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144B1 - 화덕 - Google Patents

화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144B1
KR101899144B1 KR1020170094854A KR20170094854A KR101899144B1 KR 101899144 B1 KR101899144 B1 KR 101899144B1 KR 1020170094854 A KR1020170094854 A KR 1020170094854A KR 20170094854 A KR20170094854 A KR 20170094854A KR 101899144 B1 KR101899144 B1 KR 101899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layer
cooking
adhesive lay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홍
김신돈
Original Assignee
정재홍
김신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홍, 김신돈 filed Critical 정재홍
Priority to KR1020170094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2Ranges in which the baking oven is arranged above the fire-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덕은, 전면에 개구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02)와 연결된 연소실(104)이 내부에 구비된 아치형의 상부본체(100); 및 상기 상부 본체(100)의 하부에 조립되며, 연료가 담기는 화로(240)와, 상기 화로(240)의 상측에서 상기 화로(240)의 좌우 폭보다 작은 폭으로 조리대(230)가 설치되어, 내벽면과 상기 조리대(230)의 사이에 화구(234)가 각각 형성된 하부본체(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덕 {COOKING STOVE}
본 발명은 화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 하부 본체가 조립식으로 구비되며, 숯불에 의해 음식물을 익히는 화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덕은 전기, 가스 및 목재 등의 열원을 이용하여 피자 등과 같은 각종 요리를 구울 수 있도록 사용하고 있다.
즉, 단순히 조리용 기구로 구워 익혀 먹는 것과는 달리 화덕의 내부에서 고열로 단시간에 구워 조리함으로써, 맛의 풍미를 향상시킴은 물론, 음식물의 표면이 조리용 기구에 의해 국부적으로 가열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가열되어 일부가 타는 등의 단점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때, 화덕은 연료에 따라 음식의 익힘 상태가 상이하다. 즉, 가스를 연로로 사용하는 경우 버튼이나 레버를 이용하여 손쉽게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음식물이 겉부터 익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음식물의 겉 부분이 쉽게 연소되어 음식물의 식감을 저하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숯이나 증기를 사용하여 음식을 익히는 경우 음식물이 골고루 익으면서 숯이 음식물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는 되는 이점이 있으나, 장작을 사용하는 경우 장작 크기가 커 연소 후에 재 제거가 어렵고, 참나무를 사용하면 연소시 타르가 생성되면서 화로 내부에 달라붙어 별도로 타르의 제거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화덕과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676754호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78529호에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한 미니 화덕은 전면에 출구가 형성된 가열공간을 가지는 반원통(가마) 형상의 몸체를 가짐과 아울러, 내부에 열을 전달받아 충열하도록 된 암석 판넬로 이루어진 내벽을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열수단이 화덕의 일측에 연결되어 균일한 음식 조리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2에 의한 내부 착탈식 바닥판 가열용 가스버너를 구비한 이동식 돔형 화덕은 돔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스버너 외에 내부 착탈식 바닥판을 가열하기 위한 가스버너를 별도로 구비하게 되는데, 열원이 편중되어 음식물이 골고루 익지 않고, 가스로 열원을 사용하면 음식물이 겉부터 익게 되어 식감 저하에 주범위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다른 내화벽돌 화덕은 설치시 여러 사람이 손으로 가마형태를 이루도록 벽돌을 쌓아가며 제작하기에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장소를 많이 차지하고 이동이 불가하며 매장의 폐업이나 이전시에는 해체할 때 작업이 어려우면서 다량의 폐기물을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유발시킨다.
한국등록특허 제1676754호 (등록일: 2016.11.10.)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78529호 (등록일: 2015.10.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화산석으로 이루어진 상부 본체와 조리대에서 발산되는 복사열 및 대류열을 통해 음식물을 골고루 익히게 되고, 조리대 바닥 및 양측에 화구가 형성되어 음식물의 바닥과 양쪽에서 열원을 제공하고, 연료로 숯을 사용하여 연료비가 절감되고, 상, 하부본체를 조립식으로 구비하여 이동이 용이하면서 소규모로도 구현 가능하며, 보조 열원을 통해 충분한 열원을 제공할 수 있게 한 화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덕은, 전면에 개구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02)와 연결된 연소실(104)이 내부에 구비된 아치형의 상부본체(100); 및 상기 상부 본체(100)의 하부에 조립되며, 연료가 담기는 화로(240)와, 상기 화로(240)의 상측에서 상기 화로(240)의 좌우 폭보다 작은 폭으로 조리대(230)가 설치되어, 내벽면과 상기 조리대(230)의 사이에 화구(234)가 각각 형성된 하부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상부본체(100)는 외측에서부터 타일층(110), 상부 접착층(120), 상부 단열재층(130), 하부 접착층(140) 및 화산석층(150)의 순서로 적층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 접착층(120, 140)은 철망과 모르타르(mortar)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리대(230)는 화산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로(240)는 서랍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조리대(230)의 폭과 대응되는 내부가 구획되도록 격벽(242)이 형성되어, 상기 격벽(242) 내부의 연료에 의해 상기 조리대(230)를 가열하고, 상기 격벽(242) 외부의 연료에 의해 양쪽 화구(234)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로(240)의 하측에 상기 화로(240)의 연료 연소시 발생된 재가 저장되는 취출형 재받이(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상부본체(100)의 내부 천장에 보조 열원(17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산석 가열시 발생되는 복사열 및 대류열에 의해 음식물의 속부터 위아래를 균일하고 빠르게 익힐 수 있고, 조리대 바닥 및 양측에서 열원을 제공하여 기존 대비 조리대 바닥의 온도 상승에 따라 균일한 조리와 조리 시간이 감소되고, 열원으로 숯을 사용하여 한 두차례 보충으로 장시간 열기 유지가 가능하여 연료비가 절감되고, 상, 하부몸체를 조립식으로 구비하여 제조 및 이동이 편리하며, 열이 부족한 경우에 보조 열원을 통해 열원을 충분히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화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화덕을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화덕 중 하부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화덕에 보조 열원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화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덕(10)은 아치형상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연소실(104)이 구비되는 상부본체(100) 및 상부본체(100)와 별도로 구비된 상태에서 상부본체(100)의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본체(200)를 포함한다.
상부본체(100)는 정면에서 봤을 때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개구부(102)가 형성되고, 개구부(102)와 통하는 내부에 연소실(104)이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구부(102)의 개폐를 위한 도어가 구비될 수 있고, 개구부(102)의 전방에 연소실(104)에서 방출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연통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본체(100)는 외측에서부터 타일층(110), 상부 접착층(120), 상부 단열재층(130), 하부 접착층(140) 및 화산석층(150)의 순서로 적층 구성된다.
타일층(110)은 상부본체(100)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타일을 불규칙 형상 등으로 절개한 후 표면을 따라 부착할 수 있으므로 외관상 미려한 이점이 있다.
상부 접착층(120)은 타일층(110)과 상부 단열재층(130)의 사이에서 타일층(110)과 상부 단열재층(130)을 접착하게 하는 층으로, 철망과 모르타르(mortar)등의 조합을 통해 층이 이루어진다.
이때, 철망은 상부 접착층(12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모르타르 내부에 매설된다. 그리고 모르타르는 경화시 타일층(110)과 상부 단열재층(130)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부 단열재층(130)은 열원의 열을 보온 및 차단하기 위해 속돌, 부석, 화산재, 연탄재, 숯이나 재 등의 재료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부 접착층(140)은 상부 단열재층(130)과 화산석층(150)의 사이에서 상부 단열재층(130)과 화산석층(150)을 접착하게 하는 층으로, 상부 접착층(120)과 동일하게 철망과 모르타르 등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화산석층(150)은 상부본체(100)의 아치형 내벽을 따라 마감하여 대류열과 복사열로 음식물의 겉과 속을 동시에 빠르게 익혀 구울 수 있으며, 향균 작용도 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본체(100)는 상면에 화덕(10) 내부의 온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온도계(160)가 설치된다.
이렇게, 상부본체(100)는 표면에 타일층(110)이 형성되어 미관이 미려하고, 상부 접착층(120)에 의해 타일층(110)과 상부 단열재층(130)을 연결하고, 하부 접착층(140)에 의해 상부 단열재층(130)과 화산석층(150)을 연결하게 되므로 상부 단열재층(130)에 의해 화로(240)에서 발생되는 열의 손실을 방지하고 화산석층(150)에 의해 음식물의 겉과 속을 동시에 빠르게 익혀 구울 수 있다. 또한, 상부 접착층(120)과 하부 접착층(140)은 철망과 모르타르의 조합을 통해 층을 형성하므로 접착 부위에서 철망에 의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하부본체(200)는 지면 상에 설치되면서 상부에 상부본체(100)가 조립식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 하부본체(100, 200)가 조립식으로 구비됨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정식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 하부본체(100, 200)가 조립식으로 구비되는 경우 하부본체(200)는 상부본체(100)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요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가 밀착되는 밀착면이 요철 형태로 구비되어 화덕(1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본체(200)는 측벽 단열재(210), 바닥 단열재(220), 조리대(230), 화로(240) 및 재받이(250)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부본체(200)의 구성시 측벽 단열재(210)와 바닥 단열재(220)를 통해 화로(240)에서 발생되는 열의 손실을 측면과 바닥에서 방지하게 된다.
측벽 단열재(210)는 하부본체(200)의 직립된 외벽을 마감하며, 내부는 내부 마감재(212)로 마감되고, 외부는 외부 마감재(214)로 마감된다. 이때, 내, 외부 마감재(212, 214)는 측벽 단열재(210)의 내벽과 외벽을 구성하도록 하여 측벽 단열재(210)의 보호와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금속판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측벽 단열재(210)는 속돌, 부석, 화산재, 연탄재, 숯이나 재 등의 재료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닥 단열재(220)는 하부본체(200)의 바닥을 마감하는 층으로, 상면은 상부 마감재(222)로 마감되고, 저면은 하부 마감재(224)로 마감된다. 여기서, 상, 하부 마감재(222, 224)는 바닥 단열재(220)의 상면과 저면을 구성하도록 하여 바닥 단열재(220)의 보호와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금속판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바닥 단열재(220)는 측벽 단열재(210)와 동일한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조리대(230)는 상면이 하부본체(200)의 상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되며, 판상의 화산석으로 형성된다.
이때, 조리대(230)는 하부본체(200)의 대향된 전후 내벽면에 절곡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안착 브래킷(232) 상에 안착된다.
또한, 조리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좌우 폭이 화로(240)의 상측에서 화로(240)의 좌우 폭보다 작은 폭으로 구비되므로, 측벽 단열재(210)와 조리대(230)의 사이에는 화구(234)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화구(234)는 열원을 조리대(230)의 바닥뿐만 아니라 조리대(230)의 양측에서도 제공받을 수 있다.
결국, 음식물의 하부는 화로(240)에서 제공하는 숯의 열이 조리대(230)로 전달되면서 익게 되고, 음식물의 상부는 조리대(230)의 좌우 양쪽에 형성된 화구(234) 내의 숯불을 통해 대류열과 복사열이 상부본체(100)의 내부에 순환되면서 음식물의 겉과 속을 한 번에 익히게 된다.
화로(240)는 조리대(230)의 하측에 숯 등을 포함하는 연료가 담기는 공간으로 하부본체(200)의 일측벽에서 취출 가능하도록 서랍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화로(240)는 하부본체(200)의 대향된 좌우 내벽면에 절곡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안착 브래킷(242) 상에 안착된다.
더욱이, 화로(240)는 조리대(230)의 폭과 대응되는 내부가 구획되도록 격벽(242)이 이격 형성된다.
즉, 격벽(242)은 화로(240)의 내부에 조리대(230)의 폭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각각 구비되어 대향된 격벽(242)의 안쪽에는 조리대(230)의 바닥을 가열하는 숯 등의 연료가 담기게 되고, 대향된 격벽(242)의 바깥쪽에는 조리대(230)의 양측에서 열원을 제공하는 숯 등의 연료가 각각 담기게 된다.
이렇게, 격벽(242)에 의해 화구(234) 면적에 대응하는 폭만큼 화로(24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화구(234) 내의 숯불 온도를 조리대(230)를 가열하는 숯불 온도와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고, 숯 보충시 숯의 안착 형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화로(240)는 바닥면이 망 형태 등으로 구비되어 숯 등의 연료 연소시 발생된 숯 재가 낙하하게 된다.
재받이(250)는 화로(240)의 하측에 구비되어 화로(240)에서 낙하한 재가 내부에 수집된다. 특히, 재받이(250)는 취출이 가능한 서랍 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쌓인 재의 처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덕(10)의 사용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화로(240)를 하부본체(200)에서 인출한 후 화로(240)의 내부에 연료인 숯불을 집어넣는다.
다음으로, 화로(240)를 하부본체(200)의 내부로 인입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조리대(230)의 하부와 조리대(230)의 좌우 양쪽에 위치된 숯불의 열기로 인해 연소실(104)의 내부 온도가 400℃ 이상 상승한다. 이때, 하부에서 제공되는 숯불의 열기가 화산석인 조리대(230)를 가열하여 조리대(230) 상에 위치된 음식물을 간접열에 의해 조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조리대(230) 상에 피자 등과 같은 음식물을 넣고 조리하게 된다.
이때, 상부본체(100)의 내벽면을 구성하고 있는 화산석층(150)과, 화산석으로 이루어진 조리대(230)는 화산석 재질 특성상 음식물의 상하를 균일하고 빠르게 익힐 수 있고, 향균 작용도 하게 된다. 그리고 조리대(230)의 중심부 하측에서도 숯불에 의해 열을 제공하므로 높은 온도에 의해 음식물 조리시 균일한 조리가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숯의 보충이 요구되면, 작업자가 화로(240)를 하부본체(200)에서 인출한 후 화로(240)의 내부 또는 조리대(230)의 양측 화구(234)에 숯불을 추가하게 된다. 이렇게, 숯을 1~2차례 정도 추가하면 사용 시간 역시 증가하므로 연료비가 절감된다.
다음으로, 숯이 연소되면서 남은 재는 화로(240)에서 재받이(250)로 낙하하며, 재받이(250)를 하부본체(200)에서 인출시켜 재받이(250) 내부의 재를 제거하게 된다.
도 4은 본 발명의 화덕(10)에서 상부본체에 보조 열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앞선 제1 실시예에서 상부본체(100)의 내벽면을 따라 보조 열원(170)이 부가 설치되는 점이 상이하다.
보조 열원(170)은 상부본체(100)의 내부 천장에 설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조리대(230)의 하측과 양측에서 숯불의 온도가 낮아져 열이 부족한 경우 별도로 열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조 열원(170)은 원적외선 램프 등이 이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화덕 100: 상부몸체
110: 타일층 120: 상부 접착층
130: 상부 단열재층 140: 하부 접착층층
150: 화산석층 160: 온도계
170: 보조 열원 200: 하부몸체
210: 측벽 단열재 220: 바닥 단열재
230: 조리대 234: 화구
240: 화로 242: 격벽
250: 재받이

Claims (7)

  1. 전면에 개구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02)와 연결된 연소실(104)이 내부에 구비된 아치형의 상부본체(100); 및
    상기 상부 본체(100)의 하부에 조립되며, 연료가 담기는 화로(240)와, 상기 화로(240)의 상측에서 상기 화로(240)의 좌우 폭보다 작은 폭으로 조리대(230)가 설치되어, 내벽면과 상기 조리대(230)의 사이에 화구(234)가 각각 형성된 하부본체(200);를 포함하며,
    상기 화로(240)는 서랍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조리대(230)의 폭과 대응되는 내부가 구획되도록 격벽(242)이 형성되어, 상기 격벽(242) 내부의 연료에 의해 상기 조리대(230)를 가열하고, 상기 격벽(242) 외부의 연료에 의해 양쪽 화구(234)에 열을 제공하는 화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100)는 외측에서부터 타일층(110), 상부 접착층(120), 상부 단열재층(130), 하부 접착층(140) 및 화산석층(150)의 순서로 적층 구성되는 화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착층(120) 및 하부 접착층(140)은 철망과 모르타르(mortar)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화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대(230)는 화산석으로 형성된 화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240)의 하측에 상기 화로(240)의 연료 연소시 발생된 재가 저장되는 취출형 재받이(250)를 더 포함하는 화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100)의 내부 천장에 보조 열원(170)이 설치되는 화덕.
KR1020170094854A 2017-07-26 2017-07-26 화덕 KR101899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854A KR101899144B1 (ko) 2017-07-26 2017-07-26 화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854A KR101899144B1 (ko) 2017-07-26 2017-07-26 화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144B1 true KR101899144B1 (ko) 2018-09-14

Family

ID=6359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854A KR101899144B1 (ko) 2017-07-26 2017-07-26 화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1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3440A (en) * 2020-02-19 2021-09-29 Gozney Group Ltd Oven
KR102395135B1 (ko) * 2020-12-15 2022-05-04 이강국 보조 가열부가 형성되는 화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1093A (en) * 1994-04-15 1995-07-11 Dodgen Industries, Inc. Barbecue device
KR200337210Y1 (ko) * 2003-09-26 2003-12-31 (주)오앤씨 글로벌 화덕 구조
KR100478529B1 (ko) 2003-06-13 2005-03-29 주식회사 나후텍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스로 훈연 및 열처리하는육가공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육가공품
KR200388614Y1 (ko) * 2005-04-15 2005-06-29 유인생 고기구이기
WO2007103524A2 (en) * 2006-03-08 2007-09-13 Tuscan Ovens, Llc Outdoor oven
KR200436764Y1 (ko) * 2006-10-19 2007-10-02 이여중 이동식 피자 화덕
KR20090009548U (ko) * 2008-03-19 2009-09-23 이진이 아궁이식 황토가마
KR20110010351A (ko) * 2009-07-24 2011-02-01 최일용 욕실용 타일부착 패널
KR101524256B1 (ko) * 2014-09-29 2015-06-02 권오영 바베큐용 화덕
KR101545437B1 (ko) * 2014-02-28 2015-08-18 정진한 구이용 화덕
KR101676754B1 (ko) 2016-09-11 2016-12-06 민선형 미니 화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1093A (en) * 1994-04-15 1995-07-11 Dodgen Industries, Inc. Barbecue device
KR100478529B1 (ko) 2003-06-13 2005-03-29 주식회사 나후텍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스로 훈연 및 열처리하는육가공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육가공품
KR200337210Y1 (ko) * 2003-09-26 2003-12-31 (주)오앤씨 글로벌 화덕 구조
KR200388614Y1 (ko) * 2005-04-15 2005-06-29 유인생 고기구이기
WO2007103524A2 (en) * 2006-03-08 2007-09-13 Tuscan Ovens, Llc Outdoor oven
KR200436764Y1 (ko) * 2006-10-19 2007-10-02 이여중 이동식 피자 화덕
KR20090009548U (ko) * 2008-03-19 2009-09-23 이진이 아궁이식 황토가마
KR20110010351A (ko) * 2009-07-24 2011-02-01 최일용 욕실용 타일부착 패널
KR101545437B1 (ko) * 2014-02-28 2015-08-18 정진한 구이용 화덕
KR101524256B1 (ko) * 2014-09-29 2015-06-02 권오영 바베큐용 화덕
KR101676754B1 (ko) 2016-09-11 2016-12-06 민선형 미니 화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3440A (en) * 2020-02-19 2021-09-29 Gozney Group Ltd Oven
GB2593440B (en) * 2020-02-19 2023-10-25 Gozney Group Ltd Oven
KR102395135B1 (ko) * 2020-12-15 2022-05-04 이강국 보조 가열부가 형성되는 화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1191A1 (en) Outdoor oven
CN103547198B (zh) 用于烤食物的烤箱
US20060225724A1 (en) Solid-fueled cooking or heating device
KR101676754B1 (ko) 미니 화덕
KR101899144B1 (ko) 화덕
RU2722385C1 (ru) Одноразовый гриль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дноразового гриля
US20120312205A1 (en) Woodkiln molded combustion chamber
KR101981004B1 (ko) 피자 화덕
KR100820910B1 (ko) 숯을 이용한 고기구이용 황토가마
ES2397371T3 (es) Horno para la cocción industrial de alimentos, en particular de pan, pizzas o similares
KR101904377B1 (ko) 내열 도자기 구이판 전기 로스터
RU2710583C1 (ru) Походный тандыр
TWM505813U (zh) 窯烤爐之結構改良
FI99274C (fi) Leivinuuni
KR101289550B1 (ko) 연탄 전용 착화 장치
KR101376944B1 (ko) 복합열원의 구이용 화덕
KR101494082B1 (ko)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CN107249335A (zh) 用于烹制焙烤产品尤其是披萨的自动烤炉
Still et al. Increasing fuel efficiency and reducing harmful emissions in traditional cooking stoves
KR200337210Y1 (ko) 화덕 구조
JP2020018247A (ja) ピザ用調理装置
KR200277942Y1 (ko) 피자 조리기
RU199409U1 (ru) Дровяная печь для пиццы
KR101634360B1 (ko)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RU2818956C2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