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799B1 - 초벌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초벌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799B1
KR102426799B1 KR1020210016508A KR20210016508A KR102426799B1 KR 102426799 B1 KR102426799 B1 KR 102426799B1 KR 1020210016508 A KR1020210016508 A KR 1020210016508A KR 20210016508 A KR20210016508 A KR 20210016508A KR 102426799 B1 KR102426799 B1 KR 102426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meat
semi
burner
sm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지헌
Original Assignee
백지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지헌 filed Critical 백지헌
Priority to KR1020210016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육류(생선류 포함)를 초벌하고, 장작에서 발생되는 연기냄새를 입혀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초벌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이용 버너를 구이통(통돌이)의 상부에 배치하여 간접열을 통해 초벌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열시 육류에서 새어져 나오는 기름이 직접 구이용 버너의 불꽃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을음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구이통의 하부에 훈연유닛을 배치하여 육류에 연기냄새를 입혀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초벌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벌구이 장치{APPARATUS FOR ROASTING MEAT}
본 발명은 각종 육류(생선류 포함)를 초벌하고, 장작에서 발생되는 연기냄새를 입혀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초벌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이용 버너를 구이통(통돌이)의 상부에 배치하여 간접열을 통해 초벌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열시 육류에서 새어져 나오는 기름이 직접 구이용 버너의 불꽃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을음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구이통의 하부에 훈연유닛을 배치하여 육류에 연기냄새를 입혀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초벌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육류(막창/등갈비/삼겹살/갈비살/목살/한정살/생선류 등)는 완전히 익히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고객이 오랜 기다림 없이 바로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온도로 육류가 타지 않게 초벌구이 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초벌구이 장치는 통상 육류의 하부에 버너를 배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상측에 배치되는 육류가 익어가는 과정에서 육류에서 새어져 나온 다량의 기름이 상기 버너에 그대로 떨어져 결과적으로 버너의 화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어 심한 그을림을 유발시켜 고기의 풍미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름으로 인해 버너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육류에서 떨어지는 기름으로 인한 문제점은 초벌구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기름을 발생시키는 막창의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름이 다량 발생하는 육류를 초벌구이 할 때에는 기름이 버너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기름으로 인한 화력의 변화를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고, 화력 발생 요소(화덕, 버너, 숯불)가 기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가 제안될 필요가 있다.
KR 10-1969160 B1, 2019. 04. 09. KR 10-2009-0006647 A, 2009. 01. 15. KR 10-1858898 B1, 2018. 05. 10.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구이용 버너를 구이통의 상부에 배치하여 간접열을 통해 초벌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열시 육류에서 새어져 나오는 기름이 직접 구이용 버너의 불꽃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그을음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구이통의 하부에 훈연기를 배치하여 육류에 연기냄새를 입혀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초벌구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함체형 본체; 상기 함체형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측방향으로 불꽃을 뿜는 구이용 버너; 상기 구이용 버너와 이격되도록 상기 구이용 버너의 직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용 버너에서 제공되는 간접열을 통해 내부에 담긴 고기를 초벌하는 구이유닛; 상기 구이유닛의 하측으로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장작을 태워 인위적으로 연기냄새를 발생시켜 상기 구이유닛 내에서 초벌구이되는 고기에 입히는 훈연유닛; 및 상기 훈연유닛의 하측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고기가 익는 과정에서 새어져 나와 상기 구이유닛에서 상기 훈연유닛으로 떨어져 낙하하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벌구이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이유닛은 상기 구이용 버너의 직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내부에 담겨진 고기가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원통형 통돌이 구조로 이루어진 구이통; 상기 본체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구이통의 하부 양측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회전봉; 및 상기 제1 회전봉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이통은 각각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고기를 투입하거나 상기 구이용 버너에 의해 초벌 구이된 고기를 인출하기 위해 서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반원통;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의 양측를 밀폐하도록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측면커버; 상기 제1 및 제2 측면커버 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을 길이방향으로 구획 분할하되,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제1 및 제2 구획판; 및 상기 제2 반원통의 제1 측면커버와 상기 제2 반원통의 제1 구획판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반원통의 제2 측면커버와 상기 제2 반원통의 제2 구획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이통의 회전시 상기 구이통에 투입된 고기를 뒤집는 제1 및 제2 교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이통은 고기를 초벌 구이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이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 측면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을 잠금하는 제1 및 제2 고리와 제1 및 제2 잠금부재; 및 상기 제2 반원통을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반원통의 제1 측면커버에 설치된 손잡이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훈연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부로 불꽃을 뿜는 훈연용 버너; 상기 훈연용 버너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훈연용 버너에서 발생된 불꽃에 의해 타면서 연기를 발생하는 장작이 수용되는 훈연용기; 상기 훈연용기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단면이 'ㅅ'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기가 익는 과정에서 상기 구이유닛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상기 기름받이로 안내하는 고깔형 커버; 및 상기 고깔형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벌구이 장치에 따르면, 불꽃이 하측으로 뿜어져 나오도록 구이용 버너를 배치하고, 고기가 담겨진 구이통을 구이용 버너의 직하부에 배치함에 따라 구이용 버너에서 뿜어져 나온 불꽃이 구이통에 담겨진 고기에 직접 닿지 않고 간접열로 초벌이 이루어짐에 따라 고기가 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기가 간접열에 의해 익는 과정에서 기름이 새어져 나와 하부로 낙하하더라도 구이용 버너가 구이통의 상부에 배치됨에 따라 고기에서 새어져 나오는 기름으로 인해 그을음이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기를 발생하는 훈연용기의 상부를 덮도록 단면이 'ㅅ'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깔형 커버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고기가 익어가는 과정에서 구이유닛에서 떨어지는 기름이 고깔형 커버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기름받이로 안내되어 수집됨으로써 기름으로 인한 그을림 등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따르면, 고깔형 커버 밑에 설치된 훈연용 버너를 이용하여 고기에 훈연향을 입혀줌으로써 훈연재료에 따라 고기에 원하는 훈연향을 입혀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벌구이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이통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되 구이통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구이통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구이통이 회전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벌구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벌구이 장치(10)는 각종 육류(막창/등갈비/삼겹살/갈비살/목살/한정살/생선류 등)를 초벌구이하는 구이 장치로서, 상부에 구이용 버너(12), 예를 들면 가스버너가 장착되는 함체형 본체(11)를 포함한다.
본체(11)는 각종 육류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구울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함체, 예를 들면 사각형 함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상부에는 구이용 버너(12)가 장착된다.
구이용 버너(12)는 일례로 가스버너일 수 있으며, 본체(1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거나, 높이가 조절되도록 본체(11)의 상부 내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도 있다.
구이용 버너(12)의 직하부에는 고기(1, 도 5참조)를 굽기 위한 구이유닛(13)이 배치된다.
구이유닛(13)은 도 1과 같이, 가열기(12)에서 뿜어져 나온 불꽃이 직접 닿지 않도록 구이용 버너(12)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내부에 담겨진 고기(1)가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통돌이 구조의 구이통(131)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이통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되 구이통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구이통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이통(131)은 내부에 투입된 각종 고기(1)가 구이용 버너(12)에서 뿜어져 나오는 불꽃 열기를 간접적으로 전달받아 익을 수 있도록 망체 구조를 갖는 통돌이 구조, 즉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구이통(131)은 내부에 고기(1)를 투입하거나 초벌 구이된 고기(1)를 인출하기 위해 분할된 제1 및 제2 반원통(1311, 1312)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반원통(1311, 1312)은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상호 힌지 결합되어 개폐된다. 즉, 제1 및 제2 반원통(1311, 1312)이 서로 결합되어 개방된 부위가 각각 폐쇄되면 원통형을 이루고, 내부에 고기(1)를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개방되면 반원 형태가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반원통(1311,1312)은 각각 내부에 투입된 각종 고기(1)가 구이용 버너(12)에서 뿜어져 나오는 불꽃 열기를 간접적으로 전달받아 초벌구이 되는 한편, 고기(1)에서 새어져 나오는 기름들이 배출되도록 망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과 같이, 제1 반원통(1311)의 양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양측부를 밀폐하도록 제1 및 제2 측면커버(1311a, 1311b)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반원통(1311)의 양측부에도 양측부를 밀폐하도록 제1 및 제2 측면커버(1312a, 1312b)가 설치된다.
또한, 제1 반원통(1311)에는 제1 및 제2 측면커버(1311a, 1311b) 사이에 나란하게 구획 분할하는 제1 및 제2 구획판(1311c, 1311d)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2 반원통(1312)에도 제1 및 제2 측면커버(1312a, 1312b) 사이에 나란하게 제2 반원통(1312)을 길이방향으로 구획 분할하는 제1 및 제2 구획판(1312c, 1312d)이 설치된다.
제1 및 제2 측면커버(1311a, 1311b, 1312a, 1312b)와, 제1 및 제2 격판(1311c, 1311d, 1312c, 1312d)은 반달형 구조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및 제2 구획판(1311c, 1311d, 1312c, 1312d)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된다.
한편, 제1 및 제2 측면커버(1311a, 1311b, 1312a, 1312b)는 제1 및 제2 반원통(1311, 1312)이 도 2와 같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가 밀폐되는 경우 서로 정렬되어 구이통(131)의 양측부를 밀폐한다. 이때, 제1 및 제2 구획판(1311c, 1311d, 1312c, 1312d) 또한 서로 정렬되어 구이통(131)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구획 분할한다.
도 3과 같이, 제2 반원통(1312)의 제1 측면커버(1312a)와 제1 구획판(1312c)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제1 교반대(1312e)가 설치되고, 제2 측면커버(1312b)와 제2 구획판(1312d) 사이에도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제2 교반대(1312f)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 교반대(1312e, 1312f)는 구이통(131)의 내부에 투입된 고기(1)를 뒤집어 구이통(131)의 내부에서 고기(1)가 골고루 초벌 구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구이통(131)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구이통(131)의 회전시 구이통(131)과 함께 고기(1)가 구이통(131)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교반대(1312e, 1312f)에 의해 걸려 뒤집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교반대(1312e,1312f)는 제1 반원통(1311)에도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반원통(1312)이 아닌 제1 반원통(1311)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구이통(131)은 고기(1)를 초벌 구이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반원통(1311, 1312)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반원통(1311, 1312)을 잠금하기 제1 및 제2 고리(1311e, 1311f)와 제1 및 제2 잠금부재(1312g, 1312h)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2 반원통(1312)을 개방시키기 위해 제2 반원통(1312)의 일측부, 즉, 제1 측면커버(1312a)에는 손잡이봉(1313)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이통(131)은 구이통(131)의 단방향 폭과 좁은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회전봉(132, 133)에 하부 양측부가 지지된다. 그 일례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구이통이 회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으로서, 구이통이 제1 및 제2 회전봉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구이통(131)은 측방향에서 바라볼 때, 하부 양측부가 제1 및 제2 회전봉(132, 133)에 각각 지지된다. 이때, 제1 회전봉(132)은 구동축으로서, 구동부(134), 예컨대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일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및 제2 회전봉(132, 133)은 본체(11)의 내부에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구이통(131)은 제1 회전봉(13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2 회전봉(133)은 종동축으로서, 구이통(131)의 회전에 따라 공회전하여 제1 회전봉(13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구이통(131)은 제1 회전봉(132)이 구동부(13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동안 회전한다.
구동부(134)의 구동에 의해 구이통(131)이 회전하면, 구이통(131)의 내부에 투입된 고기(1)는 구이통(13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유동하여 골고루 익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같이, 불꽃이 하측으로 뿜어져 나오도록 구이용 버너(12)를 배치하고, 또한 고기(1)가 담겨진 구이통(131)을 구이용 버너(12)의 직하부에 배치함에 따라 구이용 버너(12)에서 뿜어져 나온 불꽃이 구이통(131)에 담겨진 고기(1)에 직접 닿지 않고 간접열로 초벌이 이루어져 고기(1)에타지 않는다.
그리고, 고기(1)가 간접열에 의해 익는 과정에서 기름이 새어져 나와 하부로 낙하하더라도 구이용 버너(12)가 구이통(131)의 상부에 배치됨에 따라 고기(1)에서 새어져 나오는 기름으로 인해 그을음이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구이유닛(13)의 하측으로 본체(11)의 내측 하부에는 장작 등을 태워 인위적으로 연기냄새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연기냄새를 구이통(131)에 담겨진 고기(1)에 입혀 고기의 풍미를 향상시키는 훈연유닛(14)이 설치된다.
훈연유닛(14)은 도 1과 같이, 본체(1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 설치된 훈연용기(142)의 내부에 투입된 장작(2) 등을 태워 연기(3)를 인위적으로 발생시키는 훈연용 버너(141)가 설치된다. 이때, 훈연용 버너(141)는 1구 버너를 사용할 수 있다.
훈연용기(142)의 상부에는 단면이 'ㅅ'자 형상을 갖는 고깔형 커버(143)가 설치된다. 이때, 고깔형 커버(143)는 도 1과 같이, 지지대(144)에 의해 지지 설치된다.
그리고, 고깔형 커버(143)는 중앙에서 양측부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구이통(131)의 고기(1)에서 새어져 나온 기름이 고깔형 커버(143)에 떨어지면 중력에 의해 상면을 따라 미끄러져 기름받이(15)로 배출된다. 이때, 고깔형 커버(143)는 중앙에서 하측으로 30~80°의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깔형 커버(143)는 구이통(131) 내부에 담겨진 고기(1)가 익어가는 과정에서 고기(1)에서 새어져 나오는 기름이 훈연용기(142)의 내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구이통(131)의 내부에 담겨진 고기(1)에서 새어져 나오는 기름은 고깔형 커버(143)를 따라 흘러내려 본체(11)의 하부에 설치된 기름받이(15)로 배출되어 수집된다.
또한, 훈연유닛(14)은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된 승강판(미도시)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승강판은 본체(11)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부로 승하강할 수도 있다.
도 1과 같이, 기름받이(15)는 훈연용 버너(141)의 하부 또는 나란하게 설치되어 고깔용 커버(143)를 따라 흘러 내리는 기름을 받아 배출한다. 그리고, 수집된 기름을 배출하기 위해 기름받이(15)는 본체(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름받이(15)의 구조, 형상 및 설치되는 위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그리고, 기름받이(15)의 주변에는 고기의 잡내와 원하는 훈연향을 입히기 위해 기름통(미도시)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입하여 고기의 향과 맛을 유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고기 2 : 장작(나무)
3 : 연기 10 : 초벌구이 장치
11 : 본체 12 : 구이용 버너
13 : 구이유닛 131 : 구이통
132 : 제1 회전봉(구동축) 133 : 제2 회전봉(종동축)
134 : 구동부 14 : 훈연유닛
141 : 훈연용 버너 142 : 훈연용기
143 : 고깔형 커버 144 : 지지대
1311 : 제1 반원통 1312 : 제2 반원통
1311a, 1311b : 제1 및 제2 측면커버
1311c, 1311d : 제1 및 제2 구획판
1311e, 1311f : 제1 및 제2 고리
1312a, 1312b : 제1 및 제2 측면커버
1312c, 1312d : 제1 및 제2 구획판
1312e, 1312f : 제1 및 제2 교반대
1312g, 1312h : 제1 및 제2 잠금부재
1313 : 손잡이봉

Claims (5)

  1. 함체형 본체;
    상기 함체형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측방향으로 불꽃을 뿜는 구이용 버너;
    상기 구이용 버너와 이격되도록 상기 구이용 버너의 직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용 버너에서 제공되는 간접열을 통해 내부에 담긴 고기를 초벌하는 구이유닛;
    상기 구이유닛의 하측으로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장작을 태워 인위적으로 연기냄새를 발생시켜 상기 구이유닛 내에서 초벌구이되는 고기에 입히는 훈연유닛; 및
    상기 훈연유닛의 하측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고기가 익는 과정에서 새어져 나와 상기 구이유닛에서 상기 훈연유닛으로 떨어져 낙하하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를 포함하되,
    상기 구이유닛은,
    상기 구이용 버너의 직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내부에 담겨진 고기가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원통형 통돌이 구조로 이루어진 구이통;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구이통의 하부 양측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회전봉;
    상기 제1 회전봉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이통은,
    각각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고기를 투입하거나 상기 구이용 버너에 의해 초벌 구이된 고기를 인출하기 위해 서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반원통;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의 양측를 밀폐하도록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측면커버;
    상기 제1 및 제2 측면커버 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을 길이방향으로 구획 분할하되,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제1 및 제2 구획판; 및
    상기 제2 반원통의 제1 측면커버와 상기 제2 반원통의 제1 구획판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반원통의 제2 측면커버와 상기 제2 반원통의 제2 구획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이통의 회전시 상기 구이통에 투입된 고기를 뒤집는 제1 및 제2 교반대;를 포함하고,
    상기 훈연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부로 불꽃을 뿜는 훈연용 버너;
    상기 훈연용 버너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훈연용 버너에서 발생된 불꽃에 의해 타면서 연기를 발생하는 장작이 수용되는 훈연용기;
    상기 훈연용기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단면이 'ㅅ'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기가 익는 과정에서 상기 구이유닛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상기 기름받이로 안내하는 고깔형 커버; 및
    상기 고깔형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벌구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통은,
    고기를 초벌 구이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이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 측면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반원통을 잠금하는 제1 및 제2 고리와 제1 및 제2 잠금부재; 및
    상기 제2 반원통을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반원통의 제1 측면커버에 설치된 손잡이봉;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벌구이 장치.


  5. 삭제
KR1020210016508A 2021-02-05 2021-02-05 초벌구이 장치 KR102426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508A KR102426799B1 (ko) 2021-02-05 2021-02-05 초벌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508A KR102426799B1 (ko) 2021-02-05 2021-02-05 초벌구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799B1 true KR102426799B1 (ko) 2022-07-28

Family

ID=8260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508A KR102426799B1 (ko) 2021-02-05 2021-02-05 초벌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79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4082U (ko) * 1989-11-15 1991-07-25
JPH0833577A (ja) * 1994-07-25 1996-02-06 Rinnai Corp 焼物調理器
KR20090006647A (ko) 2007-07-12 2009-01-15 강영순 구이용 석쇠 및 석쇠 조립체
KR20130003596U (ko) * 2011-12-08 2013-06-18 정순경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KR20150017110A (ko) * 2013-08-06 2015-02-16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리형 회전 육류 구이기
KR101858898B1 (ko) 2017-03-24 2018-05-16 조현숙 육류 초벌구이 장치
KR101969160B1 (ko) 2018-10-24 2019-04-16 주식회사 장단지 숯불 훈연 구이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4082U (ko) * 1989-11-15 1991-07-25
JPH0833577A (ja) * 1994-07-25 1996-02-06 Rinnai Corp 焼物調理器
KR20090006647A (ko) 2007-07-12 2009-01-15 강영순 구이용 석쇠 및 석쇠 조립체
KR20130003596U (ko) * 2011-12-08 2013-06-18 정순경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KR20150017110A (ko) * 2013-08-06 2015-02-16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리형 회전 육류 구이기
KR101858898B1 (ko) 2017-03-24 2018-05-16 조현숙 육류 초벌구이 장치
KR101969160B1 (ko) 2018-10-24 2019-04-16 주식회사 장단지 숯불 훈연 구이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74082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1857A (en) Infrared gas grill
US3369481A (en) Broiler
EP2363645B1 (en) Radiant tube broiler
US6000389A (en) Grill
US5431093A (en) Barbecue device
US5536518A (en) Convertible grill/rotisserie barbecue
US4697506A (en) Tray for generating food flavoring smoke
AU2018251790A1 (en) Smoker or grill ash management system
US3386432A (en) Barbeque grill
NO141032B (no) Transportabel grill.
US6041695A (en) BBQ oven
EP0127355A2 (en) Ovens
KR200463877Y1 (ko) 숯불을 이용한 훈제기
KR101269786B1 (ko) 숯불구이기
KR100828035B1 (ko) 균질조리 바베큐 장치 및 방법
US4638787A (en) Grill means
KR102426799B1 (ko) 초벌구이 장치
KR101298093B1 (ko) 바베큐장치
KR101974094B1 (ko) 회전 구이 장치
KR20040107460A (ko) 숯불구이장치
EP0069187A1 (en) Vertical grill cooking device
KR101241174B1 (ko) 바비큐 구이기
KR100776306B1 (ko) 바베큐 장치
US3327617A (en) Barbecue apparatus
KR20160144724A (ko) 고기구이용 화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