 롤러(23)는, 자축 방향으로 종동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감합 롤러(23)에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 기구가 접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합 받이(25)는 판상으로 되어 있다. 감합 받이(25)는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측(도 3에 있어서 하측)에 배치되고, 감합 롤러(23)와 선행 나선관부(91)의 직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대치하고 있다. 감합 롤러(23)와 감합 받이(25) 사이에 접합 공정 위치(20p)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속 띠부(92)는, 추진 반력 부여부(10)로부터 감합력 부여부(20)를 향하여, 선행 나선관부(91)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또한 외측으로 연장되어, 감합 롤러(23)와 감합 받이(25) 사이의 접합 공정 위치(20p)에 삽입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합 롤러(23)와 감합 받이(25)에 의해, 후속 띠부(92)의 제2 감합부(94)가,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권회 방향으로 일주만큼 복귀된 일주 차이 부분(91b)의 제1 감합부(93)에 압입되어 감합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합 받이(25)에는, 2개(복수)의 제1 걸림부(25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걸림부(25b)는, 감합 받이(25)와 직교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감합 받이(25)로부터 감합 롤러(23)를 향하여 돌출됨과 함께, 제관 장치(3)의 진행 방향(도 5에 있어서 지면 직교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2개의 제1 걸림부(25b)가, 제관 장치(3)의 폭 방향(도 5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걸림부(25b)는, 선행 나선관부(91)에 대하여 권회 방향(도 5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폭 방향(도 5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걸려 있다. 일방측(도 5에 있어서 좌측)의 제1 걸림부(25b)는, 하나의 보강 리브(95)에 대하여 선행 나선관부(91)의 연신 방향의 선단측(도 5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접해 있다. 타방측(도 5에 있어서 우측)의 제1 걸림부(25b)는, 별도의 보강 리브(95)에 대하여 선행 나선관부(91)의 연신 방향의 기단측(도 5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접해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력 부여부(30)는,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후속 띠 연속 부분(91e)부터 일주 차이 부분(91b)까지의 사이의 선단 일주 부분(91a)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저항력 부여부(30)는, 접합 공정 위치(20p)에 대하여,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추진 반력 부여부(10)와 동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항력 부여부(30)는, 접합 공정 위치(20p)에 대하여, 진행 방향의 전방(도 3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띠상 부재(90)의 권회 방향을 따라, 저항력 부여부(30)는, 추진 반력 부여부(10)보다도 상기 권회 방향의 복귀측(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력 부여부(30)는 미끄럼 마찰 부재(34, 35)와 저항력 조정 볼트(36)를 갖고 있다. 미끄럼 마찰 부재(34, 35)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가 내주 및 외주의 양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내주측 미끄럼 마찰 부재(34)는 판상으로 되어 있다. 제관 장치(3)의 폭 방향(도 5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르는 미끄럼 마찰 부재(34)의 길이는, 띠상 부재(90)의 폭과 동일 정도이거나 그것보다도 조금 짧다. 이 미끄럼 마찰 부재(34)가,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측 미끄럼 마찰 부재(35)는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외주측 미끄럼 마찰 부재(35)는 베이스판(35a)과, 2개(복수)의 미끄럼 마찰 블록(35b, 35b)을 포함한다. 베이스판(35a)은 선행 나선관부(91)의 선단 일주 부분(91a)에 있어서의 보강 리브(95) 및 제1 감합부(93) 사이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35a)에 있어서의 미끄럼 마찰 부재(34)를 향하는 면(도 6에 있어서 상면)에, 미끄럼 마찰 블록(35b)이 설치되어 있다. 미끄럼 마찰 블록(35b)은, 단면 사각형을 이루고, 제관 장치(3)의 진행 방향(도 6에 있어서 지면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미끄럼 마찰 블록(35b)이, 선행 나선관부(91)의 2개의 보강 리브(95, 95)끼리 사이에 끼워져 있다. 미끄럼 마찰 블록(35b)에 있어서의 미끄럼 마찰 부재(34)를 향하는 면(도 6에 있어서 상면)이, 선행 나선관부(91)의 띠 본체부(90a)의 이면(도 6에 있어서 하면)에 접해 있다.
미끄럼 마찰 블록(35b)의 폭 방향(도 6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양측면은, 각각 보강 리브(95)에 접해 있다. 이에 의해, 미끄럼 마찰 블록(35b)이, 선행 나선관부(91)에 대하여, 권회 방향(도 6에 있어서 지면 직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폭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걸려 있다. 미끄럼 마찰 블록(35b)은 「제2 걸림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 마찰 블록(35b), 즉 제2 걸림부(35b)와, 제1 걸림부(25b)는, 제관 장치(3)의 진행 방향(선행 나선관부(91)의 권회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들 걸림부(25b, 35b)에 의해 「걸림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3a)에는, 저항력 조정 볼트(36)(저항력 조정 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저항력 조정 볼트(36)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미끄럼 마찰 부재(34)가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띠 본체부(90a)의 내주면에 눌려져 있다. 외주측 미끄럼 마찰 부재(35)가 누름력을 받고 있다.
갱생관(9)은, 제관 장치(3)에 의해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된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설관(1)의 내벽을 따라 선행 나선관부(91)가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띠상 부재(90)의 조출>
띠상 부재(90)(후속 띠부(92))를, 발진 맨홀(4)로부터 선행 나선관부(91)의 내부를 거쳐 제관 장치(3)로 도입한다. 바람직하게는, 후속 띠부(92)에는 감기 성향을 만든다. 이에 의해, 후속 띠부(92)를, 선행 나선관부(91)의 내부를 통과하기 쉽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제관 장치(3)에 도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추진 공정>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진 반력 부여부(10)의 추진 롤러(13)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후속 띠부(92)를 접합 공정 위치(20p)를 향하여 누른다. 즉, 후속 띠부(92)를, 접합 공정 위치(20p)보다도 진행 방향의 전방측(도 3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띠상 부재(90)의 권회 방향의 상류측(복귀측)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제관 장치(3)가 권회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한 추진 반력 F10을 얻을 수 있다. 이 추진 반력 F10에 의해, 제관 장치(3)가, 고정의 선행 나선관부(91)에 대하여, 도 3에 있어서 좌측 방향 나아가서는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추진(자주)된다.
<접합 공정>
제관 장치(3)가 진행되는 것에 수반하여, 후속 띠부(92)가 순차적으로 감합력 부여부(20)의 감합 롤러(23)와 감합 받이(25) 사이(접합 공정 위치(20p))로 도입된다. 또한, 감합 롤러(23)와 감합 받이(25)에 의해, 후속 띠부(92)의 제2 감합부(94)가 선행 나선관부(91)의 일주 차이 부분(91b)의 제1 감합부(93)에 압입된다. 이에 의해, 도 4의 (b)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속 띠부(92) 나아가서는 후속 띠 연속 단부(91e)의 제2 감합부(94)가 일주 차이 부분(91b)의 제1 감합부(93)와 감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띠상 부재(90)가 나선상으로 권회되면서, 띠상 부재(90)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 접합된다.
이때, 선행 나선관부(91)가 축경되는 경향이 있다. 그 요인으로서는, 후속 띠부(92)가 제관 장치(3)에 도입될 때 비교적 크게 구부러지는 점이나, 감기 성향 등이 관계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저항력 부여 공정>
제관 장치(3)가 진행됨으로써, 저항력 부여부(30)의 미끄럼 마찰 부재(34, 35)가 선행 나선관부(91)를 따라 미끄럼 마찰되어, 저항력 부여부(30)와 선행 나선관부(91) 사이에 미끄럼 마찰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저항력 부여부(30)로부터 선행 나선관부(91)에 권회 방향의 진행측을 향하여 저항력 F30이 부여된다. 저항력 F30의 방향은, 권회 방향을 따라 추진 반력 F10과는 역방향이다. 또한, 저항력 F30의 부여 위치는, 추진 반력 F10의 부여 위치보다도 띠상 부재(90)의 권회 방향의 상류측(복귀측)이다. 이 결과, 도 2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행 나선관부(91)에 확경 작용이 작용한다. 확경 작용의 메커니즘으로서는, 추진 반력 부여부(10)와 감합력 부여부(20) 사이의 후속 띠부(92)에 압축 응력이 발생하고, 이 압축 응력이 선단 일주 부분(91a)에 있어서 해방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혹은, 추진 롤러(13)의 회전량에 대하여 제관 장치(3)의 실제의 진행량이 작아지는 분만큼, 후속 띠부(92)가 접합 공정 위치(20p)측으로 슬라이드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항력 F30의 크기는, 제관 장치(3)의 진행 동작을 허용하며, 또한 선행 나선관부(91)를 확경 가능(직경 변화 가능)한 정도로 설정한다.
상기 확경 작용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 자체의 축경 작용을 상쇄 또는 감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축경량을 저감시키거나 할 수 있다. 나아가, 확경 작용을 축경 작용보다 크게 함으로써, 선행 나선관부(91)를 기설관(1)의 내벽에 강하게 누를 수 있다. 도 2의 이점쇄선은, 선행 나선관부(91)가 기설관(1)에 구속되지 않는다고 가정한 경우의 확경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특허문헌 1 등에 있어서의 환상 프레임이나 특허문헌 2 등에 있어서의 방사상 프레임 등의 축경 규제 프레임이 불필요하다. 바꾸어 말하면, 본체 프레임(3a)을, 기설관(1)의 내벽을 따르는 환상으로 할 필요가 없거나, 혹은 기설관(1)의 내벽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 돌출시킬 필요도 없다. 이 결과, 제관 장치(3)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추진 반력 부여부(10)와 저항력 부여부(30)가, 감합력 부여부(20) 나아가서는 접합 공정 위치(20p)에 대하여, 제관 장치(3)의 진행 방향(선행 나선관부(91)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서로 동일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관 장치(3)를 한층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기설관(1)의 내경이 작아도, 혹은 기설관(1) 내에 모난 부분이나 굴곡부 등의 급격하게 구부러진(곡률이 큰) 개소를 갖는 이형 단면부가 있어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어, 갱생관(9)을 기설관(1)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확실하게 라이닝할 수 있다.
저항력 조정 볼트(36)에 의한 미끄럼 마찰 부재(34)의 선행 나선관부(91)에 대한 누름력을 조절함으로써, 저항력 F30의 크기를 증감시킬 수 있다. 저항력 조정 볼트(36)를 비틀어 넣는 양을 조절함으로써, 저항력 F30의 크기를 임의로 또한 무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저항력 F30을 크게 설정하면, 확경 작용을 강하게 할 수 있다. 저항력 F30을 작게 설정하면, 확경 작용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기설관(1)의 내경이 축 방향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경우, 상기 변화에 따라, 갱생관(9)을 확장 축소시킬 수 있다. 기설관(1)의 내벽에 돌기 등의 융기부나 오목부가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따르도록 갱생관(9)을 확장 축소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속 띠부(92)는, 선행 나선관부(91)의 내부를 통하여 비틀어지도록 하여 추진 반력 부여부(10)에 도입되어 있기 때문에, 추진 반력 부여부(10)는, 후속 띠부(92)로부터 발진 맨홀(4)측(도 1에 있어서 우측)으로 인장되는 힘을 받는다. 이로 인해, 제관 장치(3)에는, 도 1에 있어서 예를 들어 시계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한다. 이에 대하여, 제1 걸림부(25b)와 보강 리브(95)의 접함 및 미끄럼 마찰 블록(35b)(제2 걸림부)과 보강 리브(95)의 접함에 의해, 제관 장치(3)가 선행 나선관부(91)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들 걸림부(25b, 35b)와 보강 리브(95)의 접함에 의해, 제관 장치(3)를 선행 나선관부(91)의 축 방향(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형태와 중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저항력 부여부(30B)의 저항력 조정 수단으로서, 저항력 조정 볼트(36) 대신에 유체압 실린더(37)가 설치되어 있다. 유체압 실린더(37)는 유압 실린더여도 되고, 공기압 실린더여도 된다. 유체압 실린더(37)에 의해, 미끄럼 마찰 부재(34)를 선행 나선관부(91)에 누름으로써, 저항력 F30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유체압 실린더(37)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저항력 F30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거나 무단계로 조절하거나 할 수 있다. 저항력 F30의 크기를 원격 조작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체압 실린더(37)의 출력 나아가서는 저항력 F30의 크기를, 선행 나선관부(91) 자체의 축경 작용과의 관계에서, 선행 나선관부(91)가 확경되는 값과, 선행 나선관부(91)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값의 2단계로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선행 나선관부(91)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값과, 선행 나선관부(91)가 축경되는 값의 2단계로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혹은, 선행 나선관부(91)가 확경되는 값과, 선행 나선관부(91)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값과, 선행 나선관부(91)가 축경되는 값의 3단계로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나아가, 유체압 실린더(37)의 출력을 정지해도 되고, 저항력 F30의 크기를 제로로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기설관(1)의 내경의 변화나, 기설관(1) 내의 융기부나 오목부 등에 따라, 갱생관(9)을 적확하게 확장 축소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3C)에 있어서는, 저항력 부여부(30C)가, 1쌍의 저항 롤러(33, 3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저항 롤러(33) 나아가서는 저항력 부여부(30C)의 배치 장소는, 제1 실시 형태(도 3)의 저항력 부여부(30)와 마찬가지이다. 저항 롤러(33)의 축선은, 추진 롤러(13)의 축선과 평행하게 제관 장치(3C)의 폭 방향(도 8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들 저항 롤러(33, 33)가, 선행 나선관부(91)를 내주측과 외주측으로부터 끼우고 있다. 적어도 한쪽의 저항 롤러(33)에 모터 등의 회전 구동 기구(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이 회전 구동 기구에 의해 저항 롤러(33)가 추진 롤러(13)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의 선단 일주 부분(91a)에 대하여, 권회 방향의 진행측(도 3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의 저항력 F30이 부여된다. 이 저항력 F30과, 추진 롤러(13)에 의한 후속 띠부(92)에 대한 추진 반력 F10이 더불어, 선행 나선관부(91)에 확경 작용을 부여할 수 있다. 저항 롤러(33)의 회전수 등을 조절함으로써 저항력 F30을 증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확경 작용을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저항 롤러(33)를 선행 나선관부(91)와의 접촉으로 종동 회전시킴과 함께, 저항 롤러(33)의 회전축 등에 마찰 저항 발생부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저항 롤러(33)용의 상기 회전 구동 기구를 생략해도 된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외주측(도 8에 있어서 하측)의 저항 롤러(33)의 단부면을 선행 나선관부(91)의 보강 리브(95)에 접하거나, 저항 롤러(33)에 플랜지를 설치하고, 이 플랜지를 보강 리브(95)에 접하거나 함으로써, 제관 장치(3C)를 선단 일주 부분(91a)의 폭 방향(도 8에 있어서 지면 직교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3D)에 있어서는, 접합부(20D)로부터 감합 롤러(23)(도 3)가 생략되고, 그 대신에, 감합 보조 롤러(26)가 설치되어 있다. 감합 보조 롤러(26)는,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측에 배치됨과 함께, 감합 받이(25)보다도 제관 장치(3)의 진행 방향의 후방(도 9에 있어서 우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감합 보조 롤러(26)의 축선은, 추진 롤러(13)의 축선과 평행하게 제관 장치(3D)의 폭 방향(도 9에 있어서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감합 보조 롤러(26)는, 자축 방향으로 종동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감합 보조 롤러(26)에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 기구가 접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제4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3D)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추진 롤러(13)를 회전 구동시키면, 후속 띠부(92)가, 감합 받이(25) 위의 접합 공정 위치(20p)를 향하여 압입된다. 도 10의 (a)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압입력에 의해, 후속 띠부(92)의 제2 감합부(94)와, 선행 나선관부(91)의 일주 차이 부분(91b)의 제1 감합부(93)를 감합시킬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후속 띠부(92)로부터 이행한 선단 일주 부분(91a)을, 감합 보조 롤러(26)에 의해 외주측(도 10의 (b)에 있어서 하측)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도 10의 (a)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비록 상기 감합 받이(25) 위에 있어서의 감합이 불충분한 경우에도 감합 보조 롤러(26)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93, 94)끼리를 확실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합부(93, 94)끼리 감합 받이(25) 위에서 확실하게 감합되는 경우(도 10의 (a)의 실선)에는, 감합 보조 롤러(26)를 생략해도 된다.
본 발명은 선행 나선관부(91)에 확경 작용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축경 작용을 부여할 수도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3E)는 추진 반력 부여부(10E)와 감합력 부여부(20E)와 저항력 부여부(30E)와 후속 띠 안내 롤러(43)를 구비하고 있다. 추진 반력 부여부(10E)는, 제1 실시 형태(도 3)의 저항력 부여부(30)와 마찬가지의 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추진 반력 부여부(10E)는, 접합 공정 위치(20p)로부터 제관 장치(3E)의 진행 방향의 전방(도 11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선단 일주 부분(91a)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진 반력 부여부(10E)는, 1쌍의 추진 롤러(13E, 13E)를 갖고 있다. 추진 롤러(13E)의 축선은, 제관 장치(3E)의 폭 방향(도 11에 있어서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추진 롤러(13E)의 축 길이는, 띠상 부재(90E)의 폭 치수와 동일 정도이다. 1쌍의 추진 롤러(13E, 13E)가, 선행 나선관부(91)를 내주측과 외주측으로부터 끼우고 있다. 적어도 한쪽의 추진 롤러(13E)에 모터 등의 회전 구동 기구(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회전 구동 기구에 의해, 추진 롤러(13E)가, 선행 나선관부(91)를 접합 공정 위치(20p)를 향하여 권회 방향의 복귀측(도 11에 있어서 우측)으로 누르도록 회전 구동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진 반력 부여부(10E)로부터 기설관(1)의 직경 방향 내측(도 11에 있어서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1쌍의 후속 띠 안내 롤러(43, 43)가 배치되어 있다. 즉, 후속 띠 안내 롤러(43)는, 제1 실시 형태(도 3)의 추진 반력 부여부(10)와 마찬가지의 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후속 띠 안내 롤러(43)의 축선은, 제관 장치(3E)의 폭 방향(도 11에 있어서 지면 직교 방향)을 향하고 있다. 후속 띠 안내 롤러(43)는, 자축 방향으로 종동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속 띠 안내 롤러(43)에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 기구가 접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1쌍의 후속 띠 안내 롤러(43, 43)가, 후속 띠부(92)를 양측으로부터 끼우고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 공정 위치(20p)에 감합력 부여부(20E)가 배치되어 있다. 감합력 부여부(20E)는, 1쌍의 감합 롤러(23E, 23E)를 갖고 있다. 감합 롤러(23E)의 축선은, 제관 장치(3E)의 폭 방향(도 11에 있어서 지면 직교 방향)을 향하고 있다. 감합 롤러(23E)의 축 길이는, 띠상 부재(90E)의 폭 치수와 동일 정도이다. 감합 롤러(23E)는, 자축 방향으로 종동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감합 롤러(23E)에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 기구가 접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1쌍의 감합력 부여부(20E, 20E) 사이의 접합 공정 위치(20p)에, 후속 띠부(92)가 삽입되어 있다. 접합 공정 위치(20p)에 있어서, 후속 띠부(92)와 선행 나선관부(91)의 일주 차이 부분(91b)의 인접하는 테두리끼리 접합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력 부여부(30E)는, 감합력 부여부(20E)(접합 공정 위치(20p))로부터 제관 장치(3E)의 진행 방향의 후방(도 11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추진 반력 부여부(10E)와 저항력 부여부(30)가, 접합 공정 위치(20p)를 사이에 두고 제관 장치(3E)의 진행 방향(선행 나선관부(91)의 주위 방향)의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저항력 부여부(30E)는, 추진 반력 부여부(10E)보다도 권회 방향의 진행측(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력 부여부(30E)가 내주측 미끄럼 마찰 부재(34) 및 외주측 미끄럼 마찰 부재(35)를 포함하는 점은, 제1 실시 형태(도 1 내지 도 7)와 마찬가지이다. 미끄럼 마찰 부재(34, 35)의 폭 치수(도 13의 (b)에 있어서 좌우 치수)는, 띠상 부재(90E)의 폭 치수와 동일 정도이거나, 그것보다도 짧다. 미끄럼 마찰 부재(34, 35)끼리 사이에 선행 나선관부(91)의 선단 일주 부분(91a)이 끼워져 있다. 외주측 미끄럼 마찰 부재(35)의 폭 방향의 일단부(도 13의 (b)에 있어서 우단부)에는, 서브 로크 설정 돌기(32)가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측(도 13의 (b)에 있어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띠상 부재(90E)에는, 연장 돌출 테두리부(98)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 돌출 테두리부(98)는, 제1 감합부(93)로부터 띠상 부재(90E)의 폭 방향(도 13에 있어서 좌우)의 외측이며, 또한 갱생관(9)의 직경 방향 외측(도 13에 있어서 하측)으로 비스듬히 연장 돌출되어 있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 돌출 테두리부(98)는, 갱생관(9)에 있어서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보강 리브(95)의 주부(95a)와 돌기부(95b) 사이의 단차(95d)에 끼워진다.
서로 감합된 제1 감합부(93)와 제2 감합부(94)에 의해, 메인 로크(9a)가 구성되어 있다.
서로 감합된 연장 돌출 테두리부(98)와 단차(95d)에 의해, 서브 로크(9b)가 구성되어 있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갱생관(9)이 제관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진 반력 부여부(10E)의 추진 롤러(13E, 13E)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선행 나선관부(91)를 접합 공정 위치(20p)를 향하여 권회 방향의 복귀측(도 11에 있어서 우측)으로 누른다. 이 추진 반력 F10에 의해, 제관 장치(3E)가, 고정의 선행 나선관부(91)에 대하여, 권회 방향의 진행 방향(도 11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제관 장치(3E)가 진행되는 것에 수반하여, 후속 띠부(92)가 순차적으로 감합력 부여부(20E)의 감합 롤러(23E) 사이(접합 공정 위치(20p))로 도입된다. 이 후속 띠부(92)의 제2 감합부(94)가, 선행 나선관부(91)의 일주 차이 부분(91b)의 제1 감합부(93)와 감합되어, 메인 로크(9a)가 걸린다. 또한, 일주 차이 부분(91b)의 연장 돌출 테두리부(98)가, 후속 띠부(92)의 돌기부(95b)의 선단부에 걸린다. 감합력 부여부(20E)에 있어서는, 연장 돌출 테두리부(98)가 단차(95d)에 끼워지는 데까지는 가지 않아, 서브 로크(9b)는 걸리지 않는다.
제관 장치(3E)가 진행되면, 저항력 부여부(30E)가 선행 나선관부(91)와 미끄럼 마찰된다. 이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에 대하여, 추진 반력 F10과는 권회 방향의 역방향, 즉 권회 방향의 진행측(도 11에 있어서 좌측)으로의 저항력 F30이 부여된다.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저항력 F30의 부여 위치는, 추진 반력 F10의 부여 위치보다도 권회 방향의 진행측(하류측)이다. 이에 의해, 도 12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행 나선관부(91)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도 3)와는 반대로 축경 작용이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도 13의 (b)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력 부여부(20E)와 저항력 부여부(30E) 사이에서는, 서브 로크(9b)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메인 로크(9a)의 감합부(93, 94)끼리 권회 방향(선행 나선관부(91)의 주위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어, 축경 작용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저항력 부여부(30E)에 있어서, 서브 로크 설정 돌기(32)가, 연장 돌출 테두리부(98)를 내주측(도 13의 (b)에 있어서 상측)으로 압입한다. 이에 의해, 도 13의 (b)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돌출 테두리부(98)가 단차(95d)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서브 로크(9b)가 기능을 발휘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저항력 부여부(30E)보다도 권회 방향의 상류측(복귀측)에서는, 상기 미끄럼을 억제할 수 있다.
제관 장치(3E)에 의하면, 예를 들어 띠상 부재(90E)가 확경되는 경향이 있을 때, 그 확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기둥(5)의 외주면에 갱생관(9E)을 설치하는 경우, 제관 장치(3E)를 사용함으로써 띠상 부재(90E)를 기둥(5)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도록 하여 나선상으로 휘감을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6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3F)는 추진 반력 부여부(10F)와 감합력 부여부(20)와 저항력 부여부(30F)를 구비하고 있다. 추진 반력 부여부(10F)는, 제5 실시 형태(도 11)의 추진 반력 부여부(10E)와 마찬가지로, 1쌍의 추진 롤러(13F, 13F)를 갖고, 감합력 부여부(20)의 접합 공정 위치(20p)로부터 제관 장치(3F)의 진행 방향의 전방(도 15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추진 롤러(13F, 13F)의 사이에 선행 나선관부(91)가 끼워져 있다. 추진 롤러(13F)가, 회전 구동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를 접합 공정 위치(20p)를 향하여 누르도록 회전 구동된다. 이 누르는 힘을 반력으로 하여, 제관 장치(3F)가, 도 15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추진된다.
저항력 부여부(30F)는 제1 실시 형태(도 3)의 추진 반력 부여부(10)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저항력 부여부(30F)는, 접합 공정 위치(20p)로부터 제관 장치(3F)의 진행 방향의 전방(도 15에 있어서 좌측 방향)이며, 또한 선행 나선관부(91)의 직경 방향(도 15에 있어서 상하)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저항력 부여부(30F)의 1쌍의 저항 롤러(33F, 33F) 사이에 후속 띠부(92)가 끼워져 있다. 저항 롤러(33F)가, 회전 구동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후속 띠부(92)를 접합 공정 위치(20p)와는 역방향으로 인장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에 축경 작용을 부여할 수 있다.
제관 장치(3F)(도 15)는, 제3 실시 형태(도 8)의 제관 장치(3C)와 구조 자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관 장치(3C)(도 8)의 추진 롤러(13) 및 저항 롤러(33)의 회전 방향을 역전시킴으로써, 제관 장치(3F)(도 15)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제관 장치(3C)를 사용하여, 추진 롤러(13) 및 저항 롤러(33)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거나 함으로써, 확경 작용을 하게 하거나 축경 작용을 하게 하거나 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7 실시 형태는, 저항력 부여부 및 띠상 부재의 변형예에 관한 것이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7 실시 형태의 띠상 부재(90G)에는, 보강 띠재(99)가 부설되어 있다. 보강 띠재(99)는, 강판 등의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고, 단면이 개략 M자상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보강 띠재(99)는 1쌍의 홈(99b, 99b)과, 이들 홈(99b, 99b) 사이의 U자상 단면의 중앙 볼록 프레임부(99a)를 포함한다. 이 보강 띠재(99)가, 띠상 부재(90G)의 2개의 보강 리브(95G)끼리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도 16의 (a)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7 실시 형태의 저항력 부여부(30G)는 바디(31)와, 1쌍의 미끄럼 마찰 부재(38, 39)를 갖고 있다. 바디(31)가 본체 프레임(3a)에 고정되어 있다. 바디(31)로부터 고정 미끄럼 마찰 부재(38) 및 가동 미끄럼 마찰 부재(39)가 띠상 부재(90G)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고정 미끄럼 마찰 부재(38)와 가동 미끄럼 마찰 부재(39)는, 바디(31)의 폭 방향(도 16에 있어서 좌우)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고정 미끄럼 마찰 부재(38)는 바디(31)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 미끄럼 마찰 부재(39)는, 바디(31)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고, 나아가서는, 고정 미끄럼 마찰 부재(38)에 대하여 접근 이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디(31)에는, 저항력 조정 볼트(36)(저항력 조정 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저항력 조정 볼트(36)에 의해, 가동 미끄럼 마찰 부재(39)를 바디(31)의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력 부여부(30G)는 띠상 부재(90G)의 외주측(도 16에 있어서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 미끄럼 마찰 부재(38)와 가동 미끄럼 마찰 부재(39)가, 보강 띠재(99)의 1쌍의 홈(99b)에 삽입되어 있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력 조정 볼트(36)에 의해, 가동 미끄럼 마찰 부재(39)가 고정 미끄럼 마찰 부재(38)를 향하여 접근됨으로써, 미끄럼 마찰 부재(38, 39)가, 보강 띠재(99)의 중앙 볼록 프레임부(99a)의 양측부에 압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강 띠재(99)와 미끄럼 마찰 부재(38, 39)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여, 저항력 F30이 작용한다.
저항력 부여부(30G)에 저항력 조정 볼트(36) 대신에 유체압 실린더(37)(도 7 참조)를 설치하고, 유체압 실린더(37)에 의해 가동 미끄럼 마찰 부재(39)의 압박력 나아가서는 저항력 F30을 조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개변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진 반력 부여부가 후속 띠부(92)에 배치되며, 또한 저항력 부여부가, 추진 반력 부여부보다도 접합 공정 위치(20p)측의 후속 띠부(92)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위치 결정 및 회전 방지용의 걸림 수단(제1, 제2 걸림부)을 본체 프레임(3a)에 설치해도 된다.
복수의 실시 형태의 요소끼리를 조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4 실시 형태(도 9)의 저항력 부여부(30)를 제3 실시 형태(도 8)의 저항력 부여부(30C) 대신으로 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도 11)의 감합력 부여부(20E)를 다른 실시 형태의 감합력 부여부에 적용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이외의 실시 형태의 띠상 부재로서, 제5 실시 형태의 띠상 부재(90E)(도 13)를 적용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의 띠상 부재로서, 제1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의 띠상 부재(90)(도 4)를 적용해도 된다.
제7 실시 형태(도 16)의 저항력 부여부(30G)는, 제1 내지 제6의 각 실시 형태의 저항력 부여부로서 적용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도 11)의 변형예로서,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저항력 부여부(30E)의 배치 부분을, 추진 반력 부여부(10E)의 배치 부분보다도 권회 방향의 복귀측(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선행 나선관부(91)에 확경 작용이 부여되도록 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도 11)의 변형예로서, 추진 반력 부여부(10E)와 저항력 부여부(30E)가, 접합 공정 위치(20p)에 대하여 나선관(9)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서로 동일한 측(바람직하게는 진행 방향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띠상 부재(90)의 감합부(93, 94)에 상당하는 접합 부분이, 띠 본체부(90a)와는 별개로 제작되어 있어도 된다. 제관 전 또는 제관 시에 띠 본체부(90a)와 상기 접합 부분이 접합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접합 부분은, 띠 본체부(90a)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 사이에 걸침과 함께, 이들 테두리와 접합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하수도관, 상수도관, 농업용수관, 가스관 등의 노후화된 기설관의 갱생 시공에 적용 가능하다.
F10: 추진 반력
F30: 저항력
3, 3C 내지 3F: 제관 장치
9, 9E: 갱생관(나선관)
10, 10E, 10F: 추진 반력 부여부
20p: 접합 공정 위치
25b: 제1 걸림부
30, 30C 내지 30G: 저항력 부여부
33: 저항 롤러(미끄럼 마찰 부재)
34: 내주측 미끄럼 마찰 부재(미끄럼 마찰 부재)
35: 외주측 미끄럼 마찰 부재(미끄럼 마찰 부재)
35b: 미끄럼 마찰 블록(제2 걸림부)
38: 고정 미끄럼 마찰 부재(미끄럼 마찰 부재)
39: 가동 미끄럼 마찰 부재(미끄럼 마찰 부재)
90, 90E, 90G: 띠상 부재
91: 선행 나선관부
92: 후속 띠부

Claims (10)

  1. 띠상 부재를 나선상의 권회 방향을 따라 권회하면서 상기 띠상 부재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접합함으로써 나선관을 형성하는 제관 장치이며,
    상기 접합이 행하여지는 접합 공정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 선행하여 제관된 선행 나선관부에 이어지는 후속 띠부 또는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대하여, 상기 띠상 부재의 권회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한 추진 반력을 부여하는 추진 반력 부여부와,
    상기 추진 반력 부여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추진 반력에 의한 추진 시에 있어서의 상기 띠상 부재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기 권회 방향을 따라 상기 추진 반력과는 역방향의 저항력을 상기 띠상 부재에 부여하는 저항력 부여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력이, 상기 추진을 허용하며, 또한 상기 선행 나선관부를 직경 변화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력 부여부가, 상기 저항력을 단계적 또는 무단계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반력 부여부가, 상기 접합 공정 위치보다도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후속 띠부를 상기 접합 공정 위치를 향하여 누르고, 상기 저항력 부여부가,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대하여 상기 권회 방향의 진행측을 향하여 상기 저항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반력 부여부가,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대하여 상기 권회 방향의 복귀측을 향하여 상기 추진 반력을 부여하고, 상기 저항력 부여부가,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있어서의 상기 추진 반력 부여부로부터 상기 권회 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대하여 상기 권회 방향의 진행측을 향하여 상기 저항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반력 부여부와 상기 저항력 부여부가, 상기 접합 공정 위치에 대하여 진행 방향의 서로 동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력 부여부가, 상기 띠상 부재와 미끄럼 마찰되는 미끄럼 마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력 부여부가, 상기 저항력을 발생 가능하게 회전되는 저항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대하여 상기 권회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권회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거는 걸림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걸림 수단이, 상기 권회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0. 띠상 부재를 나선상의 권회 방향을 따라 권회하면서 상기 띠상 부재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접합함으로써 나선관을 형성하는 제관 방법이며,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 선행하여 제관된 선행 나선관부에 이어지는 후속 띠부와 상기 선행 나선관부와의 상기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상기 접합이 행하여지는 접합 공정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후속 띠부 또는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대하여, 상기 띠상 부재의 권회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한 추진 반력을 부여하는 추진 공정과,
    상기 추진 반력을 부여하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추진 반력에 의한 추진 시에 있어서의 상기 띠상 부재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기 권회 방향을 따라 상기 추진 반력과는 역방향의 저항력을 상기 띠상 부재에 부여하는 저항 공정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방법.
KR1020177032440A 2015-04-28 2016-04-27 나선관의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KR101996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91628 2015-04-28
JPJP-P-2015-091628 2015-04-28
JPJP-P-2016-059941 2016-03-24
JP2016059941 2016-03-24
PCT/JP2016/063199 WO2016175243A1 (ja) 2015-04-28 2016-04-27 螺旋管の製管装置及び製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728A KR20170134728A (ko) 2017-12-06
KR101996746B1 true KR101996746B1 (ko) 2019-07-04

Family

ID=57199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440A KR101996746B1 (ko) 2015-04-28 2016-04-27 나선관의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20918B2 (ko)
EP (1) EP3290182B1 (ko)
JP (1) JP6518324B2 (ko)
KR (1) KR101996746B1 (ko)
AU (1) AU2016253716C1 (ko)
WO (1) WO2016175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37836B1 (en) * 2016-03-31 2023-02-22 Sekisui Chemical Co., Ltd. Pipe-making apparatus and pipe-making method
CA3097151C (en) 2016-08-30 2023-01-31 Sekisui Chemical Co., Ltd. Pipe-forming apparatus for spiral pipe
US11473714B2 (en) 2017-03-01 2022-10-18 Sekisui Chemical Co., Ltd. Strip member for spiral pipe and rehabilitation method of existing pipe
JP6927778B2 (ja) * 2017-07-18 2021-09-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管の製管装置
JP6927782B2 (ja) * 2017-07-19 2021-09-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管の製管装置
JP2019025839A (ja) * 2017-08-01 2019-02-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既設管の更生方法及び支保材
CN107489852B (zh) * 2017-08-14 2023-12-01 湖南大麓科技有限公司 螺旋缠绕非开挖修复轴向编管装置
JP6927828B2 (ja) * 2017-09-27 2021-09-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および製管方法
JP6936115B2 (ja) * 2017-11-06 2021-09-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管の製管装置
JP1616663S (ko) 2018-02-27 2018-10-29
JP7352426B2 (ja) * 2019-09-26 2023-09-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管の製管方法及び製管装置
JP7352427B2 (ja) * 2019-09-26 2023-09-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管の製管方法及び製管装置
JP7449146B2 (ja) 2020-04-14 2024-03-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
NO20230764A1 (en) * 2022-07-26 2024-01-29 Odfjell Oceanwind As Bend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d pipe
CN115592617B (zh) * 2022-12-15 2023-04-07 江苏银环精密钢管有限公司 一种多层螺旋管套装工装及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1861A (ja) 2004-12-27 2006-07-13 Sekisui Chem Co Ltd 既設管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及び製管機
JP2009180343A (ja) 2008-01-31 2009-08-13 Sekisui Chem Co Ltd 製管装置
JP2015016580A (ja) 2013-07-09 2015-01-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1570A (en) * 1967-06-14 1971-08-24 Pacific Roller Die Co Inc Helical pipe-forming and welding apparatus method
JPS5310850B2 (ko) 1971-12-13 1978-04-17
US4070886A (en) * 1977-01-05 1978-01-31 Adrianus Marinus Nyssen Spiral pipe forming machine with device for aligning spiralling rolls
US4541887A (en) * 1979-08-30 1985-09-17 Ameron Inc. Apparatus for longitudinally reinforcing continuously generated plastic pipe
US4436239A (en) * 1981-04-29 1984-03-13 Nippon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iral pipe
US4544426A (en) * 1983-10-24 1985-10-01 Shaw Industr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coating material to a pipe
US4567742A (en) * 1984-01-10 1986-02-04 Spiro America Inc. Ribbed spiral pipe producing machine
JPS6449618A (en) * 1987-08-20 1989-02-27 Sekisui Chemical Co Ltd Engineering method for lining of existing pipe
CH679023A5 (ko) * 1989-06-13 1991-12-13 Suter Emil Maschf
JP3217076B2 (ja) * 1991-01-30 2001-10-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路内周面のライニング方法
BR9206573A (pt) * 1991-10-02 1995-11-07 Rib Loc Australia Máquina espiral para enrolar tiras helicoidalmente
US5261995A (en) * 1992-12-28 1993-11-16 Shaw Industries Ltd. Pipe wrapping apparatus and method
JP3233542B2 (ja) * 1995-02-14 2001-11-26 株式会社オーシーシー 金属管被覆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IT1281260B1 (it) * 1995-04-27 1998-02-17 Sasib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imballare prodotti, in particolare astiformi, come sigarette, o simili in un foglio d'involucro
JP3657056B2 (ja) 1996-05-23 2005-06-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既設管ライニング用プロファイル
JP3163054B2 (ja) * 1997-01-28 2001-05-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渠内用ライニング施工装置並びに管渠内におけるライニング施工方法
AUPP610698A0 (en) 1998-09-22 1998-10-15 Rib Loc Australia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lining of conduits
US6164702A (en) * 1999-06-07 2000-12-26 Adc Acquisition Company Reinforced thermoplastic pipe couping
US6773773B2 (en) * 1999-06-14 2004-08-10 Adc Acquisition Company Reinforced thermoplastic pipe manufacture
JP3990862B2 (ja) * 1999-11-22 2007-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状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02058861A1 (en) * 2001-01-26 2002-08-01 Ovalformer Llc Machine for producing spiral seamed pipe
US20030230127A1 (en) * 2002-06-18 2003-12-18 Helix International, Inc. Perforated spiral pipe
US7451629B2 (en) * 2006-04-05 2008-11-18 Formtek, Inc. Spiral pipe machine
JP4767155B2 (ja) * 2006-11-26 2011-09-07 足立建設工業株式会社 管渠におけるライニング用管状体の製管装置及びその製管方法
WO2008075681A1 (ja) * 2006-12-18 2008-06-26 Sekisui Chemical Co., Ltd. 製管装置およびこの製管装置を用いた既設管の更生工法
WO2008123505A1 (ja) * 2007-04-04 2008-10-16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曲げ加工製品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連続製造装置
US8448486B2 (en) * 2007-07-12 2013-05-28 Sekisui Chemical Co., Ltd. Apparatus for forming curls in reinforcing material-attached profile strip, method for producing spiral pipe,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piral pipe
WO2010096690A1 (en) * 2009-02-20 2010-08-26 Fyfe Co., Llc Systems and methods of reinforcing a pipe using fiber bundles
AU2010279168B2 (en) * 2009-07-27 2016-05-26 Sekisui Chemical Co., Ltd. Winding machine and winding method
JP3163054U (ja) 2010-05-18 2010-09-30 光数 小田桐 お風呂に浮かべて湯水質改善を手軽に行う磁気入浴用品。
JP5645977B2 (ja) * 2011-02-07 2014-12-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及び製管方法
US8684628B2 (en) * 2011-05-23 2014-04-01 Sekisui Chemical Co., Ltd. Winding apparatus
KR101315355B1 (ko) * 2011-09-07 2013-10-08 (주)벨텍코리아 원통형 직물을 이용한 이음새 없는 바이어스 직물 제조장치
KR20150021240A (ko) * 2013-08-20 2015-03-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티그 용접용 용가재 성형 송급 장치
JP6329260B2 (ja) * 2014-06-04 2018-05-2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巻癖形成装置
WO2015186779A1 (ja) * 2014-06-04 2015-12-1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機
TWI656020B (zh) * 2014-09-02 2019-04-11 義大利商莫托雷斯紙業責任有限公司 用於藉由將帶狀材料捲繞一成型心軸來生產管體的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1861A (ja) 2004-12-27 2006-07-13 Sekisui Chem Co Ltd 既設管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及び製管機
JP2009180343A (ja) 2008-01-31 2009-08-13 Sekisui Chem Co Ltd 製管装置
JP2015016580A (ja) 2013-07-09 2015-01-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728A (ko) 2017-12-06
EP3290182A4 (en) 2018-12-12
AU2016253716C1 (en) 2021-04-22
JP6518324B2 (ja) 2019-05-22
US20180038541A1 (en) 2018-02-08
JPWO2016175243A1 (ja) 2018-02-15
US10920918B2 (en) 2021-02-16
WO2016175243A1 (ja) 2016-11-03
EP3290182B1 (en) 2023-01-25
EP3290182A1 (en) 2018-03-07
AU2016253716B2 (en) 2019-03-28
AU2016253716A1 (en)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746B1 (ko) 나선관의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EP2085209B1 (en) Tub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existing-tube reconditioning method using the tube manufacturing apparatus
JP7044586B2 (ja) 螺旋管用帯状部材及び既設管の更生方法
JP2006181861A (ja) 既設管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及び製管機
JP6832109B2 (ja) 螺旋管の製造方法及び製管装置
JP2014113793A (ja) ライニング工法、それに用いる製管機および更生管路
JP6267327B2 (ja) 製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製管方法
JP6170360B2 (ja) 製管装置
JP5824504B2 (ja) 補助ローラ機構を備えた螺旋巻き自由断面製管装置及び該製管装置によるライニング管の製管方法
JP6927782B2 (ja) 螺旋管の製管装置
JP2014104612A (ja) ライニング工法および更生管路
JP6133457B1 (ja) 塑性加工機構を備えたライニング用製管装置及び該製管装置によるライニング施工方法
JP6769809B2 (ja) 螺旋管の製管装置
JP7449146B2 (ja) 製管装置
JP7474155B2 (ja) 螺旋管用製管装置
JP6927778B2 (ja) 螺旋管の製管装置
JP3676475B2 (ja) 既設管の更生方法
JP7117232B2 (ja) 螺旋管の製管装置及び製管方法
JP2002046181A (ja) 管渠内のライニング施工装置及びライニング施工法
JP2019104145A (ja) 製管機、管体の製管方法および帯板状部材
JP2023033742A (ja) 製管機および製管方法
JP2021053842A (ja) 製管装置
JP2014109373A (ja) ライニング工法、それに用いる製管機および更生管路
JP2002147650A (ja) 管渠内のライニング施工法及びライニン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