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590A - 휴대용 고기구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고기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590A
KR20190094590A KR1020180013905A KR20180013905A KR20190094590A KR 20190094590 A KR20190094590 A KR 20190094590A KR 1020180013905 A KR1020180013905 A KR 1020180013905A KR 20180013905 A KR20180013905 A KR 20180013905A KR 20190094590 A KR20190094590 A KR 20190094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heat
main body
barrel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014B1 (ko
Inventor
변준섭
Original Assignee
변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준섭 filed Critical 변준섭
Priority to KR102018001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0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크기로 제작되어 이동식으로 설치 및 해체 작업이 편리하고, 숯불에서 발생되는 숯불 열기가 그릴판의 일부분으로 집열되도록 유도하여 구이물에서 나온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염으로 인해 구이물이 쉽게 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이물의 종류에 따라 개인 취향으로 직화 방식 또는 간접열에 의한 구이물의 구이 작업이 가능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휴대용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는, 휴대용 고기구이기에 있어서, 어느 일측 방향으로 측면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숯불이 담길 수 있는 숯불수용공간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개구를 통해 숯불 열기가 발산되는 숯불통과; 소정 깊이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방을 향하여 일정 크기의 상부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숯불통이 안착되어 설치된 경우 상기 측면개구에서 발산되는 숯불 열기를 상기 상부개구의 일정 위치로 집열시키고, 상기 상부개구로 배출되는 화력을 양측으로 분산시키는 본체통과; 상기 숯불통 또는 본체통 상부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개구로 배출되는 화력으로 상부에 놓인 구이물을 익힐 수 있는 그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기구이기.

Description

휴대용 고기구이기{PORTABLE ROAST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크기로 제작되어 이동식으로 설치 및 해체 작업이 편리하고, 숯불에서 발생되는 숯불 열기가 그릴판의 일부분으로 집열되도록 유도하여 구이물에서 나온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염으로 인해 구이물이 쉽게 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이물의 종류에 따라 개인 취향으로 직화 방식 또는 간접열에 의한 구이물의 구이 작업이 가능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휴대용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굽는 열원의 차이로 인해 구워지는 고기의 육질 등이 차이를 나타내게 되며, 이에 따라 업소에서 사용하는 휴대용 가스렌지나 가스버너의 열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워 판매하는 것에 비해 숯을 태워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워 판매하는 것에 호감도가 높은 편이다.
여기서, 상기 숯불을 이용한 고기구이는 숯이 수용된 화로를 식탁 등에 설치하고, 이 화로의 상단에 상기 숯의 열기 또는 숯불이 고기에 닿도록 판의 면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석쇠를 올려놓고, 이 석쇠에 고기를 올려놓아 상기 숯의 열기 또는 숯불을 이용해 굽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또한, 야외에서 숯불 바베큐를 즐기기 위해서 사용되는 통상의 바베큐 구이기는 반원통형의 몸통 위에 석쇠를 올리고 몸통 내부에 숯불을 넣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외에도 휴대가 용이하도록 비교적 소형 사이즈의 바베큐 구이기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61851호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와 같은 기술에서는 대형 사이즈이면서 작은 부피로 줄일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별도의 식탁 없이 절첩판을 펼쳐 식탁 대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숯불재치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적절한 세기의 불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는, 상부가 개방된 몸통(1)과; 상기 몸통(1)의 내부에 설치되며 높낮이가 조절되는 숯불재치대(2)와; 상기 몸통(1)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고기가 올려지는 석쇠(3)와; 상기 몸통(1)의 좌,우측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대(4)와; 상기 몸통(1)의 전,후측에 절첩가능하게 부착되는 절첩판(5)과; 상기 절첩판(5)을 수평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는 휴대시 소정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숯불재치대(2)의 높낮이를 소정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다 하겠으나, 상기 종래의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와 같은 종래의 구이 장치들은 숯불 바베큐 구이시 고기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그대로 숯불로 바로 떨어지게 되어 연기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고기 기름에 의해 화력이 세지면서 화염에 의해 고기가 쉽게 타버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숯불 높이 조절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석쇠를 들어낸 후 몸통 내부의 숯불재치대(2)의 높이를 조절해야만 하므로 잘못하면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베큐 구이시 그릴판 상부에 놓인 구이물에서 나온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도록 숯불통에서 발산되는 숯불 열기가 우회하여 상승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화염이 구이물에 직접 닿지 않아 구이물이 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구이 작업이 용이한 휴대용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숯불통의 측면개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어 육류가 직화 방식으로 익혀지도록 할 수 있어 기호에 따라 구이물을 직화 방식으로 익히거나 간접열에 의해 익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휴대용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숯불통이 측면 방향으로 개구되게 본체통 내부에 설치되어 구이물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는 것은 물론, 배출된 기름이 숯불통의 상부측 벽면과 본체통의 내벽면을 따라 바닥면으로 흐르도록 유도하여 배출된 기름을 모아 쉽게 처리할 수 있는 휴대용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는, 휴대용 고기구이기에 있어서, 내부에 숯불이 담길 수 있는 숯불수용공간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숯불에서 열기가 배출될 수 있는 열기배출구가 형성된 숯불통과; 상기 숯불통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숯불통이 설치된 경우 상기 열기배출구에서 발산되는 숯불 열기를 상기 상부개구의 일정 위치로 집열시키기 위한 집열유도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개구의 일측 방향으로 화력이 집중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간접열이 발산되는 본체통과; 상기 상부개구로 화력이 집중되는 위치에 일부분이 배치되고, 상기 간접열이 발산되는 위치에 다른 일부분이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부에 놓인 구이물을 익힐 수 있는 그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는, 상기 집열유도수단은, 상부로 구이물이 놓일 수 있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통의 내부공간으로 설치된 경우 상기 숯불통의 열기배출구 일부를 차폐하여 상기 본체통의 상부개구 일정 위치로 상기 숯불 열기를 집열시키는 구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는, 상기 숯불통은, 상기 열기배출구가 상기 본체통 내부공간의 일측 내벽을 향하여 측면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집열유도수단은, 상기 숯불통의 열기배출구와 마주하는 방향에 배치되게 상기 본체통의 일측 내벽에서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개구 일정 위치로 상기 숯불 열기를 상승 유도하는 집열유도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는, 상기 본체통의 상부에서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숯불통이 상기 본체통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통의 상부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상부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는, 상기 숯불통은, 상기 본체통의 내부공간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숯불수용공간의 바닥면 양측으로 측면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는, 상기 집열유도수단은, 상기 구이판에 의해 상기 숯불통의 열기배출구 일부가 차폐된 경우 상기 숯불 열기가 집열되는 상기 상부개구의 일정 위치에서 상기 숯불 열기를 상승 유도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집열유도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는, 상기 집열유도판은, 상기 본체통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상기 본체통의 내부공간으로 접혀지고 외측으로 펼쳐지게 설치되며, 상기 그릴판은, 상기 집열유도판이 상기 본체통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집열유도판의 상단부에 지지되고, 타측 가장자리가 상기 구이판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는, 상기 집열유도판은, 상기 본체통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숯불 열기를 차폐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양측에 날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는, 상기 구이판은, 상기 상부개구의 상기 숯불 열기가 집열되는 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경사진 방향의 하측 길이방향을 따라 기름받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는 바베큐 구이시 그릴판 상부에 놓인 구이물에서 나온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아 화염 등으로 인해 구이물이 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구이 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는 숯불통의 측면개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어 육류가 직화 방식으로 익혀지도록 할 수 있어 기호에 따라 구이물을 직화 방식으로 익히거나 간접열에 의해 익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휴대용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숯불통이 측면 방향으로 개구되게 본체통 내부에 설치되어 구이물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는 것은 물론, 배출된 기름이 숯불통의 상부측 벽면과 본체통의 내벽면을 따라 바닥면으로 흐르도록 유도하여 배출된 기름을 모아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의 상부덮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의 숯불통이 설치된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의 상부덮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100)는, 숯불통(110)과, 본체통(120)과, 집열유도수단(130)과, 그릴판(140) 및 상부덮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숯불통(110)은 내부에 숯이나 숯불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에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숯불통(110)은 어느 일측 즉, 전면 방향과 상방으로 개구된 열기배출구(1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숯불이 담길 수 있는 숯불수용공간(112)이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숯불통(110)은 소정 내부공간을 이루도록 바구니와 같은 형태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면의 일부와 상방이 개구되고, 후방과 바닥이 움푹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내면을 이루도록 일정 두께의 판으로 벽면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숯불통(110)은 전면에 낮은 턱이 형성되고, 후면은 막힌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의 숯불 열기가 전방 및 상방으로 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숯불통(110)은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숯불통(110)의 길이방향 양측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외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손잡이부(113a,113b)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숯불통(110)은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경우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113a,113b)가 상기 본체통(120)의 상단부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 바닥면(123)에서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숯불통(110)은 일측 즉, 후방측 벽면을 따라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다수의 공기유통구(114)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숯불수용공간(112)의 내부 바닥면 양측 각각에는 외부로 관통 형성된 측면관통공(115)이 구비되어 상기 숯불수용공간(112)의 내부로 외기가 유통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숯불통(110)의 숯불수용공간(112) 내에 인위적으로 바람을 불어 넣어 숯불의 화력 조절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통(120)은 상기 숯불통(110)과, 상기 그릴판(140) 및 상기 상부덮개(150)가 결합될 수 있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숯불통(110)이 내부에 설치된 경우 숯불 열기를 상기 그릴판(130)의 일측 방향으로 집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통(120)은 바닥면과 사방의 측면이 일정 높이만큼 막힌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숯불통(110)이 수용될 수 있는 소정 깊이의 내부공간(122)이 형성되고, 일정 크기만큼 상방으로 개구된 상부개구(1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통(12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게 됨으로써 길이방향의 양측이 원형의 측벽을 이루고, 폭 방향의 양측은 길이방향의 양측 높이를 기준으로 대략 중간 정도의 높이만큼 연장되게 바닥면(123)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개구(121)가 상기 본체통(120)의 절반 정도의 높이만큼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123)은 상기 내부공간(122)에서 평탄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통(120)은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에서 상기 바닥면(123)으로 연통되게 관통 형성된 기름배출공(124)이 형성된다. 따라서, 구이물에서 배출되어 상기 바닥면(123)으로 흐르는 기름이 상기 기름배출공(1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기름배출공(124)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의 역할과 상기 바닥면(123)의 청소시 물 빠짐이 가능한 청소구의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통(120)은 상기 상부개구(121)를 통해 상기 숯불통(110)이 쉽게 출입 가능하게 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본체통(120)의 길이방향 양측 상단부에는 상기 숯불통(110)의 손잡이부(113a,113b)가 삽입되어 안착 지지될 수 있는 걸림홈(1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122)으로 상기 숯불통(110)을 삽입하여 간편하게 안착시킨 경우 상기 숯불통(110)이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 바닥면(123)에서 소정 높이만큼 떠 있는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통(120)은 지면이나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게 길이방향의 양측 하부에 한 쌍의 지지다리(126a,126b)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통(120)은 몸체 부분이 지면이나 테이블에 소정 높이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126a,126b)가 상기 본체통(12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접혀지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126a,126b)는 일단부 각각이 상기 본체통(120)의 하단부 모서리 부분에서 힌지연결부(127)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126a,126b)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부(126a',126b')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부(126a",126b")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상기 받침부(126a",126b")는 상기 연장부(126a',126b')가 하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내측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126a,126b)는 상기 힌지연결부(127)를 통해 회전되어 상기 본체통(120)의 양측 방향으로 접혀진 경우 상기 받침부(126a",126b")가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반전되어 만곡된 형상의 상기 받침부(126a",126b")가 손잡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본체통(120)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126a,126b)가 접힌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126a,126b)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100)의 사용 후 운반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에 상기 숯불통(110)이 설치된 경우 숯불 열기를 상기 그릴판(130)의 일측 방향으로 집열시킬 수 있는 집열유도수단(130)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에, 상기 집열유도수단(130)은 상부에 구이물이 놓일 수 있는 일정 크기로 형성된 구이판(1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이판(131)은 평탄면 또는 요철면이 형성되어 육류와 같은 구이물이 상부에 올려질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갖는 판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구이판(131)은 대략 상기 본체통(120)의 상부개구(121) 길이만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31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31a)는 상기 숯불통(110)의 손잡이부(113a,113b)와 같이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외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숯불통(110)의 손잡이부(113a,113b) 상부로 포개지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숯불통(110)과 같이 상기 본체통(1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125)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숯불통(110) 상부로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통(120)은 상기 상부개구(121)가 대략 절반 정도의 높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숯불통(110)은 전면에 낮은 턱이 형성되어 후면이 막힌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구이판(131)은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122)으로 설치된 경우 상기 숯불통(110)의 열기배출구(111) 일부를 차폐하여 상기 본체통(120)의 상부개구(121) 일정 위치로 상기 숯불 열기를 집열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숯불통(110)은 내부의 숯불 열기가 전방 및 상방으로 향하도록 후면이 막힌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구이판(131)이 상기 숯불통(110)의 열기배출구(111) 상방을 가로 막아 상기 숯불수용공간(112)에서 발산되는 숯불 열기가 상기 본체통(120) 상부개구(121)의 일정 위치 즉, 전방측으로 집열되어 화력이 상기 상부개구(121)의 일정 부분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구이판(131)이 상기 숯불통(110) 상부로 설치된 경우 상기 구이판(131)이 상기 숯불통(110)의 숯불 열기에 의해 점차적으로 달아오르게 된다. 즉, 상기 상부개구(121)로 화력이 집중되는 위치 반대측 방향으로는 상기 숯불 열기에 의한 간접열이 발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구이판(131) 상부로 놓인 구이물이 화염이 닿지 않으면서 철판 구이 방식으로 직접 구워질 수 있게 되고, 후술되는 상기 그릴판(140)에 올려진 구이물은 상기 구이판(131)에서 간접열이 전달되어 구이물을 느린 속도로 타지 않으면서 익힐 수 있는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숯불통(110)이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122)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숯불 열기와 화염이 상방으로 곧바로 향하지 않게 되고, 상기 집열유도수단(130)에 의해 숯불 열기가 상기 상부개구(121)의 일부분으로 유도되어 구이물에 화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염 등이 직접 닿지 않으면서 구이물로부터 발생되어 낙하하는 기름이 상기 숯불통(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100)는 육류와 같은 구이물이 타지 않도록 구이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숯불에 기름이 낙하하여 화염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구이물을 신속하게 익히거나 익혀진 구이물을 느린 속도로 데우면서 천천히 먹을 수 있는 등 사용 효율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판(140)은 상기 숯불통(110) 및 상기 본체통(120) 상부로 설치되어 숯불에서 발산되는 숯불 열기에 의해 상부에 놓인 구이물이 익혀지거나 데워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그릴판(140)은 상기 본체통(120)의 상부개구(121)를 통해 양측으로 분산되는 화력의 세기에 따라 구이물의 위치를 이동시켜 익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그릴판(140)은 통상의 숯을 이용한 고기구이에 사용되는 원형의 고리에 다수개의 철사가 단일방향으로 배열되는 일회용 석쇠나, 구리석쇠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그릴판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릴판(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개구(121)로 화력이 집중되는 일측 위치에 일부분이 배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 즉 상기 상부개구(121)로 간접열이 발산되는 위치에 다른 일부분이 배치되게 설치되어 구이물이 높은 온도와 낮은 온도에서 각각 따로 익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집열유도수단(130)이 집열유도판(13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집열유도판(132)은 상기 구이판(131)에 의해 상기 숯불통의 열기배출구 일부가 차폐된 경우 상기 숯불 열기가 집열되는 상기 상부개구(121)의 일정 위치 즉, 상기 상부개구(121)로 화력이 집중되는 위치로 숯불 열기를 상승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집열유도판(132)은 상기 본체통(120)의 일측 즉, 전방측에서 상기 상부개구(121)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상기 상부개구(121)의 전방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상기 본체통(120)의 전방측에서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집열유도판(132)이 평탄면을 이루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통(120)의 전방측 측벽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열유도판(132)은 상기 본체통(120)의 전방측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펼쳐지며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122)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상기 집열유도판(13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통(12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122)으로 접혀지고 외측으로 펼쳐지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릴판(140)은 상기 집열유도판(132)이 상기 본체통(120)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집열유도판(132)의 상단부에 지지되고, 타측 가장자리가 상기 구이판(131)에 지지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그릴판(140)에 놓인 위치에 따라 구이물이 높은 온도와 낮은 온도에서 각각 따로 익혀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육류와 같은 구이물을 타지 않도록 구이 작업을 할 수 있고, 구이물을 신속하게 또는 천천히 익힐 수 있어 사용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집열유도판(132)은, 상기 본체통(120)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숯불 열기를 차폐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양측에 날개부(13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131a)는 상기 구이판(131)과 상기 집열유도판(132)을 통해 상기 상부개구(121)의 일부분으로 숯불 열기가 집중되게 유도하는 과정에서 숯불 열기가 상기 본체통(12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숯불통(110)의 숯불수용공간(112)에서 발산되는 숯불 열기가 상기 본체통(120)의 상부개구(121) 일정 위치 즉, 상기 그릴판(140)의 일측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상기 상부개구(121)의 일측으로 화력이 더욱 집중되게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131a)는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122)으로 접혀지는 경우 상기 숯불통(110)의 길이방향 양측벽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접혀지게 되어 상기 숯불통(110)이 상기 본체통(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서로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이판(131)은 상기 상부개구(121)의 상기 숯불 열기가 집열되는 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이판(131)은 상기 본체통(120)의 전방측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에, 상기 집열유도판(132)은 상기 본체통(120)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외측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구이판(131)보다 높게 위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이판(131)은 상기 상부개구(121)의 상기 숯불 열기가 집열되는 위치의 반대 방향 즉,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그릴판(140)의 일측 말단부가 상기 집열유도판(132)의 외측 가장자리 상단에 안착되고, 타측 말단부가 상기 구이판(131)에 안착된 경우 상기 본체통(120)의 후방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이판(131)은 경사진 방향의 하측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소정 돌출된 기름받침턱(131b)이 형성된다.
상기 기름받침턱(131b)은 상기 구이판(131)이 상기 본체통(120)의 상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이물이 익혀지면서 배출되는 기름이 상기 본체통(120)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 측면 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해 구성된다.
이에, 상기 기름받침턱(131b)에 의해 상기 구이판(131)의 하측 길이방향을 따라 유도된 기름은 상기 본체통(120)의 길이방향 양측 방향에서 내부공간(122)으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본체통(120)의 바닥면(123)으로 모여 상기 기름배출공(124)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100)는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 바닥면(123)에서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구이판(131)에서 발생된 기름이 상기 숯불통(110)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기 바닥면(123)으로 고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그릴판(140)에서 배출되는 기름 즉, 상기 집열유도수단(130)에 의해 상기 상부개구(121)로 화력이 집중되는 위치에 놓인 구이물에서 기름이 배출되는 경우에는 하부에 상기 집열유도판(132)이 상기 바닥면(123)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그릴판(140)에서 익혀진 구이물에서 배출된 기름이 상기 집열유도판(132)을 통해 상기 바닥면(123)으로 유도되어 고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100)는 상기 숯불통(110)에 담겨진 숯불에 기름이 낙하하여 화염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육류와 같은 구이물이 쉽게 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덮개(150)는 상기 본체통(120)의 상부에서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숯불통(110)이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통(120)의 상부개구(1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덮개(150)는 상기 본체통(120)의 일측 즉, 후방에서 양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150)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통(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통(120)과 상호 걸림 지지될 수 있는 후크 및 걸이홈과 같은 잠금장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100)를 사용 후 보관하는 경우 상기 숯불통(110) 및 상기 구이판(131)이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122)에 설치된 상태에서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집열유도판(132)은 상기 내부공간(122)으로 접혀진 상태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주요 구성들이 모두 상기 본체통(120) 내부에 일체로 수용된 상태에서 보관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100)를 이용한 구이 작업과 보관 및 휴대가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그릴판(140)이 상기 본체통(120) 상부로 설치되어 구이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덮개(150)을 덮은 경우 구이물을 훈제 요리 방식으로 익힐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100)는 상기 구이판(131)을 이용하여 구이물을 열전달 방식으로 직접 구울 수 있고, 상기 그릴판(140)에 구이물이 올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개구(121)의 일측으로 숯불 열기가 집중되어 직화 방식으로 익혀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상부덮개(150)를 덮어 구이물이 훈제 요리 방식으로 익힐 수 있는 등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100)를 이용하여 다양한 구이 요리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100)는 가스연결유닛(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스연결유닛(160)은 상기 숯불통(110)의 숯불수용공간(112) 내 상부측에서 상기 구이판(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가스연결통로(16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스연결통로(161)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화구 또는 노즐(161a)이 형성되어 상기 구이판(131)의 저면 방향으로 직접 불꽃 또는 화염이 일정 간격으로 고르게 퍼져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스연결유닛(160)은 상기 가스연결통로(161)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는 가스통(도면미도시)을 연결할 수 있는 가스주입연결구(162)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스주입연결구(162)는 상기 가스통을 연결하여 상기 가스연결통로(161)로 가스를 주입하여 불꽃 또는 화염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스주입연결구(162)는 상기 가스통이 밀착되어 회전시키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연결통로(161)가 상기 숯불수용공간(112)의 후방측 상단부에 길게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이에, 상기 가스연결통로(161)의 길이방향 말단부에는 긴 통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가스연결통로(161)의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연결구(16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통(120)에는 상기 가스주입연결구(162)와 나란하게 연통하는 가스통삽입구(163)가 형성된다.
상기 가스통삽입구(163)는 상기 숯불통(110)이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122)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통이 상기 가스주입연결구(162)에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주입연결구(162)가 상기 가스통삽입구(163)로 소정 돌출되게 설치되거나, 상기 가스통이 상기 가스통삽입구(163)로 소정 깊이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가스통이 상기 가스연결통로(161)에 접속된 상태로 고정시킨 후 별도의 조절스위치(도면미도시)나 상기 화구 또는 노즐(161a)에 직접 불을 붙여 점화시키면 상기 가스연결통로(161)가 점화되면서 상기 구이판(131)에 직접 열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연결유닛(160)은 상기 가스연결통로(161)가 회전되는 구조로 상기 화구 또는 노즐(161a)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간편하게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통이 상기 가스연결통로(161)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통형 형상의 가스통 몸체를 잡고 돌린 경우 상기 회전연결구(161b)를 축으로 가스통이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이에 상기 가스연결통로(161)의 화구 또는 노즐(161a)이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100)는 상기 가스연결통로(161)의 화구 또는 노즐(161a)이 하방을 향하도록 즉, 상기 숯불수용공간(112) 내에 채워진 숯을 향하도록 조절한 후, 상기 가스연결유닛(160)을 점화시키면 불이 붙지 않은 상태의 숯을 쉽게 점화시킬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100)는 상기 숯불통(110), 본체통(120), 집열유도수단(130), 그릴판(140)과, 상부덮개(150) 및 상기 가스연결유닛(160)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상기 구이판(131)을 이용한 철판구이 작업과 직화 방식의 바베큐 구이 작업은 물론, 훈제 요리 방식으로 구이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숯불구이시 상기 숯불통(110)이 상기 본체통(1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숯을 간편하게 점화할 수 있는 숯불 점화장치 기능까지 겸용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하고, 육류와 같은 구이물이 타지 않도록 구이 작업을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 및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2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의 숯불통이 설치된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200)는, 숯불통(210)과, 본체통(220)과, 그릴판(230) 및 상부덮개(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숯불통(210)은 내부에 숯이나 숯불을 채워넣은 후 상기 본체통(120)의 내부공간에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숯불통(210)은 어느 일측 방향으로 열기배출구(2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숯불이 담길 수 있는 숯불수용공간(212)이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숯불통(210)의 상기 숯불수용공간(212)이 대략 직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열기배출구(211)를 제외한 사방이 일정 두께의 판으로 벽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통(220)은 상기 숯불통(210)과, 그릴판(230) 및 상기 상부덮개(240)가 결합될 수 있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숯불통(210)이 내부에 설치된 경우 숯불 열기를 상기 그릴판(230)의 일측 방향으로 집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통(220)은 측면과 바닥면이 막힌 구조로 소정 깊이의 내부공간(222)이 형성되고, 상방을 향하도록 일정 크기로 개구된 상부개구(2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통(220)은 상기 상부개구(221)를 통해 상기 숯불통(210)이 출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서 안정되게 상기 숯불통(21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이에 상기 내부공간(222)은 상기 숯불통(210)의 좌우 및 후방측 벽면과 대응하여 인접하게 맞닿을 수 있는 세 방향의 벽면이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통(220)은 하부에 일정 높이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네 개의 지지다리(22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통(220)은 몸체 부분이 지면이나 테이블에 소정 높이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통(220)은 상기 숯불통(210)이 상기 내부공간(222)에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숯불통(210)이 상기 본체통(220)에 안착되어 설치된 경우 상기 숯불통(210)의 열기배출구(211)에서 발산되는 숯불 열기가 상기 본체통(220) 상부개구(221)의 일정 위치로 집열시키고, 상기 숯불통(210)을 통해 상기 상부개구(221)로 배출되는 화력을 양측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숯불통(210)이 상기 본체통(220)의 내부공간(222)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숯불 열기와 화염이 상방으로 곧바로 향하지 않고 상기 본체통(220)에 의해 유도되는 방향으로 우회하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그릴판(230)은 상기 숯불통(210) 또는 본체통(220) 상부로 설치되어 숯불에서 발산되는 숯불 열기 또는 상기 숯불통(210) 자체에서 배출되는 열기에 의해 상부에 놓인 구이물이 익혀지거나 데워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그릴판(230)은 상기 본체통(220)의 상부개구(221)를 통해 양측으로 분산되는 화력의 세기에 따라 구이물의 위치를 이동시켜 익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그릴판(230)은 통상의 숯을 이용한 고기구이에 사용되는 원형의 고리에 다수개의 철사가 단일방향으로 배열되는 일회용 석쇠나, 구리석쇠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그릴판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통(220)에 집열유도면(224)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집열유도면(224)은 상기 본체통(220)의 내부공간(222)에서 전방측 내벽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내부공간(222)의 바닥면(225)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직선형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숯불통(210)의 열기배출구(211)와 마주하여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통(220)은, 상기 내부공간(222)의 후방 벽면(222a) 일부가 상기 집열유도면(224)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판(222b)이 형성되어 바닥 부분이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숯불통(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형 구조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상기 열기배출구(211)가 형성되고, 상부측 벽면(213a), 하부측 벽면(213b) 및 후방측 벽면(213c)이 내측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숯불수용공간(212)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숯불통(210)은 전방측 및 후방측 하단 모서리부분 즉, 상기 하부측 벽면(213b) 전단부 및 후단부가 상기 경사진 형태의 상기 집열유도면(224)과 상기 경사판(222b)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숯불통(210)은 상기 열기배출구(211)가 전방 즉, 상기 집열유도면(224)과 대향하여 마주하는 방향의 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숯불통(210)은 상기 내부공간(222)의 후방 벽면(222a)과 경사판(222b)에 상기 숯불통(210)의 하단 테두리부분이 안착되더라도 충분히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지만, 상기 숯불통(210)의 후면이 상하로 수직한 각도를 이루는 경우 상기 내부공간(222)의 후방 벽면(222a)에 상기 숯불통(210)의 후면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는 실시예도 가능함에 따라 상기 숯불통(210)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열기배출구(211)가 항상 측면 방향을 향하게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면에는 정확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숯불통(210)의 크기 변경이나 약간의 형상 변경으로 상기 숯불통(210)의 후면이 상기 본체통(220)의 내부공간(222) 후방 벽면(222a)에 밀착되어 지지되게 하는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숯불통(210)은 상기 본체통(220)의 내부공간(222)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열기배출구(211)가 상기 집열유도면(224)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열기배출구(211)에서 발산되는 숯불 열기가 상기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기 집열유도면(224)을 타고 상방으로 유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숯불통(210)의 열기배출구(121)를 통해 배출되는 숯불 열기는 상기 상부개구(221)의 전체 부분 중 일부분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크기의 집열부(P1) 위치로 숯불 열기를 상승 유도하여 집열되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그릴판(230)에는 상기 집열부(P1)와 멀게 위치한 부분에 숯불 열기가 크게 미치지 못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위치에는 상기 숯불통(210) 자체에서 발산되는 열기 즉, 따뜻한 느낌의 간접열기가 전달될 수 있는 위치인 데움부(P2)가 마련되어 구이물이 약한 화력으로 타지 않으면서 식지 않고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상기 숯불통(210)은 상단부가 평탄면으로 일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간접열기가 상부로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숯불통(210)은 상기 본체통(220)의 상부개구(221)와 소정 높이 차를 이루도록 설정된 깊이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200)는 상기 본체통(220) 상부에 설치된 상기 그릴판(230)의 일부 위치 즉, 상기 집열부(P1) 상부측에 위치한 구이물(R1)을 강한 화력으로 신속하게 익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이물(R1)을 익히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상기 숯불통(210)에 닿지 않고 상기 본체통(220)의 바닥면(225)으로 흘러가도록 유도함으로써 화염 등에 의해 구이물이 타거나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집열부(P1)의 상부측에 위치한 구이물(R1)이 적절하게 다 익은 경우 사용자는 상기 구이물(R1)을 별도의 접시에 담아 내놓거나 상기 그릴판(230)에서 구이물을 익히면서 곧바로 먹고자 하는 경우 익힌 구이물을 상기 데움부(P2)의 상부측으로 이동시켜 놓을 후, 상기 데움부(P2)의 상부측에 놓여진 구이물(R2)을 타지 않게 데우면서 바로 집어 먹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200)를 이용하여 바베큐 구이 작업을 안전하게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숯불통(210)이 상기 본체통(220)의 내부벽면과 소정 이격되게 상기 본체통(2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숯불통(210)은 상기 열기배출구(211)가 상기 본체통(220)의 내부공간(222)에서 측면 방향을 향하게 안착되는 경우, 상기 열기배출구(211)가 형성된 방향 즉, 상기 숯불통(210) 전방의 하단부가 상기 본체통(220)의 전방측 내벽 즉, 상기 집열유도면(224) 상에 안착되고, 상기 열기배출구(211)가 향하는 방향의 타측 즉, 후방의 하단부가 상기 경사판(222b) 상에 안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집열유도면(224) 및 상기 경사판(222b) 상에 상기 숯불통(210)이 안착되는 경우 상기 숯불통(210)이 상기 본체통(220)과 소정 이격되게 상기 숯불통(210)의 하부측 벽면(213b) 전단부 양측 즉, 상기 숯불통(210)의 전방측 양단에 하향 돌출된 하부돌출턱(213b')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200)는 상기 집열부(P1)의 상부측에 놓인 구이물(R1)에서 배출되어 낙하하는 기름이 상기 집열유도면(224)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바닥면(225)으로 연속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집열유도면(224)을 따라 흐르는 기름이 상기 숯불통(210)의 숯불수용공간(212) 내부로 전혀 유입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숯불통(210)은 상기 상부측 벽면(213a)이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측 벽면(213c)이 상기 본체통(220)의 내부공간(222)의 내부벽면과 소정 이격되게 설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숯불통(210)의 후방측 벽면(213c) 양측에는 후방으로 소정 돌출된 후방돌출턱(213c')이 형성되는데, 상기 후방돌출턱(213c')은 상기 하부측 벽면(213b)에 형성된 상기 하부돌출턱(213b')과 함께 상기 숯불통(210)이 상기 집열유도면(224)과 상기 경사판(222b) 상에 소정 이격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숯불통(210)은 상기 상부측 벽면(213a)이 상기 후방측 벽면(213c)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데움부(P2)의 상부측에 놓인 구이물(R2)에서 배출되어 낙하하는 기름이 상기 본체통(220)의 하부로 곧바로 낙하하며 상기 경사판(222b)을 따라 상기 바닥면(225)으로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면(225)에 외부로 통하는 기름배출공(2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름배출공(226)은 마개 등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따라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200)는 상기 집열유도면(224)과 상기 경사판(222b)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본체통(220)의 내부공간(222) 바닥면(225)에 모인 기름을 한데 모아 쉽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200)는 상기 숯불통(21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바(214)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바(214)는 상기 숯불통(210)의 상부측 벽면(213a) 전단부 양측에 한 쌍이 구성된 것으로, 상기 손잡이바(214)는 상기 숯불통(210)의 열기배출구(211)가 상기 본체통(220)의 내부공간(222)에서 측면 방향 즉, 전방측을 향하여 안착되는 경우 상방을 향하여 수직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200)는 상기 본체통(220)의 상부에서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숯불통(210)이 상기 본체통(220)의 내부공간(222)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통(220)의 상부개구(221)를 개폐할 수 있는 상부덮개(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는 상기 상부덮개(240)가 대략 반구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240)는 길이방향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 힌지연결부(241)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통(210)의 상단부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200)는 상기 숯불통(210)이 상기 본체통(220) 내부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통(220) 상부를 덮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숯불통(210)의 손잡이바(214)가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통(220)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개구(221)를 개폐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손잡이바(214)의 길이는 상기 상부덮개(240)의 내부 깊이에 따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기구이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통(210)의 상기 집열유도면(224')이 상기 본체통(220)의 내부공간(222)에서 전방측 내벽을 이루도록 상기 바닥면(225)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곡선형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200)는 상기 집열유도면(224')이 직선형이 아닌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실시예가 가능하며, 상기 열기배출구(211)를 통해 발산되는 숯불열기를 상승 유도할 수 있는 바람직한 형태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기 숯불통(210)은 상기 손잡이바(214)를 파지하여 상기 열기배출구(211)가 상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통(2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통(2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숯불통(210)의 하부측 벽면(213b)이 수평을 이룬 상태로 상기 숯불통(210)이 내부공간(222)에 안착된 경우 상기 손잡이바(214)가 수평하게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는 손잡이거치홈(228)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숯불통(210)은 한 쌍으로 구성된 상기 손잡이바(214)가 좌우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바(214)가 좌우방향을 향하게 눕혀진 상태로 상기 손잡이거치홈(228)에 끼움 지지되고, 상기 후방측 벽면(213c)이 하방을 향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본체통(220)의 내부공간(222)에서 상기 집열유도면(224)과 상기 경사판(222b)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숯불통(210)의 상기 열기배출구(211)가 상방을 향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열기배출구(211) 부분의 상방 위치 즉, 직화부(P3)의 위치에서 상기 그릴판(230)의 상부에 놓인 구이물을 직화 방식으로 익힐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직화부(P3)에서 구이물을 직화 방식으로 익히는 중 화염 등에 의해 구이물이 타는 경우 상기 열기배출구(211)에서 멀게 위치한 부분의 상기 그릴판(230) 상부로 구이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직화부(P3)의 타측 방향에는 상기 열기배출구(211)를 통한 직접적인 숯불열기가 미치지 못하는 기름배출부(P4)가 마련된다.
이에, 상기 기름배출부(P4)의 위치에서 상기 그릴판(230)의 상부로 구이물을 이동시키면 구이물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상기 집열유도면(224') 상으로 떨어져 상기 바닥면(225)으로 흐르게 된다. 즉, 사용자가 직화 방식으로 구이물을 익히는 경우 상기 직화부(P3)와 상기 기름배출부(P4)로 구이물을 이동시켜가며 상기 숯불수용공간(212) 내의 숯불에 구이물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떨어져 화염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방측 벽면(213c)이 하방을 향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후방돌출턱(213c')에 의해 상기 후방측 벽면(213c)이 상기 집열유도면(224')과 상기 경사판(222b) 상에서 소정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어 상기 집열유도면(224') 및 상기 경사판(222b)으로 흐르는 기름이 상기 숯불통(210)에 닿지 않고 상기 바닥면(225)으로 흘러 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숯불통(210)이 회전되어 상기 손잡이바(214)가 좌우 방향으로 눕혀지도록 설치된 상태에서도 상기 상부덮개(240)가 개폐 작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상부덮개(240)가 상기 숯불통(210)의 손잡이바(214)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상기 본체통(220)의 상부에서 용이하게 회전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바(214)가 상기 손잡이거치홈(228) 상에 삽입되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휴대용 고기구이기(200)는 바베큐 구이시 그릴판(230) 상부에 놓인 구이물에서 나온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숯불에서 화염이 발생하여 구이물이 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구이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상기 숯불통(210)의 열기배출구(211)가 상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 기호에 따라 육류 등의 구이물을 직화 방식으로 익힐 수 있는 등 다용도로 숯불구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휴대용 고기구이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휴대용 고기구이기
110 숯불통
111 측면개구
112 숯불수용공간
113a,113b 한 쌍의 손잡이부
114 공기유통구
120 본체통
121 상부개구
122 내부공간
123 바닥면
124 기름배출공
125 걸림홈
126a,126b 한 쌍의 지지다리
127 힌지연결부
130 집열유도수단
131 구이판
132 집열유도판
140 그릴판
150 상부덮개
151 힌지연결부
160 가스연결유닛
161 가스연결통로
162 가스연결주입구
163 가스통삽입구

Claims (9)

  1. 휴대용 고기구이기에 있어서,
    내부에 숯불이 담길 수 있는 숯불수용공간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숯불에서 열기가 배출될 수 있는 열기배출구가 형성된 숯불통과;
    상기 숯불통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숯불통이 설치된 경우 상기 열기배출구에서 발산되는 숯불 열기를 상기 상부개구의 일정 위치로 집열시키기 위한 집열유도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개구의 일측 방향으로 화력이 집중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간접열이 발산되는 본체통과;
    상기 상부개구로 화력이 집중되는 위치에 일부분이 배치되고, 상기 간접열이 발산되는 위치에 다른 일부분이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부에 놓인 구이물을 익힐 수 있는 그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기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열유도수단은, 상부로 구이물이 놓일 수 있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통의 내부공간으로 설치된 경우 상기 숯불통의 열기배출구 일부를 차폐하여 상기 본체통의 상부개구 일정 위치로 상기 숯불 열기를 집열시키는 구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기구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숯불통은, 상기 열기배출구가 상기 본체통 내부공간의 일측 내벽을 향하여 측면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집열유도수단은, 상기 숯불통의 열기배출구와 마주하는 방향에 배치되게 상기 본체통의 일측 내벽에서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개구 일정 위치로 상기 숯불 열기를 상승 유도하는 집열유도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기구이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통의 상부에서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숯불통이 상기 본체통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통의 상부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상부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기구이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숯불통은, 상기 본체통의 내부공간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숯불수용공간의 바닥면 양측으로 측면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기구이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열유도수단은, 상기 구이판에 의해 상기 숯불통의 열기배출구 일부가 차폐된 경우 상기 숯불 열기가 집열되는 상기 상부개구의 일정 위치에서 상기 숯불 열기를 상승 유도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집열유도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기구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열유도판은, 상기 본체통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상기 본체통의 내부공간으로 접혀지고 외측으로 펼쳐지게 설치되며,
    상기 그릴판은, 상기 집열유도판이 상기 본체통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집열유도판의 상단부에 지지되고, 타측 가장자리가 상기 구이판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기구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열유도판은, 상기 본체통에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숯불 열기를 차폐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양측에 날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기구이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은, 상기 상부개구의 상기 숯불 열기가 집열되는 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경사진 방향의 하측 길이방향을 따라 기름받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기구이기.
KR1020180013905A 2018-02-05 2018-02-05 휴대용 고기구이기 KR102024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905A KR102024014B1 (ko) 2018-02-05 2018-02-05 휴대용 고기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905A KR102024014B1 (ko) 2018-02-05 2018-02-05 휴대용 고기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590A true KR20190094590A (ko) 2019-08-14
KR102024014B1 KR102024014B1 (ko) 2019-09-23

Family

ID=6762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905A KR102024014B1 (ko) 2018-02-05 2018-02-05 휴대용 고기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0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9258A (zh) * 2020-07-21 2020-10-30 卢哲 一种超导发热涂层在烧烤炉上的应用及一种烧烤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402B1 (ko) 2020-07-23 2022-02-25 정상선 간접 가열식 구이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8536A (en) * 1998-12-01 1999-07-06 Cheng; Wen-Ho Indirect heat barbecue grill
KR200166330Y1 (ko) * 1999-07-16 2000-02-15 이상미 고기구이기
JP2007301327A (ja) * 2006-05-12 2007-11-22 Tosaku Amakawa 焼き物調理器
KR20080003993U (ko) * 2007-03-16 2008-09-19 김운채 회전가열식 숯불구이기
KR20100127612A (ko) * 2009-05-26 2010-12-06 김용경 화력조절용 구이판
KR20110135596A (ko) * 2010-06-11 2011-12-19 민장근 직화 및 간접가열이 가능한 다기능 육류구이기
KR101390673B1 (ko) * 2012-06-13 2014-04-30 김흥수 고기구이기
JP2017209404A (ja) * 2016-05-27 2017-11-30 常州市健龍金属製品有限公司 炭焼きバーベキュー用グリル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8536A (en) * 1998-12-01 1999-07-06 Cheng; Wen-Ho Indirect heat barbecue grill
KR200166330Y1 (ko) * 1999-07-16 2000-02-15 이상미 고기구이기
JP2007301327A (ja) * 2006-05-12 2007-11-22 Tosaku Amakawa 焼き物調理器
KR20080003993U (ko) * 2007-03-16 2008-09-19 김운채 회전가열식 숯불구이기
KR20100127612A (ko) * 2009-05-26 2010-12-06 김용경 화력조절용 구이판
KR20110135596A (ko) * 2010-06-11 2011-12-19 민장근 직화 및 간접가열이 가능한 다기능 육류구이기
KR101390673B1 (ko) * 2012-06-13 2014-04-30 김흥수 고기구이기
JP2017209404A (ja) * 2016-05-27 2017-11-30 常州市健龍金属製品有限公司 炭焼きバーベキュー用グリ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9258A (zh) * 2020-07-21 2020-10-30 卢哲 一种超导发热涂层在烧烤炉上的应用及一种烧烤炉
CN111839258B (zh) * 2020-07-21 2023-10-13 卢哲 一种超导发热涂层在烧烤炉上的应用及一种烧烤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014B1 (ko)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9963B2 (ja) 調理装置
US11058255B2 (en) Grill using flue
US20150265099A1 (en) Combination Gas and Charcoal Grill
KR101238268B1 (ko) 3면 활용 이동식 숯불 꼬치 구이기
KR101006018B1 (ko) 다목적 숯불 구이기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102024014B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US3991666A (en) Portable cooking unit
KR101997388B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20130053302A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20190132597A (ko) 다용도 화로
KR102113271B1 (ko)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KR101300863B1 (ko) 숯불 구이기
KR200466341Y1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US20120260809A1 (en) Rotisserie Grill
KR102251392B1 (ko) 기름의 튐 방지 기능을 강화한 기능성 석쇠 구이 장치
KR20130112440A (ko) 바베큐 구이장치
KR20160122404A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101738891B1 (ko) 가스 직화 구이기
KR200480882Y1 (ko) 이동식 부탄연소기용 로스팅 장치
CN112790624A (zh) 一种便携式多功能烧烤炉
KR100721651B1 (ko) 다기능 구이기
JP4176258B2 (ja) 加熱調理器
KR20200112172A (ko) 회전식 고기 구이기
KR200359428Y1 (ko) 바비큐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