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068B1 - 에어로스터 - Google Patents

에어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068B1
KR102175068B1 KR1020200015751A KR20200015751A KR102175068B1 KR 102175068 B1 KR102175068 B1 KR 102175068B1 KR 1020200015751 A KR1020200015751 A KR 1020200015751A KR 20200015751 A KR20200015751 A KR 20200015751A KR 102175068 B1 KR102175068 B1 KR 102175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all
oil
cook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수연
Original Assignee
전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수연 filed Critical 전수연
Priority to KR102020001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수용공간을 가진 몸체, 상기 몸체의 저면에 위치하여, 외부의 화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화구, 상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 상기 몸체 내부에 가로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를 하부의 조리공간과 상부의 배기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화구로 유입된 화기가 상기 조리공간 및 상기 배기공간을 순차로 거쳐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화기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횡내벽, 및 상기 수용공간 내 상기 화구 상에 위치하여, 아래로 볼록한 저면 형상에 의해 상기 화구로 유입된 화기를 주변으로 방사시켜 상기 화기를 상기 조리공간 내 대류시키고, 개방된 상부에 훈연제를 수용하여 상기 조리공간 내 피조리물에 훈연시키기 위한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스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로스터 {AIR ROASTER}
본 발명은, 에어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 유지와 열 효율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무게 및 부피를 축소하여 휴대가 가능한 에어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각종 돼지고기, 소고기, 오리, 생선, 닭 등과 같은 육류나 피자 등과 같은 제빵류를 불로 조리하기 위해서는 프라이팬이나 제빵기구 등과 같은 조리용 기구를 이용하여 조리한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름이나 지방을 덜 사용한 건강 음식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튀겨서 조리한 음식에서만 맛볼 수 있는 특유의 고소함을 즐기기 위해 이와 같은 음식들 역시 여전히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문에 최근에는 높은 온도의 열풍을 순환시켜 피조리물에 가함으로써, 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을 통해 바삭바삭한 층을 만들어 조리를 하는 조리용 기구들이 각광을 받고 있으나, 이들은 단열이 잘 되지 않아 열손실이 많을 뿐만 아니라 열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고, 전기를 이용하여 열풍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휴대가 어려워 야외에서 사용하기 어려우며, 그렇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지 않은 것들은 주물로 만들어 부피가 크고 무거워 마찬가지로 휴대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KR 10-2037613 B1 KR 10-2017-0073491 A1 KR 10-2013-0089449 A1 KR 10-1253705 B1
본 발명은, 조리 공간 내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고, 열 효율이 좋은 에어로스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 수용공간을 가진 몸체, 상기 몸체의 저면에 위치하여, 외부의 화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화구, 상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 상기 몸체 내부에 가로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를 하부의 조리공간과 상부의 배기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화구로 유입된 화기가 상기 조리공간 및 상기 배기공간을 순차로 거쳐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화기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횡내벽, 및 상기 수용공간 내 상기 화구 상에 위치하여, 아래로 볼록한 저면 형상에 의해 상기 화구로 유입된 화기를 주변으로 방사시켜 상기 화기를 상기 조리공간 내 대류시키고, 개방된 상부에 훈연제를 수용하여 상기 조리공간 내 피조리물에 훈연시키기 위한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스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 타공된 형태로 상기 수용공간 내 상기 반사판 위에 가로 배치되어, 피조리물이 담긴 조리용팬을 안착시키기 위한 타공망플레이트, 상기 몸체 전방 중 적어도 일부는 개구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및 상기 도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배출된 기름을 수용하기 위한 기름받이용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하단부에 개구되도록 형성된 기름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용팬은, 일측에 개구되도록 형성된 기름배출공과, 상기 기름배출공을 통해 상기 조리용팬 상의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유도하는 기름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조리용팬 상의 기름은 상기 기름가이드부 및 상기 기름배출구를 통해 상기 기름받이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체 내벽의 소정 높이에 둘레를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타공망플레이트거치대를 포함하되, 동일 높이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공망플레이트거치대를 일 그룹으로 하여, 복수의 상기 그룹이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형성되고, 상기 타공망플레이트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된 어느 한 그룹의 상기 타공망플레이트거치대 상에 안착됨에 따라 승강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에어로스터는, 상기 배기구에 배기가스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연통 - 상기 연통은 상기 배기구에 탈부착 가능함 -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이 탈착된 상기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적층연결플레이트가 개제되어, 상기 에어로스터가 또 다른 상기 에어로스터 위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적층연결플레이트는,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에어로스터의 상기 배기구과 연결되는 열기유입구와, 상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상기 에어로스터의 화구와 연결되는 열기유출구와, 상기 열기유입구와 상기 열기유출구 간에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체 내벽의 소정 높이에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횡내벽이 안착되도록 상기 횡내벽을 지지하는 횡내벽거치대, 및 상기 횡내벽거치대 상에 위치하여 상기 횡내벽을 지지하되, 온도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횡내벽을 승강시키는 복수의 형상기억합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스터는, 조리 공간 내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고, 열 효율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스터는, 무게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휴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복수의 에어로스터를 적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스터는, 조리 공간 내 단열을 유지하면서 피조리물로부터 발생한 기름을 외부로 유도하여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스터는, 피조물의 높이나 조리공간의 부피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그리고 온도에 따라 조정되어, 피조리물에 대한 최적의 조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스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스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망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내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스터 내부의 열기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연결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일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내벽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스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스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스터(100)는, 내부 수용공간을 가진 몸체(101), 몸체(101)의 저면에 위치하여 외부의 화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화구(121), 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03), 몸체(101) 내부에 가로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를 하부의 조리공간(S1)과 상부의 배기공간(S2)으로 구획하고, 화구(121)로 유입된 화기가 조리공간(S1) 및 배기공간(S2)을 순차로 거쳐 배기구(10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화기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횡내벽(140), 및 상기 수용공간 내 화구(121) 상에 위치하여, 아래로 볼록한 저면 형상에 의해 화구(121)로 유입된 화기를 주변으로 방사시켜 화기를 조리공간(S1) 내 대류시키고, 개방된 상부에 훈연제를 수용하여 조리공간(S1) 내 피조리물에 훈연시키기 위한 반사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2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에어로스터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몸체(101)는 내부에 피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갖되,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수용공간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구되고, 개구된 부분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후면 및 좌우측면 등에 단열재가 소정 두께로 내포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고온의 분위기로 장시간 유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단열재는 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세라믹기포단열재, 고온내화성단열재, 무기질다공성단열재, 기포콘크리트 또는 ALC블록 등이나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사용자는 개방된 도어(110)를 통해 피조리물을 수용공간 또는 조리공간에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킬 수 있으며, 도어(110)를 폐쇄하여 수용공간 내 고온의 분위기를 급속히 형성되도록 하고, 고온의 열이 도어(110)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도어(110)는 피조리물의 조리 도중 사용자가 피조리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단열효과를 가진 단열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10)는, 개구된 몸체(101)의 일 측면과 힌지결합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개폐될 수 있고, 사용자는 도어(110)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손잡이(111)를 파지하여 당김으로써 도어(110)는 전방으로 회동하여 개방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도어손잡이(111)를 파지하여 밀어냄으로써 도어(110)가 후방으로 회동하여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손잡이(111)는 조리공간 내 고온의 열기가 전달되지 않도록 부도체인 나무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110)는 하단부에 개구되도록 형성된 기름배출구(1101)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조리물로부터 발생한 기름이 기름배출구(1101)를 통해 외부로 유도케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어(110)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스터(100)는 휴대성을 가진 것으로, 사용자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에어로스터(100) 위에 적층을 하거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몸체(101)의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 설치된 손잡이(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05)를 파지하여 에어로스터(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화구(121)는 몸체(101)의 저면, 바람직하게는 저면의 중앙에 위치하여, 화구(121)를 통해 외부의 화기가 수용공간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외부의 화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고정형 또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또는 버너이거나, 숯, 펠렛, 나무 등을 연료로 한 것 등일 수 있다.
에어로스터(100)가 상기 버너 등 위에 냄비처럼 안착됨으로써, 외부의 화기는 내부 수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몸체(101)는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다리(104a~104d)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상기 버너로부터 발생된 화기가 상기 화구(121)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거나 상기 몸체(101)의 저면을 가열하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가 열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몸체(101)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열이 확산되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테두리를 따라 확산방지판(1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떠한 종류의 외부 화기 위에도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다리(104a~104d)는 탈부착 가능하되, 몸체(101)의 외측 저면이 상기 외부 화기 위에 안착되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오목홈, 물결, 빗살 또는 오모볼록한 엠보싱 등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배기구(103)는 몸체(101)의 상부에 위치하여 조리공간 내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기구(103)에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연통(150)이 설치될 수 있다.
배기구(103)의 위치는, 화구(121)와 다르게 일 실시예에 따라, 중앙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쳐지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횡내벽(140)에 형성된 통로(1401)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배기구(103)는 후방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대로 횡내벽(140)에 형성된 통로(1401)가 후방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배기구(103)는 전방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스터(100)는 몸체(101) 내부에 횡내벽(140)을 포함하여, 화구(12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화기가 횡내벽(140)에 의해 구획된 하부 조리공간(S1)과 상부 배기공간(S2)을 순차로 거치도록 한 다음 배기구(10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게 한다(도 6b 참조).
결국, 횡내벽(140)의 통로(1401) 위치와 배기구(103)의 위치를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여, 횡내벽(140)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따라 화기가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케 하여, 조리공간 내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고,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스터 내부의 열기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구(121)를 통해 유입된 화기는 반사판(120)의 저면에 부딪혀 외측 방향으로 방사되고, 방사된 화기는 타공망플레이트(130)를 거쳐 몸체(101)의 내측벽을 따라 상승하고 상부의 횡내벽(140)을 따라 이동하며 하강함으로써 하부 조리공간(S1)을 대류 이동하여, 조리공간(S1) 내 피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다.
횡내벽(140)은 몸체(101) 내부 수용공간에 횡방향으로 가로 형성된 것으로, 횡내벽(140)에 의해 화기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화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하부 조리공간(S1)에 화기가 대류 이동하도록 하고, 또 횡내벽(140)의 일측에 형성된 하부 조리공간(S1)과 상부 배기공간(S2)을 상호 연결하는 통로(1401)를 통해 상부 배기공간(S2)으로 유입된 화기가 통로(1401)와 반대편인 배기구(103)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상부 배기공간(S2)을 가로지르도록 할 수 있다.
결국,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구(121)를 통해 몸체(101) 내부로 유입된 화기는 하부 조리공간(S1)과 상부 배기공간(S2)을 순차대로 이동하기 때문에, 화기는 피조리물이 위치하는 하부 조리공간(S1)을 이동하며 피조리물을 1차적으로 가열하고, 상부 배기공간(S2)을 이동하며 횡내벽(140)을 매개로 상기 하부 조리공간(S1) 내 피조리물을 2차적으로 간접 가열하여, 조리공간 내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피조리물이 위치하는 하부 조리공간(S1)의 부피는 상부 배기공간(S2)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반사판(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구(121)의 상부에 이격하여 위치하여, 화구(121)를 통해 공급된 화기가 반사판(120)에 부딪혀 외측 주변으로 효율적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저면은 소정의 곡률로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반사판(120)은 화구(121)를 통해 유입된 화기가 직접 피조리물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 조리공간(S1) 내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공간(S1) 내 피조리물이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반사판(122)은 열 반사율이 높은 광반사도가 높고 내열성이 좋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반사판(120)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져 훈연제(일 예로 펠렛, 훈연칩, 우드칩, 숯 등)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훈연제가 수용된 반사판(120)의 저면을 화구(121)를 통해 유입된 화기가 직접 가열함으로써 피조리물을 훈연시킬 수 있다. 즉, 대류하는 고온의 화기로는 훈연제를 가열하여 피조리물을 훈연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반사판(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면이 아래로 볼록하고, 상부가 개구된 형태를 가진 그릇 형태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상기 반사판(120)이 화구(121)의 상부에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반사판(12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지지대(120a~120b)가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반사판(120) 위에 가로 배치되어, 피조리물이 담긴 조리용팬을 안착시키기 위한 타공망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용팬(160) 및 타공망플레이트(130) 각각에 대해 살펴보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팬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망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용팬(160)은 피조리물이 안착되는 용기로서, 안착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높이의 둘레벽(162~164)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둘레벽(162~164) 중 하나는 개구되도록 형성된 기름배출공(166)을 포함할 수 있고, 조리용팬(160)의 바닥은 상기 기름배출공(166)으로 기름이 모일 수 있도록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리용팬(160)은 기름배출공(166)을 통해 조리용팬(160) 상의 기름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주둥이 형상의 기름가이드부(165)를 포함하여, 조리용팬(160) 상의 기름이 기름배출공(166) 및 기름가이드부(165)를 통해 전방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기름가이드부(165)의 말단부는 그 위치가 도어(110) 하부에 형성된 기름배출구(1101)에 상응함으로써, 조리용팬(160) 상의 기름이 기름가이드부(165) 및 기름배출구(1101)를 거쳐 몸체(101)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1)의 전방, 그리고 도어(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도어(110)의 기름배출구(1101)를 통해 밖으로 유출되어 낙하는 기름을 수용할 수 있는 기름받이용기(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름받이용기(112)는 기름을 담을 수 있는 용기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 기름받이용기(112)는 도어(110)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도어(11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개방될 때, 개방된 도어(110)의 전면을 지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타공망플레이트(1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타공된 플레이트 형태로 수용공간 내 반사판(120) 위에 가로 배치될 수 있다.
타공망플레이트(130) 상에는 피조리물이 담긴 조리용팬(160)이 안착될 수 있고, 하부의 화구(121)를 통해 유입된 화기는 타공망플레이트(130)에 다수 형성된 구멍을 통해 조리공간(S1)으로 통과할 수 있다.
타공망플레이트(130)는 몸체(101)의 내벽, 소정 높이에 둘레를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타공망플레이트거치대(131)에 의해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고, 이때 동일 높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타공망플레이트거치대(131)를 일 그룹으로 하여, 복수의 그룹이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형성됨으로써, 타공망플레이트(130)는 안착 높이를 다양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타공망플레이트(130)는 승강 가능하게 된다.
타공망플레이트거치대(131)는, 도 9에 도시한 횡내벽거치대(141)와 같이, 내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막대(또는 바(bar))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한 지점에 결합된 나사 따위의 타공망플레이트거치대(131) 여러 개가 둘레를 따라 배치된 것일 수 있다.
타공망플레이트(130)의 승강으로 그 위에 안착되는 조리용팬(160) 또는 피조리물의 높이 역시 조절될 수 있으며, 조리공간(S1)의 부피 또한 조절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타공망플레이트(13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피조리물에 대한 훈연 정도를 조절하거나 피조리물 표면에 가해지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타공망플레이트(130)는 다수 타공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나, 고온의 화기에 노출되어 뒤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공망플레이트(130)의 적어도 일단부를 따라 소정 높이의 둘레벽(1305~1307)을 형성하여, 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공망플레이트(130)의 일면에 가로 및/또는 세로방향으로 소정 높이의 가로벽(1308~1309)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내벽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횡내벽(14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1) 내벽의 소정 높이에 둘레를 따라 배치된 횡내벽거치대(141) 상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횡내벽거치대(141)는 그 위에 안착된 상기 횡내벽(140)을 지지할 수 있다.
횡내벽거치대(14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1) 내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막대(또는 바(bar)) 형상일 수 있으며, 복수의 횡내벽거치대(141)는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횡내벽거치대(141) 상에는 상기 횡내벽(140)을 지지하되 온도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횡내벽(140)을 승강시키는 복수의 형상기억합금(145a~145d)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145a~145d)의 소재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온도에 따라 길이(또는 높이)가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소정의 제2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길이(또는 높이)가 팽창될 수 있고, 상기 제2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길이(또는 높이)가 수축될 수 있으며, 횡내벽(140)과 횡내벽거치대(141) 사이에 개재된 형상기억합금(145a~145d)의 형상이 온도에 따라 변화함에 따라 횡내벽(140)은 높이가 승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형상기억합금(145a~145d)의 온도가 400℃ 이상인 경우 그 길이가 신장되어 횡내벽(140)의 높이는 상승하여 조리공간(S1)의 부피가 커져, 매우 높은 고온에 의해 피조리물의 표면만 급작스럽게 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온도가 400℃ 미만인 경우에는 그 길이가 수축되어 횡내벽(140)의 높이는 하강하여 조리공간(S1)의 부피가 작아져 고온의 분위기가 유지되는 시간을 늘려,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연결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일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15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배기구(103)에 부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다.
고온의 화기는 배기구(103) 및 연통(15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배기구(103)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고온의 화기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연통(150)이 탈착된 몸체(101)의 상부에 또 다른 에어로스터(100)를 안착하여 적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피적층된 에어로스터(100)의 배기구(103)에서 배출된 고온의 화기가 상부에 적층된 에어로스터(100)의 저면, 구체적으로 몸체(101)의 저면에 가해짐으로써, 상부 에어로스터(100)의 수용공간 내 피조리물을 보온시킬 수 있다.
다만, 연통(150)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화기가 상부에 적층된 에어로스터(100)의 내부 조리공간(S1)에 누출 없이 공급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에 적층된 에어로스터(100)과 하부에 피적층된 에어로스터(100) 사이에 개재되는 적층연결플레이트(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에어로스터(100)의 몸체(101) 위에 또 다른 에어로스터(100)를 적층할 때, 하부 에어로스터(100)의 연통(150)을 탈착하고 손잡이(105)를 젖힌다음, 적층연결플레이트(200)를 안착시키고, 그 위에 또 다른 에어로스터(100)를 적층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층연결플레이트(200)는, 하부에 위치하는 에어로스터(100)의 배기구(103)과 연결되는 열기유입구(220)와, 상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에어로스터(100)의 화구(121)와 연결되는 열기유출구(230)와, 열기유입구(220)와 열기유출구(230) 간에 고온의 화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240)를 포함하여, 열기유입구(220)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화기가 덕트(240) 및 열기유출구(230)로 배출되어, 상부에 적층된 에어로스터(100)의 화구(121)를 통해 조리공간(S1)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기유입구(220)와 상기 배기구(103) 간, 그리고 상기 열기유출구(230)와 상기 화구(121) 간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 적층연결플레이트(200)의 크기는 몸체(101)의 저면 둘레에 형성된 확산방지판(102)에 따른 크기보다 작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확산방지판(102)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열기유입구(220)와 열기유출구(230)의 주변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에어로스터 101: 몸체
101a~101c: 단열벽 102: 확산방지판
103: 배기구 104a~104d: 지지다리
105: 손잡이 110: 도어
1101: 기름배출구 111: 도어손잡이
111a~111b: 힌지 112: 기름받이용기
120: 반사판 120a~120b: 반사판지지대
121: 화구 130: 타공망플레이트
131: 타공망플레이트거치대 1301: 바닥판
1302: 관통공 1305~1307: 둘레벽
1308~1309: 가로벽 140: 횡내벽
141: 횡내벽거치대 1401: 통로
145a~145d: 형상기억합금 150: 연통
160: 조리용팬 161: 바닥판
162~164: 둘레벽 165: 기름가이드부
166: 기름배출공 10: 버너
200: 적층연결플레이트 210: 본체
220: 열기유입구 230: 열기유출구
240: 덕트

Claims (5)

  1. 내부 수용공간을 가진 몸체;
    상기 몸체의 저면에 위치하여, 외부의 화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화구;
    상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
    상기 몸체 내부에 가로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를 하부의 조리공간과 상부의 배기공간으로 구획 - 상기 조리공간의 부피가 상기 배기공간의 부피보다 큼 - 하고,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통로를 가진 횡내벽;
    상기 수용공간 내 상기 화구 상에 위치하여, 아래로 볼록한 저면 형상에 의해 상기 화구로 유입된 화기를 주변으로 방사시켜 상기 화기를 상기 조리공간 내 대류시키고, 개방된 상부에 훈연제를 수용하여 상기 조리공간 내 피조리물에 훈연시키기 위한 반사판; 및
    상기 배기구에 배기가스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연통 - 상기 연통은 상기 배기구에 탈부착 가능함 -;
    을 포함하고,
    상기 화구로 유입된 화기는, 상기 횡내벽의 상기 통로를 매개로, 상기 조리공간 및 상기 배기공간을 순차로 거쳐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화기유로를 형성하되,
    상기 통로는 상기 횡내벽의 일 측에 치우쳐 위치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통로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횡내벽을 따라 상기 화기가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케 하고,
    상기 조리공간을 가진 제1 몸체 위에 또 다른 상기 조리공간을 가진 제2 몸체가 적층되되,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는 적층연결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배기구와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화구 간 서로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적층연결플레이트에 상기 제2 몸체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 타공된 형태로 상기 수용공간 내 상기 반사판 위에 가로 배치되어, 피조리물이 담긴 조리용팬을 안착시키기 위한 타공망플레이트;
    상기 몸체 전방 중 적어도 일부는 개구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및
    상기 도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배출된 기름을 수용하기 위한 기름받이용기;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하단부에 개구되도록 형성된 기름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용팬은, 일측에 개구되도록 형성된 기름배출공과, 상기 기름배출공을 통해 상기 조리용팬 상의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유도하는 기름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조리용팬 상의 기름은 상기 기름가이드부 및 상기 기름배출구를 통해 상기 기름받이용기에 수용되되,
    상기 기름받이용기는 상기 도어의 직하부에 위치하여, 개방된 상기 도어의 전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스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벽의 소정 높이에 둘레를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타공망플레이트거치대를 포함하되, 동일 높이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공망플레이트거치대를 일 그룹으로 하여, 복수의 상기 그룹이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형성되고,
    상기 타공망플레이트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된 어느 한 그룹의 상기 타공망플레이트거치대 상에 안착됨에 따라 승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스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연결플레이트는,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에어로스터의 상기 배기구과 연결되는 열기유입구와, 상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상기 에어로스터의 화구와 연결되는 열기유출구와, 상기 열기유입구와 상기 열기유출구 간에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스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벽의 소정 높이에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횡내벽이 안착되도록 상기 횡내벽을 지지하는 횡내벽거치대; 및
    상기 횡내벽거치대 상에 위치하여 상기 횡내벽을 지지하되, 온도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횡내벽을 승강시키는 복수의 형상기억합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스터.
KR1020200015751A 2020-02-10 2020-02-10 에어로스터 KR102175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751A KR102175068B1 (ko) 2020-02-10 2020-02-10 에어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751A KR102175068B1 (ko) 2020-02-10 2020-02-10 에어로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068B1 true KR102175068B1 (ko) 2020-11-05

Family

ID=7324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751A KR102175068B1 (ko) 2020-02-10 2020-02-10 에어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0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355B1 (ko) 2020-12-16 2021-06-10 전수연 에어로스터
KR102388474B1 (ko) * 2020-12-16 2022-04-19 강지웅 접이식 휴대형 구이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762U (ko) * 1993-06-10 1995-01-04 가변 캐비티용량 그릴 복합 전자렌지
KR200185568Y1 (ko) * 1999-12-30 2000-06-15 정근오 원적외선 방사 구이기
KR200321533Y1 (ko) * 2003-04-29 2003-07-28 오송미 불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고기 구이기
JP2003240245A (ja) * 2002-02-20 2003-08-27 Paloma Ind Ltd 焼 網
KR101253705B1 (ko) 2011-12-21 2013-04-11 전명진 공기순환이 용이한 에어 프라이어
KR20130089449A (ko) 2012-02-02 2013-08-12 함태영 에어 프라이어
KR20170073491A (ko) 2015-12-17 2017-06-28 주식회사 에스시케이 에어 프라이어
KR101932451B1 (ko) * 2018-06-22 2018-12-26 주식회사 동원하이텍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KR102037613B1 (ko) 2018-12-18 2019-10-28 이규식 에어 프라이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762U (ko) * 1993-06-10 1995-01-04 가변 캐비티용량 그릴 복합 전자렌지
KR200185568Y1 (ko) * 1999-12-30 2000-06-15 정근오 원적외선 방사 구이기
JP2003240245A (ja) * 2002-02-20 2003-08-27 Paloma Ind Ltd 焼 網
KR200321533Y1 (ko) * 2003-04-29 2003-07-28 오송미 불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고기 구이기
KR101253705B1 (ko) 2011-12-21 2013-04-11 전명진 공기순환이 용이한 에어 프라이어
KR20130089449A (ko) 2012-02-02 2013-08-12 함태영 에어 프라이어
KR20170073491A (ko) 2015-12-17 2017-06-28 주식회사 에스시케이 에어 프라이어
KR101932451B1 (ko) * 2018-06-22 2018-12-26 주식회사 동원하이텍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KR102037613B1 (ko) 2018-12-18 2019-10-28 이규식 에어 프라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355B1 (ko) 2020-12-16 2021-06-10 전수연 에어로스터
KR102388474B1 (ko) * 2020-12-16 2022-04-19 강지웅 접이식 휴대형 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0037B2 (en) Radiant tube broiler
US3938494A (en) Cooking apparatus
CA2664144C (en) Cooking apparatus with concave emitter
EP3359004B1 (en) Modular barbecue system and kits therefore
US7156087B1 (en) Outdoor multi-method cooker
CA1211145A (en) Humpback oven-broiler
KR102175068B1 (ko) 에어로스터
KR101628621B1 (ko)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KR101859875B1 (ko) 레저용 바비큐 구이장치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102251392B1 (ko) 기름의 튐 방지 기능을 강화한 기능성 석쇠 구이 장치
KR102263355B1 (ko) 에어로스터
KR101890418B1 (ko) 바비큐 그릴장치
KR101741353B1 (ko) 고기 구이장치
JP2006087854A (ja) オーブン機能を備えた引き出し付きバーベキュウ用コンロ
KR102377194B1 (ko) 열 효율이 우수한 다용도 조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구 세트
KR102385041B1 (ko) 온장고 겸용 훈연 바베큐 장치
JP6856839B1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
JP3226386U (ja) 魚焼き器
KR20110039818A (ko) 바베큐용 오븐조리기
KR20230166426A (ko) 취사 겸용 난로
KR200433969Y1 (ko) 통닭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