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766B1 - 박스형 두부 커팅기 - Google Patents

박스형 두부 커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766B1
KR101660766B1 KR1020167012922A KR20167012922A KR101660766B1 KR 101660766 B1 KR101660766 B1 KR 101660766B1 KR 1020167012922 A KR1020167012922 A KR 1020167012922A KR 20167012922 A KR20167012922 A KR 20167012922A KR 101660766 B1 KR101660766 B1 KR 101660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cutting
head
vertical frame
cut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785A (ko
Inventor
김기자
Original Assignee
김기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자 filed Critical 김기자
Publication of KR2016006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200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20/00Cheese substitutes
    • A23C20/02Cheese substitutes containing neither milk components, nor caseinate, nor lactose, as sources of fats, proteins or carbohydrates
    • A23C20/025Cheese substitutes containing neither milk components, nor caseinate, nor lactose, as sources of fats, proteins or carbohydrates mainly containing proteins from pulses or oilsee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B26B27/002Tools using wires as 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54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wire-like cutting member
    • B26D1/55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wire-like cutt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wire-like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8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cubes or the like
    • B26D3/185Grid like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를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할하는 두부 커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저면을 가진 4각통 형상의 몸체(10)를 구비하고, 몸체(10)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을 통과하는 두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다수의 조각으로 분할하는 제1커팅 와이어(3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좌측면에는, 몸체(10)의 좌측면을 통과하는 두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다수 조각으로 분할하는 제2커팅 와이어(32)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우측면에는, 상기 우측면을 통과하는 두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다수 조각으로 분할하는 제3커팅 와이어(33)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저면은 몸체(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두부가 몸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외부의 두부가 구조물의 장애없이 내부 공간 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것이다.

Description

박스형 두부 커팅기{Cutting device for Bean-Curd}
본 발명은 두부를 여러 조각으로 분할하는 두부 커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스의 전후, 좌우 측면마다 각각 다른 배열로 구비된 다수 종류의 커터날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1개의 두부를 다양한 형태의 여러개의 두부 조각으로 커팅하는 두부 커팅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음식점에서는 두부를 주재료로 한 다양한 음식물이 조리되고 있다. 두부는 통상 제조시 큰 크기의 판형으로 제조한 다음, 음식점에는 큰 크기의 판형 두부를 그대로 제공하고, 음식점에서는 판형 두부를 소형의 두부 모로 절단하여 조리하는 반면, 가정 판매용으로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모'(두부를 세는 단위)로 절단한 후, 용기에 담아 유통 또는 판매되고, 가정에서는 작은 용기에 담긴 두부 한모를 구입하여 조리시 조리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용기에 포장된 두부를 조리하기 위하여 소정의 크기로 절단할 때, 통상 두부를 포장 용기에서 꺼낸 다음, 조리용 칼로써 여러개로 등분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두부를 도마나 한 손에 얹은 상태에서 칼로 절단하므로, 절단되는 두부의 크기나 두께가 불균일하여 미관상 좋지 못하다.
뿐만아니라, 두부를 도마나 손바닥 위에 얹거나 옮기는 도중에 손바닥이나 도마로부터 세균이나 오염물질에 오염될 염려가 있어 비위생적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두부 절단방법이 가진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두부를 절단할 때 두부를 손으로 잡지 않고 두부를 여러방향으로 다양한 크기의 조각으로 절단할 수 있어 절단 도중에 도마나 손으로부터 세균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요리 종류에 맞추어 두부를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형태로 일정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요리에 대응할 수 있는 박스형 두부 커팅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부를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할하는 두부 커팅기이고,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저면을 가진 4각통 형상의 몸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두부 커팅기는 몸체의 전면에 상기 전면을 통과하는 두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다수의 조각으로 분할하는 제1커터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좌측면에는, 상기 몸체의 좌측면을 통과하는 두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다수 조각으로 분할하는 제2커터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의 우측면에는, 상기 우측면을 통과하는 두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다수 조각으로 분할하는 제3커터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의 저면은 몸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두부가 몸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외부의 두부가 장애없이 내부 공간 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상기 제1커터는 몸체의 전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한 배열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커팅 와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제2커터는, 몸체의 좌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제1커팅 와이어의 배열 간격과는 다른 배열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커팅 와이어로 구성되고, 제3커터는 우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제1커팅 와이어 및 제2커팅 와이어의 각 배열 간격과는 다른 배열 간격으로 배열된 제3커팅 와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커터, 제2커터 및 제3커터는 스테인레스 강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두부 커팅기에서, 상기 몸체의 전면은 외부의 두부가 내부공간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전방 좌측 세로 프레임, 전방 우측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전방 좌측 세로 프레임과 전방 우측 세로 프레임의 상단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단 전방 가로 프레임으로 구획된다.
상기 몸체의 후면은 후방 좌측 세로 프레임, 후방 우측 세로 프레임 및 상기 후방 좌우측 세로 프레임의 상단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단 후방 가로 프레임으로 구획되고, 내부공간안의 두부가 내부 공간안에 수용되도록 두부를 지지하는 받침판으로 폐쇄되어 있다.
상기 몸체의 좌측면은 외부의 두부가 내부공간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 좌측 세로 프레임, 후방 좌측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전후방 좌측 세로 프레임들의 상단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단 좌측 가로 프레임으로 구획된다.
상기 몸체의 우측면은 외부의 두부가 내부공간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 우측 세로 프레임, 후방 우측 세로 프레임 및 상기 전,후방 우측 세로 프레임들의 상단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단 우측 가로 프레임으로 구획된다.
상기 제2커팅 와이어는, 몸체의 좌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제1커팅 와이어의 배열 간격과는 다른 배열 간격으로 배열되고, 제3커터는 우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제1커팅 와이어 및 제2커팅 와이어의 각 배열 간격과는 다른 배열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커팅 와이어의 배열에 의하면, 서로 다른 배열 간격을 가진 3종류의 커팅와이어가 하나의 몸체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여러 종류의 커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리하는 대상 요리에 따라 두부를 다양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어 편리하다.
상기 제1커팅 와이어, 제2커팅 와이어 및 제3커팅 와이어는 스테인레스 강재로 만들어짐으로써 부식이 방지되고, 파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면 두부의 절단면을 파형으로 절단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에 부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부 커팅기는 다른 실시예로서 판형의 두부 커팅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판형의 두부 커팅기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좌측 세로 프레임, 우측 세로 프레임, 상기 좌측 세로 프레임과 우측 세로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부 손잡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조립체와, 상기 좌,우측 세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각각은 좌,우측 세로 프레임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복수개의 커팅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 세로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스테인레스강의 판재를 2겹으로 접어서, 그 사이에 커팅 와이어(55)를 개재한 후, 2겹의 판재를 압착하여 커팅 와이어를 고정한다.
그리고 커팅 와이어는 스테인레스 강재의 와이어로 구성되고, 직선 또는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부 커팅기에 의하면, 두부를 절단할 때 두부를 손으로 잡지 않고 두부를 여러방향으로 다양한 크기의 조각으로 절단할 수 있어 절단 도중에 도마나 손으로부터 세균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요리 종류에 맞추어 두부를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형태로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요리에 대응할 수 있으며, 비숙련자라도 균일한 크기로 두부를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 구성부품을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함으로써 부식이 방지되어 위생적으로 두부를 절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두부 커팅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두부 커팅기를 이용하여 두부를 절단하는 여러 과정들을 각각 과정별로 도시한 절단작업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판형 두부 커팅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X-X'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두부 커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전', '후', '좌','우', '상', '하'는 도 1에서 가리키는 방향을 지칭한다. 그러나 이들 방향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지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의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두부 커팅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두부 커팅기(100)는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저면을 가진 4각통 형상의 몸체(10)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전면은 몸체 외부의 두부가 몸체 내부 공간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a), 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b), 상기 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a)과 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b)의 상단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단 전방 가로 프레임(11e)으로 구획된다.
상기 몸체(10)의 후면은 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c), 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d) 및 상기 후방 좌,우측 세로 프레임(11c,11d)의 상단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단 후방 가로 프레임(11f)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후면은 내부 공간안으로 진입한 두부를 받쳐주도록 받침판(20)으로 폐쇄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좌측면은 상기 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a), 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c) 및 상기 전,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a,11c)들의 상단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단 좌측 가로 프레임(11g)으로 구획된다. 상기 몸체(10)의 좌측면은 외부의 두부가 내부 공간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우측면은 상기 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b), 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d) 및 상기 전,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b,11d)들의 상단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단 우측 가로 프레임(11h)으로 구획되고, 외부의 두부가 내부공간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면은 상기 상단 전,후방 가로 프레임(11e,11f)과, 상단 좌,우측 가로 프레임(11g,11h)들에 의해 구획되며, 손잡이부(13)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저면은 몸체(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두부가 몸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외부의 두부가 구조물의 장애없이 내부 공간 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을 통과하는 두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다수의 조각으로 분할하는 제1커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커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좌,우측 세로 프레임(11a,11b)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배치된 다수개의 제1커팅 와이어(31)들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커팅 와이어(31)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강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각 제1커팅 와이어(31)는 양단이 각각 전방 좌,우측 세로 프레임(11a,11b)에 고정수단(15)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보울트, 나사, 플러그 등 공지의 결합수단이 사용된다.
상기 몸체(10)의 좌측면에는, 몸체(10)의 좌측면을 통과하는 두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다수 조각으로 분할하는 제2커터가 구비된다. 이 제2커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a)과 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c)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배치된 다수개의 제2커팅 와이어(32)들로 구성된다. 상기 제2커팅 와이어(32)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강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각 제2커팅 와이어(32)는 제1커팅 와이어와 동일하게 양단이 각각 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a)과 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c)들에 고정수단(15)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보울트, 나사, 플러그 등 공지의 결합수단이 사용된다.
상기 몸체(10)의 우측면에는, 상기 우측면을 통과하는 두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다수 조각으로 분할하는 제3커터가 구비된다. 이 제3커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b)과 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d)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배치된 다수개의 제3커팅 와이어(33)들로 구성된다. 상기 제3커팅 와이어(33)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강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각 제3커팅 와이어(33)는 제1, 제2커팅 와이어와 동일하게 양단이 각각 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b)과 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d)들에 고정수단(15)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보울트, 나사, 플러그 등 공지의 결합수단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커터와, 제2커터, 제3커터들은 각각 세로 프레임과는 분리된 별개의 커터 유닛으로 구성하여, 몸체(10)의 전면, 좌우측면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 커터 유닛들은 하나의 프레임상에 복수개의 커팅 와이어를 구비한다. 이 경우, 커팅 와이어의 배열 간격이 다른 커터 유닛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면 절단하는 두부를 다양한 크기의 조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박스형 두부 커팅기(100)를 사용하여 1개의 두부를 여러개의 조각으로 절단하여 분할하는 하나의 방법을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설명한다.
도 2는 길이(L), 폭(W), 높이(h)를 가진 두부(P)를 넓은 면이 조리대(도시생략함)의 바닥에 닿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두부 커팅기(100)의 전면에 구비된 제1커터의 제1커팅 와이어(31)로써 두부(P)를 절단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도 3은 도 2의 과정에 의해 절단된 두부를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부(P)를 조리대의 바닥에 얹어 놓고, 그 두부의 일측편에 본 발명의 두부 커팅기(100)를 배치하되, 저면이 조리대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나서, 두부(P)를 두부 커팅기(100)의 전면을 통하여 두부 커팅기(100)의 내부 공간안으로 완전히 밀어 넣으면, 두부(P)는 전면을 통과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팅 와이어(31)에 의한 절단선(CL1)을 따라 절단되고, 내부공간안에 완전히 진입한 상태에서는 두부(P)가 높이(h)를 따라 2개의 두부 절편(p1,p2)으로 분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두부(P)가 두부 커팅기(100)의 전면을 통하여 내부 공간안으로 완전히 진입하여 절단된 상태로 두부 커팅기의 내부 공간안에 수용되고나면, 두부 커팅기(100)를 수직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두부(P)를 두부 커팅기(100)에서 꺼낸다.
이 상태에서 두부(P)를 뒤집거나 옮기지 않고, 두부 커팅기(100)의 자세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의 제1커팅 와이어(31)가 조리대위에 얹혀진 두부(P)의 상면을 대향하도록 변경한 다음, 그 자세 그대로 두부 커팅기(100)를 하강하여 두부(P)를 두부 커팅기(100)의 내부 공간안에 완전히 진입시킨다. 이 때, 두부 커팅기(100)의 전면의 제1커터, 즉 제1커팅 와이어(31)는 두부(P)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선(CL2)를 따라 다수개의 두부 조각(p3,p4,p5)로 분할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두부(P)는 두부 커팅기(100)의 전면에 배치된 제1커팅 와이어(31)들의 배열 간격(d1)과 동일한 간격(d1)으로 분할된다.
그리고나서, 두부(P)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되어 두부 커팅기(100)의 내부 공간안에 수용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3)를 잡고 두부 커팅기(100)를 후진시켜 두부 커팅기(100)의 내부 공간안에 수용된 두부(P)를 두부 커팅기(100)의 개방된 저면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한다.
*이러한 절단과정에서도 두부(P)를 조리사가 손으로 움직이지 않고 절단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한번의 동작으로 두부를 균일한 여러조각으로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두부(P)를 뒤집거나 옮기지 않고, 두부 커팅기(100)의 자세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의 제1커팅 와이어(31)가 조리대위에 얹혀진 두부(P)의 상면을 대향하도록 변경한 다음, 그 자세 그대로 두부 커팅기(100)를 하강하여 두부(P)를 두부 커팅기(100)의 내부 공간안에 완전히 진입시킨다. 이 때, 두부 커팅기(100)의 전면의 제1커터, 즉 제1커팅 와이어(31)는 두부(P)를 도 7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선(CL3)를 따라 다수개의 두부 조각(Po)로 분할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두부(P)는 두부 커팅기(100)의 전면에 배치된 제1커팅 와이어(31)들의 배열 간격(d1)과 동일한 간격(d1)으로 분할된다.
한편, 상기 절단과정에서 전면의 제1커팅 와이어(31)의 배열간격(d1)과는 다른 배열 간격으로 배치된 좌측면의 제2커터의 제2커팅 와이어(32)나 우측면의 제3커터의 제3커팅 와이어(33)를 사용하여 두부(P)를 절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하는 방법과 과정은 제1커팅 와이어(31)로써 절단하는 방법과 동일하고, 절단되는 두부 조각의 폭만이 달라진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커팅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두부 커팅기(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좌측 세로 프레임(51)과 우측 세로 프레임(52), 상기 좌측 세로 프레임(51)과 우측 세로 프레임(52)의 상단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부 손잡이 프레임(53)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조립체(54)와, 상기 좌,우측 세로 프레임(51,5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각각은 좌,우측 세로 프레임(51,52)에 각각 양단이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커팅 와이어(55)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 조립체(54)는 스테인레스강재의 판재로 일체로 프레스 성형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팅 와이어(55)의 고정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좌우측 세로 프레임(51,52)상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 와이어(55)의 선단이 상기 고정나사의 외측에 감겨져 고정된다.
상기 커팅 와이어(55)의 다른 고정수단으로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세로 프레임(51,52)이 각각 스테인레스강의 판재를 2겹으로 접어서, 그 사이에 커팅 와이어(55)를 개재한 후, 2겹의 판재를 압착하여 커팅 와이어(55)를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두부 커팅기(50)의 경우, 커팅 와이어(55)가 배치된 평면을 절단하고자 하는 두부의 표면과 대향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두부 커팅기(50)의 손잡이 프레임(53)을 손으로 쥐고 커팅 와이어(55)를 두부를 통과시키면, 커팅 와이어(55)의 배열 간격대로 두부를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커팅 와이어(55)이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게 두부 커팅기(50)를 방향 전환한 다음 같은 방법으로 조작함으로써 두부는 격자형으로 절단되어 여러개의 작은 두부조각으로 분할된다.

Claims (6)

  1. 두부를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할하는 두부 커팅기이고,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저면을 가진 4각통 형상의 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10)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을 통과하는 두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다수의 조각으로 분할하는 제1커터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좌측면에는, 몸체(10)의 좌측면을 통과하는 두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다수 조각으로 분할하는 제2커터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우측면에는, 상기 우측면을 통과하는 두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다수 조각으로 분할하는 제3커터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저면은 몸체(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두부가 몸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외부의 두부가 구조물의 장애없이 내부 공간 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커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터는 상기 몸체(10)의 전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한 배열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커팅 와이어(31)로 구성되고, 상기 제2커터는, 몸체(10)의 좌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제1커팅 와이어(31)의 배열 간격과는 다른 배열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커팅 와이어(32)로 구성되고, 제3커터는 우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제1커팅 와이어(31) 및 제2커팅 와이어(32)의 각 배열 간격과는 다른 배열 간격으로 배열된 제3커팅 와이어(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커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터, 제2커터 및 제3커터 중 적어도 하나는 스테인레스 강재의 판재 또는 와이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커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전면은 몸체 외부의 두부가 몸체 내부 공간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a), 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b), 상기 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a)과 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b)의 상단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단 전방 가로 프레임(11e)으로 구획되고,
    상기 몸체(10)의 좌측면은 상기 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a), 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c) 및 상기 전,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a,11c)들의 상단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단 좌측 가로 프레임(11g)으로 구획되고,
    상기 몸체(10)의 우측면은 상기 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b), 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d) 및 상기 전,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b,11d)들의 상단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상단 우측 가로 프레임(11h)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1커터는 상기 전방 좌,우측 세로 프레임(11a,11b)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배치된 다수개의 제1커팅 와이어(31)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2커터는 상기 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a)과 후방 좌측 세로 프레임(11c)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배치된 다수개의 제2커팅 와이어(32)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3커터는, 상기 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b)과 후방 우측 세로 프레임(11d)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배치된 다수개의 제3커팅 와이어(33)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커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팅 와이어(32)는, 몸체(10)의 좌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제1커팅 와이어(31)의 배열 간격과는 다른 배열 간격으로 배열되고, 제3커터는 우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제1커팅 와이어(31) 및 제2커팅 와이어(32)의 각 배열 간격과는 다른 배열 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커팅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팅 와이어(31), 제2커팅 와이어(32) 및 제3커팅 와이어(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테인레스 강재로 이루어지고, 파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커팅기.

KR1020167012922A 2013-02-25 2014-02-25 박스형 두부 커팅기 KR101660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49597 2013-02-25
JP2013049597A JP6182696B2 (ja) 2013-02-25 2013-02-25 豆腐カット用ケースおよび豆腐切断方法
PCT/KR2014/001499 WO2014129868A1 (ko) 2013-02-25 2014-02-25 박스형 두부 커팅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824A Division KR20140115293A (ko) 2013-02-25 2014-02-25 박스형 두부 커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785A KR20160060785A (ko) 2016-05-30
KR101660766B1 true KR101660766B1 (ko) 2016-09-30

Family

ID=513915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922A KR101660766B1 (ko) 2013-02-25 2014-02-25 박스형 두부 커팅기
KR1020147005824A KR20140115293A (ko) 2013-02-25 2014-02-25 박스형 두부 커팅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824A KR20140115293A (ko) 2013-02-25 2014-02-25 박스형 두부 커팅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82696B2 (ko)
KR (2) KR101660766B1 (ko)
WO (1) WO20141298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253B1 (ko) 2019-05-22 2019-09-04 박춘식 두부 포장 시스템용 판두부 절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0437B (zh) * 2016-12-26 2020-04-21 重庆渝金源食品有限公司 豆干切割加料装置
CN109434884B (zh) * 2018-11-05 2020-04-28 黄山市尚义橡塑制品有限公司 一种天然橡胶块表面处理装置及天然橡胶块表面处理方法
CN110757661A (zh) * 2019-11-14 2020-02-07 湖南吉人住工装配式建筑有限公司 一种钢构隔音板分切装置
CN114347121B (zh) * 2021-12-02 2024-02-06 安徽森赛机械有限公司 一种豆腐制品折叠分切加工设备
US11471003B1 (en) 2021-12-30 2022-10-18 Matthew Wade Perkins Combination cutting board and sealable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223Y1 (ko) 2005-02-07 2005-06-08 장을순 두부절단수단을 갖는 두부포장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6615Y2 (ja) * 1990-04-10 1997-02-19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エアードリブンポンプ
JPH0650790U (ja) * 1992-12-10 1994-07-12 井口 康幸 豆腐細断器
JP3010089U (ja) * 1994-10-12 1995-04-18 順子 浅野 豆腐さいの目型切り具
JPH09131696A (ja) * 1995-11-02 1997-05-20 Seiko Kumagai 豆腐切り器
JP2863489B2 (ja) * 1996-04-15 1999-03-03 清 牧 豆腐切断器
JP3048006U (ja) * 1997-10-13 1998-05-06 兼輔 嶋本 さいの目切り調理器
JP2000094389A (ja) * 1998-09-18 2000-04-04 Hirotaka Takeshita 枠にv字状の溝のついた豆腐カッタ
JP2000217530A (ja) * 1999-02-03 2000-08-08 Sanae Ito 豆腐切断器具
JP2004008205A (ja) * 2002-06-10 2004-01-15 Suzugiyo Ri 豆腐カッター
JP2005103744A (ja) * 2003-09-28 2005-04-21 Watanabe Shigeko 豆腐切断器
JP2006089837A (ja) * 2004-09-27 2006-04-06 Nachi Fujikoshi Corp ステンレス極細線の金網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42614A (ja) * 2007-12-11 2009-07-02 Yoshihide Asai 豆腐切り器
JP4589452B1 (ja) * 2010-02-04 2010-12-01 義知 徳重 豆腐裁断機能を有する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223Y1 (ko) 2005-02-07 2005-06-08 장을순 두부절단수단을 갖는 두부포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253B1 (ko) 2019-05-22 2019-09-04 박춘식 두부 포장 시스템용 판두부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61332A (ja) 2014-09-08
JP6182696B2 (ja) 2017-08-16
KR20160060785A (ko) 2016-05-30
WO2014129868A1 (ko) 2014-08-28
KR20140115293A (ko)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766B1 (ko) 박스형 두부 커팅기
US8474359B2 (en) Grape cutter
KR101660765B1 (ko) 두부 커팅기
KR101483671B1 (ko) 기능성 도마
KR20170014485A (ko) 다기능 식품절단장치
CN103006116A (zh) 多功能组合收纳架
KR101359328B1 (ko) 구이김 절단장치
JP5412473B2 (ja) 固形乳製品の切断兼用保存ケース
KR101828206B1 (ko) 다기능 도마
CN106217458B (zh) 一种厨房用正方形切丝器
US10966449B2 (en) Bean end cutting device
KR101267113B1 (ko) 도마 어셈블리
CN215128218U (zh) 层架和清洁器具
CN211130792U (zh) 一种多功能厨房置物架
USD530057S1 (en) Sliced rectangular block of food material having four oblique cuts
CN203042021U (zh) 多功能组合收纳架
KR960004076Y1 (ko) 주방용 서랍식 칼 도마
JP3048006U (ja) さいの目切り調理器
KR200277268Y1 (ko) 과채 세절용 강판
JP3070910U (ja) 俎 板
KR20170061503A (ko) 다기능 도마
JP5754790B1 (ja) 押さえ格子盤付イカ千切り器
KR101199001B1 (ko) 주방용 조리도구
JP5692687B1 (ja) 紙パック利用まな板
KR20130005018U (ko) 주방용 도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