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155B1 - 전기부품용패널버튼과그제조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부품용패널버튼과그제조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155B1
KR100354155B1 KR1019950001990A KR19950001990A KR100354155B1 KR 100354155 B1 KR100354155 B1 KR 100354155B1 KR 1019950001990 A KR1019950001990 A KR 1019950001990A KR 19950001990 A KR19950001990 A KR 19950001990A KR 100354155 B1 KR100354155 B1 KR 100354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lastic sheet
plastic
projec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756A (ko
Inventor
와타나베노부히사
구라미츠미키히로
Original Assignee
요시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3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5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being in movable 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the coating, e.g. bearing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6Knobs or handles, push-buttons, grips
    • B29L2031/466Keypads, keyto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2Actuators integral with membrane
    • H01H2221/004U-shaped openings surrounding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6Lever; Roc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부품용 패널버튼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 시트의 삽입이 가능한 캐비티가 그 상면에 설치된 가동측 형판과, 내부에 런너와 스프루 및 게이트를 갖춘 코어 형판, 스프루를 갖춘 고정측 형판을 각각 이용하여 탄성편을 매개로 돌기가 상기 플라스틱 패널에 연설되는 패널버튼을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에서 상기 가동측 형판의 캐비티 저부에 버튼성형용 요부를 설치하고, 코어 형판의 하면에 상기 캐비티 저부내에 삽입가능한 돌기부를 설치하며, 그 돌기부의 하면에 누름버튼용 돌기와 그 누름버튼용 돌기를 플라스틱 패널에 연결가능한 탄성편을 각각 성형할 수 있는 돌기용 요흠 및 탄성편용 요홈을 상호 연통되게 설치하고, 상기 누름버튼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접착기능이 부여되지 않은 플라스틱 시트를 상기 가동측 형판과 코어 형판에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플라스틱 시트를 캐비티내에 삽입하며, 상기 코어 형판의 게이트로부터 합성수지를 상기 캐비티내에 사출하여 플라스틱 시트의 이면에 플라스틱 패널을 일체적으로 적층함과 더불어 상기 접착기능이 부여되지 않은 플라스틱 시트의 이면에 상기 탄성편을 매개하여 플라스틱 패널에 연결된 돌기를 성형하여 자동복원이 가능한 누름버튼을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부품용 패널버튼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라던지 냉장고 등의 전기제품에 적용가능한 패널버튼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그러한 종류의 패널버튼의 제조에 따르면, 플라스틱 패널과 그 플라스틱패널에 점착되는 플라스틱 시트를 준비하게 되는 바, 그 플라스틱 패널에는 누름버튼이 형성되는 위치에 복수의 구멍을 천설하고, 플라스틱 시트에는 상기 플라스틱 패널의 구멍과 대응하면서 복원 가능한 돌기부(凸部)를 프레스가공 또는 진공성형에 의해 형성하며, 그 돌기부와 구멍이 합치되도록 플라스틱 시트를 플라스틱 패널상에 점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패널버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플라스틱 시트와 플라스틱 패널을 개별적으로 성형한 후에 플라스틱 패널상에 플라스틱 시트를 정확하게 위치정합을 행하면서 점착시켜야만 되므로, 작업이 번거롭게 될 뿐만 아니라 숙련도가 요구되고, 작업능률이 극히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버튼용 돌기부와 구멍의 위치정합이 곤란하기 때문에 그 양자의 위치가 미소하게 어긋나는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고, 더욱이 플라스틱 시트와 플라스틱 패널의 사이에 기포가 혼입되거나 주름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도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게 되면 플라스틱 시트가 플라스틱 패널로부터 박리될 위험성도 있다.
그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예컨대 일본국 특허원 평5-132520호에 관한 발명(이하, 제 1발명이라 함) 또는 일본국 특허원 평5-145433호에 관한 발명(이하, 제 2발명이라 함)을 제안하였는 바, 그 제 1 발명과 제 2발명의 기술은 사출성형방법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시트의 이면 (裏面)에 플라스틱 패널을 성형함과 동시에 그 플라스틱 시트와 플라스틱 패널을 일체적으로 적층접착하도록 된 것이다.
그 제 1발명에 따르면, 제 11도(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측 형판 (1)의 캐비티(2)내에 플라스틱 시트(3)를 공급하고 가동측 형판(1)의 상부에 코어 (core) 형판(7)을 중첩시키게 되는 바, 그 코어 형판(7)은 그 내부에 복수의 런너 (runner; 4)와 스프루(spure; 5) 및 게이트(6)를 갖춤과 더불어, 그 하면에는 요함부(凹陷部: 8)가 천설된 돌기부(9)가 설치되어 있다. 그 코어 형판(7)의 상측에는 고정측 형판(11)을 중첩시키고, 그 고정측 형판(11)의 내부에 형성된 스프루(10)로부터 코어 형판(7)의 런너(4)와 스프루(5) 및 게이트(6)를 매개하여 합성수지를 캐비티(2)내로 사출함에 의해 플라스틱 시트(3)의 이면에 플라스틱 패널(12)이 일체적으로 접착된 패널버튼이 성형된다. 상기 코어 형판(7)에서 돌기부(9)가 설치된 부분에는 누름버른(14)이 형성되는 한편 그 이면측에는 요함부(8)에 대응하는 플라스틱제의 돌기(13)가 형성된다.
한편, 제 2발명은 상술한 제 1발명과 거의 동일한 일련의 작업공정에 의해 패널버튼을 사출성형하는 기술이지만, 제 1발명과 다른 점은 제 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14)의 이면측에 우레탄수지와 같은 연질(軟質)의 합성수지를 사출함으로써 연질 합성수지제의 돌기(13)를 형성하여 누름버튼(14)의 누름조작을 유연하게 하면서 감촉을 양호하게 한 것이다. 그 제 2 발명에서는 누름버튼(14)의 보강을 행하기 위해 누름버튼(14)의 이면에 형성된 돌기(13)의 주변에 연질 합성수지제의 박편층(15)을 플라스틱 패널(3)및 돌기(13)에 대해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제 1발명의 경우에는 제 11도(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시트(3)의 이면에 형성되는 누름버튼(14)의 돌기(13)가 그 주변의 플라스틱 패널(12)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러나, 누름버튼(14)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시트 (3)와 돌기(13)는 일체적으로 접착되어 지므로 누름버튼(14)을 누름조작하는 경우의 유연성은 돌기(19)와 그 주변의 플라스틱 패널(12)의 작용간격(A)에서 플라스틱 시트(3)의 탄성에만 의존되므로 유연성이 저하되고 감촉도 좋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제 2발명의 경우에는 제 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14)을 구성하는 돌기(13)와 플라스틱 박편층(15)만을 연질 합성수지제로 하였지만, 그 돌기 (13)와 플라스틱 박편층(15)이 플라스틱 시트(3)의 이면에 일체적으로 접착되므로, 누름버튼(14)을 누름조작하는 경우의 유연성은 연질 합성 수지 자체의 연질성에 의존되기 때문에 누름버튼(14)에서 충분한 탄성이 얻어질 수 없고, 그 결과 돌기(13)와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와의 맞접촉이 안정하지 않게 되며, 그 때문에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발명에서는 플라스틱 패널(12)과 돌기(13)가 각기 개별적으로 성형되므로 각각의 성형을 위해 코어 형판(7)에는 각각에 고유한 스프루(5)와 게이트(6)가 설치되어야만 되고 금형이 복잡하게 될 뿐만아니라 비용이 상승되는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시트의 이면에 플라스틱 패널과 누름버튼용의 돌기를 성형하고 그 돌기를 플라스틱 시트에 대해 박리된 상태에서 탄성편을 매개하여 플라스틱 패널에 연결하여 구성하도록 된 전혀 신규한 전기부품용 패널버튼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의 기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패널버튼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그 요지는 소정위치에 버튼용 구멍이 설치된 플라스틱 패널과 그 플라스틱 패널의 표면에 플라스틱 시트가 일체적으로 적충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튼용 구멍내에 누름버튼용 돌기가 설치되고, 그 돌기는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 대해 박리됨과 더불어 탄성편을 매개하여 상기 플라스틱 패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패널버튼이다.
상기 탄성편은 평면적으로 보면 돌기를 중심으로 하여 나선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플라스틱 패널에 대해 편지(片持)된 상태로 돌기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상기 플라스틱 패널과 돌기 및 탄성편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부품용 패널버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기술로서, 그 요지는 플라스틱 시트의 삽입이 가능한 캐비티가 그 상면에 설치된 가동측 형판과, 내부에 런너와 스프루 및 게이트를 갖춘 코어 형판, 스프루을 갖춘 고정측 형판을 각각 이용하여 탄성편을 매개로 돌기가 플라스틱 패널에 연설되는 패널버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형판의 캐비티 저부에 버튼성형용 요부를 설치하고, 코어 형판의 하면에 상기 캐비티 저부내에 삽입가능한 돌기부를 설치하며, 상기 돌기부의 하면에 누름버튼용의 돌기와 그 누름버튼용의 돌기를 플라스틱 패널에 연결가능한 탄성편을 각각 성형할 수 있는 돌기용 요홈과 탄성편용 요홈을 상호 연통되게 설치하며, 상기 누름버튼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접착기능이 부여되지 않은 플라스틱 시트를 상기 가동측 형판과 코어 형판에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플라스틱 시트를 캐비티내에 삽입하며, 상기 코어 형판의 게이트로부터 합성수지를 상기 캐비티내에 사출하여 플라스틱 시트의 이면에 플라스틱 패널을 일체적으로 적층함과 더불어, 상기 접착기능이 부여되지 않은 플라스틱 시트의 이면에 상기 탄성편을 매개하여 플라스틱패널에 연결된 돌기를 성형하여 자동복원이 가능한 누름버튼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패널버튼의 제조방법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부품용 패널버튼의 제조장치에 따르면, 캐비티가 설치된 가동측 형판과 ; 런너와 스프루 및 게이트를 갖춘 코어 형판 ; 스프루를 갖춘 고정측 형판 ; 상기 캐비티 저부에 설치된 누름버튼 성형용의 요부 : 상기 코어 형판의 하부상의 상기 캐비티내로 삽입가능한 돌기부 ; 상호 접속되어 일측은 돌기용으로 형성되고 다른측은 탄성편용으로 형성되는 동축적인 2개의 요홈 ; 상기 캐비티내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측 형판과 상기 코어 형판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누름버튼을 설치하기 위한 비접착층을 갖춘 플라스틱 시트를 갖추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시트는 상기 누름버튼에 대응하는 부분을제외한 이면측 전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상기 플라스틱 시트의 이면측 전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누름버튼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비접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버튼의 누름버튼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시트의 이면측에 설치된 돌기가 탄성편을 매개하여 플라스틱 패널에 연결되어 지므로, 누름버튼을 누르면 탄성편이 원활하면서 안정한 상태로 만곡되어 통전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누름버튼은 돌기와 탄성편이 각각 플라스틱 시트로부터 박리되므로 누름버튼 부분의 플라스틱 시트와 탄성편을 각각 전체적으로 탄성변형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연성과 감촉성이 충분한 누름버튼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부품용 패널버튼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측 형판과 코어 형판의 사이에 공급된 플라스틱 시트를 캐비티내에 삽입하면서 합성수지를 캐비티에 사출하여 플라스틱시트의 이면에 플라스틱 패널과 돌기를 성형하게 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플라스틱 패널에 플라스틱 시트를 점착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사출성형에 의해 전기부품용 패널버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 코어 형판의 하면예는 캐비티 저부에 끼워 넣을 수 있는 돌기부를 설치하는 한편, 그 돌기부의 하면에는 누름버튼용 돌기와 그 누름버튼용 돌기를 플라스틱 패널에 연결가능한 탄성편을 각각 성형할 수 있는 돌기용 요홈과 탄성편용 요홈을 상호 연통되게 설치하게 되므로, 그 돌기용 요홈의 내측과 상기 탄성편용 요홈의 내측에 각각 합성수지를 사출함에 의해 플라스틱 시트의 이면측에 탄성편과 그탄성편을 매개하여 플라스틱 패널에 연결된 돌기를 각각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플라스틱 시트의 누름버튼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접착기능이 부여되지 않게 되므로 그 플라스틱 시트의 접착기능이 부여되지 않은 부분에 성형된 상기 돌기와 탄성편은 플라스틱 시트로부터 유리(遊離)되게 성형되고, 그에 따라 돌기 및 탄성편과 플라스틱 시트가 접합되지 않은 구조의 누름버튼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패널과 돌기는 탄성편을 매개하여 상호 연결되므로 1조의 스프루 및 게이트에 의해 플라스틱 패널과 복수개의 탄성편을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 내지 제 4도에서, 가동측 형판(21)과 코어 형판(24) 및 고정측 형판 (33)이 적층되어 사출성형 금형이 구성되는 바, 상기 가동측 형판(21)의 상측 표면에는 캐비티(22)가 천설되고, 그 캐비티(22)의 저부에는 누름버튼을 성형하기 위한 요부(23)가 천설되어진다.
상기 코어 형판(24)에는 상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런너(25)와 스프루(26) 및 게이트(27)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또한 그 코어 형판(24)의 하면에는 상기 캐비티(22)내에 삽입가능한 돌기부(28)가 설치됨과 더불어 그 돌기부(28)의 하면에는 요홈(31,32)이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요홈(3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을 구성하는 원주형상의 돌기(29)를 성형하는 반면, 상기 요홈(32)은 상기 요홈(31)과 돌기부(28)의 외주연부를 평면적으로 보아 나선형상을 나타내도록 상기돌기부(28)의 단면에 형성되어 누름버튼의 나선형상의 박형 탄성편(30)을 성형하게 된다. 상기 고정측 형판(33)에는 코어 형판(24)의 런너(25)와 스프루(26)에 용융수지를 이송하기 위한 스프루(34)와 런너(35)가 형성된다.
상기 가동측 형판(21)의 캐비티(22)에는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 시트(36)가 삽입되는 바, 그 플라스틱 시트(36)에는 캐비티(22)의 저부와 거의 동일한 형태의 평면형상을 갖게 된다. 그 플라스틱 시트(36)의 이면(도면중 상면)에는 인쇄층(37)과 접착제층(38)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그 인쇄층(37)과 접착제층(38)은 제 2도와 제 5도(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22)의 요부(23)에 대응하는 부분(즉, 누름버튼(40)이 형성되는 부분)과 투명창(39)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플라스틱 시트(36)의 이면측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사출성형 금형과 플라스틱 시트(36)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널버튼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패널버튼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 1도 내지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시트(36)를 가동측 형판(21)의 캐비티(22)내에 삽입하고, 가동측 형판(21)을 코어 형판(24)에 밀접시켜 캐비티(22)를 폐쇄함에 따라 상기 플라스틱 시트(36)를 코어형만(24)의 돌기부(28)에 의해 캐비티(22)의 저부에 정치(定置)시키게 된다.
그 상태에서,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루(34)와 런너(25, 35), 스프루(26) 및 게이트(27)를 통해 캐비티(22)내에 합성수지를 사출함에 의해 제 6도와 제 7도(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시트(36)의 이면에는 코어 형판(24)의 돌기부(28)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플라스틱 패널(41)을 일체적으로 적층상태로 성형할 수 있다. 또, 상기 코어 형판(24)의 돌기부(28)에 형성된 요홈 (31)에 의해 원주형상의 돌기(29)가 플라스틱 패널(41)의 성형과 동시에 성형됨과 더불어 플라스틱 패널(41)과 돌기(29)를 연결하는 박형 나선형상의 탄성편(30)이 원형 구멍(42)내에 성형된다. 플라스틱 시트(36)의 이면에 성형된 그 돌기(29)와 탄성편(30)은 누름버튼(40)을 구성하게 되고, 그 누름버튼(40)은 캐비티(22)의 저부에 설치된 요부(23)에 의해 돌출부(43)를 갖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 시트(36)의 누름버튼(4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접착제층(38)(및 인쇄층(37))이 설치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돌기(29)와 탄성편(30)은 플라스틱 시트(36)와 접착되지 않은 박리상태로 형성된다.
그와 같이 구성된 누름버튼(40)에서는 특히 제 6도와 제 7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9)가 박형 탄성편(30)을 매개하여 플라스틱 패널(41)에 연결되고, 그 돌기(29)및 탄성편(30)은 플라스틱 시트(36)로부터 박리되므로,제 7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부터 누르게 되면 그 때의 유연성은 원형 구멍(42)에 상당하는 비교적 큰 면적의 플라스틱 시트(36) 자체의 탄성력에 의존되고, 그 때문예 돌기(29)가 유연하면서 원활하게 하강되어 그 하단을 스위치(44)에 맞닿게 할 수 있다. 또한, 누름버튼(40)으로부터 손을 떼면 탄성편(30)의 복원력에 의해 돌기 (29)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8도(A)와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르면, 돌기(29a)를 구형상(短形狀)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그 돌기(29a)를 1편의 탄성편(30a)에 의해 플라스틱 패널(41)에 편지(片持)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또, 제 9도(A)와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르면 돌기(29b)를 원형상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그 돌기 (29b)를 1편의 탄성편(30b)에 의해 플라스틱 패널(41)에 편지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 10도(A)와 (B)및 (C)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36)를 나타내는 바, 그 플라스틱 시트(36)의 이면에는 전면에 투명한 접착제층(38)이 설치되어 있지만, 누름버튼(40)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접착제층(38)의 이면측에 합성수지와 접착되지 않는 이형제(離形測)와 같은 비접착층(46)이 적층된다. 그러한 플라스틱 시트(36)의 이면측에 합성수지를 사출하게 되면 누름버튼(40)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플라스틱 시트(36)와 돌기(29)가 박리된 상태로 플라스틱 패널(41)이 성형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시트(36)에서는 인쇄층(37)이 투명창(39)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여 형성되고, 그러한 플라스틱 시트(36)는 인쇄충(37)과 접착제층(38)이 각각 별개로 적층되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인쇄용의 안료 또는 염료를 접착제에 혼입한 착색 접착제를 사용하여 인쇄층(37)과 접착제층(38)을 1층으로 구성하는 것(도시생략)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출성형법을 이용하여 패널버튼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므로 간단한 공정으로 정도가 양호한 버튼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고, 플라스틱 패널의 중앙에 그 플라스틱 패널로부터 독립된 누름버튼용 돌기를 탄성편을 매개하여 형성할 수 있음에 따라 그 탄성편의 작용에 의해 누름버튼의 돌기를 작은 힘으로 눌러서 이동 및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그 누름버튼은 돌기와 탄성편이 플라스틱 시트에 접합되지 않게 되므로 그 누름버튼은 보다 작은 힘으로 또한 극히 양호한 감촉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누름버튼용 돌기는 탄성편을 매개하여 플라스틱 패널에 연결되므로 그 플라스틱패널과 복수의 돌기 및 탄성편을 1쌍의 스프루 및 게이트로 성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출성형 금형을 극히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기부품용 패널버튼의 제조방법을 실행하는 사출성형 금형의 단면도,
제 2도는 제 1도에 도시된 금형내에 플라스틱 시트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설명도,
제 3도는 제 1도에 도시된 금형을 폐쇄한 상태의 단면도,
제 4도는 합성수지를 사출하는 상태의 단면도.
제 5도(A)와 (B)는 플라스틱 시트의 평면도와 요부단면도,
제 6도는 패널버튼 중의 누름버튼의 확대평면도,
제 7도(A)와 (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에 따른 누름버튼의 확대단면도,
제 8도(A)와 (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누름버른의 평면도와 단면도,
제 9도(A)와 (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누름버튼의 평면도와 단면도,
제 10도(A)와 (B)및 (C)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의 평면도와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제 11도(A)와 (B)는 종래의 제 1발명에 따른 패널버튼을 나타낸 단면도와 확대 부분단면도,
제 12도는 종래의 제 2발명에 따른 패널버튼을 나타닌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동측 형판, 2--- 캐비티,
3--- 플라스틱 시트, 4--- 런너,
5, 10--- 스프루, 6--- 게이트,
7--- 코어 형판, 8--- 요함부,
9--- 돌기부, 11--- 고정측형판,
12--- 플라스틱 패널, 13--- 돌기,
14--- 누름버튼, 21--- 가동측 형판,
22--- 캐비티, 24--- 코어 형판,
25,35--- 런너, 26,34--- 스프루,
28--- 돌기부, 29--- 돌기,
30--- 탄성편, 31,32--- 요홈,
36--- 플라스틱 시트, 38--- 비접착층,
40--- 누름버튼, 41--- 플라스틱 패널,
44--- 스위치.

Claims (8)

  1. 소정위치에 버튼용 구멍이 설치된 플라스틱 패널과 그 플라스틱 패널의 표면에 플라스틱 시트가 일체적으로 적층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튼용 구멍내에 누름버튼용의 돌기가 설치되고, 그 돌기는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 대해 박리됨과 더불어 탄성편을 매개하여 상기 플라스틱 패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패널버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평면적으로 보아 돌기를 중심으로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패널버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플라스틱 패널에 대해 편지(片持)상태로 돌기를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패널버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패널과 돌기 및 탄성편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패널버튼.
  5. 플라스틱 시트의 삽입이 가능한 캐비티가 그 상면에 설치된 가동측 형판과, 내부에 런너와 스프루 및 게이트를 갖춘 코어 형판, 스프루를 갖춘 고정측 형판을 각각 이용하여 탄성편을 매개로 돌기가 플라스틱 패널에 연설되는 패널버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형판의 캐비티 저부에 버튼성형용 요부를 설치하고, 상기 코어 형판의 하면에 상기 캐비티 저부내에 삽입가능한 돌기부를 설치하며, 그 돌기부의 하면에 누름버튼용 돌기와 그 누름버튼용 돌기를 플라스틱 패널에 연결가능한 탄성편을 각각 성형할 수 있는 돌기용 요홈 및 탄성편용 요홈을 상호 연통되게 설치하고, 상기 누름버튼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접착기능이 부여되지 않은 플라스틱 시트를 상기 가동측 형판과 코어 형판에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플라스틱 시트를 캐비티내에 삽입하며, 상기 코어 형판의 게이트로부터 합성수지를 상기 캐비티내에 사출하여 플라스틱 시트의 이면에 플라스틱 패널을 일체적으로 적층함과 더불어, 상기 접착기능이 부여되지 않은 플라스턱 시트의 이면에 상기 탄성편을 매개하여 플라스틱 패널에 연결된 돌기를 성형하여 자동복원이 가능한 누름버튼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패널버튼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시트는 상기 누름버튼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이면측 전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패널버튼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시트의 이면측에는 전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누름버른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비접착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패널버튼의 제조방법.
  8. 캐비티가 설치된 가동측 형판과 ; 런너와 스프루 및 게이트를 갖춘 코어 형판 : 스프루를 갖춘 고정측 형판 ; 상기 캐비티 저부에 설치된 누름버튼 성형용의 요부; 상기 코어 형판의 하부상의 상기 캐비티내로 삽입가능한 돌기부; 상호 접속되어 일측은 돌기용으로 형성되고 다른측은 탄성편용으로 형성되는 동축적인 2개의 요홈; 상기 캐비티내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측 형판과 상기 코어 형판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누름버튼을 설치하기 위한 비접착충을 갖춘 플라스틱 시트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용 패널버튼의 제조장치.
KR1019950001990A 1994-02-04 1995-02-04 전기부품용패널버튼과그제조방법및장치 KR100354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2713A JP2955176B2 (ja) 1994-02-04 1994-02-04 電器部品用パネルボタンの製造方法
JP94-12713 1994-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756A KR950033756A (ko) 1995-12-26
KR100354155B1 true KR100354155B1 (ko) 2003-02-05

Family

ID=1181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990A KR100354155B1 (ko) 1994-02-04 1995-02-04 전기부품용패널버튼과그제조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79304A (ko)
JP (1) JP2955176B2 (ko)
KR (1) KR100354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052B1 (ko) * 2010-01-25 2018-02-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5176B2 (ja) * 1994-02-04 1999-10-04 吉田工業株式会社 電器部品用パネルボタンの製造方法
US5718326A (en) * 1996-07-22 1998-02-17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Backlit button/switchpad assembly
US6543842B2 (en) * 2000-02-03 2003-04-08 Lifetime Products, Inc. Interference fit support bracket for a portable folding chair
EP1127673A1 (en) * 2000-02-23 2001-08-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hell element provided with an opening in an angled part and a shell element manufactured by said method
US6576856B2 (en) * 2000-03-24 2003-06-10 Polymatech Co., Ltd. Sheet shaped key top
CN2587251Y (zh) * 2002-11-07 2003-11-26 来福太(厦门)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折叠椅
US7409888B2 (en) * 2002-12-09 2008-08-12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Cover for parking brake control valve button
FI20031892A0 (fi) * 2003-12-22 2003-12-22 Perlos Oyj Kannettavan elektroniikkalaitteen kuoriosa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US8178802B2 (en) 2008-07-31 2012-05-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Unitized appliance control panel assembly and components of the assembly
TWI618625B (zh) * 2014-10-03 2018-03-21 綠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物件的製法及其製品
JP6494975B2 (ja) * 2014-10-31 2019-04-03 Nok株式会社 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9304A (en) * 1994-02-04 1997-10-21 Yoshida Industry Co., Ltd. Method of making a push button which is unbonded to a panel cov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4162A (en) * 1970-02-16 1971-06-08 Ibm Electrical keyboard switch mechanism with improved resilient diaphragm contact actuator
US4128744A (en) * 1977-02-22 1978-12-05 Chomerics, Inc. Keyboard with concave and convex domes
US4130615A (en) * 1978-04-13 1978-12-19 Igloo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an insulated container having a shock-resistant bottom
DE2902769C2 (de) * 1979-01-25 1982-12-09 Rudolf Schadow Gmbh, 1000 Berlin Drucktastenschalter
JPS61188590A (ja) * 1985-02-18 1986-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El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JPS6359508A (ja) * 1986-08-30 1988-03-15 Nissha Printing Co Ltd エンボスを有するインサ−ト絵付成型品の製造方法
JPH04152986A (ja) * 1990-10-16 1992-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操作板
US5343008A (en) * 1992-02-19 1994-08-30 Ipcinski Ralph G Sealed swit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9304A (en) * 1994-02-04 1997-10-21 Yoshida Industry Co., Ltd. Method of making a push button which is unbonded to a panel cover
JP2955176B2 (ja) * 1994-02-04 1999-10-04 吉田工業株式会社 電器部品用パネルボタン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052B1 (ko) * 2010-01-25 2018-02-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756A (ko) 1995-12-26
JPH07214592A (ja) 1995-08-15
JP2955176B2 (ja) 1999-10-04
US5679304A (en) 1997-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4155B1 (ko) 전기부품용패널버튼과그제조방법및장치
KR20140134235A (ko) 버튼 기능을 가진 기능 지지부
WO2008007761A1 (fr) Revêtement de clavier et procédé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JP4037483B2 (ja) シート状キート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59697A (ja) 電子機器のスイッチングシート構造
KR880001766B1 (ko) 인젝션성형법
JPH06328506A (ja) 電器部品用パネルボタンの製造方法及びそのパネルボタン
JPS59157924A (ja) 押釦スイツチ用押釦の製造方法
JPS6220008B2 (ko)
JPH06325656A (ja) 電器部品用パネルボタンの製造方法及びそのパネルボタン
US6383604B1 (en) Keytop sheet using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636803B1 (ko) 휴대폰의 이형부재 사출성형장치
JPH06218759A (ja) 装飾フィルム付き成形品の製造方法
JPH02208025A (ja) 操作ボタンとその製造方法
KR100302462B1 (ko) 다수의버튼을갖는버튼집합체
JPH09167539A (ja) シートボタンパネル及びシートボタンパネル形成方法
KR200210426Y1 (ko) 다수의버튼을갖는버튼집합체의성형용금형
JPH03127417A (ja) 押しボタンパネル付フレームとその製造方法
JP3687968B2 (ja) 射出成形同時加飾品の製造方法、及び射出成形同時加飾用金型
JPH0740450B2 (ja) キ−ボ−ド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39146Y1 (ko) 휴대폰용 키패드의 사출성형품
JPH11250754A (ja) ボタン集合体
JP2004050457A (ja) 軟質高分子体を含む複合体の製法
JPH0449017A (ja) 押釦スイツチ用絶縁ケースの製造方法
JP2001357744A (ja) スイッ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