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792B1 - 판유리 할단장치, 판유리 할단방법, 판유리 제작방법 및 판유리 할단시스템 - Google Patents

판유리 할단장치, 판유리 할단방법, 판유리 제작방법 및 판유리 할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792B1
KR101968792B1 KR1020147016185A KR20147016185A KR101968792B1 KR 101968792 B1 KR101968792 B1 KR 101968792B1 KR 1020147016185 A KR1020147016185 A KR 1020147016185A KR 20147016185 A KR20147016185 A KR 20147016185A KR 101968792 B1 KR101968792 B1 KR 101968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plate
glass
along
mai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3993A (ko
Inventor
겐지 미시나
다카시 하시모토
고지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25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for scoring or breaking, e.g. 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05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 B28D5/0011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with preliminary treatment, e.g. weakening by sc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05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 B28D5/0041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the workpiece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a suitably shaped rigid body which remains stationary during bre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05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 B28D5/0052Mean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during brea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30Breaking or tearing apparatus
    • Y10T225/307Combined with preliminary weakener or with nonbreaking cutter
    • Y10T225/321Preliminary weak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판유리 할단장치(100)는, 주면(Ga) 및 스크라이브선(S)이 형성된 주면(Gb)을 갖는 판유리(G) 중의 주면(Ga)에 힘을 부여하는 절할(折割)부재(10)와, 판유리(G)의 주면(Gb)을 누르는 누름부재(20)를 구비한다. 누름부재(20)는 브러쉬 형상을 갖는다. 누름부재(20)는 주면(Gb)의 법선방향에서 보아 스크라이브선(S)을 따른 장방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판유리 할단장치, 판유리 할단방법, 판유리 제작방법 및 판유리 할단시스템{GLASS PLATE CLEAVING DEVICE, METHOD FOR CLEAVING GLASS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AND GLASS PLATE CLEAVING SYSTEM}
본 발명은 판유리 할단장치, 판유리 할단방법, 판유리 제작방법 및 판유리 할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판유리는 액정패널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플랫패널 디스플레이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와 같은 판유리는 비교적 큰 판유리(마더 글라스(Mother Glass)라고도 불림)를 소정의 크기로 할단(割斷)함으로써 제작된다. 특히 비교적 얇은 판유리의 할단을 실시하는 경우, 전형적으로 판유리의 할단은, 판유리의 한쪽 주면에 스크라이브선(분할선)을 형성한 후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된 주면을 누른 상태에서, 다른 쪽 주면에 절할(折割)부재로 힘을 부여함으로써 실시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에는, 박판유리의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된 상측 주면에 대하여 누름바(bar)를 하강시켜 판유리를 누른 상태에서 박판유리의 하측 주면에 절할바로 힘을 부여하는 절할장치(할단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1에는, 누름바의 하면에 고무시트를 접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7-099563호 공보
전형적으로 할단장치는 판유리의 할단을 반복한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절할장치에서는 판유리를 할단했을 때의 유리 컬릿(cullet)이 누름바 또는 고무시트에 부착되어 버려, 나중에 할단해야 할 판유리를 이 누름바 또는 고무시트로 누르면 판유리의 표면에 흠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다란 판유리를 할단하는 경우, 1장의 커다란 판유리를 상이한 방향을 따라 2회 이상 할단하여, 비교적 작은 복수의 판유리를 제작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절할장치에서는 판유리의 상이한 방향을 따른 할단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판유리의 할단 시에 있어서 유리 컬릿으로 인한 판유리의 흠을 억제시킨 판유리 할단장치, 판유리 할단방법, 판유리 제작방법 및 판유리 할단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이한 방향을 따른 판유리의 할단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판유리 할단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판유리 할단장치는, 제1 주면 및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된 제2 주면을 갖는 판유리 중의 상기 제1 주면에 힘을 부여하는 막대 형상의 절할(折割)부재와, 상기 판유리의 상기 제2 주면을 누르는 누름부재를 구비하는 판유리 할단(割斷)장치로서, 상기 누름부재는 브러쉬 형상을 갖는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제2 주면의 법선방향에서 보아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른 장방형상을 갖는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판유리를 수직방향으로 누른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복수의 털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털 각각의 지름은 0.05㎜ 이상 0.30㎜ 이하이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털 각각의 길이는 5.0㎜ 이상 20.0㎜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판유리 할단시스템은, 상기에 기재된 판유리 할단장치를 복수 구비한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에는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판유리 할단장치는 반송방향을 따라 반송된 상기 판유리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할단하는 제1 판유리 할단장치와, 상기 제1 판유리 할단장치에 의해 할단된 판유리가 상기 반송방향을 따라 반송된 후, 상기 판유리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할단하는 제2 판유리 할단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판유리 할단방법은, 제1 주면 및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된 제2 주면을 갖는 판유리 중의 상기 제2 주면을 누르는 공정과, 상기 판유리의 제1 주면에 힘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판유리를 절할(折割)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판유리 할단방법으로서, 상기 누르는 공정에서 상기 판유리의 제2 주면은 브러쉬 형상의 누름부재로 눌린다.
본 발명에 의한 판유리 제작방법은, 마더글라스를 할단하여 판유리를 제작하는 판유리 제작방법으로서, 제1 주면과,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된 제2 주면을 갖는 마더글라스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마더글라스의 상기 제2 주면을 누르는 공정과, 상기 마더글라스의 상기 제1 주면에 힘을 부여하여 상기 마더글라스를 할단함으로써 제작된 판유리를 뽑아내는 공정을 포함하는 판유리 제작 방법으로서, 상기 누르는 공정에서, 상기 판유리의 제2 주면은 브러쉬 형상의 누름부재로 눌린다.
본 발명에 의한 판유리 할단시스템은,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된 판유리를 할단하는 판유리 할단시스템으로서, 반송방향을 따라 반송된 상기 판유리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할단하는 제1 판유리 할단장치와, 상기 제1 판유리 할단장치에 의해 할단된 판유리가 상기 반송방향을 따라 반송된 후, 상기 판유리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할단하는 제2 판유리 할단장치를 구비한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유리 할단장치로 반송되기 전의 상기 판유리에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중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서 상기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어진 복수의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판유리 할단장치 및 상기 제2 판유리 할단장치 중 한쪽 판유리 할단장치는, 상기 복수의 스크라이브선 중 일부의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상기 판유리를 할단하고, 상기 판유리 할단시스템은, 상기 한쪽 판유리 할단장치에 의해 할단된 판유리가 상기 반송방향으로 반송된 후, 상기 복수의 스크라이브선 중에서 상기 한쪽 판유리 할단장치에 의해 할단되지 않은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상기 판유리를 할단하는 제3 판유리 할단장치를 추가로 구비한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유리 할단장치는 상기 판유리를 상기 반송방향과 평행인 방향을 따라 할단하며, 상기 제2 판유리 할단장치는 상기 판유리를 상기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할단한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유리 할단장치에 의해 할단되기 전의 상기 판유리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어진 2 이상의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판유리 할단장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어진 복수의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상기 판유리를 단번에 할단한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 할단시스템은 상기 제1 판유리 할단장치 및 상기 제2 판유리 할단장치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상기 판유리를 할단한 후에, 상기 할단된 판유리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는 판유리를 폐기하기 위한 컨베이어를 추가로 구비한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 할단시스템은 상기 제1 판유리 할단장치가 상기 판유리를 할단하기 전에, 상기 판유리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선 형성장치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유리의 할단 시에 있어서 유리 컬릿으로 인한 판유리의 흠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이한 방향을 따른 판유리의 할단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판유리 할단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a)~(c)는 본 발명에 의한 판유리 할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판유리 할단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9는 도8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시스템에 있어서 제1 판유리 할단장치의 일부분 근방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도8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시스템에 있어서 제2 판유리 할단장치의 일부분 근방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판유리 할단장치, 판유리 할단방법, 판유리 제작방법 및 판유리 할단시스템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판유리 할단장치의 실시형태의 모식도이다. 판유리 할단장치 (100)는 절할(折割)부재(10)와 누름부재(20)를 구비한다. 판유리 할단장치(100)는 주면(Ga, Gb)을 갖는 판유리(G)를 할단(割斷)한다. 판유리(G)의 주면(Gb)에는 거의 직선형으로 이어진 홈이 스크라이브선(S)으로서 형성된다. 전형적으로는 스크라이브선(S)이 이어지는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을 본 경우, 스크라이브선(S)은 'V'자형 또는 'U'자형을 갖는다. 스크라이브선(S)은 홈으로부터 이어진 메디안 크랙(Median crack)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또 도1에서는 판유리(G)의 주면(Ga) 중에서 스크라이브선(S)에 대응(대향)하는 선(S’)을 파선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스크라이브선(S)은 홈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반해, 선(S’)에는 홈이 형성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주면(Ga)을 제1 주면(Ga)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으며, 주면(Gb)을 제2 주면(Gb)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절할부재(10)는 판유리(G)의 제1 주면(Ga)에 힘을 부여한다. 전형적으로 절할부재(10)는 판유리(G)의 제1 주면(Ga)의 선(S’)을 따라, 또는 그 근방에 힘을 부여한다. 절할부재(10)가 판유리(G)의 주면(Ga)에 힘을 부여함으로써 스크라이브선(S) 근방에 휨 응력이 발생한다.
또 누름부재(20)는 판유리(G)의 제2 주면(Gb)에 힘을 부여한다. 전형적으로 누름부재(20)는 판유리(G)의 제2 주면(Gb)의 스크라이브선(S)을 따라 그 양측에 힘을 부여한다. 누름부재(20)가 판유리(G)의 제2 주면(Gb)에 힘을 부여한 후 절할부재(10)가 판유리(G)의 제1 주면(Ga)에 힘을 부여함으로써, 스크라이브선(S) 근방에 휨 응력이 발생하여 판유리(G)가 할단된다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장치(100)에서 누름부재(20)는 브러쉬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누름부재(20)가 브러쉬 형상이므로, 누름부재(20)로 누를 때에 유리 컬릿으로 인해 판유리(G)에 발생하는 흠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가령 누름부재(20)에 유리 컬릿이 부착되거나 침입되거나 하는 경우라도, 브러쉬 털은 탄성을 지니고 있어, 판유리(G)와 접촉했을 때에 털끝이 휘어지므로, 판유리(G)의 표면에 흠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또 브러쉬의 탄성효과에 의해 절할 시의 충격이 흡수되므로, 판유리(G)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브러쉬 형상의 누름부재(20)는 판유리(G)를 누른 상태이더라도, 절할 시에 발생하는 판유리의 가로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미세한 움직임에 대하여 브러쉬의 털끝이 추종하므로, 판유리(G)에 대하여 누르는 위치를 엄밀히 조정하지 않아도 판유리(G)에 무리하게 힘을 부여하지 않고 판유리(G)를 할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할단 시에 판유리(G)를 억지로 당기지 않고 스크라이브선(S)의 깊이방향(판유리(G)의 주면(Ga, Gb)과 수직인 방향)으로 할단할 수 있어, 판유리(G)의 주면(Ga, Gb)에 대하여 거의 직각인 파단면이 얻어진다.
여기서는 누름부재(20)로서 2개의 채널브러쉬(20a, 20b)가 이용된다. 채널브러쉬(20a, 20b)는 판유리(G)의 제2 주면(Gb)의 법선방향에서 보아 스크라이브선(S)을 따른 장방형상을 갖는다. 채널브러쉬(20a, 20b)의 길이방향 길이는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 길이보다 길다.
여기서, 도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유리(G)를 준비한다. 판유리(G)는 제1 주면(Ga), 제2 주면(Gb)을 가지며, 제2 주면(Gb)에 스크라이브선(S)이 형성된다.
다음은 도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재(20)에 의해 제2 주면(Gb)에 힘을 부여한다. 이때 누름부재(20)는 판유리(G)를 수직방향을 따라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누름부재(20)를 판유리(G)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따라 하강시킨다. 그리고 브러쉬(20a, 20b)는 스크라이브선(S)에 대하여 서로 거의 균등한 거리에서 눌러도 되며, 상이한 거리에서 눌러도 된다.
다음에 도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재(20)가 판유리(G)에 힘을 부여한 상태에서 절할부재(10)에 의해 판유리(G)의 제1 주면(Ga)에 힘을 부여한다. 여기서는 절할부재(10)를 판유리(G)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따라 상승시킨다. 이로써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 근방에 휨 응력이 발생하여 판유리(G)가 할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유리(G)를 마더글라스으로 이용하며, 마더글라스(G)의 할단에 의해 마더글라스(G)로부터 마더글라스(G)보다 작은 판유리을 뽑아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할부재(10)는 누름부재(20)가 판유리(G)를 누른 상태에서 판유리(G)에 힘을 부여한다. 단, 절할부재(10)가 판유리(G)와 접촉하는 타이밍과, 누름부재(20)가 판유리(G)와 접촉하는 타이밍의 차는 거의 없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장치(100)에 있어서 누름부재(20)는 복수의 털을 갖는다. 예를 들어 누름부재(20)로서, 수지제 섬유를 연속 식모(植毛)한 채널브러쉬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수지제 섬유로서, 예를 들어 나일론66, 나일론6, 나일론610, 나일론612, 폴리프로필렌, 염화비닐, 폴리에스터, 불소섬유 등의 화학섬유를 이용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흠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나일론66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지제 섬유의 지름은 0.05㎜ 이상 0.30㎜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누름부재(20)로 판유리(G)를 누르는 힘을 너무 엄밀히 제어하지 않아도 판유리(G)에 흠이 생기기 어렵고, 또 판유리(G)를 확실하게 누를 수 있다. 여기서 수지제 섬유의 지름이 0.5㎜ 이상인 경우, 누름부재(20)로 판유리(G)를 누르는 힘이 너무 세면 판유리(G)에 흠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 수지제 섬유의 지름이 0.05㎜보다 작은 경우, 할단 시에 판유리(G)를 충분히 누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 수지제 섬유의 길이는 5.0㎜ 이상 20.0㎜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누름부재(20)로 판유리(G)를 누르는 힘을 너무 엄밀히 제어하지 않아도 할단 시에 발생하는 판유리(G)의 미세한 움직임에 대하여 털끝이 추종함과 더불어, 판유리(G)를 확실하게 누를 수 있다. 여기서 수지제 섬유의 길이가 5.0㎜보다 짧은 경우, 누르는 힘을 적절하게 제어하지 않으면, 할단 시에 발생하는 미세한 움직임에 대하여 털끝이 충분히 추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 수지제 섬유의 길이가 20.0㎜보다 긴 경우, 할단 시에 판유리(G)를 충분히 누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도1 및 도2를 참조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에 의해 규정된 2개의 영역 중 한쪽을 채널브러쉬(20a)로 누르고, 다른 쪽을 채널브러쉬(20b)로 눌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에 의해 규정된 2개의 영역 중 한쪽 영역이 브러쉬 형상의 부재로 눌려지고, 다른 쪽은 다른 부재로 눌려져도 된다. 이와 같이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에 의해 규정된 2개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한쪽 영역이 브러쉬 형상 이외의 부재로 눌려져도 된다. 단, 이 경우도 역시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에 의해 규정된 2개의 영역은 각각 거의 균등한 힘으로 눌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술한 설명에서 브러쉬(20a, 20b)는, 제2 주면(Gb)의 법선방향에서 보아, 스크라이브선(S)을 따른 장방형상을 가지며,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에 의해 규정된 2개의 영역 중 한쪽을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브러쉬(20a)로 누르고, 다른 쪽을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브러쉬(20b)로 눌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에 의해 규정된 2개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한쪽 영역은, 복수로 분리된 브러쉬 형상의 누름부재로 눌려져도 된다.
또 전술한 설명에서 판유리 할단장치(100)는, 판유리(G)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선(S)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유리 할단장치(100)는, 판유리(G) 끝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선(S)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판유리(G)의 상방에 설치한 누름부재(20)를 판유리(G)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따라 하강시키고, 판유리(G)의 하방에 설치한 절할부재(10)를 판유리(G)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따라 상승시켰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유리(G)의 하방에 설치한 누름부재(20)를 판유리(G)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따라 상승시킨 후, 판유리(G)의 상방에 설치한 절할부재(10)를 판유리(G)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따라 하강시켜도 된다. 이 경우,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은 하면에 형성되며, 스크라이브선(S)을 형성함에 따른 유리 컬릿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설명에서는, 절할부재(10) 및 누름부재(20)를 판유리(G)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면(Ga, Gb)이 수직방향과 평행이 되게 판유리(G)를 파지(把持)한 상태에서 누름부재(20)를 판유리(G)의 제2 주면(Gb)을 향해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시킨 후, 절할부재(10)를 판유리(G)의 제1 주면(Ga)을 향해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시켜도 된다. 단, 판유리(G)가 비교적 큰 경우, 판유리(G)를 수직방향으로 유지시키고 반송하는 것보다 판유리(G)를 수평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이 쉽다. 그러므로 판유리(G)의 할단 시에 절할부재(10) 및 누름부재(20)를 판유리(G)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3~도6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장치(100)의 보다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3에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장치(100)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3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장치(100)는 절할부재(10) 및 누름부재(20)에 더불어 판유리 반송장치(30)를 구비한다.
판유리 반송장치(30)는 소정의 간격, 예를 들어 100㎜ 거리만큼 떨어진 벨트 컨베이어(30a, 30b)를 갖는다. 여기서 벨트 컨베이어(30a)는 정반(32a) 주위를 원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벨트 컨베이어(30b)는 정반(32b) 주위를 원둘레를 따라 회전한다. 정반(32a, 32b)은 판유리(G)를 진공흡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 컨베이어(30a, 30b)는 스크라이브선(S)이 형성된 판유리(G)를 반송한다.
여기서 판유리(G)는, 스크라이브선(S)의 길이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벨트 컨베이어(30a, 30b)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향해 반송된다. 반송된 판유리(G)가 정지한 후에 판유리(G)의 할단이 실행된다. 절할부재(10)는 판유리(G) 하방에 위치하는 벨트 컨베이어(30a)와 벨트 컨베이어(30b) 사이에 설치된다. 절할부재(10)는 막대(Bar) 형상을 가지며, 절할부재(10)는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과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된다. 절할부재(10)는 승강장치(12)에 의해 판유리(G)에 대하여 거리가 변화하도록 이동한다.
누름부재(20)는, 누름부재(20)가 판유리 반송장치(30) 상방에 위치한다. 누름부재(20)는 직선형의 채널브러쉬(20a, 20b)를 갖는다. 예를 들어 브러쉬(20a, 20b)의 수지제 섬유의 지름은 약 0.07㎜이고 길이는 약 10.0㎜이며, 수지제 섬유의 식모간격(인접하는 털과의 간격)은 약 8.0㎜이고 길이방향 길이는 약 3000㎜이다.
채널브러쉬(20a, 20b)는 각각 벨트 컨베이어(30a, 30b) 상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채널브러쉬(20a, 20b)는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설치된다. 채널브러쉬(20a)는 승강장치(22a1, 22a2)에 의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채널브러쉬(20b)는 승강장치(22b1, 22b2)에 의해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채널브러쉬(20a)가 대응하는 위치에 정반(32a)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채널브러쉬(20a)가 하강된 경우, 판유리(G)는 채널브러쉬(20a)와 정반(32a)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채널브러쉬(20b)가 대응하는 위치에 정반(32b)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채널브러쉬(20b)가 하강된 경우, 판유리(G)는 채널브러쉬(20b)와 정반(32b)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유리(G)의 할단은 이하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판유리 반송장치(30)가 스크라이브선(S)이 형성된 판유리(G)를 반송한다. 예를 들어 판유리(G)는, 스크라이브선 형성장치(여기서는 도지하지 않음)에 의해 스크라이브선(S)이 형성된 후 판유리 반송장치(30)에 의해 절할부재(10) 및 누름부재(20)가 배치된 자리까지 반송된다. 판유리(G)는 일정 피치씩 반송되며, 스크라이브선(S)이 벨트 컨베이어(30a)와 벨트 컨베이어(30b) 사이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면 정지된다.
다음은 누름부재(20)의 채널브러쉬(20a, 20b)가 승강장치(22a1, 22a2, 22b1, 22b2)에 의해 하강되고 판유리(G)를 누른다. 그 후 절할부재(10)가 승강장치(12)에 의해 상승하고 판유리(G)에 힘을 부여함으로써, 판유리(G)가 할단된다. 여기서, 판유리(G)가 스크라이브선(S)을 따라 2등분 될 경우, 채널브러쉬(20a, 20b)는 스크라이브선(S)에 대하여 서로 거의 균등한 거리에서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에 본 실시형태의 다른 판유리 할단장치(100)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4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장치(100)는 판유리(G)의 반송방향 및 이에 관련된 구성을 제외하고 도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판유리 할단장치(1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며,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여기서는 할단 전 또는 할단 후의 판유리(G)가 스크라이브선(S)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벨트 컨베이어(30a, 30b)에 의해 반송된다.
또 도3 및 도4를 참조한 위의 설명에서, 판유리 할단장치(100)는 판유리(G)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선(S)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유리 할단장치(100)는 판유리(G)의 단부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선(S)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해도 된다.
도5에 본 실시형태의 다른 판유리 할단장치(100)의 모식적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5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장치(100)에서 채널브러쉬(20a)는 흡인덕트(42)에 연결된 흡인노즐(44)에 장착된다. 채널브러쉬(20a)를 누를 때 및 판유리(G)를 할단할 때 발생하는 유리 컬릿은 흡인노즐(44) 및 흡인덕트(42)를 통해 제거된다. 승강장치(22a)는 채널브러쉬(20a) 및 흡인노즐(44)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채널브러쉬(20b)는 승강장치(22b)에 장착되며, 승강장치(22b)는 주행장치(5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채널브러쉬(20b)는 승강장치(22b) 및 주행장치(52)에 의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에 의해 규정되는 2개의 영역 중 한쪽에 벨트 컨베이어(30a, 30b), 흡착정반(32a, 32b) 및 에어플로트판(36a, 36b)이 배치되며, 다른 쪽에 벨트 컨베이어(30c), 흡착정반(32c) 및 에어플로트판(36c)이 배치된다. 벨트 컨베이어(30a)는 흡착정반(32a) 주위를 회전한다. 흡착정반(32a)은 흡착용 덕트(34a)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벨트 컨베이어(30a, 30b)에 통기구멍을 형성해 둠으로써, 판유리(G)의 할단 시에 판유리(G)는 흡착정반(32a)에 의해 흡착되어 고정된다. 에어플로트판(36a)은 에어덕트(38a)에 연결되며, 판유리(G)에 공기를 분출한다. 예를 들어 판유리(G)의 반송 시에, 에어플로트판(36a)은 판유리(G)에 공기를 분출한다. 에어플로트판(36a)은 벨트 컨베이어(30a) 근방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벨트 컨베이어(30b)는 흡착정반(32b) 주위를 회전한다. 흡착정반(32b)은 흡착용 덕트(34b)에 연결된다. 에어플로트판(36b)은 에어덕트(38b)에 연결되며, 판유리(G)에 공기를 분출한다. 에어플로트판(36b)은 벨트 컨베이어(30b) 근방에 배치된다. 또 벨트 컨베이어(30c)는 흡착정반(32c) 주위를 회전한다. 흡착정반(32c)은 흡착용 덕트(34c)에 연결된다. 에어플로트판(36c)은 에어덕트(38c)에 연결되며, 판유리(G)에 공기를 분출한다. 에어플로트판(36c)은 벨트 컨베이어(30c) 근방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판유리 할단장치(100)에 의해 판유리(G)의 단부를 적합하게 할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채널브러쉬(20a, 20b)는 스크라이브선(S)에 대하여 서로 다른 거리에서 눌러도 된다.
또 도5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장치(100)에서, 채널브러쉬(20a)가 대응하는 위치에 에어플로트판(36b)이 배치되며, 채널브러쉬(20a)가 하강된 경우, 판유리(G)는 채널브러쉬(20a)와 에어플로트판(36b)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채널브러쉬(20b)가 대응하는 위치에 에어플로트판(36c)이 배치되며, 채널브러쉬(20b)가 하강된 경우, 판유리(G)는 채널브러쉬(20b)와 에어플로트판(36c)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술한 설명에서는 판유리(G)의 할단은 1회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유리(G)의 할단은 복수회라도 된다.
이하, 도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을 설명한다.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은 위에서 설명한 판유리 할단장치(100)를 복수 구비한다. 여기서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은 4개의 판유리 할단장치(100)를 구비하며, 판유리(G)의 할단을 실시하는 순서대로 판유리 할단장치(100A~100D)라 기재한다. 또 도6에서 판유리(G)는 반송방향X를 따라 반송되며, 판유리 할단장치(100A~100D)에 의해 할단되는 판유리(G)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판유리(G)를 반송하는 판유리 반송장치(30A~30D)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는 도면이 과도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판유리 할단장치(100A~100D) 사이의 반송장치를 생략한다.
여기서는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으로 투입된 판유리(G)로부터 4장의 판유리가 제작된다. 먼저 판유리 할단장치(100A)는 반송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판유리(G)의 양 단부를 할단한다. 할단된 양 단부는 임의의 수단으로 폐기 또는 재이용된다. 판유리 반송장치(30A)는 판유리 할단장치(100A)에 의해 판유리(G)를 할단하는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판유리(G)를 반송한다.
다음에 판유리 할단장치(100B)는 반송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판유리(G)의 양 단부를 할단한다. 할단된 양 단부는 임의의 수단으로 폐기 또는 재이용 된다. 판유리 반송장치(30B)는 판유리 할단장치(100B)에 의해 판유리(G)를 할단하는 방향과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판유리(G)를 반송한다.
다음에, 판유리 할단장치(100C)는 반송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판유리(G)를 할단한다. 판유리 할단장치(100C)는 반송된 판유리(G)를 거의 2등분 되도록 할단한다. 판유리 반송장치(30C)는 판유리 할단장치(100C)에 의해 판유리(G)를 할단하는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판유리(G)를 반송한다.
다음에 판유리 할단장치(100D)는 반송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판유리(G)를 할단한다. 판유리 할단장치(100D)는 반송된 판유리(G)를 거의 2등분 되도록 할단한다. 판유리 반송장치(30D)는 판유리 할단장치(100D)에 의해 판유리(G)를 할단하는 방향과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판유리(G)를 반송한다. 이상과 같이 판유리 할단장치(100A~100D)에 의해 복수의 판유리(G)를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적 큰 판유리의 일부에 결함이 있는 경우라도 그 판유리를 할단하여 복수 매의 판유리를 제작함으로써, 결함이 존재하지 않는 비교적 작은 판유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플랫패널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액정패널 디스플레이)에서는 화면 크기를 대형화하기 위해 1변이 2m가 넘는 대형 판유리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대형 판유리에 수㎛ 크기의 결함이 존재하면, 그 판유리는 대형 판유리로서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미세한 결함이 있는 커다란 판유리를 할단하여 비교적 작은 판유리를 복수 제작하고, 결함이 없는 판유리를 소형의 판유리로서 이용함으로써, 판유리의 유효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도7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을 설명한다.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은 판유리 할단장치(100A) 및 판유리 할단장치(100B)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에서 판유리 할단장치(100A, 100B)는 판유리(G)에 대하여 이 순서로 할단을 실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판유리 할단장치(100A)를 제1 판유리 할단장치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으며, 판유리 할단장치(100B)를 제2 판유리 할단장치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제1 판유리 할단장치(100A) 및 제2 판유리 할단장치(100B)는 각각 도1~도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절할부재(10) 및 누름부재(20)를 구비하며, 판유리(G)의 할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단, 도7에서는 도면이 과도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절할부재(10) 및 누름부재(20)를 생략하여 나타냄과 더불어, 판유리 할단장치(100A)의 판유리 반송장치(30A) 및 판유리 할단장치(100B)의 판유리 반송장치(30B)를 간략화하여 도시한다. 예를 들어, 판유리 반송장치(30A)는 도4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장치(100)의 판유리 반송장치(3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며, 판유리 반송장치(30B)는 도3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장치(100)의 판유리 반송장치(3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또 도7에서 판유리 할단장치(100A, 100B)에 의해 할단되는 판유리 및 스크라이브선을 실선으로 나타내며, 판유리를 반송하는 판유리 반송장치(30A, 30B)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판유리(G)는 상류에서 하류로 향해 반송방향X를 따라 반송된다. 전형적으로 판유리(G)는 주면의 법선방향을 변화시키지 않고 동일 자세인채, 회전하지 않고 상류에서 하류로 향해 반송방향X를 따라 반송된다.
먼저, 서로 교차하는 방향D1, D2를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Sx, Sy)이 형성된 판유리(G)가 판유리 할단장치(100A)로 반송된다.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x, Sy)은 판유리(G)가 반송방향X를 따라 판유리 할단장치(100A)로 반송되는 도중에 형성되어도 되고, 또는 스크라이브선(Sx, Sy)이 미리 형성된 판유리(G)가 판유리 할단장치(100A)로 반송되어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x)은 반송방향X와 평행인 방향D1을 따라 형성되며, 스크라이브선(Sy)은 반송방향X와 직교하는 방향D2를 따라 형성된다.
판유리(G)가 반송방향X를 따라 판유리 할단장치(100A)로 반송되면, 판유리 할단장치(100A)는 판유리(G)를 방향D1을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Sx)을 따라 할단한다. 여기서 방향D1은 반송방향X와 평행이며, 판유리 할단장치(100A)는 판유리(G)를 반송방향X와 평행인 방향D1을 따라 할단한다. 판유리 할단장치(100A)의 할단에 의해, 판유리(G)로부터 판유리(Gs, Gt)가 제작된다.
그 후 판유리(Gs, Gt)가 반송방향X를 따라 판유리 할단장치(100B)로 반송되면, 판유리 할단장치(100B)는 판유리(Gs, Gt)를 방향D2를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Sy)을 따라 할단한다. 여기서 방향D2는 반송방향X와 직교하는 방향이며, 판유리 할단장치(100B)는 판유리(Gs, Gt)를 반송방향X와 직교하는 방향D2를 따라 단번에 할단한다. 판유리 할단장치(100B)의 할단에 의해 판유리(Gs)로부터 판유리(G1, G2)가 제작되며, 판유리(Gt)로부터 판유리(G3, G4)가 제작된다. 이와 같이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은 판유리(G)로부터 판유리(G1~G4)를 제작한다.
여기서, 위의 설명에서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은 먼저 판유리(G)의 반송방향X와 평행인 방향D1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한 후에 판유리(G)의 반송방향X와 직교하는 방향D2를 따라 판유리(G)를 할단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은 먼저 판유리(G)의 반송방향X와 직교하는 방향D2를 따라 판유리(G)를 할단한 후에 판유리(G)의 반송방향X와 평행인 방향D1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해도 된다.
또 전술한 설명에서는,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에서 판유리 할단장치(100)의 누름부재(20)로서 브러쉬 형상의 부재를 이용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누름부재로서 고무상 부재를 이용해도 된다.
그리고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에서 할단되기 전의 판유리(G) 단면은 비교적 거칠어진 상태인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은 판유리(G)를 할단한 후에 끝단면 부분을 적어도 일단 폐기하고, 필요에 따라 재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8~도10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을 설명한다. 도8에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은 판유리 할단장치(100A) 및 판유리 할단장치(100B)에 더불어 폐기 컨베이어(112, 114, 122, 124) 및 폐기구(113, 115, 123, 125)를 구비한다. 판유리 할단장치(100A) 및 판유리 할단장치(100B)는 각각 판유리(G)의 단부 부근을 할단하며, 판유리(G)의 단부는 폐기된다.
판유리 할단장치(100A) 및 판유리 할단장치(100B)는 절할부재 및 누름부재를 구비하며, 판유리(G)의 할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되나, 도7과 마찬가지로, 도8 역시 도면이 과도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절할부재 및 누름부재를 생략하여 나타낸다. 또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은, 도7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판유리 할단시스템(200)과는 달리, 판유리 할단장치(100A, 100B) 각각이 3개의 절할부재 및 6개의 누름부재를 가지며, 각 절할부재에 대하여 2개의 누름부재가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로써 판유리 할단장치(100A)는 3개의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판유리를 단번에 할단할 수 있고, 또 판유리 할단장치(100B)는 3개의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판유리를 단번에 할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누름부재로서 브러쉬 형상 부재를 이용해도 되며, 고무상 부재를 이용해도 된다.
판유리 반송장치(30A)는 벨트 컨베이어(30Aa, 30Ab, 30Ac, 30Ad)를 갖는다. 벨트 컨베이어(30Aa, 30Ab, 30Ac, 30Ad)는 각각 반송방향X를 따라 판유리를 반송할 수 있으며, 벨트 컨베이어(30Aa, 30Ab, 30Ac, 30Ad)는 방향D2를 따라 약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절할부재는 벨트 컨베이어(30Aa, 30Ab, 30Ac, 30Ad)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판유리 반송장치(30A)의 벨트 컨베이어(30Aa~30Ad)는, 도4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장치(100)의 판유리 반송장치(30)의 벨트 컨베이어(30a, 30b)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또 판유리 반송장치(30B)는 벨트 컨베이어(30Ba, 30Bb, 30Bc, 30Bd)를 갖는다. 벨트 컨베이어(30Ba, 30Bb, 30Bc, 30Bd)는 각각 반송방향X를 따라 판유리를 반송할 수 있으며, 벨트 컨베이어(30Ba, 30Bb, 30Bc, 30Bd)는 방향D1을 따라 약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절할부재는 벨트 컨베이어(30Ba, 30Bb, 30Bc, 30Bd)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판유리 반송장치(30B)의 벨트 컨베이어(30Ba~30Bd)는, 도3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장치(100)의 판유리 반송장치(30)의 벨트 컨베이어(30a, 30b)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예를 들어 벨트 컨베이어(30Aa~30Ad)는 서로의 간격을 변경시키도록 방향D2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판유리에 대응하여 스크라이브선의 위치가 달라져도 할단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벨트 컨베이어(30Ba~30Bd)는 서로의 간격을 변경시키도록 방향D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판유리에 대응하여 스크라이브선의 위치가 달라져도 할단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폐기 컨베이어(112, 114)는 판유리 반송장치(30A) 외측에 배치되며, 방향D1과 평행인 반송경로를 갖는다. 또 폐기 컨베이어(122, 124)는 판유리 반송장치(30B) 외측에 배치되며, 방향D2와 평행인 반송경로를 갖는다. 폐기구(113, 115, 123, 125)는 폐기 컨베이어(112, 114, 122, 124)의 반송경로 종단에 각각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은 이하와 같이 판유리(G)를 할단한다. 먼저 판유리 할단장치(100A)로 반송되는 판유리(G)에는, 방향D1을 따라 이어지는 복수의 스크라이브선(Sx1, Sx2, Sx3)이 형성됨과 동시에, 방향D2를 따라 이어지는 복수의 스크라이브선(Sy1, Sy2, Sy3)이 형성된다. 판유리(G)의 ?향D2와 평행인 단면(斷面)을 본 경우, 스크라이브선(Sx1, Sx3)은 단부 근방에 위치하며, 스크라이브선(Sx2)은 중앙에 위치한다. 또 판유리(G)의 ?향D1과 평행인 단면을 본 경우, 스크라이브선(Sy1, Sy3)은 단부 근방에 위치하며, 스크라이브선(Sy2)은 중앙에 위치한다.
판유리(G)가 판유리 할단장치(100A)로 반송되면, 판유리 할단장치(100A)는 판유리(G)를 방향D1을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Sx1, Sx2, Sx3)을 따라 단번에 할단한다. 판유리 할단장치(100A)의 할단에 의해, 판유리(G)로부터 판유리(Gs, Gt, Gu, Gv)가 제작된다.
판유리 할단장치(100A)는 판유리(G)를 할단 한 후 스크라이브선(Sx1~Sx3)의 일단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선(Sx1)을 따라 할단된 판유리(Gs, Gu) 중에서 단부측에 위치하는 판유리(Gu)를 벨트 컨베이어(30Aa)로부터 폐기 컨베이어(112)로 이동시킨다. 그 후 폐기 컨베이어(112)는 판유리(Gu)를 폐기구(113)까지 반송한다. 또 판유리 할단장치(100A)는 판유리(G)를 할단한 후 스크라이브선(Sx1~Sx3)의 타단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선(Sx3)을 따라 할단된 판유리(Gt, Gv) 중에서 단부측에 위치하는 판유리(Gv)를 벨트 컨베이어(30Ad)로부터 폐기 컨베이어(114)로 이동시킨다. 그 후, 폐기 컨베이어(114)는 판유리(Gv)를 폐기구(115)까지 반송한다.
판유리(Gs, Gt)가 판유리 할단장치(100B)로 반송되면, 판유리 할단장치(100B)는 판유리(Gs, Gt)를 방향D2를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Sy1, Sy2, Sy3)을 따라 단번에 할단한다. 판유리 할단장치(100B)의 할단에 의해, 판유리(Gs)로부터 판유리(G1, G2, G5, G6)가 제작되며, 판유리(Gt)로부터 판유리(G3, G4, G7, G8)가 제작된다.
판유리 할단장치(100B)는 판유리(Gs, Gt)를 할단 한 후 스크라이브선(Sy1~Sy3)의 일단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선(Sy1)을 따라 할단된 판유리(G1, G5, G3, G7) 중에서 단부측에 위치하는 판유리(G5, G7)를 벨트 컨베이어(30Ba)로부터 폐기 컨베이어(122)로 이동시킨다. 그 후 폐기 컨베이어(122)는 판유리(G5, G7)를 폐기구(123)까지 반송한다. 또 판유리 할단장치(100B)는 판유리(Gs, Gt)를 할단한 후 스크라이브선(Sy1~Sy3) 중에서 타단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선(Sy3)을 따라 할단된 판유리(G2, G6, G4, G8) 중에서 단부측에 위치하는 판유리(G6, G8)를 벨트 컨베이어(30Bd)로부터 폐기 컨베이어(124)로 이동시킨다. 그 후 폐기 컨베이어(124)는 판유리(G6, G8)를 폐기구(125)까지 반송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은 판유리(G)의 끝단면 부분을 폐기하여 판유리(G1~G4)를 제작한다.
여기서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도8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에 있어서 판유리 할단장치(100A)의 벨트 컨베이어(30Ac, 30Ad) 근방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9에 판유리 할단장치(100A)의 벨트 컨베이어(30Ac, 30Ad) 근방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9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장치(100A)에서 채널브러쉬(20a)는 흡인덕트(42)에 연결된 흡인노즐(44)에 장착된다. 채널브러쉬(20a)를 누를 때 및 판유리(G)를 할단할 때에 발생하는 유리 컬릿은 흡인노즐(44) 및 흡인덕트(42)를 통해 제거된다. 승강장치(22a)는 채널브러쉬(20a) 및 흡인노즐(44)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채널브러쉬(20a)는 누름부재로서 이용된다.
직선형으로 이어진 고무(20b)는 승강장치(22b)에 장착되며, 승강장치(22b)는 주행장치(5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고무(20b)는 누름부재로서 이용된다.
또 흡착패드(24)는 승강장치(22c)에 장착되며, 승강장치(22c)는 주행장치(5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고무(20b) 및 흡착패드(24)는 승강장치(22b, 22c) 및 주행장치(52)에 의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x3)에 의해 규정되는 2개의 영역 중 한쪽에 벨트 컨베이어(30Ac), 흡착정반(32c) 및 에어플로트판(36c)이 배치되며, 다른 쪽에 벨트 컨베이어(30Ad), 흡착정반(32d) 및 에어플로트판(36d)이 배치된다. 벨트 컨베이어(30Ac)는 흡착정반(32c) 주위를 회전한다. 흡착정반(32c)은 흡착용 덕트(34c)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벨트 컨베이어(30Ac, 30Ad)에 통기구멍을 형성해 둠으로써, 판유리(G)의 할단 시에 판유리(G)는 흡착정반(32c)에 의해 흡착되어 고정된다. 에어플로트판(36c)은 에어덕트(38c)에 연결되며, 판유리(G)에 공기를 분출한다. 예를 들어 판유리(G)의 반송 시에 에어플로트판(36c)는 판유리(G)에 공기를 분출한다. 에어플로트판(36c)는 벨트 컨베이어(30Ac) 근방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벨트 컨베이어(30Ad)는 흡착정반(32d) 주위를 회전한다. 흡착정반(32d)은 흡착용 덕트(34d)에 연결된다. 에어플로트판(36d)은 에어덕트(38d)에 연결되며, 판유리(G)에 공기를 분출한다. 에어플로트판(36d)은 벨트 컨베이어(30Ad) 근방에 배치된다.
폐기 컨베이어(114)는 벨트 컨베이어(30Ad)와 평행인 반송경로를 갖는다. 폐기 컨베이어(114) 상면의 높이는 벨트 컨베이어(30Ac, 30Ad)의 상면과 거의 동등하다.
판유리 할단장치(100A)가 판유리(G)를 할단하고 판유리(Gs, Gt, Gu, Gv)가 제작된(도8 참조) 후, 흡착패드(24)가 판유리(Gv)를 흡착한 상태에서 승강장치(22c)는 흡착패드(24)에 흡착되어 있는 판유리(Gv)를 조금만 상승시킨다. 그 후 흡착패드(24)에 의해 판유리(Gv)를 흡착시킨 채 주행장치(52)는 폐기 컨베이어(114) 상방까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판유리(Gv)는 폐기 컨베이어(114) 위에 실린다. 그 후 폐기 컨베이어(114)는 폐기구(115)(도8 참조)까지 판유리(Gv)를 반송한다.
다음은 도8 및 도10을 참조하여, 도8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에 있어서 판유리 할단장치(100B)의 벨트 컨베이어(30Bc, 30Bd) 근방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0에 판유리 할단장치(100B)의 벨트 컨베이어(30Bc, 30Bd) 근방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10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장치(100B)에서 채널브러쉬(20a)는 흡인덕트(42)에 연결된 흡인노즐(44)에 장착된다. 채널브러쉬(20a)를 누를 때 및 판유리(Gt)를 할단할 때에 발생하는 유리 컬릿은 흡인노즐(44) 및 흡인덕트(42)를 통해 제거된다. 승강장치(22a)는 채널브러쉬(20a) 및 흡인노즐(44)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채널브러쉬(20a)는 누름부재로서 이용된다.
직선형으로 이어진 고무(20b)는 승강장치(22b)에 장착되며, 승강장치(22b)는 주행장치(5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고무(20b)는 누름부재로서 이용된다.
또 흡착패드(24)는 승강장치(22c)에 장착되며, 승강장치(22c)는 주행장치(5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고무(20b) 및 흡착패드(24)는 승강장치(22b, 22c) 및 주행장치(52)에 의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판유리(Gt)의 스크라이브선(Sy3)에 의해 규정되는 2개의 영역 중 한쪽에 벨트 컨베이어(30Bc), 흡착정반(도시하지 않음) 및 에어플로트판(36c)이 배치되며, 다른 쪽에 벨트 컨베이어(30Bd), 흡착정반(도시하지 않음) 및 에어플로트판(36d)이 배치된다. 판유리(Gt)의 할단 시에 판유리(Gt)는 흡착정반에 의해 흡착되어 고정된다. 에어플로트판(36c)은 에어덕트(38c)에 연결되며, 판유리(Gt)에 공기를 분출한다. 예를 들어 판유리(Gt)의 반송 시에, 에어플로트판(36c)은 판유리(Gt)에 공기를 분출한다. 에어플로트판(36c)는 벨트 컨베이어(30Bd) 근방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에어플로트판(36d)은 에어덕트(38d)에 연결되며, 판유리(Gt)에 공기를 분출한다. 에어플로트판(36d)은 벨트 컨베이어(30Bd) 근방에 배치된다.
폐기 컨베이어(124)는 벨트 컨베이어(30Bd)와 직교하는 반송경로를 갖는다. 폐기 컨베이어(124)는 벨트 컨베이어(30Bc, 30Bd)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판유리 할단장치(100B)가 판유리(Gs, Gt)를 할단하여 판유리(G2, G4, G6, G8)가 제작된(도8 참조) 후, 흡착패드(24)가 판유리(G6, G8)를 흡착한 상태에서 승강장치(22c)는 흡착패드(24)에 흡착되어 있는 판유리(G6, G8)를 비교적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그 후 흡착패드(24)에 의해 판유리(G6, G8)를 흡착시킨 채 주행장치(52)는 폐기 컨베이어(124) 상방까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판유리(G6, G8)는 폐기 컨베이어(124) 위에 실린다. 그 후 폐기 컨베이어(124)는 폐기구(125)(도8 참조)까지 판유리(G6, G8)를 반송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또 도9 및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에 있어서 판유리 할단장치(100A, 100B)의 누름부재로서 채널브러쉬(20a) 및 고무(20b)의 어느 쪽을 이용해도 된다. 단, 누름부재(20)로서 고무(20b)를 이용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유리에 흠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므로, 고무(20b)는 폐기 예정의 판유리가 될 부분을 누르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8~도10을 참조한 위의 설명에서,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은 판유리(G)의 단부부분을 전부 폐기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유리(G) 단부부분의 일부만을 폐기해도 되며, 또 폐기 컨베이어(112, 114, 122, 124)는 판유리(G)의 폐기될 단부부분에 대응하여 필요한 곳에만 배치되면 된다.
또 도8~도10을 참조한 위의 설명에서, 판유리 할단장치(100A)가 스크라이브선(Sx1~Sx3)을 따라 판유리를 할단한 후에 판유리 할단장치(100B)가 스크라이브선(Sy1~Sy3)을 따라 판유리를 할단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판유리 할단장치(100A)가 스크라이브선(Sy1~Sy3)을 따라 판유리를 할단한 후에 판유리 할단장치(100B)가 스크라이브선(Sx1~Sx3)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해도 된다.
또한 도8~도10을 참조한 위의 설명에서, 판유리 할단장치(100A, 100B) 중 한쪽이 판유리(G)의 방향D1을 따라 이어진 복수의 스크라이브선 전부를 따라 할단하고, 판유리 할단장치(100A, 100B) 중 다른 쪽이 판유리(G)의 방향D2를 따라 이어진 복수의 스크라이브선 전부를 따라 할단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느 한쪽 판유리 할단장치가, 판유리(G)의 방향D1 및 방향D2 중 어느 한쪽 방향을 따라 이어진 복수의 스크라이브선의 일부를 따라 할단하고, 다른 쪽 판유리 할단장치가, 판유리(G)의 당해 방향을 따라 이어진 복수의 스크라이브선의 나머지를 따라 할단해도 된다.
여기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에서는, 판유리(G)에 대응하여 스크라이브선의 위치가 달라져도, 판유리 반송장치(30A, 30B)의 벨트 컨베이어(30Aa~30Ad, 30Ba~30Bd)의 이동으로써 할단부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반송방향X로 길이가 긴 판유리(G)를 스크라이브선(Sy1~Sy3)을 따라 할단할 경우, 벨트 컨베이어(30Ba~30Bd)의 간격이 너무 넓게 되면 판유리를 적절하게 반송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벨트 컨베이어(30Ba~30Bd) 사이의 간격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지 않게 조정한 상태에서, 판유리 할단장치(100B)가 판유리를 스크라이브선(Sy1~Sy3)의 일부를 따라 한 번 할단한 후 판유리 반송장치(30B)의 이동 등에 의해 판유리의 할단위치를 변경한 상태에서, 판유리 할단장치(100B)가 다시 판유리를 스크라이브선(Sy1~Sy3)의 나머지를 따라 할단하면, 스크라이브선(Sy1~Sy3) 전부를 따른 할단을 실시할 수 있다.
또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에서, 판유리(G)의 할단을 실시하는 판유리 할단장치(100A)로 판유리(G)가 반송되기 전에 판유리(G)에 스크라이브선(Sx, Sy)을 형성해도 된다.
이하에 도1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을 설명한다. 도11에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시스템(200) 모식도를 나타낸다.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은 판유리 할단장치(100A, 100B, 100C), 폐기 컨베이어(112, 114, 122, 124), 폐기구(113, 115, 123, 125) 및 스크라이브선 형성장치(130)를 구비한다. 스크라이브선 형성장치(130)는 판유리 할단장치(100A)가 판유리(G)를 할단하기 전에, 판유리(G)에, 방향D1을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Sx1~Sx3) 및 방향D2로 이어진 스크라이브선(Sy1~Sy3)을 형성한다.
스크라이브선 형성장치(130)는, 방향D1을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Sx1~Sx3)을 형성하는 커터부(132)와, 방향D2를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Sy1~Sy3)을 형성하는 커터부(134)를 갖는다. 커터부(13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3개의 커터(136)가 고정되어 지지되며, 커터부(134)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3개의 커터(136)가 고정되어 지지된다. 커터부(132)가 판유리(G)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크라이브선(Sx1~Sx3)이 동시에 형성되고, 또 커터부(134)가 판유리(G)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크라이브선(Sy1~Sy3)이 동시에 형성된다.
그 후 판유리(G)가 반송방향X를 따라 판유리 할단장치(100A)로 반송되면, 판유리 할단장치(100A)는 판유리(G)를 스크라이브선(Sx1~Sx3)을 따라 할단한다. 판유리 할단장치(100A)에 할단에 의해, 판유리(G)로부터 판유리(Gs, Gt, Gu, Gv)가 제작된다. 다음에 판유리 할단장치(100A)는 스크라이브선(Sx1)을 따라 할단된 판유리(Gs, Gu) 중에서 단부측에 위치하는 판유리(Gu)를 폐기 컨베이어(112)로 이동시키고, 스크라이브선(Sx3)을 따라 할단된 판유리(Gt, Gv) 중에서 단부측에 위치하는 판유리(Gv)를 폐기 컨베이어(114)로 이동시킨다. 그 후, 폐기 컨베이어(112)는 판유리(Gu)를 폐기구(113)까지 반송하며, 폐기 컨베이어(114)는 판유리(Gv)를 폐기구(115)까지 반송한다.
다음에 판유리(Gs, Gt)가 반송방향X를 따라 판유리 할단장치(100B)로 반송되면, 판유리 할단장치(100B)는, 판유리(Gs, Gt)를 방향D2를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Sy1~Sy3) 중 스크라이브선(Sy1, Sy2)을 따라 할단하는 한편, 스크라이브선(Sy3)을 따른 할단은 하지 않는다. 판유리 할단장치(100B)의 할단에 의해, 판유리(Gs)로부터 판유리(Gs', G1, G5)가 제작되며, 판유리(Gt)로부터 판유리(Gt', G3, G7)가 제작된다.
다음에, 판유리 할단장치(100B)는, 스크라이브선(Sy1)을 따라 할단된 판유리(G1, G3, G5, G7) 중에서 단부측에 위치하는 판유리(G5, G7)를 폐기 컨베이어(122)로 이동시킨다. 그 후 폐기 컨베이어(122)는 판유리(G5, G7)를 폐기구(123)까지 반송한다.
다음에, 판유리(Gs', Gt', G1, G3)가 판유리 할단장치(100C)로 반송되면, 판유리 할단장치(100C)는 판유리(Gs', Gt')를 스크라이브선(Sy3)을 따라 할단한다. 판유리 할단장치(100C)의 할단에 의해 판유리(Gs')로부터 판유리(G2, G6)가 제작되며, 판유리(Gt')로부터 판유리(G4, G8)가 제작된다. 그 후 판유리 할단장치(100C)는 스크라이브선(Sy4)을 따라 할단된 판유리(G2, G4, G6, G8) 중에서 단부측에 위치하는 판유리(G6, G8)를 폐기 컨베이어(124)로 이동시키며, 폐기 컨베이어(124)는 판유리(G6, G8)를 폐기구(125)까지 반송한다. 이와 같이 판유리 할단장치(100A~100C)에 의해 판유리(G)로부터 판유리(G1~G4)가 제작된다.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에서 스크라이브선(Sy1~Sy3)을 따른 할단은 판유리 할단장치(100B, 100C)로 실시하므로, 판유리(G)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판유리(G)의 할단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여기서 판유리 할단장치(100B)는 스크라이브선(Sy1~Sy3) 중에서, 반송방향X를 따라, 비교적 상류측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선(Sy1, Sy2)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하며, 판유리 할단장치(100C)는 스크라이브선(Sy1~Sy3) 중에서, 반송방향X를 따라, 가장 하류측에 위치하는 스크라이브선(Sy3)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한다.
또 도11에 나타낸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에서는 먼저 1개의 판유리 할단장치가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x1~Sx3)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하고 그 후 2개의 판유리 할단장치가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y1~Sy3)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2개의 판유리 할단장치가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y1~Sy3)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하고, 그 후 1개의 판유리 할단장치가 판유리(G)의 스크라이브선(Sx1~Sx3)을 따라 판유리(G)를 할단해도 된다. 또한 도6~도11을 참조한 위의 설명에서,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은, 할단에 의해 1개의 비교적 큰 판유리(G)로부터 판유리(G1~G4)를 제작했으나, 본 실시형태의 판유리 할단시스템(200)이 판유리(G)로부터 4보다 큰 수의 판유리를 제작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판유리 할단 시의 유리 컬릿으로 인한 판유리의 흠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이한 방향을 따른 판유리의 할단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더글라스를 할단함으로써 얻어진 판유리는 액정패널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플랫패널 디스플레이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10 : 절할(折割)부재 20 : 누름부재
100 : 판유리 할단장치

Claims (15)

  1. 제1 주면 및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된 제2 주면을 갖는 판유리 중의 상기 제1 주면에 힘을 부여하는 막대 형상의 절할(折割)부재와,
    상기 판유리의 상기 제2 주면을 누르는 누름부재를 구비하는 판유리 할단(割斷)장치로서,
    상기 누름부재는 브러쉬 형상을 갖는, 판유리 할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제2 주면의 법선방향에서 보아 상기 스크라이브선을 따른 장방형상을 갖는, 판유리 할단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판유리를 수직방향으로 누르는, 판유리 할단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복수의 털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털 각각의 지름은 0.05㎜ 이상 0.30㎜ 이하인, 판유리 할단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털 각각의 길이는 5.0㎜ 이상 20.0㎜ 이하인, 판유리 할단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판유리 할단장치를 복수 구비하는 판유리 할단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에는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판유리 할단장치는,
    반송방향을 따라 반송된 상기 판유리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할단하는 제1 판유리 할단장치와,
    상기 제1 판유리 할단장치에 의해 할단된 판유리가 상기 반송방향을 따라 반송된 후, 상기 판유리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할단하는 제2 판유리 할단장치를 포함하는, 판유리 할단시스템.
  8. 제1 주면 및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된 제2 주면을 갖는 판유리 중의 상기 제2 주면을 누르는 공정과,
    상기 판유리의 제1 주면에 막대 형상의 절할부재로 힘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판유리를 절할(折割)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판유리 할단방법으로서,
    상기 누르는 공정에서, 상기 판유리의 제2 주면은 브러쉬 형상의 누름부재로 눌리는, 판유리 할단방법.
  9. 마더글라스를 할단하여 판유리를 제작하는 판유리 제작방법으로서,
    제1 주면과, 스크라이브선이 형성된 제2 주면을 갖는 마더글라스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마더글라스의 상기 제2 주면을 누르는 공정과,
    상기 마더글라스의 상기 제1 주면에 막대 형상의 절할부재로 힘을 부여하여 상기 마더글라스를 할단함으로써 제작된 판유리를 뽑아내는 공정을 포함하는 판유리 제작 방법이며,
    상기 누르는 공정에서, 상기 판유리의 제2 주면은 브러쉬 형상의 누름부재로 눌리는, 판유리 제작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7016185A 2011-11-16 2012-11-09 판유리 할단장치, 판유리 할단방법, 판유리 제작방법 및 판유리 할단시스템 KR101968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51036 2011-11-16
JPJP-P-2011-251036 2011-11-16
PCT/JP2012/079155 WO2013073477A1 (ja) 2011-11-16 2012-11-09 板ガラス割断装置、板ガラス割断方法、板ガラス作製方法、および、板ガラス割断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993A KR20140093993A (ko) 2014-07-29
KR101968792B1 true KR101968792B1 (ko) 2019-04-12

Family

ID=4842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185A KR101968792B1 (ko) 2011-11-16 2012-11-09 판유리 할단장치, 판유리 할단방법, 판유리 제작방법 및 판유리 할단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76203A1 (ko)
JP (2) JP5983412B2 (ko)
KR (1) KR101968792B1 (ko)
CN (1) CN103946169B (ko)
TW (1) TWI573768B (ko)
WO (1) WO2013073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4835A1 (ja) * 2013-07-08 2015-01-1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脆性材料の板材の分断方法及び分断装置
JP6174459B2 (ja) * 2013-11-05 2017-08-02 株式会社ヒューブレイン 分割装置
CN104280922B (zh) * 2014-10-27 2017-05-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屏玻璃切割方法和装置
JP2016104683A (ja) * 2014-11-19 2016-06-09 坂東機工株式会社 ガラス板の折割方法及びその折割装置
ITUB20152791A1 (it) * 2015-08-03 2017-02-03 Bottero Spa Macchina da taglio per il taglio di una lastra di vetro
US10166026B2 (en) 2015-08-26 2019-01-01 Ethicon Llc Staple cartridge assembly including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staples when being ejected therefrom
JP6544179B2 (ja) * 2015-09-25 2019-07-17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脆性基板の分断方法
CN107564994A (zh) * 2016-07-01 2018-01-09 新日光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裂片装置及其裂片方法
CN106057979B (zh) * 2016-07-29 2017-09-05 无锡嘉瑞光伏有限公司 一种用于太阳能电池片的裂片装置
JP6753601B2 (ja) * 2016-07-29 2020-09-09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ガラス基板分割装置
KR101826233B1 (ko) * 2016-08-05 2018-02-06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글래스기판 논스톱 분단장치
JP6838373B2 (ja) * 2016-12-02 2021-03-0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板ガラスの折割装置
JP6842689B2 (ja) * 2016-12-05 2021-03-17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およびスクライブシステム
KR102459115B1 (ko) * 2017-01-27 2022-10-26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시트 분리 방법 및 장치
JP6748920B2 (ja) * 2017-03-13 2020-09-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891561B2 (ja) * 2017-03-16 2021-06-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792824B2 (ja) * 2017-03-16 2020-12-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板ガラスの折割装置
CN106977089B (zh) * 2017-05-05 2019-11-08 东旭科技集团有限公司 玻璃压断装置、玻璃压断方法和玻璃切割系统
FR3066488B1 (fr) * 2017-05-19 2022-03-04 Saint Gobain Procede de rompage d'une feuille de verre
FR3066487B1 (fr) * 2017-05-19 2021-12-10 Saint Gobain Procede de rompage d'une feuille de verre
CN108356998B (zh) * 2018-02-05 2024-05-14 上海升研智能科技有限公司 陶瓷管坯的同步切割装置及方法
KR20190134004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기판 브레이킹 장치
TWI664134B (zh) * 2018-08-07 2019-07-0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輸送設備及使用其之輸送方式
JP2020066539A (ja) * 2018-10-22 2020-04-30 坂東機工株式会社 ガラス板の折割機械
JP7216339B2 (ja) * 2019-07-03 2023-02-0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割断装置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DE102019129036A1 (de) * 2019-10-28 2021-04-29 Schot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asscheiben und verfahrensgemäß hergestellte Glasscheibe sowie deren Verwendung
CN112296531A (zh) * 2020-01-15 2021-02-02 武汉帝尔激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划片裂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8381A1 (en) * 2003-11-06 2007-07-12 Peter Lisec Method and device for breaking scored glass sheets
KR100817129B1 (ko) * 2002-02-07 2008-03-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패널의 절단 장치 및 그 방법
JP2010271347A (ja) * 2009-05-19 2010-12-0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2853A (en) * 1967-09-06 1970-02-03 Bliss Co Method and apparatus for shearing rolled metal blanks
US3520457A (en) * 1968-10-07 1970-07-14 Ford Motor Co Method of separating pieces of edge trim remaining after the cutting of a glass bracket
US3865294A (en) * 1972-04-10 1975-02-11 Ppg Industries Inc Subsurface cracks
US4285451A (en) * 1979-12-10 1981-08-25 Ppg Industrie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vering edges of a glass sheet
JPS57175741A (en) * 1981-04-24 1982-10-28 Hitachi Ltd Cutting of glass
JPS5930727A (ja) * 1982-08-09 1984-02-18 Tokai Rika Co Ltd ガラスの切断方法および装置
JPS62153828A (ja) * 1985-12-27 1987-07-08 Asahi Glass Co Ltd 液晶素子の配向処理方法
JPH0216000A (ja) * 1988-07-01 1990-01-19 Fujitsu Ltd 組立定尺プリント基板の切断装置
AT399865B (de) * 1990-05-15 1995-08-25 Lisec Pet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rechen von glasscheiben
JP2890137B2 (ja) * 1990-07-05 1999-05-10 坂東機工株式会社 ガラス板の折割装置
JPH0585764A (ja) * 1991-09-26 1993-04-06 Asahi Glass Co Ltd 板硝子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FR2693804B1 (fr) * 1992-07-17 1994-09-02 Souriau & Cie Procédé et dispositif de clivage d'une fibre optique.
JP2904089B2 (ja) * 1995-01-30 1999-06-14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切断装置
JPH08253336A (ja) * 1995-03-15 1996-10-01 Central Glass Co Ltd 薄板ガラスの折割方法およびその装置
IL124199A (en) * 1998-04-23 2001-03-19 Sela Semiconductor Enginering Apparatus for cleaving crystals
JP3956500B2 (ja) * 1998-09-11 2007-08-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器
DE19930639B4 (de) * 1999-07-02 2005-01-2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Zertrennen eines plattenförmigen Gegenstands
JP3471664B2 (ja) * 1999-07-08 2003-12-02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セル用貼り合わせ基板の分断装置
WO2002057192A1 (fr) * 2001-01-17 2002-07-25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Separateur et systeme de separation
TW515781B (en) * 2001-07-27 2003-01-01 Hannstar Display Corp Method for dividing fragile material and laminated glass
JP3739333B2 (ja) * 2002-04-16 2006-01-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板ガラスの割断システム
WO2004007830A1 (ja) * 2002-07-11 2004-01-22 Shima Seiki Mfg., Ltd. 裁断テーブルのブラシ取り付け構造
KR101164491B1 (ko) * 2003-04-28 2012-07-18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취성기판 절단 시스템 및 취성기판 절단방법
JP4131853B2 (ja) * 2003-04-28 2008-08-13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628276B1 (ko) * 2004-11-05 2006-09-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스크라이브 장비 및 이를 구비한 기판의 절단장치 및이것을 이용한 기판의 절단방법
JP2006231144A (ja) * 2005-02-23 2006-09-07 Toray Monofilament Co Ltd 液晶画面洗浄用ブラシ毛材および液晶画面洗浄用ブラシ
US20060261118A1 (en) * 2005-05-17 2006-11-23 Cox Judy K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pane of brittle material from a moving ribbon of the material
DE102005024497B4 (de) * 2005-05-27 2008-06-19 Schott Ag Verfahren zum mechanischen Brechen von geritzten flachen Werkstücken aus sprödbrüchigem Material
EP1886782A1 (en) * 2005-05-30 2008-02-13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utting off substrate of fragile material
JP4892916B2 (ja) 2005-10-04 2012-03-07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薄板ガラスの折割装置および折割方法
DE102006015142B4 (de) * 2006-03-31 2014-02-20 Asys Automatisierungssysteme Gmbh Vorrichtung zum Brechen von Halbleiterscheiben
DE102006025912A1 (de) * 2006-06-02 2007-12-0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Glasscheib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Glasscheibe
DE102007001133B4 (de) * 2007-01-05 2008-09-04 Mdi Schott Advanced Processin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rechen von Dünnglasscheiben
KR100937965B1 (ko) * 2008-07-16 2010-01-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절단 장치
CN101734848A (zh) * 2009-12-17 2010-06-16 金坛康达克光电科技有限公司 手动多刀镜片切割机
JP2011144093A (ja) * 2010-01-18 2011-07-2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状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3170661U (ja) * 2011-07-14 2011-09-22 株式会社シライテック ガラス基板の加工装置
US20140144965A1 (en) * 2012-11-29 2014-05-29 James William Brown Method to manipulate brittle material sheet compound sha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129B1 (ko) * 2002-02-07 2008-03-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패널의 절단 장치 및 그 방법
US20070158381A1 (en) * 2003-11-06 2007-07-12 Peter Lisec Method and device for breaking scored glass sheets
JP2010271347A (ja) * 2009-05-19 2010-12-0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46169A (zh) 2014-07-23
KR20140093993A (ko) 2014-07-29
JPWO2013073477A1 (ja) 2015-04-02
JP2016216351A (ja) 2016-12-22
TW201332916A (zh) 2013-08-16
TWI573768B (zh) 2017-03-11
JP6300187B2 (ja) 2018-03-28
WO2013073477A1 (ja) 2013-05-23
JP5983412B2 (ja) 2016-08-31
US20150076203A1 (en) 2015-03-19
CN103946169B (zh)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792B1 (ko) 판유리 할단장치, 판유리 할단방법, 판유리 제작방법 및 판유리 할단시스템
JP4739024B2 (ja) 基板加工方法、基板加工装置および基板搬送機構、基板分離装置
EP1731261B1 (en) Vertical working line for plate material
KR101152221B1 (ko) 보호시트 분리방법 및 보호시트 분리장치
CN110248903B (zh) 板状玻璃的制造方法及板状玻璃的折断装置
CN110023255B (zh) 玻璃板的制造方法及玻璃板的折断装置
KR102422164B1 (ko) 반송체, 반송 장치 및 스크라이브 시스템
JP6364789B2 (ja) スクライブ装置
JP3611563B2 (ja) 板材の縦型加工ライン
US2020005509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eb
CN102557419B (zh) 贴合基板的分断方法
US1209134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 glass substrate
CN107151091B (zh) 划片设备
US11459271B2 (en) Method for producing glass plate
JP7492680B2 (ja) ガラス板の折割装置およ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CN117500764A (zh) 板玻璃的制造方法、板玻璃的制造装置以及板玻璃
JP2013184885A (ja) カッターホイールの異物除去方法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JP2005247599A (ja) 板ガラス切断方法および板ガラス切断装置
KR20100055771A (ko) 기판 이송 장치 및 기판 이송 방법
KR20100059208A (ko)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