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754B1 - 미니 화덕 - Google Patents

미니 화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754B1
KR101676754B1 KR1020160116904A KR20160116904A KR101676754B1 KR 101676754 B1 KR101676754 B1 KR 101676754B1 KR 1020160116904 A KR1020160116904 A KR 1020160116904A KR 20160116904 A KR20160116904 A KR 20160116904A KR 101676754 B1 KR101676754 B1 KR 101676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eating space
heat
present
rock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선형
Original Assignee
민선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선형 filed Critical 민선형
Priority to KR1020160116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출구가 형성된 가열공간을 가지는 반 원통(가마) 형상의 몸체를 가짐과 아울러, 내부에 열을 전달받아 충 열하고 충열 된 복사열을 상기 가열공간으로 부여하도록 된 암석 판넬로 이루어진 내벽을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할 수 있도록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절감하도록;
내부에 열을 방출하도록 된 가열공간이 구비되며 전면에 음식물이 상기 가열공간으로 출납 되는 출입구를 가지고 일단에 가열공간에서 방출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연통이 구비된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니 화덕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는, 바닥면과 벽면 및 천정의 내측으로 다수의 암석재질로 이루어진 암석 판넬이 서로 이어지게 조립되어 열을 충열 하도록 된 내벽과, 상기 내벽의 외 측면에 내화 제로 이루어진 외벽이 도포 적층 되어 단열하도록 된 미니 화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니 화덕{A fire pot}
본 발명은, 야외에서 음식을 조리하도록 된 미니 화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에 출구가 형성된 가열공간을 가지는 반원통(가마) 형상의 몸체를 가짐과 아울러, 내부에 열을 전달받아 충열하고 충열 된 복사열을 상기 가열공간으로 부여하도록 된 암석 판넬로 이루어진 내벽을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할 수 있도록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절감하도록 된 미니 화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돼지고기, 소고기, 오리, 생선, 닭 등과 같은 육류 및 피자 등과 같은 제빵 류를 불로 조리하기 위해서는 후라이팬 또는 전용 제빵기구 등과 같은 조리용 기구를 이용하여 조리하였다.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육류 및 제빵 류를 더욱 맛있게 즐기기 위하여 황토로 만들어진 가마 형태의 화덕의 내부에서 가열하여 조리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단순히 조리용 기구로 구워 익혀 먹는 것과는 달리 화덕의 내부에서 고열로 단시간에 구워 조리함으로써, 맛의 풍미를 향상시킴은 물론, 음식물의 표면이 조리용 기구에 의해 국부적으로 가열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가열되어 일부가 타는 등의 단점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마형태의 화덕은, 통상적으로, 내화벽돌로 형성된 본체의 외주로 황토를 적층하여 마감 처리하고 내부가 밀폐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본체의 내부에는 가열을 위한 버너 등과 같은 가열수단이 구비되고, 전면에는, 음식물을 내부로 출납하도록 된 출입구가 형성되며,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연통이 본체에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79394호(명칭: 석쇠판이 좌우이동 및 회전하는 고기 구기용 가마)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황토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화덕이 기재되어 있다.
아울러,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2-83128호(명칭: 가마형 화덕)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내측에 내화벽체가 일체로 형성하며 일 측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돌 판에 의해 마감되고 상기 돌판 하단에는 수평을 조절하는 높낮이 지지대와 이동 롤러가 구비된 프레임이 설치된 반구형 케이스와 상기 개구부의 일 측면에 연결결합되어 회전하며 중심부에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통 공이 형성되고 내부온도를 감지하여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 도어와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돌 판의 상 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돌 판의 후방에는 숯불 혹은 장작을 저장할 수 있는 화로와 상기 가이드 부재와 반구형 케이스 내측 사이에는 가스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의 일 측 하부에는 휴대용 가스통 혹은 도시 가스와 연결결합하여 공급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밸브가 구비된 공급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마형 화덕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79394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83126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734148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738830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덕들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공간이 단순히 단열 작용을 하는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어, 음식물을 조리할 때 가열공간으로인가된 후, 연통으로 배출되는 열원을 통해서만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되어 있어, 에너지 사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을 반복적으로 조리할 때, 음식물의 조리온도(대략 450℃)를 형성하기 위해서 가열시간을 장시간 진행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음식의 조리가 완료된 후, 잠시간의 간극을 가지고, 음식물을 재조리할 때에는, 가열공간의 내부온도가 급속히 저하됨에 따라 내부온도를 조리 온도로 상승시키기 위해 장시간 재가열해야만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미니 화덕은, 전면에 출구가 형성된 가열공간을 가지는 반원통(가마) 형상의 몸체를 가짐과 아울러, 내부에 열을 전달받아 충열하고 복사열을 상기 가열공간으로 부여하도록 된 암석 판넬로 이루어진 내벽을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할 수 있도록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절감함과 아울러, 특히, 운반이 용이하고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야외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미니 화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니 화덕은, 열을 방출하도록 된 가열공간이 구비되며 전면에 음식물이 상기 가열공간으로 출납되는 출입구를 가지고 일단에 가열공간에서 방출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연통이 구비된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니 화덕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는, 바닥면과 벽면 및 천정의 내측으로 다수의 암석재질로 이루어진 암석 판넬이 서로 이어지게 조립되어 열을 충열하도록 된 내벽과, 상기 내벽의 외측면에 내화제로 이루어진 외벽이 도포 적층되어 단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몸체의 바닥면의 하부에는 받침판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의 하부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받침대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저면이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암석 판넬은, 상기 내벽의 바닥면과 양측 벽면 및 천정을 조립 구성하도록 된 직사각형태로 재단된 사각 암석 판넬 조립체와, 상기 내벽의 후면을 구성하도록 상면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면 암석 판넬 조립체와, 상기 내벽의 전면을 구성하도록 상면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상기 출입구가 개구되어 형성된 전면 암석 판넬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미니 화덕은, 상기 몸체의 저면과 받침대의 사이공간을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어, 이동이 자유롭고, 특히 몸체가 지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어, 야외에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가열수단을 통해 가열공간으로 방출되는 열을 상기 암석 판넬로 이루어진 내벽이 충열하여 복사열을 상기 가열공간으로 부여하도록 된 암석 판넬로 이루어진 내벽을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할 수 있도록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미니 화덕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미니 화덕의 전 단면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미니 화덕을 구성하는 내벽의 조립 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미니 화덕의 측 단면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미니 화덕의 측 단면을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미니 화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미니 화덕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미니 화덕(1)은, 내부에 열을 방출하도록 된 가열공간이 구비되며 전면에 음식물이 상기 가열공간으로 출납되는 출입구(3)를 가지고 일단에 가열공간에서 방출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연통(4)이 구비된 몸체(5)를 가진다.
즉, 상기 몸체(5)의 가열공간에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도록 된 것으로, 음식물이 상기 출입구(3)를 통해 가열공간으로 투입 및 배출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미니 화덕(1)은, 상기한 가열공간으로 열을 공급하여 방출하도록 된 가열수단(2)을 가지며, 상기한 가열수단(2)은, 상기 몸체(5)의 내부에는 가스가 배출되는 다수의 통 공을 가지는 '관' 형상의 배출관(21)과, 상기 몸체(5)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출관(21)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21)으로 가스의 공급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밸브(22)와, 상기 개폐밸브(22)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가스를 공급하도록 된 가스통의 가스 배출호스의 접속관과 결합된 연결관(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 버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5)의 외부에서 가스가 저장된 미도시된 가스통을 상기 연결관(23)을 통해 연결한 후, 상기 개폐밸브(22)를 조절하여 가스를 배출관(21)으로 공급하여 가열공간을 가열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연통(4)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5)의 후단 및 중간부위에서 상기 가열공간과 연통 되게 배치되어 가열공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직접적으로 배출하도록 될 수 있으며,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3)의 전면에 연통이 구비된 배기통(41)을 구비하여, 상기 가열공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출입구(3)를 통해 몸체(5)의 외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배기통(41)에 형성된 연통(4)을 통해 배출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사용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미니 화덕(1)에서, 상기한 몸체(5)는, 바닥면과 벽면 및 천정의 내측으로 다수의 암석재질로 이루어진 암석 판넬이 서로 이어지게 조립되어 열을 충열하도록 된 내벽(51)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2)을 통해 가열공간으로 방출되는 열을 상기 암석 판넬로 이루어진 내벽(51)이 충열하여 복사열을 상기 가열공간으로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을 조리할 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일음식의 조리가 완료된 후, 잠시간의 간극을 가지고, 음식물을 재조리할 때, 상기 내벽(51)에 충열된 잠열에 의해 가열공간의 내부온도가 급속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상기 가열공간의 내부온도를 조리온도로 상승시키기 위해 장시간 재가열해야만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없다.
상기에서, 내벽(51)은, 열을 충열 하도록 된 암석 재질로 이루어지는바, 현무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그 무게가 타종류 암석보다 작아 운반 및 휴대성이 증대되며, 가공성이 좋아 제조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암석 판넬은, 상기 내벽(51)의 바닥면과 양측 벽면 및 천정을 조립 구성하도록 된 직 사각 형태로 재단된 사각 암석 판넬 조립체(511)와, 상기 내벽(51)의 후면을 구성하도록 상면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면 암석 판넬 조립체(512)와, 상기 내벽(51)의 전면을 구성하도록 상면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상기 출입구(3)가 개구되어 형성된 전면 암석 판넬 조립체(5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조립체들을 대량으로 형성한 후, 각각의 조립체들을 조립하는 과정으로 통해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미니 화덕(1)은, 상기 내벽(51)의 외측면에 내화 제로 이루어진 외벽(52)이 도포 적층되어 단열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공간에 발생된 열의 손실이 최소화됨은 물론, 상기 내벽(51)에 충열된 열이 장시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열을 효율적으로 보온하게 된다.
상기에서, 외벽(52)을 구성하는 내화제는, 세라믹화어버(그라스울, 세라믹울)로 이루어지는 유리섬유, 캐스터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가 상기 내벽(51)의 외측면에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캐스터블이 그 외측으로 도포되는 2층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외벽(52)의 외측으로, 타일이나 파벽돌 및 고벽돌로 이루어진 마감층(53)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심미감을 높이기 위해 그림 등과 같은 도안을 표면이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미니 화덕(1)에서, 상기한 몸체(5)의 바닥면의 하부에는 받침판(54)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54)의 하부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받침대(55)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5)의 저면이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상기 몸체(5)의 저면과 받침 대(55)의 사이공간을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어, 이동이 자유롭고, 특히 몸체(5)가 지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어, 야외에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미니 화덕(1)은, 상기 받침판(54)의 하부로 상기 받침대(55)를 사이 간격을 가지도록 하여 조립하고,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54)의 상부로 사각 암석 판넬 조립체(511)를 다수개 조립하여 내벽(51)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면의 상부로 상기 후면 암석 판넬 조립체(512)와 상기 전면 암석 판넬 조립체(513)를 사이간격을 가지도록 하여 배치한 후, 상기 후면 암석 판넬 조립체(512)와 상기 전면 암석 판넬 조립체(513)의 측면과 상면의 외측으로 상기 사각 암석 판넬 조립체(511)를 다수개 조립하여 내벽(5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배출관(21)이 상기 내벽(51)의 가열공간에 위치되게 배치하고, 상기 연통(4)이 가열공간과 연통 되게 배치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내벽(51)이 형성되면, 내화제를 상기 내벽(51)의 외측면에 도포하여 외벽(52)을 형성하고, 마감재료를 상기 외벽(52)의 외측에 도포하여 마감층(53)을 형성하면 제조가 완료된다.
그리고, 제조된 본 실시 예에 의한 미니 화덕(1)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상기 가열수단(2)을 통해 가열공간으로 열을 인가하여 가열공간의 온도를 음식이 조리될 수 있는 조리온도로 형성한 후, 상기 출입구(3)를 통해 음식을 출납하면서 조리하면 된다.
이때, 상기 내벽(51)이 가열공간의 열을 인가받아 충열하여 복사열을 상기 가열공간으로 재부여하도록 되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음식의 조리가 완료된 후, 잠시간의 간극을 가지고, 음식물을 재조리할 때, 상기 내벽(51)에 충열된 잠열에 의해 가열공간의 내부온도가 급속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화덕 2 : 가열수단
21 : 배출관 22 : 개폐 밸브
23 : 연결관 3 : 출입구
4 : 연통 41 : 배기통
5 : 몸체 51 : 내벽
511 : 사각 암석 판넬 조립체 512 : 후면 암석 판넬 조립체
513 : 전면 암석 판넬 조립체 52 : 외벽
53 : 마감층 54 : 받침판
55 : 받침대

Claims (1)

  1. 내부에 열을 방출하도록 된 가열공간이 구비되며 전면에 음식물이 가열공간으로 출납되는 출입구를 가지고 일단에 가열공간에서 방출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연통이 구비된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니 화덕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는,
    바닥면과 벽면 및 천정의 내측으로 다수의 암석재질로 이루어진 암석 판넬이 서로 이어지게 조립되어 열을 충열하도록 된 내벽과, 상기 내벽의 외측면에 내화 제로 이루어진 외벽이 도포 적층되어 단열하도록 되며,
    상기한 암석 판넬은,
    상기 내벽의 바닥면과 양측 벽면 및 천정을 조립 구성하도록 된 직사각형태로 재단된 사각 암석 판넬 조립체와;
    상기 내벽의 후면을 구성하도록 상면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면 암석 판넬 조립체와;
    상기 내벽의 전면을 구성하도록 상면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상기 출입구가 개구 되어 형성된 전면 암석 판넬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한 몸체의 바닥면 하부에는,
    받침판이 구비되고;
    상기한 받침판의 하부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받침대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저면이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화덕.
KR1020160116904A 2016-09-11 2016-09-11 미니 화덕 KR101676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904A KR101676754B1 (ko) 2016-09-11 2016-09-11 미니 화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904A KR101676754B1 (ko) 2016-09-11 2016-09-11 미니 화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754B1 true KR101676754B1 (ko) 2016-12-06

Family

ID=5757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904A KR101676754B1 (ko) 2016-09-11 2016-09-11 미니 화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75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898B1 (ko) 2017-03-24 2018-05-16 조현숙 육류 초벌구이 장치
KR101878935B1 (ko) * 2017-03-22 2018-07-16 한성열 구이용 가마의 제조공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가마
KR101899144B1 (ko) 2017-07-26 2018-09-14 정재홍 화덕
KR101981004B1 (ko) * 2018-05-04 2019-05-21 이혁 피자 화덕
KR20190091597A (ko) 2018-01-29 2019-08-07 강신빈 화덕 장치
KR102118564B1 (ko) 2019-01-09 2020-06-03 김민규 이동식 소형 화덕
AU2018208069B2 (en) * 2017-01-10 2023-12-07 Delivita Limited Portable ov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211Y1 (ko) * 2003-04-18 2003-07-23 이정길 구이용 숯불 가마
KR200337210Y1 (ko) * 2003-09-26 2003-12-31 (주)오앤씨 글로벌 화덕 구조
KR100734148B1 (ko) 2006-06-20 2007-07-02 모종원 고기구이용 가마
KR100738830B1 (ko) 2005-10-26 2007-07-12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 나노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83126A (ko) 2011-01-17 2012-07-25 주식회사 리빙케어 헤드 라이트의 제습용 내부 쿨링 장치
KR101179394B1 (ko) 2010-06-23 2012-09-04 고제남 석쇠판이 좌우이동 및 회전하는 고기 구이용 가마
US20130118476A1 (en) * 2011-11-10 2013-05-16 Richard Allen Wise Outdoor fireplace
KR200478529Y1 (ko) * 2014-09-12 2015-10-16 안요성 내부 착탈식 바닥판 가열용 가스버너를 구비한 이동식 돔형 화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211Y1 (ko) * 2003-04-18 2003-07-23 이정길 구이용 숯불 가마
KR200337210Y1 (ko) * 2003-09-26 2003-12-31 (주)오앤씨 글로벌 화덕 구조
KR100738830B1 (ko) 2005-10-26 2007-07-12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 나노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34148B1 (ko) 2006-06-20 2007-07-02 모종원 고기구이용 가마
KR101179394B1 (ko) 2010-06-23 2012-09-04 고제남 석쇠판이 좌우이동 및 회전하는 고기 구이용 가마
KR20120083126A (ko) 2011-01-17 2012-07-25 주식회사 리빙케어 헤드 라이트의 제습용 내부 쿨링 장치
US20130118476A1 (en) * 2011-11-10 2013-05-16 Richard Allen Wise Outdoor fireplace
KR200478529Y1 (ko) * 2014-09-12 2015-10-16 안요성 내부 착탈식 바닥판 가열용 가스버너를 구비한 이동식 돔형 화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208069B2 (en) * 2017-01-10 2023-12-07 Delivita Limited Portable oven
KR101878935B1 (ko) * 2017-03-22 2018-07-16 한성열 구이용 가마의 제조공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가마
KR101858898B1 (ko) 2017-03-24 2018-05-16 조현숙 육류 초벌구이 장치
KR101899144B1 (ko) 2017-07-26 2018-09-14 정재홍 화덕
KR20190091597A (ko) 2018-01-29 2019-08-07 강신빈 화덕 장치
KR101981004B1 (ko) * 2018-05-04 2019-05-21 이혁 피자 화덕
KR102118564B1 (ko) 2019-01-09 2020-06-03 김민규 이동식 소형 화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754B1 (ko) 미니 화덕
US201202582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king Pizza
KR200478529Y1 (ko) 내부 착탈식 바닥판 가열용 가스버너를 구비한 이동식 돔형 화덕
US20140216434A1 (en) High Efficiency Infra-Red Cooking Oven
KR101832872B1 (ko) 미니화덕
Genitha et al. Design, Fabr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domestic gas oven
KR101899144B1 (ko) 화덕
KR100820910B1 (ko) 숯을 이용한 고기구이용 황토가마
KR101981004B1 (ko) 피자 화덕
JP2010172351A (ja) 輻射鍋
JP7360337B2 (ja) 電気式ピザ窯
TWM515283U (zh) 窯烤雙層柴火與瓦斯共同爐結構
KR200472326Y1 (ko) 화목 난로
KR101524256B1 (ko) 바베큐용 화덕
KR101376944B1 (ko) 복합열원의 구이용 화덕
KR101185789B1 (ko) 요리용 화덕
CN109805778B (zh) 烤炉装置
CN201727383U (zh) 烘烤装置
JP2000116306A (ja) 食材用焼がま
KR102291608B1 (ko) 피자 화덕
KR20210034395A (ko) 복사열 화덕구이장치
JP3246076U (ja) 可搬式組み立て型焼き芋製造装置
KR102421620B1 (ko) 이동이 간편한 화덕
JP2000245624A (ja) ガスグリル
KR100415289B1 (ko) 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