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997B1 - 분기 궤도 구조 - Google Patents

분기 궤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997B1
KR101274997B1 KR1020110019800A KR20110019800A KR101274997B1 KR 101274997 B1 KR101274997 B1 KR 101274997B1 KR 1020110019800 A KR1020110019800 A KR 1020110019800A KR 20110019800 A KR20110019800 A KR 20110019800A KR 101274997 B1 KR101274997 B1 KR 101274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branch
frame
uni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1780A (ko
Inventor
조우연
성택룡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19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99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1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E01B25/34Switches; Frogs;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8Sliding or levita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14Way of locomotion or support
    • E01B2203/146Way of locomotion or support using other means than driven wheels as propul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 궤도 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터미널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을 원하는 위치로 분기 및 이동할 수 있는 분기 궤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궤도 구조는 제 1 궤도와 제 2 궤도 사이에 형성된 공간 하부에 설치된 분기궤도부; 및 분기궤도부를 따라 이동가능토록 분기궤도부에 연계되어, 제 2 궤도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을 원하는 위치로 분기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된 이동식분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궤도부는 제 1 궤도와 제 2 궤도 사이에 형성된 공간 하부에 고정된 궤도부프레임; 이동식분기부에 구비된 분기부휠이 지나가도록 궤도부프레임에 구비된 궤도부레일; 및 궤도부레일 사이에서 궤도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식분기부가 궤도부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된 궤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분기부는 상기 제 1 궤도와 제 2 궤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궤도부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된 분기부프레임, 상기 분기부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이동식 분기궤도, 및 상기 이동식 분기궤도의 일단이 제 1 궤도 또는 제 2 궤도와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식 분기궤도의 양 종단에 구비된 마그네틱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분기 궤도 구조{BIFURCATION RAILROAD STRUCTURE}
본 발명은 분기 궤도 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터미널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을 원하는 위치로 분기 및 이동할 수 있는 분기 궤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번호 제2006-24168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궤도 분기 장치는 다음과 같다.
종래의 궤도 분기 장치는 차량(M)의 주 안내륜(3, 3)과, 궤도(A, B, C)의 주 안내 레일(2, 2)에 의해서만 차량(M)을 주행 안내하는 방식을 전제로 하여, 두갈래 분기 부분(D)에 직진용과 분기용의 2종류의 부침(浮沈) 안내 레일(7, 8)을 설치하고 있다.
부침 안내 레일(7, 8)은, 궤도 주행면 상으로 돌출되는 상승 위치와, 주행면 아래로 침강하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직진용 부침 안내 레일(7)을 하강, 분기용 부침 안내 레일(8)을 상승시킨 상태로 차량(M)을 분기 궤도(C)로 유도하고, 양 레일(7, 8)을 반대측으로 작동시킨 상태로 차량(M)을 분기 궤도(B)로 유도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다만, 종래의 궤도 분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방향에서 B방향으로, 또는 A방향에서 C방향으로, 즉 두 갈래 중 어느 한 갈래로의 분기만 가능하고, 다른 위치로의 차량(M)의 분기가 불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종래의 궤도 분기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M)을 분기하는 경우에, 두가지 방향 중에 분기 방향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에 차량(M)의 분기 위치가 한정적이라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튜브형 터널과 터미널 사이에 별도의 분기궤도부를 설치하여 튜브형 터널을 통과한 차량이 터미널에 설치된 복수 개의 제 2 궤도 중 어느 하나의 제 2 궤도로 분기될 수 있도록 한 분기 궤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궤도 구조는 제 1 궤도와 제 2 궤도 사이에 형성된 공간 하부에 설치된 분기궤도부; 및 분기궤도부를 따라 이동가능토록 분기궤도부에 연계되어, 제 2 궤도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을 원하는 위치로 분기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된 이동식분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궤도부는 제 1 궤도와 제 2 궤도 사이에 형성된 공간 하부에 고정된 궤도부프레임; 이동식분기부에 구비된 분기부휠이 지나가도록 궤도부프레임에 구비된 궤도부레일; 및 궤도부레일 사이에서 궤도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식분기부가 궤도부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된 궤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분기부는 상기 제 1 궤도와 제 2 궤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궤도부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된 분기부프레임, 상기 분기부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이동식 분기궤도, 및 상기 이동식 분기궤도의 일단이 제 1 궤도 또는 제 2 궤도와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식 분기궤도의 양 종단에 구비된 마그네틱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궤도구동부는 궤도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모듈단위로 궤도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식분기부에 전자기력을 제공하여 이동식분기부가 추진가능토록 제공된 복수 개의 궤도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궤도부프레임에는 이동식분기부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궤도구동부로 제공되는 전력공급양을 조절하는 스위칭박스가 내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궤도구동부는 궤도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모듈단위로 궤도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식분기부로부터 제공받은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식분기부가 추진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궤도반발판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식분기부는 이동식분기궤도에 설치되어, 분기부프레임에 안착된 차량의 이동시 차량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분기궤도리니어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기부프레임은 하단에, 분기궤도부가 복수 개의 제 2 궤도 중 어느 하나의 제 2 궤도에 연계되도록 분기부프레임을 추진토록 제공된 프레임구동부와, 프레임구동부의 구동시 궤도부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제공된 분기부휠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구동부는 궤도구동부에 대응되도록 분기부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어, 궤도구동부로부터 제공받은 전자기력에 의해 궤도구동부와 반발하면서 분기부프레임을 추진토록 제공된 분기부반발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구동부는 궤도구동부에 대응되도록 분기부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어, 분기부프레임이 궤도부레일을 따라 추진되도록 궤도구동부로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분기부리니어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 1 궤도와 제 2 궤도 사이에 별도의 분기궤도부를 설치하여 튜브형 터널을 통과한 차량이 터미널에 설치된 복수 개의 제 2 궤도 중 어느 하나의 제 2 궤도로 분기될 수 있도록 하여, 터미널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을 통과, 적재 또는 하역, 기지 이송 등에 따라 적절한 경로로 이송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동식분기부를 휘발유가 아닌 전기로 구동되도록 하여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궤도 분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궤도 구조가 제 1 궤도와 제 2 궤도 사이에 설치된 설치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은 도 2의 A-A에 관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기 궤도 구조의 이동식분기부가 분기궤도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분기부에 대한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식분기부가 분기궤도부를 따라 이동하는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식분기부가 제 2 궤도에 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도 2의 A-A에 관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기 궤도 구조의 이동식분기부가 분기궤도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분기부에 대한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도 2의 A-A에 관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기 궤도 구조의 이동식분기부가 분기궤도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분기부에 대한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도 2의 A-A에 관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기 궤도 구조의 이동식분기부가 분기궤도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분기부에 대한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 궤도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궤도 구조(100)는 분기궤도부(110)와 이동식분기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기 궤도 구조(100)는 제 1 궤도(11)와 복수 개의 제 2 궤도(21, 22, 23, 24)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궤도(11)를 통과한 차량(1)이 복수 개의 제 2 궤도(21, 22, 23, 24) 중 어느 하나의 제 2 궤도(21, 22, 23, 또는 24)로 이동되도록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궤도(11)는 튜브형 터널(10)에 설치된 궤도이고, 제 2 궤도(21, 22, 23, 24)는 터미널(20)에 설치된 궤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궤도(21, 22, 23, 24)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화물의 하역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기궤도부(110)는 튜브형 터널(10)과 터미널(20) 사이에 형성된 공간 하부에 설치된 고정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부프레임(111), 궤도부프레임(111)에 설치된 궤도부레일(112), 궤도구동부(1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궤도부프레임(111)은 튜브형 터널(10)과 터미널(20) 사이에 형성된 공간 하부에 설치된다. 궤도부프레임(111)에는 궤도구동부(113)가 설치되고, 궤도구동부(113)의 양측으로 한쌍의 궤도부레일(112)이 설치된다. 이에, 궤도부프레임(111)은 궤도부레일(112)을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식분기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궤도부프레임(111)은 예컨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부레일(112)이 평판형 레일인 경우에, 궤도부프레임(111)은 궤도부레일(112)과 궤도구동부(113)가 설치되는 평판부와, 평판부의 양끝단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홈(111a)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궤도부프레임(111)의 평판부에는 궤도부프레임(111)의 중심선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궤도구동부(113)가 설치되는 안착홈(111b)이 형성된다.
안착홈(111b)은 궤도구동부(113)의 궤도리니어모터(114)가 설치되는 공간으로서, 궤도리니어모터(114)가 궤도부프레임(111)이 표면에 대해 수평하게 궤도부프레임(111)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홈(111b)에는 궤도부프레임(111)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안착홈(111b)에 설치된 궤도리니어모터(114)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패드(117)가 설치된다.
방진패드(117)는 궤도부프레임(111)에서 발생한 진동이 궤도리니어모터(114)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궤도리니어모터(114)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불어, 이동식분기부(130)의 운행 중 발생하는 미세분진으로 인한 이상거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안착홈(111b)에는 플러그(116)가 설치된다. 여기서, 플러그(116)는 일단에 전력공급선(115)이 연결되고, 타단은 궤도리니어모터(114)와 플러그결합되는 부재로서, 궤도구동부(113)를 이루는 일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전력공급선(115)은 궤도리니어모터(114)의 하부에서 궤도부프레임(111)에 내장된다. 전력공급선(115)에 연결된 플러그(116)는 전력공급선(115)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궤도리니어모터(114)로 공급한다.
한편, 궤도리니어모터(114)는 안착홈(111b)에 안착되면서 플러그(116)와 플러그결합되어, 궤도부프레임(111)에 설치된다. 궤도리니어모터(114)는 직선운동하는 모터로서, 궤도부프레임(111)을 운행하는 이동식분기부(130)가 추진가능토록 이동식분기부(130)에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궤도리니어모터(114)는 이동식분기부(130)에 구비된 프레임구동부(134)에 전자기력을 제공하여, 즉, 지상코일에 보낸 전류의 방향을 차례차례 반전시키면서 이동식분기부(130)에 구비된 프레임구동부(134)를 끌고 가듯이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궤도리니어모터(114)는 하부에 안착홈(111b)에 구비된 플러그(116)와 결합되는 콘센트(미도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궤도리니어모터(114)는 모듈단위로 궤도부프레임(111)에 설치된다.
한편, 궤도부레일(112)은 궤도리니어모터(114)의 좌우 양측으로 궤도부프레임(111)의 상부에 설치된다. 궤도부레일(112)은 이동식분기부(130)의 분기부휠(135)이 회전하면서 지나가는 부분으로서, 평판형으로 궤도부프레임(111) 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궤도부레일(112)은 이동식분기부(130)의 이동시 이동식분기부(130) 자체의 하중과 이동식분기부(130) 상에 안착된 차량(1)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분기부휠(135)과의 마찰을 견디기 위해, 분기부휠(135)의 표면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고, 아울러 분기부휠(135)의 내구성보다 높은 내구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궤도부프레임(111)의 양측면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홈(111a)은 이동식분기부(130)의 운행시, 이동식분기부(130)의 분기부가이드휠(136)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공간으로서, 디귿자(ㄷ)형 단면을 가진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분기부(130)가 궤도부프레임(111)에 설치된 경우에, 이동식분기부(130)는 분기부휠(135)의 일부가 가이드홈(111a)에 삽입되도록 궤도부프레임(111)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분기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분기부(130)는 튜브형 터널(10)과 터미널(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며, 분기궤도부(110)에 연계되어, 분기궤도부(110)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형 구조물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분기부(130)는 분기부프레임(131), 이동식분기궤도(132), 분기궤도리니어모터(133), 프레임구동부(134) 및 분기부휠(135)을 포함한다.
여기서, 분기부프레임(131)의 상부는 제 1 궤도(11)를 통과한 차량(1)이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분기부프레임(131)의 상부에는 분기부프레임(131)에 안착된 차량(1)이 제 2 궤도(21, 22, 23, 또는 24)로의 이동이 용이토록, 제 1 궤도(1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이동식분기궤도(132)와 분기궤도리니어모터(133)가 구비된다.
여기서, 이동식분기궤도(132)는 제 1 궤도(11) 및 제 2 궤도(21, 22, 23, 또는 24)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평판형레일 및 분기부프레임(131)에 안착된 차량(1)에 전자기력을 제공하여 차량(1)이 구동되도록 하는 분기궤도리니어모터(133)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에서, 이동식분기궤도(132)는 양종단에, 즉, 제 1 궤도(11)와 접하는 일단과 제 2 궤도(21, 22, 23, 24)와 접하는 타단에 마그네틱 위치조정부(137)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마그네틱 위치조정부(137)는 이동식분기부(130)의 위치 설정을 정확하게 하도록 자력에 의해 제 1 궤도(11) 또는 제 2 궤도(21, 22, 23, 24)에 결합되는 장치이다.
즉, 마그네틱 위치조정부(137)는 차량(1)이 제 1 궤도(11)에서 이동식분기부(130)로 이동될 때, 이동식분기궤도(132)의 일단이 제 1 궤도(11)와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하여, 제 1 궤도(11)를 통과한 차량(1)이 안정적으로 이동식분기부(130)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마그네틱 위치조정부(137)는 이동식분기부(130)에 안착된 차량(1)이 이동식분기부(130)에서 제 2 궤도(21, 22, 23 또는 24)로 이동될 때, 이동식분기궤도(132)의 타단이 제 2 궤도(21, 22, 23 또는 24)와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하여, 차량(1)이 이동식분기부(130)에서 제 2 궤도(21, 22, 23 또는 24)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분기궤도리니어모터(133)의 작동시, 차량(1)은 분기궤도리니어모터(133)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대한 유도자기를 발생하여 추진력을 얻어 구동된다. 여기서, 차량(1)은 화물을 수송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분기궤도리니어모터(133)는 직선운동하는 모터로서, 지상코일에 보낸 전류의 방향을 차례차례 반전시키면서 차량(1)에 내장된 반발판(미도시)을 끌고 가듯이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장치이다.
한편, 분기부프레임(131)의 하부는 궤도부레일(112)에 연계되어 궤도부레일(112)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분기부프레임(131)의 하부에는 프레임구동부(134), 분기부휠(135), 및 분기부가이드휠(136)이 구비된다.
여기서, 프레임구동부(134)는 분기부프레임(131)을 추진토록 제공된 부재로서, 분기궤도부(110)가 복수 개의 제 2 궤도(21, 22, 23, 24) 중 어느 하나의 제 2 궤도(21, 22, 23, 또는 24)에 연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구동부(134)는 궤도구동부(113)에 대응되도록 분기부프레임(131)의 하단에 설치되어, 궤도구동부(113)의 궤도리니어모터(114)로부터 제공받은 전자기력에 의해 궤도리니어모터(114)와 반발하면서 분기부프레임(131)을 추진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구동부(134)로는 분기부반발판이 사용될 수 있다. 분기부반발판은 알루미늄 등의 도체판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궤도리니어모터(114)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대한 유도자기를 발생하여 추진력을 얻음으로써 이동식분기부(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기부휠(135)은 분기부프레임(131)의 하부에 설치되어, 프레임구동부(134)의 구동시 공회전되면서 궤도부레일(112)을 따라 이동된다. 분기부휠(135)은 분기부프레임(131)의 하중 및 분기부프레임(131) 상에 안착된 차량(1)의 하중을 궤도부레일(112)로 전달하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기부가이드휠(136)은 분기부휠(135)에 인접하게 분기부프레임(131)의 하단에 설치된다. 분기부가이드휠(136)은 궤도부프레임(111)의 가이드홈(111a)에 삽입되어 프레임구동부(134)의 구동시 가이드홈(111a)을 따라 공회전되면서, 분기부프레임(131)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궤도리니어모터(114)의 하부에는 스위칭박스(118)가 구비되어, 이동식분기부(130)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궤도리니어모터(114)에서 이동식분기부(130)로 제공되는 전력공급양을 조절토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박스(118)는 모듈단위로 설치된 궤도리니어모터(114)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소정의 구역 내에 위치된 복수 개의 궤도리니어모터(114)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궤도 구조(100)의 작동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는 이동식분기부(130)가 분기궤도부(110)를 따라 이동하는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이동식분기부(130)가 제 2 궤도에 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튜브형 터널(10)을 통과한 차량(1)은 분기부프레임(131) 상에 안착되면, 이동식분기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터널(10)의 제 1 궤도(11)와 분리되어 궤도부레일(112)을 따라 이동된다.
이동식분기부(130)가 분기궤도부(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복수 개의 제 2 궤도(21, 22, 23, 24) 중 어느 하나의 제 2 궤도에 연계되도록 이동된다. 이동식분기부(130)와 제 2 궤도와의 연계여부는 이동식분기부(130)에 구비된 마그네틱 위치조정부(137)와 제 2 궤도의 결합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분기부(130)가 제 2 궤도(21, 22, 23, 24)에 연계되면, 이동식분기부(130) 상에 위치된 차량(1)은 분기부프레임(131) 상에 설치된 분기궤도리니어모터(133)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 2 궤도(21, 22, 23, 24)로 이동된다.
여기서, 분기궤도리니어모터(133)는 주행레일인 궤도부레일(112)과 별도로, 궤도부프레임(111)에 설치된 도전용레일(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도전용레일은 제3궤조 방식에 따른 레일로서, 이동식분기부(130)가 궤도부레일(112)을 따라 운행될 때, 이동식분기부(130)와의 접촉시 분기궤도리니어모터(133)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3궤조 방식에 따른 도전용레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기술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분기 궤도 구조(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도 2의 A-A에 관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기 궤도 구조(200)의 이동식분기부(230)가 분기궤도부(210)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분기부(230)에 대한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의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 제 1 궤도(11), 제 2 궤도(21, 22, 23, 24), 궤도부프레임(211), 궤도부레일(212), 분기부프레임(231), 분기부휠(235), 분기부가이드휠(236) 및 마그네틱 위치조정부(237) 등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궤도구동부(213)와 프레임구동부(234)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궤도구동부(2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단위로 안착홈(211b)에 안착되어, 궤도부프레임(211)에 설치된다. 이때, 궤도구동부(213)는 궤도부프레임(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궤도구동부(213)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달리 궤도반발판이다. 여기서, 궤도반발판은 알루미늄 등의 도체판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프레임구동부(234)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대한 유도자기를 발생하여 프레임구동부(234)를 밀어냄으로써 이동식분기부(230)가 어느 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작동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구동부(234)는 궤도반발판에 대응되도록 분기부프레임(231)의 하단에 설치되어, 분기부프레임(231)이 궤도부레일(212)을 따라 추진되도록 궤도구동부(213)로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구동부(234)로는 분기부리니어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분기부리니어모터는 직선운동하는 모터로서, 지상코일에 보낸 전류의 방향을 차례차례 반전시키면서 궤도구동부(213)인 궤도반발판을 밀어내듯이 작동되어, 분기부프레임(231)이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분기부리니어모터는 제3궤조 방식에 따른 도전용레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7a는 도 2의 A-A에 관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기 궤도 구조(300)의 이동식분기부(330)가 분기궤도부(310)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분기부(330)에 대한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의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 제 1 궤도(11), 제 2 궤도(21, 22, 23, 24), 궤도부프레임(311), 분기부프레임(331), 궤도구동부(313), 프레임구동부(334) 및 마그네틱 위치조정부(337) 등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궤도부레일(312)과 분기부휠(335)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부레일(312)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구조를 가진 궤도부레일(312)과 달리 궤도부프레임(31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부휠(335)은 이동식분기부(330)의 운행시 회전가능도록 궤도부레일(312)에 연계된다. 본 실시예에서, 궤도부레일(312)은 공지된 철도레일형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분기부휠(335)은 공지된 철도의 차륜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분기부휠(335)은 공지된 철도의 차륜과 달리, 이동식분기부(330)의 하중을 궤도부레일(31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프레임구동부(334)의 작동시 공회전되면서 궤도부레일(312)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달리 궤도부프레임(311)에 가이드홈이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또한, 이동식분기부(330)에 분기부가이드휠이 구비될 필요도 없다.
제 4 실시예
도 8a는 도 2의 A-A에 관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기 궤도 구조(400)의 이동식분기부(430)가 분기궤도부(410)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분기부(430)에 대한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의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 제 1 궤도(11), 제 2 궤도(21, 22, 23, 24), 궤도부프레임(411), 분기부프레임(431), 궤도구동부(413), 프레임구동부(434) 및 마그네틱 위치조정부(437) 등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궤도부레일(412)과 분기부휠(435)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부레일(412)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구조를 가진 궤도부레일(412)과 달리 궤도부프레임(41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궤도부레일(412)에는 분기부휠(435)과 접하는 면에 오목부와 볼록부로 형성된 요철형상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랙기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부휠(435)은 이동식분기부(430)의 운행시 회전가능도록 궤도부레일(412)에 연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기부휠(435)은 궤도부레일(412)과 랙-피니언 결합방식으로 연계되도록 피니언 기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기부휠(435)은 이동식분기부(430)의 하중을 궤도부레일(41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프레임구동부(434)의 작동시 공회전되면서 궤도부레일(412)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달리 궤도부프레임(411)에 가이드홈이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또한, 이동식분기부(430)에 분기부가이드휠이 구비될 필요도 없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100: 분기 궤도 구조 110: 분기궤도부
111: 궤도부프레임 112: 궤도부레일
113: 궤도구동부 114: 궤도리니어모터
115: 전력공급선 116: 플러그
117: 방진패드 118: 스위칭박스
130: 이동식분기부 131: 분기부프레임
132: 이동식분기궤도 133: 분기궤도리니어모터
134: 프레임구동부 135: 분기부휠
136: 분기부가이드휠 137: 마그네틱 위치조정부

Claims (9)

  1. 제 1 궤도와 제 2 궤도 사이에 형성된 공간 하부에 설치된 분기궤도부; 및
    상기 분기궤도부를 따라 이동가능토록 상기 분기궤도부에 연계되어, 상기 제 2 궤도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을 원하는 위치로 분기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된 이동식분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궤도부는
    상기 제 1 궤도와 제 2 궤도 사이에 형성된 공간 하부에 고정된 궤도부프레임;
    상기 이동식분기부에 구비된 분기부휠이 지나가도록 상기 궤도부프레임에 구비된 궤도부레일; 및
    상기 궤도부레일 사이에서 상기 궤도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식분기부가 상기 궤도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공된 궤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분기부는
    상기 제 1 궤도와 제 2 궤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궤도부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된 분기부프레임;
    상기 분기부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이동식 분기궤도; 및
    상기 이동식 분기궤도의 일단이 제1궤도 또는 제2궤도와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식 분기궤도의 양 종단에 구비된 마그네틱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분기 궤도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구동부는
    상기 궤도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모듈단위로 상기 궤도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식분기부에 전자기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식분기부가 추진가능토록 제공된 복수 개의 궤도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궤도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프레임에는
    상기 이동식분기부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궤도구동부로 제공되는 전력공급양을 조절하는 스위칭박스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궤도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구동부는
    상기 궤도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모듈단위로 상기 궤도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식분기부로부터 제공받은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이동식분기부가 추진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궤도반발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궤도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분기부는
    상기 이동식분기궤도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부프레임에 안착된 차량의 이동시 상기 차량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분기궤도리니어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궤도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프레임은 하단에,
    상기 분기궤도부가 상기 복수 개의 제 2 궤도 중 어느 하나의 제 2 궤도에 연계되도록 상기 분기부프레임을 추진토록 제공된 프레임구동부와,
    상기 프레임구동부의 구동시 상기 궤도부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제공된 상기 분기부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궤도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동부는 상기 궤도구동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분기부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궤도구동부로부터 제공받은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궤도구동부와 반발하면서 상기 분기부프레임을 추진토록 제공된 분기부반발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궤도 구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동부는 상기 궤도구동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분기부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부프레임이 상기 궤도부레일을 따라 추진되도록 상기 궤도구동부로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분기부리니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궤도 구조.
KR1020110019800A 2011-03-07 2011-03-07 분기 궤도 구조 KR10127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800A KR101274997B1 (ko) 2011-03-07 2011-03-07 분기 궤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800A KR101274997B1 (ko) 2011-03-07 2011-03-07 분기 궤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780A KR20120101780A (ko) 2012-09-17
KR101274997B1 true KR101274997B1 (ko) 2013-06-17

Family

ID=4711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800A KR101274997B1 (ko) 2011-03-07 2011-03-07 분기 궤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9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960B1 (ko) 2018-11-27 2020-06-09 주식회사 비바엔에스 예비 게이트웨이를 활용한 고가용성 지능형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2167A1 (fr) * 1995-07-04 1997-01-23 Hiroyuki Minakami Systeme de trafic/transport
JP2001115405A (ja) * 1999-10-21 2001-04-24 Hazama Gumi Ltd 磁気浮上レール構造及び施工方法
KR20100138667A (ko) * 2009-06-25 2010-12-31 (주) 파루 분리형 레일을 구비한 운행 장치 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2167A1 (fr) * 1995-07-04 1997-01-23 Hiroyuki Minakami Systeme de trafic/transport
JP2001115405A (ja) * 1999-10-21 2001-04-24 Hazama Gumi Ltd 磁気浮上レール構造及び施工方法
KR20100138667A (ko) * 2009-06-25 2010-12-31 (주) 파루 분리형 레일을 구비한 운행 장치 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780A (ko) 201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8358B (zh) 传送设备
CN105580215B (zh) 支承设备和接触设备和用于将接触设备安装到支承设备上的方法
CN104528298A (zh) 改进的由短块线性同步电机和换向机构驱动的运输系统
KR20130056354A (ko) 분기 장치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KR20130028758A (ko) 궤도계 차량의 안내 궤조 및 교통 시스템
CN106882164B (zh) 后轮柔性定位机构、换电架、自动换电池系统及控制方法
KR20080033440A (ko) 차량의 마그네틱 스위칭에 의해 동작되는 가이드웨이
CN105358361B (zh) 滑接导线、集电器以及滑接导线系统
CN102257698A (zh) 用于传递电能的装置
WO2014038691A1 (ja) 車両給電装置
WO2012118004A1 (ja) 分岐装置及び中央案内式の軌道系交通システム
US4794866A (en) Linear motor driven railway car
KR101274997B1 (ko) 분기 궤도 구조
JP2011255999A (ja) クレーンシステム
CN107531254B (zh) 具有辅助推动驱动器的游乐设施
CN111559274A (zh) 车轮定位装置以及车辆换电平台
KR20120094251A (ko) 튜브운송시스템용 궤도
KR20120101781A (ko) 화물 운송 구조
KR101828160B1 (ko) 무가선 노면 전차 시스템
CN102677554B (zh) 导轨的扩张装置
US3777670A (en) Single-directional track-guided vehicle
CN212502516U (zh) 一种轨道小车
JP3575925B2 (ja) 分岐軌道を備えた搬送設備
KR101853092B1 (ko) 보조 모터를 갖는 자기부상 열차용 분기기의 이송장치
JP2706780B2 (ja) 懸垂鉄道の軌道構造における軌条伸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