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898B1 - 육류 초벌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육류 초벌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898B1
KR101858898B1 KR1020170037435A KR20170037435A KR101858898B1 KR 101858898 B1 KR101858898 B1 KR 101858898B1 KR 1020170037435 A KR1020170037435 A KR 1020170037435A KR 20170037435 A KR20170037435 A KR 20170037435A KR 101858898 B1 KR101858898 B1 KR 101858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r
wall
meat
pot
heat radi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환
Original Assignee
조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숙 filed Critical 조현숙
Priority to KR1020170037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by radiation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 초벌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 코일을 항아리의 내벽에 이격되어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숯불 등의 화력 발생요소를 대체하여 사용 및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초벌구이를 위한 화력이 초벌구이 과정에서 발생하여 떨어지는 기름에 의하여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초벌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육류 초벌구이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육류 초벌구이 장치에 있어서, 개방된 상부가 뚜껑에 의하여 폐쇄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항아리, 상기 항아리의 내부 공간 상측에 배치되어 육류 거치기를 안착 지지하는 안착 지지대, 상기 항아리의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되, 상기 항아리의 내벽을 따라 감겨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방열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육류 초벌구이 장치{Meat primary­roast device}
본 발명은 육류 초벌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 코일을 항아리의 내벽에 이격되어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숯불 등의 화력 발생요소를 대체하여 사용 및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초벌구이를 위한 화력이 초벌구이 과정에서 발생하여 떨어지는 기름에 의하여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초벌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육류(막창, 등갈비, 삼겹살, 갈비살, 목살, 생선류 등)를 굽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과 기구들이 쓰이고 있는데, 그 중에서 질흙을 초고온에서 구워 만든 숨쉬는 천연 옹기로 알려진 단지를 활용한 구이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단지를 활용한 구이장치는 단지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인체에 상당히 유익할 뿐 아니라, 탁월한 보온성으로 에너지(열) 소모가 적고, 육류의 겉 표면은 물론 육질 속 깊은 곳까지 열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구이의 품질 또한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단지의 친환경적인 측면까지 수요자에게 어필이 가능하게 되는 등 상당한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단지를 이용한 구이장치는 단지의 저면부에 숯불 및 화덕을 대응시키는 구성이 매우 불합리하여 숯을 투입하거나 보충하는 과정이 불편하고 숯불 화력의 상,하 위치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는 그 자체도 불가능함으로 항시 최상의 품질로 굽는 것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72949호(항아리를 이용한 구이형 조리장치)의 경우에는, 측벽 하부에 버너설치 홀(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병목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옹기 항아리(10)와; 상기 옹기 항아리(10)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으며 연료를 공급받아 옹기 항아리(10) 내부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버너(20)와; 상단이 상기 병목부(12) 외측으로부터 항아리(10) 내측으로 감싸 항아리(10) 내주면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연결부재(30)와;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3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항아리(10) 내주면에 원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가로부재(40)와; 상부 일측이 고리형으로 밴딩되어 상기 가로부재(40)에 걸려 체결되고, 하부는 조리대상물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다수 개의 걸고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는데, 이 또한 항아리의 바닥에 설치되어 항아리 내부를 가열하도록 하는 버너를 대응시키는 구성이 매우 불합리하여 버너를 투입하거나 관리하는 과정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특히, 상측에 배치되는 육류가 익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은 상기 버너에 그대로 떨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버너의 화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고, 더 나아가 기름으로 인한 버너의 고장뿐만 아니라 유지관리가 매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육류에서 떨어지는 기름으로 인한 문제점은 초벌구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기름을 발생시키는 막창의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되고 있다. 즉 기름이 다량 발생하는 막창의 초벌구이 장치에서는 떨어지는 기름에 의하여 화력의 변화를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고, 화력 발생 요소(화덕, 버너, 숯불)가 기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가 제안될 필요가 있다. 또한 화력 발생 요소(화덕, 버너, 숯불)를 단지 또는 항아리 내부로 인입 설치하고, 이후 유지 관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막창의 경우 완전히 익히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하기 때문에, 주문한 고객이 오랜 기다림 없이 바로 막창을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온도로 타지 않게 초벌구이할 수 있는 항아리를 이용한 초벌구이 장치가 요청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제조 과정이 단순하면서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의 추가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며, 떨어지는 기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항아리를 이용한 초벌구이 장치가 제안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2949호(공개일자 : 2011년 06월 29일, 발명의 명칭 : 항아리를 이용한 구이형 조리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열을 발산하는 방열 코일을 항아리의 내벽에 이격되어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숯불 등의 화력 발생요소를 대체하여 사용 및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초벌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 코일이 항아리의 내벽 주변을 따라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초벌구이를 위한 화력이 초벌구이 과정에서 발생하여 떨어지는 기름에 의하여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초벌구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육류 초벌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아리의 내벽에 내화재인 캐스터블을 발라서 형성되는 내화층을 구비하고, 이 내화층에만 삽설되어 방열 코일을 고정하고 가이드하되, 내화재인 캐스터블로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항아리에 대한 가공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높은 온도로 인한 항아리의 깨짐 또는 균열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육류 초벌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육류를 거치하는 육류 거치기를 안착 지지할 수 있는 안착 지지대를 항아리의 내부 공간 상측에 배치하고, 방열 코일을 안착 지지대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너무 높은 온도에 의하여 초벌구이 과정에서 육류가 타거나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육류 초벌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 코일이 복수 개로 분할되어 개별 제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키고 항아리 내부의 온도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며, 방열 코일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육류 초벌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 지지대를 복수 개의 지지봉으로 구성하고, 양측 외곽 지지봉은 연장봉 형태의 익스텐션부를 구비하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항아리 내부 공간에 대한 유지 보수 및 작업에 주는 불편함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크기의 육류 거치기를 안착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초벌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육류 초벌구이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육류 초벌구이 장치에 있어서, 개방된 상부가 뚜껑에 의하여 폐쇄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항아리, 상기 항아리의 내부 공간 상측에 배치되어 육류 거치기를 안착 지지하는 안착 지지대, 상기 항아리의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되, 상기 항아리의 내벽을 따라 감겨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방열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항아리의 내벽에는 내화재인 캐스터블(castable)이 발라져서 형성되는 내화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 코일은 고정 가이드 부재들에 의하여 상기 항아리의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 배치되되, 상기 고정 가이드 부재들은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내화층에만 삽입된 상태로 고정 배치되며, 내화재인 캐스터블(castable)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육류 초벌구이 장치에 의하면, 열을 발산하는 방열 코일을 항아리의 내벽에 이격되어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숯불 등의 화력 발생요소를 대체하여 사용 및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열 코일이 항아리의 내벽 주변을 따라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초벌구이를 위한 화력이 초벌구이 과정에서 발생하여 떨어지는 기름에 의하여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초벌구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항아리의 내벽에 내화재인 캐스터블을 발라서 형성되는 내화층을 구비하고, 이 내화층에만 삽설되어 방열 코일을 고정하고 가이드하되, 내화재인 캐스터블로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항아리에 대한 가공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높은 온도로 인한 항아리의 깨짐 또는 균열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육류를 거치하는 육류 거치기를 안착 지지할 수 있는 안착 지지대를 항아리의 내부 공간 상측에 배치하고, 방열 코일을 안착 지지대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너무 높은 온도에 의하여 초벌구이 과정에서 육류가 타거나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열 코일이 복수 개로 분할되어 개별 제어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키고 항아리 내부의 온도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며, 방열 코일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착 지지대를 복수 개의 지지봉으로 구성하고, 양측 외곽 지지봉은 연장봉 형태의 익스텐션부를 구비하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항아리 내부 공간에 대한 유지 보수 및 작업에 주는 불편함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크기의 육류 거치기를 안착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육류 초벌구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초벌구이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초벌구이 장치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초벌구이 장치를 실제 제작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초벌구이 장치를 구성하는 안착 지지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수평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육류 초벌구이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초벌구이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즉,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초벌구이 장치를 수직으로 자른 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초벌구이 장치의 수평 단면도이다. 즉,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초벌구이 장치를 수평으로 자른 후 위에서 바라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실제 제작된 육류 초벌구이 장치의 실물 사진으로서, 항아리 내측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초벌구이 장치(100)는 모든 육류에 대하여 초벌구이를 위하여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굽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고, 골고루 굽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려우며, 상대적으로 굽는 과정에서 기름이 많이 발생하는 막창을 초벌구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초벌구이 장치(100)는 항아리(110), 상기 항아리(110)의 내부 공간(111) 상측에 배치되는 안착 지지대(130) 및 상기 안착 지지대(130)의 하측에 배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방열 코일(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항아리(110)는 개방된 상부가 뚜껑에 의하여 폐쇄되고 내부 공간(111)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항아리(1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막창 등의 육류가 거치되는 육류 거치대가 상기 내부 공간(111)으로 투입되어 상기 안착 지지대(13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 지지대(130)에 상기 육류 거치대가 안착된 상태로 초벌구이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항아리(110)의 개방된 상부는 뚜껑으로 폐쇄되어 상기 내부 공간(111)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내부 공간(111)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항아리(110)는 상기 상부만이 개방되고 다른 부분은 폐쇄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111)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하여 내부 공간의 적정 온도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반면, 항아리를 이용한 종래의 구이 장치는 별도의 화덕, 숯불, 버너 등을 항아리 하측에 배치하기 위하여 항아리의 하측을 개방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열 손실이 발생하고 내부 공간의 온도 유지 및 조절이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상기 항아리(110)의 내부 공간(111)에는 육류 거치기를 안착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안착 지지대(130)가 수평으로 장착된다. 이 안착 지지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아리(110)의 내부 공간(111) 상측에 배치되어 육류 거치기(미도시)를 안착 지지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육류 거치기는 석쇠 등과 같이 막창 등의 육류를 고정 거치할 수 기기 또는 부재이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육류 거치기는 막창 등의 육류를 고정 거치된 상태로 상기 안착 지지대(130)에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석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 지지대(130)는 육류 거치기에 고정 거치된 막창 등의 육류에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판형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 또는 막대 또는 봉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착 지지대(1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지지봉이 상기 항아리(110)에 장착되되, 서로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안착 지지대(130)가 세 개의 지지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그 이상의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지지대(130)는 육류 거치기에 고정 거치된 육류에 열 전달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판형이 아닌 막대 형상의 지지봉들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안착 지지대(130)는 면적이 크거나 또는 복수 개의 육류 거치기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 면적이 큰 석쇠를 이용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석쇠를 상기 안착 지지대(130)에 거치하여 막창 등의 육류를 초벌구이하는 경우가 있고, 이를 위하여 상기 안착 지지대(130)는 상기 석쇠 등의 육류 거치기가 항아리(110)의 하방향으로 떨어지거나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 지지대(130)는 지지봉의 개수를 더 늘려서 육류 거치기가 하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항아리(110)의 내부 공간(111)에 대하여 유지보수를 수행하거나 하측에 배치되는 방열 코일에 대하여 교체 또는 유지보수가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안착 지지대(130)는 상기 항아리(110)의 하측 방향으로의 사용자 접근에 간섭을 주지 않는 배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 거치대(130)는 많은 지지봉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외곽에 배치되는 지지봉에 각각 연장되는 봉 형태의 익스텐션부(135)를 구비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익스텐션부(135)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면적이 크거나 또는 복수 개의 육류 거치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익스텐션부(13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지 않는 석쇠를 이용하거나 한 개만의 석쇠를 안착 지지대(130)의 가운데 부분에 안착시켜 초벌구이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면적이 큰 석쇠를 이용하거나 복수 개의 석쇠를 이용하여 상기 안착 지지대(130)에서 초벌구이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아리(110)의 내벽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 거치대(1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아리(110)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 지지봉(131)과 양측 외곽에 위치되되 상기 항아리(110)에 회동 및 수평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외곽 지지봉(133) 및 상기 외곽 지지봉(133) 각각에 연장 형성되되 직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익스텐션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상기 안착 지지대(130)가 하나의 고정 지지봉(131)과 양측 외곽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외곽 지지봉(133)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외곽 지지봉(133)은 각각 수평 방향(도 6에서 화살표(1) 또는 도 7에서 화살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동(도 6에서 회전 방향(2))이 가능한 구조로 상기 항아리(110)에 장착된다. 상기 외곽 지지봉(1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항아리에 장착되되, 상기 항아리(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외곽 지지봉(133)은 도 6에 도시된 수평 방향(화살표(1))로 이동되지만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되어 항아리 내벽 또는 내측에 걸릴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안착 지지대(130)는 면적이 큰 석쇠(육류 거치기) 또는 복수 개의 석쇠(육류 거치기)를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곽 지지봉(133)에 직교하여 연장 형성되는 상기 익스텐션부(135)가 항아리의 내벽을 향하여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곽 지지봉(133) 각각을 제1 수평방향(화살표 방향(1))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익스텐션부(135)가 인접하는 항아리 내벽을 향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회동(회동 방향(2))시킨다. 그러면, 상기 익스텐션부(135)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외곽 지지봉(133)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곽 지지봉(133) 각각은 현 상태(익스텐션부(135)가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곽 지지봉(133) 각각을 제2 수평 방향(화살표 방향(3))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외곽 지지봉(133) 각각에 형성되는 걸림 바(137)가 상기 항아리(110)의 외벽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113)에 걸려서 상기 외곽 지지봉(133) 각각은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익스텐션부(135)는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안착 지지대(130)는 면적이 큰 육류 거치기 또는 복수 개의 육류 거치기를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익스텐션부(135)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의 상기 외곽 지지봉(133)이 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항아리(110)의 외벽에는 상기 외곽 지지봉(133)에 인접하여 걸림 돌기(1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곽 지지봉(133)의 각 끝부분, 구체적으로 상기 항아리(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에는 상기 걸림 돌기(113)에 안착 지지되어 걸릴 수 있는 걸림 바(137)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익스텐션부(135)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다시 원래의 상태(도 4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외곽 지지봉(133) 각각을 왼쪽 방향(화살표 방향(1))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자중에 의하여 상기 외곽 지지봉 각각은 자연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익스텐션부가 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외곽 지지봉(133) 각각을 오른쪽 방향(화살표 방향(3))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최초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 및 동작을 가지는 상기 안착 지지대(130)에 안착 지지되는 육류 거치기에 거치되는 막창 등의 육류는 항아리(110)의 내부 공간(111)에 배치 형성되는 방열 코일(15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초벌구이된다. 이와 같은 상기 방열 코일(15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아리(110)의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되, 상기 항아리(110)의 내벽을 따라 감겨지는 형태로 배치되어 항아리 내부 공간(111)에 열을 발산한다.
상기 방열 코일(150)은 상기 항아리(110)의 내부 공간(111)을 가로질러 배치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내벽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내벽을 따라 감겨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방열 코일(150)은 상기 항아리(110)의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항아리(110)의 열에 의한 깨짐 가능성을 줄여줄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내벽을 따라 감겨지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내부 공간의 중앙 부분에는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초벌구이 과정에서 상기 육류에서 발생되어 하 방향으로 낙하하는 기름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육류 초벌구이 장치(100)에 의하면, 열을 발산하는 방열 코일(150)을 항아리(110)의 내벽에 이격되어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숯불 등의 화력 발생요소를 대체하여 사용 및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방열 코일(150)이 항아리(110)의 내벽 주변을 따라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초벌구이를 위한 화력이 초벌구이 과정에서 발생하여 떨어지는 기름에 의하여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초벌구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방열 코일(150)은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지지대(130)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막창 등의 육류는 타거나 빠르게 건조될 수 있기 때문에, 직화로 초벌구이 되는 것이 아니라, 뜨거운 열 분위기에서 초벌구이 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열 코일(150)은 상기 육류 거치기를 안착 지지하는 안착 지지대(13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육류를 거치하는 육류 거치기를 안착 지지할 수 있는 안착 지지대(130)를 항아리(110)의 내부 공간 상측에 배치하고, 방열 코일(150)을 안착 지지대(130)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너무 높은 온도에 의하여 초벌구이 과정에서 육류가 타거나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방열 코일(1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항아리 내벽을 따라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어 항아리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발산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 코일(150)은 상기 안착 지지대(130)의 하측으로 배치 형성되되,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방열 코일(150)은 서로 직렬(시리즈)로 연결되어 상기 항아리의 내벽을 따라 감겨진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제1 배치구조), 복수 개로 분할되어 상기 항아리의 내벽을 따라 감겨진 형태로 배치(제2 배치구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배치구조는 끊어짐이 없는 긴 방열 코일을 상기 항아리의 내벽을 따라 감겨진 형태로 배치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긴 방열 코일을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긴 방열 코일은 실제 제작 판매되는 경우가 드물고, 실제 적용된다고 할지라도 필요 이상으로 저항이 커져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제2 배치구조는 방열 코일을 복수 개로 분할하여 구성하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도 2, 도 4 및 도 5에서 상기 방열 코일(150)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6줄로 구성되는데, 위에서 두 줄이 시리즈로 연결되고, 이와 별도로 그 다음 두 줄이 시리즈로 연결되며, 마지막 두 줄이 시리즈로 연결되어 3개의 분할된 방열 코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방열 코일은 개별적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산할 수 있고, 개별적으로 제어를 받아서 동작되며,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인하여 필요 이상의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방열 코일이 복수 개로 분할 구성되면, 각각의 방열 코일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저항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각각의 방열 코일에 대한 개별 제어를 통하여 항아리 내부의 온도를 원하는대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열 코일이 복수 개로 분할되어 개별 제어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키고 항아리 내부의 온도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며, 방열 코일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초벌구이 장치(100)는 높은 온도에서 막창 등의 육류에 대하여 초벌구이를 수행하기 때문에, 열에 의한 손상을 대비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방열 코일(150)은 상기 항아리(110)의 내벽에 접촉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이격 배치된다.
그런데, 상기 방열 코일(150)이 상기 항아리(110)의 내벽에 이격 배치되는 것만으로 상기 항아리(110)의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없다. 실제, 상기 항아리(110)는 상기 방열 코일(150)에서 발산된 열에 의하여 깨지거나 금이 가는 등의 열 손상에 노출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육류 초벌구이 장치(100)는 상기 항아리(110)의 내벽에 내화층(170)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초벌구이 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아리(110)의 내벽에는 내화재인 캐스터블(castable)이 발라져서 형성되는 내화층(1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항아리의 내벽에 내화층(170)을 형성시키되, 이 내화층(170)을 내화재인 캐스터블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화층(170)은 상기 내화재인 캐스터블을 상기 항아리(110)의 내벽에 발라서 형성된다.
상기 내화재인 캐스터블은 내화성 골재에 알루미나 시멘트 혹은 인산염 화합물을 배합한 분말상의 내화재료로서, 물을 가해서 혼련하며 소정의 형에 넣음으로써 성형하고, 수경성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며 목지 재료(目地材料)로서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의 내화층은 직접 상기 항아리의 내벽에 발라서 형성시킨다.
경량 캐스터블은 다공질의 경량 골재에 알루미나 시멘트를 배합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최고안전사용온도는 1300℃ 이하이지만, 700℃ 이하에서는 고로 시멘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골재로는 1000℃ 이상의 것으로는 경량 샤모트(chamotte), 1000℃ 이하의 것으로는 팽창 질식(vermiculite), 소석고(calcined) 규조토 등을 사용하고 있다. 시공할 때는 각각 입도 조정을 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상기 캐스터블은 최고안전사용온도가 높기 때문에 상기 방열 코일(150)에서 발산되는 높은 온도의 열로부터 상기 항아리(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항아리의 깨짐 등의 손상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방열 코일(15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가이드 부재(190)들에 의하여 상기 항아리(110)의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 배치되되, 상기 고정 가이드 부재(190)들은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내화층에만 삽입된 상태로 고정 배치되며, 내화재인 캐스터블(castable)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열 코일(150)은 상기 항아리(110)의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되 상기 내벽을 따라 감겨진 형태로 배치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초벌구이 장치는 상기 방열 코일(150)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상기 고정 가이드 부재(190)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가이드 부재(190)는 상기 방열 코일(150)이 내벽을 따라 감겨진 형태로 이격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항아리(110) 내벽에 부착된다. 그런데, 상기 고정 가이드 부재(190)를 상기 항아리 내벽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항아리 내벽을 가공하는 것은 추가적인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소모하는 단점이 있고, 열에 의한 항아리의 깨짐 가능성을 높이는 단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 가이드 부재(190)는 상기 항아리(110)의 내벽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내화층(170)에 의해서만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화층(170)은 알루미나 시멘트가 포함된 캐스터블을 사용하고, 이 캐스터블을 상기 항아리(110)의 내벽에 두껍게 바르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 가이드 부재(190)는 상기 항아리(110)의 내벽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내화층(170)에 의하여 고정 배치되는 구조, 즉 상기 내화층(170)에만 삽입된 상태로 고정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내화층(170)이 알루미나 시멘트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 가이드 부재(190)는 상기 내화층(170)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가이드 부재(190)는 상기 방열 코일(150)을 직접 가이드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내화재이면서 난연재로 형성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가이드 부재(190) 역시 상기 내화층(170)과 동일하게 내화재인 캐스터블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항아리(110)의 내벽에 내화재인 캐스터블을 발라서 형성되는 내화층(170)을 구비하고, 이 내화층(170)에만 삽설되어 방열 코일(150)을 고정하고 가이드하되, 내화재인 캐스터블로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 부재(190)를 구비하기 때문에, 항아리(110)에 대한 가공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높은 온도로 인한 항아리의 깨짐 또는 균열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 : 육류 초벌구이 장치 110 : 항아리
111 : 내부 공간 113 : 걸림 돌기
130 : 안착 지지대 131 : 고정 지지봉
133 : 외곽 지지봉 135 : 익스텐션부
137 : 걸림 바 150 : 방열 코일
170 : 내화층 190 : 고정 가이드 부재

Claims (3)

  1. 육류 초벌구이 장치에 있어서,
    개방된 상부가 뚜껑에 의하여 폐쇄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항아리; 상기 항아리의 내부 공간 상측에 배치되어 육류 거치기를 안착 지지하는 안착 지지대; 상기 항아리의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되, 상기 항아리의 내벽을 따라 감겨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방열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착 지지대는 상기 항아리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 지지봉과 양측 외곽에 위치되되 상기 항아리에 회동 및 수평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외곽 지지봉 및 상기 외곽 지지봉 각각에 연장 형성되되 직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익스텐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항아리의 외벽에는 상기 외곽 지지봉에 인접하여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항아리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외곽 지지봉의 각 끝 부분에는 상기 걸림 돌기에 안착 지지되어 걸릴 수 있는 걸림 바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항아리의 내벽에는 내화재인 캐스터블(castable)이 발라져서 형성되는 내화층이 구비되고, 상기 방열 코일은 고정 가이드 부재들에 의하여 상기 항아리의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 배치되되, 상기 고정 가이드 부재들은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항아리의 내벽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내화층에만 삽입된 상태로 고정 배치되며, 내화재인 캐스터블(castable)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초벌구이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037435A 2017-03-24 2017-03-24 육류 초벌구이 장치 KR101858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435A KR101858898B1 (ko) 2017-03-24 2017-03-24 육류 초벌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435A KR101858898B1 (ko) 2017-03-24 2017-03-24 육류 초벌구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898B1 true KR101858898B1 (ko) 2018-05-16

Family

ID=6245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435A KR101858898B1 (ko) 2017-03-24 2017-03-24 육류 초벌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8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713A (ko) 2020-06-04 2021-12-13 김은진 초벌 구이 장치
KR102426799B1 (ko) 2021-02-05 2022-07-28 백지헌 초벌구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817A (ja) 2004-11-22 2006-06-08 Kenji Suzuki 加熱装置
CN201200335Y (zh) 2008-05-26 2009-03-04 郭志勇 特味环保烧烤罐
JP6015207B2 (ja) * 2012-07-31 2016-10-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アナログ電子時計
KR101676754B1 (ko) 2016-09-11 2016-12-06 민선형 미니 화덕
KR101685840B1 (ko) 2015-09-11 2016-12-21 김성동 단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817A (ja) 2004-11-22 2006-06-08 Kenji Suzuki 加熱装置
CN201200335Y (zh) 2008-05-26 2009-03-04 郭志勇 特味环保烧烤罐
JP6015207B2 (ja) * 2012-07-31 2016-10-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アナログ電子時計
KR101685840B1 (ko) 2015-09-11 2016-12-21 김성동 단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
KR101676754B1 (ko) 2016-09-11 2016-12-06 민선형 미니 화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713A (ko) 2020-06-04 2021-12-13 김은진 초벌 구이 장치
KR102426799B1 (ko) 2021-02-05 2022-07-28 백지헌 초벌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4889B2 (en) High speed baking in novel toasting apparatus
KR101858898B1 (ko) 육류 초벌구이 장치
KR101207996B1 (ko) 숯불구이 장치
US2664490A (en) Broiler griddle mounting means
KR101426439B1 (ko) 가열 조리기
US4023007A (en) Broiler with an endless bar conveyor
KR101937050B1 (ko) 꼬치구이기
KR101401393B1 (ko) 회전식 구이장치
KR101983863B1 (ko) 보온유지가 되어 구이용 음식물이 빠르고 균일하게 익힘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CA2830897C (en) Barbecue,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heat retention, and flare-up prevention
KR20120000415U (ko)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수직형 구이기
KR102174895B1 (ko) 휴대용 직화 구이기
KR101430550B1 (ko)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100883608B1 (ko) 고기구이 장치
KR20140131874A (ko)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102415462B1 (ko) 다목적 화덕
KR200337210Y1 (ko) 화덕 구조
JP3186392U (ja) 食材焼成装置
JP5166086B2 (ja) 上火式焼物器
KR102241292B1 (ko) 회전형 그릴장치
KR200463874Y1 (ko) 꼬치 직화 구이기
KR20100107247A (ko) 열기순환식 고기구이장치
KR20080074446A (ko) 전열식 구이기
KR20080014114A (ko) 원적외선 방출 내열자기의 가열 수단을 갖는 구이기
KR200240904Y1 (ko)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