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823B1 -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실장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실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823B1
KR101619823B1 KR1020157000815A KR20157000815A KR101619823B1 KR 101619823 B1 KR101619823 B1 KR 101619823B1 KR 1020157000815 A KR1020157000815 A KR 1020157000815A KR 20157000815 A KR20157000815 A KR 20157000815A KR 101619823 B1 KR101619823 B1 KR 101619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omponent
component supplying
supplying tap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8643A (ko
Inventor
아키토 타노쿠치
츠토무 야나기다
카즈요시 오야마
유타카 치다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전자 부품을 장착하는 부품 실장 장치에 대하여 부품 공급 테이프를 장전하고, 부품 공급 테이프로부터 전자 부품을 노출시켜서 공급하는 부품 공급 장치로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가 고갈되었을 때에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의 보급을 행하는 보급 장치와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의 고갈을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와 보급 장치 사이에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를 위한 유로와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의 유로가 합류하는 합류부가 형성되고, 합류부에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 또는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의 동작에 따라 움직여,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가 보급 장치에 의해 부품 공급 장치에 반송될 때에 좌굴을 방지하는 좌굴 방지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를 위한 유로와 새롭게 공급되는 부품 공급 테이프를 위한 유로가 합류하는 부분에서의 테이프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실장 장치{COMPONENT SUPPLY DEVICE AND COMPONENT-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실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부품 수납부가 소정 간격으로 일렬로 병설된 캐리어 테이프와, 부품 수납부를 폐색하는 커버 테이프로 이루어진 부품 공급 테이프의 부품 수납부 내에 있는 전자 부품을 노출시켜서 전자 부품을 인출 가능하게 하는 부품 공급 장치와, 이 부품 공급 장치를 사용하여 전자 부품을 기판에 실장하는 부품 실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장치의 전기 회로 기판(이하, 「기판」이라고 한다)에 칩 부품 등의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경우에는, 전자 부품이 소정 피치로 수납된 부품 공급 테이프를 권회한 릴로부터 그 부품 공급 테이프를 부품 공급 장치에 의해 풀면서 전자 부품을 연속적으로 자동 보급하여 부품 실장 장치로 기판에 실장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도 10은 종래의 부품 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 공급 테이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부품 실장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여 부품 공급 테이프(T100)를 설명한다.
부품 공급 테이프(T100)는 두꺼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캐리어 테이프(T200)와, 캐리어 테이프(T200)에 형성된 부품 수납부(T210)에 수납된 전자 부품(도시 생략)과, 전자 부품이 부품 수납부(T210)로부터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품 수납부(T210)를 덮도록 캐리어 테이프(T200)에 부착된 커버 테이프(T300)로 이루어진다.
캐리어 테이프(T200)는 상기 부품 수납부(T210)와 부품 공급 테이프(T100)를 이동시키는 반송력을 캐리어 테이프(T200)에 작용시키는 이송 구멍(T220)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테이프(T300)는 캐리어 테이프(T200) 상에 부착되고, 부품 수납부(T210) 안에 봉입된 전자 부품이 캐리어 테이프(T20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PET계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형성된 부품 공급 테이프(T100)는 릴(300)(도 12a~도 12c 참조)에 권회되어서, 부품 실장 장치(500)에 전자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장치(530)(도 11 참조)에 세팅된다.
이어서, 종래의 부품 공급 장치를 설명한다. 부품 공급 테이프(T100)는 릴(300)에 권회되고 가이드로 지지되면서 이송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반송되고, 전자 부품 노출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부품 공급 테이프(T100)(도 10 참조)로부터 전자 부품이 노출된다. 노출된 전자 부품은 전자 부품 흡착 장착 장치(540)(도 11 참조)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전자 부품 흡착 장착 장치(540)의 선단부에 유지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부품 실장 장치(500)(전자 부품 장착 장치)는 기대(590) 상에 여러 가지의 전자 부품을 각 전자 부품의 인출 위치(부품 흡착 위치)에 1개씩 공급하는 부품 공급 장치(530)의 일부가 착탈 가능하게 복수 병설되어 있다. 부품 공급 장치(530)는 많이 설치할수록 부품 실장 장치(500)에 준비할 수 있는 전자 부품의 종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1㎜ 이하 정도의 간극 간격으로 부품 공급 장치(530)군이 기판 반송 컨베이어(510)에 좌우 양측으로 병설되어 있다.
기판 반송 컨베이어(510)는 반송되어 오는 기판(520)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기판(520) 상에 전자 부품이 장착된 후,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한다. X빔(550)은 기판(520)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된 좌우 한 쌍의 부재이고, 그 양단부에 리니어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액츄에이터(도시 생략)가 부착되어 있다.
X빔(550)은 기판(520)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Y빔(57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도시 생략)에 의해 부품 공급 장치(530)와 기판(520)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개재되어 있다. X빔(550)에는 이 X빔(5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전자 부품 흡착 장착 장치(540)가 설치되어 있다. 부품 실장 장치(500)는 또한, 구동계(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된다.
부품 실장 장치(500)는 이상과 같이 구동됨으로써, 전자 부품이 부품 공급 장치(530)에서 흡착되어서 기판(520)에 장착된다. 부품 공급 장치(530)와 기판 반송 컨베이어(510) 사이에는 인식 카메라(560)와 노즐 보관부(580)가 배치되어 있다. 인식 카메라(560)는 부품 공급 장치(530)에서 전자 부품 흡착 장착 장치(540)에 흡착된 전자 부품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 부품이 기판 반송 방향 및 기판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어긋남, 회전 각도 및 전자 부품이 흡착 상태의 유무 등을 전자 부품을 촬영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X빔(550) 및 Y빔(570)이 병행해서 동작함으로써, 부품 공급 장치(530)로부터 기판(520) 상으로 이동할 때에 전자 부품 흡착 장착 장치(540)를 인식 카메라(560) 상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전자 부품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취득한다. 노즐 보관부(580)는 여러 가지의 전자 부품을 흡착 및 장착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자 부품 흡착 장착 장치(540)에 부착된 복수의 흡착 노즐(도시 생략)의 보관 부위이다. 전자 부품에 대응한 흡착 노즐을 부착하도록 지시되었을 경우, 전자 부품 흡착 장착 장치(540)는 X빔(550) 및 Y빔(570)의 병행 동작에 의해 노즐 보관부(580)까지 이동하게 되고, 흡착 노즐이 교환된다.
특허문헌 1에는 부품 공급 장치 및 전자 부품 노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 부품 공급 장치(530)에 있어서, 장전되어 있는 부품 공급 테이프(T100)가 고갈되고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T100)의 보급을 작업원이 즉시 행하지 않을 경우, 부품 실장 장치(500)는 기판(520)에 전자 부품을 장착할 수 없어 정지해버린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2의 부품 공급 장치에서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100)의 고갈을 검지했을 때,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T100)를 자동적으로 보급하는 장치와 전자 부품 노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 전자 부품 노출 장치는 커버 테이프(T300)를 노출하는 커터 장치를 테이프 반송로에 대하여 상방에 설치함으로써, 부품 공급 테이프(T100)의 반송에 따라 커버 테이프(T300)를 절개해서 전자 부품을 노출시켜서 전자 부품을 인출하고 있다.
도 12a~도 12c는 특허문헌 2의 자동 보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2a는 요부 좌측면도, 도 12b는 카세트부의 좌측면도, 도 12c는 자동 보급 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12a~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부품 공급 테이프(T100)의 자동 보급 장치(100)는 부품 공급 장치(200)에 병설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보급시에 빈 릴(310)이 든 홀더(410)와 부품 공급 테이프(T100)가 감겨져 있는 릴(300)이 든 홀더(400)의 스위칭을 동시에 행할 필요가 있다.
자동 보급 장치(100)는 부품 공급 테이프(T100)보다 폭이 큰 릴(300)을 릴(300)보다 폭이 큰 홀더(400)에 넣고, 또한 홀더(400)보다 폭이 큰 홀더 체인저(600)에 출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동 보급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부품 공급 테이프(T100)의 폭과 거의 동등한 전체폭(F)으로 제한되는 구성인 부품 공급 장치(200)와 비교하면, 장치가 대규모이고 전체폭(F)이 부품 공급 장치(200)보다 크게 되어 있다. 부품 공급 장치(200)는 부품 실장 장치(500)에 있어서 전체폭(F) 방향으로 인접해서 설치되기 때문에, 전체폭(F)이 크면 부품 실장 장치(500)의 설치할 수 있는 수량이 감소한다.
일본 특허공개 2010-19956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2-165696호 공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부품 공급 테이프의 자동 보급 장치는 장치 전체폭이 크기 때문에, 부품 실장 장치에 설치할 수 있는 부품 공급 장치의 수가 감소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부품 실장 장치에 준비할 수 있는 전자 부품종의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특허문헌 2의 자동 보급 장치의 전체폭의 크기는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컴팩트하고 전자 부품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실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는 기판에 전자 부품을 장착하는 부품 실장 장치에 대해서 부품 공급 테이프를 장전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로부터 상기 전자 부품을 노출시켜서 공급하는 부품 공급 장치로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가 고갈됐을 때에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의 보급을 행하는 보급 장치와 상기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의 고갈을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보급 장치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권회한 릴이 삽입되는 릴 유지부와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대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가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의 고갈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대기부로부터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이동시켜서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보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부품 공급 장치는 부품 공급 테이프의 보급을 행할 때에 센서가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의 고갈을 검지해서 구동 지령을 내리면, 대기부로부터 부품 공급 테이프만을 이동시켜서 부품 공급 테이프의 보급을 행함으로써 릴을 이동시키는 것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 공급 테이프의 보급시에 릴을 이동시키는 것이 불필요하게 됨에 따라 릴이 배치된 보급 장치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 실장 장치에 준비되는 전자 부품종 수를 감소시키지 않고 부품 실장 장치의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실장 장치는 상기 부품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된 상기 전자 부품을 부품 유지부에서 유지해서 상기 기판에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부품 공급 테이프의 보급 장치를 병설하는 부품 공급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고갈에 의한 장치 정지를 방지하고, 또한, 전자 부품종의 준비수가 많은 부품 실장 장치로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컴팩트하고 전자 부품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실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급에 따른 부품 공급 테이프의 이동은 부품 공급 장치 또는 보급 장치에 내장된 센서가 부품 공급 테이프의 고갈을 검지했을 때에 내리는 구동 지령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부품 공급 장치는 부품 공급 테이프의 폭이 이것을 감고 있는 릴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릴과 함께 직접 릴 유지부에 삽입되므로, 종래의 홀더를 홀더 체인저에 의해 스위칭함으로써 부품 공급 테이프의 보급을 행하는 장치와 비교해서 특히 폭 방향의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분리기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분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a의 화살표선 V-V 방향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대기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대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a의 화살표선 W-W 방향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부품 공급 테이프를 보급할 때의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가 떨어졌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부품 공급 테이프를 보급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릴을 상단의 테이프 유지부에서 하단의 테이프 유지부로 이동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새롭게 릴을 보급했을 때의 릴 유지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릴 유지부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 확대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릴 유지부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 확대 정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대기부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 확대 정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a의 화살표선 X-X 방향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대기부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 확대 정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a의 화살표선 Y-Y 방향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 5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분리기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 확대 정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 5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a의 화살표선 Z-Z 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부품 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 공급 테이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부품 실장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a는 특허문헌 2의 자동 보급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좌측면도이다.
도 12b는 특허문헌 2의 자동 보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카세트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12c는 특허문헌 2의 자동 보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자동 보급 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13은 제 6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 7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는 제 8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록킹홈의 영역을 같은 높이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한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b는 제 8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록킹홈의 영역을 다른 높이에서 같은 방향으로 형성한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 9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a는 제 10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덮개 부재를 왼쪽 방향에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7b는 제 10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덮개 부재를 상방에서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17c는 제 10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덮개 부재를 앞쪽 방향에서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제 11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실장 장치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도 1a에 나타내는 도면의 전후측을 상, 하로 하고, 도면의 좌우측을 좌, 우로 해서 이하 설명한다.
≪부품 공급 장치의 구성≫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공급 장치(1)는 이 부품 공급 장치(1)의 부품 반송 방향측에 배치되는 부품 실장 장치(7)에 부품을 공급하는 피더이며, 후기하는 보급 장치(2)와 이송 장치(3)를 주로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부품 공급 장치(1)는 예를 들면, 부품 실장 장치(7)에 있어서 전체폭(G) 방향으로 인접해서 설치된다.
≪보급 장치의 구성≫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급 장치(2)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가 고갈됐을 때에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이송 장치(3)에 보급하는 장치이며, 이송 장치(3)에 대하여 병설되어 있다. 보급 장치(2)는 릴(20)과, 릴 유지부(21)와, 분리기(4)와, 대기부(5)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부품 공급 장치(1)에 병설되는 보급 장치(2)는 릴 유지부(21) 상에 대기부(5)를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릴(20)을 상방으로 인출하는 경우에는 대기부(5)가 부품 공급 테이프(T)와 간섭한다. 또한, 릴 유지부(21) 내의 부품 공급 테이프(T)를 장치의 좌면측으로 인출하는 경우에는 상부 방향으로 인접하는 보급 장치(2)에 간섭하게 된다. 그래서, 릴(20)은 좌측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부품 공급 테이프의 구성≫
부품 공급 테이프(T)는 상기한 종래의 것과 같은 것이며(도 10 참조), 기단부측이 릴(20)에 권회되어서 반송 경로의 기단이 되는 보급 장치(2)의 릴 유지부(21)에 배치되고, 선단 단부측이 후기하는 대기부(5)를 통해서 부품 공급 장치(1)에 배치되어 있다. 즉, 릴(20)로부터 송출되어서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의 선단은 대기부(5)에 세팅된다.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에 대하여 분리기(4)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 분리된다.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의 선단은 대기부(5)에서 대기하고 있다. 또한, 도 1a에 있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 및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나타내는 화살표(a,b)는 각 테이프의 선단부를 나타내고 있다. 보급시에는 대기부(5)가 부품 공급 테이프(T)만을 이동시켜서 릴(20)은 회동할 뿐 이동하지 않는다.
≪릴의 구성≫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20)은 부품 공급 테이프(T)를 권회하는 보빈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프 릴이며, 릴 유지부(21)에 수납되어 있다. 릴(20)은 부품 공급 테이프(T)를 권회하는 중공축 형상의 원통부(20a)와 원통부(20a)의 양단에 형성된 원판 형상의 플랜지부(20b)로 이루어진다. 릴(20)은 좌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릴 유지부(21)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하로 2개 내감(內嵌)되어 세팅된다.
≪릴 유지부의 구성≫
상기한 바와 같이 릴 유지부(21)는 릴(20)을 유지하는 부위이며, 릴(20)을 상하 2단으로 2개 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자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릴 유지부(21)는 각각 좌측에 릴(20)을 출납하는 개구부(21a)를 갖고, 릴(20)을 횡방향으로 수납하는 측면으로 볼 때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와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로 이루어진다. 또한, 릴 유지부(21)는 상하 2단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의 복수단으로 형성해도 관계없다.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는 릴(20)을 그대로의 상태로 다른 부재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수납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방향의 폭(G)을 최저한의 길이로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분리기의 구성≫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기(4)는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 내에 각각 배치된 상하 2단의 릴(20)로부터 풀려진 부품 공급 테이프(T)를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 2단으로 분할해서 배치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 분리기(4)는 상단의 테이프 유지부(41)와, 하단의 테이프 유지부(42)와, 직립 플레이트(43)로 주로 구성되고 대기부(5)와 인접한 상태로 병설되어 있다.
상단의 테이프 유지부(41)는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에 배치된 릴(20)로부터 풀려진 부품 공급 테이프(T)를 지지하여 대기부(5)로 송출하는 가이드 부위이다. 상단의 테이프 유지부(41)는 예를 들면 직립 플레이트(43)에 회동 가능하도록, 또한 축 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축 지지된 보빈 형상의 회전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작업자는 부품 공급 테이프(T)의 교환시에 하단의 테이프 유지부(42)로부터 상단의 테이프 유지부(41)로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옮길 필요가 있지만, 상단의 테이프 유지부(41)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신축시킴으로써 측면측에 다른 보급부가 인접하고 있어도 부품 공급 테이프(T)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단의 테이프 유지부(42)는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에 배치된 릴(20)로부터 풀려진 부품 공급 테이프(T)를 지지하여 대기부(5)로 송출하는 가이드 부위이다. 하단의 테이프 유지부(42)는 상단의 테이프 유지부(41)의 하방에 배치되어서, 상단의 테이프 유지부(41)로부터 송출되는 부품 공급 테이프(T)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대략 평행한 상태로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로부터의 부품 공급 테이프(T)를 대기부(5)로 송출한다. 하단의 테이프 유지부(42)는 정면으로 볼 때 원호 형상의 테이프 지지면(42a)을 갖는 부재로 이루어진다.
직립 플레이트(43)는 상기 상단의 테이프 유지부(41)와 하단의 테이프 유지부(42)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기둥 형상의 판 부재이다. 직립 플레이트(43)는 예를 들면 상부에 상단의 테이프 유지부(41)를 캔틸레버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축 지지하고, 그 하부에 하단의 테이프 유지부(42)를 캔틸레버 상태로 설치하고 있다.
분리기(4)는 상단의 테이프 유지부(41)에서 부품 공급 장치(1)에 도입되고 있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와 하단의 테이프 유지부(42)에서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지지함으로써,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와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세로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분리기(4)의 전체폭을 컴팩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는 선단부가 대기부(5)에 부착되고,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에 대하여 세로 방향 하측에서 대기하게 된다.
또한,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로부터 송출된 부품 공급 테이프(T)는 하단의 테이프 유지부(42)와 상단의 테이프 유지부(41)가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하단의 테이프 유지부(42)와 상단의 테이프 유지부(41) 사이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대기부의 구성≫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기부(5)는 보급용의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대기시키고, 센서(S)(도 1b참조)에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의 고갈을 검지했을 때에 이 대기부(5)로부터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송출해서 보급하는 장치이다. 이 대기부(5)는 베이스(50), 반송로(51), 반송 기구(52), 덮개 부재(5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S)는 고갈된 부품 공급 테이프(T)를 검지하는 검출기로서 예를 들면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로 이루어진 포토 인터럽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센서(S)는 보급 장치(2) 또는 이송 장치(3)에 설치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50)는 대기부(5) 전체를 지지하는 부위이고, 하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기대(50a)와, 이 기대(50a)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된 측벽(50b)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로(51)는 반송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를 가이드하는 부위이고, 종단면으로 볼 때 개략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51a)과, 이 가이드홈(51a)의 양측에 형성된 전후 한 쌍의 측벽(51b)과, 이 한 쌍의 측벽(51b)에 각각 대향해서 전후 좌우로 형성된 록킹홈(51c)과, 후기하는 반송용 기어(52c)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기어 삽입홈(51d)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홈(51a)은 반송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오목형상 홈으로 이루어지고, 이 가이드홈(51a) 내에 부품 공급 테이프(T)와 덮개 부재(53)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넣어진다. 또한, 가이드홈(51a)의 폭은 부품 공급 테이프(T)의 폭보다 콤마 수 ㎜정도 넓게 되어 있다.
전후의 측벽(51b) 사이에는 부품 공급 테이프(T)의 좌우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됨과 아울러, 그 부품 공급 테이프(T)를 상측으로부터 누르도록 해서 덮개 부재(53)가 삽입된다.
전후 한 쌍의 록킹홈(51c)은 덮개 부재(53)의 전후면에 돌출된 록킹핀(53b)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덮개 부재(53)를 반송로(51) 상에 유지하는 L자형상의 홈이다. 덮개 부재(53)는 이 록킹홈(51c)과 록킹핀(53b)에 의해,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대기부(5)의 위쪽 방향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록킹되어 있다. 그 경우, 덮개 부재(53)는 록킹핀(53b)을 록킹홈(51c)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반송로(51)로부터 완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삽입홈(51d)은 반송용 기어(52c)의 치형부가 가이드홈(51a)의 내저에 배치된 부품 공급 테이프(T)의 이송 구멍(Td)에 맞물리도록 반송용 기어(52c)의 상부가 삽입되는 슬릿 형상의 홈이다.
반송 기구(52)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기어(52a)와, 이 구동 기어(52a)에 맞물려서 감속 회전시켜서 회전을 전달하는 전달 기어(52b)와, 전달 기어(52b)와 함께 회전해서 치형부(52e)가 부품 공급 테이프(T)의 이송 구멍(Td)에 맞물려서 배치되어서 이 부품 공급 테이프(T)를 보내기 위한 반송용 기어(52c)와, 반송용 기어(52c)와 전달 기어(52b)를 축 지지한 축 지지 부재(52d)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모터는 구동 기어(52a)를 로터로 하는 전동기로 이루어진다. 구동 기어(52a)는 예를 들면 웜 기어로 이루어지고, 모터축에 설치되어 있다. 전달 기어(52b)는 구동 기어(52a)에 맞물리는 웜 휠로 이루어진다. 반송용 기어(52c)는 부품 공급 테이프(T)의 이송 구멍(Td)에 맞물리는 두께가 얇은 기어이고, 예를 들면 스프로킷으로 이루어진다. 축 지지 부재(52d)는 반송용 기어(52c)와 전달 기어(52b)와 일체로 회전하는 연결된 축봉이며, 기단부가 측벽(50b)에 고정되어 있다.
덮개 부재(53)는 가이드홈(51a) 내에 부품 공급 테이프(T)를 배치한 반송로(51)를 상측으로부터 폐색함과 아울러, 부품 공급 테이프(T)를 상측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박해서 지지하는 부재이다. 덮개 부재(53)는 덮개 부재 본체(53a)와, 록킹핀(53b)과, 판 스프링(53c)을 구비하고 있다.
덮개 부재 본체(53a)는 반송 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두꺼운 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전후면의 좌우 하측 부위에 록킹핀(53b)을 가지고, 하면 중부에 판 스프링(53c)을 가지고 있다.
록킹핀(53b)은 록킹홈(51c)에 맞물리는 둥근 봉 형상의 핀으로 이루어지고, 이 록킹핀(53b)이 록킹홈(51c)의 수평 부위에 록킹됨으로써 판 스프링(53c)이 부품 공급 테이프(T)를 아래 방향으로 압박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판 스프링(53c)은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상방으로부터 반송 기구(52) 및 반송로(51)에 압박해서 접촉시키기 위한 스프링 부재이고, 일단부가 덮개 부재(53)의 하면에 고정되어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다.
≪부품 노출 장치의 구성≫
도 1b에 나타내는 부품 노출 장치(6)는 부품 공급 테이프(T)의 상면에 부착된 커버 테이프를 커터부(도시 생략)로 절개해서 캐리어 테이프의 부품 수납부 내의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장치이며, 반송로(51) 상에 배치되어 있다.
≪부품 실장 장치의 구성≫
부품 실장 장치(7)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T) 상의 노출된 전자 부품을 에어 노즐 등으로 이루어진 부품 인출부(7a)에 의해 흡착해서 기판(도시 생략)에 실장하는 장치이다.
≪작용≫
이어서, 도 4a~도 4e를 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실장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보급 장치(2)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1)로의 보급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품 공급 테이프(T)의 보급 동작은 후기하는 도 4a의 상태에서 도 4e로 진행된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에 대하여 세로 방향 하측의 대기부(5)에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가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다. 분리기(4)는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와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로부터 송출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와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세로 방향으로 분리해서 배치시킨다.
다음의 도 4b에서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가 고갈됐을 때 부품 공급 장치(1)에 내장된 센서(S)에 의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의 고갈이 검지되고, 제어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구동 지령이 보급 장치(2)의 대기부(5)에 송신되며, 이것에 따라 모터(도시 생략)가 회전해서 반송 기구(52)(도 2a 참조)가 구동된다.
다음의 도 4c에서는 상기 반송 기구(52)의 구동에 의해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가 대기부(5)에서 부품 공급 장치(1)로 이동함으로써 부품 공급 테이프(T)의 보급이 행하여진다. 작업자는 부품 공급 테이프(T)의 보급이 행하여진 후, 빈 릴(20)(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가 감겨져 있었던 릴(20))을 릴 유지부(21)의 하단으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의 도 4d에서는 작업자는 대기부(5)로부터 보급되는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분리하면서 대기부(5)의 상방향 중공으로 이동시키고,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가 감긴 릴(20)은 분리기(4)의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로부터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로 설치 장소를 변경함으로써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가 권회된 릴(20)을 릴 유지부(2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의 도 4e에서는 작업자는 새롭게 준비한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대기부(5)에 부착하면서 분리기(4)의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에 설치하고, 부품 공급 테이프(T)가 감겨져 있는 릴(20)을 릴 유지부(21)의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에 넣음으로써 도 4a에 나타내는 원래의 초기 상태로 되돌아온다.
또한, 릴(20)의 교환이나 교체 작업은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가 부품 공급 장치(1)에 보급된 후에 행하므로, 작업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7)의 정지는 발생하지 않는다. 즉, 릴(20)의 교환에 대해서는 부품 공급 테이프(T)의 보급 타이밍과 동기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작업원은 가능한 임의의 시간에 실시하면 된다. 단, 선행하는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가 신품일 때부터 고갈될 때까지의 사이에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보급 장치(2)는 부품 공급 테이프(T)의 보급시에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만을 이동시킴으로써 부품 공급 테이프(T) 이외의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 등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그 부재를 해소한 몫만큼 보급 장치(2)의 구조를 간략화해서 장치 전체의 전체폭을 컴팩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는 대기부(5)에 배치된 상태에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의 세로 방향 하측에 대기시켜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가 고갈되어 센서(S)의 고갈 검지 신호에 의해 대기부(5)의 반송 기구(52)의 구동계에 모터(도시 생략)에 의한 동력이 가해진 때에는, 반송 기구(52)가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신속하게 부품 공급 장치(1)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 공급 장치(1)는 부품 공급 테이프(T)의 폭이 이것을 감고 있는 릴(20)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릴(20)과 함께 직접 릴 유지부(21)에 삽입되므로, 종래의 홀더를 홀더 체인저로 스위칭함으로써 부품 공급 테이프의 보급을 행하는 장치와 비교해서 특히 폭 방향(전후 방향)의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1 변형예]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형태에 기재한 구성을 적당하게 조합 내지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여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하게 그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미 설명한 구성은 같은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릴 유지부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 확대 정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공급 장치(1A)의 릴 유지부(21)는 레버(25c) 및 트레이(25)가 트레이 회동 지지부(25b)를 지점으로 해서 회동하는 회동 트레이형인 것이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릴 유지부(21)는 지지 케이스(24)와 지지 케이스(24)에 수납되어 레버(25c)를 갖는 트레이(25)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릴 유지부(21)는 측판 부재(24d)의 폭을, 릴(20)을 겨우 수용되는 것이 가능한 폭으로 형성되어 릴(20)과 릴 유지부(21) 사이에 다른 부재가 없다. 이 때문에, 릴 유지부(21)는 이 릴 유지부(21)의 전체폭(전후 방향의 길이)을 작게 해서 보급 장치(2)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릴 유지부(21)는 하단측에 배치된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와 이 위에 배치된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의 다단(이단)으로 형성되어서, 릴(20)을 상하 2단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지 케이스(24)는 상기 릴 유지부(21)의 외측 하우징을 형성하는 부재이며, 대기부(5)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주 부재와 상하 이단으로 이루어진 상자 형상의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의 상면, 배면, 하면, 측면 및 개구부를 형성하는 판 부재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지지 케이스(24)는 각각 후기하는 하면 부재(24a)와, 배면 부재(24b)와, 상면 부재(24c)와, 측판 부재(24d)와, 하면 부재(24e)와, 상면 부재(24f)와, 측판 부재(24g)와, 개구부(24h,24i)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하면 부재(24a)는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의 하면을 형성하는 저판 부재이며, 이 하면 부재(24a) 상에 트레이(25)가 적재된다.
배면 부재(24b)는 대기부(5)를 지지함과 아울러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의 배면을 형성하는 판 부재이다. 배면 부재(24b)는 하면 부재(24a)의 우측(후측) 단부로부터 대기부(5)의 우측(후측) 단부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상면 부재(24c)는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의 상면을 형성하는 판 부재이다.
측판 부재(24d)는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의 측면을 형성하는 전후 한 쌍의 판 부재로 이루어진다.
하면 부재(24e)는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의 하면을 형성하는 판 부재이다.
상면 부재(24f)는 대기부(5)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의 상면을 형성하는 판 부재이다.
측판 부재(24g)는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의 측면을 형성하는 전후 한 쌍의 판 부재로 이루어진다.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의 좌측에는 릴(20)을 각각 출납하는 개구부(24h,24i)가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25)는 릴(20)을 적재하는 부재이고,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에 배치되는 각 트레이(25)는 동일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적당히 한쪽만을 설명하고 다른쪽 부재의 설명을 동일한 부호를 부기해서 생략한다.
각 트레이(25)는 릴(20)을 적재하는 적재부(25a)와, 이 적재부(25a)의 개구부(24h,24i)측에 배치된 트레이 회동 지지부(25b)와, 이 트레이 회동 지지부(25b)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레버(25c)와, 적재부(25a)의 안쪽측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스토퍼(25d)를 구비하고 있다.
적재부(25a)는 도 5의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25c)를 상하 방향으로 조작하면 레버(25c)와 함께 트레이 회동 지지부(25b)를 중심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 내에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 회동 지지부(25b)는 트레이(25)를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 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축 부재이며, 하면 부재(24a,24e) 상의 개구부(24h,24i) 내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레버(25c)는 적재부(25a)에 릴(20)을 적재할 때, 및 릴(20)을 인출할 때에 트레이(25)를 회동시키기 위해서 조작하는 부재이며, 트레이 회동 지지부(25b)를 중심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버(25c)는 적재부(25a)에 대하여 트레이 회동 지지부(25b)를 중심으로 해서 둔각인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레버(25c)는 적재부(25a)에 릴(20)을 적재할 때, 및 릴(20)을 인출할 때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방향으로 조작되어서 개구부(24i,24j) 앞측에 비스듬히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인 상태로 된다. 이것에 따라, 적재부(25a)는 트레이 회동 지지부(25b)를 중심으로 해서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릴(20)을 개구부(24h,24i)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릴(20)을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 내에서 출납하기 쉽게 한다.
스토퍼(25d)는 적재부(25a) 상에 적재된 릴(20)이 적재부(25a)보다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의 안쪽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편이다. 스토퍼(25d)는 적재부(25a)의 단부에 일체 형성되어서, 레버(25c)가 조작되면 적재부(25a)와 함께 트레이 회동 지지부(25b)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한다.
이렇게,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에 레버(25c)를 갖는 회동 가능한 트레이(25)를 배치함으로써, 작업원은 레버(25c)를 밀어 내리면 트레이(25) 전체가 트레이 회동 지지부(25b)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여 도 5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25c)가 개구부(24h,24j)의 앞부터 수평인 상태로 됨과 아울러, 적재부(25a)가 적재하고 있는 릴(20)을 개구부(24h,24i)의 바깥 방향을 향해서 밀어내기 때문에 릴(20)을 착탈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원은 레버(25c)를 밀어 올리면 트레이(25) 전체가 트레이 회동 지지부(25b)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고, 레버(25c)가 개구부(24h,24i) 앞측으로 이동하여 적재부(25a) 상의 릴(20)이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 내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그때 적재부(25a)는 하면 부재(24a,24e)의 상면과 접촉한 수평인 상태로 됨과 아울러, 릴(20)의 무게로 그 수평인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적재부(26a)에 의해 릴(20)을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 내에 안정된 상태로 적재할 수 있다.
[제 2 변형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릴 유지부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 확대 정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릴 유지부(21)는 도 6에 나타내는 부품 공급 장치(1B)와 같이, 트레이(26)를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출입 가능하게 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각 트레이(26)는 릴(20)을 적재하는 적재부(26a)와, 이 적재부(26a)의 개구부(24h,24i)측에 연설된 레버(26c)와, 적재부(26a)의 안쪽측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스토퍼(26d)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적재부(26a)의 하면은 그 하측에 배치된 트레이 슬라이더(24j,24k)에 대해서 미끄러지기 쉽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26c)는 작업자가 트레이(26)를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로부터 인출하거나 밀어넣거나 할 때에 파지하는 부위이다. 이 레버(26c)는 예를 들면 측면으로 볼 때 적재부(26a)에 대하여 둔각인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적재부(26a) 상에 적재한 릴(20)이 적재부(26a) 상에서 개구부(24h,24i)의 외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도 한다.
릴 유지부(21)는 상기한 제 1 변형예의 릴 유지부(21)와 동일, 또는 트레이(26)의 하면에 트레이 슬라이더(24j,24k)를 배치하는 구조로 한다. 트레이 슬라이더(24j,24k)는 트레이(26)를 적재하는 판 부재이며, 하면 부재(24a,24e)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트레이 슬라이더(24j,24k)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 부재(24a,24e) 상에 고정된 것이어도, 또는 트레이(26)와 일체로 하면 부재(24a,24e) 상을 슬라이딩하도록 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이렇게, 릴 유지부(21)는 출납 가능한 슬라이드식의 트레이(26)를 설치함으로써 도 6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트레이(26)를 인출한 경우, 트레이(26)를 인출한 몫만큼 릴(20)을 트레이(26) 상에 적재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6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트레이(26)를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21A) 및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21B) 내로 밀어넣었을 때, 릴(20)에 권회된 부품 공급 테이프(T)가 잡아당겨져서 풀어져 있을 때여도 레버(26c)가 개구부(24h,24i)의 앞면에 배치되어서 릴(20)이 트레이(26)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변형예]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a는 대기부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 확대 정면도, 도 7b는 도 7a의 화살표선 X-X 방향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부품 공급 장치(1)의 대기부(5)의 덮개 부재(53)(도 3a 및 도 3b 참조)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부품 공급 장치(1C)의 덮개 부재(55)와 같이, 반송로(54)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반송로(54)는 각각 후기하는 가이드홈(54a)과, 측벽(54b)과, 기어 삽입홈(54d)과, 축 지지편(54e)과, 록 부재(54f)와, 축 지지 부재(54g)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홈(54a)은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측면으로 볼 때 대략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54b)은 예를 들면 일방측(앞측의 측벽)에 록 부재(54f)가 배치되고, 타방측(뒷측의 측벽)에 축 지지편(54e)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어 삽입홈(54d)은 상기 실시형태의 기어 삽입홈(51d)과 동일 구조를 하고 있다.
축 지지편(54e)은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55)의 좌측 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축 지지 부재(54g)를 갖는 판 형상 부재이고, 측벽(54b)의 좌측 단부의 상단으로부터 위쪽 방향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록 부재(54f)는 판 스프링(55c)을 부품 공급 테이프(T)에 압박한 상태에서 록킹핀(55b)에 록킹되어 덮개 부재(55)가 가이드홈(54a)을 폐색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훅 형상 부재이다. 록 부재(54f)는 정면으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기단부가 지지축(54h)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측벽(54b)에 축 지지되어 있다.
덮개 부재(55)는 상기 실시형태의 덮개 부재(53)와 마찬가지로 덮개 부재 본체(55a)와, 록킹핀(55b)과, 판 스프링(55c)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덮개 부재 본체(55a)는 좌단부가 축 지지 부재(54g)에 의해 반송로(54) 상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록킹핀(55b)은 덮개 부재 본체(55a)의 우측 단부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판 스프링(55c)은 덮개 부재 본체(55a)의 하면의 약간 축 지지 부재(54g) 근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서,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축 지지 부재(54g) 부근에서 압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대기부(5)는 덮개 부재(55)를 반송로(54)에 대하여 축 지지 부재(54g)를 중심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음으로써 반송로(54)와 덮개 부재(55) 사이에 배치된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대기부(5) 상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된다.
덮개 부재(55)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개폐형의 것이나,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완전 분리형의 덮개 부재(53)(도 3a 및 도 3b 참조) 등 다양한 형태가 생각되지만, 어느것이든 부품 공급 테이프(T)의 측면에 반송로(54)의 측벽(54b)만인 구조로 하는 것이 긴요하고, 이것에 의해 대기부(5)의 전체폭을 짧게 해서 대기부(5) 전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제 4 변형예]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a는 대기부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 확대 정면도, 도 8b는 도 8a의 화살표선 Y-Y 방향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부품 공급 장치(1)의 대기부(5)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부품 공급 장치(1D)와 같이, 2개의 대기부(5A,5B)를 전후 방향으로 인접시켜서 배치하여 일체화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베이스(56), 반송 기구(57)의 축 지지 부재(57d), 및 반송로(58)는 각각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2개의 대기부(5A,5B) 각각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합한 길이로 형성한다.
즉, 베이스(56)는 기대(56a)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상기한 실시형태의 기대(50a)(도 3a 및 도 3b 참조)의 약 두배의 길이로 형성한다.
축 지지 부재(57d)는 1개의 부재로 2개의 전달 기어(57b) 및 반송용 기어(57c)를 측벽(56b)에 지지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의 길이도 상기 실시형태의 축 지지 부재(52d)(도 3a 및 도 3b 참조)의 약 두배의 길이로 형성한다.
반송로(58)도 2개의 부품 공급 테이프(T)와 2개의 대기부(5A,5B)가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맞물릴 수 있는 2개의 가이드홈(58a)을 구비하고,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송로(51)(도 3a 및 도 3b 참조)의 두배로 전후 방향의 길이를 맞추어 형성한다.
이렇게, 복수의 대기부(5)를 일체화한 부품 공급 장치(1)는 2개의 대기부(5A,5B)를 나란히 하여 인접해서 일체화한 대기부(5)로 함으로써, 2개의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대기시켜서 2개의 부품 공급 테이프(T)를 부품 실장 장치(7)에 동시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2종류의 테이프를 1대로 공급하는 듀얼형의 부품 공급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고갈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7)의 정지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테이프 종에 대해서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보급할 필요가 있다.
[제 5 변형예]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 5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a는 분리기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 확대 정면도, 도 9b는 도 9a의 화살표선 Z-Z 방향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부품 공급 장치(1)의 분리기(4)는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부품 공급 장치(1E)의 분리기(4A,4B)와 같이, 2개의 분리기(4A,4B)를 전후 방향으로 인접시켜서 배치하여 일체화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부품 공급 장치(1E)에는 서로 인접해서 일체화시킨 2개의 분리기(4A,4B)를 설치하고, 이것에 대응해서 상기 제 4 변형예에서 설명한 2개의 대기부(5A,5B)를 일체화시킨 장치를 사용한다. 분리기(4A,4B)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분리기(4)(도 2a 및 도 2b 참조)의 직립 플레이트(43)를 2개의 장치에서 공용함과 아울러, 직립 플레이트(43)를 중심으로 해서 전후 대칭으로 형성해서 이루어진다.
이렇게 분리기(4A,4B)의 2개의 장치를 합쳐서 일체화할 때, 1개의 직립 플레이트(43)는 2개의 분리기(4A,4B)에서 공용되고 있으므로, 공용된 몫만큼 단지 분리기(4A,4B)를 합쳤을 경우보다 장치 전체의 전후 방향의 폭을 작게 해서 컴팩트화를 꾀할 수 있다.
[제 6 변형예]
이어서, 제 6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의 부품 공급 장치(1)의 대기부(5)와 센서(S) 사이(보다 구체적으로는 대기부(5)와 덮개 부재(53) 사이나 덮개 부재(53)의 종단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에는 부품 공급 테이프(Ta)를 위한 유로(1001)와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위한 유로(1002)가 합류하는 부분인 합류부(1004)가 존재하고 있다. 이 합류부(1004)에서는 부품 공급 테이프(Ta) 및 부품 공급 테이프(Tb) 중 적어도 1개가 공급될 때에 만곡되어버리는(좌굴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경우도 있다. 본 변형예는 이 좌굴을 배려한 것이다.
도 13은 본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합류부(1004) 주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합류부(1004)는 부품 공급 장치(1)의 유로 상방에 형성된 개구로 표현할 수도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이 합류부(1004)의 길이(L)를 최대한 짧게, 예를 들면 10㎜보다 짧아지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하면 좌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7 변형예]
이어서, 제 7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는 좌굴을 제 6 변형예와는 다른 방법으로 억제하는 것이다. 도 14에 본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본 변형예에서는 합류부(1004)에 좌굴 방지 기구(1000)를 배치한다. 좌굴 방지 기구(1000)는 나사(1005)에 의해 그 한쪽의 단부가 부품 공급 장치(1)에 고정된 판 스프링이다. 좌굴 방지 기구(1000)의 재질로서는 알루미늄, SUS, 구리 등이 고려된다. 또한, 좌굴 방지 기구(1000)는 나사(1005)에 의해 고정된 부분을 지점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지만, 그때 합류부(1004)를 가로막는 일이 없도록 위쪽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1006)를 갖는다.
좌굴 방지 기구(10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좌굴 방지 기구(1000)는 부품 공급 테이프(Ta)가 유로(1001)를 경유해서 반송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부품 공급 테이프(Tb)가 유로(1002)를 경유해서 합류부(1004)로 반송되면, 좌굴 방지 기구(1000)는 유로 상방에 형성된 개구를 막음으로써 부품 공급 테이프(Tb)가 반송될 때에 좌굴되는 것을 방지한다.
좌굴 방지 기구(1000)는 작업자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들어올려져, 부품 공급 테이프(Ta)가 유로(1001)를 경유해서 반송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그 후, 작업자는 새롭게 부품 공급 테이프(Tb)를 세팅하고, 부품 공급 테이프(Tb)는 부품 공급 테이프(Ta)가 고갈된 후, 좌굴 방지 기구(1000)에 의해 좌굴되지 않고 반송된다는 것을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좌굴 방지 기구(1000)는 화살표(1003)의 방향으로 나사(1005)에 의해 고정된 부분을 지점으로 움직여 좌굴을 방지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좌굴 방지 기구(1000)에 의해 좌굴은 억제된다.
[제 8 변형예]
이어서, 제 8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는 록킹홈(51c)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벽(51b)에는 록킹홈(51c)이 형성되어 있지만, 본 변형예에서는 이 록킹홈(51c)에 록킹핀(53b)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이 복수의 영역의 길이가 다르도록 록킹홈(51c)을 형성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에서는 록킹홈(51c)의 영역(3001)과 영역(3002)은 같은 높이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있다. 영역(3001)의 길이를 L1이라고 하고 영역(3002)의 길이를 L2라고 한다면, 본 변형예에서는 L1<L2의 관계가 성립하고 있다(L1=L2여도 좋다). 록킹핀(53b)은 영역(3001), 영역(3002) 중 어느 1개에 삽입되게 된다.
도 15b에서는 록킹홈(51c)의 영역(3003)과 영역(3004)이 다른 높이에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영역(3003)의 길이를 L3라고 하고 영역(3004)의 길이를 L4라고 한다면, 본 변형예에서는 L3<L4의 관계가 성립하고 있다. 록킹핀(53b)은 영역(3003), 영역(3004) 중 어느 1개에 삽입되게 된다.
어느 경우여도 록킹핀(53b)에 의해 덮개 부재(53)가 록킹되는 장소를 변경하는, 즉 판 스프링(53c)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구성에서는 부품 공급 테이프(T)를 반송용 기어에 압박하는 힘이 증감함으로써 부품 공급 테이프(T)와 반송용 기어의 감합 상태를 바꾸어 반송력을 변경할 수 있다.
[제 9 변형예]
이어서, 제 9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도 록킹홈(51c)에 관한 것이다.
도 16은 본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부품 공급 장치(1)에 진동 등의 외란이 가해지면 록킹핀(53b)이 움직여버려, 결과적으로 덮개 부재(53)도 이동해버리는 경우도 생각된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서는 록킹홈(51c)에 리턴부(4001)(리브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부분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록킹핀(53b)은 화살표(4002) 방향의 작용하는 힘을 받게 되므로 록킹핀(53b)은 강고하게 그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0 변형예]
이어서, 제 10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는 부품 공급 테이프가 본래 반송되어야 할 경로로부터 벗어나버리는 것(사행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을 배려한 것이다. 도 17a~도 17c는 본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a는 본 변형예에서의 덮개 부재(53)를 왼쪽 방향에서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17b는 본 변형예에서의 덮개 부재(53)를 상방에서 설명하는 상면도이며, 도 17c는 본 변형예에서의 덮개 부재(53)를 앞쪽 방향에서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의 직립 플레이트(43)와 덮개 부재(53)는 일체 성형되어 있다. 직립 플레이트(43)에는 상술한 테이프 유지부(41)가 배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7b 및 도 1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직립 플레이트(43)보다 뒤의 유로(직립 플레이트(43)와 합류부(1004) 사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에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의 사행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500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5001)와 덮개 부재(53)는 일체 성형되어 있지만, 가이드(5001)와 덮개 부재(53)를 각각 따로따로 제작한 후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53)는 실질적인 U자 형상(위로 오목한 형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의 단면을 하고 있고, 직립 플레이트(43)와 가이드(5001)는 U자 형상의 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가이드(5001)는 도 17b 및 도 1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립 플레이트(43)와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 및 안쪽 앞쪽 방향에 있어서도 다르게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5001)에도 상술한 테이프 유지부(41)가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는 직립 플레이트(43)와 가이드(5001)에 의해 끼워지게 되고, 안쪽·앞쪽 방향으로의 사행이 억제되게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덮개 부재(53)의 폭(W)과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의 폭(WT)은 W쪽이 약간 넓어, 직립 플레이트(43), 및 가이드(5001)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가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배치되게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직립 플레이트(43)의 테이프 유지부(41)의 높이와 가이드(5001)의 테이프 유지부(41)의 높이는 같은 높이지만,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가 합류부(1004)로 반송되는 각도는 직립 플레이트(43)의 테이프 유지부(41)와 가이드(5001)의 테이프 유지부(41)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로 규정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직립 플레이트(43)의 테이프 유지부(41)의 높이와 가이드(5001)의 테이프 유지부(41)의 높이를 다르게 구성하는 것,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5001)에는 테이프 유지부(41)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명세서의 개시의 범위 내이다.
또한, 도 18과 같이 가이드(5001) 외에 가이드(5002)를 직립 플레이트(43)와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가이드(5003)와 가이드(5001)도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본 명세서의 개시의 범위 내이다.
[기타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 제 3 변형예 및 제 4 변형예에서 설명한 대기부(5)(도 3a, 도 3b,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 참조)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Ta)가 고갈됐을 때에, 구동력이 구동력 전달계로부터 부품 공급 테이프(T)의 반송 기구(52)에 전해져서 부품 공급 테이프(T)를 부품 공급 장치(1)로 이동시키지만, 부품 공급 테이프(T)의 마찰 등에 의한 반송 저항에 불균일이 있기 때문에 이동 속도에 불균일이 발생한다.
또한, 보급 장치(2)에 의한 이동 속도가 부품 공급 장치(1)의 수취 속도보다 크면 속도차에 의한 부품 공급 테이프(T)의 잉여 부분에 있어서 좌굴 등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부품 공급 장치(1)의 수취 속도보다 작으면 속도차에 의해 부품 공급 장치(1)와 보급 장치(2) 사이에서 부품 공급 테이프(T)에 텐션이 발생하게 된다.
이들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서는 대기부(5)의 반송 기구(52)에 원웨이 클러치를 설치함으로써, 보급 장치(2)에 의해 이동 속도가 불균일해졌다고 해도 부품 공급 테이프(T)가 변형되거나 부품 공급 테이프(T)에 텐션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항상 부품 공급 장치(1)의 수취 속도보다 부품 공급 테이프(T)의 반송 속도를 작게 하는 속도차를 두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기타 해결법으로서는 보급 장치(2)에 의한 이동 속도가 부품 공급 장치(1)의 수취 속도와 동등해지도록 속도 제어를 행함으로써도 해결할 수 있다.
1 : 부품 공급 장치 2 : 보급 장치
3 : 이송 장치 4 : 분리기
5 : 대기부 6 : 부품 노출 장치
7 : 부품 실장 장치 7a : 부품 인출부
20 : 릴 21 : 릴 유지부
21a : 개구부 21A : 하단측 테이프 수납부(테이프 수납부)
21B : 상단측 테이프 수납부(테이프 수납부)
25,26 : 트레이 25c, 26c : 레버
51 : 반송로 51a : 가이드홈
52 : 반송 기구 53 : 덮개 부재
S : 센서 T, Tb : 부품 공급 테이프
Ta :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
Tb :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

Claims (36)

  1.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가 고갈됐을 때에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의 보급을 행하는 보급 장치와 상기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의 고갈을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와 상기 보급 장치 사이에는 상기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를 위한 유로와 상기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의 유로가 합류하는 합류부가 형성되고, 상기 합류부에는 상기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 및 상기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 중 적어도 1개의 좌굴을 방지하는 좌굴 방지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보급 장치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권회한 릴이 삽입되는 릴 유지부와,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대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가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의 고갈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대기부로부터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이동시켜서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보급함과 아울러,
    상기 보급 장치는 상기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와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를 분리하는 분리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는 상기 보급 장치에 있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대기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부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폭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가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갖는 반송로와,
    상기 가이드홈 내에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개재해서 배치되는 덮개 부재를 갖고,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에는 측벽이 있고,
    상기 측벽에는 록킹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홈은 상기 덮개 부재를 록킹하기 위한 복수의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 방지 기구는 상기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 또는 상기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 중 적어도 1개의 동작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덮개 부재를 상기 록킹홈에 록킹시키는 핀을 갖고,
    상기 록킹홈은 상기 핀을 고정하기 위한 리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보내는 이송 장치와,
    상기 이송 장치를 구동시키는 반송 기구를 갖고,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반송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반송로의 일부에는 상기 반송 기구가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는 상기 이송 장치의 회전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 장치에 의한 부품 공급 테이프의 이동 속도가 상기 부품 공급 장치의 수취 속도보다 작아지도록 상기 이송 장치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이동 속도가 상기 부품 공급 장치의 수취 속도와 같아지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릴 유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으로 배치되고, 가로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 상자형상의 테이프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수납부에는 상기 테이프 수납부 내에 회동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릴이 적재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회동 또는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부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폭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가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갖는 반송로와,
    상기 가이드홈 내에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개재해서 배치되는 덮개 부재와,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보내는 이송 장치와,
    상기 이송 장치를 구동시키는 반송 기구를 갖고,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반송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반송로의 일부에는 상기 반송 기구가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는 상기 이송 장치의 회전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 장치에 의한 부품 공급 테이프의 이동 속도가 상기 부품 공급 장치의 수취 속도보다 작아지도록 상기 이송 장치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이동 속도가 상기 부품 공급 장치의 수취 속도와 같아지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릴 유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으로 배치되고, 가로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 상자형상의 테이프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수납부에는 상기 테이프 수납부 내에 회동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릴이 적재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회동 또는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장치.
  13. 부품 공급 장치를 갖고,
    상기 부품 공급 장치는,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가 고갈됐을 때에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의 보급을 행하는 보급 장치와,
    상기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의 고갈을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와 상기 보급 장치 사이에는 상기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를 위한 유로와 상기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의 유로가 합류하는 합류부가 형성되고, 상기 합류부에는 상기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 및 상기 새로운 부품 공급 테이프 중 적어도 1개의 좌굴을 방지하는 좌굴 방지 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보급 장치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권회한 릴이 삽입되는 릴 유지부와,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대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가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의 고갈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대기부로부터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이동시켜서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보급함과 아울러,
    상기 보급 장치는 상기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와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를 분리하는 분리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급될 부품 공급 테이프는 상기 보급 장치에 있어서 선행하는 부품 공급 테이프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대기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부는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의 폭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갖는 반송로와,
    상기 가이드홈 내에 상기 부품 공급 테이프를 개재해서 배치되는 덮개 부재를 갖고,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에는 측벽이 있고,
    상기 측벽에는 록킹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홈은 상기 덮개 부재를 록킹하기 위한 복수의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KR1020157000815A 2012-06-28 2013-06-24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실장 장치 KR101619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44908A JP6114509B2 (ja) 2012-06-28 2012-06-28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JPJP-P-2012-144908 2012-06-28
PCT/JP2013/067280 WO2014002961A1 (ja) 2012-06-28 2013-06-24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643A KR20150018643A (ko) 2015-02-23
KR101619823B1 true KR101619823B1 (ko) 2016-05-11

Family

ID=4978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815A KR101619823B1 (ko) 2012-06-28 2013-06-24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실장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74218B2 (ko)
EP (1) EP2869683B1 (ko)
JP (1) JP6114509B2 (ko)
KR (1) KR101619823B1 (ko)
CN (1) CN104429175B (ko)
WO (1) WO2014002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0475B1 (en) * 2014-02-21 2017-04-12 Technowrapp S.r.l. Wrapping machine for covering palletized loads
CN106465571B (zh) * 2014-05-30 2019-04-23 株式会社富士 供料器
EP3166376B1 (en) * 2014-07-04 2019-11-27 FUJI Corporation Tape feeder
JP6346068B2 (ja) * 2014-10-30 2018-06-2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表面実装機、及び部品の供給方法
JP6523332B2 (ja) * 2014-12-18 2019-05-29 株式会社Fuji フィーダ
JP6413084B2 (ja) * 2015-01-06 2018-10-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
US9743569B2 (en) * 2015-01-06 2017-08-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component supply apparatus
US10225969B2 (en) * 2015-01-06 2019-03-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component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component supply tape in electronic component supply apparatus
US10000352B2 (en) * 2015-01-06 2018-06-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component supply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supply method
WO2017042902A1 (ja) * 2015-09-09 2017-03-1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別置形リール保持装置
CN108141997B (zh) * 2015-10-09 2020-01-17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元件安装机、带盘保持装置
JP6498779B2 (ja) * 2015-10-09 2019-04-1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機、リール保持装置
JP6905626B2 (ja) * 2015-12-10 2021-07-21 株式会社Fuji 部品供給装置
WO2017098628A1 (ja) * 2015-12-10 2017-06-15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リール保持装置
JP6661460B2 (ja) * 2016-04-28 2020-03-1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部品供給方法および表面実装機
JP6561317B2 (ja) * 2016-06-01 2019-08-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実装システム
CN109565951B (zh) 2016-08-08 2020-09-15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元件供应装置
JP6799973B2 (ja) * 2016-09-09 2020-12-16 株式会社Fuji フィーダ
CN109863838B (zh) * 2016-11-10 2020-12-04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元件供给装置、表面安装机及元件供给方法
WO2018134880A1 (ja) 2017-01-17 2018-07-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補給管理システム及び部品実装システム
WO2019087291A1 (ja) 2017-10-31 2019-05-0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及びテープフィーダー
JP7129610B2 (ja) * 2018-03-30 2022-09-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ユニットの配置決定方法および部品供給ユニットの配置決定装置
CN114641201B (zh) * 2019-03-29 2023-09-2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载带保持装置以及部件搭载装置
DE102020100613B3 (de) * 2020-01-14 2021-05-12 Asm Assembly Systems Gmbh & Co. Kg Annahmevorrichtung, Bauteilkassette und System
CN115004878B (zh) * 2020-02-20 2023-10-24 株式会社富士 元件安装机以及元件安装系统
JP7462216B2 (ja) * 2020-04-27 2024-04-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リール保持装置
JP7068740B2 (ja) * 2020-09-08 2022-05-17 株式会社Fuji フィーダ
CN117044419A (zh) * 2021-03-31 2023-11-1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保存装置
JP7486241B1 (ja) 2023-05-16 2024-05-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リール配置装置、リール配置方法及び部品実装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2769B2 (ja) * 1994-08-08 2003-05-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ー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792B2 (ja) * 1988-12-20 1995-11-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部品供給装置および該装置用リールホルダセッティング方法
JPH0777309B2 (ja) 1988-12-20 1995-08-16 ジューキ株式会社 チツプマウンタにおける部品搭載ヘツド
JPH07114319B2 (ja) * 1991-01-22 1995-12-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ップ形電子部品の供給装置
JP2002314289A (ja) * 2001-04-11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パーツカセット、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供給方法
US7220095B2 (en) * 2001-05-24 2007-05-22 Lyndaker David W Self-threading component tape feeder
JP3994809B2 (ja) * 2002-07-09 2007-10-24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電子回路部品の打ち抜き装置及びその供給リール交換方法
JP4186594B2 (ja) * 2002-11-15 2008-1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用テープおよび電子部品供給用テープの接続方法
US7850040B2 (en) * 2006-10-23 2010-12-14 Hover-Davis, Inc. Component tape feeder
JP4969584B2 (ja) * 2006-12-25 2012-07-04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部品保持テープセット方法
EP2098107B1 (en) 2006-12-28 2014-02-19 Yamaha Motor Co., Ltd. Component-recognizing apparatus, surface-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inspecting apparatus
JP4291866B2 (ja) * 2008-02-25 2009-07-08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気部品供給方法および部品供給ユニット
KR101563306B1 (ko) * 2009-01-19 2015-10-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전자 부품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칩 마운터
US8353424B2 (en) 2009-01-27 2013-01-15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Component feeder
JP2010212681A (ja) * 2009-03-09 2010-09-24 Koshoku Kin 部品実装機用キャリアテープ自動供給装置
JP5302846B2 (ja) * 2009-10-19 2013-10-02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部品供給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US10225969B2 (en) * 2015-01-06 2019-03-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component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component supply tape in electronic component supply apparatus
JP6467632B2 (ja) * 2015-04-27 2019-02-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部品実装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2769B2 (ja) * 1994-08-08 2003-05-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74218B2 (en) 2018-05-15
EP2869683B1 (en) 2022-11-23
JP2014011216A (ja) 2014-01-20
CN104429175B (zh) 2017-05-03
KR20150018643A (ko) 2015-02-23
CN104429175A (zh) 2015-03-18
JP6114509B2 (ja) 2017-04-12
WO2014002961A1 (ja) 2014-01-03
US20150115093A1 (en) 2015-04-30
EP2869683A4 (en) 2016-01-20
EP2869683A1 (en)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823B1 (ko)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실장 장치
JP5826919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JP4820728B2 (ja) 部品供給装置、並びに表面実装機
JP4891832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表面実装機
JPWO2017104031A1 (ja) テープフィーダ
JP2012079842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3935579B2 (ja) カバーテープ送り装置,カバーテープ処理装置およびフィーダユニット
JP5487022B2 (ja) 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
JP2011204961A (ja) 電子部品供給装置及び装着装置
WO2018087857A1 (ja) 部品供給装置、表面実装機、及び部品供給方法
JP7161643B2 (ja) テープフィーダ
KR101144620B1 (ko) 트레이 공급장치
WO2019130406A1 (ja) フィーダ
JP2019054298A (ja) テープ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装置
WO2022158064A1 (ja) 格納装置
JP2020109797A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部品実装装置
JP6473893B2 (ja) テープフィーダ及びテープ接続装置
JP7225448B2 (ja) テープ供給装置
WO2022208958A1 (ja) 格納装置
WO2022158077A1 (ja) 部品搭載装置
JP6731674B2 (ja) 部品供給装置
JP2020066508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2092698A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部品搭載装置
JPWO2018008131A1 (ja) フィーダ装置
JP2006109858A (ja) 調剤用薬剤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