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697A -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697A
KR20090051697A KR1020080113219A KR20080113219A KR20090051697A KR 20090051697 A KR20090051697 A KR 20090051697A KR 1020080113219 A KR1020080113219 A KR 1020080113219A KR 20080113219 A KR20080113219 A KR 20080113219A KR 20090051697 A KR20090051697 A KR 20090051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adhesive sheet
flexible adhesive
shee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6976B1 (ko
Inventor
다케오 야마가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1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가요성 점착 시트에 형성되는 압압 조작부의 형상이나 돌출량의 불균일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
해결 수단
스위치 장치 (2) 는, 기판 (3) 과, 이 기판 (3) 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접점 (4) 과, 압압 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고정 접점 (4) 에 접촉하는 가동 접점 (6) 과, 이 가동 접점 (6) 을 덮은 상태에서 기판 (3) 에 점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가동 접점 (6) 을 점착에 의해 유지하고 있는 가요성 점착 시트 (7) 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접점 (6) 의 중앙부와 겹쳐지는 가요성 점착 시트 (7) 의 부분에는, 가동 접점 (6)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압압 조작부 (8) 가 형성되어 있다. 압압 조작부 (8) 는 가동 접점 (6)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리형 돌출부 (8a) 와, 이 고리형 돌출부 (8a) 와 연속하고 있는 판부 (8b) 를 갖는다. 고리형 돌출부 (8a) 와 판부 (8b) 는 가요성 점착 시트 (7) 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어 있다.
Figure P1020080113219
가동 접점 부착 시트, 스위치 장치

Description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MOVABLE CONTACT POINT ATTACHED SHEET AND SWITCH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등의 전기 기기에 형성되는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동 접점이 가요성 점착 시트에 유지되어 있고, 그 가요성 점착 시트의 가동 접점의 중앙부와 겹쳐지는 부분에, 가동 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압압 조작부를 갖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 장치는, 기판과, 이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접점과, 중앙부가 고정 접점에 대향하고 있으며 압압 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돔상의 가동 접점과, 이 가동 접점을 덮은 상태에서 기판에 점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가동 접점을 점착에 의해 유지하고 있는 가요성 점착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접점의 중앙부와 겹쳐지는 가요성 점착 시트의 부분에는, 가동 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압압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 조작부는, 디스펜서에 의해 열경화성 수지나 UV 경화성 수지를 표면 장력을 이용하여 가요성 점착 시트에 얹어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위치 장치가 휴대 전화 등의 전기 기기에 형성되는 경우, 조작자의 손가락에 의해 압압 조작되는 키 탑이 스위치 장치의 압압 조작부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로써, 키 탑에 손가락으로 압압력이 부여되면, 그 압압력이 압압 조작부에 전달되어 가동 접점의 중앙부에 집중된다. 이 때, 가동 접점의 중앙부에 전달된 압압력이 가동 접점의 탄성력보다 크면, 가동 접점이 탄성 변형 (반전) 되어 고정 접점에 접촉하고, 이 결과 스위치 장치가 온 (ON) 된다.
여기서 설명한 종래의 스위치 장치에 대해서는 특허 문헌 1 을 참조한다.
전술한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제조시에는, 가동 접점과, 압압 조작부가 형성된 가요성 점착 시트를 함께 일 부품으로서 취급하기 위하여, 가동 접점 부착 시트가 사용된다. 이 가동 접점 부착 시트는, 가동 접점과, 압압 조작부가 형성된 가요성 점착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 접점 부착 시트에 있어서, 가동 접점은, 그 중앙부가 압압 조작부와 겹쳐지는 위치에서 가요성 점착 시트에 점착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0170호
전술한 종래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압압 조작부는, 열경화성 수지나 UV 경화성 수지를, 표면 장력을 이용하여 가요성 점착 시트에 얹어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가요성 점착 시트에 얹어진 수지의 경화 전의 형상은, 표면 장력에 의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경화 전의 수지에 늘어짐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늘어짐은 압압 조작부의 형상이나 돌출량에 불균일을 발생시킨다. 압압 조작부는 키 탑에 부여된 압압력을 가동 접점에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압압 조작부의 형상이나 돌출량에 불균일이 생기면, 키 탑으로부터 가동 접점에 대한 압압력의 전달 방법에 불균일이 생기고, 이 결과 스위치 장치의 조작 감촉에 불균일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요성 점착 시트에 형성되는 압압 조작부의 형상이나 돌출량의 불균일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1〕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착 시트는, 압압 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 접점과, 이 가동 접점을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층에 의해 유지하고 있는 가요성 점착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가동 접점의 중앙부와 겹쳐지는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의 부분에, 상기 가동 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압압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 접점 부착 시트로서, 상기 압압 조작부가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를 소성 (塑性)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착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착 시트에서는, 압압 조작부가 돌출부를 갖고, 이 돌출부가 가요성 점착 시트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이므로, 돌출부의 돌출량을 압압 조작부의 돌출량으로 함으로써, 수지 늘어짐에 의한 압압 조작부의 형상이나 돌출량의 불균일을 저감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착 시트는, 「〔1〕」 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압압 조작부가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지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착 시트에서는,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용융 상태의 수지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기능하여, 경화 전의 수지의 형상을 확실하게 유지하므로, 수지를 사용한 압압 조작부를 수지의 늘어짐을 방지하면서 실현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착 시트는, 「〔1〕」 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착 시트는, 「〔3〕」 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착 시트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는, 중공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공기 빠 져나감부를 갖고, 이 공기 빠져나감부가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에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착 시트에서는, 고리형 돌출부와 공기 빠져나감부를 동일 공정에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가동 접점 부착 시트의 제조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착 시트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착 시트에 있어서, 가동 접점의 가요성 점착 시트측과는 반대측면의 중앙부에,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기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착 시트에서는, 가동 접점이 돌기부에서 고정 접점에 접촉하게 되므로, 가동 접점의 고정 접점에 대한 접촉압을 높일 수 있고, 이로써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도통 상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기판과, 이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접점과, 중앙부가 상기 고정 접점에 대향하고 있으며 압압 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가동 접점과, 이 가동 접점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기판에 점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을 점착에 의해 유지하고 있는 가요성 점착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가동 접점의 중앙부와 겹쳐지는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의 부분에, 상기 가동 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압압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압압 조작부가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착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가요성 점착 시트에 형성되는 압압 조작부의 형상이나 돌출량의 불균일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로써 스위치 장치의 조작 감촉의 불균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에 대하여 도 1 ∼ 6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를 복수 구비한 스위치 장치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스위치 장치 유닛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착 시트와 기판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스위치 장치에 구비된 압압 조작부를 나타내고, (a) 는 그 압압 조작부의 도 3 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며, (b) 는 그 압압 조작부의 상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에 나타낸 가동 접점 부착 시트의 도 3 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에 나타낸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 는 가동 접점이 압압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스위치 장치의 단면도이고, (b) 는 가동 접점이 압압 조작되어 있는 상태의 스위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 유닛 (1) 은, 복수, 예를 들어 21 개의 스위치 장치 (2) 가, 세로 7 행이며 가로 3 열의 평면상으로 배열되어 일체화 된 것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위치 장치 유닛 (1) 은, 가동 접점 부착 시트 (10) 를 기판 (3) 에 점착제로 부착함으로써 제조된다.
각 스위치 장치 (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스위치 장치 (2) 는 기판 (3) 과, 이 기판 (3) 에 형성되어 있고 기판 (3) 의 일방의 면에서 노출된 원형의 고정 접점 (4) 과, 기판 (3) 에 형성되어 있고 고정 접점 (4) 을 둘러싸고 위치하는 원고리형의 코먼 접점 (5)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판 (3) 에 겹쳐져 배치되어 있는 가동 접점 (6) 과, 이 가동 접점 (6) 을 덮은 상태에서 기판 (3) 에 점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가동 접점 (6) 을 점착에 의해 유지하고 있는 가요성 점착 시트 (7) 를 구비하고 있다. 가요성 점착 시트 (7) 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이미드 등의 합성 수지제의 시트 본체 (7a1) 에 점착층 (7a2) 이 형성된 것으로서, 전체가 절연성을 갖는 것이다.
가동 접점 (6) 은 돔상으로서, 그 상면에서 본 형상은 도시되지 않지만, 원형 등이다. 가동 접점 (6) 은 가요성 점착 시트 (7) 에 의해 유지되어 있음으로써, 가동 접점 (6) 의 중앙부가 고정 접점 (4) 에 대향한 상태로, 또한 가동 접점 (6) 의 주연부가 코먼 접점 (5) 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즉, 가동 접점 (6) 은 그 중앙부를 가요성 점착 시트 (7) 와 함께 기판 (3) 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압 조작되어 탄성 변형 (반전) 함으로써, 가동 접점 (6) 의 중앙부가 고정 접점 (4) 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가동 접점 (6) 의 주연부를 덮고 있는 가요성 점착 시트 (7) 의 부분에는, 기판 (3) 에 가까워지는 방향에 대한 가동 접점 (6) 의 탄성 변형시에, 즉 가동 접점 (6) 이 기판 (3) 방향으로 압압되어 변형될 때에, 가동 접점 (6) 의 주연부가 외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허용하는 허용부 (7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허용부 (7b) 는, 가동 접점 (6) 의 주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출되어 있고 가요성 점착 시트 (7) 와 가동 접점 (6) 의 주연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 허용부 (7b) 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요성 점착 시트 (7) 는, 기판 (3) 에 점착되는 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중공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공기 빠져나감부 (7c, 7d) 를 갖는다. 여기서, 가로 방향 (도 1 에서는 왼쪽 비스듬한 위로부터 오른쪽 비스듬한 아래를 향하는 방향) 으로 늘어선 3 개의 스위치 장치 (2) 를 각각, 좌상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스위치 장치, 제 2 스위치 장치, 제 3 스위치 장치로 하여 구별하면, 공기 빠져나감부 (7c) 는 제 1 스위치 장치와 제 2 스위치 장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공기 빠져나감부 (7d) 는 제 2 스위치 장치와 제 3 스위치 장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공기 빠져나감부 (7c, 7d) 는, 가요성 점착 시트 (7) 에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공기 빠져나감부 (7c) 와 기판 (3) 사이에는, 제 1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가요성 점착 시트 (7) 와 기판 (3) 사이의 제 1 공간과, 제 2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가요성 점착 시트 (7) 와 기판 (3) 사이의 제 2 공간을 연통시키는 관 형상의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빠져나감부 (7b) 와 기판 (3) 사이에는, 제 2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가요성 점착 시트 (7) 와 기판 (3) 사이의 제 2 공간과, 제 3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가요성 점착 시트 (7) 와 기판 (3) 사이의 제 3 공간을 연통시키는 관 형상의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제 1, 제 2, 제 3 공간은 연통하고 있고, 제 1, 제 2, 제 3 스위치 장치 중 제 1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가동 접점 (6) 이 가요성 점착 시트 (7) 와 함께 압압되어 변형되었을 때에, 제 1 공간 내의 공기가 제 2, 제 3 공간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2 스위치 장치나 제 3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가동 접점 (6) 이 가요성 점착 시트 (7) 와 함께 압압되어 변형되었을 때에도 동일하게 하여, 제 2 공간 내나 제 3 공간 내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동 접점 (6) 의 가요성 점착 시트 (7) 측과는 반대측면의 중앙부에는, 가요성 점착 시트 (7)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기되는 복수, 예를 들어 3 개의 돌기부 (6a)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압압 조작시에 가동 접점 (6) 의 중앙부와 고정 접점 (4) 의 접촉압을 얻기 쉽고, 즉 가동 접점 (6) 과 고정 접점 (4) 의 도통 상태가 안정되기 쉽게 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6) 의 중앙부와 겹쳐지는 가요성 점착 시트 (7) 의 부분에는, 가동 접점 (6)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압압 조작부 (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 조작부 (8) 는, 상면에서 본 형상이 예를 들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동 접점 (6)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8a) 와, 이 돌출부 (8a) 와 연속하고 있으며 압압 조작부 (8) 의 돌출 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판부 (8b) 를 갖는다. 이 돌출부 (8a) 와 판부 (8b) 는, 가요성 점착 시트 (7) 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금형을 돌출시킴 으로써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서는, 전술한 가동 접점 (6) 의 돌기부 (6a) 가 생략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부착 시트 (10) 는, 스위치 장치 유닛 (1) 의 제조시에, 스위치 장치 유닛 (1) 에서 사용되는 모든 가동 접점 (6) 과, 이들 가동 접점 (6) 에 대응하는 압압 조작부 (8) 가 형성된 가요성 점착 시트 (7) 를 함께 일 부품으로서 취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가동 접점 부착 시트 (10)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6) 과, 압압 조작부 (8) 가 형성된 가요성 점착 시트 (7) 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 접점 부착 시트 (10) 에 있어서, 각 가동 접점 (6) 의 중앙부와 각 압압 조작부 (8) 가 겹쳐지도록, 즉 각 가동 접점 (6) 과 각 압압 조작부 (8) 가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모든 가동 접점 (6) 과 가요성 점착 시트 (7) 가 점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 장치 유닛 (1) 이 휴대 전화 등의 전기 기기에 형성되는 경우,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의 손가락에 의해 압압 조작되는 키 탑 (20) 이, 스위치 장치 (2) 의 압압 조작부 (8) 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키 탑 (20) 은, 전기 기기의 케이스체에 유지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기판 (3) 과 평행하게 케이스체에 고정된 가요성 시트 (21) 에 고착되어 있다. 이 가요성 시트 (21) 의 기판 (3) 측의 면은 압압 조작부 (8) 에 접촉하고 있다. 요컨대, 키 탑 (20) 에 기판 (3) 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압압력이 부여되면, 그 압압력이 키 탑 (20) 으로부터 가요성 시트 (21) 를 개재하여 압압 조작부에 전달되어 가동 접점의 중앙부에 집중된다. 이 때, 키 탑 (20) 으로부터 가동 접점 (6) 의 중앙부에 전달된 압압력이 가동 접점 (6) 의 탄성력보다 크면,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6) 이 탄성 변형 (반전) 하여 고정 접점 (4) 에 접촉한다. 이 결과, 가동 접점 (6) 을 개재하여 고정 접점 (4) 과 코먼 접점 (5) 이 도통한다, 즉 스위치 장치 (2) 가 온된다. 또한, 도 6 에서는, 전술한 가동 접점 (6) 의 돌기부 (6a) 가 생략되어 있다.
키 탑 (20) 에 대한 압압력이 제거되면, 가동 접점 (6) 은 복원되어 고정 접점 (4) 으로부터 멀어지고 스위치 장치 (2) 는 오프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2) 및 가동 접점 부착 시트 (10) 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2) 및 가동 접점 부착 시트 (10) 에서는, 압압 조작부 (8) 가 돌출부 (8a) 를 갖고, 이 돌출부 (8a) 가 가요성 점착 시트 (7) 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이므로, 돌출부 (8a) 의 돌출량을 압압 조작부 (8) 의 돌출량으로 함으로써, 수지 늘어짐이 없고 압압 조작부 (8) 의 형상이나 돌출량의 불균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2) 및 가동 접점 부착 시트 (10) 에서는, 허용부 (7b), 공기 빠져나감부 (7c, 7d), 압압 조작부 (8) 가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서, 이들 허용부 (7b), 공기 빠져나감부 (7c, 7d), 압압 조작부 (8) 를 동일 공정에서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가동 접점 부착 시트 (10) 를 제조하는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2) 및 가동 접점 부착 시트 (10) 에서 는, 가동 접점 (6) 이 돌기부 (6a) 에서 고정 접점 (4) 에 접촉하게 되므로, 가동 접점 (6) 의 고정 접점 (4) 에 대한 접촉압을 높일 수 있고, 이로써 가동 접점 (6) 과 고정 접점 (4) 의 도통 상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착 시트 (10) 에서는, 가동 접점 (6), 압압 조작부 (8) 가 형성된 가요성 점착 시트 (7) 를 구비하고 있으며, 가동 접점 (6) 과 가요성 점착 시트 (7) 가, 가동 접점 (6) 의 중앙부와 압압 조작부 (8) 가 겹쳐지는 위치에서 점착되어 있고, 압압 조작부 (8) 가 가요성 점착 시트 (7) 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 돌출부 (8a) 를 갖는다. 이로써, 스위치 장치 (2) 를 제조하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공헌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2) 및 가동 접점 부착 시트 (10) 에 있어서의 압압 조작부 (8) 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압압 조작부의 일례로서, 본 발명은 압압 조작부를 압압 조작부 (8) 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압 조작부의 그 밖의 예로는 도 7 ∼ 11 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도 7 ∼ 11 은 도 5 에 나타낸 압압 조작부와는 다른 압압 조작부의 예를 나타내고, (a) 는 그 압압 조작부의 도 5(a) 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며, (b) 는 그 압압 조작부의 도 5(b) 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도 7 에 나타낸 압압 조작부 (30) 는, 상면에서 본 형상이 팔각형의 돌출부 (30a) 와, 이 돌출부 (30a) 와 연속하고 있으며 압압 조작부 (30) 의 돌출 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판부 (30b) 를 갖는다. 돌출부 (30a) 와 판부 (30b) 는 가요성 점착 시트 (7) 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낸 압압 조작부 (40) 은, 상면에서 본 형상이 원형의 돌출부 (40a) 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40a) 도 가요성 점착 시트 (7) 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낸 압압 조작부 (50) 는, 상면에서 본 형상이 십자형의 돌출부 (50a) 와, 이 돌출부 (50a) 와 연속하고 있으며 압압 조작부 (50) 의 돌출 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십자형의 판부 (50b) 를 갖는다. 돌출부 (50a) 와 판부 (50b) 도 가요성 점착 시트 (7) 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어 있다. 압압 조작부 (50) 에서는, 돌출부 (50a) 의 상면에서 본 형상이 인접하는 변에 의해 형성된 90 도 또는 270 도의 각을 다수 갖는 형상이므로, 압압 조작부에 압압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의 강도를, 전술한 실시형태의 압압 조작부 (8) 보다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도 10 에 나타낸 압압 조작부 (60) 는, 2 중으로 구성된 돌출부 (60a) 와, 이들 2 중으로 구성된 돌출부 (60a) 와 연속하고 있으며 압압 조작부 (60) 의 돌출 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판부 (60b) 와, 2 중으로 구성된 돌출부 (60a) 의 근원인 내측에 형성된 저부 (60c) 를 갖는다. 2 중으로 구성된 돌출부 (60a) 와 판부 (60b) 도 가요성 점착 시트 (7) 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 조작부 (60) 에서는 2 중으로 구성된 돌출부 (60a) 를 갖기 때문에, 압압 조작부의 압압 조작의 방향에 있어서의 강도를, 전술한 실시형태의 압압 조작부 (8) 보다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도 11 에 나타낸 압압 조작부 (70) 는, 도 10 에 나타낸 압압 조작부 (60) 와 동일하게, 2 중으로 구성된 돌출부 (60a), 판부 (60b), 저부 (60c) 를 갖는다. 2 중으로 구성된 돌출부 (60a) 와 저부 (60c) 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수지 (70a) 가 충전되어 있다. 이 압압 조작부 (70) 에서는, 돌출부 (60a) 와 저부 (60c) 가 용융 상태의 수지 (70a) 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기능하여, 경화 전의 수지 (70a) 의 형상을 확실하게 유지하므로, 수지를 사용한 압압 조작부를 수지의 늘어짐을 방지하면서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압압 조작시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를 복수 구비한 스위치 장치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스위치 장치 유닛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착 시트와 기판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스위치 장치에 구비된 압압 조작부를 나타내고, (a) 는 그 압압 조작부의 도 3 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며, (b) 는 그 압압 조작부의 상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에 나타낸 가동 접점 부착 시트의 도 3 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에 나타낸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 는 가동 접점이 압압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스위치 장치의 단면도이고, (b) 는 가동 접점이 압압 조작되어 있는 상태의 스위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에 나타낸 압압 조작부와는 다른 압압 조작부의 예를 나타내고, (a) 는 그 압압 조작부의 도 5(a) 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며, (b) 는 그 압압 조작부의 도 5(b) 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도 8 은 도 5 에 나타낸 압압 조작부와는 다른 압압 조작부의 예를 나타내고, (a) 는 그 압압 조작부의 도 5(a) 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며, (b) 는 그 압압 조작부의 도 5(b) 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도 9 는 도 5 에 나타낸 압압 조작부와는 다른 압압 조작부의 예를 나타내고, (a) 는 그 압압 조작부의 도 5(a) 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며, (b) 는 그 압압 조작부의 도 5(b) 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도 10 은 도 5 에 나타낸 압압 조작부와는 다른 압압 조작부의 예를 나타내고, (a) 는 그 압압 조작부의 도 5(a) 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며, (b) 는 그 압압 조작부의 도 5(b) 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도 11 은 도 5 에 나타낸 압압 조작부와는 다른 압압 조작부의 예를 나타내고, (a) 는 그 압압 조작부의 도 5(a) 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며, (b) 는 그 압압 조작부의 도 5(b) 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위치 장치 유닛
2 스위치 장치
3 기판
4 고정 접점
5 코먼 접점
6 가동 접점
6a 돌기부
7 가요성 점착 시트
7a1 시트 본체
7a2 점착층
7b 허용부
7c 공기 빠져나감부
7d 공기 빠져나감부
8 압압 조작부
8a 돌출부
8b 판부
10 가동 접점 부착 시트
20 키 탑
21 가요성 시트
30 압압 조작부
30a 돌출부
30b 판부
40 압압 조작부
40a 돌출부
50 압압 조작부
50a 돌출부
50b 판부
60 압압 조작부
60a 2 중으로 구성된 돌출부
60b 판부
60c 저부
70 압압 조작부
70a 수지

Claims (6)

  1. 압압 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 접점과, 이 가동 접점을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층에 의해 유지하고 있는 가요성 점착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가동 접점의 중앙부와 겹쳐지는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의 부분에, 상기 가동 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압압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 접점 부착 시트로서,
    상기 압압 조작부가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조작부의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지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착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착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는, 중공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공기 빠져나감부를 갖고, 이 공기 빠져나감부가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에 프레스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착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 접점의 가요성 점착 시트 측과는 반대측면의 중앙부에,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기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착 시트.
  6. 기판과, 이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접점과, 중앙부가 상기 고정 접점에 대향하고 있으며 압압 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가동 접점과, 이 가동 접점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기판에 점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을 점착에 의해 유지하고 있는 가요성 점착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가동 접점의 중앙부와 겹쳐지는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의 부분에, 상기 가동 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압압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압압 조작부가 상기 가요성 점착 시트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착 시트.
KR1020080113219A 2007-11-19 2008-11-14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KR101056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9299A JP5060922B2 (ja) 2007-11-19 2007-11-19 可動接点付きシートおよびスイッチ装置
JPJP-P-2007-299299 2007-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697A true KR20090051697A (ko) 2009-05-22
KR101056976B1 KR101056976B1 (ko) 2011-08-16

Family

ID=4072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219A KR101056976B1 (ko) 2007-11-19 2008-11-14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60922B2 (ko)
KR (1) KR101056976B1 (ko)
CN (1) CN1014419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388A (ko) *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시노펙스 안전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 돔스위치의 보스필름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3228B2 (ja) * 2010-12-10 2012-08-08 不二電子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用可動接点
JP6107039B2 (ja) 2012-10-04 2017-04-0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の製造方法
JP6529522B2 (ja) * 2015-04-02 2019-06-12 ▲徳▼ 恭 李 応力制御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3058B2 (ja) * 1997-06-19 2008-09-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反転ばね付き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キースイッチ
JP2001307591A (ja) * 2000-04-21 2001-11-02 Nec Saitama Ltd 電子装置のキーボタン構造
CN1141726C (zh) * 2000-06-10 2004-03-10 沛鸿电子(深圳)有限公司 金属透光按键及其制作方法
JP2002056748A (ja) * 2000-08-07 2002-02-22 Alps Electric Co Ltd 可動接点付きシート及びシートスイッチ
KR200222272Y1 (ko) * 2000-11-28 2001-05-02 주식회사한텍 통신기기의 키패드 내의 메탈돔 스위치 조립체
JP4187421B2 (ja) * 2001-03-08 2008-11-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剥離シートを備えた接点板付きシートから剥離シートを剥離する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の製造方法
JP4417588B2 (ja) * 2001-06-07 2010-02-17 株式会社フジクラ メタルドームシート
JP2003036764A (ja) * 2001-07-19 2003-02-07 Alps Electric Co Ltd 接点付き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2005353412A (ja) * 2004-06-10 2005-12-22 Alps Electric Co Ltd 板バネ付シート、及びこの板バネ付シートを使用したスイッチ装置
JP2006164552A (ja) * 2004-12-02 2006-06-22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用接点板及びそれを用いた押釦スイッチ
JP2007179923A (ja) * 2005-12-28 2007-07-12 Fujikura Ltd メタルドーム押さえシート及びメタルドーム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388A (ko) *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시노펙스 안전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 돔스위치의 보스필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41952B (zh) 2011-07-13
JP2009123655A (ja) 2009-06-04
KR101056976B1 (ko) 2011-08-16
JP5060922B2 (ja) 2012-10-31
CN101441952A (zh)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6866B2 (ja) キーシート及び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US6743994B2 (en) Slim switch
US6180896B1 (en) Control panel having sheet-formed pushbutton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056976B1 (ko) 가동 접점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JP201305838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100014939A (ko) 가압 돌기를 구비한 메탈 돔 시트 및 누름 버튼 스위치와 그 제조 방법
KR20110086644A (ko) 금속 등 메시 접점 및 스위치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8116702A1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
US6924448B2 (en) Movable contact unit with operating projections, method of mounting operating projections and operating panel switch using movable contact unit with operating projections
KR100906120B1 (ko) 휴대폰 키패드용 액추에이터 일체형 돔시트의 제조방법
KR20090016398A (ko) 스위치용 가동 접점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스위치 장치
KR20100063697A (ko) 키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N104933400A (zh) 一种指纹识别模组及其制作方法、指纹感测装置
EP2151838A1 (en) Key base and key seat
KR100944722B1 (ko) 키패드 어셈블리
JP2007179923A (ja) メタルドーム押さえシート及びメタルドームスイッチ
JP2008066150A (ja) キードーム取り付け用治具セット及びキードーム付き基板の製造方法
JP4357254B2 (ja) キーシートと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7273304A (ja) キートップ板
CN110010506B (zh) 用于将光电子器件嵌入层中的方法
KR101830052B1 (ko)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JP2006127800A (ja) 板ばね付き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KR20120008232U (ko)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
JP4480340B2 (ja) フィルムキーシート
JP4056521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