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052B1 -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052B1
KR101830052B1 KR1020127022042A KR20127022042A KR101830052B1 KR 101830052 B1 KR101830052 B1 KR 101830052B1 KR 1020127022042 A KR1020127022042 A KR 1020127022042A KR 20127022042 A KR20127022042 A KR 20127022042A KR 101830052 B1 KR101830052 B1 KR 10183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support element
housing wall
mol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342A (ko
Inventor
난 리
브리스 바르텔레 헨드릭 데
그레고리우스 즈바르트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30033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5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being in movable 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the coating, e.g. bearing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1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means for bonding the coating to the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6Knobs or handles, push-buttons, grips
    • B29L2031/466Keypads, keyto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2Actuators integral with membrane
    • H01H2221/006Adhes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01H2221/044Elastic part on actuator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01H2229/047Preformed layer in mou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331Composite web or sheet including nonapertured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포일(2)이 몰드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가 몰드 내에 주입되어서 포일(2)에 접착되는 하우징 벽(3)을 형성한다.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는 하우징 벽(3) 내의 구멍(5)에 걸쳐 연장되는 포일(2)의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분을 포함한다. 포일은 몰드 내로 삽입되고 그후에 폴리머는 몰드 내로 주입되어서 구멍을 갖는 하우징 벽(3)을 형성하고 구멍(5) 내에 위치한 지지 요소(6)를 형성한다. 지지 요소(6) 및 하우징 벽(3) 사이에 갭(7)이 제공된다. 지지 요소(6)는 하우징 벽(3) 및 포일(2) 사이의 접착력과 비교되는 감소된 접착력으로 포일(2)에 접착된 갭(7) 인근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역(9)이다. 디바이스를 몰드로부터 제거한 후에, 지지 요소(6) 및 포일(2)의 가요성 부분은 상기 접착력이 감소된 위치에서 서로 분리된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A METHOD OF PRODUCING A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DISPLACEABLE OPERATING MEMBER AS WELL AS SUCH A DEVIC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바이스에서 포일이 몰드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가 몰드 내로 주입되어서 포일에 부착되는 하우징 벽을 형성하며, 여기서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는 하우징 벽 내의 구멍에 걸쳐 연장되는 포일의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분을 포함하고, 포일은 몰드 내로 삽입되고, 그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가 몰드 내로 주입되어서 구멍을 갖는 하우징 벽을 형성하고 구멍 내에 위치한 지지 요소를 형성하며, 그리고 지지 요소 및 하우징 벽 사이에 갭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바이스에는 몰드 내에서 사출성형에 의해서 포일에 부착되는 하우징 벽 및 포일이 제공되고,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는 하우징 벽 내의 구멍에 걸쳐 연장되는 포일의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분을 포함하고, 지지 요소가 구멍 내에 위치하고, 갭이 지지 요소 및 하우징 벽 사이에 위치하며 지지 요소는 상기 지지 요소의 중심 영역 인근에 있는 포일의 가요성 부분에 접착되고, 상기 갭 인근에 있는 지지 요소의 외부 영역에서, 지지 요소는 포일의 가요성 부분에 연결되지 않는다.
삭제
이러한 디바이스는 US 6,752,946 B2로부터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인서트 사출성형(insert injection moulding)에 의해서 제조된다. 먼저, 가요성 포일은 몰드 내로 삽입된다. 몰딩 프로세스 동안, 폴리머는 가열되어서 액화되고 포일의 일측에 대해서 몰드 내로 주입된다. 폴리머를 주입하고 원하는 형상을 제공한 후에, 폴리머는 냉각 및 고형화되어서 하우징 벽을 형성한다. 폴리머가 고온 액체에서 냉각 고체 하우징 벽으로 변화될 때, 폴리머의 전체 체적은 감소되고; 폴리머의 전체 체적의 감소 비율은 수축 요소(shrinkage factor)로서 기술된다. 폴리머는 사출 성형 동안 포일에 부착된다. 폴리머가 제공되는 영역에서, 사출 성형 프로세스 후에, 포일은 폴리머와 함께 수축된다. 폴리머가 제공되지 않은 구멍의 위치에서, 구멍에 걸쳐 연장되는 포일의 가요성 부분은 폴리머 만큼 많이 가열되지 않으며 사출 성형 프로세스 후에 거의 수축하지 않는다. 수축한 폴리머 하우징 벽 및 포일과 가요성 부분이 거의 수축하지 않는, 구멍에 걸쳐 연장되는 포일의 가요성 부분의 조합의 결과로 인하여, 가요성 부분은 돔형 범프(dome-shaped bump) 내로 형성된다.
공지된 디바이스의 단점은 이러한 돔형 범프는 결과적으로 포일의 표면이 균일하지 않게 한다. 또한, 돔형 범프를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로서 사용하고 양호한 프레스 느낌을 보장하기 위하여 추가의 조치들이 취해질 필요가 있다.
US 5,679,304 A는 패널 버튼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이 방법은 캐비티를 형성하는 전달가능한 몰딩 다이, 런너(runner), 스프루(sprue) 및 게이트(gate)를 갖는 코어 몰딩 다이 및 스프루를 갖는 고정식 몰딩 다이를 포함하는 몰딩 다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푸시 버튼이 형성되는 캐비티의 하단부에 중공 공간이 제공된다. 돌출 부분이 캐비티 내로 삽입되고 코어 몰딩 다이의 하측면에 형성된다. 2개의 중공 동축방향 스페이서는 서로 연결되어서, 하나는 보스(boss)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탄성 아암을 형성한다. 플라스틱 시트는 캐비티 내로 도입되고 전달가능한 몰딩 다이 및 코어 몰딩 다이 사이에 개재된다. 플라스틱 시트들은 푸시 버튼이 형성되어야 하는 위치에서 비접합 부분을 갖는다. 용융 수지 재료는 런너, 스프루 및 게이트를 통해서 캐비티 내로 주입된다. 그렇게 형성된 패널 버튼은 플라스틱 시트 상의 푸시 버튼을 포함한다.
JP 9 167539 A는 가요성 시트가 수지 플레이트의 후면에 고정되어서 버튼 부분에 윈도우를 형성하는 시트 버튼 패널을 개시한다. 스위치 버튼은 윈도우로부터 가요성 시트를 노출시켜서 형성되고, 수지 플레이트에 고정되지 않는 환형 가요성 부분은 가요성 시트의 버튼 부분의 원주방향 에지에 형성된다. 후방 타격 재료가 가요성 시트의 버튼 부분의 후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일이 이 포일의 거의 균일한 수축으로 인하여 평탄한 표면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프레스될 수 있는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갖는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목적은 서두에 기재된 종류의 방법에 의해서 달성되고, 지지 요소는 하우징 벽 및 포일 사이의 접착력과 비교되는 감소된 접착력에 의해서 포일에 접착된, 갭의 인근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역이고, 디바이스를 몰드로부터 제거한 후에, 지지 요소 및 포일의 가요성 부분은 접착력이 감소된 위치에서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달성되고, 여기서 포일이 몰드 내에 삽입되고 그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가 몰드 내로 주입되어서 구멍을 갖는 하우징 벽을 형성하고 구멍 내에 위치한 지지 요소를 형성하며, 지지 요소 및 하우징 벽 사이에 갭이 제공되고, 지지 요소는 하우징 벽 및 포일 사이의 접착력과 비교되는 감소된 접착력에 의해서 포일에 접착된, 갭의 인근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영역이고, 디바이스를 몰드로부터 제거한 후에, 지지 요소 및 포일의 가요성 부분은 접착력이 감소된 위치에서 서로 분리된다.
사출 성형 동안, 포일은 하우징 벽 뿐 아니라 지지 요소에 부착된다. 하우징 벽 및 지지 요소의 수축으로 인하여, 포일도 역시 수축할 것이다. 단지 갭의 위치에서, 포일의 수축은 작을 것이다. 그러나, 갭은 비교적 작을 수 있기 때문에, 포일의 비교적 균일한 수축이 얻어져서, 최적의 시각적 결과가 얻어질 것이다.
포일 및 감소된 수축력의 위치를 분리시킴으로써, 포일 및 외부 영역이 분리된다. 가요성 포일 부분은 하우징 벽에 대해서 변위가능하다.
사출 성형 프로세스 동안, 지지 요소는 양호하게는 지지 요소의 중심 영역 인근에 있는 가요성 포일에 비교적 큰 접착력으로 접착되고, 지지 요소는 가요성 포일 부분과 함께 작동 부재를 형성한다. 가요성 포일 부분은 지지 요소가 하우징 벽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는 지지 요소 및 포일의 가요성 부분이 작동 부재를 하우징 벽에 대해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접착력이 감소된 위치에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 부재가 프레스될 때, 포일의 가요성 부분의 가요성으로 인하여 하우징 벽에 대해서 변위될 것이다. 지지 요소 및 포일의 가요성 부분은 상기 접착력이 감소된 위치에서 서로 분리될 것이다. 양호하게는, 접착력은 먼저 제거되고 작동 부재는 최소 거리, 예컨대 1mm에 걸쳐 변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지지 요소 및 포일의 가요성 부분이 디바이스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접착력이 감소된 위치에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 벽 및 지지 요소가 고형화된 후에, 디바이스는 예컨대 60도까지 약 24시간 동안 다시 가열되고, 그에 의해서 지지 요소 및 포일의 가요성 부분은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는 지지 요소가 포일 및 하우징 벽 사이의 접착력과 유사한 접착력에 의해서, 지지 요소의 중심 영역 인근에 있는 포일의 가요성 부분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요성 포일 부분 및 지지 요소의 외부 영역 사이의 접착력을 제거한 후에, 지지 요소는 중심 영역에서 가요성 포일에 부착된 상태에서 잔류할 것이다. 지지 요소 및 가요성 부분은 결합되어서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형성한다. 작동 부재가 프레스될 때, 가요성 포일 부분은 구멍의 벽들과 지지 요소의 중심 영역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고 지지 요소는 하우징 벽에 대해서 이동할 것이다. 외부 영역을 확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지지 요소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의 용이한 프레스를 허용할 수 있는 양 만큼 축소 또는 확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는 지지 요소의 외부 영역이 상기 감소된 접착력을 제공하는 반-접착제(semi-adhesive)에 의해서 포일의 가요성 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반-접착제는 가요성 부분 및 외부 영역 사이에 접착력을 제공하고, 이 접착력으로 인하여 액체 폴리머가 고형화될 때, 포일은 하우징 벽의 폴리머와 함께 수축되게 된다. 몰딩 프로세스 이후에, 감소된 접착력으로 인하여, 반-접착력에 의한 포일의 가요성 부분 및 지지 요소의 외부 영역 사이의 연결은 쉽게 파괴되어서 포일의 가요성 부분이 하우징 벽에 대해서 변위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는 반-접착제가 Proell PUR-ZK, XWR와 같은 가교결합된 잉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반-접착제는 포일의 가요성 부분 및 지지 요소의 외부 영역 사이에 감소된 접착력을 제공하고, 상기 접착력은 포일이 지지 요소와 함께 수축되게 강요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고, 가요성 부분 및 외부 영역이 몰딩 프로세스 후에 분리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작다. 이러한 반-접착제를 사용하여, 포일에는 컬러 잉크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는 포일은 역시 갭의 적어도 일부에서 반-접착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해서, 역시 포일이 몰드에 정확하게 배치되지 않을 때에도, 지지 요소의 에지는 항상 반-접착제가 제공된 포일의 일부분을 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포일이 포일의 거의 균일한 수축으로 인하여 평탄한 표면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프레스될 수 있는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갖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목적은 반-접착제가 지지 요소의 외부 영역 상에 또는 지지 요소의 외부 영역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포일의 가요성 부분 상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서두에 기재된 종류의 다비이스에 의해서 달성된다.
지지 요소는 가요성 부분과 함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형성할 것이다. 작동 부재가 프레스될 때, 가요성 포일 부분은 구멍의 벽 및 지지 요소의 중심 영역 사이에서 변형되고 지지 요소는 하우징 벽에 대해서 이동할 것이다. 외부 영역은 포일의 가요성 부분에 연결되지 않으므로, 외부 영역은 포일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반-접착제가 지지 요소의 외부 영역 상에 및/또는 지지 요소의 외부 영역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포일의 가요성 부분 상에 제공되는 결과로 인하여, 사출 성형 동안, 외부 영역은 하우징 벽 및 포일 사이의 접착력과 비교되는 감소된 접착력으로 포일에 접착된다. 반-접착제는 사출 성형 동안 접착제로서 사용되었다. 이 감소된 접착력으로 인하여, 외부 영역에 대향하는 가요성 포일 부분은 지지 요소의 수축과 함께 수축되었다. 디바이스를 몰드로부터 제거한 후에, 포일의 가요성 부분 및 지지 요소는 지지 요소가 하우징 벽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접착력이 감소된 위치에서 서로 분리된다. 포일의 가요성 포일 부분 및 지지 요소의 외부 영역을 서로 분리한 이후에, 반-접착제의 잔여물이 외부 영역 상에 및/또는 가요성 부분 상에 잔류하지만, 더이상 접착제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는 지지 요소가 원통형 형상을 갖고 지지 요소의 외부 영역이 링 형상이고 지지 요소에 대해서 동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식에서, 둥근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가 얻어질 것이다. 그러나, 또한 다른 형상들을 갖는 지지 요소 및 구멍들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는 지지 요소 및 하우징 벽이 브릿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브릿지는 사출 성형에 의해서 하우징 벽과 함께 지지 요소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하우징 벽과 지지 요소는 단일 폴리머로 형성된다. 액체 폴리머는 하우징 벽을 형성하는 몰드 부분으로부터 브릿지를 형성하는 몰드 부분을 통해서 지지 요소를 형성하는 몰드 부분으로 몰드 내에서 유동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는 하우징 벽 및 지지 요소의 중심 영역이 모두 접착제에 의해서 포일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착제는 포일에 도포되어서 포일 및 폴리머가 사출 성형 동안 서로 강하게 접착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접착제는 포일 및 하우징 벽 사이에 그리고 포일 및 지지 요소의 중심 영역 사이에 비교적 큰 접착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는 디바이스가 가정용 기구, 양호하게는 휴대용 가정용 기구, 더욱 양호하게는 면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이음매없는 외관을 가지며, 시각적으로 매끄럽고 작동 부재가 방수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저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단면도.
유사 부분들은 도면에서 유사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 1a 및 도 1b는 포일(2) 및 접착제(4)에 의해서 비교적 큰 접착력으로 포일(2)에 영구적으로 접착된 폴리머 하우징 벽(3)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를 도시한다. 하우징 벽(3)에는 직경(Dh)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5)이 제공된다. 이 관통 구멍(5)에서, 직경(De)을 갖는 원통형 지지 요소(6)가 위치하고, 직경(Dh) > 직경(De)이다. 지지 요소(6)는 하우징 벽(3)과 동일한 폴리머로 제조된다. 지지 요소(6)는 하우징 벽(3)의 두께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진다. 지지 요소(6)는 관통 구멍(5)에 대해서 동심에 배치된다. 지지 요소(6) 및 관통 구멍(5)의 벽들 사이에서, 0,5*(Dh - De)의 폭을 갖는 갭(7)이 제공된다. 포일(2)은 관통 구멍(5)에 걸쳐 연장되고 접착제(4)에 의해서 지지 요소(6)에 접착된다. 접착제(4)는 직경(Di)을 갖는 지지 요소(6)의 중심 영역(8)에 제공된다. 포일(2)은 포일(2) 및 하우징 벽(3) 사이의 그리고 포일(2) 및 지지 요소(6)의 중심 영역(8) 사이의 접착력에 비교되는 감소된 접착력을 제공하는 반-접착제(10)에 의해서 중심 영역(8) 외부에 있는 외부 영역(9)에서 지지 요소(6)에 접착된다. 반-접착제(10)는 또한 갭(7) 내의 포일(2) 상에 도포되고 관통 구멍(5)의 벽들로 연장된다. 반-접착제(10)의 원의 외경(D0)은 직경(Dh)과 대략 동일하다. 반-접착제는 포일(2)이 사출 성형 동안 그리고 냉각 동안 액체 폴리머와 함께 수축하여 포일(2)의 평탄면을 생성하게 실행하는 Proell PUR-ZK, XWR, N2K와 같은 가교결합된 잉크층을 포함한다.
냉각 이후에, 지지 요소(6)와 함께 관통 구멍(5)에 걸쳐 연장되는 가요성 포일(2)의 부분은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반-접착제(10)의 특성들은 포일(2) 및 지지 요소(6)가 화살표 P1에 의해서 표시된 방향으로 하향으로 밀쳐질 때, 지지 요소(6)가 외부 영역(9)에서 포일(2)로부터 방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예컨대 1mm의 임의의 최소 거리에 걸친 지지 요소(6)의 제 1 이동 이후에, 지지 요소(6)는 단지 비교적 강한 접착력을 갖는 접착제(4)에 의해서 중심 영역(8) 내의 포일(2)에 접착되어서, 프레스 힘이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에 작용하는 동안, 포일(2)의 가요성 부분이 충분히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지지 요소(6)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 및 지지 요소(6)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무엇보다도 중심 영역(8)의 직경(Di)에 좌우된다.
직경(Di)은 양호하게는 5 내지 8mm이다. 직경(Do)은 직경(Di)보다 항상 크고 양호하게는 15 내지 25mm이다.
디바이스가 사출 성형 동안 사용된 몰드로부터 제거된 후에, 또한 디바이스를 가열하여 포일의 가요성 부분 및 지지 요소의 외부 영역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디바이스(1)는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갖는 면도기들과 같은 휴대용 가정용 기구와 같이, 임의의 가정용 기구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멍(5) 및 지지 요소(6)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요소(6)는 또한 하우징 벽(3)과 다른 폴리머로 제조될 수 있다.
지지 요소(6)는 또한 하우징 벽(2)의 두께와 동일한 또는 하우징 벽(2)의 두께 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에 의해서 디바이스의 제조를 단순하게 하는, 예컨대 3mm 폭의 브릿지에 의해서 하우징 벽 및 지지 요소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4)의 사용을 억제하고 대신에 폴리머 하우징 벽(3)을 포일(2)에 직접 접착할 수 있다.
반-접착제(10)의 직경(Do)은 또한 관통 구멍(5)의 직경(Dh) 보다 작고 지지 요소(6)의 직경(De)과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반-접착제(10)의 직경(Do)은 관통 구멍(5)의 직경(Dh) 보다 약간 클 수 있다. 그러나, 양호하게는
Dh > D0 > De > Di 이다.
삭제
당업자는 청구된 발명을 실행할 때, 도면, 공개내용 및 청구범위에서 공개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는"은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고 불명료한 용어 "단수표현"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임의의 조치들이 서로 상이한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고 있다는 사실은 이들 조치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다. 청구범위의 임의의 참조 부호들은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구비하는 디바이스(1)의 제조 방법으로서, 포일(2)이 몰드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가 상기 몰드 내로 주입되어서 상기 포일(2)에 부착되는 하우징 벽(3)을 형성하고, 상기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가 상기 하우징 벽(3) 내의 구멍(5)에 걸쳐 연장되는 상기 포일(2)의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포일이 상기 몰드 내로 삽입되고, 그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가 상기 몰드 내로 주입되어서 상기 구멍을 갖는 상기 하우징 벽(3)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5) 내에 위치한 지지 요소(6)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요소(6) 및 상기 하우징 벽(3) 사이에 갭(7)이 제공되는, 상기 디바이스(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6)는 상기 포일 및 상기 하우징 벽(3) 사이의 접착력과 동일한 접착력으로, 상기 지지 요소(6)의 중심 영역(8) 인근에 있는 상기 포일(2)의 가요성 부분에 접착되고,
    상기 지지 요소(6)는 상기 하우징 벽(3) 및 상기 포일(2) 사이의 상기 접착력에 비하여 감소된 접착력을 제공하는 반-접착제(10)에 의해, 상기 갭(7) 인근에 있는 외부 영역(9)에서 상기 포일(2)의 가요성 부분에 접착되고,
    상기 디바이스를 상기 몰드로부터 제거한 후에, 상기 지지 요소(6) 및 상기 포일(2)의 가요성 부분이 상기 접착력이 감소된 위치에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6) 및 상기 포일(2)의 가요성 부분은 상기 작동 부재를 상기 하우징 벽(3)에 대해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접착력이 감소된 위치에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6) 및 상기 포일(2)의 가요성 부분은 상기 디바이스(1)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접착력이 감소된 위치에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접착제(10)는 Proell PUR-ZK, XWR, N2K와 같은 가교 결합된 잉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2)은 상기 갭(7)의 적어도 일부분 내에도 상기 반-접착제(1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벽(3) 및 상기 지지 요소(6)는 단일 폴리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디바이스(1)로서, 상기 디바이스(1)가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구비하고 포일(2) 및 상기 포일(2)에 부착된 하우징 벽(3)을 구비하며, 상기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가 상기 하우징 벽(3) 내의 구멍(5)에 걸쳐 연장되는 상기 포일(2)의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분을 구비하고, 지지 요소(6)가 상기 구멍(5) 내에 위치하고, 갭(7)이 상기 지지 요소(6) 및 상기 하우징 벽(3)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 요소(6)는 상기 포일 및 상기 하우징벽(3) 사이의 접착력과 동일한 접착력으로, 상기 지지 요소(6)의 중심 영역(8) 인근에 있는 상기 포일(2)의 가요성 부분에 접착되고, 상기 갭(7) 인근에 있는 상기 지지 요소(6)의 외부 영역(9)에서, 상기 지지 요소(6)는 상기 포일(2)의 가요성 부분에 연결되는 않는, 상기 디바이스(1)에 있어서,
    반-접착제(10)가 상기 지지 요소(6)의 외부 영역(9) 상에 및/또는 상기 지지 요소(6)의 외부 영역(9)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포일(2)의 가요성 부분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6)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지지 요소(6)의 외부 영역(9)은 링 형상이고 상기 지지 요소(6)에 대해서 동심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6) 및 상기 하우징 벽(3)은 브릿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벽(3) 및 상기 지지 요소(6)의 중심 영역(8)은 모두 접착제(4)에 의해서 상기 포일(2)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1)는 가정용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27022042A 2010-01-25 2011-01-20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101830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51570A EP2347880A1 (en) 2010-01-25 2010-01-25 A method for producing a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displaceable operating member as well as such a device
EP10151570.8 2010-01-25
PCT/IB2011/050255 WO2011089560A1 (en) 2010-01-25 2011-01-20 A method of producing a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displaceable operating member as well as such a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342A KR20130033342A (ko) 2013-04-03
KR101830052B1 true KR101830052B1 (ko) 2018-02-19

Family

ID=4226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042A KR101830052B1 (ko) 2010-01-25 2011-01-20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26359B2 (ko)
EP (2) EP2347880A1 (ko)
JP (2) JP5872485B2 (ko)
KR (1) KR101830052B1 (ko)
CN (1) CN102741031B (ko)
BR (1) BR112012018099B1 (ko)
CA (1) CA2787723A1 (ko)
RU (1) RU2550183C2 (ko)
WO (1) WO2011089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5871B2 (ja) * 2018-12-26 2021-11-10 株式会社デンソー 樹脂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155B1 (ko) * 1994-02-04 2003-02-05 요시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기부품용패널버튼과그제조방법및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0137A (en) * 1970-10-05 1973-09-18 Alps Electric Co Ltd Matrix push-button switch
US3908100A (en) * 1974-03-25 1975-09-23 Gen Signal Corp Touch blend smooth surface switch assembly
US3978297A (en) * 1975-03-31 1976-08-31 Chomerics, Inc. Keyboard switch assembly with improved pushbutton and associated double snap acting actuator/contactor structure
DE3006592A1 (de) * 1980-02-22 1981-08-27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Tastschalter
JPS56128523A (en) * 1980-03-11 1981-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producing keyboard switch
US4439647A (en) * 1982-07-14 1984-03-27 Nick Calandrello Touchpad keyboard
US4681987A (en) * 1983-01-11 1987-07-2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equipment having a key input function
JPS61140009A (ja) * 1984-12-12 1986-06-27 信越ポリマ−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
JPH0320979Y2 (ko) * 1984-12-28 1991-05-08
JPS63202026U (ko) * 1987-06-17 1988-12-27
JPH04152986A (ja) * 1990-10-16 1992-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操作板
JPH0794137B2 (ja) * 1991-02-08 1995-10-11 大成プラス株式会社 押ボタンとその製造方法
JP2517490B2 (ja) 1991-02-28 1996-07-24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装飾フィルム付き成形品の製造方法
JP2630693B2 (ja) * 1991-06-13 1997-07-16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メンブレンスイッチ用部材の製造方法
US5273416A (en) 1991-09-24 1993-12-28 Polystar Packaging, Incorporated Apparatus for making an injection molded frame having a panel insert
JPH06325656A (ja) * 1993-05-11 1994-11-25 Yoshida Kogyo Kk <Ykk> 電器部品用パネルボタンの製造方法及びそのパネルボタン
JPH06328506A (ja) * 1993-05-26 1994-11-29 Yoshida Kogyo Kk <Ykk> 電器部品用パネルボタンの製造方法及びそのパネルボタン
JP3150830B2 (ja) * 1993-09-24 2001-03-26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透明部を有する樹脂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JPH07239992A (ja) * 1994-02-28 1995-09-12 Nohmi Bosai Ltd 火災報知設備用機器などのスイッチ機構
US5491314A (en) * 1994-08-11 1996-02-13 Whirlpool Corporation Flat high temperature membrane switch display window
JP3442177B2 (ja) * 1995-02-14 2003-09-02 吉田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ボタンパネル形成方法
DE29506218U1 (de) 1995-04-05 1995-06-14 Spiering Karl Heinrich Informationstableau
JP2699936B2 (ja) * 1995-06-06 1998-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複合成形体の製造方法
JPH0935571A (ja) * 1995-07-14 1997-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光式スイッチユニット
JPH0992081A (ja) * 1995-09-27 1997-04-04 Nissha Printing Co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用表面パネル
JPH09167539A (ja) * 1995-12-18 1997-06-24 Yoshida Kogyo Kk <Ykk> シートボタンパネル及びシートボタンパネル形成方法
US5952630A (en) * 1996-09-11 1999-09-14 Textron Automotive Company Inc. Armrest electrical switch array
US6752946B2 (en) 1996-09-27 2004-06-22 Nissha Printing Co., Ltd. Cellular phone top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ellular phone top cover
IT1287126B1 (it) * 1996-10-31 1998-08-0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Procedimento e utensili a stampo per lo stampaggio ad iniezione di una parte di materia plastica in un materiale in foglio da imballaggio
JPH11232963A (ja) * 1998-02-13 1999-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パネルスイッチ用可動接点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ネルスイッチ
JPH11329139A (ja) * 1998-05-18 1999-11-30 Nissha Printing Co Ltd シリコーンゴムキーパッドとその製造方法
JP2000100277A (ja) * 1998-09-25 2000-04-07 Jsr Corp キーボードスイッチとその製造方法
FR2786604B1 (fr) * 1998-11-30 2001-01-05 Aries Ind Structure Procede de realisation d'un clavier et clavier ainsi obtenu
JP3003934B1 (ja) * 1999-03-30 2000-01-31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インサ―ト材とインサ―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0306457A (ja) * 1999-04-20 2000-11-02 Hoshi Seisakusho:Kk プラスチック成形銘板
KR100359519B1 (ko) * 2000-03-16 2002-10-31 주식회사 동남 실리콘 키패드 일체형 통신기기용 전면 커버
JP3642715B2 (ja) * 2000-04-17 2005-04-27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押ボタンスイッチ構造体
US7758787B2 (en) * 2002-06-07 2010-07-20 Intier Automotive Inc. Multi-shot injection molded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151237B2 (en) * 2003-01-31 2006-12-19 Neeco-Tron, Inc. Control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DE112004000492B4 (de) * 2003-04-03 2008-11-06 Danfoss Drives A/S Abdeckung für einen Tastenschalter
US6737596B1 (en) * 2003-05-08 2004-05-18 Lear Corporation Integrated switch bank
US7717620B2 (en) * 2004-06-11 2010-05-18 Sonoco Development, Inc. Flexible packaging structure with a built-in opening and reclose fea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DE102004055416C5 (de) 2004-11-17 2008-08-21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Kraftfahrzeug-Innenverkleidungsteil und Verfahren zur Markierung
US7837387B2 (en) * 2005-04-06 2010-11-23 Avery Dennison Corporation Evacuatable container
US20070069418A1 (en) 2005-09-28 2007-03-29 Chih-Yuan Liao In mold manufacturing of an object comprising a functional element
TWM302070U (en) * 2006-05-19 2006-12-01 Inventec Corp Key module
EP2006869A1 (en) * 2007-06-22 2008-12-24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amp; ENGINEERING S.A. Film-type switching element
US8922510B2 (en) * 2008-01-04 2014-12-30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JP2009238679A (ja) * 2008-03-28 2009-10-15 Omron Corp キースイッチ用シート及びキースイッチ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155B1 (ko) * 1994-02-04 2003-02-05 요시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기부품용패널버튼과그제조방법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50183C2 (ru) 2015-05-10
EP2528720B1 (en) 2014-03-19
CN102741031A (zh) 2012-10-17
JP5872485B2 (ja) 2016-03-01
WO2011089560A1 (en) 2011-07-28
BR112012018099A2 (pt) 2017-10-17
US9126359B2 (en) 2015-09-08
CN102741031B (zh) 2016-01-20
EP2528720A1 (en) 2012-12-05
BR112012018099B1 (pt) 2019-11-26
US20120258279A1 (en) 2012-10-11
JP2013517958A (ja) 2013-05-20
CA2787723A1 (en) 2011-07-28
EP2347880A1 (en) 2011-07-27
KR20130033342A (ko) 2013-04-03
JP2016106048A (ja) 2016-06-16
RU2012136435A (ru)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7483B2 (ja) シート状キート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52617A (ko) 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1830052B1 (ko)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JPH09259697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ングシート構造
KR100664702B1 (ko) 전자기기의 금속버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1697A (ko)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JP3802736B2 (ja) 押釦シート部材
JP2007194091A (ja) スイッチ装置
JPH09259696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ングシート構造
KR1007641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용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
KR200370995Y1 (ko) 전자기기의 금속버튼
JP4194887B2 (ja) 押釦構造体及び押釦構造体の製造方法
WO2017162165A1 (en) Loudspeaker membran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9152119A (ja) スイッチ用反転ばね、及びスイッチ用反転ばねを有するスイッチ装置
WO2019163730A1 (ja) 押圧構造体、スイッチ装置、および押圧構造体の製造方法
JP4357254B2 (ja) キーシートと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JP3409000B2 (ja) 電子機器の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KR200341267Y1 (ko) 셀룰라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5088211A (ja) 成形品の成形方法
JP3849972B2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58343Y1 (ko) 버튼 집합체
JP2002367471A (ja) キートップ板及びキートップ取付板の製造方法
KR200232677Y1 (ko) 박스 결합 보조 기구
JP2000268675A (ja) キートップ板の製造方法
JPH04212222A (ja) 押しボタンパネルシート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方法に用いる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