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135B1 - 궤도 차량의 분기 장치 - Google Patents

궤도 차량의 분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135B1
KR101042135B1 KR1020090062361A KR20090062361A KR101042135B1 KR 101042135 B1 KR101042135 B1 KR 101042135B1 KR 1020090062361 A KR1020090062361 A KR 1020090062361A KR 20090062361 A KR20090062361 A KR 20090062361A KR 101042135 B1 KR101042135 B1 KR 101042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ranch
track
mai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132A (ko
Inventor
요오조 후꾸모또
요시까즈 이이즈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산전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산전,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산전
Publication of KR2010013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8Rail tracks for guiding vehicles when running on road or similar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 궤도 폭을 축소할 수 있는 데다가 레일의 이음매에서의 진동이나 충격을 없애어 승차감을 개선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궤도(A1, A2)가 비스듬한 분기로(E)에 의해 연결된 갈래 분기 부분(F)에서 차량(M)을 한쪽의 궤도(A1)로부터 다른 쪽의 궤도(A2)로 유도하는 분기 안내 수단으로서, 궤도 내측의 주 안내 레일(12, 12)을 분기로(E)로 연장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좌우 한 쌍의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 15)을, 분기로(E)로부터 반대측 궤도(A2)의 외측까지의 구간에 걸쳐 설치하고,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 15)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양측 주 안내륜(13, 13)과 양측 주 안내 레일(12, 12)에 의한 제1 분기 안내 작용, 양측 분기 안내륜(14, 14)과 양측의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 15)에 의한 제2 분기 안내 작용, 한쪽의 주 안내륜(13)과 주 안내 레일(12) 및 반대측의 분기 안내륜(14)과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에 의한 제3 분기 안내 작용을 연속하여 행하게 하도록 구성했다.
분기 안내 작용, 안내륜, 안내 레일, 안내판, 레일

Description

궤도 차량의 분기 장치 {SWITCHING DEVICE FOR TRACK VEHICLE}
본 발명은 고무 타이어식의 주행륜에 의해 궤도 상을 주행하는 궤도 차량의 분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분기 장치에 있어서, 궤도가 두갈래로 나뉜 두갈래 분기 부분에서 분기 안내륜과 분기 안내 레일을 사용한 편측 안내 상태로 차량을 분기 안내하는 기술은 공지이다(공지 기술 1)
이것을 도 7, 도 8에 의해 설명한다.
도 7은 궤도(A)가 제1, 제2 양 분기 궤도(B, C)로 분기되는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차량(M)은, 전후 양측에 고무 타이어식의 좌우 한 쌍의 주행륜(1, 1)을 구비하고, 전용 궤도 상을 이 주행륜(1…)에 의해 주행한다.
분기 전의 궤도(이하, 본 궤도라고 한다)(A) 및 이로부터 분기된 양 분기 궤도(B, C)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주 안내 레일(2, 2)이 설치되고, 차량(M)의 좌우 양측에 종축(주행면에 대하여 연직이 되는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주 안내륜(3, 3)(통상은 차량 전후 양측에 설치되지만, 여기에서는 전방측만 도시한다) 이 이 주 안내 레일(2, 2)에 궤도 내측으로부터 외향으로 접촉되어 구름 이동함으로써, 차량(M)이 궤도(A, B, C) 상으로 주행 안내된다.
또한, 차량(M)의 좌우 양측에는 분기 안내륜(4, 4)이, 주 안내륜(3, 3)의 하방에 있어서 종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궤도 분기부(D)의 입구 부분에 있어서, 좌우 양측에 분기 안내 레일(5, 5)이 설치되고, 한쪽의 분기 안내륜(4)이 전철기(6)에 의해 선택된 한쪽의 분기 안내 레일(5)에 접하여 구름 이동함으로써, 차량(M)이 본 궤도(A)로부터 선택된 분기 궤도(B 또는 C)로 편측 안내 상태로 진입한다. 도면에서는 하측의 분기 궤도(C)가 선택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공지 기술 1과 마찬가지로 두갈래 분기 부분에서 차량을 분기 안내하는 다른 기술로서, 특허 문헌1에 기재된 것(공지 기술 2)이 공지이다.
이 공지 기술 2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M)의 주 안내륜(3, 3)과, 궤도(A, B, C)의 주 안내 레일(2, 2)에 의해서만 차량(M)을 주행 안내하는 방식을 전제로 하여, 두갈래 분기 부분(D)에 직진용과 분기용의 2종류의 부침(浮沈) 안내 레일(7, 8)을 설치하고 있다.
이 양 부침 안내 레일(7, 8)은, 궤도 주행면 상으로 돌출되는 상승 위치와, 주행면 아래로 침강하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직진용 부침 안내 레일(7)을 하강, 분기용 부침 안내 레일(8)을 상승시킨 상태로 차량(M)을 분기 궤도(C)로 유도하고, 양 레일(7, 8)을 반대측으로 작동시킨 상태로 차량(M)을 분기 궤도(B)로 유도한다.
한편, 이와 같은 두갈래 분기 부분과는 별도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하게 설치된 2개의 궤도(제1, 제2 궤도)(A1, A2)가 비스듬한 분기로(E)에서 연결된 Z형의 갈래 분기 부분(F)이 궤도 도중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갈래 분기 부분(F)에서 차량(M)을 직진측[제1 궤도(A1) 또는 분기측(제2 궤도(A2)]으로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공지 기술의 1, 2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갈래 분기 부분에서의 분기 기술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 부분(F)과 그 근방에 있어서, 주 안내 레일(2)의 내측에 내측 안내 레일(2a)을 설치하여 안내륜(3)을 주, 내측 양 레일(2, 2a) 사이에 끼워 넣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분기로(E)를 따르는 주 안내 레일(2, 2)로 이어지는 위치에 부침식의 보조 안내 레일(9, 9)을 설치하여, 이 보조 안내 레일(9, 9)을 차량(M)이 분기로(E)를 주행할 때는 상승시켜 안내륜(3, 3)을 안내하고, 분기로(E)를 주행하지 않을 때는 하강시키는 기술이 공지이다(특허 문헌2 참조. 공지 기술의 3). 도 10 중, 참조 부호 10은 분기 부분(F)의 입구측에서 주, 내측 양 안내 레일(2, 2a)을 직진측과 분기측으로 절환하는 전철기이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54-5110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41684호 공보
도 7, 도 8에 도시된 공지 기술 1을 갈래 분기 기술로서 도 10에 도시된 갈래 분기 부분(F)에 이용할 경우, 분기 안내륜(4)을 한쪽의 궤도의 분기 안내 레일로부터 다른 쪽의 궤도의 분기 안내 레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분기 안내 레일을, 한쪽의 궤도의 내측으로부터 다른 쪽의 분기로를 통과하여 다른 쪽의 궤도를 비스듬히 횡단하여 외측에 이르는 구간에 걸쳐 설치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횡단 부분이 직진의 장해가 되기 때문에, 그대로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분기 안내 레일을 전철기(6)에 의해 절환 조작하기 위해, 전철기(6)의 설치 스페이스를 주행면의 외측에 확보할 필요가 있어, 도 10의 제1, 제2 양 궤도(A1, A2)와 그 간격을 합한 전체 궤도 폭이 넓어진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공지 기술의 2를 갈래 분기 기술로서 응용할 경우, 부침 안내 레일(7, 8)의 일단부측을 주 안내 레일(2, 2)에 포개어 레일의 연속성을 갖게 하고, 차량측의 1종류의 안내륜(3, 3)만을 레일(2, 2 및 7, 8)에 연속하여 접촉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레일의 이음매(단차)가 발생하여, 이 단차를 안내륜(3, 3)이 통과할 때에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동시에 승차감이 나빠진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공지 기술 3에서는,
(1) 분기로(E)의 입구측에서는 차량(M)을 진행 방향 좌측으로만 안내하고, 출구측에서 우측 안내로 절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안내륜(3)의 전달을 확실하게 행하게 하기 위하여 입구측과 출구측에서 보조 레일(9, 9)을 포함하는 양측 안내 레일을 일부 오버랩시켜야 한다.
(2) 분기로 입구측에서 전철기(10)에 의해 주, 내측 양 안내 레일(2, 2a)을 직진측과 분기측으로 절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공지 기술 1과 마찬가지로, 이 전철기(10)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2개의 궤도의 간격을 크게 취해야만 한다.
이 두가지 점에 의해, 양 궤도(A1, A2)와 그 간격을 합한 전체 궤도 폭이 넓어져, 용지 비용, 건설 비용의 앙등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 분기 양 안내륜에 의해 두갈래 분기 부분에서 차량을 분기 안내하는 구성을 전제로 하여, 이것을 갈래 분기 부분에 이용할 경우의 폐해인, 차량의 직진 장해의 문제를 해소하면서 전체 궤도 폭을 축소할 수 있는 데다가 레일의 이음매에서의 진동이나 충격을 없애어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는 궤도 차량의 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1의 발명은, 주행륜에 의해 주행하는 차량의 좌우 양측에 주 안내륜, 궤도의 좌우 양측에 상기 주 안내륜이 외향으로 접촉되어 구름 이동하는 주 안내 레일이 각각 설치되고, 이 주 안내륜과 주 안내 레일에 의한 주 안내 작용에 의해 차량을 궤도 본선 부분에서 주행 안내하도록 구성된 궤도 차량의 분기 장치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병설된 2개의 궤도가 비스듬한 분기로에 의해 연결된 갈래 분기 부분에서 차량을 한쪽의 궤도로부터 상기 분기로를 거쳐 다른 쪽의 궤도로 유도하는 분기 안내 수단으로서, 궤도 내측의 상기 주 안내 레일이 상기 분기로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궤도의 주행면 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분기 안내륜에 접촉되는 상승 위치와 주행면 아래로 침강하여 분기 안내륜으로부터 벗어나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좌우 한 쌍의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이, 상기 분기로로부터 반대측 궤도의 외측까지의 구간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이 상기 상승 위치에 세트된 상태에서,
(I) 상기 양측 주 안내륜이 양측 주 안내 레일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제1 분기 안내 작용,
(Ⅱ) 상기 양측 분기 안내륜이 상기 양측의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제2 분기 안내 작용,
(Ⅲ) 한쪽의 주 안내륜이 주 안내 레일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동시에, 반대측의 분기 안내륜이 상기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제3 분기 안내 작용을 연속하여 행하게 함으로써 차량을 한쪽의 궤도로부터 다른 쪽의 궤도로 분기 안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갈래 분기 부분에 있어서 차량을 동일 궤도 상에서 직진 안내하는 직진 안내 수단으로서, 양 궤도의 외측 주 안내 레일의 내측에 상기 분기 안내륜이 내향으로 접촉되는 고정 안내판, 양 궤도의 내측 주 안내 레일의 내측에 궤도의 주행면 위로 돌출되어 상기 분기 안내륜이 접촉되는 상승 위치와 주행면 아래로 침강하여 분기 안내륜으로부터 벗어나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이, 각각 상기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과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치되고, 상기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이 하강 위치에, 상기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이 상승 위치에 각각 세트된 상태에서,
(i) 좌우 한쪽의 주 안내륜이 주 안내 레일에 접촉되는 동시에, 동일한 측의 분기 안내륜이, 상기 고정 안내판에 내향으로 접촉되는 제1 직진 안내 작용,
(ⅱ) 좌우 한쪽의 주 안내륜이 주 안내 레일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동시에, 반대측의 분기 안내륜이 상기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제2 직진 안내 작용을 연속하여 행하게 함으로써 차량을 동일 궤도 상에서 직진 안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두갈래 분기 부분에서 차량을 선택된 궤도로 유도하기 위한 분기 안내륜을, 그대로 갈래 분기 부분에서의 분기용으로서 겸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분기 안내륜을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에 의해 분기측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직진 시에는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을 하강시킴으로써 차량의 직진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2) 주 안내륜과 분기 안내륜을, 각각 별도의 안내 레일(전자는 주 안내 레일, 후자는 좌우 한 쌍의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에 접촉시켜, 상기 (I)(Ⅱ)(Ⅲ)의 연속된 분기 안내 작용에 의해 한쪽의 궤도로부터 분기로를 경유하여 다른 쪽의 궤도까지 안내하기 때문에, 1종류의 안내륜만을 고정 안내 레일과 부침 안내 레일 에 이들 이음매를 통하여 갈아타게 하는 공지 기술 2와 같이 레일의 이음매에서의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지 않아 승차감이 좋아진다.
(3) 공지 기술 1, 3과 같이 안내 레일을 전철기에 의해 직진측과 분기측으로 절환하는 것이 아니라,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의 승강에 의해 직진/분기의 절환을 행하기 때문에 전철기가 불필요하게 되어, 그만큼 궤도 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분기 전 궤도로부터 분기로를 통과하여 분기 후 궤도에 이르는 전체 분기 구간에서, 분기 안내 수단(주 안내 레일 및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과, 주 안내륜 및 분기 안내륜)에 의해 연속하여 안내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레일의 오버랩 부분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두가지 점에 의해, 양 궤도를 합한 전체 궤도 폭을 축소시켜 용지 비용, 건설 비용을 대폭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4)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협폭 분기(소궤도 폭에 의한 분기)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공지 기술과 조합함으로써, 공지 기술의 결점을 보완한 사용 방법, 즉 궤도 설치 장소에 따른 분기 방식의 적용(궤도 폭이 넓은 통상 분기와 협폭 분기)이 가능해져 분기의 베리에이션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직진 안내 수단(주 안내 레일 및 고정 안내판과, 주 안내륜 및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에 의한 연속 안내 작용에 의해 차량을 확실하면서 안정적으로 직진 주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도 1, 도 2는 간격을 두고 병설된 2개의 궤도(A1, A2)가 비스듬한 분기로(E)에서 연결된 Z형의 갈래 분기 부분에서의 차량 안내 상황을 도시한다.
이 분기 장치의 기본 구성은, 도 7, 도 8에 도시된 공지 기술의 1과 동일하다.
즉, 차량(M)은 전후 양측에 고무 타이어식의 좌우 한 쌍의 주행륜(11, 11)을 구비하고, 궤도(A1, A2) 상을 이 주행륜(11…)에 의해 주행한다.
양 궤도(A1, A2)의 좌우 양측에 주 안내 레일(12, 12)이 설치되고, 차량(M)의 좌우 양측에 종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주 안내륜(13, 13)이 이 주 안내 레일(12, 12)에 궤도 내측으로부터 외향으로 접촉되어 구름 이동함으로써 차량(M)이 궤도(A1, A2) 상으로 주행 안내된다.
또한, 차량(M)에는, 주 안내륜(13, 13)과는 별도로 분기 안내륜(14, 14)이 종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 7에 도시된 두갈래 분기 부분에서 이 분기 안내륜(14, 14)이 동 도면에서의 분기 안내 레일(5, 5)에 접촉됨으로써 차량(M)이 분기 안내된다.
이 분기 장치에 있어서는, 두갈래 분기 부분에서의 분기에 사용되는 분기 안내륜(14, 14)을 그대로 갈래 분기 부분(F)에서의 분기 안내용으로서 겸용하는 구성이 취해지고 있다.
즉, 차량(M)을 한쪽의 궤도(도 2에 따라 A1)로부터 분기로(E)를 거쳐 다른쪽의 궤도(마찬가지로, A2)로 유도하는 분기 안내 수단으로서, 첫째, 궤도 내측의 주 안내 레일(12)이 분기로(E)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분기로(E)에서 차량측의 주 안내륜(13, 13)이 이 주 안내 레일 연장 부분(12a)에 그대로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둘째, 좌우[분기로(E)를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본 좌우] 한 쌍의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 15)이 분기로(E)로부터 서로 반대측의 궤도(A2, A1)를 외향으로 횡단하여 외측 주 안내 레일(12, 12)의 내측에 이르고, 또한 주 안내 레일(12, 12)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본선 부분까지 이르는 구간에 걸쳐 "へ"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갈래 분기 부분(F)에 있어서 차량(M)을 동일 궤도 상에서 직진 안내하는 직진 안내 수단으로서, 첫째, 양 궤도(A1, A2)의 외측 주 안내 레일(12, 12)의 내측에 분기 안내륜(14, 14)이 내향으로 접촉되는 고정 안내판(16, 16)이 설치되어 있다.
둘째, 양 궤도(A1, A2)의 내측 주 안내 레일(12)의 내측에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17, 17)이 주 안내 레일(12, 12)과 평행하게, 또한 갈래 분기 부분(F)의 중심 가까이까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 안내판(16, 16) 및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17, 17)은 각각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 15)과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치되어 있다.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 15) 및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17, 17)은 각각 도시하지 않은 승강 기구에 의해 궤도 주행면 상으로 돌출되는 상승 위치(도 1, 2 중에 실선으로 나타낸다)와, 주행면 아래로 침강하는 하강 위치(도 1, 도 2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다) 사이에서 승강하여, 상승 위치에서 분기 안내륜(14, 14)에 접촉되고, 하강 위치에서 분기 안내륜(14, 14)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 기구로서는, 공지 기술 3(특허 문헌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선단측에 안내판이 설치된 아암을 크랭크를 통과하여 전동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안내판을 승강시키는 구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유체식 또는 전동식의 실린더나, 전동기에 의해 볼 나사를 회전시켜 안내판을 승강시키는 구성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 15)과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17, 17)이 동시에 반대측으로 작동하고, 또한 상승, 하강 양 위치에서 로크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부침, 로크 동작이 차량(M) 또는 지령소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 분기 장치의 직진, 분기 양 안내 작용을 도 3 내지 도 6을 병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궤도(A1)에서는 차량(M)이 갈래 분기 부분(F)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제2 궤도(A2)에서는 차량(M)이 상기 분기 부분(F)을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직진 통과할 경우를 각각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2는 차량(M)이 제1 궤도(A1)로부터 분기로(E)를 통과하여 제2 궤도(A2)로 이행할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1, 도 2의 (i) 내지 (ⅲ)(I) 내지 (Ⅲ)은, 직진 시 및 분기 시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수 구간에서의 안내 상황, 도 3 내지 도 6은 각 구간에서의 자세한 안내 상황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1, 도 2에 있어서, 주 안내륜(13) 및 분기 안내륜(14) 중 안내 작용을 행하고 있는 것을 굵은선으로 나타낸다.
직진 시
직진 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 15)이 하강 위치에,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17, 17)이 상승 위치에 각각 세트된다.
도 1 중의 (i)는, 차량(M)이 갈래 분기 부분(F)에 들어가기 전의 구간에서의 안내 상황을 도시하고, 통상 주행 시의 안내 상태로 하여 양측 주 안내륜(13, 13)이 양측 주 안내 레일(12, 12)에 외향으로 접촉되어 양측 안내 작용(주 안내 작용)이 행하여진다.
도 1 중의 (ⅱ)는 차량(M)이 갈래 분기 부분(F)을 직진으로 통과하는 전반 구간을 도시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차량 진행 방향 좌측)의 주 안내륜(13)이 주 안내 레일(12)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동시에, 외측의 분기 안내륜(14)이 고정 안내판(16, 16)에 내향으로 접촉되어 편측 안내 작용(청구항 2에 있어서의 제1 직진 안내 작용)이 행하여진다.
도 1 중의 (ⅲ)은, 직진 후반 구간을 나타낸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의 주 안내륜(13)이 주 안내 레일(12)에, 내측의 분기 안내륜(14)이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17, 17)에 각각 외향으로 접촉되어 양측 안내 작용(청구항 2에 있어서의 제2 안내 작용)이 행하여진다.
이 후, 다시 도 1 중의 (i)의 양측 주 안내 레일(12, 12)과 양측 주 안내륜(13, 13)에 의한 주 안내 작용으로 복귀된다.
분기 시
분기 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진 시는 반대로,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17, 17)이 하강 위치에,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 15)이 상승 위치에 각각 세트된다.
도 2 중의 (I)는 차량(M)이 갈래 분기 부분(F)에 들어가기 전의 구간에서의 안내 상황을 도시하고, 통상 주행 시의 안내 상태로 하여, 양측 주 안내륜(13, 13)이 양측 주 안내 레일(12, 12)에 외향으로 접촉되어 양측 안내 작용(주 안내 작용. 청구항 1에 있어서의 제1 분기 안내 작용)이 행하여진다.
도 2 중의 (Ⅱ)는 차량(M)이 갈래 분기 부분(F)을 분기측으로 통과하는 전반 구간을 도시한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분기 안내륜(14, 14)이 양측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 15)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양측 안내 작용(청구항 1에 있어서의 제2 분기 안내 작용)이 행하여진다.
도 2 중의 (Ⅲ)은 후반 구간을 나타낸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진행 방향 좌측)의 분기 안내륜(14)이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에 외향으로 접촉된 채, 내측(진행 방향, 우측)의 분기 안내륜(14)이 주 안내 레일(12)[연장 부분(12a)]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양측 안내 작용(청구항1에 있어서의 제3 분기 안내 작용. 직진 시의 제2 안내 작용과 기본적으로 동일)이 행하여진다.
이 후, 도 2 중의 (I)과 동일한 통상 주행 시의 안내 상태로 복귀된다.
이상과 같이, 직진 시에는 제1, 제2 직진 안내 작용, 분기 시에는 제1 내지 제3 분기 안내 작용이 각각 연속하여 행하여짐으로써 차량(M)이 직진, 분기 안내된다.
이 분기 장치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두갈래 분기 부분에서 차량(M)을 선택된 궤도로 유도하기 위한 분기 안내륜(14)을, 그대로 갈래 분기 부분(F)에서의 분기용으로서 겸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분기 안내륜(14, 14)을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 15)에 의해 분기측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직진 시에는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 15)을 하강시킴으로써(도 1의 상태로 한다) 차량(M)의 직진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안내판(15, 15)이 차량(M)의 직진 장해가 될 우려가 없다.
또한, 주 안내륜(13, 13)과 분기 안내륜(14, 14)을, 각각 별도의 안내 레일[전자는 주 안내 레일(12), 후자는 좌우 한 쌍의 부침 안내판(15, 15)]에 접촉시켜, 도 2 중의 (I)(Ⅱ)(Ⅲ)의 연속된 분기 안내 작용에 의해 한쪽의 궤도(A1)로부터 분기로(E)를 경유하여 다른 쪽의 궤도(A2)까지 안내하기 때문에, 1종류의 안내륜만을 고정 안내 레일과 부침 안내 레일에 이들의 이음매를 통하여 갈아타게 하는 공지 기술 2와 같이 레일의 이음매에서의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지 않아, 승차감이 좋아진다.
또한, 전체 궤도 폭에 관해서,
(a) 공지 기술의 1, 3과 같이 안내 레일을 전철기에 의해 직진측과 분기측으로 절환하는 것이 아니라, 직진용 분기 안내판(17, 17) 및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 판(15, 15)의 승강에 의해 직진/분기의 절환을 행하기 때문에 전철기가 불필요하게 되어, 그만큼 궤도 간격을 축소할 수 있는 것,
(b) 제1 궤도(A1)로부터 분기로(E)를 통과하여 제2 궤도(A2)에 이르는 전체 분기 구간에서, 분기 안내 수단으로서의 주 안내 레일(12, 12)[연장 부분(12a)을 포함한다] 및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15, 15)과, 주 안내륜(13, 13) 및 분기 안내륜(14, 14)에 의해 연속하여 안내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레일의 오버랩 부분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두가지 점에 의해, 양 궤도(A1, A2)를 합한 전체 궤도 폭(W)(도 1 중에 나타낸다)을 축소하여 용지 비용, 건설 비용을 대폭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분기 장치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협폭 분기(소궤도 폭에 의한 분기)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공지 기술과 조합됨으로써 공지 기술의 결점을 보완한 사용 방법, 즉 궤도 설치 장소에 따른 분기 방식의 적용(궤도 폭의 넓은 통상 분기와 협폭 분기)이 가능해져 분기의 베리에이션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직진 안내 수단으로서의 주 안내 레일(12, 12) 및 고정 안내판(16, 16)과, 주 안내륜(13, 13) 및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17, 17)에 의한 연속 안내 작용에 의해 차량을 확실하게 또한 안정적으로 직진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갈래 분기 부분(F)에서의 직진 패턴으로서 제1 궤도(A1)에서는 차량(M)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제2 궤도(A2)에서는 차량(M)을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각각 직진시키고, 분기 패턴으로서 차량(M)을 제1 궤도(A1)로부터 제2 궤도(A2)로 이행시킬 경우를 예시했지만, 각각 역의 패턴에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 안내 작용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직진 안내 수단으로서 고정 안내판(16, 16)과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17, 17)을 설치했으나, 분기 안내륜(14, 14)에 의한 안내 작용이 작용하지 않는 무안내 구간이 일부에 있어도 좋은 경우에는 고정 안내판(16, 16) 또는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17, 17)을 생략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상기 장치에 의한 갈래 분기 시의 궤도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 도 2의 (i)(I)의 안내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ⅱ)의 안내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1, 도 2의 (ⅲ)(Ⅲ)의 안내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2의 (Ⅱ)의 안내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공지 기술의 1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상기 확대 단면도.
도 9는 공지 기술의 2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공지 기술의 3을 도시하는 평면도.
<부호의 설명>
A1, A2 : 간격을 두고 병설된 2개의 궤도
E : 양 궤도를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분기로
F : 분기 부분
M : 차량
11 : 주행륜
12, 12 : 양측 주 안내 레일
12a, 12a : 주 안내 레일의 연장 부분
13, 13 : 양측 주 안내륜
14, 14 : 양측 분기 안내륜
15, 15 :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
16, 16 : 직진용의 고정 안내판
17, 17 :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

Claims (2)

  1. 주행륜에 의해 주행하는 차량의 좌우 양측에 주 안내륜, 차량의 좌우 양측에주 안내륜과는 별도로 회전 가능한 분기 안내륜, 궤도의 좌우 양측에 상기 주 안내륜이 외향으로 접촉되어 구름 이동하는 주 안내 레일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주 안내륜과 상기 주 안내 레일에 의한 주 안내 작용에 의해 차량을 궤도 본선 부분에서 주행 안내하도록 구성된 궤도 차량의 분기 장치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병설된 2개의 궤도가 비스듬한 분기로에 의해 연결된 갈래 분기 부분에서 차량을 한쪽의 궤도로부터 상기 분기로를 거쳐 다른 쪽의 궤도로 유도하는 분기 안내 수단으로서, 궤도 내측의 상기 주 안내 레일이 상기 분기로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궤도의 주행면 위로 돌출되어 상기 분기 안내륜에 접촉되는 상승 위치와 주행면 아래로 침강하여 상기 분기 안내륜으로부터 벗어나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좌우 한 쌍의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이, 상기 분기로로부터 반대측 궤도의 외측까지의 구간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이 상기 상승 위치에 세트된 상태에서,
    (I) 상기 양측 주 안내륜이 상기 양측 주 안내 레일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제1 분기 안내 작용,
    (Ⅱ) 상기 양측 분기 안내륜이 상기 양측의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제2 분기 안내 작용,
    (Ⅲ) 한쪽의 상기 주 안내륜이 상기 주 안내 레일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동시에, 반대측의 상기 분기 안내륜이 상기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제3 분기 안내 작용을 연속하여 행하게 함으로써 차량을 한쪽의 궤도로부터 다른 쪽의 궤도로 분기 안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의 분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래 분기 부분에 있어서 차량을 동일 궤도 상에서 직진 안내하는 직진 안내 수단으로서, 양 궤도의 외측 상기 주 안내 레일의 내측에 상기 분기 안내륜이 내향으로 접촉되는 고정 안내판, 양 궤도의 내측 상기 주 안내 레일의 내측에 궤도의 주행면 위로 돌출되어 상기 분기 안내륜이 접촉되는 상승 위치와 주행면 아래로 침강하여 상기 분기 안내륜으로부터 벗어나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이, 각각 상기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과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치되고, 상기 분기용 수직 가동 안내판이 하강 위치에, 상기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이 상승 위치에 각각 세트된 상태에서,
    (i) 좌우 한쪽의 상기 주 안내륜이 상기 주 안내 레일에 접촉되는 동시에, 동일한 측의 상기 분기 안내륜이, 상기 고정 안내판에 내향으로 접촉되는 제1 직진 안내 작용,
    (ⅱ) 좌우 한쪽의 상기 주 안내륜이 상기 주 안내 레일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동시에, 반대측의 상기 분기 안내륜이 상기 직진용 수직 가동 안내판에 외향으로 접촉되는 제2 직진 안내 작용을 연속하여 행하게 함으로써 차량을 동일 궤도 상에서 직진 안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의 분기 장치.
KR1020090062361A 2009-06-02 2009-07-09 궤도 차량의 분기 장치 KR101042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2969 2009-06-02
JP2009132969A JP5164929B2 (ja) 2009-06-02 2009-06-02 軌道車両の分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132A KR20100130132A (ko) 2010-12-10
KR101042135B1 true KR101042135B1 (ko) 2011-06-16

Family

ID=4350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361A KR101042135B1 (ko) 2009-06-02 2009-07-09 궤도 차량의 분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164929B2 (ko)
KR (1) KR101042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8787B2 (ja) * 2010-01-06 2013-10-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軌道車両の分岐装置
SG11201400192RA (en) * 2011-08-31 2014-07-30 Mitsubishi Heavy Ind Ltd Vehicle pick-up and delivery device and track-based transportation system provided therewith
CN108547187B (zh) * 2018-06-15 2024-06-11 湖南磁浮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磁悬浮列车轨道、轨排及可均匀调整轨缝的f轨接头装置
JP6844604B2 (ja) * 2018-12-05 2021-03-17 村田機械株式会社 有軌道搬送車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76A (ko) * 2002-11-07 2004-05-13 주식회사 스카이카 궤도차량용 분기장치
KR100826968B1 (ko) 2006-12-07 2008-05-02 유원선 선로전환장치
KR20080059986A (ko) * 2006-12-26 2008-07-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분기기의 크로싱 및 그 제어 시스템
KR20090037858A (ko) * 2006-11-10 2009-04-16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궤도계 교통 시스템의 분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4441B2 (ja) * 1976-05-14 1984-10-3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案内軌道車両用の渡り転てつ装置
JPS5620203A (en) * 1979-07-23 1981-02-25 Mitsubishi Heavy Ind Ltd Branching device for track vehicle
JPS59140301U (ja) * 1983-03-07 1984-09-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車両の分岐装置
JP2006241684A (ja) * 2005-02-28 2006-09-14 Mitsubishi Heavy Ind Ltd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分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76A (ko) * 2002-11-07 2004-05-13 주식회사 스카이카 궤도차량용 분기장치
KR20090037858A (ko) * 2006-11-10 2009-04-16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궤도계 교통 시스템의 분기 장치
KR100826968B1 (ko) 2006-12-07 2008-05-02 유원선 선로전환장치
KR20080059986A (ko) * 2006-12-26 2008-07-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분기기의 크로싱 및 그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64929B2 (ja) 2013-03-21
JP2010280240A (ja) 2010-12-16
KR20100130132A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3725B2 (ja) 分岐装置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KR101055167B1 (ko) 궤도계 교통 시스템의 분기 장치
JP5738165B2 (ja) 交通システム
KR101664630B1 (ko) 차량 수수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
JP6274115B2 (ja) 車両、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KR101042135B1 (ko) 궤도 차량의 분기 장치
WO2015129524A1 (ja) 交差軌道、及び転換装置
CN101018699A (zh) 单轨车辆
KR20160025493A (ko) 제2 레일과 가이드 레일을 교차시키기 위해 설계된 레일 크로싱
JP2006241684A (ja)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分岐装置
JP2010254284A (ja) 案内軌条式鉄道
CN213013713U (zh) 一种平移式道岔
JP5785488B2 (ja) 軌道分岐装置
WO2014135852A1 (en) Rail junction assembly
JP4000457B2 (ja) タイヤと車輪による両走行モードが可能なデュアルモード車両、該デュアルモード車両用走行モード変換構成体及び該変換構成体を用いたデュアルモード交通システム
JP2011012466A (ja) 新交通システムの分岐装置
CN102501861B (zh) 基于链传动的单双轨两用式轨道车机构
JP2006241685A (ja)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x字形分岐路
WO2022250026A1 (ja) 分岐装置及び中央案内式の軌道系交通システム
JP4264835B2 (ja) 有軌道台車システム
CN212052123U (zh) 一种轻型铁路轨道及轨车变轨装置
CN114056372B (zh) 一种胶轮列车的转向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186219B1 (ko) 소형궤도차량용 상하 입체 분기로의 차상 및 지상 분기 장치
JPH05311604A (ja) 案内軌道車両の分岐装置
CN111827013A (zh) 一种轻型铁路轨道及轨车变轨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