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758B1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758B1
KR101909758B1 KR1020130101501A KR20130101501A KR101909758B1 KR 101909758 B1 KR101909758 B1 KR 101909758B1 KR 1020130101501 A KR1020130101501 A KR 1020130101501A KR 20130101501 A KR20130101501 A KR 20130101501A KR 101909758 B1 KR101909758 B1 KR 101909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tip section
joint
tip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1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239A (ko
Inventor
다쿠지 가와무라
마사요시 나카오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9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낚싯대로서, 선단이 가는 균일한 테이퍼 형상을 갖는 금속 파이프 관을 팁섹션으로서 사용한 낚싯대가 알려져 있다. 낚싯대는, 테이퍼 형상으로 신장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팁섹션 로드의 선단부측을 임의 길이의 중실 구조로 하고, 중실 구조에 이어서 중공 구조를 포함하는 팁섹션부와, 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을 이루는 팁섹션 홀딩부와, 금속 재료 또는 섬유 강화 수지 재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팁섹션부와 팁섹션 홀딩부를 접합하는 조인트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
본 발명은, 금속에 의해 형성된 팁섹션 로드가 설치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있어서의 낚싯대는,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굽힘 강성이나 비틀림 강성 등이 향상되고, 낚싯대의 세경화 및 경량화가 진행되어, 취급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낚싯대 전체의 세경화에 따라, 낚싯대 선단도 가늘어지지만, 어종에 따라서는, 낚싯대 선단에 부하가 크게 가해져, 낚싯대의 강도의 밸런스 설계가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낚싯대 선단은, 낚시줄이 얽힌 상태에도 불구하고 릴로 낚시줄을 감아 올리거나, 또는 채비를 투입하여 국소적인 부하를 가한 경우에는, 톱 가이드 부분 또는 팁섹션이 부러져 버리는 사고가 발생한다.
따라서 팁섹션 로드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단이 가는 균일한 테이퍼 형상을 갖는 금속 파이프 관을 팁섹션으로서 사용한 낚싯대가 제안되어 있다. 이 제안에서는, 또한, 금속관 표면에 내식성 코팅이나 프리프레그를 권취함으로써, 표면 처리를 행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물론,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낚싯대에 있어서는, 중실의 구조의 팁섹션 로드도 유통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53-134686호 공보
전술한 인용문헌 1에서는, 금속관에 스웨이징 가공을 이용하여 선단이 가는 테이퍼 가공하고 있다. 또한, 이 공법을 이용하면, 선단 부분이 두꺼워지므로, 연삭에 의해 두께가 얇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금속판을 롤 권취 가공, 또는 파이프 가공에 의해 제조하는 구성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두께 조정에 의해 가요성을 갖게 하였다고 해도, 팁섹션 로드를 균일하게 중공의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어종별의 전용 낚싯대, 예를 들어 은어용 낚싯대나 등푸른 생선용 낚싯대와 같이 낚싯대의 휨 상태가 다른 낚싯대가 요구된 경우에, 단순한 두께 조정만으로는 범용성이 없어, 안이하게 적용해도 만족할 수 있는 구조로 되지는 않는다. 또한, 은어용 낚싯대와 같이, 긴 팁섹션 로드이면, 전체를 금속관으로 작성할 수도 없고, 낚싯대 전체의 휨 상태로부터 보면, 도중에 수지제 낚싯대에 연결할 필요가 있지만, 인용문헌 1에서는, 아무런 기술도 제공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량이고 충분한 강성을 갖고, 또한 어신을 받아 감도 좋게 휘어, 입질을 분별하기 쉬운 팁섹션을 갖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형태의 낚싯대는, 직축이고 원통으로 신장된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낚싯대 선단측에 배치되는 임의 길이의 중실부 및 상기 중실부에 이어지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팁섹션부와, 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을 이루는 팁섹션 홀딩부와, 상기 금속 재료 또는 섬유 강화 수지 재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팁섹션부와 상기 팁섹션 홀딩부를 접합하는 조인트부로 구성되는 팁섹션 로드를 갖는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는 직축이고 원통으로 신장된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낚싯대 선단측에 배치되는 임의 길이의 중공부를 포함하는 팁섹션부와, 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을 이루는 팁섹션 홀딩부와, 상기 금속 재료 또는 섬유 강화 수지 재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팁섹션부와 상기 팁섹션 홀딩부를 접합하는 조인트부로 구성되는 팁섹션 로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이고 충분한 강성을 갖고, 또한 어신을 받아 감도 좋게 휘어, 입질을 분별하기 쉬운 팁섹션을 갖는 낚싯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의 전체적인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의 (b)는, 가공 전의 팁섹션 로드의 재료의 단면도, 도 1의 (c)는, 팁섹션 로드 부분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의 (a)는, 다른 예로서, 가공 전의 팁섹션 로드의 재료의 단면도, 도 2의 (b)는, 팁섹션 로드 부분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가공 전의 팁섹션 로드의 재료의 단면도, 도 3의 (b)는, 팁섹션 로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c)는, 다른 예로 되는 팁섹션 로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가이드가 설치된 팁섹션 로드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팁섹션 로드의 팁섹션부와 팁섹션 홀딩부의 조인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가이드가 설치된 낚싯대에 있어서의 팁섹션 로드의 조인트 부분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가이드가 설치된 낚싯대에 있어서의 팁섹션 로드의 조인트 부분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7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의 전체적인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의 (b)는, 가공 전의 팁섹션 로드의 재료의 단면도, 도 1의 (c)는, 팁섹션 로드 부분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다른 예로서, 가공 전의 팁섹션 로드의 재료의 단면도, 도 2의 (b)는, 팁섹션 로드 부분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로서, 복수로 분할되어 노멀 조인트식이나 세이크 아웃식 등에 의해 결합되고, 하나의 낚싯대로 되는 조인트 낚싯대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낚싯대 선단에 본 실시 형태의 구조의 팁섹션부를 설치한 소위 원피스 낚싯대에도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1)는, 낚싯대 선단측으로부터, 팁섹션 로드(2), 2번 로드(3) 및 벗 로드(butt rod)(4)가 이어져, 하나의 낚싯대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팁섹션 로드(2)는, 금속제 팁섹션을 채용한 팁섹션부(2a)와, 그 팁섹션부(2a)와 접합하고, 카본 등의 강화 섬유에 섬유 강화 수지를 함침한 수지 시트, 소위 프리프레그를 사용한 수지제의 팁섹션 홀딩부(2b)에 의해 구성된다.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탈 톱의 팁섹션부(2a)는, 선단측의 중실부(금속에 의한 솔리드)(6a)와, 중공부(소위, 튜블러)(6b)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팁섹션부(2a)는,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티탄 합금을 재료로 하는 가늘고 긴 캡 형상[바닥부(5a)와 통부(5b)]의 팁섹션 재료(5)를 사용하여, 스웨이징 가공을 이용하여 선단이 가는 테이퍼 가공에 의해, 신장시키고 있다. 또한, 도 1의 (b)에서는, 캡 형상의 팁섹션 재료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파이프) 형상의 팁섹션 재료(7)를 스웨이징 가공을 이용하여 선단이 가는 테이퍼 가공에 의해,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으로 신장시켜도 된다.
또한, 통 형상의 팁섹션 재료(7)를 사용하였다고 해도, 선단이 가는 테이퍼 가공에 의해서는, 가는 선단 부분의 파이프 형상을 찌부러뜨릴 수 있고, 중실부로 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중공 구조의 팁섹션 로드 내에서 부분적으로 충전 부재를 삽입하여 고착시킴으로써, 임의 개소의 일부를 중실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 기술로서는, 전체가 중실 구조(솔리드 구조)인 팁섹션 로드, 또는 인용문헌 1에서 제안되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금속관을 신장시킨 중공 구조의 팁섹션 로드가 공지로 되어 있다. 또한, 인용문헌 1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팁섹션 로드의 중실부는, 강선 또는 탄소 섬유 등에 합성 수지가 권취된 막대 형상 부재가 삽입된 구조이다.
통상, 전체가 중실 구조인 팁섹션 로드는, 높은 강성이 얻어지지만, 중공 구조에 비하면, 중량이 있고, 감도도 높지 않다. 이에 대해, 중공 구조의 팁섹션 로드는, 중실 구조에 비하면 높은 강성은 아니지만, 섬유 강화 수지로 이루어지는 팁섹션 로드에 비하면 높은 강성을 갖고 있다. 또한, 중공 구조의 팁섹션 로드는, 중실 구조에 비하면, 동일한 직경이면, 경량화가 실현화되고, 설계 사양에 맞추어 로드의 직경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단, 종래 기술에서 제안되어 있는 팁섹션 로드의 중공부 전체에 막대 형상 부재를 삽입하여 중실부로 한 구성은, 강성의 조정은 가능하지만, 중공부에 비해, 중량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다. 또한, 별체의 막대 형상 부재를 팁섹션 로드의 가늘고 긴 중공부에 삽입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였다고 해도, 밀착시켜 간극을 없애는 것은 용이하지는 않다. 또한, 간극을 메웠다고 해도 막대 형상 부재와 접착제에 의해 치우침이 발생하여, 로드의 직경의 중심으로부터 무게 중심이 어긋나 있었던 경우에는, 부하가 가해졌을 때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만곡 형상이 변화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팁섹션 로드(2) 중 낚싯대 선단측의 팁섹션부(2a)는, 선단을 임의 길이의 중실 구조(6a)로 하고, 선단에 이어서 중공 구조(6b)로 함으로써, 세경화를 실현하면서 선단 부분의 강도를 확보하고, 또한 팁섹션 홀딩부(2b)측을 중공 구조로 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금속 재료의 특유의 높은 감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변형예로서는, 팁섹션부(2a)를 중공 구조로 하여 형성하고, 중공 구조인 팁섹션 홀딩부(2b)를 잇는 구성이어도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팁섹션 로드의 형성 후에 중공 부분 전체에 충전물을 매립하도록 삽입하고 있지 않으므로, 로드의 직경의 중심으로부터 무게 중심이 어긋나는 일은 없어, 낚싯대의 휨을 저해하는 비틀림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는, 낚시줄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낚싯대를 일례로서 기재하고 있지만, 물론, 낚시줄 가이드를 설치하였다고 해도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가공 전의 팁섹션 로드의 재료의 단면도, 도 3의 (b)는, 팁섹션 로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팁섹션 로드의 중공 부분 중에 복수의 부분적 중실부를 배치한 구성이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팁섹션 로드(11)의 중실부(11a)가 낚싯대 선단에 배치되고, 이어서 중공부(11b)가 배치된다. 또한, 중공부(11b)의 도중에 중실부(11c)를 형성한 구조이다. 이 구조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술한 캡 형상[바닥부(12a) 및 통부(12b)]에, 벽부(12c)를 추가한 구조의 팁섹션 재료(12)를 사용하여, 스웨이징 가공을 이용하여 선단이 가는 테이퍼 가공에 의해, 신장시키고 있다.
팁섹션 재료(12)에 있어서의 벽부(12c)의 배치나 두께는,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스웨이징 가공 후에 요구한 위치나 두께로 되도록, 실제의 가공을 실시한 결과로부터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팁섹션 로드(11) 내의 중실부(11c)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두껍게 형성되는 협착부(13)이어도 된다. 이 협착부(13)를 형성함으로써, 굽힘 강성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만곡 형상이나 휨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협착부(13)의 돌출 형상이나 그 폭을 조정함으로써, 굽힘 강성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팁섹션 로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감도, 경량화를 실현하고, 또한, 중공부 내에서 임의의 위치 및 크기로, 1개 이상의 중실부, 또는 협착부(13)를 배치함으로써, 강성을 국소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 원하는 굽힘 강성이나 비틀림 강성에 더하여, 원하는 휨 형상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조인트 로드에서 가늘고 긴 팁섹션 로드에 대해, 원하는 휨 형상을 얻을 수 있고, 어신을 받았을 때 팁섹션이 휘었을 때의 움직임에 변화가 생겨, 그 변화를 감도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외측의 테이퍼 형상을 길이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두께를 변화시키고, 강성을 부분적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가이드가 설치된 팁섹션 로드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팁섹션 로드에 있어서의 팁섹션부와 팁섹션 홀딩부의 조인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부위와 동등한 구성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톱 가이드(23) 및 복수의 낚시줄 가이드(24a 내지 24e)가 배치된 팁섹션 로드(21)에 있어서, 전술한 팁섹션부(2a)와, 팁섹션 홀딩부(2b)가 연결된 구성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인트 부재(25)를 사용한 스피곳 조인트(spigot joint)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물론, 팁섹션부(2a)와 팁섹션 홀딩부(2b)가 서로 끼워 맞추는 노멀 조인트의 조인트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팁섹션부(2a)와 팁섹션 홀딩부(2b)는, 조인트부를 형성하는 조인트 부재(25)에 의한 스피곳 조인트 구조로 구성된다. 조인트 부재(25)는, 예를 들어 금속 부재, 또는 수지 부재(프리프레그를 권회하여 고화한 부재 등)에 의해, 중실 구조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팁섹션 홀딩부(2b) 및 팁섹션부(2a)가 서로 끼워 넣어져,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다. 팁섹션 홀딩부(2b) 및 팁섹션부(2a)의 사이에 낚시줄 가이드의 풋부가 걸쳐지고, 간극(27)을 걸친 상태에서 고정된다. 간극(27)은, 낚시줄 가이드의 권사 고정된 풋부와 함께, 에폭시 수지 등에 의해 매립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인트 부재(25)를 사용한 스피곳 조인트에 의해, 강도를 유지하고, 또한 팁섹션 로드의 휨 상태가 균일한 굽힘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부재(25)의 재료(섬유 강화 수지 또는 금속 재료 등)의 경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함으로써, 팁섹션 로드의 휨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시줄 가이드가 설치된 낚싯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물론, 가이드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낚싯대에 있어서도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가이드가 설치된 낚싯대에 있어서의 팁섹션 로드의 조인트 부분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팁섹션부(2a)와, 팁섹션 홀딩부(2b)를 연결하는 조인트 부재를 중실 구조로부터 중공 구조로 변경한 예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팁섹션부(2a)와 팁섹션 홀딩부(2b)가, 내부가 중공의 원통(파이프) 형상인 조인트 부재(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부재(26)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제3 실시 형태보다도 팁섹션 로드의 휨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인트 부재(26)의 두께를 일정한 두께가 아닌, 낚싯대 선단측을 낚싯대 벗 로드측보다도 얇게 함으로써, 팁섹션측의 휨량이 커지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팁섹션부(2a)와 팁섹션 홀딩부(2b)의 휨 상태가 조인트 부분의 전후에서 스무즈한 곡률로 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가이드가 설치된 낚싯대에 있어서의 팁섹션 로드의 조인트 부분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팁섹션부(2a)와 팁섹션 홀딩부(2b)는, 팁섹션부의 단부에 권회된 섬유 강화 수지로 이루어지는 조인트부에 의해 접합된 형상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팁섹션부의 후단부의 단차에 조인트 부재(33)를 형성하고, 조인트 부재(33)에 형성한 단차에, 팁섹션 홀딩부(34)를 접합한 구조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팁섹션부(32)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프리프레그 등의 섬유 강화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조인트 부재(33)는, 상술한 금속 재료 또는 섬유 강화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의 팁섹션부(32)의 외주측으로부터 연삭하여 단차적으로 얇게 한 접합부(32a)를 형성한다. 이 접합부(32a)에 대해 표면 부분이 스무스한 면(평탄면)으로서 연결되도록 조인트 부재(33)를 끼움 장착하고 있다. 또한, 접착제 등으로 고착해도 된다(제1 겹침 구조). 다음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 부재(33)에 있어서도 외주측으로부터 연삭하여 단차적으로 얇게 한 접합부(33a)를 형성한다. 이때, 접합부(33a)는, 접합부(32a)와 겹쳐진 적층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부재(33)의 접합부(33a)에 대해 표면 부분이 스무스한 면(평탄면)으로서 연결되도록 팁섹션 홀딩부(34)를 끼움 장착하고, 접착제 등으로 고착된다(제2 겹침 구조). 따라서 각각의 접합부가 팁섹션 홀딩부(34)와 겹쳐짐으로써, 팁섹션부(32)가 조인트 부재(33)를 사이에 두고 팁섹션 홀딩부(34)에 적층된 구조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합부(32a) 및 조인트 부재(33)와, 접합부(33a) 및 팁섹션 홀딩부(34)에 있어서의 표면측의 접합면이 평탄면으로 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것은, 낚시줄 가이드의 풋 부분이 이음매에 걸리기 때문이며, 반대로 풋 부분이 걸리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평탄면으로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접합부의 두께 및 접합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팁섹션부(32), 조인트 부재(33) 및 팁섹션 홀딩부(34)의 두께, 겹침량(면적 또는 길이)을 조정함으로써, 팁섹션 로드의 휨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조인트 부재(33)를 개재한 상태에서, 팁섹션부(32)로부터 팁섹션 홀딩부(34)까지 일체적인 겹침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휨 상태가 각각의 조인트 부분에서 스무즈한 곡률로 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는, 팁섹션 로드가 중공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낚싯대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중실 구조의 동일한 직경의 구성에 대해, 팁섹션부와 팁섹션 홀딩부의 강성차를 크게 할 수 있고, 팁섹션 로드의 어신에 대한 입질에 의한 휨에 변화가 생기기 쉬우므로, 손에 전해지는 감촉과 함께 팁섹션이 휘었을 때의 움직임에 변화가 생기고, 그 변화를 감도로 파악할 수 있고, 입질을 알기 쉬운, 감도가 좋은 낚싯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중공 구조이고, 또한 부분적으로 중실 구조 부분을 배치함으로써,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면서 원하는 휨 형상을 얻을 수 있어, 겉보기에 알기 쉬운 휨 상태뿐만 아니라, 잡힌 물고기의 도입이 용이한 탄력이 있는 낚싯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팁섹션부(32) 및 팁섹션 홀딩부(34)의 테이퍼 각도에 변화를 갖게 하는, 즉 원하는 직경의 테이퍼 형상으로 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낚싯대 선단 부분이 휘기 쉬워, 어신에 의한 입질에 변화를 생기게 할 수 있다. 또한, 외형뿐만 아니라 팁섹션부(32)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강성 및 휨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1 : 낚싯대
2, 21 : 팁섹션 로드
2a : 팁섹션부
2b : 팁섹션 홀딩부
3 : 2번 로드
4 : 벗 로드
6a, 11c : 중실부
6b, 11b : 중공부
12 : 팁섹션 재료
12a : 바닥부
12b : 통부
12c : 벽부
23 : 톱 가이드
24 : 낚시줄 가이드
25 : 조인트 부재

Claims (8)

  1. 직축이고 원통으로 신장된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낚싯대 선단측에 배치되는 임의 길이의 중실부 및 상기 중실부에 후방으로 이어지는 중공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외형이 테이퍼 형상을 이루며, 테이퍼 각도를 길이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변화시켜서 상기 중공부의 두께를 조정하고, 부분적으로 강성을 변화시키는 팁섹션부와,
    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을 이루는 팁섹션 홀딩부와,
    상기 금속 재료 또는 섬유 강화 수지 재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팁섹션부와 상기 팁섹션 홀딩부를 스피곳 조인트로 이으며, 원통 형상 또는 두께가 조정된 파이프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조인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팁섹션부의 선단부를 포함하여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 표면에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조인트부의 양단이 내면에 접하는 위치의 상기 팁섹션부 및 상기 팁섹션 홀딩부의 각각의 표면 위와, 상기 조인트부에 의한 접합 개소를 양쪽에 걸치고 상기 팁섹션부 및 상기 팁섹션 홀딩부의 양단에 걸리는 위치에 상기 낚싯줄 가이드의 풋부가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2. 직축이고 원통으로 신장된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낚싯대 선단측에 배치되는 임의 길이의 중실부 및 상기 중실부에 후방으로 이어지는 중공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외형이 테이퍼 형상을 이루며, 테이퍼 각도를 길이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변화시켜서 상기 중공부의 두께를 조정하고, 부분적으로 강성을 변화시키는 팁섹션부와,
    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을 이루는 팁섹션 홀딩부와,
    상기 금속 재료 또는 섬유 강화 수지 재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팁섹션부와 상기 팁섹션 홀딩부를 접합하는 조인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부는 중앙에 중공부를 갖는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상기 팁섹션부는 후단의 주위에 걸친 표면으로부터 단차가 설치된 제1 접합면을 갖고, 상기 제1 접합면에 감합되는 상기 조인트부의 표면과 상기 팁섹션부의 표면이 평탄하게 이어지도록, 감합하는 상기 조인트부 및 상기 팁섹션부에 의한 2층 구조의 제1 겹침 구조를 갖고,
    상기 조인트부는 후단의 주위에 걸쳐 표면으로부터 단차가 설치된 제2 접합면을 갖고, 상기 제2 접합면에 감합되는 상기 팁섹션 홀딩부의 표면과 상기 조인트부의 표면이 평탄하게 이어지도록 상기 팁섹션 홀딩부에 감합하여, 상기 팁섹션부와 상기 조인트부에 의한 상기 제1 겹침 구조에, 추가로 상기 팁섹션 홀딩부가 겹쳐지는 3층 구조의 제2 겹침 구조를 갖는, 낚싯대.
  3. 직축이고 원통으로 신장된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낚싯대 선단측에 배치되는 임의 길이의 중공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외형이 테이퍼 형상을 이루며, 테이퍼 각도를 길이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변화시켜서 상기 중공부의 두께를 조정하고, 부분적으로 강성을 변화시키는 팁섹션부와,
    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을 이루는 팁섹션 홀딩부와,
    상기 금속 재료 또는 섬유 강화 수지 재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팁섹션부와 상기 팁섹션 홀딩부를 접합하는 조인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부는 중앙에 중공부를 갖는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상기 팁섹션부는 후단의 주위에 걸친 표면으로부터 단차가 설치된 제1 접합면을 갖고, 상기 제1 접합면에 감합되는 상기 조인트부의 표면과 상기 팁섹션부의 표면이 평탄하게 이어지도록, 감합하는 상기 조인트부 및 상기 팁섹션부에 의한 2층 구조의 제1 겹침 구조를 갖고,
    상기 조인트부는 후단의 주위에 걸쳐 표면으로부터 단차가 설치된 제2 접합면을 갖고, 상기 제2 접합면에 감합되는 상기 팁섹션 홀딩부의 표면과 상기 조인트부의 표면이 평탄하게 이어지도록 상기 팁섹션 홀딩부에 감합하여, 상기 팁섹션부와 상기 조인트부에 의한 상기 제1 겹침 구조에, 추가로 상기 팁섹션 홀딩부가 겹쳐지는 3층 구조의 제2 겹침 구조를 갖는, 낚싯대.
  4. 직축이고 원통으로 신장되고 일체적으로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낚싯대 선단측에 배치되는 임의 길이의 중실부 및 상기 중실부에 후방으로 이어지는 금속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에 이어 섬유 강화 수지에 의해 형성된 중공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외형이 테이퍼 형상을 이루며, 테이퍼 각도를 길이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변화시켜서 상기 중공부의 두께를 조정하고, 부분적으로 강성을 변화시키는 팁섹션부와,
    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을 이루는 팁섹션 홀딩부와,
    상기 금속 재료 또는 섬유 강화 수지 재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팁섹션부와 상기 팁섹션 홀딩부를 접합하는 조인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부는 중앙에 중공부를 갖는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상기 팁섹션부는 후단의 주위에 걸친 표면으로부터 단차가 설치된 제1 접합면을 갖고, 상기 제1 접합면에 감합되는 상기 조인트부의 표면과 상기 팁섹션부의 표면이 평탄하게 이어지도록, 감합하는 상기 조인트부 및 상기 팁섹션부에 의한 2층 구조의 제1 겹침 구조를 갖고,
    상기 조인트부는 후단의 주위에 걸쳐 표면으로부터 단차가 설치된 제2 접합면을 갖고, 상기 제2 접합면에 감합되는 상기 팁섹션 홀딩부의 표면과 상기 조인트부의 표면이 평탄하게 이어지도록 상기 팁섹션 홀딩부에 감합하여, 상기 팁섹션부와 상기 조인트부에 의한 상기 제1 겹침 구조에, 추가로 상기 팁섹션 홀딩부가 겹쳐지는 3층 구조의 제2 겹침 구조를 갖는, 낚싯대.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는 팁섹션부의 선단부를 포함하여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 표면에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팁섹션부와 상기 조인트부의 일단의 상기 제1 접합면에 의한 이음매를 양 쪽에 걸치고 상기 팁섹션부 및 상기 조인트부의 양단의 표면에 걸리는 위치와, 상기 조인트부의 타단과 상기 팁섹션 홀딩부와의 제2 접합면에 의한 이음매를 양 쪽에 걸치고 상기 조인트부와 상기 팁섹션 홀딩부의 양단의 표면에 걸리는 위치와, 내부에 상기 2층 구조의 상기 조인트부 및 상기 팁섹션부의 단부가 존재하는 개소의 상기 팁섹션 홀딩부의 표면의 위치 각각에, 상기 낚싯줄 가이드의 풋부가 각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101501A 2012-08-31 2013-08-27 낚싯대 KR101909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91908A JP5997983B2 (ja) 2012-08-31 2012-08-31 釣竿
JPJP-P-2012-191908 2012-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239A KR20140029239A (ko) 2014-03-10
KR101909758B1 true KR101909758B1 (ko) 2018-12-10

Family

ID=5029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501A KR101909758B1 (ko) 2012-08-31 2013-08-27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97983B2 (ko)
KR (1) KR101909758B1 (ko)
CN (1) CN103651287B (ko)
TW (1) TWI5116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3616B2 (ja) * 2014-04-25 2018-05-30 株式会社シマノ 延べ竿及びその穂先竿
JP2016136926A (ja) * 2015-01-29 2016-08-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JP2016136927A (ja) * 2015-01-29 2016-08-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JP6402073B2 (ja) * 2015-06-24 2018-10-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KR102178995B1 (ko) * 2020-02-14 2020-11-16 김상윤 티타늄 초릿대를 사용하는 바다낚시대
EP4175469A1 (en) * 2020-07-02 2023-05-10 Penicka, Robert Fishing rod and method for attaching line guides, tip tops and accessories to a rod blan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946A (ja) * 1999-04-13 2000-10-24 Shimano Inc 竿体の連結構造
JP2007319014A (ja) * 2006-05-30 2007-12-13 Daiwa Seiko Inc 釣竿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4686A (en) * 1977-04-26 1978-11-24 Fujii Toshitaka Heads for angling rods
CN1116484A (zh) * 1993-08-03 1996-02-14 赞布珂有限公司 钓鱼线导向附件及其固定方法
JPH0722660U (ja) * 1993-09-29 1995-04-25 道武 沼尻 中通し釣竿
JP3590095B2 (ja) * 1994-07-01 2004-11-17 株式会社シマノ 中通し用穂先竿
JPH11127733A (ja) * 1997-10-30 1999-05-18 Shimano Inc 穂先竿体
JP2000300123A (ja) * 1999-04-19 2000-10-31 Ryobi Ltd インロー継ぎ釣竿
CN2450882Y (zh) * 2000-11-28 2001-10-03 陈光威 渔竿
JP2002191260A (ja) * 2000-12-27 2002-07-09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2306028A (ja) * 2001-04-13 2002-10-22 Johshuya Co Ltd 釣り竿用積層管の製造方法及び釣り竿用積層管
JP2002330676A (ja) * 2001-05-02 2002-11-19 Shimano Inc 中通し竿
JP3884253B2 (ja) * 2001-10-01 2007-02-21 株式会社シマノ 穂先竿
JP3949506B2 (ja) * 2002-05-01 2007-07-25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2005210985A (ja) * 2004-01-30 2005-08-11 Daiwa Seiko Inc 穂先竿
JP4328656B2 (ja) * 2004-03-30 2009-09-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用穂先
JP4518554B2 (ja) * 2004-11-19 2010-08-0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用の竿体
CN2817431Y (zh) * 2005-08-08 2006-09-20 王仲雄 钓竿
JP4836182B2 (ja) * 2006-02-13 2011-12-14 株式会社シマノ 穂先竿
JP2009159835A (ja) * 2007-12-28 2009-07-23 Daiwa Seiko Inc 釣竿
JP2009178130A (ja) * 2008-01-31 2009-08-13 Daiwa Seiko Inc 釣り竿
JP2009178131A (ja) * 2008-01-31 2009-08-13 Daiwa Seiko Inc 釣り竿
JP4959666B2 (ja) * 2008-10-31 2012-06-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用穂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946A (ja) * 1999-04-13 2000-10-24 Shimano Inc 竿体の連結構造
JP2007319014A (ja) * 2006-05-30 2007-12-13 Daiwa Seiko Inc 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97983B2 (ja) 2016-09-28
JP2014045723A (ja) 2014-03-17
KR20140029239A (ko) 2014-03-10
CN103651287B (zh) 2019-11-19
TW201408196A (zh) 2014-03-01
CN103651287A (zh) 2014-03-26
TWI511665B (zh)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758B1 (ko) 낚싯대
TWI542280B (zh) The front pole and the fishing rod with the front pole
KR101917891B1 (ko) 낚싯대
JP5686528B2 (ja) 釣り竿用トップラインガイド及び釣り竿
JP2007289067A (ja) 穂先竿
JP5701734B2 (ja) 釣竿
JP4726112B2 (ja) 穂先竿
JP2007020499A (ja) 穂先竿
JP2007319014A (ja) 釣竿
JP2020043839A (ja) 釣竿及び竿体
JP6131314B2 (ja) 釣竿
JP5669454B2 (ja) 釣り竿
JP7088823B2 (ja) インロー継式の釣竿
US10383319B2 (en) Casting rod and method of fabricating tip rod of casting rod
JP2009219652A (ja) ゴルフクラブのシャフト
JP6990168B2 (ja) 複数の竿体が継合される釣竿
JP2020043844A (ja) 釣竿及び竿体
JP5376594B2 (ja) インロー継合構造を有する釣竿
JP2016136926A (ja) 釣竿
JP3961980B2 (ja) 釣竿
EP0880891A1 (en) Fishing rod
JP4418767B2 (ja) 釣竿の穂先
JP2021132558A (ja) 固定補助具及び釣竿
JP2020048501A (ja) 釣竿
JP2014064480A (ja) 釣糸ガイドを備える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