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354A - 분기 장치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기 장치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354A
KR20130056354A KR1020137010368A KR20137010368A KR20130056354A KR 20130056354 A KR20130056354 A KR 20130056354A KR 1020137010368 A KR1020137010368 A KR 1020137010368A KR 20137010368 A KR20137010368 A KR 20137010368A KR 20130056354 A KR20130056354 A KR 20130056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guide rail
traveling
main lin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3448B1 (ko
Inventor
아키히사 가와우치
히로유키 고노
유키히데 야노부
요시노부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6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8Rail tracks for guiding vehicles when running on road or similar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Railway Track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이 분기 장치(D)는,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로부터 분기선 주행로(Rc)에 걸쳐, 이들 주행로의 인측에 배치되어 있는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과,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로부터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에 걸쳐, 이들 주행로의 아웃측에 배치되어 있는 본선 측방 안내 레일(10b)과,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의 가동 레일(25c)의 위치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의 가동 레일(25b)의 위치를 분기선 안내 위치(BP)와 본선 안내 위치(MP)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이 분기 장치(D)에서는,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분기선 주행로(Rc)에 교차하는 부분(b) 및 분기선 주행로(Rc)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에 교차하는 부분(c)에는 중앙 안내 레일(10)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분기 장치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BRANCHING DEVICE AND RAIL TRANSPORTATION SYSTEM}
본 발명은, 주행로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안내 레일로 안내되어 주행하는 궤도계 차량을, 본선 주행로와 상기 본선 주행로로부터 분기되어 있는 분기선 주행로 중 어느 한쪽의 주행로로 유도하는 분기 장치 및 이 분기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1년 2월 23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03724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최근, 버스나 철도 이외의 새로운 교통 수단으로서, 신 교통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신 교통 시스템의 일종으로서, 고무 타이어로 이루어지는 주행륜을 갖는 차량을 중앙 안내 레일을 따라 주행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중앙 안내 레일을 구비하고 있는 궤도계 교통 시스템, 즉, 중앙 안내식 궤도계 교통 시스템의 분기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분기 장치는, 본선과 분기선의 교차 부분인 분기부의 주행로와, 이 주행로의 중앙에 배치된 중앙 안내 레일과, 주행로 및 중앙 안내 레일을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환 기구는, 주행로 및 중앙 안내 레일을 본선을 따르는 방향을 향하게 하는 위치와, 주행로 및 중앙 안내 레일을 분기선을 따르는 방향을 향하게 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주행로 및 중앙 안내 레일을 일체적으로 이동시킨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2-209501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분기 장치와 같이, 중앙 안내식 궤도계 교통 시스템의 분기 장치에서는, 분기부의 주행로를 이동시키지 않고, 분기부의 중앙 안내 레일만을 본선을 따르는 방향과 분기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해도, 이 분기부의 중앙 안내 레일이 분기부의 주행로와 교차하여,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분기부의 주행로 및 분기부의 중앙 안내 레일을 일체적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이러한 종류의 분기 장치에서는, 전환 기구가 대형화된다. 또한, 이 전환 기구의 소비 에너지도 증가하여, 이니셜 코스트 및 러닝 코스트가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니셜 코스트 및 러닝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는 분기 장치 및 이 분기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중앙 안내식 궤도계 교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분기 장치는,
주행로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안내 레일로 안내되어 주행하는 궤도계 차량을, 본선 주행로와 상기 본선 주행로로부터 일측으로 분기되어 있는 분기선 주행로 중 어느 한쪽의 주행로로 유도하는 분기 장치이며, 전환 기구와, 근위(近位)측 중앙 안내 레일과, 원위(遠位)측 중앙 안내 레일과,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을 구비한다. 상기 궤도계 차량은, 상기 중앙 안내 레일에 결합 가능한 중앙 안내륜과, 차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차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분기 안내륜을 갖는다. 상기 전환 기구는,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과, 본선 측방 안내 레일과, 분기선 안내 위치와, 본선 안내 위치를 실현한다.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은, 상기 본선 주행로로부터 상기 분기선 주행로에 걸쳐, 이들 주행로의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궤도계 차량의 상기 일측의 상기 분기 안내륜이 결합되어, 상기 궤도계 차량을 상기 분기선 주행로로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은, 상기 본선 주행로로부터 상기 분기선 주행로가 분기되기 시작하는 분기 개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분기 개시 위치의 진행 방향 근위측의 본선 주행로인 근위측 본선 주행로로부터 진행 원위측의 본선 주행로인 원위측 본선 주행로에 걸쳐, 이들 본선 주행로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궤도계 차량의 상기 타측의 상기 분기 안내륜이 결합되어, 상기 궤도계 차량을 상기 원위측 본선 주행로로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기선 안내 위치는,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에 상기 일측의 분기 안내륜이 결합되고,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에 상기 타측의 분기 안내륜이 결합될 수 없는 위치이다. 상기 본선 안내 위치는,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에 상기 타측의 분기 안내륜이 결합되고,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에 상기 일측의 상기 분기 안내륜이 결합될 수 없는 위치이다. 상기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은, 상기 근위측 본선 주행로의 상기 중앙 안내 레일이며, 상기 원위측 본선 주행로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상기 분기선 주행로에 교차하는 부분보다도 진행 방향 근위측이고 또한 상기 분기 개시 위치보다도 진행 원위측을, 진행 원위측 단부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은, 상기 원위측 본선 주행로의 상기 중앙 안내 레일이며, 상기 원위측 본선 주행로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상기 분기선 주행로에 교차하는 부분보다도 진행 원위측을, 진행 근위측 단부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은, 상기 분기선 주행로의 상기 중앙 안내 레일이며, 상기 분기선 주행로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상기 원위측 본선 주행로에 교차하는 부분보다도 진행 원위측을, 진행 근위측 단부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기 장치는, 근위측 본선 주행로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을 본선 안내 위치의 본선 측방 안내 레일에 의해, 원위측 본선 주행로로 유도하고, 근위측 본선 주행로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을 분기선 안내 위치의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에 의해, 분기선 주행로로 유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분기 장치에서는, 원위측 본선 주행로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분기선 주행로에 교차하는 부분이나, 분기선 주행로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원위측 본선 주행로에 교차하는 부분에 중앙 안내 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이들의 부분에는 중앙 안내 레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분기 장치에서는, 주행로와 중앙 안내 레일을 일체적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중앙 안내 레일과 주행로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당 상기 분기 장치에서는, 주행로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이동 가능한 주행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전환 기구를 소형화하여, 이 전환 기구의 소비 에너지를 삭감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분기 장치에 따르면, 그 이니셜 코스트 및 러닝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상기 분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 및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 상기 분기선 안내 위치와 상기 본선 안내 위치를 실현한다. 또한, 상기 전환 장치는, 상기 한 쌍의 분기륜을 차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분기선 안내 위치와 상기 본선 안내 위치를 실현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상기 분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근위측 단부와, 상기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근위측 단부 사이의 주행로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은, 상기 원위측 본선 주행로를 주행하고 있는 상기 궤도계 차량의 주행륜이 상기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에 접촉할 수 없고, 또한 상기 분기선 주행로를 주행하고 있는 상기 궤도계 차량의 주행륜이 상기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에 접촉할 수 없는 간격이다.
당 상기 분기 장치에서는, 원위측 본선 주행로를 주행하고 있는 궤도계 차량의 주행륜이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에 접촉하지 않고, 또한 분기선 주행로를 주행하고 있는 궤도계 차량의 주행륜이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궤도계 차량은, 분기부 중의 주행로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르면, 상기 분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궤도계 차량은, 상기 중앙 안내륜에 대해, 상기 한 쌍의 분기 안내륜이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원위측 단부와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의 진행 근위측 단부 사이의 상기 분기선 주행로를 따른 방향의 간격 치수 및 상기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원위측 단부와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의 진행 근위측 단부 사이의 원위측 본선 주행로를 따른 방향의 간격 치수는, 모두 상기 궤도계 차량의 상기 중앙 안내륜과 상기 한 쌍의 분기 안내륜의 상기 간격의 치수보다도 길다.
상기 분기 장치에서는, 궤도계 차량이 분기부에 진입하였을 때에, 분기 안내륜과 중앙 안내륜 모두가 대응 안내 레일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궤도계 차량의 근위측 본선 주행로로부터 분기선 주행로로의 이행, 근위측 본선 주행로로부터 원위측 본선 주행로로의 이행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르면, 상기 분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궤도계 차량은, 차체의 전후 각각에 상기 중앙 안내륜을 갖고 있고, 상기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원위측 단부와 상기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근위측 단부 사이의 상기 본선 주행로를 따른 방향의 간격 치수 및 상기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원위측 단부와 상기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근위측 단부 사이의 상기 분기선 주행로를 따른 방향의 간격 치수는, 모두 상기 차체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중앙 안내륜과 상기 차체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중앙 안내륜 사이의 간격 치수보다도 짧다.
상기 분기 장치에서는, 전방측의 중앙 안내륜과 후방측의 중앙 안내륜 중 적어도 한쪽의 중앙 안내륜이,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과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 중 한쪽에, 또는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과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 중 한쪽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기 장치에서는, 분기부에 있어서의 궤도계 차량의 탈선의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따르면, 상기 분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 및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은, 각각 상기 본선 안내 위치와 상기 분기선 안내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가동 레일과, 상기 가동 레일의 진행 원위측에 배치되고 주행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고정 레일을 갖고 있고, 상기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진행 원위측 단부는,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의 상기 가동 레일의 진행 원위측 단부 및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의 상기 가동 레일의 진행 원위측 단부보다도 진행 방향 근위측에 위치하고 있다.
당 상기 분기 장치에서는,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의 가동 레일, 또는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의 가동 레일을 기준으로 하여, 주행로 폭 방향의 한쪽 측에 전환 기구의 구동원을 배치하고, 이 구동원과 각 가동 레일을 링크로 연결한 경우, 이 링크를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에 대해 우회시킬 필요성이 없어져, 전환 기구의 이니셜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따르면, 상기 분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의 하부 테두리 및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의 하부 테두리의 위치는, 상기 중앙 안내 레일의 상부 테두리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이다.
상기 분기 장치에서는,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이나 본선 측방 안내 레일에 접하는 분기 안내륜의 높이가 높아져, 주행륜이 펑크났을 때에, 분기 안내륜이 주행로에 접촉할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 장치에서는, 원위측 본선 주행로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의 분기 안내륜과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이 서로 간섭하는 것, 또한 분기선 주행로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의 분기 안내륜과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궤도계 차량이 원위측 본선 주행로 및 분기선 주행로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따르면, 중앙 안내식 궤도계 교통 시스템은, 상기 분기 장치와 상기 궤도계 차량을 구비하고 있다.
당 상기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서는, 상기 분기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당 상기 시스템의 이니셜 코스트 및 러닝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기 장치에 따르면, 주행로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져, 이동 가능한 주행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전환 기구를 소형화하여, 이 전환 기구의 소비 에너지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따르면, 분기 장치의 이니셜 코스트 및 러닝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 궤도계 차량이 본선 주행로를 주행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 궤도계 차량이 본선 주행로를 주행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 궤도계 차량이 분기선 주행로를 주행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 궤도계 차량이 분기선 주행로를 주행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의 분기 장치의 각 레일의 배치나 치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궤도계 교통 시스템은, 주행로의 중앙에 중앙 안내 레일을 설치한 중앙 안내식 주행 설비와, 주행로 상을 주행하는 궤도계 차량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우선, 본 실시 형태의 주행 설비의 설명에 앞서, 이 주행 설비의 주행로를 주행하는 궤도계 차량에 대해,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궤도계 차량(V)은, 차체(1)와, 차체(1) 하부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주행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장치(2)는, 차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한 쌍의 주행륜(3)과, 한 쌍의 주행륜(3)의 상호를 연결하는 차축(4)과, 차폭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차폭 방향으로 한 쌍의 주행륜(3)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중앙 안내륜(5)과, 한 쌍의 중앙 안내륜(5)의 각각을 구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6)과, 차체(1)의 차폭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차체(1)의 바닥면에 수직한 선회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가이드 프레임(6)을 지지하는 동시에, 이 선회축 주위의 가이드 프레임(6)의 선회에 수반하여 한 쌍의 주행륜(3)을 조타하는 조타 링크 기구(9)를 구비하고 있다.
이 주행 장치(2)는, 차폭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차체(1)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분기 안내륜(7)과,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분기 안내륜(7)의 각각을 구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내 로드(8)를 더 구비하고 있다.
주행륜(3)은, 그 외주 부분이 고무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기체가 봉입된 타이어이다.
한 쌍의 분기 안내륜(7)은, 한 쌍의 중앙 안내륜(5)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의 주행 장치(2)에 있어서, 한 쌍의 분기 안내륜(7)은 한 쌍의 중앙 안내륜(5)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고, 후방측의 주행 장치(2)에 있어서, 한 쌍의 분기 안내륜(7)은 한 쌍의 중앙 안내륜(5)보다도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분기 안내륜(7) 및 중앙 안내륜(5)은, 모두 그 외주 부분이 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타 링크 기구(9)는, 가이드 프레임(6)의 지지 등 뿐만 아니라, 안내 로드(8)를 차폭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이 안내 로드(8)의 차폭 방향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한 쌍의 주행륜(3)을 조타한다. 즉, 조타 링크 기구(9)는, 중앙 안내륜(5)이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프레임(6)의 선회 및 분기 안내륜(7)이 설치되어 있는 안내 로드(8)의 차폭 방향으로의 변위에 따라서, 한 쌍의 주행륜(3)을 조타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주행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주행 설비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로(R)와, 이 주행로(R)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안내 레일(10)과, 분기 장치(D)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로(R)에는, 본선 주행로(Ra, Rb)와, 이 본선 주행로(Ra, Rb)로부터 분기되어 있는 분기선 주행로(Rc)가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선 주행로(Ra, Rb)로부터 분기선 주행로(Rc)로 분기되기 시작하는 분기 개시 위치(BC)를 기준으로 하여, 이 분기 개시 위치(BC)에 대해 진행 방향 근위측의 본선 주행로(Ra)를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로 하고, 이 분기 개시 위치(BC)에 대해 진행 원위측의 본선 주행로(Rb)를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로 한다. 또한, 본선 주행로(Ra, Rb)를 기준으로 하여, 주행로 폭 방향에서, 분기선 주행로(Rc)가 연장되어 있는 측을 인측, 이 인측의 반대측을 아웃측으로 한다.
분기 장치(D)는, 근위측 본선 주행로(Ra) 상의 궤도계 차량(V)을,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와 분기선 주행로(Rc) 중 어느 한쪽의 주행로로 유도하는 장치이다.
이 분기 장치(D)는,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로부터 분기선 주행로(Rc)에 걸쳐, 이들 주행로(Ra, Rc)의 인측에 배치되어 있는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과,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로부터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에 걸쳐, 이들 주행로(Ra, Rb)의 아웃측에 배치되어 있는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과,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의 위치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의 위치를 바꾸는 전환 기구(40)와, 근위측 본선 주행로(Ra)의 중앙 안내 레일(10)인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과,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의 중앙 안내 레일(10)인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과, 분기선 주행로(Rc)의 중앙 안내 레일(10)인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을 구비하고 있다.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은,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분기선 주행로(Rc)에 교차하는 부분(b)보다도 진행 방향 근위측이고, 또한 분기 개시 위치(BC)보다도 진행 원위측을 진행 원위측 단부(15)로 하고 있다. 또한,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은,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분기선 주행로(Rc)에 교차하는 부분(b)보다도 진행 원위측이고, 또한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의 진행 원위측 단부보다도 진행 방향 근위측을 진행 근위측 단부(16b)로 하고 있다. 또한,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은, 분기선 주행로(Rc)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에 교차하는 부분(c)보다도 진행 원위측이고, 또한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의 진행 원위측 단부보다도 진행 방향 근위측을, 진행 근위측 단부(16c)로 하고 있다.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은,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의 진행 방향 근위측의 부분과, 주행로(R)를 따른 방향으로 병립되어 있다. 또한,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은,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의 진행 방향 근위측의 부분과도, 주행로(R)를 따른 방향으로 병립되어 있다.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과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이 병립되어 있는 부분의 주행로(R)를 따른 방향의 길이 치수와,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과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이 병립되어 있는 부분의 주행로(R)를 따른 방향의 길이 치수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거의 동일하다.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은,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의 진행 원위측의 부분과,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를 따른 방향으로 병립되어 있다. 또한,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은,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의 진행 원위측의 부분과, 분기선 주행로(Rc)를 따른 방향으로 병립되어 있다.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은, 모두 그 진행 원위측 단부(26c, 26b)를 기준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요동 가능한 가동 레일(25c, 25b)과, 이 가동 레일(25c, 25b)의 진행 원위측에 가동 레일(25c, 25b)과 연속되도록 배치되고, 주행로(R)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고정 레일(28c, 28b)을 갖고 있다.
전환 기구(40)는,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의 가동 레일(25c)[이하, 분기선 가동 레일(25c)로 함]에 한 쌍의 분기 안내륜(7) 중 인측 분기 안내륜(7i)이 결합되고,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의 가동 레일(25b)[이하, 본선 가동 레일(25b)로 함]에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이 결합될 수 없는 분기선 안내 위치(BP)와, 본선 가동 레일(25b)에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이 결합되고, 분기선 가동 레일(25c)에 인측 분기 안내륜(7i)이 결합될 수 없는 본선 안내 위치(MP)로, 분기선 가동 레일(25c) 및 본선 가동 레일(25b)의 위치를 전환하는 장치이다.
이 전환 기구(40)는, 분기선 가동 레일(25c)보다도 인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기(43)와, 이 구동기(43)와 분기선 가동 레일(25c)을 연결하는 제1 링크(41)와, 이 구동기(43)와 본선 가동 레일(25b)을 연결하는 제2 링크(42)를 갖고 있다. 구동기(43)는, 제1 링크(41)를 주행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링크(41)에 접속되어 있는 분기선 가동 레일(25c)을, 이 분기선 가동 레일(25c)의 진행 원위측 단부(26c)를 기준으로 하여 요동시켜, 이 분기선 가동 레일(25c)을 분기선 안내 위치(BP)와 본선 안내 위치(MP)로 전환한다. 또한, 구동기(43)는, 제2 링크(42)를 주행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링크(42)에 접속되어 있는 본선 가동 레일(25b)을, 이 본선 가동 레일(25b)의 진행 원위측 단부(26b)를 기준으로 하여 요동시켜, 이 본선 가동 레일(25b)을 분기선 안내 위치(BP)와 본선 안내 위치(MP)로 전환한다.
구동기(43)는, 유압 실린더, 전자기 실린더, 전기 모터 등의 구동원을 갖고 있다. 구동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랙 및 피니언 등을 사용하여, 전기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꾼다.
또한, 여기서는, 분기선 가동 레일(25c)보다도 인측에 구동기(43)가 배치되어 있지만, 본선 가동 레일(25b)보다도 아웃측에 구동기(43)가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여기서는, 구동기(43)와 분기선 가동 레일(25c)이 제1 링크(41)에 의해 연결되고, 구동기(43)와 본선 가동 레일(25b)이 제2 링크(42)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만, 분기선 가동 레일(25c)과 본선 가동 레일(25b)이 하나의 연결 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이 연결 링크와 구동기(43)가 다른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도 된다.
중앙 안내 레일(1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H형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H형강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플랜지(11)가 연직 방향을 향하고, 한 쌍의 플랜지(11)를 연결하는 웹(12)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H형강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앙 안내 레일(10)에서는, 한 쌍의 플랜지(11)의 각 외면, 즉, 서로 상반되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면의 각각이 중앙 안내면(13)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중앙 안내 레일(10)로서 H형강을 사용하고 있지만, 서로 평행하고 또한 상반되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한 쌍의 면을 갖는 부재이면, 예를 들어 I형강 등을 사용해도 된다.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은, 모두 채널형 강, 즉, 직사각 형상 평판의 웹(22)과, 이 웹(22)의 한 쌍의 긴 변을 따라, 웹(22)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직사각 형상 평판의 한 쌍의 플랜지(21)를 갖는 채널형 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채널형 강에서는, 한 쌍의 플랜지(21)가 연직 방향을 향하고, 한 쌍의 플랜지(21)를 연결하는 웹(22)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을 형성하고 있다. 채널형 강으로 형성되어 있는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은, 한 쌍의 플랜지(21)의 각 내면, 즉, 서로 대향하고 있는 면의 각각이 측방 안내면(23)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로서 채널형 강을 사용하고 있지만, 측방 안내면(23)으로 될 수 있는 면을 갖는 부재이면, 어떠한 부재라도 좋다.
여기서, 궤도계 차량(V)의 한 쌍의 분기 안내륜(7)은, 한 쌍의 주행륜(3) 중 한쪽의 주행륜(3)이 펑크나서, 한쪽의 분기 안내륜(7)(도 2 중, 상상선으로 나타냄)의 위치가 내려가도, 이 분기 안내륜(7)이 주행로(R)의 노면에 접촉할 수 없는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은, 주행륜(3)이 펑크나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높이의 분기 안내륜(7)에 결합될 수 있는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궤도계 차량(V)의 한 쌍의 중앙 안내륜(5)은, 중앙 안내륜(5)의 상호의 간격이 한 쌍의 분기 안내륜(7)의 상호의 간격보다도 좁다. 그로 인해, 한 쌍의 주행륜(3) 중 한쪽의 주행륜(3)이 펑크나도, 한쪽의 중앙 안내륜(5)이 내려가는 양이 한쪽의 분기 안내륜(7)이 내려가는 양보다도 작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중앙 안내륜(5)은, 한 쌍의 분기 안내륜(7)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도, 주행로(R)의 노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중앙 안내륜(5)이 한 쌍의 분기 안내륜(7)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중앙 안내 레일(10)은,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중앙 안내 레일(10)과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앙 안내 레일(10)은, 연직 방향에 있어서, 그 상부 테두리의 위치가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의 하부 테두리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의 하부 테두리의 위치보다도 낮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주행륜(3)의 펑크시에 대비한 대응인 동시에, 이하의 이유에도 의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궤도계 차량(V)이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를 주행하기 시작하여, 중앙 안내륜(5)이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의 진행 근위측 단부(16b)에 이르렀을 때, 이 중앙 안내륜(5)의 인측에는,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이 위치한다. 이때, 가령,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의 상부 테두리가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의 하부 테두리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에 의해 안내되는 인측 분기 안내륜(7i)이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과 간섭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인측 분기 안내륜(7i)과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의 간섭을 확실하게 피하기 위해,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의 상부 테두리의 위치를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의 하부 테두리의 위치보다도 낮게 하고 있다. 또한, 궤도계 차량(V)이 분기선 주행로(Rc)를 주행하기 시작하여, 중앙 안내륜(5)이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의 진행 근위측 단부(16c)에 이르렀을 때, 이 중앙 안내륜(5)의 아웃측에는,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이 위치한다. 따라서,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로 안내되는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이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과 간섭할 가능성을 해소하기 위해,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의 상부 테두리의 위치를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의 하부 테두리의 위치보다도 낮게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과 중앙 안내 레일(10)의 위치 관계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에 의해 안내되는 분기 안내륜(7)과 중앙 안내 레일(10)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수평 방향에 있어서, 중앙 안내 레일(10)과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에 의해 안내되는 분기 안내륜(7)이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는 경우에는, 이상의 위치 관계는 충족되지 않아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분기 장치(D)의 동작 및 이 동작에 수반되는 궤도계 차량(V)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을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로 유도하는 경우의 분기 장치(D)의 동작 및 이 동작에 수반되는 궤도계 차량(V)의 동작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을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로 유도하는 경우, 분기 장치(D)의 전환 기구(40)는, 분기선 가동 레일(25c) 및 본선 가동 레일(25b)을 본선 안내 위치(MP)에 위치시킨다.
본선 안내 위치(MP)에 있어서의 분기선 가동 레일(25c)의 진행 근위측 단부(27c)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로부터 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분기선 가동 레일(25c)의 한 쌍의 측방 안내면(23)은, 궤도계 차량(V)의 한 쌍의 분기 안내륜(7) 중 인측 분기 안내륜(7i)이 접촉할 수 없는 위치에 위치한다. 즉, 분기선 가동 레일(25c)은, 인측 분기 안내륜(7i)에 결합될 수 없는 위치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분기선 가동 레일(25c)의 한 쌍의 측방 안내면(23)은, 모두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의 인측 분기 안내륜(7i)보다도 인측에 위치한다.
또한, 본선 안내 위치(MP)에 있어서의 본선 가동 레일(25b)의 진행 근위측 단부(27b)는, 근위측 본선 주행로(Ra)의 아웃측에, 이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를 따라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선 가동 레일(25b)의 한 쌍의 측방 안내면(23)은, 궤도계 차량(V)의 한 쌍의 분기 안내륜(7) 중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이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즉, 본선 가동 레일(25b)은,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이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본선 가동 레일(25b)의 측방 안내면(23)은, 주행로 폭 방향에 있어서,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의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의 양측에 위치한다. 또한, 본선 안내 위치(MP)에 있어서의 본선 가동 레일(25b)은,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를 따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이,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로 유도되어,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이 설치된 위치에 이르면, 이 궤도계 차량(V)의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은, 본선 가동 레일(25b)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방 안내면(23)의 사이에 위치하여, 한 쌍의 측방 안내면(23)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즉,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은, 본선 가동 레일(25b)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이 궤도계 차량(V)의 인측 분기 안내륜(7i)은, 분기선 가동 레일(25c)의 한 쌍의 측방 안내면(23)보다도 아웃측에 위치하여, 한 쌍의 측방 안내면(23)의 어느 쪽에도 접촉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은, 본선 가동 레일(25b)로 안내된다. 따라서, 궤도계 차량(V)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이 본선 가동 레일(25b)로 안내되면서, 본선 가동 레일(25b)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른 주행로, 즉, 원위측 본선 주행로(Rb) 상을 주행한다.
궤도계 차량(V)의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선 가동 레일(25b)로부터, 이 본선 가동 레일(25b)에 이어져 있는 본선 고정 레일(28b)로 이행하면, 궤도계 차량(V)은, 이 본선 고정 레일(28b)로 안내되면서, 이 본선 고정 레일(28b)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른 주행로, 즉, 원위측 본선 주행로(Rb) 상을 주행한다. 궤도계 차량(V)의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이, 본선 고정 레일(28b)의 진행 원위측에 이르면, 이 궤도계 차량(V)의 한 쌍의 중앙 안내륜(5) 사이에,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의 진행 방향 근위측의 부분이 위치한다. 즉, 한 쌍의 중앙 안내륜(5)은,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에 결합된 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궤도계 차량(V)은, 이후, 한 쌍의 중앙 안내륜(5)이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로 안내되면서, 원위측 본선 주행로(Rb) 상을 주행한다.
그런데, 궤도계 차량(V)은, 본선 안내 위치(MP)의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로 안내되어,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를 주행 중에, 분기선 주행로(Rc)를 부분적으로 가로지른다. 그러나, 이 분기선 주행로(Rc)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에 교차하는 부분에는,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의 주행륜(3)은,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에 접촉하는 일 없이, 이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를 주행한다.
다음에,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을 분기선 주행로(Rc)로 유도하는 경우의 분기 장치(D)의 동작 및 이 동작에 수반되는 궤도계 차량(V)의 동작에 대해, 도 1,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을 분기선 주행로(Rc)로 유도하는 경우, 분기 장치(D)의 전환 기구(40)는, 분기선 가동 레일(25c) 및 본선 가동 레일(25b)(도 1, 2 중, 상상선으로서 2점 쇄선으로 나타냄)을 분기선 안내 위치(BP)에 위치시킨다.
분기선 안내 위치(BP)에 있어서의 본선 가동 레일(25b)의 진행 근위측 단부(27b)는, 도 1 중의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로부터 아웃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본선 가동 레일(25b)의 한 쌍의 측방 안내면(23)은, 궤도계 차량(V)의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이 접촉할 수 없는 위치에 위치한다. 즉, 본선 가동 레일(25b)은,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이 결합될 수 없는 위치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본선 가동 레일(25b)의 한 쌍의 측방 안내면(23)은, 모두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의 아웃측 분기 안내륜(7o)보다도 아웃측에 위치한다.
또한, 분기선 안내 위치(BP)에 있어서의 분기선 가동 레일(25c)의 진행 근위측 단부(27c)는, 근위측 본선 주행로(Ra)의 인측에, 이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를 따라 위치한다. 이로 인해, 분기선 가동 레일(25c)의 한 쌍의 측방 안내면(23)은, 궤도계 차량(V)의 인측 분기 안내륜(7i)이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즉, 분기선 가동 레일(25c)은, 인측 분기 안내륜(7i)이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분기선 가동 레일(25c)의 측방 안내면(23)은, 주행로 폭 방향에 있어서,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의 인측 분기 안내륜(7i)의 양측에 위치한다. 또한, 분기선 안내 위치(BP)에 있어서의 분기선 가동 레일(25c)은, 분기선 주행로(Rc)를 따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이,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로 유도되어,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이 설치된 위치에 이르면, 이 궤도계 차량(V)의 인측 분기 안내륜(7i)은, 분기선 가동 레일(25c)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방 안내면(23) 사이에 위치하여, 한 쌍의 측방 안내면(23)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즉, 인측 분기 안내륜(7i)은, 분기선 가동 레일(25c)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이 궤도계 차량(V)의 아웃측 분기 안내륜(7o)은, 본선 가동 레일(25b)의 한 쌍의 측방 안내면(23)보다도 인측에 위치하여, 한 쌍의 측방 안내면(23) 중 어느 쪽에도 접촉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인측 분기 안내륜(7i)은, 분기선 가동 레일(25c)로 안내된다. 따라서, 궤도계 차량(V)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측 분기 안내륜(7i)이 분기선 가동 레일(25c)로 안내되면서, 분기선 가동 레일(25c)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른 주행로, 즉, 분기선 주행로(Rc) 상을 주행한다.
궤도계 차량(V)의 인측 분기 안내륜(7i)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기선 가동 레일(25c)로부터, 이 분기선 가동 레일(25c)에 이어져 있는 분기선 고정 레일(28c)로 이행하면, 궤도계 차량(V)은, 이 분기선 고정 레일(28c)로 안내되면서, 이 분기선 고정 레일(28c)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른 주행로, 즉, 분기선 주행로(Rc) 상을 주행한다. 궤도계 차량(V)의 인측 분기 안내륜(7i)이, 분기선 고정 레일(28c)의 진행 원위측에 이르면, 이 궤도계 차량(V)의 한 쌍의 중앙 안내륜(5) 사이에,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의 진행 방향 근위측의 부분이 위치한다. 즉, 한 쌍의 중앙 안내륜(5)은,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에 결합된 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궤도계 차량(V)은, 이후, 한 쌍의 중앙 안내륜(5)이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로 안내되면서, 분기선 주행로(Rc) 상을 주행한다.
그런데, 궤도계 차량(V)은, 분기선 안내 위치(BP)의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로 안내되어, 분기선 주행로(Rc)를 주행 중에,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를 부분적으로 가로지른다.
그러나, 이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분기선 주행로(Rc)에 교차하는 부분(c)에는,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분기선 주행로(Rc)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의 주행륜(3)은,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에 접촉하는 일 없이, 이 분기선 주행로(Rc)를 주행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이 본선 안내 위치(MP)의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에 의해,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로 유도되어,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이 분기선 안내 위치(BP)의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에 의해, 분기선 주행로(Rc)로 유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 및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에 의해, 궤도계 차량(V)이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나 분기선 주행로(Rc)로 유도되어 있다. 그로 인해,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분기선 주행로(Rc)에 교차하는 부분(b)이나 분기선 주행로(Rc)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에 교차하는 부분(c)에 중앙 안내 레일(10)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이들 부분에 중앙 안내 레일(10)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종래 기술과 같이, 분기 개시 위치(BC)보다도 진행 원위측에서, 주행로와 중앙 안내 레일을 일체적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과 분기선 주행로(Rc), 또한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과 원위측 본선 주행로(Rb)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로(R)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이동 가능한 주행로(R)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전환 기구(40)를 소형화하여, 이 전환 기구(40)의 소비 에너지를 삭감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기 장치(D)의 이니셜 코스트 및 러닝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다음에, 각 레일의 배치나 치수 관계 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기선 가동 레일(25c) 및 본선 가동 레일(25b)의 주행로를 따른 방향의 길이 치수를 X1로 한다. 또한, 분기선 고정 레일(28c) 및 본선 고정 레일(28b)의 주행로를 따른 방향의 길이 치수를 X2로 한다.
또한, 주행로를 따른 방향에서,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과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이 병립되어 있는 부분 및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과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이 병립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치수를 X3으로 한다.
또한, 주행로를 따른 방향에서,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과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이 병립되어 있는 부분 및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과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이 병립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치수를 X4로 한다.
또한,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의 진행 근위측 단부(16c)와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의 진행 근위측 단부(16b) 사이의 주행로 폭 방향의 간격 치수를 Y로 한다.
또한, 전방측 주행 장치(2)의 중앙 안내륜(5)과 후방측 주행 장치(2)의 중앙 안내륜(5) 사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를 L1로 한다. 또한, 각 주행 장치(2)의 중앙 안내륜(5)과 분기 안내륜(7) 사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를 L2로 한다. 또한, 차축(4)의 중앙 위치와 주행륜(3)의 외측 테두리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를 L3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분기 장치(D)는, 이하의 조건 (1)∼(3)을 만족시키고 있다.
(1) L3<Y
이 조건 (1)은, 차축(4)의 중앙 위치와 주행륜(3)의 외측 테두리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 L3보다도,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의 진행 근위측 단부(16c)와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의 진행 근위측 단부(16b) 사이의 주행로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 Y의 쪽이 긴 것을 의미한다.
이 조건 (1)을 만족시킴으로써,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의 인측의 주행륜(3i)이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분기선 주행로(Rc)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의 아웃측의 주행륜(3o)이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궤도계 차량(V)의 원활한 주행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의 인측 주행륜(3i)이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에 접촉할 가능성이나, 분기선 주행로(Rc)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의 아웃측 주행륜(3o)이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의 진행 근위측 단부(16c)의 위치 및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의 진행 근위측 단부(16b)의 위치를, 각각 진행 원위측으로 옮겨, 주행로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진행 근위측 단부(16b, 16c) 사이의 간격 치수 Y를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 L2<X3, L2<X4
이 조건 (2)는, 주행 장치(2)의 중앙 안내륜(5)과 분기 안내륜(7) 사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 L2보다도,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과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이 병립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치수 X3이나,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과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이 병립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치수 X3의 쪽이 긴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간격 치수 L2보다도,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과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이 병립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치수 X4나,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과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이 병립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치수 X4의 쪽이 긴 것을 의미한다.
이 조건 (2)를 만족시킴으로써, 전방측 주행 장치(2)가 분기부에 걸렸을 때에, 분기 안내륜(7)과 중앙 안내륜(5) 모두가 대응 안내 레일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궤도계 차량(V)의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로부터 분기선 주행로(Rc)로의 이행,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로부터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로의 이행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3) X1>X3, X2>X4
이 조건 (3)은, 분기선 가동 레일(25c) 및 본선 가동 레일(25b)의 주행로를 따른 방향의 길이 치수 X1이, 주행로(R)를 따른 방향에서,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과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이 병립되어 있는 부분 및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과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이 병립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치수 X3보다도 긴 것을 의미한다.
이 조건 (3)을 만족시킴으로써, 주행로(R)를 따른 방향에서,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의 진행 원위측 단부(15)와, 분기선 고정 레일(28c)의 진행 근위측 단부(29c) 및 본선 고정 레일(28b)의 진행 근위측 단부(29b) 사이에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평면에서 볼 때,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과 전환 기구(40)의 제2 링크(42)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조건 (4)를 더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4) L1>(X1+X2)-(X3+X4)
여기서, [(X1+X2)-(X3+X4)]는, 원위측 본선 주행로(Rb)를 따른 방향에 관하여,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이 설치되는 구간 내에서 중앙 안내 레일(1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간의 길이 치수, 또는 분기선 주행로(Rc)를 따른 방향에 관하여,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이 존재하는 구간 내에서 중앙 안내 레일(10)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의 길이 치수이다. 즉, 이 조건 (4)는, 이들 구간 길이 치수가, 전방측 주행 장치(2)의 중앙 안내륜(5)과 후방측 주행 장치(2)의 중앙 안내륜(5) 사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치수 L1보다 짧은 것을 의미한다.
이 조건 (4)를 만족시킴으로써, 전방측 주행 장치(2)의 중앙 안내륜(5)과 후방측 주행 장치(2)의 중앙 안내륜(5) 중 적어도 한쪽의 중앙 안내륜(5)이,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과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10b) 중 한쪽에, 또는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과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10c) 중 한쪽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조건 (4)를 만족시킴으로써, 분기부에서의 주행로(R)를 주행 중인 궤도계 차량(V)의 탈선의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방측 주행 장치(2)의 중앙 안내륜(5)과 후방측 주행 장치(2)의 중앙 안내륜(5) 중 한쪽 주행 장치(2)의 중앙 안내륜(5)만이 중앙 안내 레일(1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쪽 주행 장치(2)의 분기 안내륜(7)은,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또는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분기부라 함은, 각 주행로(Ra, Rb, Rc)를 따른 방향에 있어서, 전체 주행로(Ra, Rb, Rc) 중,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이 존재하고 있는 영역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이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건 (1)에서 분기부에 있어서의 원활한 주행(타이어와 안내 레일의 간섭 회피)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조건 (2)에서 분기부에 있어서의 탈선의 가능성을 낮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건 (3)을 만족시킴으로써, 전환 기구(40)의 제2 링크(42)를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10a)에 대해 우회시킬 필요성이 없어져, 전환 기구(40)의 이니셜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건 (4)도 만족시키면, 더욱 탈선의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기부의 주행로(R)를 이동시킬 필요성이 없어져, 분기 장치(D)의 이니셜 코스트 및 러닝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을 이동시킴으로써, 본선 안내 위치(MP)와 분기선 안내 위치(BP)를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 전체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 전체를 주행로(R)에 대해 고정하고, 한 쌍의 분기 안내륜(7)을 이동시킴으로써, 본선 안내 위치(MP)와 분기선 안내 위치(BP)를 실현해도 된다. 이 경우, 분기부의 앞쪽에서는, 한 쌍의 분기 안내륜(7)이 설치되어 있는 안내 로드(8)와 주행륜(3)의 링크 관계를 해제해 두고, 분기부의 바로 앞에서, 궤도계 차량(V)에 설치한 전환 기구에 의해, 분기 안내륜(7)이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에 결합될 수 있는 분기 안내 위치와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에 결합될 수 있는 본선 안내 위치(MP) 중 어느 하나에 위치시키고 나서, 안내 로드(8)와 주행륜(3)의 링크 관계를 복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로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져, 이동 가능한 주행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전환 기구를 소형화하여, 이 전환 기구의 소비 에너지를 삭감할 수 있다.
5 : 중앙 안내륜
7 : 분기 안내륜
10 : 중앙 안내 레일
10a :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
10b :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
10c :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
15 :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진행 원위측 단부
16b :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진행 근위측 단부
16c :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의) 진행 근위측 단부
20b : 본선 측방 안내 레일
20c :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
25b : (본선 측방 안내 레일의) 가동 레일(본선 가동 레일)
25c :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의) 가동 레일(분기선 가동 레일)
28b : (본선 측방 안내 레일의) 고정 레일(본선 고정 레일)
28c :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의) 고정 레일(분기선 고정 레일)
40 : 전환 기구
BC : 분기 개시 위치
D : 분기 장치
BP : 분기선 안내 위치
MP : 본선 안내 위치
R : 주행로
Ra : 근위측 본선 주행로
Rb : 원위측 본선 주행로
Rc : 분기선 주행로
V : 궤도계 차량

Claims (8)

  1. 주행로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안내 레일로 안내되어 주행하는 궤도계 차량을, 본선 주행로와 상기 본선 주행로로부터 일측으로 분기되어 있는 분기선 주행로 중 어느 한쪽의 주행로로 유도하는 분기 장치이며,
    상기 궤도계 차량은, 상기 중앙 안내 레일에 결합 가능한 중앙 안내륜과, 차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차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분기 안내륜을 갖고 있고,
    상기 본선 주행로로부터 상기 분기선 주행로에 걸쳐, 이들 주행로의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궤도계 차량의 상기 일측의 상기 분기 안내륜이 결합되어, 상기 궤도계 차량을 상기 분기선 주행로로 유도하는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과,
    상기 본선 주행로로부터 상기 분기선 주행로가 분기되기 시작하는 분기 개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분기 개시 위치의 진행 방향 근위측의 본선 주행로인 근위측 본선 주행로로부터 진행 원위측의 본선 주행로인 원위측 본선 주행로에 걸쳐, 이들 본선 주행로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궤도계 차량의 상기 타측의 상기 분기 안내륜이 결합되어, 상기 궤도계 차량을 상기 원위측 본선 주행로로 유도하는 본선 측방 안내 레일과,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에 상기 일측의 분기 안내륜이 결합되고,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에 상기 타측의 분기 안내륜이 결합될 수 없는 분기선 안내 위치와,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에 상기 타측의 분기 안내륜이 결합되고,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에 상기 일측의 상기 분기 안내륜이 결합될 수 없는 본선 안내 위치를 실현하는 전환 기구와,
    상기 근위측 본선 주행로의 상기 중앙 안내 레일이며, 상기 원위측 본선 주행로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상기 분기선 주행로에 교차하는 부분보다도 진행 방향 근위측이며 또한 상기 분기 개시 위치보다도 진행 원위측을, 진행 원위측 단부로 하는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과,
    상기 원위측 본선 주행로의 상기 중앙 안내 레일이며, 상기 원위측 본선 주행로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상기 분기선 주행로에 교차하는 부분보다도 진행 원위측을, 진행 근위측 단부로 하는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과,
    상기 분기선 주행로의 상기 중앙 안내 레일이며, 상기 분기선 주행로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상기 원위측 본선 주행로에 교차하는 부분보다도 진행 원위측을, 진행 근위측 단부로 하는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을 구비하는, 분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 및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 상기 분기선 안내 위치와 상기 본선 안내 위치를 실현하는, 분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근위측 단부와, 상기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근위측 단부 사이의 주행로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은, 상기 원위측 본선 주행로를 주행하고 있는 상기 궤도계 차량의 주행륜이 상기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에 접촉할 수 없고, 또한 상기 분기선 주행로를 주행하고 있는 상기 궤도계 차량의 주행륜이 상기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에 접촉할 수 없는 간격인, 분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계 차량은, 상기 중앙 안내륜에 대해, 상기 한 쌍의 분기 안내륜이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원위측 단부와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의 진행 근위측 단부 사이의 상기 분기선 주행로를 따른 방향의 간격 치수 및 상기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원위측 단부와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의 진행 근위측 단부 사이의 상기 원위측 본선 주행로를 따른 방향의 간격 치수는, 모두 상기 궤도계 차량의 상기 중앙 안내륜과 상기 한 쌍의 분기 안내륜의 상기 간격의 치수보다도 긴, 분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계 차량은, 차체의 전후 각각에 상기 중앙 안내륜을 갖고 있고,
    상기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원위측 단부와 상기 원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근위측 단부 사이의 상기 본선 주행로를 따른 방향의 간격 치수 및 상기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원위측 단부와 상기 분기선 중앙 안내 레일의 상기 진행 근위측 단부 사이의 상기 분기선 주행로를 따른 방향의 간격 치수는, 모두 상기 차체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중앙 안내륜과 상기 차체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중앙 안내륜 사이의 간격 치수보다도 짧은, 분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 및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은, 각각 상기 본선 안내 위치와 상기 분기선 안내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가동 레일과, 상기 가동 레일의 진행 원위측에 배치되고 주행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고정 레일을 갖고 있고,
    상기 근위측 중앙 안내 레일의 진행 원위측 단부는,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의 상기 가동 레일의 진행 원위측 단부 및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의 상기 가동 레일의 진행 원위측 단부보다도 진행 방향 근위측에 위치하고 있는, 분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의 하부 테두리 및 상기 본선 측방 안내 레일의 하부 테두리의 위치는, 상기 중앙 안내 레일의 상부 테두리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인, 분기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기 장치와, 상기 궤도계 차량을 구비하는, 궤도계 교통 시스템.
KR1020137010368A 2011-02-23 2012-02-22 분기 장치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KR101523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7243A JP5713725B2 (ja) 2011-02-23 2011-02-23 分岐装置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JPJP-P-2011-037243 2011-02-23
PCT/JP2012/054240 WO2012115134A1 (ja) 2011-02-23 2012-02-22 分岐装置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354A true KR20130056354A (ko) 2013-05-29
KR101523448B1 KR101523448B1 (ko) 2015-05-27

Family

ID=4672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368A KR101523448B1 (ko) 2011-02-23 2012-02-22 분기 장치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69707B2 (ko)
JP (1) JP5713725B2 (ko)
KR (1) KR101523448B1 (ko)
CN (1) CN103180512B (ko)
HK (1) HK1184203A1 (ko)
SG (1) SG192557A1 (ko)
WO (1) WO20121151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175B1 (ko) * 2022-09-23 2023-09-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매립형 선로전환기를 구비한 산악철도의 랙 궤도용 분기부 구조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3725B2 (ja) * 2011-02-23 2015-05-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分岐装置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JP5310784B2 (ja) * 2011-05-16 2013-10-09 村田機械株式会社 有軌道台車システム
KR101664630B1 (ko) * 2011-08-31 2016-10-11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량 수수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
JP5738165B2 (ja) * 2011-12-19 2015-06-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交通システム
CN102966009B (zh) * 2012-12-11 2014-10-29 南车戚墅堰机车有限公司 轴枢式道岔
US9452763B2 (en) * 2013-02-21 2016-09-27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Guide-rail track vehicle, and method for changing distance between guidance wheels
GB201303948D0 (en) * 2013-03-05 2013-04-17 Embedded Rail Technology Ltd Railway junction assembly
JP6268639B2 (ja) * 2014-02-27 2018-01-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交差軌道、及び転換装置
FR3026114B1 (fr) * 2014-09-19 2016-12-09 Vossloh Cogifer Appareil pour voie ferree
CN110588682B (zh) * 2019-09-24 2020-12-15 哈工大机器人(昆山)有限公司 弯轨自动导引小车
US11230813B1 (en) * 2020-10-16 2022-01-25 Thomas Holtzman Williams Automated road-rail transportation system with side stabilization
JP2022092851A (ja) * 2020-12-11 2022-06-23 株式会社アガツマ 軌道装置及び走行体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13124A (ko) * 1964-03-25
JPS448773Y1 (ko) * 1966-06-22 1969-04-09
JPS5628901A (en) * 1979-08-13 1981-03-23 Kobe Steel Ltd Ground branching and joining apparatus of side direction guiding type vehicle
US4299172A (en) * 1979-09-26 1981-11-10 The Boeing Company Steering sense reversing mechanism for guided vehicles
JPS59154202A (ja) 1983-02-18 1984-09-0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軌条の横移動係止装置
JPS6140801A (ja) 1984-08-02 1986-02-27 Inoue Japax Res Inc 水素貯蔵及び放出装置
JPH0741762B2 (ja) 1988-08-25 1995-05-10 株式会社レイズエンジニアリング 自動車用車輪の製造方法
JPH02209501A (ja) 1989-02-06 1990-08-21 Yukio Uozumi 案内軌道のための分岐装置
JPH048773A (ja) 1990-04-26 1992-01-13 Dainippon Ink & Chem Inc 防汚塗料
KR100320598B1 (ko) * 1999-05-25 2002-01-15 박장묵 철도 레일의 분기부 구조
AU2271901A (en) * 1999-12-16 2001-06-25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Guided transport and associated switching systems
NO20032053D0 (no) * 2003-05-07 2003-05-07 Posco Group Ltd Styreskinne
JP4370267B2 (ja) 2005-01-28 2009-11-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分岐機構及び分岐路の操舵方法
JP2006307452A (ja) * 2005-04-26 2006-11-09 Mitsubishi Heavy Ind Ltd 鉄道線路の分岐装置
FR2904013B1 (fr) * 2006-07-21 2008-09-19 Lohr Ind Aiguillage a manoeuvre manuelle pour un ensemble de guidage le long d'un rail au sol
JP4317862B2 (ja) * 2006-09-15 2009-08-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交通システム
US8234022B2 (en) * 2006-11-01 2012-07-3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Track transportation system
JP5249509B2 (ja) * 2006-11-10 2013-07-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分岐装置
KR101127002B1 (ko) * 2006-11-16 2012-06-14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궤도계 차량의 대차 구조
JP4801637B2 (ja) * 2007-07-19 2011-10-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操舵制御方法及び装置
US7997540B2 (en) * 2007-09-06 2011-08-16 Universal City Studios Llc Fast track switch
JP5107280B2 (ja) * 2009-02-26 2012-1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
JP5291503B2 (ja) * 2009-03-17 2013-09-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
JP4995216B2 (ja) * 2009-03-25 2012-08-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
JP5291507B2 (ja) * 2009-03-25 2013-09-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
JP4995217B2 (ja) * 2009-03-25 2012-08-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及び軌道系車両
JP5357696B2 (ja) * 2009-10-21 2013-12-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案内装置を有する軌条式車両
JP5713725B2 (ja) * 2011-02-23 2015-05-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分岐装置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JP5693294B2 (ja) * 2011-02-28 2015-04-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分岐装置及び中央案内式の軌道系交通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175B1 (ko) * 2022-09-23 2023-09-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매립형 선로전환기를 구비한 산악철도의 랙 궤도용 분기부 구조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448B1 (ko) 2015-05-27
HK1184203A1 (en) 2014-01-17
US20130193277A1 (en) 2013-08-01
WO2012115134A1 (ja) 2012-08-30
CN103180512A (zh) 2013-06-26
JP2012171544A (ja) 2012-09-10
CN103180512B (zh) 2015-05-06
JP5713725B2 (ja) 2015-05-07
SG192557A1 (en) 2013-09-30
US8869707B2 (en)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6354A (ko) 분기 장치 및 궤도계 교통 시스템
US10156044B2 (en) Intersecting track and switching device
KR101664630B1 (ko) 차량 수수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
CN106988167B (zh) 跨坐式轨道道岔
KR101612208B1 (ko) 교통 시스템
JP2012171544A5 (ko)
US4794866A (en) Linear motor driven railway car
JP2013064312A5 (ko)
KR20130100176A (ko) 분기 장치 및 중앙 안내식 궤도계 교통 시스템
KR101042135B1 (ko) 궤도 차량의 분기 장치
CN116654033A (zh) 胶轮列车自导向、可融合电子导向多场景运行方法和系统
JP2002037059A (ja) 分岐を備えた有軌道台車システム
CN110700024A (zh) 一种轨道系统及轨道交通系统
CN213013713U (zh) 一种平移式道岔
US3777670A (en) Single-directional track-guided vehicle
CN102501861B (zh) 基于链传动的单双轨两用式轨道车机构
KR102665494B1 (ko) 포인트 스위치 및 상기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철도 네트워크
CN105172834A (zh) 电动脱轨器以及列车轨道
WO2022250026A1 (ja) 分岐装置及び中央案内式の軌道系交通システム
JP4264835B2 (ja) 有軌道台車システム
CN217781592U (zh) 渡线道岔和轨道交通系统
CN211312027U (zh) 一种新型轨道系统及轨道交通系统
CN202705821U (zh) 可挠式道岔梁的可挠侧支撑板
JP2024062119A (ja) 側方案内式の軌道系交通システム
JP2010234838A (ja) 車両の軌道間移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