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895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7895B1 KR101867895B1 KR1020140140531A KR20140140531A KR101867895B1 KR 101867895 B1 KR101867895 B1 KR 101867895B1 KR 1020140140531 A KR1020140140531 A KR 1020140140531A KR 20140140531 A KR20140140531 A KR 20140140531A KR 101867895 B1 KR101867895 B1 KR 1018678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veloper
- developing
- developing device
- image forming
- 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제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고, 현상제를 사용해서 상(像)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가 착탈되며, 상기 현상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구에 접속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장치와, 상기 공급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와, 상기 밀봉 부재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에 대한 상기 현상 장치의 착탈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 2001-125359호 공보에는, 상(像)담지체 위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에 대해서 현상제를 보급하기 위한 현상제 보급 장치로서, 보급용 현상제를 수용한 현상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당해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슬라이딩에 의해, 당해 현상제 카트리지에 설치된 현상제 보급구가 장착 부위로부터 당해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현상제 수용구와 대향하는 보급 부위를 향해서 변위하도록, 당해 현상제 카트리지를 가이드하는 카트리지 가이드 수단과, 당해 현상제 보급구 또는 당해 현상제 수용구 중 어느 한쪽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배설(配設)되며, 당해 현상제 보급구가 당해 현상제 수용구와 대향하는 부위에 대면한 상태에서, 다른 쪽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밀착해서 당해 현상제 보급구와 당해 현상제 수용구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 부의 극간(隙間)을 밀폐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시일(seal) 부재를 구비한 현상제 보급 장치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슬라이딩시에 있어서의 현상제 보급구의 위치를, 상기 장착 부위로부터 보급 부위까지의 사이는 상기 시일 부재에 대해서 과부하를 가하지 않는 제 1 위치에 대면하게 하고, 당해 보급 부위로 변위된 후에는, 당해 시일 부재에 대향하는 쪽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가 당해 시일 부재에 밀착하는 제 2 위치에 대면하게 하도록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보급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1-5286호 공보에는,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 내부에 수용한 현상제를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현상제 수용기와 걸어 맞춰서 당해 배출구와 당해 수용구를 연통시키는 걸어 맞춤부, 당해 배출구와 당해 수용구의 연통 공간으로부터 현상제가 누출되지 않도록 당해 연통 공간과 외부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 및 당해 시일 부재를 당해 수용구의 둘레에 고정하는 시일 부재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당해 현상제 수용기로부터의 현상제가 당해 수용구를 통해 보급되는 현상 장치에서, 당해 현상제 수용기와 당해 걸어 맞춤부의 걸어 맞춤에 따라 당해 시일 부재와 당해 현상제 수용기의 슬라이딩 접촉이 개시될 때에, 당해 현상제 수용기와 처음으로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시일 부재의 에지 부분을, 당해 현상제 수용기와 접촉시키지 않도록 당해 시일 부재 또는 당해 시일 부재 고정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 11-223990호 공보에는, 내부에 적어도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가 수용되며, 당해 현상제를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구를 구비한 카트리지와, 당해 카트리지가 장착되고, 소정 방향으로 회동되어 정규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카트리지의 공급구와 대향하도록 수용구가 개구된 현상기를 구비한 현상 장치에서, 상기 수용구와 겹치는 개구를 갖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현상기에 장착되며 소정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공급구의 주위에 형성된 융기면과 슬라이딩하도록 당해 수용구 주변에 부착된 소정 형상의 현상제 누설 방지용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회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공급구 주위에 형성된 융기면의 연신 방향과, 상기 시일 부재의 주위 변 및 당해 시일 부재의 개구 형상의 변 중 적어도 1개가 예정된 각도로 경사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밀봉 부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방안에 의하면, 현상제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고, 현상제를 사용해서 상(像)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가 착탈되며, 상기 현상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구에 접속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장치와, 상기 공급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와, 상기 밀봉 부재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에 대한 상기 현상 장치의 착탈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현상 장치에 의해 현상되는 잠상을 유지하는 상유지체를 더 갖는다.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를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체를 갖고,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상기 상유지체에 접리(接離)하도록 이동 가능하며,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상기 상유지체에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현상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및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상기 상유지체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상기 현상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중 어느 경우나 상기 현상 장치를 안내한다.
본 발명의 제 3 방안에 의하면,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현상 장치가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에 대해서 착탈되는 착탈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 장치를 이동시키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현상 장치 및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 방안에 의하면, 상기 볼록부를 복수 갖고, 복수의 상기 볼록부는, 상기 배출구에 대해서 상기 상유지체측과 상기 배출구에 대해서 상기 상유지체의 반대측에 걸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에 대해서 상기 상유지체측 및 상기 배출구에 대해서 상기 상유지체의 반대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적어도 2개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5 방안에 의하면, 상기 배출구에 대해서 상기 상유지체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볼록부는, 적어도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상기 상유지체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상기 현상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현상 장치를 안내한다.
본 발명의 제 6 방안에 의하면,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현상 장치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7 방안에 의하면,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는, 상기 현상 장치가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동작에 연계해서,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 수단을 더 갖는다.
상기 제 1 방안에 의하면, 안내 수단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밀봉 부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방안에 의하면, 현상 장치의 위치가 변화된 상태에서 현상제 공급 장치에 착탈되는 경우여도, 안내 수단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밀봉 부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방안에 의하면, 간단한 기구로 밀봉 부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4 방안에 의하면, 배출구에 대한 상유지체측과 배출구에 대한 상유지체와는 반대측에 볼록부가 1개씩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현상제 공급 장치에 대해서 현상 장치가 어긋나 착탈된 경우라도, 현상 장치가 적어도 2개의 볼록부에 의해 안내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 5 방안에 의하면, 현상제 공급 장치에 대해서 현상 장치가 어긋나 착탈된 경우라도, 현상 장치가 적어도 2개의 볼록부에 의해 안내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 6 방안에 의하면, 현상제 공급 장치에 밀봉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밀봉 부재의 수리나 교환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7 방안에 의하면, 현상 장치를 분리했을 때에, 현상제 공급 장치로부터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화상 형성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현상 장치의 이동을 설명하며, 도 3의 (a)는 현상 장치가 갖는 현상제 유지체가 잠상 유지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현상 장치가 갖는 현상제 유지체가 잠상 유지체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현상제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현상제 수납 용기, 현상 장치 및 현상제 공급 장치를 나타내며, 도 4에 있어서의 A-A 방향에서 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공급 장치가 갖고 있는 공급구를 폐쇄하는 폐쇄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폐쇄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안내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에 있어서의 화살표 B-B 방향에서 현상제 공급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안내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고, 도 9의 (a)는 공급구와 배출구가 접속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의 (b)는 공급구와 배출구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안내 수단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내며, 도 10의 (a)은 공급구와 배출구가 접속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의 (b)는 공급구와 배출구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화상 형성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현상 장치의 이동을 설명하며, 도 3의 (a)는 현상 장치가 갖는 현상제 유지체가 잠상 유지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현상 장치가 갖는 현상제 유지체가 잠상 유지체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현상제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현상제 수납 용기, 현상 장치 및 현상제 공급 장치를 나타내며, 도 4에 있어서의 A-A 방향에서 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공급 장치가 갖고 있는 공급구를 폐쇄하는 폐쇄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폐쇄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안내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에 있어서의 화살표 B-B 방향에서 현상제 공급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안내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고, 도 9의 (a)는 공급구와 배출구가 접속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의 (b)는 공급구와 배출구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안내 수단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내며, 도 10의 (a)은 공급구와 배출구가 접속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의 (b)는 공급구와 배출구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가 나타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를 갖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는, 기록 매체로서 사용되고 있는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측의 면은,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출부(16)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는, 현상 장치(200Y), 현상 장치(200M), 현상 장치(200C), 현상 장치(200K)를 갖고, 용지에 현상제 상(像)을 형성하는 상형성부(100)와, 상형성부(100)에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 장치(40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는, 옐로 현상제 수납 용기(300Y), 마젠타 현상제 수납 용기(300M), 시안 현상제 수납 용기(300C) 및 흑색 현상제 수납 용기(300K)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해서 각각에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는, 현상 장치(200Y), 현상 장치(200M), 현상 장치(200C), 현상 장치(200K)에 각각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장치(600Y), 현상제 공급 장치(600M), 현상제 공급 장치(600C), 현상제 공급 장치(600K)가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현상제 공급 장치(600Y), 현상제 공급 장치(600M), 현상제 공급 장치(600C), 현상제 공급 장치(600K)의 일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옐로 현상제 수납 용기(300Y), 마젠타 현상제 수납 용기(300M), 시안 현상제 수납 용기(300C) 및 흑색 현상제 수납 용기(300K)에는, 옐로의 현상제, 마젠타의 현상제, 시안의 현상제, 흑색의 현상제가 각각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옐로 현상제 수납 용기(300Y), 마젠타 현상제 수납 용기(300M), 시안 현상제 수납 용기(300C), 흑색 현상제 수납 용기(300K)는, 현상제 공급 장치(600Y), 현상제 공급 장치(600M), 현상제 공급 장치(600C), 현상제 공급 장치(600K)에 대해서 각각 착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像)형성부(100)는, 옐로 화상 형성부(110Y), 마젠타 화상 형성부(110M), 시안 화상 형성부(110C) 및 흑색 화상 형성부(110K)와 전사 장치(160)를 갖는다. 옐로 화상 형성부(110Y), 마젠타 화상 형성부(110M), 시안 화상 형성부(110C) 및 흑색 화상 형성부(110K)는, 각각이 감광체 드럼(112Y), 감광체 드럼(112M), 감광체 드럼(112C), 감광체 드럼(112K)을 갖는다. 감광체 드럼(112Y), 감광체 드럼(112M), 감광체 드럼(112C), 감광체 드럼(112K)은, 현상 장치(200Y), 현상 장치(200M), 현상 장치(200C), 현상 장치(200K)에 의해 각각 현상되는 잠상을 유지하는 잠상 유지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옐로 화상 형성부(110Y), 마젠타 화상 형성부(110M), 시안 화상 형성부(110C) 및 흑색 화상 형성부(110K)는, 각각이 옐로의 현상제를 사용해서 옐로의 현상제 상을 형성하고, 마젠타의 현상제를 사용해서 마젠타의 현상제 상을 형성하며, 시안의 현상제 상을 사용해서 시안의 현상제 상을 형성하고, 흑색의 현상제를 사용해서 흑색의 현상제 상을 형성한다. 옐로 화상 형성부(110Y), 마젠타 화상 형성부(110M), 시안 화상 형성부(110C), 및 흑색 화상 형성부(110K)의 상세는 후술한다.
전사 장치(160)는, 감광체 드럼(112Y), 감광체 드럼(112M), 감광체 드럼(112C), 감광체 드럼(112K)으로부터 현상제 상이 전사되는 전사 부재(162)를 갖는다. 전사 부재(162)는, 띠 형상이며 무단(無端) 형상이고, 지지롤(170), 지지롤(172), 지지롤(174) 및 지지롤(176)에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걸쳐 놓여져 있다. 지지롤(170), 지지롤(172), 지지롤(174) 및 지지롤(176) 중 적어도 1개는, 전사 부재(162)에 구동을 전달하는 구동롤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사 장치(160)는, 감광체 드럼(112Y), 감광체 드럼(112M), 감광체 드럼(112C), 감광체 드럼(112K) 각각에 형성된 현상제 상을 전사 부재(162)에 각각 전사하는 1차 전사 장치(180Y), 1차 전사 장치(180M), 1차 전사 장치(180C), 1차 전사 장치(180K)를 갖는다. 또한, 전사 장치(160)는, 전사 부재(162)에 전사된 현상제 상을 용지에 대해서 더 전사하는 2차 전사 장치(182)를 갖는다.
또한, 전사 장치(160)는, 전사 부재(162)를 청소하는 청소 장치(186)를 갖는다. 청소 장치(186)는, 전사 부재(162)의 표면에 잔류한 현상제 등을, 예를 들면, 긁어내도록 해서 청소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는, 2차 전사 장치(182)에 의해 용지에 전사된 현상제 상을 용지에 정착하는 정착 장치(50)가 배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50)는, 열원(熱源)을 구비한 가열롤(52)과, 가열롤(52)에 대해서 용지를 압부(押付)하여 용지를 가압하는 가압롤(54)을 갖고, 열과 압력에 의해 현상제 상을 용지에 대해서 정착한다.
급지 장치(400)는, 용지를 적층한 상태에서 용지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402)를 갖는다. 또한, 급지 장치(400)는, 수납 용기(402)에 수납된 최상위(最上位)의 용지를 추출하고, 추출한 용지를 상형성부(100)를 향해서 송출하도록 반송하는 반송롤(404)을 갖는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는, 용지의 반송에 사용되는 용지 반송로(420)가 형성되어 있다. 용지 반송로(420)는, 급지 장치(400)로부터 공급된 용지를 상형성부(100)로 반송하고,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는, 용지 반송로(420)를 따라, 용지가 반송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전술의 반송롤(404)과, 반송롤(430)과, 레지스트롤(432)과, 전술의 지지롤(176) 및 전술의 2차 전사 장치(182)와, 전술의 정착 장치(50)와, 배출롤(434)이 배치되어 있다.
반송롤(430)은, 레지스트롤(432)로 용지를 반송한다. 레지스트롤(432)은, 급지 장치(400)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용지의 선단부를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전사 부재(162)에 현상제 상이 전사되는 타이밍과 합치하도록 2차 전사 장치(182)와 전사 부재(162) 사이의 위치를 향해서 용지를 송출한다. 배출롤(434)은, 정착 장치(50)에 의해 현상제 상의 정착이 이루어진 용지를 배출부(16)로 배출한다.
도 2에는, 옐로 화상 형성부(110Y), 마젠타 화상 형성부(110M), 시안 화상 형성부(110C), 흑색 화상 형성부(110K) 중 하나가 나타나 있다. 옐로 화상 형성부(110Y), 마젠타 화상 형성부(110M), 시안 화상 형성부(110C), 흑색 화상 형성부(110K)는, 사용하는 현상제의 색과 형성하는 현상제 상의 색이 서로 다르지만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 화상 형성부(110)로 총칭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부(110)는, 전술의 감광체 드럼(112)을 갖고, 대전 장치(116)와, 잠상 형성 장치(118)와, 전술의 현상 장치(200)와, 청소 장치(120)를 더 갖는다. 대전 장치(116)는, 감광체 드럼(112)을 대전하는 대전부로서 사용되고 있고, 감광체 드럼(112)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잠상 형성 장치(118)로서는, 예를 들면, LED 어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잠상 형성 장치(118)는, 대전 장치(116)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 드럼(112)의 표면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감광체 드럼(112)의 표면에 잠상을 형성한다. 청소 장치(120)는, 예를 들면 긁어내도록 해서, 감광체 드럼(112)의 표면에 잔류한 현상제 상 등을 제거하여 감광체 드럼(112)을 청소한다.
현상 장치(200)는, 현상 장치 본체(202)를 갖고, 현상 장치 본체(202)에는, 현상 장치 본체(20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관통 구멍(2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현상 장치(20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해서 전후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앞쪽 방향과 안쪽 방향)에 착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축(20)을 관통 구멍(212)에 삽입하도록 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해서 현상 장치(200)가 장착되며, 관통 구멍(212)으로부터 지지축(20)을 빼내도록 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현상 장치(200)가 분리된다.
현상 장치 본체(202)에는, 지지축(20)을 중심으로 해서, 현상 장치 본체(202)를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제 1 가압 부재(230)와 제 2 가압 부재(232)가 부착되어 있다. 제 1 가압 부재(230) 및 제 2 가압 부재(232)로서,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체가 각각에 사용되고 있다. 제 1 가압 부재(230)는, 일단부가 현상 장치 본체(202)의 하측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어, 현상 장치 본체(202)의 하측의 면을 밀어 올린다. 또한, 제 2 가압 부재(232)는, 일단부가 현상 장치 본체(202)의 우측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어, 현상 장치 본체(202)를 좌측을 향해서 압압(押壓)한다.
또한, 현상 장치 본체(202) 내에는, 현상롤(220)과, 반송 부재(222)와, 반송 부재(224)가 배치되어 있다. 현상롤(220)은, 현상제를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체로서 사용되고 있고, 표면에 유지한 현상제를 감광체 드럼(112)에 공급한다. 반송 부재(222)와, 반송 부재(224)는 회전하는 것에 의해, 현상 장치 본체(202) 내의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반송한다.
도 3에는, 현상 장치(200)의 이동이 설명되어 있고, 도 3의 (a)에는, 현상롤(220)이 감광체 드럼(112)에 도시하지 않은 스페이서를 통해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며, 도 3의 (b)에는 현상롤(220)이 감광체 드럼(112)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현상 장치 본체(202)에는, 예를 들면, 앞쪽의 벽면에, 조작 부재(214)가 현상 장치 본체(202)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자가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214)를 회전시키도록 조작하는 것에 의해, 현상 장치(200)의 도 3의 (a)에 나타내는 위치와 도 3의 (b)에 나타내는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이 실현된다.
현상 장치(200)는, 감광체 드럼(112)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할 때에는, 도 3의 (a)에 나타나 있는 현상롤(220)이 감광체 드럼(112)에 스페이서를 통해 접촉한 상태로 되는 한편, 현상 장치(2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해서 착탈할 때에는, 도 3의 (b)에 나타내는 감광체 드럼(112)과 현상롤(220)이 이간된 상태로 된다. 감광체 드럼(112)과 현상롤(220)이 이간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한 현상 장치(200)의 착탈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감광체 드럼(112)과 현상롤(220)의 마모가 발생하기 어려워, 감광체 드럼(112)과 현상롤(220)이 열화되기 어렵다. 또, 도시의 편의상, 도 3의 (a)에서는, 조작 부재(214)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에는, 현상제 공급 장치(600Y), 현상제 공급 장치(600M), 현상제 공급 장치(600C), 현상제 공급 장치(600K)가 나타나 있다. 현상제 공급 장치(600Y), 현상제 공급 장치(600M), 현상제 공급 장치(600C), 현상제 공급 장치(600K)는, 공급하는 현상제의 색이 서로 다르지만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 현상제 공급 장치(600)로 총칭해서 설명한다. 또한, 전술의 현상제 수납 용기(300Y), 현상제 수납 용기(300M), 현상제 수납 용기(300C), 현상제 수납 용기(300K)는, 수납하는 현상제의 색이 서로 다르지만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 현상제 수납 용기(300)로 총칭해서 설명한다.
전술의 현상 장치(20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해서 착탈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서 현상제 공급 장치(60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공급 장치(600)는, 안내 부재(610)를 갖는다. 안내 부재(610)는,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한 현상제 수납 용기(300)의 착탈을 안내하기 위한 부재이며, 안내 부재(610)에 의해 안내하도록 해서 현상제 수납 용기를 앞쪽으로 인출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장치(600)로부터 현상제 수납 용기(300)가 분리된다. 또한, 안내 부재(610)에 의해 안내하도록 해서 현상제 수납 용기(300)를 뒤쪽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해서 현상제 수납 용기(300)가 장착된다.
또한, 현상제 공급 장치(600)는, 현상제 수납 용기(300)로부터 배출된 현상제를 현상 장치(200)로 반송하기 위한 현상제 반송로(620)를 형성하기 위한 반송로형성 부재(622)를 갖는다. 현상제 공급 장치(600)의 상세는 후술한다.
도 5에는, 현상제 수납 용기(300), 현상 장치(200) 및 현상제 공급 장치(600)가 나타나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현상제 수납 용기(300)는, 용기 본체(302)를 갖고, 용기 본체(302)의 하측의 벽면에 현상제 수납 용기(300) 내로부터 현상제 수납 용기(300) 외부로 현상제를 배출하기 위해서 배출구(3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수납 용기(300)에는,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해서 현상제 수납 용기(300)를 장착하는 것과 연동해서 배출구(304)를 개방한 상태로 함과 함께, 현상제 공급 장치(600)로부터 현상제 수납 용기(300)를 인출하는 것에 연동해서 배출구(304)를 폐쇄한 상태로 하는 개폐 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구(304)는, 현상제 수납 용기(300)가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출구(304)가 후술하는 공급구(630)의 중력 방향에 있어서의 상방에 배치된 상태가 되도록 용기 본체(302)에 형성되어 있다.
현상 장치(200)는, 도 5에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도 1 참조)에 대해서 착탈된다. 그리고, 현상 장치(20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해서 장착된 상태가 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현상제 공급 장치(600)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된다. 도 5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및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한 현상 장치(200)의 장착이 완료되기 직전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 현상 장치(200)의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한 착탈은, 후술하는 안내 기구(800)(도 8, 도 9 참조)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현상 장치(200)의 현상 장치 본체(202)는, 뒤쪽(도 5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204)를 갖는다. 그리고, 돌출부(204)에는, 중력 방향에 있어서의 상측의 면에 현상 장치(200) 내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206)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구(206)는, 현상 장치(200)가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해서 장착된 상태에서, 현상제 공급 장치(600)가 갖는 후술하는 배출구(640)에 접속된 상태가 된다. 또한, 공급구(206)는, 반송 부재(222)의 중력 방향에 있어서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급구(206)를 통해 낙하하도록 해서 현상 장치(200) 내에 공급된 현상제는, 반송 부재(222) 위에 낙하되고, 반송 부재(222)에 의해 교반됨과 함께 반송된다.
현상제 공급 장치(6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 부재(610)와, 현상제 반송로(620)를 형성하기 위한 반송로 형성 부재(622)를 갖는다. 그리고,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는, 안내 부재(610)와 반송로 형성 부재(622)를 관통하도록 공급구(630)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구(630)는, 중력 방향에 있어서의 현상제 공급 장치(600)의 상측의 벽에 개구되어 있다. 공급구(630)와 현상제 수납 용기(300)에 형성된 배출구(304)를 통과하도록 해서, 현상제 수납 용기(300) 내로부터 현상제 공급 장치(600) 내로 현상제가 이동한다.
현상제 반송로(620)는, 현상제를 대략 수평으로 반송하는 부분과, 현상 장치를 낙하시키도록 대략 연직 반송하는 부분을 갖고, 현상제 반송로(620) 내에 있어서의 현상제를 대략 수평으로 반송하는 부분에는,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부재(650)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부재(650)에는, 예를 들면, 기어열(列)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 전달 기구(652)를 통해 구동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모터(654)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 부재(650)는, 모터(654)로부터의 구동 전달을 받아 회전하고, 블레이드부(656)에 의해 압출하도록 해서 현상제 반송로(620) 내의 현상제를 반송한다.
또한,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는, 현상제를 현상제 공급 장치(6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이며, 현상 장치(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현상 장치(200)에 형성된 공급구(206)에 접속되는 배출구(640)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640)는, 중력 방향에 있어서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공급 장치(600)는, 현상 장치 본체(202)의 돌출부(204)가 삽입되도록 해서, 현상 장치(200)가 장착되는 장착부(660)를 갖고 있다. 또한, 배출구(640) 근방에는, 배출구(640)와 현상 장치(200)의 공급구(206)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900)가 장착되어 있다.
도 6에는, 현상제 공급 장치(600)가 갖는 폐쇄 기구(670)가 나타나 있다. 폐쇄 기구(670)는, 현상 장치(200)가 현상제 공급 장치(600)로부터 분리되는 동작에 연계해서, 배출구(640)를 폐쇄하는 폐쇄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폐쇄 기구(670)는, 폐쇄 부재(672)를 갖는다. 폐쇄 부재(672)는, 배출구(640)를 개방하는 위치와 배출구(640)를 폐쇄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부재이다. 또한, 폐쇄 부재(672)는, 대략 원통 형상인 장착부(660) 외측의 면의 일부를 덮도록 장착부(660)에 부착된 부재이며, 도 6에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방향과 도 6에 화살표(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장착부(660) 외측의 면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폐쇄 부재(672)는 배출구(640)를 개방하고 있다.
또한, 폐쇄 기구(670)는 가압 부재(674)를 갖는다. 가압 부재(674)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단부가 장착부(660)에 장착되어 있고, 타단부가 폐쇄 부재(672)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674)는, 폐쇄 부재(672)가 배출구(640)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인 도 6에 나타내는 화살표(b) 방향으로 폐쇄 부재(672)를 가압하고 있다.
도 7에는, 폐쇄 기구(670)의 동작이 설명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장치 본체(202)의 돌출부(204)에는, 폐쇄 부재(672)에 접촉하고, 폐쇄 부재(672)를 압압함으로써 가압 부재(674)의 가압에 저항해서 폐쇄 부재(672)를 이동시키는 압압부(208)가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208)는, 현상 장치(200)가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해서 착탈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사면(斜面)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해서 현상 장치(200)를 장착함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나 있는 위치로부터 현상 장치(200)를 도 7에 나타내는 화살표(e)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압압부(208)에 의해 폐쇄 부재(672)가 압압되고, 폐쇄 부재(672)는 가압 부재(674)의 가압에 저항해서, 도 7 및 도 6에 나타내는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구(640)를 개방한다. 한편, 현상제 공급 장치(600)로부터 현상 장치(200)를 분리함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나 있는 위치로부터 현상 장치(200)를 도 7에 나타나 있는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압압부(208)가 폐쇄 부재(672)로부터 이간되고, 폐쇄 부재(672)에는 가압 부재(674)에 가압됨으로써, 배출구(640)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도 8은, 도 5에 있어서의 화살표 B-B 방향으로부터 현상제 공급 장치(600)의 장착부(660)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안내 기구(8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의 깊이 방향이, 현상 장치(200)의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한 착탈 방향이 된다(도 5에 있어서의 화살표(a) 참조). 안내 기구(800)는, 현상 장치(200)가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해서 착탈함에 있어서 밀봉 부재(900)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한 현상 장치(200)의 착탈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안내 기구(800)는, 장착부(660) 내측의 면에 내측을 향해서, 폐쇄 부재(672)의 이동에 따라 배출구(640)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된 제 1 볼록부(810)와, 제 2 볼록부(820)와, 제 3 볼록부(830)의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다. 제 1 볼록부(810)는 배출구(640)의 도 8에 있어서의 좌측에, 즉 배출구(640)에 대해서 감광체 드럼(112)(예를 들면, 도 3 참조)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볼록부(820)와 제 3 볼록부(830)는 배출구(640)에 대해서 감광체 드럼(112)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안내 기구(800)가 갖는 복수의 볼록부는, 배출구(640)에 대해서 감광체 드럼(112)측과 배출구(640)에 대해서 감광체 드럼(112)의 반대측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 기구(800)에 있어서는, 배출구(640)에 대해서 감광체 드럼(112)측 및 배출구(640)에 대해서 감광체 드럼(112)의 반대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볼록부가 적어도 2개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볼록부(820)와 제 3 볼록부(830)는, 상하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2 볼록부(820)와 제 3 볼록부(830)는,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제 1 볼록부(810), 제 2 볼록부(820) 및 제 3 볼록부(830)는, 장착부(660)에 현상 장치 본체(202)의 돌출부(204)(도 5 참조)가 삽입될 때와, 장착부(660)로부터 현상 장치 본체(202)의 돌출부(204)가 인출될 때에, 돌출부(204)의 외측의 면에 접촉함으로써 현상 장치(200)의 착탈을 안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장치(200)는, 도 3의 (a)의 위치와 도 3의 (b)의 위치 사이를, 지지축(20)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이 이동 방향은 도 3(도 8)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성분을 갖기 때문에, 현상롤(220)이 좌측을 향할수록 감광체 드럼(112)에 접근하고, 우측을 향할수록 이간된다. 현상롤(220)이 감광체 드럼(112)에 접촉하는 위치에 현상 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도 3의 (a) 참조)에는, 제 1 볼록부(810)와 제 2 볼록부(820)가 돌출부(204)의 외측의 면에 접촉해서 현상 장치(200)를 안내한다.
한편, 현상롤(220)이 감광체 드럼(112)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현상 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도 3의 (b) 참조)에는, 제 2 볼록부(820)와 제 3 볼록부(830)가 돌출부(204)의 외측의 면에 접촉해서 현상 장치(200)를 안내한다. 이렇게, 안내 기구(800)는, 현상롤(220)이 감광체 드럼(112)에 접촉하는 위치에 현상 장치(200)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및 현상롤(220)이 감광체 드럼(112)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현상 장치(200)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중 어느 경우나 현상 장치(200)를 안내한다.
특히, 제 2 볼록부(820)와 제 3 볼록부(830)가, 도 8에 있어서의 배출구(640)에 대한 우측, 즉 현상롤(220)이 감광체 드럼(112)으로부터 이간하는 쪽에 배치되어 있고, 현상롤(220)이 감광체 드럼(112)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현상 장치(200)가 배치된 상태에서 현상 장치(200)가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착탈되는 경우라도, 현상 장치(200)는 복수의 안내 기구에 의해 안내되어 착탈되게 된다.
또한, 장착부(660)가 원통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이며,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볼록부(820)와 제 3 볼록부(830)는, 도 8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도 8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서도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2 볼록부(820)와 제 2 볼록부(830)는, 도 8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서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도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볼록부(820)와 제 3 볼록부(830)에 의해, 현상 장치(200)의 착탈시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뿐만 아니라, 현상 장치(200)의 착탈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현상 장치(200)가 감광체 드럼(112)에 대해서 접촉하는 위치와, 현상 장치(200)가 감광체 드럼(112)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아니어도, 현상 장치(200)가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해서 착탈될 때에, 현상 장치(200)의 위치가 다른(어긋나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러한 경우라도, 현상 장치의 위치에 따라, 어떤 때에는 제 1 볼록부(810)와 제 2 볼록부(820)가 돌출부(204)에 접촉하고, 어떤 때에는 제 2 볼록부(820)와 제 3 볼록부(830)가 돌출부(204)에 접촉해서 현상 장치(200)가 안내된다.
도 9에는 안내 기구(800)로 안내되는 현상 장치(200)의 움직임이 설명되어 있으며, 도 9의 (a)에는 공급구(206)와 배출구(640)가 접속되기 직전의 상태가 나타나 있고, 도 9의 (b)는 공급구(206)와 배출구(640)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9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현상 장치(200)를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해서 장착함에 있어서, 안내 기구(800)는,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해서 착탈하는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에서 현상제 공급 장치(6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현상 장치(200)를 이동시키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볼록부(820)가, 현상 장치(200)를 제 1 가압 부재(230)(도 2 참조)의 가압에 저항해서 하측으로 밀어 내려, 현상 장치(200)의 이동의 궤적과 밀봉 부재(900)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제 2 볼록부(820)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900)와 현상 장치(200)의 이동의 궤적 사이에, 현상 장치(200)의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극간(t)을 형성시키도록 현상 장치(200)의 이동을 안내하고 있다.
이에 따른, 현상 장치(200)를 장착함에 있어서 밀봉 부재(900)에 대한 현상 장치(200)에 의한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밀봉 부재(900)에 현상 장치(200)가 접촉한 상태에서 현상 장치(200)가 이동하고, 현상 장치(200)를 장착함에 있어서, 밀봉 부재(900)에 마찰이 발생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밀봉 부재(900)의 열화가 발생하기 어렵다.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장치(200)가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해서 장착되면, 안내 기구(800)의 제 2 볼록부(820)는 현상 장치 본체(202)의 돌출부(204)에는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고,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형성된 배출구(640)와 현상 장치(200)에 형성된 공급구(206) 사이의 극간이 밀봉 부재(900)에 의해 실링되어 밀봉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갖는 안내 기구(800)의 구성과 동작이 나타나 있고, 도 10의 (a)는 현상제 공급 장치(600)의 배출구(640)와 현상 장치(200)의 공급구(206)가 접속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의 (b)는 배출구(640)와 공급구(206)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안내 기구(800)의 구성과 관련된 구성이 전술의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르지만, 다른 부분의 구성은 전술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이하에, 안내 기구(800)와 안내 기구(800)에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고, 제 1 실시형태와의 공통되는 다른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안내 기구(800)가 갖는 제 1 볼록부(810), 제 2 볼록부(820) 및 제 3 볼록부(830)가 현상제 공급 장치(600)측에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서, 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안내 기구(800)가 갖는 볼록부(840)가 현상 장치 본체(202)의 돌출부(204)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밀봉 부재(900)는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장착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서,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밀봉 부재(900)는 현상 장치 본체(202)의 돌출부(204)에 장착되어 있다.
도 10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현상 장치(200)를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해서 장착함에 있어서, 볼록부(840)는, 현상 장치(200)를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해서 착탈하는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 장치(200)를 이동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밀봉 부재(900)와 현상제 공급 장치(600) 사이에 현상 장치(200)의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극간(t)을 형성시키도록 현상 장치(200)의 이동을 안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상 장치(200)를 장착함에 있어서 밀봉 부재(900)에 대한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의한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밀봉 부재(900)에 현상제 공급 장치(600)가 접촉한 상태에서 현상 장치(200)가 이동하고, 현상 장치(200)를 장착함에 있어서 밀봉 부재(900)에 마찰이 발생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밀봉 부재(900)의 열화가 발생하기 어렵다.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장치(200)가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대해서 장착되면, 안내 기구(800)의 볼록부(840)는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는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고, 현상제 공급 장치(600)에 형성된 배출구(640)와 현상 장치(200)에 형성된 공급구(206) 사이의 극간이 밀봉 부재(900)에 의해 실링되어 밀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 현상제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고, 현상제를 사용해서 상(像)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가 착탈되며, 상기 현상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구에 접속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장치와,
상기 공급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와,
상기 밀봉 부재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에 대한 상기 현상 장치의 착탈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갖고,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현상 장치가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에 대해서 착탈되는 착탈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 장치를 이동시키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현상 장치 및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에 의해 현상되는 잠상을 유지하는 상유지체를 더 갖고,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를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체를 갖고,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상기 상유지체에 접리(接離)하도록 이동 가능하며,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상기 상유지체에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현상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및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상기 상유지체로부터 이간(離間)하는 위치에 상기 현상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중 어느 경우나 상기 현상 장치를 안내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삭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를 복수 갖고,
복수의 상기 볼록부는,
상기 배출구에 대해서 상기 상유지체측과 상기 배출구에 대해서 상기 상유지체의 반대측에 걸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에 대해서 상기 상유지체측 및 상기 배출구에 대해서 상기 상유지체의 반대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적어도 2개가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대해서 상기 상유지체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볼록부는, 적어도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상기 상유지체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상기 현상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현상 장치를 안내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현상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는, 상기 현상 장치가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동작에 연계해서,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 수단을 더 갖는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054309A JP6281344B2 (ja) | 2014-03-18 | 2014-03-18 | 画像形成装置 |
JPJP-P-2014-054309 | 2014-03-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8730A KR20150108730A (ko) | 2015-09-30 |
KR101867895B1 true KR101867895B1 (ko) | 2018-06-18 |
Family
ID=5411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0531A KR101867895B1 (ko) | 2014-03-18 | 2014-10-17 |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268258B2 (ko) |
JP (1) | JP6281344B2 (ko) |
KR (1) | KR101867895B1 (ko) |
CN (1) | CN10493222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36500B2 (ja) * | 2016-07-04 | 2019-07-03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794689B2 (ja) * | 2016-07-14 | 2020-12-02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18081141A (ja) * | 2016-11-14 | 2018-05-24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CN108107694B (zh) * | 2016-11-15 | 2021-09-03 | 纳思达股份有限公司 | 处理盒 |
JP6597655B2 (ja) * | 2017-01-23 | 2019-10-30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トナー受入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
JP6658630B2 (ja) * | 2017-03-15 | 2020-03-04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ユニット |
US11137700B1 (en) * | 2020-03-23 | 2021-10-05 |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 Toner cartridg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01993A (ja) * | 1994-05-08 | 1995-11-14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US20070223947A1 (en) * | 2006-03-27 | 2007-09-27 | Sharp Kabushiki Kaisha | Toner supply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shortage detect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67882A (ja) * | 1992-11-30 | 1994-06-14 | Fuji Xerox Co Ltd | トナー供給装置 |
JPH06175494A (ja) * | 1992-12-04 | 1994-06-24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 |
JP3907300B2 (ja) * | 1998-02-05 | 2007-04-18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現像装置 |
JP2001005286A (ja) | 1999-06-17 | 2001-01-12 | Ricoh Co Ltd | 現像装置、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1125359A (ja) | 1999-10-29 | 2001-05-11 | Ricoh Co Ltd |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4844237B2 (ja) * | 2006-05-25 | 2011-12-28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トナー収容器及びトナー充填方法 |
KR101347158B1 (ko) * | 2007-01-29 | 2014-0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로 개폐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JP2009229678A (ja) * | 2008-03-21 | 2009-10-08 | Fuji Xerox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4345989B1 (ja) * | 2008-07-31 | 2009-10-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521489B2 (ja) * | 2009-10-30 | 2014-06-11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現像ユニット |
JP5516230B2 (ja) * | 2010-08-24 | 2014-06-11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JP5779915B2 (ja) * | 2011-03-08 | 2015-09-16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および粉体収納容器 |
-
2014
- 2014-03-18 JP JP2014054309A patent/JP628134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9-15 US US14/485,963 patent/US926825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10-17 KR KR1020140140531A patent/KR10186789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1-05 CN CN201410616403.9A patent/CN104932223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01993A (ja) * | 1994-05-08 | 1995-11-14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US20070223947A1 (en) * | 2006-03-27 | 2007-09-27 | Sharp Kabushiki Kaisha | Toner supply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shortage detecting method |
JP4368356B2 (ja) * | 2006-03-27 | 2009-11-18 | シャープ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容器離脱方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368356호(2009.11.18.) 1부.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281344B2 (ja) | 2018-02-21 |
US9268258B2 (en) | 2016-02-23 |
JP2015176089A (ja) | 2015-10-05 |
CN104932223A (zh) | 2015-09-23 |
CN104932223B (zh) | 2019-10-25 |
KR20150108730A (ko) | 2015-09-30 |
US20150268582A1 (en) | 2015-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67895B1 (ko) | 화상 형성 장치 | |
KR101809785B1 (ko) | 화상 형성 장치 | |
JP6111835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9158221B2 (en) | Removable waste toner storage configuration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831204B2 (ja) | 画像形成装置および像担持体ユニット | |
JP4766123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9348308B2 (en) | Process cartridge having force receiving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ocess cartridge | |
JP5933516B2 (ja) | 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 | |
US10474063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ovable shutter member | |
JP5589636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5970885B2 (ja) | 画像形成装置 | |
CN106292222B (zh) | 能够装配调色剂容器的图像形成装置 | |
TWI430054B (zh) | 影像形成劑儲存容器,影像形成裝置,影像形成劑儲存容器之安裝方法及影像形成劑儲存容器之移除方法 | |
TWI490670B (zh) | 影像形成劑儲存容器,影像形成裝置,影像形成劑儲存容器之安裝方法,影像形成劑儲存容器之移除方法,及影像形成劑之填充方法 | |
JP5169620B2 (ja) | 異物回収容器の支持構造、異物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
US9207576B2 (en) | Toner convey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6112057B2 (ja) | ドラムユニット | |
JP2009116143A (ja) | 画像形成装置 | |
JP6186899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6428444B2 (ja) |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ドラムユニット | |
JP6308363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5062493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5287213B2 (ja) | 廃トナー収容器 | |
JP6687896B2 (ja) | 粉体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6405815B2 (ja) | 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