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761B1 - 무논 작업기 - Google Patents

무논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761B1
KR101797761B1 KR1020110022614A KR20110022614A KR101797761B1 KR 101797761 B1 KR101797761 B1 KR 101797761B1 KR 1020110022614 A KR1020110022614 A KR 1020110022614A KR 20110022614 A KR20110022614 A KR 20110022614A KR 101797761 B1 KR101797761 B1 KR 10179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operating
stopping
stop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795A (ko
Inventor
시게끼 하야시
겐이찌 이와미
겐지 후지이
쯔네히사 구니야스
나오끼 마쯔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2002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7/00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 F02D17/02Cutting-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자에게 불필요한 혼란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양호하게, 인위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 자동 정지 처리 및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무논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3)에 기체 각 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고, 제어 수단이, 키 스위치가 온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키 스위치 이외의 조작구이고 또한 다른 2개의 조작구(52, 53) 중 어느 한쪽의 조작구(53)의 엔진 정지용 조작에 수반하여,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고, 2개의 조작구(52, 53) 중 다른 쪽의 조작구(52)의 엔진 시동용 조작에 수반하여,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무논 작업기{PADDY FIELD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에 작업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주행 기체에 기체 각 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키 스위치가 온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엔진 자동 정지 처리 및 그 엔진 자동 정지 처리에 의해 상기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에 상기 엔진을 시동시키는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논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논 작업기로서의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 종래에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구성의 것이 있었다.
즉, 키 스위치가 온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주 변속 레버가 주행 정지 상태를 초래하는 특정 위치로서의 엔진 정지 위치로 조작되면, 그때 모 잔량 센서가 이식용 모의 잔량이 적어져 있으면,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여, 그 엔진 자동 정지 처리에 의해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에, 주 변속 레버가 엔진 정지 위치로부터 빠져 다른 조작 위치로 조작되면,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요컨대, 종래 구성은 동일한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 자동 정지 처리와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각각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상기 구성은, 농지 내에서 무논 작업으로서의 모심기 작업을 행하고 있을 때에, 예를 들어 작업에 의해 소비된 이식모를 보급(補給)하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하여 연료의 불필요한 소비를 억제하거나, 소음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94753호 공보
상기 종래 구성은, 동일한 조작구(주 변속 레버)의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 자동 정지 처리와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각각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불리한 점이 있다.
예를 들어, 조작자는 조작구를 엔진 정지 위치로 조작하여 엔진을 정지시킨 후, 이식 모의 보급 작업 등의 다른 작업을 행하게 되지만, 조작자가 조작구를 엔진 정지 위치로 일단 조작한 후에 조작구로부터 손을 떼는 경우, 급하게 다른 작업으로 이행하기 위해 분주하게 손을 이동시키려고 하여 조작구에 조작자의 손이나 의복 등이 닿아, 뜻하지 않게, 조작구가 엔진 정지 위치로부터 다른 조작 위치로 복귀 조작된다고 하는 사태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조작자의 의사에 반하여 엔진이 시동되게 되어, 엔진을 시동해서는 안 되는 상태에서 실수로 엔진을 시동시키는 등, 조작자에게 불필요한 혼란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자에게 불필요한 혼란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양호하게, 인위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 자동 정지 처리 및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무논 작업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무논 작업기는, 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에 작업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주행 기체에 기체 각 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키 스위치가 온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엔진 자동 정지 처리 및 그 엔진 자동 정지 처리에 의해 상기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에 상기 엔진을 시동시키는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그 제1 특징 구성은,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키 스위치 이외의 조작구이고 또한 다른 2개의 조작구 중 어느 한쪽의 조작구의 엔진 정지용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2개의 조작구 중 다른 쪽의 조작구의 엔진 시동용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1 특징 구성에 따르면, 키 스위치 이외의 조작구이고 또한 다른 2개의 조작구 중 어느 한쪽의 조작구의 엔진 정지용 조작이 행해지면, 그것에 수반하여 엔진 자동 정지 처리가 실행되어 엔진의 작동이 정지한다. 그리고 엔진 자동 정지 처리에 의해 엔진의 작동이 정지한 후에, 2개의 조작구 중 다른 쪽의 조작구의 엔진 시동용 조작이 행해지면, 그것에 수반하여 엔진 자동 시동 처리가 실행되어, 엔진이 시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키 스위치 이외의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을 정지시키거나 재시동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의 번거로움이 적은 상태로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하여, 연료의 불필요한 소비를 억제하거나, 소음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1개의 조작구로, 엔진 자동 정지 처리의 실행을 지령하는 조작과, 엔진 자동 시동 처리의 실행을 지령하는 조작을 각각 실행하는 구성에서는, 엔진 정지용 조작과 엔진 시동용 조작이라고 하는 각각의 조작을 1개의 조작구로 행해야 해, 조작자가 조작하는 데 있어서 혼동하기 쉬운 경우가 있어, 조작자의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다른 2개의 조작구 중 어느 한쪽의 조작구의 조작에 수반하여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고, 다른 쪽의 조작구의 조작에 수반하여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였으므로, 각 조작을 각각의 조작구로 행하도록 함으로써, 엔진 자동 정지 처리의 실행을 지령하는 조작 및 엔진 자동 시동 처리의 실행을 지령하는 조작을, 조작자의 혼란을 초래하는 일이 없는 상태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조작자에게 불필요한 혼란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양호하게, 인위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 자동 정지 처리 및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무논 작업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한쪽의 조작구가, 통상 조작 영역을 따라 이동 조작됨으로써 피조작 대상의 작동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통상 조작 영역에 이어지는 엔진 정지용 소정 조작 위치로 이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한쪽의 조작구가 상기 엔진 정지용 소정 조작 위치로 조작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쪽의 조작구가 상기 엔진 정지용 소정 조작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한쪽의 조작구를 위치 유지 가능한 위치 유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2 특징 구성에 따르면, 농지에서 작업을 실행할 때에는, 한쪽의 조작구는 통상 조작 영역을 따라 조작되게 된다. 그리고 엔진을 정지시킬 때에는, 한쪽의 조작구를 통상 조작 영역에 이어지는 엔진 정지용 소정 조작 위치로 조작하면, 제어 수단이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한쪽의 조작구가 엔진 정지용 소정 조작 위치로 조작되면, 한쪽의 조작구는 위치 유지 수단에 의해 그 소정 조작 위치에서 위치 유지되므로, 엔진을 정지시키고 있는 동안은, 특별한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한, 한쪽의 조작구가 엔진 정지용 소정 조작 위치로부터 통상 조작 영역으로 복귀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여 엔진을 정지시키고 있는 상태인 것을, 조작자에게 인식시키기 쉬운 것이 되어, 오조작의 우려가 적은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은, 제2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위치 유지 수단이, 상기 한쪽의 조작구의 상기 통상 조작 영역과 상기 엔진 정지용 소정 조작 위치의 사이에서의 조작에 이동 저항을 부여하는 탄성 압박식의 디텐트 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3 특징 구성에 따르면, 한쪽의 조작구는, 위치 유지 수단으로서의 디텐트 기구에 의해, 통상 조작 영역과 엔진 정지용 소정 조작 위치 사이에서의 조작에 이동 저항이 부여되므로, 한쪽의 조작구는, 엔진 정지용 소정 조작 위치로 조작된 후, 그 소정 조작 위치에서 위치 유지될 뿐만 아니라, 통상 조작 영역을 따라 조작되어 있을 때에, 조작자의 조작 오류에 의해 엔진 정지용 소정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는 상태에서 농지에서 무논 작업을 실행하고 있을 때에, 오조작에 의해 한쪽의 조작구가 엔진 정지용 소정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여, 엔진의 작동이 뜻하지 않게 정지하는 것을 회피하기 쉬운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 내지 제3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더하여,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작업 장치를 승강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작업 장치가 설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승강 조작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4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승강 조작 처리도 아울러 실행하므로, 엔진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작업 장치를 설정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무논 작업기에서는, 작업 장치로서, 예를 들어 모심기 장치, 약제 살포 장치, 혹은 시비 장치 등이 있지만, 모심기 장치이면, 상기 설정 위치로서, 모를 보급하기 쉬운 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고, 약제 살포 장치나 시비 장치에서도 마찬가지로, 설정 위치로서, 소비된 약제나 비료를 보급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장치를 설정 위치로 승강시킨 상태에서 엔진을 정지시킬 수 있어, 엔진 정지 상태에서 행해지는 다른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 구성은, 제4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한쪽의 조작구의 엔진 정지용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승강 조작 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5 특징 구성에 따르면, 승강 조작 처리를 실행한 후에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로서 유압 실린더 등, 엔진의 구동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라도, 작업 장치를 적절하게 설정 위치로 승강시킨 후에 엔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 내지 제5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더하여,
상기 작업 장치가, 모 적재대에 적재된 매트모로부터 1주(株)씩 이식 모를 잘라내어 농지면에 이식하는 이식 기구를 구비한 모심기 장치인 점에 있다.
제6 특징 구성에 따르면, 이식 작업을 실행하는 것에 수반하여, 모 적재대에 적재된 매트모가 소비되므로, 모 적재대 상의 매트모가 얼마 남지 않게 되면, 보급할 필요가 있지만, 예비모가 주행 기체의 예비모대에 적재되어 있으면, 농지 내에서 주행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모의 보급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 보급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매트모의 보급 작업 중에 엔진을 정지시킬 수 있어, 연료의 불필요한 소비를 억제하거나, 소음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승용형 이앙기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동력 계통도.
도 4는 동력 계통도.
도 5는 주 변속 장치의 조작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주 변속 장치의 조작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주 변속 장치의 조작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변속 조작용 가이드판의 평면도.
도 9는 변속 조작용 가이드판과 위치 유지 수단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주 변속 레버와 브레이크 조작의 연계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주 변속 레버와 브레이크 조작의 연계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주 변속 레버와 브레이크 조작의 연계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제어 블록도.
도 14는 전원 공급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정보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제어 동작의 흐름도.
도 17은 제어 동작의 흐름도.
도 18은 제어 동작의 흐름도.
도 19은 제어 동작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무논 작업기의 실시 형태를 승용형 이앙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승용형 이앙기는, 좌우 한 쌍의 조향 조작 및 구동 가능한 전륜(1, 1) 및 좌우 한 쌍의 구동 가능한 후륜(2, 2)이 장비된 주행 기체(3)를 구비하고, 이 주행 기체(3)의 후방부에 작업 장치로서의 모심기 장치(4)를 액추에이터로서의 유압 실린더(5)로 구동 승강 가능하게 링크 기구(6)를 통해 연결하고 있고, 주행 기체(3)의 차체 후방부에 시비 장치(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행 기체(3)에 있어서의 기체 프레임(8)의 전방부에는, 전륜(1)을 축지지한 미션 케이스(9)가 연결 고정되는 동시에, 기체 프레임(8)의 후방부에는, 후륜(2)을 축지지한 후방부 전동 케이스(10)가 롤링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9)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 프레임(11)에 엔진(12)이 횡방향으로 탑재되어 보닛(13)으로 덮여 있는 동시에, 엔진(12)의 후방에 위치하는 탑승 운전부에는, 전륜(1)을 조향 조작하기 위한 스티어링 핸들(14), 운전 좌석(15), 운전부 스텝(16) 등이 구비되고, 또한 기체 전방부의 좌우에는, 예비모를 복수단으로 적재 수용하는 예비모 적재대(17)가 설치되어 있다.
모심기 장치(4)는, 6줄분의 모를 적재하여 설정 스트로크로 왕복 횡이동되는 모 적재대(21), 모 적재대(21)의 하단부로부터 1주분씩 모를 잘라내어 농지에 이식해 가는 6세트의 회전식 이식 기구(22), 이식 개소를 정지(整地)하는 3개의 접지 플로트(23)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시비 장치(7)는, 운전 좌석(15)과 모심기 장치(4) 사이에 있어서 주행 기체(3) 상에 탑재되어 있고, 분립상의 비료를 저류하는 비료 호퍼(24), 이 비료 호퍼(24) 내의 비료를 설정량씩 조출하는 조출 기구(25), 조출된 비료를 공급 호스(26)를 통해 각 접지 플로트(23)에 구비한 배토판(furrower)(27)에 풍력 반송하는 전동 블로워(28) 등을 구비하고 있고, 배토판(27)에 의해 농지면(G)에 형성된 홈에 비료를 송입하여 매설해 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도면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생략하고 있지만,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심기 장치(4)의 좌우 양측부에는, 다음 회의 이식 작업 행정에 있어서의 중심선을 농지면(G)에 그리기 위한 회전식 마커(29)가 전동 모터(30)의 작동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용 자세와 기체 내측으로 후퇴하는 후퇴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9)의 측면에는, 엔진(12)에 벨트 연동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로 이루어지는 주 변속 장치(41)(피조작 대상의 일례)가 연결되고, 그 출력이 미션 케이스(9)에 입력되어 작업계와 주행계로 분기된다. 분기된 작업계의 동력은, 원웨이 클러치(42)에 의해 그 정전 동력만이 취출되고, 수동 조작에 의해 6단의 기어 변속이 가능한 주간(株間) 변속 기구(43) 및 전동 모터(40a)로 조작 가능한 이식 클러치(40)를 거쳐서 작업용 동력 취출축(PTO축)(45)으로부터 취출되어, 모심기 장치(4)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분기된 주행계 동력은, 주행용 변속 장치의 일례로서의 기어식 부 변속 장치(47)에 의해 고저 2단으로 변속된 후, 전륜계와 후륜계로 다시 분기되어, 전륜계의 동력은 디퍼런셜 로크 가능한 차동 장치(48)를 통해 좌우의 전륜(1)에 전달되는 동시에, 후륜계의 동력은 전동축(49)을 통해 후방부 전동 케이스(10)에 전달되고, 다판식 사이드 클러치(50)를 통해 좌우의 후륜(2)에 전달된다. 후방부 전동 케이스(10)에는 기체 정지용의 다판식 브레이크(51)가 장비되어 있고, 이 브레이크(51)는 운전부 스텝(16)의 우측 발밑에 배치된 스테핑(stepping) 조작식 브레이크 조작구(52)(다른 쪽의 조작구의 일례)에 기계적으로 연동 연결되어 있다.
주 변속 장치(41)는, 스티어링 핸들(14)의 좌측 옆에 배치된 변속 조작구로서의 주 변속 레버(53)(한쪽의 조작구의 일례)로 변속 조작되는 동시에, 부 변속 장치(47)는, 운전 좌석(15)의 좌측 횡측에 배치된 부 변속 레버(54)에 의해 전환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한 구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50)는 전륜(1)의 조향에 연동하여 자동 조작되는 것이며, 꺾임각 센서(S1)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핸들(14)에 의해 전륜(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설정 각도(예를 들어, 30˚) 이상으로 조향된 것이 검출되면, 선회 내측으로 되는 후륜(2)의 사이드 클러치(50)가 자동적으로 해제 조작되어, 원활하고 좁은 곳에서도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선회가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주 변속 장치(41)의 변속 조작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핸들(14)을 지지하도록 기립 설치된 핸들 포스트(55)에는 지지 브래킷(56)이 고착되고, 이 지지 브래킷(56)의 좌측 단부에는, 지지축(57)을 통해 디텐트판(58)이 횡방향 지지점(a) 주위로 전후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디텐트판(58)에 주 변속 레버(53)가 전후 방향 지지점(b) 주위로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 포스트(55)를 기립 설치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59)에, 횡방향 지지점(c)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중계 회전 부재(60)가 지지되어 있고, 이 중계 회전 부재(60)와 디텐트판(58)이 연계 로드(61)를 통해 연계되고, 또한 이 중계 회전 부재(60)와, 주 변속 장치(41)의 변속 조작축(62)에 연결된 변속 아암(63)이 조작 로드(64)를 통해 연계되어 있다.
상기 지지 브래킷(56)에는 가이드판(65)이 고착되는 동시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가이드판(65)에 형성된 높이가 다른 형상의 안내 홈(66)에 주 변속 레버(53)의 기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안내 로드(53a)가 관통되어 있고, 안내 홈(66)과 안내 로드(53a)의 결합 안내 작용에 의해 주 변속 레버(53)를 소정의 높이가 다른 조작 경로를 따라 전후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디텐트판(58)을 정역(正逆)으로 회전시켜 주 변속 장치(41)를 전진 영역으로부터 후진 영역까지의 범위에서 변속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높이가 다른 조작 경로의 높이가 다른 부위가 주 변속 장치(41)의 중립 위치(N)에 상당하고, 전진측 중립 위치(Nf)의 전방에 전진 변속 조작 경로(F)가 형성되고, 또한 후진측 중립 위치(Nr)의 후방에 후진 변속 조작 경로(R)가 형성되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텐트판(58)의 외주에 병렬 형성된 9개의 오목부(67)에, 외팔보 스프링 레버(68)의 유격 단부에 지지한 디텐트 롤러(69)를 탄성 계입(係入)시킴으로써, 주 변속 레버(53)를 전진 5단(F1 내지 F5), 중립 위치(N) 및 후진 3단(R1 내지 R3)의 각 변속 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전진 변속 조작 경로(F), 후진 변속 조작 경로(R) 및 중립 위치(N)의 각각이, 통상 조작 영역(Z)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주 변속 레버(53)의 횡방향으로의 조작의 중심이 되는 지지점(b)에는, 비틀림 스프링(70)이 장비되어 있고, 주 변속 레버(53)가 항상 지지점(b) 주위로 요동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주 변속 레버(53)를 중립 위치(N)로 조작하면, 후진측 중립 위치(Nr)로부터 전진측 중립 위치(Nf)측을 향해 가압 이동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 홈(66)에 있어서의 전진측 중립 위치(Nf)의 횡외측에는, 엔진 정지용 소정 조작 위치로서의 엔진 정지 위치(ES)가 설정되는 동시에, 주 변속 레버(53)의 안내 로드(53a)가 이 엔진 정지 위치(ES)로 조작된 것을 검지하는 정지 위치 검출 스위치(S2)가 가이드판(65)에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주 변속 레버(53)가 엔진 정지 위치(ES)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주 변속 레버(53)를 위치 유지 가능한 위치 유지 수단(A)이 구비되어 있다.
이 위치 유지 수단(A)은, 주 변속 레버(53)의 통상 조작 영역(Z)과 엔진 정지 위치(ES) 사이에서의 조작에 이동 저항을 부여하는 탄성 압박식 디텐트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디텐트 기구로 이루어지는 위치 유지 수단(A)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판(65)에 구비되어 있고, 주 변속 레버(53)가 전진 변속 조작 경로(F) 또는 후진 변속 조작 경로(R)로부터 중립 위치(N)로 조작되었을 때에, 비틀림 스프링(7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엔진 정지 위치(ES)로 이동하는 것을 견제하고, 또한 수동 조작에 의해 엔진 정지 위치(ES)로 조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엔진 정지 위치(ES)로 조작된 후에는, 주 변속 레버(53)가 전진측 중립 위치(Nf)로 이동하는 것을 견제하도록[주 변속 레버(53)를 엔진 정지 위치(ES)로 위치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더하면, 가이드판(65)에 상하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아암(71)의 일단부에 롤러(72)가 설치되고, 타단부에 롤러(72)를 안내 홈(66)의 통과 영역[전진측 중립 위치(Nf)와 엔진 정지 위치(ES) 사이의 조작 경로]에 들어가도록 요동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73)이 설치되고, 요동 아암(71)은 코일 스프링(7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가이드판(65)에 형성된 접촉부(74)에 접촉하여 소정 위치에서 위치 규제되어 있다.
즉, 주 변속 레버(53)를 롤러(72)에 의해 받아내어, 비틀림 스프링(7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위치 유지 가능하고, 또한 주 변속 레버(53)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롤러(72)가 퇴피 가능해지는 위치에서, 요동 아암(71)이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중립 위치(N)로 조작된 주 변속 레버(53)를 전진측 중립 위치(Nf)로 위치 유지하여, 엔진 정지 위치(ES)로 이동하는 것을 견제할 수 있어, 수동 조작에 의해 주 변속 레버(53)를 엔진 정지 위치(ES)로 조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엔진 정지 위치(ES)로 조작된 후에는, 주 변속 레버(53)가 전진측 중립 위치(Nf)로 이동하는 것을 견제할[주 변속 레버(53)를 엔진 정지 위치(ES)로 위치 유지할] 수 있다. 단, 수동 조작에 의해 주 변속 레버(53)를 조작함으로써, 엔진 정지 위치(ES)로부터 전진측 중립 위치(Nf)로 조작하는 것은 허용된다.
주 변속 레버(53)를 엔진 정지 위치(ES)로 조작하면, 정지 위치 검출 스위치(S2)의 조작부가 조작되어 정지 위치 검출 스위치(S2)가 온 조작되고, 주 변속 레버(53)를 전진측 중립 위치(Nf)로 조작하면 정지 위치 검출 스위치(S2)가 오프 조작된다.
다음에,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주 변속 레버(53)와 브레이크 조작구(52)의 연계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주 변속 레버(53)가 전진 변속 조작 경로(F)로 조작되어 있는 전진 주행 상태, 혹은 후진 변속 조작 경로(R)로 조작되어 있는 후진 주행 상태에 있어서, 기체 정지용 브레이크 조작구(52)가 스테핑 조작되면, 주 변속 레버(53)가 중립 위치(N)까지 강제적으로 복귀 조작되도록, 주 변속 레버(53)와 브레이크 조작구(52)가 연동 연계되어 있다.
설명을 더하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속 장치 조작부의 후방에는, 지지점(e) 주위로 전후 요동 가능하게 견제 작동 부재(81)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견제 작동 부재(81)에는 어저스트 볼트(81b)에 의해 지지점(f) 주위로 위치 미세 조절 가능한 견제 금속 부재(81a)가 구비되어 있고, 견제 작동 부재(81)의 전방 모서리부가, 상기 중계 회전 부재(60)의 지지점(c)보다 상방 개소에 설치한 제1 접촉 핀(82)에 후방으로부터 대향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견제 금속 부재(81a)의 전방 모서리부가, 중계 회전 부재(60)의 지지점(c)보다 하방 개소에 설치한 제2 접촉 핀(83)에 후방으로부터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브레이크 조작구(52)를 연결한 페달 지지축(84)의 타단부에는 견제 조작 아암(85)이 고착되고, 이 견제 조작 아암(85)의 유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한 보스 부재(86)에, 상기 견제 작동 부재(81)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된 밀고 당김 로드(87)의 후단부가 삽입 관통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밀고 당김 로드(87)는, 보스 부재(86)에 대해 일정 범위에서만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관통 지지되는 동시에, 미리 초기 압축 변형되어 밀고 당김 로드(87)에 외부 끼움 장착한 압축 코일 스프링(88)에 의해 밀고 당김 로드(87)는 보스 부재(86)에 대해 전방 슬라이드 한계로 슬라이드 가압되고 있다.
도 10은 브레이크 조작구(52)가 스테핑 조작되지 않고 주 변속 레버(53)가 전진의 최고속인 전진 5속(F5)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또한 도 11은 브레이크 조작구(52)가 스테핑 조작되지 않고 주 변속 레버(53)가 후진의 최고속인 후진 3속(R3)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주 변속 레버(53)가 전진 변속 조작 경로(F)에 있는 상태(예를 들어, 도 10의 상태)에서 브레이크 조작구(52)가 스테핑 조작되면, 견제 조작 아암(85)이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밀고 당김 로드(87)가 전방(도면에서는 좌측)으로 돌출되고, 견제 작동 부재(81)는 지지점(e)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 조작된다. 이에 의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견제 작동 부재(81)는 제1 접촉 핀(82)을 전방에 접촉 압박하고, 중계 회전 부재(60)는 지지점(c) 주위 반시계 방향으로 강제 회전되어, 주 변속 레버(53)가 중립 위치(N)측을 향해 복귀된다.
주 변속 레버(53)가 중립 위치(N)에 도달하면, 제2 접촉 핀(83)도 견제 금속 부재(81a)에 접촉하게 되어, 지지점(c)의 상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접촉 핀(82) 및 제2 접촉 핀(83)이 함께 견제 작동 부재(81)에 접촉함으로써, 중계 회전 부재(60)는 주 변속 레버(53)가 중립 위치(N)로 되는 일정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제1 접촉 핀(82) 및 제2 접촉 핀(83)에 접촉한 견제 작동 부재(81) 자체도, 그 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견제 작동 부재(81)의 견제 금속 부재(81a)를 위치 조절함으로써, 제1 접촉 핀(82) 및 제2 접촉 핀(83)을 함께 견제 작동 부재(81)에 접촉시켜 중계 회전 부재(60)를 정확하게 중립 복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압축 코일 스프링(88)에 의해 부여된 초기 압축력은, 주 변속 레버(53)를 강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조작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 주 변속 레버(53)가 중립 위치(N)에 도달할 때까지는, 압축 코일 스프링(88)은 조작 반력에 의해 압축 변형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주 변속 레버(53)가 중립 위치(N)에 도달한 후, 다시 브레이크 조작구(52)가 스테핑 조작되면, 전방으로 이동 불가능해진 밀고 당김 로드(87)에 대해 견제 조작 아암(85)이 압축 코일 스프링(88)을 더 압축 변형시키면서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충분한 브레이크 조작 스트로크가 확보된다.
또한, 주 변속 레버(53)가 후진 변속 조작 경로(R)에 있는 상태(예를 들어, 도 11의 상태)에서 브레이크 조작구(52)를 스테핑 조작하면, 견제 조작 아암(85)이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밀고 당김 로드(87)가 전방(도면에서는 좌측)으로 돌출되어, 견제 작동 부재(81)가 지지점(e)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 조작된다. 이에 의해, 견제 작동 부재(81)의 견제 금속 부재(81a)는 제2 접촉 핀(83)을 전방으로 접촉 압박하고, 중계 회전 부재(60)는 지지점(c) 주위 시계 방향으로 강제 회전되어, 주 변속 레버(53)가 중립 위치(N)측을 향해 복귀된다. 그리고 주 변속 레버(53)가 중립 위치(N)에 도달하면, 제1 접촉 핀(82)도 견제 작동 부재(81)의 견제 금속 부재(81a)에 접촉하게 되어, 지지점(c)의 상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접촉 핀(81) 및 제2 접촉 핀(83)이, 견제 작동 부재(81)에 함께 접촉함으로써, 중계 회전 부재(60)는 주 변속 레버(53)가 중립 위치(N)로 되는 일정 자세로 유지된다.
이 경우도, 주 변속 레버(53)가 중립 위치(N)에 도달할 때까지는, 압축 코일 스프링(88)은 조작 반력에 의해 압축 변형되는 일은 없고, 주 변속 레버(53)가 중립 위치(N)에 도달한 후, 다시 브레이크 조작구(52)가 스테핑 조작됨으로써, 전방으로 이동 불가능해진 밀고 당김 로드(87)에 대해 견제 조작 아암(85)이 압축 코일 스프링(88)을 더 압축 변형시키면서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부 변속 장치(47)는, 무논 작업용 변속 상태로서의 이식 변속 상태와, 이식 변속 상태보다도 고속의 다른 변속 상태로서의 노상 주행용 변속 상태의 2단계의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이 부 변속 장치(47)는 운전 좌석(15)의 좌측 옆에 배치된 부 변속 레버(54)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 변속 레버(54)는, 이식 변속 상태에 대응하는「이식 위치」와 노상 주행용 변속 상태에 대응하는「노상 주행 위치」로 전환 가능하고, 이 부 변속 레버(54)가 「이식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부 변속 센서(S3)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모심기 장치(4)에 대해 자동 승강 제어를 행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축심(P) 주위로 좌우 중앙의 접지 플로트(23)의 후방부가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 아암(31)에 지지되고, 이 접지 플로트(23)의 높이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로 이루어지는 플로트 센서(S4)가 구비되어 있고, 기체의 진행에 수반하여 접지 플로트(23)가 농지면(G)에 접지 추종하면서, 플로트 센서(S4)의 검출치에 의해 모심기 장치(4)에 대한 중앙의 접지 플로트(23)의 높이, 환언하면 농지면(G)으로부터의 모심기 장치(4)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5)에 작동유를 급배 조작하는 제어 밸브(32)가 구비되어 있고, 제어 밸브(32)에 의해 유압 실린더(5)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유압 실린더(5)가 수축 작동하여 모심기 장치(4)가 상승하고, 제어 밸브(32)에 의해 유압 실린더(5)로부터 작동유가 배출되면, 유압 실린더(5)가 신장 작동하여 모심기 장치(4)가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트 센서(S4)의 검출치가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 장치(H)에 입력되고, 제어 장치(H)는 플로트 센서(S4)의 검출치가 승강용 설정치로 유지되도록, 제어 밸브(32)를 조작하여 유압 실린더(5)를 신축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모심기 장치(4)가 농지면(G)으로부터 설정 높이로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제어 장치(H)에 의한 제어 동작이 자동 승강 제어에 상당한다.
또한, 주행 기체(3)에 대한 링크 기구(6)의 승강 각도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로 이루어지는 링크각 센서(S5)가 구비되어, 링크각 센서(S5)의 검출치가 제어 장치(H)에 입력되어 있고, 주행 기체(3)에 대한 링크 기구(6)의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주행 기체(3)에 대한 모심기 장치(4)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모심기 장치(4)는 전후 축심 주위로 롤링 가능하게 링크 기구(6)에 지지되어 있고, 좌우 경사각 센서(S6)가 구비되고, 수평면[농지면(G)]에 대한 모심기 장치(4)의 좌우 방향의 경사 각도가 좌우 경사각 센서(S6)(도 13 참조)에 의해 검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세한 서술은 하지 않지만, 링크 기구(6)의 후방 상부에, 주행 기체(3)에 대한 모심기 장치(4)의 좌우 경사 자세를 변경 조작 가능한 롤링 기구(33)가 구비되고, 이 롤링 기구(33)는 모심기 장치(4)의 좌우 경사각을 변경 조작 가능한 전동 모터(33a)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H)는, 좌우 경사 센서(S6)에 의해 검출되는 수평면에 대한 모심기 장치(4)의 좌우 방향의 경사 각도가 설정 경사 각도로 되도록 전동 모터(33a)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모심기 장치(4)가 자동적으로 설정 경사 각도로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 장치(H)에 의한 제어 동작이 자동 롤링 제어에 상당한다.
운전 좌석(15)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패널(35)의 중앙부에는, 액정 표시 패널을 사용한 정보 표시부(36)가 구비되어 있다. 상세한 서술은 하지 않지만, 정보 표시부(36)에는, 예를 들어 모의 적재대(21) 상에 모 잔량이 적어진 것이나 배터리(V)의 전압이 저하되어 있는 것 등을 표시하거나, 그 밖의 다양한 정보가 표시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보 표시부(36)에는 누계 가동 시간(아우어 미터) 및 엔진 회전수를 표시하는 4자리의 수치 표시부(3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치 표시부(37)는, 아우어 미터나 엔진 회전수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알파벳 및 *표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후술하는 엔진 자동 정지 제어에 관한 표시로서도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말하면, 도 15의 (a)는 수치 표시부(37)의 모든 세그먼트가 점등되어 있는 전체 점등 상태를 나타내고, 도 15의 (b)는 아우어 미터에서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의 (c), (d)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진 정지 제어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핸들(14)의 하측의 우측 횡측에 작업 상태 전환용 조작 레버(38)가 구비되고(도 1이나 도 2에서는 생략하고 있음), 사용자는 이 조작 레버(38)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상태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작 레버(38)는 중립 위치(N)로부터 상방의 제1 상승 위치(U1), 제2 상승 위치(U2), 하방의 제1 하강 위치(D1), 제2 하강 위치(D2), 후방의 우측 마커 위치(R) 및 전방의 좌측 마커 위치(L)의 십자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중립 위치(N)로 복귀 가압되어 있고, 조작 레버(38)의 조작 위치가 제어 장치(H)에 입력되어 있다.
조작 레버(38)의 지령에 기초하여 모심기 장치(4)의 상승 조작이나 하강 조작을 지령하거나, 하강 상태에서는 자동 승강 제어나 자동 롤링 제어를 지령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논둑 근처에서 선회 주행하는 경우에, 조작 레버(38)가 중립 위치(N)로부터 일단 제2 상승 위치(U2)로 조작되면, 이식 클러치(40)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여, 자동 승강 제어 및 자동 롤링 제어를 정지하고, 모심기 장치(4)를 상승시킨다.
선회 주행이 종료되어, 조작 레버(38)를 제2 하강 위치(D2)로 조작하면[제2 하강 위치(D2)로 조작하여 중립 위치(N)로 복귀되면], 모심기 장치(4)를 하강시키고, 중앙의 접지 플로트(23)가 농지면(G)에 접지하면, 자동 승강 제어 및 자동 롤링 제어를 개시하여, 모심기 장치(4)가 농지면(G)에 접지하여 정지한 상태로 된다.
조작 레버(38)를 제2 하강 위치(D2)로 조작하여 중립 위치(N)로 복귀시킨 후, 모의 이식 개시 위치까지 주행한 후, 조작 레버(38)를 다시 제2 하강 위치(D2)로 조작하면, 자동 승강 제어 및 자동 롤링 제어가 작동한 상태에서, 이식 클러치(40)를 연결 상태로 하여 이식 작업을 실행하는 상태로 전환한다.
조작 레버(38)를 우측 마커 위치(R)로 조작하면[우측 마커 위치(R)로 조작한 후에 손을 떼고 중립 위치(N)로 복귀시키면], 우측의 마커(29)가 작용 자세로 조작되고, 조작 레버(38)를 좌측 마커 위치(L)로 조작하면[좌측 마커 위치(L)로 조작한 후에 손을 떼고 중립 위치(N)로 복귀시키면], 좌측의 마커(29)가 작용 자세로 조작되지만, 조작자는 이식 작업에 있어서, 다음 회의 작업 행정에 대응하는 측의 마커(29)를 작용 자세로 조작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 레버(38)를 제1 상승 위치(U1)로 조작하면, 조작 레버(38)를 제1 상승 위치(U1)로 유지하고 있는 동안은 모심기 장치(4)를 상승시킨다. 그 후, 조작자가 손을 떼고 조작 레버(38)가 중립 위치(N)로 복귀되면 상승을 정지한다.
조작 레버(38)를 제1 하강 위치(D1)로 조작하면, 조작 레버(38)를 제1 하강 위치(D1)로 유지하고 있는 동안은 모심기 장치(4)를 하강시킨다. 그 후, 조작자가 손을 떼고 조작 레버(38)가 중립 위치(N)로 복귀되면 하강을 정지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지 위치 검출 스위치(S2), 부 변속 센서(S3), 좌우 경사각 센서(S6)의 검출치가 제어 장치(H)에 입력되어 있고, 이 이외에도, 스티어링 핸들(14)의 조작에 수반되는 전륜(1)의 꺾임각을 검출하는 꺾임각 센서(S1), 엔진(12)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S7), 엔진(12)의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수 온도 센서(S8), 운전부 스텝(16)에 구비된 브레이크 조작구(52)가 스테핑 조작된 것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S9), 좌우 양측의 후륜(2)의 차축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후륜 회전 센서(S10), 주행 기체(3)의 수평 자세로부터의 전후 경사각을 검출하는 전후 경사각 센서(S11), 주행 기체의 방향을 검출하는 방위 센서(S12), 운전 좌석(15)에 운전자가 착석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착석 스위치(S13), 보닛(13)이 개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보닛 개폐 검출 센서(S14)가 구비되고, 이들의 정보도 제어 장치(H)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이외에도 배터리(V)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된다.
도 14는 제어 장치(H)나 그 밖의 전장품에의 전원 공급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H)는, 키(K)에 의해 조작되는 키 스위치(90)가 전원 온 위치(ON)로 조작되면, 배터리(V)의 전원이 투입되어 기동된다.
또한, 키 스위치(90)가 전원 오프 위치(OFF)로 조작되어도, 즉시 전원의 공급이 정지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유지 회로(91)에 의해 전원 공급이 계속되도록 되어 있고, 키 스위치(90)가 전원 오프 위치(OFF)로 조작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각 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지 않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입하여 기억시킨 후에, 자기 유지 회로(91)를 차단하여 전원 공급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키 스위치(90)가 시동 위치(ST)로 조작되었을 때에는, 배터리(V)와 스타터(93) 사이의 전원 공급로에 개재 장착된 스타터 기동용 릴레이(92)를 온 상태로 전환하여 스타터(93)를 작동시켜 엔진(12)을 시동시키게 된다.
또한, 배터리(V)로부터 제어 장치(H)를 포함하는 모든 전장품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주 전원선(95)에는, 전력 공급을 단속 가능한 단속 회로(96)가 개재 장착되어 있고, 이 단속 회로(96)는, 제어 장치(H)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전력 공급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키 스위치(90)가 시동 위치(ST)로 조작되었을 때에 전력이 공급되어 작동하는 구동 회로(97)에 의해서도 전력 공급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H)는, 키 스위치(90)가 전원 온 위치(ON)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라도, 엔진 정지 조건이 성립되면 엔진(12)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엔진 자동 정지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이 엔진 자동 정지 제어를 실행하는 상태와 제어를 실행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자동 온 오프 스위치(SW)와, 엔진 정지용 조건이 만족되면 점등되고 만족되지 않으면 소등되는 표시 램프(L)가 전방 패널(35)에 설치되어 있다.
엔진 자동 정지 제어는, 농지에 있어서 모심기 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예를 들어 모심기 작업에 의해 소비된 이식모를 보급하는 작업을 행하고 있는 동안 등, 엔진(12)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다른 작업을 행할 때에, 엔진(12)을 정지시킴으로써, 연료의 불필요한 소비를 억제하거나, 소음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엔진 정지 조건으로서는, 정지 위치 검출 스위치(S2)가 설정 시간(예를 들어, 수초) 이상에 걸쳐 온 조작된다고 하는 조건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H)는, 견제 조건이 성립되어 있으면, 엔진 정지 조건이 성립된 경우라도, 엔진 자동 정지 제어를 실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말하면, 엔진(12)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엔진(12)에 공급하는 연료 공급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엔진 제어부에 엔진 정지 신호(구체적으로는, 연료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거나, 엔진(12)이 점화 플러그를 구비하는 것이면, 점화 플러그에 대한 통전을 차단하는 등의 구성이 있다.
다음에, 제어 장치(H)에 의한 엔진 자동 정지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자동 온 오프 스위치(SW)는 온 상태로 조작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변속 레버(53)가 엔진 정지 위치(ES)로 조작되어, 정지 위치 검출 스위치(S2)가 온 상태로 되고, 그 상태가 설정 시간 이상 계속되면, 엔진 정지 조건이 성립된다(스텝 1, 2).
그러나 엔진 정지 조건이 성립되어도, 냉각수 온도 센서(S8)의 검출치가 설정 온도 이하라고 하는 조건(스텝 3), 전압 검출 수단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V)의 전압이 설정 전압 이하인 것이 검출된다고 하는 조건(스텝 4), 엔진 회전수 검출 센서(S7)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엔진 회전수가 설정치보다도 높아 아이들링 상태가 아니라고 하는 것이 검출된다고 하는 조건(스텝 5), 플로트 센서(S4) 또는 링크각 센서(S5)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접지 플로트(23)가 농지면(G)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다고 하는 조건(스텝 6), 전후 경사각 센서(S11) 및 좌우 경사각 센서(S6)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3) 또는 모심기 장치(4)가 전후 또는 좌우로 수평 자세로부터 설정 각도 이상 경사져 있는 것이 검출된다고 하는 조건(스텝 7), 좌우의 마커(29)가 모두 수납 상태로 되어 있다고 하는 조건(스텝 8), 부 변속 센서(S3)에 의해 부 변속 레버(54)가「이식 위치」로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다고 하는 조건(스텝 9)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조건이 성립되어 있으면, 엔진(12)을 정지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스텝 9에 있어서의 조건, 부 변속 센서(S3)에 의해 부 변속 레버(54)가「이식 위치」로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다고 하는 조건은, 환언하면 부 변속 레버(54)가「노상 주행 위치」로 조작되어 있다고 하는 조건이다. 이와 같이 부 변속 레버(54)가「노상 주행 위치」로 조작되어 있을 때에, 엔진(12)을 정지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노상 주행시에 오르막길 등에서 엔진(12)이 정지하면, 기체가 조작자의 의사에 반하여 오르막길을 이동하는 등의 불리가 있지만, 이러한 불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스텝 3 내지 스텝 9 중 어느 조건도 성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선회 주행 판별 처리를 실행하여 선회 주행 중이라고 하는 조건이 성립되면, 엔진(12)을 정지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스텝 10, 스텝 11).
선회 주행 판별 처리에 대해 설명을 더하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후륜 회전 센서(S10)의 검출치가 0이 아니고, 주행 기체(3)가 주행 중인 것이 판별되어 있는 상태이고(스텝 101), 좌우의 후륜 회전 센서(S10)의 검출치의 차가 설정치 이상이라고 하는 조건(스텝 102), 꺾임각 센서(S1)에 의해 검출되는 전륜(1)의 꺾임각이 설정치 이상이라고 하는 조건(스텝 103), 좌우의 마커(29) 중 작동하는 것을 전환 조작하고 있다고 하는 조건(스텝 104), 좌우 어느 하나의 사이드 클러치(50)가 해제 조작되어 있다고 하는 조건(스텝 105), 방위 센서(S12)에 의해 주행 기체(3)의 방향이 크게 변동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어 있다고 하는 조건(스텝 106), 접지 플로트(23)가 농지면(G)에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하는 조건(스텝 107), 이식 클러치(40)가 클러치 해제 상태로 조작되어 있다고 하는 조건(스텝 108)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성립되면, 선회 주행중이라고 판별하고, 어느 조건도 성립되어 있지 않으면 선회 주행중이 아니라고 판별한다(스텝 109, 110).
또한, 엔진(12)이 시동된 후에 있어서, 후륜 회전 센서(S10)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3)가 주행 이동하고 있지 않거나, 혹은 주행 이동하기 위해 인위 조작에 의한 지령도 행해지고 있지 않다고 하는 조건이 성립된 경우에도, 엔진(12)을 정지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스텝 12).
그리고 스텝 1, 2의 엔진 정지 조건이 성립되어 있고, 스텝 3 내지 스텝 12 중 어느 조건도 성립되어 있지 않으면, 정보 표시부(36)의 표시 내용을 엔진 자동 정지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로 변경하고(스텝 13), 또한 모심기 장치(4)를 설정 위치의 일례로서의 최대 상승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에(스텝 14, 15), 엔진(12)을 정지시키는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16). 덧붙여 말하면,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스텝 1, 2의 엔진 정지 조건이 성립되어 있고, 스텝 3 내지 스텝 12 중 어느 조건도 성립되어 있지 않으면, 시비 장치(7)에 의한 시비 작업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즉시 전동 블로워(28)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H)는,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그때까지 실행하고 있었던 모심기 작업에 있어서의 각 부의 동작 상태에 대해 메모리에 기억해 두고, 엔진(12)을 시동시켜 작업을 재개할 때에, 기억하고 있었던 동작 상태와 동일한 상태에서 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마커(52)의 작동 상태나 이식 클러치(40) 등의 작동 상태 등이다.
상기 정보 표시부(36)의 표시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1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치 표시부(37)를 이용하여「*ECO」라고 하는 표시를 행하고, 또한 보닛(13)의 전방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센터 마스코트(94)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 램프(도시하지 않음)를 점멸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한 후에, 후륜 회전 센서(S10)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후륜(2)의 회전 상태가 검출되면, 예를 들어 버저의 명동(鳴動) 등에 의한 경보 작동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고(스텝 17, 18), 엔진 정지 처리를 실행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해도, 후술하는 엔진 시동 조건이 성립하지 않을 때는, 배터리(V)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스텝 19, 20).
구체적으로는, 단속 회로(96)에 전력 차단 상태로의 전환을 지령하여 단속 회로(96)를 차단시켜, 모든 전장품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킨다.
이와 같이 전력 차단 상태로 전환된 후, 엔진(12)을 시동시키기 위해서는, 조작자가 키 스위치(90)를 시동 위치(ST)로 조작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즉, 키 스위치(90)가 시동 위치(ST)로 조작되면, 구동 회로(97)가 작동하여 단속 회로(96)를 전력 공급 상태로 전환하므로, 제어 장치(H)나 그 밖의 전장품에도 전력이 공급되고, 엔진(12)의 시동도 행해지게 된다.
엔진 자동 정지 처리에 의해 엔진(12)을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조작자가 주 변속 레버(53)를 엔진 정지 위치(ES)로 이동시킴으로써 정지 위치 검출 스위치(S2)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또한 조작자가 브레이크 조작구(52)를 스테핑 조작함으로써 브레이크 스위치(S9)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스텝 21, 22), 엔진 시동 조건이 성립된 것이라 판단한다.
단, 키 스위치(90)로부터 키(K)가 빠져 있다고 하는 조건(스텝 23), 운전 좌석(15)에 설치된 착석 스위치(S13)가 오프라고 하는 조건(스텝 24), 보닛 개폐 검출 센서(S14)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보닛(13)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다고 하는 조건(스텝 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이 성립되면, 엔진(12)을 시동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 시동 조건이 성립되어 있고, 스텝 23 내지 25의 조건 모두 성립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정보 표시부(36)의 표시 내용을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로 변경하고, 엔진(12)을 시동시키는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26, 27).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엔진(12)을 시동시키면, 시비 장치(7)에 의한 시비 작업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후 바로 전동 블로워(28)를 작동 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의 정보 표시부(36)의 표시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15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치 표시부(37)를 이용하여「N-ST」라고 하는 표시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 변속 레버(53)가 엔진 정지 위치(ES)로 조작되어, 엔진 정지 센서(S2)가 온 상태로 되고, 그 상태가 설정 시간(예를 들어, 수초간) 이상 계속되면, 엔진 정지 조건이 성립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러한 구성 대신에 다음 a 내지 e에 기재한 구성이라도 좋고, 또한 그 밖의 다양한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a. 주 변속 레버(53)와는 다른 엔진 정지 전용 또는 다른 조작을 겸용하는 조작구(예를 들어, 스위치나 레버 등)가 조작된 것.
b. 브레이크 페달(52)이 스테핑 조작된 것.
c. 주 변속 레버(53)가 중립 위치(N)로 조작된 것.
d. 주행 정지 상태에서 이식 클러치(40)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는 것.
e. 주행 정지 상태에서 모심기 장치(4)를 수동 조작에 의해 상승 위치까지 상승시킨 것.
f. 주 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이면, 주 클러치의 해제 조작이 행해진 것.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조건으로 엔진 정지 조건을 설정한 경우,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은, 엔진 정지 조건을 위한 조작구와는 다른 조작구에 의한 조작이 조건으로 된다.
조건 a.의 경우에는, 상기한 조작구 이외의 조작구가 엔진 정지 조건을 위한 조작구로 된다. 다른 조건 b 내지 e 등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은, 엔진 정지 조건을 위한 조작구와는 다른 조작구를 사용하는 것이 조건으로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유지 수단(A)으로서, 주 변속 레버(53)의 통상 조작 영역과 엔진 정지 위치(ES) 사이에서의 조작에 이동 저항을 부여하는 탄성 압박식 디텐트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위치 유지 수단(A)으로서는, 이러한 디텐트 기구 대신에, 주 변속 레버(53)가 엔진 정지 위치(ES)로 조작되면, 그 위치에서 위치 유지하는 상태로 전환되도록 액추에이터에 의해 출퇴 이동하는 걸림구를 구비하는 구성 등이라도 좋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H)가, 주 변속 레버(53)의 엔진 정지용 조작에 수반하여, 모심기 장치(4)를 최대 상승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승강 조작 처리를 실행한 후에,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였지만, 승강 조작 처리로서, 설정 위치의 일례인 승강 범위의 도중 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해도 좋고, 설정 위치를 조작자가 모 보급 작업을 행하기 쉬운 임의의 높이로 변경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러한 구성 대신에, 승강 조작 처리를 실행하는 일 없이, 모심기 장치(4)가 농지면(G)에 접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엔진(12)을 정지시키도록 해도 좋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16 및 도 17의 스텝 3 내지 스텝 12의 각종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성립되면 엔진(12)을 정지시키지 않도록 하였지만, 스텝 3 내지 스텝 12에 나타내는 모든 조건을 각각 판별하는 것 대신에, 그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2개 이상의 조건을 판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엔진 정지 조건이 성립되고 또한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고 있으면 엔진(12)을 정지시키는 구성, 엔진 정지 조건이 성립되고 또한 배터리(V)의 전압이 설정 전압을 넘고 있으면 엔진(12)을 정지시키는 구성, 엔진 정지 조건이 성립되고 또한 접지 플로트(23)가 농지면(G)에 접지하고 있으면 엔진(12)을 정지시키는 구성 등, 어느 하나의 견제 조건만을 판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복수의 조건 중 선택된 2개 이상의 견제 조건만을 판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키 스위치(90)로부터 키(K)가 빠져 있다고 하는 조건, 운전 좌석(15)에 설치된 착석 스위치(S13)가 오프라고 하는 조건, 보닛(13)이 개방되어 있다고 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이 성립되면, 엔진(12)의 시동을 견제하도록 하였지만, 상기한 3개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판별하도록 하거나, 상기한 3개의 조건 이외의 다른 조건을 판별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이러한 견제 조건을 판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 조작 위치로서의 엔진 정지 위치(ES)가, 중립 위치(N) 중에서 전진측 중립 위치(Nf)에 대해 후진측 중립 위치(Nr)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설정되었지만, 엔진 정지 위치(ES)를, 후진측 중립 위치(Nr)에 대해 전진측 중립 위치(Nf)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설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무논 작업기로서 승용형 이앙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승용형의 직파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승용형 이앙기나 승용형 직파기 등의 무논 작업기에 적용할 수 있다.
3 : 주행 기체
4 : 작업 장치(모심기 장치)
5 : 액추에이터(유압 실린더)
12 : 엔진
21 : 모 적재대
22 : 이식 기구
41 : 피조작 대상(주 변속 장치)
52 : 다른 쪽의 조작구(브레이크 조작구)
53 : 한쪽의 조작구(주 변속 레버)
90 : 키 스위치
A : 위치 유지 수단(디텐트 기구)
ES : 소정 조작 위치
H : 제어 수단
Z : 통상 조작 영역

Claims (7)

  1. 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에 작업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주행 기체에 기체 각 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키 스위치가 온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엔진 자동 정지 처리 및 그 엔진 자동 정지 처리에 의해 상기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에 상기 엔진을 시동시키는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논 작업기이며,
    상기 제어 수단이,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주행 변속용 변속 조작구 및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주행 정지용 브레이크 조작구 중 상기 변속 조작구의 엔진 정지용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브레이크 조작구의 엔진 시동용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논 작업기.
  2. 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에 작업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주행 기체에 기체 각 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키 스위치가 온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엔진 자동 정지 처리 및 그 엔진 자동 정지 처리에 의해 상기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에 상기 엔진을 시동시키는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논 작업기이며,
    상기 제어 수단이,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주행 변속용 변속 조작구 및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주행 정지용 브레이크 조작구 중 상기 변속 조작구의 엔진 정지용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변속 조작구 및 브레이크 조작구의 엔진 시동용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엔진 자동 시동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논 작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조작구가, 통상 조작 영역을 따라 이동 조작됨으로써 주행용 변속 장치의 작동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통상 조작 영역에 이어지는 엔진 정지용의 소정 조작 위치로 이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변속 조작구가 상기 엔진 정지용의 소정 조작 위치로 조작되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속 조작구가 상기 엔진 정지용의 소정 조작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변속 조작구를 위치 유지 가능한 위치 유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무논 작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유지 수단이, 상기 변속 조작구의 상기 통상 조작 영역과 상기 엔진 정지용의 소정 조작 위치의 사이에서의 조작에 이동 저항을 부여하는 탄성 압박식 디텐트 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무논 작업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작업 장치를 승강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작업 장치가 설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승강 조작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논 작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변속 조작구의 엔진 정지용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승강 조작 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엔진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논 작업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가, 모 적재대에 적재된 매트모로부터 1주씩 이식모를 잘라내어 농지면에 이식하는 이식 기구를 구비한 모심기 장치인, 무논 작업기.
KR1020110022614A 2010-09-13 2011-03-15 무논 작업기 KR101797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04095 2010-09-13
JP2010204095A JP5704868B2 (ja) 2010-09-13 2010-09-13 水田作業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795A KR20120028795A (ko) 2012-03-23
KR101797761B1 true KR101797761B1 (ko) 2017-11-14

Family

ID=45977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614A KR101797761B1 (ko) 2010-09-13 2011-03-15 무논 작업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04868B2 (ko)
KR (1) KR101797761B1 (ko)
CN (1) CN1024287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3427B2 (ja) * 2017-03-28 2020-11-11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
CN108271484B (zh) * 2018-03-13 2020-07-14 安徽舒州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自动补秧机的插秧机
JP7044693B2 (ja) * 2018-12-26 2022-03-30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JP7304995B2 (ja) * 2018-12-26 2023-07-07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JP7162566B2 (ja) * 2019-05-22 2022-10-2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535A (ja) * 1999-08-27 2001-03-13 Kubota Corp 芝刈機
JP2002240528A (ja) * 2001-02-14 2002-08-28 Hino Motors Ltd 車高調節装置
JP2006094753A (ja) * 2004-09-29 2006-04-13 Kubota Corp 乗用田植機のエンジン制御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0248U (ja) * 1982-05-10 1983-1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装置
JPH07277163A (ja) * 1994-04-12 1995-10-24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ブレーキペダル
JPH09252607A (ja) * 1996-03-21 1997-09-30 Seibutsukei Tokutei Sangyo Gijutsu Kenkyu Suishin Kiko 作業車両の遠隔操作装置
JPH11348608A (ja) * 1998-06-10 1999-12-21 Toyota Motor Corp 車両のエンジン自動停止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4304396B2 (ja) * 2000-01-21 2009-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
JP2004132249A (ja) * 2002-10-10 2004-04-30 Nissan Motor Co Ltd 産業車両の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装置
JP4412015B2 (ja) * 2004-03-17 2010-02-10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アイドルストップ制御装置
JP2006097547A (ja) * 2004-09-29 2006-04-13 Kubota Corp 農作業機のエンジン制御構造
JP4537921B2 (ja) * 2005-09-16 2010-09-08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
JP5656274B2 (ja) * 2008-10-14 2015-01-21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水田作業機
JP5177544B2 (ja) * 2008-11-19 2013-04-0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アイドルストップスタート制御装置
JP2010178704A (ja) * 2009-02-06 2010-08-19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535A (ja) * 1999-08-27 2001-03-13 Kubota Corp 芝刈機
JP2002240528A (ja) * 2001-02-14 2002-08-28 Hino Motors Ltd 車高調節装置
JP2006094753A (ja) * 2004-09-29 2006-04-13 Kubota Corp 乗用田植機のエンジン制御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55282A (ja) 2012-03-22
CN102428784A (zh) 2012-05-02
CN102428784B (zh) 2016-05-11
JP5704868B2 (ja) 2015-04-22
KR20120028795A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1298B1 (ko) 작업 차
KR101797761B1 (ko) 무논 작업기
JP5704869B2 (ja) 水田作業機
KR101799596B1 (ko) 무논 작업기
JP6006353B2 (ja) 水田作業機
JP7109317B2 (ja) 水田作業機
JP5662647B2 (ja) 田植機
JP2012237201A (ja) 作業機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6401217B2 (ja) 水田作業機
JP5888613B2 (ja) 苗移植機
US11917933B2 (en) Working vehicle
JP6006354B2 (ja) 水田作業機
JP2014155462A5 (ko)
JP5438640B2 (ja) 水田作業機
JP3894348B2 (ja) 田植機
CN111824243A (zh) 作业车辆
JP5711078B2 (ja) 作業車
JP2017018131A (ja) 水田作業機
JPH09149705A (ja) 作業機
JP3123519B2 (ja) 田植機の植付部昇降制御装置
JP2015174646A (ja) 作業機
JP2003088207A (ja) 乗用型農作業機
JP2021164420A (ja) 移植機
JPH0549318A (ja) 田植機の水平制御装置
JP2020124128A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