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232U -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232U
KR20120008232U KR2020110004447U KR20110004447U KR20120008232U KR 20120008232 U KR20120008232 U KR 20120008232U KR 2020110004447 U KR2020110004447 U KR 2020110004447U KR 20110004447 U KR20110004447 U KR 20110004447U KR 20120008232 U KR20120008232 U KR 201200082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terproof film
circuit board
portable terminal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730Y1 (ko
Inventor
공경환
김경원
Original Assignee
한국성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성전(주) filed Critical 한국성전(주)
Priority to KR2020110004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73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7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돔스위치가 장착된 상태의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의 전면(前面)에 주변부 가압 부착 방식으로 방수 필름을 설치하거나,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의 전면에 주변부 가압 부착 방식으로 돔스위치를 포함하는 방수성의 돔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플레이트 전면에만 방수 필름을 부착하게 되므로 방수 필름이 겹쳐져서 연성인쇄회로기판 전체가 두꺼워지고 휴대형 단말기 자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없어지고, 한쪽 면에서 방수, 방습을 위한 모든 가공을 충분히 할 수 있으므로 지그와 기계를 이용한 자동화 공정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side keypa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와 같은 휴대형 단말기에 사용되는 측면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형 단말기에 사용되는 측면 키패드 장치를 이루는 회로기판과 스위치, 키버튼 결합부에서의 방습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휴대형 단말기 가운데 하나로, 휴대형 단말기의 특성상 가볍고, 작은 크기를 요구하므로 이런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휴대형 단말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연구, 개발이 부단히 이루어지고 있다.
휴대형 단말기의 작은 표면에 휴대형 단말기의 충분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많은 기능 버튼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이 가운데 특히 많이 사용하거나, 다른 기능 사용중에 함께 사용할 필요가 있는 음량 조절 기능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키버튼을 구별하여 사용의 편의상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에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에 설치되는 키버튼은 사이드(side)에 있다고 하여 흔히, 사이드키(side key)라고도 한다.
도1은 일반적인 휴대형 단말기의 일 예로서 개시된 휴대전화기에 측면 키패드 장치의 키버튼(20)이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2는 이러한 종래의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본체(10a, 10b)의 리브(11)의 홈부(113)에 돔스위치(31)를 장착한 상태로 측면 키패드 장치의 연성인쇄회로기판(30)이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 일부는 케이스 본체(10a, 10b) 일부에 마련된 키장착용홈부(미도시)에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되는 경우가 많고, 키장착용홈부의 주변에는 측면 키패드 장치의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FPCB Plate: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리브(rib:11)가 도2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플레이트(30)는 휴대형 단말기 케이스 내의 주된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FPCB Plat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Plate:미도시)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장된 부분(35)의 접점(37)을 통해 주된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키버튼(20)은 측면 키패드 장치의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30)에 설치된 돔스위치(31)를 누르도록 설치되며 도시되지 않지만 중간에 가압 동작을 돔스위치(31:Dome switch)로 전달하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키버튼(20)은 케이스 본체의 홀부분(15)을 통해 케이스 외부로 드러나며, 도시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복수 개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예에 따르면, 리브(11)의 설치로 인해 휴대형 단말기의 크기 혹은 폭이 증가하게 되며, 특히,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30)가 두꺼울수록 리브(11)의 폭도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휴대형 단말기의 두께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
또한, 측면 키패드 장치는 영역이 한정되므로 키버튼 누름 동작의 원활화를 위해서는 휴대형 단말기 전면의 주된 키패드부와 달리 기밀 유지가 어렵고, 따라서, 이 측면 키패드 장치의 키버튼 주위의 틈을 따라 휴대형 단말기 본체 내부로 이물질이나 습기가 유입되기 쉽다. 이물질이나 습기가 유입될 때 바로 그 경로에 있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이들 이물질이나 습기에 의해 오염, 부식되기 쉬우므로 특히 이 부분의 방습을 위해 전면에 점착층을 가진 방습 테이프로 연성인쇄회로기판 표면을 커버하여 회로 및 스위치 부분을 보호하게 된다.
더욱이 최근에는 생활방수의 요청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측면 키패드 장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대한 방습 및 방수를 강화하기 위해 도3과 같은 형태로 방습 테이프 주면(140a)에 3방향으로 연장부(140b, 140c,140d)를 설치하여 연성외쇄회로기판 플레이트(130)를 완전히 감싸는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습 테이프 사용방법에서는 방습, 방수를 강화하기 위해 주변 여분을 두어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130)의 후면까지 덮어 감싸게 되므로 테이프 두께에 의해 플레이트 두께가 두꺼워지고, 3방향에서 방습 테이프의 연장부를 감쌀 필요가 있으므로 3차원 동작이 필요하여 자동화 공정이 어려우며, 비록 이렇게 감싸는 경우에도 단순히 점착층을 가진 방습 테이프의 점착력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기밀, 방습이 완전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특히, 도4와 같이 방습 테이프 부착 공정 중에 테이프가 겹치는 부분(141)이나 들뜬 부분이 생기면 이런 취약부위 때문에 방습,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측면 키패드 장치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측면 키패드와 관련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두께 증가를 막아 결과적으로 휴대형 단말기의 두께 증가를 막고, 측면 키패드 장치에 대한 방습, 방수가 보다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자동화 공정에도 유리한 구조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측면 키패드 장치는 돔스위치가 장착된 상태의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의 전면(前面)에 주변부 가압 부착 방식으로 방수 필름을 설치하거나,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의 전면에 주변부 가압 부착 방식으로 돔스위치를 포함하는 방수성의 돔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레이트 전면에 방수 필름이나 돔시트를 부착할 때에는 방수 필름이나 돔시트가 돔스위치와 그 주변의 공기 통로 부분 및 회로 노출 부분을 모두 포괄하도록 충분히 넓게 부착하면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전체면을 커버하도록 부착한다.
방수 필름(이하 돔시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기로 한다)을 플레이트 전면에 부착할 때에는 방수 필름 주변부만 플레이트에 부착되도록 하며, 따라서, 주변부 내측으로는 키버튼 누름 방향으로의 방수 필름의 움직임과 돔스위치 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 필름 주변부를 플레이트에 부착할 때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주변부를 지그로 눌러주는 압착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 부분의 가열에 의한 방수 필름과 플레이트의 융착공정, 이 부분에서 열경화성 수지나 광경화성 수지를 접착제로 이용하고 열이나 빛을 가하는 경화공정을 통해 이 부분에서 방수 필름과 플레이트 사이의 방수성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융착 공정은 방수 필름 자체가 열에 의해 녹아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가소성 레진을 접착제로 이용하여 레진을 플레이트나 방수 필름의 주변부에 도포하고 플레이트와 방수 필름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지그 등을 이용하여 열을 가하여 레진을 충분히 녹이고, 가열을 중단하여 냉각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플레이트 전면에만 방수 필름을 부착하게 되므로 방수 필름이 겹쳐져서 연성인쇄회로기판 전체가 두꺼워지고 휴대형 단말기 자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없어지고, 한쪽 면에서 방수, 방습을 위한 모든 가공을 충분히 할 수 있으므로 지그와 기계를 이용한 자동화 공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방수 필름 부착이 플레이트 주변부에서만 이루어져 돔스위치 동작이 문제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레이트 배면이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여 클릭감이 높아질 수 있다.
도1은 측면 키패드 장치가 설치된 일반적인 휴대형 단말기의 일 예로서 휴대형 전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종래의 휴대형 단말기에 측면 키패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분해 사시도,
도3은 종래의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의 연성인쇄회로기판 방수처리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4는 도3과 같은 방수처리 형태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도5 및 도6은 본 고안의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에서의 방수처리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5를 참조하면, 종래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측면 키패드용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더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위한 방수 필름(240)이 준비된다. 이때, 이 연성인쇄회로기판에는 휴대형 단말기의 주된 인쇄회로기판과 연결을 위한 연장부(135)와 그 연장부 말단에 노출되는 도전 단자(137)가 설치되어 있고,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130) 전면에는 돔스위치(13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도전 단자(미도시)와 이 도전 단자 위로 설치된 돔스위치(131)가 구비되어 있다. 돔스위치(131)의 아래쪽에서 돔스위치 영역 밖으로는 공기 통로(133)가 설치되어 있다.
플레이트(130) 주변부에는 열경화성 레진이 먼저 도포되어 있다. 이 레진은 용매와 섞인 상태로 도포되고 용매는 증발하여 열경화성 레진만 남게 된다. 이 레진은 플레이트 표면 및 방수 필름에 모두 양호한 접착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일종의 접착제 역할을 한다.
준비된 방수 필름(240)은 플레이트 위로 옮겨지고 플레이트 위의 바른 위치에 정렬되어 놓인다. 다음으로, 주변부와 동일한 형태의 지그가 플레이트 위에 정렬되어 놓인 방수 필름을 플레이트에 밀착시키면서 주변부를 가열한다. 열경화성 레진은 지그의 열에 의해 용융 혹은 연화되면서 방수 필름과 플레이트 사이에서 이들을 부착시키는 접착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지그가 주변부에서 이격되면 레진은 비가역적으로 경화되면서 플레이트와 방수 필름 사이에서 접착제의 역할을 지속하게 된다.
도6은 이상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방수 필름이 부착된 상태의 측면 키패드용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다.
주변부에만 방수 필름과 플레이트가 지그의 가압력과 열경화성 레진의 접착력을 통해 단단하게 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을 통해 외부의 습기, 물, 기타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플레이트의 노출된 회로, 도전 접점이나 돔 스위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주변부에 열경화성 레진이 플레이트와 방수 필름의 부착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 대신하여 광경화성 레진이 사용되거나, 별도의 매개물 없이 방수 필름 자체가 플레이트에 융착되는 경우도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감광성 레진을 사용하는 경우, 방수 필름의 주변부나 플레이트의 주변부에 용매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UV(Ultra violet) 접착제를 도포하고, 방수 필름을 플레이트 위의 정위치에 정렬시키고 지그를 이용하여 가압 밀착시킨 뒤 자외선을 쬐어주거나, 반대로 정렬시킨 뒤 자외선을 쬐고 지그를 이용하여 가압 밀착시키는 방법으로 방수 필름을 플레이트 전면 주변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 필름이 플레이트에 대해 접착성을 가진 경우라면, 방수 필름을 플레이트 위의 정위치에 정렬시키고 가열된 지그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가압하면서 가열하고 지그를 분리하여 냉각시키는 조작을 가하면 방수 필름을 용융 혹은 연화시켜 방수 필름을 플레이트 전면 주변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방수 필름이 반드시 열경화성을 가질 필요는 없고, 단순히 열가소성을 가지는 물질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방수 필름을 이동, 정렬하고 지그를 밀착, 가열하는 작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지만 이들 작업은 비교적 단순하여 하나의 일관작업 장치에서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자동 설비장치를 통해 지그로 방수 필름을 플레이트 위에서 가압, 가열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면 가압 및 가열 조건을 최적화하여 주변부에서 들뜸을 방지하는 것이 용이하고, 표준화된 힘을 가하므로 수작업에 비해 방수 필름을 이동, 정렬하는 과정에서 방수 필름이 접히거나 파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가령,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돔스위치가 장착된 상태의 플레이트 위에 방수 필름을 덮는 작업을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별도로 돔스위치가 장착되지 않은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플레이트 위에 돔스위치를 포함하는 돔시트를 방수 필름과 같은 요령으로 이동, 정렬시키고, 가열, 가압 등의 공정을 통해 주변부 부착을 실시할 수 있다.
10a, 10b: 케이스 본체 11: 리브
113: 홈부 20: 키버튼
30: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 31: 돔스위치
140a: 방수 테이프 주면 140b, 140c,140d: 연장부
240: 방수 필름 241: 주변부

Claims (3)

  1. 돔스위치가 장착된 상태의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의 전면(前面)에 주변부 가압 부착 방식으로 방수 필름을 설치하거나,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 플레이트의 전면에 주변부 가압 부착 방식으로 돔스위치를 포함하는 방수성의 돔시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에는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방수 필름 혹은 상기 돔시트 사이에 열경화성 레진이나 감광성 레진을 접착제로 이용하여 상기 주변부에 가열이나 빛 조사를 실시하여 부착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필름 혹은 상기 돔시트는 상기 주변부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열융착 방식으로 부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을 키패드 장치.
KR2020110004447U 2011-05-23 2011-05-23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 KR200464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447U KR200464730Y1 (ko) 2011-05-23 2011-05-23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447U KR200464730Y1 (ko) 2011-05-23 2011-05-23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32U true KR20120008232U (ko) 2012-12-03
KR200464730Y1 KR200464730Y1 (ko) 2013-02-01

Family

ID=4751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447U KR200464730Y1 (ko) 2011-05-23 2011-05-23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7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591B1 (ko) * 2013-07-25 2013-11-01 (주)드림텍 휴대용 단말기의 홈키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179B1 (ko) * 2014-06-24 2016-05-26 ㈜드림텍 모바일 기기의 돔 시트 구조 및 돔 시트 안착지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931Y1 (ko) * 2001-10-08 2002-01-09 이창석 메탈 돔 스위치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591B1 (ko) * 2013-07-25 2013-11-01 (주)드림텍 휴대용 단말기의 홈키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730Y1 (ko)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05838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8809709B2 (en) Push switch
US10354815B2 (en) Push switch
WO2007072812A1 (ja) 電子部品の回路基板へ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013534710A (ja) Pcbタクトスイッチ
CN105225872A (zh) 一种按键结构及电子设备
JP2015176984A (ja) プリント配線板
KR200464730Y1 (ko)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 키패드 장치
JP2011035856A (ja) 防水携帯端末装置
KR101301185B1 (ko) 휴대형 단말기의 버튼용 돔스위치 및 그 형성 방법
KR10132459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홈키 제조방법
JP2015008084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0906120B1 (ko) 휴대폰 키패드용 액추에이터 일체형 돔시트의 제조방법
WO2015033530A1 (ja) 電子機器
CN108305803B (zh) 一种开关组件和电子设备
KR101816776B1 (ko) 푸시 스위치
KR101460709B1 (ko) 연성회로기판 부착용 일체형 적층 테이프
JP4617988B2 (ja) スイッチシート及び携帯端末
KR20120029208A (ko) 카메라 모듈용 필터 패키지 및 카메라 모듈
KR20120024909A (ko) 연성회로기판
CN102568550A (zh) 在极小形状因数消费者电子产品中抑制水分侵入
CN101515515A (zh) 面板开关
JP2010027593A (ja) 操作ボタン装置、電子機器及び撮影装置
CN103563171A (zh) 结构物的制造方法
WO2013103255A1 (ko) 피씨비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과 피씨비 어셈블리를 이용한 초소형 택트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