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866A -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866A
KR20220142866A KR1020210049437A KR20210049437A KR20220142866A KR 20220142866 A KR20220142866 A KR 20220142866A KR 1020210049437 A KR1020210049437 A KR 1020210049437A KR 20210049437 A KR20210049437 A KR 20210049437A KR 20220142866 A KR20220142866 A KR 20220142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rtion
vertical ladder
frame
transpor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2866A/ko
Publication of KR20220142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6Platforms on, or for use on, ladders, e.g. liftable or lowerable platfo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프레임이 상하로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프레임, 본체프레임에 구비되고, 수직 사다리에 구비된 복수의 가로대에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복수의 걸이부재, 복수의 걸이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로대 사이를 상하 이동하도록, 본체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시키는 구동수단 및 중량물을 운반하도록 본체프레임에 구비되는 운반부재를 포함하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A HEAVY OBJECT CARRYING APPARATUS FOR VERTICAL LADDER}
본 발명은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 사다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내부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 층간에는 선원 또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계단이나 수직 사다리 등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계단 설치가 어려운 선박 내 협소한 공간에는 수직 사다리가 설치되어 있는데, 선박 내 작업으로 인해 수직 사다리를 통하여 중량물을 옮겨야 하는 경우, 여러 명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중량물을 옮겨야 했다.
즉, 선박 실내의 수직 사다리가 설치된 협소한 공간에는 크레인의 접근이나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여러 명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직 사다리의 하부에서 상부의 입구로 중량물을 옮기거나, 상부의 입구에서 하부로 중량물을 옮기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중량물 운반에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중량물을 들어서 운반해야하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2017-0141510호(공개일: 2017.12.26) "수직사다리"
본 발명에서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구체적으로는 수직 사다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중량물을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프레임이 상하로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프레임, 본체프레임에 구비되고, 수직 사다리에 구비된 복수의 가로대에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복수의 걸이부재, 복수의 걸이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로대 사이를 상하 이동하도록, 본체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시키는 구동수단 및 중량물을 운반하도록 본체프레임에 구비되는 운반부재를 포함하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프레임은, 사각틀 형태의 제1 프레임부 및 제1 프레임부에 비해 긴 길이로 형성되고, 제1 프레임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구동수단은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의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된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이동시키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구동수단은, 제2 프레임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랙기어, 제1 프레임부에 구비되고 랙기어 맞물리는 피니언기어 및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여, 제1 프레임부에서 제2 프레임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걸이부재는, 꺽쇠 형태로 형성되고, 일체로 구비된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수직 사다리에 구비된 복수의 가로대에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운반부재는, 중량물을 지지하는 운반대차, 본체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운반대차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레일부 및 운반대차를 이송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1 프레임부의 하단과 제2 프레임부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간의 거리 또는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는, 필요에 따라 수직 사다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수직 사다리를 따라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어, 중량물 운반 작업에 대한 작업 시간 및 노동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의 접근이나 사용이 어려운 협소한 공간에서 수직 사다리를 통하여 중량물을 옮기는 경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의 구성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의 구성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를 수직 사다리에 장착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를 이용하여 수직 사다리의 상부로 중량물을 운반하는 사용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의 구성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의 구성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를 수직 사다리(10)에 장착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는, 수직 사다리(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직 사다리(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중량물(w)을 운반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선박 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된 수직 사다리(10)를 통하여 중량물(w)을 운반하는 경우, 크레인의 접근이나 사용이 어려워 여러 명의 작업자의 수직 사다리(10)에서 수작업으로 중량물(w)을 운반해야 하는데, 본 실시예의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를 수직 사다리(10)에 장착하여 이용하면 작업자의 노동 없이 간편하게 중량물(w)을 운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는, 본체프레임(110), 걸이부재(140), 구동수단(150) 및 운반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프레임(110)은 복수의 프레임이 상하로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프레임(110)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부(120)와, 제1 프레임부(120)에 가이드결합되는 제2 프레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부(120)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121)와, 한 쌍의 가이드바(121)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 연결바(122) 및 한 쌍의 가이드바(121)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 연결바(123)를 포함하여, 사각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바(121)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부(130)는 제1 프레임부(120)의 한 쌍의 가이드바(121)에 각각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가이드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바(131)와, 한 쌍의 승강바(131)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3 연결바(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승강바(131)는 가이드바(121)에 비해 긴 길이로 형성되어, 승강바(131)의 하부쪽만 가이드바(121)에 삽입되어 가이드결합될 수 있다.
걸이부재(140)는 본체프레임(110)에 복수로 구비되어, 수직 사다리(10)에 구비된 복수의 가로대(11)에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걸이부재(140)가 제1 및 제2 프레임부(120,130)의 양측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120)의 상단 양측에 제2 걸이부재(140b)가 구비되고 하단 양측에는 제3 걸이부재(140c)가 구비되며, 제2 프레임부(130)의 상단 양측에 제1 걸이부재(140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걸이부재(140a,140b,140c)는 수직 사다리(10)에 구비된 가로대(11) 간의 간격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부(120,13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이부재(140)는 수직 사다리(10)의 가로대(11)에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꺽쇠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힌지축(1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힌지축(141)에는 모터 등의 구동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힌지축(141)에 연결된 걸이부재(140)가 회전하여 수직 사다리(10)의 가로대(11)에 걸림 결합되거나 걸림 해제될 수 있다.
구동수단(150)은 제1 프레임부(120)와 제2 프레임부(130)의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제1 프레임부(120)와 제2 프레임부(130) 간을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제2 프레임부(130)의 승강바(131)는 제1 프레임부(120)의 가이드바(121)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가이드결합될 수 있는데, 일 예로써 구동수단(150)은 구동모터(미도시)와 랙/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1 프레임부(120)의 가이드바(121)에서 제2 프레임부(130)의 승강바(131)를 승강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부(130)의 승강바(131)에는 길이방향으로 랙기어(151)가 구비될 수 있고, 제1 프레임부(120)의 가이드바(121)에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승강바(131)의 랙기어(151)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프레임부(120)의 가이드바(121)에 구비된 구동수단(150)의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동하여 피니언기어(152)가 회전하면, 피니언기어(152)에 맞물린 랙기어(151)가 제1 프레임부(120)의 승강바(131)를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시킬 수 있다.
즉, 구동수단(150)을 구동시켜 제1 프레임부(120)에서 제2 프레임부(130)를 길이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프레임부(120)와 제2 프레임부(130) 간을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는, 복수의 걸이부재(140)를 통해 선박 내 구비된 수직 사다리(10)의 가로대(11)에 걸림 결합될 수 있고, 구동수단(150)을 구동시켜 제1 프레임부(120)에서 제2 프레임부(130)를 연장시키거나 수축시키면서 복수의 걸이부재(140)를 선택적으로 수직 사다리(10)의 가로대(11)에 걸거나 걸림 해제시킴으로써, 수직 사다리(10)를 오르거나 내려가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부(120)의 하단과 제2 프레임부(130)의 상단에는 각각 상호 간의 거리 및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부재(170)가 구비될 수 있다.
운반부재(160)는 중량물(w)을 운반하도록 본체프레임(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반부재(160)는 중량물(w)을 지지하며 본체프레임(110)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반부재(160)는 중량물(w)을 지지하는 운반대차(161)와, 본체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운반대차(16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레일부(162)와, 운반대차(161)를 이송레일부(162)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구동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반대차(161)는 중량물(w)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송레일부(16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롤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송레일부(162)는 제1 프레임부(12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이송레일(162a)과, 제2 프레임부(13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제1 이송레일(162a)과 가이드결합되는 제2 이송레일(16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호 가이드결합된 제1 이송레일(162a)과 제2 이송레일(162b) 역시, 제1 프레임부(120)와 제2 프레임부(130)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이송구동부(163)는 모터와 랙/피니언기어 구조를 통해 운반대차(161)를 제1 및 제2 이송레일(162a,162b)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써, 제1 및 제2 이송레일(162a,162b)에는 길이방향으로 랙기어(164)가 구비될 수 있고, 운반대차(161)에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제1 및 제2 이송레일(162a,162b)에 형성된 랙기어(164)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구동부(163)의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운반대차(161)에 구비된 피니언기어(165)를 회전시키면, 피니언기어(165)가 제1 및 제2 이송레일(162a,162b)에 구비된 랙기어(164)와 맞물리며 회전하면서 운반대차(161)를 제1 및 제2 이송레일(162a,162b)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운반대차(161)에 지지된 중량물(w)을 본체프레임(1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송하거나, 본체프레임(11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송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를 이용하여 수직 사다리(10)의 상부로 중량물(w)을 운반하는 사용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를 수직 사다리(10)에 장착하여 중량물(w)을 운반하는 과정에서는, 먼저 복수의 걸이부재(140a,140b,140c)를 통해 본체프레임(110)의 제1 및 제2 프레임부(120,130)를 수직 사다리(10)의 가로대(11)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부(120)의 하부에 배치된 운반대차(161)에 운반하고자 하는 중량물(w)을 적재할 수 있다.
다음, 제2 프레임부(130) 상단의 제1 걸이부재(140a)를 걸림 결합된 수직 사다리(10)의 가로대(11)에서 해제시키고, 구동수단(150)을 구동시켜 제1 프레임부(120)로부터 제2 프레임부(130)를 한단계 위쪽에 배치된 가로대(11) 쪽으로 연장시킬 수 있으며, 이어서 제2 프레임부(130) 상단의 제1 걸이부재(140a)를 한단계 위쪽에 배치된 가로대(11)에 걸어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원격으로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를 조종하거나, 기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수직 사다리(10)에 구비된 복수의 가로대(11) 간의 간격에 맞추어 제1 프레임부(120)로부터 제2 프레임부(130)를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고, 제1 및 제2 프레임부(120,130)에 구비된 복수의 걸이부재(1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제1 프레임부(120)의 하단과 제2 프레임부(130)의 상단에 각각 구비된 센서부재(170, 도1 참조)를 통해 제1 프레임부(120)에서 제2 프레임부(130)가 어느정도 길이 연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부(130) 상단의 제1 걸이부재(140a)가 한단계 위쪽에 배치된 수직 사다리(10)의 가로대(11)에 걸림 결합되면, 제1 프레임부(120)의 제2 및 제3 걸이부재(140b,140c)를 해제시키고, 구동수단(150)을 구동시켜 제2 프레임부(130)의 하부에 연결된 제1 프레임부(120)를 제2 프레임부(130)를 따라 가이드이동시켜 위로 끌어올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프레임부(120)의 제2 및 제3 걸이부재(140b,140c)를 이전에 결합된 위치보다 한단계 위쪽에 배치된 수직 사다리(10)의 가로대(11)에 걸어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를 수직 사다리(10)의 상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2 프레임부(130)가 수직 사다리(10)의 상부에 배치되면, 이송구동부(163)를 구동시켜 중량물(w)이 지지된 운반대차(161)를 제1 및 제2 프레임부(120,130)에 구비된 이송레일부(162)를 따라 제2 프레임부(130)의 상단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직 사다리(10)의 상부 쪽에 중량물(w)이 지지된 운반대차(161)가 배치될 수 있고, 작업자는 운반대차(161)에 의해 수직 사다리(10) 상부로 이송된 중량물(w)을 건내 받을 수 있다.
또한,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를 수직 사다리(10)의 하부 쪽으로 내려오도록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상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운반대차(161)를 통해 수직 사다리(10) 상부에서 하부로 중량물(w)을 운반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를 수직 사다리(10)의 하부 쪽으로 내려오면, 수직 사다리(10)의 가로대(11)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부(120,130)에 구비된 복수의 걸이부재(140)를 해제하여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를 분리하고 회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수직 사다리(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수직 사다리(10)를 따라 중량물(w)을 운반할 수 있어, 중량물(w) 운반 작업에 대한 작업 시간 및 노동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의 접근이나 사용이 어려운 협소한 공간에서 수직 사다리(10)를 통하여 중량물(w)을 옮기는 경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직 사다리 11 : 가로대
100 :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110 : 본체프레임
120 : 제1 프레임부 130 : 제2 프레임부
140 : 걸이부재 150 : 구동수단
160 : 운반부재 170 : 센서부재

Claims (6)

  1. 복수의 프레임이 상하로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고, 수직 사다리에 구비된 복수의 가로대에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복수의 걸이부재;
    상기 복수의 걸이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가로대 사이를 상하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시키는 구동수단; 및
    중량물을 운반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는 운반부재를 포함하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사각틀 형태의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에 비해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의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된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이동시키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2 프레임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랙기어;
    상기 제1 프레임부에 구비되고 상기 랙기어 맞물리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여, 상기 제1 프레임부에서 상기 제2 프레임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꺽쇠 형태로 형성되고, 일체로 구비된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직 사다리에 구비된 복수의 가로대에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재는,
    중량물을 지지하는 운반대차;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운반대차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레일부; 및
    상기 운반대차를 상기 이송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의 하단과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 간의 거리 또는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KR1020210049437A 2021-04-15 2021-04-15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KR20220142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437A KR20220142866A (ko) 2021-04-15 2021-04-15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437A KR20220142866A (ko) 2021-04-15 2021-04-15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866A true KR20220142866A (ko) 2022-10-24

Family

ID=8380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437A KR20220142866A (ko) 2021-04-15 2021-04-15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28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128B1 (ko) 2023-12-27 2024-04-25 오동영 화물 이송용 이동식 사다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510A (ko) 2016-06-15 2017-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직사다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510A (ko) 2016-06-15 2017-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직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128B1 (ko) 2023-12-27 2024-04-25 오동영 화물 이송용 이동식 사다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2971B2 (ja) 物品保管設備
US3666054A (en) Ladder dolly and winch
JP5545498B2 (ja) 物品保管設備及び物品保管設備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方法
CN105384035A (zh) 导轨安装装置和用于安装导轨的方法
KR20110137864A (ko) 건축공사용 리프트
CN112078990A (zh) 用于储罐清洗或防腐的高效活动装置
KR100591111B1 (ko) 스태커 크레인
KR20220142866A (ko) 수직 사다리용 중량물 운반장치
JP5429559B2 (ja) 倉庫設備
JP7241154B2 (ja) 移動システム、物品の移動方法、および関連する構成要素
KR20120114106A (ko) 대차 레일 이동용 지그
JP4509875B2 (ja) 建物外壁部施工用の資材搬送システム
JP2546593B2 (ja) 建設資材搬送装置
JP3776654B2 (ja) 自動倉庫
JP5622003B2 (ja) ストッカー
RU197926U1 (ru) Тележка для разведения и сбора грибов на многоярусных устройствах
KR200479223Y1 (ko) 비계용 리프트 장치
JP2546118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0932287B1 (ko) 작업대차 장치
JP3187141B2 (ja) 高所作業台車装置
JPH079156B2 (ja) セグメント搬送装置
JP6789836B2 (ja) 重量物運搬装置、及び重量物運搬方法
JP7446505B1 (ja) 部材運搬装置、及び部材運搬方法
CN108178111B (zh) 一种汽车吊具保护装置
JP2019123614A (ja) コンテナクレーン及びコンテナクレーンによる荷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