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785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785B1
KR101809785B1 KR1020150023048A KR20150023048A KR101809785B1 KR 101809785 B1 KR101809785 B1 KR 101809785B1 KR 1020150023048 A KR1020150023048 A KR 1020150023048A KR 20150023048 A KR20150023048 A KR 20150023048A KR 101809785 B1 KR101809785 B1 KR 101809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toner
main body
apparatu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2689A (ko
Inventor
다카오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2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3G15/0846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4Arrangements for purging used developer from the develop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이며, 장치 본체, 장치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출구를 갖는 수용 용기, 배출구로부터 이격되고 배출구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개구부 및 개구부에 공급된 현상제가 지나는 경로를 갖는 접속 경로 부재, 수용 용기가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개구부가 배출구를 향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그리고 수용 용기가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될 때 개구부가 배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속 경로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 유닛 및 배출구와 개구부 사이의 접속이 해제된 이후 개구부와 대향하는 수용 용기의 일부를 클리닝하도록 구성된 클리닝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이 복수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현상제가 수용된 수용 용기를 장치 본체에 대하여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전자 사진 방식 등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현상제를 수용한 수용 용기를 장치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이 수용 용기로부터 현상제를 공급 디바이스를 개재해서 현상 디바이스에 공급 가능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수용 용기의 펌프부를 신축시킴으로써 압력을 변동시켜서, 현상제를 공급 디바이스로 배출하는 수용 용기가 제안되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3-15826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수용 용기를 구비한 구성의 경우, 교환의 목적으로 수용 용기를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시킬 때, 수용 용기와 공급 디바이스를 접속하는 접속부로부터 현상제가 누설될 수 있다. 그 결과, 수용 용기의 일부가 오염되는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5826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의 경우, 수용 용기를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시킬 때, 접속부가 수용 용기의 배출구로부터 퇴피된다. 그러나 이때, 공급 디바이스의 현상제가 통과하는 경로 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이 경로 내의 현상제가 분출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현상제가 분출하면 수용 용기에 부착된다. 수용 용기에 현상제가 부착되면, 수용 용기를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시킬 때 사용자가 현상제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시켰을 때에 수용 용기에 부착된 현상제에 사용자가 접촉하는 상황을 감소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수용된 현상제를 토출가능한 배출구를 갖는 수용 용기와, 배출구로부터 분리되고 배출구에 접속되는 개구부 및 개구부로 공급된 현상제가 통과하는 경로를 갖는 접속 경로 부재와, 이동 유닛 및 클리닝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고, 이동 유닛은 수용 용기가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개구부가 배출구를 향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접속 경로 부재를 이동시키고 수용 용기가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될 때 개구부가 배출구로부터 멀리 이동되는 방향으로 접속 경로 부재를 이동시키고, 클리닝 유닛은 배출구와 개구부 사이의 접속이 해제된 이후 개구부와 대향하는 수용 용기의 일부를 클리닝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의 예시적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을 행하는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도 3의 (b)는 본 실시예의 수용 용기로부터 현상제의 공급을 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수용 용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수용 용기의 펌프부를 구동하는 캠 기구의 홈부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부의 일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수용 용기로부터 현상제를 공급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수용 용기를 보유하는 보유 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보유 지지 부재에 셔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본 실시예의 셔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수용 용기의 일부분을 셔터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접속 디바이스를 승강시키는 기구를 특별히 설명하기 위한, 수용 용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의 (a), 도 11의 (b) 및 도 11의 (c)는 본 실시예의 수용 용기를 제거시키는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수용 용기와 접속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부 주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200)는, 전자 사진 방식을 사용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이며, 구체적으로 4색의 화상 형성부를 중간 전사 벨트(7) 위로 배열해서 배치한, 소위 중간 전사 탠덤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다. 중간 전사 탠덤 방식은 생산성이 높고 여러 가지 미디어의 반송에 대응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최근에 주류로 되어 있는 구성이다. 도 1에서 도면 시트에 수직인 방향이 화상 형성 장치의 원근 방향에 대응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먼저, 화상 형성 장치의 기록재(S)의 반송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기록재(S)는, 용지 및 OHP(오버헤드 프로젝터) 시트 등의 시트재를 포함한다. 기록재(S)는 수납고(10) 상에 적재되는 형으로 수납되고 있어, 마찰 분리 방식을 채용한 급송 롤러(61)에 의해 화상 형성 타이밍에 맞춰서 급송된다. 급송 롤러(61)에 의해 송출된 기록재(S)는 반송 패스를 통과하고, 레지스트 롤러(62)에 반송된다. 레지스트 롤러(62)에서 사행 보정 및 타이밍 보정을 행한 후, 기록재(S)는 2차 전사부(T2)에 보내진다. 2차 전사부(T2)는 서로 대향하는 2차 전사 내부 롤러(8) 및 2차 전사 외부 롤러(9)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 닙부이다. 2차 전사부(T2)는 소정의 가압력과 소정의 정전적 부하 바이어스를 부여함으로써 기록재(S)위로 토너 상을 흡착시킨다.
이어서, 이상 설명한 2차 전사부(T2)까지 기록재(S)의 반송 프로세스에 대하여, 같은 타이밍에서 2차 전사부(T2)까지 보내져 오는 화상의 형성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부(Pa, Pb, Pc, Pd)는 주로 감광 드럼(1a, 1b, 1c, 1d), 대전 디바이스(2a, 2b, 2c, 2d), 노광 디바이스(3a, 3b, 3c, 3d), 현상 디바이스(100a, 100b, 100c, 100d), 현상 용기(101a, 101b, 101c, 101d), 1차 전사 롤러(5a, 5b, 5c, 5d) 및 드럼 클리너(6a, 6b, 6c, 6d)를 포함한다.
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1a 내지 1d)은 회전 구동되어, 각각 미리 대전 디바이스(2a 내지 2d)에 의해 감광 드럼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그리고 대전된 감광 드럼(1a 내지 1d)의 표면(상 담지체)상에는 각각 화상 정보의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노광 디바이스(3a 내지 3d)에 의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감광 드럼(1a 내지 1d) 상에 각각 형성된 정전 잠상은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가 각각 수용된 현상 디바이스(100a 내지 100d)에 의해 현상되어 토너 상으로서 현상된다. 그 후, 1차 전사부(T1a, T1b, T1c, T1d)에서, 1차 전사 롤러(5a 내지 5d)에 의해 소정의 가압력 및 정전적 부하 바이어스가 부여된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1a 내지 1d)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7) 상으로 토너 상이 각각 전사된다. 마지막으로, 감광 드럼(1a 내지 1d) 위로 약간 남은 미전사 잔류 토너는 드럼 클리너(6a 내지 6d)에 의해 회수되어, 다시 다음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준비한다.
중간 전사 벨트(7)에 대해서 설명한다. 중간 전사 벨트(7)는 중간 전사 벨트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되고, 중간 전사 벨트(7)에 구동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 유닛으로 기능하는 2차 전사 내부 롤러(8), 텐션 롤러(17), 2차 전사 상류 롤러(18)에 의해 걸쳐진다. 2차 전사 내부 롤러(8)가 화살표(R8) 방향으로 구동하면, 중간 전사 벨트(7)가 화살표(R7) 방향으로 구동한다. 중간 전사 벨트(7)는 무단 형상의 벨트다.
이상 설명한 화상 형성부(Pa 내지 Pd)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Bk)의 토너 상을 형성한다. 컬러의 수는 4 색의 언급된 개수 또는 언급된 순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현상 디바이스(100a 내지 100d)의 현상 용기(101a 내지 101d)의 내부에는 미리 비자성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혼합한 2성분 현상제가 수용된다. 자성 토너 및 비자성 토너 중 하나만을 함유하는 1성분 현상제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로서, 비자성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를 사용했다.
각 색의 화상 형성부(Pa 내지 Pd)에 의해 각각 서로에 대해 병렬 처리되는 Y, M, C 및 Bk 색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는 중간 전사 벨트(7) 위로 1차 전사된 상류 색의 토너 상 위로 순차 중첩하는 타이밍에 실행된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는 풀 컬러의 토너 상이 중간 전사 벨트(7) 상에 형성되고, 2차 전사부(T2)에 반송된다. 2차 전사부(T2)를 통과한 후 남은 미전사 잔류 토너는 전사 클리닝 디바이스(11)에 의해 회수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상술한 반송 프로세스 및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기록재(S)와 풀 컬러 토너 상은 동일 타이밍에서 2차 전사부(T2)에 도달한다. 이후, 2차 전사가 실행된다. 그 후, 기록재(S)는 정착 디바이스(13)로 반송된다. 정착 디바이스(13)에서, 대향하는 롤러에 의해 형성된 정착 닙은 정착 닙을 통과하는 기록재(S)에 소정의 압력과 열량을 부여한다. 이에 의해, 토너 상을 기록재(S)위로 용융 고착시킨다.
따라서, 정착 디바이스(13)는 열원으로 히터를 구비하고, 항상 최적인 온도가 유지되게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이 정착된 후, 기록재(S)는 배지 트레이(63) 위로 배출되거나, 양면 화상 형성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반전 반송 디바이스(미도시)로 반송될 지의 경로 선택이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현상 디바이스(100a 내지 100d) 내의 토너량이 저하된 때에는, 대응하는 수용 용기(Ta, Tb, Tc, Td)로부터 공급 디바이스(70a, 70b, 70c, 70d)(70b, 70c, 70d는 도 1에는 미도시)에 각각 토너가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 디바이스(70a 내지 70d)는 대응하는 현상 디바이스(100a 내지 100d)와 구동을 동기하면서 각각 현상 디바이스(100a 내지 100d)에 토너를 공급한다. 공급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수용 용기(T)]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용기(Ta 내지 Td)(도 1)는 장치 본체(200A)(도 1)에 고정된 전방판(500)과 후방판(600)을 가교 연결하는 보유 지지 부재(TMa, TMb, TMc, TMd)에 각각 수용 및 보유 지지된다. 보유 지지 부재(TMa 내지 TMd)는 전방판(500) 및 후방판(600)을 각각 가교연결한다. 수용 용기(Ta 내지 Td)는 이러한 보유 지지 부재(TMa 내지 TMd)에 장착가능하고 보유 지지 부재(TMa 내지 TMd)로부터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보유 지지된다. 즉, 수용 용기(Ta 내지 Td)는 장치 본체(200A)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또한, 현상 디바이스(100a 내지 100d), 후술하는 수용 용기(Ta 내지 Td) 및 공급 디바이스(70a 내지 70d)를 각각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는 후방판(600)에 체결 및 설치된다. 수용 용기(Ta 내지 Td), 공급 디바이스(70a 내지 70d) 및 보유 지지 부재(TMa 내지 TMd)는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갖고, 따라서 특히 필요없는 한 첨자를 생략해서 설명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T)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토너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토너 수용부(20)를 포함한다. 또한, 수용 용기(T)는 토너 수용부(20)의 길이 방향(현상제 반송 방향) 일단부 측에 형성된 플랜지부(21)(비회전부로도 칭함)를 포함한다. 또한, 토너 수용부(20)는 플랜지부(21)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플랜지부(21)에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수용부(20) 내부로부터 반송되어 온 토너를 일시적으로 저류하기 위한 중공 배출부(21h)가 설치된다. 배출부(21h)의 저부에는 수용 용기(T)의 밖으로 토너의 배출을 허용하는 즉, 공급 디바이스(70)(도 1 참조)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작은 토출구(21a)가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부(21)의 내부에는 토출구(21a)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셔터 부재)(4)가 제공된다. 셔터(4)는 수용 용기(T)에 형성되는 토너의 토출구(21a)를 밀봉한다. 셔터(4)의 움직임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수용 용기(T)는 토너의 배출 동작을 행하기 위한 펌프부(20b)를 갖는다. 펌프부(20b)는 토출구(21a)를 개재해서 흡기 동작과 배기 동작을 교대로 행하게 하는 흡기 및 배기 기구로서 기능한다. 펌프부(20b)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부(21h)와 토너 수용부(20)의 원통부(20k)의 사이에 개재되고, 원통부(20k)에 접속 및 고정되고 있다. 즉, 펌프부(20b)는 원통부(20k)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또한, 펌프부(20b)는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부(20b)로서, 왕복이동(화살표(ω) 및 화살표(γ)는 펌프부(20b)의 이동 방향을 나타냄)에 수반해 그 용적이 변화 가능한 수지제의 용적 가변형 펌프(벨로우즈(bellows) 펌프)를 채용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용된 벨로우즈 펌프는 주기적으로 그리고 교호식으로 형성된 복수의 "산형 폴드(mountain fold)"부 및 복수의 "골형 폴드(valley fold)"부를 포함한다.
또한, 펌프부(20b)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부(20b)의 배출부(21h) 측의 단부가 플랜지부(21)의 내면을 따라 설치된 링 형상의 시일 부재(27)를 압축한 상태에서, 배출부(21h)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수용 용기(T)는 기어부(20a)를 포함한다. 기어부(20a)는 펌프부(20b)의 길이 방향 일단부 측에 고정된다. 즉, 기어부(20a), 펌프부(20b) 및 원통부(20k)는 서로 일체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기어부(20a)에 입력된 회전 구동력은 펌프부(20b)를 개재해서 원통부(20k)(반송부(20c))에 전달된다.
한편, 플랜지부(21)과 토너 수용부(20)과의 사이에는 펌프부(20b)를 구동하기 위해서, 캠 돌기(20d)와 홈부(21b)로 이루어지는 캠 기구(22)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토너 수용부(20)의 원통부(20k)의 외주면에는 캠 돌기(20d)가 형성되고, 플랜지부(21)의 내주면에는 캠 돌기(20d)가 끼워지는 종동부로서 기능하는 홈부(21b)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홈부(21b)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화살표(A)는 원통부(20k)의 회전 방향(캠 돌기(20d)의 이동 방향), 화살표(B)는 펌프부(20b)의 신장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C)는 펌프부(20b)의 압축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원통부(20k)의 회전 방향(A)과 홈 부분(21c) 사이에 각도(α)가 형성되고 회전 방향(A)과 홈 부분(21d) 사이에 각도(β)가 형성된다. 또한, 홈부(21b)는 펌프부(20b)의 신축방향(B 및 C)에서 진폭(펌프부(20b)의 신축 길이)(L)을 갖는다. 홈 부분(21c, 21d)은 홈부(21b)의 구성요소라는 점에 유의한다. 구체적으로, 홈 부분(21b)에서, 각각 원통부(20k) 측에서 배출부(21h) 측으로 경사진 홈 부분(21c)과 각각 배출부(21h) 측에서 원통부(20k) 측으로 경사진 홈 부분(21d)이 서로에 대해 교호식으로 결합된다. 본 예에서, α=β로 설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캠 돌기(20d)와 홈부(21b)가 펌프부(20b)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 기구로서 기능한다. 즉, 캠 돌기(20d)와 홈부(21b)는 기어부(20a)가 받은 회전 구동력을, 펌프부(20b)를 왕복이동시키는 방향으로의 힘(원통부(20k)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의 힘)으로 변환하고, 이 힘을 펌프부(20b)로 전달하는 기구로서 기능한다.
[수용 용기의 토너 배출 동작]
이어서, 수용 용기(T)로부터 토너를 배출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판(600)에는 수용 용기(T)를 각각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디바이스(Da, Db, Dc, Dd)가 설치된다. 구동 디바이스(Da 내지 Dd)는 동일한 구성을 갖고, 따라서 이하 첨자를 생략해서 설명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구동 디바이스 D는 모터(80)(보틀 구동 모터)와, 모터(80)의 구동력을 감속해서 전달하기 위한 기어(41), 기어(42) 및 기어 부재(43)를 포함한다. 모터(80)의 축에 기어(41)가 설치되고, 기어(41)의 회전이 기어(42)를 개재해서 기어 부재(43)에 전달된다. 기어 부재(43)는 수용 용기(T)의 외주에 설치되는 기어부(20a)와 교합한다. 이에 의해, 모터(80)의 구동력이 기어(41), 기어(42), 기어 부재(43), 기어부(20a)에 전달되어, 기어부(20a)의 구동에 의해 수용 용기(T)의 원통부(20k)가 회전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펌프부(20b)가 왕복이동해서 수용 용기(T)로부터 토너가 배출된다.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200)의 제어부로서의 CPU(50)가 제어를 실행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50)는 출력하는 기록재(S)의 화상 정보 및 수용 용기(T)의 설치 정보를 수신하면, 모터(80)의 회전 시기 및 회전 시간을 송신한다. 이에 의해, 소정 량의 토너가 수용 용기(T)로부터 공급 디바이스(70) 내에 안정적으로 보내진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디바이스(70)(공급 디바이스(70a 내지 70d)는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갖고, 따라서 이후 첨자를 생략해서 설명함)는 수용부(71), 반송 모터(90), 기어열(73)에 구동 연결된 스크루(72)를 포함한다. 수용부(71)는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후술하는 접속 디바이스(400)를 개재해서 수용 용기(T)로부터 토너가 공급되는 공급 경로로 기능한다. 반송 모터(90)는 현상 디바이스(100)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미도시)와 동기 회전한다. 이에 의해, 수용부(71) 내에 보내진 토너를 수용부(71)와 밀착 및 접속하는 현상 디바이스(100)로 반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상 디바이스(100)에 토너를 공급한다.
[셔터]
이어서, 상술한 수용 용기(T)의 플랜지부(21)의 내부에 설치되고 토출구(21a)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부재로서의 셔터(4)에 대해서, 도 7, 도 8, 도 9의 (a) 및 도 9의 (b)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수용 용기(T)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보유 지지 부재(TM)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 대하여 셔터(4)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보유 지지 부재(TM)의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용기(T)가 적재되는 보유 지지 부재(TM)의 면에는 2개의 용기 미끄럼이동 레일(TL1)이 설치되고 있다. 2개의 용기 미끄럼이동 레일(TL1)은 수용 용기(T)를 장치 본체(200A)로부터 삽입 및 제거할 때에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해서, 수용 용기(T)가 적재되는 보유 지지 부재(TM)의 면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에서, 수용 용기(T)는 2개의 용기 미끄럼이동 레일(TL1)에 안내되면서, 화상 형성 장치(200)의 전방측부터 안측을 향해서 이동함으로써 장치 본체(200A)에 장착되고, 역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장치 본체(200A)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수용 용기(T)가 적재되는 보유 지지 부재(TM)의 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용 용기(T)의 토너 오염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 유닛으로서의 클리닝 부재(SS)가 설치된다.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각각 수용 용기(T)의 보유 지지 부재(TM)측의 면(이면)의 평면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용기(T)는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는 토출구(21a)와 연통가능한 연통구(배출구)(4a)를 갖는 셔터(4)와, 셔터(4)를 활주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지지부(4c)를 갖는다. 보유지지부(4c)는 수용 용기(T)의 플랜지부(21)의 보유 지지 부재(TM) 측의 면에 일체로 형성되고(도 3의 (a) 및 도 3의 (b) 참조), 셔터(4)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구부(4d)가 형성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21a)와 셔터(4)의 연통구(4a)는 수용 용기(T)를 장치 본체(200A)에 장착 또는 제거할 때에 2개의 용기 미끄럼이동 레일(TL1)사이에 위치한다(도 7 참조).
"수용 용기(T)의 셔터(4)에 형성되는 연통구(4a)"와 "수용 용기(T)의 플랜지부(21)에 형성되는 토출구(21a)" 사이의 위치 관계는 수용 용기(T)가 장치 본체(200A)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미설치 상태에서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셔터(4)는 수용 용기(T)를 장치 본체(200A)로부터 제거시킬 때 연통구(4a)가 토출구(21a)와 정렬되는 위치로부터 이동해서 토출구(21a)를 차폐한다. 즉, 수용 용기(T)를 장치 본체(200A)에 설치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셔터(4)는 수용 용기(T)내의 토너가 외부에 누출하지 않도록 토출구(21a)를 밀봉한다. 이 때, 셔터(4)는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용기(T)가 화상 형성 장치(200)의 장치 본체(200A)에 삽입되기 전에 제1 위치(K1)에 위치한다.
즉, 수용 용기(T)를 장치 본체(200A)로부터 제거시킬 때 셔터(4)의 일부가 보유지지부(4c) 내에 수용되어서 연통구(4a)의 개구부(Ma)의 측(개구부측)이 보유지지부(4c)에 의해 차폐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셔터(4)는 개구부(Ma)와 연통구(4a) 사이의 접속이 해제된 후에, 연통구(4a)가 보유지지부(4c)에 의해 차폐되는 방식으로 활주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타이밍에서 접속 디바이스(400)가 접속을 해제하고 셔터(4)가 활주하도록 대응 기구를 조정한다.
수용 용기(T)가 장치 본체(200A)에 상술한 2개의 용기 미끄럼이동 레일(TL1)에 따라 삽입되어가면, 수용 용기(T)가 일정 위치까지 삽입된 단계에서, 셔터(4)는 장치 본체(200A)의 먼 측에 위치된 수용 용기(T)의 세팅 위치에 도달한다. 도 9의 (a) 및 도 9의 (b) 중에서, 화살표(J1) 방향이 삽입(장착) 방향이며, 화살표 (J2) 방향이 이격(제거) 방향이다. 이 위치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용기(T)의 셔터(4)에 설치된 걸림부(4b)가 보유 지지 부재(TM)에 설치된 저지부(30)와 걸림 결합한다. 또한, 수용 용기(T)가 장치 본체(200A)에 삽입되면, 셔터(4)의 걸림부(4b)가 플랜지부(21)에 대하여 화살표(S1) 방향에서 일정양(X1)만큼 활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9의 (b)에 도시된 상태가 달성된다.
이 상태에서, 수용 용기(T)의 토출구(21a)는 보유 지지 부재(TM)에 설치된 후술하는 접속 디바이스(400)의 개구부(Ma)와 동축의 위치가 된다. 이 때, 셔터(4)는 수용 용기(T)가 장치 본체(200A)에 삽입되는 상태에서 제2 위치(K2)에 있다. 즉, 셔터(4)는 수용 용기(T)가 장치 본체(200A)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통구(4a)가 토출구(21a)와 정렬되게 위치한다.
[접속 디바이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개구부(Ma)를 갖는 접속 디바이스(400)에 대해서, 도 10, 도 11의 (a), 도 11의 (b) 및 도 11의 (c)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접속 유닛으로서 접속 디바이스(400)는 장치 본체(200A)의 보유 지지 부재(TM)에 설치된다. 또한, 접속 디바이스(400)는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Ma)에 공급된 토너가 지나는 경로를 갖는 접속 경로 부재로서 접속 파이프(401)를 갖는다. 접속 파이프(401)는 2개의 용기 미끄럼이동 레일(TL1) 사이에 개재된다(도 7 참조). 개구부(Ma)가 접속 파이프(40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공급 디바이스(70)의 수용부(71)에 진입하고 수용부(71) 내측과 연통하도록 개구부가 접속 파이프(401)의 타단부에 배치된다.
또한, 접속 파이프(401)의 개구부(Ma)는 수용 용기(T)가 장치 본체(200A)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출구로서 기능하는 셔터(4)의 연통구(4a)에 접속된다. 이때, 연통구(4a)와 개구부(Ma)가 서로 접속한 상태에서, 연통구(4a) 및 개구부(Ma)를 통해서 수용 용기(T)로부터 토너가 접속 파이프(401)로 공급된다. 한편, 접속 파이프(401)의 개구부(Ma)는 수용 용기(T)가 장치 본체(200A)로부터 제거할 때에 연통구(4a) 사이의 접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접속 파이프(401)는 이동 유닛으로서 이동 기구(402)에 의해 접속 파이프(401)가 수용 용기(T)에 접근 및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동 기구(402)는 수용 용기(T)를 장치 본체(200A)에 장착할 때, 접속 파이프(401)의 개구부(Ma)가 연통구(4a)를 향해 이동하는 방향으로 접속 파이프(401)를 이동시킨다. 한편, 수용 용기(T)를 장치 본체(200A)로부터 제거시킬 때, 이동 기구(402)는 개구부(Ma)를 연통구(4a)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접속 파이프(401)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 기구(402)는 접속 파이프(401)를 감합 지지하는 감합 원통부(410)와, 감합 원통부(410)와 일체로 설치된 돌기(402a)와, 수용 용기(T)의 플랜지부(21)에 설치되고 돌기(402a)가 걸림 결합 가능한 이동 홈(21k)을 갖는다. 이에 의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용기(T)를 장치 본체(200A)에 삽입할 때, 돌기(402a)는 이동 홈(21k)에 걸림 결합하고, 이동 홈(21k)을 따라 위치(Q1)로부터 위치(Q2)로 일정량(Z1)만큼 이동한다. 또한, 수용 용기(T)를 장치 본체(200A)로부터 제거시킬 때, 돌기(402a)는 이동 홈(21k)을 따라 위치(Q2)로부터 위치(Q1)로 이동한다. 즉, 돌기(402a)가 도 10, 도 11의 (a), 도 11의 (b), 및 도 11의 (c)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승강)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동일 형상을 갖는 다른 이동 홈(21k)이 대향 측에 형성되어 다른 돌기(402a)를 안내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접속 파이프(401)를 감합 지지하는 감합 원통부(410)의 일부가 공급 디바이스(70)의 수용부(71) 내에 진입한 상태에서, 감합 원통부(410)의 외주면과 수용부(71)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그 사이의 간극이 밀봉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접속 파이프(401)는 수용부(71)와 연통하고, 이동 기구(402)에 의해 수용부(71)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다음으로, 접속 디바이스(4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접속 파이프(401)는 이격 스프링(403)에 의해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c)의 상방(수용 용기(T)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한, 감합 원통부(410)는 도 7에 나타내는 이동 스프링(404)에 의해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c)의 하방(수용 용기(T)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한, 상술한 개구부(Ma)는 접속 파이프(401)의 상부에 매설된 접속 시일(405)에 형성된다. 접속 파이프(401)는 이격 스프링(403)의 가압에 의해, 갈고리(401b)가 감합 원통부(410)의 걸림부(402b)에 맞부딪치는 위치에서 로크된다. 이에 의해, 접속 파이프(401)는 감합 원통부(410)와 일체로 되어 이동한다.
수용 용기(T)가 장치 본체(200A)에 장착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402a)와 이동 홈(21k)은 서로 걸림 결합된다. 따라서, 접속 파이프(401)는 감합 원통부(410)와 함께 수용 용기(T) 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11의 (a)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이 때, 셔터(4)가 상술한 바와 같이 활주함으로써 도 9의 (b)에 나타낸 제2 위치(K2)로 이동하고, 셔터(4)와 접속 시일(405)이 서로 밀착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셔터(4)의 연통구(4a)와 개구부(Ma)가 정렬되어 서로 동축으로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접속 파이프(401)를 감합 지지하는 감합 원통부(410)는 그 일부가 공급 디바이스(70)의 수용부(71)에 보유된다(접속 디바이스(400)의 제1 위치(N1)).
이 단계에서, 토출구(21a), 연통구(4a), 개구부(Ma)가 서로 동축으로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80)를 동작시킴으로써, 수용 용기(T)로부터 접속 디바이스(400)를 개재해서 공급 디바이스(70)의 수용부(71) 내로 토너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셔터(4)가 제2 위치(K2), 접속 디바이스(400)가 제1 위치(N1)에 위치된 상태에서 토너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수용 용기(T)를 장치 본체(200A)로부터 이격하기 시작하면,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21)는 수용 용기(T)와 일체로 방향(Z3)(제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402a)와 이동 홈(21k)은 서로 걸림 결합된다. 따라서, 접속 파이프(401)가 감합 원통부(410)와 함께 방향(Z2)으로 (수용 용기(T)로부터 이격하는 측을 향해)이동하여 제2 위치(N2)에 도달한다. 이때, 접속 파이프(401)가 수용부(71)로 추가 이동되고, 따라서 수용부(71)의 압력이 높아진다. 이 결과, 수용부(71)에 수용된 토너 또는 수용부(71)의 내벽에 부착된 토너가 개구부(Ma)를 통해 방향(Z4)으로(수용 용기(T)를 향해) 분출된다. 이 때, 셔터(4)는 일부가 보유지지부(4c) 내에 수용되어서 연통구(4a)의 개구부(Ma)측이 보유지지부(4c)에 의해 차폐된다. 그 동안에, 수용 용기(T)가 접속 파이프(401)에 대하여 방향(Z3)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분출된 토너는 수용 용기(T)의 플랜지부(21)의 접속 파이프(401)의 개구부(Ma)와 대향하는 면(하면)의 일부에 부착된다.
[클리닝 부재]
본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파이프(401)의 개구부(Ma)와 대향하는 수용 용기(T)의 일부에 부착된 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유닛으로서의 클리닝 부재(SS)를 갖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리닝 부재(SS)는 수용 용기(T)가 적재되는 보유 지지 부재(TM)의 면에 설치된다. 특히, 클리닝 부재(SS)는 전술한 도 7 및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용기 미끄럼이동 레일(TL1)의 사이에, 접속 파이프(401)의 개구부(Ma)보다도 수용 용기(T)의 제거 방향(방향(Z3)) 하류 측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적어도 수용 용기(T)를 장치 본체(200A)로부터 제거시킬 때 수용 용기(T)의 이동에 수반하여, 클리닝 부재(SS)는 개구부(Ma)와 대향하는 수용 용기(T)의 일부를 마찰하여 클리닝한다.
이하, 클리닝 부재(SS)를 상세히 설명한다. 클리닝 부재(SS)는 약 2 내지 3mm의 파일(pile) 길이의 가는 가요성 털(bristle)을 갖는 파일 재료로 형성되고, 2개의 용기 미끄럼이동 레일(TL1) 사이에 접착 설치된다. 예를 들어 약 15mm의 간격이 2개의 용기 미끄럼이동 레일(TL1) 사이에 확보되고, 2개의 용기 미끄럼이동 레일(TL1) 사이에 설치된 클리닝 부재(SS)의 폭도 실질적으로 약 15mm로 설정된다. 또한, 접속 디바이스(400)의 개구부(Ma)의 직경은 약 3mm로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파이프(401)의 이동과 함께 분출하는 토너를 클리닝 부재(SS)에 의해 충분히 가릴 수 있는 배치 관계(개구부(Ma)의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4배 이상의 폭)가 설정된다. 개구부(Ma)와 클리닝 부재(SS)는 수용 용기(T)의 제거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구부(Ma)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연장하는 직선에 대해 선대칭으로 배열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2개의 용기 미끄럼이동 레일(TL1)은 수용 용기(T)와의 마찰에 의해 클리닝 부재(SS)의 접착면이 박리되지 않도록, 클리닝 부재(SS)의 설치 장소보다 약 1mm 높게 설정된다. 이에 의해, 클리닝 부재(SS)는 수용 용기(T)에 대하여 약 1 내지 2mm 만큼 진입하고, 수용 용기(T)의 삽입 및 제거에 맞춰서 클리닝을 행한다.
상술한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용기(T)를 장치 본체(200A)로부터 제거시킬 때 분출하는 토너는 주로 수용 용기(T)의 플랜지부(21)(구체적으로, 보유지지부(4c))의 접속 파이프(401)의 개구부(Ma)와 대향하는 면(하면)의 일부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수용 용기(T)를 계속해서 이격하면,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부재(SS)는 플랜지부(21)의 하면에 부착된 토너를 클리닝한다. 분출한 토너는 원추 형상으로 확산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리닝 부재(SS)의 폭은 개구부(Ma)의 직경보다도 충분히 넓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클리닝 부재(SS)는 플랜지부(21)의 하면에 부착된 토너를 확실하게 클리닝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셔터(4)의 연통구(4a)는 클리닝 부재(SS)가 통과하기 전에 보유지지부(4c)로 수납된다. 따라서, 클리닝 부재(SS)는 셔터(4)의 연통구(4a)의 주변을 클리닝하지 않고, 클리닝 부재(SS)의 토너 집진력의 저하를 억제한다. 즉, 연통구(4a)는 토너 공급 경로의 일부이고, 따라서 연통구(4a)의 주위는 수용 용기(T)의 다른 부분보다도 토너의 부착이 많아진다. 따라서, 이 부분을 클리닝 부재(SS)에 의해 클리닝하면, 클리닝 부재(SS)의 토너 집진력이 조기에 저하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 클리닝 부재(SS)는 연통구(4a)에 대응하는 부분을 클리닝하지 않고 따라서 토너 집진력이 조기에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용기(T)를 장치 본체(200A)로부터 제거시킨 상태에서는 연통구(4a)는 보유지지부(4c)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연통구(4a)의 주위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접속 디바이스(400)의 접속 파이프(401)는 수용 용기(T)의 장착 시 제1 위치(N1), 수용 용기(T)의 제거(취출)시 제2 위치(N2)에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속 파이프(401)는 수용 용기(T)의 교환에 대응한다. 수용 용기(T)를 장치 본체(200A)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접속 파이프(401)의 개구부(Ma)가 셔터(4)의 연통구(4a)로부터 이격하고, 이후 연통구(4a)가 보유지지부(4c) 내에 수용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 후, 보유지지부(4c)의 토너가 부착된 면이 클리닝 부재(SS)에 의해 클리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통구(4a)와 개구부(Ma) 사이의 접속이 해제된 후에 클리닝 부재(SS)는 수용 용기(T)의 개구부(Ma)와 대향하는 일부를 클리닝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장치 본체(200A)로부터 제거시켰을 때에 수용 용기(T)에 부착된 토너에 사용자가 접촉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수용 용기(T)의 제거 동작 시에 클리닝 부재(SS)는 수용 용기(T)의 일부를 마찰하여 클리닝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부착된 토너의 클리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부재(SS)는 토너 경로가 되는 연통구(4a)의 주위를 직접 클리닝하는 것이 아니고, 분출한 토너만을 클리닝한다. 따라서, 미량의 토너가 클리닝되고, 따라서 토너의 집진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수용 용기(T)의 클리닝이 계속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에 의해 처리될 때, 토너 오염이 없는 상태로 토너 수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고, 이 효과는 토너 수용 용기가 더 빈번히 교체되는 때에도 지속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수용 용기(T)의 제거 동작에 의해 클리닝 부재(SS)를 수용 용기(T)의 일부에 마찰시킴으로써 클리닝하고 있지만, 클리닝의 구성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수용 용기의 제거 동작에 연동해서 클리닝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수용 용기의 일부를 클리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제한되지 않고, 각각 현상제를 수용한 수용 용기로부터 공급 디바이스나 현상 디바이스로 현상제를 공급할 수 있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예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수용 용기로부터 토너를 공급하지만, 공급되는 현상제로서는 토너 이외에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외첨제 등의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구와 개구부의 접속이 해제된 후에 클리닝 유닛은 개구부와 대향하는 수용 용기의 일부를 클리닝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시켰을 때에 수용 용기에 부착된 현상제에 사용자가 접촉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이러한 수정예 및 등가적 구성예 및 기능예를 포함하도록 가장 ??은 해석이 허용되어야 한다.

Claims (11)

  1. 화상 형성 장치이며,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도록 구성된 토출부를 갖는 수용 용기와,
    상기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되고,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공급되는 토너가 통과하는 경로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가 상기 토출부와 정렬되도록 상기 수용 용기에 접속 가능한, 접속 경로 부재와,
    상기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수용 용기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 및 상기 수용 용기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되는 제거 방향으로, 상기 수용 용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유닛과,
    상기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안내 유닛이 상기 수용 용기를 상기 장착 방향으로 안내할 때 상기 토출부를 향해 상기 개구부가 이동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접속 경로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안내 유닛이 상기 수용 용기를 상기 제거 방향으로 안내할 때 상기 토출부로부터 상기 개구부가 멀어지게 이동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접속 경로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 유닛과,
    상기 제거 방향에서 상기 안내 유닛의 개구부의 하류에 제공되고, 상기 수용 용기의 일부분을 클리닝하도록 상기 수용 용기의 일부분에 대해 마찰하도록 구성된 마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용기가 상기 제거 방향으로 상기 안내 유닛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상기 수용 용기가 상기 마찰 부재에 대해 이동되어 상기 마찰 부재가 상기 수용 용기의 일부분에 대해 마찰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는 홈을 갖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홈과 걸림 결합 가능한 돌기를 갖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돌기가 상기 홈과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방향으로 상기 안내 유닛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수용 용기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접속 경로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돌기가 상기 홈과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거 방향으로 상기 안내 유닛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수용 용기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접속 경로 부재를 이동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는,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토너와 연통하고 상기 토출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된 연통부를 갖는 셔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수용 용기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연통부가 상기 토출부와 정렬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수용 용기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연통부가 상기 토출부와 정렬되지 않도록 위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는 상기 연통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연통부가 상기 커버 부재로 덮어진 상태에서 상기 수용 용기의 일부분에 대해 마찰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는, 상기 셔터 부재가 상기 연통부가 상기 토출부와 정렬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연통부가 상기 토출부와 정렬되지 않는 위치로 활주되어, 상기 토출부를 차폐하도록 활주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를 사용하여 현상하도록 구성된 현상 디바이스, 및
    상기 접속 경로 부재를 통해 상기 수용 용기로부터 공급된 토너가 공급되는 공급 경로를 갖고, 토너를 상기 현상 디바이스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급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경로 부재는 상기 공급 경로와 연통하고 상기 이동 유닛에 의해 상기 공급 경로에 대해 이동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화상 형성 장치이며,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출하도록 구성된 토출부를 갖는 수용 용기와,
    상기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되고,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공급되는 토너가 통과하는 경로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가 상기 토출부와 정렬되도록 상기 수용 용기에 접속 가능한, 접속 경로 부재와,
    상기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상기 수용 용기를 장착하는 동작에 따라 상기 토출부를 향해 상기 개구부가 이동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접속 경로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수용 용기를 제거하는 동작에 따라 상기 토출부로부터 상기 개구부가 멀어지게 이동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접속 경로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 유닛과,
    상기 수용 용기의 일부분을 클리닝하도록 구성된 클리닝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수용 용기를 제거하는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이동 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접속 경로 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부로부터 분출되는 토너가 부착되는 상기 수용 용기의 일부분을 클리닝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는,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토너와 연통하고 상기 토출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된 연통부를 갖는 셔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수용 용기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연통부가 상기 토출부와 정렬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수용 용기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연통부가 상기 토출부와 정렬되지 않도록 위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는 상기 연통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유닛은 상기 연통부가 상기 커버 부재로 덮어진 상태에서 상기 수용 용기의 일부분을 클리닝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는, 상기 셔터 부재가 상기 연통부가 상기 토출부와 정렬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연통부가 상기 토출부와 정렬되지 않는 위치로 활주되어, 상기 토출부를 차폐하도록 활주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를 사용하여 현상하도록 구성된 현상 디바이스, 및
    상기 접속 경로 부재를 통해 상기 수용 용기로부터 공급된 토너가 공급되는 공급 경로를 갖고, 토너를 상기 현상 디바이스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급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경로 부재는 상기 공급 경로와 연통하고 상기 이동 유닛에 의해 상기 공급 경로에 대해 이동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50023048A 2014-02-28 2015-02-16 화상 형성 장치 KR101809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38533A JP6320082B2 (ja) 2014-02-28 2014-02-28 画像形成装置
JPJP-P-2014-038533 2014-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689A KR20150102689A (ko) 2015-09-07
KR101809785B1 true KR101809785B1 (ko) 2017-12-15

Family

ID=5246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048A KR101809785B1 (ko) 2014-02-28 2015-02-16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60827B2 (ko)
EP (1) EP2913719B1 (ko)
JP (1) JP6320082B2 (ko)
KR (1) KR101809785B1 (ko)
CN (1) CN1048809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9830B2 (ja) * 2017-02-16 2021-06-18 日立金属株式会社 管継手
JP7005249B2 (ja)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39226B2 (ja) 2017-09-21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5250B2 (ja) *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051347B2 (ja) 2017-09-21 202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9133B2 (ja)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009132B2 (ja)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0091B2 (ja) 2017-09-21 2022-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247393B2 (ja) * 2017-09-21 2023-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KR102541857B1 (ko) 2019-01-16 2023-06-0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스프링 오거를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CN214427749U (zh) * 2020-03-03 2021-10-19 纳思达股份有限公司 粉筒
JP7379223B2 (ja) * 2020-03-12 2023-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装置
JP7413094B2 (ja) * 2020-03-12 2024-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受け入れ装置、画像形成装置
JP7519935B2 (ja) 2021-02-26 2024-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447333B2 (ja) 2021-12-27 2024-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6295A (ja) * 2010-06-11 2012-11-15 Ricoh Co Ltd 着脱可能装置、現像剤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015826A (ja) * 2011-06-06 2013-01-24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2014021246A (ja) 2012-07-18 2014-02-03 Konica Minolta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970A (ja) 1994-06-28 1996-01-19 Ricoh Co Ltd 現像装置の現像剤補給機構
JP3427299B2 (ja) * 2000-11-30 2003-07-1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そ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5017478A (ja) 2003-06-24 2005-01-20 Oki Data Corp 現像剤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7450890B2 (en) * 2004-11-12 2008-11-1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having a shutter cleaning feature
JP5531579B2 (ja) * 2008-11-27 2014-06-2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粉体容器
EP2980656B1 (en) 2010-06-11 2020-10-14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storage device, removable device, developer container,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69241B2 (ja) * 2010-08-09 2014-08-1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630559B2 (en) * 2010-10-26 2014-01-1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oner receiver
JP2013011782A (ja) * 2011-06-30 2013-01-17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US8737887B2 (en) * 2012-04-27 2014-05-27 Lexmark International, Inc. Shutter assembly for a toner container
JP5744830B2 (ja) 2012-12-19 2015-07-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83825B2 (ja) * 2013-04-25 2016-03-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92389B2 (ja) 2013-07-04 2017-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6295A (ja) * 2010-06-11 2012-11-15 Ricoh Co Ltd 着脱可能装置、現像剤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015826A (ja) * 2011-06-06 2013-01-24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2014021246A (ja) 2012-07-18 2014-02-03 Konica Minolta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60827B2 (en) 2016-06-07
CN104880926A (zh) 2015-09-02
JP2015161898A (ja) 2015-09-07
US20150248102A1 (en) 2015-09-03
CN104880926B (zh) 2019-10-25
EP2913719A1 (en) 2015-09-02
JP6320082B2 (ja) 2018-05-09
KR20150102689A (ko) 2015-09-07
EP2913719B1 (en)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785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1660107B1 (ko) 화상 형성 장치
US93895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supply control
KR101749391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9486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KR101867895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94867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807393B2 (en)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843479B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594331B2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8335453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100189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rotatable development carrying member disposed in a particular relation to a developer supply roller
US11016411B2 (en)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1249508A (ja)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614702B2 (ja) トナー搬送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6300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08035A (ja)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04999A (ja) トナー補給回収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