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065B1 - 절연섹션, 급전레일 및 궤도계 교통시스템 - Google Patents

절연섹션, 급전레일 및 궤도계 교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065B1
KR101649065B1 KR1020147034245A KR20147034245A KR101649065B1 KR 101649065 B1 KR101649065 B1 KR 101649065B1 KR 1020147034245 A KR1020147034245 A KR 1020147034245A KR 20147034245 A KR20147034245 A KR 20147034245A KR 101649065 B1 KR101649065 B1 KR 101649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urface
vehicle
surface portion
pantograph
runn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8548A (ko
Inventor
유키히데 야노부
도시아키 아사노마
야스유키 무카이
히로유키 고노
가츠아키 모리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8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8Section insulators; Section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60M1/305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이 절연섹션, 급전레일 및 궤도계 교통시스템에서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달아 설치되어 있어, 차량과 대향하는 접촉면에서, 차량의 팬터그래프와 접촉하는 전차선끼리를 접속하는 절연섹션으로서, 전차선에 있어서의 팬터그래프와 접촉하는 통전면을 따르는 면에 형성되어,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상하방향의 폭이 팬터그래프의 폭보다 큰 부분을 가지는 주면부와, 주면부의 적어도 주행방향의 앞측에서, 상하방향의 양측에 마련되어, 주행방향의 앞측으로부터 안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차량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주면부에 접속하는 경사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연섹션, 급전레일 및 궤도계 교통시스템{INSULATING SECTION, POWER FEEDING RAIL, AND TRACK TRANSPORTATION SYSTEM}
본 발명은, 차량에 대하여 측방의 전차선으로부터 급전을 행하는 급전레일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8월 24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2-185286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버스나 철도를 대신하는 새로운 교통수단으로서, 차량이 고무타이어로 이루어지는 주행륜으로 궤도 상을 주행함과 함께, 이 차량의 양측부 또는 차량 하부에 마련된 안내륜이, 궤도의 양측부 또는 중앙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안내되는 궤도계 교통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궤도계 교통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신교통시스템이나 APM(Automated People Mover)으로 불리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궤도계 교통시스템의 궤도의 측부에는 급전레일이 마련되어 있다. 이 급전레일에 대하여, 차량의 측부에 마련된 팬터그래프가 대향하여 접촉슬라이딩함으로써, 차량에 급전을 행하고 있다.
여기에서, 급전레일에 있어서는, 궤전선에 도통하는 전차선 간에, 궤전구간의 구획으로서 절연상태가 된 절연섹션이 수백미터마다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섹션은, 강화목을 전차선끼리의 사이에 개재하여 배치시킨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절연섹션에서는, 팬터그래프가 접촉슬라이딩함으로써 마모나 파임 등의 발생이 현저하기 때문에 열화가 빨라, 교환빈도가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단부에 어프로치판을 마련한 전차선을 주행방향에 인접하여 설치함과 함께, 각각의 전차선의 어프로치판끼리를 이간시킨 상태로 배치하여 구성된 절연섹션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어프로치판은 금속이나 섬유강화 플라스틱(FRP)으로 구성되어 있어,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4-278845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절연섹션에 있어서는, 어프로치판에 대한 집전자(팬터그래프)의 접촉슬라이딩면이 전차선의 접촉슬라이딩면에 비해 절반 이하의 폭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집전자가 어프로치판에 접촉슬라이딩할 때의 접촉면압이 높아져, 팬터그래프의 마모가 증대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확실히 절연을 행하면서 집전자의 마모를 억제 가능한 절연섹션, 급전레일, 및 궤도계 교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절연섹션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달아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량과 대향하는 접촉면에서, 상기 차량의 집전자와 접촉하는 전차선끼리를 접속하는 절연섹션으로서, 상기 전차선에 있어서의 상기 집전자와 접촉하는 통전면을 따르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통전면을 따르는 면의 상기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직교방향의 폭이 상기 집전자의 폭보다 큰 부분을 가지는 주면부와, 상기 주면부의 적어도 상기 주행방향의 앞측에서, 상기 직교방향의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주행방향의 앞측으로부터 안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기 차량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주면부에 접속하는 경사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절연섹션에 의하면, 주면부가 집전자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집전자가 접촉하는 면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면압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집전자는 통전면과의 접촉에 의해 마모되어, 통전면과의 접촉부분만이 차량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파여 간다. 여기에서 주면부는 집전자보다 폭이 크기 때문에, 접촉부분이 오목형상이 된 집전자가 통전면으로부터 주면부로 진행할 때에는, 주면부의 직교방향의 단부에서 집전자가 주면부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경사면부에 의하여 이와 같이 오목형상이 된 집전자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어, 주면부로 집전자를 안내할 수 있다.
(2) 상기 (1)에 기재된 절연섹션에 있어서, 상기 주면부는, 탄성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주면부가 탄성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집전자가 접촉했을 때에 주면부가 탄성변형하여 집전자와의 접촉면압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절연섹션에 있어서, 상기 주면부에는 상기 주면부로부터 파이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홈에 의하여, 주면부에 부착한 집전자의 카본을, 차량의 주행에 따라, 홈을 통하여 주면부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면부에 부착한 카본에 의하여 절연기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절연효과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4) 상기 (3)에 기재된 절연섹션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주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직교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홈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주면부에 부착한 카본을 주면부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더욱 절연효과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5) 상기 (4)에 기재된 절연섹션에 있어서, 상기 홈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홈을 형성함으로써, 접촉하는 집전자의 진행방향이 역전되었다고 해도, 확실히 주면부에 부착한 카본을 주면부의 외부로 배출하여, 절연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1개에 기재된 절연섹션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는, 상기 경사면으로서, 경사방향이 상기 직교방향을 향하는 제1 면과, 경사방향이 상기 주행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경사면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집전자가 직교방향으로 요동하는 경우, 마모되어 접촉부분이 오목형상이 된 집전자가 주면부에 걸릴 가능성이 있지만, 제1 면에 의하여 이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분이 오목형상이 된 집전자가 통전면으로부터 주면부로 진행할 때에, 주면부의 직교방향의 단부에서 집전자가 주면부에 걸릴 가능성이 있지만, 제2 면에 의하여 이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주면부로 집전자를 안내할 수 있어, 집전자의 손상방지가 가능해진다.
(7) 상기 (6)에 기재된 절연섹션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는, 상기 경사면으로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접속하도록 경사지는 제3 면을 더 가져도 된다.
이러한 제3 면에 의하여, 마모되어 접촉부분이 오목형상이 된 집전자가, 직교방향 및 주행방향뿐만 아니라, 직교방향으로부터 주행방향으로 기운 경사방향으로 요동한 경우이더라도, 주면부의 직교방향의 단부에 대한 집전자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어, 집전자를 확실히 안내하여 집전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1개에 기재된 절연섹션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는, 상기 경사면으로서, 경사방향이 상기 직교방향으로부터 상기 주행방향으로 매끄럽게 변화하는 곡면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곡면에 의하여, 마모되어 접촉부분이 오목형상이 된 집전자가, 직교방향 및 주행방향으로 요동한 경우뿐만 아니라, 직교방향으로부터 주행방향으로 기운 모든 경사방향으로 요동한 경우에 있어서도, 집전자의 주면부에 대한 걸림을 방지할 수 있어, 주면부에 집전자를 확실히 안내하여 집전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1개에 기재된 절연섹션은, 상기 전차선에 접속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전차선보다 상기 직교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마련되어,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차량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제1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제1 탄성부재에 의해, 마모되어 접촉부분이 오목형상이 된 집전자의 직교방향의 단부가 제2 부분을 차량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압했을 때에, 이 제2 부분이 차량으로부터 이간하도록 상대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집전자에 대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집전자의 손상의 억제가 가능해진다.
(10) 상기 (9)에 기재된 절연섹션은, 상기 제1 부분에 마련되어, 탄성변형됨으로써 그 제1 부분을 상기 차량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제2 탄성부재에 의하여, 차량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집전자에 작용하는 제1 부분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집전자의 손상의 억제가 가능해진다.
(11)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급전레일은, 차량의 집전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전차선과, 상기 전차선끼리를 접속하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1개에 기재된 절연섹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급전레일에 의하면, 절연섹션이 주면부를 구비함으로써, 접촉면압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절연섹션이 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통전면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마모로 접촉부분이 오목형상이 된 집전자가 주면부의 직교방향의 단부에서 주면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주면부로 집전자를 확실히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집전자의 마모, 손상을 억제 가능하다.
(12)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하면, 궤도계 교통시스템은, 상기 (11)에 기재된 급전레일과, 상기 급전레일로부터 수전(受電)하여 주행하는 차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의하면, 절연섹션이 주면부를 구비함으로써, 접촉면압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절연섹션이 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집전자의 주면부에 대한 걸림을 방지하여, 주면부로 집전자를 확실히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집전자의 마모, 손상을 억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각 양태에 관한 절연섹션, 급전레일, 및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의하면, 주면부 및 경사면부에 의하여, 확실히 절연을 행하면서 집전자의 마모, 손상을 억제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시스템을, 차량의 주행방향으로부터 본 전체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급전레일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급전레일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급전레일의 절연섹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절연섹션과 집전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2b의 A-A단면도로서 집전자가 마모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절연섹션과 집전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2b의 A-A단면도로서, 집전자의 마모가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만약, 절연섹션에 경사면부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집전자의 마모가 진행된 상태에서 집전자가 전차선으로부터 절연섹션으로 진행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절연섹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절연섹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절연섹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6a와는 경사면부의 각도가 다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절연섹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6a, 도 6b와는 경사면부의 각도가 다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절연섹션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절연섹션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7a와는 경사면부의 각도가 다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절연섹션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절연섹션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8a와는 경사면부가 다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절연섹션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절연섹션과 집전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9의 B-B단면도로서, 집전자의 마모가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절연섹션과 집전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9의 B-B단면도로서, 집전자가 마모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시스템(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궤도계 교통시스템(1)은, 차량(2)이 측방에서 안내되면서, 궤도(3) 상을 주행하는 사이드가이드방식의 신교통시스템이다.
차량(2)은, 궤도(3) 상을 전동(轉動) 가능하게 마련되는 주행륜(10)과, 주행륜(10)보다 주행방향(D1)에 직교하는 폭방향(D2)의 차량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주행방향(D1) 및 폭방향(D2)에 직교하는 상하방향(직교방향)(D3)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 안내륜(11)과, 안내륜(11)의 상방에서 상하방향(D3)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2개의 팬터그래프(집전자)(12)를 구비하고 있다.
궤도(3)는, 안내륜(11)에 대향하여 차량(2)을 주행방향(D1)을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3)과, 가이드레일(13)의 상방에서 주행방향(D1)을 따라 2개가 상하방향(D3)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팬터그래프(12) 각각에 대하여 접촉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2개의 급전레일(14)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급전레일(14)에 대하여 설명한다.
급전레일(14)은, 궤도(3)의 측부에서 주행방향(D1)을 따라 서로 상하방향(D3)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a,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급전레일(14)은, 궤전선(도시하지 않음)에 도통하여 주행방향(D1)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전차선(20)과, 이들 전차선(20)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접속판(21)에 의하여 전차선(20)에 접속된 절연섹션(22)을 가지고 있다.
전차선(20)은, 주행방향(D1)을 따라 배치되어, 궤전구간(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궤전선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전차선(20)은, 팬터그래프(12)와 접촉슬라이딩 가능한 통전면(20a)을 가지고 마련되어, 이 통전면(20a)을 통하여 차량(2)에 전력공급을 행한다.
절연섹션(22)은, 예를 들면 강화목, FRP 등의 비도전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주행방향(D1)에 인접하는 전차선(20)끼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이 절연섹션(22)은, 팬터그래프(12)와 접촉슬라이딩하는 주면부(25)와, 주면부(25)로부터 주행방향(D1)의 양측으로 돌출하여 전차선(20)에 접속된 접속부(24)와, 주면부(25)의 주행방향(D1) 및 상하방향(D3)의 단부(12a)에 마련된 경사면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24)는 외형이 전차선(20)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전차선(20)의 통전면(20a)을 따르도록 폭방향(D2)을 향하는 표면(24a)이 통전면(20a)과 단차가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접속부(24)와 전차선(20)이 주행방향(D1)에 대하여 마주하는 상태로, 접속판(21)에 의하여 상하방향(D3)의 양측으로부터 끼워넣어져 볼트(21a) 및 너트(21b)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절연섹션(22)과 전차선(20)이 접속되어 있다.
주면부(25)에 있어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차선(20)의 통전면(20a) 및 접속부(24)의 표면(24a)을 따르도록, 폭방향(D2)을 향하는 표면(25a)이 이들 통전면(20a) 및 표면(24a)과 단차가 없도록 형성되어 있다. 표면(25a)은, 표면(24a)과의 접속부분으로부터 주행방향(D1)을 향함에 따라 상하방향(D3)의 양측으로 넓어지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면부(25)의 가장자리부(25b)가, 2개의 전차선(20)에 있어서의 통전면(20a)으로부터 접속부(24)를 통하여 상하방향(D3)의 양측으로 넓어짐으로써, 주면부(25)는 폭방향(D2)으로부터 보아 대략 마름모꼴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주면부(25)는 상하방향(D3)의 폭이 가장 크게 되어 있는 부분이, 팬터그래프(12)의 상하방향(D3)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주면부(25)에는, 표면(25a)으로부터 폭방향(D2)으로 파인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30)의 연장방향은 주행방향(D1)에 대하여 상하방향(D3)으로 경사져 있다. 홈(30)은 주면부(25)의 가장자리부(25b)끼리를 연결하여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홈(30)에 의하여, 주면부(25)의 표면(25a)을 격자형상으로 분단하고 있다.
경사면부(26)는 주면부(25)에 있어서의 주행방향(D1) 및 상하방향(D3)의 모든 단부(12a)(4개소)에서, 상하방향(D3)의 양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주면부(25) 및 경사면부(26)의 전체를 폭방향(D2)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각각의 경사면부(26)의 폭방향(D2)을 향하는 표면인 경사면(26a)은, 주행방향(D1)의 앞측으로부터 안측을 향하여, 즉, 통전면(20a)으로부터 주면부(25)를 향하여, 폭방향(D2)의 차량측(차량(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점차 경사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방향(D1)의 가장자리부(26b1) 및 상하방향(D3)의 가장자리부(26b2)로부터 폭방향(D2)의 차량측으로 점차 경사져, 주면부(25)의 가장자리부(25b)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궤도계 교통시스템(1)에 있어서는, 주면부(25)의 상하방향(D3)의 폭이 팬터그래프(12)의 상하방향(D3)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즉 팬터그래프(12)가 접촉하는 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팬터그래프(12)에 작용하는 접촉면압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터그래프(12)가 마모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팬터그래프(12)가 주면부(25)의 표면(25a)에 위치했을 때, 주면부(25)의 표면(25a)에 팬터그래프(12)가 확실히 접촉슬라이딩하면서 주행방향(D1)을 향하여 진행하게 된다.
한편,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정도 기간 사용된 팬터그래프(12)는 전차선(20)의 통전면(20a)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딩에 의하여 마모가 진행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팬터그래프(12)의 표면(12b)의 상하방향(D3)의 중앙부(통전면(20a)과의 접촉슬라이딩부분)가 폭방향(D2)으로 파임으로써, 표면(12b)이 요곡면형상이 된다.
여기에서, 만약 경사면부(26)가 마련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절연섹션(22)이 전차선(20)으로부터 단순히 상하방향(D3)으로 돌출하는 직육면체 블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터그래프(12)가 통전면(20a)으로부터 절연섹션(22)으로 진행할 때에, 팬터그래프(12)의 상하방향(D3)의 단부(12a)가 절연섹션(22)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면부(26)가 마련됨으로써, 팬터그래프(12)가 진행됨에 따라, 팬터그래프(12)의 단부(12a)가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부(26)의 경사면(26a)을 따라 서서히 폭방향(D2)의 차량측으로 들어올려져 주면부(25)의 표면(25a)에 도달한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팬터그래프(12)의 걸림이 없어진다.
또한, 경사면부(26)는, 주면부(25)의 단부 모두에 마련되어, 주면부(25)를 향하여 폭방향(D2)의 차량측으로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팬터그래프(12)가 비탈을 올라가도록 주면부(25)의 표면(25a)으로 원활히 진행하고, 그 후, 주면부(25)의 표면(25a)으로부터 비탈을 내려가도록 원활히 진행할 수 있다.
팬터그래프(12)가 주면부(25) 상을 슬라이딩함으로써 팬터그래프(12)의 카본이 주면부(25)의 표면(25a)에 부착하여, 전차선(20)끼리를 도통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주면부(25)에는, 홈(3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2a의 화살표(Y)와 같이, 이 카본을 홈(30)을 통하여 주면부(25)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주행방향(D1)의 일방향(도 2a의 지면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차량(2)이 주행하는 경우에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화살표(Y)와 같이, 주행방향(D1)의 앞측으로부터 안측을 향하여 카본이 배출된다. 또한, 주행방향(D1)의 타방향(도 2a의 지면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차량(2)이 주행하는 경우에는 점선으로 나타내는 화살표(Y)와 같이, 주행방향(D1)의 앞측으로부터 안측을 향하여 카본이 배출된다.
또한, 홈(30)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2)의 주행방향(D1)이 어느 방향(도 2a의 지면 좌우측 중 어느 쪽)이더라도, 확실히 주면부(25)의 표면(25a)에 부착한 카본을 배출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시스템(1)에 의하면, 주면부(25)에 의한 면압저감, 및 경사면부(26)에 의한 팬터그래프(12)의 걸림방지가 가능해지고, 또한 홈(30)에 의하여, 확실히 절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집전자의 마모를 억제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30)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주행방향(D1)에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적어도 주면부(25)의 외부로 카본을 배출 가능해지도록, 홈(30)이 주면부(25)의 가장자리부(25b)끼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주면부(25)의 표면(25a) 자체에 비도전성 고무나, 우레탄 등의 탄성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팬터그래프(12)가 주면부(25)의 표면(25a)에 접촉했을 때의 팬터그래프(12)에 대한 면압을 더욱 저감 가능해진다.
또한, 주면부(25)의 상하방향(D3)의 폭은, 적어도 일부에서 팬터그래프(12)의 상하방향(D3)의 폭보다 커지고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주면부(25)를 폭방향(D2)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이 주면부(25)가 완전한 마름모꼴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절연섹션(22)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각의 변형예에서는 경사면부의 경사각도 및 경사방향이 상기 서술한 경사면부(26)와 다르게 되어 있다. 다만, 이들 변형예에서는 상기 서술한 홈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상기 서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홈(30)을 형성해도 된다.
(제1 변형예)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변형예에 관한 절연섹션(51)에서는, 경사면부(56)에 있어서의 경사면(56a)이, 주행방향(D1)을 따라 폭방향(D2)의 차량측을 향하여 점차 경사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연섹션(51)의 주행방향(D1)의 가장자리부(56b)로부터 주행방향(D1)을 따라 폭방향(D2)의 차량측으로 점차 경사져, 주면부(55)의 가장자리부(55b)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주면부(55)는,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상하방향(D3)으로 뻗어 있는 제1 주면부(55A)와,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주행방향(D1)으로 뻗어 있는 제2 주면부(55B)를 가지며, 이들 제1 주면부(55A)와 제2 주면부(55B)가 각각의 중앙위치에서 교차함으로써 폭방향(D2)으로부터 보아 십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경사면부(56)에 의하여, 마모되어 표면(12b)이 요곡면형상이 된 팬터그래프(12)의 단부(12a)가, 비탈을 올라가도록 주면부(55)의 표면(55a)으로 원활히 진행하고, 그 후, 주면부(55)의 표면(55a)으로부터 비탈을 내려가도록 원활히 진행할 수 있다.
(제2 변형예)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에 관한 절연섹션(61)에서는, 경사면부(66)의 경사면(66a)이 제1 면(67a)과 제2 면(68a)의 2개의 면을 가지고 있다.
제1 면(67a)은, 주행방향(D1)의 일단이 경사면부(66)의 주행방향(D1)측의 가장자리부(66b1)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면(67a)은, 상하방향(D3)의 일단이 주면부(65)의 가장자리부(65b)에 접속되어, 그 일단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폭방향(D2)의 차량측과는 반대측으로 점차 경사져 있다.
또한, 제2 면(68a)은, 그 상하방향(D3)의 일단이, 경사면부(66)의 상하방향(D3)의 일방측의 가장자리부(66b2)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면(68a)은, 그 주행방향(D1) 일단이 주면부(65)의 가장자리부(65b)에 접속되어, 그 일단으로부터 주행방향(D1)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폭방향(D2)의 차량측과는 반대측으로 점차 경사져 있다. 제2 면(68a)은 제1 면(67a)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c 중에서, 도 6a에 나타내는 제1 면(67a)은, 상하방향(D3)의 일단으로서 주면부(65)와 접속되는 부분의 주행방향(D1)의 치수가 가장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도 6b에 나타내는 제1 면(67a)은, 도 6a의 것보다 주면부(65)와 접속되는 부분의 주행방향(D1)의 치수가 작게 되어 있고, 도 6c에 나타내는 제1 면(67a)은, 도 6b에 나타내는 제1 면(67a)과 주면부(65)와 접속되는 부분의 주행방향(D1)의 치수가 동일한 한편, 주행방향(D1) 일단으로서, 가장자리부(66b1)에 접속되는 부분의 상하방향(D3)의 치수는 작게 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면부(66)에 의하여, 마모된 팬터그래프(12)가 상하방향(D3)으로 요동하면서 주행방향(D1)으로 진행할 때에, 제1 면(67a)에 의하여, 마모된 팬터그래프(12)의 단부(12a)의 주면부(65)에 대한 걸림에 의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고, 팬터그래프(12)를 주면부(65)로 안내하여, 팬터그래프(1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D3)의 팬터그래프(12)의 마모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1 면(67a)의 치수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상하방향(D3)으로의 요동 시의 팬터그래프(12)의 손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면(68a)을 따라서는, 마모되어 표면(12b)이 요곡면형상이 된 팬터그래프(12)의 단부(12a)가, 비탈을 올라가도록 주면부(65)의 표면(65a)으로 원활히 진행하고, 그 후, 주면부(65)의 표면(65a)으로부터 비탈을 내려가도록 원활히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제1 면(67a)의 형상에 따라 제2 면(68a)의 형상도 다르며, 이에 의하여 주면부(65)의 표면(65a)의 면적도 변화하기 때문에, 팬터그래프(12)에 작용하는 면압도 변화한다.
(제3 변형예)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변형예에 관한 절연섹션(71)에서는, 경사면부(76)의 경사면(76a)이 제1 면(77a), 제2 면(78a), 제3 면(79a)의 3개의 면을 가지고 있다.
제1 면(77a)은 경사면부(76)의 주행방향(D1) 일단측의 가장자리부(76b1)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면(77a)은, 주면부(75)의 가장자리부(75b)에 접속된 상하방향(D3) 일단측으로부터 상하방향(D3)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폭방향(D2)의 차량측과는 반대측으로 점차 경사져 있다. 또한, 제2 면(78a)은, 일단이 주면부(75)의 가장자리부(75b)에 접속되어, 거기로부터 주행방향(D1)을 따라 폭방향(D2)의 차량측과는 반대측으로 점차 경사져 있다. 또한, 제2 면(78a)은 경사면부(76)의 상하방향(D3)의 가장자리부(76b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3 면(79a)은 제1 면(77a)과 제2 면(78a)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3 면(79a)은 제1 면(77a)과 제2 면(78a)을 접속한다. 제3 면(79a)은, 주행방향(D1)과 폭방향(D2)의 사이의 방향에 있어서 일단이 주면부(75)의 가장자리부(75b)에 접속되어, 거기로부터 타단을 향함에 따라 폭방향(D2)의 차량측과는 반대측으로 점차 경사져 있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 중에서는, 도 7b에 나타내는 제1 면(77a)은, 도 7a의 것보다, 가장자리부(76b1)에 접속되는 부분의 상하방향(D3)의 치수가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도 7b에 나타내는 제3 면(79a)은, 도 7a에 나타내는 것보다 상하방향(D3)에 있어서, 주면부(75)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면부(76)에 의하여, 마모된 팬터그래프(12)가 상하방향(D3)으로 요동하면서 주행방향(D1)으로 진행할 때에, 제1 면(77a)에 의하여, 마모된 팬터그래프(12)의 단부(12a)가 주면부(75)에 걸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면(79a)에 의하여, 상하방향(D3)으로부터 주행방향(D1)으로 기우는 경사방향으로의 팬터그래프(12)의 요동에 대해서도 주면부(75)에 대한 걸림을 방지할 수 있어, 팬터그래프(12)를 주면부(75)로 안내하여, 팬터그래프(12)의 손상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사면부(76)에 의하여, 팬터그래프(12)의 요동에 대하여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하방향(D3)으로의 팬터그래프(12)의 마모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1 면(77a) 및 제3 면(79a)의 치수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상하방향(D3) 및, 상하방향(D3)과 주행방향(D1)의 사이의 경사방향으로의 팬터그래프(12)의 요동 시의 손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제1 면(77a) 및 제3 면(79a)의 형상에 따라 제2 면(78a)의 형상도 다르며, 이에 따라 주면부(75)의 표면(75a)의 면적도 변화되기 때문에, 팬터그래프(12)에 작용하는 면압도 변화된다.
(제4 변형예)
또한,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변형예에 관한 절연섹션(81)에서는, 경사면부(86)의 경사면(86a)은 곡면을 가지고 있다. 즉, 경사면(86a)은 경사면부(86)의 주행방향(D1)측의 가장자리부(86b1) 및 상하방향(D3)측의 가장자리부(86b2)에 접속되어 있다. 경사면(86a)은, 그 경사방향이 상하방향(D3)으로부터 주행방향(D1)으로 매끄럽게 변화한다. 경사면(86a)은 주면부(85)의 가장자리부(85b)로부터 폭방향(D2)의 차량측과는 반대측으로 매끄럽게 점차 경사져 있다.
그리고, 도 8a에 나타내는 경사면(86a)은 완전한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고, 도 8b에 나타내는 것은, 가장자리부(86b1, 86b2)로부터 주행방향(D1) 및 상하방향(D3)을 향하는 중도위치까지 폭방향(D2)으로 경사지지 않고, 주면부(85)의 표면(85a)에 평행한 면으로 형성되고, 그 후, 주행방향(D1) 및 상하방향(D3)을 따라 폭방향(D2)의 차량측으로 매끄럽게 점차 경사지는 곡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면부(86)에 의하여, 마모된 팬터그래프(12)가 상하방향(D3)으로 요동하면서 주행방향(D1)으로 진행할 때에, 마모된 팬터그래프(12)의 단부(12a)가 주면부(85)에 걸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팬터그래프(12)를 주면부(85)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부(86)의 경사면(86a)이 곡면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상하방향(D3)과 주행방향(D1)의 사이의 모든 경사방향으로의 팬터그래프(12)의 요동에 대하여 더욱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시스템(101)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제1 실시형태와 공통의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섹션(102)이 복수로 분할되어, 분할부분 및 내부에 탄성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섹션(102)은, 제1 실시형태의 절연섹션(22)과 대략 동일한 외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절연섹션(102)은, 상하방향(D3) 위치가 전차선(20)의 위치와 일치하여, 즉 주행방향(D1)으로 전차선(20)의 연장선 상에 접속된 본체부(제1 부분)(110)와, 이 본체부(110)로부터 상하방향(D3)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제2 부분)(11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경사면부(26)는 돌출부(111)에 위치하고, 또한 주면부(25)는 본체부(110)와 돌출부(111)로 분할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115)는, 예를 들면 고무의 가류접착 등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115)는, 본체부(110)와 돌출부(111)의 사이에 주행방향(D1) 및 폭방향(D2)의 전역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탄성부(115)는, 이들 본체부(110)와 돌출부(111)를 결합하고 있는 제1 탄성부재(116)와, 본체부(110)의 폭방향(D2)의 중도위치에서 본체부(110)의 내부에 끼워넣어진 제2 탄성부재(117)를 가지고 있다.
제1 탄성부재(116)는, 폭방향(D2)의 차량측으로부터 반대방향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하방향(D3)으로 넓어지도록, 주행방향(D1)으로부터 본 단면형상이 대략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 탄성부재(117)는,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주행방향(D1) 및 상하방향(D3)의 전역에 걸쳐서 마련되어, 주행방향(D1)으로부터 본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110)에 대하여 상하방향(D3)의 양측에 마련된 2개의 제1 탄성부재(116)가 제2 탄성부재(117)에 결합되어 있어, 제1 탄성부재(116)와 제2 탄성부재(117)가 일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궤도계 교통시스템(101)에 있어서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터그래프(12)의 마모 정도가 특히 커지고, 요곡면의 곡률이 커지는 경우 등에 있어서, 팬터그래프(12)의 단부(12a)가 돌출부(111)를 폭방향(D2)의 차량측과는 반대측(화살표(Y1)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 때, 본체부(110)와 돌출부(111) 사이에 제1 탄성부재(116)가 마련됨으로써, 돌출부(111)가, 차량(2)으로부터 폭방향(D2)으로 이간하도록, 폭방향(D2)의 차량측과는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팬터그래프(12)의 접촉 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팬터그래프(12)가 마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팬터그래프(12)가 본체부(110)를 폭방향(D2)의 차량측과는 반대측(화살표(Y2)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 때, 본체부(110)의 내부에 제2 탄성부재(117)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팬터그래프(12)의 중앙위치에서, 팬터그래프(12)의 접촉 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D3)의 양측의 제1 탄성부재(116)는, 제2 탄성부재(117)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탄성부재(116)의 탈락을 방지 가능하고, 내구성 및 신뢰성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궤도계 교통시스템(101)에 의하면, 절연섹션(102)을 분할구조로서, 탄성부(115)를 이용함으로써, 확실히 절연을 행하면서 팬터그래프(12)의 손상의 억제가 가능하다.
다만, 탄성부(115)에 관하여, 제1 탄성부재(116)와 제2 탄성부재(117)는 반드시 2개 마련될 필요는 없고, 어느 한 쪽만이어도 된다.
또한, 제1 탄성부재(116)와 제2 탄성부재(117)는 결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1 탄성부재(116) 및 제2 탄성부재(117)는, 단면형상은 상기 서술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탄성부재(116)의 주행방향(D1)으로부터 본 단면형상은 사각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탄성부(115)는 고무인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에 의하여 구성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소의 설계변경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경사면부(26)(56, 66, 76, 86)는 주면부(25)(55, 65, 75, 85)의 주행방향(D1) 및 상하방향(D3)의 모든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만약 차량(2)의 주행방향(D1)이 일방(도 2a, 도 2b의 지면 좌우측 중 어느 일방)뿐인 경우, 경사면부(26)(56, 66, 76, 86)는 주면부(25)(55, 65, 75, 85)에 있어서 차량(2)의 주행방향 앞측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적어도 주행방향(D1)의 앞측에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가이드방식의 신교통시스템을 예로 설명했지만, 센터가이드방식이나, 가이드가 없는 자동조타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차량(2)의 상방에 팬터그래프가 마련된 철도차량에 대해서도 절연섹션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절연섹션(51, 61, 71, 81)에 제2 실시형태의 탄성부(115)를 적용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기 서술한 절연섹션, 급전레일, 및 궤도계 교통시스템은, 차량에 대하여 측방의 전차선으로부터 급전을 행하는 급전레일 및 그 절연섹션, 그것을 이용한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서술한 절연섹션, 급전레일, 및 궤도계 교통시스템은, 특히, 확실히 절연을 행하면서 집전자의 마모를 억제 가능한 절연섹션, 급전레일, 및 궤도계 교통시스템에 적합하다.
1 : 궤도계 교통시스템 2 : 차량
3 : 궤도 10 : 주행륜
11 : 안내륜 12 : 팬터그래프(집전자)
13 : 가이드레일 14 : 급전레일
20 : 전차선 20a : 통전면
21 : 접속판 21a : 볼트
21b : 너트 22 : 절연섹션
24 : 접속부 25 : 주면부
26 : 경사면부 26a : 경사면
30 : 홈 D1 : 주행방향
D2 : 폭방향 D3 : 상하방향(직교방향)
51 : 절연섹션 55 : 주면부
55A : 제1 주면부 55B : 제2 주면부
56 : 경사면부 56a : 경사면
61 : 절연섹션 65 : 주면부
66 : 경사면부 66a : 경사면
67a : 제1 면 68a : 제2 면
71 : 절연섹션 75 : 주면부
76 : 경사면부 76a : 경사면
77a : 제1 면 78a : 제2 면
79a : 제3 면 81 : 절연섹션
85 : 주면부 86 : 경사면부
86a : 경사면 101 : 궤도계 교통시스템
102 : 절연섹션 110 : 본체부(제1 부분)
111 : 돌출부(제2 부분) 115 : 탄성부
116 : 제1 탄성부재 117 : 제2 탄성부재
Y : 화살표 Y1 : 화살표
Y2 : 화살표

Claims (12)

  1.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달아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량과 대향하는 접촉면에서, 상기 차량의 집전자와 접촉하는 전차선끼리를 접속하는 절연섹션으로서,
    상기 전차선에 있어서의 상기 집전자와 접촉하는 통전면을 따르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통전면을 따르는 면의 상기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상하방향의 폭이 상기 집전자의 폭보다 큰 부분을 가지는 주면부와,
    상기 주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방향의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주행방향으로 상기 통전면으로부터 상기 주면부를 향함에 따라 점차, 상기 차량에 근접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주면부에 접속하는 경사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섹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부는 탄성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섹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부에는 상기 주면부로부터 파이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섹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주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상하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섹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섹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는, 상기 경사면으로서, 경사방향이 상기 상하방향을 향하는 제1 면과, 경사방향이 상기 주행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섹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는, 상기 경사면으로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접속하도록 경사지는 제3 면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섹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는, 상기 경사면으로서, 경사방향이 상기 상하방향으로부터 상기 주행방향으로 매끄럽게 변화하는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섹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차선에 접속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전차선보다 상기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마련되어,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차량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제1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섹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 마련되어,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차량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섹션.
  11. 차량의 집전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전차선과,
    상기 전차선끼리를 접속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절연섹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레일.
  12. 제 11 항에 기재된 급전레일과,
    상기 급전레일로부터 수전하여 주행하는 차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계 교통시스템.
KR1020147034245A 2012-08-24 2013-02-21 절연섹션, 급전레일 및 궤도계 교통시스템 KR101649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85286A JP5781478B2 (ja) 2012-08-24 2012-08-24 絶縁セクション、給電レール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JPJP-P-2012-185286 2012-08-24
PCT/JP2013/054373 WO2014030364A1 (ja) 2012-08-24 2013-02-21 絶縁セクション、給電レール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548A KR20150018548A (ko) 2015-02-23
KR101649065B1 true KR101649065B1 (ko) 2016-08-17

Family

ID=5014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245A KR101649065B1 (ko) 2012-08-24 2013-02-21 절연섹션, 급전레일 및 궤도계 교통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76033B2 (ko)
JP (1) JP5781478B2 (ko)
KR (1) KR101649065B1 (ko)
CN (1) CN104334399B (ko)
HK (1) HK1205487A1 (ko)
SG (1) SG11201407918QA (ko)
WO (1) WO2014030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9181A (ja) * 2012-02-02 2013-08-19 Mitsubishi Heavy Ind Ltd 絶縁セクション、給電レール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JP5781478B2 (ja) * 2012-08-24 2015-09-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絶縁セクション、給電レール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CN106985707B (zh) * 2017-04-13 2023-10-31 北京公共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接触网防漏电绝缘滑行木
DE102018100893A1 (de) * 2018-01-16 2019-07-18 Furrer & Frey Ag Streckentrenner
CN111497625B (zh) * 2019-01-30 2022-01-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的充电装置总成及具有其的充电系统
CN111497626B (zh) * 2019-01-30 2022-01-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的取流器总成及具有其的充电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367B1 (ko) 2009-10-14 2009-12-30 세종기술주식회사 모노레일용 절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7059A (en) * 1970-09-08 1973-09-04 Tracked Hovercraft Ltd Electric conductor rails
US3790725A (en) * 1970-11-30 1974-02-05 Gerin M Sa Linearly extending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having extruded shape conductor rails
DE2121566A1 (de) * 1971-05-03 1972-11-09 Maschinenfabrik Augsburg-Nürnberg AG, 8000 München Verkehrssystem
JPS5954323U (ja) * 1982-10-04 1984-04-10 株式会社新潟鐵工所 「き」電系統の区分絶縁装置
JPS59174932U (ja) * 1983-05-11 1984-11-22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電車線の絶縁セクシヨン部の構造
JPS60148132U (ja) * 1984-03-15 1985-10-01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電車線路用セクシヨンインシユレ−タ
JPS62241743A (ja) * 1986-04-11 1987-10-22 Mitsubishi Cable Ind Ltd トロリ線の区分絶縁装置
JPH04278845A (ja) 1991-03-07 1992-10-05 Hitachi Cable Ltd 剛体電車線の絶縁セクション構造
US5310032A (en) * 1991-11-13 1994-05-10 Plichta Dietmar G Power conductor rail
JP3376816B2 (ja) * 1996-05-09 2003-02-10 日立電線株式会社 トロリー線用絶縁セクション
JPH11139185A (ja) 1997-11-13 1999-05-25 Nisshin Steel Co Ltd トロリー線のセクションインシュレータ
DE19807792C2 (de) * 1998-02-19 2000-01-27 Mannesmann Ag Verbinder für zwei aufeinanderfolgende Schleifleitungsteilstücke
US6286646B1 (en) * 1998-04-17 2001-09-11 Woodhead Industries, Inc. Current collector trolley for a rail current system
DE10150694A1 (de) * 2001-10-17 2003-04-30 Vahle Paul Kg Dehnverbinder für Stromschienen
US7703589B2 (en) * 2005-03-23 2010-04-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nductor rail support
ES2246743B2 (es) * 2005-10-06 2007-08-16 Metro De Madrid, S.A. Aislador de seccion para catenaria rigida.
JP4468459B2 (ja) * 2008-02-18 2010-05-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集電用接触部材
US8157185B2 (en) * 2009-01-23 2012-04-17 Fastrax Industries, Inc. Strike attachment railroad signal line connector
JP4939598B2 (ja) * 2009-12-15 2012-05-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案内軌条
EP2363314B1 (de) * 2010-03-01 2015-05-27 Furrer + Frey AG Vorrichtung zur Kopplung von elastischen und starren Fahrleitungssystemen
SE534362C2 (sv) * 2010-04-01 2011-07-26 Elways Ab Ett för ett eller fler, elektriskt framdrivbara, fordon anpassat system. (Snöplogsarrangemang)
SE535869C2 (sv) * 2010-04-01 2013-01-22 Elways Ab Ett för ett eller flera, elektriskt framdrivbara, fordon anpassat system (Laddningssystem).
DE102010051379B4 (de) * 2010-11-16 2013-02-07 Furrer + Frey Ag Streckentrenner
US9283866B2 (en) * 2012-01-31 2016-03-15 Joy MM Deleware, Inc. Overhead power grid for mobile mining machines
JP2013159181A (ja) 2012-02-02 2013-08-19 Mitsubishi Heavy Ind Ltd 絶縁セクション、給電レール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JP5781478B2 (ja) * 2012-08-24 2015-09-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絶縁セクション、給電レール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367B1 (ko) 2009-10-14 2009-12-30 세종기술주식회사 모노레일용 절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05487A1 (en) 2015-12-18
JP5781478B2 (ja) 2015-09-24
WO2014030364A1 (ja) 2014-02-27
CN104334399A (zh) 2015-02-04
CN104334399B (zh) 2017-03-08
KR20150018548A (ko) 2015-02-23
JP2014043135A (ja) 2014-03-13
US9376033B2 (en) 2016-06-28
SG11201407918QA (en) 2015-01-29
US20150114778A1 (en)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065B1 (ko) 절연섹션, 급전레일 및 궤도계 교통시스템
KR101461301B1 (ko) 궤도계 차량의 안내 궤조 및 교통 시스템
US9868365B2 (en) Ground level power supply system for a non-guided vehicle
CN103010248B (zh) 轨道车辆转向架
US10137801B2 (en) Conductor line, current collector, and conductor line system
WO2015068221A1 (ja) 電動車両の接触充電方法及び接触充電システム
KR100940240B1 (ko) 전기 자동차를 이용하는 운송 시스템
JP6810261B2 (ja) 車両用集電装置
CN108136917A (zh) 用于将车辆电连接到充电站的快速充电系统和方法
US9352654B2 (en) Impact mitigating structure of contact strip piece
JP5759575B2 (ja) 電動車両及び電動車両の接触充電システム
JP2013233037A (ja) 電動車両の接触充電方法及び接触充電システム
US20170217333A1 (en) Conductor line, current collector, and conductor line system
WO2013115369A1 (ja) 絶縁セクション、給電レール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US9517738B2 (en) Grounding shoe and vehicle
JP6161615B2 (ja) 受電レールに電気的に接触するための補助機能を有している、電気駆動車両に装着された電力システム
EP0406987B1 (en) Sliding plate support structure for current collector
JP5883464B2 (ja) 乗用電動車両及び乗用電動車両の接触充電システム
CN102677554A (zh) 导轨扩张装置
KR20170058766A (ko) 강체전차선 및 그 연결구조
KR101274997B1 (ko) 분기 궤도 구조
CN109955738B (zh) 导电轨过渡装置和具有其的道岔、轨道交通系统
KR101246930B1 (ko) 경량 전철용 제3 궤조 집전 장치
US575303A (en) Electric railway
JP2014131474A (ja) 電動車両及び電動車両の接触充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