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564B1 - 이동식 소형 화덕 - Google Patents

이동식 소형 화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564B1
KR102118564B1 KR1020190002952A KR20190002952A KR102118564B1 KR 102118564 B1 KR102118564 B1 KR 102118564B1 KR 1020190002952 A KR1020190002952 A KR 1020190002952A KR 20190002952 A KR20190002952 A KR 20190002952A KR 102118564 B1 KR102118564 B1 KR 10211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oking
crater
wall
fire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김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규 filed Critical 김민규
Priority to KR1020190002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04Ovens heated by fire before baking only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24Ovens heated by media flowing therethrough
    • A21B1/26Ovens heated by media flowing therethrough by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13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gas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2Reflector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수용공간을 가진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화구, 상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 및 상기 몸체 내부에 가로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일부를 구획하여 하부의 조리공간과 상부의 배기공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화구의 화기가 상기 하부의 조리공간과 상부의 배기공간을 순차로 거쳐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화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횡내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형 화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소형 화덕 {PORTABLE SMALL FIRE POT}
본 발명은, 이동식 소형 화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 유지와 열 효율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화덕의 무게 및 부피를 축소하여 휴대가 가능한 이동식 소형 화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돼지고기, 소고기, 오리, 생선, 닭 등과 같은 육류나 피자 등과 같은 제빵류를 불로 조리하기 위해서는 프라이팬이나 제빵기구 등과 같은 조리용 기구를 이용하여 조리한다.
근래에는 육류나 제빵류를 더욱 맛있게 조리하기 위해 황토로 만들어진 가마 형태의 화덕을 이용하여, 화덕 내부에서 피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단순히 조리용 기구로 구워 익혀 먹는 것과는 달리 화덕의 내부에서 고열로 단시간에 구워 조리함으로써, 맛의 풍미를 향상시킴은 물론, 음식물의 표면이 조리용 기구에 의해 국부적으로 가열되지 않고 전체가 골고루 가열되는 장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마형태의 화덕은, 통상적으로 내화벽돌로 형성된 본체의 외주로 황토를 적층하여 마감 처리하고 내부가 밀폐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본체의 내부에는 가열을 위한 버너 등과 같은 가열수단을 갖고, 전면에는 음식물을 내부로 출납할 수 있는 출입구와,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연통을 갖는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179394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12-83128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676754호 등에서는 화덕과 관련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종래 화덕은 단열이 잘 되지 않아 열손실이 많을 뿐만 아니라 열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화덕은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서 휴대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본 발명자는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832872호를 통해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제시하였으나, 여전히 열효율이 더 높은 화덕에 대한 기술 구현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179394 B1 KR 10-2012-83128 A1 KR 10-1676754 B1 KR 10-1832872 B1
본 발명은, 조리 공간 내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고, 열 효율이 좋은 이동식 소형 화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 수용공간을 가진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화구, 상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 및 상기 몸체 내부에 가로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일부를 구획하여 하부의 조리공간과 상부의 배기공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화구의 화기가 상기 하부의 조리공간과 상부의 배기공간을 순차로 거쳐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화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횡내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형 화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횡내벽은, 상기 화기 유로의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저항체는, 상기 저항체의 상기 화구를 향한 면과 상기 횡내벽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구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되, 상기 화기를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반사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반사판은,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반사 모듈이 복수 개로 이루어져 방사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반사판은,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기구에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연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통의 말단부에는 배기가스가 빠져나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가스홈 또는 배가스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조리물이 안착되되, 상기 도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인출입되는 조리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리플레이트는, 상기 화구에 대응하는 위치상에서 상기 화구 주변에 상기 화기가 직접 상기 조리플레이트 위로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화기를 차단하기 위한 가림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리플레이트는, 상기 조리공간으로 인입시 상기 화구가 인입될 수 있도록 후방 단부에 형성된 요홈, 상기 화구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되, 상기 화기를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반사판, 및 상기 조리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체는, 외측 상면에 상기 수용공간 내 열기를 이용하여 피조리물을 가열하는 보조조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소형 화덕은, 조리 공간 내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고, 열 효율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소형 화덕은, 무게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휴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소형 화덕은, 피조리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조리플레이트를 완전히 밖으로 인출가능하여, 이동식 소형 화덕의 내부 및 조리플레이트에 대한 용이한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소형 화덕은, 내부의 조리공간 이외에 외측 상면 및/또는 연통 상부에서도 피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소형 화덕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소형 화덕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내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납되는 도어 및 조리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소형 화덕의 도어가 개방되고 보조조리판이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공간의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소형 화덕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또 다른 구현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소형 화덕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소형 화덕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소형 화덕(100)은, 내부 수용공간을 가진 몸체, 몸체의 내측 저면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화구(130), 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50), 및 몸체 내부에 가로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하부의 조리공간(S1)과 상부의 배기공간(S2)으로 구획하여, 화구(130)의 화기가 상기 하부의 조리공간(S1)과 상부의 배기공간(S2)을 순차로 거쳐 배기구(150)를 통해 배출되도록, 화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횡내벽(1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2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식 소형 화덕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몸체는 내부에 피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갖되,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수용공간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구될 수 있다.
개구된 일측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10)를 포함하여, 사용자는 개방된 도어(110)를 통해 피조리물을 수용공간 또는 조리공간에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킬 수 있으며, 도어(110)를 폐쇄하여 수용공간 내 고온의 분위기를 급속히 형성되도록 하고, 고온의 열이 도어(110)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어(110)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구현예에 따라 도어(110)를 구비하지 않고 배기구(150)를 통해 피조리물을 수용공간 또는 조리공간에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10)는, 개구된 몸체의 일 측면과 힌지결합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개폐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110)는 전체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개폐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10)의 후면에는 도어(11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그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14a, 114b)이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14a, 114b)이 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인입 또는 인출됨으로써 도어(11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도어(110)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손잡이(111)를 파지하여 당김으로써 도어(110)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도어손잡이(111)를 파지하여 밀어냄으로써 도어(11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손잡이(111)는 조리공간 내 고온의 열기가 전달되지 않도록 부도체인 나무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도어(11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도어(110)가 인출시 몸체의 전방은 완전히 개방되어 사용자는 몸체 내부의 조리공간에 대한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조리공간에서 조리되는 피조리물로부터 유출된 기름때를 청소하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110)는 몸체로부터 완전히 탈착 가능함으로써 내부 조리공간에 대한 청소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어(110)의 후면에는 피조리물이 안착되는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가 장착될 수 있는 조리플레이트(120)가 직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조리플레이트(120)는 도어(11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 위에 피조리물을 안착시키거나 상기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를 손쉽게 탈착/분리할 수 있게 되어, 피조리물이 안착되는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 및 이를 안착시킬 수 있는 조리플레이트(120)에 대한 청소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어(110)는 외측 프레임(110a)과, 상기 외측 프레임(110a)의 내측에 개폐가능한 내측도어(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도어(112)의 일 외측과 도어(110)의 외측 프레임(110a)의 일 내측이 힌지결합할 수 있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내측도어(112)가 아래로 회동함으로써 내측도어(112)는 개방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도어(110)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손잡이(111)를 파지하여 당기거나 밀어냄으로써 도어(11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고, 또 사용자는 내측도어(112)의 전방에 설치된 내측도어손잡이(113)를 파지하여 당기거나 밀어냄으로써 내측도어(112)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이렇게 개방 가능한 내측도어(112)에 의해 분리된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는 개방된 내측도어(112)를 통해 출납 가능하여, 사용자는 도어(110)를 전부 인출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개방된 내측도어(112)를 통해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를 분리하여 밖으로 인출시키거나 다시 인출된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를 몸체 내부에 인입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내측도어(112)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내측도어손잡이(113) 역시 열이 전도되지 않은 부도체인 나무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측도어(112)는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프레임의 내측에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내부 조리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어(110) 또는 내측도어(112)에는 온도계(115)가 설치되어 내부 조리공간(S1 또는 S2)의 온도를 계측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방에 설치된 도어(110) 이외에 몸체 좌측벽 및/또는 우측벽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10) 이외에 좌우측벽의 적어도 일부가 하단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힌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개방된 좌우측벽은 선반 역할을 하여, 별도의 선반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피조리물이나 양념 따위 등을 개방된 좌우측벽 상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개방된 좌우측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상기 좌우측벽의 외벽, 바람직하게는 힌지 결합부 부근 외벽에 지지대가 돌출 형성되어 좌우측벽 개방시 상기 돌출 형성된 지지대에 의해 소정 각도 이상 젖혀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개방된 좌우측벽 상에 올려놓은 물건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화구(130)는 몸체의 내측 저면의 일측에 위치하여, 화구(130)를 통해 열이 수용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구(130)에는 연료를 지속적으로 분사하여 점화된 연료를 지속적으로 연소시키기 위한 버너(131)가 설치되어, 화기가 내부 수용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연료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가스나 기름일 수 있으나, 연료를 보관하기 위한 용기는 바람직하게 이동식 소형 화덕(100)의 몸체 내 장착가능하도록 몸체 내 소정 공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버너(131)의 점화를 위해 이동식 소형 화덕(100)의 전방에는 노브(133)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노브(133)를 회전시켜 점화 장치(미도시)를 작동하여 버너(131)를 착화시킬 수 있다.
화구(13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내부 조리공간의 바닥 후방측에 위치하여 전방의 도어(11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고온의 화기에 사용자가 근접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너(131)가 연료를 연소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기 위해 버너(131)의 단부에는 사일런트캡(132)이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일런트캡(132)은 화구(130)에 기 설치(또는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도 10 참조).
즉, 화구(130)에 사일런트캡(132)이 삽입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는 기 설치된 사일런트캡(132)에 버너(131)를 끼움 결합하기만 하면, 별도로 사일런트캡(132)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버너(131)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기구(150)는 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조리공간 내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기구(150)에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연통(151)이 설치될 수 있다.
배기구(150)의 위치는, 화구(130)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화구(130)가 내부 조리공간의 바닥 후방측에 위치하는 경우, 배기구(150) 역시 내부 조리공간의 상부 후방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소형 화덕(100)은 몸체 내부에 횡내벽(140)을 포함하여, 화구(13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화기가 횡내벽(140)에 의해 구획된 하부 조리공간(S1)과 상부 배기공간(S2)을 순차로 거치도록 한 다음, 배기구(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조리공간 내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고,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화구(130)의 위치와 배기구(150)의 위치를 상응하도록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횡내벽(140)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따라 화기가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리공간 내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횡내벽(140)은 몸체 내부 수용공간에 횡방향으로 가로 형성된 것으로, 횡내벽(140)에 의해 화기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케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횡내벽(140)의 일측 단부에는 하부 조리공간(S1)과 상부 배기공간(S2) 간에 상호 연결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폭이 좁은 통로(142)가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너(131)에 의해 발생된 화기는 하부 조리공간(S1)과 상부 배기공간(S2)을 순차대로 이동하기 때문에, 화기는 피조리물이 위치하는 하부 조리공간(S1)을 이동하며 피조리물을 1차적으로 가열하고, 상부 배기공간(S2)을 이동하며 횡내벽(140)을 통해 상기 하부 조리공간(S1) 내 피조리물을 2차적으로 간접 가열하여, 조리공간 내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피조리물이 위치하는 하부 조리공간(S1)의 부피는 상부 배기공간(S2)보다 클 수 있다.
상부 배기공간(S2)은,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식 소형 화덕(100)의 내피(일 예로, 철재, 공기층, 단열층 등)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식 소형 화덕(100)의 내피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만, 도 11(b)에서와 같이 상부 배기공간(S2)이 내피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내피가 횡내벽(140)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저항체(14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내피 또는 횡내벽(140)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도 11(b)에서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조리공간(S1)의 후방내측벽(W)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버너(131)에 의해 발생된 화기가 후방내측벽(W)에 의해 가이드되어 전방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내측벽(W)의 상부가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화기가 후방내측벽(W)을 따라 또는 후방내측벽(W)에 의해 반사되어 화기는 전방으로 보내질 수 있다.
한편, 횡내벽(140)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 조리공간(S1) 내 화기의 하류측 단부에 위치한 저항체(141)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저항체(141)는 화기의 유로 저항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화기가 배기구(150)를 통해 빠르게 배출되지 않고 내부 조리공간에 머무르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나아가 화기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빠른 하부 조리공간(S1) 중 상부에 장애물을 제공함으로써 하부 조리공간(S1) 내 화기가 대류토록 함으로써, 피조리물을 신속하고 골고루 가열시킬 수 있다.
이때, 저항체(141)의 개수, 형상이나 돌출 크기(높이나 폭 등) 등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체(141′)의 화구(130)를 향한 면이 횡내벽(140)과 이루는 각도(θ)가 예각 또는 직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조리공간(S1) 내 상부의 빠른 화기 유속에 대한 저항을 더욱 높여 하부 조리공간(S1)에 화기가 머무르는 시간을 증가시키고, 화기가 하부 조리공간(S1) 내 대류 발생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저항체(141)가 횡내벽(140)의 저면에 복수 개 형성되면, 열 흐름이 복수의 저항체(141)에 의해 여러번 하부 조리공간(S1)으로 내려보낼 수 있기 때문에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바와 같이, 후방내측벽(W)은 화구(1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후방내측벽(W)은 화구(130)로부터 뿜어져나온 화기가 직접 닿기 때문에, 화기에 의해 열화가 발생하고, 열피로에 의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내측벽(W) 전방에는 화구(130)로부터 뿜어진 화기가 직접 닿는 위치에 반사판(16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반사판(160)은 열 반사율이 높은 광반사도가 높고 내열성이 좋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반사판(160)은 화구(130)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되, 화기를 전방으로 원활하게 반사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사판(160)은, 일 예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길이가 긴 직방형의 반사모듈 복수개가 결합되되, 전체적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결합된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반사판(160)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이 오목하여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반사모듈(160a~160f)은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대략 가리비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판(160)의 폭이 좁은 부위에 제공된 화기는 복수의 반사모듈의 오목한 홈을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전방을 향하여 방사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한 형태의 반사판(160)은 화기를 전방을 향해 골고루 방사시킴으로써, 피조리물 중 특정 부위만 국부적으로 가열되지 않고 전체가 골고루 가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반사판(160)의 장착을 통해 후방내측벽(W)을 보호할 수 있으나, 상기 반사판(160) 역시 직접 제공된 화기에 의해 열화 또는 열피로에 의한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어, 탈부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반사판(160)의 후면에 걸이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한 후방내측벽(W)의 위치에 걸이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걸이구를 걸이홈에 끼움으로써 반사판(160)을 장착하도록 하거나 걸이구를 걸이홈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반사판(160)을 탈착하도록 하여, 반사판(160)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납되는 도어 및 조리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110)에는 그 후면에 조리플레이트(12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도어(11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조리플레이트(120)도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조리플레이트(120) 상에 피조리물이 안착되어 조리공간에 위치한 피조리물이 고온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조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플레이트(120) 위에는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가 안착되고, 피조리물이 상기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 상에 안착하도록 할 수 있다. 조리플레이트(120)와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를 분리 구현할 경우, 피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해당 부위에 대한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어(110) 폐쇄시 조리플레이트(120)의 일부분은 화구(130)와 가까워져 화구(130)로부터 화기가 직접 피조리물에 가해져 피조리물 중 특정 부위만 국부적으로 가열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플레이트(120)(또는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는 화구(130)에 대응하는 위치상에서 화구(130) 주변에 화기가 직접 조리플레이트(120) 위로 가해지지 않도록 화기를 차단하기 위한 가림막(12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구(130)로부터 내뿜어진 화기가 피조리물에 가해지지 않고, 전방으로 이동하는 화기의 유로에 간섭을 제공하지 않도록 가림막(121)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림막(12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형성될 수 있으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림막(121)은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져, 화구(130)로부터의 화기가 가림막(121)의 상면을 타고 전방으로 제공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림막(121)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체적으로 반원형태 또는 부채꼴형태를 가져 화기가 가림막(121)에 의해 전방으로 방사되도록 하여, 내부 조리공간 내 화기를 골고루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림막(121)은, 상부에 긴 막대기가 거치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요홈을 가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덕을 이용하여 꼬치 구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10)의 후면에 결합된 조리플레이트(120)는 후방 단부에 전방으로 오목한 요홈이 형성되어, 조리플레이트(120)가 조리공간으로 인입시 화구(130)가 상기 요홈에 상응하여 인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 상기 반사판(160)은 앞선 실시예와 다르게 조리플레이트(120)(또는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플레이트(120)(또는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는 화구(130)의 상부에 이격하여 설치된 반사판(122)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판(122)은 화기를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상일 수 있고, 지지대(123)는 반사판(122)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 이외에, 화구(130)로부터의 화기가 조리플레이트(120) 상의 피조리물에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도 함께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플레이트(120)의 요홈 주변에는 화구(130)로부터 내뿜어진 화기가 조리플레이트(120) 상의 피조리물에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이를 차단하기 위한 가림막(121)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의 피조리물안착함(120a1)과, 상기 피조리물안착함(120a1)의 내측 바닥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 복수의 피조리물안착로드(120a2)를 포함할 수 있다.
피조리물안착함(120a1)의 내측 바닥면의 높이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화구측이 전방 도어측보다는 높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조리물 조리시 생기는 기름이 전방 도어측 소정 공간(G)으로 흘러 모이게 되어, 사용자는 모여진 기름을 닦아내기 용이해진다.
구현예에 따라, 상기 피조리물안착로드(120a2)는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거나, 양측단이 상기 피조리물안착함(120a1)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바닥으로부터 이격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피조리물안착로드(120a2)는 좁은 폭의 막대 형태로 복수 개가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그 위에 안착된 피조리물은 가열시 표면에 피조리물안착로드(120a2)에 상응한 모양의 자국이 형성되어 먹음직스러운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위 실시예와 다르게,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120a)가 아닌 조리플레이트(120)가, 내측 바닥면의 높이가 후방 화구측이 전방 도어측보다는 높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내측에 복수의 피조리물안착로드(120a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배기공간(S2) 내에서 유로를 형성하는 화기의 열기를 이용하여 피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해 몸체의 외측 상면에는 보조조리판(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조리공간에 안착된 보조조리판(170)은 상부 배기공간(S2)을 따라 이동하는 화기에 의해 바닥이 가열되어 피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이때 보조조리판(170)의 세척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조조리공간 내 보조조리판(170)을 탈장착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보조조리판(170) 미사용시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로서 보조조리공간커버(17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고온의 화기는 연통(151)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냄비 따위의 조리기구를 연통(151) 위에 안착시켜 조리기구를 가열하거나 보온시킬 수 있다.
다만, 연통(151) 위에 안착된 조리기구에 의해 배기가스가 연통(1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 조리공간 내 화기의 흐름을 막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의 하류측 말단부에는 배기가스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가스관통공(151a)이 형성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의 하류측 말단부에는 맞닿은 조리기구 와의 사이에 배가스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가스홈(151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도 2 및 7 등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의 상부에는 연통의 하류측 말단부와 이격 설치되는 조리기구를 안착시킬 수 있는 받침판(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받침판(152)에 안착된 조리기구가 연통(151)의 말단부와 이격되어, 배기가스의 배출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나, 연통(151)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기에 의한 조리기구의 보온력은 다소 저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소형 화덕의 내부 구조도이다.
화구(130)는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배기구(150)는 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구(130)와 상기 배기구(150)가 몸체의 중심부에 서로 정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구(130)와 상기 배기구(150) 사이에는 조리공간을 하부 조리공간(S1)과 상부 배기공간(S2)으로 구획하고, 상기 화구(130)를 통해 조리공간으로 유입된 화기가 상기 하부 조리공간(S1)과 상기 상부 배기공간(S2)을 순차로 거쳐 상기 배기구(150)를 통해 배출되도록 가로 배치된 횡내벽(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횡내벽(140)에 의해 상기 화구(130)를 통해 유입된 화기는 바로 배기구(150)로 배출되지 않고, 횡내벽(140)에 의해 구획된 조리공간 중 하부 조리공간(S1)을 거쳐 대류함으로써, 조리공간 내, 특히 하부 조리공간(S1) 내 피조리물에 열을 고르게 가열하고, 조리공간 내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킴은 물론 이에 따라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횡내벽(140)은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철재일 수 있고,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단열재를 내포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횡내벽(14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재의 횡내벽(140)은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조리공간을 감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횡내벽(140)의 내측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체(14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저항체(141)는,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부 조리공간(S1) 내 화기가 상부 배기공간(S2)으로 유입되는 통로(142) 주변에 형성되어, 배기구(150)를 향하여 빠르게 유동하는 화기의 유로 저항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화기가 배기구(150)를 통해 빠르게 배출되지 않고 내부 조리공간에 머무르는 시간을 증가시킴은 물론, 저항체(141)에 의해 부딪힌 화기는 조리공간, 특히 하부 조리공간(S1) 내 대류를 형성케한다.
또한, 상기 배기구(150)의 하부에는 이격하여 가로 배치된 격벽(14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격벽(143)은 조리공간 내 고열의 화기가 빠르게 배기구(150)로 배출되지 않도록 추가 저항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화구(130)의 전방에는 화기를 조리공간(S1)에 골고루 분산(또는 방사)시키기 위해 반사판(1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구(130)가 중앙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반사판(122)은 중앙부가 오목한 접시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면에서 공급된 화기는 하측으로 돌출된 중앙부분으로부터 사방으로 분산되어, 조리공간(S1)의 바닥 전면(全面)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상기 반사판(12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221)을 통해 화기를 조리공간(S1)으로 공급시킴으로써, 조리공간(S1)을 고르고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피조리물이 안착되는 조리플레이트(120)는, 도 12 및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피조리물을 수용할 수 있는 함 형태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도 12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구(130)가 몸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경우, 몸체 내 버너를 필수 구성요소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몸체를 가스레인지 등의 불기구의 버너에 안착시킴으로써, 몸체 내 수용된 피조리물에 대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소형 화덕의 구성요소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동식 소형 화덕 110: 도어
110a: 외측 프레임 111: 도어손잡이
112: 내측도어 113: 내측도어손잡이
114a, 114b: 가이드레일 115: 온도계
120: 조리플레이트 120a: 피조리물안착플레이트
121: 가림막 122: 반사판
1221: 관통공 123: 지지대
130: 화구 131: 버너
132: 사일런트캡 133: 노브
140: 횡내벽 141, 141′: 저항체
142: 통로 143: 격벽
150: 배기구 151: 연통
151a: 배가스관통공 151b: 배가스홈
152: 받침판 160: 반사판
160a~160f: 반사모듈 170: 보조조리판
171: 보조조리공간커버 180: 사일런트캡
190: 단열재 S1: 조리공간
S2: 배기공간 W: 후방내측벽

Claims (10)

  1. 내부 수용공간을 가진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화구;
    상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 및
    상기 몸체 내부에 가로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일부를 구획하여 하부의 조리공간과 상부의 배기공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화구의 화기가 상기 하부의 조리공간과 상부의 배기공간을 순차로 거쳐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화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횡내벽;
    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의 조리공간의 후방내측벽은 상부가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화구의 화기가 상기 후방내측벽에 의해 가이드되어 전방으로 전달되도록 하되,
    상기 후방내측벽의 전방이자 상기 화구의 상부에, 상기 화구로부터 이격 설치되되, 상기 화구의 화기를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된 반사판;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은, 원호 형상의 단면이 길게 형성된 반사 모듈이 복수 개로 이루어져 방사형을 갖되, 교체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형 화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내벽은,
    상기 화기 유로의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형 화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는,
    상기 저항체의 상기 화구를 향한 면과 상기 횡내벽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형 화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에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연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의 말단부에는 조리기구가 안착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될 때, 상기 연통의 말단부에 상기 배기가스가 빠져나올 수 있는 상기 연통의 말단부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가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형 화덕.
  7. 제 1 항에 있어서,
    피조리물이 안착되되, 도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인출입되는 조리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형 화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플레이트는,
    상기 화구에 대응하는 위치상에서 상기 화구 주변에 상기 화기가 직접 상기 조리플레이트 위로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화기를 차단하기 위한 가림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형 화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플레이트는,
    상기 조리공간으로 인입시 상기 화구가 인입될 수 있도록 후방 단부에 형성된 요홈;
    상기 화구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되, 상기 화기를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반사판; 및
    상기 조리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판을 지지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형 화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외측 상면에 상기 수용공간 내 열기를 이용하여 피조리물을 가열하는 보조조리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형 화덕.
KR1020190002952A 2019-01-09 2019-01-09 이동식 소형 화덕 KR102118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952A KR102118564B1 (ko) 2019-01-09 2019-01-09 이동식 소형 화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952A KR102118564B1 (ko) 2019-01-09 2019-01-09 이동식 소형 화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564B1 true KR102118564B1 (ko) 2020-06-03

Family

ID=7108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952A KR102118564B1 (ko) 2019-01-09 2019-01-09 이동식 소형 화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15226B1 (ja) 2024-03-12 2024-07-12 三上 征宏 調理用ガス窯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128A (ko) * 2011-01-17 2012-07-25 이명수 가마형 화덕
KR101179394B1 (ko) 2010-06-23 2012-09-04 고제남 석쇠판이 좌우이동 및 회전하는 고기 구이용 가마
KR200478529Y1 (ko) * 2014-09-12 2015-10-16 안요성 내부 착탈식 바닥판 가열용 가스버너를 구비한 이동식 돔형 화덕
JP2016174567A (ja) * 2015-03-19 2016-10-06 有限会社藤村製作所 ピザ用窯
KR101676754B1 (ko) 2016-09-11 2016-12-06 민선형 미니 화덕
WO2017115084A1 (en) * 2015-12-31 2017-07-06 Tapaninaho Matti Kristian Cooking apparatus
KR101832872B1 (ko) 2017-11-28 2018-02-27 김민규 미니화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394B1 (ko) 2010-06-23 2012-09-04 고제남 석쇠판이 좌우이동 및 회전하는 고기 구이용 가마
KR20120083128A (ko) * 2011-01-17 2012-07-25 이명수 가마형 화덕
KR200478529Y1 (ko) * 2014-09-12 2015-10-16 안요성 내부 착탈식 바닥판 가열용 가스버너를 구비한 이동식 돔형 화덕
JP2016174567A (ja) * 2015-03-19 2016-10-06 有限会社藤村製作所 ピザ用窯
WO2017115084A1 (en) * 2015-12-31 2017-07-06 Tapaninaho Matti Kristian Cooking apparatus
KR101676754B1 (ko) 2016-09-11 2016-12-06 민선형 미니 화덕
KR101832872B1 (ko) 2017-11-28 2018-02-27 김민규 미니화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15226B1 (ja) 2024-03-12 2024-07-12 三上 征宏 調理用ガス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04399B2 (en) Cooking apparatus
US20220235939A1 (en) Heating appliance
KR100923606B1 (ko) 간접열을 이용한 구이장치
KR200492826Y1 (ko) 간접 및 훈열 구이를 겸하는 무연 숯불 화로
KR102118564B1 (ko) 이동식 소형 화덕
JP3925797B2 (ja) グリル付き加熱調理機器
JP5896979B2 (ja) グリル皿及び加熱調理器
KR101429362B1 (ko) 바비큐 구이기
KR102175068B1 (ko) 에어로스터
KR20160130564A (ko) 가스로 숯불을 달군상태에서 자연유지토록 하는 꼬치구이기
JP6626312B2 (ja) グリル
KR102251392B1 (ko) 기름의 튐 방지 기능을 강화한 기능성 석쇠 구이 장치
KR101038837B1 (ko) 측방향 가열 숯불구이기
KR20190094590A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KR20120130041A (ko) 바비큐장치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KR101156632B1 (ko) 바베큐용 오븐조리기
JP5882284B2 (ja) 複合調理器
KR980008142A (ko) 통닭 숯불구이장치
KR20160084602A (ko) 간접화 훈제 바비큐 장치
KR200337210Y1 (ko) 화덕 구조
KR102586626B1 (ko) 다용도 훈제 구이기
KR102487623B1 (ko) 화력조절부재가 구비된 화덕
KR200267001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구이실 선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