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930B1 - 물품 보관 설비 및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유지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물품 보관 설비 및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유지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930B1
KR101943930B1 KR1020120140114A KR20120140114A KR101943930B1 KR 101943930 B1 KR101943930 B1 KR 101943930B1 KR 1020120140114 A KR1020120140114 A KR 1020120140114A KR 20120140114 A KR20120140114 A KR 20120140114A KR 101943930 B1 KR101943930 B1 KR 101943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ing
moving space
article storage
ascend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128A (ko
Inventor
후미오 다카하라
신스케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30072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1/00Vehicle modifications for receiving separate lifting, supporting, or manoeuv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28Transfer means for the stacker crane between the a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18Repairing
    • Y10T29/49721Repairing with dis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10T29/49819Disassembling with conveying of work or disassembled work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4)의 주행체(16)를, 지주(支柱)(12)를 하측 지주 부분(12a)과 상측 지주 부분(12b)으로 분리함으로써, 하측 주행 부분(16a)과 상측 주행 부분(16b)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측 주행 부분(16b)과 분리되고 또한 승강체(14)를 지지한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주행 이동 시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출입용 공간 S2와 이동 공간 S1과의 사이에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물품 보관 설비 및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유지보수 방법{ARTICLE STORAGE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IN ARTICLE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물품 보관 설비, 및 그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품 수납 선반이 대향하는 상태로 한쌍 형성되어 있고, 그 한쌍의 물품 수납 선반의 사이에 형성된 이동 공간을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이 주행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搬送)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이동 공간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 인접하는 상태로 스태커 크레인의 높이보다 낮은 설정 높이에 설치물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이 설치물로서, 물품 보관 설비의 상부에 대하여 물품을 입출고하기 위해 반송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나, 이동 공간의 상부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의 한쪽(제1 가로 방향 단부측)으로부터 작업자가 진입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기 위해 가대(架臺)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068963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이와 같은 물품 수납 설비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고, 상기 물품 수납 설비에는, 설치물로서, 물품 보관 설비의 상부에 대하여 물품을 입출고하기 위한 반송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 스태커 크레인에 대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 점검 등의 경미한 유지보수 작업은 스태커 크레인을 이동 공간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주행 대차(臺車; carriage)를 주행 이동시키는 주행용 모터의 교환, 승강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용 모터의 교환, 및 승강체의 교환 등과 같이 대규모의 유지보수 작업의 경우에는, 스태커 크레인을 이동 공간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므로, 스태커 크레인을 이동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이동 공간으로부터 반출하여 이동 공간의 외부에서 행하고, 유지보수 작업이 끝난 후, 스태커 크레인을 이동 공간으로 반출하는 작업이 행해지고 있다.
특허 문헌 1과 같은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이동 공간의 길이 방향의 다른 쪽(제1 가로 방향 단부와는 반대측의 제2 가로 방향 단부측)이 건물의 기둥이나, 인접하여 설치되는 설비나 장치 등에 의해 막혀 있는 경우, 이동 공간의 길이 방향의 다른 쪽으로부터는 스태커 크레인을 외부로 반출할 수 없다. 그러므로, 그와 같은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이동 공간의 제1 가로 방향 단부측으로부터 스태커 크레인을 외부로 반출하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공간의 제1 가로 방향 단부측에는 인접하는 상태로 설치물이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물은 스태커 크레인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설치물이 설치된 상태이면 스태커 크레인을 이동 공간으로부터 반출할 수 없다. 따라서, 스태커 크레인을 이동 공간의 제1 가로 방향 단부측으로부터 운반해 내는 경우에는, 그 전에 설치물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태커 크레인을 이동 공간의 제1 가로 방향 단부측으로부터 반입한 후에 설치물을 장착할 필요가 있으므로, 스태커 크레인을 이동 공간에 대하여 출입시키는 작업이 번거롭고, 스태커 크레인에 대하여 넓은 작업 스페이스가 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기 어려웠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068963호 공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넓은 작업 스페이스가 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기 쉬운 물품 보관 설비, 및 그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유지보수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의 하나의 특징적 구성은, 상하 방향 및 가로 폭 방향으로 복수의 수납부가 병설된 물품 수납 선반과,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설치된 한쌍의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사이에 형성된 이동 공간을 주행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스태커 크레인과, 상기 이동 공간의 상기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 인접하는 상태로 미리 규정된 설정 높이에 설치된 설치물을 구비하는 물품 보관 설비로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이, 바닥측에 설치된 바닥측 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주행 이동하는 주행 대차와 상기 주행 대차에 세워 설치된 지주를 가지는 주행체와, 상기 지주를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주에 안내 지지된 승강체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체가, 상기 수납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transfer)하는 이송탑재 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지주가, 상기 설정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하측 지주 부분과 상측 지주 부분이 분리 가능 및 연결 가능하도록 분할 구성되며,
상기 주행체가, 상기 지주를 상기 하측 지주 부분과 상기 상측 지주 부분으로 분리함으로써, 하측 주행 부분과 상측 주행 부분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측 주행 부분과 분리되고 또한 상기 승강체를 지지한 상태인 분리 상태의 상기 하측 주행 부분이, 주행 이동 시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분리 상태의 상기 하측 주행 부분을 상기 이동 공간에 대하여 상기 가로 폭 방향의 상기 한쪽에 인접하는 출입용 공간과 상기 이동 공간과의 사이에서 출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스태커 크레인의 지주를 하측 지주 부분과 상측 지주 부분으로 분리함으로써,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체를 하측 주행 부분과 상측 주행 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지주 부분과 상측 지주 부분과의 분리 개소는, 설치물이 설치되어 있는 설정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상측 주행 부분과 분리된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의 높이는, 설치물이 설치되어 있는 설정 높이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은, 주행 이동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설치물의 하방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을, 설치물을 분리하지 않고 설치물의 하방을 통해 이동 공간과 그 한쪽에 인접하는 출입용 공간과의 사이에서 출입시킬 수 있다.
그런데, 넓은 작업 스페이스가 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으로서, 주행 대차를 주행 이동시키는 주행용 모터나 승강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용 모터의 교환을 생각할 수 있다. 이들 주행용 모터나 승강용 모터는 주행 대차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측 주행 부분을 이동 공간으로부터 출입용 공간으로 반출함으로써, 하측 주행 부분과 함께 주행용 모터나 승강용 모터도 이동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용 모터나 승강용 모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작업 스페이스가 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으로서, 승강체의 교환도 생각할 수 있다. 승강체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을 이동 공간으로부터 출입용 공간으로 반출함으로써, 하측 주행 부분과 함께 승강체도 이동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체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승강체를 지지한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을 설치물의 하방을 통해 이동 공간으로부터 출입용 공간으로 인출함으로써, 이동 공간의 외부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넓은 작업 스페이스가 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이동 공간의 길이 방향의 다른 쪽이 건물의 지주 등에 의해 막혀 있고, 이동 공간의 길이 방향의 다른 쪽으로부터는 스태커 크레인을 외부로 반출할 수 없는 경우라도,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을 이동 공간과 출입용 공간과의 사이에서 출입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스태커 크레인을 이동 공간의 한쪽으로부터 외부로 인출하기 전에 설치물을 분리할 필요가 없고, 또한 스태커 크레인을 이동 공간의 길이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반입한 후에 설치물을 장착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스태커 크레인을 이동 공간에 대하여 출입시키는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어, 스태커 크레인에 대하여 넓은 작업 스페이스가 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설치물이, 상기 이동 공간의 상부에 대하여 상기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작업자가 진입하기 위한 가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 공간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 인접하는 상태에서, 가대가 설정 높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 공간의 상부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작업자가 진입하여 물품 수납 선반의 높은 부분에 대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기 용이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체는 하측 주행 부분과 상측 주행 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작업용의 가대를 설치한 경우라도, 그 가대를 분리하지 않고, 스태커 크레인의 하측 주행 부분을 이동 공간과 출입용 공간과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스태커 크레인에 대하여 넓은 작업 스페이스가 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기 용이하다.
또한, 일 태양으로서, 본 발명의 물품 보관 설비가, 바닥면 상을 이동하는 작업용 대차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 대차가, 상기 바닥측 레일 상을 주행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작업용 대차가, 상기 분리 상태의 상기 하측 주행 부분을 지지하여 주행 안내하는 대차측 레일을 구비하고 있고, 본 발명의 물품 보관 설비가, 상기 바닥측 레일의 단부에 상기 대차측 레일이 연속되는 상태로 상기 출입용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태커 크레인의 주행체를 하측 주행 부분과 상측 주행 부분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주행 대차를 이동시킴으로써, 바닥측 레일 상에 있어서 하측 주행 부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용 대차를 출입용 공간으로 이동시켜 바닥측 레일에 대차측 레일이 연속되는 상태로 함으로써,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을 이동 공간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 이동시켜 바닥측 레일로부터 대차측 레일로 갈아타게 할 수 있다. 즉,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을 이동 공간으로부터 인출용 공간으로 되는 출입용 공간으로 반출하면, 그 반출한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은 작업용 대차 상으로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장소(작업장)까지 작업용 대차를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용 대차에 실린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도 작업장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일 태양으로서, 상기 주행 대차와 상기 승강체에 걸쳐 설치된 급전용 또는 정보 통신용의 케이블이, 상기 하측 지주 부분과 상기 상측 지주 부분 중 상기 하측 지주 부분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행 대차와 승강체에 걸쳐 설치된 급전용 또는 정보 통신용의 케이블은, 그 중간부가 하측 지주 부분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의 중간부를 하측 지주 부분에서 지지함으로써, 승강체 측에서의 케이블의 접속 개소(箇所)에 작용하는 케이블의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스태커 크레인을 분리 상태로 했을 때 케이블을 지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태커 크레인의 분리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의 각종 기술적 특징은,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유지보수 작업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유지보수 작업 방법도 권리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 그 대표적인 태양을 예시한다. 당연히, 이와 같은 유지보수 작업 방법도, 전술한 물품 보관 설비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물품 보관 설비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예시한 각종 부가적 특징을 이 유지보수 작업 방법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부가적 특징에 대응하는 작용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유지보수 방법의 특징적 구성은, 상하 방향 및 가로 폭 방향으로 복수의 수납부가 병설된 물품 수납 선반과,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설치된 한쌍의 물품 수납 선반의 사이에 형성된 이동 공간을 주행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스태커 크레인과,
상기 이동 공간의 상기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 인접하는 상태에서 미리 규정된 설정 높이에 설치된 설치물을 구비하는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유지보수 작업 방법으로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바닥측에 설치된 바닥측 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주행 이동하는 주행 대차와 상기 주행 대차에 세워 설치된 지주를 가지는 주행체와, 상기 지주를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주에 안내 지지된 승강체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승강체에 의해, 상기 수납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이송탑재 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설정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하측 지주 부분과 상측 지주 부분이 분리 가능 및 연결 가능하도록 분할 구성된 상기 지주를 상기 하측 지주 부분과 상기 상측 지주 부분으로 분리하여, 상기 주행체를 하측 주행 부분과 상측 주행 부분으로 분리하고,
상기 상측 주행 부분과 분리되고 또한 상기 승강체를 지지한 상태인 분리 상태의 상기 하측 주행 부분을, 주행 이동 시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 공간으로부터 그 이동 공간에 대하여 상기 가로 폭 방향의 상기 한쪽에 인접하는 출입용 공간으로 반출하고,
상기 이동 공간의 외부에서 상기 하측 주행 부분 및 상기 승강체의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점에 있다.
도 1은 물품 보관 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물품 보관 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스태커 크레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스태커 크레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스태커 크레인의 분해 작용도이다.
도 6은 스태커 크레인의 분해 작용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보관 설비에는, 상하 방향 및 가로 폭 방향으로 복수의 수납부(1)가 병설된 물품 수납 선반(2), 물품을 탑재 반송하는 입출고용의 반송 장치(3), 물품 수납 선반(2)의 수납부(1)와 반송 장치(3)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는 스태커 크레인(4), 및 스태커 크레인(4)의 이동 공간 S1의 상부(상측 공간)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의 한쪽(제1 가로 방향 단부측)으로부터 작업자가 진입하기 위한 가대(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은 물품 보관 설비의 종단 측면도를 나타내고, 물품 수납 선반(2)의 가로 폭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물품 보관 설비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물품 수납 선반(2)의 가로 폭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물품 수납 선반(2)의 전후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내고 있다.
물품 수납 선반(2), 반송 장치(3), 스태커 크레인(4) 및 가대(5)에 의해 자동 창고 A가 구성되어 있다. 자동 창고 A에는, 물품 수납 선반(2)이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한쌍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물품 수납 선반(2)의 사이에 형성된 이동 공간 S1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스태커 크레인(4)이 주행 이동하여, 스태커 크레인(4)에 의해 물품 수납 선반(2)의 수납부(1)와 물품 수납 선반(2)의 상부에 설치된 반송 장치(3)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한다.
또한, 자동 창고 A는, 물품 수납 선반(2)의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로 한쌍 병설되어 있고, 이들 한쌍의 자동 창고 A는, 건물에서의 한쌍의 기둥 B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자동 창고 A는 좌측의 기둥 B의 근방에 설치되고, 우측에 위치하는 자동 창고 A는 우측의 기둥 B의 근방에 설치되도록, 한쌍의 자동 창고 A의 각각은, 같은 측의 기둥 B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자동 창고 A의 사이에는 간극(間隙)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간극에, 이동 공간 S1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의 한쪽(제1 가로 방향 단부측)으로부터 진입하기 위한 가대(5)가 설치물(50)로서 설치되어 있다. 가대(5)는, 한쪽의 자동 창고 A의 물품 수납 선반(2)과 다른 쪽의 자동 창고 A의 물품 수납 선반(2)의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대(5)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자동 창고 A의 이동 공간 S1에 대해서는 우측을 길이 방향[물품 수납 선반(2)의 가로 폭 방향과 같은 방향]의 한쪽(제1 가로 방향 단부측)으로 하고,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자동 창고 A의 이동 공간 S1에 대해서는 좌측을 길이 방향의 한쪽(제1 가로 방향 단부측)으로 하는 형태로, 이동 공간 S1의 길이 방향의 한쪽에 인접하는 상태로 설정 높이 H에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는, 가대(5)로부터 한쌍의 자동 창고 A의 어느 이동 공간 S1에 대해서도 진입할 수 있다. 즉, 가대(5)는, 한쌍의 자동 창고 A에 대하여 1대 설치되어 있고, 이 1대의 가대(5)가 한쌍의 자동 창고 A에 공용되고 있다.
가대(5)에는, 가대(5)에 대하여 작업자가 승강하기 위한 사다리(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사다리(6)는, 가대(5)에 연결 지지된 고정 사다리 부분(6a)과, 이 고정 사다리 부분(6a)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한 착탈 사다리 부분(6b)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정 사다리 부분(6a)에 장착된 착탈 사다리 부분(6b)은, 고정 사다리 부분(6a) 및 바닥 F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바닥 F에서의 착탈 사다리 부분(6b)을 지지하는 개소에는 마킹이 행해져 있고, 착탈 사다리 부분(6b)을 세워 거는 개소의 마크로 되어 있다.
가대(5)와 물품 수납 선반(2)과의 연결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지만, 가대(5)는 볼트 너트에 의해 구성된 체결 부재에 의해 한쌍의 자동 창고 A의 물품 수납 선반(2)의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물품 수납 선반(2) 및 가대(5)에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 볼트를 삽통(揷通)하여 체결함으로써, 물품 수납 선반(2)에 가대(5)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자동 창고 A의 물품 수납 선반(2)에 가대(5)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은 볼트의 축 직경에 대응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쪽의 자동 창고 A의 물품 수납 선반(2)에 가대(5)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은, 공차(公差)를 고려하여 볼트의 축 직경보다 크고, 상기 한쪽의 자동 창고 A에 형성된 구멍의 구멍 직경보다 큰 구멍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대(5)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물품 수납 선반(2)에 설치 오차가 생겼다고 해도, 그 설치 오차가 흡수되어 가대(5)를 한쌍의 자동 창고 A의 물품 수납 선반(2)의 각각에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공간 S1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제1 가로 방향 단부측)에 인접하는 상태에서, 가대(5)가 설정 높이 H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 공간 S1의 상부에 대하여 제1 가로 방향 단부측으로부터 작업자가 진입하여 물품 수납 선반(2)의 높은 부분에 대하여, 용이하게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4)의 주행체(16)는, 하측 주행 부분(16a)과 상측 주행 부분(16b)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작업용의 가대(5)를 설치한 경우라도, 그 가대(5)를 분리하지 않고, 스태커 크레인(4)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이동 공간 S1과 출입용 공간 S2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태커 크레인(4)에 대하여 넓은 작업 스페이스가 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각각의 자동 창고 A에는, 한쌍의 물품 수납 선반(2)의 주위를 덮은 상태로 주위벽(9)이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물품 수납 선반(2) 및 스태커 크레인(4)은, 주위벽(9)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가대(5)는, 주위벽(9)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반송 장치(3)는, 주위벽(9)의 내외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주위벽(9)에서의 이동 공간 S1의 길이 방향의 한쪽(제1 가로 방향 단부측)에 위치하는 벽부에는, 이동 공간 S1의 상부(상측 공간)에 대하여 작업자가 출입하기 위한 작업자 출입구(9a)와, 이동 공간 S1의 하부에 대하여 작업자가 출입하고 또한 스태커 크레인(4)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9b)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 출입구(9a)는, 가대(5)가 설치된 설정 높이 H보다 높은 개소에 형성되고, 출입구(9b)는, 가대(5)가 설치된 설정 높이 H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자동 창고 A에는, 작업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작업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작업대는, 이동 공간 S1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제1 가로 방향 단부측)으로 절첩(折疊)된 절첩 상태와, 이동 공간 S1에 있어서 설정 높이 H에 수평 자세로 전개된 전개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대는, 스태커 크레인(4)을 주행시켜 물품을 반송할 때는 절첩 상태로 전환되고, 작업자가 이동 공간 S1의 상부(상측 공간)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전개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스태커 크레인(4)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태커 크레인(4)은, 바닥측에 설치된 바닥측 레일(7)로 안내되어 이동 공간 S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주행 이동하는 주행 대차(11)와, 그 주행 대차(11)에 세워 설치된 복수 개의 지주(12)와, 복수 개의 지주(12)의 상단부에 걸쳐 연결되고, 또한 천정측에 설치된 천정측 레일(8)에 안내되는 피안내부(13)와, 지주(12)를 따라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 지지된 승강체(1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승강체(14)에는, 물품 수납 선반(2)의 수납부(1)나 반송 장치(3)와 자체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이송탑재 장치가 탑재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행 대차(11)에 지주(12)를 세워 설치하고, 또한 그 지주(12)의 상단부에 피안내부(13)를 연결함으로써, 바닥측 레일(7) 및 천정측 레일(8)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 공간 S1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주행 이동하는 주행체(16)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주(12)는, 설정 높이 H보다 낮은 분리 높이 L에서 하측 지주 부분(12a)과 상측 지주 부분(12b)으로 분리 가능 및 연결 가능하도록 분할 구성되어 있다. 즉, 주행체(16)는, 지주(12)를 하측 지주 부분(12a)과 상측 지주 부분(12b)으로 분리함으로써, 하측 주행 부분(16a)과 상측 주행 부분(16b)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측 지주 부분(12a)과 상측 지주 부분(12b)은 연결 부재(1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17)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하측 지주 부분(12a) 및 상측 지주 부분(12b)에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17)에 의한 하측 지주 부분(12a) 및 상측 지주 부분(12b)에 대한 체결이 해제되면 하측 지주 부분(12a)과 상측 지주 부분(12b)이 분리되고, 연결 부재(17)에 의해 하측 지주 부분(12a) 및 상측 지주 부분(12b)을 체결하여 하측 지주 부분(12a)과 상측 지주 부분(12b)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주행 대차(11)에는, 승강용 전동 모터(18) 및 그 승강용 전동 모터(18)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구동 풀리(19)가 설치되어 있다. 피안내부(13)에는, 승강용 벨트(21)를 통하여 전달되는 구동 풀리(19)의 회전에 종동(縱動)하여 회전하는 종동 풀리(2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풀리(19) 및 종동 풀리(20)에 권취된 승강용 벨트(21)의 일단측은 승강체(14)에 상방측으로부터 연결되고, 타단측은 승강체(14)에 하방측으로부터 연결되어 있다. 승강용 전동 모터(18)에 의해 구동 풀리(19)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승강용 벨트(21)에 연결된 승강체(14)가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한다.
또한, 주행 대차(11)에는, 주행용 전동 모터(22) 및 그 주행용 전동 모터(22)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주행 차륜(23)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 차륜(23)은, 바닥측 레일(7)의 상면을 구르도록 주행 대차(11)에 설치되어 있다. 주행용 전동 모터(22)에 의해 주행 차륜(23)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주행 대차(11)[하측 주행 부분(16a)]이 이동 공간 S1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측 레일(7) 상을 주행 이동한다.
바닥측 레일(7)은, 이동 공간 S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바닥측 레일(7)은, 주행 대차(11)에 구비된 피안내체(25)를 안내하는 안내부(7a)와, 주행 대차(11)의 주행 차륜(23)이 전동(轉動)하는 주행부(7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안내부(7a)는, 리니어 가이드 레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안내부(7a)에 의해 안내되는 피안내체(25)는, 가이드 블록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주행 대차(11)는 직선적으로 안내된다.
주행 대차(11)와 승강체(14)에 걸쳐 급전용 및 정보 통신용의 케이블(2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케이블(26)에 의해, 주행 대차(11)로부터 승강체(14)에 급전하고, 주행 대차(11)와 승강체(14)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 케이블(26)은, 그 일단부가 주행 대차(11)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승강체(14)에 접속되어 있고, 중간부가 하측 지주 부분(12a)에서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26)의 중간부를 지주(12)에 지지시킴으로써, 케이블(26)의 일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의 하중[(케이블(26)의 주행 대차(11)에 접속된 측의 하중)]이, 케이블(26)의 타단부와 승강체(14)와의 접속 개소에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케이블(26)의 중간부를 하측 지주 부분(12a)에 있어서 지지함으로써, 케이블(26)을 승강체(14)에서의 접속 개소에 작용하는 케이블(26)의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26)의 중간부를 상측 지주 부분(12b)이 아니고 하측 지주 부분(12a)에만 지지시킴으로써[(케이블(26)을 상측 주행 부분(15a)에서는 지지하지 않음으로써], 승강체(14)를 하측 주행 부분(16a)에 탑재 지지시킨 상태에서 주행체(16)를 하측 주행 부분(16a)과 상측 주행 부분(16b)으로 분리할 때, 케이블(26)을 지주(12)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스태커 크레인(4)의 분리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주행 부분(16b)과 분리되고 또한 아래 승강체(14)를 지지하고 있는 하측 주행 부분(16a) 상태를 "분리 상태"라고 한다. 주행체(16)는,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주행 이동 시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이동 공간 S1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 인접하는 출입용 공간 S2와 이동 공간 S1과의 사이에서 출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하측 지주 부분(12a)과 상측 지주 부분(12b)을 분리하는 분리 높이 L은 , 가대(5)가 설치되어 있는 설정 높이 H보다 낮고, 또한 승강체(14)의 상하 방향의 폭은, 주행 대차(11)의 상면과 하측 지주 부분(12a)의 상단과의 간격보다 작아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 대차(11)에 탑재 지지한 승강체(14)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주행 대차(11)의 상면과 하측 지주 부분(12a)의 상단과의 사이에 수용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측 주행 부분(16b)과 분리되고 또한 승강체(14)를 지지한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의 높이는, 설정 높이 H보다 낮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행체(16)는,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의 높이가 설정 높이 H보다 낮은 분리 높이 L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주행 이동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가대(5)의 하방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결국은, 피안내체(25)가 바닥측 레일(7)에 안내되고, 또한 주행 대차(11)가 바닥측 레일(7) 상을 이동하는 상태로 주행체(16)[하측 주행 부분(16a)]를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주행 이동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주행체(16)[하측 주행 부분(16a)]를 가대(5)의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주행체(16)[하측 주행 부분(16a)]는, 가대(5)를 분리하지 않고 가대(5)의 하방을 통해 이동 공간 S1과 출입용 공간 S2와의 사이에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주행 부분(16a)을 분리 상태로 하는 데 있어서, 승강용 벨트(21)에 대해서는, 그 양 단부를 승강체(14)로부터 분리하여, 구동 풀리(19) 및 종동 풀리(20)에 대한 권취를 해제하여, 지주(12)로부터 인출한다. 또한, 하측 주행 부분(16a)으로부터 분리된 상측 주행 부분(16b)에 대해서는, 자동 창고 A의 천정측에 연결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연결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바닥면 상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작업용 대차(28)가, 출입용 공간 S2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용 대차(28)는,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지지하여, 주행 안내하는 대차측 레일(29)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작업용 대차(28)는, 바닥측 레일(7)의 단부에 대차측 레일(29)이 연속되는 상태로 출입용 공간 S2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용 대차(28)에 구비된 대차측 레일(29)은, 바닥측 레일(7)과 같은 구성이며, 바닥측 레일(7)과 같은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대차측 레일(29)이 바닥측 레일(7)의 단부에 연속되도록, 작업용 대차(28)를 출입용 공간 S2의 탑재 하강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일련의 레일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바닥측 레일(7)과 대차측 레일(29)과의 사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용 대차(28)에 대하여 하측 주행 부분(16a)이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스태커 크레인(4)의 주행체(16)를 하측 주행 부분(16a)과 상측 주행 부분(16b)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주행 대차(11)를 이동시킴으로써, 바닥측 레일(7) 상에 있어서 하측 주행 부분(16a)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용 대차(28)를 출입용 공간 S2로 이동시켜 바닥측 레일(7)에 대차측 레일(29)이 연속되는 상태로 함으로써,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이동 공간 S1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제1 가로 방향 단부측)으로 이동시켜 바닥측 레일(7)로부터 대차측 레일(29)로 갈아타게 할 수 있다. 즉,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이동 공간 S1으로부터 인출용 공간으로 되는 출입용 공간 S2로 반출하면, 그 반출한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은 작업용 대차(28) 상으로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장소(작업장)까지 작업용 대차(28)를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용 대차(28)에 실린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도 작업장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유지보수 작업 방법, 특히, 스태커 크레인(4)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이동 공간 S1으로부터 인출하고, 자동 창고 A의 외부에서 하측 주행 부분(16a) 및 승강체(14)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유지보수 작업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 창고 A의 외부에서 하측 주행 부분(16a) 및 승강체(14)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수순으로 하측 주행 부분(16a) 및 승강체(14)를 이동 공간 S1으로부터 인출한다. 먼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현수(懸垂) 장치에 의해 승강체(14)를 현수 지지한 상태에서, 승강용 벨트(21)의 양 단부를 승강체(14)로부터 분리하고, 승강용 벨트(21)를 지주(12)의 지주공(12c)으로부터 빼내어, 승강용 벨트(21)를 스태커 크레인(4)으로부터 분리해 낸 후, 승강체(14)를 주행 대차(11) 상에 내린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수 장치에 의해 상측 주행 부분(16b)을 현수 지지하고, 지주(12)를 하측 지주 부분(12a)과 상측 지주 부분(12b)으로 분리하고, 주행체(16)를 하측 주행 부분(16a)과 상측 주행 부분(16b)으로 분리하고, 하측 주행 부분(16a)을 분리 상태로 한다.
현수 장치에 의해 현수 지지되어 있었던 상측 주행 부분(16b)은, 자동 창고 A의 상부에 연결 지지시킨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주행 부분(16b)과 분리되고 또한 승강체(14)를 지지한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바닥측 레일(7)에 의해 피안내부(13)가 안내되도록 이동시켜, 주행 이동 시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공간 S1으로부터 출입용 공간 S2로 반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 주행 부분(16a)을 이동 공간 S1으로부터 출입용 공간 S2로 반출할 때 작업용 대차(28)를 탑재 하강 위치에 위치시켜 둠으로써, 하측 주행 부분(16a)을 작업용 대차(28)에 실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하측 주행 부분(16a)을 탑재한 작업용 대차(28)를 이동 공간 S1의 외부에 위치하는 작업장까지 이동시켜, 하측 주행 부분(16a) 및 거기에 탑재 지지된 승강체(14)에 대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유지보수 작업이 종료한 후에는, 상기한 인출 수순을 반대로 행하여, 분할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이동 공간 S1에 넣고, 하측 주행 부분(16a)과 상측 주행 부분(16b)을 연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4)의 주행체(16)를 하측 주행 부분(16a)과 상측 주행 부분(16b)으로 분리하는 분리 높이 L은, 가대(5)가 설치되어 있는 설정 높이 H보다 낮다. 그러므로, 상측 주행 부분(16b)과 분리되고 또한 승강체(14)를 지지한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은, 주행 이동 시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가대(5)를 분리하지 않고 분리 상태의 하측 주행 부분(16a)을 이동 공간 S1으로부터 출입용 공간 S2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1) 상기 설명에서는, 설치물(50)로서, 이동 공간 S1의 상부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작업자가 진입하기 위한 가대(5)를 설치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설치물로서, 자동 창고 A에 대하여 물품을 입출고하기 위한 반송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2) 상기 설명에서는, 하측 주행 부분(16a)이, 그 하측 주행 부분(16a)을 안내하는 바닥측 레일(7) 상을 주행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하측 주행 부분(16a)은, 바닥면 상을 주행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하측 주행 부분(16a)은, 하측 주행 부분(16a)을 안내하는 바닥측 레일(7)과는 별개로 설치된 주행 레일 상을 주행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3) 상기 설명에서는, 케이블(26)을, 하측 지주 부분(12a)에만 지지시켰으나, 케이블(26)을, 상측 지주 부분(12b)에만 지지시켜도 되고, 또한 하측 지주 부분(12a)과 상측 지주 부분(12b)과의 양쪽에 지지시켜도 된다
(4) 상기 설명에서는, 물품 수납 선반(2) 및 이동 공간 S1의 주위를 덮는 주위벽(9)을 설치하였으나, 이 주위벽(9)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가대(5)와 바닥면과 대향하는 한쌍의 물품 수납 선반(2)에 의해 스태커 크레인(4)의 출입구(9b)가 형성되고, 가대(5)와 천정면과 대향하는 한쌍의 물품 수납 선반(2)에 의해 작업자 출입구(9a)가 형성된다.
1: 수납부
2: 물품 수납 선반
4: 스태커 크레인
5: 가대(설치물)
7: 바닥측 레일
8: 천정측 레일
11: 주행 대차
12: 지주
12a: 하측 지주 부분
12b: 상측 지주 부분
14: 승강체
16: 주행체
16a: 하측 주행 부분
16b: 상측 주행 부분
26: 케이블
28: 작업용 대차
29: 대차측 레일
50: 설치물
S1: 이동 공간
S2: 출입용 공간
H: 설정 높이

Claims (7)

  1. 상하 방향 및 가로 폭 방향으로 복수의 수납부가 병설된 물품 수납 선반;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설치된 한쌍의 상기 물품 수납 선반의 사이에 형성된 이동 공간을 주행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
    상기 이동 공간의 상기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 인접하는 상태로 미리 규정된 설정 높이에 설치된 설치물;
    을 포함하는 물품 보관 설비로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은, 바닥측에 설치된 바닥측 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주행 이동하는 주행 대차(臺車; carriage)와 상기 주행 대차에 세워 설치된 지주(支柱)를 가지는 주행체와, 상기 지주를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주에 안내 지지된 승강체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체는, 상기 수납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이송탑재 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설정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하측 지주 부분과 상측 지주 부분이 분리 가능 및 연결 가능하도록 분할 구성되며,
    상기 주행체는, 상기 지주를 상기 하측 지주 부분과 상기 상측 지주 부분으로 분리함으로써, 하측 주행 부분과 상측 주행 부분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측 주행 부분과 분리되고 또한 상기 승강체를 지지한 상태인 분리 상태의 상기 하측 주행 부분은, 주행 이동 시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분리 상태의 상기 하측 주행 부분을 상기 이동 공간에 대하여 상기 가로 폭 방향의 상기 한쪽에 인접하는 출입용 공간과 상기 이동 공간과의 사이에서 출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물은, 상기 이동 공간의 상부에 대하여 상기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작업자가 진입하기 위한 가대(架臺)인, 물품 보관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대차는, 상기 바닥측 레일 상을 주행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품 보관 설비는, 바닥면 상을 이동하는 작업용 대차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용 대차는, 상기 분리 상태의 상기 하측 주행 부분을 지지하여 주행 안내하는 대차측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물품 보관 설비는, 상기 바닥측 레일의 단부에 상기 대차측 레일이 연속되는 상태로 상기 출입용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대차와 상기 승강체에 걸쳐 설치된 급전용 또는 정보 통신용의 케이블은, 상기 하측 지주 부분에 지지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대차와 상기 승강체에 걸쳐 설치된 급전용 또는 정보 통신용의 케이블은, 상기 하측 지주 부분과 상기 상측 지주 부분 중 상기 하측 지주 부분에 지지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대차와 상기 승강체에 걸쳐 설치된 급전용 또는 정보 통신용의 케이블은, 상기 하측 지주 부분과 상기 상측 지주 부분 중 상기 하측 지주 부분에 지지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7. 상하 방향 및 가로 폭 방향으로 복수의 수납부가 병설된 물품 수납 선반;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설치된 한쌍의 물품 수납 선반의 사이에 형성된 이동 공간을 주행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스태커 크레인;
    상기 이동 공간의 상기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 인접하는 상태로 미리 규정된 설정 높이에 설치된 설치물;
    을 포함하는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유지보수 작업 방법으로서,
    상기 스태커 크레인을, 바닥측에 설치된 바닥측 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주행 이동하는 주행 대차와 상기 주행 대차에 세워 설치된 지주를 가지는 주행체와, 상기 지주를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주에 안내 지지된 승강체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승강체에 의해, 상기 수납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이송탑재 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설정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하측 지주 부분과 상측 지주 부분이 분리 가능 및 연결 가능하도록 분할 구성된 상기 지주를 상기 하측 지주 부분과 상기 상측 지주 부분으로 분리하여, 상기 주행체를 하측 주행 부분과 상측 주행 부분으로 분리하고,
    상기 상측 주행 부분과 분리되고 또한 상기 승강체를 지지한 상태인 분리 상태의 상기 하측 주행 부분을, 주행 이동 시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 공간으로부터 그 이동 공간에 대하여 상기 가로 폭 방향의 상기 한쪽에 인접하는 출입용 공간으로 반출하고,
    상기 이동 공간의 외부에서 상기 하측 주행 부분 및 상기 승강체의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유지보수 작업 방법.
KR1020120140114A 2011-12-21 2012-12-05 물품 보관 설비 및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유지보수 방법 KR101943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0178A JP5545498B2 (ja) 2011-12-21 2011-12-21 物品保管設備及び物品保管設備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方法
JPJP-P-2011-280178 2011-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128A KR20130072128A (ko) 2013-07-01
KR101943930B1 true KR101943930B1 (ko) 2019-01-30

Family

ID=4863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114A KR101943930B1 (ko) 2011-12-21 2012-12-05 물품 보관 설비 및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유지보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61095B2 (ko)
JP (1) JP5545498B2 (ko)
KR (1) KR101943930B1 (ko)
CN (1) CN103171842B (ko)
TW (1) TWI5586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0342A1 (en) * 2011-03-21 2014-04-24 Abb Research Ltd. Method and system for minimizing energy consumption during reverse osmosis unit operation
BR102013022724B1 (pt) * 2013-09-05 2021-08-31 Carmine Alexandre Cifelli Equipamento e método para a movimentação de contêineres
CN103482286A (zh) * 2013-09-18 2014-01-01 韦文新 料框自动移动装置
JP6160520B2 (ja) * 2014-03-11 2017-07-12 株式会社ダイフク 梯子及びそれを備えた収納棚用のメンテナンス設備
EP3192751B1 (en) * 2014-09-10 2021-06-16 Murata Machinery, Ltd. Temporary storage system, conveyance system using same, and temporary storage method
CN106794944B (zh) 2014-09-12 2019-07-09 株式会社爱发科 真空处理装置
DK178352B1 (da) * 2015-02-27 2016-01-04 Intelligent Systems As Transport- og lagersystem til servicering af et antal behandlings og plejeområder på et hospital, samt fremgangsmåde til drift heraf.
JP6414525B2 (ja) * 2015-09-02 2018-10-31 株式会社ダイフク 保管設備
JP6477436B2 (ja) * 2015-11-13 2019-03-0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601360B2 (ja) * 2016-09-30 2019-11-0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CN109843751B (zh) * 2016-10-18 2021-06-08 村田机械株式会社 高架输送车以及输送系统
WO2018154573A1 (en) * 2017-02-21 2018-08-30 Commonsense Robotics Ltd. Robotic delivery and retrieval of crates to and from non-uniformly sized storage spaces in a versatile shelving array
JP6672430B2 (ja) * 2018-02-21 2020-03-25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自動倉庫システム
CN111891678A (zh) * 2020-09-01 2020-11-06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东郊分院 一种基于互联网的仓库物业运输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2873A (ja) 2008-08-27 2010-03-11 Ihi Corp マスト構造
WO2011007667A1 (ja) 2009-07-14 2011-01-2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JP2011042475A (ja) 2009-08-21 2011-03-03 Daifuku Co Ltd 物品移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スタッカークレーン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52938A (en) * 1947-01-16 1953-09-22 John N Murphy Mechanism to transfer automobiles
US3779403A (en) * 1968-03-29 1973-12-18 Kaiser Ind Corp Container storage and handling apparatus
US3632001A (en) * 1969-05-05 1972-01-04 Eaton Yale & Towne Warehousing apparatus
US3612304A (en) * 1970-04-13 1971-10-12 Mcneil Corp Storage stacker unit and a transfer unit therefor
DE2126801C3 (de) * 1971-05-29 1974-01-17 Reinold K. 6000 Frankfurt Weber Regalanordnung
JPS5315262B2 (ko) * 1972-04-19 1978-05-23
US4026432A (en) * 1972-07-06 1977-05-31 Linde Aktiengesellschaft Lift-vehicle assembly
US3800963A (en) * 1972-12-04 1974-04-02 E Holland Material storage and handling system
JPS5332586B2 (ko) * 1973-01-19 1978-09-08
JPS52136385U (ko) * 1976-04-12 1977-10-17
DE7718050U1 (de) * 1977-06-08 1979-01-04 Theobald, Adolf, 5758 Froendenberg Vorrichtung zur speicherung von fuer die vorratshaltung dienenden paletten
US4286911A (en) * 1978-02-28 1981-09-01 Litton Systems, Inc. Semi-automated warehousing system
US4316528A (en) * 1980-03-11 1982-02-23 Harnischfeger Corporation Mechanism for latchingly connecting telescoping members
JPH0412080Y2 (ko) * 1986-09-03 1992-03-25
JPH0424597U (ko) * 1990-06-21 1992-02-27
JPH06213216A (ja) * 1993-01-14 1994-08-02 Daifuku Co Ltd 出し入れ装置
JPH07157007A (ja) * 1993-12-01 1995-06-20 Murata Mach Ltd 自動倉庫のメンテナンス装置
JPH0948506A (ja) * 1995-08-04 1997-02-18 Seibu Electric & Mach Co Ltd 走行クレーン
JPH1087022A (ja) * 1996-09-20 1998-04-07 Hitachi Ltd トラバーサ停止位置決め装置
JP4273423B2 (ja) * 2005-05-31 2009-06-03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JP4756372B2 (ja) 2006-09-13 2011-08-24 株式会社ダイフク 基板処理方法
JP2008074545A (ja) 2006-09-21 2008-04-03 Murata Mach Ltd ユニット化した移載装置
JP5162899B2 (ja) * 2006-12-28 2013-03-13 村田機械株式会社 被搬送物の保管装置
CN101641272B (zh) * 2007-04-16 2011-11-16 株式会社爱发科 输送机和成膜装置及其维护方法
TWM322943U (en) * 2007-06-06 2007-12-01 Ching Shun Forge Metel Co Ltd Improved lifter
JP4415397B2 (ja) * 2007-09-03 2010-02-17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5234328B2 (ja) * 2008-04-11 2013-07-1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JP2010247923A (ja) * 2009-04-14 2010-11-04 Murata Machinery Ltd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86121B2 (ja) * 2012-07-26 2015-03-18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タッカクレー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2873A (ja) 2008-08-27 2010-03-11 Ihi Corp マスト構造
WO2011007667A1 (ja) 2009-07-14 2011-01-2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JP2011020778A (ja) 2009-07-14 2011-02-03 Daifuku Co Ltd 物品保管設備
JP2011042475A (ja) 2009-08-21 2011-03-03 Daifuku Co Ltd 物品移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スタッカークレ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29502A (ja) 2013-07-04
JP5545498B2 (ja) 2014-07-09
CN103171842A (zh) 2013-06-26
TW201332863A (zh) 2013-08-16
TWI558632B (zh) 2016-11-21
US20140003894A1 (en) 2014-01-02
CN103171842B (zh) 2016-12-28
US8961095B2 (en) 2015-02-24
KR20130072128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930B1 (ko) 물품 보관 설비 및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의 유지보수 방법
TWI660896B (zh) Automatic warehouse
JP5282971B2 (ja) 物品保管設備
JP4600841B2 (ja) 自動車などの組立て用搬送装置
TW201532928A (zh) 將高架倉中的貨櫃入倉、出倉或轉倉的方法與裝置
JP6291228B2 (ja) 自動保管設備及び自動倉庫
TW201437120A (zh) 搬運設備及自動倉庫
CN111703998B (zh) 一种具有精确停靠功能的提升机
JP2009114828A (ja) 昇降設備
JP5810928B2 (ja) 有軌道走行車システム
KR100599825B1 (ko) 반송장치
JP2007290826A (ja) 乗客コンベアの構成部品搬入方法と構成部品搬出方法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乗客コンベアの改修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乗客コンベアの構成部品搬出入装置
CN112977235B (zh) 用于调度穿梭车的设备及系统
JP2018177406A (ja) 搬送用走行体
JP2001151307A (ja) 自動倉庫
KR20220142866A (ko)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JP2003212308A (ja) 物品移載装置
JP5751443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における昇降台昇降装置
KR100661098B1 (ko) 스태커 크레인 및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JP2003002410A (ja) 自動倉庫
CN217894915U (zh) 一种行走装置及起重设备
JPH11193112A (ja) 工場設備
JP2792262B2 (ja) 自走台車使用の搬送設備
JP2006001725A (ja) 物品搬送装置
JP2005082398A (ja) 移動荷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