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131B1 -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용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용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131B1
KR100764131B1 KR1020060070298A KR20060070298A KR100764131B1 KR 100764131 B1 KR100764131 B1 KR 100764131B1 KR 1020060070298 A KR1020060070298 A KR 1020060070298A KR 20060070298 A KR20060070298 A KR 20060070298A KR 100764131 B1 KR100764131 B1 KR 100764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rface shee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진
천성호
권영수
신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센
주식회사 보고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센, 주식회사 보고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센
Priority to KR102006007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4Metal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 소재의 본체; 상기 본체의 표면에 배치된 표면시트; 및 합성수지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배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표면시트의 배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면시트에 부착되는 제1부착부를 가지는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체, 관통공, 표면시트, 부착부재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Case memb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일구성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조립과정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조립과정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관통공
12... 대직경관통공 13... 소직경관통공
20... 표면시트 30... 부착부재
31... 제1부착부 32... 지지부
33... 제2부착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는 금속 소재의 본체 표면에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가죽, 천등의 표면시트를 부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휴대하고 이동중에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기기로서,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부재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에는 플라스틱 소재보다 고급스러움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표면을 금속 소재로 하고 있다.
이러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부재는 그 색감이 미려하고 고급스러워 보여 미관상 좋으나,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 사용하는 경우 금속 소재의 케이스부재는 열전도성이 커서 그 외부의 온도를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장시간 이동통신 단말기를 쥐고 있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상기 금속소재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부재에서 사용자가 쥐는 부분에 가죽, 천 등의 소재를 부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100)의 단면도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100)는 금속소재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에 배면에 배치된 표면시트(120)와, 상기 본체(110)와 표면시트(120)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와 표면시트(120)를 부착시키는 부착층(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층(130)은 상기 본체(110)에 상기 표면시트(120)를 부착하는 층으로서, 상기 부착층(130)은 일반적으로 두 물체를 접합하는 데 사용되는 본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케이스부재(100)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는 그 부착층(130)을 구성하는 본드가 열에 약하여, 고온에서 녹은 본드가 상기 표면시트(120)로부터 본체로 흘러나와 미관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쥐는 촉감이 좋지 않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케이스에서는 흔히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본드 등의 부착제는 그 부착력이 금속에는 약해서, 장시간 사용하면 상기 표면시트(120)가 상기 본체(110)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표면시트가 부착되며,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본체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를 고온에 놓이게 해도 본체와 표면시트 사이에 형성된 부착층이 녹아서 본체로 흘러나오는 일이 없고, 장시간 사용해도 표면시트가 본체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 소재의 본체; 상기 본체의 표면에 배치된 표면시트; 및 합성수지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배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표면시트의 배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면시트에 부착되는 제1부착부를 가지는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상기 표면시트는 가죽, 플라스틱, 천, 고무 및 나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관통공은 대직경관통공과, 상기 대직경관통공의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관통공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복수의 소직경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에서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제1부착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표면과 상기 표면시트의 배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표면시트에 부착되는 제2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에서 상기 표면시트는 상기 본체의 표면 일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에서 상기 부착부재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를 마련하는 본체 마련단계; 상기 본체의 표면에 표면시트를 배치시키고, 상기 표면시트가 배치된 본체를 사출성형용 금형 내에 삽입하는 배치 및 삽입단계; 및 상기 본체 및 표면시트가 삽입되어 있는 금형 내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본체의 배면에 접촉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표면시트의 배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면시트에 부착되는 제1부착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부착부재를 형성하는 사출성형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사출성형 단계는, 상기 제1부착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표면과 상기 표면시트의 배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표면시트에 부착되는 제2부착부를, 상기 제1부착부 및 상기 지지부와 함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금속소재 본체의 사시도로서,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이다. 이러한 케이스부재(1)는 금속 소재의 본체(10), 표면시트(20), 부착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에는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1)은 큰 직경을 가진 대직경관통공(12)과, 상기 대직경관통공(12)의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관통공(1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복수의 소직경관통공(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시트(20)는 상기 본체(10)의 표면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표면시트(20)는 가죽, 플라스틱, 천,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열전도성이 낮으면서 촉감이 좋은 샤무드, 나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표면시트(20)는 그 소재 자체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그 표면시트(20)의 표면에 각종 기호, 문자, 숫자, 도형 및 기타 캐릭터 등이 미리 인쇄된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30)는 PC, PCABS, PMMA 의 중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열가소성 수지라면 상기 언급한 소재이외에도 작업조건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이 부착부재(30)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며, 지지부(32)와 제1부착부(31)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32)는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32)는 본체(10)의 배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관통공(11)의 주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부착부(31)는 본 실시예에서는 대직경관통공(12)에 위치하는 부착부와, 소직경관통공(13)에 위치하는 부착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부착부(31)은 상기 지지부(32)로부터 상기 본체(10)의 관통공(11)을 통해 상기 표면시트(20)의 배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면시트(20)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부착부(31)는 그 일측이 지지부(3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측이 상기 본체(10)의 배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부착부(31)는, 표면시트(20)와의 접촉면적이 넓은 대직경관통공(12)에 위치한 부착부가 표면시트(20)와 부착부재(30)들을 부착하는 부착력의 대부분을 제공하며, 소직경관통공(13)에 위치한 부착부는 비교적 적은 접촉면적을 가지고 있어, 표면시트(20)의 가장자리부분이 부착부재(30)에 부착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부착층(130)의 일면이 금속소재의 본체(110)에 부착되고, 부착층(130)의 다른쪽면은 표면시트(120)에 부착되어 순수하게 부착력만으로 본체(110)와 표면시트(120)를 부착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제1실시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부착부재(30)에서 그 일측이 표면시트(20)의 부착부에 부착되며, 그 타측은 지지부(32)에 의하여 금속 소재의 본체(1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즉,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제1실시예에서 부착부재(30)의 일측은 본체(10)의 표면에 배치된 표면시트(20)에 부착력에 의하여 부착되고, 부착부재(30)의 타측은 선박의 닻(anchor)과 유사한 구 조를 가지고 본체(10)의 배면에 고정된 지지부(32)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표면시트(20)가 본체(10)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부재는 종래기술과 같이 본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아서, 고온에서 외부로 흘러나올 염려가 적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1)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제작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면서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0) 및 그 본체에 배치되는 표면시트(20)를 마련한다.
이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1)이 형성된 상기 본체(10)의 표면에 표면시트(20)를 배치시키고, 상기 표면시트(20)가 배치된 본체(1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용 금형(40) 내에 삽입한다.
상기 금형(40)은 본체(10) 및 표면시트(20)이 놓여지는 제1금형(41)과, 부착부재(30)의 내면을 형성하는 제2금형(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금형(41)과 제2금형(42)이 서로 결합될 때, 그 내부공간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1)의 단면형상을 가진 캐비티(43)가 형성된다.
이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40) 내로 용융된 합성수지를 가압플랜저 등으로 주입하고, 상기 용융된 합성수지를 금형내에서 주입된 상태에서 경화되도록 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1)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부착부재(30)는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접촉하는 지지부(32)와, 상기 지지부(32)로 부터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상기 표면시트(20)의 배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면시트(20)에 부착되는 제1부착부(31)로 구성된다.
완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을 형분리하여 빼내면 된다.
<제2실시예>
도 8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의 조립과정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1)에서 일구성인 부착부재(30)가 제1부착부(31)와 지지부(32) 이외에 제2부착부(33)를 더 포함하는 점이 제1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제2부착부(33)는 제1부착부(31) 및 지지부(32)와 동일한 합성수지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부착부(31)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제2부착부(33)은 제1부착부(31) 및 지지부(32)와 함께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부착부(33)은 상기 본체(10)의 표면과 상기 표면시트(20)의 배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표면시트(20)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부착부(31)와 상기 제2부착부(33)를 구분하면, 상기 제1부착부(31)는 지지부(32)로부터 표면시트(20)의 배면측을 그 높이로 하고, 관통공(11)의 지름을 그 지름으로 하는 원기둥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2부착부(33)는 상기 본체(10)의 표면과 상기 표면시트(20)의 배면사이에 형성된 합성수지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제1부착부(31)를 제외한 부분, 즉, 상기 원기둥형상의 제1부착부(31) 둘레에 형성 된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착부(31)는 순수하게 관통공(11)이 투영된 표면시트(20)의 배면부와 부착되며, 상기 제2부착부(33)는 상기 제1부착부(31) 이외의 본체(10)의 표면과 표면시트(20)의 배면사이에 형성된 부분에 부착된다.
상기 제2부착부(33)가 구비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부착되지 않은 부분까지 합성수지를 채워놓아 표면시트(20)가 부착부재(30)에 부착되게 하는 면적을 넓게 하여, 부착부재(30)와 표면시트(20)가 강하게 부착되게 한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1)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1)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2부착부(33)를 상기 제1부착부(31) 및 상기 지지부(32)와 함께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실시예와 같이, 본체(10) 및 표면시트(20)를 마련하고, 마련된 표면시트(20)를 본체(10)에 배치한다.
이후, 표면시트가 배치된 본체를 금형내에 삽입하는 데 이때, 상기 표면시트(20)의 배면과, 본체(10)의 표면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마련하여 제2부착부(33)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40) 내에 용융수지를 주입하고, 용융수지를 경화되게 한다. 경화가 완료되어, 상기 제1금형(41)과 제2금형(42)을 형분리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1)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우선, 상기 실시예에서 관통공을 대직경관통공과 소직경관통공으로 구분하였 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대직경관통공만을 사용하거나, 복수의 소직경관통공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관통공들의 배치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각종 구성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즉, 관통공의 형상이 원형이 아닌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제1부착부도 상술한 바와 같은 원기둥 형상이 아니라,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등 관통공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변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합성수지제 부착부재로 표면시트를 금속 소재의 본체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어, 온도변화에 민감한 본드 등의 부착수단에 비하여 합성수지제가 그 열반응성이 낮아 고온시에 합성수지제가 녹아 외부로 흘러나올 염려가 적다.
또한, 일반적인 부착수단은 금속에 대하여 부착력이 약해서 장시간 사용시 쉽게 떨어질 염려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소재의 본체에 선박의 닻과 같이 걸려 고정되어 있으며, 다만 표면소재에만 부착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본 발명을 사용해도 표면소재가 본체로부터 떨어져 나갈 염려가 적다.

Claims (8)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 소재의 본체;
    상기 본체의 표면에 배치된 표면시트; 및
    합성수지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배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표면시트의 배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면시트에 부착되는 제1부착부를 가지는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시트는 가죽, 플라스틱, 천, 고무, 나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대직경관통공과, 상기 대직경관통공의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관통공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복수의 소직경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제1부착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표면과 상기 표면시트의 배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표면시트에 부착되는 제2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시트는 상기 본체의 표면 일부에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7.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본체의 표면에 표면시트를 배치시키고, 상기 표면시트가 배치된 본체를 사출성형용 금형 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본체 및 표면시트가 삽입되어 있는 금형 내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본체의 배면에 접촉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표면시트의 배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면시트에 부착되는 제1부착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부착부재를 형성하는 사출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 단계에서, 상기 제1부착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표면과 상기 표면시트의 배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표면시트에 부착되는 제2부착부를, 상기 제1부착부 및 상기 지지부와 함께 형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제조방법.
KR1020060070298A 2006-07-26 2006-07-26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용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 KR10076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298A KR100764131B1 (ko) 2006-07-26 2006-07-26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용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298A KR100764131B1 (ko) 2006-07-26 2006-07-26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용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131B1 true KR100764131B1 (ko) 2007-10-05

Family

ID=3941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298A KR100764131B1 (ko) 2006-07-26 2006-07-26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용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1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281B1 (ko) 2011-09-01 2013-04-10 (주) 인목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KR101525244B1 (ko) * 2008-08-27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죽이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444A (ja) * 1994-03-31 1995-10-17 Fujitsu Kiden Ltd プラスチック部材の一体成形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444A (ja) * 1994-03-31 1995-10-17 Fujitsu Kiden Ltd プラスチック部材の一体成形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244B1 (ko) * 2008-08-27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죽이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53281B1 (ko) 2011-09-01 2013-04-10 (주) 인목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431B1 (ko)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JP4633181B2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複合品の製造方法
US8189326B2 (en) Product case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633843B1 (ko) 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
US8242396B2 (en) Keypad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4172396A (ja) ケース体
KR1007641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용케이스부재의 제조방법.
KR101397747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KR100664702B1 (ko) 전자기기의 금속버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2659Y1 (ko) 사랑의 열매
KR101439229B1 (ko) 자동차 내장재 일체 진공사출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JP2963411B2 (ja) スイッチ用押圧部を有する発泡成形品の構造および製造方法
JP2022094271A (ja) 電子回路メッキ工法を用いたime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4690888B2 (ja) キート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24713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부재 및 이동통신 단말기용케이스부재 제조방법
KR100837267B1 (ko) 일체형 버튼부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
JP2019212493A (ja) 電子装置の製造方法
JP2649025B2 (ja) 押ボタンを含む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CN111988933A (zh) 具有软硬材质的壳体、制作壳体的方法和电子装置
KR101830052B1 (ko)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JP2002050258A (ja) 押釦シート部材
JP2000285762A (ja) シート成形押ボタンユニットを備えた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3409000B2 (ja) 電子機器の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5197109A (ja) キートップ構造体
JP3687968B2 (ja) 射出成形同時加飾品の製造方法、及び射出成形同時加飾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