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843B1 - 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843B1
KR100633843B1 KR1019990064452A KR19990064452A KR100633843B1 KR 100633843 B1 KR100633843 B1 KR 100633843B1 KR 1019990064452 A KR1019990064452 A KR 1019990064452A KR 19990064452 A KR19990064452 A KR 19990064452A KR 100633843 B1 KR100633843 B1 KR 100633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ntrol panel
push button
panel membe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617A (ko
Inventor
나리토미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다이세이 플라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세이 플라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세이 플라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52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23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outside the mould or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31Telephones, Earphones
    • B29L2031/3437Cellular 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6Knobs or handles, push-buttons, grips
    • B29L2031/466Keypads, keyto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36Manufacturing ultraso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01H2229/047Preformed layer in mou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5Forming; Half-pun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3/00Key modules
    • H01H2233/03Key modules mounted on support plate or frame
    • H01H2233/032Locating p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3/00Key modules
    • H01H2233/03Key modules mounted on support plate or frame
    • H01H2233/044Rive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5Switch making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의 밀폐성, 명료성, 조작성을 만족시키면서 저렴화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시판되는 광투과성인 열가소성 합성수지제의 단체시트(10)가 기본체로서 사용되고, 이 단체시트(10)의 표면에 형성된 각 인쇄층(11)이 저면 내측에 위치하는 시트 오목형상부(14)를 형성하여 성형시트를 만든다. 이것에 합성수지를 충전시켜서 누름버튼(4)을 구비한 키 시트(24)를 만든다. 키 시트(24)를 초음파에 의해 케이스커버(3)의 이면에 열용착하여 양자를 일체의 유닛으로 한다.
누름버튼유닛, 제어패널, 키 시트, 합성수지시트, 열용착

Description

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Control panel having sheet-formed pushbutton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이 채용된 휴대용 전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누름버튼의 외피가 되는 인쇄된 단체(solid)시트의 평면도,
도 3은 단체시트로부터 형성시트로 열성형하는 공정의 설명도,
도 4는 성형시트로부터 키 시트로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실시형태 1에서의 전자기기의 제어패널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열코킹으로써 키 시트와 케이스커버를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삭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용 전화기 2 : 전화기 본체
3 : 케이스커버 4 : 누름버튼
8 : 개구부 9 : 손가락 접촉부
10 : 단체시트 11 : 인쇄층
14 : 시트 오목형상부 15 : 금형
17 : 가열판 19 : 누름버튼 외피
23 : 성형시트 24 : 키 시트
본 발명은 범용(汎用) 시트를 성형하여 만들어진 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가소성의 합성수지시트를 열성형하여 만든 성형시트에 의해 만들어진 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컴퓨터 관련기기, 통신기기의 보급에 따라 이들에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제어패널 등의 입력조작부는 조작성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또한 극단적인 저비용화가 요청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전자부품의 고정밀도화와 함께 방진, 정전기에 의한 전자부품의 파괴를 막기 위해 밀봉성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부품의 제어패널은 이들 기기의 저비용보급을 도모하기 위해 궁극적으로 비용절감이 요구되며, 또한 상기한 기계적, 전기적인 제기능의 향상도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이를 위하여 시트를 사용한 전자기기의 제어패널을 제안하였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9-259696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9-259697호). 제안한 것에서 제어패널과 누름버튼의 조립은 기계적인 조립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이 기계적인 조립구조를 채용하면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부품수가 증가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를 열성형하여 제조한 성형시트를 제어패널에 일체로 하여 공정수를 감소시킨, 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렴화를 꾀할 수 있는 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산성이 뛰어난 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1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은 전자기기 등의 제어패널부재(3)의 개구부(8)에 삽입된 누름버튼(4)과,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고정되고 상기 누름버튼(4)을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탄성적으로 휘어서 지지하며 또한 상기 누름버튼(4)의 외피로 되도록 성형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성형시트(23)로 이루어지는 시트성형 누름버튼 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부재(3)는 금속제이고,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단체(solid)시트(10)에, 열성형에 의해 복수의 누름버튼외피가 되고 밑면 내측에 인쇄층(11)을 가지는 오목부(14)를 성형하여 상기 성형시트(23)를 만들고, 상기 성형시트(23)를 사출성형금형(20)(25)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오목부(14)에 용융수지를 충전하여 키 시트(24)로 하며, 상기 성형시트(23)와 상기 제어패널부재(3)는 상기 제어패널부재(3)를 소성변형시켜서 수행하는 코킹(caulking)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형성시트(23)와 상기 제어패널부재(3)는 열접합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면 좋다. 열접합이라는 것은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가열하여 양부재를 연결고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된 부재를 눌러 변형시켜서 코킹(caulking)하는 방법, 초음파 진동에너지에 의한 초음파용착이다.
본 발명의 제2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은 전자기기 등의 제어패널부재(3)의 개구부(8)에 삽입된 누름버튼(4)과,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고정되고 상기 누름버튼(4)을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탄성적으로 휘어서 지지하며 또한 상기 누름버튼(4)의 외피로 되도록 성형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성형시트(23)로 이루어지는 시트성형 누름버튼 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부재(3)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이고,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단체(solid)시트(10)에, 열성형에 의해 복수의 누름버튼외피가 되고 밑면 내측에 인쇄층(11)을 가지는 오목부(14)를 성형하여 상기 성형시트(23)를 만들고, 상기 성형시트(23)를 사출성형금형(20)(25)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오목부(14)에 용융수지를 충전하여 키 시트(24)로 하며, 상기 성형시트(23)와 상기 제어패널부재(3)는 가열에 의해 소성변형시켜서 수행하는 열접합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열접합된 부분은 초음파 진동에너지에 의해 초음파용착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시트와 상기 제어패널부재(3)는 열접합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면 좋다. 열접합이라는 것은 전술한 의미와 같은 의미이다.
본 발명의 제1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자기기 등의 제어패널부재(3)의 개구부(8)에 삽입된 누름버튼(4)과,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고정되고 상기 누름버튼(4)을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탄성적으로 휘어서 지지하며 또한 상기 누름버튼(4)의 외피로 되도록 성형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성형시트(23)로 이루어지는 시트성형 누름버튼 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단체(solid)시트(10)에, 열성형에 의해 복수의 누름버튼외피가 되고 밑면 내측에 인쇄층(11)을 가지는 오목부(14)를 성형하여 상기 성형시트(23)를 만들고, 상기 성형시트(23)를 사출성형금형(20)(25)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오목부(14)에 용융수지를 충전하여 키 시트(24)로 하며, 상기 키 시트(24)를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일체로 열접합함으로써 고정하고, 상기 열접합은 초음파 진동 에너지에 의해 초음파용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자기기 등의 제어패널부재(3)의 개구부(8)에 삽입된 누름버튼(4)과,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고정되고 상기 누름버튼(4)을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탄성적으로 휘어서 지지하며 또한 상기 누름버튼(4)의 외피로 되도록 성형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성형시트(23)로 이루어지는 시트성형 누름버튼 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단체(solid)시트(10)에, 열성형에 의해 복수의 누름버튼외피가 되고 밑면 내측에 인쇄층(11)을 가지는 오목부(14)를 성형하여 상기 성형시트(23)를 만들고, 상기 성형시트(23)를 사출성형금형(20)(25)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오목부(14)에 용융수지를 충전하여 키 시트(24)로 하며, 상기 키 시트(24)를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일체로 고정하고, 상기 제어패널부재(3)은 금속제이고, 상기 성형시트(23)와 상기 제어패널부재(3)는 상기 제어패널부재(3)를 소성변형시켜서 수행하는 코킹(caulking)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열접합이라는 것은 상술한 의미와 같은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발명 전자기기의 제어패널을 휴대용 전화기에 채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것은 본 발명의 제어패널을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휴대 용 전화기(1)는 합성수지제의 전화기본체(2)로 구성되어 있고, 이 전화기본체(2) 내에는 전화의 기능을 실현하는 IC회로 등의 전자기기가 내장되어 있다.
전화기본체(2)는 두개의 몸체로 되어 있고 그 두께의 중심분할면(6)에서 2분할된다. 전화기본체(2)의 윗면에는 케이스커버(3)가 배치되고, 그 이면에는 이면본체(5)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커버(3)는 제어패널의 기능과 전화기본체(2)로서의 양쪽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누름버튼(4)이 배치되어 키 군(7)을 구성한다. 케이스커버(3)와 이면본체(5)는 작은나사(machine screw) 또는 노치(notch)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표시부의 인쇄)
케이스커버(3) 내에는 후술하는 누름버튼(4)이 배설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누름버튼(4)의 외피로서 도 2의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균일한 시트인 단체시트(10)를 사용한다. 단체시트(10)는 예를 들면 두께 0.25㎜∼0.8㎜정도의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 즉 광투과성의 직사각형으로 컷트된 얇은 필름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PBT)와 PC의 혼합물,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PBT, ABS수지, 폴리우레탄(PUR) 등의 수지를 사용하면 좋다. 단체시트(10)는 인장강도가 높아 파괴되기 어렵고 많은 메이커에 의해 양산되어 있어 매우 싼 가격에 시판되고 있는 범용품이 바람직하다.
단체시트(10)의 표면에는 복수의 숫자, 문자, 기호 등의 표시부(13)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13)는 이면에서 인쇄된 인쇄층(11)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체시트(10)의 각 인쇄층(11)을 윗면으로 한 상태(도시상)에서 손가락 접촉부(9) 이면의 위치에 필요한 표시부(13)를 인쇄하여 인쇄층(11)으로 한다. 단, 이 인쇄층(11)은 숫자, 문자, 기호 등의 표시부(13)만을 빼고 단체시트(10)의 전면에 바탕색으로서 인쇄해도 좋고, 다색이어도 좋다. 단체시트(10)는 투명소재이기 때문에 이면에서 합성수지재료의 색으로 표시부(13)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인쇄층(11)의 인쇄는 실크인쇄 등의 공지의 인쇄수단으로 수행한다. 단체시트(10)는 평판이기 때문에 이 표면상으로의 인쇄는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체시트(10)의 상하위치에는 위치결정용 구멍(12)이 배치되어 있다. 단체시트(10)의 각 인쇄층(11)에 대응하는 부분을 키 군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각 인쇄층(11)의 이면측이 누름버튼(4)으로서 형성되었을때 손가락 접촉부(9)가 되도록 후술하는 열성형에 의해 볼록형상으로 열성형한다.
(열성형)
다음으로 키 시트의 성형을 압공성형(압력성형)으로 수행한 경우의 성형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단체시트(10)에 돌기형상의 이면측이 되는 오목형상부를 성형하는 공정의 설명도이다. 인쇄가 완료된 단체시트(10)의 인쇄층(11)을 윗면이 되도록 금형(15)에 재치한다. 이 금형(15)으로의 재치는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체시트(10)의 바로 밑에 각 인쇄층(11)에 대응하여 열성형용 오목부(16)가 형성된 위에 배치한다. 금형(15)의 바로 위에는 접합면이 평면상인 가열판(17)이 배치되어 있다.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15)의 윗면에 단체시트(10)의 인쇄층(11)과 금형(15)의 열성형용 오목부(16)가 각각 대응하도록 단체시트(10)의 위치결정용 구멍(12)에 위치결정 핀(도시하지 않음)을 결합하여 재치한다. 단체시트(10)의 윗면에 가열판(17)을 압접(壓接)시킨 상태에서 단체시트(10)를 가열하여 연화(軟化)시킨다.
연화된 상태의 단체시트(10)의 윗면에 가열판(17)으로부터 1㎏/㎠ 이하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면서 금형(15)의 밑쪽으로부터는 열성형용 오목부(16) 내의 공기를 배기시켜서 단체시트(10)의 밑면측을 흡인한다. 이 흡인과 가열에 의해 각 인쇄층(11)에 대응한 복수의 시트 오목형상부(14)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도 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체시트(10)의 각 인쇄층(11)이 시트 오목형상부(14)의 저면내측(볼록형상의 이면)에 위치하고, 그 반대측 표면이 누름버튼(4)의 손가락 접촉부(9), 즉 누름버튼(4)의 외피가 되는 성형시트(23)로서 형성된다.
또한, 이 손가락 접촉부(9)는 누름버튼(4)의 형상에 맞추어 성형되며, 사각형상, 원형상 또는 타원형상 등의 임의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 단체시트(10)의 열성형은 압공성형이 아닌 열가소성시트를 금형상에 고정하고 히터로 가열하여 연화한 시트를 진공에서 틀로 불어넣어 성형하는 진공성형이어도 좋다. 가열판(17)을 볼록형으로 하여 금형(15)의 오목부에 삽입하는 것이어도 좋다.
(키 내부의 사출성형)
도 4는 성형시트(23)에 형성된 각 시트 오목형상부(14) 내에 사출성형에 의해 수지가 충전되는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시 트 오목형상부(14)가 형성된 성형시트(23)의 손가락 접촉부(9)를 가동측(可動側) 형판(型板)(20) 캐비티(18)에 형성된 캐비티 오목부(22)에 삽입배치한다. 성형시트(23)를 캐비티 오목부(2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가동측 형판(20) 또는 고정측 형판(25)에 재치하고, 이 상태에서 양 형(型)을 압접시킨다. 가동측 형판(20)과 고정측 형판(25)을 압착한 상태에서, 성형시트(23)의 각 시트 오목형상부(14)에 대응하여 고정측 형판(25)의 게이트(26)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b)는 가동측 형판(20)의 접합면을 나타낸다.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시트(23)의 각 시트 오목형상부(14) 내에 게이트(26)를 통하여 용융수지(27)가 공급되고, 이것이 성형시트(23)의 면과 동일하게 충전되어 볼록형상의 키 군(7)을 배설한 키 시트(24)가 완성된다. 단, 일부의 시트 오목형상부(14)는 내부가 빈 상태로 해 둔다.
시트 오목형상부(14)에 충전되는 합성수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엘라스토머(elastomer) 등 누름버튼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임의로 선택한다. 바람직하게, 성형시트(23)와 사출되는 용융수지(27)는 상호 열용착되는 합성수지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편이 좋다.
(제어패널로의 키의 조립)
다음으로, 이 완성된 키 시트(24)를 제어패널에 조립할 때의 조립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실시형태 1로서의 키 시트(24)를 전자기기의 제어패널에 고정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키 시트(24)의 각 누름버튼(4)이 케이스커버(3)의 개구부(8)로부터 돌출하도록 삽입배치된다. 케이스커버(3) 내부의 이면에는 각 개구부(8)를 둘러싸듯이 리브(rib)(30)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30)의 단면(31)에는 키 시트(24)의 고정부(32)가 열용착되어 있다. 이 열용착은 초음파 용착으로, 초음파 용착은 초음파 진동 에너지를 고정부(32)에 부여하면 리브(30)의 단면(31)과 키 시트(24)의 접합면에서 기계적 진동으로 변화하고 접합면에 마찰열을 발생시켜 그 부분을 용융시켜서 양자를 용착하는 것이다.
도 6은 리브(30)의 단면(31)과 키 시트(24)의 접합을 열코킹으로 수행하는 예이다. 리브(30)의 단면(31)에 돌기(35)를 형성한다. 키 시트(24)의 고정부(32)에는 미리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커버(3)에 키 시트(24)를 조립할때에는 돌기(35)에 키 시트(24)의 구멍(36)을 삽입한다. 다음으로 가열된 코킹공구(37)를 꼭 대고 돌기(35)의 선단을 눌러서 코킹부(38)를 형성하여 케이스커버(3)와 키 시트(24)를 접합시킨다.
코킹부(38)는 각 개구부(8) 주위 여러곳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커버(3)와 키 시트(24)는 일체로 유닛화되고, 또한 리브(30)의 단면(31)과 키 시트(24)의 접합이 열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전자기기의 내부로 이물질, 습기 등이 칩입하는 일은 없다. 키 시트(24)의 수지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시트 오목형상부(14)에는 액츄에이터(actuator)(39)가 삽입되어 배치된다. 누름버튼(4)은 액츄에이터(39)를 통하여 프린트기판(40) 위에 탑재된 스위칭소자(41) 등을 구동한다.
삭제
삭제
한편, 미리 엔지니어링 합성수지와 같은 재료로 누름버튼본체(45)를 성형해 두고 개별의 누름버튼본체(45)로 한다. 누름버튼본체(45)의 밑면에는 일체로 원통상의 액츄에이터(46)가 형성되어 있다. 열성형된 성형시트(42)에는 누름버튼본체(45)의 배치에 대응하여 구멍(43)이 뚫어져 있다. 이 구멍(43)에 누름버튼본체(45)의 액츄에이터(46)가 삽입된다. 성형시트(42)의 고정부(44)는 리브(30)의 단면(31)과 열용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누름버튼본체(45)의 밑면과 성형시트(42)의 윗면은 열용착되어 있다. 이들 열용착은 초음파용착이 바람직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열코킹으로 수행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그 외의 실시형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용 전화의 케이스커버에 누름버튼이 배치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다른 부재이어도 누름버튼을 지지하는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들 부재를 총칭하여 제어패널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2의 표시부는 상기한 방법으로 성형시트(42)에 인쇄하거나 누름버튼본체(45)의 윗면 또는 밑면에 인쇄한다.
성형시트(42)에 표시부를 배치하는 것에서 누름버튼본체(45)는 투명소재가 좋다. 인쇄층을 갖는 성형시트(42)와 누름버튼본체(45)와의 초음파용착인 경우는 용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쇄층에 프라이머(primer)제를 혼입시키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커버(3)의 리브(30)의 단면(31)과 키 시트(24)의 고정부(32)가 초음파용착이다. 그러나, 열융착이 아닌 실리콘계 프라이머 등의 프라이머제를 미리 리브(30)에 도포하여 이것을 개재시켜서 열융착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사출성형의 용융수지의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사출성형할 때에는 열융착이 아닌 접착작용에 의해 양자를 결합시켜도 좋다.
이 경우, 접착제를 미리 케이스커버(3)의 리브(30)에 도포시켜서 키 시트(24)의 고정부(32)와 접착시킨다. 이 때, 키 시트(24)와 케이스커버(3) 양자는 열융착이 아닌 주로 접착작용에 의해 결합되어있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커버(3)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뿐 아니라 사출성형으로 형성되는 마그네슘합금, 소성(塑性)가공에 의해 성형된 금속판, 다이캐스트(die cast)법으로 만들어진 다이캐스트용 합금 등이어도 좋다.
전술한 것은 가열된 코킹공구(37)를 꼭 대고 돌기(35)의 선단을 눌러서 코킹부(38)를 형성하여 케이스커버(3)와 키 시트(24)를 접합시킨 것이었다. 케이스커버(3)가 금속인 경우, 코킹공구(37)는 가열한 것이 아닌 통상의 코킹공구(37)이어도 좋다. 코킹공구(37)에 의해 돌기(35)의 부분이 소성변형하여 키 시트(24)를 케이스커버(3)에 고정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은 공정으로 기밀성이 좋은 제어패널과 그 제조가 가능하다. 또, 누름버튼의 표시부가 외피로 덮이거나 또 는 이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의 접촉 등에 의한 오염, 박리 등을 막을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전자기기 등의 제어패널부재(3)의 개구부(8)에 삽입된 누름버튼(4)과,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고정되고 상기 누름버튼(4)을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탄성적으로 휘어서 지지하며 또한 상기 누름버튼(4)의 외피로 되도록 성형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성형시트(23)로 이루어지는 시트성형 누름버튼 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부재(3)는 금속제이고,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단체(solid)시트(10)에, 열성형에 의해 복수의 누름버튼외피가 되고 밑면 내측에 인쇄층(11)을 가지는 오목부(14)를 성형하여 상기 성형시트(23)를 만들고,
    상기 성형시트(23)를 사출성형금형(20)(25)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오목부(14)에 용융수지를 충전하여 키 시트(24)로 하며,
    상기 성형시트(23)와 상기 제어패널부재(3)는 상기 제어패널부재(3)를 소성변형시켜서 수행하는 코킹(caulking)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성형 누름버튼 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
  4. 전자기기 등의 제어패널부재(3)의 개구부(8)에 삽입된 누름버튼(4)과,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고정되고 상기 누름버튼(4)을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탄성적으로 휘어서 지지하며 또한 상기 누름버튼(4)의 외피로 되도록 성형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성형시트(23)로 이루어지는 시트성형 누름버튼 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부재(3)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이고,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단체(solid)시트(10)에, 열성형에 의해 복수의 누름버튼외피가 되고 밑면 내측에 인쇄층(11)을 가지는 오목부(14)를 성형하여 상기 성형시트(23)를 만들고,
    상기 성형시트(23)를 사출성형금형(20)(25)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오목부(14)에 용융수지를 충전하여 키 시트(24)로 하며,
    상기 성형시트(23)와 상기 제어패널부재(3)는 가열에 의해 소성변형시켜서 수행하는 열접합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열접합된 부분은 초음파 진동에너지에 의해 초음파용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성형 누름버튼 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전자기기 등의 제어패널부재(3)의 개구부(8)에 삽입된 누름버튼(4)과,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고정되고 상기 누름버튼(4)을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탄성적으로 휘어서 지지하며 또한 상기 누름버튼(4)의 외피로 되도록 성형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성형시트(23)로 이루어지는 시트성형 누름버튼 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단체(solid)시트(10)에, 열성형에 의해 복수의 누름버튼외피가 되고 밑면 내측에 인쇄층(11)을 가지는 오목부(14)를 성형하여 상기 성형시트(23)를 만들고,
    상기 성형시트(23)를 사출성형금형(20)(25)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오목부(14)에 용융수지를 충전하여 키 시트(24)로 하며,
    상기 키 시트(24)를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일체로 열접합함으로써 고정하고,
    상기 열접합은 초음파 진동 에너지에 의해 초음파용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성형 누름버튼 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11. 전자기기 등의 제어패널부재(3)의 개구부(8)에 삽입된 누름버튼(4)과,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고정되고 상기 누름버튼(4)을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탄성적으로 휘어서 지지하며 또한 상기 누름버튼(4)의 외피로 되도록 성형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성형시트(23)로 이루어지는 시트성형 누름버튼 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단체(solid)시트(10)에, 열성형에 의해 복수의 누름버튼외피가 되고 밑면 내측에 인쇄층(11)을 가지는 오목부(14)를 성형하여 상기 성형시트(23)를 만들고,
    상기 성형시트(23)를 사출성형금형(20)(25) 내에 삽입하여 상기 오목부(14)에 용융수지를 충전하여 키 시트(24)로 하며,
    상기 키 시트(24)를 상기 제어패널부재(3)에 일체로 고정하고,
    상기 제어패널부재(3)은 금속제이고, 상기 성형시트(23)와 상기 제어패널부재(3)는 상기 제어패널부재(3)를 소성변형시켜서 수행하는 코킹(caulking)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성형 누름버튼 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KR1019990064452A 1999-01-27 1999-12-29 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0633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18057 1999-01-27
JP1805799 1999-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617A KR20000052617A (ko) 2000-08-25
KR100633843B1 true KR100633843B1 (ko) 2006-10-13

Family

ID=1196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452A KR100633843B1 (ko) 1999-01-27 1999-12-29 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80896B1 (ko)
EP (1) EP1024510B1 (ko)
KR (1) KR100633843B1 (ko)
CN (1) CN1104317C (ko)
DE (1) DE60033714T2 (ko)
HK (1) HK1028891A1 (ko)
MY (1) MY127023A (ko)
SG (1) SG82062A1 (ko)
TW (1) TW4466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98710B (en) * 1999-01-22 2002-08-11 Taisei Plas Co Ltd Control panel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3204951B2 (ja) * 1999-05-24 2001-09-04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13418A1 (en) * 2000-02-01 2003-01-16 Shigeru Kato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JP4514884B2 (ja) * 2000-03-28 2010-07-28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フィルム一体キートップ
US6495784B2 (en) * 2000-05-16 2002-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JP3419388B2 (ja) * 2000-07-17 2003-06-23 日本電気株式会社 操作キー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92785B1 (ko) * 2000-09-06 2007-03-12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장치 함체내 광케이블 종단점의 접지방법
KR20020069081A (ko) * 2001-02-23 2002-08-29 김영호 사출성형에 의한 셀룰라폰용 키패드 제조방법
US6690360B2 (en) 2001-05-03 2004-02-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proof switch array
US7091952B2 (en) 2001-05-03 2006-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proof switch array
KR100476065B1 (ko) * 2002-03-11 2005-03-15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외피층을 구비하는 합성수지 성형물품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물품
US6740832B2 (en) 2002-03-27 2004-05-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exhibiting tactile feel
US6827459B2 (en) 2002-03-27 2004-12-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ed fastening structure
JP3900063B2 (ja) * 2002-10-30 2007-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機のケース
CN100580816C (zh) * 2004-11-30 2010-01-13 迪尔阿扣基金两合公司 用于家用电器的操作设备
EP1667183A1 (en) * 2004-12-01 2006-06-07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amp; ENGINEERING S.A. Reinforced foil-type switching element
KR100702210B1 (ko) * 2005-12-27 2007-04-03 화남전자 주식회사 오염물 유입을 최소화하는 키패드
US7897888B2 (en) * 2006-03-30 2011-03-01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Key fob device and method
KR101392462B1 (ko) * 2006-10-03 2014-05-07 아바텍 인터내셔날 아게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한 버튼
JP4931561B2 (ja) * 2006-11-16 2012-05-16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
JP5018674B2 (ja) * 2008-07-14 2012-09-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構造
JP5310325B2 (ja) * 2009-07-07 2013-10-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キーボード構造
JP5526116B2 (ja) * 2011-12-19 2014-06-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操作パネルのボタンキー構造及び操作パネ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6303574B2 (ja) * 2014-02-17 2018-04-04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300545B2 (en) * 2017-10-12 2019-05-28 Snap Inc. Low-profile mechanical reten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6607A (en) * 1969-11-25 1972-07-11 Bell Telephone Labor Inc Pushbutton telephone dial
US4638151A (en) * 1984-05-25 1987-01-20 Canon Kabushiki Kaisha Keyboard of an electronic apparatus
EP0483898B1 (en) * 1990-10-30 1996-03-27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Push-button switch and keytop
US5475192A (en) * 1993-03-15 1995-12-12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Keytop sheet for push-button switches
US5399821A (en) * 1993-10-20 1995-03-21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Keytop for push-button switch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3136388B2 (ja) * 1994-10-13 2001-02-19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キートップ板の製造方法
JP3151553B2 (ja) * 1996-11-29 2001-04-03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キートップ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5807002A (en) * 1997-08-26 1998-09-15 Silitek Corporation Super-thin plastic ke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80896B1 (en) 2001-01-30
DE60033714T2 (de) 2007-12-06
SG82062A1 (en) 2001-07-24
CN1104317C (zh) 2003-04-02
CN1262989A (zh) 2000-08-16
KR20000052617A (ko) 2000-08-25
EP1024510B1 (en) 2007-03-07
EP1024510A3 (en) 2001-05-16
MY127023A (en) 2006-11-30
EP1024510A2 (en) 2000-08-02
DE60033714D1 (de) 2007-04-19
HK1028891A1 (en) 2001-03-09
TW446616B (en) 200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843B1 (ko) 시트성형 누름버튼유닛을 구비한 제어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0602431B1 (ko) 전자기기 제어패널의 제조방법
KR100362027B1 (ko) 키이탑플레이트및이의제조방법
JPH09259697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ングシート構造
JP2001126577A (ja) シート成形押ボタンを備えた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2681064B2 (ja) 押ボタンを含む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0285762A (ja) シート成形押ボタンユニットを備えた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H09259696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ングシート構造
JP3409000B2 (ja) 電子機器の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3802736B2 (ja) 押釦シート部材
JP4628553B2 (ja) 押ボタン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45658B2 (ja) コントロールパネル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に用いる金型装置
JP4213489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の製造方法
JP2004006352A (ja) 電子機器のキー
JP2002197933A (ja) キートップ、キー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88632A (ja) キーパッドの製造方法
JP2002184255A (ja) 押ボタンユニットの成形方法
JP2649025B2 (ja) 押ボタンを含む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H0644859A (ja) 押釦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3715514B2 (ja)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部材の製造方法
JP2000231847A (ja) 電子機器のキーとその製造方法
JP4376123B2 (ja) キートップの製造方法
JP2002367471A (ja) キートップ板及びキートップ取付板の製造方法
JP2001266691A (ja) シート状キート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9012A (ja) 透視窓を有する筐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