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222B1 - 점멸기 - Google Patents

점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222B1
KR101745222B1 KR1020157014264A KR20157014264A KR101745222B1 KR 101745222 B1 KR101745222 B1 KR 101745222B1 KR 1020157014264 A KR1020157014264 A KR 1020157014264A KR 20157014264 A KR20157014264 A KR 20157014264A KR 101745222 B1 KR101745222 B1 KR 101745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unting boards
printed wiring
terminal portions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914A (ko
Inventor
야스히로 스미노
기와무 시바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01H9/541Contacts shunted by semiconductor devices
    • H01H9/542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 H01H2009/545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comprising a parallel semiconductor switch being fired optically, e.g. using a photocoup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01H2047/025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with taking into account of the thermal influences, e.g. change in resistivity of the coil or being adapted to high temper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01H2085/0412Miniature fus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점멸기는, 복수의 전원 단자부와, 복수의 부하 단자부와, 복수의 접점 스위치, 제어 회로와, 복수의 실장 기판과, 이들을 내부에 수납하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를 구비한다. 복수의 접점 스위치는, 복수의 전원 단자부 중 하나의 전원 단자부와 복수의 부하 단자부 중 하나의 부하 단자부를 1조로 한 복수의 조에 각각 별개로 접속되는 복수의 급전로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설치된다. 복수의 실장 기판의 각각은, 접점 스위치가 실장되는 표면 또는 접점 스위치가 실장되지 않는 이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복수의 급전로 중 적어도 1개의 급전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는, 복수의 실장 기판을 두께 방향을 따라서 중첩하여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점멸기{BLINKING DEVICE}
본 발명은, 점멸기, 특히 조명 부하를 점멸하는 점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점멸기로서, 문헌 1(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11-119228)에 기재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릴레이를 예시한다(특히, 동 문헌의 단락 0060 - 단락 0061 및 도 12 참조). 이 종래 예는, 구동부에 의해 접점이 개폐되는 기계식의 접점 스위치와, 이 접점 스위치와 병렬로 접속되는 반도체 스위치를 구비한다. 또, 교류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공급하는 급전로로서, 접점 스위치에 의한 제 1 급전로와, 반도체 스위치에 의한 제 2 급전로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교류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전원을 투입하는 경우, 처음에 반도체 스위치가 온으로 되고, 교류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전원 공급이 개시된다. 그 후, 접점 스위치가 온으로 되면, 교류 전원으로부터 접점 스위치를 거쳐서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게 되어, 반도체 스위치가 오프로 된다.
그런데, 문헌 1 기재의 종래 예에서는, 복수의 부하에의 급전을 독립해서 점멸할 수 있도록, 기계식의 접점 스위치와 반도체 스위치의 회로를 복수(예를 들면, 4 회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4 회로의 접점 스위치 및 반도체 스위치가 모두 1매의 프린트 배선판의 동일면에 실장되고,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다.
그렇지만, 문헌 1 기재의 종래 예와 같이 복수 회로의 접점 스위치 및 반도체 스위치를 1매의 프린트 배선판의 동일면에 실장한 경우, 프린트 배선판의 면적이 커져 버린다. 그리고, 프린트 배선판이 커진 결과, 프린트 배선판을 수납하는 케이스도 대형화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부하에의 급전을 독립해서 점멸 가능하게 하면서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형태의 점멸기는, 복수의 전원 단자부와, 복수의 부하 단자부와, 복수의 접점 스위치, 제어 회로와, 복수의 실장 기판과, 박스 형상의 케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전원 단자부는 전원에 접속된다. 상기 복수의 부하 단자부는 각각이 다른 부하에 접속된다. 상기 복수의 접점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전원 단자부 중 하나의 전원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부하 단자부 중 하나의 부하 단자부를 1조로 한 복수의 조에 각각 별개로 접속되는 복수의 급전로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복수의 접점 스위치를 온·오프한다.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은, 상기 복수의 접점 스위치 중 적어도 1개의 접점 스위치가 각각 실장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전원 단자부 및 상기 복수의 부하 단자부, 상기 제어 회로,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을 내부에 수납한다.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의 각각은, 상기 접점 스위치가 실장되는 표면 또는 상기 접점 스위치가 실장되지 않는 이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상기 복수의 급전로 중 적어도 1개의 급전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을 두께 방향을 따라서 겹쳐서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형태의 점멸기에서는, 제 1 형태에 더하여,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 중 서로 이웃하는 2매의 실장 기판을, 서로의 이면끼리를 대향시켜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형태의 점멸기에서는, 제 1 형태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전원 단자부는 전원용 단자판과, 삽통부를 각각 갖는다. 상기 전원용 단자판은 전원선(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상기 삽통부는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에 삽통된다. 상기 복수의 부하 단자부는, 부하용 단자판과, 삽통부를 각각 갖는다. 상기 부하용 단자판은 부하선(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상기 삽통부는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에 삽통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은 상기 급전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각각 갖는다. 상기 접속부는, 다른 실장 기판으로부터의 삽통부가 삽통하고, 또한 상기 다른 실장 기판으로부터의 삽통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4 형태의 점멸기에서는, 제 2 형태에 더하여, 상기 2매의 실장 기판의 사이에 절연 부재가 개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5 형태의 점멸기에서는, 제 3 형태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 중 서로 이웃하는 2매의 실장 기판에 있어서, 한쪽의 실장 기판의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다른 쪽의 실장 기판의 상기 접속부가 노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6 형태의 점멸기에서는, 제 2 형태에 더하여, 상기 2매의 실장 기판의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7 형태의 점멸기에서는, 제 1 형태에 더하여, 제어 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복수의 회로 부품이 실장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회로 부품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로가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급전로는, 각각 상기 도전로를 형성하는 동박(銅箔)보다 두께 치수가 큰 동박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8 형태의 점멸기에서는, 제 1 형태에 더하여, 상기 접점 스위치에 병렬 접속되는 반도체 스위치가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의 각각에 실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9 형태의 점멸기에서는, 제 8 형태에 더하여, 상기 반도체 스위치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검지 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반도체 스위치는, 긴 방향이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의 각각의 상기 표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 검지 소자는,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사이에 두고 긴 방향이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의 각각의 상기 표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표면에 실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0 형태의 점멸기에서는, 제 9 형태에 더하여, 상기 반도체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의 각각의 상기 표면과 대향하는 면이 해당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1 형태의 점멸기에서는, 제 9 형태에 더하여,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과전압 보호 소자와, 상기 과전압 보호 소자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 온도 검지 소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2 형태의 점멸기에서는, 제 11 형태에 더하여, 상기 제 2의 온도 검지 소자를 상기 온도 검지 소자와 겸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3 형태의 점멸기에서는, 제 1 형태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의 각각은, 상기 급전로를 포함한 동박 패턴이 상기 표면 및 상기 이면의 쌍방에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점멸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점멸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점멸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점멸기에 있어서의 제 1 스위치 블럭, 제 2 스위치 블럭, 절연 부재, 전원 단자부, 부하 단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점멸기에 있어서의 제 1 스위치 블럭, 제 2 스위치 블럭, 절연 부재, 전원 단자부, 부하 단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점멸기의 회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점멸기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점멸기에 있어서의 제 2 스위치 블럭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점멸기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의 제 2 스위치 블럭을 포함하고 또한 보디를 제외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점멸기의 다른 구성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점멸기의 또 다른 구성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점멸기(A1)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 블럭(1), 제 2 스위치 블럭(2), 제어 회로 블록(3), 절연 부재(4), 케이스(C1), 4개의 전원 단자부(7), 4개의 부하 단자부(8), 2개의 신호 단자부(9) 등을 구비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에 의해 상하 전후 좌우의 각 방향을 규정한다.
케이스(C1)는, 보디(body)(5)와 커버(6)가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보디(5)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 표면이 개구된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6)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 하면이 개구된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디(5)의 상단과 커버(6)의 하단을 맞대어, 2개의 고정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보디(5)의 하면측에서 체결함으로써, 보디(5)와 커버(6)가 결합되어 케이스(C1)가 구성된다. 다만, 상하 방향의 높이 치수는, 보디(5)에 비해 커버(6)가 수배 정도 크게 되어 있다.
커버(6)의 위쪽의 전(前) 단부에는, 2개의 탑재대(60)가 계단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하단측(전방)의 탑재대(60)에는, 전원 단자부(7)의 전원용 단자판(70)이 탑재된다. 또, 상단측(후방)의 탑재대(60)에는, 부하 단자부(8)의 부하용 단자판(80)이 탑재된다. 또, 하단측의 탑재대(60)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전원용 단자판(70)끼리를 각각 절연하기 위한 절연벽(61)이 상하 방향으로 기립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단측의 탑재대(60)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부하용 단자판(80)끼리를 각각 절연하기 위한 절연벽(61)이 상하 방향으로 기립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커버(6)의 위쪽의 전단부에는 합성 수지제의 단자 커버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원 단자부(7)나 부하 단자부(8)에 이물 등이 접촉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커버(6)의 위쪽의 후단부에는, 신호 단자부(9)의 신호용 단자판(90)이 탑재되는 탑재대(62)가 좌측에 붙어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또, 탑재대(62)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신호용 단자판(90)끼리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벽(63)이 상하 방향으로 기립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원 단자부(7)는, 전원용 단자판(70), 삽통부(71), 단자 나사(72)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용 단자판(70)은, 중앙에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관통한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원선(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된다. 삽통부(71)는, 좁은 폭의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원용 단자판(70)의 후단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연장하고 있다. 또, 전원용 단자판(70)과 삽통부(71)는, 동 또는 구리 합금 등의 금속제의 판재를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용 단자판(70)은, 커버(6)에 있어서의 하단측(전방)의 탑재대(60) 위에 탑재된다. 또, 삽통부(71)는, 탑재대(60)의 후단부에 설치된 삽통 홈(600)(도 1 참조)에 삽통된다.
부하 단자부(8)는, 부하용 단자판(80), 삽통부(81), 단자 나사(82)로 구성되어 있다. 부하용 단자판(80)은, 중앙에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관통한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부하선(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된다. 삽통부(81)는, 좁은 폭의 직사각형 편 형상으로 형성되고, 부하용 단자판(80)의 후단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있다. 또, 부하용 단자판(80)과 삽통부(81)는, 동 또는 구리 합금 등의 금속제의 판재를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부하 단자부(8)는, 삽통부(81)의 길이가 삽통부(71)의 길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긴 점을 제외하면, 전원 단자부(7)와 공통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부하용 단자판(80)은, 커버(6)에 있어서의 상단측(후방)의 탑재대(60) 위에 탑재된다. 또, 삽통부(81)는, 탑재대(60)의 후단부에 설치된 삽통 홈(600)에 삽통된다(도 1 참조).
신호 단자부(9)는, 신호용 단자판(90), 접속편(91), 단자 나사(92)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용 단자판(90)은, 중앙에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관통한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속편(91)은, 좁은 폭의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신호용 단자판(90)의 전단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또한 선단(전단) 부분이 하부로 구부러져 있다. 그리고, 신호용 단자판(90)은, 커버(6)의 탑재대(62) 위에 탑재된다. 또, 접속편(91)은, 탑재대(62)의 전단부에 설치된 삽통 홈(도시하지 않음)에 삽통된다.
제 1 스위치 블럭(1)은, 프린트 배선판(실장 기판)(10), 기계식의 접점 스위치(11), 반도체 스위치(12), 인덕터(13), 콘덴서(14), 배리스터(varistor : 과전압 보호 소자)(15), 온도 퓨즈(온도 검지 소자)(16) 등으로 구성된다. 프린트 배선판(10)의 표면(상면)에, 접점 스위치(11), 반도체 스위치(12), 인덕터(13), 콘덴서(14), 배리스터(15), 온도 퓨즈(16)가 각각 2개씩 실장되어 있다.
접점 스위치(11)는, 예를 들면, 릴레이 접점(110)(도 6(a) 참조)과 여자 코일(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는 전자 릴레이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 블록(3)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로 온·오프된다. 또, 반도체 스위치(12)는, 트라이액(쌍방향 사이리스터)으로 이루어지고,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구동 회로 X를 거쳐서, 제어 회로 블록(3)에 의해 온·오프된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전원 단자부(7)와 1개의 부하 단자부(8)를 1조로 하여 전원 단자부(7)와 부하 단자부(8)의 사이에, 접점 스위치(11)의 릴레이 접점(110)과 반도체 스위치(12)가 병렬 접속된다. 또, 전원 단자부(7)로부터 부하 단자부(8)에 이르는 급전로는, 프린트 배선판(10)에 인쇄 형성되어 있는 도전(동박)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에서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서는 수 암페어 정도의 큰 전류가 급전로에 흐르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십 밀리 암페어부터 수백 밀리 암페어 정도의 전류 밖에 흐르지 않는 제어 회로 블록(3)의 도전로(도전 패턴)의 두께 치수보다 큰 두께 치수의 동박으로 급전로(도전 패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어 회로 블록(3)의 도전로의 두께 치수가 35㎛이면, 급전로는 150㎛ 이상의 두께 치수의 동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프린트 배선판(10)은, 이면(하면)뿐만이 아니라, 표면(상면)에도 도전 패턴이 형성된다. 또, 프린트 배선판(10)의 도전 패턴과 제어 회로 블록(3)은, 플랫 케이블(17)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1 참조).
릴레이 접점(110)과 반도체 스위치(12)의 사이의 급전로에는, 온도 퓨즈(16) 및 인덕터(13)가 직렬 접속되고, 배리스터(15) 및 콘덴서(14)가 병렬 접속된다. 배리스터(15)는, 전원 단자부(7)와 부하 단자부(8)의 사이에 과대한 전압(번개 서지 등)이 인가된 경우, 반도체 스위치(12)나 구동 회로 X 등의 회로 부품을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한다. 인덕터(13) 및 콘덴서(14)는, 급전로에 흐르는 고조파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구성하고 있다. 온도 퓨즈(16)는, 반도체 스위치(12) 및 배리스터(15)의 온도를 검지하고, 검지한 온도가 소정의 상한치를 넘은 경우에 용단(溶斷)하여 급전로를 차단한다. 이것에 의해, 배리스터(15)나 반도체 스위치(12) 등의 회로 부품이 고장난 경우의 비정상인 온도 상승으로부터 구동 회로 X나 제어 회로 블록(3) 등이 보호된다. 또,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도체 스위치(12)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퓨즈(16)와 배리스터(15)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퓨즈(16)는, 서로 별개의 부품이어도 좋다. 다만,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도체 스위치(12)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퓨즈(16)와 배리스터(15)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퓨즈(16)를 1개의 부품으로 겸용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에서는,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반도체 스위치(12)는, 스너버 회로가 병렬로 설치되어도 좋다.
구동 회로 X는, 문헌 1 기재의 종래 예에 있어서의 포토 트라이액 커플러와 동일한 구성을 가져, 제로 크로스형의 포토 트라이액 S1, 포토 트라이액 S1에 대해서 광 신호를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는다.
제어 회로 블록(3)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로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하면, 포토 트라이액 S1는, 전원 전압(교류 전압)이 제로 크로스한 때에 온 한다. 포토 트라이액 S1가 온 하면, 반도체 스위치(12)의 게이트 전압이 상승하여 반도체 스위치(12)가 턴 온한다. 한편, 제로 크로스형의 포토 트라이액 S1는, 전원 전압(교류 전압)이 제로 크로스한 때에 턴 오프한다. 고로, 전원 단자부(7)와 부하 단자부(8)의 사이의 급전로가 반도체 스위치(12)를 통해서 도통하기 때문에, 교류 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부하(도시하지 않음)에 급전된다. 또, 부하로서는, 조명 기구나 공조 기기, 환기 팬 등이 상정된다.
그리고, 반도체 스위치(12)가 온으로 된 후, 제어 회로 블록(3)으로부터 제어 신호가 출력되어 접점 스위치(11)가 온 되고, 접점 스위치(11)를 거쳐서, 교류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급전된다. 또, 반도체 스위치(12)는, 접점 스위치(11)가 온으로 된 후, 제어 회로 블록(3)에 의해서 오프된다.
한편, 교류 전원으로부터 부하에의 급전을 정지하는 경우, 제어 회로 블록(3)은, 반도체 스위치(12)를 온으로 하고 나서 접점 스위치(11)를 오프하고, 접점 스위치(11)가 오프로 된 후에 반도체 스위치(12)를 오프한다.
그런데, 제 1 스위치 블럭(1)에는 접점 스위치(11)나 반도체 스위치(12)가 2개씩 설치되어 있으므로, 2조(2 회로)의 전원 단자부(7)와 부하 단자부(8)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부하를 각각 개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판(10)은 전후 방향을 긴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표면(상면)에 있어서의 후단부에, 2개의 접점 스위치(11)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실장되어 있다. 또, 반도체 스위치(12)나 인덕터(13), 콘덴서(14), 배리스터(15), 온도 퓨즈(16) 등의 회로 부품은, 조(회로)마다 좌우에 배분하고,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실장된다.
여기서, 반도체 스위치(12)는, 수지 몰드부(120)의 일 단면으로부터 3개의 리드 단자(121)가 돌출하고, 또한 수지 몰드부(120)의 다른 단면으로부터 직사각형 판 형상의 방열판(122)이 돌출된 패키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패키지는, 이른바 TO(Transistor Outline) 패키지이다. 그리고, 이 반도체 스위치(1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 단자(121)가 대략 90도로 구부러져서 프린트 배선판(10)의 스루홀에 삽통된다. 또, 이 반도체 스위치(12)는, 수지 몰드부(120) 및 방열판(122)을 프린트 배선판(10)의 표면에 접촉시키도록 해서 실장된다. 다만, 수지 몰드부(120) 및 방열판(122)과 프린트 배선판(10)의 표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어도 상관없다.
또한, 온도 퓨즈(16)는, 대략 원주 형상의 본체(160)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리드 단자(161)가 각각 대략 90도로 구부러져 있고, 본체(160)가 반도체 스위치(12)의 수지 몰드부(120)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프린트 배선판(10)에 실장된다. 즉, 온도 퓨즈(16)의 본체(160)를 반도체 스위치(12)의 수지 몰드부(120)에 접촉시킴으로써, 온도 퓨즈(16)가 반도체 스위치(12)의 온도를 검지하는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스위치(12)를 눕힌 상태로 프린트 배선판(10)에 실장하기 때문에, 제 1 스위치 블럭(1)의 높이를 접점 스위치(11)의 표면의 높이까지의 범위 내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배리스터(15)는, 원통 형상의 수지 몰드부(150)로부터 도출(導出)되는 2개의 리드 단자가 스루홀에 삽통되어 프린트 배선판(10)의 거의 중앙에 실장된다. 여기서, 프린트 배선판(10)의 표면에 있어서, 배리스터(15)가 온도 퓨즈(16)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온도 퓨즈(16)에 의해서 배리스터(15)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만, 온도 퓨즈(16)에 의한 배리스터(15)의 온도 검지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 퓨즈(16) 위에 배리스터(15)를 배치하고, 또한 배리스터(15)의 수지 몰드부(150)를 온도 퓨즈(16)와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구성은, 제 2 스위치 블럭(2)의 구성이다. 따라서, 도 7에 있어서, 온도 퓨즈(26)를 온도 퓨즈(16), 배리스터(25)를 배리스터(15), 수지 몰드부(250)를 수지 몰드부(150)로 각각 치환해서 설명하고 있다.
제 2 스위치 블럭(2)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판(실장 기판)(20), 기계식의 접점 스위치(21), 반도체 스위치(22), 인덕터(23), 콘덴서(24), 배리스터(25), 온도 퓨즈(26) 등으로 제 1 스위치 블럭(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프린트 배선판(20)의 표면(도 5에 있어서의 상면)에, 접점 스위치(21), 반도체 스위치(22), 인덕터(23), 콘덴서(24), 배리스터(25), 온도 퓨즈(26)가 각각 2개씩 실장되어 있다. 또, 프린트 배선판(20)의 도전 패턴과 제어 회로 블록(3)이, 플랫 케이블(27)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1 참조).
즉, 제 2 스위치 블럭(2)은, 사용되고 있는 회로 부품이나 프린트 배선판(20)의 도전 패턴 등을 포함하여, 제 1 스위치 블럭(1)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세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제 1 스위치 블럭(1)과 제 2 스위치 블럭(2)은, 서로의 프린트 배선판(10, 20)끼리가, 시트 형상의 절연 부재(4)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케이스(C1) 내에 수납된다(도 1 참조). 절연 부재(4)는, 예를 들면, 방열 실리콘 고무 등의 열전도도가 일반의 합성 고무와 비교해서 높은 재료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에서는 절연 부재(4)의 종횡 치수를 프린트 배선판(10, 20)의 종횡 치수와 일치시키고 있지만, 반드시 양 치수를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또, 종횡 치수란, 전후 방향의 치수 및 좌우 방향의 치수를 말한다.
절연 부재(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이 제 1 스위치 블럭(1)의 프린트 배선판(10)의 이면과 접촉하고, 또한 하면이 제 2 스위치 블럭(2)의 프린트 배선판(20)의 이면과 접촉하도록 하여 2매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의 사이에 개재된다. 또, 절연 부재(4)를 열전도도가 비교적 높은 탄성 재료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용적으로 각 스위치 블럭(1, 2)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전원 단자부(7) 및 부하 단자부(8)와, 제 1 스위치 블럭(1) 및 제 2 스위치 블럭(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접속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전원 단자부(7)와 부하 단자부(8)는, 공통의 접속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전원 단자부(7)의 접속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부하 단자부(8)의 접속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스위치 블럭(1)의 프린트 배선판(10)의 전단(前端) 부위와 제 2 스위치 블럭(2)의 프린트 배선판(20)의 전단 부위에, 각각 8개의 관통 구멍(100, 200)이 관통하고 있다(도 2 참조). 8개의 관통 구멍(100, 200)은, 4개의 관통 구멍(100, 200)을 1조로 하여, 2조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각 조에 있어서의 4개의 관통 구멍(100, 200)은, 각각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절연 부재(4)의 전단 부위에도, 8개의 관통 구멍(40)이 관통하고 있다. 8개의 관통 구멍(40)은, 4개의 관통 구멍(40)을 1조로 하여 2조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각 조에 있어서의 4개의 관통 구멍(40)은, 각각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 1 스위치 블럭(1)과 제 2 스위치 블럭(2)의 사이에 절연 부재(4)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2매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의 각 관통 구멍(100, 200)과 절연 부재(4)의 각 관통 구멍(40)이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중첩된 3개의 관통 구멍(100, 200, 40)에, 전원 단자부(7)의 삽통부(71)가 위에서 아래로 향해 삽통된다(도 4 참조). 또, 삽통부(71)의 선단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판(20)의 표면(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 1 스위치 블럭(1)은, 2조 중 앞쪽의 조의 좌단과 왼쪽에서 3번째의 관통 구멍(100)의 주변에서, 프린트 배선판(1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전 패턴과 삽통부(71)가 땜납 접합됨으로써 2개의 전원 단자부(7)와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제 2 스위치 블럭(2)은, 2조 중 앞쪽의 조의 우단(도 5에서는 좌단)과 오른쪽에서 3번째(도 5에서는 왼쪽에서 3번째)의 관통 구멍(200)의 주변에서, 프린트 배선판(20)의 표면에 형성되고 있는 도전 패턴과 삽통부(71)가 땜납 접합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스위치 블럭(2)이 2개의 전원 단자부(7)와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프린트 배선판(10, 20)의 표면 및 이면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00, 200)의 주위에, 도전 패턴과 접속된 랜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있고, 이 랜드와 삽통부(71)가 땜납 접합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에서는, 관통 구멍(100, 200)의 주위에 형성되는 랜드가 접속부로 된다.
즉, 커버(6)에 장착된 전원 단자부(7) 및 부하 단자부(8)의 삽통부(71, 81)를, 제 1 스위치 블럭(1)의 프린트 배선판(10)의 관통 구멍(100)에 삽통한 후, 프린트 배선판(10)의 이면측의 랜드와 각 삽통부(71, 81)를 땜납 접합한다. 그리고, 프린트 배선판(10)의 이면 측에 절연 부재(4)를 중첩한 후, 제 2 스위치 블럭(2)의 프린트 배선판(20)의 관통 구멍(200)에 각 삽통부(71, 81)를 삽통하고, 프린트 배선판(20)의 표면측의 랜드와 각 삽통부(71, 81)를 땜납 접합한다. 이러한 순서에 의해, 제 1 및 제 2 스위치 블럭(1, 2)을 커버(6)에 수납하고, 또한 전원 단자부(7) 및 부하 단자부(8)와 제 1 및 제 2 스위치 블럭(1, 2)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스위치 블럭(2)의 프린트 배선판(20)에 있어서, 8개의 관통 구멍(200) 중에서, 프린트 배선판(20)의 도전 패턴과는 땜납 접합되지 않는 삽통부(71, 81)가 삽통되는 4개의 관통 구멍(200)을, 나머지 4개의 관통 구멍(200)보다 직경을 크게 해도 좋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 블럭(1)의 프린트 배선판(10)의 관통 구멍(100)이, 큰 직경의 관통 구멍(200)을 통해서 제 2 스위치 블럭(2)의 프린트 배선판(20)의 표면 측으로 노출한다. 따라서, 전원 단자부(7) 및 부하 단자부(8)의 각 삽통부(71, 81)를 각 프린트 배선판(10, 20)의 관통 구멍(100, 200)에 삽통한 후, 큰 직경의 관통 구멍(200)을 통해서 커버(6)의 하면(개구면) 측으로부터 프린트 배선판(10)의 이면측의 랜드와 삽통부(71, 81)를 땜납 접합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스위치 블럭(1, 2)을 커버(6) 내에 수납한 상태로 각 프린트 배선판(10, 20)의 랜드와 각 삽통부(71, 81)의 땜납 접합을 한 번에 행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제어 회로 블록(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판(제어 기판)(30)의 표면(또는 이면, 혹은 표리 양면)에,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 부품이 실장되어 구성된다. 이 제어 회로는 집적 회로(32)를 구비한다. 집적 회로(32)는, 신호 단자부(9)에 접속되는 신호선을 통해서 외부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전송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 집적 회로(32)는, 수신한 전송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제 1 스위치 블럭(1) 및 제 2 스위치 블럭(2)의 제어(접점 스위치(11, 21)의 온·오프 제어)를 행한다. 또, 프린트 배선판(30)의 표면(상면)에는, 딥 스위치(31)도 실장되어 있다. 딥 스위치(31)는, 전송 신호의 송수신에 필요한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어 회로 블록(3)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6) 중 저면(내부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보스(64)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커버(6)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에서는, 그러면, 2매의 프린트 배선판(10, 20)에 각각 접점 스위치(11, 21)를 실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에서는, 문헌 1 기재의 종래 예와 같이 1매의 프린트 배선판의 동일면에 접점 스위치를 실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프린트 배선판(10, 20)을 소형화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에서는, 이들 2매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을 두께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서 중첩하여 케이스(C1) 내에 수납하고 있으므로, 케이스(C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 블럭(1)과 제 2 스위치 블럭(2)을 동일 방향으로 중첩해도 상관없다. 다만, 제 1 스위치 블럭(1)과 제 2 스위치 블럭(2)을 동일 방향으로 중첩한 경우, 2매의 프린트 배선판(10, 20)에 끼워진 공간이 데드 스페이스가 되어 버린다. 이런 이유로, 케이스(C1)의 소형화를 도모하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 블럭(1)과 제 2 스위치 블럭(2)을 반대 방향으로 중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스페이서(50)로 2매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을 유지함으로써, 프린트 배선판(10, 20)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스페이서(50)는, 원주상의 본체(500)와 본체(500)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한 쌍의 감합부(501)가 합성 수지 성형체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프린트 배선판(10, 20)은, 좌우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의 전후 양단에 각각 감합 구멍(101, 201)이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감합 구멍(101, 201)에 감합부(501)가 삽통되어 감합하고, 각 스페이서(50)와 각 프린트 배선판(10, 20)이 서로 고정된다. 그 결과, 제 1 스위치 블럭(1)과 제 2 스위치 블럭(2)이, 소정 거리(본체(500)의 축 방향의 길이 치수)만큼 떨어져서 스페이서(50)에 지지된다. 또, 감합부(501) 대신에 본체(500)의 양 단면에 나사 구멍을 형성하고, 각 프린트 기판(10, 20)에 스페이서(50)를 나사 고정해도 상관없다. 다만,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는,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2매의 프린트 배선판(10, 20) 간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절연판(55)을 사이에 두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이하의 제 1 특징을 갖는다.
제 1 특징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복수의 전원 단자부(7)와, 복수의 부하 단자부(8)와, 복수의 접점 스위치(11, 21)와, 제어 회로 블록(3)(제어 회로)과,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실장 기판)과, 박스 형상의 케이스(C1)를 구비한다. 복수의 전원 단자부(7)는, 전원(교류 전원)에 접속된다. 복수의 부하 단자부(8)는, 각각이 서로 다른 부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복수의 접점 스위치(11, 21)는, 각 전원 단자부(7)와 각 부하 단자부(8)의 조에 각각 별개로 접속되는 복수의 급전로마다 설치된다. 제어 회로 블록(3)은, 접점 스위치(11, 21)를 온·오프시킨다.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은, 적어도 1개의 접점 스위치(11, 21)가 실장된다. 케이스(C1)는, 전원 단자부(7) 및 부하 단자부(8), 제어 회로 블록(3), 프린트 배선판(10, 20)을 내부에 수납한다.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은, 접점 스위치(11, 21)가 실장되는 표면 또는 접점 스위치(11, 21)가 실장되지 않는 이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급전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C1)는,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을 두께 방향을 따라서 중첩되어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환언하면,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복수의 전원 단자부(7)와, 복수의 부하 단자부(8)와, 복수의 접점 스위치(11, 21)와, 제어 회로 블록(3)(제어 회로)과,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실장 기판)과, 박스 형상의 케이스(C1)를 구비한다. 복수의 전원 단자부(7)는, 전원(교류 전원)에 접속된다. 복수의 부하 단자부(8)는, 각각이 서로 다른 부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복수의 접점 스위치(11, 21)는, 복수의 전원 단자부(7) 중 하나의 전원 단자부(7)와 복수의 부하 단자부(8) 중 하나의 부하 단자부(8)를 1조로 한 복수의 조에 각각 별개로 접속되는 복수의 급전로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설치된다. 제어 회로 블록(3)은, 복수의 접점 스위치(11, 21)를 온·오프시킨다.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은, 복수의 접점 스위치(11, 21) 중 적어도 1개의 접점 스위치(11, 21)가 각각 실장된다. 케이스(C1)는, 복수의 전원 단자부(7) 및 복수의 부하 단자부(8), 제어 회로 블록(3),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을 내부에 수납한다.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의 각각은, 접점 스위치(11, 21)가 실장되는 표면 또는 접점 스위치(11, 21)가 실장되지 않는 이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복수의 급전로 중 적어도 1개의 급전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C1)는,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을 두께 방향을 따라서 중첩하여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제 1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 2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 2 특징으로는, 케이스(C1)는, 서로 이웃하는 2매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을, 서로의 이면끼리를 대향시켜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환언하면, 케이스(C1)는,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 중 서로 이웃하는 2매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을, 서로의 이면끼리를 대향시켜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제 1 또는 제 2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 3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 3 특징으로는, 전원 단자부(7)는, 전원용 단자판(70)과 삽통부(71)을 갖는다. 전원용 단자판(70)은, 전원선(도시하지 않음)과 접속된다. 삽통부(71)는, 프린트 배선판(10, 2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00, 200)에 삽통된다. 부하 단자부(8)는, 부하용 단자판(80)과 삽통부(81)을 갖는다. 부하용 단자판(80)은, 부하선(도시하지 않음)과 접속된다. 삽통부(81)는, 프린트 배선판(10, 2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00, 200)에 삽통된다. 그리고, 프린트 배선판(10, 20)은, 다른 프린트 배선판(10, 20)의 관통 구멍(100, 200)에 삽통되는 삽통부(71, 81)가 삽통하고, 또한 자신의 급전로에 삽통부(71, 8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는다.
환언하면, 복수의 전원 단자부(7)는, 전원용 단자판(70)과 삽통부(71)을 각각 갖는다. 전원용 단자판(70)은, 전원선(도시하지 않음)과 접속된다. 삽통부(71)는,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00, 200)에 삽통된다. 복수의 부하 단자부(8)는, 부하용 단자판(80)과 삽통부(81)을 각각 갖는다. 부하용 단자판(80)은, 부하선(도시하지 않음)과 접속된다. 삽통부(81)는,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00, 200)에 삽통된다. 그리고,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은, 급전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랜드(접속부)를 각각 갖는다. 랜드는, 다른 프린트 배선판(10, 20)으로부터의 삽통부(71, 81)가 삽통하고, 또한 다른 프린트 배선판(10, 20)으로부터의 삽통부(71, 8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제 2 또는 제 3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 4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 4 특징으로는, 2매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의 사이에 절연 부재(4)가 개재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제 1 ~ 제 4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 5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 5 특징으로는, 한쪽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의 관통 구멍(100, 200)을 통하여, 다른 한쪽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의 접속부가 노출한다.
환언하면,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 중 서로 이웃하는 2매의 프린트 배선판(10, 20)에 있어서, 한쪽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의 관통 구멍(100, 200)을 통하여, 다른 한쪽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의 접속부가 노출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제 1 ~ 제 5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 6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 6 특징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2매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의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확보하는 스페이서(50)를 구비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제 1 ~ 제 6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 7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 7 특징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프린트 배선판(30)(제어 기판)을 구비한다. 프린트 배선판(30)은, 제어 회로 블록(3)을 구성하는 회로 부품이 실장되고, 또한 회로 부품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로가 표면에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급전로는, 도전로를 형성하는 동박보다 두께 치수가 큰 동박으로 이루어진다.
환언하면,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프린트 배선판(30)(제어 기판)을 구비한다. 프린트 배선판(30)은, 제어 회로 블록(3)을 구성하는 복수의 회로 부품이 실장되고, 또한 복수의 회로 부품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로가 표면에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급전로는, 각각 도전로를 형성하는 동박보다 두께 치수가 큰 동박에 의해 형성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제 1 ~ 제 7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 8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 8 특징으로는, 접점 스위치(11, 21)에 병렬 접속되는 반도체 스위치(12, 22)가 프린트 배선판(10, 20)에 실장된다.
환언하면, 접점 스위치(11, 21)에 병렬 접속되는 반도체 스위치(12, 22)가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의 각각에 실장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제 8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 9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 9 특징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반도체 스위치(12, 22)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퓨즈(16, 26)(온도 검지 소자)를 구비한다. 반도체 스위치(12, 22)는, 긴 방향이 프린트 배선판(10, 20)의 표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온도 퓨즈(16, 26)는, 반도체 스위치(12, 22)를 사이에 두고 긴 방향이 프린트 배선판(10, 20)의 표면과 평행하도록 표면에 실장된다.
환언하면,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반도체 스위치(12, 22)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퓨즈(16, 26)(온도 검지 소자)를 구비한다. 반도체 스위치(12, 22)는, 긴 방향이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의 각각의 표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온도 퓨즈(16, 26)는, 반도체 스위치(12, 22)를 사이에 두고 긴 방향이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의 각각의 표면과 평행하도록 표면에 실장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제 9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 10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 10 특징으로는, 반도체 스위치(12, 22)는, 표면과 대향하는 면이 해당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환언하면, 반도체 스위치(12, 22)는,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의 각각의 표면과 대향하는 면이 해당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제 8 ~ 제 10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 11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 11 특징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배리스터(15, 25)(과전압 보호 소자)와 온도 퓨즈(16, 26)(제 2 온도 검지 소자)를 구비한다. 배리스터(15, 25)는, 반도체 스위치(12, 22)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한다. 그리고, 온도 퓨즈(16, 26)는, 배리스터(15, 25)의 온도를 검지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제 11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 12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 12 특징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배리스터(15, 25)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퓨즈(16, 26)를, 반도체 스위치(12, 22)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퓨즈(16, 26)와 겸용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점멸기(A1)는, 제 1 ~ 제 12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 13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 13 특징으로는, 프린트 배선판(10, 20)은, 급전로를 포함한 동박 패턴이 표면 및 이면의 쌍방에 형성된다.
환언하면,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의 각각은, 급전로를 포함한 동박 패턴이 표면 및 이면의 쌍방에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에 각각 접점 스위치(11, 21)를 실장하고, 또한 이들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0, 20)을 두께 방향을 따라서 중첩하여 케이스(C1) 내에 수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문헌 1 기재의 종래 예와 같이 1매의 실장 기판의 동일면에 복수의 접점 스위치를 실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복수의 부하에의 급전을 독립해서 점멸 가능하게 하면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전원에 접속되는 복수의 전원 단자부와,
    각각이 서로 다른 부하에 접속되는 복수의 부하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전원 단자부 중 하나의 전원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부하 단자부 중 하나의 부하 단자부를 1조로 한 복수의 조에 각각 별개로 접속되는 복수의 급전로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접점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접점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제어 회로와,
    상기 복수의 접점 스위치 중 적어도 1개의 접점 스위치가 각각 실장되는 복수의 실장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전원 단자부 및 상기 복수의 부하 단자부, 상기 제어 회로,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을 내부에 수납하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
    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의 각각은, 상기 접점 스위치가 실장되는 표면 또는 상기 접점 스위치가 실장되지 않는 이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상기 복수의 급전로 중 적어도 1개의 급전로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을 두께 방향을 따라서 중첩하여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 중 서로 이웃하는 2매의 실장 기판을, 서로의 이면끼리를 대향시켜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원 단자부는, 전원선과 접속되는 전원용 단자판과,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에 삽통되는 삽통부를 각각 갖고,
    상기 복수의 부하 단자부는, 부하선과 접속되는 부하용 단자판과,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에 삽통되는 삽통부를 각각 갖고,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은, 상기 급전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각각 갖고,
    상기 접속부는, 다른 실장 기판으로부터의 삽통부가 삽통하고, 또한 상기 다른 실장 기판으로부터의 삽통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매의 실장 기판의 사이에 절연 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 중 서로 이웃하는 2매의 실장 기판에 있어서, 한쪽의 실장 기판의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다른 한쪽의 실장 기판의 상기 접속부가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매의 실장 기판의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확보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복수의 회로 부품이 실장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회로 부품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로가 표면에 형성된 제어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급전로는, 각각 상기 도전로를 형성하는 동박보다 두께 치수가 큰 동박에 의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스위치에 병렬 접속되는 반도체 스위치가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의 각각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스위치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검지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스위치는, 긴 방향이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의 각각의 상기 표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온도 검지 소자는,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사이에 두고 긴 방향이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의 각각의 상기 표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표면에 실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의 각각의 상기 표면과 대향하는 면이 해당 표면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스위치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과전압 보호 소자와, 상기 과전압 보호 소자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 2 온도 검지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도 검지 소자를 상기 온도 검지 소자와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장 기판의 각각은, 상기 급전로를 포함한 동박 패턴이 상기 표면 및 상기 이면의 쌍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기.
KR1020157014264A 2012-12-21 2013-12-06 점멸기 KR101745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0230 2012-12-21
JP2012280230A JP6206788B2 (ja) 2012-12-21 2012-12-21 点滅器
PCT/JP2013/007173 WO2014097566A1 (ja) 2012-12-21 2013-12-06 点滅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914A KR20150079914A (ko) 2015-07-08
KR101745222B1 true KR101745222B1 (ko) 2017-06-08

Family

ID=5097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264A KR101745222B1 (ko) 2012-12-21 2013-12-06 점멸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66212B2 (ko)
JP (1) JP6206788B2 (ko)
KR (1) KR101745222B1 (ko)
CN (1) CN104885180B (ko)
PH (1) PH12015501194A1 (ko)
TW (1) TWI480911B (ko)
WO (1) WO20140975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326A (ko) 2020-11-10 2022-05-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람 에너지 활용 타입 에너지 수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6463B2 (ja) * 2015-02-26 2020-09-16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及び点灯装置及び基板ユニット装置
US10447023B2 (en) * 2015-03-19 2019-10-15 Ripd Ip Development Ltd Devices for overvoltage, overcurrent and arc flash protection
DE102016117006A1 (de) 2016-09-09 2018-03-15 Eaton Industries (Austria) Gmbh Schutzschaltgerät
DE102016117005A1 (de) 2016-09-09 2018-03-15 Eaton Industries (Austria) Gmbh Schutzschaltgerät
JP6658621B2 (ja) * 2017-03-02 2020-03-04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のための制御回路及びスイッ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9228A (ja) * 2009-10-27 2011-06-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ハイブリッドリレー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764Y2 (ja) * 1980-08-07 1985-11-1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JPS6038444U (ja) * 1983-08-24 1985-03-16 東芝機器株式会社 自動点滅器
JPH0635606Y2 (ja) * 1987-10-09 1994-09-14 松下電工株式会社 分電盤
JPH0646528B2 (ja) 1989-02-08 1994-06-15 富士電機株式会社 多相無接点接触器
JPH0720811Y2 (ja) * 1990-07-25 1995-05-15 松下電工株式会社 自動点滅式照明灯
JPH0554772A (ja) 1991-08-28 1993-03-05 Omron Corp ハイブリツドリレー
JPH0668161A (ja) 1992-06-15 1994-03-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住所による線番検索システムおよび線番管理システム
JPH0668761A (ja) * 1992-08-14 1994-03-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ング回路
JPH09289282A (ja) 1996-04-19 1997-11-04 Omron Corp 三相負荷用無接点リレー
JPH09312123A (ja) 1996-05-23 1997-12-02 Fuji Electric Co Ltd 無接点接触器
US7171461B2 (en) * 1996-07-23 2007-01-30 Server Technology, Inc. Network remote power management outlet strip
JP2001229760A (ja) 2000-02-18 2001-08-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スイッチモジュール
US7351911B2 (en) 2001-04-27 2008-04-01 Yazaki Corporation Connection box
JP3932832B2 (ja) * 2001-05-25 2007-06-20 松下電工株式会社 自動点滅器
CN2609162Y (zh) * 2003-02-25 2004-03-31 刘年根 单片程控交流接触器
JP4151533B2 (ja) * 2003-09-18 2008-09-17 松下電工株式会社 自動点滅器
JP4885693B2 (ja) 2006-12-05 2012-02-2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箱
JP5063246B2 (ja) * 2007-08-03 2012-10-31 中国電力株式会社 自動点滅器
JP4981621B2 (ja) * 2007-10-26 2012-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電式自動点滅器
CN101861762B (zh) * 2007-11-14 2012-12-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照明装置以及采用了该照明装置的照明器具
TWM348971U (en) * 2008-08-22 2009-01-11 Autokon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controller assembly device
DE202009005020U1 (de) * 2009-07-14 2010-12-16 Dewert Antriebs- Und Systemtechnik Gmbh Erstfehlersicherer elektromotorischer Möbelantrieb
JP5635344B2 (ja) * 2010-09-13 2014-12-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機器
US8222981B1 (en) * 2011-01-18 2012-07-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CN202585270U (zh) * 2012-04-09 2012-12-05 安徽省明光市爱福电子有限公司 一种带有快接插头的端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9228A (ja) * 2009-10-27 2011-06-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ハイブリッドリレ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326A (ko) 2020-11-10 2022-05-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람 에너지 활용 타입 에너지 수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23531A (ja) 2014-07-03
US9966212B2 (en) 2018-05-08
US20150371799A1 (en) 2015-12-24
KR20150079914A (ko) 2015-07-08
PH12015501194A1 (en) 2015-08-17
JP6206788B2 (ja) 2017-10-04
TW201435954A (zh) 2014-09-16
TWI480911B (zh) 2015-04-11
CN104885180A (zh) 2015-09-02
WO2014097566A1 (ja) 2014-06-26
CN104885180B (zh)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222B1 (ko) 점멸기
US9305732B2 (en) Electronic part and electronic control unit
KR101467134B1 (ko) 라인광 조사장치
US9228707B2 (en) Light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luminous band
US9368309B2 (en) Electronic part and electronic control unit
JP6501116B2 (ja) 電気接続箱
US20140238732A1 (en) Electronic part and electronic control unit
KR102514901B1 (ko) 회로 보드를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US20170164488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10442372B2 (en) Vehicle-mounted power distribution board, electrical junction box, and charging/discharging controller
JP5803961B2 (ja) 基板間隔保持部材及びインバータ装置
US11445602B2 (en) Flexible circuit board on bus bars
JP6957258B2 (ja) 電子制御ユニット(ecu)、制御ボックス、及びこれらを有する冷却ファンモジュール(cfm)
JP5545491B2 (ja) 回路構成体
JP6710601B2 (ja) 半導体素子取付基板
JP6903788B2 (ja) 半導体素子取付基板
JP2008282637A (ja) 電気回路装置および電子制御装置
KR101646949B1 (ko) Led 패키지를 실장하는 조명장치용 패널
US10091882B2 (en) Circuit structure using printed-circuit board
US20180166376A1 (en) Semiconductor device
JP2021051861A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US20190380206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wire harness
JP2015006054A (ja) 電気接続箱
JP2018018881A (ja) 端子取付基板
JP2017054689A (ja) Led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