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393B1 - 회전식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393B1
KR101401393B1 KR1020130158512A KR20130158512A KR101401393B1 KR 101401393 B1 KR101401393 B1 KR 101401393B1 KR 1020130158512 A KR1020130158512 A KR 1020130158512A KR 20130158512 A KR20130158512 A KR 20130158512A KR 101401393 B1 KR101401393 B1 KR 101401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frame
reflector
main body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은혁
Original Assignee
전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혁 filed Critical 전은혁
Priority to KR1020130158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2Reflector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4Radiant bodies or panels for radiation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열원과 상기 열원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이통과 상기 구이통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열원과 상기 구이통 사이에 위치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장치를 제공하여, 차단부를 구비하여 구이물이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것과 기름이 직접 열원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이망이 좌우로 회전하여 구이물이 골고루 익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구이장치{Rolling Type Roaster}
본 발명은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열원의 가열에 의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차단부를 구비한 회전식 구이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육류나 생선류 등의 구이물을 직화로 구이시 구이 맛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어 많이 선호되고 있다. 직접 열을 가하는 직화구이는 열을 공급하는 열원으로 주로 부탄가스, 장작, 숯, 연탄 등의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직화 방식으로 구이시 구이물이 열원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구이과정에서 직화열에 의하여 쉽게 타는 경향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화력을 조절하는 것은 구이류의 종류에 따른 화력의 조절이 어렵고, 조리사가 육안으로 구이물의 상태를 주시하여 구이물을 반복적으로 뒤집어 주는 것은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구이물이 연소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탄내가 발생하게 되며, 특히 양념구이를 할 경우 외부의 양념이 먼저 타고 내부가 설익게 된다. 이 경우 탄부분을 제거하거나 설익은 부위를 잘라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직화 방식을 이용하여 지방이 많이 포함된 구이물, 특히 삼겹살이나 닭발 등을 구울 경우 지방에서 기름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기름이 열원으로 직접 낙하하게 되어 열원의 화력이 세어지면서 불꽃이 높게 치솟아 오르게되는 단점과 함께, 상기 강해진 화력에 의해 구이물 전체가 타거나 구이물을 요리하던 요리사가 화상을 입게 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773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이물이 열원과 직접 접촉 하는 것과 기름이 열원으로 직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이물이 전체적으로 잘 익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회전식 구이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열원과 상기 열원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이통과 상기 구이통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열원과 상기 구이통 사이에 위치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이통은 원통 형상이며, 상기 차단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부는, 제1 차단부 프레임, 상기 제1 차단부 프레임고 마주보는 제2 차단부 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1 차단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차단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 상기 복수의 지지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열원의 가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방출부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메시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차단부 프레임과 상기 제2 차단부 프레임은 호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시벨트는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출부재의 일면은 하나 이상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원은, 제1 열원 프레임, 상기 제1 열원 프레임과 마주보는 제2 열원 프레임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이통은,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하여 구이 공간을 이루는 측벽부, 및 상기 지지부의 중심으로부터 연장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는 단면이 다각형 형상인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결합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이통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에는 온도 감지기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냉각수 저장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냉각수 저장 공간에 연통하는 냉각수 유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냉각수 저장 공간에 연통하는 증기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이통은, 상기 지지부와 마주보되 상기 측벽부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이통의 상기 뚜겅 및 상기 지지부는 반사판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이통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가능한 후드, 및 상기 후드에 연결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판은, 중심 반사판, 및 상기 중심 반사판에서 연장하는 측면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반사판은 상기 중심 반사판과 둔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원의 온도는 1200~1300℃로 상기 방출부재를 가열하며, 상기 방출부재는 550~650℃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회전식 구이장치에 따르면, 차단부를 구비하여 구이물이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것과 기름이 직접 열원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이통이 좌우로 회전하여 구이물이 골고루 익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회전식 구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회전식 구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회전식 구이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사시도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이통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회전식 구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회전식 구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회전식 구이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회전식 구이장치(1)는, 회전식 구이장치(1)를 지지하는 본체(10), 본체(10)와 결합하는 열원(20), 열원(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받도록 열원(20)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이통(40), 구이통(40) 일측에서 상기 구이통(40)과 결합하여 구이통(4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60) 및 열원(20)과 구이통(40) 사이에 위치하며 열원(20)의 가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차단부(30), 구이통(40) 상부에 위치하여 발생하는 연기와 냄개를 외부로 방출하는 후드(50)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일실시예로, 본체(10)는 열원(20)이 위치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열원(20)의 가열에 의해 본체(10)가 가열되어 요리사가 화상을 입거나 폭발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 유입구(14)를 가진다. 냉각수 유입구(14)는 냉각수 저장공간(미도시)과 연결되며, 냉각수 유입구(14)로 유입된 냉각수는 본체(10)의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된 냉각수 저장공간(미도시)에서 본체(10)의 가열을 방지한다. 냉각수 유입구(14)에 주입되는 냉각수는 냉각을 위한 물이외 다양한 실시예로 변경이 가능하다. 유입된 냉각수는 냉각수 유출구(15)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며, 부족해진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구(14)를 통하여 보충된다. 또한, 냉각수 저장공간에서 가열된 냉각수는 냉각수 저장공간과 연통된 증기 배출구(18)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본체(10)는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기(12)를 가진다. 구이물의 종류는 삼겹살, 닭발, 군밤, 닭날개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각각의 구이물마다 구이를 위한 최적의 온도가 존재한다. 온도감지기(12)는 최적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이를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고정부(16)는 본체(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차단부(30)가 열원(2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차단부(30)를 지지 및 고정한다.
열원(20)은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구이물을 가열한다. 열원(20)의 종류로는 물체를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열원(20)의 일실시예로 가스 버너가 사용될 수 있다.
구이통(40)은 열원(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받을 수 있도록 열원(20)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구이통(40)의 일실시예로 원통 형상의 구이통(40)은 지지부(46), 지지부(46)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하여 구이 공간을 이루는 측벽부(48), 상기 지지부(46)의 중심으로부터 연장하는 결합부(42)와 상기 지지부(46)와 마주보되 상기 측벽부(48)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뚜껑(44)을 포함한다. 측벽부(48)는 그물 형상의 재질로 구성되며, 그물 형상에서 구멍의 크기는 구이물의 종류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구동부(60)는 구이통(40)의 지지부(46)에 구비된 결합부(42)와 결합하여 구이통(40)을 회전시킨다. 구동부(60)의 일측면에는 결합부(42)에 마련된 결합공(43)과 결합하기 위한 회동축(62)이 마련되어 있다. 구동부(60)의 일실시예로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60)는 구이물이 골고루 익도록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차단부(30)는 열원(20)과 구이통(40) 사이에 위치하며, 열원(20)의 가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차단부(30)의 일실시예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 구이통(4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곡면의 형상을 가져 차단부(30)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이 구이통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한다. 차단부(30)는 열원(20)으로부터 구이통(40)으로 직접 열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구이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이 직접 열원(20)과 접촉하여 화력이 강해지거나, 강해진 화력에 의해 구이물 전체가 타는 것을 방지한다.
후드(50)는 구이통(40)의 상부에 마련되며 직선 이동이 가능하여 요리를 하지 않는 경우 공간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후드(50)에는 반사판이 구비될 수 있다. 반사판의 일실시예로 후드(50)의 단부와 연결되는 중심 반사판(54)과 중심 반사판(54)에서 연장하는 측면 반사판(52)을 가지며, 측면 반사판(52)은 중심 반사판과 둔각을 가져 차단부(30)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구이통(40)으로 집중시켜 구이물이 골고루 익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중심 반사판(54)과 측면 반사판(52)의 재질은 원적외선을 반사시키는 기술 사상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사시도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배면도이다.
차단부(30)는 제1 차단부 프레임(33)과 제1 차단부 프레임(33)과 마주보는 제2 차단부 프레임(34), 일단이 상기 제1 차단부 프레임(33)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차단부 프레임(34)과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38), 복수의 지지 프레임(38) 사이에 구비되며 열원(20)의 가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방출부재(36) 및 상기 지지 프레임(38)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메시벨트(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방출부재(36)는 알루미나('산화알루미늄'이라고도 함)가 포함된 맥반석으로 구성된다. 돌의 일반적인 속성은 고열을 반복적으로 가했을 경우 균열이 발생하며, 곡면으로 둥글게 만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돌가루를 1700도씨의 열로 성형하여 자유로운 곡면을 만들 수 있다. 방출부재(36)는 열원(20)에 의한 가열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사방으로 방출되도록 곡면의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원적외선으로 구이물을 익힐 경우 파장에 의해 속부터 익으며, 잡냄새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양념이 된 구이물을 구이할 때, 양념이 먼저 타는 단점을 극소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지지 프레임(38)은 방출부재(36)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실시예로 지지 프레임(38)은 곡면의 형상을 가지는 방출부재(3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방출부재(36) 최소폭보다 작은 간격으로 방출부재(36)의 양측에 구비된다.
제1 차단부 프레임(33)과 제2 차단부 프레임(34)의 일실시예로 원통 형상의 구이통(40)과 곡면의 형상을 가지는 열원(20) 사이에 위치하며, 구이통(40)과 열원(20) 사이에서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
메시벨트(32)는 지지 프레임(38)의 상부에 고정되며 탈부착이 가능하다. 메시벨트(32)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38)이 구이통(40)과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부(30) 상부 구이통(40)에서 떨어지는 기름이나 이물질이 하부 열원(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메시벨트(32)는 신축성을 가지며 조리시에는 압축되어 있어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이나 이물질이 하부 열원(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나, 세척시에는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여 벨트 사이의 기름이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원의 사시도이다.
열원(20)을 본체(10)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열원 프레임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제1 열원 프레임(22), 제1 열원 프레임(22)과 마주보는 제2 열원 프레임(23) 사이에 복수로 설치되는 열원(20)을 포함한다. 제1 열원 프레임(22)과 제2 열원 프레임(23)은 원통형의 구이통(40)에 고른 열을 가하기 위해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면의 열원 프레임(22)에는 길이 방향의 가스 버너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가스 버너의 일정간격은 화력의 세기에 따라 조절한다.
열원의 일실시예로 가스불을 사용시, 가스불 온도가 1200~1300℃일 경우, 방출부재(36)의 온도는 구이물을 구이하는 최상의 온도인 580℃내외로 유지된다. 또한 구이물이 익는 적정온도는 구이물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600℃ 내외(550~650℃)에서 15-25분 정도 가열시 최상의 구이물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가스불을 맥반석이 흡수하여 복사열을 내뿜을 때,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파장이 구이물 내부 깊숙히 침투하여 잡내를 없애주고 장작구이 및 숯불 효과를 내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구동부(60)는 구이통(40)을 회전시키며, 좌우 회전이 가능하다. 구동부(60)의 전방에는 구이통(40)의 지지부(46)에 마련된 결합부(42)와 결합하여 구이통(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동축(62)이 구비된다. 일실시예로 구동부(60)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터와 결합하는 회동축(62)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각형 형상의 회동축(62)은 구이통(40)에 마련된 결합부(42)와 치합되어 회전력이 손실없이 전달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이통의 사시도이다.
구이통(40)의 뚜껑(44)과 지지부(46)는 반사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반사판은 차단부(30)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반사하며 열의 손실발생을 감소시키며 구이물이 골고루 익도록 할 수 있다. 반사판의 재질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 원적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기술 사상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식 구이장치(1)에 의하면, 차단부(30)를 구비하여 구이물이 열원(20)과 직접 접촉하는 것과 기름이 직접 열원(20)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이통(40)이 좌우로 회전하여 구이물이 골고루 익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회전식 구이장치
10 : 본체 12 : 온도감지기
14 : 냉각수 유입구 15 : 냉각수 유출구
16 : 고정부 18 : 증기 배출구
20 : 열원 22 : 제1 열원 프레임
23 : 제2 열원 프레임 30 : 차단부
32 : 메시벨트 33 : 제1 차단부 프레임
34 : 제2 차단부 프레임
36 : 방출부재 38 : 지지 프레임
40 : 구이통 42 : 결합부
43 : 결합공 44 : 뚜껑
46 : 지지부 48 : 측벽부
50 : 후드 52 : 측면 반사판
54 : 전면 반사판
60 : 구동부 62 : 회동축

Claims (18)

  1.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열원;
    상기 열원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이통;
    상기 구이통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열원과 상기 구이통 사이에 위치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는,
    제1 차단부 프레임,
    상기 제1 차단부 프레임과 마주보는 제2 차단부 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1 차단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차단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
    상기 복수의 지지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열원의 가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방출부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메시벨트를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2. 제1 항에서,
    상기 구이통은 원통 형상이며,
    상기 차단부는 곡면을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3. 삭제
  4. 제1 항에서,
    상기 제1 차단부 프레임과 상기 제2 차단부 프레임은 호 형상인 회전식 구이장치.
  5. 제1 항에서,
    상기 메시벨트는 신축성을 가지는 회전식 구이장치.
  6. 제1 항에서,
    상기 방출부재의 일면은 하나 이상의 곡면을 갖는 회전식 구이장치.
  7. 제1 항에서,
    상기 열원은,
    제1 열원 프레임,
    상기 제1 열원 프레임과 마주보는 제2 열원 프레임에 복수로 구비되는 회전식 구이장치.
  8. 제1 항에서,
    상기 구이통은,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하여 구이 공간을 이루는 측벽부, 및
    상기 지지부의 중심으로부터 연장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회전식 구이장치.
  9. 제8 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단면이 다각형 형상인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결합공을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10. 제1 항에서,
    상기 구이통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식 구이장치.
  11. 제1 항에서,
    상기 본체에는 온도 감지기가 구비되는 회전식 구이장치.
  12. 제1 항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냉각수 저장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냉각수 저장 공간에 연통하는 냉각수 유입구가 구비되는 회전식 구이장치.
  13. 제12 항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냉각수 저장 공간에 연통하는 증기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14. 제8 항에서,
    상기 구이통은,
    상기 지지부와 마주보되 상기 측벽부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15. 제14 항에서,
    상기 구이통의 상기 뚜껑 및 상기 지지부는 반사판이 구비되는 회전식 구이장치.
  16. 제1 항에서,
    상기 구이통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가능한 후드, 및
    상기 후드에 연결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17. 제16 항에서,
    상기 반사판은,
    중심 반사판, 및
    상기 중심 반사판에서 연장하는 측면반사판,
    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반사판은 상기 중심 반사판과 둔각을 이루는 회전식 구이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의 온도는 1200~1300℃로 상기 방출부재를 가열하며,
    상기 방출부재는 550~650℃의 온도로 가열되는 회전식 구이장치.
KR1020130158512A 2013-12-18 2013-12-18 회전식 구이장치 KR101401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512A KR101401393B1 (ko) 2013-12-18 2013-12-18 회전식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512A KR101401393B1 (ko) 2013-12-18 2013-12-18 회전식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393B1 true KR101401393B1 (ko) 2014-05-30

Family

ID=5089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512A KR101401393B1 (ko) 2013-12-18 2013-12-18 회전식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3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648U (ko) 2018-03-23 2018-09-05 김민상 육각 구이통 회전 구이기
KR102082143B1 (ko) 2018-09-11 2020-02-27 류욱현 회전식 직화 구이장치
KR102131795B1 (ko) 2019-01-29 2020-07-08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자동화 가열 조리기
KR20200097436A (ko) 2019-02-08 2020-08-19 김용욱 구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881A (ko) * 1998-01-10 1999-08-05 이판갑 통닭 바비큐 조리기
KR200169893Y1 (ko) * 1999-09-03 2000-02-15 윤용식 고기 구이기
KR200405147Y1 (ko) * 2005-10-14 2006-01-10 여창동 다단 회전식 바베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881A (ko) * 1998-01-10 1999-08-05 이판갑 통닭 바비큐 조리기
KR200169893Y1 (ko) * 1999-09-03 2000-02-15 윤용식 고기 구이기
KR200405147Y1 (ko) * 2005-10-14 2006-01-10 여창동 다단 회전식 바베큐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648U (ko) 2018-03-23 2018-09-05 김민상 육각 구이통 회전 구이기
KR102082143B1 (ko) 2018-09-11 2020-02-27 류욱현 회전식 직화 구이장치
KR102131795B1 (ko) 2019-01-29 2020-07-08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자동화 가열 조리기
KR20200097436A (ko) 2019-02-08 2020-08-19 김용욱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72586C (en) Roasting oven
KR101401393B1 (ko) 회전식 구이장치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101626718B1 (ko) 장작을 이용한 고기 구이 장치
EP1411771B1 (en) Roasting oven
KR20140003929A (ko) 회전식 구이기
KR200451873Y1 (ko) 고기구이 겸용 황토가마 조리기
KR100903720B1 (ko) 오리 통구이기
KR101568760B1 (ko) 훈연 바비큐 구이장치
KR101689089B1 (ko) 가마형 구이장치
US8776675B1 (en) Meat rotisserie and associated method
KR101449555B1 (ko)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KR200441881Y1 (ko) 커버를 구비한 할로겐 램프 구이기
JP2008079888A (ja) 焼き上げ装置
KR20080003993U (ko) 회전가열식 숯불구이기
KR101521154B1 (ko) 천연석을 이용한 직화 구이장치
KR20160144724A (ko) 고기구이용 화덕
KR20210078374A (ko) 대형삽을 적용한 대형 철판구이 장치
KR200249198Y1 (ko) 석쇠판 및 고기구이판 겸용 고기구이기
KR100532710B1 (ko) 숯불 및 전기가열식 2단구이 바비큐장치
KR101513272B1 (ko)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춘 고기구이장치
KR101202937B1 (ko) 차단판이 구비된 바비큐구이기
RU13696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200185603Y1 (ko) 회전식 원적외선 방사 고기구이기
KR200260531Y1 (ko)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