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625B1 - 균상 재배용 백 - Google Patents

균상 재배용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625B1
KR101704625B1 KR1020140057880A KR20140057880A KR101704625B1 KR 101704625 B1 KR101704625 B1 KR 101704625B1 KR 1020140057880 A KR1020140057880 A KR 1020140057880A KR 20140057880 A KR20140057880 A KR 20140057880A KR 101704625 B1 KR101704625 B1 KR 10170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ag body
filter
welded
bre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450A (ko
Inventor
겐이치로 시라하네
마모루 시라하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프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프테크
Publication of KR20150002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6Cultivatio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필터의 두께의 불균일이나 재질 등에 좌우되지 않고, 백 본체를 확실하게 찢는 것이 가능한 균상 재배용 백을 제공한다. 균상 재배용 백(1)은, 상단이 개구되고, 세로 방향의 인장 강도가 가로 방향의 인장 강도보다 큰 분자 배향으로 되도록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세로로 긴 백 본체(2)와, 백 본체(2)의 상부에 형성된 통기공(3)과, 통기공(3)을 덮은 상태로 백 본체(2)에 용착되고, 공기를 통과시키고 잡균의 침입을 저지하는 필터(4)와, 필터(4)가 용착된 백 본체(2) 상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백 본체(2)에 용착되고, 백 본체(2)를 파단하여 찢기 위한 파단용 손잡이(5)를 구비하고 있다.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에 용착하는 용착부(9)는, 인열 개시측[백 본체(2)의 상단 개구부측]을 위로 하는 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균상 재배용 백{MUSHROOM BED CULTIVATION BAG}
본 발명은, 표고 버섯이나 잎새 버섯 등의 버섯을 인공 재배할 때 사용되는 균상(菌床; 인공 배지) 재배용 백(bag)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버섯을 인공 재배할 때,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균상 재배용 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균상 재배용 백을 사용하여 버섯을 인공 재배하는 데 있어서는, 먼저, 톱밥 등의 목질(木質) 기재(基材)에 쌀겨 등의 영양원을 혼합하여 수분을 조절한 인공 배지(균상)를, 상기 균상 재배용 백에 충전하여, 고압 증기 등에 의해 살균하고, 그 후, 상기 균상에 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을 행한다(배양 단계).
이 경우, 균상 재배용 백은,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염가일 것이 필요하며, 가능한 한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균상 재배용 백을 사용하여 버섯 종균을 배양할 때는, 균의 생육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여, 잡균의 침입을 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균상 재배용 백을 사용한 버섯의 인공 재배에 있어서는, 배양 단계 후에, 균상을 상기 균상 재배용 백으로부터 꺼내어 버섯을 발생시키는 단계[버섯(자실체(子實體))의 발생 단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균상을 균상 재배용 백으로부터 꺼낼 때, 상기 균상 재배용 백을 날붙이(bladed object)를 사용하여 절단하면, 균상 등을 손상시켜 버릴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균상 재배용 백으로서는, 균상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손의 힘만으로 찢을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이상과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는 균상 재배용 백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균상 재배용 백(100)은, 상단이 개구되고, 세로 방향의 인장(引張) 강도가 가로 방향의 인장 강도보다 큰 분자(分子) 배향(配向)으로 되도록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백 본체(101)와, 백 본체(101)의 상부에 형성된 통기공(102)과, 통기공(102)을 덮은 상태로 백 본체(101)에 용착(溶着)되고, 공기를 통과시키고 잡균의 침입을 저지하는 필터(10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필터(103)를 백 본체(101)에 용착하는 용착부(104)의 최상부에는, 필터(103)를 백 본체(101)의 하단부를 향해 당겨벗길(peeling) 때 발생하는 당겨벗김 응력을 집중시키기 위한 응력 집중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균상 재배용 백(100)에 의하면, 도 15,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103)의 상측 단부(端部)를 잡고 백 본체(101)의 하단부를 향해 당겨벗기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응력 집중부(105)에 당겨벗김 응력을 집중시켜 백 본체(101)에 절입(切入) 즉 커트인(cut-in)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백 본체(101)에 절입이 형성된 후, 필터(103)를 백 본체(101)의 하단부를 향해 그대로 인장하면, 백 본체(101)를 찢을 수가 있다. 이 경우, 백 본체(101)는, 용착부(104)의 대략 폭 부분(2점 쇄선 부분)만이 다른 부분으로부터 당겨벗겨진다. 그리고, 도 16에 있어서, 참조 부호 "106"은, 당겨벗겨진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일본 특허 제4217256호 공보
그러나, 필터(103)의 두께에는 불균일이 있으므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균상 재배용 백(100)의 구성에서는, 백 본체(101)를 찢을 때 필터(103)만이 파손된 균상 재배용 백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우려가 있다. 즉, 필터(103) 중, 용착부(104)의 외측 부분(외주 부분, 둘레 부분)만이 취해져, 용착부(104)의 내측 부분이 남아 버려, 백 본체(101)를 찢을 수 없는 균상 재배용 백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우려가 있다.
또한, 필터(103)의 종류에는, 눈이 거친 것으로부터 눈이 미세한 것까지이며, 배양하는 버섯 종균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눈이 거친 필터(103)를 사용하여,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균상 재배용 백(100)을 제조한 경우에는, 용착부(104)의 강도가 약해져, 백 본체(101)를 찢을 때 필터(103)가 취해져, 백 본체(101)를 찢을 수 없는 균상 재배용 백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우려가 있다. 즉, 눈이 거친 필터(103)가 용착된 균상 재배용 백을 사용하려는 사용자도 있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균상 재배용 백(100)의 구성에서는, 필터(103)의 종류에 따라, 백 본체(101)의 인열(引裂; 찢어짐)의 가감(加減)이 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필터의 두께 불균일이나 재질 등에 좌우되지 않고, 백 본체를 확실하게 찢는 것이 가능한 균상 재배용 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균상 재배용 백의 구성은,
(1) 상단이 개구되고, 세로 방향의 인장 강도가 가로 방향의 인장 강도보다 큰 분자 배향으로 되도록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백 본체와, 상기 백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통기공과, 상기 통기공을 덮은 상태로 상기 백 본체에 용착되고, 공기를 통과시키고 잡균의 침입을 저지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가 용착된 상기 백 본체 상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백 본체에 용착되고, 상기 백 본체를 파단(破斷)하여 찢기 위한 파단용 손잡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로 방향이란, 백 본체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는 방향(및 그 역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균상 재배용 백의 상기 (1)의 구성에 있어서, 백 본체는, 세로 방향의 인장 강도가 가로 방향의 인장 강도보다 큰 분자 배향으로 되도록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백 본체는, 찢는 「개시 동작」만 하면 세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찢는 것이 가능한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필터가 용착된 상기 백 본체 상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백 본체에 용착되고, 상기 백 본체를 파단하여 찢기 위한 파단용 손잡이를 구비한, 본 발명의 균상 재배용 백의 상기 (1)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파단용 손잡이를 잡고 상기 백 본체의 세로 방향으로 당겨벗기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필터가 용착된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백 본체를 파단하고, 이 파단을 「개시 동작」으로 하여 상기 백 본체를 용이하게 찢을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균상 재배용 백의 상기 (1)의 구성에 의하면, 필터의 두께의 불균일이나 재질 등에 좌우되지 않고, 백 본체를 확실하게 찢는 것이 가능한 균상 재배용 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상 재배용 백을 이용하면, 배양 단계로부터 버섯(자실체)의 발생 단계로 이행할 때 필요한 백 본체로부터의 균상의 인출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찢는 「개시 동작」은 한 번 행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찢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파단용 손잡이를 설치하거나, 인열 방향에 따른 테이프형의 것을 복수의 용착부에 의해 백 본체에 용착하거나 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균상 재배용 백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파단용 손잡이를 백 본체에 용착할뿐의 간단한 구성이므로, 그만큼의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경우는 없다.
상기 본 발명의 균상 재배용 백의 구성에 있어서는, 이하의 (2)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상기 파단용 손잡이를 상기 백 본체에 용착하는 용착부는, 인열 개시측을 위로 하는 산형(山型)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2)의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파단용 손잡이를 잡고 백 본체의 세로 방향으로 당겨벗기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파단용 손잡이를 상기 백 본체에 용착하는 산형 용착부의 꼭지각 부분(응력 집중부)에 당겨벗김 응력을 집중시켜, 상기 백 본체를 찢는 「개시 동작」이 되는 절입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백 본체에 절입이 행해진 후, 상기 파단용 손잡이를 상기 백 본체의 세로 방향에 그대로 인장하면(상기 파단용 손잡이를 상기 백 본체의 인장 강도가 큰 세로 방향을 따라 당겨벗기도록 힘을 가하면), 상기 백 본체를 용이하게 찢을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의 두께의 불균일이나 재질 등에 좌우되지 않고, 백 본체를 확실하게 찢는 것이 가능한 균상 재배용 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상 재배용 백을 이용하면, 배양 단계로부터 버섯(자실체)의 발생 단계로 이행할 때 필요한 백 본체로부터의 균상의 인출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을 형성하기 위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얇은 튜브를 나타낸 정면도(통기공이 형성된 상태)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얇은 튜브의 하단부를 용착에 의해 실링하여 백형(bag type)으로 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통기공을 필터로 덮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필터를 백 본체에 용착하기 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필터를 백 본체에 용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필터와 상이한 위치에 파단용 손잡이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파단용 손잡이를 백 본체에 용착하기 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을 사용하여 버섯 종균을 배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백 본체를 찢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파단용 손잡이 부분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파단용 손잡이 부분의 새로운 다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새로운 다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새로운 다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새로운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종래 기술에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백 본체를 찢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현화한 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균상 재배용 백의 구성]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구성에 대하여, 도 1∼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상기 균상 재배용 백을 형성하기 위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얇은 튜브를 나타낸 정면도(통기공이 형성된 상태),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얇은 튜브의 하단부를 용착에 의해 실링하여 백형으로 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상기 균상 재배용 백의 통기공을 필터로 덮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필터를 백 본체에 용착하기 전), 도 5는, 상기 균상 재배용 백의 필터를 백 본체에 용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상기 균상 재배용 백의 필터와 상이한 위치에 파단용 손잡이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파단용 손잡이를 백 본체에 용착하기 전), 도 7은, 상기 균상 재배용 백을 사용하여 버섯 종균을 배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균상 재배용 백(1)은, 상단이 개구되고,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세로로 긴 백 본체(2)와, 백 본체(2)의 상부에 형성된 통기공(3)과, 통기공(3)을 덮은 상태로 백 본체(2)에 용착되고, 공기를 통과시키고 잡균의 침입을 저지하는 필터(4)와, 필터(4)가 용착된 백 본체(2) 상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백 본체(2)에 용착되고, 백 본체(2)를 파단하여 찢기 위한 파단용 손잡이(5)를 구비하고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 본체(2)는, 인플레이션(inflation ) 가공에 의해 형성된 얇은 튜브(6)의 양 측부를 접고, 하단부를 용착에 의해 실링하여 백형으로 한 것이다. 도 1, 도 3에 있어서, 참조 부호 "7"은, 실링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백 본체(2)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밥 등의 목질 기재에 쌀겨 등의 영양원을 혼합하여 수분을 조절한 인공 배지[균상(10)]를, 충전한 경우에, 균상(10)을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 후의 관리에 적합하다.
백 본체(2)의 재료로서는, 저가이며 고압 증기 등에 의한 살균에도 견딜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재료,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재료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버섯 종균의 배양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백 본체(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 본체(2)는, 통상의 재배 작업 시 취급에 있어서는 핀홀(pinhole) 등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구체적으로는, 세로 방향의 인장 강도가 가로 방향의 인장 강도의 1.3∼1.4배 정도의 강도비)의 분자 배향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세로 방향이란, 백 본체(2)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하단부[실링부(7)]를 향하는 방향(및 그 역방향)을 말한다.
백 본체(2)(플라스틱·필름)의 두께는 약 40∼60 ㎛이며, 도 1과 같이 접었을 때의 백 본체(2)의 세로 방향의 길이는 약 450㎜, 가로 방향의 길이는 약 200㎜, 거싯 접음폭은 약 62㎜이다.
통기공(3)은, 직경 약 40㎜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통기공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직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통기공(3)은, 균상(10)을 백 본체(2)에 충전했을 때, 균상(10)의 상면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도 7 참조).
필터(4)는, 약 55㎜×약 60㎜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필터의 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5각형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그리고, 필터(4)는, 잡균의 침입을 완전히 저지하지 않아도, 버섯 종균의 균사의 발육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저지할 수 있으면 된다. 그리고, 필터(4)는, 고압 증기 등에 의한 살균에 견디고, 백 본체(2)의 재료와 기밀하게 용착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시판되고 있는 다공성 플라스틱 필터, 부직포 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4)는, 통기공(3)을 덮은 상태로 배치된 후, 백 본체(2)에 용착된다. 도 1, 도 5에 있어서, 참조 부호 "8"은, 용착부를 나타내고 있다. 필터(4)를 배치하는 위치는, 백 본체(2)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잡균의 혼입을 피하기 위해 백 본체(2)의 상단 개구부를 절곡했을 때 접어넣어지지 않는 위치이다(도 7 참조).
파단용 손잡이(5)는, 약 30㎜×약 60㎜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파단용 손잡이(5)의 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5각형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파단용 손잡이(5)의 크기는, 손가락으로 잡기 쉬운 크기이면 된다.
파단용 손잡이(5)의 재료로서는, 백 본체(2)의 재료와 마찬가지의,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재료,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파단용 손잡이(5)의 재료로서 백 본체(2)의 재료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단용 손잡이(5)의 두께를 백 본체(2)의 두께보다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단용 손잡이(5)의 두께를 백 본체(2)의 두께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근소한 힘으로도 백 본체(2)로 인해 영향 받지 않고 상기 백 본체(2)를 용이하게 찢을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단용 손잡이(5)의 재료로서 백 본체(2)의 재료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되고 있고, 파단용 손잡이(5)의 두께는, 백 본체(2)의 두께보다 두꺼운 약 100㎛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파단용 손잡이(5)로서, 백 본체(2)의 재질보다 강도가 큰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파단용 손잡이(5)의 두께를 백 본체(2)의 두께보다 두껍게 할 필요는 없다.
도 1,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단용 손잡이(5)는, 백 본체(2) 상의, 필터(4)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후, 백 본체(2)에 용착된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9"는, 용착부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파단용 손잡이(5)를 배치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잡균의 혼입을 피하기 위해 백 본체(2)의 상단 개구부를 절곡했을 때 접어넣어지지 않는 위치이다(도 7 참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단용 손잡이(5)는, 필터(4)가 용착되어 있는 위치[통기공(3)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의 바로 위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균상 재배용 백(1)의 구성에 있어서, 백 본체(2)는, 세로 방향의 인장 강도가 가로 방향의 인장 강도보다 큰 분자 배향으로 되도록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되어 있다. 즉, 백 본체(2)는, 찢는 「개시 동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세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찢는 것이 가능한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필터(4)가 용착된 백 본체(2) 상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백 본체(2)에 용착되고, 백 본체(2)를 파단하여 찢기 위한 파단용 손잡이(5)를 구비한, 본 실시형태의 균상 재배용 백(1)의 구성에 의하면, 파단용 손잡이(5)를 잡고 백 본체(2)의 세로 방향으로 당겨벗기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필터(4)가 용착된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백 본체(2)를 파단하고, 이 파단을 「개시 동작」으로 하여 백 본체(2)를 용이하게 찢을 수가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균상 재배용 백(1)의 구성에 의하면, 필터(4)의 두께 불균일이나 재질 등에 좌우되지 않고, 백 본체(2)를 확실하게 찢는 것이 가능한 균상 재배용 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균상 재배용 백(1)을 이용하면, 배양 단계로부터 버섯(자실체)의 발생 단계로 이행할 때 필요한 백 본체(2)로부터의 균상(10)의 인출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찢는 「개시 동작」은 한 번 행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찢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파단용 손잡이를 형성하거나, 인열 방향에 따른 테이프형의 것을 복수의 용착부에 의해 백 본체에 용착하거나 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균상 재배용 백(1)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에 용착할뿐인 간단한 구성이므로, 그만큼의 비용 상승을 초래하지 않는다.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에 용착하는 용착부(9)는, 인열 개시측[도 1에 있어서는, 백 본체(2)의 상단 개구부 측]을 위로 하는 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착부(9)는, 2개의 직선 용착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꼭지각이 대략 90°(대략 직각)의 산형 용착부로 이루어져 있고, 파단용 손잡이(5)의 용착부(9) 이외의 부분은, 백 본체(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파단용 손잡이(5) 부분을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파단용 손잡이(5)의 상측 단부를 손가락으로 잡고 백 본체(2)의 하단부를 향해 당겨벗기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에 용착하는 산형 용착부(9)의 꼭지각 부분(응력 집중부)에 당겨벗김 응력을 집중시켜, 백 본체(2)를 찢는 「개시 동작」이 되는 절입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백 본체(2)에 절입이 형성된 후,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의 하단부를 향해 그대로 인장하면[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의 인장 강도가 큰 세로 방향을 따라 당겨벗기도록 힘을 가하면], 백 본체(2)를 용이하게 찢을 수가 있다.
[균상 재배용 백의 사용 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균상 재배용 백의 백 본체를 찢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버섯을 인공 재배하는 데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톱밥 등의 목질 기재에 쌀겨 등의 영양원을 혼합하여 수분을 조정한 인공 배지[균상(10)]을, 균상 재배용 백(1)의 백 본체(2)에 충전하여, 약 120℃의 고압 증기로 약 2시간 살균한다. 다음에 살균한 균상(10)에 버섯 종균을 접종하고, 백 본체(2)의 상단 개구부를 몇겹으로 절곡하여 호치키스의 침(11)으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버섯 종균이 접종된 균상(10)을, 균상 재배용 백(1)의 백 본체(2)에 충전한 채, 온도 약 24℃, 습도 약 60%의 배양실에서 30∼90일간 보관한다(배양 단계).
균사가 균상(10)에 거의 만연(蔓延)하면(배양 단계가 종료되면), 균상(10)을 균상 재배용 백(1)의 백 본체(2)로부터 꺼내고, 온도 약 18℃, 습도 약 90%의 환경 하에서 버섯(자실체)을 발생시킨다[버섯(자실체)의 발생 단계].
균상(10)을 균상 재배용 백(1)의 백 본체(2)로부터 인출할 때는, 백 본체(2)를 찢을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낸 백 본체(2)의 상단(절곡 부분)을 다른 한쪽의 손으로 잡으면서, 파단용 손잡이(5)의 상측 단부를 다른 한쪽의 손가락으로 잡고, 상기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의 하단부를 향해 인장시킨다. 이로써,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에 용착하는 산형 용착부(9)에 당겨벗김력(peeling intensity)이 걸린다. 그러므로, 산형 용착부(9)의 꼭지각 부분에 당겨벗김 응력이 집중되어, 필터(4)가 용착된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백 본체(2)에 절입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필터(4)가 용착된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백 본체(2)에 절입이 형성된 후,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의 하단부를 향해 그대로 인장하면[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의 인장 강도가 큰 쪽 방향(세로 방향)을 따라 당겨벗기도록 힘을 가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4)의 두께의 불균일이나 재질 등에 좌우되지 않고, 백 본체(2)를 확실하게 찢을 수가 있다. 이 경우, 백 본체(2)는, 산형 용착부(9)의 하단 간 거리와 대략 같은 폭을 가지는 부분(2점 쇄선 부분)만이 다른 부분으로부터 당겨벗겨진다. 그리고, 도 8에 있어서, 참조 부호 "12"는, 당겨벗겨진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산형 용착부(9)의 꼭지각 부분이 뾰족하게 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형 용착부(9)의 꼭지각 부분은,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소 평탄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근소한 힘으로 백 본체(2)에 절입이 형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산형 용착부(9)의 꼭지각 부분의 평탄 부분의 길이는,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직선 용착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산형 용착부(9)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형 용착부(9)를 구성하는 2개의 직선 용착부(9a, 9b)를, 백 본체(2)의 하단부와 평행한 보강용의 직선 용착부(13)에 의해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산형 용착부(9)를 구성하는 2개의 직선 용착부(9a, 9b)를, 보강용의 직선 용착부(13)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산형 용착부(9) 중, 보강용의 직선 용착부(13)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만,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의 하단부를 향해 인장시켜 당겨벗기려고 할 때의 당겨벗김력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산형 용착부(9)의 꼭지각 부분에 집중되는 당겨벗김 응력을 크게 하여, 근소한 힘으로 백 본체(2)에 절입을 넣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꼭지각이 대략 90°(대략 직각)의 산형 용착부(9)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형 용착부(9)의 꼭지각은, 예각(銳角)이라도, 직각이라도, 둔각(鈍角)이라도 된다. 특히,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꼭지각이 예각의 산형 용착부(14)를 채용하면, 근소한 힘으로 백 본체(2)에 절입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면 상 알기 쉽도록, 필터(4)와 파단용 손잡이(5)가 이격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단용 손잡이(5)가, 필터(4)가 용착된 백 본체(2) 상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백 본체(2)에 용착되어만 있으면,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4)의 상부 에지가 파단용 손잡이(5)의 하부 에지와 중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에 용착하는 용착부(9)가, 인열 개시측[도 1에 있어서는, 백 본체(2)의 상단 개구부 측]을 위로 하는 산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균상 재배용 백(15)의 경우와 같이,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에 용착하는 용착부(16)는, 백 본체(2)의 하단부 측을 아래로 하는 골형(谷型)(∨)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당겨벗김 응력은, 골형 용착부(16)의 2개의 상단부에 집중하게 된다. 즉, 골형 용착부(16)의 2개의 상단부가 응력 집중부로 된다. 그리고, 골형 용착부(16)의 경우라도, 꼭지각 부분이 다소 평탄하게 되어 있어도 되고, 골형 용착부(16)를 구성하는 2개의 직선 용착부를, 백 본체(2)의 하단부와 평행한 보강용의 직선 용착부에 의해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단용 손잡이(5)가, 필터(4)가 용착되어 있는 위치[통기공(3)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의 바로 위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균상 재배용 백(17)의 경우와 같이, 파단용 손잡이(5)는, 백 본체(2)의 정면[필터(4)가 용착되어 있는 면] 또는 배면의 하부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에 용착하는 용착부(18)는, 인열 개시측[도 13에 있어서는, 백 본체(2)의 하단부 측]을 위로 하는 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 파단용 손잡이(5)의 하측 단부를 손가락으로 잡고 백 본체(2)의 상단부를 향해 당겨벗기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산형 용착부(18)의 꼭지각 부분(응력 집중부)에 당겨벗김 응력을 집중시켜, 백 본체(2)를 찢는 「개시 동작」이 되는 절입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백 본체(2)에 절입이 형성된 후,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의 상단부를 향해 그대로 인장하면[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의 인장 강도가 큰 세로 방향을 따라 당겨벗기도록 힘을 가하면], 백 본체(2)를 용이하게 찢을 수가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균상 재배용 백(19)의 경우와 같이, 파단용 손잡이(5)는, 백 본체(2)의 측면의 상부(또는, 하부)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의 측면의 상부에 배치하는 경우,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에 용착하는 용착부(9)는, 인열 개시측[백 본체(2)]의 상단부 측을 위로 하는 산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의 측면의 하부에 배치하는 경우,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에 용착하는 용착부는, 인열 개시측[백 본체(2)의 하단부 측]을 위로 하는 산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에 용착하는 용착부가, 1개의 산형(∧) 용착부 또는 골형(∨) 용착부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2개 이상의 산형(∧) 용착부 또는 골형(∨) 용착부를 연속시킨 것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에 용착하는 용착부가, 산형(∧) 또는 골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단용 손잡이(5)를 백 본체(2)에 용착하는 용착부는, 당겨벗김 응력을 집중시키기 위한 코너부를 가지고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의 두께의 불균일이나 재질 등에 좌우되지 않고, 백 본체를 확실하게 찢는 것이 가능한 균상 재배용 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상 재배용 백은, 배양 단계로부터 버섯(자실체)의 발생 단계로 이행할 때 필요한 백 본체로부터의 균상의 인출 작업의 새로운 효율화를 도모하는 점에서 유용하다.
1, 15, 17, 19 균상 재배용 백
2 백 본체
3 통기공
4 필터
5 파단용 손잡이
6 얇은 튜브
7 실링부
8 용착부
9, 14, 18 산형 용착부
9a, 9b, 13 직선 용착부
10 균상
11 호치키스의 침
12 당겨벗겨진 부분
16 골형 용착부

Claims (2)

  1. 상단이 개구되고, 세로 방향의 인장(引張) 강도가 가로 방향의 인장 강도보다 큰 분자(分子) 배향으로 되도록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백(bag) 본체;
    상기 백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통기공;
    상기 통기공을 덮은 상태로 상기 백 본체에 용착(溶着)되고, 공기를 통과시키고 잡균의 침입을 저지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가 용착된 상기 백 본체 상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백 본체에 용착되고, 상기 백 본체를 파단(破斷)하여 찢기 위한 파단용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파단용 손잡이의 가로 길이가 상기 파단용 손잡이의 세로 길이보다 길고, 또한
    상기 파단용 손잡이가 상기 필터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파단용 손잡이를 상기 백 본체에 용착하는, 2개의 직선 용착부로 이루어지는 용착부를 1개만 가지는,
    균상(菌床) 재배용 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용 손잡이를 상기 백 본체에 용착하는 용착부는, 인열(引裂) 개시측을 위로 하는 산형(山型) 또는 골형(谷型)으로 형성되어 있는, 균상 재배용 백.
KR1020140057880A 2013-06-28 2014-05-14 균상 재배용 백 KR101704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37145 2013-06-28
JP2013137145A JP6235811B2 (ja) 2013-06-28 2013-06-28 菌床栽培用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450A KR20150002450A (ko) 2015-01-07
KR101704625B1 true KR101704625B1 (ko) 2017-02-08

Family

ID=5211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880A KR101704625B1 (ko) 2013-06-28 2014-05-14 균상 재배용 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00188A1 (ko)
JP (1) JP6235811B2 (ko)
KR (1) KR101704625B1 (ko)
CN (1) CN1042476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6751B2 (en) * 2013-11-15 2016-07-12 Donnie Lee Creekmor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fungi for use in a ecosystem
JP6992945B2 (ja) * 2016-02-15 2022-01-13 株式会社サカト産業 マチ付き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袋
KR102349986B1 (ko) * 2017-04-14 2022-01-11 글렌 밥콕 이산화탄소 수중 전달 장치 및 보충 시스템
US10827736B2 (en) 2017-04-14 2020-11-10 Glen Babcock Carbon dioxide underwater delivery device and supplementation system
WO2019148022A1 (en) 2018-01-26 2019-08-01 Martin Nathaniel J Water mov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breeding insect populations
CN109275511A (zh) * 2018-11-28 2019-01-29 湖南金芙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蛹虫草的无菌培育膜及其制备方法
US10377982B1 (en) * 2019-01-02 2019-08-13 Wei K. Hsu Cultivation bag for cultivating microbes
US11178826B1 (en) * 2021-03-31 2021-11-23 Wei K. Hsu Cultivation bag assembly for cultivating microbes
USD937094S1 (en) 2021-04-22 2021-11-30 Wei K. Hsu Dual cultivation bag
JP7190762B2 (ja) * 2021-05-20 2022-12-16 株式会社エフテック 菌床栽培用袋及び菌床栽培用袋の製造方法
US20230309467A1 (en) * 2022-03-31 2023-10-05 Michigan Myco Fungi growth chamb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3225B2 (ja) * 1996-09-17 2001-07-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成層燃焼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8966A (en) * 1936-04-10 1936-07-28 Brandywine Mushroom Corp Receptacle for mushroom spawn culture
US2851821A (en) * 1955-01-17 1958-09-16 Pierre Frederic Henri Georg Gu Packaged cultures in low class organisms such as mushroom spawn
DE1253506B (de) * 1964-08-08 1967-11-02 Elmar Sohm Verfahren zur Anzucht von Champignons sowie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S5585331A (en) * 1978-08-23 1980-06-27 Polyplastics Kk Cultivating bag for mashrooms
US4311477A (en) * 1979-12-26 1982-01-19 Polyplastics Company, Ltd. Bag for cultivating mushrooms
JPS6211030A (ja) * 1985-07-05 1987-01-20 森産業株式会社 茸菌培養袋
DE3736957A1 (de) * 1987-10-31 1989-05-11 Kerti Adam Verfahren und behaelter fuer die anzucht von pilzen
JPH02286012A (ja) * 1989-04-28 1990-11-26 Toyama Pref Gov キノコの栽培袋
US5134614A (en) * 1989-05-11 1992-07-28 Alcatel Network Systems, Inc. Sonet receive signaling translator
JPH03201911A (ja) * 1989-12-29 1991-09-03 Sakamoto Yasuhiko 椎茸栽培用菌床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17256A (ja) 1990-12-19 1992-08-07 Fuji Photo Film Co Ltd ジアゾ樹脂含有感光材料の現像方法
JPH0530853A (ja) * 1991-08-05 1993-02-09 Konpetsukusu:Kk 茸栽培袋
JPH0690622A (ja) * 1991-09-11 1994-04-05 Nanei Togyo Kk フイルム袋法のキノコ用菌床製造法
US5230430A (en) * 1992-01-24 1993-07-27 Amycel, Inc. Sterilizable bag
JPH0789796B2 (ja) * 1992-03-09 1995-10-04 有限会社コンペックス 茸菌培養体袋のシール方法
JP2540699B2 (ja) * 1992-08-28 1996-10-09 有限会社コンペックス 椎茸栽培袋
JPH0799982B2 (ja) * 1992-09-09 1995-11-01 有限会社コンペックス 舞茸の栽培方法
JP2865960B2 (ja) * 1992-11-11 1999-03-08 鐘紡株式会社 きのこ培養法及びそれに用いるきのこ培養袋
FR2710492B1 (fr) * 1993-09-29 1997-08-01 Compac Int Inc Sac pour la culture de blanc de champignon.
JPH08154483A (ja) * 1994-12-02 1996-06-18 Konpetsukusu:Kk 縦開封できる椎茸栽培袋
JP3515266B2 (ja) * 1996-01-12 2004-04-05 カネボウ株式会社 きのこ類の培養袋およびきのこ類の培養方法
CN2367072Y (zh) * 1998-02-05 2000-03-08 潘峰 食用菌生产筒袋
CN2344965Y (zh) * 1998-10-21 1999-10-27 于荣珍 粘贴式的食用菌菌种培养袋
US6358731B1 (en) * 1999-10-20 2002-03-19 Wei K. Hsu Sterilizable cultivation system with separately attachable microfiltration membrane
JP2000262145A (ja) * 1999-03-18 2000-09-26 Dainippon Printing Co Ltd 茸栽培用袋
JPWO2003032711A1 (ja) * 2001-10-11 2005-01-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容器の通気用フィルタ濾材並びに通気用フィルタ濾材を備えた容器及び容器用キャップ
WO2007121764A1 (en) * 2006-04-21 2007-11-01 Frans Vandenhove A recipient for containing moist substrate
JP4217256B2 (ja) * 2006-08-08 2009-01-28 株式会社シナノポリ 菌床栽培用袋
US8522476B2 (en) * 2010-06-08 2013-09-03 R & J East, Inc. Bag constructed of weed suppression material for packaging ground cover material
US20110277383A1 (en) * 2010-05-12 2011-11-17 B.T.T.R. Ventures Llc Methods, Devices and Kits for Mushroom Production
CN203878894U (zh) * 2012-11-23 2014-10-15 艾克塞伦特控股公司 模块化斜坡结构和用于其的楔元件
JP3183225U (ja) * 2013-02-19 2013-05-09 株式会社エフテック 菌床栽培用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3225B2 (ja) * 1996-09-17 2001-07-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成層燃焼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00188A1 (en) 2015-01-01
JP2015008690A (ja) 2015-01-19
JP6235811B2 (ja) 2017-11-22
CN104247627A (zh) 2014-12-31
KR20150002450A (ko)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625B1 (ko) 균상 재배용 백
US6358731B1 (en) Sterilizable cultivation system with separately attachable microfiltration membrane
US4878312A (en) Method for culturing and cultivating fungi
CA2676043A1 (en)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ion between a lower part and an upper part of a container
JP2018102272A (ja) 展伸性フィルムによるキノコ栽培方法
WO2000023331A9 (en) A sterilizable cultivation system with separately attachable microfiltration membrane
JP3183225U (ja) 菌床栽培用袋
JP4217256B2 (ja) 菌床栽培用袋
JP3917023B2 (ja) 菌床用培養袋
JPH11137241A (ja) 培養容器
JP6047649B1 (ja) 菌床栽培用袋
WO2023026580A1 (ja) 菌床栽培用袋
JP3192358U (ja) 菌床栽培用袋
JP2540699B2 (ja) 椎茸栽培袋
JPH08154483A (ja) 縦開封できる椎茸栽培袋
JP2000262145A (ja) 茸栽培用袋
JP2865960B2 (ja) きのこ培養法及びそれに用いるきのこ培養袋
JP2507263B2 (ja) 椎茸の栽培方法
JP7190762B2 (ja) 菌床栽培用袋及び菌床栽培用袋の製造方法
JPH08172906A (ja) 椎茸栽培方法及び椎茸菌培養袋
JP7015056B2 (ja) 展伸性フィルムによるキノコ栽培方法
JPH06239372A (ja) 通気性無菌容器
JPH0951723A (ja) きのこ栽培用袋体
JPH05252830A (ja) 茸菌培養体袋のシール方法
JPH08317726A (ja) 舞茸栽培用シート及び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