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115B1 - 유리 시트 분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시트 분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115B1
KR102459115B1 KR1020197024600A KR20197024600A KR102459115B1 KR 102459115 B1 KR102459115 B1 KR 102459115B1 KR 1020197024600 A KR1020197024600 A KR 1020197024600A KR 20197024600 A KR20197024600 A KR 20197024600A KR 102459115 B1 KR102459115 B1 KR 102459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glass sheet
bar
cushion material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068A (ko
Inventor
앤드류 피터 키틀슨
가우탐 나렌드라 쿠드바
에릭 리 밀러
캘빈 제이 와인더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C03B35/20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by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된다. 장치 및 방법은 벤트 라인에 인접한 유리 시트 상에 힘을 인가하여 벤트 라인에서 유리를 2개의 단편으로 파단하는, 쿠션을 갖는 벤트 바아를 이용한다. 유리 시트의 에지는 유리 시트가 디스플레이의 도광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후속 연삭 및/또는 연마 없이 우수한 직각도를 갖는다.

Description

유리 시트 분리 방법 및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1월 2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51,374호의 35 U.S.C. § 119에 따른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체가 참고로 여기에 포함된다.
얇은 유리 시트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태양 전지 같은 많은 광학, 전자 또는 광전자 디바이스에서 반도체 디바이스 기판, 컬러 필터 기판, 이동 전화 및 태블릿 같은 전자 디바이스용 커버 시트 등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수 마이크로미터 내지 수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는 얇은 유리 시트는 플로트(float) 프로세스, 융합 하향 인발 프로세스(미국 뉴욕주 코닝 소재의 Corning Incorporated가 개척한 방법), 슬롯 하향 인발 프로세스 등 같은 다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얇은 유리 시트의 특정 예에서, 도광판(LGP)은 에지-릿(edge-lit) LCD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에 사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걸쳐 광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산뜻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사이드 릿(side lit) 백라이트 유닛은 일반적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고 투과성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LGP를 포함한다. 더 얇은 디스플레이를 향한 경향은 폴리머 도광판(LGP) 사용과 관련된 어려움으로 인해 제한되어왔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는 광 투과율과 같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지만, 이들 재료는 강성도, 열 팽창 계수(CTE) 및 습기 흡수율과 같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특히, 폴리머 LGP는 울트라 슬림 디스플레이에 요구되는 치수 안정성이 부족하다. 폴리머 LGP가 열과 습기에 노출되면 LGP는 뒤틀리고 팽창하여 광학 기계적 성능을 저하시킨다. 폴리머 LGP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설계자는 이 움직임을 보상하기 위해 공극을 갖는 더 넓은 베젤 및 더 두꺼운 백라이트를 추가해야 한다.
유리 시트는 디스플레이용 LGP 대체 솔루션으로 제안되어왔지만 유리 시트는 투과, 산란 및 광 커플링 측면에서 충분한 광학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속성을 가져야 한다. 도광판용 유리 시트는 직각도, 직선도 및 평탄도와 같은 에지 사양을 충족해야 한다. 유리 시트는 기계적 스코어링(scoring)에 의해 LGP를 형성하는 크기로 절단되며, 이는 유리 표면에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만입 라인인 "벤트(vent)"를 형성한다. 벤트는 벤트 라인에서 유리에 기계적 힘을 가함으로써 2개의 분리된 단편으로의 유리 시트의 제어된 균열 전파를 위한 분리 라인으로서 기능한다. 두께가 0.5㎜과 2.5㎜의 범위인 디스플레이에 사용하기 위해 최대 178㎝ 대각선까지의 유리 LGP가 현재 이용 가능하다. 유리 시트 에지의 직각도는 파단 이후 유리 시트의 길이에 따라 +/-8도만큼 변할 수 있는 속성이며, 이는 길이의 일 단부에서 길이의 다른 단부까지 유리 시트의 주 표면에 대해 90도 각도를 갖는 에지 대신, 유리 시트의 에지와 주 표면 사이의 각도가 82도 내지 98도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각도는 에지 연삭 및 연마 프로세스에 의해 개선될 수 있지만, 이러한 프로세스는 추가적인 노동, 시간 및 가공 장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개선된 에지 직각도를 갖는 얇은 유리 시트를 분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는 0.5 내지 2.5㎜의 범위의 두께를 그 사이에 형성하는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을 갖고, 제2 주 표면 상의 유리 시트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벤트 라인을 갖는 유리 시트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는 유리 시트가 지지점 상에 배치될 때 유리 시트를 제1 주 표면 상에서 그리고 유리 시트의 길이를 따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점(fulcrum); 그 사이에 벤트 바아 길이를 형성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벤트 바아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벤트 바아로서, 벤트 바아 접촉 표면은 벤트 라인의 제1 측면 상의 벤트 라인으로부터 이격된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서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라 힘을 인가하여 유리 시트를 벤트 라인을 따라 2개의 단편으로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며, 벤트 바아는 유리 시트가 벤트 라인을 따라 2개의 단편으로 분리될 때 벤트 바아 접촉 표면에 인접한 벤트 바아 길이를 따라 벤트 바아 쿠션을 포함하는, 벤트 바아; 및 벤트 바아 접촉 표면이 유리 시트와 접촉할 때 상쇄력을 인가하기 위해 벤트 라인의 제1 측면에 대향하는 벤트 라인의 제2 측면 상에서 유리 시트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클램프 바아 쿠션 및 클램프 바아 길이를 포함하는 세장형 클램프 바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는 0.5 내지 2.5㎜의 범위의 두께를 그 사이에 형성하는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을 갖고, 제2 주 표면 상의 유리 시트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벤트 라인을 갖는 유리 시트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는 제1 주 표면 상에 유리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점; 벤트 바아 길이를 그 사이에 형성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지지점의 제1 측면 상에 위치되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벤트 바아로서, 벤트 바아는 벤트 바아가 유리 시트를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힘을 인가하여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할 때 벤트 바아가 굴곡되도록 하는 강성도를 가지는, 벤트 바아; 및 지지점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되고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클램프 바아로서, 벤트 바아는 벤트 바아 쿠션을 가지며 클램프 바아는 클램프 바아 쿠션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는 유리 시트를 파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법은 유리 시트를 지지점 상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유리 시트는 사이에 0.5 내지 2.5㎜ 범위의 두께를 형성하는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을 가지며, 제2 주 표면 상의 유리 시트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벤트 라인을 갖는, 단계; 벤트 라인에서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하기 위해 그 사이의 벤트 바아 길이를 형성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벤트 바아 접촉 표면으로, 지지점의 제1 측면 상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힘을 인가하는 단계; 및 지지점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된 클램프 바아 접촉 표면으로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힘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벤트 바아 접촉 표면은, 벤트 바아가 제2 주 표면에 대해 가압되어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시킬 때, 쿠션 재료가 벤트 바아 상에 쿠션 재료가 존재하지 않을 때의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 변동에 비교하여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 변동을 감소시키는 거리로 압축되도록 하는 경도 및 두께를 갖는 벤트 바아 쿠션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는 유리 시트를 파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법은 유리 시트를 지지점 상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유리 시트는 사이에 0.5 내지 2.5㎜ 범위의 두께를 형성하는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을 가지며, 제2 주 표면 상의 유리 시트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벤트 라인을 갖는, 단계;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하기 위해 지지점의 제1 측면 상에 위치된 벤트 바아 접촉 표면으로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힘을 인가하는 단계로서, 벤트 바아는 그 사이에 벤트 바아 길이를 형성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단계; 및 벤트 바아가 제2 주 표면에 대해 가압되어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할 때 벤트 바아의 제1 단부에 인접한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의 힘이 벤트 바아의 제2 단부에 인접한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의 힘과 상이하여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힘 변동을 초래하도록 벤트 바아가 굴곡되게 하도록 지지점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된 클램프 바아 접촉 표면으로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힘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방법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힘 변동이 벤트 바아 접촉 표면 상에 쿠션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프로세스에 비해 감소하도록 하는 거리로 쿠션 재료가 압축하도록 하는 경도 및 두께를 갖는 쿠션 재료로 벤트 바아 접촉 표면을 완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아래에 설명되는 여러 양태를 도시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시트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장치의 단부도이며, 도 2a는 쿠션이 없는 벤트 바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시트 분리 장치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벤트 바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벤트 바아 또는 클램프 바아에 쿠션이 없는 벤트 바아 및 클램프 바아로부터 힘을 받는 유리 시트 상의 응력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벤트 바아 또는 클램프 바아에 쿠션이 없는 벤트 바아 및 클램프 바아로부터의 힘을 받는 유리 시트 상의 응력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모델링 시나리오에 대한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9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벤트 바아 굴곡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광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유리 LGP의 2개의 인접한 에지에서의 광의 내부 전반사를 도시한다.
이제, 그 예가 첨부된 예와 도면에 예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언급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도면에 도시된 여러 도면을 통해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을 표시한다. 또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상단", "하단", "외향", "내향" 등 같은 용어는 편의상의 단어이며, 제한적인 용어로 해석되어서는 안됨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그룹이 요소 그룹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때마다, 그룹은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의 조합으로, 임의의 수의 열거된 이들 요소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사하게, 그룹이 요소 그룹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때마다, 그룹은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의 조합으로, 임의의 수의 열거된 이들 요소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범위의 값은 언급될 때 범위의 상부 및 하부 한계와 그 사이의 임의의 범위를 모두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될 때, 부정관사 및 대응하는 정관사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특징은 임의의 및 모든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리 시트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유리 시트는 에지를 연삭 또는 연마하지 않고, 분리된 상태의 유리 시트의 에지 전체 길이를 따라 90° +/- 3°, 90° +/- 2.5°, 90° +/- 2°, 90° +/- 1.5°, 90° +/- 1°, 90° +/- 0.9°, 90° +/- 0.8°, 90° +/- 0.7°, 90° +/- 0.7°, 90° +/- 0.6°, 90° +/- 0.5°, 90° +/- 0.9°, 90° +/- 0.3°, 또는 90° +/- 0.2°의 유리 시트의 주 표면에 관한 분리 이후의 우수한 에지의 직각도("에지 직각도")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유리 시트의 에지를 연삭 또는 연마하지 않고, 분리된 상태의 유리 시트의 에지 전체 길이를 따른 90° +/- 3°, 90° +/- 2.5°, 90° +/- 2°, 90° +/- 1.5°, 90° +/- 1°, 90° +/- 0.9°, 90° +/- 0.8°, 90° +/- 0.7°, 90° +/- 0.7°, 90° +/- 0.6°, 90° +/- 0.5°, 90° +/- 0.9°, 90° +/- 0.3°, 또는 90° +/- 0.2°의 이러한 우수한 직각도는 벤트 라인을 따라 발생하는 분리의 에지에서 0.5m, 0.6m, 0.7m, 0.8m, 0.9m, 1m, 1.5m, 2m, 2.1m, 2.3m, 2.4m 및 2.5m의 길이에 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방법 및 장치는 유리 시트를 파단하여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2도의 절대값보다 작은 또는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0.5도의 절대값보다 작은 직각도 변동을 갖는 직각 에지를 초래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PMMA로 제조된 도광판과 유사하거나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가지며 PMMA 도광판에 비해 강성도, 열 팽창 계수(CTE) 및 높은 습기 조건에서의 치수 안정성과 같은 훨씬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도광판이 제공된다. 본원에 사용될 때, "분리하는" 및 "분리"는 유리 시트를 벤트 라인을 따라 2개의 단편으로 파단하는 것을 지칭한다.
유리 분리 프로세스의 시험 및 모델링은 에지 직각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요인을 보상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개선된 에지 직각도가 달성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에지 직각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한 가지 요인은 분리 동안 유리 시트와 접촉하는 장치의 오정렬이다. 오정렬은 유리의 주 표면에 대해 분리 중에 유리 시트에 접촉하는 요소(예를 들어, 벤트 바아, 클램프 바아, 지지점)의 상대적 위치를 야기할 수 있는 여러 문제 중 하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벤트 바아는 벤트 라인을 따른 유리 시트의 분리를 초래하는 벤트 라인에서 유리에 기계적 힘을 인가하는 요소이다. 시험과 모델링은 벤트 바아의 약간의 오정렬조차도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라 비균등 응력 분포를 초래하고 에지 직각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나타낸다. 오정렬은 유리를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의 공차 한계,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벤트 바아와 같이 분리 중에 유리 시트에 접촉하는 장치의 부분의 평탄도 변동의 결과일 수 있다. 이러한 공차 한계는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분리 요소(예를 들어, 클램프 바아 또는 지지점)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에지 직각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두 번째 요인은 벤트 바아에 의한 힘의 비균등 분포 및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른 비균등 응력 분포를 초래하는, 벤트 바아와 같은 분리 요소의 굴곡이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도를 지니고 있는 벤트 바아(또는 클램프 바아 또는 지지점)는 분리 프로세스 중에 더 많이 굴곡될 것이며, 이는 유리 시트의 길이를 따른 유리 상의 힘의 비균등 분포 및 분리 중의 벤트 라인을 따른 비균등 응력 분포를 초래한다. 벤트 바아의 강성도 및/또는 높이를 증가시키면 굴곡이 감소하고, 분리 동안 유리 시트의 힘 변동이 감소하고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른 응력 변동성이 감소한다. 분리 요소의 불충분한 강성도로 인한 굴곡은 지지점 및/또는 클램프 바아에 유사하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세 번째 요인은 분리 프로세스 동안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의 비균등 분포이며, 이는 유리 시트의 표면에 고유한 변동성이다. 이 요인은 유리 형상 오차라고 할 수 있다. 분리 프로세스 동안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의 비균등 분포 및 분리 동안의 유리 시트 상의 힘의 비균등 분포를 초래할 수 있는 네 번째 요인은 분리 동안의 오염, 예를 들어, 분리 요소(예를 들어, 벤트 바아, 클램프 바아 및 지지점)와 유리 시트 사이의 미립자이다. 예를 들어, 분리 요소와 유리 시트 사이에 먼지 입자 또는 유리 조각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벤트 라인의 길이에 따른 비균등 응력 분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들 요인 중 하나 이상의 효과, 즉 비균등 힘 분포 및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른 응력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다루어진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동안 유리 시트와 접촉하는 벤트 바아 또는 다른 분리 요소(예를 들어, 클램프 바아 또는 지지점)의 강성도 증가는 더 적은 강성도의 분리 요소를 사용하는 장치 또는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른 더 균일한 응력을 초래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분리 요소(예를 들어, 벤트 바아 및 클램프 바아)의 계면에서 완충 작용의 형태로 순응성을 제공하는 것은 기계 오정렬, 분리 요소의 굴곡 및/또는 오염을 보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요소와 유리 시트의 계면에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순응성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 클램프 및 굴곡 지지점을 포함하는 분리 요소의 상대 위치는 벤트 라인을 따라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동안 벤트 라인을 따라 더욱 균일한 응력 분포를 초래하고, 이는 차례로 유리 시트의 에지 직각도를 개선시킨다.
이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유리 시트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장치(100)는 그 사이에 두께 "t"를 형성하는 제1 주 표면(12) 및 제2 주 표면(14) 및 유리 시트 제1 단부(21)와 유리 시트 제2 단부(23)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2 주 표면(14) 상에서 유리 시트(10)의 길이 "L"을 따라 연장되는 벤트 라인(16)을 갖는다. 따라서, 벤트 라인(16)의 길이(L)는 유리 시트 제1 단부(21)와 유리 시트 제2 단부(23) 사이에서 적어도 약 0.5m, 0.6m, 0.7m, 0.8m, 0.9m, 1m, 1.5m, 2m, 2.1m, 2.3,m, 2.4m, 또는 2.5m이다(벤트 라인의 폭은 단지 예시를 위해 과장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 시트의 두께(t)는 약 0.3㎜ 내지 3㎜의 범위, 예를 들어, 약 0.5㎜ 내지 2.5㎜의 범위이고, 특히, 약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또는 2㎜의 두께(t)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유리 시트는 추가로 후술되는 도광판을 제공하도록 처리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라인은 유리 시트의 두께의 약 1% 내지 15%의 범위, 예를 들어, 유리 시트의 두께의 약 2% 내지 12%의 범위, 예를 들어, 유리 시트의 두께의 약 3% 내지 10%의 범위, 예를 들어, 유리 시트의 두께의 약 4% 내지 8%의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시트의 두께의 약 4% 내지 6%의 범위, 특정 실시예에서는 유리 시트의 두께의 약 5%인 깊이를 갖는다.
장치(100)는 제1 주 표면(12) 상에 유리 시트(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점(102)을 포함한다. 지지점은 약 0.1㎝ 내지 5㎝ 범위의 폭을 갖는 세장형 지지 바아 또는 지지점(102)을 지나 연장되는 파단부(17)를 갖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리 시트(10)의 제1 주 표면(12)의 표면적의 상당한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테이블(90)의 형태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표면의 "상당한 부분"은 제1 표면의 표면적의 50% 초과, 60% 초과, 70% 초과, 80% 초과 또는 90% 초과를 지칭한다. 유리 시트(10)는 유리 시트 제1 단부(21)와 유리 시트 제2 단부(23) 사이에서 벤트 라인(16)이 그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L)를 갖는다. 장치(100)는 그 사이에 벤트 바아 길이를 한정하는 제1 단부(106) 및 제2 단부(108)를 지니고 지지점(102)의 제1 측면(103) 상에 위치되어 유리 시트(10)의 제2 주 표면(14) 상에 힘(화살표(110)로 표시됨)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벤트 바아(104)를 더 포함한다. 특히, 도 2a를 참조하면, 본 기술 분야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리 시트를 벤트 라인(16)을 따라 2개의 단편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유리 시트(10)의 제2 주 표면(14)과 접촉하면서 벤트 바아(104)에 힘이 인가되어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104)에 힘을 인가하면, 벤트 바아(104)와 접촉하는 유리 시트(10)의 부분은 벤트 바아(104)에 의해 인가되는 힘의 방향으로 "편향 거리(151)"라 지칭되는 거리만큼 변위된다. 편향 거리(151)는 벤트 바아(104)가 유리 시트(10)의 제2 주 표면(14)과 처음 접촉했을 때의 초기 위치로부터 벤트 라인(16)에서 목표 응력이 달성되어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시키는 최종 위치까지의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12)의 이동 범위이다. 유리 시트(10)의 제1 주 표면(12)의 편향 거리(151)를 형성하는 이동 범위는 유리 시트(10)의 제1 주 표면(12) 상의 벤트 바아(104)의 벤트 바아 접촉 표면(113) 아래에서 결정된다. 목표 응력은 벤트 라인(16)을 따라 균열을 개시 및 전파시켜 유리 시트(10)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시키는 벤트 라인에서의 응력 값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분리될 유리 시트를 보유하는 테이블(90)의 단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장치의 오정렬 및/또는 벤트 바아의 굴곡을 도시한다. 도 2b는 사이에 벤트 바아의 길이를 형성하는 제1 단부(206) 및 제2 단부(208)를 가지는 벤트 바아(204)를 도시한다. 유리 시트(10)(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는 지지점(102)을 넘어서 연장되는 파단부(17)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204)는 유리 시트의 길이 "L"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바아(104)가 바아에 가해지는 힘(화살표 110으로 표시된 힘)을 가지고,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14)에 힘이 가해질 때, 장치의 오정렬 및/또는 벤트 바아의 굴곡은 벤트 바아(204)가 제1 단부(206)와 제2 단부(208) 사이의 벤트 바아(204)의 길이를 따라 오정렬되게 할 수 있고, 이는 벤트 바아의 길이를 따라 비균일성(111)(화살표로 표시됨)을 초래할 수 있다. 동일한 원리가 클램프 바아 및/또는 지지점에 적용될 수 있다. 비균일성(111)은 벤트 바아의 일 부분 또는 단부, 예를 들어, 벤트 바아 제1 단부(206)/유리 시트 제1 단부(21) 및 벤트 바아의 다른 부분 또는 단부, 예를 들어, 벤트 바아 제2 단부(208)/유리 시트 제2 단부(23)에서 유리 시트의 제2 표면과 벤트 바아 사이의 간격의 차이를 지칭한다.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리 시트 제1 단부(21) 및 유리 시트 제2 단부(23)에서 벤트 바아와 제2 주 표면(14) 사이의 간격의 차이로부터 기인하는 이러한 불균일성(111)은 유리 시트 제1 단부(21)와 유리 시트 제2 단부(23) 사이의 유리 시트의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의 비균등 분포를 초래한다. 벤트 라인의 길이에 따른 이러한 응력의 비균등 분포는 유리 시트가 파단될 때 벤트 라인(16)에 형성된 에지의 직각도의 변동을 초래할 것이다. 직각도의 변동은 유리 시트 제1 단부(21)와 유리 시트 제2 단부(23) 사이에서 존재할 것이다. 도 2b는 비균일성(111)이 벤트 바아(204)의 제1 단부(206) 상에서 가장 큰 경우를 도시하지만, 이 경우는 유리 시트가 2개의 단편으로 파단되는 분리 프로세스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변동성의 단지 하나의 예를 도시할 뿐인 것으로 이해된다. 비균일성(111)은 다른 단부와 비교하여 벤트 바아의 어느 한 단부에서 더 클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균일성(111)은, 예를 들어, 벤트 바아(204)가 불충분한 강성도로 인해 중간에서 상향 굴곡된 경우에 벤트 바아의 단부에서보다 벤트 바아의 제1 단부(206)와 제2 단부(208) 사이에서 더 클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벤트 바아는 유리 시트가 벤트 라인을 따라 2개의 단편으로 분리될 때, 벤트 바아의 굴곡 및 유리 시트의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른 응력 변동을 최소화하기에 충분한 강성도를 가지며, 이는 비균일성(111)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는 분리 동안 벤트 라인을 따라 응력에 변동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도록, 벤트 바아의 굴곡을 실질적으로 제거하고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른 응력 변동을 최소화하기에 충분한 강성도를 가지며, 유리 시트는 벤트 라인을 따라 2개의 단편으로 분리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응력 변동 최소화"는 25% 미만의 응력 변동, 20% 미만의 응력 변동, 15% 미만의 응력 변동, 10% 미만의 응력 변동 또는 5% 미만 응력 변동의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른 응력 변동을 지칭한다.
직각도는 분리 이후의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12)과 유리 시트의 에지 사이의 각도를 말한다. 벤트 바아(204)에 의해 인가되는 힘이 벤트 바아의 제1 단부(206)와 제2 단부(208) 사이에서 균일하여 유리 시트 제1 단부(21)로부터 유리 시트 제2 단부(23)까지 균일한 힘 분포를 초래할 때, 벤트 라인에서 유리 시트(10)를 파단한 이후, 에지와 제1 주 표면 사이의 각도는 변동이 매우 적거나 없을 것이며, 예를 들어, 90° +/- 2 °, 90° +/- 1 °, 또는 90° +/- 0.5 ° 이하이다. 그러나,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모델링 데이터는 벤트 바아(204)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14) 사이에 쿠션이 없을 때, 유리 시트 제1 단부(21)와 유리 시트 제2 단부(23) 사이의 길이(L)를 따라 더 큰 직각도 변동이 존재하고, 일부 경우에는 유리 시트의 길이를 따라 90° +/-8°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도 2a,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장치(100)는 지지점(102)의 제2 측면(105) 상에 위치되고 유리 시트(10)의 제2 주 표면(14) 상에 힘(화살표(130)로 표시됨)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클램프 바아(120)를 더 포함한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바아(104)는 벤트 바아 쿠션 재료(107)와 클램프 바아(120)를 가지며 클램프 바아 쿠션(121)을 갖는다. 벤트 바아 쿠션 재료(107) 및 클램프 바아 쿠션(121)은 벤트 바아(104)가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하기 위해 유리 시트(10)의 제2 주 표면(14) 상에 힘을 가할 때, 비균일성(111)(도 2b에 도시된 화살표로 나타냄)의 1 내지 3 배 범위의 조합된 변위가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클램프 바아 쿠션(121) 및 벤트 바아 쿠션 재료(107)의 변위는 힘(화살표(130)로 표시됨)이 클램프 바아(120) 상에 가해지고 화살표(110)로 표시된 힘이 벤트 바아(104) 상에 가해질 때, 클램프 바아 쿠션(121) 및 벤트 바아 쿠션 재료(107) 각각이 압축되는 거리를 지칭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104)는 "세장형 벤트 바아"라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벤트 바아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리 시트 제1 단부(21)와 유리 시트 제2 단부(23) 사이의 유리 시트의 길이(L)와 적어도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나타낸다. 벤트 바아(104)는 벤트 바아(104)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벤트 바아 접촉 표면(113)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107)는 벤트 바아 접촉 표면(113)을 제공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바아 쿠션 재료(107)는 유리 시트에 맞닿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 접촉 표면(113)은 벤트 라인의 제1 측면(103) 상의 벤트 라인(16)으로부터 이격된 유리 시트(10)의 제2 주 표면(14) 상에서 유리 시트를 벤트 라인을 따라 2개의 단편으로 분리시키는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른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클램프 바아(120)는 본원에서 "세장형 클램프 바아"로 지칭될 수 있으며, 클램프 바아는 클램프 바아 쿠션(121)을 갖는다. 클램프 바아(120)는 벤트 라인(16)의 제1 측면(103)에 대향하는 벤트 라인(16)의 제2 측면(105) 상의 제2 주 표면(14)에서 유리 시트(10)와 접촉하거나 직접 맞닿아 벤트 바아가 유리 시트와 접촉할 때 상쇄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클램프 바아 접촉 표면(123)을 구비한다. 상쇄력은 유리 시트(10)가 벤트 라인(16)을 따라 파단될 때 유리 분리 작업 동안 벤트 바아(104)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상쇄하고 클램프 바아(120)를 지지점(102)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클램프 바아 접촉 표면(123)은 클램프 바아 쿠션(121)의 일부일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클램프 바아 쿠션(121)은 중간 부재일 수 있고 클램프 바아 쿠션은 유리 시트(10)의 제2 주 표면(14)에 맞닿는 클램프 바아 접촉 표면(123)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104)(또는 세장형 벤트 바아)는 벤트 바아(104)의 굴곡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강성도를 가지며, 이는 유리 시트(10)가 벤트 라인(16)을 따라 2개의 단편으로 분리될 때 벤트 라인의 길이(L)를 따른 응력 변동을 감소시킬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증가된 강성도를 갖는 벤트 바아(104)는, 더 낮은 강성도를 갖는 벤트 바아를 구비한 장치에 비해, 벤트 바아(104)의 굴곡을 감소시키고, 비균일성을 감소시키며, 벤트 라인의 길이(LB)를 따른 응력 변동을 감소시킨다. 강성도는 더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벤트 바아를 형성하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강성도는 벤트 바아의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107) 및 클램프 바아 쿠션(121) 각각은 쿠션이 없는 벤트 바아 및/또는 클램프 바아를 이용하는 프로세스 또는 장치로 얻어지는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 변동에 비해,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하는 동안 유리 시트 제1 단부(21)와 유리 시트 제2 단부(23) 사이의 벤트 라인(16)의 길이(L)를 따른 감소된 응력 변동을 제공하도록 하는 두께 및 쇼어 A 경도 값(ASTM D2240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은 듀로미터에 의해 측정됨)을 갖는다. 아래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바아 쿠션이 제공되지 않을 때, 쿠션이 없는 세장형 벤트 바아 및 클램프 바아 쿠션이 없는 클램프 바아를 사용하여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하는 동안 유리 시트 제1 단부(21)와 유리 시트 제2 단부(23) 사이의 벤트 라인을 따라 매우 큰 응력 변동이 존재한다. 도 2a에서, 클램프 바아 쿠션(121) 두께는 150으로 표시되고, 벤트 바아 쿠션 재료(107) 두께는 152로 표시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 두께(152)는 구체적으로 유리 시트 제1 단부(21)와 유리 시트 제2 단부(23) 사이의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 변동이 쿠션이 없는 벤트 바아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또는 장치로 얻어지는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 변동에 비해 실질적으로 감소되도록 설계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클램프 바아 쿠션(121) 두께(150)는 또한 구체적으로 쿠션이 없는 클램프 바아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또는 장치로 얻어지는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 변동에 비해 유리 시트 제1 단부(21)와 유리 시트 제2 단부(23) 사이의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 변동이 실질적으로 감소되도록 설계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107) 및 클램프 바아 쿠션(121) 각각은 10 내지 65의 범위, 예를 들어, 10 내지 65의 범위, 예를 들어, 10 내지 55, 10 내지 50, 10 내지 40, 10 내지 35, 10 내지 30, 10 내지 25, 20 내지 65, 20 내지 55, 20 내지 50, 20 내지 45, 20 내지 40, 20 내지 35, 20 내지 30, 30 내지 65, 30 내지 60, 30 내지 55, 30 내지 50, 30 내지 45 또는 30 내지 40의 범위의 쇼어 A 경도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107)는 두께(152)를 가지며 클램프 바아 쿠션(121)은 두께(152)를 갖고, 이 두께는 각각 1㎜ 내지 10㎜의 범위, 예를 들어, 5㎜ 내지 10㎜ 범위이다. 쿠션 두께는 1-10㎜, 1-9㎜, 1-8㎜, 1-7㎜, 1-6㎜, 1-5㎜, 1-4㎜, 1-3㎜, 1-2㎜, 2-10㎜, 2-9㎜, 2-8㎜, 2-7㎜, 2-6㎜, 2-5㎜, 2-4㎜, 2-3㎜, 3-10㎜, 3-9㎜, 3-8㎜, 3-7㎜, 3-6㎜, 3-5㎜, 3-4㎜, 4-10㎜, 4-9㎜, 4-8㎜, 4-7㎜, 4-6㎜, 4-5,㎜, 5-9㎜, 5-8㎜, 5-7㎜, 5-6㎜, 6-10㎜, 6-9㎜, 6-8㎜, 7-10㎜, 또는 7-9㎜의 범위일 수 있다. 유한 요소 해석 모델링 데이터 및 경험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적의 벤트 바아 쿠션 재료 두께(152) 값 및 쇼어 A 경도 값뿐만 아니라 클램프 바아 쿠션(121) 두께(150) 값 및 쇼어 A 경도 값을 결정하여 유리 분리 작업 동안 벤트 라인(16)을 따라 응력을 더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 쿠션은 벤트 바아 쿠션 재료(107)가 유리 시트 제1 단부(21) 및 유리 시트 제2 단부(23)의 사이의 벤트 라인의 대향 단부들 사이에서 유리 시트의 변위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큰 범위의 거리로 변위되도록 하는 선택된 쇼어(A) 경도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클램프 바아 쿠션(121)은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이 보다 고르게 분포되고 유리 시트 제1 단부(21)와 유리 시트 제2 단부(23) 사이의 응력 변동이 쿠션이 없는 클램프 바아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또는 장치로 얻어진 유리 시트 제1 단부(21) 및 유리 시트 제2 단부(23) 사이의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 변동에 비해 감소되도록 하는 변위를 제공한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유리 시트(도시되지 않음)를 지지하는 테이블 형태의 지지점(102), 벤트 바아 쿠션 재료(107)를 갖는 벤트 바아(104) 및 클램프 바아 쿠션(121)을 갖는 클램프 바아(120)를 포함하는 장치(10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는 벤트 바아(104) 및 클램프 바아(120) 각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클램프 바아 위치 조절기(160) 및 벤트 바아 위치 조절기(16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프레임(170)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제어기(180)는 벤트 바아(104) 및 클램프 바아(120)의 운동을 제어한다. 제어기(180)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분리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벤트 바아(104) 및 클램프 바아(120)의 이동을 작동시킬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작동기(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한다. 벤트 바아(104) 및 클램프 바아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력, 공압력, 모터 또는 서보 모터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제어기(180)는 벤트 바아(104) 및 클램프 바아(1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80)는 중앙 처리 유닛, 메모리, 적절한 회로 및 저장소를 포함하는 컴퓨터일 수 있다. 제어기(180)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분리될 유리 기판의 로딩 및 언로딩과 같은 다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길이(LB), 높이(HB) 및 폭(WB)을 갖는 벤트 바아(104)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강성도는 벤트 바아의 높이 치수(HB)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되었다. 벤트 바아(104)는 복수의 절결부(109) 및 보강 세그먼트(117)를 포함하며, 그 크기 및 간격은 원하는 벤트 바아 강성도 및 중량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바아의 강성도는 높이(HB)를 증가시키거나 강성도 또는 탄성 계수가 더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증가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유리 시트를 파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유리 시트를 지지점 상에 배치하는 단계 - 유리 시트는 사이에 0.5 내지 2.5㎜ 범위의 두께를 형성하는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을 가지며, 제2 주 표면 상의 유리 시트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벤트 라인을 가짐 - 및 그후,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지지점의 제1 측면 상에 위치된 벤트 바아 접촉 표면으로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힘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벤트 바아는 그 사이의 벤트 바아 길이를 형성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다. 이 방법은 지지점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된 클램프 바아 접촉 표면으로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힘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벤트 바아 접촉 표면은 벤트 바아가 제2 주 표면에 대해 가압되어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할 때 쿠션 재료가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 변동을 감소시키는 거리로 압축되도록 하는 두께 및 경도를 갖는 쿠션 재료로 형성되거나 그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쿠션이 없는 벤트 바아는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라 큰 응력 변동을 갖는다. 특정 방법 실시예에서, 클램프 바아는 클램프 바아 쿠션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 및 클램프 바아 쿠션 각각은 10 내지 65의 범위, 예를 들어, 10 내지 55, 10 내지 50, 10 내지 40, 10 내지 35, 10 내지 30, 10 내지 25, 20 내지 65, 20 내지 55, 20 내지 50, 20 내지 45, 20 내지 40, 20 내지 35, 20 내지 30, 30 내지 65, 30 내지 60, 30 내지 55, 30 내지 50, 30 내지 45 또는 30 내지 40의 범위의 쇼어 A 경도를 갖는다. 방법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 쿠션 및 클램프 바아 쿠션 각각은 1㎜ 내지 10㎜의 범위, 예를 들어, 5㎜ 내지 10㎜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쿠션 두께는 1-10㎜, 1-9㎜, 1-8㎜, 1-7㎜, 1-6㎜, 1-5㎜, 1-4㎜, 1-3㎜, 1-2㎜, 2-10㎜, 2-9㎜, 2-8㎜, 2-7㎜, 2-6㎜, 2-5㎜, 2-4㎜, 2-3㎜, 3-10㎜, 3-9㎜, 3-8㎜, 3-7㎜, 3-6㎜, 3-5㎜, 3-4㎜, 4-10㎜, 4-9㎜, 4-8㎜, 4-7㎜, 4-6㎜, 4-5,㎜, 5-9㎜, 5-8㎜, 5-7㎜, 5-6㎜, 6-10㎜, 6-9㎜, 6-8㎜, 7-10㎜, 또는 7-9㎜의 범위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는 유리 시트를 파단하는 방법에 관련하며, 이 방법은 유리 시트를 지지점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유리 시트는 사이에 0.5 내지 2.5㎜ 범위의 두께를 형성하는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을 가지며, 제2 주 표면 상의 유리 시트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벤트 라인을 갖는다. 방법은 유리 시트를 벤트 라인에서 2개의 단편으로 분리하기 위해 벤트 바아 접촉 표면을 갖는 벤트 바아로 지지점의 제1 측면 상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힘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벤트 바아는 그 사이의 벤트 바아 길이를 형성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다. 방법은 벤트 바아가 제2 주 표면에 대해 가압되어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할 때 벤트 바아의 제1 단부에 인접한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의 힘이 벤트 바아의 제2 단부에 인접한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의 힘과 상이하여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힘 변동을 초래하도록 벤트 바아가 굴곡되게 하도록 지지점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된 클램프 바아 접촉 표면으로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힘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응력 변동이 쿠션을 갖지 않는 벤트 바아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또는 장치로 얻어지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응력 변동에 비해 감소되도록 하는 거리로 쿠션 재료가 압축하도록 하는 경도 및 두께를 갖는 쿠션 재료로 벤트 바아 접촉 표면을 완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 및 클램프 바아 쿠션 재료 각각은 10 내지 65의 범위, 예를 들어, 10 내지 55, 10 내지 50, 10 내지 40, 10 내지 35, 10 내지 30, 10 내지 25, 20 내지 65, 20 내지 55, 20 내지 50, 20 내지 45, 20 내지 40, 20 내지 35, 20 내지 30, 30 내지 65, 30 내지 60, 30 내지 55, 30 내지 50, 30 내지 45 또는 30 내지 40의 범위의 쇼어 A 경도를 갖는다. 방법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벤트 바아 쿠션 및 클램프 바아 쿠션 각각은 1㎜ 내지 10㎜의 범위, 예를 들어, 5㎜ 내지 10㎜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쿠션 두께는 1-10㎜, 1-9㎜, 1-8㎜, 1-7㎜, 1-6㎜, 1-5㎜, 1-4㎜, 1-3㎜, 1-2㎜, 2-10㎜, 2-9㎜, 2-8㎜, 2-7㎜, 2-6㎜, 2-5㎜, 2-4㎜, 2-3㎜, 3-10㎜, 3-9㎜, 3-8㎜, 3-7㎜, 3-6㎜, 3-5㎜, 3-4㎜, 4-10㎜, 4-9㎜, 4-8㎜, 4-7㎜, 4-6㎜, 4-5,㎜, 5-9㎜, 5-8㎜, 5-7㎜, 5-6㎜, 6-10㎜, 6-9㎜, 6-8㎜, 7-10㎜, 또는 7-9㎜의 범위일 수 있다.
유한 요소 해석에 의해 얻어진 모델링 데이터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었다. 모델링을 통해, 벤트 바아 및/또는 클램프 바아의 강성도를 조절하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벤트 바아 및/또는 클램프 바아 쿠션에 벤트 바아 쿠션을 추가하는 것이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라 응력 변동을 감소시키고, 보다 낮은 강성도를 갖는 벤트 바아 또는 클램프 바아 및/또는 쿠션이 없는 벤트 바아 및/또는 클램프 바아를 이용한 프로세스 또는 장치로 얻어진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른 응력 변동과 비교하여 벤트 라인에서 생성된 에지의 직각도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직각도는 에지를 연삭 또는 연마하지 않고 분리된 상태의 벤트 라인에서 분리된 유리 시트의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90° +/- 3°, 90° +/- 2.5°, 90° +/- 2°, 90° +/- 1.5°, 90° +/- 1°, 90° +/- 0.9°, 90° +/- 0.8°, 90° +/- 0.7°, 90° +/- 0.7°, 90° +/- 0.6°, 90° +/- 0.5°, 90° +/- 0.9°, 90° +/- 0.3°, 또는 90° +/- 0.2°가 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벤트 바아 쿠션 및 일부 실시예에서 클램프 바아 쿠션을 제공하는 것은 장치 오정렬을 보상하고 벤트 라인을 따라 균열 개시 이전에 균일한 예압 응력을 생성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모델링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벤트 바아 쿠션 및 클램프 바아 쿠션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벤트 바아 강성도 및 클램프 바아 강성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에지 직각도를 개선시키고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이 변화할 때 발생하는 에지 품질 결함으로 인한 수율 손실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모델링은 또한 불충분한 강성도의 벤트 바아 및/또는 클램프 바아에 쿠션을 추가하면 벤트 라인을 따라 균일한 응력을 제공하는 데 거의 또는 전혀 유의미한 개선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모델링은 또한 더 높은 벤트 바아 강성도 및 쿠션에 의해 제공되는 적당한 양의 순응성, 예를 들어, 10㎜의 30 쇼어 A 경도(ASTM D2240에 의해 제공된 듀로미터에 의해 측정됨) 쿠션 재료가 더 낮은 강성도를 갖고 어떠한 쿠션도 없는 벤트 바아에 비해 벤트 바아 및/또는 클램프 바아의 불충분한 강성도 및 오정렬에 의해 생성되는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른 응력 변동을 현저히 감소시킨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벤트 바아 및 클램프 바아 강성도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키는 것은 벤트 바아의 길이에 걸쳐 0.1㎜를 초과하는 벤트 바아의 변형 없이 벤트 라인의 전체 길이(L)를 따라 더 균일한 응력의 인가를 보증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유리 시트와의 계면에서의 벤트 바아 상의 쿠션 재료 및/또는 유리 시트와의 계면에서의 클램프 바아 상의 쿠션 재료는 굴곡, 기계 정렬 오차 및 유리 형상 오차 중 하나 이상을 보상한다. 쿠션 재료의 적절한 비제한적인 예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및 천연 고무 재료를 포함한다.
모델링은 본원에 나타내어진 쇼어 A 경도 값 범위를 갖는 쿠션 재료가 유리와 접촉하는 기계 요소에서의 약간의 오정렬을 흡수하고 더 균일한 예압 응력을 생성함으로써 정밀 기계 공차에 대한 요건을 감소시키는 순응성 재료를 제공함을 나타내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모델링 실험 및 데이터에 대해 약 20 MPa의 목표 인장 응력이 균열 개시 및 전파의 목표로 선택되었다. 균열 개시에 대한 목표의 실제 인장 응력은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벤트 깊이와 유리 조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균열은 시트의 일 단부에서 개시되어 다른 단부로 전파되어야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벤트 라인(16)과 지지점(102) 사이의 거리(d3), 클램프 바아(120)와 지지점(102) 사이의 거리(d1) 및 벤트 바아(104)와 지지점 사이의 거리(d2)는 다음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d1 = 10㎜ 내지 150㎜
d2 = 10㎜ 내지 300㎜
d3 = -2㎜ 내지 5㎜.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클램프 바아와 벤트 라인 사이의 거리는 벤트 라인과 벤트 바아 사이의 거리와 대략 같아야 하고, 그래서, d2는 d1의 2배가 되어 이를 수용하여야 한다.
도 6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후술되는 모델링 데이터에서, 벤트 라인에서 20 MPa의 목표 응력을 달성할 때 굴곡과 정렬로부터 초래되는 전체 비균일성은 유리의 편향 거리보다 작다. 1 내지 10mm 범위의 쿠션 두께에서 약 10 내지 65 쇼어 A의 벤트 바아 및 클램핑 바아 쿠션 경도 범위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과 벤트 바아 사이의 굴곡/표면 마무리/정렬 변동 거리의 2 내지 3 배인 압축을 달성하기 위해 결정되었다. 본원의 유한 요소 모델링은 계산에 의해, 그리고, 구속 조건 d1 및 d2에 의해 달성되는 벤트 바아 강성도, 클램프 바아 강성도, 쿠션 두께 및 쿠션 경도 및 유리 편향에 의해 도달된 목표에 기초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벤트 바아가 0.090㎜의 오정렬을 가질 때, 벤트 바아 상의 5 및 10mm 두께에서, 클램프 바아와 벤트 바아 상의 30 쇼어 A 쿠션의 영향이다.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으로서, 벤트 바아 굴곡에 의한 비균일성 및 장치 정렬 변동의 조합은 벤트 라인이 약 20 MPa의 인가된 목표 응력을 가질 때 유리의 편향보다 작아야 한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모델링 데이터는 벤트 라인이 약 20 MPa의 힘을 겪을 때 약 0.1㎜의 유리 편향 및 장치 오정렬로 인한 0.090㎜의 비균일성에 기초한다. 모델링은 쿠션 변위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바아의 굴곡 및/또는 오정렬에 기인한 비균일성의 약 1 내지 3 배의 범위 내에 있어서 쿠션의 압축을 벤트 바아 표면을 따른 힘 변동성에 맞추어야 하고, 이것이 벤트 바아 상에 쿠션을 사용하지 않는 프로세스 또는 장치에 비해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 변동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도 6 내지 도 9의 모델링 예에서, 쿠션은 0.1㎜의 유리 변위에 비해 쿠션 두께에 따라 0.120 내지 0.230의 평균으로 변위한다. 도 6은 벤트 바아(104) 또는 클램프 바아(120) 상에 쿠션이 없는 상태에서 경사로 인해 0.090㎜의 비균일성을 갖는 벤트 바아의 모델을 도시한다. 범례를 참조한 응력 분포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응력은 유리 시트(10)의 길이(L)를 따라 비균등하다. 도 7은 벤트 바아 쿠션 재료(107)를 갖는 벤트 바아(104) 및 클램프 바아 쿠션(121)을 갖는 클램프 바아(120)를 도시하며, 이들 두 쿠션 모두는 10㎜ 두께 및 30 쇼어 A 경도이다. 유리 시트(10)의 길이(L)를 따른 응력 프로파일은 도 6과 비교하여 길이(L)를 따라 더욱 균일하다.
도 8은 다양한 경우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도시한다. 기준선은 분리 동안 벤트 라인에서 유리의 길이에 따른 20 MPa 목표 응력의 이상적인 조건을 나타낸다. 0.15 세타 z는 0.15㎜의 경사로 인한 벤트 바아 비균일성을 나타내며,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은 0.09㎜ 세타 z에 대한 플롯과 유사하게 비균등하며, 0.09㎜ 경사를 나타내고, 양자 모두는 유리 시트의 길이에 따라 높은 응력 변동성을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5㎜의 30 쇼어 A 쿠션을 사용한 0.09㎜의 경사에서 벤트 라인을 따라 응력 변동성이 개선되었고, 5㎜의 30 쇼어 A 쿠션을 사용한 0.03㎜ 경사에서 유리 시트의 길이에 따른 응력 변동성이 개선되었으며, 10㎜ 두께 30 쇼어 A 쿠션을 사용한 0.09㎜ 경사에 대해 결과가 더 양호하였고, 30 쇼어 A 경도를 갖는 10㎜ 두께 쿠션을 사용한 0.03㎜ 경사에 대해 가장 낮은 변동성이 얻어졌다. 따라서, 벤트 바아 및 일부 실시예에서 클램프 바아 상의 쿠션은 지지점에 의해 대향 측면에서 지지되고 벤트 라인을 갖는 기판의 측면에서의 힘의 인가에 의해 분리를 받게 되는 유리 시트의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의 변동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클램프 및 벤트 바아 위치를 사용하여 850 N 하중 및 2500 N 하중 하에서의 벤트 바아 편향(또는 굴곡)을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이 모델링되었다. 도 9의 모델링 데이터는 경사가 없는 바아를 기반으로 하며 데이터는 바아의 굴곡만 고려한다. 도 9에서, 사례 1은 낮은 강성도를 갖는 바아에 대한 것이고, 바아는 40㎜ Х 40㎜ Х 2030㎜의 폭/높이/길이 치수를 가지며; 사례 2는 폭/높이/길이 치수가 40㎜ Х 40㎜ Х 1860㎜인 낮은 강성도의 바아에 대한 것이며; 사례 3은 폭/높이/길이 치수가 40㎜ Х 80㎜ Х 1860㎜인 낮은 강성도의 바아에 대한 것이며; 사례 4는 길이가 1860㎜인 도 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높은 강성도의 바아에 대한 것이고; 사례 5는 길이가 길이 2330㎜인 도 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높은 강성도의 바아에 대한 것이다. 사례 1-3은 낮은 강성도의 벤트 바아였으며 그 낮은 강성도의 결과로 굴곡으로 인해 최고의 벤트 바아 편향을 갖는다. 사례 2에 비해 높이와 폭 치수가 유사한 사례 1은 바아가 더 길기 때문에 굴곡으로 인한 편향이 더 컸다. 사례 2에 비하여 벤트 바아의 높이를 증가시킨 사례 3은 굴곡으로 인한 편향이 더 낮고 강성도가 개선되었다. 높은 강성도의 벤트 바아를 사용하는 경우 4와 5는 굴곡으로 인한 편향이 더 적었고, 사례 5는 사례 5 벤트 바아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사례 4보다 편향이 더 컸다.
본원에 설명된 방법 및 장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유리 시트는 도광판이고, 완성된 에지는 투과시 12.8도 반치전폭(FWHM) 미만의 각도 이내에서 광을 산란시키는 광 주입 에지이다. 본 방법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도광판이고, 완성된 에지는 450 nm의 파장에서 적어도 95%의 광 투과율을 갖는다.
방법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유리 시트는 도광판이고, 도광판은 50 mol% 내지 80 mol%의 범위의 SiO2, 0 mol% 내지 20 mol%의 범위의 Al2O3, 및 0 mol% 내지 25 mol%의 범위의 B2O3 및 중량부로 50 ppm 미만의 철(Fe) 농도를 포함한다.
도 10은 전방면일 수 있는 제1 면(610) 및 후방면일 수 있는 제1 면에 대향한 제2 면을 갖는 유리 시트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도광판의 형상 및 구조를 갖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도광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 면은 높이(H) 및 폭(W)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면(들)은 0.6 nm보다 작은 평균 거칠기(Ra)를 갖는다.
유리 시트(600)는 전방면과 후방면 사이에 두께(T)를 가지며, 두께는 4개의 에지를 형성한다. 유리 시트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전방면 및 후방면의 높이 및 폭보다 작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광판의 두께는 전방면 및/또는 후방면의 높이의 1.5% 미만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두께(T)는 약 3㎜, 약 2.5㎜, 약 2㎜, 약 1.9㎜, 약 1.8㎜, 약 1.7㎜, 약 1.6㎜, 약 1.5㎜, 약 1.4㎜, 약 1.3㎜, 약 1.2㎜, 약 1.1㎜, 약 1㎜, 약 0.9㎜, 약 0.8㎜, 약 0.7㎜, 약 0.6㎜, 약 0.5㎜, 약 0.4㎜ 또는 약 0.3㎜일 수 있다. 도광판의 높이, 폭 및 두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LCD 백라이트 응용에서 LGP로 사용하기 위해 구성 및 치수설정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에지(630)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에 의해 제공된 광을 수용하는 광 주입 에지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 주입 에지는 12.8도 투과시 반치전폭(FWHM) 미만의 각도 이내로 광을 산란시킨다. 광 주입 에지는 제1 에지(630)를 연삭 및 연마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유리 시트는 제1 에지(630)에 인접한 제2 에지(640) 및 제2 에지(640)에 대향하고 제1 에지(630)에 인접한 제3 에지(660)를 더 포함하며, 제2 에지(640) 및/또는 제3 에지(660)는 반사시 12.8도 FWHM 미만의 각도 이내로 광을 산란시킨다. 제2 에지(640) 및/또는 제3 에지(660)는 6.4도 미만의 반사시 확산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유리 시트는 제1 에지(630)에 대향하는 제4 에지(65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LGP의 4개의 에지 중 3개의 에지는 2 가지 이유, 즉, LED 커플링 및 내부 전반사(2개의 에지에서 TIR)를 위해 경면 연마된 표면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지(630)로 주입된 광은 주입 에지에 인접한 제2 에지(640) 및 주입 에지에 인접한 제3 에지(660) 상에 입사될 수 있고, 제2 에지(640)는 제3 에지(660)에 대향한다. 제2 및 제3 에지는 또한 에지를 불화수소산에 의한 에칭 및/또는 슬러리 연마하지 않고 0.5㎛, 0.4㎛, 0.3㎛ 또는 0.2㎛ 미만의 에지에서의 낮은 평균 거칠기를 가질 수 있어, 입사광이 제1 에지에 인접한 2개의 에지로부터 내부 전반사(TIR)를 받게 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재료, 방법 및 물품에 대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재료, 방법 및 물품의 다른 양태는 명세서 및 본원에 개시된 재료, 방법 및 제품의 관례를 고려하여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및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는 것을 의도한다. 본 개시내용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7)

  1. 0.5 내지 2.5㎜의 범위의 두께를 사이에 형성하는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을 구비하며 제2 주 표면 상에서 유리 시트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벤트 라인을 구비하는 유리 시트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유리 시트가 지지점 상에 위치될 때 유리 시트를 제1 주 표면 상에 그리고 유리 시트의 길이를 따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점;
    그 사이에 벤트 바아 길이를 형성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벤트 바아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벤트 바아로서, 벤트 바아 접촉 표면은 벤트 라인의 제1 측면 상의 벤트 라인으로부터 이격된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서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라 힘을 인가하여 유리 시트를 벤트 라인을 따라 2개의 단편으로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며, 벤트 바아는 유리 시트가 벤트 라인을 따라 2개의 단편으로 분리될 때 벤트 바아 접촉 표면에 인접한 벤트 바아 길이를 따라 벤트 바아 쿠션 재료를 포함하는, 벤트 바아;
    벤트 바아 접촉 표면이 유리 시트와 접촉할 때 상쇄력을 인가하기 위해 벤트 라인의 제1 측면에 대향하는 벤트 라인의 제2 측면 상에서 유리 시트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세장형 클램프 바아; 및,
    세장형 클램프 바아 상에 배치되고,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클램프 바아 쿠션 재료를 포함하고,
    벤트 바아 쿠션 재료 및 클램프 바아 쿠션 재료 각각은 30 내지 65 범위의 쇼어 A 경도 값을 갖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벤트 바아는 유리 시트가 벤트 라인을 따라 2개의 단편으로 분리될 때,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라 응력 변동이 분리 중에 25% 미만이 되도록 벤트 바아의 굴곡 및 유리 시트의 벤트 라인의 길이를 따른 응력 변동을 최소화하기에 충분한 강성도를 갖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 및 클램프 바아 쿠션 재료 각각은 쿠션이 없는 벤트 바아 및 클램프 바아 쿠션이 없는 클램프 바아를 사용하여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하는 동안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 변동에 비해, 유리 시트가 2개의 단편으로 분리되는 동안 벤트 라인을 따른 감소된 응력 변동을 제공하는 두께 및 쇼어 A 경도 값을 갖는,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 및 클램프 바아 쿠션 재료 각각은 1㎜ 내지 10㎜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 및 클램프 바아 쿠션 재료 각각은 5㎜ 내지 10㎜ 범위의 두께를 갖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 및 클램프 바아 쿠션 재료 각각은 30 내지 35의 범위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 및 클램프 바아 쿠션 재료는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동안 벤트 바아 쿠션 재료가 벤트 라인의 양 단부 사이의 유리 시트의 변위와 같거나 그보다 큰 범위의 거리만큼 변위되도록 하는 경도 값을 갖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장치는 유리 시트를 파단하여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에 대해 직각 에지를 초래하도록 구성되고, 직각 에지는 직각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직각으로부터 2도의 절대값보다 작은 변동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장치는 유리 시트를 파단하여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에 대해 직각 에지를 초래하도록 구성되고, 직각 에지는 직각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직각으로부터 0.5도의 절대값보다 작은 변동을 포함하는, 장치.
  11. 유리 시트를 파단하는 방법이며,
    유리 시트를 지지점 상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유리 시트는 사이에 0.5 내지 2.5㎜ 범위의 두께를 형성하는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을 구비하며 제2 주 표면 상의 유리 시트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벤트 라인을 구비하는, 단계;
    벤트 라인에서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하기 위해 그 사이에 벤트 바아 길이를 형성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벤트 바아 접촉 표면으로, 지지점의 제1 측면 상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힘을 인가하는 단계; 및
    지지점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된 클램프 바아 접촉 표면으로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힘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벤트 바아 접촉 표면은, 벤트 바아 접촉 표면이 제2 주 표면에 대해 가압되어 유리 시트를 2개의 단편으로 분리시킬 때, 벤트 바아 상에 쿠션 재료가 존재하지 않을 때의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 변동에 비교하여 벤트 바아 쿠션 재료가 벤트 라인을 따른 응력 변동을 감소시키는 거리로 압축하도록 하는 경도 및 두께를 갖는 벤트 바아 쿠션 재료를 포함하고,
    클램프 바아 접촉 표면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열되고 클램프 바아 접촉 표면 상에 배치되는 클램프 바아 쿠션 재료를 포함하고,
    벤트 바아 쿠션 재료 및 클램프 바아 쿠션 재료 각각은 30 내지 65 범위의 쇼어 A 경도 값을 갖는,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 및 클램프 바아 쿠션 재료 각각은 1㎜ 내지 10㎜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 및 클램프 바아 쿠션 재료 각각은 5㎜ 내지 10㎜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벤트 바아 쿠션 재료 및 클램프 바아 쿠션 재료 각각은 30 내지 35의 범위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97024600A 2017-01-27 2018-01-26 유리 시트 분리 방법 및 장치 KR102459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51374P 2017-01-27 2017-01-27
US62/451,374 2017-01-27
PCT/US2018/015365 WO2018140677A1 (en) 2017-01-27 2018-01-26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glass she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068A KR20190104068A (ko) 2019-09-05
KR102459115B1 true KR102459115B1 (ko) 2022-10-26

Family

ID=6187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600A KR102459115B1 (ko) 2017-01-27 2018-01-26 유리 시트 분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352214A1 (ko)
EP (1) EP3573933A1 (ko)
JP (2) JP7162597B2 (ko)
KR (1) KR102459115B1 (ko)
CN (1) CN110248902B (ko)
SG (1) SG11201906865QA (ko)
TW (1) TWI750306B (ko)
WO (1) WO2018140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9528B (zh) * 2021-09-24 2024-01-26 湖北美格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功能性半导体器件的切割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3832A1 (ja) 2008-04-28 2009-11-05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脆性材料ブレーク装置及び脆性材料ブレーク方法
US20100107848A1 (en) 2008-10-31 2010-05-06 Joseph Ii Michael Albert Glass Sheet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WO2015004835A1 (ja) * 2013-07-08 2015-01-1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脆性材料の板材の分断方法及び分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5694B1 (en) * 1992-09-01 1997-12-10 Corning Incorporated Separating sheet glass
JP3573220B2 (ja) 1994-06-16 2004-10-06 旭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折り装置
JP4892916B2 (ja) 2005-10-04 2012-03-07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薄板ガラスの折割装置および折割方法
JP2007302543A (ja) 2006-05-15 2007-11-22 Sharp Corp 基板分断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228852B2 (ja) * 2008-12-01 2013-07-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基板の分割方法および基板の分割装置
KR101800223B1 (ko) * 2011-06-08 2017-11-22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판형상 유리의 절단방법 및 그 절단장치
WO2013073477A1 (ja) 2011-11-16 2013-05-2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割断装置、板ガラス割断方法、板ガラス作製方法、および、板ガラス割断システム
DE112014006024T5 (de) * 2013-12-27 2016-09-15 Asahi Glass Company, Limited Verfahren zur Verarbeitung einer zerbrechlichen Platte und Vorrichtung zur Verarbeitung einer zerbrechlichen Platte
JP6759961B2 (ja) 2016-10-17 2020-09-2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切断方法及びその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3832A1 (ja) 2008-04-28 2009-11-05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脆性材料ブレーク装置及び脆性材料ブレーク方法
US20100107848A1 (en) 2008-10-31 2010-05-06 Joseph Ii Michael Albert Glass Sheet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WO2015004835A1 (ja) * 2013-07-08 2015-01-1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脆性材料の板材の分断方法及び分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48902B (zh) 2022-06-17
TWI750306B (zh) 2021-12-21
JP2020506144A (ja) 2020-02-27
JP2022145803A (ja) 2022-10-04
SG11201906865QA (en) 2019-08-27
JP7418512B2 (ja) 2024-01-19
TW201834987A (zh) 2018-10-01
JP7162597B2 (ja) 2022-10-28
KR20190104068A (ko) 2019-09-05
WO2018140677A1 (en) 2018-08-02
US20190352214A1 (en) 2019-11-21
CN110248902A (zh) 2019-09-17
EP3573933A1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928B1 (ko) 유지부 부착 유리 기판, 유리 기판의 열처리 방법, 및 유리 기판 지지 유닛
KR101395054B1 (ko) 강화유리 커팅 방법 및 강화유리 커팅용 스테이지
US202101012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ge processing of glass for light coupling
US932941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323678B1 (ko) 취성 재료 기판의 브레이크 방법
CN111712471B (zh) 玻璃基板组及其制造方法
CN105307991A (zh) 操纵脆性材料板复合形状的方法
KR102459115B1 (ko) 유리 시트 분리 방법 및 장치
EP3048475B1 (en) Display device
US20110001902A1 (en) Glass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981166B1 (ko) 표시장치
KR20050044989A (ko) 액정 패널용 유리기판 운반용 트레이
KR20110000231A (ko) 스크라이빙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절단 장치
JP2011037104A (ja) 基板の分割装置および分割方法
KR20080055641A (ko) 도포 장치
TWI656103B (zh) 使用磨料表面之薄玻璃基材中的機械式形成裂隙起始缺陷
US9557592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panel
KR20230098772A (ko) 판유리의 제조 방법, 그 제조 장치 및 판유리
TWI657013B (zh) 柔性薄膜裝載盒
KR200340801Y1 (ko) 액정 패널용 유리기판 운반용 트레이
KR20230168398A (ko) 유리기판 적재용 카세트의 서포트 바
KR20150037482A (ko) 취성 재료 기판의 브레이크 방법 그리고 브레이크 장치
WO2018193583A1 (ja) スクライブ装置及びスクライブ方法
JP4569553B2 (ja) 梱包体
KR20090094638A (ko) 글라스용 카세트의 간격 자동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