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158B1 - 유로 개폐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유로 개폐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158B1
KR101347158B1 KR1020070009137A KR20070009137A KR101347158B1 KR 101347158 B1 KR101347158 B1 KR 101347158B1 KR 1020070009137 A KR1020070009137 A KR 1020070009137A KR 20070009137 A KR20070009137 A KR 20070009137A KR 101347158 B1 KR101347158 B1 KR 101347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flow path
ton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036A (ko
Inventor
김대호
쿠르기 예두아르트
곽진근
강성욱
우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9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158B1/ko
Priority to US11/873,729 priority patent/US7668489B2/en
Priority to CN2007101851909A priority patent/CN101236385B/zh
Priority to EP07121114.8A priority patent/EP1950623B8/en
Publication of KR20080071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유로 개폐장치는 제 1 유로를 개폐하도록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제 1 셔터; 및 상기 제 1 셔터에 의해 제 2 유로를 개폐하며, 상기 제 1 탄성부재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제 2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제 2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유로가 상기 제 1 셔터에 의해 개방된 후에, 상기 제 1 유로가 개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1 유로는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가 공급되는 토너 공급관로이고, 제 2 유로는 현상기에 마련된 토너 주입구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기 장착시에는 현상기 측에 마련된 토너 주입구가 개방된 후에 토너 공급관로가 개방되고, 현상기 탈착시에는 그 역으로 토너 공급관로가 먼저 폐쇄된 후에 토너 주입구가 폐쇄되므로, 현상기의 장착 및 탈착시에 연결부에서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현상기, 토너카트리지, 유로개폐, 유로셔터, 셔터

Description

유로 개폐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path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유로 개폐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제 1 및 제 2 셔터를 기준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f는 일반적인 유로 개폐장치의 토너 공급관로와 토너 주입구 개폐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c는 일반적인 유로 개폐장치에서 토너 누출이 발생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5a 내지 도 5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유로 개폐장치의 구조 및 작용을 보인 개략도,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유로 개폐장치의 구조 및 작용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제 1 유로 103; 제 1 셔터
103a; 걸림턱 103b; 통공
104; 제 1 실링부재 105; 제 1 탄성부재
111; 제 2 유로 112; 제 2 셔터
114; 제 2 실링부재 115; 제 2 탄성부재
300; 회동레버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현상기로 유입되는 토너의 유출입을 규제하는 개선된 구조의 유로 개폐장치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유로 개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와 같은 소형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기 내에 감광매체와 토너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되지만, 복사기 및 대형 프린터와 같은 대형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토너가 수용되는 토너 카트리지와 OPC 드럼과 같은 감광매체가 설치되는 현상기가 개별적으로 마련된다.
도 1 및 도 2는 대형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기와 상기 본체 측에 마련된 토너 공급관로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는 미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토너 공급관로(2)가 설치된다. 상기 토너 공급관로(2)는 제 1 셔터(3)에 의해 개폐되며, 토너 공급관로(2)와 제 1 셔터(3)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제 1 스폰지(4)가 개재된다. 상기 제 1 셔터(3)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공 급관로(2)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 1 탄성부재(5)에 의해 탄력지지된다.
한편, 현상기(10)에는 상기 토너 공급관로(2)와 연결되는 토너 주입구(11)가 마련되며, 상기 토너 주입구(11)는 제 2 셔터(12)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토너 주입구(11)와 제 2 셔터(12)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제 2 스폰지(14)가 개재된다. 상기 제 2 셔터(12)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토너 주입구(11)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 2 탄성부재(15)에 의해 탄력지지 된다.
도 3a 내지 도 3f는 현상기 장착에 따른 토너 공급관로(2)와 토너 주입구(11)가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장착하면, 현상기(10)의 끝단은 제 1 셔터(3)에 돌출 형성된 제 1 셔터 걸림턱(3a)을 밀어 제 1 셔터(3)를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밀어 개방하고,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마련된 현상기 장착부의 일단은 제 2 셔터(12)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제 2 셔터 걸림턱(12a)을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밀어 제 2 셔터(12)를 개방한다.
그러면,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셔터(3)가 개방된 위치의 제 1 스폰지(4)와 제 2 셔터(12)가 개방된 위치의 제 2 스폰지(14)가 각각 팽창하면서 서로 맞물려 소정의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유로를 통해 토너 공급관로(2)의 일부와 토너 주입구(11)의 일부가 동시에 개방/연통 되면, 토너 공급관로(2) 내부의 토너가 토너 주입구(11)로 공급되기 시작한다.
이처럼 토너 공급관로(2)와 토너 주입구(11)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각각의 제 1 셔터(3)와 제 2 셔터(12)가 계속 개방되면, 도 3e 및 도 3f와 같이 각각의 토 너 공급관로(2)와 토너 주입구(11)는 완전히 연결된다.
그런데, 이처럼 토너 공급관로(2)와 토너 주입구(11)가 동시에 개방되기 시작하면, 제 1 및 제 2 셔터(3)(12)가 개방되는 도중에 토너 공급관로(2)와 토너 주입구(11)의 위치가 일치하지 못하는 구간이 발생된다. 즉, 토너 공급관로(2)와 토너 주입구(11)가 열리기 시작할 경우, 도 4a의 빗금으로 표시한 토너 공급관로(2)를 통해 주입되는 토너는, 도 4b의 빗금으로 표시한 개방된 토너 주입구(11)를 통해 모두 현상기(10) 측으로 모두 공급되지 못하고, 도 4c의 빗금으로 도시한 부분을 오염시키게 된다.
만일 현상기(10)의 장착과 탈착을 반복 수행하게 될 경우, 오염구간의 토너는 누적되고, 제 2 셔터(12)의 개폐에 따라 오염구간은 확산 될 수 있다. 이처럼 오염구간의 토너가 많아질 경우, 이 토너들이 비산 되어 화상형성장치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화상오염 및 기기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상기의 장착 및 탈착 시에 현상기 측의 토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유로 개폐장치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유로 개폐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유로 개폐장치는 제 1 유로를 개폐하도록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제 1 셔터; 및 상기 제 1 셔터에 의해 제 2 유로를 개폐하며, 상기 제 1 탄성부재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제 2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제 2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유로가 상기 제 1 셔터에 의해 개방된 후에, 상기 제 1 유로가 개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셔터는, 상기 제 2 유로와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이 좋으며, 상기 제 2 유로가 형성되는 부재와 접촉하는 걸림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유로와 제 1 셔터 사이에는 제 1 실링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 2 유로와 제 2 셔터 사이에는 제 2 실링부재;가 개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링부재는, 스폰지, 우레탄 및 실리콘 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유로는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공급받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토너 공급관로이고,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현상기에 마련된 토너 주입구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셔터는, 일단에 상기 제 2 탄성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제 2 셔터의 슬라이딩 동작에 연동 회전하는 회동레버;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제 2 셔터의 오픈 동작시 간섭부재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가동부; 및 상기 제 2 셔터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 1 및 제 2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토너 공급을 위한 제 1 유로와 연결되는 토너 카트리지; 상기 제 1 유로와 연결되는 제 2 유로가 형성된 현상기; 및 상기한 유로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로 개폐 방법은, 제 1 유로를 개폐하는 제 1 셔터가 제 2 유로를 개폐하는 제 2 셔터를 밀어내어, 제 2 유로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유로가 완전히 개방된 이후에 제 1 셔터가 제 1 유로를 개방하기 시작하여, 상기 제 1 유로와 제 2 유로가 서로 연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유로를 개방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셔터에 마련된 통공에 의해 제 2 유로가 개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h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유로 개폐장치의 구성 및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로 개폐장치는 제 1 유로(102)를 개폐하는 제 1 셔터(103)와, 제 2 유로(111)를 개폐하는 제 2 셔터(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유로(111)가 완전히 개방된 후에 제 1 유로(102)가 개방되어, 제 1 유로(102)와 제 2 유로(111)가 연통 된다.
제 1 셔터(103)는 제 1 유로(102)를 개폐하도록 제 1 탄성부재(105)에 의해 탄력지지되고, 제 2 셔터(112)는 제 2 유로(111)를 개폐하도록 제 2 탄성부재(115)에 의해 탄력지지된다. 이때, 제 1 탄성부재(105)의 탄성계수(K1)는 제 2 탄성부 재(115)의 탄성계수(K2)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 1 셔터(103)는 걸림턱(103a)과 통공(103b)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턱(103a)은 상기 제 2 유로(111)가 형성된 부품의 일측 단부와 접촉한다. 상기 통공(103b)은 상기 제 2 셔터(112) 개방시 상기 제 2 유로(111)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 1 유로(102)와 제 1 셔터(103) 사이에는 제 1 실링부재(104)가 개재되고, 상기 제 2 유로(111)와 제 2 셔터(112) 사이에는 제 2 실링부재(114)가 개재되어 토너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링부재(104)(114)는 스폰지, 우레탄 및 실리콘 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103)(112)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유로(102) 및 제 2 유로(111) 측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유로(102)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소정의 토너 카트리지(미도시)로부터 토너를 공급받는 토너 공급관로이고, 제 2 유로(111)는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기(110)에 마련된 토너 주입구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유로 개폐장치의 동작 및 유로 개폐방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 본체에는 미도시된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공급받는 토너 공급관로인 제 1 유로(102)가 마련된다. 제 1 유로(102)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셔터(103)에 의해 개폐되며, 제 1 셔터(103)는 탄성계수가 K1인 제 1 탄성부재(105)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있다.
한편, 현상기(110)에는 상기 제 1 유로(102)와 연통되어 토너를 공급받는 토너 주입구인 제 2 유로(111)가 마련된다. 따라서, 현상기(110)를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현상기 장착부에 장착하면, 상기 제 1 유로(102)와 제 2 유로(111)는 서로 연통되어, 현상기(110)는 제 1 유로(102)로부터 토너를 공급받는다.
제 1 유로(102)와 제 2 유로(111)가 서로 연통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유로(102)(111)를 폐쇄하고 있는 제 1 및 제 2 셔터(103)(112)가 제 1 및 제 2 유로(102)(111)를 각각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유로(111)가 완전히 개방된 후에 제 1 유로(102)가 개방된다.
즉,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10)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기 시작하면, 제 1 셔터(103)의 일단은 제 2 셔터(112)와 접촉하게 되고,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제 2 셔터(112)를 밀어낸다. 이때, 제 1 셔터(103)와 제 2 셔터(112)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움직이므로, 제 2 셔터(112)의 개방에 따라, 제 2 유로(111)는 제 1 셔터(103)에 의해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제 1 셔터(103)에는 제 2 유로(111)와 대응되는 크기의 통공(103b)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기(110)가 장착부로 장착되면서, 제 2 셔터(112)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2 유로(111)는 제 1 셔터(103)에 마련된 통공(103b)과 대면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개방된다. 하지만, 제 2 유로(111)의 통공(103b) 이외의 부분은 제 1 셔터(103)와 이를 지지하게 되는 제 2 실링부재(114)에 의해 밀폐되므로, 토너 누출의 우려가 없다.
한편, 제 2 셔터(112)를 탄력지지하고 있는 제 2 탄성부재(115)의 탄성계 수(K2)는 제 1 셔터(103)를 탄력지지하고 있는 제 1 탄성부재(105)의 탄성계수(K1)보다 작은 값을 가지기 때문에, 제 2 셔터(112)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 2 유로(111)를 개방하지만, 제 1 셔터(103)는 제 1 유로(102)를 밀폐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제 1 유로(102)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공급받는 토너 공급관로인 제 1 유로(102)는 폐쇄되어 있지만, 현상기(110)에 마련된 토너 주입구인 제 2 유로(111)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셔터(103)의 통공(103b)에 의해 제 2 유로(111)가 개방되면, 현상기(110)의 일측 끝단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셔터(103)에 마련된 걸림턱(103a)과 접촉한다. 상기 제 1 셔터(103)와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103a)은 현상기(110)의 삽입에 따라,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힘을 제 1 셔터(103)로 전달하여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1 탄성부재(105)는 수축하면서, 제 1 셔터(103)를 탄력지지하게 되고, 제 1 셔터(103)는 도 5g 및 도 5h와 같이, 제 1 및 제 2 유로(102)(111)가 서로 연통 될 때까지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현상기(11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탈착할 경우, 상기 제 1 셔터(103)가 제 1 유로(102)를 먼저 폐쇄한 후에, 현상기(110) 측의 제 2 셔터(112)가 제 2 유로(111)를 폐쇄한다.
즉, 현상기(11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탈착하면, 제 1 셔터(103)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103b)에 작용하던 외력이 사라지므로, 제 1 탄성부재(10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 1 셔터(103)는 제 1 유로(10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송된다. 제 1 유로(102)가 제 1 셔터(103)에 의해 폐쇄된 후, 현상기(110)가 탈착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 제 1 셔터(103)와 제 2 셔터(112)는 서로 이격되므로, 제 2 셔터(112)는 제 2 탄성부재(1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 2 유로(111)를 폐쇄한다.
따라서, 현상기(110) 장착시에는 토너 주입구인 제 2 유로(111)가 먼저 열린 후에 토너 공급관로인 제 1 유로(102)가 열리고, 현상기(110) 탈착시에는 상기 제 1 유로(102)가 먼저 닫힌 후에 제 2 유로(111)가 닫히게 되므로, 현상기(110)의 장착 및 탈착시에 연결부에서 발생 될 수 있는 토너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 1 유로(102)를 토너 공급관로, 제 2 유로(111)를 현상기(110)의 토너 주입구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유로간의 선택적 연결이 필요한 어떤 부분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e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현상기(110) 측에 설치된 제 2 셔터(112)에 회동레버(300)의 개재 하에 제 2 탄성부재(115)를 설치한 화상형성장치의 유로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셔터(112)의 측면에는 회동레버(300)가 미도시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 도 6a의 화살표 C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레버(300)의 끝단에는 상기 제 2 탄성부재(115)가 연결되어, 상기 제 2 셔터(112)는 상기 회동레버(3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 2 탄성부재(115)에 탄력지지된다.
상기 회동레버(300)는 가동부(310) 및 제 1 및 제 2 걸림부(320)(330)를 포 함한다.
가동부(310)는 상기 제 2 셔터(112)의 오픈 동작시 현상기(110) 측에 고정/돌출된 소정의 간섭부재(40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회동레버(300)를 회전시키고, 제 1 및 제 2 걸림부(320)(330)는 상기 현상기(110)의 삽입 위치에 따라, 제 2 셔터(112)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상기 가동부(310)의 타단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간섭부재(400)는 현상기(110) 외측으로 출몰 가능한 스위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간섭부재(400)가 돌출 및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간섭부재(400)를 출몰시켜, 상기 회동레버(300)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걸림부(320)(330)가 걸리는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컨대, 현상기(110)을 삽입하면, 제 1 셔터(103)에 의해 제 2 셔터(112)는 슬라이딩 이동을 시작하는데, 제 2 셔터(112)가 오픈됨에 따라, 현상기(110)에 고정된 간섭부재(400)는 상기 회동레버(300)의 가동부(310)와 접촉하면서, 도 6c에 도시된 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레버(300)를 회전시킨다.
이처럼 삽입동작이 계속되면,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화상형성장치 측의 현상기 안착부 입구(100)에 걸려있던 제 2 걸림부(330)는 도 6c 및 도 6d와 같이 상기 입구(100)와의 간섭이 해제되고, 제 1 걸림부(320)가 상기 간섭부재(400)에 걸리게 되어, 제 2 셔터(112)가 제 2 유로(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6e와 같이 현상기(110)가 장착위치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103)(112)의 위치가 서로 균형을 맞춤에 따라, 상기 제 1 걸림부(320)는 상기 간섭부재(400)에 후킹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2 걸림부(330)는 현상기 안착부 입구(100)의 내주면에 지지되므로, 현상기(110)가 장착된 상태에서 항상 제 2 셔터(112) 오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회동레버(300)의 개재 하에 제 2 탄성부재(115)를 설치하면, 제 2 탄성부재(115)의 스트로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 2 탄성부재(115)의 탄성복원력을 확보하기 위해 확보해야 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소형화된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기 장착시에는 현상기 측에 마련된 제 2 셔터가 먼저 열려 토너 주입구가 개방된 후에 제 1 셔터가 열려 토너 공급관로가 개방되고, 현상기 탈착시에는 그 역으로 토너 공급관로가 먼저 폐쇄된 후에 토너 주입구가 폐쇄되므로, 현상기의 장착 및 탈착시에 연결부에서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기존의 구조를 유지한 상태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개폐순서를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럴 경우, 현상기 측에 설치되는 제 2 셔터의 이동거리가 길어지면서, 현상기 측의 제 2 탄성부재의 선택 및 공간상의 제약을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를 서로 다르 게 설정하여 장치함으로써, 추가 구조물 설치 없이 탄성부재 간의 작용력 차이를 이용하여 짧은 셔터 이동거리 안에서 제 1 및 제 2 셔터의 개폐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유로를 개폐하도록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제 1 셔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 2 유로와 상기 제 2 유로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셔터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제 1 탄성부재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제 2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제 2 셔터를 포함하는 현상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셔터는,
    상기 제 2 유로와 연통되는 통공; 및
    상기 제 1 셔터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현상기와 접촉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로가 상기 제 1 셔터에 의해 개방된 후에, 상기 현상기와 상기 걸림턱에 의해 상기 제 1 셔터가 이동하여 상기 제 1 유로가 개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와 제 1 셔터 사이에는 제 1 실링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 2 유로와 제 2 셔터 사이에는 제 2 실링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실링부재는,
    스폰지, 우레탄 및 실리콘 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는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공급받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마련된 토너 공급관로이고,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현상기에 마련된 토너 주입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셔터는,
    일단에 상기 제 2 탄성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제 2 셔터의 슬라이딩 동작에 연동 회전하는 회동레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제 2 셔터의 오픈 동작시 간섭부재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가동부; 및
    상기 제 2 셔터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 1 및 제 2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70009137A 2007-01-29 2007-01-29 유로 개폐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1347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137A KR101347158B1 (ko) 2007-01-29 2007-01-29 유로 개폐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873,729 US7668489B2 (en) 2007-01-29 2007-10-17 Toner path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toner path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reof
CN2007101851909A CN101236385B (zh) 2007-01-29 2007-11-12 调色剂路径打开和关闭装置、成像设备及打开和关闭方法
EP07121114.8A EP1950623B8 (en) 2007-01-29 2007-11-20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toner in an image form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137A KR101347158B1 (ko) 2007-01-29 2007-01-29 유로 개폐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036A KR20080071036A (ko) 2008-08-01
KR101347158B1 true KR101347158B1 (ko) 2014-01-03

Family

ID=3904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137A KR101347158B1 (ko) 2007-01-29 2007-01-29 유로 개폐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68489B2 (ko)
EP (1) EP1950623B8 (ko)
KR (1) KR101347158B1 (ko)
CN (1) CN1012363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730B1 (ko) * 2021-05-25 2022-10-12 주식회사 태광텍스타일 블라인드 직물용 에어 복합사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0298B2 (ja) * 2007-11-19 2010-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4604114B2 (ja) * 2008-07-01 2010-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US8918030B2 (en) * 2008-11-27 2014-12-23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370038B2 (ja) * 2009-09-17 2013-12-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23146B2 (ja) * 2010-03-01 2014-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14697B2 (ja) * 2010-11-02 2014-06-04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装置、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14792B2 (ja) * 2011-11-25 2014-06-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6116373B2 (ja) * 2013-05-27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現像剤補給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201689B2 (ja) * 2013-11-27 2017-09-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50098421A (ko) * 2014-02-20 2015-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281344B2 (ja) * 2014-03-18 2018-02-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04117B2 (ja) * 2015-04-27 2018-04-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剤補給装置に装着される現像剤収容容器
JP6337827B2 (ja) * 2015-04-27 2018-06-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剤補給装置に装着される現像剤収容容器
JP6372478B2 (ja) * 2015-11-26 2018-08-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82941B2 (ja) * 2015-12-03 2019-10-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9829854B2 (en) * 2016-03-29 2017-11-28 Fuji Xerox Co., Ltd. Opening/closing mechanism, powder transport device using the same, and powder processing apparatus
KR20200025347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리필 카트리지와 토너 충전부와의 인터페이스 구조
JP7443004B2 (ja) * 2019-09-17 202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42609B2 (ja) * 2019-10-24 2023-09-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2011871A (ja) 2020-06-30 2022-0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3124214A (ja) * 2022-02-25 2023-09-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像剤供給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2664A (ja) * 1993-01-25 1994-08-12 Brother Ind Ltd 電子写真装置
JP2002169364A (ja) * 2000-11-30 2002-06-14 Kyocera Mita Corp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そ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7201Y2 (ja) * 1990-06-01 1996-11-20 株式会社リコー 廃トナー回収装置
US5402216A (en) * 1992-12-28 1995-03-28 Mita Industrial Co., Ltd. Mechanism for opening/closing a toner falling aperture
JPH06301285A (ja) * 1993-04-16 1994-10-28 Brother Ind Ltd 現像装置
JP2000029309A (ja) * 1998-07-13 2000-01-28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シャッタ機構
JP2004258472A (ja) * 2003-02-27 2004-09-16 Kyocera Mita Corp トナー補給装置
JP2007279532A (ja) * 2006-04-11 2007-10-25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2664A (ja) * 1993-01-25 1994-08-12 Brother Ind Ltd 電子写真装置
JP2002169364A (ja) * 2000-11-30 2002-06-14 Kyocera Mita Corp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そ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730B1 (ko) * 2021-05-25 2022-10-12 주식회사 태광텍스타일 블라인드 직물용 에어 복합사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68489B2 (en) 2010-02-23
EP1950623B1 (en) 2018-05-16
EP1950623B8 (en) 2018-07-11
KR20080071036A (ko) 2008-08-01
US20080181673A1 (en) 2008-07-31
CN101236385A (zh) 2008-08-06
EP1950623A3 (en) 2013-08-28
EP1950623A2 (en) 2008-07-30
CN101236385B (zh)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158B1 (ko) 유로 개폐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EP1659456B1 (en) Cartridg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73449B1 (ko) 토너탱크, 슬라이드 셔터, 실링부재, 탄성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JP437837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96168B2 (ja) 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
KR20110023101A (ko) 착탈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H07175333A (ja) 液体トナーカートリッジ
WO2008004566A1 (en) Developer cartridge, image forming device, and shutter device
JP2005208661A (ja) プリンタの廃トナー貯蔵庫
US9471007B2 (en) Developer supply cartridge shutter opening projection that moves in two directions
KR100582998B1 (ko)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0683184B1 (ko)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US7398037B2 (en) Process cartridge usable with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cluding a shutter
KR100610328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ITMI20030252U1 (it) Complesso di dispositivo a coperchi scorrevoli per controllare il pass aggio di toner tra il contenitore del toner ed il dispositivo sviluppa tore di una apparecchiatura di formazione di immagini
CN108227438B (zh) 锁定装置及图像形成装置
KR20060136003A (ko)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US9448506B1 (en) Developer discharge structur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927828B2 (ja) 現像器
JP4386053B2 (ja) 画像形成装置
JP6172995B2 (ja) 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41951B1 (ko) 화상형성장치용 토너 카트리지
JP2001356579A (ja) 画像形成装置
US20170168423A1 (en) Toner port shutter for a toner container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H01262570A (ja) 電子写真記録装置用トナー補給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