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271B1 -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 Google Patents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271B1
KR102113271B1 KR1020190152035A KR20190152035A KR102113271B1 KR 102113271 B1 KR102113271 B1 KR 102113271B1 KR 1020190152035 A KR1020190152035 A KR 1020190152035A KR 20190152035 A KR20190152035 A KR 20190152035A KR 102113271 B1 KR102113271 B1 KR 102113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roaster
perforated
meat
bur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옥
Original Assignee
햇잎푸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햇잎푸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햇잎푸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2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기를 구워주는 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고기의 보관과정에서 양념물의 양을 줄여 바로 구울 수 있으며, 다 구워진 고기를 숙성하여 풍미를 더함과 아울러 육즙 손실을 방지하는 일련의 구이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구이기의 육각 구이통은 다수의 창살로 이루어짐으로써 창살 사이를 통과한 화염이 고기에 과도하게 가해지면서 고기가 타고 육즙이 손상됨은 물론 육각 구이통 내의 보온력이 저하되어 고기가 익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양념이 창살의 내, 외면에 눌어붙어 육각 구이통을 세척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공 구이통의 외면이 다공판을 이용한 다공성 통으로 이루어져 화염이 고기에 과도하게 가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전체적으로 고른 열전도 분포를 통해 다공 구이통 내의 보온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Turning drum type direct-fire roaster with shorter roasting time}
본 발명은 고기를 구워주는 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고기의 보관과정에서 양념물의 양을 줄여 바로 구울 수 있으며, 다 구워진 고기를 숙성하여 풍미를 더함과 아울러 육즙 손실을 방지하는 일련의 구이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육류나 생선류 등을 숯불 등으로 직화 구이 시 맛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나, 오랜 시간 석쇠나 꼬치 등을 열원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구이과정에서 직화열에 의하여 쉽게 타는 경향이 있어 조리사가 육안으로 구이물의 상태를 주시하여 구이물을 반복적으로 뒤집어 주는 번거로운 점이 있어 대량 조리에 어려움이 있어 왔다.
또한, 구이물이 연소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탄내가 발생하게 되며, 특히 양념구이를 할 경우 외부의 양념이 먼저 타고 내부는 설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고기가 열원 위에서 구워질 때 회전하는 원형의 구이통 안에서 구워지도록 함으로써 고기를 골고루 익힐 수 있고, 숯불은 그 향이 골고루 베이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그 방법이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다.
특히 상업용으로 사용되는 구이장치는 단지 고기가 타지 않고 골고루 익어야 한다는 조건 외에도 많은 양의 고기를 계속 구워내면서도 가능한 한 사람의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지 않아야 하고, 또한 고기를 구웠을 때 구워진 고기의 맛도 중요하며, 더불어 고기의 모양과 같은 미관도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원형 구이통의 경우 구이통이 회전하면서 구이통 내에서 얇은 고기들이 서로 부딪쳐 부서지지거나 고기가 뭉쳐져 있어 속까지 골고루 익히는데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러한 원형 구이통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써 「실용신안공개 제20-2018-0002678호, 명칭/ 육각 구이통 회전 구이기」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구이통 내에 고기를 넣고 일정한 속도로 구이통을 회전시키면서 열원 위에서 가열하여 고기가 위생적이고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굽는 과정에서 육각구이통의 회전에 의해 익혀진 고기가 일정 각도의 경사를 이룰 때 뒤집히며 떨어지는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고기가 부서지지 않고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의 육각 구이통은 다수의 창살로 이루어짐으로써 창살 사이를 통과한 화염이 고기에 과도하게 가해지면서 고기가 타고 육즙이 손상됨은 물론 육각 구이통 내의 보온력이 저하되어 고기가 익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양념이 창살의 내, 외면에 눌어붙어 육각 구이통을 세척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육각 구이통에 추가로 투입하기 위해 준비된 고기를 보관하거나 구워진 고기를 빼내어 식히는 전용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 업소에서 많은 양의 고기를 구워 내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사용에 불편함이 야기된다.
또한, 상기 육각 구이통의 상부 공간이 대기 중으로 그대로 노출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열의 손실이 많아 고기를 굽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구이시 불완전 연소하여 발생하는 연기가 주방으로 번져 건강에 해를 끼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아울러 버너의 열원으로 사용되는 가스의 종류(LPG, LNG 등) 및 도시가스 지역에 따라 화염의 세기가 달라지는 현상이 발생함에도 선행기술의 가스버너는 고정형으로 설치됨으로써 육각 구이통과 화염노즐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없어 고기를 최적으로 원활하게 구울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구이시 발생하는 기름이나 찌꺼기 등을 제때 제대로 수거하는 기능이 없어 구이기가 오염되어 이를 유지관리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고기를 굽는 단일 용도로만 제한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구이기의 활용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공 구이통의 외면이 다공판을 이용한 다공성 통으로 이루어져 화염이 고기에 과도하게 가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전체적으로 고른 열전도 분포를 통해 다공 구이통 내의 보온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이기 본체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구이통 지지대에 구이를 위해 준비된 고기를 보관하기 위한 보조 다공 구이통을 올려놓아 양념물을 줄이거나 고기가 구워진 다공 구이통을 올려놓아 구워진 고기를 숙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상기 구이기 본체의 상부에 상부로 회전 개방 가능하게 설치된 집열 후드를 이용하여 다공 구이통의 상부를 덮어주어 외부로 방출되는 열의 손실을 줄이고 집열 효과를 통해 고기를 굽는 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구이시 발생하는 연기를 즉석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가스버너에 연결된 버너 각도조절대를 상하로 회전하면서 가스버너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화염노즐 및 다공 구이통 간의 거리를 최적으로 조절하여 어떠한 조건에서도 화염이 다공 구이통에 원활하게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아울러 다공 구이통 및 보조 다공 구이통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 기름받이를 통해 기름, 양념물 및 끼꺼기 등을 즉석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구이기 본체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서브 기름받이를 통해 메인 기름받이가 미처 수거하지 못한 기름, 양념물 및 끼꺼기 등을 완벽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 구이통의 전, 후면판에 형성된 꼬치창 고정홀에 꼬치물을 끼운 꼬치창을 끼움 고정하여 다공 구이통을 회전하면서 꼬치구이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 구이통이 다공판을 이용한 다공 각통으로 구성됨으로써 화염이 고기에 적절히 가해지면서 타거나 육즙이 건조됨을 방지하여 고기가 고르게 익고, 상기 다공 구이통의 전열효과가 뛰어나 고른 열전도 분포를 통해 다공 구이통 내의 보온력을 높여 고기가 구워지는 시간을 대폭 단축하며, 상기 다공 구이통의 내면에만 양념이 눌어붙어 세척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이기 본체의 일측 상단에 별도의 구이통 지지대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구이통 지지대에 구이를 위해 준비된 고기를 보관하기 위한 보조 다공 구이통을 올려놓아 양념물을 줄여 고기가 익는 시간을 단축하거나 고기가 구워진 다공 구이통을 올려놓아 구워진 고기를 숙성함과 아울러 육즙 손실을 방지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 업소에서 많은 양의 고기를 빠르게 구울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 중으로 노출된 다공 구이통의 상부 공간을 개방 가능한 집열 후드로 덮어줌으로써 외부로의 열손실을 줄이고 집열효과를 높여 고기의 구이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구이시 발생하는 연기를 즉석으로 제거하여 주방을 청결하게 유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스버너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가스버너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화염노즐 및 다공 구이통 간의 거리를 최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버너의 열원으로 사용되는 가스의 종류(LPG, LNG 등) 및 도시가스 지역에 따라 화염의 세기가 달라지는 현상이 발생함에도 다공 구이통을 원활하게 가열하여 고기를 내부 속까지 골고루 구울 뿐만 아니라 구워진 고기는 외형상 미관이 부서지지 않고 보존됨으로써 상업적 가치를 더욱 제고할 수 있고, 고기가 구워지는 시간을 대폭 단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 구이통 및 보조 다공 구이통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 기름받이를 이용하여 기름, 양념물 및 끼꺼기 등을 즉석으로 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 기름받이가 미처 수거하지 못한 기름, 양념물 및 끼꺼기 등을 구이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서브 기름받이를 이용하여 완벽하게 수거함으로써 구이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다공 구이통에 꼬치창을 끼움 고정함으로써 꼬치창에 다양한 꼬치물을 끼워 꼬치구이를 부가적으로 할 수 있어 구이기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여 구이기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직화구이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직화구이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직화구이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직화구이기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 직화구이기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공 구이통을 장착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다공 구이통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다공 구이통의 개방상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가스버너의 설치상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가스버너의 각도조절상태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집열 후드가 적용된 직화구이기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집열 후드가 적용된 직화구이기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메인 기름받이의 탈착상태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서브 기름받이의 외부 인출상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공 구이통에 꼬치창이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공 구이통에 꼬치창을 끼움 고정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공 구이통에 꼬치창이 장착된 상태의 측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구이기 본체(10), 다수의 다공 구이통(3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이기 본체(10)는 저면 사방에 높이조절 가능한 받침다리(11)가 부착되고, 내부에 형성된 연소실(12)의 상부에는 다수의 다공 구이통(30)을 배치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는 구이부(13)가 개방 형성되며, 상기 구이부(13)의 전방에 다공 구이통(30)을 안정적으로 회전지지하기 위한 구이통 회전지지대(14)가 직립상으로 부착되고, 후방 상단에 설치된 회전축 지지대(15)를 관통하여 다수의 회전축(1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회전축(16) 선단에는 다수의 다각형 연결홈(17a)이 형성된 구이통 커플러(17)가 일체로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축(16)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구이기 본체(10)의 내부에 감속모터(20)가 설치되고, 상기 감속모터(20)의 모터축에 결합된 스프라켓(20a) 및 각각의 회전축(16)에 결합된 스프라켓(16a)에는 체인(22)이 연결됨으로써 감속모터(20)의 회전동력은 체인(22)을 매개로 원활하게 회전축(16)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공 구이통(30)의 후면에 형성된 회전 다각축(34)을 구이통 커플러(17)에 끼움 연결함과 아울러 전면에 형성된 손잡이(33)를 구이통 회전지지대(14)에 안착함으로써 회전축(16)과 함께 다공 구이통(30)은 원활하게 연동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화염이 다공 구이통(30) 내에 투입된 고기에 과도하게 가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전체적으로 고른 열전도 분포를 통해 다공 구이통(30) 내의 보온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의 기술이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다공 구이통(30)은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다수의 구멍(31a)이 형성된 다공판(31b)을 절곡하여 6∼9각형의 다공 각통(31)을 제작하고, 상기 다공 각통(31)의 전후 양단에는 각각 다공 각통(31)을 구이통의 형태로 형성하기 위한 다각판(32)(32a)을 일체로 막음 설치함으로써 내부에 고기를 넣을 수 있는 구이통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방의 다각판(31)에는 다공 구이통(30)를 잡아서 이동하거나 상기 구이통 회전지지대(14)에 형성된 회전홈(14a)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한 손잡이(33)가 일체로 형성되고, 후방의 다각판(31a)에는 구이통 커플러(17)에 끼움 연결되는 회전 다각축(3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다공 구이통(30)을 구이부(13)에 배치하여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고기를 구워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공 구이통(30)은 화염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31a)이 형성된 다공 각통(31)으로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구멍(31a)을 통해서만 제한적으로 화염이 고기에 적절히 가해짐에 따라 고기가 타거나 육즙이 건조됨을 방지하고, 상기 다공 각통(31)은 구멍(31a)이 형성된 다공판(31b)으로 형성됨으로써 전열효과가 뛰어나 전체적으로 고르게 열전도가 분포되어 다공 구이통(30) 내의 보온력을 높여 고기가 구워지는 시간을 대폭 단축하며, 상기 다공 구이통(30)의 내면에만 양념이 눌어붙어 세척이 매우 용이한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다공 구이통(30)은 내면 모서리부에 각각 고기를 상부까지 끌어 올리면서 고기를 골고루 섞어지도록 하여 고기가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는 견인돌기(35)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공 구이통(30)은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고기를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상하로 분할된 상부 다공 구이통(36) 및 하부 다공 구이통(36a)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다공 구이통(36) 및 하부 다공 구이통(36a)은 후방의 다각판(32a)이 경첩(37)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며, 전방의 다각판(32)에는 시건장치(38)가 부착됨으로써 다공 구이통(30)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구이기 본체(10)의 일측에 별도의 보조 다공 구이통(40)을 올려놓아 양념물의 양을 줄이거나 고기가 다 구워진 다공 구이통(30)을 올려놓아 구워진 고기를 숙성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구이통 회전지지대(14)의 일측에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고정홈(14b)이 형성되고, 상기 구이부(13)의 후방에는 고정홈(18a)이 형성된 구이통 고정대(18)가 추가로 부착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홈(14b)(18a)에는 별도의 보조 다공 구이통(40)에 형성된 손잡이(43) 및 회전 다각축(44)을 끼움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다공 구이통(40)에는 다음에 굽기 위한 고기를 넣어서 보관함으로써 양념물의 양을 줄여 고기를 굽는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고기가 익기 전에 양념물이 떨어지면서 화염노즐(63)에 묻어서 노즐공이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고기가 다 구워진 다공 구이통(30)을 빼낸 후 상기 보조 다공 구이통(40)과 위치를 바꾸어 올려놓아 구워진 고기를 숙성하여 맛을 개선함은 물론 육즙 손실을 방지하며, 곧바로 보조 다공 구이통(40)을 구이부(13)에 올려놓고 고기를 시차 없이 바로 구워주어 많은 양의 고기를 빠르게 구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후면에는 후드 고정대(51)가 부착되고, 후드 고정대(51)의 상단에는 다공 구이통(3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는 역할을 하는 집열 후드(50)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집열 후드(50)는 고기가 구워지는 동안 다공 구이통(30)의 상부가 대기에 그대로 노출됨을 방지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열손실을 줄여주고, 집열작용을 통해 보온을 유지하여 고기의 구이시간을 대폭 단축하며, 구이시 발생하는 연기를 즉석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집열 후드(50)는 손잡이(33)(43)를 간섭하지 않는 최대한의 낮은 높이를 유지하도록 다공 구이통(30)을 덮어주어 다공 구이통(30)의 회전이 원활하면서도 우수한 보온력을 발휘하고, 상기 집열 후드(50)와 후드 고정대(51)의 사이에는 완충쇼버(52)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집열 후드(50)의 개폐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고 급격한 개폐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소실(12)의 양측 내면에는 전후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버너 받침대(61)가 수평 상으로 연결 설치되고, 버너 받침대(61)에는 가스버너(60)가 각각의 다공 구이통(30)과 1조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가스버너(60)의 상부면에 전후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화염노즐(63)은 다공 구이통(30)의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가스버너(60) 및 구이기 본체(10)에 설치된 화력 조절구(64)의 사이에는 가스량 조절기(65)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화력 조절구(64)의 조작에 따라 가스버너(60)의 화력을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다공 구이통(30)을 가열하여 직화구이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가스버너(60)는 버너의 열원으로 사용되는 가스의 종류(LPG, LNG 등)나 도시가스가 시설된 지역에 따라 화염의 세기가 달라지는 현상으로 인해 고기를 최적으로 구울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스버너(6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의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가스버너(60)의 저면 전후에는 한 쌍의 버너 각도조절대(66)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버너 받침대(61)에 일체로 부착된 회전브라켓(61a)에는 버너 각도조절대(66)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버너 각도조절대(66)의 타측은 버너 받침대(61)에 설치된 한 쌍의 회전 가이드브라켓(67)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를 관통하여 결합된 가이드볼트(68)는 한 쌍의 회전 가이드브라켓(67)에 형성된 가이드장공(67a)을 관통하여 너트(69)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스버너(6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부환경에 따라 화염의 세기가 달라지는 경우 상기 가이드볼트(68)의 조임을 해제한 후 버너 각도조절대(66)를 도 10과 같이 상하로 선회하면서 가스버너(6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화염노즐(63) 및 다공 구이통(30) 간의 거리를 최적으로 맞춤 조절하여 다공 구이통(30)을 원활하게 가열하여 고기를 내부 속까지 골고루 구워줄 뿐만 아니라 고기의 구이 시간을 단축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구이부(13)의 전후 하측에는 한 쌍의 지지격판(19)이 구이기 본체(10)의 양측 내면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지지격판(19)의 상단에는 다공 구이통(30)의 일측 하부 및 보조 다공 구이통(40)의 직하부에 각각 1조를 이루도록 위치하는 메인 기름받이(70)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됨으로써 구이시 발생하는 기름이나 양념물 및 끼꺼기 등을 즉석으로 수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메인 기름받이(70)는 도 13과 같이 상부로 들어올려 외부로 탈착한 후 배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는 도 14와 같이 좌우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0-3)에 서브 기름받이(80)의 양측이 끼움 설치되고, 상기 서브 기름받이(80)는 구이기 본체(10)의 전면 하측에 형성된 기름받이 인출구(10-1)를 통해 가이드레일(10-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방 외부로 인출 가능함으로써 메인 기름받이(70)가 미처 수거하지 못하고 구이기 본체(10)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기름이나 양념물 및 끼꺼기 등을 수거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기름받이(80)는 전면에 손잡이(81)가 돌출 형성되고, 구이기 본체(10)의 내부 후방 바닥면에는 서브 기름받이(80)가 과도하게 인입됨을 방지하는 스토퍼(10-2)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공 구이통(30)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용도로 사용함에 국한되지 않고, 별도의 꼬치창(90)을 다공 구이통(30)에 장착하여 꼬치구이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하부 다공 구이통(36a)의 다각판(32)(32a)에는 각각 양측 상하에 한 쌍의 꼬치창 고정홀(91)이 형성되고, 전방에 위치한 다각판(32)에 형성된 한 쌍의 꼬치창 고정홀(91)은 외부와 연통하는 꼬치창 입출로(92)가 상향으로 연결됨으로써 다양한 꼬치물을 끼운 꼬치창(90)의 앞쪽 부위를 도 16과 같이 꼬치창 입출로(92)를 경유하여 꼬치창 고정홀(91)에 수직상으로 끼운 후 상기 꼬치창(90)을 후방으로 밀면서 뒷쪽 부분을 후방에 위치한 다각판(32a)에 형성된 한 쌍의 꼬치창 고정홀(91)에 끼움 고정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꼬치물을 끼워 꼬치구이를 부가적으로 할 수 있어 직화구이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미설명된 부호 10-4는 가스불을 점화하기 위한 가스불 점화기 투입구이고, 10-5는 감속모터(20)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인버터이다.
10: 구이기 본체 10-1: 기름받이 인출구
12: 연소실 13: 구이부
14: 구이통 회전지지대 14a: 회전홈
14b, 18a: 고정홈 15: 회전축 지지대
16: 회전축 17: 구이통 커플러
18: 구이통 고정대 19: 지지격판
20: 감속모터 22: 체인
30: 다공 구이통 31: 다공 각통
31a: 구멍 31b: 다공판
32, 32a: 다각판 33, 43, 81: 손잡이
34, 44: 회전 다각축 35: 견인돌기
36: 상부 다공 구이통 36a: 하부 다공 구이통
37: 경첩 38: 시건장치
40: 보조 다공 구이통 50: 집열 후드
51: 후드 고정대 52: 완충쇼버
60: 가스버너 61: 버너 받침대
63: 화염노즐 64: 화력 조절구
65: 가스량 조절기 66: 버너 각도조절대
67: 회전 가이드브라켓 67a: 가이드장공
68: 가이드볼트 70: 메인 기름받이
80: 서브 기름받이 90: 꼬치창
91: 꼬치창 고정홀 92: 꼬치창 입출로

Claims (8)

  1. 내부에 형성된 연소실(12)의 상부에 다수의 다공 구이통(30)이 배치되는 구이부(13)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구이부(13)의 전방에 구이통 회전지지대(14)가 부착되며, 후방 상단에 설치된 회전축 지지대(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회전축(16)의 선단에는 구이통 커플러(17)가 형성된 구이기 본체(10)와;
    다수의 구멍(31a)이 형성된 다공판(31b)으로 제작된 다공 각통(31)의 전후 양단에 각각 다각판(32)(32a)이 일체로 막음 설치되며, 상기 다각판(32)(32a)에 각각 돌출 형성된 손잡이(33) 및 회전 다각축(34)은 구이통 회전지지대(14)에 형성된 회전홈(14a)에 안착됨과 아울러 구이통 커플러(17)에 끼움 연결되어 상기 구이부(13) 상에서 회전하면서 내부에 투입된 고기를 구워주는 다수의 다공 구이통(30)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구이통 회전지지대(14)의 일측에는 고정홈(14b)이 형성되고, 상기 구이부(13)의 후방에 고정홈(18a)이 형성된 구이통 고정대(18)가 부착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홈(14b)(18a)에는 보조 다공 구이통(40)에 형성된 손잡이(43) 및 회전 다각축(44)을 끼움 고정하여 다음에 굽기 위한 고기를 보조 다공 구이통(40)에 넣어서 보관하면서 양념물의 양을 줄이거나 고기가 다 구워진 다공 구이통(30)을 빼낸 후 상기 보조 다공 구이통(40)과 위치를 바꾸어 올려놓아 구워진 고기를 숙성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구이통(30)는 상하로 분할된 상부 다공 구이통(36) 및 하부 다공 구이통(36a)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다공 구이통(36) 및 하부 다공 구이통(36a)은 후방의 다각판(32a)이 경첩(37)을 매개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함과 아울러 전방의 다각판(32)에는 시건장치(38)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후면에는 후드 고정대(51)가 부착되고, 후드 고정대(51)의 상단에는 다공 구이통(30)의 상부를 덮어주어 외부로의 방출열을 줄이면서 집열을 통해 보온을 유지하는 집열 후드(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집열 후드(50)와 후드 고정대(51)의 사이에는 완충쇼버(52)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2)의 양측 내면에 전후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버너 받침대(61)에는 다수의 화염노즐(63)이 전후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가스버너(60)가 각각의 다공 구이통(30)과 1조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스버너(60) 및 구이기 본체(10)에 설치된 화력 조절구(64)의 사이에는 가스량 조절기(65)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60)의 저면 전후에는 한 쌍의 버너 각도조절대(66)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버너 받침대(61)에 부착된 회전브라켓(61a)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버너 각도조절대(66)의 타측을 관통하여 결합된 가이드볼트(68)는 버너 받침대(61)에 설치된 한 쌍의 회전 가이드브라켓(67)에 형성된 가이드장공(67a)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볼트(68)의 조임을 해제한 후 버너 각도조절대(66)를 상하로 선회하면서 가스버너(60)의 각도를 조절하여 화염노즐(63) 및 다공 구이통(30) 간의 거리를 최적으로 맞춤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부(13)의 전후 하측에는 한 쌍의 지지격판(19)이 구이기 본체(10)의 양측 내면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지지격판(19)의 상단에는 다공 구이통(30)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는 메인 기름받이(70)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는 좌우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0-3)에 서브 기름받이(80)의 양측이 끼움 설치되고, 상기 서브 기름받이(80)는 구이기 본체(10)의 전면 하측에 형성된 기름받이 인출구(10-1)를 통해 가이드레일(10-3)을 따라 전방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KR1020190152035A 2019-11-25 2019-11-25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Active KR102113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035A KR102113271B1 (ko) 2019-11-25 2019-11-25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035A KR102113271B1 (ko) 2019-11-25 2019-11-25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271B1 true KR102113271B1 (ko) 2020-05-20

Family

ID=7091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035A Active KR102113271B1 (ko) 2019-11-25 2019-11-25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2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744B1 (ko) 2021-06-02 2022-02-18 이영희 터널식 연속형 구이 장치
KR102460668B1 (ko) 2022-05-27 2022-10-31 (주)아그로시스템즈 탄화물 생성저감 자동 숯불 구이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726A (ko) * 1999-01-14 2000-08-05 권오혁 소각기능을 갖춘 기름보일러 겸용 나무 보일러
KR20060027461A (ko) * 2004-09-23 2006-03-28 정순경 바비큐 구이기
KR101430550B1 (ko) * 2013-05-06 2014-08-18 한인영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20180002648U (ko) * 2018-03-23 2018-09-05 김민상 육각 구이통 회전 구이기
KR20180125918A (ko) * 2018-11-05 2018-11-26 임영주 고기구이 장치
KR200489004Y1 (ko) * 2018-07-30 2019-04-16 이세림 회전식 구이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726A (ko) * 1999-01-14 2000-08-05 권오혁 소각기능을 갖춘 기름보일러 겸용 나무 보일러
KR20060027461A (ko) * 2004-09-23 2006-03-28 정순경 바비큐 구이기
KR101430550B1 (ko) * 2013-05-06 2014-08-18 한인영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20180002648U (ko) * 2018-03-23 2018-09-05 김민상 육각 구이통 회전 구이기
KR200489004Y1 (ko) * 2018-07-30 2019-04-16 이세림 회전식 구이기
KR20180125918A (ko) * 2018-11-05 2018-11-26 임영주 고기구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744B1 (ko) 2021-06-02 2022-02-18 이영희 터널식 연속형 구이 장치
US12207760B2 (en) 2021-06-02 2025-01-28 Innohas Co., Ltd. Tunnel-shaped continuous barbecue apparatus
KR102460668B1 (ko) 2022-05-27 2022-10-31 (주)아그로시스템즈 탄화물 생성저감 자동 숯불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3359A (en) Cooking apparatus
US20140311356A1 (en) Multi-Configurable Outdoor Cooking Grill
US20160235078A1 (en) Universal Barbeque System
WO2005089183A2 (en) No waste cooking oven with multiple cooking functions
CN105832174A (zh) 烹饪装置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101315045B1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102113271B1 (ko)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KR20100053073A (ko) 다목적 숯불 구이기
JP2015092969A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ボックス
KR100828035B1 (ko) 균질조리 바베큐 장치 및 방법
KR200470529Y1 (ko) 바베큐 육류 구이판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US20120260809A1 (en) Rotisserie Grill
CA3020225A1 (en) Grill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CN208404226U (zh) 快速自动无烟烧烤机
KR20130112440A (ko) 바베큐 구이장치
KR101738891B1 (ko) 가스 직화 구이기
KR100916587B1 (ko) 매연발생이 없는 바비큐 구이장치
WO2017091109A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мангал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на биотопливе
KR101118792B1 (ko) 바비큐 장치
CN208822490U (zh) 无烟烧烤炉
AU2018220066B2 (en) Improvements in or in relation to food preparation
CN207613653U (zh) 一种推拉式多功能火烤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6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5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